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가정폭력 노출경험과 파트너 통제가 데이트폭력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손연우 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최근 우리나라의 데이트 폭력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으며 심각한 사회문제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데이트 폭력은 친밀한 연인 간 발생하여 문제가 잘 드러나지 않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연구가 어려운 실정이며 주로 개인을 분석 단위로 한 연구들이 많아 연인의 쌍방 간 영향력을 보지 못했다는 제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성인 남녀커플을 대상으로, 가정폭력 노출경험이 데이트 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파트너 통제의 매개효과를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포함하여 탐색하였다. 연구 대상은 3개월 이상 교제중인 20대 남녀커플 총 139쌍으로, 커플 각자에게 가정폭력 노출경험, 데이트 폭력, 파트너 통제에 대한 자기보고 척도를 실시하였다.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자기-상대방 상호의존 모델(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을 사용하여 경로모형을 분석한 결과, 남성의 가정폭력 노출경험은 여성의 데이트 폭력 가해와 피해경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성의 파트너 통제를 매개로 남성의 데이트 폭력 가해와 피해경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여성의 가정폭력 노출경험은 남녀의 데이트 폭력 가해와 피해경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여성의 파트너 통제가 남녀의 데이트 폭력 가해와 피해에 직접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가정폭력 노출경험이 남녀의 데이트폭력에 서로 다른 영향을 미치며, 커플의 통제가 상호성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가정폭력 노출경험 여부를 알 수 없는 일반 커플을 대상으로 진행하였기 때문에 연구 결과를 가정폭력 노출경험이 있는 임상집단에 적용하기에 한계가 있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APIM을 사용하여 성인 남녀 커플을 단위로 데이트 폭력을 연구한 첫 번째 국내 연구로 커플 내에서 데이트 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체계적으로 연구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주요어 : 가정폭력 노출경험, 파트너 통제, 데이트 폭력, APIM Recently, the incidence of dating violence has been increasing and it has attracted attention as a serious social problem. However, since dating violence occurs between intimate couples, it is difficult to examined the problems, and there are limitations in that they have not seen the influence of the couple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mediating effect of partner control, including the Actor-effect and Partner-effect in the process of experience of exposure to family violence influencing on the dating viole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9 couples of men and women in 20s who have been in relationship for 3 months or longer and the self-report scale of experience of exposure to family violence, dating violence, and partner control was implemented for respective coupl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ath model using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the experience of men’s family violence exposure has a direct effect on the perpetration and victimization of dating violence of women and it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erpetration and victimization of dating violence of men through the partner control of men. On the other hand, the experience of women's exposure to family violenc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erpetration and victimization of dating violence in men and partner control has a direct effect on the perpetration and victimization of dating violence of men and women. Such a result shows that the experience of exposure to family violence would have mutually different influence to the dating violence of men and women and the partner control of the couples would have the reciprocity. This study is limited to applying to couples who have experience of family violence exposure because they have conducted general couples who have not been exposed to family violence exposure. Despite of such limitations, this study is the first domestic study of dating violence by adult male and female couples using APIM. also, It is meanigful that the variables affecting dating violence have been systematically studied. Key Words: Family Violence, Partner Control, Dating Violence, APIM

      • 가정폭력 노출경험이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

        조성순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급변하는 도시화로 인해 가족구조가 대가족에서 핵가족으로 변화되고 자녀를 한 명 이상은 출산하지 않는 사회현상이 나타나 청소년의 인구는 통계청(2012) 자료를 통해 전체인구 대비 2000년 24.5%에서 2010년 21.2%로 2020년에는 16.3%의 수준으로 감소될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사회적으로는 오히려 감소하는 청소년으로 인한 범죄가 더욱 다양해지고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청소년기는 자아정체성의 확립으로 자신과 다른 타인을 배려하는 관점을 가지고 또 다른 나를 발견하면서 육체적⋅정신적 성숙을 이루어 나가게 하는 원동력이 된다. 그러나, 최근 가정의 해체와 기능 상실로 부부 간의 직⋅간접적 폭력과 부모가 자녀에게 직⋅간접적인 폭력을 가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어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가정폭력은 가정을 해체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자녀들이 범죄자로 변질되어 가는 시작단계라는 것이 더욱 심각하다. 본 연구는 가정폭력 노출경험이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고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 비행의 사전예방과 감소를 위한 대안을 모색해보고자 했다. 연구는 경기도 안양시 소재의 S중학교에 재학중인 남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가정폭력 노출경험의 점수가 높을수록 청소년의 지위, 도피, 폭력, 재산, 성비행이 증가할 것으로 가설을 세워 검증한 바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청소년 비행에 전반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들의 학습 성적이 저조할수록, 한 달 평균 용돈이 많을수록 청소년 비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폭력 노출경험 중 부모 간의 신체폭력을 더 많이 경험한 청소년일수록 청소년 비행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부모가 자녀에게 가한 가정폭력 중에서는 방임이 상대적으로 높은 청소년 비행의 원인으로 나타났다. 방임은 사회 속에서 가정폭력의 범주에 포함되지 않고 있었으나, 오히려 그 부정적 영향력이 더 심각하게 나타나는 양상으로 흘러가고 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서 나타난 바와 같이, 부모의 방임은 자녀들의 전체 비행에 상당한 영향을 주고 방임의 심각성은 성적 비행에 다른 변인들보다 더 높은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이다. 성적 자아정체성을 확립해야 하는 청소년기에 부모로부터 제대로 된 교육을 받지 못하고 오랜 시간 노출된 가정폭력으로 인해 법과 사회규칙과 도덕적으로 옳고 지켜져야 한다는 신념이 약해지면서 반사회적 일탈행위를 하게 된다. 결과에서 제시된 것처럼, 학교 안에서 청소년들의 자아정체성 찾기를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실행의 필요성을 제안했으며, 가정폭력에 대한 부모의 교육 특히 방임에 대한 철저한 교육뿐만 아니라 사회제도적인 정책이 필요하다. 이렇듯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가정폭력의 요인 중 방임에 대한 조명은 이 연구의 의의라고 할 수 있겠다.

