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반도체 소부장기업 CEO특성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동적역량의 매개효과 및 기술이전의 조절 효과

        이한기 호서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51711

        한국 반도체산업은 지난 40여 년간 눈부신 성장을 통해 미국에 이어 세계 2위의 반도체 생산국으로 성장하였고, 이러한 한국 반도체산업의 성공에는 대기업 반도체 제조기업과 소부장기업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그러나, 글로벌 경제 침체 영향과 자원산업의 SCM 붕괴 및 G2(미·중) 경제패권 경쟁 여파 등 악재의 가중 속에서 국내 반도체 제조업체와 소부장기업들은 다시금 생존 차원의 돌파구를 찾지 않으면 안되는 현실에 처해 있다. 이렇게 급변하는 산업환경의 변화 속에서 기업이 생존하고 또 성장해 가는 데는 기업의 최고경영자의 역량이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기업의 내부역량의 강화도 역시 간과할 수 없는 요소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반도체 소부장기업을 대상으로 CEO의 특성이 기업의 동적역량의 매개효과와 기술이전의 조절효과를 통해 어떻게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증적으로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CEO특성과 동적역량, 기술이전 효과 및 경영성과 간의 관계를 검증할 수 있는 요소를 도출하여 반도체 소부장기업의 CEO와 전문경영인 및 임원을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를 2022년 7월 11일부터 8월 30일까지 총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최종적으로 159부의 유효한 설문을 회수하였다. 본 통계는 SPSS 28을 활용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분석을 하였고, SmartPLS 4.0(v.4.0.8.5) 구조방정식 모델링 프로그램으로 가설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연구모형은 CEO특성 및 동적역량과 경영성과 간의 관계로 구성하였으며, 경영성과를 재무성과와 종업원만족도의 2가지 관점에서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모형 1] CEO특성-동적역량-경영성과(재무성과) 첫째, 반도체 소부장기업 CEO의 기업가정신 중 위험감수성은 기업의 동적역량 중 적응역량과 혁신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흡수역량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혁신성은 동적역량의 적응역량, 흡수역량과 혁신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반도체 소부장기업 CEO의 경영자역량 중 네트워크와 기술적능력 역량은 적응역량과 흡수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혁신역량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창의성은 혁신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적응역량과 흡수역량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반도체 소부장기업의 CEO특성인 기업가정신 중 위험감수성과 혁신성은 재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반도체 소부장기업의 CEO특성인 경영자역량 중 기술적능력, 네트워크 역량, 창의성은 재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다섯째, 반도체 소부장기업의 동적역량 중 흡수역량은 재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적응역량과 혁신역량은 재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여섯째, 반도체 소부장기업의 CEO특성인 기업가정신 중 위험감수성과 혁신성은 기업의 동적역량인 적응역량, 흡수역량, 혁신역량을 매개로 재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일곱째, 반도체 소부장기업의 CEO특성인 경영자역량 중 네트워크 역량은 기업의 동적역량인 흡수역량을 매개로 재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여덟째, 기술이전의 조절효과는 반도체 소부장기업 CEO의 경영자역량 중 기술적능력이 혁신역량을 매개로 재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데 기술이전을 받은 업체와 받지 않은 업체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모형 2] CEO특성-동적역량-경영성과(종업원만족도) 아홉째, CEO의 기업가정신 중 위험감수성은 기업의 동적역량 중 적응역량과 혁신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흡수역량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혁신성은 동적역량의 적응역량, 흡수역량, 혁신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열째, CEO의 경영자역량 중 네트워크와 기술적능력은 기업의 동적역량인 적응역량과 흡수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혁신역량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창의성은 혁신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적응역량과 흡수역량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열한째, CEO의 기업가정신 중 위험감수성은 종업원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혁신성은 종업원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열두째, CEO의 경영자역량 중 기술적능력은 종업원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네트워크와 창의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열셋째, 기업의 동적역량 중 혁신역량은 종업원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적응역량과 흡수역량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열넷째, CEO의 기업가정신 중 위험감수성은 기업의 동적역량인 혁신역량을 매개로 종업원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열다섯째, CEO의 경영자역량 중 창의성은 기업의 동적역량인 혁신역량을 매개로 종업원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열여섯째, 기술이전의 조절효과는 CEO의 경영자역량 중 기술적능력이 혁신역량을 매개로 종업원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데 기술이전을 받은 업체와 받지 않은 업체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가설검증을 통한 본 연구의 결과는 반도체 소부장기업 CEO의 특성인 기업가정신과 경영자역량이 기업의 동적역량의 매개효과와 기술이전의 조절효과를 통해 기업의 재무성과와 종업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제공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중소·중견 규모의 반도체 소부장기업이 급변하는 반도체 생태계 내에서 기업의 생존과 성장을 위해 앞으로 전개해 나가야 할 전략의 방향성에 대해서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었던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e Korean semiconductor industry has grown to become the world's second-largest semiconductor producer after the United States through remarkable growth over the past 40 years. However, domestic semiconductor manufacturers and MPE companies are faced with a reality in which they have to find a breakthrough in order to survive again in the midst of increasing negative factors such as the impact of the global economic downturn, the collapse of SCM in the resource industry, and the aftermath of the G2 (China-US) strategic competition for economic supremacy. The competency of the CEO of a company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a company to survive and grow in the rapidly changing industrial environment, and the strengthening of the company's internal competency is also a factor that cannot be overlooked.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empirically verify how the CEO's characteristics affect management performance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the company's dynamic capabilitie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technology transfer, targeting semiconductor MPE companies. Through previous research, factors that can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EO characteristics, dynamic capabilities, technology transfer effects, and management performance were deriv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focusing on CEOs and professional managers and executives of semiconductor MPE compsnies. For this survey,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a total of 200 people from July 11th to Aug. 30th, 2022, and finally 159 vali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or thes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analyzed using SPSS 28, and hypotheses were verified with SmartPLS 4.0 (v.4.0.8.5),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program. In this study, the research model was composed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EO characteristics and dynamic capabilities and management performance, and the management performance was verified from two perspectives: financial performance and employee satisfaction. The results of hypothesis testing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Research Model 1] CEO Characteristics - Dynamic CapabilitIies - Business Performance (Financial Performance) First, the risk-taking among the entrepreneurship of CEOs of semiconductor MPE compani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daptive and innovative capabiities among the dynamic capabilities of the company, but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absorptive capabilities. Innovativeness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adaptive capabilities, absorptive capabilities, and innovative capabilities of dynamic capabilities. Second, network capabilities and technological capabilities of CEO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daptive and absorptive capabilities,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innovative capabilities, and creativity of CEO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nnovative capabilitie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on adaptive capabilities and absorptive capabilities. Third, risk-taking and innovativenes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financial performance. Fourth, technological capabilities, network capabilities, and creativity of CEO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financial performance. Fifth, the absorptive capabilities of CEO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financial performance, while the adaptive and innovative capabilitie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financial performance. Sixth, risk-taking and innovativenes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financial performance through adaptive capabilities, absorptive capabilities, and innovative capabilities. Seventh, the absorptive capabilities significant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chnological capabilities and financial performance. Eighth, regarding the moderating effect of technology transfer, it was found that technology transfer makes CEOs' technological capabilitie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financial performance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innovative capabilities and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mpanies that received technology transfer and those that did not. [Research Model 2] CEO Characteristics - Dynamic Capabilities - Business Performance (Employee Satisfaction) Ninth, risk-tak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daptive capabilities and innovative capabilities, but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absorptive capabilities. Innovativenes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daptive capabilities, absorptive capabilities, and innovative capabilities. Tenth, CEO's network and technological capabiliti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daptive capabilities and absorptive capabilities, but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innovative capabilities, and creativ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nnovative capabilities, but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adaptive capabilities and absorptive capabilities. Eleventh, risk taking and innovativenes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employee satisfaction. Twelfth, CEOs' technological capabiliti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mployee satisfaction, while their network and creativity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employee satisfaction. Thirteenth, innovative capabiliti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mployee satisfaction, while adaptive capabilities and absorptive capabilities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employee satisfaction. Fourteenth, it was found that innovative capabilities significant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taking and employee satisfaction. Fifteenth, it was found that innovative capabilities significant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and employee satisfaction. Sixteenth, regarding the moderating effect of technology transfer, it was found that technology transfer makes CEOs' technological capabilitie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employee satisfaction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innovative capabilities and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mpanies that received technology transfer and those that did not. As described above, the results of this study through hypothesis verification provided empirically the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CEOs of semiconductor MPE companies on corporate financial performance and employee satisfaction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the company's dynamic capabilitie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technology transfe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was able to suggest a direction for small and medium-sized semiconductor MPE companies to develop for their survival and growth in the rapidly changing semiconductor ecosystem.

