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Raw 이미지 파일 포맷의 도입에 관한 연구

        박준영 전남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32319

        이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사진 생산현장에서 중요하게 활용하는 Raw 이미지 파일 포맷의 특성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공공기관의 태생적 디지털 사진기록물 이미지 파일 포맷관리 사례를 조사하여, 공공기관에서 Raw 이미지 파일 포맷을 활용하기 위한 도입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위와 같은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방법을 수행하였다. 첫째, 문헌연구를 통해 태생적 디지털 사진기록물을 개념적 정의하고, Raw 이미지 파일 포맷의 특성과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둘째, 정보공개청구를 수행하여 공공기관의 디지털 사진기록물 이미지 파일 포맷관리 실태를 조사하고, 국내외 공공기관의 디지털 사진 포맷 지침을 분석하였다. 셋째, 공공기관에서 Raw 이미지 파일 포맷을 활용할 수 있는 도입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Raw 이미지 파일 포맷은 가역성과 유연성이라는 특성을 가진다. 둘째, Raw 이미지 파일 포맷의 중요한 문제점은 디지털카메라 제조업체에 종속적인 독점 Raw 이미지 파일 포맷이 난립하는 것이다. 셋째, 태생적 디지털 사진기록물의 포맷에 관한 제도가 미비하여 공공기관마다 자의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넷째, 해외 공공기관에서는 DNG 포맷을 유일하게 마스터 파일 포맷으로 사용할 수 있는 Raw 이미지 파일 포맷으로 평가하고 있다. 다섯째, 국가기록원은 높은 품질을 갖추면서 표준 혹은 사실상 표준으로 인정되는 포맷을 요구한다. 여섯째, 대검찰청은 법적 진본성을 갖춘 디지털 사진 파일은 이미지 속성뿐만 아니라 해시값, 용량과 같은 파일 속성까지 변하지 않은 네이티브 파일을 요구한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제시된 Raw 이미지 파일 포맷의 도입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단기적 방안으로 ‘DNG 파일과 네이티브 독점 Raw 파일을 병행 보존하는 캡슐화’ 방안이다. 둘째, 장기적 방안으로 ‘마스터 파일의 파일 속성값 기준 시점 재정의’ 방안이다. DNG 파일과 독점 Raw 파일을 병행 보존하는 것은 공공기관에서 Raw 이미지 파일 포맷을 즉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하지만 용량 부담이 두 배로 증가하는 문제가 있어 장기간 지속하기는 힘들다. 따라서 파일값 속성의 기준 시점을 재정의하여 포맷 변환으로 생성한 파일만으로 법적 진본성을 인정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Raw image file format, which is considered important in the digital photo production field, to investigate cases of image file format management of public institutions, and to suggest the introduction of Raw image file format to be utilized by public institutions. For this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methods were carried out. First, through literature review, defined the conceptual meaning of born-digital photographic records,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Raw image file format. Second, through the official information disclosure, investigated the status of digital photographic records management of public institutions, and analyzed the digital photo file format guidelines of domestic and foreign public institutions. Third, suggested introduction methods that can utilize Raw image file format in public institu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Raw image file format has the characteristics of reversibility and flexibility. Second, a major problem with Raw image file format is rampant of proprietary Raw image file formats, which is dependent on digital camera manufacturers. Third, there is a lack of a system for the file format of born-digital photographic records, so each public institution has no choice but to make a decision arbitrarily. Fourth, foreign public institutions evaluated DNG as the only one of Raw image file format that can be used as the master file format. Fifth, the National Archives requires a format that is recognized as standard or de facto standard with high quality. Sixth, the Supreme Prosecutor's Office requires digital photo files with legal authenticity have not changed not only image properties but also file properties such as hash values and file siz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proposed introductions of Raw image file format is as follows. First, as a short-term method, it is 'encapsulation that preserves DNG files and native proprietary Raw files in parallel'. Second, as a long-term method, it is 'redefining the base point of attribute values of the master image file'. the encapsulation is a method that allows public organizations to utilize a Raw image file format immediately. But it is difficult to sustain them for a long time due to the problem of doubling capacity burden. Therefore, the reference point of the file value attributes should be redefined so that legal authenticity can be recognized only by a file created by format conversion.

