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이승만정권기 실업교육진흥책의 추진과 그 성격

        김호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이승만정권기에 추진된 실업교육진흥책을 소재로 하여 남한의 교육건설 과정에서 강조된 교육을 통한 직업기술의 습득이 ‘국민’의 양성에 중요한 요소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것은 1950년대 공교육 체제의 형성 이후 발생한 급격한 교육기관의 팽창과 인문·진학 중심의 교육구조 정착이라는 ‘교육의 질적 저하’ 현상에 대응하여, 학교교육의 효용성을 제고하면서도 국가가 주도하여 경제발전에 필요한 근대화된 인적자원을 형성하려는 정책적 시도였다. 한국의 실업교육은 자본주의 경제체제의 발전과 함께, 넓게는 근대화 과정과 관련을 맺으며 전개되었다. 한말부터 실업교육은 경제적 실력양성운동의 일환으로서, 민족의 산업적 기초를 마련하는 주요한 교육적 방안으로 인식되었다. 일제는 식민지 교육의 연장선상에서 실업교육을 근로주의 이념의 보급을 위한 수단으로 이용하였고, 식민지 경제정책에 따라 실업교육이 좌우되는 모습을 띠었다. 그러나 일제하에서도 조선의 지식인, 교육자들은 실업교육이 민중의 생활수준 향상과 경제적 자립을 위한 교육적 방침이며 인문교육에 치중해왔던 ‘구교육’의 폐단을 시정하는 ‘신교육’으로 인식하였다. 이러한 실업교육에 대한 인식은 해방 이후로 이어져 새로운 교육체제 건설 과정에서도 실업교육 중점주의의 노선이 모색되었으며, 이를 통해 모든 국민이 ‘직업인’으로서 활동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 것에 교육의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초기 이승만 정권은 실업교육 중심의 교육운영 방침을 채택하였다. 문교부는 중등교육 과정에서 실업 과목을 강화하고 실업계 학교를 우선적으로 설립하고 지원하였다. 교육법 제정 당시 문교부 관료와 지식인, 교육자들은 향후 국가교육의 운영에 대해 다양한 논의를 전개하면서, 중등교육을 통한 직업기술의 습득이 학교교육의 중핵이 되어야 한다고 의견을 모았다. 신국가의 ‘국민’은 민족국가의 일원으로서 정체성을 함양하면서도 근대적 직업인으로서의 능력을 갖추어야 국가가 원하는 주체로서 거듭날 수 있다는 것이었다. 실업교육은 그러한 근대적 직업인을 양성하는 교육으로서 중요성을 각인시켜 나갔다. 그러나 곧이어 발발한 전쟁은 정상적인 공교육 체제의 운영을 어렵게 하였다. 교육재정의 빈곤 속에서 각 급 학교는 민간의 재정에 의해 유지되었으며, 교육기회의 개방이라는 조건을 맞아 당대의 교육열은 상급학교 진학을 통한 학력의 획득에 치중하였다. 이로 인해 발생한 무분별한 교육의 양적 팽창과 입시경쟁은 사회문제로 비화되었고, 당대의 지식인과 교육자들은 ‘교육의 질적 강화’ 라는 슬로건을 내세워 교육체제의 정상화를 모색하였다. 이는 학교교육이 이론과 지식 위주의 학습에서 벗어나 실제 사회의 생산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근로기술적 능력의 배양이 우선시되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생산인’이라는 주체의 창출은 산업재건이라는 국가적 과제에 기여하면서도 국민 개개인이 자본주의적 경제구조에서 ‘자활’할 수 있는 능력을 교육을 통해 배양하고자 한 당대의 근대적 주체 모색이었다. 한편 이승만정권은 1950년대 중반부터 자립경제의 달성을 위한 경제개발계획의 수립과 추진에 나섰다. 이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서는 국민 개개인의 생산증강과 기술부족의 문제가 해결되어야 했으며, 문교부는 1957년부터 ‘실업기술교육 5개년 계획’을 통해 각 급 학교의 ‘교육의 질적 강화’를 추진하고 각 산업분야에 소요되는 기술인력 양성을 추진하였다. ‘실업기술교육 5개년 계획’은 실업기술을 교육하는 중·고등교육 기관을 대상으로 하여 실험·실습 시설의 확보와 교원의 재교육에 초점이 맞추어진 실업교육진흥책이었다. 이러한 정책은 1950년대 중후반 경제개발논의가 활발해지는 가운데 경제개발에 필요한 기술인력의 확보문제가 부상하고, 교육이 국가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이 각 계에서 논의된 결과였다. 1957년부터 추진된 ‘실업기술교육 5개년 계획’은 당대의 생산적 주체의 양성이라는 교육의 목표와 경제개발에 필요한 기술인력의 확보, 이 두 가지 논리가 함께 결합된 정책적 산물이었다. 이승만 정권의 ‘실업기술교육 5개년 계획’은 한말부터 지속적으로 논의되어온 실업교육진흥을 통한 산업발전의 구상이 비로소 실천에 옮겨지는 것이었다. 국민 개개인에게 근대적 산업기술을 습득시켜 국가의 산업진흥을 도모하고, 인문·진학 중심의 교육관습을 시정하겠다는 의지의 표명이었다. 이는 나아가 인문중시·기술천시로 대표되는 봉건적 士農工商의 계층적 직업관을 타파하고, 기술진흥과 생산증강에 기여할 수 있는 근대적 주체를 국가가 적극적으로 양성한다는 의도가 내포된 것이었다. 이는 곧 교육을 통해 훈련받은 인적자원을 확보하고자 한 시도였으며, 1960년대 경제개발계획의 추진과 함께 본격화된 박정희 정권의 ‘인력개발’ 정책의 경험으로 계승되었다.

