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거문고 연주의 음색분석과 미디재현에 관한 연구

        이재은 이화여자대학교 실용음악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647

        In the present day,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digitalized music and the increasing instances of the musical works applied with MIDI(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the efforts to introduce MIDI to the Korean Classical Music have been enhancing. While it has already been quite common and that the western acoustic musical instruments are being performed in MIDI, the actual cases of Korean Classical instruments with MIDI have relatively remained unnoticeable. In response to the need for the studies of korean classical music performance with MIDI, this thesis, keeping Gŏmungo in focus, makes two researches for the MIDI-applied basis. With the purpose of the timbre analysis preceding the sound synthesis, the first study concerns the comparison and the analysis of the sound spectrum, then the following study reproduction of the characteristic essential performing techniques. It is required, prior to this, to analyze the sound spectrum of every string on the basis of the thickness of the each string, the types of the bridges, and the conditions for the use of Suldae method in terms of instrumental structure and the performance technique. As a consequence, despites playing the equivalent tones, there can be found that the number of the overall partials or the amplitude differs greatly in proportion to the thickness of the strings. Similarly, though tuned in identical tones or composed of the strings of same thickness, of the high frequency sphere, it is the types of the bridges that alter the subtle discrepancies in the amplitude of the partials. Likewise, through the spectrum analysis, it has turned out that the timbre can be varied by Big, middle and small point in the method of Suldae, which Gŏmungo is performed with. The second examination is to convert the physical factors of Gŏmungo performance to the MIDI factors and accordingly, to reproduction the operating the Gŏmungo performance by MIDI. By analyzing the computerized samples of Gŏmungo performance technique it comes to the following results - the amplitude is likely to be influenced by the frequency, and the changes are related to the tempo. Thus it is necessary to convert the data of the amplitude and the pitch, frame by frame, to the MIDI factors capable of being applied in the MIDI sequencing program. As the change of pitch is converted to the pitch wheel change, the change of the amplitude to the track volume, the MIDI time unit is substituted for the second-unit and then the performing tempo. After recording the Gŏmungo performance reproduced by MIDI and analyzing the changes of the pitches and the amplitude, the result of the analysis is concluded to be identical to the one of actual performance. This thesis points out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each string and in timbre, based on the structure of Gŏmungo and the performance conditions, establishing the foundation of the sound synthesis for the Korean traditional sound resources. existing MIDI system standardizes the western music, which means the inevitable limitation and the inadequacy in reproducing the Korean traditional performance of its own completely, it is considered, nonetheless, the attempt to reproduce Korean Traditional music by the use of MIDI, will help reinforce its potentiality without doubt. Hereafter with the digital standardization and the succeeding further studies about the MIDI-applic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development of the most optimized and original Digital Interface and Mechanical Control Unit suitable for the traditional performing methods will be expected to make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 with MIDI more accurate and exquisite. 현대 사회에서 컴퓨터 음악이 발달하고 미디를 이용한 음악작업의 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미디(MIDI, 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에 한국음악을 도입하고자 하는 노력이 많아지고 있다. 이미 서양 어쿠스틱(acouustic) 악기의 소리는 많은 연구를 통하여 미디에서 보편적으로 연주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한국악기는 미디에서 실제 연주에 근접하게 사용되는 예가 거의 없다. 이에 본 논문은 한국음악의 미디 연주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을 느끼고 한국악기 중 하나인 거문고를 선택하여 미디 사용 기반을 위한 두 가지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그 첫 번째 연구는 소리 합성(sound synthesis)을 위해 선행되어야 할 음색 분석을 목적으로 사운드 스펙트럼(sound spectrum)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며 두 번째 연구는 거문고의 특징적인 연주기법을 미디에서 재현하는 것이다. 첫 번째 연구에서는 현의 굵기, 현의 받침의 종류와 술대(鉥儓)법 사용과 같은 악기의 구조적, 연주적 조건을 기준으로 각 현의 사운드 스펙트럼을 분석하였다. 분석된 결과를 보면 같은 음을 연주한다 할지라도 현의 굵기가 다르다면 전체적인 배음의 수와 음량에서 차이가 있었고 같은 음으로 조율되고 같은 굵기를 가진 현이라 하더라도 받침의 종류가 다르다면 높은 주파수영역 대에서 배음의 미세한 음량 차이를 보였다. 또한 술대법의 대점과 중점과 소점의 사용으로 섬세한 음색에서 웅장한 음색까지 다양한 변화가 나타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두 번째 연구는 거문고 연주의 물리적인 값을 미디값으로 변환하여 미디에서 사용하는 기능을 조작함으로 재현한다. 컴퓨터를 이용한 분석을 통해 거문고의 연주기법은 음고(frequency)에 따라 음량(amplitude)이 함께 변화하며 그 변화는 속도에 의해 좌우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거문고 연주기법을 음량(音量)과 음고(音高)의 변화를 프레임별로 분석한 데이터를 미디 시퀀싱 프로그램(MIDI sequencing program)에서 사용하는 미디 값으로 변환하여야 한다. 음고의 변화는 피치 휠 체인지(pitch wheel change)값으로, 음량의 변화는 트랙볼륨(track volume)값으로 변환하고 연주의 속도는 연주기법의 프레임을 시간으로 변환하고 다시 미디에서의 시간단위로 바꾸어 대입하여 재현한다. 재현된 결과의 검증을 위하여 미디로 재현된 거문고의 연주를 다시 녹음한 뒤 컴퓨터를 사용하여 음고와 음량의 변화를 프레임별로 분석하였더니 실제 거문고의 연주를 분석한 것과 흡사한 결과가 나왔다. 본 연구는 거문고 구조와 연주 조건에 따른 각 현의 음색적 특징을 살펴봄으로 한국음악의 음원개발을 위한 소리 합성의 기초자료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또한 현재의 미디체계는 서양음악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한국 고유의 연주기법의 완벽한 재현을 위해서는 한계가 있지만 미디 기능의 조작을 통하여 재현해 봄으로 한국음악의 미디 사용의 가능성을 넓히고자 하였다. 앞으로도 한국음악의 디지털 표준화와 미디응용에 대한 보다 많은 연구가 계속되어진다면 한국악기의 음원의 질적 향상이 이루어지고 고유의 연주기법에 최적화된 독자적인 디지털 인터페이스와 물리적 제어장치가 개발된다면 미디에서 더욱 손쉽고 정밀한 한국음악 연주가 가능해지리라 생각한다.