      • <모멘트리움> 프로젝트에 나타난 '순간'의 표현에 대한 연구

        김혜수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32300

        본 논문은 2018년 이후의 연구자의 작업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자의 작업은 개인적인 순간(瞬間)을 목격하고 이를 아카이빙(archiving)하는 과정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이 과정은 현재의 순간이 기억으로 저장되거나 과거로 잠식되어 잊혀져가는 유한한 현실에 도전하려는 연구자의 욕망에서 비롯된 것으로, 이 순간들을 기록한 상태 그대로 현실에 체화하여, 그 순간에 생성된 아카이브를 언제든 다시 환원시켜 재생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들고자 하는 고민으로부터 발생되었다. 이것은 실현 불가능한 것들을 포착하고자 하는 인간의 본능적인 집착과 의지의 표현과 연결되며, 연구자 본인을 둘러싼 세계와 그 안에서의 본인의 삶에 대한 유한성의 집착으로 이해될 수 있다. 많은 동시대 예술가들은 연구자와 같이 이전의 어떤 시대보다도 개인의 특수성(特殊性)이 반영된 삶의 형태를 적극적으로 예술에 개입시키며, 자신의 삶을 체화된 형태로 표현하려고 적극적으로 시도한다. 이러한 맥락으로 일상적 시간의 연속성을 예술적 형태로 그려내는 일상 기록의 예술이 개념미술의 한 영역으로 나타나고 있다. 연구자도 동시대 예술가들 중 한 사람으로서, 2007년부터 진행한 연구자의 삶에서 나타나는 물리적인 변화에 반응하는 정신적 요소, 실재적인 것과 비실재적인 것, 현존하는 것과 현존하지 않는 것, 무의식과 의식 사이의 틈에서 발현되는 특징들을 드로잉, 레진으로 제작한 부조, 투과성을 지닌 조각 그리고 텍스타일을 활용한 설치와 퍼포먼스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탐구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연구자는 인간이라는 존재에게 각기 다르게 주어진, 특수성을 지닌 시간의 의미를 되새기고 그것을 이미지화하는 데 주목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비정형적 형태의 드로잉과 조각, 신경세포나 바다 생물체의 형상과 동적 움직임이 연상되는 설치작업, 투과성을 지닌 매체의 실험을 통해 겹겹이 중첩되는 시간성을 시각적 형태로 재현하고자 시도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연구자 작품의 형태와 매체 선택의 독특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우연한 반응에 의해 출몰하는 내재적인 요소들을 이미지화하는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연구자는 본인이 경험한 미시적인 시간의 조각, 즉 일상적인 ‘순간’을 사유하고 탐구하게 되었다. 순간에 대한 탐구 과정의 시작은 ‘순간의 사유와 탐색이 가능할까?’라는 의문으로부터 ‘비실재적인 순간의 시각화는 과연 진정한 순간의 현실화된 표현인가?’라는 문제에 도달하였으며, 이는 더 나아가 ‘순간을 어떻게 조우할 것인가?’, ‘어떠한 실천으로서 이 순간에 접근할 것인가?’라는 보다 실천적인 물음으로 귀결되었다. 이 물음들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연구자는 2018년부터 ‘모멘트리움(Momentrium)’ 프로젝트를 통해 순간에 대한 조형적 연구를 시작하였다. 포스트모던 이후의 예술이 조형이라는 자체 문제에 천착(穿鑿)하는 것을 넘어서, 문제 제기적인 활동이라는 점에서 연구자의 작업은 단순히 순간을 재현하거나 추상하는 것이 아니라, 순간에 대한 사유의 실체화 가능성을 탐색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연구자가 본 연구의 소재로 사용한 ‘순간’은 일시적인 한때로서 찰나적 순간을 의미한다. 이는 물리적으로 고정시키거나 목격할 수 없는 성질의 것으로 데리다가 말하는 유령의 특성과 비견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데리다(Jacques Derrida)는 유령(spectre)을 과학적이거나 현실성을 갖는 혹은 객관성을 띄는 모든 대립으로 빚어진 이원적 개념들을 일정한 방식으로 초과하는 양가적 속성을 지닌다고 제시한다. 이러한 유령의 속성을 밝히기 위해 유령의 논리, 즉 유령성(Hauntology) 및 해체주의적 방법론을 기반으로 이중적인 것들을 가능하게 하는 유령적 특성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유령의 특성 중 유령이 정신과 관계하며, 양가적 틈에서 출몰하며, 언제든 그 틈에서 회귀할 수 있는 존재이자 가변적이라는 점을 바탕으로 유령과 ‘순간’ 간의 개념적 유사점을 도출하고 연구자만의 순간의 성질을 정의하고 해석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모멘트리움의 구성요소인 순간의 개념을 모색한다. 이와 관련하여 순간의 시각화 과정으로서 기록-아카이브 방식에 주목하고, 온 카와라와 로만 오팔카의 작품 세계를 살핀다. 기존의 작품과 차별화된 연구자의 프로젝트는 텍스트와 드로잉의 조형적 결합을 나타내는 ‘기록 이미지’로부터 출발한다. 이는 순간을 목격하는 것으로서의 재현을 넘어 순간을 현실화(現實化)하는 순간의 입체적 구현으로 진전되었으며, 회화적으로 표현된 시각 인덱스의 설정, 입체 조각과 설치, 가상현실로의 매체로 구체화되었다. 일련의 과정은 ‘모멘트리움’이라는 연구자의 최종적인 주제 의식을 구현해 나가는 것으로 설명된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의 과제를 크게 세 가지로 설정할 수 있다. 첫 번째 과제는 순간의 조형적 구현이라는 작품의 주제와 작업의 본질에 관해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가 작품을 통해 어떻게 순간을 다루고 구현하는지를 다각도로 분석하고 설명한다. 두 번째 과제는 시간성을 지닌 순간을 어떻게 목격하고 기록하여 표현하는지를 다루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연구자의 순간을 기록하는 방식과 다양한 매체를 면밀하게 분석하여 연구자의 표현 방식을 소개한다. 세 번째 과제는 조형적인 방식을 통해 순간에 영원성을 부여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연구자가 ‘모멘트리움’을 구현해 내는 과정에서 창작한 작품들의 구체적인 분석을 통해 어떻게 순간을 조형화하고 시간을 초월한 영원성을 부여하는지를 탐구한다. 연구자가 수행한 일련의 창작 과정은 그 자체가 ‘순간’에 대한 아카이브로 기능한다. 연구의 최종 목적인 ‘모멘트리움’을 지향하는 과정과 그 결과는 순간의 아카이브를 언제든 다시 복귀시켜 재생할 수 있는 세계를 창조하고자 하는 영원한 순간에 대한 지향으로 설명된다. 이렇듯 영원이라는 유토피아를 가상의 시공간에 현실화하는 ‘모멘트리움’의 지향은 연구자뿐 아니라 작품의 감상자에게도 연구자의 삶을 각자 재해석하고, 자신의 삶에서 마주하는 수많은 순간들에 대한 고찰을 위한 계기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미적 실천을 이끌어내는 유의미한 행위로 기능한다. This doctoral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work of the researcher since 2018. The researcher's work stemmed from witnessing personal moments and archiving them. This process originated from the researcher's desire to challenge the finite reality where current moments either fade into memories or are engulfed by the past. It emerged from the researcher's aspiration to manifest these moments as recorded archives in their original state, aiming to bring them back to life whenever desired. This quest aligns with humanity's inherent inclination and determination to capture the unattainable, entwined with the researcher's obsession with the finite nature of their life within their surrounding world. Many contemporary artists, like the researcher, actively involve their individual uniqueness in art more than any previous era. They deliberately integrate their lives into art, attempting to express their lives in an embodied form. In this context, the art of depicting the continuity of everyday time in an artistic form emerges as a realm of conceptual art. As a contemporary artist, the researcher has explored various mediums such as drawings, resin-made reliefs, translucent sculptures, installations employing textiles, and performances since 2007, responding to the physical changes observed in their life. These explorations traverse