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기독청년을 위한 예비 부모교육 모형 개발

        위경은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1951

        ABSTRACT Development of a Pre-Parents Education Model for Christian Young People Kyung-eun Wi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ongshi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re-parents education model for christian young people which helps them doing their biblical role of parents efficiently when they become a parent. Specifically, the major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How is the development process of a pre-parents education model? 1) What is christian young people’s understanding and needs of pre-parents education? 2) How is the development of a pre-parents education model(purposes and goals, contents, learning and instruction methods, evaluation)? The research method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study included a sample of 400 single male, female aged 20 or over who were attending young adults worship services in Seoul and Kyung-gi churches. This study used the scale of the questionnaires developed by Kang(2002), Lee and Park(2011). The contents and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s were confirmed from an expert. The data obtained from the research was analyzed using a SPSS 15.0 version computer program. 2. A preliminary model of christian pre-parent education was constructed by reinterpreting the results of analyzing needs of pre-parent education and preceding research from christian world views and A christian pre-parent education model was developed after consult with exper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Christian young people have a lower chance of getting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in pre-parent education but they recognize needs to pre-parent education and would like to participate in the education. 2. The results showed that they want to receive a pre-parent education such as methods of communication in specific situations, parental roles and responsibility, the way of bringing up children, proper perspective of marriage, knowledge of sexual matters by means of seminars, lectures, discussion every Saturday afternoon for 1 to 2 hours within three months in a church. 3. The purposes of a pre-parent education model for christian young people were to clarify perceptions of themselves as God’s creations in the image of God and to help them doing their own biblical parental roles in family of faith by establishing biblical perspective of marriage. The goals of a pre-parent education model for christian young people were to have positive self images and to perceive themselves by experiencing God's grace and to establish biblical perspective of marriage, to learn how to have a healthy relationship, to recognize the biblical perspective of family, parents, roles of parents and to learn the way of bringing up children. 4. The contents of a pre-parent education model for christian young people were composed of establishing self identity(the fact that I was created in the image of God, self-understanding by analyzing personality type tests, understanding and establishing christian world views), preparing for marriage with God(biblical perspective of marriage, sex education from the point of view of Christianity, relationship, choosing a spouse, understand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xes), to bring up children with God), bringing up children with God(biblical perspective of family, parents, roles of parents, pregnancy and childbirth, understanding children’s development, the way of raising children, the method of communication). 5. The learning and instruction method of a pre-parent education for christian young people was about learning and instruction which was related to present lives and experience of learners in order to connect prayer relying on Holy Spirit with active participation and experience of learners. The learning and instruction method also was consisted of various learning and instruction methods(lectures, discussion, presentation, audio-visual education, writing journals, writing autobiographies, personality test, role-playing, using smart phone applications) suitable for learning to knowledge, techniques, attitude. 6. The evaluation of a pre-parent education model for christian young people was applied to formal and informal evaluation. In conclusion, a pre-parent education model for christian young people should be subject to single young people who are older than college students in a church and reflect the needs and characteristics of them to do biblical parental roles efficiently and be consisted of a biblical pre-parent education reinterpreted by christian world views.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청년을 위한 예비 부모교육 모형을 개발하여 기독청년이 부모가 되었을 때 하나님의 대리자로서 성경적 부모역할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 예비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 문제 1. 기독청년을 위한 예비 부모교육 모형 개발 과정은 어떠한가? 1) 예비 부모교육에 대한 기독청년들의 인식과 요구도는 어떠한가? 2) 기독청년을 위한 예비 부모교육 모형 개발은 어떠한가? 연구 방법으로는 첫째, 예비 부모교육에 대한 요구도 조사는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서울·경기 지역 교회의 청년부 예배에 참석하는 20세 이상의 미혼 남녀 400명을 대상으로 강희은(2002)의 ‘예비 부모교육에 대한 기독청년들의 요구도 조사’의 질문지와 이수기·박희숙(2011)의 ‘남녀 대학생들의 부모기에 대한 인식과 예비 부모교육 프로그램 요구에 관한 비교 연구’의 질문지를 기초로 수정, 보완하고 전문가 1인으로부터 내용과 타당도를 확인한 질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5.0을 사용하여 예비 부모의 인식과 요구를 알아보기 위해 백분율을 산출하고 특성별 변인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χ2 검증), t test와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둘째, 예비 부모교육 요구도 분석과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이를 기독교 세계관으로 재해석하여 예비 모형을 구성하였으며, 전문가와 협의 후 기독교 예비 부모교육 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부모교육에 대한 기독청년들의 인식을 살펴보면, 예비 부모교육에 대한 지식 습득 기회는 낮으며 주로 학교 수업과 인쇄매체, 방송매체를 통해 예비 부모교육 지식을 습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필요성을 인식하고 예비 부모교육에 대한 참여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이유에 대해서는 자녀의 교육 또는 양육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 습득을 위함이라고 응답하였다. 둘째, 예비 부모교육에 대한 기독청년들의 요구를 살펴보면, 교육 대상자는 결혼을 앞둔 부부가 적절하다고 생각하며 연령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교육 담당 기관은 교회가 적합하며, 교수-학습방법으로는 세미나, 강의, 토의의 방법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 기간 및 시간은 3개월간 매주 토요일 낮에 1-2시간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층이 높을수록 2-3시간이 적절하다는 응답이 많이 나타나 연령층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교육 내용에는 상황에 따른 의사소통 방법, 부모로서의 책임과 역할, 양육방법, 바람직한 결혼관, 이성교제, 성에 대한 개념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독청년을 위한 예비 부모교육 모형의 목적은 예비 부모들로 하여금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된 자신에 대해 인식을 분명히 하고 성경적 결혼관 확립을 통해 믿음의 가정을 이루어 성경적 부모역할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돕는 것이며, 목표는 하나님의 은혜를 경험하여 자신을 인식하고 긍정적인 자아감 갖기, 성경적 결혼관을 확립하고 바른 이성교제 방법 익히기, 성경적 가정관·부모관·부모역할을 인식하고 자녀 양육방법을 익히는 것이다. 넷째, 기독청년을 위한 예비 부모교육 모형의 내용은 하나님과 함께 자아 세우기(하나님 형상으로 창조된 나, 성격유형 분석을 통한 자기이해, 기독교 세계관 이해·정립), 하나님과 함께 결혼 준비하기(성경적 결혼관, 기독교 관점에서 바라본 성교육, 이성교제, 배우자 선택, 남녀 차이 이해, 의사소통방법), 하나님과 자녀 양육하기(성경적 가정관·부모관·부모역할, 임신과 출산, 자녀 발달 이해, 양육 방법, 의사소통 방법)으로 구성되었다. 다섯째, 기독청년을 위한 예비 부모교육 모형의 교수-학습방법은 성령의 도우심을 구하는 기도와 함께, 학습자의 현재 삶과 경험을 관련짓는 교수-학습방법(매스미디어를 통한 자녀교육 관련 자료 스크랩하기, 어린이의 행동에 대한 어른의 상호작용 형태 관찰하고 기술하기), 지식 전달을 위한 교수-학습방법(강의, 토론, 발표, 시청각 교육), 태도 및 가치 형성을 위한 교수-학습방법(저널 쓰기, 자서전 쓰기, 성격분석), 실제적 기술 습득을 위한 교수-학습방법(역할극), 멀티미디어 활용하기 교수-학습방법으로 구성되었다. 여섯째, 기독청년을 위한 예비 부모교육 모형의 평가는 과정 평가 질문지, 과제, 자신·결혼·부모에 대한 자신의 반성적 사고 기록 쓰기 자료를 분석하는 형식적 평가와 교육내용 인지도에 대한 사전·사후 반응 비교, 프로그램 만족도 및 교육 내용에 대한 사후 요구도 조사 등의 비형식적 평가를 적용한다. 결론적으로 기독청년을 위한 예비 부모교육 모형은 교회에서 대학생 이상의 미혼 청년을 대상으로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된 자신에 대해 인식을 분명히 하고 성경적 결혼관 확립을 통해 믿음의 가정을 이루어 성경적 부모역할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교육 대상자의 특성과 요구를 반영하고 기독교 세계관으로 재해석한 성경적 예비 부모교육