      • 게임 장르에 나타난 게임음악의 특성 연구

        박남예 이화여자대학교 실용음악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647

        최근 컴퓨터의 대중화라는 새로운 환경과 더불어 영화, 애니메이션, 게임은 21세기의 유망산업으로 자리잡고 있다. 그 중에서도 게임산업은 많은 사람들에게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고 그에 따른 음악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게임음악은 초기부터 현재까지 음악적으로 많은 발전을 해왔음에도 불구하고 학문적 접근이나 체계적 연구는 부족한 편이었다. 기존 문화 형식에 맞도록 개발된 이론이나 방법론에 적용하기 어려우며 다양한 양상으로 전개되는 게임과 그 음악적 특성을 포착하기가 쉬운 일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게임의 음악적 특성을 장르 구분하여 살펴보고 게임음악의 발전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분석에 앞서 게임음악의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분석에 필요한 게임을 선정하기 위하여 한국게임산업개발원의 게임산업진흥 중장기계획과 주요 게임산업 통계를 참고하였다. 그리고 게임종합지원센터에서 분석한 게임 소비성향 우선 순위에 따라 1위 <스타크래프트(전략 시뮬레이션게임)> 2위 <포트리스(슈팅게임)> 3위 <테트리스(퍼즐게임)> 4위 <고스톱(보드게임)> 5위<디아블로2 (롤플레잉게임)>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게임은 전략적 특징과 더불어 음악의 기능에 따라 타이틀 음악, 인터페이스 음악, 스테이지 음악으로 나누어 살펴보았고 게임과 게임음악의 상관관계를 유추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게임음악은 게임의 몰입도를 위해 장르에 따라 음악의 특성이 판이하게 다르고 일관적 법칙을 적용하기 매우 어렵다는 것을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음악이 실재감을 느끼게 하되 또 다른 가상세계를 창출해야 한다는 의미에서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었으며 화면에 생동감을 주고 정서적 분위기를 제시함으로서 영상 이미지 전달 효과를 강화시키고 게임의 시작부터 끝까지 일관된 통일성을 지니기 위해서 게임음악이 보조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점을 도출하였다. 앞으로도 게임음악은 음악적 재능 발휘와 더불어 체계적인 실험과 이론적 연구가 병행하여 연구되어져야 할 것이다. 게임음악은 종합 영상효과에 많은 영향을 미치며 문화적 요소들의 결합 속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이기 때문이다. In the time of a new environment resulting from the wide use of computers, recently, movies, animation and computer games have been entering into the line of the 21^(st) century promising industries. Among those newly rising industries, the computer game industry has attracted people' attention and thus the importance of its background music is coming into the spotlight. Although the music for computer games continues to develop until today, an academic approach to or systematic research on it has been insufficient. This is due to the difficulty of applying the theory or methodology developed suitable only for the previous cultural modes to a new environment, and of capturing the musical features in the games, which are developed with various aspects. Therefore, this study was designed to classify the genres of musical characteristics of games and then find a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music for computer games. Prior to analysis, to examine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music for computer games and select the games for analyzing, the middle and long-term plans for game industry promotion by the Korean Game Development and Promotion Institute and the statistical data on major game industries were referenced. According to the ranks of customers' preference analyzed by the Game General Support Center, five gam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e first rank, Starcraft (strategy simulation game), second, Fortress (shooting game), third, Tetris (puzzle game), fourth, Go-stop (board game), fifth, Diablo Ⅱ (role-playing game). The music for those computer games was classified as title music, interface music, and stage music by their strategic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and then examined.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game and its music were also inferr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t was known that in the case of music for computer games, it was very difficult to apply universal rules, since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the music for computer games were totally different from one another in each genre in order to make players absorb themselves into the games. However, they were the same in the way that they should make feel reality and create another virtual reality simultaneously. It was induced that the music for the computer games functioned as the medium to strengthen the effect of conveying images on screen by providing liveliness and emotional atmosphere to the screen, and also performed the complementary role of maintaining consistency throughout the game. The study on the music for computer games should be continued together with organized experiments and theoretical research so that musical talents could be displayed, because music for computer games will have a great influence on general image effects and play an important role in uniting cultural elements.

      • <환타지아 2000>의 음악분석을 통한 음악과 영상과의 상관관계 연구

        김은주 이화여자대학교 실용음악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47

        영상음악은 영상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대중문화를 이끌어가는 경쟁력을 지닌 하나의 문화상품으로 영상의 내러티브를 표현하는 보조적인 기능에서 독립적인 분야로 인식이 바뀌고 그 중요성이 증대되었다. 따라서 앞으로의 영상음악의 질적 발달을 위해서는 음악자체에 관한 연구를 뛰어넘어 음악과 영상과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가 불가피하게 되었다. 8개의 에피소드로 구성되어 있는 <환타지아 2000>은 클래식 음악과 애니메이션을 결합한 형태로 영상을 위한 음악의 제작방법에 있어 선녹음 후작화의 방법으로 만들어진 작품이다. 본 논문은 애니메이션 요소의 도입을 통해 음악작품의 표현성을 보다 풍부하게 드러내어 음악의 역할이 강조된 작품인 <환타지아 2000> 을 통하여 추상적 이미지 표현 , 동적 재현 , 내러티브의 동조화의 목적에 따른 음악의 다양한 이미지화를 위해 어떤 음악적 요소들이 사용 되었으며, 각 요소들의 특징이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이미지화 되는지 집중적으로 접근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음악이라는 경험을 통해 얻어지는 다양한 시각적 재현의 사례들을 발견하고, 이미지화를 가능케 하는 다양한 음악적 요소들과, 공통된 특징들을 발견하였다. 연구결과 ‘음악적 요소의 추상적 이미지화’는 전체적인 음악 형식과 구조 및 조성, 음역, 빠르기, 다이내믹 등의 음악적요소를 중심으로 이미지의 구조나 색채변화에 영향을 주는 일반적인 양상을 보였다. ‘음악적 요소의 동적 재현화’는 악기의 음색과 연주기법에 따른 음악적 색채감을 중심으로 이미지의 배경과 색채적인 변화에 주목하고, 디즈니 애니메이션의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미키마우징과 관련지어 캐릭터의 움직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음악적 요소의 내러티브를 위한 동조화’는 음악이 영상의 내러티브를 돕는 영화음악으로서의 기능을 바탕으로 다양한 시각으로 접근하여 라이트 모티브의 사용과 배경음악적 기능이 강조되어 멜로디나 화음 등의 음악적요소가 영향을 미치는 특징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음악의 형식, 배경적 요소, 장르적 특징은 음악의 스토리 구성에 영향을 받고, 곡의 빠르기에 따라 영상의 움직임이 동조화되며 미키마우징의 사용이 일반적임을 보여주었다. 악기군의 변화와 다이내믹에 따른 영상의 변화는 배경요소와 캐릭터의 움직임에 골고루 재현되어짐도 발견할 수 있었다. 음악의 역할이 강조된 영상을 통하여 음악과 영상과의 상관관계를 연구한 본 논문은, 영상제작에 있어 음악의 역할이 단순한 보조적 기능이 아닌 영상의 내러티브표현의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새로운 각도를 통해 발견하였다. 또한, 영상의 전개를 돕는 음악적 요소들이 영상의 내러티브표현의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되어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앞으로도 영상음악의 발전과 효과적인 영상음악제작을 위하여 다양한 각도의 깊이 있는 연구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recognition of image music has been changed as an independent field from subsidiary function, which expresses narrative of an image as one cultural product having the competitiveness to lead popular culture with the development of visual industry together, and its importance has been increased. So the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music and image by jumping over the study on music itself is inevitable to develop the quality of image music from now on. <Fantasia 2000>, which is composed of 8 episodes, has a combination of classic music and animation, and this work is made by a method of pre-recording and post-creation in making music for im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the expressivity of music works more abundantly by inducing element of animation, and approach and analyze with more concentration which musical element was used for various imaging of music by the purpose of expressing abstract image, dynamic reconstruction, and synchronization of narrative through <Fantasia 2000>, a work that musical role was strengthened in, and how each feature of elements had influence and how it was imaged. According to this, this study found examples of various visual reconstructions obtained by the experience of music, various musical elements that made the imaging possible, and common features. As the result of this study,‘abstract imaging of musical element’ entered on typical phases which had influence on the structure or color change of an image centered on musical element such as the whole musical form, structure, and composition, pitch extent, tempo, dynamic, and so on. In ‘dynamic reconstruction of musical’, it indicated that elements, which had influence on movement of a character, could be found by keep an eye on the background of an image and color change, and make it relate to Mickeymousing that could be regraded as major feature of Disney animation centered on musical impression of color by tone of musical instrument and playing techniques. In ‘synchronization of musical element for narrative’, it presented that a feature, which musical element such as melody or chord had influence, could be found by the use of light motive and the reinforced background musical function through various visual approach on the basis of the function of film music that music helped the narrative of an image. Also it indicated that musical form, background element, genre feature were influenced on composition of musical story, the movement of an image was synchronized by tempo, and the use of Mickeymousing was typical. The change of musical instruments and the change of an image by dynamic were reconstructed on background element and movement of a character equally. This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music and image through an image, which musical role was reinforced, found the fact that music played a important role of narrative expression of an image, not simple subsidiary function in making an image from a new viewpoint. Furthermore, this study drew the conclusion that musical elements, which helped to develop an image, had to be used variously by the purpose of narrative expression of an image. The deep study with various viewpoints must be accomplished continuously to develop image music, and make it effectively.