      • 중소·벤처기업 글로벌기술사업화의 성과영향요인과 사례연구

        박종영 호서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51711

        우리나라의 기업들은 4차 산업혁명과 코로나 바이러스 유행 상황이 도래함에 따라 글로벌 기술사업화를 추진함에 있어서 많은 애로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기업들은 성장을 담보하고 경쟁업체에 비해 경쟁우위를 차지하기 위해서 기업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을 요구받고 있다. 특히 중소·벤처기업들은 대기업에 비해 자금과 R&D 여력은 물론 글 로벌 시장에 진출하여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는 데 필요한 기업 특유의 자원과 역량이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중소·벤처기업들이 경쟁우위를 확보하고 기업성과에 필요한 역량 요인이 무엇인지를 규명하는 것은 매우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수행된 기술사업화에 대한 연구는 다수가 있었으나 글로벌 기술사업화 성과를 제고하는 데 필요한 경험적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었다. 따라서 중소·벤처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하고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하려면 글로벌 기술사업화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의 수행이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는 중소․벤처기업의 임원들과 글로벌 기술사업화 실무담당자를 대상으로 글로벌 기술사업화의 재무적 성과와 비재무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한 후 이들 영향 요인과 글로벌 기술사업화 성과 간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이외에도 글로벌 기술사업화의 성공과 실패 사례연구와 기술사업화 성과에 대한 핵심영향요인의 선정을 위해서 문헌적 연구와 IPA를 실시하였다. 연구모델은 크게 재무적 성과에 대한 영향요인 모델과 비재무적 성과에 대한 영향요인 모델로 구분하였다. 기술사업화의 영향요인에 대한 문헌적 고찰과 중요도-성과분석(IPA)을 적용하여 글로벌 기술사업화의 재무적 성과와 비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추출하였다. 먼저, 문헌적 고찰을 통해 116건의 논문으로 압축하였고 영향요인들을 유사 범주나 동일 의미를 가지는 경우는 통합하여 16개의 영향요인(R&D역량, 연구비, CEO역량, 혁신체제, 흡수역량, 기업업력, 기업규모, 제품화역량, 제조능력, 마케팅역량, 기술축적, 기술특성, 시장환경, 정부지원, 외부협력 및 내부협력)으로 압축하였다. 다음으로, 정부일(2019)의 메타분석 결과를 이용해서 글로벌 재무적 성과 핵심 중요 영향요인(효과크기 4.0 이상)으 로 9개(제품화역량, 마케팅역량, 시장환경, CEO역량, R&D역량, 흡수역량, 혁신체제, 정부지원, 제조능력)를 그리고 비재무적 성과 영향요인으로 11개(제품화역량, 마케팅역량, 시장환경, CEO역량, R&D역량, 흡수역량, 혁신체제, 정부지원, 제조능력, 내부협력, 외부협력)를 선정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IPA를 통해 재무적 성과에 대한 핵심 중요 영 향요인으로 6개(제품화역량, 마케팅역량, CEO경영역량, CEO기술역량, R&D역량, 시장환경), 비재무적 성과에 대한 영향요인으로 4개(제품화역량, 마케팅역량, CEO경영역량, CEO기술역량)를 추출하였다. 설문지법을 사용해 수집된 자료에 대한 통계처리를 위해서 SPSS 26과 SmartPLS 3.3.2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IPA, 가설검증 및 성공과 실패 사례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IPA를 이용한 분석 결과 재무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중요 영향요인에는 제품화역량, 마케팅역량, 시장환경, CEO역량(CEO경영역량, CEO기술역량), R&D역량이 포함되었다. 이들 영향요인들은 역량 의 중요도와 만족도가 모두 높은 우위유지 영역에 해당한다. 둘째, IPA를 이용한 분석 결과 비재무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중요 영향요인에는 제품화역량, 마케팅역량, CEO역량(CEO경영역량, CEO기술역량)이 포함되었다. 이들 영향요인들은 역량의 중요도와 만족도가 모두 높은 우위유지 영역에 해당한다. 셋째, 재무적 성과 영향요인 연구모델을 통한 가설검증 결과 중소·벤처기업의 마케팅역량과 R&D역량 그리고 시장환경은 글로벌 기술사업화 재무적 성과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제품화역량, CEO경영역량, CEO기술역량은 글로벌 기술사업화 재무적 성과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비재무적 성과 영향요인 연구모델을 통한 가설검증 결과 중소·벤처기업의 제품화역량과 마케팅역량은 글로벌 기술사업화 비재무적 성과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CEO경영역량, CEO기술역량은 글로벌 기술사업화 비재무적 성과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글로벌 기술사업화 성공 사례 2개 기업, 실패 사례 2개 기 업에 대한 사례분석을 수행한 결과 성공 사례의 경우 재무적 성과에는 제품화역량, 마케팅역량, 시장환경이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수 있다. 반면에 비재무적 성과에는 제품화역량과 마케팅역량이 중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실패 사례의 경우에는 제품화역량, 마케팅역량의 부족 그리고 R&D역량과 CEO역량도 중요하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 다. 이상과 같은 본 연구의 결과는 중소·벤처기업들이 글로벌 기술사업화를 추진하는데 있어서 기업이 보유한 자원과 역량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해 준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글로벌 기술사업화를 추진하려는 중소·벤처기업들에 기초 자료와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코딩과 소프트웨어 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에 대한 실증 사례연구 : H대학의 전공자와 비전공자의 비교를 중심으로