      • 가정폭력의 실태와 극복방안에 관한 연구 : 아내에 대한 폭력 중심으로

        박애경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3

        Domestic abuse destroys human dignity, menaces personal life, futhermore breaks family relationships, results in heredity and socialization of violence. it is a serious social problem that cannot be neglected. Home is very hard for a third party to intervene, As it a has special characteristic that it is revealed to outside, it repeats continuously and gets bigger. Home violence that is committed on women by men is not a home trivial but a social issue and so the society and the country should recognize domestic abuse as a serious crime and take legal action against it advanced societies and countries have much interest in basic human rights including the safety and pursuit of happiness of all its members. Since 1980, the concern about domestic abuse has increased in Korea. Abuse of wife was revealed and become a social problem in 1983 with the formal opening of the ‘Women's Telephone’ studies on legal steps against domestic violence in Korea were developed by related specialists, As a result of continuous public opinion making efforts, "Special law regarding prosecution against Domestic Violence" and "Law regarding Domestic Violence prevention and Victim protection" were legislated in December, 1997, Those two Laws are called "Domestic Violence prevention Law" and have been in force since the lst of July 1998. According to each kind of news casting and newspaper article, domestic Violence is increasing rapidly, and it is reaching levels, Wife abuse occupies large share in domestic violence, Society should not leave wife abuse as a domestic problem, but pay attention to it as a social problem. Consequently this study analyse what aid damaged women from home violence need, and what are problems in aid system for them and proposes the fundamental date for effective precautions and solving measures, cases in this study are collected from the woman Counseling Dialing 1366 which supplies professional counseling for home violence in other words, these studies prevent of home violence. To identify the status of wife abuse, materials of 'Korea women's Telephone 1366', 'Korea Health social Research', 'Ministry of women' and self research were used, Through various kinds of literature, existing theories on violence were investigated problems and countermeasures were identified base on the investigation. The status of wife abuse is as following issues were investigated : population of the abused, sociological factors and types, frequency and relationship between the married period and abused period, cause of abuse, responding method, refugee shelter, attitude after aroused the countermeasures of home violence Frist, centers or institutions are much needed for women care damaged in home violence. Second, mental hospital healing service and legal services are supplied for extremely damage women from home violence. third, in case of home violence crisis, damaged women must be given calling service and responsive service by sufficient helpers. 가정폭력은 인간의 존엄성을 파괴하고 개인의 생존을 위협하며 가족관계의 붕괴를 불러올 뿐 아니라 폭력이 세습화 되고 사회화되기 때문에 더 이상 방치해선 안 될 심각한 사회문제이다. 가정이라는 공간에서의 폭력은 은밀하게 행해지기 때문에 제3자의 개입이 어렵고 사회적인 문제로 노출되지 않는 특수한 성격을 지니고 있어 지속적으로 반복되고 그 강도가 점점 더 심화되는 경향이 있다. 가정에서의 폭력은 한 가정에서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전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제임으로 가정폭력을 심각한 범죄로 인식하고 적극적인 대책을 수립, 시행하는 국가와 사회가 구성원의 안정과 행복 추구라는 기본적인 인권보호에 힘을 기울이는 복지국가요, 복지 사회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가정폭력은 1980년대에 이르러서야 주목받기 시작했다. 아내학대의 문제는 1983년 여성의 전화가 개통되어 피해여성들이 드러나게 되어 사회문제로 대두되었다. 그 후 우리나라의 아내폭력에 대한 법적 대응의 연구는 여성 및 가족문제를 상담하는 관련 전문단체들을 중심으로 꾸준히 전개되어 왔으며, 지속적인 여론화 작업으로 1997년 12월 “가정폭력 처벌 등에 관한 특별보호” 과 “가정폭력 방지 및 피해자 보호 등에 관한 법”이 제정되어, 이 두 법을 총칭으로 “가정폭력 방지법”이 1998년 7월 1일 시행되어 실시하고 있다. 각종 뉴스보도와 신문기사에 가정에서의 폭력이 갈수록 급증하여 위험수위를 넘어서고 있다고 한다. 그 중에서도 아내학대가 가장 큰 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매년 증가하는 아내학대가 가정의 문제로 국한되어 방치되기 보다는 사회문제로서 사회적 관심과 대책이 절실히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아내폭력 피해 여성들이 어떠한 도움을 필요로 하며, 지원체계의 문제점은 무엇인지를 분석하여 아내폭력의 효과적인 예방과 해결책 마련의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아내폭력 전문기관인 여성전화 1366의 상담내용을 분석하였다. 다시 말해 본 연구는 아내폭력 방지에 관한 연구로서 아내학대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한국여성의전화’,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여성가족부’ 등에서 실시한 통계자료와 자체설문을 이용하였으며 각종 문헌을 통하여 기존의 아내폭력에 대한 이론을 검토하고 그에 대한 문제점을 살펴보고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아내폭력의 실태에 있어서는 학대의 인구, 사회학적 요인과 유형, 발생빈도와 경험, 결혼기간, 학대의 발생이유 대응방식, 피하는 곳, 학대 후 심리적 ․ 정신적 증상, 학대 후 남편의 태도와 학대가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아내폭력의 개선방안으로는 첫째, 아내폭력으로 피해당한 여성이 보호받을 수 있는 기관이 필요하다. 둘째, 아내폭력으로 인하여 극도로 불안한 피해여성이 정신과 병원치료 및 법률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다. 셋째, 아내폭력의 위기에 처했을 때 언제든지 전화로 도움을 청할 수 있는 충분한 인력을 확충하여 피해자가 제때에 서비스를 공급받을 수 있게 한다.

