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교 유형에 따른 기독교 유아교사의 기독교적 자질 비교

        채송화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79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넘을 수 없으며 교사의 질은 교사교육의 질에 달려있다고 할 수 있다. 기독교 유아교사는 어떠한 유형의 유아교육기관이든지 어떠한 교육철학과 교육과정을 운영하든지 자신의 삶과 유아교육활동을 통해 모든 영역에서 하나님을 나타낼 수 있는 교사가 되어야 한다. 기독교 유아교사는 기독교대학교의 유아교육관련학과를 졸업한 기독교인이거나 일반대학교의 유아교육 관련학과를 졸업하여 교사자격증을 취득한 기독교인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들 모두가 기독교유아교사의 자질을 갖추는 것은 아니다. 인간교육의 기초가 되는 인생의 가장 중요한 결정적 시기인 유아기에 효과적인 기독교 유아교육을 위해서는 기독교 유아교사가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하여 기독교 유아교육에 대한 바른 인식과 자질을 갖추도록 신앙적, 인성적, 전문적인 면을 고려한 체계적인 예비 기독교 교사교육이 필요하다. 따라서 대학교의 유형에 따라 기독교 유아교사의 기독교적 자질이 어떠한지 알아보기 위해 우리나라의 유아교육과 및 유아교육 관련학과가 있는 4년제 대학교들을 기독교대학교와 신학대학교, 일반 대학교로 나누어 비교분석을 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대학교에서의 예비교사 교육과정에 따라 기독교 유아교사로서의 자질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고, 예비 기독교 유아교사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대학교의 유형에 따라 기독교 유아교사의 자질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1) 대학교의 유형에 따라 기독교 유아교사의 인성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2) 대학교의 유형에 따라 기독교 유아교사의 전문지식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3) 대학교의 유형에 따라 기독교 유아교사의 교육기술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4) 대학교의 유형에 따라 기독교 유아교사의 교직태도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우리나라의 4년제 대학교 유아교육 및 유아교육 관련학과를 졸업한 현직 기독교인 유아교사 24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처리 프로그램인 PASW 18.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고 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사후검증으로 Scheffé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질문지는 기독교 유아교사의 기독교적 자질을 알아보기 위해 전상희(2012)와 김지현(2007), 한수진(2001), 유해인(1990), 김애련(1985)의 유아교사의 자질, 김선희(2004)의 보육교사의 전문적 자질, 유미(2009)의 교회학교 유치부 교사의 자질, 이상욱(1998), 신원애(2007)의 기독교 유아교사의 기독교적 자질에 관련된 내용을 기독교 세계관과 기독교유아교육철학으로 재조명하여 수정, 보완, 재구성하고 전문가로부터 내용타당도를 구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교의 유형에 따른 기독교 유아교사의 기독교적 자질의 인성은 출신 대학교의 유형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대학교의 유형에 따른 기독교 유아교사의 기독교적 자질의 전문지식 영역은 신학대학교 출신 유아교사의 전문지식 자질이 높게 평가되었으며 기독교대학교와 일반대학교 출신 교사들의 전문지식 자질에는 출신 학교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대학교의 유형에 따른 기독교 유아교사의 기독교적 자질의 교육기술은 출신 대학교의 유형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넷째, 대학교의 유형에 따른 기독교 유아교사의 기독교적 자질의 교직태도는 신학대학교 출신 유아교사의 전문지식 자질이 높게 평가되었으며 기독교대학교와 일반대학교 출신 교사들의 전문지식 자질에는 출신 학교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즉, 출신 대학교의 유형에 따른 기독교 유아교사들의 기독교적 자질은 신학대학교 출신 유아교사가 기독교적 자질의 전문지식영역과 교직태도 영역에서 높게 평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독교적 자질의 전체 평가와 하위영역에서 인성과 교육기술 영역에 출신 대학교의 유형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현재 기독교 유아교사를 양성하는 대학교들은 기독교유아교사를 양성하는 대학으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훌륭한 기독교적 자질을 갖춘 기독교 유아교사를 양성할 수 있는 교사교육과정을 마련해야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또한 교사양성과정에서 기독교 유아교사 교육과정을 경험하지 못한 현직 기독교유아교사들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마련하고 기독교유아교사들을 위한 모임을 활성화하여 기독교유아교육이 유아교육 현장에서 실천되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는 4년제 대학교의 유형에 따른 예비교사교육과정만을 변인으로 하였고 기독교 유아교사의 자기평가를 기초로 비교분석하였으므로 한계가 있다. 따라서 기독교 유아교사의 다양한 변인을 고려한 연구와 다양한 기독교 유아교사의 기독교적 자질 평가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기독교 유아교사를 양성하는 대학교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방안과 기독교적 자질을 갖춘 기독교 유아교사 양성을 위

