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발송배전기술사 고시 출제경향 분석 및 대학 교과과정 반영에 대한 고찰

        권준오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업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671

        현재 정부에서 엔지니어링 산업의 육성과 관련하여 대학교육, 일, 기술자격의 연계 시스템 구축을 추진하고 있으나 관련 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엔지니어링 인력양성의 기초가 되는 대학의 공학교육과 기술사제도 연계방안에 대하여 조사하게 되었다. 특히 발송배전기술사 고시 출제경향분석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전기공학과 교과과정에 대한 비교 검토를 통해서 기술사 자격과 대학 교과과정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보았다. 발송배전기술사 출제경향 분석 절차로 1980년대부터 2010년까지 주요 주제에 대한 출제경향 변화를 5년 단위로 분석하였으며, 특히 최근 10년간 자주 출제되는 분야 및 출제비중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를 보면 송전분야 30(%), 기초이론 16(%), 변전분야 14(%), 발전분야 14(%), 기타 관련분야 11(%), 신경향분야(신재생에너지, 가변유연송전시스템 등) 9(%)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자료를 기초로 하여 발송배전기술사 고시와 대학 교과과정 연계 시 보완해야할 교과과정과 학습교재를 추천하였으며, 올바른 학습방법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Currently the government is promoting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 to connect college education, work, and technical qualification regarding the cultivation of engineering industry; however, the data related to it are limited. Thereupon, this paper conducted research on methods to connect the engineer system and engineering education at college which is the basis in the cultivation of engineering manpower. In particular, with comparative examination on the questioning tendency of the Professional Engineer Generation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Exam and the curriculum of Electric Engineering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gineer’s license and college curriculum. As the procedure of analyzing the questioning tendency of the Professional Engineer Generation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Exam,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s of the questioning tendency on chief topics from the 1980’s till 2010 in the unit of 5 years. Particularly, this study examined frequently asked fields for the recent 10 years and questioning gravity.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he order was power transmission 30(%), basic theory 16(%), substation 14(%), generation 14(%), other related fields 11(%), and new tendency (new renewable energy and variable flexible AC Transmission System, etc.) 9(%). Based on these data analyzed, this study recommends the curriculum and learning materials to be complemented to connect the Professional Engineer Generation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Exam and the college curriculum and also suggests proper learning methods.

      • 서울시립대학교 캠퍼스 녹지 투어 앱 제작 : Establishment of campus green space tour application for the University of Seoul

        유미희 서울시립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671

        이 연구는 코로나 19로 인한 비대면 상황에서 대학 캠퍼스에 오지 못하는 학생들에게 캠퍼스 녹지의 수목, 식물의 사계절을 체험하게 하여 학생들의 소속감과 심리적 안정을 도모하고, 아름다운 서울시립대학교 캠퍼스 녹지를 사진과 영상으로 제작한 앱으로 간접 체험함으로써 서울시립대학교 구성원 모두가 소통할 수 있는 공간 구축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서울시립대학교 재학생 20명을 대상으로 녹지 투어 앱에 관한 설문을 조사하여 그 결과를 앱 제작의 기획 단계에 적용하여 제작 범위와 내용설정에 반영하였다. 이후 설문조사 결과에 따라 2020년 6월부터 2021년 11월까지 카메라와 드론, 액션캠 등을 사용하여 서울시립대학교 캠퍼스 내 수목과 식물을 4천 장의 자료사진을 홈페이지와 모바일 앱을 만드는 이미지 자료로 사용하였다. 주요 구성 내용으로 계절별 캠퍼스 풍경을 담은 계절 이야기, 수목으로 이루어진 산책길 이야기, 다양한 테마로 구성된 정원 이야기, 오래되고 아름다운 나무 이야기 등이다. 사진 이미지와 함께 드론과 스트리밍 액션캠을 사용한 영상 이미지를 추가 함으로써 생동감 있는 이미지를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두어 제작한 것이 특징이다. 모든 자료와 조사된 내용을 기반으로 학생들 스스로가 진화시킬 수 있는 형태의 모바일 커뮤니티를 만들 수 있도록 게시판의 기능을 링크와 업로드가 가능하도록 구성 제작하였다. 주요어: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코로나19, 녹지 투어, 대학 캠퍼스, 소통과 치유, ABSTRACT Since early 2020, most of the students did not come to the university campus due to COVID-19. Except for the special occasions, e.g. midterm and final exams, most of the lectures were done untact, which made students lose sense of belonging, psychological stability and opportunities to experience the beautiful campus greenery. Therefor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a campus green space tour application for the University of Seoul so that all members of the university can communicate under untact situation COVID-19 caused. Scope and contents of the application was decided based on the results of a survey by some 20 students. Some 4,000 image materials of the campus greenery were prepared by cameras, drones and action cams from June 2020 to November 2021. A homepage and a mobile application were established based on the image materials. The main compositions of the application include stories of seasonal campus landscapes, tree-based walks, old and beautiful trees, and garden stories with various themes. This mobile application and the homepage would be a starting point for green cummunications of the members of the University of Seoul. Key words: application, homepage, COVID-19, campus green, communication