      • 중년여성의 체형에 적합한 視覺 效果를 위한 依服形態 연구

        은하 전남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박사

        RANK : 1919

        복식조형의 시각효과는 의복-인체 구조(Apparel-Body Construct), 즉 인체와 의복 그리고 이들의 상호작용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착용자의 외모가 주는 시각 효과는 의복 디자인 요소의 조합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중년여성의 체형에 적합한 시각 효과를 주는 클래식 스타일의 수트의 형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트의 형태구성요인이 다른 40개의 사진자극물을 제작한 후 4∼5개씩 묶어 평가단으로 하여금 각각의 물리적, 심리적 시각 효과를 다점비교순위평가(多點比較順位評價)하였다. 본 연구에서 다루었던 형태 구성요인은 칼라·네크라인 유형(테일러드 칼라, 스테인 칼라, 스탠드 칼라, 라운드 네크라인, 브이 네크라인)과 하의 종류(스커트, 슬랙스), 포켓 유무(플랩 포켓, 포켓 없음), 여밈 여부(여밈, 여미지 않음)였다. 수트 디자인의 형태구성요인이 갖는 물리적, 심리적 시각효과는 SAS의 paired T-test에 의해 비교 분석되었고, 형태구성요인의 조합에 따른 주 효과와 상호작용효과는 General Linear Models procedure와 Duncan's multiple ranged test에 의해 분석되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먼저 물리적 시각효과에 따른 형태구성요인의 조합을 분석한 결과이다. 1) 목이 가늘어 보이는 효과에는 칼라·네크라인 유형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목을 드러내는 라운드나 브이 네크라인 재킷보다 목을 감싸주는 스테인 칼라, 스탠드 칼라, 테일러드 칼라 재킷에서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어깨가 좁아 보이는 효과에는 여밈 여부와 칼라·네크라인 유형의 순서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칼라가 달린 재킷을 여며서 착용한 경우에 더 높게 나타났다. 3) 가슴이 덜 드러나 보이게 하는 효과 역시 여밈 여부와 칼라·네크라인 유형의 순서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테일러드나 브이 네크라인 재킷을 여미지 않고 착용한 경우 더 높게 나타났다. 4) 배가 덜 드러나 보이는 효과는 여밈 여부의 영향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재킷을 여미지 않고 착용한 경우 더 높은 효과가 나타났다. 5) 허리가 가늘어 보이는 효과에는 여밈 여부, 칼라·네크라인 유형, 포켓 유무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테일러드 칼라, 스테인 칼라, 그리고 스탠드 칼라의 포켓이 없는 재킷을 여며서 착용하는 경우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포켓이 있는 테일러드 칼라 재킷을 여미지 않고 착 용한 경우 허리가 가늘어 보이는 효과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6) 골반이 작아 보이는 효과에는 포켓 유무와 하의 종류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포켓이 없는 재킷을 슬랙스와 착용하는 경우 효과가 더 높게 나타났다. 7) 상반신이 작아 보이는 효과에는 여밈 여부, 하의 종류, 칼라·네크라인 유형 및 포켓 유무가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슬랙스 위에 스테인 칼라의 포켓이 없는 재킷을 여며서 착용하는 경우 효과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8) 하반신이 길어 보이는 효과에는 하의 종류와 여밈 여부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슬랙스 위에 재킷을 여미지 않고 착용한 경우 하반신이 더 길어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9) 키가 커 보이는 효과에는 하의 종류, 칼라·네크라인 유형, 포켓 유무의 순서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슬랙스 위에 포켓이 없는 스테인 칼라와 스탠드 칼라의 재킷을 착용하는 경우 효과가 더 높게 나타났다. 2. 다음은 심리적 시각효과에 따른 형태구성요인의 조합을 분석한 결과이다. 1) 전체적으로 안정되어 보이는 효과에는 칼라·네크라인 유형과 여밈 여부, 포켓 유무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으며 슬랙스나 스커트 위에 테일러드 칼라, 포켓이 있는 스테인 칼라의 포켓이 있는 재킷을 여미지 않고 착용하는 경우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전체적으로 자연스럽게 보이는 효과에는 여밈 여부, 칼라·네크라인 유형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고, 슬랙스나 스커트 위에 테일러드 칼라 재킷을 여미지 않고 착용하는 경우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3) 우아하게 보이는 효과에는 하의종류, 칼라·네크라인의 유형, 포켓 유무, 여밈 여부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커트 위에 테일러드 칼라, 스테인 칼라, 라운드 네크라인의 포켓이 없는 재킷을 여미지 않고 착용하는 경우 효과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세련되어 보이는 효과에는 여밈 여부, 하의 종류, 칼라·네크라인 유형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스커트나 슬랙스 위에 테일러드 칼라의 재킷을 여미지 않고 착용하는 경우 효과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 품위 있게 보이는 효과에는 하의 종류와 여밈 여부와 칼라·네크라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커트 위에 테일러드 칼라, 스테인 칼라 의 플랩 포켓이 있는 재킷을 여며서 착용하는 경우 효과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중년여성의 체형에 적합한 시각 효과를 갖는 클래식 스타일의 수트 형태구성요인의 조합은 다음과 같이 제안될 수 있다. 첫째, 어깨가 좁고 허리가 가늘어 보이며 상반신이 작고 하반신이 길어 보이는 효과 및 키가 커 보이는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슬랙스 위에 포켓이 없는 재킷을 여며서 착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특히 스테인 칼라와 스탠드 칼라 수트의 경우 더 효과적이다. 둘째, 가슴과 배가 덜 드러나 보이며 하반신이 길어 보이는 효과를 위해서는 슬랙스 위에 재킷을 여미지 않고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전체적으로 안정되어 보이고 자연스러우며 세련되어 보이는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스커트 위에 재킷을 여미지 않고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라운드 네크라인 재킷은 스커트 위에 여며서 착용하는 것이 안정되어 보이고 자연스러워 보인다. 전체적으로 자연스럽고 세련되어 보이기 위해서는 테일러드 칼라의 포켓이 있는 재킷을 스커트나 슬랙스 위에 여미지 않고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넷째, 우아하고 품위 있게 보이는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스커트 위에 스테인 칼라의 포켓이 없는 재킷을 스커트 위에 여며서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살펴볼 때, 중년여성의 체형에 적합한 시각 효과를 위한 의복 형태를 위해서는 형태구성요인의 상호관계에 의한 통합적인 착시효과를 높여야 할 것이다. 즉 체형의 윤곽을 약화시키고 인체보다 의복을 우선적으로 인지하도록 하는 의복형태가 중년여성의 체형 결함을 덜 드러나 보이게 하는 시각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유사한 시각 효과를 갖는 의복 디자인의 요소들의 조합을 통해 더욱 강한 이미지를 얻을 수 있으며 반대 이미지를 통해 상쇄된 이미지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황과 목적에 알맞고, 개성 및 기호를 고려한 형태구성요인의 시각 효과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형상이 전체적으로 조형미를 가질 때, 중년여성의 체형을 균형감 있고 매력적인 분위기가 되도록 착용형태미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ombination of suit details through visual evaluation which helps compensating middle aged women's body defects for their more attractive fashion styles. In this study, both physical and psychological types of visual effects are used for evaluating classical styled suits which are tailored for the body shapes of middle aged women. Styles of the evaluated suits are formal and classical. The designs of evaluated suits are manipulated in 40 different kinds by the essential elements such as collars, necklines(tailored collars, round necklines, stein collars, stand collars, V-necklines, etc.), bottoms(slacks, skirts), pocket(flap pocket, none) and opening(opened, closed). The datas evaluated by a multiple ranking test were analyzed by mean, paired t-test, general linear models procedure and Duncan's multiple raged test.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Followings are the physical types of visual effects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suit details on classical suits designed for middle aged women's body shapes ; 1) The middle aged woman wearing slacks looks smaller in upper body, longer in lower part of her body and taller as a whole than when wearing a skirt suit. 2) In case of a middle aged woman, a jacket with non-flap pockets makes her look smaller in upper body and hip and taller in general when she wears jacket with flap-pockets. 3) Opened jacket makes a middle aged woman be seen with less appeared busts and abdomen than that on closed jacket. When wearing a closed jacket, she looks narrower in shoulder, slimmer in waistline, taller than opened jacket. But with a tailored collar opened, she looks taller than with a closed collar. 4) With tailored, stein, stand collar jacket, it looks slimmer in a neck, narrower in shoulder, smaller in upper body, and taller than on a round neckline and V neckline jacket. 2. The psychological types of visual effects in combination of the details on classical suits designed for middle aged women's body shapes are as follows; 1) A middle aged woman on skirts suits look more graceful, more elegant, and a bit more refined than that on slacks suits. 2) A middle aged woman wearing a jacket with flap pockets on looks more balanced, and graceful than when wearing with no pockets. 3) Wearing closed jackets looks more balanced and graceful than on opened jackets. 4) The types of collar necklines can be called the details which put much influence on psychological types of visual effects. Putting on tailored collar suits is the most graceful, refined, balanced and harmonious case than any others. Through above results, it can be proposed that desired visual effects on classical styled suit for designed the body shapes of middle aged women are as follows; First, it will be more effective when wearing both non-flap jackets with stained collars or stand collars to be seen narrow in shoulders, smaller in upper body, and longer in lower part of the body. And also, it is more effective, in order to be seen more balanced, refined and graceful if wearing skirt suits than slacks. Second, it will be more effective when putting on slacks with jackets in open collars to be seen long in lower part of bodies, have less appeared busts and abdomen. And opened jacket looks more balanced, more harmonious and more refined than closed jacket. But it is highly effective that round neckline jacket is worn with jacket button closed. Third, for one's appearing to be more balanced, more harmonious and more refined, wearing an opened jacket with a skirt is effective. And flap pocket and opened tailored collar jacket with skirt are more effective.