      • 증강현실 그림책의 주일학교 교육 적용 기대감과 현존감에 대한 인식조사 : 주일학교 영·유아 교육 담당자들 중심으로

        김민영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63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Expectancy and Existence for Augmented Reality Picture Book Application to Sunday School Education Kim, Min-Young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Chongshi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rough synthesizing virtual information into the real world, to understand recognition of educators for infant and toddler about possibilities of Augmented Reality Picture Book Application to Sunday School Education, which provides adjunctive information uneasy from the reality. This study also aims to present base line data in development of suitable and useful augmented reality picture book for infant and toddler education in faith. The subject of inquiries follows below: 1. Expectancy of augmented reality picture book application to Sunday school education 1) What is the expectation level of Sunday school educators in application of augmented reality picture book to infant and toddler? 2) Are there any differences of the educators’ expectation level by general characteristics or individual experiences such as gender, age, position, career, academic background, experience frequency of augmented reality and so on? 2. Recognition of Sunday school educators for infant and toddler in augmented reality existence 1) What is the recognition level of Sunday school educators in application of augmented reality? 2) Are there any differences of the educators’ recognition level by general characteristics or individual experiences such as gender, age, position, career, academic background, experience frequency of augmented reality and so on? Is there any correlation between the educators’ recognition of augmented reality experience existence and expectancy about augmented reality picture book application to Sunday school education? If yes, what is the correlation like? The objects of this study are 202 educators who teach infant and toddler in Sunday school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province which is capital area, and who responded to the survey of questionnaires based on Google survey. And to measure expectancy of the infant and toddler educators about augmented picture book application to Sunday school education, it partially quoted and adapted ‘A Study on Expectation and Presence Factors of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 of Special Education(Park Kyung Ok, Paik Jong Nam, Seo Sun Jin, Lee Yangwon, 2016)’ in alignment of this study purpose. Regarding the cause analysis of augmented reality existence of the object, it employed measurement tools excercised in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special education to augmented reality by designing draft items based on the researches of Yoon, Yong-pil (2010) and Dong-Jin (2013) (Park Kyung Ok, Baek Jong Nam, Seo Sun Jin, Lee Yangwon, 2016). This collected data, by SPSS24.0 accomplished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completed qualification of Scheffée as well. This study presents the following major results: First, the object educators’ expectation are mostly and highly positive and less concern in augmented reality picture book application to Sunday school education. Second, regarding the recognition of the object educators about existence of augmented reality experience, the object educators show the highest awareness in factor, ‘pleasure’ out of all components, and then appear interaction, factuality, fulfilment, immersion, and accessibility in order. Third, the correlation, between recognition of existence in augmented reality experience and expectancy of augmented reality picture book to Sunday school education, presents that positive expectation of the object educators follows the enough and high recognition level in pleasure, immersion, factuality, fulfilment, accessibility, and interaction. Based on this, when it examines the correlation of the object educators’ negative expectation, immersion to augmented reality also shows meaningful static correlation with the object educators’ concerns which means that their concerns are as high as immersion to augmented reality. Frankly speaking, lack of understanding learning methods is a common fact especially in teaching methods responding demand of the trend by various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its popularization and applying newly to Sunday school education field. Therefore, this study expects to provide further information, which is useful in teaching content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Sunday school education based on augmented reality through study on the recognition of augmented reality picture book application to Sunday school and on possibilities of it as instructional media. 본 연구의 목적은 실제 세계에 가상의 정보를 합성하여 현실 세계에서는 쉽게 얻기 어려운 부가적인 정보를 제공해 주는 증강현실 그림책의 주일학교 적용 가능성에 대한 영·유아 교육 담당자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기존의 종이 그림책에서 느낄 수 있는 아날로그적 심미성과 디지털기기로 제공받을 수 있는 디지털 콘텐츠의 통합과 융합으로 이루어진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그림책이 주일학교 교육 적용 가능성에 대한 영·유아 교육 담당자들의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좋은 증강 현실 그림책의 특성을 갖추어, 영·유아 신앙교육에 적합하고 유익한 증강현실 그림책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증강현실 그림책의 주일학교 영·유아 교육의 적용 기대감은 어떠한가? (1) 증강현실 그림책의 주일학교 영·유아 교육의 적용 기대감 수준은 어떠한가? (2) 일반적 특성(성별, 연령, 역할, 경력, 학력, 증강현실 경험횟수)에 따라 증강현실 그림책의 주일학교 영·유아 교육 적용 기대감에 차이가 있는가? 2) 증강현실 경험의 현존감에 대한 주일학교 영·유아 교육 담당자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1) 증강현실 경험의 현존감에 대한 주일학교 영·유아 교육 담당자들의 인식 수준은 어떠한가? (2) 일반적 특성(성별, 연령, 역할, 경력, 학력, 증강현실 경험횟수)에 따른 증강현실 경험의 현존감에 대한 주일학교 영·유아 교육 담당자들의 인식에 차이가 있는가? 3) 증강현실 경험의 현존감에 대한 인식과 증강현실 그림책의 주일학교 교육 적용 기대감 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경기 소재의 교회 주일학교에서 영·유아 교육 담당자 202명이며 온라인 구글(Google) 설문지를 통해 실시하였다. 증강현실 그림책의 주일학교 영·유아 교육적용에 대한 기대감을 측정하기 위해 증강현실의 특수교육 적용에 대한 연구(박경옥, 백종남, 서선진, 이양원, 2016)에 활용 된 도구를 본 연구의 특성과 목적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의 증강현실 현존감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윤용필(2010)과 이동진(2013)의 연구를 바탕으로 초안 문항을 설계하여 증강현실의 특수교육 적용에 대한 연구(박경옥, 백종남, 서선진, 이양원, 2016)에 활용 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을 사용하여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t-test,(one-way ANOVA,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Scheffée의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나타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일학교 영·유아 교육 담당자의 증강현실 그림책의 주일학교 교육 적용에 대한 긍정적 기대감과 부정적 우려를 살펴본 결과, 긍정적 기대감은 높은 편이었으며, 부정적 우려는 낮게 나타났다. 둘째, 증강현실 경험의 현존감에 대한 주일학교 영·유아 교육 담당자들의 인식은 증강현실 경험의 구성요인 중 즐거움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상호작용, 사실성, 수행, 몰입감, 접근성 순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증강현실 경험의 현존감에 대한 인식과 증강현실 그림책의 주일학교 교육 적용 기대감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증강현실 경험을 통한 즐거움과 몰입감, 사실성, 수행, 접근성, 상호작용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긍정적 기대감이 높게 나타났다. 주일학교 영·유아 교육 담당자의 부정적 기대감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증강현실에 대한 몰입감은 부정적 우려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여, 증강현실에 대한 몰입감이 높을수록 긍정적 기대감보다는 낮으나 부정적 우려도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양한 기술 발달과 대중화 등에 따른 교수-학습 방법의 변화에 대한 요구가 증대됨에도 불구하고 주일학교 교육 현장에서 도입할 수 있는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증강현실 그림책의 주일학교 교육 적용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증강현실 그림책이 주일학교 교수매체로서의 가능성이 어떠한지 알아봄으로써 앞으로 주일학교 교육에 증강현실을 기반으로 한 교육 콘텐츠 개발 및 활용을 위해 참고할 만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몽골 울란바타르 선교사자녀학교 UBMK School 유치원의 기독교 유아교육과정 운영의 실제