      • 제7차 교육과정에 대한 중학교 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노고만례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education changes started for growing the main actor of Korean society in the 21st century. We can say that among the changes,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is the representative deucation change. At the time that the critical pubilic opinion about the curriculum comes to the front, this study has a purpose on finding the way to maintain and manage the quality of a school education degree about the contents, the operations, and the given conditions of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degree of its practise on the real education field. The studying problems for accomplishing this purpose is as follows; First, how much of the teachers' recognition degree is on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and does the difference of recognition happen by the difference of their background factors like the education experience, the working place, the number of students per a class, and the numbers of studying on the curriculum? Second, how much of the level of teachers' satisfaction is on the practise on the curriculum, and does the difference of recognition happen by the difference of their background factors? Third, is there any 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teachers' recognition on the curriculum and the level of their satisfaction about the practise of the curriculum? To solve these studying problems, the study examines the teachers' recognition degree on the curriculum and the satisfaction degree on the practise degree, concentration on the teachers who teach the 7-8 grade students that the curriculum is applied. The result of analyzing the data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shows that teachers' recognition degree, their experience is under 11-20 years, is the highest, but their unsatisfaction degree is the highest. Second, the recognition degree of teachers, worked at countryside like Eup, Myeon region is higher than that of teachers who work in a city. And also the unsatisfaction degree of teachers in a countryside is higher than that of teachers in a city. Third, the study shows that the recognition degree of teachers who have about 21-30 students per classm is high, and on teachers' satisfaction degree on the practise of the curriculum, the unsatisfaction degree of teacher who have 31-40 students per class is high. Fourth, the recognition degree of teachers who a number of their study on the curriculum is over 5 times is the highest, and the unsatisfaction degree of teachers who have no experience about the study on the curriculum is the highest. Fifth, the relation between teachers recognition degree on the curriculum and the degree of practising the curriculum is low. The suggestion on the result from this study and the realizing point during the process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critical public opinion about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is getting higher. And at the time that the curriculum is turned away even teachers' face, we must present the plan to raise teachers' satisfaction degree on the curriculum. Second, we must figure out and improve the enough actual condition on how much we can practise the curriculum, and how much that the education on how by students' level, the common basic education process, the discretional cativity, and the centering education process on the option is a suitable for our educational circumstance. Third, the ducation process go through the process of development, diffusion, operation, and evaluation. In Korea,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process is the main stream, and the diffusion, the operation, and the evaluation of education process has become important things. But the operation of the education process that is suitable for our educational circumstance is also important study part. To practise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successfully, the study on the diffusion, the operation, and the evaluation of the education process will be enlarged.

      • 교원노동조합의 단체교섭 대상으로서의 교육과정.교육정책에 관한 연구

        이상규 서울교육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교원노조의 활동이 궁극적으로 교육을 통한 국가의 발전과 개인의 행복에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는 당위적 입장에서 교육정책·교육과정에 관한 사항이 단체교섭의 대상에 포함될 수 있는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교원노조의 발전을 위한 단체교섭의 대상은 교육활동과 교직의 특성을 어떻게 파악하느냐에 따라서 또는 노동조합의 성격이나 구조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헌법과 교원노조 관련법은 교원노조의 단체교섭 대상을 '근로조건' 또는 '경제적·사회적 지위향상에 관한 사항'으로 규정하고 있는 바, '근로조건' 이나 '경제적·사회적 지위향상에 관한 사항'은 해석하기에 따라 서로 다른 입장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교육과정·교육정책의 관련 사항이 당위적으로 단체교섭의 대상으로 포함될 수 있는가를 논의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위하여 먼저 단체교섭제도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이 필요하다. 여기에는 단체교섭제도의 의의, 기능, 방식, 노사협의제와의 관계 등 단체교섭의 대상을 다루기에 앞서 논의되어야 할 기본적인 내용들을 제시하였다. 교육활동과 교직의 특성은 교원노조의 단체교섭 대상을 논의하는데 기초가 되어야 한다. 교원의 단체교섭은 일정한 발전단계를 거치는 것으로 보고, 단체교섭의 발전단계를 협의단계, 성실교섭단계, 정책협상단계로 구분하여 각 단계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특히 최고 발전단계인 정책협상단계에서는 교육과정·교육정책의 관련 사항이 당위적으로 단체교섭의 대상이 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또 교원단체교섭의 성격과 기능을 전문직 참여의 관점, 교육권의 관점, 근로권의 관점, 교육운영의 관점에서 살펴보고 각 관점에서 교육과정·교육정책의 관련 사항의 단체교섭 대상으로의 필요성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는 비교법적인 연구로서 영국, 미국, 독일, 일본의 노사관계의 일반적 특징과 교원노조의 단체교섭의 대상을 알아보았다. 또 교원 단체교섭과 관련 있는 국제규범을 고찰하였다. 그리하여 각 국의 교원노조와 그 단체교섭 대상을 비교하고, 우리나라 교원노조의 단체교섭 대상을 논의하는데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교원노조의 실제적인 단체교섭의 대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2000학년도 '단체협약'을 분석하였다. 단체협약에는 학교운영과 관련한 사항이나 인사에 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기는 하나 전체적으로 단체교섭의 대상이 좁은 의미의 근무조건에 한정되어 있음을 밝혀내었다. 현행 법규는 교원노조의 단체교섭의 대상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규정하지 않았으며 '한정'하지도 않았다. 따라서 현행 법규에서 교육과정·교육정책과 관련된 사항도 단체협약의 대상이 될 수 있음을 주장하였다. 또 단체교섭이 교육활동의 특성을 반영하고, 교원의 전문성을 존중하고, 협조적 노사관계의 형성에 도움이 되도록 하기 위하여 교육과정·교육정책에 관한 사항은 노사가 공동으로 협의·결정해야 할 부분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구체적인 단체교섭 대상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학문적 논의와 함께 사회적 합의가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is showing whether "educational policy and curriculum" can be included in the area of teacher unions' collective bargaining, in view of contribution to "development of state" and "happiness of individual" ultimately. The subjects of collective bargaining may be different according how to define not only "educational activities & character of the teaching profession" but also "character & structure of labor union". Besides, case study of foreign teacher unions is useful in understanding that of Korea. In accordance with the constitution provision and the related laws of teacher unions, the subjects of the teacher unions' collective bargaining is defined "condition of labors" or "the issues of economical and social position improvement". But there could be various standpoints related to this definition according to interpretation way and "educational policy and curriculum" can be included in collective bargaining in one sense. For the discussion of this issue, It is necessary for this study to show general explanation of a system of collective bargaining. So, in this study, general explanations that should be discussed prior to "definition, formalities, relation of a system of labor and management and etc" in collective bargaining is presented. Subsequently, a comparison research about general features, a system and a subject of collective bargaining in England, United States, Germany and Japan is presented with International Rules research related to "collective bargaining of public educational personnel and staff". Eventually, this study is getting something suggestive in discussing the subjects of collective bargaining after clearing the subjects of that of each country. Activity and character of the teaching profession should be the basis in discussing the subjects of the teacher unions' collective bargaining. The growing stage of teacher unions' collective bargaining is classified and examined by "conference, sincere parley and policy negotiation stage" orderly, and the point that educational policy and curriculum must be included in the stage of policy negotiation is presented. In addition, the character and function of teacher unions' collective bargaining is studied by view of "participation right as a specialist, rights of teaching, labor and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the possibility of including educational curriculum and policy in the area of collective bargaining is studied accordingly by standpoints of each feature. The present collective agreement with educational organization of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unions, made in 2001, is analogized. That is good for knowing practical subjects of collective bargaining. Analysis showed that there is details in school administration or a heal education teaching a nurse-teacher but defined as "just meaning of labor condition in narrow sense" There may be some curriculum and educational policy issues which should be the subject of collective bargaining is presented even if this is not defined and confined in the present statutory regulations. Collective bargaining should reflect character of educational activities and respect an expert. In addition, it should help with a cooperative labor-management relation. Therefore there are some "educational policy and curriculum" issues which should be bargained with labor and management equally is this study conclusion base on the current of the times, in which participation in the right of management by labors is all the go in all over the world.