      • 남북한 건설협력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교통 인프라 재원 조달 중심

        미라 중앙대학교 건설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919

        The most fundamental purpose of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is to achieve economic growth through peaceful reunifi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However, since two systems, have enormous economic differences due to separation spanning over 75 years, integration of the two systems will not take place in a short period of time, but will incur considerable time and cost for reunification. Reunification costs consist of costs for systemic transformation, social welfare, economic rehabilitation, transportation network improvement, modernizing the energy industry, housings and education, medical facilities to list a few. Although the basic assumptions and scope, estimation methods, or timing of the cost injection, such as the expansion of medical facilities will vary greatly, this study was designed to limit the discussion on ways to expand the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to connect the two Koreas and Korean Peninsula. The two Koreas ‘The Gaesong Industrial Complex’ which was the result of the agreement reached at the first South and North Korea summit in 2000. In 2018, during the third summit, agreement was made which entailed making "Modernizing and Connecting of Gyeong-ui and Dong Hae railway systems and Connecting the Roads,’ the top priority, which was the agreement originally made during the second summit in 2007, but it was not followed through. Therefore, this research will present a systematic strategy for raising funds through studying and analyzing cases of system integration and modification from overseas and eliciting approval from the general public in order to begin a detailed discussion on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There is a bond-issue and tax increase carried out by Germany as means of raising funds for reconstruction and expansion of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which takes into account the needs during reunification and post-unification. Vietnam achieved economic growth through economic reform, and opening the market, and it utilized funds from international financial institutions such as ADB, World Bank, and attracted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Germany achieved economic growth by integration of systems of the West and East Germany, and Vietnam promoted the market economy by maintaining a socialist state and introducing a capitalist system. As such, the two countries have established a single system of financing for economic growth. In the case of the Korean Peninsula, it should seek to finance the deployment of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through economic cooperation while maintaining two different systems. Through the example of the divided Germany utilizing methods of providing funds for unification of political and economic system; through the example of Vietnamese government making an immediate and decisive decision to join the world economy at the onset of restructuring its own government and achieving economic unifications; the Korean Peninsula should seek to draw up a plan to raise funds for establishing a suitable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This research also strives to present a strategy for the government to obtain funding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to utilize and manage financial resources on its own during the transitional period. 남북 경제협력의 가장 근본적인 목적은 한반도의 평화통일로 경제적인 성장을 이루는 것이다. 그러나 75년간의 분단으로 경제적인 차이가 큰 두 체제가 통합하기 위해서는 짧은 기간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상당한 기간과 통일비용이 발생하게 될 것이다. 통일비용이란 체제변환 비용, 사회복지 비용, 경제재건 비용, 교통망 개선 및 에너지 산업 현대화 비용, 주택분야 및 교육. 의료시설 확충 등 기본 가정 및 범위, 추정 방법 또는 비용 투입 시기의 기준에 따라 크게 달라지겠지만, 본 연구에서는 남북 육로 교통망 연결과 한반도 교통 인프라 확충 방안에 대한 논의로 한정하고자 하였다. 남북한은2000년 제 1차 정상회담 시 합의 하였던 ‘개성공단’ 시행을 통해 남북 협력 구도 모델을 만들었으며, 이 후2007년 제 2차 정상회담 시 “경의선, 동해선 철도와 도로 연결 및 현대화’ 사업을 추진하기로 합의하였으나 이행되지 못한 교통 인프라 남북 연결 문제가 2018년 제 3차 정상회담 시 최우선적으로 추진하기로 합의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남북한의 경제 협력을 위한 구체적인 논의를 위하여 재원 조달 방안을 체제 통합 및 체제 전환을 한 해외의 사례를 연구하고 분석하여 국민의 합의를 도출 할 수 있도록 재원 마련 전략을 체계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통일을 대비하고 통일 이후를 고려하는 교통 인프라 재건 및 확충 비용을 위하여 대내 재원 조달 방법으로 독일이 수행 하였던 채권발행 및 조세 인상과 정부의 경제협력기금 및 기업의 사업 부담금이 있고, 대외조달 방안으로는 베트남이 경제 개혁. 