        강연재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63

        Practice of Christian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operation focused on UBMK School kindergarten, which is Ulaanbaatar missionary kids School in Mongolia This study is about the actual and practical difficulties, necessity, and direction of the practice of Christian early childhood curriculum at UBMK School kindergarten, which is Ulaanbaatar missionary kids School in Mongolia. Mongolian Ulaanbaatar Missionary Children's School in the Mission Field The UBMK School Kindergarten's Christian Early Childhood Curriculum is operated, what are the practical difficulties and educational needs of the mission field, and the future direction of UBMK School Kindergarten. The research questions set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reality of Christian early childhood curriculum in UBMK School kindergarten? Second, what is the practical difficulties and educational needs of UBMK School kindergarten? Third, what is the direction of UBMK School? This study selected four participants and one assistant in depth interview. The study participants were all teachers at the Ulaanbaatar Missionary Children's School in Mongolia, three of them being kindergarten teachers in 2018 and one of the previous kindergarten teachers. For the interview, I visited Ulaanbaatar Missionary Children's School in Mongolia in early October 2018, asking for consent to the interview in advance and conducting the interview. In the course of conducting the research, additional research data were needed, and an additional participant was interviewed with a former principal who served as principal of UBMK School until July 2018. Based on two years of experience as a teacher of UBMK School kindergarten in Ulaanbaatar Children's Missionary School in Ulaanbaatar, Mongolia, 2009-2010, the researcher was able to identify the reality of the operation of Christian early childhood curriculum of Mongolian Missionary Children's School kindergarten. For the collection of interviews and observational data, we reviewed the issues related to the kindergarten curriculum and school operation in the annual UBMK School Library and the school website. This study collected papers and books related to MK (Missionary Kids), Christia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ristian Early Childhood Curriculum field studies, and analyzed previous studies. Interview and document data collected during this study were analyzed based on an inductive method that reveals the uniqueness of the cas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hristian Early Childhood Curriculum at UBMK School Kindergarten, Ulaanbaatar, Mongolia, Mongolia, participates in the annual seasonal program, experiences in daily activities and activities, includes Christian elements in the theme of activities, and utilizes the composition of the kindergarten environment. As such, the classroom environment was composed of Christian elements. Character education was conducted through preaching related to the topic of character. Character education included spiritual retreat, travel, localization education in Mongolia, and Christian early childhood curriculum was operated by teachers and children taking part in various activities. Second, the practical difficulties and educational needs of UBMK School kindergarten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real difficulty is the retirement of school facilities, and the kindergarten is not renewed by the Mongolian Ministry of Education. And frequent replacement of teachers and school directors makes it difficult to maintain consistency in continuity of education and operation. In addition,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kindergarten children in the missionary children's school has reduced the number of children in the UBMK School kindergarten as the age of missionaries, such as senior missionary missions, has deepened. Educational needs require the dedication and support of qualified professional teachers with stable teacher supply. It is also necessary to secure financial resources for stable education in a good educational environment, and support Christian teaching materials and teaching aids for an educationally rich educational environment. There was also a need for teacher re-education and spiritual training, and there was also a need for a transfer process between full-time teachers and succeeding teachers. Third, the direction of UBMK School is to move forward with school building, and the kindergarten is in a harsh environment that is lower than the Mongolian Ministry of Education. Therefore, the urgent task for the stable educational environment of the school is expansion of school facilities and construction. In addition, UBMK School needs to be flexible in the flow of missionary fields. In addition to the fundamental purpose of educating missionary children, UBMK School serves as a center for Christian history training in Christian private schools in Mongolia and Christian and religious education for seminary and church leaders. You will need to expand your ministry and deal with change. Th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UBMK School Kindergarten, Ulaanbaatar Missionary Children's School in Mongolia, which is different from the unique situation of other mission fields. Therefore, there may be limitations to be limited to the study of Christian early childhood curriculum of missionary Korean missionary children's school. As there are no comparative studies of Korean missionary children's schools, I hope that comparative studies of three schools will be conducted as follow-up studies, with representative MANILA HANKUK ACADEMY of Philippines, UBMK School of Mongolia, and Phnom Penh Joeun School of Cambodia. It is hoped that the research will continue so that we can listen to the life of teacher missionaries more realistically and continue to study ways to support the actual difficulties and needs of mission fields. In addition, the flow and situation of mission fields is constantly changing rapidly.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external environment such as the shifting of missionaries and the reduction of the number of children, the education of missionary children's schools should be more specialized and flexible, and have a detailed support system that can reflect the trends of the times. 몽골 울란바타르 선교사자녀학교 UBMK School 유치원의 기독교 유아교육과정 운영의 실제 본 연구는 몽골 울란바타르 선교사자녀학교 UBMK School 유치원의 기독교 유아교육과정 운영의 실제와 현실적 어려움, 필요 그리고 앞으로 나가야 할 방향에 관한 연구이다. 선교지에 있는 몽골 울란바타르 선교사자녀학교 UBMK School 유치원의 기독교 유아교육과정은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 선교지의 현실적 어려움과 교육적 필요는 무엇이며 앞으로 UBMK School이 나가야 할 방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UBMK School 유치원의 기독교 유아교육과정의 실제는 어떠한가? 둘째, UBMK School 유치원의 현실적 어려움과 교육적 필요는 무엇인가? 셋째, UBMK School의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심층면담으로 총 4명의 연구 참여자와 보조참여자 1명을 선정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모두 몽골 울란바타르 선교사자녀학교의 교사선교사로 3명은 2018년 유치원 교사들이고 1명은 전직 유치원 교사경험이 있는 교사이다. 면담을 위해 2018년 10월 초 몽골 울란바타르 선교사자녀학교를 방문하여 사전에 미리 면담 내용에 대한 동의를 구하고 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연구 자료가 좀 더 필요하여 2019년 11월 보조참여자로 2018년 7월까지 UBMK School 교장으로 섬겨주셨던 전직 교장선생님과 인터뷰를 추가로 실시하였다. 연구자는 2009년에서 2010년까지 몽골 울란바타르 선교사자녀학교 UBMK School 유치원의 교사로 2년 사역한 경험을 기반으로 몽골 선교사자녀학교 유치원의 기독교 유아교육과정 운영의 실제를 파악하고 연구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교사 면담과 관찰자료 그 외의 자료 수집은 매년 발간되는 UBMK School 학교문집과 학교 홈페이지에서 유치원교육과정 및 학교운영에 관련된 사항을 알아보았다. 이론적 배경이 되는 MK(Missionary Kids), 기독교 유아교육, 기독교 유아교육과정 현장 연구와 관련된 논문 및 도서를 수집하고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과정에서 수집된 면담자료 및 문서 자료는 사례의 고유성을 잘 드러내는 귀납적 방법을 토대로 하여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몽골 울란바타르 선교사자녀학교 UBMK School 유치원에서 이루어지는 기독교 유아교육과정은 연간 절기 행사 프로그램에 참여하기와 하루 일과 활동 속에서 경험하기, 활동 주제에 기독교적인 요소 포함시키기와 유치원 환경 구성 활용하기로 그 주제에 맞게 교실 환경도 기독교적인 요소들로 구성되었다. 성품주제와 관련된 설교말씀으로 성품교육이 시행되었고 특색교육으로 영성수련회, 여행, 몽골 현지화 교육 등이 있으며 교사와 유아들이 이러한 다양한 활동에 주도적으로 참여함으로 기독교 유아교육과정이 운영되었다. 둘째, UBMK School 유치원의 현실적 어려움과 교육적 필요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현실적 어려움은 학교시설 노후로 유치원은 몽골 정부로부터 재연장을 받지 못 한 상태로 인가 취소의 위기에 놓여 있고 재정의 어려움으로 인한 교사 수급의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교사와 학교 이사들의 잦은 교체로 교육의 연속성, 운영의 일관성을 갖기 어려운 점이 있다. 또한 선교사자녀학교의 유치원 원아 수 감소는 운영의 어려움으로 몽골의 경제상황이 악화되면서 교민의 수가 줄고 사역지 변경으로 선교사들의 이동과 한국 선교의 연륜이 깊어지고 시니어선교 등 선교사의 연령이 높아지면서 UBMK School 유치원의 원아 수가 줄고 있다. 교육적 필요는 안정적인 교사 수급으로 자격을 갖춘 전문 교사의 헌신과 지원이 필요하다. 좋은 교육환경 속에서 안정적인 교육이 이뤄질 수 있도록 재정을 확보하는 것도 필요하며 교육적으로 풍부한 교육환경을 위해 기독교 유아교육 교재, 교구의 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교사 재교육 및 영성훈련에 대한 필요가 있었으며 전임교사와 후임교사 간 인수인계 과정의 필요성도 느끼고 있었다. 셋째, UBMK School의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은 학교건축으로 유치원은 몽골 교육부 기준에 못 미치는 열악한 환경으로 인가 취소의 위기에 있다. 그러므로 학교의 안정된 교육환경을 위해서는 시급한 과제가 학교 시설의 확충이며 건축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UBMK School은 선교지의 흐름 속에서 융통성 있게 변화되어야 하며 선교사 자녀들을 교육하는 근본적인 목적에 더하여 몽골 기독사립학교의 기독교사 연수와 신학생과 교회지도자들에게 기독교교육 및 신앙 교육을 연수하는 센터의 역할을 감당하는 사역의 범위를 넓히고 변화에 대처해 나가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대상은 한국형 선교사자녀학교 중 몽골 울란바타르 선교사자녀학교인 UBMK School 유치원으로 각 선교지의 상황과 다를 수 있다. 이에 한국형 선교사자녀학교의 기독교 유아교육과정 연구로 한정하기엔 한계점이 있을 수 있다. 아직 한국형 선교사자녀학교의 비교연구가 없어서 대표적인 필리핀 마닐라 아카데미와 몽골 UBMK School, 캄보디아 프놈펜 좋은 학교를 연구대상으로 삼아서 세 학교의 비교연구가 후속연구로 진행되길 바라며, 선교지 교사선교사의 교육과 삶을 다룬 연구도 계속 이어져서 교사선교사의 삶을 더욱 현장감 있게 듣고 선교지의 현실적 어려움과 필요를 세심하게 지원할 수 있는 방안 연구가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또한 선교지의 흐름과 상황은 계속 빠르게 변화해 가고 있다. 이에 따른 선교사의 이동과 자녀의 수 감소와 같은 외부적인 환경의 변화에 따라 선교사자녀학교의 교육은 보다 전문화되고 융통성 있게 이루어져야 하며, 시대적 흐름을 반영할 수 있는 세분화된 지원체계를 갖추어야 할 것이다.