      • 가정폭력경험 청소년의 학교폭력과 보호요인에 관한 연구

        이신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교폭력의 심각성을 전제하면서 청소년 학교폭력의 위험에 가장 취약한 상태로 노출되어 있다고 할 수 있는 가정폭력경험 청소년에 주목하였다. 그러나, 최근의 몇몇 연구는 가정폭력이 청소년 자녀의 학교폭력 조성의 한 원인이 될 수 있지만 사회적지지, 건전한 양육방식 등의 매개변인으로 충분히 중재가 가능하다는 고무적인 견해를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가정폭력경험 청소년의 학교폭력뿐만 아니라 학교폭력을 중재할 가능성이 있는 보호요인에 대해서도 초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가정폭력경험 정도 및 학교폭력 정도를 살펴보고, 청소년의 가정폭력경험이 학교폭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며, 청소년의 학교폭력을 중재한다고 보고되고 있는 보호요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학교폭력으로 귀인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 가정폭력경험 청소년들의 학교적응을 돕는 사회복지적 실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 있어서 종속변수는 학교폭력으로서 강제심부름, 금품갈취, 물리적 폭력, 폭언, 협박이나 위협, 따돌림의 6가지 유형을 포함하여 정의하였다. 그리고 종속변수인 학교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가정폭력경험 및 개인내적 보호요인, 대인관계적 보호요인, 사회환경적 보호요인을 독립변수로 선정하였다. 가정폭력경험은 부부폭력 목격경험과 부모로부터의 자녀학대 경험으로 구성되었으며, 개인내적 보호요인은 자긍심과 내적통제력으로, 대인관계적 보호요인은 부모와의 관계와 사회적 지지로, 사회환경적 보호요인은 '학교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교과 외 활동 참여도로 정의되었다. 즉, 청소년의 가정폭력경험이 학교폭력에 주는 영향력을 확인하고 가정폭력경험 청소년만을 대상으로 그들이 가지고 있는 자긍심, 내적통제력, 부모와의 관계, 사회적지지, '학교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교과 외 활동 참여도가 학교폭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보호요인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지역에 위치한 중학교 재학생을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였다. 먼저,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설문지를 중학생에게 맞도록 수정·보완하였고, 2002년 10월 21일부터 2002년 11월 4일까지 서울의 4개 권역별로 1개 학교씩 임의표집하여 학년별로 1개반 씩 조사하여 총 412명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총 412부 중 분석에 적절하지 않은 31부를 제외하여 총 381부를 분석에 사용하였고, 분석에서 얻은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가정폭력경험정도를 살펴본 결과, 아내폭력은 전체의 58.8%, 남편폭력은 전체의 45.0%의 청소년이 목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父)로부터의 자녀는 전체의 62.7%, 모(母)로부터의 자녀학대는 60.6%의 청소년이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부폭력의 경우에는 2명중 1명이 부부폭력을 목격한 정도이고, 자녀학대의 경우에는 3명 중 2명이 경험한 정도로서 청소년의 가정폭력경험정도는 매우 높은 편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학교폭력은 전체 대상 청소년 383명 중 54.9%에 해당하는 209명이 어떤 유형의 학교폭력이든지 행사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폭력의 유형 중에서 남녀 청소년 모두 가장 높은 발생률을 보인 것은 폭언이었고, 그 다음으로는 물리적 폭력, 따돌림, 강제심부름, 협박이나 위협으로 나타났으며 금품갈취가 가장 낮은 발생률을 보였다. 그리고 따돌림을 제외한 강제심부름, 금품갈취, 물리적 폭력, 폭언 그리고 협박이나 위협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높은 발생률을 보였다. 셋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가정폭력경험 청소년의 학교폭력을 비교한 결과, 따돌림을 제외한 모든 학교폭력에서 남자 청소년이 여자 청소년보다 학교폭력을 더 많이 행사하며,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이 중학교 1학년 학생보다 강제심부름을 많이 강요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하위권 성적의 학생들이 상위권 성적의 학생들에 비하여 학교폭력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부폭력을 목격한 청소년들은 그렇지 않은 청소년보다 강제심부름과 따돌림 행동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로부터 자녀학대를 경험한 청소년들은 금품갈취와 협박이나 위협을 제외한 강제심부름, 물리적 폭력, 폭언, 따돌림에서 자녀학대를 경험하지 않은 청소년보다 많은 학교폭력을 함을 알 수 있었다. 넷째, 학교폭력 전체에 대해서 중복학대 경험집단이 자녀학대 경험집단, 그리고 부부폭력 목격집단에 비하여 학교폭력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청소년들이 가정폭력을 많이 경험할수록 학교폭력을 많이 함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다섯째, 학교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남자 청소년일수록, 부모로부터 자녀학대를 많이 경험할수록 학교폭력을 많이 하며. 보호요인과 관련해서는 내적통제력이 높을수록, 학교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학교폭력행동을 적게 하고, 반대로 교과 외 활동에 많이 참여할수록 학교폭력행동을 더 많이 함을 예측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연구자가 얻은 사회사업 임상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폭력의 상호 연관성과 중복발생을 고려하여 통합적인 가정폭력 서비스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가정폭력경험 청소년의 학교폭력행동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기 위해서는 가정폭력경험 정도가 높은 남자 청소년에 우선 개입하여야 한다. 셋째, 가정폭력경험 청소년을 대상으로 내적통제력 행상 프로그램이나 학교에 대한 인식 개선 프로그램 등을 제안한다. 넷째, 청소년의 교과 외 활동 참여도에 대해서 성인이 적절한 슈퍼비전을 줄 것을 제안한다. 이에 덧붙여 후속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는 CTS에 의한 가정폭력경험의 적정선을 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가정폭력경험 청소년들의 학교폭력 가해뿐만 아니라 피해의 측면에 대해서도 살펴보아야 한다. 셋째, 보호요인에 대한 이론적 검증과 관련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효과성을 검증해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가정폭력경험-부적응-학교폭력행동이라는 연결선상에서 살펴보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begins with the seriousness of adolescents' school violence and focuses on juvenile, having the experience of domestic violence, most vulnerably exposed to the danger of school violence. However, some recent studies have shown violence in family can be a cause of school violence caused from junior students experienced in family violence, but probably peacemaking is possible with social support and sound raising method. Their opinions are very inspiring. Thus this study highlight protective factors with the peacemaking possibility of school violence as well as school-associated violence by adolescents suffered from domestic violenc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Adolescents' domestic violence experience degrees as well as school violence degree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domestic violence on the adolescents' school-associated violence and to search protective factors that can arbitrate school violence. Therefore, the study will exhibit social work practice guidelines to help family violence experience adolescents to adapt themselves to their school lives. In this study, school-associated violence was defined as a dependent variable and it includes compelling errands, money carrying-off, physical violence, violent language, standover or threat, shunning. Experience in domestic violence and personal inside protective factor, interpersonal protective factor and social environmental protective factor are set to be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y affect to school-associated violence, the dependent variable. Family violence experience consists of watching violence between parents and abuse experience from parents and personal protector, interpersonal protector and social protector are defined as self-esteem and self-control, relationship with parents and social support, positive outlook about school and participating degree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respectively. Namely, protector verifying was tried through certifying influence of adolescents' family violence experience on school violence and checking the influence on school-associated violence from adolescents' self-esteem, self-control, relationship with parents, social support, positive outlook on school and participation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by studying junior students with the experience of domestic violence. In this study, study pollee are middle schoolers in Seoul. First, questionnaire was modified through preliminary research and randomly selected a school from 4 districts of Seoul respectively and surveyed one class for each school year. The research was done from Oct. 21st 2002 to Nov. 4th 2002 and the number of pollee amounts to 412. 31 questionnaires, invalid to study, were excluded and 381 withdrawn papers were used for analysis and the result is like following. First, proportion of family violence experience. 58.8% of students watched violence to wife from husband, 45.0% of them watched violence to husband from wife. Child abuse from father is 62.7% and 60.6% from mother. It shows one out of two witnessed violence between parents and two out of three experienced child abuse by estimate. Adolescents' experience degree of family-associated violence is very high. Second, 54.9%, 209 students from total 383 students, of students suffered from any kind of school-associated violence. Violent language shows the highest incidence both boy and girl students. And physical violence, shunning, compelling errands and threat followed violent language. All the incidence of school violence is higher from boys than from girls except shunning. Third, the result of comparing school violence from young students experienced in family violenc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All the incidence of school violence is higher from boys than from girls except shunning. Compelling errands happen more often in second year than in first year and low grade students do more school-associated violence than high grade students. Fourth, students who suffered from violence between parents shows favorites to compelling errands and shunning. Abused students from parents shows more incidence in compelling errands, physical violence, violent language, shunning except money extortion and threat than those who didn't experience in child abuse. Fifth, double experienced student group who suffered from violence between husband and wife and from child abuse does more violence than student group who only suffered one of them. This shows the more students experience in domestic violence, the more they do violence in school. Sixth, Through investigation on comparative influence between factors having influence on school violence, following results can be expected. From male adolescents and in case of more experience in abuse from parents appears higher incidence of school violence. And related to protective factors, high self-control and positive outlook on school lower the violence in school. On the contrary, more participation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higher school-associated violence. Through these results, following clinical proposals can be raised. First, comprehensive domestic violence service with consideration about bilateral relationship and duplicate happening of family violence. Second, to prevent family violence experienced students from school violence effectively, primary intervention to male adolescents having high family violence experience. Third, self-control improving program and revising program for school perception aimed at adolescents experienced family violence. Fourth adults' proper supervision to young students'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addition, followings are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y. First, it is necessary to set appropriate line of domestic violence experience proper to korean environment by CTS. Second, attention should be paid to home violence experienced students as victims as well as injurers of school violence. Third, theoretical verification on protective factors is necessary and related programs must be developed and studies for certifying their efficiency are needed. Fourth, follow-up studies have to be done through the flow of three consequences, experience of family violence - failure in adaption or maladjustment - committing violence in school.