개방을 통해 경제성장을 이루었던 사례와 ADB, World Bank등 국제금융기구의 재원 활용과 외국인직접투자(FDI) 유치 방안이 있다. 독일은 서독과 동독이 체제를 통합하면서 경제 성장을 이루었고, 베트남은 사회주의 국가를 유지하면서 자본주의 체제를 도입 시키는 체제 전환으로 인프라 구축을 위한 재원을 마련하였다. 이와 같이 두 국가의 사례는 단일 체제 국가로 경제 성장을 위한 재원 조달 방안을 구축하였으나 한반도의 경우 두 개의 다른 체제를 유지하면서 경제 협력을 통한 한반도 교통 인프라 구축을 위한 재원 조달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분단된 독일 정부가 정치적. 경제적 통합을 이루기 위하여 마련하였던 재원 조달 방안과 베트남 정부가 체제 변환 초기에 빠르게 국제사회에 참여하여 빠르게 성장 하였던 사례를 통하여 한반도에 적합한 교통인프라 구축 재원 마련 방안을 도출하여야 한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국제사회로부터 재원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전략과 과도기 시기에 자체적으로 재원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제시하고자 하였다.

      • 무용 공연제작을 위한 DPPS (Dance Pre-Production System) 프로그램 시안

        보라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1919

        본 연구는 무용 공연예술의 프리 프로덕션에서 포토보이스를 활용하여 무용공연 창작자들의 효과적인 협업방안 및 사전제작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는 창작자가 시·공간의 제약에서 벗어나 시각적 자료인 사진을 통해 소통하고 작품의 아이디어 및 실연 가능한 작품을 개발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 창작 과정의 개념화를 고찰하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ADDIE 모형과 실행연구를 통해 진행되었다. 분석(Analysis) 단계에는 프리 프로덕션, 포토보이스, 시노그래피의 문헌을 조사, 분석하였고 연구 참여자의 요구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무용공연 제작을 위한 프리 프로덕션의 구성안을 설계하여 전문가 집단의 연구 자문 및 타당성 검증을 거쳐 수정, 보완하였다. 설계(Design) 단계는 프리 프로덕션 기본 설계를 바탕으로 예술가 집단의 회의를 거쳐 작품 연구, 제작인력 구성, 세부 계획, 시노그래피로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개발(Development) 단계에서 프리 프로덕션의 구성요소를 기초로 하여 1차 초안을 개발하였고, 실행(Implementation) 단계에서 예술가 집단의 4인을 2조로 나뉘어 120분 총 6차시 연구를 통해 관찰 일지와 사후 심층 면담을 하였다. 평가(Evaluation) 단계에서는 예술가 집단과 전문가 집단의 평가지와 사후 심층 면담의 결과를 바탕으로 수정 및 보완된 DPPS 프로그램의 초기 모형이 도출되었다. 도출된 DPPS 프로그램 초기 모형은 실행연구를 통해 계획, 실행, 관찰, 반성 2차시 연구와 재계획, 실행, 관찰, 반성의 2차시 연구, 120분 총 4차시로 진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 참여자의 의견을 수렴하여 DPPS 프로그램을 수정, 보완하였고 전문가의 검증을 거쳐 최종 DPPS 프로그램을 완성하였다. 이를 토대로 도출한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 공연제작을 위한 DPPS 프로그램의 구성 및 기능은 프리 프로덕션을 기반으로 설계되었다. 협업과 융합을 통해 기획, 제작되는 영화, 영상, 연극 분야의 문헌분석을 통해 무용 공연제작을 위한 프리 프로덕션은 작품 연구, 제작인력 구성, 세부 계획, 시노그래피로 추출되어 구성되었다. DPPS 프로그램의 첫 번째 구성요소인 작품 연구는 포토보이스를 적용하여 파악, 모집, 교육, 기록, 서술, 관념화, 발표, 확증의 8단계 연구방법을 단계적으로 거치며 작품 주제와 연출 방향성에 대해 설정하도록 하였다. 안무가는 수집된 자료를 통해 작품에 참여하는 제작인력을 구성하고 일정 및 장소를 설정하도록 하였다. 순차적으로 작성되는 세부 계획은 작품 제작을 위한 일정과 장소를 설정하고, 작품 제작에 소요되는 예산을 수립하게 함으로써 프로덕션을 위한 준비과정을 할 수 있게 하였다. 마지막 단계인 시노그래피는 작품 주제, 이미지 삽입, 내용, 오브제, 공간, 조명, 음악, 의상, 연출에 관한 내용을 작성하여 작품에 참여하는 협업자와 공유하고 소통할 수 있도록 제시되었으며, 온라인을 활용한 즉각적인 공유는 효율적인 창작 과정을 위한 설계였다. 이를 통한 DPPS 프로그램의 구성과 기능은 무용 공연예술 창작 활동 과정의 효율적인 방향성을 제공하였다. 둘째, 무용 공연제작을 위한 DPPS 프로그램의 편의성은 안무가에게 무용 창작 과정을 제시해 주고, 작품의 아이디어 수집과 확장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다. 사진을 해석하며 다른 관점을 이해하고 토론하는 과정을 거치는 작품 연구단계는 수집된 아이디어를 파생하여 향상하도록 한다. 이를 바탕으로 계획하는 제작인력 구성과 세부 계획은 안무가가 체계적인 공연을 계획할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또한, 작품 연구단계에서 안무가와 무용수의 글쓰기를 진행하여 공유하는 과정을 통해 아이디어가 재확장되어 수집되고 작품의 주제 및 연출을 수립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작성되는 시노그래피는 무용 공연제작에 참여하는 협업자와 공유하여 효율적인 소통을 가능하도록 하고 체계적인 창작 과정을 통해 프로덕션을 계획하도록 하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셋째, 무용 공연제작을 위한 DPPS 프로그램의 활용 가능성은 체계적인 창작 과정에서 수집되는 아이디어를 통해 협업을 위한 자료 공유를 가능하게 한다. 특히 안무가의 추상적인 설명을 보충해 줄 수 있는 자료는 구체화된 작품의 제작 계획을 가능하게 하고 수집된 자료는 온라인 콘텐츠 줌(Zoom)을 활용하여 협업자와 원활하게 공유할 수 있도록 시·공간을 제시한다. 이렇게 수집된 자료는 아카이브가 되고 이를 바탕으로 계획하는 무용 공연기획은 안무가가 체계적인 프리 프로덕션의 과정을 거치면서 완성도 있는 작품을 구현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도출하였다. 이와 같이 무용 공연제작을 위한 체계적인 창작 과정의 DPPS 프로그램은 작품을 발표하는 결과 중심의 창작보다 창작 과정에서 안무가가 작품에 대해 개념적으로 접근하고 협업자와 토론하며 아이디어와 수집된 자료를 공유하는 과정 중심의 창작을 강조하고자 함에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얻어진 한계점을 밝히고 향후 무용 창작 연구에 대한 방향성을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작품 연구단계는 안무가의 의도와 목적에 맞게 연구 참여자의 인원과 분야를 설정하여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무용 공연제작을 위한 DPPS 프로그램은 무용수로 제한하여 활용하는 것에만 그치지 않고 다양한 분야의 전문인들이 협업할 수 있는 장을 형성하고, 협업을 통한 무용 공연제작 방안을 제시해 주고자 한다. 둘째, 온라인 콘텐츠 활용 방안은 창작 연구의 무용 공연예술에서 무한한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처럼 DPPS 프로그램은 추후 앱(application)이나 다양한 콘텐츠로 개발하여 안무가들의 창작 연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무용 공연제작을 위한 무용 창작 연구의 기초 자료가 되어 DPPS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후속 연구와 함께 DPPS 프로그램 적용 사례에 대한 추후 논의가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중등학교의 교원연수이수학점제 운영실태와 개선요구 분석