      • 모바일 러닝(M-Learning)을 활용한 청년 교리교육 효과성에 대한 연구 : 하이델베르크 교리 문답 중심으로

        김영진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63

        코로나 19로 인한 삶의 변화는 교회에도 영향을 주어, 집합 예배에서 온라인 예 배로 전환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교회에서 예배드리며 영성을 관리하고 모여서 소그룹 제자 훈련을 진행하던 방식에서 새로운 방식으로의 변화가 불가피하게 되었다. 변화하는 시대에 맞춰 교육의 방식도 바뀌어야 하는데, 교육에서 있어서 공간과 시간의 제약을 받 던 점을 온라인 교육을 통해 극복할 수 있는 시대가 된 것에 주안점을 두고, 인생의 과도 기에 있는 위치상의 특징과 시대적 특징이 결합하여 그 어느 때 보다 침체되어 있는 한 국 교회 청년들을 깨우고 그들이 건강한 기독교적 세계관과 신앙 성숙을 위해 반드시 신 앙교육이 필요하며, 디지털 세대에게 맞는 신앙 교육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필요하다고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회 내 청년들에게 모바일 러닝을 활용한 교리교육의 효과성 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경기지역 한 교회의 청년들을 대상 으로 모바일 러닝을 활용하여 교리교육을 실시한 집단과 예배생활과 일반 교육에 참여하 며 일반적인 신앙생활을 하는 집단으로 구분하여 모집 실행하였고, 이 효과성을 분석하기 위해 양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양적 연구대상은 실험집단 30명과 통제집단 30명으로 총 60명이었다. 이를 위한 양적 연구의 자료 분석은 통계처리 프로그램인 R.4.0.0 프로그램을 사 용하였으며, 교육에 참여한 집단에게 주관적 의견을 적는 질문을 추가하여 의견 분석도 함께 진행하였다. 또한 사전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비교하기 위해 t-test를 실시하였다. 이어 두 집단의 신앙성숙, 영적 안녕감, 영적 성숙 척도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공 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비교와 통제집단의 사전-사 후 비교를 위하여 t-test를 실시하였다. 또한 jamovi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보 분석을 추가로 하였다. 그리고 주관적 의견으로 받은 답변을 질적연구의 방식인 근거이론 방법론 의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분류하고 정리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방법으로 진행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회 내 청년들에게 모바일 러닝을 활용한 교리교육을 실시한 결과 인지적 성숙, 정의적 성숙, 의지적 성숙이 포함되는 신앙성숙의 평균점수가 4.369로 교육 실시 전 의 평균점수 3.827보다 높게 나타남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고, 사후 실시한 설문 조사 에서도 하나님에 대한 존재를 확신하고 신앙 생활의 체계를 세운다는 의견을 모을 수 있 었다. 따라서 모바일 러닝을 활용한 교리교육은 청년의 신앙성숙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인 다 할 수 있다. 둘째, 교회 내 청년들에게 모바일 러닝을 활용한 교리교육을 실시한 결과 영적 안녕감에 대한 결과 교육 실시 후 평균점수는 4.315로 교육 실시전 평균점수 3.662보다 높게 나타남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사후 실시한 설문 조사에서도 하나님의 언약적 사랑에 대한 확신 아래 어떻게 살아야 할지 방향을 다시 잡을 수 있게 되었다는 의견을 모을 수 있었다. 따라서 모바일 러닝을 활용한 교리교육은 청년의 영적 안녕감에 긍정적 인 효과를 보인다 할 수 있다. 셋째, 교회 내 청년들에게 모바일 러닝을 활용한 교리교육을 실시한 결과 영적 성숙도에 대한 결과는 교육 실시 후 4,201로 교육 실시전 평균점수 3.513보다 높게 나타 남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사후 실시한 설문 조사에서도 구원의 확신으로 인한 삶 의 만족도가 높아지고 하나님과의 관계가 친밀하고 좋을 때 내 삶이 가장 기쁨을 느낀다 는 의견을 모을 수 있었다. 따라서 모바일 러닝을 활용한 교리교육은 청년의 영적 성숙도 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인다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실시한 모바일 러닝을 활용한 청년 교리교육은 양적연구 결과 그 효과성이 입증되었다. 또한 교리교육을 받지 못한 청년들에게 교리교육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되었고, 모바일을 통한 교리교육 방법도 교육 효과를 보인다는 점에서 의의 를 갖는다. 연구결과를 통해 교회내 청년들에게 교리교육의 필요성과 모바일 러닝을 활용한 교육방법에 대해 제언하였고, 모바일 러닝을 활용한 교리교육에 대한 독창성을 갖고 효과 성을 보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 기독교관점에서 바라본 밥상머리교육을 통한 유아 인성교육의 방향 모색