      • 생활 속 수학 원리를 적용한 미술과 수학 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윤주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수학 원리를 적용한 미술과 수학 통합교육 프로그램으로 미술이 갖는 교과 통합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미술과 수학의 원리에서 공통된 교집합을 찾아 미술에 적용하여 다양한 시각에서 바라볼 수 있고 창의적 사고력을 통해 표현력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을 두었다. 방대한 양의 지식의 홍수 속에서 살고 있는 현대 사회에서는 낱낱의 지식자체를 습득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다양한 지식을 융합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조할 수 있는 창의·융합 인재를 요구하고 있다. 생활 속에서 유기적으로 연결된 다양한 지식을 새롭게 창조하는 능력이 필요하지만 암기 위주의 수업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실생활과 연관된 내용을 적용한 수업을 효과적으로 지도하는 방법을 마련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2장에서는 수학 원리의 이해를 돕기 위해 수학 원리의 개념과 생활 속 수학 원리에 대해 알아보았다. 미술과 생활 속 수학의 통합교육 필요성을 분석하였다. 보다 객관적인 연구를 위한 근거자료로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교과서 미술문화 8종과 미술창작 4종에서 미술과 수학 통합 관련 단원을 분석하였다. 또한, 미술과 수학 통합교육의 실제 현장에서의 수업지도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서울, 경기, 충남, 대전 지역의 미술교사 16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다. 교과서 분석 결과 2009 개정 미술문화 7종과 미술창작 1종에서 수학과의 통합 관련 내용과 수학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와 접목하여 창의적으로 표현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보아 통합교육이 요구되고 있다. 현장에서는 미술과 수학의 통합교육은 이제 막 시작단계에 있다. 설문조사 결과 통합교육을 실행하고 있더라도 실제 현장에서는 동시에 두 과목을 전문성 있게 가르치는 것과 수업시수의 부족 등으로 어려움이 많아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제3장에서는 제2장에서 연구한 이론을 토대로 생활 속 수학 원리를 적용한 미술과 수학 통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수업에 적용하였다. 연구대상은 고등학생으로 선정하고 고등학생 발달단계와 미술표현 특성을 분석하여 이 시기의 학생들에게 수학과 미술의 통합교육의 필요성을 분석하였다. 생활 속 수학 원리를 적용한 미술과 프로그램 개발 근거로 수학 원리와 미술교육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고등학교 발달 단계와 고등학교 수준에 맞는 미술과 수학적 원리를 찾고 표현 영역을 중점적으로 디자인, 건축, 공예 4개의 통합교육 프로그램을 고안하였다. 프로그램은 수학적 원리를 이해하고 수학적 원리가 내재되어 있는 미술 작품을 감상하는 것에서 끝이 아니라 실생활에서 사용된 수학적 원리를 찾고 미술 작품에 적용하여 표현하므로 총체적 안목을 기르는 데 초점을 두었다. 수업 전과 후에 학생들에게 통합교육 프로그램 관련 설문지를 배포하여 기존의 전통적 미술수업과 수학과의 융·복합 미술 교육의 비교하고 통합교육의 교육적 효과를 도출하여 더 나은 수업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제 4장에서는 수학 원리를 적용한 미술과 수학 통합 프로그램을 적용한 사례를 분석하여 교육적 효과를 도출하였다. 그에 따른 교육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감상을 통한 수학 원리의 이해와 미술 표현력이 향상되었다. 둘째, 좌·우뇌의 균형감각의 능력이 향상 되었다. 셋째, 사고력 신장과 공간 지각력이 향상되었다. 넷째, 수학적 기초 지식 습득 및 미술과 수업 흥미도가 향상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교육적 효과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현장에서는 여건상 통합교육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더 나은 통합교육을 마련하고 학습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다양한 개선방안이 필요하다. 첫째, 통합교육에 대한 적극적인 태도와 이해가 필요하다. 둘째, 미술과 수학의 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신뢰도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셋째, 수학뿐만 아니라 타 교과와의 융·복합적 미술교육 방법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미술과 수학의 통합교육의 통해 창의적 사고력과 두 과목에 대한 흥미를 갖기 위해 학습자와 학교 상황을 고려하여 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seek for the possibility of subject integration of art with an integrated education program of art and math applying mathematical principles targeting high schoolers, and also to improve the diverse viewpoints and expressiveness through creative thinking by finding/applying the common intersections in art and mathematical principles. The modern society filled with a huge amount of knowledge, requires the creative/convergence talent who can create new value by converging diverse knowledges, rather than simply acquiring single knowledge itself. Even though it is needed to build up abilities to newly create diverse knowledges organically connected to living, still, the memorization-centered lesson is provide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effective instruction method applying contents related to real life was established. Chapter2 understood the concept of mathematical principles and daily mathematical principles. The necessity of integrated education between art and daily math was analyzed. As evidentiary materials for more objective research, the units related to integration between art and math in eight types of art culture and four types of art creation textbooks for high school based o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were analyzed. Also, in order to understand the actual instruction condition of integrated education between art and math in the actual field,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16 art teachers in Seoul, Gyeonggi, Chungnam, and Daejeon regions.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textbooks, the seven types of art culture and one type of art creation were composed for the creative expression by combining diverse areas, on top of math and contents related to integration with math, which shows demands for integrated education. In the field, the integrated education between art and math is in the early stage. In the survey results, the actual field has lots of difficulties in its active performance due to insufficient expertise in teaching both subjects and insufficient lesson hours. Based on the theory of Chapter2, Chapter3 developed/applied the integrated education program for art and math using daily mathematical principles to lesson.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artistic expression and developmental stage of high schoolers as targets of this study, the necessity of integrated education of art and math to students in this period was analyzed. As grounds for the development of art programs applying daily mathematical principles, the relation between mathematical principles and art subject was analyzed. By finding art and mathematical principles suitable for the developmental stage of high schoolers, total four integrated education programs including mainly expression, design, architecture, and crafts were designed. Exceeding the simple appreciation of art works containing mathematical principles, such programs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overall perspective by finding daily mathematical principles and then expressing by applying them to art works. It aimed to seek for better methods of lesson by comparing the existing traditional art lesson with convergence/complex art lesson with math and then drawing educational effects of the integrated education after distributing questionnaires related to the integrated education program to students before/after lesson. Chapter4 drew educational effects by analysing the integrated program of art and math applying mathematical principles. The educational effects are like following. First, through appreciation, the understanding of mathematical principles and artistic expressiveness were improved. Second, the sense of balance between right and left brains was improved. Third, the thinking skills and space perception were improved. Fourth, the acquisition of mathematical basic knowledge and interest in art lesson were improved. In spite of such educational effects, it is tough to provide the integrated education in the actual field. It would be necessary to have diverse improvement measures to solve this problem and also to establish better integrated education. First, it is necessary to have active attitude and understanding of integrated education. Second, it would be needed to develop integrated education programs of art and math and also to secure its reliability. Third, it would be required to establish the convergence/complex art education methods with other subjects on top of math. This study should be followed by continuous researches on measures to develop and vitalize integrated education programs considering conditions of students and schools to induce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interest in both subjects through the integrated education of art and math.