the realms of the mental facets reacting to physical transformations, the tangible versus intangible, existence versus non-existence, and the characteristics manifested in the gap between the conscious and unconscious realms. Throughout this process, the researcher focused on revisiting and visualizing the significance of time, characterized by uniqueness inherent to each human being’s existence. This journey involved creating nonconventional forms of drawings and sculptures, installations evoking neural cells or marine organisms' shapes and dynamic movements, and experimenting with translucent mediums to visually reproduce the overlapping temporality, thus showcasing the distinctiveness of the researcher's work in form and medium selection. In the course of visualizing the inherent elements emerging from these coincidental responses, the researcher delved into pondering and exploring the microscopic fragments of time—everyday 'moments' experienced personally. The exploration of these moments commenced with the question of whether 'rationalizing and exploring moments is possible,' leading to a contemplation on whether 'visualizing intangible moments truly embodies the essence of those moments.' Further introspection ensued, contemplating on 'how to encounter these moments' and 'what practical actions lead to accessing these moments.' To seek answers to these questions, the researcher initiated a sculptural study of moments through the 'Momentrium' project starting in 2018. As art after the post-modern is a campaign of raising questions, transcending the researching of the problem of sculpture itself, the researcher's work showcases an explorative process of the materialization of reasoning about moments, transcending mere reproduction or abstraction of moments. The 'moment' chosen as the subject of this study represents a fleeting instance, a temporary moment in time. Recognizing its nature as something physically unfixable or unobservable, it was likened to the characteristics of a specter, as described by Jacques Derrida. Derrida presents the specter as having ambivalent attributes, transcending binary concepts stemming from oppositions that are scientific, realistic, or objective, with a consistent method. To elucidate these attributes, the logic of the specter, namely "hauntology," was proposed, suggesting the ghostly features that enable duality based on deconstructive methodology. Drawing from the specter's traits—its connection to the mind, emergence from the gap of duality, ability to reappear from these gaps, and its variable nature—a conceptual similarity between the specter and the 'moment' was derived. The researcher defined and interpreted the nature of moments unique to themselves based on this exploration, further probing the concept of moments, the building blocks of Momentrium. In relation to this exploration, attention was given to the visualization process of moments, exploring the recording-archiving method and examining the artistic worlds of On Kawara and Roman Opalka. The researcher's distinct project diverges from conventional artwork, initiating from the amalgamation of text and drawing into 'record images.' Evolving beyond the mere representation of witnessing a moment, these images advance towards the three-dimensional embodiment of actualizing a moment, manifested through painterly visual indices, three-dimensional sculptures and installations, and concretization into virtual reality as a medium. This sequential process encapsulates the ultimate thematic consciousness of the researcher's 'Momentrium.' In this context, the main tasks of this dissertation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parts. The first task involves elucidating the essence of the theme and nature of the artwork concerning the sculptural embodiment of the moment. To achieve this, the researcher will analyze and elaborate on how the moment is handled and realized through the artwork from various perspectives. The second task focuses on exploring how the moment inherent with temporality is witnessed, recorded, and expressed. Through this process, the researcher will introduce their method of recording moments and thoroughly analyze various mediums employed in their expression. The third task revolves around how to imbue eternality to the moment through sculptural means. Through a detailed analysis of the specific artworks created during the realization of 'Momentrium,' the researcher aims to explore how moments are sculpted and endowed with eternality transcending time. The series of creative processes undertaken by the researcher serve as an archive of the 'moment' itself. The pursuit of the ultimate goal of this research, 'Momentrium,' is explained as an aspiration toward an eternal moment, aiming to create a world where the archive of the moment can be replayed at any time. The direction of 'Momentrium,' which seeks to materialize the utopia of eternity in a virtual space, functions as a meaningful act that elicits artistic practice through providing an opportunity for the audience to reinterpret the researcher's life and reflect on the numerous moments they encounter in their own lives.