        김명자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일반적인 밥상머리 교육과 기독교에서 바라본 밥상머리 교육을 비교하였다. 이를 통하여 기독교 밥상머리교육을 통한 유아 인성교육의 특징들을 파악하고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일반적인 관점에서의 밥상머리의 정의와 교육개념, 그리고 국.내 외의 밥상머리 교육의 사례, 기독교 관점에서의 밥상머리 교육의 정의와 개념, 그리고 국.내 외의 밥상머리 교육의 사례, 일반적인 관점에서의 유아 인성교육의 개념과 정의, 기독교에서 바라본 밥상머리 교육을 통한 유아 인성교육의 개념과 정의, 일반적인 밥상머리교육의 인성교육 모델과 기독교적 인성교육을 위한 밥상머리교육의 모델을 비교분석하여 기독교적 밥상머리 인성교육의 모델을 다루었다. This study compares the general head education with the head education seen in Christianity. Through this, I tri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through the Christian table head education, and I tried to find a desirable direction. To this end, the definition of a meal from a general point of view, the concept of education.Examples of domestic and foreign meal-time education, definitions and concepts of the meal-time education from a Christian perspective, and the national anthem.Examples of education on the table outside of me, concepts and definitions of education on infant personality from a general point of view, concepts and definitions of education on infant personality from a Christian perspective, and the model of meal education for general meal education and the model of meal education for Christian personality education were compared and dealt with the model of Christian meal education.

      • 비고츠키 이론에서 `생각과 말`에 대한 유아교육적 고찰

        김혜연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63

        비고츠키 이론에서 '생각과 말'에 대한 유아교육적 고찰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비고츠키의 사상의 정수가 담겼다 할 수 있는『생각과 말』(1934/2011)을 기본서로 그의 최후의 저술이 되기도 하는 7장 ‘사고와 낱말’을 중점으로 논하였다. 유아의 ‘생각과 말’에 대한 본질적 이해와 유아를 대면하고 유아를 교육하는데 있어 필요한 유아교육적 의미 그리고 현재 유아교육 과정에 있어 그 의의와 한계에 대한 고찰을 시도하였다. ‘생각과 말’의 발달적 출발점과 경로는 특정한 시점까지 다른 방향의 길을 보인다. 어느 특별한 지점에 두 경로가 교차하고 특별한 계기가 찾아오는 새로운 발달의 출현이다. 유아의 개별적인 새로운 출현의 발달을 관찰하고 교육하는 일은 유아교육자에게 그 무엇보다 필요한 시안이다. 언어는 유아 인지 발달에 중심 역할을 한다. 언어적 사고는 유아에게 있어 자신의 존재성을 가지며 낱말은 유아로부터 달성된다. 특히 유아의 자기중심적 혼잣말은 사고의 중요한 도구이고 인지 발달의 도구이자 그 자체로의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교사는 역동적 상호 이주의 언어를 통해 유아가 세상의 존재하는 것을 자신의 삶 속의 존재적 의미로 내면화 되도록 도울 필요가 있다. 비고츠키는 교사의 진정한 전문성에 대해 놀이를 잘 이해하는 교사가 아닌 발달적 존재로서의 인간을 즉 유아를 이해하는 것에서 찾았다. 언어는 곧 사고이고 그 사고는 곧 그 사람의 존재성이고, 그 존재는 유아교사가 현장에서 만나는 바로 우리 유아들인 것이다. 비고츠키가 말하는 ‘생각과 말’의 본질은 그 역동적 관계 그리고 사고와 낱말이 이루어가는 ‘말로 하는 생각’으로의 실현에 있어 역사적 산물로써의 가치를 바탕으로 창조적 상상력을 지향한다. 교사의 외적 언어 이면에 있는 사고는 유아의 사고로 내면화 된 후 유아의 사고 변화를 거치는 과정인 ‘마음의 중추’로 내면화된다. 즉, ‘생각과 말’의 역동적 상호 이주는 유아교육자가 유아를 이해하고 교육하는데 있어 자기 주도 학습력을 가진 유아의 존재로 이끄는 지속적인 미래 교육 방향이 된다. Study of Vygotsky's Theory of "Thought and Language" as it Applies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seventh chapter, "Thought and Word", of Vygotsky's final writing, Thought and Language, which can be said to contain the essence of thought in Vygotsky's research.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essential understanding of children's "thought and word"; the meaning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here it is necessary to educate or interact with children; and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proces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ought and language are seen to have different developmental starting points and paths and to go in different directions, differing even in their specific points in time. At the particular point where the two paths intersect is the emergence of a new development. It is vitally important to the work of education to observe the development of new emergence where the child's two individual pathways intersect. Language plays a central role in early childhood cognitive development. Verbal thinking lends a sense of existence and words are attained by the children themselves. Children's self-talk is an important tool for thought, while language is a tool for cognitive development and important in its own right. Teachers need to help children internalize the existence of the world into the existential meaning of their lives through the language of dynamic mutual transference. For Vygotsky, a teacher's true professionalism is found not in understanding play well, but in understanding humans as developmental beings, namely understanding children. Language is thought; thought is a person's existence; and that existence is of the very little ones the early childhood teacher meets in the field. Vygotsky's essential understanding of "Thought and Language" aims for creative imagination based on the value as a historical product in the realization of the dynamic relationship and "verbal thoughts" in which "Thought and Language" are formed. The thought behind the teacher's external language is internalized as the child's thought, the "backbone of the mind," in a process in which the thought undergoes changes in the child’s mind before being internalized as the child's thought. As early childhood educators understand children and approach them with all their heart through the language of dynamic mutual transference, this becomes a sustainable direction of future education that leads to the existence of children who are self-motivated to learn.