      • 가정폭력이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송남두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가정에서 아동이 부모로부터 경험하거나 목격한 가정폭력이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부부폭력행동의 예방과 아동학대 예방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주도에 거주하고 있는 초등학생 5, 6학년을 대상으로 가정폭력 실태와 자아존중감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SPSS 프로그램에 의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아동의 성별과 부모의 학력수준에 따라 가정폭력실태는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 Ⅰ을 검증한 결과, 아동의 성별에 따라 아동들이 경험한 가정폭력은 차이가 있었는데, 남자 아동이 여자 아동보다 가정폭력을 더 많이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부모의 학력수준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아동의 성별과 부모의 학력수준에 따라 아동이 목격한 가정폭력은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 Ⅰ-2를 검증한 결과, 공격적 폭력과 신체적 폭력행동 목격에서만이 어머니의 학력수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어머니의 학력수준이 고졸인 아동이 중졸 이하와 대졸 이상의 아동보다 공격적이고 신체적 폭력행동을 더 많이 목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아동의 성별에 따라 아동들이 목격한 어떠한 가정폭력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Ⅱ를 검증한 결과, 아동이 경험한 가정폭력은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언어적, 공격적, 신체적 폭력행동 경험은 일반적 자아존중감, 가정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 학교 자아존중감, 전체 자아존중감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아동들은 가정 폭력행동을 많이 경험할수록 자아존중감은 낮아진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또한 언어적, 공격적, 신체적 폭력행동 목격은 일반적 자아존중감, 가정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 학교 자아존중감, 전체 자아존중감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아동들은 가정 폭력행동을 많이 목격할수록 자아존중감은 낮아진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가설 Ⅲ을 검증한 결과, 아동이 경험한 가정폭력이 목격한 가정폭력보다 모든 하위영역인 일반적 자아존중감, 가정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 학교 자아존중감에서 더 많은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연구 결과, 가정폭력은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가정폭력 중에서도 특히 언어적 폭력행동경험이 공격적 행동이나 신체적 폭력행동경험보다 자아존중감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정폭력 중에서는 아동들이 목격한 가정 폭력보다 직접으로 경험한 가정폭력이 아동들의 자아존중감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rve as a basis for preventing a married couple's violent behavior or child abuse, by finding out how children' s self-esteem was affected by violence that was done to themselves or seen by them at home. For attaining the purpose, the elementary school fifth- or sixth-grade students who were living in Cheju Island were surveyed regarding the reality of family violence and self-esteem.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program, and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below : First, as a result of testing Hypothesis Ⅰ that there would be a difference in family violence according to child gender and parent education level, the gender of the students investigated made a difference to family violence experienced by them. The boy children had more experienced family violence than the girl children. But parent's education level produced no difference. Next, as a result of examining Hypothesis I-2 that there would be a difference in family violence witnessed by child according to child gender and parent education level, mother's education level yielded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ir witnessing aggressive or physical violence. The children whose mother was a high school graduate were more aggressive and observed more physical violences than those whose mother just graduated from middle school or graduated from university or higher-grade school. But their gender didn't generate any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ir witnessing family violence in every area. As a result of testing Hypothesis Ⅱ, family violence experienced by the children gave negative impact on their self-esteem. The experience of verbal, aggressive or physical violence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al relationship with general, family, social, school and total self-esteem. This meant that more experience of family violence led to poorer self-esteem. Besides, witnessing verbal, aggressive or physical violence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general, family, social, school and total self-esteem. This implied that more witnessing of family violence resulted in lowering self-esteem. Finally, as a result of examining Hypothesis Ⅲ, family violence experienced by the children exercised more negative influence on every subarea of self-esteem, including general, family, social and school self-esteem, than family violence witnessed by them. The above-mentioned findings suggested that family violence had a negative impact on the children's self-esteem. Especially, their self-esteem was more affected by the experience of verbal violence than that of aggressive or physical violence. In addition, family violence experienced directly by them exerted more influence on their self-esteern than that witnessed by them.

      • 폭력가정에 있어서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의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

        박근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8703

        가정폭력은 피해자에게 신체적·정신적 상해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가족 구성원 모두에게 장기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특히 청소년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이 매우 심각하여 폭력가정에 있어서 청소년 자녀의 부적응 문제에 대처해야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부모의 자녀학대를 경험하거나 부부간의 폭력을 관찰하며 성장한 청소년 자녀는 여러 가지 심리·사회적인 부적응 문제를 지니게 되며, 이들은 부모의 폭력행위를 학습하여 다음 세대의 폭력의 가해자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알려져 왔다. 그러나, 폭력을 경험하거나 관찰한 청소년이 모두 부적응 행동을 보이거나 폭력의 가해자가 되지는 아니며, 몇 몇 매개요인이 폭력적 환경에 노출된 자녀들의 부적응 행동을 완화시킨다고 보고되어 왔는데 그 중의 하나가 사회적 지지이다. 사회복지는 개인을 사회체계의 맥락 안에서 보는 특징이 있으며 사회적 지지는 사회복지 실천에서 사용되는 중요한 기법의 하나로 알려져 왔다. 체계가 제공하는 사회적 지지가 개인의 기능을 향상시킨다는 사회지지체계론을 바탕으로 한 개입모델은 사회복지를 실천하는 효과적인 방법의 하나로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부적응 행동문제를 완화시키는 중요한 심리·사회적 변수로서의 사회적 지지가 폭력가정 청소년의 문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알아봄으로써 폭력가정 청소년의 문제에 개입하는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폭력가정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부모의 자녀학대, 부부폭력의 발생빈도 및 폭력가정의 특성을 살펴보았고, 이들 청소년 자녀의 부적응 행동 및 이들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도를 알아보았다. 또한 가정폭력이 청소년 자녀의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폭력가정에 있어서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의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 사회지지체계로는 부모, 형제 및 친척, 친구, 교사 등을 포함하였고, 부적응 행동으로는 사회적 위축, 과잉행동, 공격성, 강박성 등의 측면을 포함하였다. 또한 가정폭력의 유형으로는 부모의 언어적/신체적 학대, 부부간의 심리적/신체적 폭력 등을 포함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폭력가정의 청소년'으로 경기도 내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총 500명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서 그 가운데 폭력가정에 해당하는 218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시에는 SPSSWIN 6.2.1을 사용하여, 기술 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단계적 중다회귀분석 등의 방법으로 통계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정폭력이 폭력가정 청소년의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 가정폭력이 폭력가정 청소년의 부적응 행동에 대하여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먼저 가정폭력의 유형과 부적응 행동과의 단순상관관계를 살펴보았고, 부적응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폭력과 배경변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단계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단순상관관계 분석결과 아버지 학대의 경우 언어적 학대와 신체적 학대는 자녀의 공격성과 정적 상관인 있었고, 부모의 자녀학대 전체가 자녀의 공격성 및 강박성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아버지의 어머니에 대한 심리적 폭력은 자녀의 공격성 및 부적응 행동 전체와, 신체적 폭력은 공격성과 상관관계가 있었다. 어머니의 아버지에 대한 심리적 폭력은 자녀의 사회적 위축 및 공격성과 부적응 행동 전체와, 신체적 폭력은 자녀의 공격성, 사회적 위축, 강박성 및 부적응 행동 전체과 강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어머니의 아버지에 대한 신체적 폭력은 자녀의 과잉행동을 제외한 부적응 행동의 모든 영역과 강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가정폭력이 폭력가정 청소년의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배경변인을 통제하고 가정폭력 유형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아버지 폭력이 자녀의 사회적 위축, 공격성, 부적응 행동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어머니의 자녀학대는 과잉행동에, 아버지의 자녀학대는 자녀의 공격성, 강박성 및 전체 부적응 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사회적 지지가 폭력가정 청소년의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가 폭력가정 청소년의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배경변인을 통제하고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친구의 사회적 지지가 과잉행동과 공격성 및 전체 부적응 행동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강박성 및 부적응 행동 전체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적 위축을 제외한 부적응 행동의 모든 영역에 사회적 지지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부모나 형제, 친척의 사회적 지지는 폭력가정 청소년의 부적응 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친구, 교사의 지지가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사회복지사는 폭력가정 청소년의 부적응 문제를 다를 때 친구와 교사가 청소년에게 제공하는 사회적 지지를 향상 시키는 것이 중요한 측면임을 암시한다. 따라서 또래의 지지를 높여주기 위해 청소년들에게 '중요한 타인'의 개발이 필요하고, 교사의 지지를 높여주기 위한 한 방안으로 학교사회사업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부모 및 형제/친척이 제공하는 사회적 지지도는 폭력가정 청소년의 부적응 행동에 대하여 긍정적인 효과가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가정폭력의 문제를 다를 때 폭력을 행하는 부모가 제공하는 지지는 주의 깊게 다루어져야함을 암시한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연구대상자들은 부모로부터 언어적,신체적 학대를 당함과 동시에 이들로부터 많은 사회적 지지를 받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어머니의 경우 언어적, 신체적 학대의 빈도가 전반적으로 아버지보다 높았지만, 자녀는 어머니로부터 많은 지지를 받고 있다고 지각하고 있었는데 이는 청소년 자녀가 어머니의 학대와 애정을 일부분 동일시하고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자녀가 어머니의 학대를 '내가 잘못을 해서', '엄마가 나를 사랑하기 때문에' 등으로 이해하게 될 때 어머니로부터 받는 지지의 정도 또한 높게 인식할 수 있으나, 어머니의 학대가 자녀의 부적응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기존의 연구결과를 통해 볼 때 이 부분에 대한 심각성의 인식이 필요하다. '학대'의 개념에 대한 명확화 및 부모와 청소년들에 대한 교육·홍보작업을 통해 학대와 훈육적 체벌의 구분을 명확히 하는 작업의 필요성이 강조된다.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 내에서 부모로부터 학대를 경험하고, 부부폭력을 관찰한 청소년들의 입장에서 이들의 부적응 문제를 이해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부부간의 폭력이 청소년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을 밝혀냄으로써 부부간의 폭력 문제를 청소년 자녀의 입장에서 바라볼 수 있는 시각을 제공하였다. 또한 어머니의 아버지 폭력이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이 심각함을 보여주었으며, 이 중 대부분이 아버지와의 상호폭력임이 밝혀져 부부간의 상호폭력이 있는 가정의 문제의 심각성 및 이들 가정의 자녀에 대한 개입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둘째,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와 달리 가정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모의 자녀학대와 부부폭력을 동시에 분석하고 이들간의 관계 양상을 파악함으로써 폭력가정의 특성 및 역동을 발견할 수 있었다. 다시 말해 폭력가정의 역동성을 발견하여 다음 세대로 폭력이 전이되지 않도록 사회복지사사 개입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세째, 사회적 지지가 폭력가정 청소년의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할수 있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연구결과 폭력가정 청소년의 부적응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또래지지와 교사지지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이러한 지지가 가정 내 폭력으로 인해 정서 및 행동문제를 가지게 된 청소년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혀냄으로써 폭력가정 청소년에 대한 사회복지적 개입의 토대를 마련하는 근거를 제시하였다. 또한, 부모의 자녀학대를 경험하고 있는 청소년이 지각하는 부모의 지지정도 및 부적응 행동과의 관계를 밝혀냄으로써 부모의 자녀학대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역기능의 심각성을 보여주어 폭력가정 청소년에게 음성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특성을 이해하는 시각을 제공한 것도 큰 의의라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maladjustment of adolescent’s behaviors and take proper measures for helping adolescent in violent family. Family violences including parental abuse and marital violence bring adolescent physical and mental damages seriously. Adolescent who grew up in violent family shows diverse maladjustment of behaviors including the inclination of violence and they are easy to be offenders. That is, violence is transmitted to the next generation. The cycle of violence is the important cause of social crimes. But several studies show that adolescent in violent family do not always become offenders. Social supports plays a key role in mitigating maladjustment of adolescent’s behaviors. Social support system theory assumes that social support develops individual’s function and improves social adjustment capacity preventing him or her from being influenced adversely. Thus, social support provided by system is considered to influence maladjustment of adolescent’s behavior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maladjustment of adolescent’s behaviors in violent family. In Korea, the study has been continued separating parental abuse and marital violence. This made us understand parental abuse and marital violence separately, and we had trouble to understand family violence in the view of adolescent. But this study included parental abuse and marital violence at the same tim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18 high school students in violent family. Statistics were frequencies, percentile, Pearson’s r-coefficient, regression analysi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effects of family violence on maladjustment of adolescent’s behavior in violent family.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arental abuse and adolescent’s aggressive behavior. Also father’s psychological and physical violence against mother have relation to adolescent’s aggressiveness. Among many types of family violence, mother’s physical violence against father has the highest relation to maladjustment of adolescent’s behavior. In mother’s violence against father, 95% were mutual violence. The family which occurs mutual violence between mother and father has the worst influence on adolescent. 2.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maladjustment of adolescent’s behavior in violent family. Peer and teacher’s support has an effect on the maladjustment of adolescent’s behavior in violent family. This means that social worker had better improve peer and teacher’s support in managing adolescent in violent family. And it is suggested that social worker should develop ‘significant others’to improve peer’s support and the school social work is needed to improve teacher’s support In conclusion, social support provided by social support system is positively related to maladjustment of adolescent’s behavior in violent family, and particularly social support furnished by peer and teacher is expecte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other hands, parental support has no effect on the maladjustment of adolescent’s behavior in violent family. But adolescent perceive parental support in high degree although they are abused by parents. Social worker should pay attention to this point and should refer to this in intervening adolescent who grew up in violent family.