      • 시니어 인지건강을 위한 사진 아카이브 플랫폼 구상

        박소진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21 국내석사

        RANK : 215886

        Since the enactment of the Public Records Act in 1999, archives in Korea have been recognized as a physical data repository for administrative records produced based on the work of public institutions. However, as more paper records have been converted to an electronic format recently, it is necessary to utilize a logical approach instead of preferring records on paper. Accordingly, this study seeks to incorporate the online photo archives of public institutions in the realm of social welfare, converting the "value of information" found in photographs into "the value of recollection" that would enable senior citizens to reminisce about the key moments of their lives. In addition to offering the images required for reminiscence therapy, by encouraging elderly people to share their old personal photos, this research endeavors to present an online photo archive platform where older adults as well as various generations can communicate via images. Reminiscence therapy, as one of the methods that can prevent depression and early dementia, helps individuals recall meaningful memories that took place during their lifespan development process, and this therapy can result in self-integration to restore self-esteem as well as to stimulate cognitive function by allowing them to reflect on the psychological condition at those moment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reminiscence therapy combined with the use of photos, its effect has already been demonstrated through a number of domestic and external studies. To verify the above statement, this paper went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 First, this study analyzed writing examples of photographic autobiography that had previously been conducted with the elderly. This included analyzing the relevant keywords collected from personal photographs that senior people had selected by life stage when they were organizing their life events, and it also involved categorizing the photos by type according to the lifespan development proposed in psychology. Second, the present study identified the status of photo archives in public institutions. Examining the photo records that are offered online by the Seoul Metropolitan Archives and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showed that the images were categorized by age and topic beneficial for recollection, and this paper analyzed images that would easily bring back memories afterward. Third, based on the above processes, by comparing as well as contrasting personal photographs and photo records of public institutions to match similar images, this study held workshops to ensure that public photo records could evoke past memories for senior people when used in place of personal images. Last, predicated on the analysis of survey responses and other earlier studies, the types of photo records of public institutions that can aid the recollection process of the elderly were identified as part of this study, and building on such an effort, the establishment of an online archive platform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photo link of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which operates an open API, has been proposed. As suggested in this paper, the aim of utilizing public photo archives, which only had values as a record, as a social welfare tool was to connect citizens in various areas and reduce social costs through such connections. As a matter of fact, in 2020, Korea has become a super-aged society, and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nounced the Fourth Dementia Plan and presented "proactive dementia management centered on prevention" as a major task. If converting the use of archives can prevent dementia in an aging society, the role expansion of archivists as well as archives will become a reality, and it will promote the utilization of such useful records in public as well. Building on such confidence, this paper attempted to propose a practical methodology.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function as relevant as well as a significant case study. 1999년 공공기록법 제정 이후, 한국에서의 아카이브는 공공기관에서 공적 업무 행위를 토대로 생산된 행정기록을 모아놓는 물리적 보관소로 인식되어 왔다. 하지만 종이기록에서 전자기록으로 진입하는 현 시점에서는 기록에 대한 물리적 접근 보다 논리적 접근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기관의 온라인 사진 아카이브를 사회복지의 영역으로 편입시켜 사진기록이 지닌 ‘정보의 가치’를 시니어가 자신의 삶을 스스로 회상할 수 있도록 돕는 ‘회상의 가치’로 변경하고자 했다. 회상 요법에 필요한 이미지를 서비스 함과 동시에 시니어 스스로 자신의 개인 사진을 공유하며 소통하는 사진 아카이브 플랫폼을 제안했다. 우울증 및 조기 치매 예방법 중 하나인 회상 요법은 개인의 생애 발달 과정의 단계에서 의미 있는 기억을 중심으로 회상을 돕고, 당시의 심리 상태를 고찰하도록 해 인지 기능을 자극함과 동시에 자존감을 회복시키는 자아통합의 기능이 있다. 특히 사진을 매개로한 회상 요법의 경우 이미 국내·외 다수의 연구를 통해 그 효과를 입증하고 있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첫 번째로 본 연구자가 기존에 시니어와 진행해 온 사진 자서전 쓰기 사례를 검토했다. 시니어가 직접 자신의 삶을 정리할 때 뽑았던 생애 주기별 개인 사진의 키워드를 분석하고, 심리학 영역에서 제안하는 생애 발달 주기에 맞춰 사진을 유형별로 분류하였다. 두 번째로 공공기관의 사진 아카이브 현황을 파악했다. 서울기록원과 국가기록원에서 온라인으로 서비스 하고 있는 사진기록을 살펴 회상에 유의미한 시대상 및 주제 등이 분류되어있는 것을 확인하고 회상에 용이한 이미지들을 분석했다. 세 번째로 앞선 1,2번 과정을 토대로 개인 사진과 공공기관의 사진기록을 비교, 대조하여 유사한 이미지들을 뽑아 매칭 시키고, 실제 시니어를 대상으로 삶을 회상하는 워크숍을 진행,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3단계 연구와 설문조사의 답변을 기반으로 시니어의 보편적 회상을 돕는 공공기관의 사진기록 유형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오픈API를 서비스하고 있는 국가기록원의 사진 링크를 연결한 온라인 아카이브 플랫폼 구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기록을 토대로 다양한 영역의 시민들을 연결하고, 그 연결을 통해 사회적 비용을 줄이기 위함이다. 실제 한국은 2020년 초고령 사회로 접어들었고 이에 보건복지부는 제4차 치매관리종합계획(안)을 발표하며 주요 과제로 ‘예방 중심의 선제적 치매 관리’를 제시했다. 고령화 사회 치매 예방에 아카이브 그 쓰임을 전환해 도움을 줄 수 있다면, 아카이브는 물론 아키비스트의 역할 역시 더욱 확대될 것이며 아카이브의 공공성 또한 돋보일 것이다. 이런 믿음을 토대로 해당 논문에서는 실제적인 방법론을 제안하고자 한다.