      • 기독교 유아교사가 인지한 기독교 유아인성교육의 의미 탐색

        장영심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목적은 기독교 세계관을 바탕으로 하는 기독교 유아인성교육에 대해 기독교 유아교사가 인지한 기독교 유아인성교육의 의미를 탐색해 봄으로써 기독교 유아인성교육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기독교 유아교사가 인지하는 기독교 인성교육은 무엇인가? 연구문제 2. 기독교 유아교사가 인지하는 교사됨은 무엇인가? 연구문제 3. 기독교 유아교사가 인지하는 교수방법은 무엇인가? 연구문제 4. 기독교 유아교사가 인지하는 기독교 인성교육의 어려움은 무엇인가? 연구문제 5. 기독교 유아교사가 인지하는 기독교 인성교육에 대한 요구는 무엇인가? 본 연구는 기독교 유아교육의 실행이 가능한 민간 어린이집과 유치원에서 기독교 유아인성교육을 실행한 경험이 있는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 참여자는 연구기준에 적합한 연구대상을 파악하고, 연구참여에 대한 동의를 구한 후, 집단 면담을 진행하였다. 2021년 9월 2일~9월 12일 사이 연구참여자들에 대한 사전면담을 진행하여, 교사들의 기본 인구 사회학적 정보와 유아교사 경력과 인성교육 경력, 기독교 인성교육 경력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였다. 집단 면담은 2021년 9월 13일에 진행되었으며, 코로나19로 인해 ZOOM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진행하였다. 이후, 내용의 충실도를 보충하기 위해 3차에 걸친 개별 면담을 수행하였다. 면담 내용은 연구참여자의 사전 동의를 얻어 녹음하였고 녹음한 내용을 전사한 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독교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기독교 유아인성교육은 기독교세계관을 바탕으로, 말씀을 통해 마음의 바탕을 이루고 열매맺어 보배롭고 존귀한 자녀로 자라나며 하나님의 성품을 닮아가는 것이였다. 기독교 유아인성교육을 위해서는 교사인 나 자신이 하나님 중심으로 시선바꿈의 필요성이 있음을 알고 하나님 말씀의 토대위에 이루어져야 함으로 나타났다. 기독교 유아인성교육을 통해 하나님의 거룩하심을 알고 유아때부터 하나님의 말씀과 하나님의 자녀로의 바탕안에서 자라나야함을 중요하게 여겼다. 둘째, 기독교 유아인성교육을 위한 교사됨은 가르치는 교사가 먼저 하나님을 믿는 믿음을 바탕으로 아이들을 위해 기도의 마음을 담으며 중심이 하나님을 향해야 함이였다. 교사가 먼저 말씀과 기도, 경건 생활로 함께 하고, 교사의 인성과 하나님과 사람을 향한 사랑, 관계가 바탕이 되었다. 변화의 기대감으로 아이들을 바라보며 아이들은 우리에게 맡겨주신 하나님의 소중한 자녀임을 알고 나의 삶을 통해 믿음과 인성을 흘려보내게 되므로 경건한 마음가짐을 갖고, 기독교 세계관으로 보는 유아관이 필요하였다. 기독교 유아인성교육을 통해 인성·덕목관련 행동변화와 유아의 문제행동의 변화가 있었다. 변화는 아이들의 표정, 행동을 통해 알 수 있었으며 가정에서 부모와의 소통을 통해 전달되어졌다. 셋째, 기독교 유아인성교육의 교수 방법으로는 일상의 삶을 통해서 교육되고 있었고, 반복적인 제시와 교사의 모델링을 사용하였다. 기독교 유아인성교육에 대해 지속적으로 연구하여 적용하고자 했으며, 동화책 등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였다. 넷째, 기독교 유아인성교육의 어려움으로 기독교교육을 허용하지 않는 환경적 어려움과 내가 하는 기독교 유아교육에 대한 확신의 부족 모습이 있었다. 다섯째, 기독교 유아인성교육의 필요한 요구로 가정과 기관의 연계 지원과 기독교 인성교육 지도자 양성, 서로 격려해주고 지지해 주는 함께 연구하는 공동체 지원의 필요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독교 유아인성교육을 실행함에 있어 기독교 유아교사가 인지한 기독교 유아인성교육의 의미를 탐색, 살펴봄을 통해 유아교육현장의 효과적인 기독교 유아인성교육 실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기독청년을 위한 예비 부모교육 모형 개발