      • 청소년에 대한 가정폭력이 자아존중감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서영숙 순천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청소년은 가정을 통해 최초로 사회화의 기초를 배우며 성숙되어 가고 이들이 지니는 가치관, 행동양식 등은 가족구성원 중 특히 부모가 자녀의 동일시 대상이 된다. 가정폭력이 문제가 되는 가장 큰 이유는 학대받은 학생은 학대하는 부모가 된다는 폭력의 악순환과 가정폭력으로 인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낮아진다는 것과 학업에 흥미를 잃게 되어 학교폭력, 교실 내 붕괴, 잘못된 성 관계, 약물중독 등 사회문제로 확대되어 사회적 불안과 혼란을 초래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 연구는 청소년의 가정폭력, 자아존중감 및 학업성취도 정도를 살펴보고, 가정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자아존중감 및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조사하여 사회, 학교, 가정에서 청소년을 지도하는 기초자료로써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라남도 동부지역 중학교 6개교에서 성별, 학년, 거주지를 고려하여 40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된 자료는 SPSS Win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빈도, Pearson의 상관계수, Dummy변수를 이용한 사회인구통계학적변인에 관한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에 대한 가정폭력, 자아존중감 및 학업성취도의 정도를 살펴보았다. 청소년에 대한 가정폭력에서는 신체적 가정폭력과 공격적 가정폭력은 비교적 낮은 편으로 나타났으나, 언어적 가정폭력은 더 높게 나타났다.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을 알아보면, 가정에서의 자아존중감과 일반적인 자아존중감은 전체 자아존중감의 평균보다 높은 편이고, 사회에서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에서의 자아존중감은 전체 자아존중감의 평균보다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학업성취도는 대체로 보통보다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면 학년, 성적, 지역, 어머니 직업, 아버지 학력, 가정상황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학년이 높을 수록, 성적이 낮을수록, 농촌지역에서, 어머니 직업이 관리직이거나 전문직인 경우, 아버지학력이 전문대 이상인 경우, 가정상황이 부모와 함께 생활하지 않은 경우일수록 가정폭력이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본 결과 가정폭력, 학년, 성적, 아버지의 학력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가정폭력 중에서는 특히 언어적 가정폭력이 자아존중감 형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며, 학년은 높을수록, 성적은 낮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낮은 편으로 나타나는 한편, 아버지 학력은 전문대 이상일 경우에 자아존중감이 더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가정폭력, 학년, 성적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가정폭력 중 언어적 가정폭력이, 학년은 높을수록, 성적은 낮을수록 학업성취도가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Adolescents learn socializing in their homes first and grow up. For them, family members, especially parents, are the object of identification of values and behavioral pattern. Family violence is one of the graves social issues, because it causes a vicious circle that abused adolescents become abusive parents. Furthermore, the low self- esteem of adolescents that results from family violence makes them lose learning motivation, and this leads to greater social issues like school violence, classroom collapse, wrong sexual relations and drug poisoning, which all provoke social anxiety and confu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tensity of family violence adolescents experienced, their self-esteem and their academic achievement, to determine what factors affected family violence, self- esteem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ultimately to be of use for more successful adolescent guidance by society, school and hom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06 students from six middle schools in the eastern region of South Jeolla province, who wer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gender, school year and residential area. For data analysis, SPSS Win program was utilized. The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frequency and Pearson's were calculated, and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by demographic variables based on Dummy variable. The brief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below: First,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intensity of family violence, self- esteem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students investigated were more exposed to verbal family violence than physical and aggressive family violence. Regarding self-esteem, home and general self-esteems were higher, which was above the average total self- esteem, but social and school self-esteems were lower, which was below the average total self-esteem. Their academic achievement tended to be higher above the average. Second, school year, grades, geographic region, mother job, father academic standard and family circumstances were identified as the factors that gave a significant effects on family violence. The family violence was committed more when they were in the higher year, got worse grades, dwelled in rural area, had mothers with managerial or professional job, had fathers with junior college or higher education, and didn't live with parents together. Third, the factors that significantly affected self-esteem was family violence, school year, grades, and father academic standard. Those who were exposed more to verbal violence, in the higher year or got worse grades had lower self-esteem. The students whose fathers graduated from junior college or school of higher grade showed a tendency to have better self-esteem. Fourth, family violence, school year and grades exercis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academic achievement. Those who underwent more verbal family violence, were in the higher year, or got worse grades tended to have lower academic achievement.