      • 授業의 두 側面 : 안과 밖

        김명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7

        최근 쏟아져 나오는 수업에 관한 정보들은 전통적인 방법으로 수업을 하는 교사들을 시대에 뒤떨어진 무능한 교사로 몰아부치면서 새로운 방법들을 마치 수업의 온갖 난점들을 해결해 주는 것인 양 선전한다. 그러나 이러한 정보들은 교육이 무엇인가에 대한 심각한 고민보다는 통념화되어 있는 교육의 문제를 부각시키는데 급급하기 마련이다. 따라서 교사들은 새로운 수업방법을 무심코 따라하기 전에 그 수업방법이 과연 교육 또는 수업에 대한 올바른 관점에 기초하고 있는 지부터 점검해 보지 않으면 안 된다. 수업은 오랜 세월 수많은 교사에 의해 이루어져 온 교육의 핵심으로써 우선 이해되지 않으면 안되는 것이다. 말하자면 수업은 한 두가지 새로운 방법들을 도입함으로써 손쉽게 바뀔 수 있는 그러한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교사는 새로운 방법으로 수업을 처방하고 개선하려 하기 전에 우선 자신의 수업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 것인가를 이해하는 일에 관심을 기울이지 않으면 안된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시작된 이 논문은 먼저 수업을 두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 첫 번째 측면은 수업의 외적 측면으로 수업을 이해하는데 있어 주로 수업의 바깥 또는 수업의 가시적 측면에 초점을 맞추는 것을 말한다. 즉, 형식화된 수업 모형에 관한 논의, 수업을 하나의 생존 전략으로 파악하는 교사의 모습에 대한 논의, 수업을 기계적인 원리에 적용시켜 파악하는 논의 등이 수업의 외적 측면을 부각시키는 논의라고 할 수 있다. 수업의 외적 측면을 부각시키는 사례로서 열린수업, 수업의 문화기술적 접근, 수업의 체제적 접근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두 번째 측면은 수업의 내적 측면으로서 수업의 외적 측면이 수업에서의 교사의 역할이나 교육내용의 중요성 이외의 것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었다면 내적 측면은 교육내용과 그것을 다루는 교사의 역할이 전면적으로 부각된다. 수업의 내적 측면을 부각시키는 사례로서 탐구수업, 간접전달, 강의와 학습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수업의 두 측면 즉, 외적 측면과 내적 측면은 각각 그 나름대로 수업을 설명하기 위한 방법이 될 수 있었다. 그러나 외적 측면 또는 내적 측면 그 한쪽 측면만으로는 수업이라는 복잡한 현상을 설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수업을 총체적인 현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수업의 두 측면을 동시에 고려하지 않으면 안된다. 수업의 내적 측면에서 볼 때 수업에 있어서 주가 되는 것은 교육내용과 그것을 가르치는 교사의 의도일 것이다. 그래서 교사가 그 교육내용을 얼마나 이해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것을 가르치는 교사의 교재 해석 방식이 중요한 관심의 대상이 될 수 있다. 그러나 교사는 자신이 하고 있는 수업이 어떤 일관된 체제로서 자신의 머리 속에 그려지지 않고서는 수업을 진행시킬 수가 없을 것이다. 즉, 교사는 수업의 관리자이면서 동시에 수업내용의 전달자가 되어야만 한다. 수업을 총체적으로 이해한다면 수업에는 나름대로의 절차가 있다는 것 또한 불가피하게 인정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그 일련의 절차를 구체적인 수업의 맥락 속에 도로 집어넣고 그것을 생생한 사고 과정 또는 의사 소통 과정으로 되살려 낼 수 있을 때 의미 있는 것이 될 수 있다는 점도 반드시 염두에 두지 않으면 안된다. 이렇게 수업의 안과 밖은 동시에 존중되어야 수업의 본래의 의미를 바르게 살려낼 수 있다. 수업의 안은 수업의 밖이 있기에 의미가 있는 것이고, 수업의 밖도 수업의 안이 있기에 의미가 있는 것이다. 수업의 안과 밖이라는 이 논문은 수업에 대한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시하는 것도 아니고, 수업을 새로운 관점에서 규정하는 것도 아닌 지금까지 존재해 왔던 수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이해하려는 시도에 불과하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가 나름대로 중요하게 여겨지는 것은 오늘날 수없이 쏟아지는 수업의 처방적 조치들이 교사의 관심을 수업의 '안' 즉, 수업의 내적 측면이 아닌 수업의 '밖' 즉, 외적 측면으로 기울어지게 하고 있음을 느꼈기 때문이다. 교사들이 수업의 안과 밖에 대한 균형 있는 이해를 하는데 이 논문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The information on teaching recently flooded has heavily blamed the teachers giving teaching in a conventional way as unable teachers falling behind the times, and made much propaganda of new methods like they solve all difficulties of teaching. However, these kinds information are bent on bringing out problem rather than serious worries about something in education. Accordingly, teachers have to check if the teaching method is based on a right viewpoint on teaching or education. Teaching has to be understood as the key of education which has been performed by numerous teachers for years. In other words, teaching is not such a thing as to be easily changed by introducing one or two new approaches. Thus, teachers have to pay attention to what meaning their own teaching have before prescribing and reforming teaching in a new manner. This study starting with this critical mind, inquire into two aspects of teaching. Its first aspect is the external one, meaning focusing on the apparent or visible aspect of teaching in understand it. That is to say, it can be said an argument to bring out the external aspect such as those of formalized teaching model, teacher's attitude regarding teaching as one of survival strategies, understanding teaching by applying it to mechanical principle. As the cases bringing out the external aspect of teaching, open teaching, ethnographic case approach, structural approach were discussed. The second aspect is the internal aspect of teaching, the external aspect of teaching can be said to focus on other things than the role of teachers and the importance of teaching contents, whereas the internal aspect overall bring out teaching contents and the role of teachers dealing with them. As the cases bringing out the internal aspect of education, inquiry teaching, indirect communication, lecture and study. The two aspects of teaching, that is, external and internal aspects could be the method to describe teaching in their own way. However, explaining the complicated phenomenon classed teaching only either external or internal aspect has a limit. For us to understand teaching on the whole we have to consider the two aspects of teaching at a time. From the standpoint of internal aspect, what is to be main thing in teaching will be teaching contents and the intention of the teacher teach them. Thus to what extent teachers have understood the teaching contents and the interpretation method of the teacher teach it can be an object of important concern. But teachers would not proceed teaching if they should not picture some coherent system of teaching they are performing in their head. That is, teachers should be the manager of teaching as well as the transmitter of teaching contents. If teaching is grasped as a whole, we have to inevitably recognize teaching has its won procedure. And we have to keep in mind teaching could be meaningful when we can put the serial procedures into the context of concrete teaching, and recall it in the vivid thinking or communicating process. Likewise, the innate meaning of teaching can be revived only after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eaching are respected simultaneously. The inside of teaching has its significance with the outside, on the contrary, the outside of teaching has its significance with the inside. This essay entitled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eaching does not present an idea on new teaching provide new viewpoint, but put in order the understanding perspective existed until now. But the reason why this classification is considered important in its own way was that their researcher felt that innumerably flooding perspective measures of teaching are bent on the outside of teaching, that is, external aspects rather than its inside, internal aspects. It is hoped that this essay would be some help in teachers balanced understanding o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eaching.