        위경은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63

        ABSTRACT Development of a Pre-Parents Education Model for Christian Young People Kyung-eun Wi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ongshi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re-parents education model for christian young people which helps them doing their biblical role of parents efficiently when they become a parent. Specifically, the major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How is the development process of a pre-parents education model? 1) What is christian young people’s understanding and needs of pre-parents education? 2) How is the development of a pre-parents education model(purposes and goals, contents, learning and instruction methods, evaluation)? The research method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study included a sample of 400 single male, female aged 20 or over who were attending young adults worship services in Seoul and Kyung-gi churches. This study used the scale of the questionnaires developed by Kang(2002), Lee and Park(2011). The contents and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s were confirmed from an expert. The data obtained from the research was analyzed using a SPSS 15.0 version computer program. 2. A preliminary model of christian pre-parent education was constructed by reinterpreting the results of analyzing needs of pre-parent education and preceding research from christian world views and A christian pre-parent education model was developed after consult with exper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Christian young people have a lower chance of getting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in pre-parent education but they recognize needs to pre-parent education and would like to participate in the education. 2. The results showed that they want to receive a pre-parent education such as methods of communication in specific situations, parental roles and responsibility, the way of bringing up children, proper perspective of marriage, knowledge of sexual matters by means of seminars, lectures, discussion every Saturday afternoon for 1 to 2 hours within three months in a church. 3. The purposes of a pre-parent education model for christian young people were to clarify perceptions of themselves as God’s creations in the image of God and to help them doing their own biblical parental roles in family of faith by establishing biblical perspective of marriage. The goals of a pre-parent education model for christian young people were to have positive self images and to perceive themselves by experiencing God's grace and to establish biblical perspective of marriage, to learn how to have a healthy relationship, to recognize the biblical perspective of family, parents, roles of parents and to learn the way of bringing up children. 4. The contents of a pre-parent education model for christian young people were composed of establishing self identity(the fact that I was created in the image of God, self-understanding by analyzing personality type tests, understanding and establishing christian world views), preparing for marriage with God(biblical perspective of marriage, sex education from the point of view of Christianity, relationship, choosing a spouse, understand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xes), to bring up children with God), bringing up children with God(biblical perspective of family, parents, roles of parents, pregnancy and childbirth, understanding children’s development, the way of raising children, the method of communication). 5. The learning and instruction method of a pre-parent education for christian young people was about learning and instruction which was related to present lives and experience of learners in order to connect prayer relying on Holy Spirit with active participation and experience of learners. The learning and instruction method also was consisted of various learning and instruction methods(lectures, discussion, presentation, audio-visual education, writing journals, writing autobiographies, personality test, role-playing, using smart phone applications) suitable for learning to knowledge, techniques, attitude. 6. The evaluation of a pre-parent education model for christian young people was applied to formal and informal evaluation. In conclusion, a pre-parent education model for christian young people should be subject to single young people who are older than college students in a church and reflect the needs and characteristics of them to do biblical parental roles efficiently and be consisted of a biblical pre-parent education reinterpreted by christian world views.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청년을 위한 예비 부모교육 모형을 개발하여 기독청년이 부모가 되었을 때 하나님의 대리자로서 성경적 부모역할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 예비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 문제 1. 기독청년을 위한 예비 부모교육 모형 개발 과정은 어떠한가? 1) 예비 부모교육에 대한 기독청년들의 인식과 요구도는 어떠한가? 2) 기독청년을 위한 예비 부모교육 모형 개발은 어떠한가? 연구 방법으로는 첫째, 예비 부모교육에 대한 요구도 조사는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서울·경기 지역 교회의 청년부 예배에 참석하는 20세 이상의 미혼 남녀 400명을 대상으로 강희은(2002)의 ‘예비 부모교육에 대한 기독청년들의 요구도 조사’의 질문지와 이수기·박희숙(2011)의 ‘남녀 대학생들의 부모기에 대한 인식과 예비 부모교육 프로그램 요구에 관한 비교 연구’의 질문지를 기초로 수정, 보완하고 전문가 1인으로부터 내용과 타당도를 확인한 질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5.0을 사용하여 예비 부모의 인식과 요구를 알아보기 위해 백분율을 산출하고 특성별 변인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χ2 검증), t test와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둘째, 예비 부모교육 요구도 분석과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이를 기독교 세계관으로 재해석하여 예비 모형을 구성하였으며, 전문가와 협의 후 기독교 예비 부모교육 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부모교육에 대한 기독청년들의 인식을 살펴보면, 예비 부모교육에 대한 지식 습득 기회는 낮으며 주로 학교 수업과 인쇄매체, 방송매체를 통해 예비 부모교육 지식을 습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필요성을 인식하고 예비 부모교육에 대한 참여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이유에 대해서는 자녀의 교육 또는 양육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 습득을 위함이라고 응답하였다. 둘째, 예비 부모교육에 대한 기독청년들의 요구를 살펴보면, 교육 대상자는 결혼을 앞둔 부부가 적절하다고 생각하며 연령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교육 담당 기관은 교회가 적합하며, 교수-학습방법으로는 세미나, 강의, 토의의 방법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 기간 및 시간은 3개월간 매주 토요일 낮에 1-2시간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층이 높을수록 2-3시간이 적절하다는 응답이 많이 나타나 연령층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교육 내용에는 상황에 따른 의사소통 방법, 부모로서의 책임과 역할, 양육방법, 바람직한 결혼관, 이성교제, 성에 대한 개념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독청년을 위한 예비 부모교육 모형의 목적은 예비 부모들로 하여금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된 자신에 대해 인식을 분명히 하고 성경적 결혼관 확립을 통해 믿음의 가정을 이루어 성경적 부모역할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돕는 것이며, 목표는 하나님의 은혜를 경험하여 자신을 인식하고 긍정적인 자아감 갖기, 성경적 결혼관을 확립하고 바른 이성교제 방법 익히기, 성경적 가정관·부모관·부모역할을 인식하고 자녀 양육방법을 익히는 것이다. 넷째, 기독청년을 위한 예비 부모교육 모형의 내용은 하나님과 함께 자아 세우기(하나님 형상으로 창조된 나, 성격유형 분석을 통한 자기이해, 기독교 세계관 이해·정립), 하나님과 함께 결혼 준비하기(성경적 결혼관, 기독교 관점에서 바라본 성교육, 이성교제, 배우자 선택, 남녀 차이 이해, 의사소통방법), 하나님과 자녀 양육하기(성경적 가정관·부모관·부모역할, 임신과 출산, 자녀 발달 이해, 양육 방법, 의사소통 방법)으로 구성되었다. 다섯째, 기독청년을 위한 예비 부모교육 모형의 교수-학습방법은 성령의 도우심을 구하는 기도와 함께, 학습자의 현재 삶과 경험을 관련짓는 교수-학습방법(매스미디어를 통한 자녀교육 관련 자료 스크랩하기, 어린이의 행동에 대한 어른의 상호작용 형태 관찰하고 기술하기), 지식 전달을 위한 교수-학습방법(강의, 토론, 발표, 시청각 교육), 태도 및 가치 형성을 위한 교수-학습방법(저널 쓰기, 자서전 쓰기, 성격분석), 실제적 기술 습득을 위한 교수-학습방법(역할극), 멀티미디어 활용하기 교수-학습방법으로 구성되었다. 여섯째, 기독청년을 위한 예비 부모교육 모형의 평가는 과정 평가 질문지, 과제, 자신·결혼·부모에 대한 자신의 반성적 사고 기록 쓰기 자료를 분석하는 형식적 평가와 교육내용 인지도에 대한 사전·사후 반응 비교, 프로그램 만족도 및 교육 내용에 대한 사후 요구도 조사 등의 비형식적 평가를 적용한다. 결론적으로 기독청년을 위한 예비 부모교육 모형은 교회에서 대학생 이상의 미혼 청년을 대상으로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된 자신에 대해 인식을 분명히 하고 성경적 결혼관 확립을 통해 믿음의 가정을 이루어 성경적 부모역할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교육 대상자의 특성과 요구를 반영하고 기독교 세계관으로 재해석한 성경적 예비 부모교육