        전환 안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1919

        이 연구는 연수이수학점제의 실시에 대한 교원들의 관심과 이해정도, 자기연찬 및 전문성확보를 위한 연수 참여 현황, 자비연수를 위한 비용의 부담정도를 조사하여 그 수준을 분석하고, 교원들이 바라는 개선점이 무엇인지를 밝힘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연수이수학점제 운영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문제를 구체적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연수이수학점제의 운영 실태는 어떠한가? 1)교사들의 연수이수학점제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2)교사들의 연수이수학점제에 대한 참여도는 어떠한가? (3)교사들의 자비연수를 위한 비용의 부담 정도는 어떠한가? 2)연수이수학점제의 운영에 대한 교사들의 개선 요구는 무엇인가? 이 연구이 대상은 경기도내 중·고등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교원중, 40개교 421명의 교원으로 하였고,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의 내용은 연수이수학점제의 실시에 대한 교원들의 관심과 이해정도, 자기연찬 및 전문성확보를 위한 연수 참여 현황, 자비연수를 위한 비용의 부담정도, 교원들이 바라는 개선점을 알아보고자 학점취득을 위한 교원연수의 방법, 연수의 평가방법, 연수의 내용, 연수이수학점제의 내용, 연수의 운영방안 등 총 29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조사는 2001년 7월 1일 부터 7월 25일 사이에 실시하였으며, 자료분석은 설문조사에 의해 수집된 자료를 내용과 방법에 따라 SPSS/PC+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각 문항들의 성격에 맞게 개인수준과 집단간의 수준을 비교 응답자의 사례수에 따라 백분율을 산출하고, 조사 대상자의 개인배경 변인과 각 설문의 내용간에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 x^(2)(chi-square)검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교원연수이수학점제의 운영실태 첫째, 교원연수이수학점제에 대하여 경기도내 중등교원들의 대다수가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거나 관심이 없었으며, 알고 있는 교사들도 대부분이 승진에 가까운 교사들을 통하여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수이수 실적을 승진과 보수에 반영하는 방안에 대하여 교사들이 연수성적을 올리는데 급급하다 보면 학생지도에 소홀할 수 있으며, 교원의 전문성 향상보다 승진을 위한 수단이 될 수 있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등교사의 대다수가 50학점이하의 연수학점을 이수하고 있으며, 교육경력 21년이상, 18학급이하, 읍면지역, 남자 부장교사 집단의 누가 학점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교원의 연수 참여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균등한 연수의 기회제공과 연수내용의 보완, 연수비용의 정부지원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2. 연수이수학점제의 운영에 대한 교사들의 개선 요구 첫째, 중등교사들은 학점취득을 위한 연수 방법으로 경력이 많은 교사일수록 연수원이나 대학원에서의 출석수업을, 경력이 적은 교사일수록 컴퓨터를 이용한 원격연수를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등교사들은 연수의 평가방법으로 절대평가를 원하고 있으며, 연수의 내용도 전공교과에 대한 연수를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등학교 교사들은 연수의 내용이나 과정이 학교교육의 내용이나 과정에 대한 연수라기보다는 교사 자신의 승진을 위한 수단으로서의 성격이 더 강하게 작용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따라서 교원연수이수학점제가 교사들의 자기 연찬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면서도 교사의 과다한 연수참여와 경쟁적인 교직사회 풍토를 억제할 수 있는 정책적 배려를 요구하고 있다. 넷째, 교원의 연수는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책임져야 할 사항이므로 연수경비는 국가나 지방단체에서 부담해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으며, 정부에서 연수 경비를 지원해 줄 때 대다수의 교사가 연수에 참여하겠다는 반응을 보였으며, 정부에서의 지원 정도는 연수회비나 경비의 전액을 지원해 주기를 바라고 있다. 다섯째, 중등학교 교사들은 교원의 연수제도의 하나로 원격연수의 학점운영제 실시가 재택연수의 기회를 제공하여 시간을 줄일 수 있다는 의견을 갖고 있으며, 선진국에서처럼 교원의 전문성 유지를 위하여 일정주기 의무연수제도의 도입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밝힌 연구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수이수학점제의 내용에 대한 충분한 연수와 홍보가 필요하며, 둘째, 교원연수이수학점제의 효율적인 정착을 위하여 교원의 연수 기회가 보다 확대되어야 하며, 셋째, 교원연수이수학점제의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기 위하여 연수경비의 일부 또는 전부의 정부지원이 요구되며, 넷째, 교원연수이수학점제의 실시에 따른 역기능을 개선할 수 있는 보완 장치가 마련되어야 하며, 다섯째, 교원의 전문성 유지를 위하여 원격연수제도와 일정주기 의무연수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며, 끝으로, 교원의 자발적인 연수 참여를 유도하는 동시에 인센티브를 부여하여 능력과 실적중심의 교직풍토가 조성되어야 할 것이다.