      • 기업 기록 관리와 히스토리마케팅을 통한 브랜드 이미지 제고에 관한 연구 : 공기업을 중심으로

        강성환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21 국내석사

        RANK : 199550

        The record management paradigm is changing from preservation-oriented to utilization-oriented, and research on corporate records management is currently conducted with various studies on records management methods, but it is very insufficient in terms of the use of records. In conjunction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new media, the corporate environment changes day by day, consumers' needs are diversified, and active marketing promotion activities are more important than ever. In these situations, such as paradigm shift in record management, intensifying competition among companies, and the need to create corporate image and brand value, the benefits of archiving must be high. In order to directly relate to this profit-making, it would be easy for companies to explain the purpose of records management and archive operations if companies inform and service history and records of archiving targets from a marketing perspective, just as they market products, services, or companies themselves.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corporate brand image creation through archive and record information services from a history marketing perspective, even in public entities with both enterprise characteristics and administrative publicity. Previous studies have presented the effects and examples of history marketing through the use of corporate records.By applying this to public corporations, the company hypothesized that history marketing through public corporation public relations centers symbolizes corporate identity and corporate culture, and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enhancing brand image. Accordingly, we would like to prove this hypothesis by measuring the performance of history marketing using the records currently being conducted by public relations centers. In order to encourage public enterprise records management to continue to be managed and maintained without ending as a single event, we would like to find the meaning of this study to promote domestic public records management by shifting awareness of public records to important knowledge information resources. As a research method, we will identify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history marketing, record management of state-run companies, an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brand images and examine their effects. Next, hypothesis verification based on research purposes and model settings will be conducted through surveys, and the survey will be conducted in two ways: a status survey and a survey. First, the current status survey of public corporations' online public relations centers selected history marketing cases of public corporations established in Korea, referring to the "2019 Government-affiliated Public Institutions and University Records Management." Second, the survey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web evaluation criteria, which conducted an online survey on brand image after evaluating public enterprise web records services through the pre-studied web demographics service evaluation criteria element. Surveys show that communication domains in common in five institutions have a positive impact on brand image. Next, search and interface areas in Korea District Heating Corporation, content areas in Korea Mineral Resources Corporation and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search areas in Korea Coal Corporation, and communication in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positively affect brand image. It is thought that independent variables have a different positive impact on the brand image depending on the aspect of web demographics provided by each institution without a certain standard and the experience and background knowledge of the respondent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proving that history marketing strategies using corporate records are effective in enhancing brand image. So far, history marketing of state-run companies is part of history marketing of overseas corporate archives, but active support is needed to utilize corporate records that contain corporate identity and culture, and there should b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building public archives and corporate records management. 