      • 기독교 유아교육을 위한 교회 아기학교 교육과정 설계 연구

        김미영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63

        인간의 발달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시기인 영. 유아기에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은 중요하다. 유아는 생각하고 받아들이는 것이 스펀지와 같아서 무엇을 보여 주고 가르치는지에 따라 영향을 받게 된다. 하나님의 형상을 닮은 유아들이 어릴 때부터 삶의 모든 영역에서 기독교적 가치관을 형성하고 지속적으로 하나님의 자녀로서의 정체성을 유지하기 위해 기독교 유아교육은 필요하다. 현대 사회는 모든 종교와 사상과 사람들을 존중해야 한다는 다원주의, 어떤 절대적인 가치가 없는 선과 악에 대한 태도를 주장하는 상대주의, 물질이 신이 된 물질 만능주의의 시대 속에 살아가고 있다. 진리가 왜곡된 시대에 살면서 다음세대를 이끌어 갈 유아들에게 참된 진리가 무엇이고 그 진리와 가치를 위해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 가르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한국기독교유아교육학회, 1999). 이러한 시대의 특징을 인식하고 한국 교회와 기독교 유아교육에 뜻을 가진 많은 지도자들은 이 나라의 희망이며 내일인 유아들을 기독교적 세계관으로 삶의 전 영역에서 가르치기 위한 연구와 노력을 계속 해 왔다. 특히, 아기 학교는 이러한 중요성에 의해 20여 년 전부터 충신 아기학교에서 처음 시작이 되었고, 한국 교회 아기학교의 모체가 되었다. 이곳의 연구진들에 의해 여러 차례의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교육과정이 개발되어 현재 교육 활동을 하고 있는 많은 교회의 아기학교에 실제적인 도움이 되어 왔다. 하지만 이러한 충신 아기학교의 교육과정은 개별적인 주제에 따른 실행 중심의 프로그램이 많고 신학적, 학문적 바탕을 알 수 있는 문헌들을 쉽게 찾기가 어렵고 개발된 교수-학습 자료들이 오래되어 새롭게 재구성 될 필요가 있다. 또한 각 교회들이 아기학교를 운영하면서 충신 아기학교에서 개발한 교육과정 중에서 일부를 선택적으로 설계해서 운영하다 보니 전반적인 체계가 없고 지역 사회 문화 센터 프로그램을 그대로 들여와 반영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해를 거듭할수록 사역자 변경에 의해 매번 새로운 방향과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실행해야 하기 때문에 사역자와 봉사자 모두가 처음부터 다시 연구하고 준비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무엇보다 나라의 무상 교육으로 인해 아기학교 개월 수에 해당하는 유아들이 어린이집으로 이동을 하기 때문에 교회의 주중 아기학교에서 지역 사회 유아들에게 복음을 전하고, 기독교 적 세계관으로 양육할 수 있는 기회가 줄어들고 있다. 이러한 이유들로 아기학교에서는 세상의 일반 교육과 구별된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체계적이고 실제적이며 전문화된 아기학교 유아교육과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훈련된 기독교 교사가 교육과정의 기초가 되는 유아 및 지식에 대한 기독교적 이해를 바탕으로 자신과 학교 공동체의 교육 철학을 세우고, 그에 따라 교육과정 또는 수업을 설계하는데 있어 학습목표 설정, 학습 내용 구성, 교수-학습 방법, 학습 평가에 적용해야 할 원리들을 기독교적 관점에서 연구하고 찾아 반석 위에 새 집을 짓는 교육을 해야 할 것이다(이정미, 2011, p.25).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다양한 기독교 유아교육과정과 주중 교회학교의 유아교육과정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아기학교 실정에 맞는 2년 과정의 기독교 유아교육 과정을 설계하여 처음 입학한 유아들이 아기학교 개월 수에 해당하는 시기까지 졸업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구성하여 태어나서 가장 중요한 시기인 유아기부터 기독교 유아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돕고자 하는 것이다. 본 논문의 목적을 조금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기독교 유아교육과정과 주중 교회 학교의 유아교육과정을 고찰하여 기독교 유아 교육의 신학적, 학문적 바탕을 밝히고 둘째, 학계에서 인정된 기독교 유아교육의 표준 모델을 살펴보고, 그 장. 단점을 소개하고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보완 모델을 제시하며 셋째, 한국 교회의 주중 학교인 아기학교 실정에 맞는 2년 과정의 기독교 유아 교육과정을 설계하는 것이다.

      • 어린이집 부모교육 실태와 요구에 관한 보육교사의 인식 : 영아반 부모교육 중심으로

        이상희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63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서울, 경기지역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영아반 부모교육의 실태, 요구 그리고 그 차이를 분석하여 개선안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영아반 부모교육 실태는 어떠한가? 2.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영아반 부모교육 요구는 어떠한가? 3.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영아반 부모교육 실태와 요구는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서울, 경기지역에 소재한 보육 기관의 보육교사 200명을 대상으로 2020년 1월 2일부터 3월 5일까지 부모교육의 실태와 요구에 관한 지면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6.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 백분율 그리고 5% 유의도 수준에서 카이검증(x)을 실시하였고 요구 부분의 주관식 문항은 통계분석 다음에 기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영아반 부모교육의 실태에 대해 조사한 결과, 영아반의 부모교육은 반드시 필요하며 영아발달 및 양육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고 효과는 대체로 좋은 편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교사와 협의하여 정보를 획득하고 부모교육을 시행하는데 가장 큰 문제점은 낮은 참여율이며 부모교육의 주체자는 원장, 교사, 부모 모두라고 하였다. 사전고지를 하고 있으며 부모교육의 형태는 가정통신문을 많이 활용하고, 평가 후에 부모교육 피드백은 충분히 반영되고 있다고 하였다. 현재 시행되고 있는 시간은 1회/학기, 평일(월~목), 오후에 1~2시간으로 실시하며 현원의 10~30%가 참여한다고 응답했다. 장소는 어린이집, 강사는 부모교육 전문가를 가장 많이 활용하며 중요하게 다루는 내용은 영아의 발달과 부모 역할임을 밝혔다. 둘째, 보육 교사가 인식하는 영아반 부모교육 요구에 대해 조사한 결과, 부모교육 형태는 가정통신문을 선호하고 시간은 1회/학기, 요일은 금요일을 희망하고, 오후에 1~2시간이 적당하며 참여 적정인원은 현원의 50~70%로 응답했다. 장소는 어린이집, 강사는 부모교육 전문가를 선호하였지만, 원장 또는 교사도 부모교육을 시행할 필요가 있다고 응답하였다. 내용은 영아 발달특성 및 바람직한 부모의 역할을 다루는 것이 적합하다고 하였다. 자유 기술형 문항인 정책적으로 국가지원 부모교육을 필수적으로 받는 건에 대해 ‘동의’가 94.5% ‘반대’가 5.5%로 나타나 대부분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그 이유는 부모 역할증진 및 영아발달 특성의 이해가 필요하기 때문으로 응답했다. 셋째, 보육 교사가 인식하는 영아반 부모교육의 실태와 요구사항을 조사한 결과, 실시요일이 실태에서는 주중(월~목)에 시행되나, 요구사항에는 금요일 오후나 저녁으로 개선되기를 원했다. 또한, 참여 인원이 보다 증가되어야 한다고 응답했는데 현원의 10~30%인 현황을 50~70%가 참가하기를 원한다고 하였다. 이외에 소요시간, 강사, 내용 등 대부분은 현황과 요구사항이 일치하여 대체로 영아를 둔 부모의 교육은 적절하게 시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영아반 부모교육의 실태와 요구 그리고 이 차이를 조사함으로써 현장에서 부모교육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