      • 中等學校 敎師의 敎育情報化에 대한 認識의 程度와 스트레스와의 關係

        강미경 공주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국문초록 中等學校 敎師의 敎育情報化에 대한 認識의 程度와 스트레스와의 關係 공주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교육과정 전공 강미경 본 연구에서는 중등학교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라 교육정보화에 대한 인식의 정도와 교육정보화에 대한 스트레스가 차이가 나는지를 알아보고 교육정보화에 대한 인식 수준에 따라 교육정보화가 주는 스트레스에 의의 있는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Ⅰ> 중등학교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라 교육정보화에 대한 인식의 정도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Ⅱ> 중등학교 교사 배경 변인에 따라 교육정보화가 주는 스트레스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Ⅲ> 중등학교 교사의 교육정보화에 대한 인식수준에 따라 교육정보화가 주는 스트레스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 <가설 Ⅰ>의 검증 : 중등학교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른 교육정보화에 대한 인식 정도는 교사의 배경 변인 중 정보화 업무 관련별, 정보화 연수 유형별 영역에서만 가설이 긍정되었다(p<.05) 나. <가설 Ⅱ>의 검증 : 중등학교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른 교육정보화에 대한 스트레스는 교사의 배경 변인 중학교 급별, 연령별, 정보화 업무 관련별,정보화 연수 유형별 영역에서 가설이 긍정되었다(p<.05). 다. <가설 Ⅲ>의 검증 : 중등학교 교사의 교육정보화에 대한 인식수준에 따라 교육정보화가 주는 스트레스는 가설이 긍정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의의 있는 차이를 보였다(p<.001). 중등학교 교사들의 배경 변인에 따른 교육정보화에 대한 인식도 조사에서는 학교 급별, 연령별에 따라서는 교육정보화 인식 정도의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정보화 업무를 담당한 교사와 정보화 연수 수준이 높은 교사일수록 교육정보화에 대한 인식이 더 긍정적이었다. 중등학교 교사들의 배경 변인에 따른 교육정보화에 대한 스트레스는 중학교 교사가 고등학교 교사보다 스트레스를 더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50대 이상의 교사들이 교수-학습 자료제작 정보화, 교육행정 정보화, 생활지도 정보화 영역에 대한 스트레스가 가장 높았다. 교육정보화 업무 관련별 스트레스 영역에서는 정보화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교사가 담당하지 않은 교사보다 스트레스를 적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화 연수 유형별 스트레스 영역에서는 연수 참여 경험이 많을수록 스트레스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교수-학습 정보화와 교수-학습 자료제작 정보화에 대한 스트레스 영역에서 의의 있는 차이를 보였다. 중등학교 교사의 교육정보화에 대한 인식수준에 따라 교육정보화가 주는 스트레스 차이는 교육정보화에 대한 인식수준이 높을수록 교육정보화에 대한 스트레스가 낮았으며, 교육정보화에 대한 인식수준이 낮을수록 교육정보화에 대한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정보화는 학교교육에서의 교수-학습과정 운영,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 및 활용, 교육행정 업무의 수행, 생활지도활동 등의 모든 분야에 발달된 정보통신기술의 활용이 가능하도록 교육현장을 급격하게 변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교육정보화에 따른 변화의 중심인 교사의 역할이 더욱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사회의 변화에 따라 교육이 변하고, 교육이 변화함에 따라 교사도 변화하여야 한다. 즉, 교사가 교육정보화에 대해 명확한 인식을 하며, 첨단의 정보통신기기의 활용 및 교육정보화에 대한 적극적인 수용 의지가 교육정보화 정책에 부응하게 될 때 교육정보화의 효과는 극대화될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가 교육정보화 정책 추진 과정에 던져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정보화에 대한 교사들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방법은 먼저 교육정보화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심어주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등학교 교사들의 교수-학습 방법 개선, 인터넷, 학교종합정보관리시스템 등의 교육행정 정보화에 대한 필요성, 활용 방법에 대한 명확한 인식 제고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교사들의 정보 기기활용 능력 함양과 교수-학습 방법의 정보화를 위하여 첨단의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교수-학습 모델 및 자료의 개발, 교육정보화 마인드 고취를 위한 활동을 전개해야 함과 더불어 교육정보화 시설 및 정보 시스템의 개발·보급이 선행되어야 한다. 셋째, 교사들의 교육정보화로 인한 스트레스 감소 및 교육정보화의 조기 정착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전문적인 전산 업무를 지원하는 전산 업무 전담관리 요원이 배치되어 교사가 본연의 교육활동에 전념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넷째, 교사들의 교육정보화에 대한 스트레스의 자발적·적극적인 감소를 보장하기 위해서 교사의 업무, 정보화 능력 수준에 따라 차별화 된 교육정보화 관련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활성화해야 한다. 또한 비교적 스트레스가 적은 것으로 나타난 교육행정 정보화나 생활지도 정보화에 관련한 연수 프로그램을 더욱 활성화하여 교육행정 정보화나 생활지도 정보화가 정착되도록 해야 한다. ABSTRAC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condary School Teachers' Cognition Grade and the Stress on the Information-oriented Education Kang, Mi-gyeong Major in Curriculum & Instruction Departmen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Kong Ju National University Chungnam Korea Supervised by prof. Han, Seung-rok, Ph.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condary school teachers' cognition grade and the stress on the information-oriented education , and to investigate their background variables that influence their cognition grade on the information-oriented education and the stress and to suggest to have quality improvement in information-oriented education. The following hypotheses were set up: <Hypothesis Ⅰ> There would be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gnition grade on the information-oriented education according to the secondary school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the different levels of school, the age bracket, taking charge of business on information-oriented education, the type of training on the information-oriented education). <Hypothesis Ⅱ> There would be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tress on the information-oriented education according to the secondary school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the different levels of school, the age bracket, taking charge of business on information-oriented education, the type of training on the information-oriented education). <Hypothesis Ⅲ> There would be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tress on the information-oriented education according to the secondary school teachers' cognition level on the information-oriented education. As a method of research, a survey was conducted with the questionnaires. The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Chungnam were selected. The questionnaires were given 310 the secondary school teachers. Only the 299 teachers' data among them except for the unavailable data were analyzed by SPSS/10.0 for Windows. According to the secondary school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One-way ANOVA were applied to test hypothesis Ⅰ and Ⅱ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the cognition grade and the stress on the information-oriented education.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condary school teachers' cognition grade and the stress on the information-oriented education , t-test were applied to test hypothesis Ⅲ.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as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gnition grade on the information-oriented education according to the taking charge of business on information-oriented education and the type of training on the information-oriented education. The teachers who take charge of business on information-oriented education are more affirmative cognition grade than the others. And the type of training on the information-oriented education, the teachers who have more training experience on the information-oriented education are more affirmative cognition grade than the others. 2. There was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tress on the information-oriented education according to the secondary school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As the regards the age bracket, the teachers in more than 50s had most stress on the stress on the information-oriented education. The teachers who take charge of business on information-oriented education had less stress than those who do not take charge of it. And the teachers who have more training experience on the information-oriented education had less stress than the others. 3. There was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tress on the information-oriented education according to the secondary school teachers' cognition level on the information-oriented education. Those who had more affirmative cognition grade had less stress of the information-oriented education, and those who had more negative cognition grade had more stress of it. In conclusion, the stress on the information-oriented education according to the secondary school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will be able to decrease by their more affirmative cognition. To further promote the information-oriented education, it is suggested to have quality improvement in information-oriented education and to establish information literacy network and training program.