        신요한 호서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1711

        The adv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based on digital technology is greatly chang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round the world. In particular, domestic universities have been promoting coding and SW education through the SW-centered university support project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since 2015. Accordingly, each university provides education for majors as well as non-majors and the general public. However, coding and SW education using major and non-major curriculum has not yet reached the beginner level, and sufficient education to contribute to the cultivation of computational thinking is not being carried out. In addition, previous studies to date have not considered what core competencies can be cultivated through specific coding and SW education, and no survey has been conducted on which competencies students consider important. As a result, there are still many difficulties in developing the capabilities required by the industry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Previous studies conducted on domestic university students to date have the following limitations. First, in previous studies,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necessity or direction of core competency education. However,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expected that various competency development will be needed to improve employment and work skills. Second, previous studies had individual orientations on key performance indicators (KPIs) necessary for the successful operation of coding and SW education in universities, but in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derive major KPIs and conduct integrated research. Lastly, in previous studies, case studies were conducted on majors and non-majors in many cases, but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ompare and analyze the coding and SW curriculum and operation contents of majors and non-majors to present future directions and strategies for future education improvement. Based on the need for research as described above, this study first reviews the previous studies and targets major and non-major students at H University in the basic knowledge and competency demanded by the industry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s well as coding and SW education KPI, which is an indicator of successful operation of the curriculum, is to be derived. Next, through an empirical case study applying the review results of previous studies an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coding and SW education at H university are identified and major directions for improvement are proposed. In this study, a paired sample t-test was conducted for KPIs derived from core competency items and coding and SW curriculu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negative discrepancy between almost core competency items and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each KPI of coding and SW education.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re are areas to be improved in the core competency education currently being implemented. Specifically, the results of analysis derived from systematic consideration of previous studies and empirical case studies using IPA were presente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the KPIs desired in coding and SW education by college were quite different, implying the need to design and operate differentiated coding and SW curriculum for each college.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4차산업혁명 시대의 도래는 전 세계의 교육환경을 크게 변화시키고 있다. 특히 국내 대학들은 2015년부터 미래창조과학부가 지원하는 SW중심대학 지원 사업을 통해 코딩과 SW 교육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각 대학들은 전공자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과 함께 비전공자와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전공교육과정과 비전공교육과정을 이용한 코딩과 SW 교육은 아직도 초급수준을 넘어서지 못하고 있으며, 컴퓨팅 사고력 함양에 기여할 수 있는 충분한 교육이 수행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또한 현재까지의 선행연구들은 구체적인 코딩과 SW 교육을 통해서 함양할 수 있는 핵심역량이 무엇인지에 대한 고찰이 없었으며 수강자들이 어떤 역량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지에 대한 조사도 시행되지 않았다. 이로 인해 4차산업혁명 시대에 산업계에서 요구하는 역량을 개발하기에는 아직도 많은 어려움이 상존하고 있다. 현재까지 국내 대학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행된 선행연구들은 몇 가지 한계가 있었다. 첫째, 선행연구들은 역량 교육의 필요성이나 방향성에 대해서는 연구가 거의 진행되지 않았다. 그러나 4차산업혁명 시대에는 취업과 업무능력 향상을 위해서 다양한 역량 함양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둘째, 선행연구들은 대학의 코딩과 SW 교육의 성공적인 운영에 필요한 핵심성과지표(KPI)에 대한 개별적인 지향점을 가지고 연구하였으나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주요 KPI를 도출하고 통합적인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선행연구에서는 전공자와 비전공자를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시행한 경우는 많았으나 앞으로는 전공자와 비전공자의 코딩과 SW 교육과정과 운영 내용을 비교 분석하여 향후 교육의 개선방향과 전략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이상과 같은 연구의 필요성에 기초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를 통해 H대학의 전공과 비전공 수강생들을 대상으로 4차산업혁명 시대에 산업계가 요구하고 있는 핵심역량 그리고 코딩과 SW 교육과정의 성공적인 운영지표인 KPI를 도출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선행연구의 검토 결과와 중요도-성과분석(IPA)을 적용한 실증적 사례연구를 통해 현재 H대학이 가지고 있는 코딩과 SW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에 대한 주요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핵심역량 항목 그리고 코딩과 SW 교육과정에서 도출한 KPI를 대상으로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거의 모든 핵심역량 항목 그리고 코딩과 SW 교육의 각 KPI의 중요도와 만족도 간에 부정적인 불일치가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현재 시행하고 있는 핵심역량 교육에서 개선해야 할 부분이 존재하고 있음을 시사해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구체적으로 선행연구의 체계적 고찰과 IPA를 적용한 실증적 사례연구를 통해 도출된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에 의하면 단과대학 별로 코딩과 SW 교육에서 원하는 KPI가 상당히 다르게 나타났으며, 단과대학 별 차별화된 코딩과 SW 교육과정의 설계와 운영이 필요함을 시사해준다.