      • TV광고의 영상유형에 따른 음악적 특징과 스타일 분석 : 2003년 광고 분석을 중심으로

        박은정 이화여자대학교 실용음악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47

        멀티미디어 시대의 도래와 함께 광고에 있어서 TV 광고의 비중은 점점 더 커지고 있다. 이는 TV가 시각과 청각을 모두 이용하는 매체로 시청자를 화면 앞으로 끌어당겨 감정이입을 시키며 메시지를 전달하는데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TV 광고에 쓰이는 영상과 음악은 제품의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하여 구매력을 높이는 기능뿐 아니라 동시에 한 시대의 문화적 흐름을 반영하고 더 나아가 그 흐름을 주도하는 역할까지도 담당함을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현재 TV에 방송되고 있는 광고물을 통해 실제로 광고 영상과 음악이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살펴보고 광고 영상에 따른 음악의 특징들을 정리함을 통해서 효과적인 광고 음악 제작을 돕기 위한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광고 영상에 따른 음악의 쓰임에 대한 본 연구에 분류 방법과 기준은 다음과 같다. 2003년 1월부터 6월까지 TV에 방영된 광고들 중 표집일 당시 광고자료 싸이트에 올라온 광고 156개를 '영상분석도구'와 '음악분석도구'에 의해 각각 분석하였고 분석한 자료들을 통해 영상과 음악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광고를 영상기법에 따라 크게 10가지로 기본 형식으로 구분 지을 수 있었고, 각 형식에 따른 표현기법들을 정리해 보았다. 이 표현기법 안에 포함되어 있는 광고 영상의 요소인 명암, 칼라, 화면의 속도, 지리적 위치, 모델의 성, 연령에 따라 음악 요소인 음악종류, 장르 및 사용악기, 리듬 및 가락, 멘트, 로고, 음향효과의 특징들이 모두 다르게 나옴을 살펴볼 수 있었다. 특히 영상의 명암과 칼라는 음악의 장르 및 사용악기와 상호 효과를 높이는 작용을 하고 있음을 찾아낼 수 있었고 그 외의 요소들도 서로 복합적인 작용에 의해 영향을 주고받음을 살필 수 있었다. 하지만 영상에 따른 음악의 사용에 있어서 대체적인 경향과 흐름을 발견할 뿐 각 요소에 대한 일관적인 법칙을 정할 수는 없었는데 그 이유는 각 요소들이 매우 다양하고 복합적인 조합으로 광고 안에서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다. 앞으로 본 연구를 바탕으로 좀더 체계화된 영상 요소에 따른 음악적 요소의 상관관계 및 특징들을 밝혀서 겉잡을 수 없이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TV 광고 영상에 대한 효과적인 음악제작을 도모하는 것에 큰 진보가 있게 되길 기대한다. With the advent of multi-media era, the importance of TV advertisement is increasing in the advertisement field. TV is a very effective instrument to deliver messages because it attracts viewers to the TV screen and possibly causes an empathy effect by affecting both visual and auditory sense. Thus images music used in the TV advertisement raise the purchase of goods by delivering the contents of goods effectively. Moreover TV advertisement not only reflects cultural trends of contemporary world, but also leads them by creating a new one. This dissertation firstly researches how images and music are actually utilized in the TV advertisement released in the current TV broadcasting. Based this research, it secondl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ular music used in accordance with each image. Finally it induces several implications which are useful to produce effective advertisement music. Analytical methods and standards adopted in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The first sampling was focused on the advertisements which were released in TV broadcasting from January 2003 to June 2003. Out of these sampled advertisements, this research selected 156 samples posted in advertisement material web-sites on the very day of research again. These 156 samples were analyzed by both 'image analysis instrument' and 'music analysis instrument'. On the basis of these analyses, this research examined correlation between image and music. The result shows that advertisement can be classified as 10 basic types according to each image technique. Each basic type is discriminated by light and shade, color, speed of screen, geographical position, sex and age of model. Again, the result shows that these image-related factors differentiate musical factors such as genre, musical instruments, rhythm, key, comment, logo, and sound effects. Especially, it was observed that color, light and shade of image have synergistic effect with musical instrument and genre. In addition, other factors mutually affect each other by complicated interactions. However, the achievements of this research were limited only to find general tendency in the use of music related to image. The research failed to determine consistent rule on the correlation of each factor because each factor influences each other in the advertisement by making various and complicated mixture of affection. This dissertation is just a first step to more specified future researches on the correlation between image and music in the advertisement. Thus, I finish this dissertation with expectation that future researches will bring great progresses in producing effective advertisements by ideal mixture of image and music.