      • 기반 역량(Foundation Competency)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 H사를 중심으로

        우성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역량 이론에 근거하여 설계된 기반 역량 교육 프로그램이 조직구성원의 행동변화에 따른 역량강화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하여 실증적인 연구를 통해 알아 보았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을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반 역량 교육프로그램 교육이수자와 미이수자간의 기반 역량의 내재화 정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한다. 둘째, 교육프로그램 이수자 집단내에서 동일한 교육을 받은 이수자라 하더라도 개인적 특성에 의해 학습내용의 내재화의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가설들을 설정하였다. 가설 1. 기반 역량 교육프로그램 교육이수자와 미이수자간의 역량의 내재화 정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2. 기반 역량 교육프로그램 교육이수자간에도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라 기반 역량의 내재화 정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 연구와 실증 연구를 병행하였고, 실증연구를 위해 H사의 조직구성원 중 본 교육과정을 수료한 교육 이수자와 교육 미이수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적인 유효표본 각각 104부 및 88부를 회수하여 그에 대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 기간은 2001년 10월 1일부터 10월 21일까지 20일이 소요되었고, 자료수집은 사내 전자우편과 물류 이동행랑을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PC+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적용된 주요 통계분석 방법으로는 T검증(t-test), 이원변량분석(two-way ANOVA) 등을 실시하였다. 위와 같은 실증분석 결과를 토대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반 역량 교육프로그램을 이수한 사원들이 교육프로그램을 이수하지 않은 사원들에 비해 고객지향, 성과중심, 창의적 행동, 기업가 정신, 책임감, 신뢰성, 팀윅 등 7개 역량 모두에서 각 역량의 이해도 및 내재화 정도가 높았다. 둘째, 교육 이수 여부와 직급에 따른 기반 역량의 내재화 정도 차이는 고객지향과 신뢰성을 제외한 성과중심, 창의적 행동, 기업가 정신, 책임감, 팀웍 등 5개 역량부분에서 직급과 교육프로그램과의 상호작용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 이수 여부와 직종에 따른 기반 역량의 내재화 정도 차이는 각 직종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및 결론에 따라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결과는 H사만을 대상으로 한 한정된 표본 대상의 선정 및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이 교육실시 전 ·후의 동일한 집단에 대해 이루어지지 못했다고 생각하는 바, 보다 일반화될 수 있는 검증 결과를 위해서는 다양한 기업, 조직, 계층 및 업종에 대해 반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결과 과장급 이상의 고급 관리자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교육 효과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 대리급 이하 사원들의 역량 내재화 정도를 높일 수 있는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직종의 경우에는 영업직과 관리직의 사원들에 비하여 생산직과 연구직 사원들의 기반 역량 내재화 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 바, 이들 직종의 사원들을 위한 기반 역량 강화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또한 교육이외의 다른 역량 내재화 방법의 검토도 필요하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기반 역량을 중심으로 한 교육프로그램의 조직구성원 행동 평가 즉, 3단계 평가까지만 연구가 진행되었다. 따라서 차후의 후속연구에서는 기반 역량 뿐만 아니라 직무 역량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도 진행되어야 할 것이며, 아울러 H사가 아닌 다양한 집단을 대상으로 이러한 연구가 진행된다면 진일보한 연구 결과를 얻을 것이다. This study was aimed at reviewing the effects of the foundation competency education program - which is designed based on the competency theories - on members' behavioral changes and reinstatement of their competency. To this end, the following study points were set up; First, the difference of internalized foundation competency between test group(who underwent the foundation competency education program) and control group (who did not undergo such a program) would be tested. Second, the difference of internalized foundation competency among test group members depending on their demographic variables would be tested. Accordingly, the following hypotheses were set ; Hypothesis 1. there would be a significant difference of internalized foundation competency between test and control groups. Hypothesis 2. there would be a significant difference of internalized foundation competency among test group members depending on their demographic variables. In order to test the above hypotheses, relevant literature was reviewed and thereupon,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survey, those employees of "H" company were sampled to be divided into test and control groups. The sample size for the test group was 104 (persons), while that for the control group was 88 (persons).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three weeks from October 1 to 21, 2001. The data were collected via in - company electronic mails and delivery service system. T he collected dat a were processed using the SPSS/PC+ program for T - test and two- way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the test group scored higher in terms of under standing and internalization than the control group in all the 7 areas : customer - oriented mentality, focus on performance, creative behavior, entrepreneur ship, responsibility, reliability and teamwork. Second, there was found a significant difference of education effects and their internalization between the two groups and depending on ranks in the 5 areas except customer - oriented mentality and reliability : focus on performance, creative behavior, entrepreneur ship, responsibility, and teamwork. After all,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n effect of interaction between ranks and education program. Third, there was a difference of internalized foundation competency between test and control groups and depending on the jobs.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put forwards ; First, since this study may be limited in that the sample size is limited and that a same group was not tested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 So,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followed up by future studies on diverse companies, organizations, ranks and business types in order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Second, since the effects of the education were higher in high ranking employees (department managers or above), it is deemed necessary to develop an education program to enhance the internalization of the educational effects for the lower ranking employees. Third, since it was found that the educational effects were less internalized for production and research personnels than marketing and managing personnel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for the former group, while exploring other ways to have them internalize the foundation competency. Fourth, since this study evaluated the organization members through three stages only based on their foundation competency, it is hoped that future studies will test the education programs for not only the foundation competency but also job competency, and at the same that they will encompass a wider range of companies and organizations.