      • 한국어 교재의 상대경어법 연구 : 여성 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를 중심으로

        정유 中央大學校 大學院 2018 국내석사

        RANK : 1919

        Relative honorific manner system in Korean language is a grammar system that can not be ignored when communicating with others. The speaker should choose the most suitable relative according to the listener. The Korean relative honorific manner system is a grammar system in which even native speakers need to be educated. It is more difficult for female married immigrants. Therefore, the education of relative honorific manner system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is essential. Although female immigrants can learn relative honorific manner system when they communicate with the native speakers, they usually use textbooks to understand the relative honorific manner system. If female immigrants want to use relative honorific manner system correctly, they need to consider social factors, such as age, sex, intimacy, and the situation that conversation happened. So this study analyzed the dialogue statements and listening texts which stressed on the relationship of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in the textbook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Chapter I, I wrote the need and the methods of this study. And previous research on relative honorific manner system of textbooks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were collected. Many scholars had different opinion of the concept of the relative honorific manner system. So I collected the scholars' opinion and defined it newly in Chapter II. The relative honorific manner system can be classified into several specific classes. I classified the relative honorific manner system and tidied the characteristics and usage patterns of each class. In Chapter 3, I added up the frequency of every class of the relative honorific manner system and analysed the problem in the textbook about the relative honorific manner system. Then I analysed the usage patterns of the relative honorific manner of each class in the textbook, depending on factors that are related to age, social status, relationship, and conversation situations. In Chapter 4, I proposed ways to improve the relative honorific manner system in the textbook depending the analyses in Chapter 3. And I also made educational methods which were divided between beginners and intermediate classes. This study was aimed at improving the textbook and making educational methods base on the problems which was related with relative honorific manner system in the textbook. And I hope this study can have some good effects for relative honorific manner system. 한국어 상대경어법은 다른 사람과 의사소통을 할 때 간과할 수 없는 문법 체계이다. 화자는 청자에 따라 적합한 상대경어법 화계를 선택하여 발화해야 한다. 한국어 상대경어법은 한국어 모국어 화자도 교육을 받아야 원활하게 쓰는 문법 체계이다. 여성 결혼이민자들이 상대경어법을 사용하는 데에 어려울 수밖에 없다. 따라서 여성 결혼이민자를 위한 상대경어법 교육은 필수적이다. 여성 결혼이민자는 모국어 화자와 대화하면서 상대경어법을 배울 수 있으나 주로 교재를 통해 상대경어법 체계를 파악한다. 또한 상대경어법 화계를 정확하게 사용하려면 화청자의 나이, 성별, 친밀성, 사회적 지위와 대화가 이루어지는 상황 등 사회적 요인을 고려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여성 결혼이민자를 위한 교재에서 화청자 관계를 잘 나타내는 대화문과 듣기 원문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상대경어법의 사용 양상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제Ⅰ장에서는 먼저 여성 결혼이민자를 위해 만든 교재의 상대경어법 연구의 필요성, 연구 방법과 이전의 연구를 정리하였다. 제Ⅱ장에서는 상대경어법과 관련한 개념을 정리하였다. 우선 상대경어법의 개념에 대해 학자에 따라 다르게 보기 때문에 이전 학자들의 의견을 종합하여 상대경어법의 개념을 재정리하였다. 또한 상대경어법은 몇 가지 세부 등급으로 분류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학자들의 견해를 정리하여 상대경어법의 등급을 나누었고 각 등급의 특징과 사용 상황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상대경어법에 영향을 주는 사회언어학적인 요인을 나이, 사회적 지위, 성별, 친밀성, 친족관계와 대화 상황 6가지로 나누어 상대경어법의 사용 양상을 정리하였다. 제Ⅲ장에서는 먼저 상대경어법 화계들이 각각 교재의 대화문과 듣기 원문에서 나오는 빈도를 통계 처리하였고 각 교재의 단원에서 상대경어법이 대화문, 듣기 원문, 읽기, 쓰기, 문법 등에서의 사용 양상을 분석하여 문제를 제시하였다. 그 다음은 교재에서 각 등급 상대경어법의 사용 양상이 나이, 사회적 지위, 친족관계와 대화 상황 4가지 사회언어학인 요인에 따라 나온 양상을 제시하였다. 제Ⅳ장에서는 한국어 교재 상대경어법의 개선 방안과 한국어 교육 현장에 상대경어법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개선 방안은 제Ⅲ장의 분석을 바탕으로 한국어 교재의 상대경어법 부분이 어떻게 개선하면 좋은지를 제시하였다. 제Ⅳ장에서 교육 방안을 제시했을 때 초급과 중급 교육 방안을 나누어 만들었다. 이 연구는 여성 결혼이민자를 위한 교재에서 상대경어법 사용 양상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이를 바탕으로 교재의 개선 방안과 교육 방안을 제시하여 더 나은 교육 효과를 추구하는 데에 의의가 있다.