      • 경영혁신기법 도입수준과 기술혁신역량이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 경쟁강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정호석 호서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51711

        The environment and technology surrounding manufacturing companies are rapidly changing. In order to pay attention to these environmental changes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to sufficiently enhance corporate competitiveness, manufacturing companies are adopting management innovation activities or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ies as a core strategy for corporate management. Successful manufacturing is expected to be an effort to promote sustainable management innovation and stimulate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ies by maximizing a company's competitiveness.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source researchers operated so far, it can be seen that it is problematic to explore the effect of the introduction of individual strategic innovation techniques on strategic performance or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However, studies on the extent to which the introduction of environmental innovation techniques reach the level of implementation or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or studies on whether the degree of competition can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introduction of environmental innovation techniques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are insufficient. In accordance with the need for such research,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management innovation technique introduction level,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and competition strength on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targeting CEOs and executives and employees working in domestic manufacturers. In addition, we want to find out the moderating effect of whether the competition strength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nagement innovation technique introduction level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hypotheses established based on previous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management innovation technique introduction level performed by manufacturing companies has a positively significant effect on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This suggests that the more companies introduce and operate various management innovation techniques, the higher the performance of technological innovation can b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technology innovation capability possessed by manufacturers has a positively significant effect on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This suggests that the R&D capacity and technology accumulation capacity of manufacturing companies are effectively established, so that the higher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city, the higher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Third, it was found that the competition strength facing manufacturers has a positively significant effect on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This suggests that as the competitive environment surrounding manufacturing companies intensifies and more competitors appear, companies can increase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through active responses. Finally, the competition strength was found to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management innovation technique introduction level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In the case of industries with low competitive strength, even if the management innovation technique introduction level increases, the performance of technological innovation does not increase much.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industries with high competition strength, as the management innovation technique introduction level increases, the performance of technological innovation increases very steep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manufacturing companies with severe competition can significantly improve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by introducing and operating management innovation techniques such as 6Sigma, ERP, MRP, SCM, TPM, TPS and TQC. Management innovation activities have been considered important in corporate management for a long time, but it is true that awareness of their necessity and importance has declined recently. However,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can be improved if manufacturing companies introduce new management innovation techniques and possess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ie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industries with high competition strength, it was found that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can increase steeply when the management innovation technique introduction level increa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organizational members of manufacturing companies with an opportunity to voluntarily participate in management innovation activities, as well as provide basic data and information necessary for manufacturing companies to retain and manage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ies. 제조기업들을 둘러싼 환경과 기술은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변화와 기술의 발전에 적응하고 기업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 제조기업의 경영자들은 경영혁신활동을 추진하거나 기술혁신역량을 높이는 것을 기업경영의 핵심 전략으로 채택하고 있다. 앞으로도 제조기업들은 기업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 지속적으로 경영혁신을 추진하고 기술혁신역량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까지 수행된 선행연구들을 검토한 결과 개별적인 경영혁신기법 도입이 경영성과나 기술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 것이 주류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전반적인 경영혁신기법 도입수준이 경영성과나 기술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와 경쟁강도가 경영혁신기법 도입수준과 기술혁신성과의 관계를 조절하는지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상과 같은 연구의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국내 제조업체에 근무하고 있는 CEO와 임직원들을 대상으로 경영혁신기법 도입수준, 기술혁신역량 및 경쟁강도가 기술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다. 또한 경쟁강도가 경영혁신기법 도입수준과 기술혁신성과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지에 대한 조절영향을 알아내고자 한다.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설정한 가설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조기업들이 수행하고 있는 경영혁신기법 도입수준은 기술혁신성과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들이 다양한 경영혁신기법을 도입해 운영할수록 기술혁신성과가 높아질 수 있음을 사사해준다. 둘째, 제조기업들이 보유하고 있는 기술혁신역량은 기술혁신성과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제조기업의 연구개발역량과 기술축적역량이 효과적으로 구축되어 기술혁신역량이 높아질수록 기술혁신성과가 높아질 수 있음을 시사해준다. 셋째, 제조기업들이 직면하고 있는 경쟁강도는 기술혁신성과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제조기업을 둘러싼 경쟁환경의 심화와 함께 많은 경쟁기업이 등장할수록 기업들은 적극적인 대응을 통해 기술혁신성과를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해준다. 마지막으로, 경쟁강도는 경영혁신기법 도입수준과 기술혁신성과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쟁강도가 낮은 산업군의 경우에는 경영혁신기법 도입수준이 높아져도 기술혁신성과는 그다지 높아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경쟁강도가 높은 산업군의 경우에는 경영혁신기법 도입수준이 높아질수록 기술혁신성과는 매우 가파르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경쟁이 심한 제조기업일수록 6Sigma, ERP, MRP, SCM, TPM, TPS 및 TQC 등 경영혁신기법을 도입하여 운영하면 기술혁신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해준다. 경영혁신활동은 오래전부터 기업경영에서 중요하게 고려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그 필요성이나 중요성에 대한 인식정도가 낮아진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본 연구의 분석 결과에 의하면 제조기업들이 새로운 경영혁신기법을 도입하고 기술혁신역량을 보유하게 되면 기술혁신성과가 향상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경쟁강도가 높은 산업군의 경우에 경영혁신기법의 도입수준이 높아지면 기술혁신성과가 가파르게 높아질 수 있음을 알아내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제조기업들의 조직구성원들에게 경영혁신 활동의 효과성을 인식하여 향후 경영혁신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동기부여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제조기업들이 기술혁신역량을 보유하고 관리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와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중소가족기업의 성공적 승계를 위한 후계자역량 측정모델과 지표개발에 관한 연구 : 자원기반이론 관점에서