      • 다문화가정의 부부 적응이 가정폭력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다시더르즈엥흐체첵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spouse adaptation on the domestic violence as well as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multicultural families living in western Gyeongnam, and to provide basic data on family intervention services to prevent domestic violence in multicultural famil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in variables are as follows: The average value of the independent variable ‘spouse adaptation’ measured by the 4 point likert scale is 2.28, indicating that the degree of spouse adaptation in the multicultural family is not so high. The average value of the dependent variable ‘domestic violence’ was 1.38, indicating that the level of domestic violence in multicultural families was not very high. The total value of social support was 8.58, and the average value of social support was 2.27, The size and contents of the social support of the subjects were acknowledged to some extent. Second, in order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domestic violence according to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t-test and ANOVA shows that marital status is at the significance level P<.001, job keeping or not and marriage style are at the significance level P<.01, country of origin is at the significance level P<.05,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value of domestic violence among the subgroups. However, sex, age group, education level, monthly income, marriage period, and in the number of childre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value of domestic violence among the subgroups(P>.05). Third, in order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major variables,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domestic violence and spouse adaptation(r=-.699), and domestic violence and social support contents(r=-.408) were negatively significant, while the correlation between spouse adaptation and social support contents(r=.52) was positively significant. Fourth, as a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on the effect of spouse adaptation on domestic violence according to the size of social support, model fit in Model 1 explained 49.2% of dependent variable ‘domestic violence’, the regression coefficient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 ‘spouse adaptation’ and the dependent variable ‘domestic violence’ was negatively significant(β=-.703). Next turn, in Model 2, where the independent variable ‘spouse adaptation’ and moderating variable ‘social support of size’ were applied, model fit showed 49.1% of dependent variable ‘domestic violence’, and independent variable ‘spouse adaptation’ had a negatively insignificant effect on dependent variable ‘domestic violence’(β =-.702), but the moderating variable ‘social support of size’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dependent variable ‘domestic violence’. Finally, in Model 3, where the independent variable ‘spouse adaptation’, moderating variable ‘social support of size’ and ‘interactions 1’ were applied, model fit showed 48.8% of the dependent variable ‘domestic violence’, and independent variable ‘spouse adaptation’ had a negatively insignificant effect on dependent variable ‘domestic violence’(β=-.699), but the moderating variable ‘social support of size’ and ‘interactions 1’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dependent variable ‘domestic violence’. Fifth, as a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on the effect of spouse adaptation on domestic violence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social support, model fit in Model 1 explained 48.2% of dependent variable ‘domestic violence’, the regression coefficient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 ‘spouse adaptation’ and the dependent variable ‘domestic violence’ was negatively significant(β=-.696). Next turn, in Model 2, where the independent variable ‘spouse adaptation’ and moderating variable ‘social support of contents’ were applied, model fit showed 48.3% of dependent variable ‘domestic violence’, and independent variable ‘spouse adaptation’ had a negatively insignificant effect on dependent variable ‘domestic violence’(β =-.660), but the moderating variable ‘social support of contents’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dependent variable ‘domestic violence’. Finally, in Model 3, where the independent variable ‘spouse adaptation’, moderating variable ‘social support of contents’ and ‘interactions 1’ were applied, model fit showed 49.0% of the dependent variable ‘domestic violence’, and independent variable ‘spouse adaptation’ had a negatively insignificant effect on dependent variable ‘domestic violence’(β =-.675), and also moderating variable ‘social support of contents’ had a negatively insignificant effect on dependent variable ‘domestic violence’(β =-.119), but ‘interactions 1’ had a positively insignificant effect on dependent variable ‘domestic violence’(β=.115)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the following social policy implications. First,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at the spouse adaptation has negative(-) influence on the domestic violence means that the higher the spouse adaptation, the less the risk of domestic violence, therefore that it is a way to prevent the domestic violence. In general, adaptation and violence are extreme concepts of human life, and violence itself must be eradicated, but the influence of violence is the task of restoration and adaptation. Because adaptation is the premise of changes in human life, marital relations are on a continuum of natural or artificial changes. Therefore, spouse adaptation is a necessary task to achieve a functional and satisfactory marital relationship, and is determined by the degree of mutual agreement, the marriage, and the tension between husband and wif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various programs for promoting various marital relations, and effective marital counseling to promote spouse adaptation. In addition, as can be seen in Table 4, in the case of victims exposed to domestic violence for reasons such as spousal personality, spouse drinking, cultural conflicts, economic problems, conflicts with marital status, children's issues, she shows behavioral tendency to avoid rather than to cope with situation. as this tendency inhibits the formation of adaptive relationships with spouses and, ultimately, lowers spouse adaptation, counseling and education for immigrant women in multicultural families exposed to domestic violence need to be provided. In particular, the issue of violence is a matter of human rights, which violates human dignity and the right to pursue happiness. Considering that most of the women are victims of violence in spousal violence, policy and measures should be taken at the social level for victims of violence against women. Despite the increasing awareness of gender equality in our society, the reason why spousal violence is higher than other developed countries are such as the patriarchal attitudes of men still present in our society and patriarchal norms that support male dominance, the dominance of power over male females, and it is common to treat spousal violence as a personal matter in the home rather than as a social issue. Second, moderating variable ‘social support of size and contents’ itself does not affect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variable ‘spouse adaptation’ and dependent variable ‘domestic violence’ as in Model 2, As in Model 3, due to the interaction between independent variable ‘spouse adaptation’ and moderating variable ‘social support of cont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moderating variable ‘social support of contents’ has negative(-) influence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variable ‘spouse adaptation’ and dependent variable ‘domestic violence’. It means that social support of contents is more important i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variable ‘spouse adaptation’ and dependent variable ‘domestic violence’ than social support of size. This is a way to "buffer" domestic violence in multicultural families as good social support of contents is provided. As a social being, human being has basic social needs that can be satisfied only through interaction with others, Human beings always interact with others and are supported by them to meet their needs. Social support as a coping mechanism functions as a buffer against stress. In fact, as women who maintain a social network show higher well-being than women who are isolated alone, Social support can directly enhance the functioning of abused women, and also women who maintain social networks can be provided with social support such as positive thinking, stability, and self-awareness. On the other hand, women who are isolated and isolated because their networks are weak are likely to be exposed to negative experiences. Therefore, in order to establish the social support networks of multicultural families closely, it is necessary to organize the network of local communities and establish a regular visiting system, and to ensure that they are not isolated from the community, there is a need to promote active interaction among members of the community through various programs. It is necessary to further activate and enhance the functions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such as Social Integration Program, Love Camp for Multicultural Families, Parent Educatio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terpretation & Translation Service, Human Rights Suspension Education, Hobby Classroom, Happiness Assistance Project, Multicultural Child Language Development Support Program. Despit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First, as this study is a result of questionnaire survey of 192 multicultural families living in western Gyeongn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itable to look at region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spouse adaptation, domestic violence and social support of multicultural families, but limit to the generalization of research results. Second, as this study is a cross-sectional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spouse adaptation, and domestic violence are potentially supported resul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horoughly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through the change in the passage of time. 본 연구는 서부경남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정을 대상으로 다문화가정의 부부 적응이 가정폭력에 미치는 영향은 물론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도 살펴보고, 이를 통해 다문화가정의 가정폭력을 예방하기 위한 가족개입서비스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의 가정폭력의 양상은 어떠한가? 둘째, 다문화가정의 부부 적응은 가정폭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사회적 지지는 다문화가정의 부부 적응과 가정폭력 간에 그 영향력을 조절하는가?