      • 호흡기 감염병 예방을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디자인 개발

        호박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919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smart wearable mask design for the prevention of respiratory infectious diseases, and developed a smart wearable mask design by deriving mask design elements by conducting a survey on consumers. To develop a smart mask design, a survey was conducted on Chinese adult male and female consumers in their 20s and 40s through analysis of the consumer market for smart wear in recent years. The collected data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urveyed using the SPSS program, and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tendency of the questionnaire. In order to identify differences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batch variance analysis were conducted, and Scheffe test was conducted as a post-test. The result showed that respiratory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function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when purchasing general masks. The most preferred designs and functions of the smart wearable mast were smear blocking and air purification, mask information display, general mask shape, ear strap detail, easy-to-ear color white, black, gray color, size/fit fit face size, uncomfortable activity, normal mask filter and automatic air purifier. The specific options applicable through analysis of wearable mask products and prior research to prevent infectious diseases at home and abroad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it was intended to establish wearable mask design guidelines and to present wearable mask designs to prevent respiratory infectious diseases. The four smart wearable mask designs were developed with various features through the previously established smart wearable mask guidelines. Design I is equipped with a smear blocking and air purification function to prevent infection, additional mask product information display function to provide information, and waterproof and anti-pollution materials are applied. The fabric is achromatic in black and the middle filter in white, and the replaceable air filter and battery and straps behind the ears are adjustable, making it more convenient and adhering to the human structure. Design II is a general health mask with a string attached to the ear using flexible polyurethane nylon, and is designed as a mask containing a hook to adjust the length of the string to suit the wearer's face shape. Also, based on the survey results, it was designed in achromatic colors. Design III sought to improve the fit by producing wearable mask shapes according to the curved surface of the face through 3D printing. To ensure that the mask sticks well to the nose, a polyvinyl chloride sheath wire nose support was used, and a sponge was attached to enhance adhesion and comfort around the nose. The use of light materials makes it free to wear, easy to carry, weighs less than 100g made of lightweight materials and ultra-lightweight subsidiary materials, and the charging part is detachable. Design IV uses a regular mask filter and an automatic sterilization air purifier filter to make breathing easier, while waterproof materials are made of PU wet coated fabric, hydrophilic or ePTFE laminated fabric, or nano-web exterior washable material. It was intended to develop an easy-to-disconnect air filter from the mask, making it easier to sterilize and wash the filter.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it presents smart wearable mask design through supplementation and improvement of mask design due to prolonged mask usage period.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e data can be used as empirical basic data for mask design by constructing data through design planning of smart wearable masks and researching consumers' perceptions, attitudes, and satisfaction. 본 연구는 호흡기 감염병 예방을 위한 스마트 웨어러블 마스크 디자인을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소비자 대상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마스크 디자인 요소를 도출하여 스마트 웨어러블 마스크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스마트 마스크 디자인을 개발하고자 최근 몇 년간 스마트 착용을 위한 소비자 시장 분석을 통해 20대에서 40대까지의 중국 성인 남녀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한 데이터는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와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사후검정으로 Scheffe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에서 일반 마스크 구매 시 중요 요인을 살펴본 결과‘호흡기 감염병 예방 기능’이 가장 중요하게 나타났고, 웨어러블 마스크 제품에 대한 선호도 조사 결과 비말 차단/공기 정화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웨어러블 마스크 디자인 선호도에 대한 조사 결과, 비말 차단 및 공기 정화 기능, 마스크 정보 표시 기능, 일반 마스크 형태, 귀에 거는 끈 디테일, 색상은 흰색, 검정색, 회색 등의 무채색, 소재는 방오소재, 사이즈/맞음새는 얼굴 사이즈에 알맞은 사이즈, 얼굴에 착용했을 때 볼이나 콧등이 밀리는 불편함이 없는 활동성, 일반 마스크 필터 및 자동살균 공기청정기 필터, 방수 소재, 공기 필터의 분리가 쉬운 형태, 휴대하기 쉬운 100g 미만의 경량이라는 디자인 요소를 도출할 수 있었다. 조사대상자의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외 감염병 예방을 위한 웨어러블 마스크 제품 분석과 선행연구고찰을 통하여 적용 가능한 구체적인 옵션을 조사 및 분석하였다. 또한, 해당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웨어러블 마스크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호흡기 감염병 예방을 위한 웨어러블 마스크 디자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앞서 구축된 스마트 웨어러블 마스크 가이드라인을 통해 다양한 기능을 갖춘 스마트 웨어러블 마스크 디자인 네 가지를 개발하였다. 디자인Ⅰ은 감염 예방을 위하여 비말 차단 및 공기 정화 기능을 탑재하였고, 정보제공을 위하여 마스크 제품 정보 표시 기능을 추가하였으며, 방수 및 오염방지 소재를 적용했다. 원단은 무채색으로 블랙 디자인, 중간 필터 부분은 흰색으로 디자인했으며 교체 가능한 에어필터와 배터리와 귀 뒤의 끈은 조절이 가능해 편리하고 인체 구조에 더욱 밀착되도록 하였다. 디자인Ⅱ는 일반 보건용 마스크 형태로 귀에 끈을 거는 디테일의 이어밴드는 탄력성이 좋은 폴리우레탄 나일론을 사용하였으며, 착용자의 얼굴형에 맞게 끈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후크가 포함된 마스크로 설계하였다. 또한,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무채색으로 디자인하였다. 디자인 Ⅲ은 3D 프린팅을 통해 얼굴의 곡면에 따라 웨어러블 마스크의 형태를 제작함으로써 착용감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마스크가 콧등에 잘 밀착되도록 하기 위해 폴리염화비 닐피복철사인 코지지대를 사용하였고, 코 주위의 밀착과 편안함을 높이기 위하여 스폰지를 부착하였다. 가벼운 소재의 사용으로 착용이 자유롭고, 휴대가 용이하며, 경량소재 및 초경량 부자재로 제작된 100g미만의 무게이며 충전 부분은 탈부착이 가능하다. 디자인 Ⅳ은 호흡이 편안하도록 하기 위하여 일반 마스크 필터 및 자동 살균 공기청정기 필터를 사용하였으며, 소재는 PU 습식코팅 직물, 친수무공 혹은 ePTFE 라미네이팅 직물, 나노 웹 등으로 제작된 외관 세척 용이의 방수 소재를 사용하였다. 공기 필터를 마스크에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필터 살균 및 세탁이 용이한 디자인으로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마스크 사용기간의 장기화로 인해 마스크 디자인의 보완 및 개선을 통한 스마트 웨어러블 마스크 디자인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또한, 스마트 웨어러블 마스크의 디자인 기획 및 소비자의 인식 및 태도, 만족도 조사를 통해 자료를 구축함으로써 마스크 디자인 시 참고할 수 있는 실증적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뉴실버세대의 스마트뱅킹 사용성 향상을 위한 앱 디자인 연구 : 국민은행과 신한은행 스마트뱅킹 앱을 중심으로