      • <크리스마스의 악몽>의 음악 분석에 의한 Danny Elfman의 애니메이션 음악 스타일 연구

        김보미 이화여자대학교 실용음악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647

        Following the development of animation, the music that accompanies animation has come along in such a way, that now it has become a separate genre of music.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 and the visuals is an intimate one, in that music not only provides the tone that the visuals are trying to set, but it also is a narrative tool that draws the pictures of time and space. Due to the advances in multi-media technology, the boundary of music's role has broadened, and its function has become much more versatile. This allows us to look for more ways to develope the field of animation music. In order to further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usic and the visuals and their characteristics, we shall analyze one of the works of a great animation music composer, Danny Elfman - <Tim Burton's The Nightmare Before Christmas>. First, we will determine Danny Elfman's style and musical background by examining his filmography. We will also study the unique style that is produced when Elfman works together with Tim Burton. <Tim Burton's The Nightmare Before Christmas> was one of the nominees for the Golden Globe's Best Original Score Award, and it won the Best Music Award at the Academy of Science Fiction, Fantasy & Horror Films. Danny Elfman not only composed the musical score, but he also played the voice of one of the characters, and took part in the production of the film, making it a work that we analyze to be a full portrayal of his distinct musical style. In the film, there are three different settings - The Halloween Town with it's frightening, yet innocent residents, The Christmas Town, with its bright and colorful scenery, and the place of the humans, which give off a rather stoic and apathetic smell, compared to the two imaginary towns. In order to see how the music presents the different settings, we analyze the structure of the music and the different musical elements in the detailed scenes. In displaying the various images in a fast-paced style, Elfman uses many different methods. The use of modulation for the purpose of avoiding the traditional methods and the free harmony motion led by notes, such as the auxiliary notes and the passing notes of the chromatic scale break the traditional harmonic categorization of basic scale and alteration. The tune freely goes back and forth from them, bringing the three drastically different scenarios smoothly together. Elfman also impressively uses irregular beats, which were mixed in with the regular beats to sometimes create a sense of surprise. Occasionally, the regular beat of the rhythm changes so that transitions in the scenes follow the work of the camera. In addition, The rhythm of the music well reflects the exaggerated expressions and images that animations are known to have. The main characters are followed by their own theme music that are arrang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cenes, and they do well to describe the psychological and the emotional states that the characters are in. One can clearly see that Elfman's work far exceeds the function of a background music. Just like the words and the actions of the characters, music is used for the characters to tell the stories in direct and concise ways, and it gives life to these hand-made characters. In order to continue to produce effective animation music such as the work of Danny Elfman, there will be a need to further research and develope the field. 애니메이션 음악은 애니메이션과 함께 나타나기 시작하여 현재는 하나의 독립된 장르로 발전하였다. 영상에서 궁극적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감정의 진로를 제시하고, 내러티브의 시 · 공간적 장치가 되어 그에 따른 운동 영역을 청각적으로 그려 주는 음악에 대한 인식은 애니메이션의 음악과 영상을 밀접하고도 본질적인 관계로 만드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멀티미디어의 발달과 기술력의 도입으로 인해 음악의 영역과 기능 역시 과거에 비해 매우 넓고 다양해졌기 때문에 이에 따른 애니메이션 음악의 발전적 과제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에 따라 영화 · 애니메이션음악가 대니 엘프만(Danny Elfman, 1953~ )의 음악 스타일을 알아보기 위해 그의 작품 중 <크리스마스의 악몽(Tim Burton’s The Nightmare Before Christmas, 1993)>의 음악 분석을 통해 스토리 전개에 따라 영상과 음악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음악적 구성 요소의 특징을 찾아보았다. 먼저 대니 엘프만의 생애를 통한 작품 경향을 살펴봄으로써 그의 음악적 배경과 스타일을 알아보았고 팀 버튼(Tim Burton, 1958~ )과의 작업들을 통해 표현된 그들만의 독특한 스타일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연구의 주제로 선정된 <크리스마스의 악몽>은 골든 글로브 ‘작곡상(Best Original Score)’의 후보에 지명 되고 공상과학·판타지·호러 필름 ‘최우수음악상(Best Music)’을 수상했으며, 대니 엘프만이 작곡뿐 아니라 직접 주인공들의 목소리로 연기하고 제작에까지 참여하며 그만의 뚜렷한 음악적 스타일을 인정받았던 작품으로서 분석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 겉으로 보기엔 공포로 가득하지만 내면은 순수하고 천진난만한 표정의 할로윈 타운, 밝고 화려한 색감으로 가득 찬 크리스마스 타운, 두 상상의 마을보다 오히려 단순하고 무표정한 현실의 인간 세계를 음악이 어떻게 반영하고 이끌어 가는지 연구하기 위해 음악의 구성과 형식, 세부 장면에 따른 음악적 요소 등을 분석하였는데 이렇듯 다양한 이미지를 다채롭게 있게 풀어내기 위해 대니 엘프만은 여러 방법을 사용하였다. 고전적인 방법을 탈피한 전조의 사용과, 보조음·경과음 등 반음계가 유도하는 자유로운 화성진행으로, 기본음계와 변화화음으로 분류되던 고전적인 화성의 벽을 허물고 이를 다채롭게 넘나듦으로써 세 마을의 극단적인 풍경을 자연스럽게 엮어준다. 또한 변박이 인상적으로 사용되었는데 기준박의 계열이 다른 박자들을 한 곡 안에 혼재시킴으로써 관객에게 예상치 못한 의외성을 부여하거나, 박자의 기준박을 변화시킴으로써 카메라 워크를 이끌어가며 장면의 흐름을 유도하기도 한다. 그리고 애니메이션의 특성상, 등장인물의 형태와 개성이 과장되고 뚜렷한 캐릭터의 특징을 음악의 리듬을 통해 잘 반영하고 있다. 이러한 각 등장인물의 테마 음악이 해당 인물이 나올 때마다 다양하게 편곡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를 통해 캐릭터의 내면심리와 섬세한 감정선의 변화를 표출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서 대니 엘프만의 음악은 단순히 배경음악에 그치는 것이 아닌, 등장인물이 대사나 동작 못지않게 자신의 이야기를 들려줄 수 있게 하는 직접적이고 간결한 언어로써, 무생물인 애니메이션의 캐릭터에 생명을 불어넣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앞으로 이러한 애니메이션 음악의 효과적인 제작과 발전을 위해서 더욱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TV 홈쇼핑 상품유형에 따른 배경음악 연구