        채충식 호서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51711

        국문요약 국내 중소기업의 대부분인 가족기업은 1-2세대 경영진의 고령화가 진행되며 승계이슈가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중소기업 대상의 한 연구에서 기업의 영속성과 지속경영을 위해 67%가 승계가 중요하다고 보았으며 응답자의 60%가 자녀에게 승계계획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승계 실패 시 가족기업의 노하우 사장 및 국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때 승계 문제에 대해서는 전 사회적으로 보다 관심을 가지고 대응할 필요가 있다. 특히 대기업이나 중견기업과 달리 중소기업의 경우 후계자 교육이나 역량개발이 많이 이루어지지 않아 후계자 관점의 승계 준비와 연구가 다양하게 필요한 시점이기도 하다. 가족기업 경영의 문제는 일반기업 경영의 문제보다 어렵다. 일반적으로 가족기업의 문제를 세무문제로만 보는 경향이 많은데 이는 기업 경영에 가족 문제가 포함되어 있을뿐더러, 현실적으로는 가업 승계의 문제를 세무문제로 보고 있고 가업 승계를 부의 대물림으로 보는 부정적 시각도 많아 실제 필요에 비해 공론화가 많이 되지 못한 측면도 있다. 가족기업의 성공적 승계는 단순한 세무 문제를 넘어서 승계 이후의 지속경영을 위한 기반마련까지 포함되어야 하므로 다양한 관점에서 성공영향요인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경영환경은 디지털 기반의 기술환경 변화로 변화속도가 빠르고 불확실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경영환경 변화는 오래된 장수기업들에게도 기회와 위협이 될 수 있다. 특히 후계자 관점에서 가족기업의 경쟁우위 요소가 될 수 있는 독특한 고유의 자산(자원)에 대한 습득과 전수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변화하는 기업 환경에 대처해 갈 수 있는 역량 습득이 동시에 필요하다 하겠다. 가족 기업의 성공적 승계와 지속 성공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가족기업의 지속적으로 성장 발전을 위한 객관적 측정과 이를 판단할 수 있는 지표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소홀하였다. 그러다 보니 가족 기업이 현재의 위치를 판단하고 필요한 부분을 보완하며, 강점을 더 활용할 수 있는 실제적 방법을 찾기가 어려웠다. 또한 가족기업의 승계를 위한 보유 역량들이 천차만별로 다름에도 불구하고, 각자 가족기업의 상황에 적합한 개인화된 전략과 해결책을 찾기도 어려웠다. 따라서 가족기업이 가지고 있는 후계 역량의 측정과 이를 위한 지표의 개발은 실용적으로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본 연구는 가족 기업의 성공적 승계를 달성하기 위해 자원기반이론을 포함한 경쟁전략을 기반으로 후계자 관점에서 가족기업의 핵심자원 획득과 성공적 승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반영한 필요한 역량이 무엇인지 정의하고 지표를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절차는 후계자 역량 모델링 방법으로 Lucia와 Lepsinger(1999)의 새로운 역량모델개발 방법론과 이를 활용한 박신윤(2011)의 연구절차를 참고하여 설계하였으며 모델 개발 4단계, 검증 4단계로 구성해 총 8단계의 절차를 진행하였다. 먼저 모델 개발 단계에서는 Lucia와 Lepsinger(1999)가 제시한 ①역량요소 도출 ②잠정역량과 인용문 제시 ③잠정역량도출의 3단계 분석기법에 따라 잠정역량을 도출한 후, 조작적 정의를 작성하고 역량을 구조화하여 잠정역량모델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모델개발을 위해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한 역량 Pool을 전문가에게 제시하고 델파이 기법을 적용해 반복 설문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4차례의 전문가 의견수렴 및 검증을 통해 역량모델을 추출하였고 이 과정을 통해 8개의 상위역량과 각 상위역량 요소별 4개씩 32개의 하위역량에 대한 정의와 계위가 작성되었다. 본 연구는 작성된 역량모델 계위를 AHP 기법으로 전문가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데이터의 신뢰성을 검토하고 이를 통해 가중치와 우선순위를 파악하였다. 모델의 타당성 확보를 위해 모델링된 상위역량과 하위역량의 매칭에 대해 리커드 5점 척도의 설문을 실시하고 내용타당도(CVR, Content validity ratio) 점수로 검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역량모델의 타당성을 확보하고자 추가적으로 모델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통해 연구설계의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연구결과 가족기업의 성공적 승계를 위한 후계자의 역량 8개 상위 역량군과 32개 하위 역량을 도출하였고, 역량별 비중과 중요도를 산출하였다. 8개 상위역량군의 우선순위는 기업가역량이 가장 중요하게 나타났고 혁신역량, 관계역량, 인적자원관리역량 등의 순으로 뒤를 이었다. 다음으로 업무역량, 재무역량, 고객(마케팅) 역량, 산업기술 변화대응역량의 순으로 평가되었다. 상위 8개의 역량과 연관해 각 4개씩의 하위 필요역량이 정의되었는데 기업가역량은 위험감수성, 진취성, 혁신성 그리고 리더십이 하위 역량으로 구성되었으며 이 중 리더십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 평가되었다. 다음으로 혁신역량에는 경영혁신 측면의 두 요소인 조직혁신과 인적혁신, 기술혁신 측면의 제품혁신과 프로세스 혁신이 구성되었다. 네 가지 혁신요소 중 가장 우선적인 것은 인적자원혁신으로 평가되었다. 네 가지 요소 모두 각 20%를 상회하는 균등한 평가를 받아 우열의 차이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 관계역량은 고객기업, 공급기업 및 사업과 관련한 관계기관과의 네트워크역량과 가족구성원과의 관계역량이 구성되었는데 이 중 가장 중요한 요소로는 가족구성원과의 관계역량으로 제시되어 가족기업의 특징을 잘 반영한 결과로 인식되었다. 인적관리역량에서도 핵심인력의 유지와 직원 역량개발 그리고 공정한 평가와 더불어 직원들의 신뢰가 하위 역량으로 구성되었는데 이 중 직원들의 신뢰가 1위로 평가되어 후계자로서의 입지 확보에 직원들의 신뢰가 중요한 요소임을 인식할 수 있었다. 업무역량 관점에서는 개인의 자질과 태도, 역량 등이 반영되어 후계자의 자발적승계의지 및 커뮤니케이션, 전문기술 및 학습역량으로 구성되었으며 이 중 가장 중요한 요소는 자발적 승계의지로 나타났다. 재무역량의 하위요소로는 자원의 조달과 운용 그리고 통제와 위험관리역량등의 요소로 구성되었고 가장 중요한 요소로 리스크관리역량이 선정되었다. 다음으로 고객(마케팅)역량의 구성요소로 고객가치 제고역량, 고객신뢰유지 및 유통망신뢰 유지와 브랜드 명성 유지역량이 나타났고 이중 브랜드명성 유지역량이 가장 우선하는 것으로 나타나 가족기업으로서 기존까지 형성된 브랜드명성의 중요성을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산업특성 및 환경대응역량으로 기업의 동적환경에 대한 대처 역량 항목인데 기회인식, 산업기술변화에 대한 적응역량, 대외협상역량, 전략기획 역량으로 구성되었다. 이 중에서는 전략기획역량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다. 상위역량과 하위역량의 가중치를 감안한 32개 하위역량의 전체 종합 우선순위에서는 상위역량의 평가가 우수한 하위항목들이 대부분 상위에 포진하였는데 상위역량 평가 1위인 기업가역량의 리더십, 혁신성, 진취성 역량과 2위인 혁신역량의 인적자원혁신, 조직혁신, 제품혁신, 프로세스 혁신 4개 항목과 가족구성원관계역량, 직원신뢰확보, 리스크관리역량이 종합순위 상위 10위 내에 포진하여 전반적으로 후계자 입장에서 새로이 출발하는 의미에서 기업가역량 및 혁신역량을 고려하면서도 가족기업의 특성을 감안한 항목들이 반영되었다고 판단된다. 가족기업의 승계이슈를 승계의 대상이 되는 이해당사자인 후계자 입장에서 승계성공을 위해 필요한 역량을 도출함으로써 가족기업 연구주제의 확장을 도모하였다. 또한 가족기업의 특징을 설명하는 자원기반이론을 종합적으로 역량 도출과정에 반영시킴으로써 승계전략과 후계자 육성에 가족기업의 경쟁우위요소를 반영할 수 있도록 진행하였는데 본 연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후계자의 필요역량은 실무적으로 후계자의 육성 및 승계전략과 승계 이후의 경영전략 수립에 활용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중소 가족기업은 후계자 육성 및 교육 필요성을 느끼고 있음에도 무엇을 어떤 방식으로 어느 시기에 어떻게 교육시켜야 하는지에 대한 적절한 가이드가 없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역량을 기반으로 승계 프로세스 진행과 관련한 후계자 육성과 교육 프로그램 설정이 가능하다고 본다. 두 번째로 최종 후계자 결정전이라면 승계 여부의 최종 가부판단이나 승계시점 등을 고려할 수 있는 기준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적정한 지표와 목표수준을 정해 후계자의 자질이 해당 수준까지 미치도록 정한 후에 이에 도달한 시점을 승계 시점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로 가족기업의 현장 지원을 위한 도구(tool)의 확장 측면에서 가족기업의 승계지원을 위해 고려하는 기관에는 후계자 육성 프로그램 등과 연계해 승계 프로세스 수립 및 관리 및 지원이 가능할 것이다. 연구의 한계로는 가족기업의 다양한 업종 특성을 많이 반영하지 못한 점이 있다. 기업별 상황이나 해당 산업의 여건에 따라 주요 역량의 우선순위는 다를 수 있는데 각 기업의 산업 환경이나 성숙도 등에 따른 역량의 우선순위는 실행계획 수립 시에 개별로 반영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두 번째 정보 및 자료의 부족이다. 세 번째 진단모델의 타당성 검증과 통계적 검증의 한계 그리고 네 번째로 전문가별 편향성이나 Pool 자체의 부족 등이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다음의 연구에서는 승계 프로세스 단계별로 후계자의 역량별 목표수준을 설정하는 연구가 추가되길 기대한다. 핵심 단어: 가족기업, 승계, 후계자 역량, 델파이기법, AHP기법 역량모델링, 자원기반이론