      • 일본의 성교육에 대한 연구 : '인간과 성'교육연구협의회와 ピュアラブアライアンス(PLA)의 비교연구

        나오끼, 오오이께 선문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One of the most serious problems in the 21st century is the sexual problem, and the problem about AIDS is the biggest one among them. It has been a serious problem all over the world. In the developed counties, the number of the patients of AIDS is increasing due to the development of sexual industry, corruption of sexual ethics and morals. In the developing countries, the insufficiency in their educational and medical techniques has made it more serious. It was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that began a sexual education for the first time in the world. The United States also started the sexual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solving the social problems, especially sexual problems among teenagers. At first, scholars analyzed the cause of problems and concluded that it was because few teenagers has the correct knowledge for sex. So they gave them the knowledge education for sex, or the scientifical sexual education. Also in Japan, the real sexual education started since 1992 on the same assumption and process in America. Before 1992 in Japan, there was sexual education. Nonetheless, it was not the scientifical sexual education but the so-called "purity education," which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keeping one's own chastity. As many had come to call the purity education "behind the times," they promoted the scientifical sexual education. This was greatly encouraged because it was enforced with the education for AIDS. As the time passes, some has learned to point out the serious problems of its contents. Now two contrasting thoughts in the field of the sexual education exit in Japan. One kind of thought agrees with the purity education, the other kind of thought agrees with the scientifical sexual education like the one in the past United States of America. The former is supported by the Pure Love Movement(PLA), whereas the latter is supported by the Organization of 'Human and Sexual' education (OHS). Their opposition against each other comes from the difference in their opinion for sex and love. PLA says that there i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love and sex, and that God exists as its center. Because of it, if human beings break the rule of love and sex made by God, it makes all the harmony broken down. Therefore, as a matter of course, those who support PLA don't allow the existence of homosexual love, lesbian love and polygamy. They think that the sexual relationship should be between one husband and one wife and last for ever, and that the owner of one's genital is not oneself but one's spouse. In contrast, those who support OHS think that sex belongs to each person's privacy, and insists on regarding it as each person's right. Therefore, on the issue of when, where, and with whom a person should have sexual relations, nobody else has rights to say anything about it. In other words, they insists that there should be free sex. They also emphasize that there are sexual acts for pleasure, in addition to the sexual acts for reproduction. Their arguments about the sexual education is concerned with the conflict between atheism and theism. The relation between the two thoughts will never be harmonized like the relation between water and oil. We should realize that the original starting point of the sexual education was for solving the social and sexual problems among teenagers. We can tell which one is better in Japan by observing the result of the sexual education in America. The result of the scientifical sexual education in America shows us the following. It transformed America into a nation with a large number of AIDS patients and caused the rise in the number of single mothers and divorces, as well as in the rates of teenagers' conception and artificial abortion. As a result, some educators realized the failure of the past scientifical sexual education; now they have turned the direction of education to controlling the sexual desire, that is, abstinence education. Since the change in the direction of education, the serious problems among teenagers in each area in America has been getting better. Therefore, in Japan we have to choose abstinence education, that is, purity education. Nonetheless, if we choose to start again the purity education that took place in Japan before 1992, it will not be accepted. We need such a new purity education as PLA now insists--the one centering on true love. It will not be accepted because the purity education before 1992 tended to force only women to keep one's own chastity. The new purity education, however, should demand both men and women to keep one's own chastity for each partner. It should clearly show the value and purpose of sex and love.