        정다은 이화여자대학교 실용음악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47

        TV 홈쇼핑은 TV라는 방송매체를 통해 대중성, 사용의 편리성, 감성의 자극성 등을 이용하여 시청자를 화면 앞으로 유도한다. 이 중 감성을 자극하는 요소인 시각과 청각, 즉 상품의 영상과 배경음악을 이용하여 소비자와 방송 상품을 연결한다. 특히 배경음악은 판매하는 상품의 효과적인 연상 작용을 위해 사용되며 상품 이미지를 증대시키어 소비자의 구매 의도를 높이는 역할을 하고 있다. 본 논문은 TV 홈쇼핑에서 방송된 프로그램의 배경음악을 통해 상품에 따라 어떤 음악이 사용되는지 살펴보고 상품 유형에 따른 음악의 특징들을 분석하여 전문적인 음악 선곡을 위한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상품에 따른 음악 장르의 사용에 대한 본 연구의 분석 방법과 기준은 다음과 같다. 현재 국내 5개 TV 홈쇼핑사에서 판매되고 있는 상품들을 10개의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각각의 표본상품을 지정하였다. 2008년 1월부터 8월까지 방송된 표본상품, 총 415개의 프로그램에서 사용된 배경음악을 취합하여 음악 장르를 분석하였고 분석한 자료들을 통해 상품 유형과 음악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상품 유형에 따라 사용되는 음악이 세분화되어 있었고 이에 따른 음악적 특징들은 상품과의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배경음악은 상품에 내재되어 있는 이미지, 방송되는 프로그램의 내용, 상품을 구매하는 주 고객층의 연령을 표현하는 음악적 요소로서의 기능을 하였으며 음악장르와 음악의 빠르기, 음향 효과를 통해 상품별 프로그램에 나오는 영상 이미지와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특히 상품 유형의 특징들과 음악 장르는 상품의 이미지 표현을 높이는 상호작용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상품에 따른 음악 장르의 사용에서 절대적인 법칙을 정할 수는 없었는데 이는 TV 홈쇼핑에서 사용되는 대중음악의 장르가 다양하고 연구자마다 기준이 달라 대중음악 장르를 명확하게 체계화할 수 없기 때문이다. 현재 TV 홈쇼핑에서의 상품 유형에 따른 배경음악의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처음 시도한 이 현황 분석을 통해 배경음악 선곡 분야가 학술적으로 체계화되는 기초가 되길 바라며, 이런 연구가 나날이 전문화되어 가는 TV 홈쇼핑의 배경음악 부분에서 지침서가 되어 새로운 시도로 더욱 확장시켜지길 기대한다. TV home shopping induces the audience through the broadcasting media or TV by taking advantage of its popularity, convenience and sensuous stimulus. In order to stimulate the senses, especially the visual and auditory senses, the TV home shopping programs use video images and background music, linking consumers with the commodities being broadcast. In particular, the background music is used for effective association to enhance the images of commodities as well as consumers' intention of purcha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background music pieces used for the TV home shopping commodities and analyze their characteristics to find some implications for professional selection of the background music pieces.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analytical methods and criteria were used. The commodities put on 5 domestic TV home shopping channels for sale were divided into 10 categories, and the sample commodities were chosen for each category. Then, the background music pieces for a total of 415 programs broadcast from January through August, 2008 for the sample commodities were analyzed for their genres, and thereupon, the correlations between commodity categories and their background music pieces were test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music pieces had differed depending on commodity categories, while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sic pieces were closely correlated with the commodities. The background music pieces had acted as the musical elements expressing the images inherent in commodities, contents of the program broadcast and appealing to the major customers by age. Specifically, genres, tempo and sound effects of the music were correlated with the video images of the programs introducing the commodities. In particular, characteristics of commodity categories and genres of music interacted with each other to enhance expressions of the commodity images. However, it was not possible to determine an absolute law to have commodity categories match genres of music, because the genres of pop music used for the TV home shopping were too diversified, while the criteria for them differed among researchers, not allowing for a clear and systematic categorization of genres of music. So far, no research has analyzed the background music pieces for the TV home shopping by commodity category. Hence, it is hoped that this first attempt to analyze the background music for the TV home shopping will be followed up by future academic efforts, and it is also hoped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for a guideline for future studies which will analyze the background music for the TV home shopping more extensively.

      • 타케미츠 토루(武滿 徹:Takemitsu Toru)의 영화음악에 나타난 전통음악 수용의 작곡기법 연구 : <란> 작품을 중심으로

        김혜란 이화여자대학교 실용음악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47

        서양음악의 도입 이후 각국의 음악문화는 커다란 변화를 가져 왔다. 이 과정에서 서구 중심적인 사고와 그에 따른 전통음악에 대한 경시는 20세기 전반 동아시아 음악문화의 공통된 현상이었다. 새로운 창작에서 현대성을 획득하는 문제가 각국의 문화적 토양으로서의 전통에서 가능하다는 인식은 서양음악의 수용이 어느 정도 자리를 잡은 20세기 후반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멀티미디어의 발달로 영화는 음악의 영역과 기능 역시 과거에 비해 매우 넓고 다양해졌기 때문에 영화음악의 창조적 과제가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일본의 작곡가<타케미츠 토루>가 영화음악 작곡한 구로사와 아키라 감독의 영화『란』의 음악을 분석하여 일본 전통음악과 서양악기를 사용하여 영상에 함께 쓰였는지 영상과 음악의 매치와 사용, 그리고 영화의 극의 진행과 맞물려 어떻게 등장하고 있는지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이에 따라 <타케미츠 토루>의 음악 스타일을 알아보기 위해 그의 작품을 직접 채보하여 영상과 음악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음악적 구성 요소의 특징을 찾아보았다. 먼저 그의 생애를 살펴보고, 그의 현대음악 작품에 걸쳐 드러난 특징과 영화음악 작품세계를 통한 음악적 배경과 독특한 스타일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구로사와 아키라 감독의 영화 『란』은 1985년 영화이며 서양의 대표적인 문학, 셰익스피어 작품 중, 『리어왕』을 동양적으로 각색한 것으로 색채적인 영상과 일본 전통음악을 함께 사용하여 일본 전통음악과 서구의 현대음악이 어떻게 융화되고 있는지를 알아보도록 하겠다. 본 연구를 통해서 <타케미츠 토루>의 음악은 단순히 배경음악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심리적 기능으로 그가 나타내려고 하는 음악의 기능으로 이 연구의 전 과정을 통해 <타케미츠 토루>의 음악적 경향들과 함께 그의 내면의 작품 세계관까지도 들여다보기로 한다. Since introduction of the Western music, many nations' music culture underwent great changes. In this process, West-centered thoughts and dismissal of the traditional music were the common phenomena in the East Asia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The perception that acquisition of modernity in new creations would be feasible based on the tradition as a cultural soil emerged belatedly in the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 when the Western music had come to be much accommodated. On the other hand, owing to development of the multi-media, domain and functions of music have been wider and more diverse than in the past, requiring a creative challenge for film music.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Japanese composer Takemitsu Toru's film music, focusing on director Kurosawa Akira's film "Ran" for which he had composed music and thereupon, examine how Japanese traditional music was mixed with the Western music and how music was harmonized with video images and thereby, review how music proceeded according to development of the film scenes. In order to examine Takemitsu Toru's music styles, the researcher sampled his music pieces to analyze correlation between video images and music and review the characteristics of his musical elements. Then, the researcher reviewed his life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shown in his contemporary music works, his musical background and unique styles. Kurosawa Akira's film "Ran" was produced in 1985, dramatizing in an Oriental way Shakespeare's "King Lear" representing the Western literature. The researcher examined how the colorful video images were mixed with the Japanese traditional music to harmonize the Japanese traditional music with the Western contemporary music. Besides, the researcher examined not only Takemitsu Toru's background music for the film but also his inside world of art represented as the musical tendencies or the psychological functions he wanted to show.