      • 가정폭력으로 인한 청소년비행의 억제 방안 연구

        김연주 한세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비행 청소년들의 가정폭력 경험과 비행의 관계를 중심으로 심층 면접을 실시하여 청소년비행을 억제하는 예방 방안을 목적으로 한다. 과거와 비교하면 점차 현대화된 사회로 접어든 현시점에서 청소년은 특정 연령층과 상관없이 지능화된 집단적 비행을 저지르고 청소년들 스스로 흉포화된 비행의 심각성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 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의 ‘청소년의 비행’은 청소년들이 하는 일탈 행동을 의미하며 넓은 의미에서 성인들의 ‘일반범죄’와 같은 의미로 사용하고, 가정폭력 경험이 청소년 비행의 원인으로 입증하기 전에 가정폭력의 유형과 실태와 이론적 배경, 선행연구를 분석하였다. 아울러 청소년의 비행 행동 경험을 둘러싼 다양한 가정적 배경과 청소년들의 가정폭력 학대 경험이 비행 행동에 어떤 의미가 있는지에 관해 연구 및 이해하고자 한다. 또한, 청소년들이 가정폭력 학대 경험 이후 느낀 감정과 행동에 대해서 심층 면접을 실시하여 탐구하고자 한다. 가정폭력은 가해자와 피해자가 가정의 한 공간에서 지내기 때문에 피해 경험이 장기간 지속할 가능성이 높다. 가정폭력 피해 경험과 심리적 증상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 다수의 연구결과에서 장기적인 학대 경험은 우울감과 자살 충동, 불안감, 대인관계에서의 공격성, 적대감 등 부정적 감정을 유발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비행 청소년의 가정 및 보호자와의 관계로, 청소년비행의 현실비행에 대한 적절한 연속 선상에서 억제 방안 하는 다음의 네 가지로 제언하고자 한다. 1) 정서적 학대에 대한 적절한 개입과 방안 2) 거시적 예방 및 치료의 접근 과제 3) 가정폭력 관련 가정에 대한 부모교육 4) 분노 감정을 조절하는 프로그램 개발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질적 연구방법인 심층 면접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을 통해 기존의 선행연구들이 제시한 바와 같이 가정폭력을 예방하고 삶의 만족도 높은 가정을 만들기 위한 발전 방안에 그 의미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질적 연구방법인 심층 면접을 사용함으로써 양적 연구에서 입증할만한 청소년 내면의 특성을 담은 정서적 학대에 대한 면밀한 연구를 수행하지 못한 한계점이 있다. This paper aims to prevent delinquency by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with delinquent children based on their experiences of domestic violence and the relationship of delinquency. As society is becoming more modern than it was in the past, teenagers commit intelligent collective flights regardless of their specific age and are unable to recognize the seriousness of the massacred flights themselves. Thus, 'delinquency' in this study means a departure from what teens do, using the broad meaning of the context of an adult 'generally violent crime' and a demonstration of domestic violence patterns in the prior analysis of patterns of delinquency It is also intended to study and understand the various family backgrounds surrounding the experience of delinquency in adolescents and what it means for teenagers to have had such experiences with domestic violence. In addition, the Commission intends to explore the feelings and behaviors teens felt after experiencing domestic violence abuse through in-depth interviews. Domestic violence is more likely to last for a long time because the perpetrators and victims stay in one place of the home. In a number of studies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omestic violence, harm to psychological symptoms, the long-term abuse experience has aroused negative feelings, including depression, suicidal thoughts, anxiety, aggression and hostility. In addition, in relation to the assumptions of the juvenile delinquents and their guardians, it is recommended that they be restrained on an appropriate continuous line of flight from the real world of teenage flight 1) Appropriate intervention and measures for emotional abuse 2) Access tasks for macroscopic prevention and treatment 3) Parents' education for domestic violence related households 4) Develop a program to control anger feelings In conclusion, this paper is very meaningful in that it attempts an in-depth interview,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Research suggests that this method of development is meaningful in preventing domestic violence and in creating a more satisfied-of-life assumption, as suggested by previous studies. However, this study has limits to close study on emotional abuse, with traits within the inner workings of adolescents documented in quantitative research, by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 가정폭력 관련 복지서비스 공급주체간 관계 유형의 변화에 관한 연구 : 정부와 한국여성의전화연합 간 관계를 중심으로