      • 초등학교 사회과 가치교육의 목표요소 분석 및 교사의 인식 조사

        곽혜송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교수요목기부터 제 7차 교육과정기까지의 사회과 가치교육의 목표요소를 분석하여 그 경향을 살피고, 이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인식을 파악하여 사회과 가치교육의 목표요소를 설정하는 데 제반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가치교육의 목표요소를 분석하였고, 서울지역 초등학교 교사 320명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분석된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의 가치교육에서는 가치의 영역에 대한 명확한 방향 설정이 없다. 실제로 각 교육과정의 목표에서 제시하는 가치는 일정한 방향 없이 각각의 시대적 요청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사회과 내에서 어떤 가치를 대상으로 할 것인가 하는 가치 영역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둘째, 가치교육의 목표에서는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이것은 교사가 임의적으로 자신의 개인적 신념에 따라 교수할 가치를 선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교육과정을 개발할 때, 사회과교육학자, 교육과정 개발자, 현장 교사들이 학문적, 철학적 필요와 시대적 요구를 충분히 감안하여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목표요소를 개발해야 할 것이다. 셋째, 우리나라 가치교육의 목표요소는 국가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를 개인적 가치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강조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리고 민주적 가치 중에서도 개인의 의무와 책임을 더 중요하게 다루고 있었다. 인간은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사는 것과 동시에 개인 생활에서 자신의 삶을 성공적으로 영위해야 한다. 따라서 가치교육의 목표에서 그 요소를 설정할 때, 사회적 가치와 개인적 가치에 대한 적절하고 균형 있는 조화가 필요하다. 넷째, 가치교육의 목표요소에 있어서 교사들은 크게 민주적 가치, 공동체의 안정과 질서나 사회 속의 개인이 지켜야 할 의무와 관련되는 사회적 성향이 강한 가치, 자율성과 같은 개인적 성향이 강한 가치를 설정하였다. 앞으로 이를 보완하여 민주적 가치에 기초한 개인적 영역과 사회적 영역에 따른 목표요소를 개발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objective elements of values education in Social Studies, to identify the teachers'recognition about the objective elements of values education, and then to suggest the issues which facilitated the development of objective elements in values education. To test the hypothesis, literature related values education was reviewed and the survey was employed. The respondents were 320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worked in Seoul.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re was no concrete direction of values domain in values education. In fact, values in Social Studies curriculum depended on the conditions of epoch. Therefore, the discussion was needed to decide in the manner which values domain in Social Studies would be. Second, the objective of values education did not presented what students involved in Social Studies would be taught. That enforced teachers by themselves to choose the values for students to be taught. Therefore, when developing the curriculum of values education, all of Social Studies researchers and professors, curriculum developers, and teachers would participate in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curriculum and build the renewal program which is characterized by concrete and systematic objective elements. Third, our objective elements of values education relatively had the tendency to emphasize on more national and social values than personal values. And personal duty and responsibility in democratic values importantly had been dealt with by the values education. A person should successfully run his/her private life as well as civic life in society. Therefore, when deciding the objective elements of values education, the social and personal values should be harmonized to be their appropriateness and balance. Finally, teachers established democratic values, personal values as autonomy, and social values as security and order of community, duty which person should keep in community. In conclusion, to make better values education in Social Studies, the defects mentioned above should be complemented, and accordingly developed objective elements companied by personal and social aspects based on democratic values.

      •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다문화 관련 내용 분석 : 7차에서 2015개정 교육과정까지

        임재은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7차부터 2015 개정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과 그에 따른 교과서의 다문화 내용요소와 접근방식을 고찰하여,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에 담긴 ‘다문화교육’의 관점 및 내용 변화 흐름을 분석하는 것이다. 더불어 다문화교육 관련 성취기준을 사회과 교과서가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지 분석하여, 다문화교육의 목표, 내용, 활동 및 탐구방법, 자료제시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사회과 다문화 내용요소는 7차보다 2007개정에서 급격한 증가를 보였으며, 2007개정보다 2009개정 교육과정에서 균형감 있게 분석되었다. 2015개정 교육과정의 경우 문화의 다양성 인식과 태도의 측면에서 접근하였으나, 소수자 및 다문화 사회와 같은 다문화 요소가 명확하게 제시되지 않았다. 둘째, 초등 사회과에서 다문화교육을 어떻게 접근하였는지 다문화교육의 유형으로서 정리하자면, 2007개정에서는 ‘현상으로서의 다문화교육’과 ‘전략으로서의 다문화교육’의 경향이 보이며, 2009개정에서는 ‘규범으로서의 다문화교육’의 경향이 더 많이 분석되었다. 하지만 2015개정에서는 ‘전략으로서의 다문화교육’의 흐름을 강조하였다. 셋째, 사회과 교육과정에 드러난 다문화교육 제재 중 ‘다양한 문화’는 아직도 ‘나라 밖 문화 이해’에 대해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정체성 부분이 함께 다뤄짐을 알 수 있다. 넷째, ‘다문화가정’에 대한 내용은 교육과정이 개정될수록 많이 다뤄지고 있었으나, 교과서에서 다문화가정을 어려움의 측면에서 접근하여 사진, 삽화, 읽기자료까지 동남아시아 관련 다문화가정으로 표현하고 있었다. 다섯째, ‘소수자’와 관련된 내용은 7차에서는 보이지 않으나, 2007개정과 2009개정 모두 소수자의 정의와 어려움, 인권을 보호하기 위한 방법을 알아보는 흐름으로 서술되어 있다. 하지만 2015개정에서는 소수자라는 용어를 사용한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찾을 수 없다. 마지막으로, 교과서에서 다문화 내용과 관련된 자료에 나타난 외국인 주인공은 주로 백인이다. 이는 교과서가 오히려 백인에 대한 우호적 시각을 무의식적으로 길러줄 수 있어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초등 사회 교과서의 다문화 관련 내용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관련 내용요소가 늘어나고 ‘정체성’, ‘다원성’, ‘사회정의’가 균형 있게 분석되는 긍정적인 흐름이 이어져야 한다. 둘째, 다문화교육의 맥락이 ‘현상으로서의 다문화교육’과 ‘전략으로서의 다문화교육’의 접근보다 ‘규범으로서의 다문화교육’ 접근방식으로 나아가야 한다. 셋째, ‘다양한 문화’와 관련해서는 우리 안의 다문화적 사례를 더 다루어야 하며, 이 과정에서 전통문화를 강조하는 다수의 정체성에만 집중하는 것이 아닌 소수의 정체성에 대해서도 관심을 갖는 시각이 필요하다. 넷째, 다문화 가정을 표현하는 자료에서 동남아시아계 엄마와의 가족구성만이 아닌 여러 가지 경우의 다문화가정이 그려져야 한다. 다섯째, 소수자를 다루는 과정에 있어서 그들이 겪는 어려움의 측면에만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소수자가 우리 사회에서 긍정적으로 살아가는 보여주어야 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교과서의 전통문화를 체험하는 사진을 백인위주의 주인공에서 벗어나 다른 인종이 주인공이 된 사진도 제시되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