      • 뮤지컬「레미제라블」분석을 통한 음악의 극적기능에 관한 연구

        강수현 이화여자대학교 실용음악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47

        공연문화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공연문화는 다양해지고 또한 질적으로도 향상을 가져왔다. 특히 대표적 공연문화인 뮤지컬은 짧은 역사임에도 불구하고 빠른 속도로 발달, 성장하고 있다. 19C 엄청난 규모의 블록버스터형 뮤지컬이 등장하며 다양한 양식이 서로 배합되어 그랜드 오페라에 접근하게 된다. 그랜드 오페라의 음악적 스케일을 획득한 송-스루 뮤지컬은 일반적인 대사 없이 음악으로만 이루어진 뮤지컬로 음악의 역할이 매우 크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도 송-스루 형식의 뮤지컬이 창작되고 있지만 체계화 된 자료가 미비하여 뮤지컬 음악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요구된다. 본 논문은 세계 4대 뮤지컬의 하나인「레미제라블」의 음악을 분석하여 음악적 특징과 음악의 극적인 기능을 통해 작곡가 쇤베르크의 작품 스타일과 작곡기법에 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에 10주년 공연인 런던 '드림 콘서트' 영상 자료의 29곡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전곡의 음악 구성, 조성과 화성진행, 리듬, 악기편성과 가사에 따른 음악의 표현법, 음색 등을 분석하였다. 전 세계 33개국에서 5천만 명이라는 관객을 끌어들이며, 미국 브로드웨이에서 16년 동안 중단 없이 공연되고 있는 저력 있는 뮤지컬「레미제라블」은 나폴레옹 제국 시대 이후 동맹국이 프랑스 왕으로 추대한 샤를르 10세의 시대가 멸망하기까지의 이야기이다. 젊은이들의 피 끓는 혁명정신과 노동자, 농민의 거친 저항정신 그리고 가난하고 소외된 계층의 사람들의 인간애를 다룬 문학적이면서도 세대를 넘어서는 영원한 리얼리티에 쇤베르크의 웅장하면서도 힘찬 에너지의 강렬한 음악은 세계적인 뮤지컬이 될 수 있게 한 원동력이 되었다. 「레미제라블」의 음악 분석을 통해 알아본 극적인 기능을 하는 음악적 표현기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원작의 탄탄함을 바탕으로 한 가사에 음악은 철저히 따라가고 있다. 형식과 조성을 나누는 가장 큰 요인은 인물과 상황 그리고 가사의 내용이다. 그리고 박자, 화성, 음정, 리듬, 음색은 가사의 운율과 특정 단어가 가진 의미에 의해 결정되어진다. 둘째, 극 전체의 조직적인 반복을 통해 음악적 통일성을 주고 있다. 인물, 심리, 특정 상황에 따라 반복되는 리프라이즈와 라이트모티브가 극 전반에 걸쳐 유기적 관계를 가지고 조화롭게 어울리고 있어 관객의 이해를 돕고 있다. 셋째, 쇤베르크의 탁월한 음악의 극적 기법 중 하나로, 서로 다른 멜로디를 둘 이상의 배우가 동시에 부르며 서로 다른 가사를 통해 그들의 대립되는 관계와 심리를 표현하는 대위선율을 꼽을 수 있다. 넷째, 다양한 음색을 통한 분위기의 연출이다. 대부분 높은 음역을 노래하며 락-오페라적인 스타일의 특징을 보이는 배우들의 음색, 전형적인 대편성에서 벗어나 전자악기와 드럼, 색소폰 등의 악기를 통해 다양한 분위기와 스타일을 연출하고 있는 악기편성 그리고 극의 분위기와 상황에 현실감을 더해주며 극적인 효과를 주고 있는 음향효과로 극을 연출하고 있다. 다섯째, 음악의 테크닉적인 다양한 지시와 표현 기법을 이용하여 인물의 성격을 부각시키고 장면을 묘사하며 감정을 더욱 섬세하게 표현하고 있다. 이를 통해 비록 다른 블록버스터 뮤지컬에 비해 화려하지 않지만 화려하고 웅장한 인상을 주는 이유는 곡 전체에 걸친 반복과 가사의 의미, 운율 그리고 느낌을 철저히 따라가고 있는 음악의 강력한 추진력 때문이다. 이를 통해「레미제라블」은 송-스루 형식의 전형이 될 수 있음을 본 연구를 통해 확인 할 수 있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도 송-스루 형식의 창작 뮤지컬 제작이 증가되고 있지만 체계적인 연구와 자료가 미흡한 상황이어서 뮤지컬 음악에 대한 연구가 절실한 실정이다. 예술성과 대중성을 두루 갖춘 뮤지컬 음악이 만들어지기 위해서는 많은 연구와 극본의 내용을 이해하는 거시적인 안목, 그리고 창의력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끝으로 본 연구가 한국 창작 뮤지컬의 완성도 높은 음악과 제작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In the one of avocation in modern society human, seeing of performing arts aroused and amplified the interest of performing arts more and it was contributed to the qualitative improvement and diversification of performing arts. A musical, the one of varied performing arts, is glowed and well-developed rapidly in spite of the shorten history. In the 19 century, a blockbuster musical was appeared with huge scale and it was approached the grand opera by the mixing of valid style. A song-through musical, acquired the musical scale of grand opera, is composed the only music without general lines and this is the most important and enormous role in musical. This thesis will investigate the artwork style and composition technique of composer Schoenberg through the dramatic function of music and musical characteristic from the music analysis of 「Les Miserables」,the one of the world's top four musical and the best stage of song-through style. Related before, the thesis analyzed the tone, expression way of music and so on according to composition, tonality, progress of harmony, rhythm, instrument formation and lyrics of all pieces that is 29 pieces of image and music in London 「Dream Concert」on the 10th anniversary concert. An energetic musical 「Les Miserables」, played without interruption during 16 years at Broadway and attracted 50 million audience during the playing in 33 countries worldwide, is the story with historical backdrop until the destroying of CharlesⅩ, crowned as France King by ally, period after Napoleon Empire Age. 「Les Miserables」, is a worldwide musical with added a strong and grand music of Schoenberg on the perpetual reality over generations and a literary musical with operated well the poor and neglected class of people's humanity, a rough resistance spirit of peasants and a revolution spirit of young blood and labor. Musical expression, rolled the dramatic function through the analysis of 「Les Miserables」, is followed the next. Firstly, the music is following the lyrics on the solidity of original perfectly. The biggest reason of dividing formality and tonality is the details of lyric, situation and character. Beat, harmony, key, rhythm and tone is determined by the rhythm of lyric and meaning sense of specific words. Secondly, it gives the musical unity through the organized repetition of all play. Reprises and Leitmotives are repea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 mentality and specific situation and then it helps the understanding of audience by being in the harmony with close relations through all play. Thirdly, the one of Schoenberg's excellent dramatic technique of music can be pointed out a counterpoint, expressed the mentality and against relationship of two or more actors through the each different lyrics when they sing the each different melody at the same time. Fourthly, it is directed the mood by various tone. The play is directed by sound effects to give a dramatic effect and add a sense of reality into the mood and situation of play, instument formation to direct a various mood and style from the using of drum, saxophone, electronic instrument and so on instead of a typical full-orchestration and tone of actors to show a feature of rock-opera style and sing the upper register mostly. Finally, it is expressing the emotion more finely to describe the scene and bring the character's character into relief by using of varied technical directions and representation techniques of music. Although 「Les Miserables」 is not impressive than other blockbuster musical, more impressive and magnificent reason of 「Les Miserables」is that the stronger momentum of music is following the feel, rhythm of music, the sense of the words and repetition throughout the whole pieces of music. In addition, I could be verified from this study that 「Les Miserables」 could be the model of song-through style. Although the production of musical composition is increasing recently in Korea, a systematic study and organized data of musical music is not enough so a study of musical music is urgently needed. For making a musical music with artistry and popularity has to be supported a creativity, many studies and a broad discrimination to understand the details of script. In conclusion, I wish this study to be helpful for high performed music and production of Korean creation musical.