기록관리 패러다임이 기록물의 보존중심에서 활용중심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현재 기업기록물 관리에 관한 연구는 기록물관리 방안에 대한 다양한 연구로 이루어지고 있지만 기록물의 활용 측면에서 매우 미비한 상태이다. 뉴미디어 매체의 급속한 발전과 연계하여 기업 환경은 하루가 다르게 변화되고, 소비자의 욕구 또한 다양화하여 적극적인 마케팅 홍보 활동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며, 또한 고객으로 하여금 기업에 대한 존경과 신뢰, 충성도를 높이는 기업 이미지와 브랜드 가치 창출 등 기업명성 형성이 중요하다. 기록 관리의 패러다임 변화, 기업 간 경쟁 심화, 기업 이미지와 브랜드 가치 창출의 필요성 등 이러한 상황에서 공기업 아카이브를 운영하려면 아카이브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편익이 높아야한다. 이런 이윤 창출과 직결시키기 위해 기업이 상품, 서비스 또는 기업 자체를 마케팅 하듯이 아카이빙 대상의 역사와 기록을 마케팅 관점에서 세상에 알리고 서비스한다면 기업은 기록 관리와 아카이브 운영 목적을 설명하기 쉬울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사기업에서 나타나는 기업성과 행정기관에서 나타나는 공공성을 모두 갖고 있는 공기업에서도 히스토리마케팅 관점에서의 아카이브와 기록정보서비스를 통해 기업 브랜드 이미지 창출의 효과를 볼 수 있는가를 증명하는 것이다. 이전 연구들에서는 기업 기록의 활용을 통한 히스토리마케팅 효과와 사례를 제시 하였다.본고에서는 이를 공기업에 적용하여, 공기업 홍보관을 통한 히스토리마케팅이 기업 정체성 및 기업 문화를 상징화하며, 브랜드 이미지 제고에 긍정적인 효과를 줄 수 있다는 가설을 세웠다. 이에 따라서 현재 공기업 홍보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기록을 활용한 히스토리마케팅의 성과 측정을 통해 이러한 가설을 증명해보자 한다. 공기업의 기록관리가 단발성 이벤트로 끝나지 않고 지속적으로 관리 및 유지되도록 독려하기 위해, 공기업 기록에 대한 인식을 중요 지식 정보 자원으로 전환하고, 히스토리마케팅 관점에서의 다양한 기록물 활용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국내 공기업 기록관리의 활성화를 촉진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를 찾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이론적 배경인 히스토리마케팅과 공기업, 공기업 기록 관리, 브랜드 이미지의 개념과 특성을 파악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겠다. 다음으로 연구목적과 모형설정에 따른 가설 검증은 조사를 통해 실시되며, 조사는 2가지로 현황조사, 설문조사 두 가지 방법으로 진행된다. 첫째, 연구대상의 공기업 온라인 홍보관의 현황조사는 국가기록원 ‘2019년 정부산하공공기관 및 대학 기록 관리 중점 추진사항’을 참고하여 국내의 설립된 공기업 홍보관 히스토리마케팅 사례를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둘째, 설문조사는 웹 평가 기준에 따라 실시하게 되는데 본고에서는 선행 연구되어 왔던 기록관 웹 기록정보서비스 평가 기준요소 통해 공기업 웹 기록정보서비스를 평가한 후의 브랜드 이미지에 관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5개의 기관에서 공통적으로 커뮤니케이션 영역이 브랜드 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한국지역난방공사에서는 검색과 인터페이스 영역, 한국광물자원공사와 한국수자원공사에서는 콘텐츠 영역, 대한석탄공사에서는 검색영역,커뮤니케이션 한국도로공사에서는 커뮤니케이션이 브랜드 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기관에서 제공하는 웹 기록정보서비스가 일정한 기준이 없이 제공되는 면과 응답하는 사람들의 경험과 배경지식에 따라서 독립변수들이 브랜드 이미지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부분이 각자 다르게 나왔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는 기업 기록을 활용한 히스토리마케팅 전략이 브랜드 이미지 제고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증명하는데 그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아직까지는 현재 공기업의 히스토리마케팅은 해외 기업 아카이브의 히스토리마케팅의 일부를 시행하고 있지만 기업의 정체성과 문화를 포함하고 있는 기업 기록을 활용하는 것에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며, 공기업 아카이브 구축과 기업 기록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자각이 있어야 할 것이다.

      • Image training이 競泳選手의 記錄에 미치는 效果

        강경택 建國大學校 敎育大學院 1984 국내석사

        RANK : 199455

        The objects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mage training on the swimmer's reocrds. For this purpose, I had given image traning to the students who registered in Korea's swimming association and major in swimming at Seoul .physical education high school. Twenty studen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I gave each group training a five times a week during eight weeks. and then compared the results of the training. I made the control group perform physical practice only and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 image traingin in the middle of the practice and then made them perform physical practice during the rest of the schedule,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previous measurement values, but significant differance among measurement values with respect to afterward improvement between the two groups. This fact reveals that mixture of image training and physical practice can make us expect the effective improvement of records.