      • 중소기업의 ESG 경영이 조직 생산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강현규 호서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1695

        In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the sub-areas of ESG management, such as clarity, validity, efficiency, and friendliness, Work efficiency can be maximized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sub-variables of ESG management, as there is a close correlation with labor welfar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management, and service attitude, which are sub-areas of productivity improvement. Second, when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productivity improvement factor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subjects, it was analyz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abor welfar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management, and service attitude. The significance probability shows a significant value of .000 for each, and the residents of other regions show high averages in labor welfar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management, and service attitude. In other words, it seems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organizational productivity improvement among residents of other locations than among residents of large cities (located in metropolitan cities or higher) and medium-sized cities (located in city units). 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Scheffe analysis of the post-hoc te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abor welfar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management, and service attitude among other regions, large cities (located in metropolitan cities or higher), and medium-sized cities (located in city units). Through these results, it is possible to establish important factors in planning and establishing ESG management strategies for other small cities. Third, examine the correla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target. 726, the validity of content and efficiency of the method, .705 for labor welfare and job satisfaction, and .724 for organizational management and continuance attitude, showing high correlation coefficient values, and clarity of promotion and validity of content .610, efficiency of the method and employee friendliness .505, employee friendliness and labor welfare .498,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management .687, showing a rather high correlation. These results will be helpful in setting priorities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performance of organizational management. Fourth, the relationship between ESG management's impact on labor welfare shows a high correlation at .772 between clarity of promotion, validity of content, efficiency of the method, friendliness of employees, and labor welfare. R²= .597 (59.7%) shows explanatory power. In addition, clarity of promotion (β=.342), validity of content (β=.276), efficiency of method (β=.197), and friendliness of employees (β=.084) were found to have the most influence on labor welfare. . This means that the clarity of promotion can act as an important factor in the relationship of impact on labor welfare. Fifth, a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 of ESG management performance on job satisfaction. The correlation between clarity of promotion, validity of content, efficiency of the method, friendliness of employees and organizational management showed a high correlation at .719, and the dependent variable, organizational management, showed explanatory power of R²= .516 (51.6%). have. In addition, the validity of the content (β=.164), the efficiency of the method (β=.455), and the friendliness of the staff (β=.217) were found to have an impact on organizational management, but the clarity of implementation (β=-. 015) was found to have no effect. This means that the efficiency of the method (β=.455) can act as an important factor in the relationship of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Sixth, a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ESG and organizational management. The correlation between clarity of promotion, validity of content, efficiency of the method, friendliness of employees and organizational management showed a high correlation at .719, and the dependent variable, organizational management, showed explanatory power of R²= .516 (51.6%). have. In addition, the validity of the content (β=.164), the efficiency of the method (β=.455), and the friendliness of the staff (β=.217) were found to have an impact on organizational management, but the clarity of implementation (β=-. 015) was found to have no effect. This indicates that personnel organization managemen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method (β=.455). Seventh, a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ESG management's effect on retention attitud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larity of promotion, the validity of the content, the efficiency of the method, the friendliness of the employees, and the retention attitude showed a rather high correlation at .588,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R² = .346 (34.6%) for the dependent variable, the retention attitude. is showing In addition, clarity of promotion (β=-.127), efficiency of method (β=.488), and friendliness of employees (β=.231) appeared to have an impact on retention, while validity of content (β=.042). was verified to have no effect. This means that the efficiency of the method and the friendliness of employees must be supported to some extent for ESG management to increase retention. 중소기업에 재직 중인 중소기업인을 대상으로 ESG 경영요인, ESG 경영의 성과, 생산성 향상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ESG 경영요인과 생산성 향상의 관계에서 ESG 경영의 성과를 검증하여 중소기업의 ESG 경영이 조직 생산성 향상을 위한 중소기업 경영과 정책적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ESG 경영의 하위영역인 추진의 명확성, 내용의 타당성, 방법의 효율성, 직원의 우호성과 생산성 향상의 하위영역인 근로복지, 직무만족도, 조직관리 간의 직원 “우호성, 근속 태도”를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상관관계가 있으므로 ESG 경영의 하위 변인들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업무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생산성 향상 요인의 차이를 살펴보면 근로복지, 직무만족도, 조직관리, 근속 태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유의확률은 각 모두 유의한 수치를 보이고 있으며 근로복지, 직무만족도, 조직관리, 근속 태도에서는 그 외 소재 지역 거주자가 다른 지역 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기타 소도시에 ESG 경영전략을 기획, 수립하는 데 있어서 효과성에서 중요한 요인들을 설정할 수 있다. 셋째, 조사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상관 관계를 살펴보면, 내용의 타당성과 방법의 효율성 .726, 근로복지와 직무만족 .705, 조직관리와 근속태도 .724로 높은 상관계수 값을 보이고 있으며 추진의 명확성과 내용의 타당성은 .610, 방법의 효율성과 직원의 우호성 .505, 직원의 우호성과 근로복지 .498, 직무만족도와 조직관리 .687로 다소 높은 상관 관계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조직에서 생산성 향상을 위한 우선순위 선정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넷째, ESG 경영이 근로복지에 미치는 영향 관계는 추진의 명확성, 내용의 타당성, 방법의 효율성, 직원의 우호성과 근로복지 간의 상관 관계는 .772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으며 인과 관계 분석은 추진의 명확성(β=.342)과 내용의 타당성(β=.276)이 가장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근로복지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 있어서 추진의 명확성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섯째, ESG 경영의 성과에 대한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추진의 명확성, 내용의 타당성, 방법의 효율성, 직원의 우호성과 조직관리 간의 상관 관계는 .719로 다소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며 인과 관계 분석은 방법의 효율성(β=.455), 직원의 우호성(β=.217)이 조직관리에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 있어서 방법의 효율성(β=.455)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섯째, ESG 경영이 조직관리의 영향을 미치는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추진의 명확성, 내용의 타당성, 방법의 효율성, 직원의 우호성과 조직관리 간의 상관 관계는 .719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며 인과 관계 분석은 방법의 효율성(β=.455), 직원의 우호성(β=.217)이 조직관리에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방법의 효율성(β=.455)을 높이기 위해 인사조직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일곱째, ESG 경영이 근속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추진의 명확성, 내용의 타당성, 방법의 효율성, 직원의 우호성과 근속 태도간의 상관관계는 .588로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으며 인과 관계 분석은 방법의 효율성(β=.488), 직원의 우호성(β=.231)은 근속 태도에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방법의 효율성과 직원의 우호성이 어느 정도 뒷받침이 되어야 ESG 경영이 근속 태도가 높아질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중소기업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ESG 경영과 생산성 향상의 관계에 있어서 ESG 경영성과의 인과 관계를 밝히는 데 연구의 의미가 있다. 또한 중소기업 근로자들의 ESG 경영과 생산성 향상, ESG 경영성과의 인과 관계를 기초로 한 정책적 함의 및 제언을 하였다는 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이해관계자 기반의 중소기업 ESG 도입 방법론에 관한 연구 및 지원시스템 개발