      • 뮤지컬「오페라의 유령」에 나타난 앤드류 로이드 웨버의 음악적 특징 연구

        강효욱 이화여자대학교 실용음악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647

        뮤지컬은 노래와 춤, 기악음악, 무대장치, 의상 등 다양한 분야를 포함하는 종합 예술의 한 형태이다. 본 논문은 뮤지컬 작곡가 앤드류 로이드 웨버(Andrew Lloyd Webber, 1948-)의 작품「오페라의 유령」(The Phantom of the Opera, 1984)의 음악적 요소들을 분석하였다. 음악적 구성 요소의 특징을 연구함으로써 관객으로부터 큰 감동을 불러일으키는 음악적 요인과 스토리를 극적으로 끌어가는 데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요소들을 찾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웨버만이 갖고 있는 독특한 음악스타일에 대해 연구하였다. 먼저 뮤지컬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뮤지컬의 정의와 구성요소, 그리고 발전사를 알아보았고 앤드류 로이드 웨버의 생애와 작품세계를 살펴봄으로써 그의 음악적 배경과 스타일을 알아보았다. 연구의 주제로 선정된 「오페라의 유령」은 토니상을 비롯하여 전 세계 50여 개의 주요 상을 석권하였으며 세계 4대 뮤지컬에 선정되는 등 앤드류 로이드 웨버의 가장 인정받는 작품으로서 분석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오페라의 유령」에서 사용된 음악의 모든 구성 요소들은 작품의 스토리 전개와 등장인물의 심경 변화, 그리고 분위기를 이끌어가는 데에 중점적으로 사용되었다. 첫째, 특정 음정들의 반복 사용과 변형으로 내용을 암시해주었다. 각 멜로디들에 사용된 음정들을 살펴보면 시작 부분부터 장 6도, 완전 5도 하행 도약을 하는 등 일반적으로 멜로디에 사용되지 않는 도약 음정들을 과감하게 쓰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급격한 도약 음정을 반복&#8228;변형 사용함으로써 관객들에게 공감을 끌어낼 뿐만 아니라 관객들이 각 장면의 연관된 내용을 자연스럽게 연상시키도록 하였다. 둘째, 오페라의 구성 요소들을 모방하여 사용하는 등 클래식 음악 같은 분위기를 연출하였다. 독백 부분에서 사용되는 레시타티보, 프리마돈나의 화려한 기교가 돋보이는 카덴차 부분의 멜리스마, 여러 사람의 대화를 잘 표현해 주는 앙상블 등 눈에 띄는 오페라의 요소들을 사용함으로써 클래식 음악의 요소를 가미하였다. 또한 대위법의 기법인 카논을 사용하기도 하였으며 형식면에서도 동기를 구조적으로 변형&#8228;발전시켜 작품 전체를 마치 하나의 곡처럼 표현한 것은 클래식 음악의 형식을 재현한 듯 하였다. 셋째, 독특한 색깔의 화성을 일관성 있게 사용함으로써 관객들의 이해를 돕고 작품 전체에 안정감을 주었다. 전체적으로 단순한 코드의 진행으로 이루어진 곡들의 사이사이에 특정 코드를 반복적으로 사용하여 독특한 분위기를 연출하였으며 주요 부분들의 마지막에는 공통적으로 웨버 특유의 신비코드(Mistic chord)를 사용하여 작품을 안정감 있게 마무리하였다. 넷째, 악기와 조성을 바꾸어 사용함으로써 등장인물의 심경 변화와 내용의 변화를 표현하였다. 크리스틴과 라울의 아리아 부분에서는 하프와 현악기의 아르페지오가 연주되어 연인의 아름다운 사랑을 표현하는 한편 유령이 등장하는 부분에서는 오르간의 반음계 하행 스케일이 무겁게 연주되어 위협적인 분위기를 표현하였다. 또한 ♭조에서 #조로의 전조를 사용함으로써 극의 분위기 전환을 연출하였으며 반음 상행 전조를 사용하여 한층 밝아지는 주인공의 심경을 연출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웨버의 다양한 시도는 「오페라의 유령」을 보다 수준 높은 작품으로 끌어올리는 데 기여하였으며 대중이 클래식 음악을 더 친밀하게 접할 수 있는 기회도 만들어 주었다고 할 수 있다. 현대사회에 들어서면서 뮤지컬 음악은 친밀한 대중문화로 자리 잡아 가고 있다. 이러한 때에 문화ㆍ예술 분야의 발전에 있어 뮤지컬에 관한 연구는 꼭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서 뮤지컬에서의 음악이 단순히 뮤지컬에 속하는 하나의 요소가 아니라 극에 활력과 생기를, 때로는 절망과 슬픔을 불어 넣어 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앞으로 이러한 뮤지컬 음악의 효과적인 제작과 발전을 위해서 더욱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Musicals are a kind of composite arts embracing a variety of areas such as singing, dancing, instrumental music, stage devices, and costume. This study presents analysis results of the musical elements in The Phantom of the Opera by a musical composer Andrew Lloyd Webber(1948-). An investigation into the musical components was intended to identify the musical factors that could touch the audience to a great degree and the elements affecting the dramatic flow of the story. Another focus was placed on the unique musical styles of Webber. First, a review was made of musicals in definition, components, and history, which was followed by a consideration of Webber's life and works and musical backgrounds and styles. The Phantom of the Opera chosen as the subject of the study dominated major award ceremonies, which reached about 50 and included Tony, for the last couple of decades and was regarded as one of the four greatest musicals in the world. It's one of his most recognized works and thus has enough meaning for the analysis. All the components of the music used in The Phantom of the Opera had main purposes of helping develop the plot, depict the changes to the psychology of the characters, and lead the atmosphere. First, the repetitions and alterations of certain intervals gave hints for the plot. The intervals used in each melody were deemed daring in that they were hardly used in general melodies. They would take a downward leap in a major 6th or perfect 5th from the beginning. By using those rapid lead intervals for repetitions and alterations, Webber succeeded in inducing empathy from the audience and helping them associate the scenes with related stories naturally. Second, he created an atmosphere of classical music by mimicking the elements of an opera. The most outstanding elements he borrowed from an opera include the recitativo used in a soliloquy, the melisma of the cadenza part where the splendid techniques of the prima donna were overwhelming, and the ensemble that well described the conversations between several characters. In addition to those elements of classical music, he also employed canon, a counterpoint technique, and changed and developed the motives in a structural manner to present the whole musical as a piece and reproduce the forms of classical music. Third, he used harmonies of unique colors in a consistent way and thus helped the audience with their understanding and made the entire work more stable. He created a unique atmosphere by inserting certain chords between the pieces of simple chords many times. Every major part is wrapped up by his own mystic chords and ends in a stabilized manner. Fourth, he gave changes to the instruments and tonalities to describe the changes to the minds of the characters and stories. The harp and string instruments are played in arpeggio when Christine and Raul sang an aria in order to express the beautiful love between the two characters. As the phantom appears, the organ is played heavily in a downward chromatic scale to create a threatening atmosphere. He also turns the atmosphere afresh by using modulations from ♭to # and uses an upward chromatic scale to depict the much happier mood of the main characters. Those diverse and new attempts he made contributed to raising the level of The Phantom of the Opera even higher and provided the public with a chance to get familiar with classical music. In modern society musical music has settled down as part of familiar pop culture. Now it's more than necessary to do research into musicals amid the active growth of culture and arts. The analysis results drew a conclusion that music in the musical was not a mere component but played a critical role in making the musical alive with rich vitality, liveliness, despair, and sadness. In future more constant and systematic research efforts should be made for more effective production and development of musical music.