      • 국가직무능력표준에 의한 서울시 기술교육원의 시설규모 평가 연구

        이진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주택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671

        요 약 제 목 : 국가직무능력표준에 의한 서울시 기술교육원의 시설규모 평가 연구 청년, 여성 및 은퇴자 일자리 창출을 위하여 직업교육기관은 전국적으로 공공부문 95개 기관과 민간부문 6,444 기관이 운영 중에 있으며 해 마다 직업교육훈련기관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며 그 교육훈련기관 중 공공 훈련기관의 중요성이 다른 어느 때 보다 사회적 역할이 더 커지고 있다. 공공직업훈련기관에서의 NCS기반의 직업훈련은 이제는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본 연구목적은 공공 직업훈련기관 중 서울시의 대표적인 공공직업교육 기관인 4개 기술교육원의 시설을 국가직무능력표준의 훈련체계로 전환할 경우 「근로자직업능력 개발법」제17조, 제19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15조, 제17조의 규정에 따른 근로자직업능력개발훈련 지원 훈련과정(집체훈련) 인정을 위한 주요 심사 5항목을 관련기관에 새롭게 심사 후 승인을 받아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2011, 2012, 2013년 고시된 NCS의 기반위에 훈련시설기준을 통해서 첫째,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의한 훈련시설기준을 토대로 현 서울시 4개 기술교육원의 필요면적 적정성을 검토하고 둘째, 기술교육원의 필요면적 적정성 검토 후 향후 개선방향 제시하며 셋째, 신설직종(직무) 개발 시 비교 고찰하여 그 개선방향을 제시 하였다. 국가직무능력표준의 훈련시설기준에 의하여 분석한 결과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중부기술교육원은 분석대상 8개학과 중 NCS기준으로 적합한과는 한 개의 학과도 없었다. 6개학과의 강의실 신설과 증설이 요구되었으며 실습실은 3개학과 5개실이 신설이 요구 되었고. 6개실의 증설이 요구되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북부기술원의 경우는 분석대상 6개학과 중 NCS기준으로 적합한과는 한 개의 학과도 없었으며, 6개학과 중 3개학과 강의실 3개의 신설과 2개학과의 증설이 요구되었다. 또한 실습실은 2개의 학과가 증설이 요구 되었다. 동부기술교육원은 분석대상 6개학과 중 NCS기준으로 적합한 학과는 외식산업학과만 만족하였다. 강의실은 4개학과가 증설이 요구되었으며, 실습실은 2개 학과 3개실의 신설이 요구되었고, 2개학과 2개실의 증설이 요구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남부기술원은 분석대상 8개학과 중 2개학과는 NCS 훈련기준으로 적합한 학과로 분석되었으며 나머지 6개학과는 강의실과 실습실 증설이 요구되었다. 강의실은 2개학과가 증설이 요구되며, 실습실은 5개학과가 증설이 요구되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4개 기술원을 종합하면 분석대상 총 28개 학과 중 NCS 훈련기준에 적합한 학과는 3개의 학과이고 나머지 25개의 학과는 실을 신설하거나 증설해야 NCS 훈련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분석 되었다. 서울시 산하 기술교육원의 직업훈련체계가 NCS기반의 훈련체계로 가기 위한 개선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훈련정원을 44명에서 30명으로 축소하는 방안이다. 30명으로 축소할 경우 실습실은 28학과 중 6개학과만 부족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각 기술원별 단기과정 축소이다. 현재 각 기술원별 정규과정이 아닌 3개월 과정의 단기과정을 3-4학과를 개설하고 있는데, 단기과정을 1-2개학과 축소할 경우 공용강의실을 1-2개 확보하여 강의실 신설과 증설을 해소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분산된 학과 배치를 유사 직종별로 학과를 재배치하는 것이다. 이럴 경우 기술교육원의 학과 간 실의 운영형태를 풀라톤형으로 계획하면 가능하다 하겠다. 정부와 서울시의 직업훈련 정책이 NCS기반의 직업훈련으로 실시될 예정이다. 국가직무능력표준을 만드는 과정에서 교육 현장의 경험을 반영하기 위하여 직업훈련 교사의 참여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고 훈련기관 실무자 중심의 공청회를 개최하여 내실화 있는 NCS기반의 직업훈련이 마련되어야겠다.