      • 디자인된 스코어, 스코어가 된 디자인 : 움직임을 상상하는 기호들

        이주현 서울시립대학교 디자인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99453

        스코어는 대상이 수행해야 할 동작과 행위, 위치와 경로, 박자와 타이밍을 기록한 것으로서 시각적 기호를 통해 정보와 메시지를 전달하는 매체이다. 즉, 지시사항을 기록하는 과정과 만들어진 스코어를 재해석하는 창작의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본 연구는 창작의 지침서 그리고 놀이나 규칙 등으로 불리는 스코어를 마주한 연구자의 경험을 디자인 작업에 녹여내는 과정과 그 결과물을 엮어서 펼쳐 놓은 배열이다. 연구자는 임의로 설정한 시간 안에서 발생할 사건의 구조를 조율하고 디자인한다. 이를 위해 과거부터 현재까지 안무가들의 스코어에 담긴 실험적인 시각 표현과 지시의 방식을 분석했다. 완성된 스코어는 해석을 기다린다. 누군가가 사건을 만들고 움직임과 소리를 낼 때까지. 스코어를 마주하는 이들은 나름대로 자신만의 규칙과 해석을 덧입은 채로 이 기다림의 시간을 상상할 수 있게 된다. 스코어를 통한 지시와 수행을 반복하며 디자인을 이어가는 것은 매번 다르게 행함을 상상하고 실천하는 과정임을 확인하고자 한다. A score is a recorded instruction of movement, action, location, path, rhythm, and timing that a subject should follow. It serves as a medium that conveys information and messages through visual signals. The process consists of recording instructions and translating scores into movements created by the subject. This thesis is the research which shows a series of processes where my experience of exploring scores, often referred to as guidebooks for creation, games, or rules, was rendered in design works. I organised and designed the structure of events that would happen during a particular time set by myself. For the research, I analysed experimental ways of visual expressions and instructions of choreographers from their scores written from fifteenth century to date. A fully written score waits for translation, by someone to break the silence and start making any movement and sound. People who are soon going to be watching the visualised score will wait for it with their own translation and imagination about the score. I aim to demonstrate that carrying on a design procedure based on a score is a job of following the instruction step by step, imagining how each result will turn out.

      • 일상적 기억에 관한 기록방식의 회화 표현 연구 : 상호적 기억을 이미지로 표현하는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이수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83134

        이 논문은 기억을 통한 기록적인 방식의 회화적 미술의 표현을 특징으로 하는 연구자의 작업을 미술사 및 현대미술에서 나타나는 기억을 토대로 한 기록적 방식의 미술의 흐름에서 구분해보며 맥락을 찾고 고찰하고자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철학자 앙리 베르그송(Henri-Louis Bergson, 1859~1941)의 기억 개념 및 기억의 분류와 체제, 기록방식 회화의 사례 분석, 기록방식 미술의 작가연구, 연구자 작품분석을 내용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자의 작업에서의 주요한 개념인 ‘기억’의 정의 및 분류에 대해 베르그송의 ‘기억’의 철학적 개념과 기억체계의 분류를 통해 정리해보았으며, 관련된 사례와 함께 로만 오팔카(Roman Opalka, 1931~2011), 온 카와라(On Kawara, 1932~2014), 소피 칼(Sophie Calle, 1953~ ), 바이런 킴(Byron Kim, 1961~ )등의 작가들의 작품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연구자의 작업은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수집된 기억의 기록을 회화적 기록형식의 작업으로 표현하였는데 이것은 사적인 기억들을 예술적으로 표현함으로써 공적으로 객관화시키며 미술적으로 보존하려고 한 것이다. 텍스트와 결합한 연구자의 작업을 기억 개념의 철학적 논의와 기록방식 미술에서의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근거를 찾고 분석해보며 미술사와 현대미술에서의 연결점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자의 기록방식 회화의 특성을 <마음조각들> 시리즈, <Weather story> 시리즈, <Memories> 시리즈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는데, 우선 <마음조각들> 시리즈에서는 앙리 베르그송의 기억 개념 및 시간성에 대한 이론을 연구자의 작업에서 나타나는 이미지 기억 및 기억에서의 시간성을 통해 의미를 구분하였다. 그리고 <Weather story> 시리즈에서는 베르그송의 시간성과 관련한 지속 이론을 통해 동질적 시간과 순수지속에 대해 연구자의 작품에 대입하여 분석하였으며, 마지막으로 <Memories> 시리즈에서는 상호적 기억의 기록 내용을 니꼴라 부리요(Nicolas Bourriaud, 1965~ )의 관계예술의 이론을 통해 연구자의 상호적 기억의 기록형식의 작품에 대입하여 비교하며 분석하여 보았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일상에서의 기억을 내재한 연구자의 기록방식의 회화 표현 작업을 미술사와 현대미술의 흐름에서의 구분 및 이를 분석하는 방법론을 제시하는 것에 연구에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separate the researcher's works, which are characterized by the expression of pictorial art in a documentary way through memory, from the flow of documentary style art based on memory which appears in art history and contemporary art, to examine and consider the context of the researcher's paintings. Accordingly, this research will review the concept of memory and classification and system of memory by philosopher Henri Bergson (1859~1941), analyze the cases of documentary paintings, investigate artists of documentary art, and analyze the researcher's works. The key concept in the researcher's works, 'memory' and its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were investigated through Bergson's philosophical concept of 'memory' and his classification of the memory system and through analyzing related cases and works of artists, such as Roman Opalka (1931~2011), On Kawara (1932~2014), Sophie Calle (1953~ ), and Byron Kim (1961~ ). Also, the researcher’s work expressed the records of memories collected through interaction with others in a pictorial record form, which is to objectify private memories by describing the personal memories artistically, publicly objectifying them, and preserving them in the art format. The researcher's work combined with the text was analyzed based on the philosophical discussion on the concept of memory and cases of documentary art, while its connection with art history and contemporary art was sought. The characteristics of documentary art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the <Pieces of heart> series, the <Weather story> series, and the <Memories> series. Among them, the <Pieces of heart> series divided the temporality and semantics that appear in the work of the researcher through Bergson's memory concept and persistency theory. In the <Weather story> series, homogeneous time and pure duration of Bergson's persistency theory related to his temporality were substituted to the researcher's work and then analyzed. In the <Memories> series, the record of mutual memories was substituted to the researcher's work based on Nicolas Bourriaud (1965~ )'s relational art theory and then analyzed. This paper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s a methodology to distinguish the researcher’s archival painting works bearing everyday memories from the art history, the flow of contemporary art, and the way to analyze it.