      • 대금연주의 컴퓨터 분석을 통한 미디연주에서의 재현에 관한 연구

        조희영 이화여자대학교 실용음악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47

        최근 컴퓨터를 이용한 음악이 발달하고 미디(MIDI, Musical Digital Interface)를 사용하는 인구가 점차 늘어남에 따라 미디에 한국음악을 도입하고자 하는 노력이 많아지고 있다. 하지만 미디는 서양악기와 서양의 음계를 기준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미디를 사용하여 한국음악 고유의 특징을 살린 연주를 하기는 어렵다. 이에 미디를 사용하여 한국음악을 연주하는 방법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을 느끼고, 한국의 대표적 관악기중 하나인 대금의 음계와 중요한 연주기법인 요성(搖聲)을 미디연주에서 재현하는 방법을 연구하고자 한다. 대금의 음계와 한국악기만의 독특한 연주기법인 요성을 미디연주로 재현하기 위해 먼저 이들을 분석하여 표준화된 데이터로 만들었다. 대금음계의 음정은 미디의 표준음계인 12평균율과 달랐는데, 12평균율에서 반음이 100cent인데 반해 대금음계에서 반음에 해당하는 1율(律)은 144cent 또는 90cent로 이루어져 있었다. 요성은 음고(frequency)와 음량(amplitude)이 지속적으로 변화되는 연주기법이므로 요성이 될 때 음고와 음량이 변화하는 폭과 속도를 컴퓨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요성이 될 때 음고와 음량의 변화관계는 음고가 높아지면 음량도 커지고, 음고가 낮아지면 음량도 작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분석된 데이터는 미디에서 사용하는 데이터값으로 변환되어 미디 시퀀싱 프로그램(MIDI Sequencing Program)에 대입되어야 한다. 대금의 음계는 미디 시퀀싱 프로그램에서 대금음계의 음고와 가까운 12평균율의 음의 음고를 조작함으로써 대금의 음계를 미디연주로 재현할 수 있다. 미디에서 음고의 변화를 제어하는 메시지는 피치 휠 체인지(Pitch Wheel Change)로 이 메시지의 데이터값을 변화시키면 12평균율로 표현되지 않는 미소음정(微小音程)까지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12평균율과 약간씩 음정의 차이가 있는 대금의 음계를 재현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요성을 재현하기 위해서는 음고와 함께 음량도 변화시켜야 하므로 미디 시퀀싱 프로그램에서 피치 휠 체인지 값을 변환시켜 음고를 변화시키고, 음량의 변화를 제어하는 메시지인 트랙볼륨(Track Volume)을 변환시켜 음량의 변화를 재현하였다. 이렇게 재현된 결과의 검증을 위하여 미디로 재현된 대금연주를 다시 녹음한 뒤 다시 컴퓨터를 사용하여 음고와 음량의 변화를 분석하였더니 실제 대금연주를 분석한 것과 흡사한 결과가 나왔다. 본 연구는 현존하는 미디체계를 사용하여 한국음악의 음계와 요성을 재현하는 방법을 연구한 것이기 때문에 음계를 재현하는 과정에서 음이 바뀔 때마다 각 음에 해당하는 피치 휠 체인지값을 대입해 주어야 했다. 또한 요성을 표현해 주기 위하여 수많은 미디 데이터값을 일일이 대입해 주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한국음악의 디지털 표준이 연구되어 미디가 아닌 한국악기의 연주에 최적화된 독자적인 디지털 인터페이스가 개발된다면 컴퓨터를 사용하여 한국음악을 연주하고자 할 때 더욱 손쉽게 한국음악의 특징을 살린 연주를 할 수 있을 것이다. With the development of computer music and increase of people using MIDI(Musical Instrumental Digital Interface), a lot of efforts have been made to apply Korean classical music to MIDI. However, a method of applying Korean classical music to MIDI has limit in expressing characteristics of Korean classical music since MIDI is based on the scale of Western music. Accordingly, the study is related to a method of expressing characteristics of Korean classical music in performing Korean classical instruments with MIDI, particularly, a method of reproducing the scale of Daeguem, one of Korean classical wind instruments, and Yoseong, essential performance technique of Daeguem, with MIDI. First, in order to reproduce the scale of Daeguem, and Yoseong, a peculiar performance technique of Korean classical instruments, the scale of Daeguem and Yoseong are analyzed, and then are expressed in standardized data. An interval of Daeguem scale is different from 12-tone equal temperament, a standard scale of MIDI. That is to say, a semitone is 100cent in 12-tone equal temperament, meanwhile, one Yuel of Daeguem scale corresponding to the semitone of 12-tone equal temperament is composed of 144cent or 90cent. In Yoseong, frequency and amplitude are continuously changed, so that it is required to analyze changes of width and speed in the frequency and amplitude with a computer. According to the analyzed data, it has been realized that the frequency is proportional to the amplitude. In other words, the amplitude increases as the frequency becomes high, and the amplitude decreases as the frequency becomes low. At this time, the analyzed data is changed to a data value used in MIDI, and then is input to the MIDI Sequencing Program. The scale of Daeguem can be reproduced with MIDI by operating the frequency of 12-tone equal temperament, which is similar to the frequency of Daeguem scale, in the MIDI Sequencing Program. In MIDI, a message which controls the change of the frequency is the Pitch Wheel Change. That is, if a data value of the message is changed, the change of microtone which is not expressed in 12-tone equal temperament can be express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produce the scale of Daeguem which have the interval slightly different from 12-tone equal temperament. To reproduce Yoseong, the amplitude has to be changed with the frequency. The frequency is controlled by a method of changing Pitch Wheel Change value in the MIDI Sequencing Program, and the change of amplitude is reproduced by changing Track Volume. At this time, the Track Volume is a message which control the change of amplitude. Then, Daeguem performance with MIDI is recorded, and the frequency and amplitude of Daeguem performance are analyzed with the computer so as to inspect the result of Daeguem performance reproduced in MIDI. Analysis shows that Daeguem performance reproduced with MIDI is similar to a real Daeguem performance. Herein, a method of reproducing the scale of Korean classical music and Yoseong with the existing MIDI system has been studied. In this method, it is necessary to input the Pitch Wheel Change value corresponding to each tone whenever the tone is changed since the existing MIDI system is used. Also, each MIDI data value has to be input so as to reproduce Yoseong. Accordingly, it is required to study a digital standardization of Korean classical music, and to develop a peculiar digital interface which is optimized in performing Korean classical instruments, so that it is possible to express characteristics of Korean classical music in performing Korean classical instruments with the compu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