      • 비정형 건축 외장공사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Lessons Learned에 관한 연구

        안지연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업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연구에서는 최근 건설 산업에서 증가 추세에 있는 비정형 건축물의 외장공사에 대한 효율성 제고 방안을 제시하였다. 비정형 건축물은 Prametric Modeling이라 불리는 BIM 모델링 기법의 발달에 의해 실제 구축이 가능한 수치적 해석이 가능해짐에 따라 설계사례가 증가하게 되었고, 한 도시 혹은 국가의 랜드마크로써 건축물이 가지고 오는 사회·문화·경제적 파급효과로 인해 세계적으로 많은 비정형 건축 프로젝트가 추진 중에 있다. 비정형 건축물의 엄청난 파급효과를 대표하는 사례가 스페인 빌바오의 ‘구겐하임 미술관’이다. 빌바오 시(市)는 구겐하임 미술관을 통해 7백만 명의 관광객 유치, 4천명의 고용효과 등을 창출하면서 ‘빌바오 효과’라는 말이 생길 정도로 엄청난 경제적 성공을 거두었다. 하지만 이러한 파급효과에 반해 아직까지 비정형 건축물을 설계자의 의도대로 정교하게 시공하는 기술력이 부족하고, 공사비나 공기 등 많은 부분에서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로 MIT Stata Center(2004)의 경우, 시공결함으로 막대한 추가 공사비가 투입되었고, 월트 디즈니 콘서트홀(2003)은 완공까지 투입된 공사비가 초기 공사비보다 250% 증가하였다. 이미 여러 프로젝트를 통해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어느 정도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할 방법을 모색할 수 있는 국외보다 국내의 비정형 건축 프로젝트 현실은 더욱 열악하다. 국내의 비정형 건축은 이제 막 시작단계에 불과하여 실제 구축된 사례를 찾아보기 힘들고, 엔지니어링 기술의 대다수를 해외에 의존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설계 프로세스나 시공법에 대한 자료조사조차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정형 건축물의 전체 형태를 이루고 구조 부재의 위치를 결정짓는 외장공사에 대해 Case Study를 수행하여 효율성 저해 요인과 제고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구체적인 연구 수행 순서는 다음과 같다. 1) 비정형 건축물의 개념 및 선행연구 분석, 건설 산업에서의 효율성 관련 연구를 분석하여 예비적 고찰을 수행하였다. 또한 비정형 건축 외장 패널의 제작방법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여 3단계로 정리하였다. 2) 국외의 비정형 건축 사례 분석을 통하여 국내 사례의 Case Study에서 중점적으로 살펴볼 사항과 효율성을 판단할 지표를 정의하였다. 3) 국내에서 진행 중인 비정형 프로젝트 3곳과 비정형 외장패널의 대표유형 4가지를 적용한 Mock-Up 제작 사례에 대한 Case Study를 실시하여 비정형 건축 외장공사의 효율성 저해 요인을 도출하였다. 4) Case Study 결과와 비정형 건축 프로젝트 관련 전문가 WorkShop을 통해 효율성 제고 방안 4가지를 제시하였다. 국외 비정형 건축 사례를 통해 정의된 효율성 판단 지표는 기술적 지표, 제도적 지표, 사회/문화적 지표, 환경적 지표의 4가지로 구분되었다. 