      • (A) legal feasibility study on mandatory installation of the Class A Air-born Image Recorder (AIR) with emphasis on privacy in cockpits

        정준식 韓國外國語大學校 政治行政言論大學院 2012 국내석사

        RANK : 150044

        지금까지 각국의 항공사고조사기관은 정확한 사고원인의 규명을 위해 영상자료의 필요성을 끊임없이 제기하였지만 조종사 및 항공사단체의 반대, 특히 프라이버시 문제로 인하여 조종실영상기록장치(Air-born Image Recorder, 이하 AIR) 설치규정의 마련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본 논문은 이러한 교착상태에 착안하여, 프라이버시권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권리가 어떻게 유보될 수 있는지를 분석하여 AIR의 의무적 설치에 관한 규정의 대한민국 내 입법가능성 및 타당성에대해 법률이론적 근거를 제공하기 위해 작성된 것이다. 논문은 우선 세계항공운송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국가들이 AIR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AIR관련 현행 국제규정은 그 공감대에 상응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여 AIR의 의무적 설치에 관한 입법추진에 정당성을 부여한다. 그 다음 단계로 논문은 입법단계에서 반대 측 주장의 핵심 논거가 될 조종사의 프라이버시권이 AIR 설치로 얻을 수 있는 공공의 이익에 의해 압도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한다. 이를 위해 논문은, 프라이버시권이 조각될 수 있는 명확하면서도 일반적인 법률적 원칙들을 도출하고, 이 원칙들을 AIR의 의무적 설치라는 개별적 사안에 적용했을 때의 합치여부를 밝힘으로써 결론에 이르는 연역적 논증방식을 취한다. 법률적 원칙들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조종실에서의 카메라설치에 관한 판례나 법률을 분석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관련 판례가 전무하므로 논문은 사안에 가장 근접한 '직장 내 영상감시'에 관한 주요 선진국의 판례와 관련법률로부터 원칙들을 도출한다. 물론 여기서의 '직장'이란 개념이 '조종실'에 대입될 수 있는지의 여부도 논문에서 확인한다. 논문은 프라이버시권이 압도될 수 있는 여러 법률원칙들 중 가장 주요한 것으로 '비례의 원칙'과 '합목적성 원칙'이 있음을 상기 언급한 판례와 법률들을 분석한 결과로서 정리해 낸다. 비례의 원칙은 수단이 목적달성에 유용한 것이어야 한다는 적합성의 원칙, 그리고 여러 수단가운데 최소침해를 가져오는 수단이어야 한다는 최소침해의 원칙을 포괄하는 것이다. 최소침해의 원칙은 그 수단이 다른 것으로 대체될 수 없는 것이어야 한다는 보충성의 원칙과도 상통하는 것이다. 따라서 AIR의 의무적 설치가 비례의 원칙에 의한 검증을 통과하려면 AIR이 목적달성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수단임을 입증해야 한다. 논문은 6개의 사고조사보고서를 분석하여 AIR만이 제공할 수 있는(기존의 CVR과 FDR이 제공할 수 없는) 증거자료를 예시하고, 항공사고의 유형과 소송관계 측면에서 AIR도입의 불가피성을 확인함으로써 이를 입증한다. 이어 논문은 '합목적성 원칙'의 검증을 위하여 우선 AIR 설치의 목적을 명확히 한 뒤, 이 목적이 유효하게 달성될 수 있음을 다른 교통수단의 예를 통해 밝힌다. AIR의 설치는 '(정확한 원인규명을 통한)사고의 재발방지와 안전의 확보'가 주 목적이며 관련자를 처벌하거나 책임의 소재를 가리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논문은 AIR이 후자의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도록 하는 법적 안전장치의 유무를 밝힌 뒤, 사고의 예방과 안전을 위한 자료가 AIR을 통해 어떻게 수집되고 활용될 수 있는지를 서울시 대중교통수단에 설치된 카메라의 효과성 분석을 통해 증명한다. 본 논문은 따라서, AIR이 프라이버시권의 압도에 필요한 주요 법률원칙들을 만족하므로 AIR의 의무적 설치에 관한 입법이 대한민국 내에서 법리상 실현 가능한 것임을 결론 내린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