        수풍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919

        우리 사회는 고령화 사회에 접근하면서 뉴실버세대의 금융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 스마트뱅킹 이용이 점차 활발해지고 있다. 그러나 타 연령대에 비해 그들의 이용 수준은 현저하게 떨어지고 있었다. 선행연구 결과 스마트뱅킹 사용성 향상을 위한 앱 GUI 디자인 방안의 연구는 이제 시작 단계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뉴실버세대를 위한 국민과 신한은행의 ‘큰 글씨 이체’ 서비스를 선정하여 GUI 디자인 구성 요소를 기반으로 한 사용성 평가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으로서 스마트뱅킹을 사용 경험이 있는 뉴실버세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에 의해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사용성 평가 기준을 제안하기 위해 뉴실버세대를 배려하여 GUI 디자인 구성요소(컬러, 레이아웃, 아이콘, 타이포그래피, 네비게이션)와 사용성 원칙(일관성, 간결성, 효율성, 심미성, 인지용이성)을 바탕으로 체크리스트 방법으로 설문 항목을 작성하였다. 연구 결과로 뉴실버세대의 스마트뱅킹 경험을 바탕으로 사용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디자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①컬러 측면에 있어서 뉴실버세대는 질 식별하기 위해 배경색으로 화이트를, 메뉴는 블루로, 텍스트에는 블랙을 사용하며, 입력창에 옐로로 변화를 주고 중요 정보에 레드 포인트로 적용하면 큰 효과를 낼 수 있다. ②레이아웃 측면에서 뉴실버세대들이 다시 학습하지 않도록 구성요소들이 앱의 맨 위나 아래에 전체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정보를 그룹화해 화면 구성은 간결하게 배치되고, 키보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입금은행 선택'과 '계좌번호 입력'이 한 페이지에 배치되고 또 '계좌잔액'과 '출금가능 잔액'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③아이콘 측면에서 인지 능력의 저하 때문에 동일한 기능이라면 한 화면에 아이콘을 하나 제공하고, 아이콘에서 화이트 배경과 블랙의 숫자로, 사이즈를 1.20*0.70cm의 크기로 디자인하는 것이 좋다. ④타이포그래피 디자인에 있어 산세리프체인 고딕체를 선택하고 양을 최소화하고, 한글을 18포인트로, 색을 레드로, 중요한 정보를 볼드체로 디자인해야 한다. ⑤ 네비게이션 측면에서 뉴실버세대들이 인지 능력의 저하 때문에 메뉴를 한꺼번에 보고, 메뉴에 있는 글자 크기가 18포인트로 디자인하는 것이 좋다. 네비게이션 디자인을 선(Line) 형태에다 원형 점에 안에 숫자를 표기해 넣는 것이 좋다. 뉴실버세대들은 젊은 세대의 사용자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신체적, 인지적 제한 특성들로 인해 스마트뱅킹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따라서 뉴실버세대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스마트뱅킹 향상시키는 디자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디자인 방향에 따라 스마트뱅킹 서비스를 사용하는데 있어 뉴실버세대들에게 더 좋은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Our society is becoming an aging society which new silver generation is interested in using smart banking, However, compared to other age groups, their utilization level is considerably declining. Based on the preceding researches, the study of how to improve the smart banking app on GUI design is in the beginning level currently. Therefore,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smart banking usability evaluation of the Kookmin and Shinhan bank's " large letters transfer" service for the new silver generation based on the GUI design components. The research method is that a survey of the new generation with a silver smart banking experience was evaluated. This study selected GUI components and usability principles considering (Consistency, Simplicity, Efficiency, Aesthetics and cognition faction) for the new silver generation(color, layout, icon, typography and nagvigation) by using the checklist to raise the standards of the usability evaluation, based on which helped created the items for the questionnaire. Results are presented that design methods could improve the usability of smart banking, based on the experiences of the new silver-generation. ①In color quality aspects, white as the background color can help the new silver generation to identify, the menu is in blue, and black is used for text, When applied to the red point in the input window to critical information to change the color into yellow which can make a big difference. ②layouts are arranged beneath the top or components of the app to prevent new generations from learning again, information has been grouped to display the configuration is concisely arranged, It provides a keyboard interface, and "Deposit bank choice "and" Enter account number' should be placed on one page, also the information of "Account balance" and “Withdrawal Balance available” should be on this page as well. In icon aspect, due to deterioration of cognitive abilities, only one icon should be provided on one page with the same function. On the icon, the number is using white and black is used on the background, it is better to design the size to the size of 1.20 * 0.70cm. ④As for typography, all San Serif Font typefaces should be the best choice and try to use minimum amount in the text, 18 points, The color should be red, and to consider the design, the important information should in bold.⑤ In the navigation aspects, because of deterioration of cognitive abilities in the new silver generation, in order to see the whole page at once, the text size on the menu can be designed with 18 points. A good navigation design should be a construction that numbers placed inside the points which are added on a line. Compare to the users of the younger generation, new silver generation may have more troubles with the smart banking interfaces due to the physical and perceptual limitation. Therefore a design methods based on the new silver generation smart banking experiences should be improved and presented. So if it is designed like this, the new silver generation will have a even better experience.

      • Petak의 위기관리단계에 따른 탕산(唐山)대지진 분석 및 개선방안

        진병 제주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1903

        인류 공통의 집인 지구를 보면 지구의 성장 과정에서 자연재해가 빈발하고 공룡시대나 인류시대나 자연재해라는 단어에 소름이 끼치고 떨린다.중국의 960,000제곱킬로미터의 광활한 땅에서 심각한 자연재해는 예로부터 셀 수 없이 많으며 빈번한자연재해는 중국 사회와 전 세계에 심각한 경제적 손실을 가져왔고 일련의 사회 문제를 야기하고 사회의 정상적인 발전을 방해했다. 위기사건은 이미 비정상상태의 우발에서 정상상태화의 빈발로 전환되였고 전반사회의 위기감은 날로 심각해지고있으며 많은 모순은 일촉즉발의 위기에 처해있다.오늘날 사회는 위기의 순간이 존재하고 어디에나 있다고 말할 수 있다.각종 돌발사건은 사회와 인류에게 거대한 손실과 엄중한 재난을 가져다주었고 인류의 안전과사회안정을 엄중히 위협하였으며 인민대중에게도 심리적상처를 남겨주었다.위기는피할 수 없지만 관리할 수 있다.위기가 빈번해지는 오늘날 한 국가가 위기의 발생을 줄이고 위기의 손실을 줄이며 정부의 위기대응 효율을 높이려면 위기관리를 법제화해야 한다. 중대재해 앞에서 국가지도자와 정부의 위기관리 능력이 특히 중요하며 생명안전을 최우선으로 하고 사망자 수를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대중을 조직하여 효과적으로 위험을 피하고 예측과 방비를 강화하며 점차적으로 자국의 국정에 맞는 효과적인 공공위기관리시스템을 형성하고 있다.본 연구는 Petak의 위기관리 단계 이론을중심으로 중국 허베이성 탕산 대지진 사례와 결합하여 위기관리의 실제 경험을 요약한 것으로 중국의 위기관리 시스템 개선에 중요한 현실적 의의를 갖는다. 이성적인 국민적 위기의식은 재해 위기관리의 전제다.좋은 재해 의식과 위기 대응능력은 모든 정부 관리와 대중의 기본 자질이며 모든 국민은 위기 예방과 위기 대응을 기본 의무와 책임으로 삼아야 한다.재해 위기의식과 대처 능력을 갖추고 구조와 자구책을 터득해야 재해를 피하거나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본 연구는 탕산(唐山)지진을 중심으로 중국의 국가여건과 위기관리의 발전상황을결합하여 현 단계에서 중국의 위기관리 발전에 대해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