        이경혜 이화여자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48703

        사회복지서비스 공급의 주체로서 국가가 복지서비스에 대한 비용부담과 급여제공을 모두 담당하는 것에서 현대사회에서는 점차 국가가 민간비영리부문에 의해 제공되는 복지서비스에 대하여 비용을 지불하는 역할로 점증적으로 변화해 가고 있다. 국가의 직접적인 보호제공자로서의 역할의 축소되는 이러한 복지다원주의의 흐름 속에서 사회복지서비스급여의 전달주체와 재원조달에 있어서의 국가부문의 정부 조직과 민간부문의 비영리·비정부 조직(Non-Governmental Organizations)의 관계와 각 부문의 역할에 관한 논의가 활발하게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복지공급주체인 국가부문과 민간비영리부문과의 관계는 시·공간적인 상황과 문화적, 국가적 상황, 시민사회의 발전과 더불어서 다양한 요소에 의해서 역동성을 가지고 변화해 오고 있어서 한 국가에서도 복지공급주체로서의 국가와 민간간 관계는 시기별로 그 특성이 다르며, 각 국가마다 독특한 환경적 상황 속에서 다양한 관계 유형을 나타낸다. 한편, 우리나라 가정폭력관련 서비스 공급주체인 국가부문과 민간비영리부문 간의 관계는 민간부문이 폭력피해여성에 대한 상담과 보호서비스를 이미 국가가 관심을 갖기 이전부터 제공해 오고 있었으며, 피해여성에 대한 적극적인 옹호와 대변 활동을 통하여 민간 주도의 가정폭력관련법을 제정하는데 큰 역할을 함으로써 최근의 국가부문의 지원과 관심에 대응하여 복지공급주체간의 관계 설정과 각 부문의 역할에 대한 논의와 고민이 끊이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정폭력 관련 서비스의 민간공급주체로서 한국여성의전화연합이 가정폭력관련법 제정 이후에도 지속적인 법 수행감시활동과 오랜 시간 축적된 가정폭력 피해여성에 대한 상담과 보호서비스의 경험을 바탕으로 현재의 가정폭력 관련 서비스의 발전에 큰 역할을 하였으므로 민간비영리 조직의 사례로 선정하여 정부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복지공급주체로서의 국가와 민간간에 가질 수 있는 관계의 유형과 그리고 관계에 내재되는 중요 요소들에 대하여 분석해보고, 이러한 국가-민간의 관계성에 대한 이론을 현실의 가정폭력 관련 서비스 영역에 적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가정폭력 관련 서비스의 민간공급주체로서 주도적인 역할을 해온 한국여성의전화연합과 정부와의 관계를 사례연구로 구체적으로 양자간 관계의 유형이 유형의 결정요인에 의해서 구별되는 각각의 두 시기에 유형의 차이를 밝히고, 어떠한 유형으로 변화하였는지를 비교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를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먼저 복지공급주체인 국가-민간간 관계에 대한 논의의 의미를 이해하고, 복지공급주체인 국가-민간간의 관계 유형에 대한 이론적인 분석틀을 도출하였다. 우리나라의 가정폭력 관련 서비스의 공급체계를 이해하고, 공급주체인 국가부문과 민간부문을 파악한 뒤에 1990년부터 현재까지의 가정폭력 관련 서비스 공급주체로서의 정부와 한국여성의전화연합 간의 관계를 결정요인에 따라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정부와 한국여성의전화연합 간의 관계를 결정요인에 따라 분석하여 이를 통해서 관계 유형을 도출하였다. 그리하여, 가정폭력 관련 서비스 공급주체인 정부와 한국여성의전화연합 간의 관계 유형의 변화를 분석하고 앞으로의 정부와 한국여성의전화연합 간의 관계에 대하여 모색해 보고 장기적으로 협력관계를 구축하기 위한 각각의 역할을 모색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론을 활용하여 문헌연구와 설문조사, 면접조사 연구를 사용하였으며 문헌연구는 외국의 문헌과 국내 선행연구 및 양 부문간의 관계유형을 밝히는 결정요인을 포함하여 연구의 분석틀로 활용되어진 Coston의 논문을 사용하였다. 한국여성의전화연합 지부 총 10개를 설문조사 하였고, 한국여성의전화연합의 실무자 및 기타 기관의 가정폭력 관련 전문가를 5명과의 심층면접조사를 통해서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또한 조직의 기록이나 회의자료를 통해서 문서자료를 수집하고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1997년 제정되고 1998년 시행된 가정폭력 관련법을 기준으로 하여 법제정 이전의 1990년부터 1997년까지의 정부의 제도적 다원주의 거부의 시기와 1998년부터 현재까지의 법 시행 이후 정부의 제도적 다원주의 수용의 시기로 나누어서 분석되었다. 1990년부터 1997년까지를 정부의 제도적 다원주의에 대한 거부의 시기에는 양자간 권력관계의 대칭성과 연결관계 수준 및 공식성의 유무 등을 놓고 분석한 결과, 양자간 권력관계가 비대칭적이며, 연결관계가 존재하지 않으며 정부의 민간에 대한 입장이 비우호적인 성격을 띄는 적대형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1998년 가정폭력관련법의 제정 이후부터 현재까지의 정부와 한국여성의전화연합 간의 관계 유형은 정부의 제도적 다원주의의 수용시기로 다양한 정책적인 정부의 접근을 보여주면서 높은 수준의 연결관계를 가지고 공식적인 계약을 통하여 정부와 한국여성의전화연합이 관계를 형성하고 있음을 밝혔다. 이 시기에도 역시 비대칭적인 권력관계를 형성하고 있으나 적대형의 관계에 비해서 민간부문의 역할이 중요하게 부각되어 서비스 제공자로서 정부의 재정 지원을 받는 민간공급주체로서 정부와 관계를 형성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함의는 앞으로의 가정폭력 관련 서비스 공급주체의 관계의 모습에 대하여 장·단기적인 정책적 기획과 논의를 가능하게 한다. 즉, 장기적으로는 협력-파트너쉽 관계로의 발전을 도모하면서 단기적으로는 보다 현실적으로 가능한 제 3자적 정부형 또는 보완형으로서의 정부와 한국여성의전화연합 간의 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정부와 한국여성의전화연합의 노력들을 제언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정부는 민간부문에 대한 우호적이고 수평적인 관계를 기대해야하며 직접적인 지원을 통한 관리와 평가의 입장보다는 민간부문의 질적 서비스 향상을 위한 객관적인 평가와 민간 부문의 자율성을 보장하려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한편 민간부문에서는 서비스 개발과 향상을 위한 노력을 통해 보다 전문적인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부단히 노력해야하며, 클라이언트에 대한 대변과 옹호자로서의 역할 또한 서비스 발전에 있어서 큰 영향을 미치게 됨을 파악하고 책임성 있게 이를 실천해야 할 것이다. 후속연구에 있어서 다양한 민간부문을 대상으로 정부와의 관계를 분석하고 객관적으로 민관의 관계를 이해할 수 있도록 현실부분에서의 적용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또한, 가정폭력 관련 서비스와는 다른 국가와 민간 공급체계의 관계유형을 발견할 수 있는 타 사회복지서비스 분야에서의 후속연구와 탐색적 연구가 이루어져 사회복지서비스에서의 국가와 민간간 관계 유형에 대한 이론적 틀을 제시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앞으로 국가와 민간의 관계에 대한 변화에 대한 연구에서 보다 더 나아가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거시적인 요인이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구체적인 관계의 인과관계를 밝히는 것도 큰 의미가 있을 것이다. 또한, 국가와 민간간의 관계가 사회복지서비스 공급에 있어서 얼마나 효율적일 수 있는지를 분석하는 연구 또한 필요할 것이다. In modern welfare services, the role of Government as welfare provider has been changing gradually from the subject which is charge of finance and provision of care to the subject which only finance the services executed by the third Sectors. The dramatic change in the economy, political system, and society have caused welfare pluralism to emerge and develope in every country. Each country, however, has produced different relationship patterns between welfare service providers (GO and NGO). Relation between GO and NGO as welfare providers has been dynamically changing by various factors, along with cultural and national situations or development of civil society. Accordingly, it has its own characteristics by time and shows diverse types of relationship in the unique situation of each country. In this study, I seek to specify the discussions and theories mentioned above around this change in welfare services by applying to service patterns domestic violence. Ultimately, this study aims to define two different patterns before and after the year 1997 when of domestic violence law was legitimated and compare the respective characteristics of them. I applied qualitative methodology, specifically literature review, survey and interview. This research is limitation in generalization because took advantage of Case Study method. Schemes of this study are as below ; 1) Understand the general discussions on relationship between GO and NGO as welfare provider. 2) Deduce analytical axes about relationship patterns between GO and NGO. 3) Understand the service supply system for domestic violence in Korea. 4) Define GO and NGO as welfare provider 5) Analyze relation between government and Korea Women's Hot l line based on several dimensions - government's resistance or acceptance of institutional pluralism - the relative balance of power and the level of government linkage - the level of government linkage 6) Deduce the relation patterns 7) Examine the change of those patterns 8) Propose the right roles for GO and NGO which enable long term partnership. Based on these analyses, the year 1997 (when the domestic violence law was legislated) could be a watershed in dividing two different patterns - 'Rivalry' and 'Contracting'. Rivalry 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rmer time (1990~1997) which is represented by government's resistance of institutional pluralism, while Contracting is that of the latter time (1998~present) which is represented by government's acceptance of institutional pluralism. On time of 1990 - 1997, power relation between GO and Korea Women's Hot line did not have balance relatively, and linkage relation did not exist, and Government's resistance of institutional pluralism that provides passive support service as having Unfriendly attitude. On time of 1998 - Current, Governmental various policy was actively presented, and have high leveling linkage relations with Korea Women's Hot Line. It form relation through formal contracting. Yet, Power relation did not have balance relatively, but role of NGO is recognized being embossed gradually. This study is very suggestive to policy directions in Korea. Ultimately, it will help to set forth appropriate policy and legislation which make it possible to establish integrated service delivery system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