        조현민 호서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51695

        Stakeholders of a company demand the expansion of the company's role from profit-seeking to quantified ESG management activities. The demand for ESG management activities for companies based in EU member countries has been expanded through the UN 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e scope of ESG management activities demanded by stakeholders is broad and there are many ESG indicators for measuring ESG performance. Korean representative multinational companies such as Samsung, LG, SK are also engaging in ESG management activities that meet international demands and standards.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n Korea, which have a high dependency on large corporations, also need to prepare for ESG management in line with global trends and demands.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with limited resources should plan ESG management activities that meet the demands of stakeholders and prioritize execution of selected ESG sub-indicators according to priority. In this study, considering the situation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with limited resources, a six-step methodology for stakeholders-based decision-making on the introduction of SME ESG was proposed. Firstly, a survey is conducted among the company's management team, and stakeholders are identified based on the salience model. The survey consists of 6 questions, including 1 question to confirm the presence of stakeholders and 5 questions to confirm the power, legitimacy, and urgency according to the salience model. Secondly, the priority of the 12 ESG items proposed in this study is determined through the AHP method for the identified stakeholders. The hierarchy composition for the AHP survey is established by setting ESG as the first priority objective and environment (E), society (S), and governance (G) as the second priority each, then composed of 12 third priority sub-items with 4 items each for the second priority. Third, determine the specific ESG indicators. Based on the K-ESG guidelines that have been reorganized, choose from the 22 specific indicators among the ESG items with prioritized ranking. Fourth, review the SME support project linkage plan. The company must link the support projects of the government and relevant organizations for efficient implementation of the selected specific indicators. Fifth, review the financial and human capacities within the company. Finally, establish and implement the ESG implementation plan for the company. The methodology for ESG integration decision-making presented in this study was analyzed through a case study of an environmentally-friendly specialty chemical company for precision industries. The case company identified ESG items for each stakeholder and selected ESG specific indicators. The most pressing indicators were then structured with government support projects to form an implementation roadmap. The case company was able to obtain meaningful results by setting realistic directions based on the prioritization of ESG integration and the current state of equipment. The usability of the methodology presented in this study was also evaluated. In this study, a decision support system prototype was developed to increase the usability of the methodology proposed. The decision system prioritizes the ease of using the company's basic data, stakeholder analysis, and selection of ESG sub-indicators to enable the company to continuously revise and improve its ESG action plan. The study found that the adoption of ESG management by SMEs is important, with prioritization of ESG sub-indicators reflecting stakeholders' opinions and a step-by-step ESG adoption plan considering government support and corporate capability. The study scope was limited to the ESG adoption by the time of ESG management reporting disclosure by listed companies until 2030, thus not presenting the process leading to the final result of ESG management reporting. This will be a future research topic. 기업 이해관계자들은 기업의 역할을 이윤추구에서 수치화된 ESG 경영활동으로 확대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EU 회원국 중심의 기업에 대한 ESG 경영활동 요구는 UN을 통해 국제사회로 확대되었다. 기업의 이해관계자가 요구하는 ESG 경영활동의 범위는 넓고 ESG 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ESG 지표는 많다. 삼성, LG, SK 등 우리나라 대표적 다국적 기업들도 국제적 요구와 기준에 맞는 ESG 경영활동을 하고 있다. 대기업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의 중소기업들도 세계적 흐름과 요구에 따라 ESG 경영활동을 준비해야 한다. 자원이 부족한 중소기업은 기업의 이해관계자 요구에 맞는 ESG 경영활동을 계획하고 선별된 ESG 세부지표를 우선순위에 따라 실행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자원이 부족한 중소기업의 상황을 고려하여 이해관계자 기반 중소기업 ESG 도입 의사결정 방법론을 여섯 개 단계로 제시하였다. 첫째로 기업의 경영진을 대상으로 설문을 시행하고 현저성 모델에 따라 이해관계자를 식별한다. 설문은 이해관계자 유무의 명백성 확인을 위한 문항 1개와 현저성 모델에 따른 권력, 정당성 및 긴급성 확인을 위한 5문항으로 총 6개의 구성된다. 둘째로 식별된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ESG 항목 12개에 대한 우선순위를 AHP 기법을 통해 정한다. AHP 설문을 위한 계층구성은 ESG를 1계위 목적으로 정하고 환경(E), 사회(S), 지배구조(G) 각 항목을 2계위로 정한 후에 2계위 항목당 4개씩 모두 12개의 3계위 세부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세 번째로 ESG 세부지표를 정한다. 우선순위가 선정된 ESG 항목별로 K-ESG 가이드라인으로 재구성한 바탕으로 22개 세부지표 중 선정한다. 넷째로 중소기업지원사업 연계방안을 검토한다. 기업은 선정된 세부지표의 효율적 실행을 위해 정부 및 유관기관의 지원사업을 연계하여야 한다. 다섯 번째로 기업 내부의 재무역량과 인적역량을 검토한다. 마지막 여섯 번째로 기업의 ESG 도입계획을 수립하고 시행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ESG 도입 의사결정 방법론을 친환경 정밀 산업용 세정제 전문제조회사를 대상으로 사례 분석하였다. 사례기업은 이해관계자별 ESG 항목을 식별하고 ESG 세부지표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ESG 세부지표 중 가장 먼저 보완해야 할 지표를 정부 지원사업과 연계하여 실행 로드맵까지 구성하였다. 사례기업은 ESG 도입의 우선순위 도출과 현재 설비 상태를 고려한 실제적 방향을 설정하는 유의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론에 대한 사용성 평가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방법론의 사용 편의성을 증대하기 위해 의사결정 지원시스템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의사결정 시스템은 기업의 기초 데이터, 이해관계자 분석, ESG 세부지표 선정의 과정을 손쉽게 하여 기업이 ESG 실행계획을 지속해서 수정 보완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의 ESG 경영 도입은 이해관계자 의사를 반영하여 ESG 세부지표의 우선순위를 선정하고 정부 지원사업과 기업역량을 고려한 단계적 ESG 도입계획수립이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상장회사의 ESG 경영보고서 공시가 2030년까지임을 고려하여 ESG 세부지표의 도입까지를 연구범위로 정하였기 때문에 ESG 경영활동의 최종의 결과물인 기업의 ESG 경영보고서 공시까지의 프로세스를 제시하지 못한 한계가 있으며 이 부분은 향후 연구과제가 될 것이다.

      • 스마트공장에서 객체인식과 휴먼 동특성 분석을 통한 AI융합 알고리즘 적용 연구

        박명석 호서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51695

        우리나라는 정부 주도의 스마트공장 지원 사업으로 많은 중소 제조기업이 스마트공장을 구축하였으나 실시간 데이터를 활용한 스마트공장 구축에는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기업의 하청구조로 되어있는 중소기업은 대량생산이 어려우며 인력 투입에 의존한 제품생산이 주를 이루고 있다. 노사문제의 회피, 위험의 중소기업 전가, 자동화가 어려운 제품의 하청 등으로 인해 실시간 정보 수집에 한계가 발생한다. 최근에는 중대재해처벌법의 시행으로 재해 예방을 위한 현장 상시 관리가 필요하지만 관리 인력의 부족으로 애로를 겪고 있다. AI기술과 카메라 성능의 발전으로 시각적인 인식능력이 빠르게 향상되어 머신비전의 한계를 넘어서는 어려운 문제해결이 가능해졌다. 하지만 스마트공장 구축 시 영상데이터는 이미지분석 위주의 비전검사가 주로 활용되고 있다. 인간은 정보 수집의 70%를 시각정보에 의존하며 발전하고 있지만 자율생산까지의 고도화가 목표인 스마트공장 구축에서는 시각정보가 일부 공정만 활용되고 있다. 객체인식과 동특성 분석을 활용한 영상분석은 실시간 실적집계와 데이터 사각지대 극복을 위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아울러 사고 발생 시 빠른 보고와 제어를 통해 인사사고 예방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중소기업의 스마트공장 구축은 다양한 이유로 실시간 데이터 수집의 어려움이 존재하며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면서 처리해야 할 문제들이 있다. 객체인식과 동특성 분석을 통한 AI융합 알고리즘(Algorism)은 이러한 문제해결의 현실적인 대안을 제공할 수 있다. 먼저, 요구사항은 정성적인 연구방법으로 현장면담과 비전 전문기업을 조사하였다. 추가로 정량적인 연구방법인 설문에 의한 IPA로 축약하는 혼합연구 방법론을 사용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AI융합 알고리즘을 설계하고 구현하여 한 업체를 대상으로 시험 적용하였다. 적용 과정에서 나타난 YOLOv5의 한계를 AI융합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해결하였다. 다음으로, 적용 사례의 분석결과 시계열데이터를 통한 단절 공정의 이력 추적, 안전사고 예방, 프로세스마이닝에 의한 공정 개선을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의 스마트공장 고도화와 디지털트윈을 위해서는 객체인식과 휴먼 동특성 분석을 통해 다양한 융합 알고리즘의 적용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는 제조업의 데이터 사각지대가 없는 스마트공장의 디지털트윈의 구축에 필요한 기초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외에도 기업들의 중대재해 발생을 예방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Korea, many small and medium-sized manufacturing companies have built smart factories as a government-led smart factory support project, but it is known that there are difficulties in building smart factories using real-time data.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which are subcontracted by large corporations, have difficulty mass-producing and mainly rely on manpower for product production. There are limits to real-time information collection due to avoidance of labor issues, transfer of risks to SMEs, and subcontracting of products that are difficult to automate. Recently, due to the enforcement of the Severe Disaster Punishment Act, regular on-site management is required to prevent disasters, but it is suffering from a lack of management personnel. Advances in AI technology and camera performance have rapidly improved visual perception, making it possible to solve difficult problems beyond the limits of machine vision. However, when building a smart factory, image data is mainly used for image analysis-oriented vision inspection. Humans are developing by relying on visual information for 70% of information collection, but visual information is only used in some processes in smart factory construction, which aims to advance to autonomous production. Image analysis using object recognition and dynamic characteristic analysis occupies an important position for real-time performance aggregation and overcoming data blind spots. In addition, it can help prevent personnel accidents through quick reporting and control in the event of an accident. There are difficulties in real-time data collection for various reasons in the establishment of smart factories by SMEs, and there are problems to be dealt with while monitoring in real time. A convergence algorithm from an AI perspective through object recognition and dynamic characteristic analysis can provide a realistic alternative to solving these problems. First, for requirements, on-site interviews, which are qualitative methods, and vision-specialized companies were investigated. In addition, a mixed research methodology, abbreviated as IPA by questionnaire, which is a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was used. Based on this, an AI convergence algorithm was designed and implemented and tested for one company. The limitations of YOLOv5 that appeared during the experiment were solved by applying a convergence algorithm. Nex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implementation cases,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possible to track the history of the disconnection process through time series data, prevent safety accidents, and provide process improvement through process mining. In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various convergence algorithms need to be applied through object recognition and human dynamic characteristic analysis for smart factory advancement and digital twin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The research results will be able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needed to build a digital twin of a smart factory without data blind spots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In addition,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preventing major accidents in compan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