이에 따라 비정형 건축 프로젝트와 관련된 전문가 14인과의 개별 면담, 집단 워크샵을 실시하여 비정형 건축 프로젝트의 외장공사에서 효율성을 저해하는 요인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효율성 저해 요인은 1) 생산자가 배재된 설계 프로세스, 2) 공사비 예측의 불확실성, 3) 설계-생산 간 데이터의 단절, 4) 설계·시공 기술의 지식 공유 기피의 4가지로 대표할 수 있었다. 도출된 효율성 저해요인에 대하여 제시한 제고 방안은 아래와 같다. 1) BIM 기반의 협업체계 구축 : BIM이 필수적인 비정형 건축 프로젝트에 맞는 별도의 협업체계의 구축이 필요하며, IPD(Integrated Project Delivery)와 같이 초기 설계단계부터 프로젝트 전 참여자가 참여할 수 있는 협업체계를 제시하였다. 2) BIM 데이터의 효율적 활용방안의 모색 : 3D로 작성되는 초기 설계 데이터가 2D화 되면서 발생하는 데이터의 손실을 줄이기 위해 비정형의 기하학적 규칙(좌표값 등)을 설계도서에 기록하고 시공사가 이를 해석하여 모델을 재구축하는 방식의 Geometry Rule-based Control Process를 제안하였다. 3) 제작방법 정립을 통한 견적기준의 마련 : 현재 국내에서 적용하고 있는 공사비 산정방법은 비정형 건축의 특성을 반영하기 못하기 때문에 제작방법 혹은 비정형 유형별로 공사비 견적기준을 마련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4) 기술지식 축적 및 전문 인력의 관리 : 기술력 우위 선점이나 낮은 기술력의 공개를 기피하는 비정형 관련 전문업체의 문화를 타파하기 위해 국가적 PMIS 도입과 인센티브제도의 도입 등을 제안하여 비정형 건축 관련한 기술 축적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국내 비정형 건축 외장공사에 존재하는 효율성 저해요인을 파악하였고, 그에 따른 효율성 제고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비정형 건축 프로젝트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적 정보를 구축하였다. 연구에서 제시한 효율성 제고 방안들이 완벽하게 비정형 건축 프로젝트에 적합한 형태가 되기까지 많은 개선과 발전이 요구되나, 국내 비정형 건축 공사가 걸음마 단계인 것을 감안할 때, 본 연구의 결과는 프로젝트 초기 계획단계에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더 많은 비정형 프로젝트에 대한 사례조사를 통해 보편적 데이터로써 This study is proposed ways to improve efficiency of Free-Form facade construction that increasing trend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Free-Form building design is increased by development of prametric Modeling(one of BIM techniques) that can be numerical analysis. And many Free-Form architecture project is in progress around the world because of its social·cultural·economical ripple effect. The typical example of great ripple effect is 'guggenheim museum' in Bilbao, Spain. They are successful that attract 7 million tourist and create 4,000 employment. So many people called this success "Bilbao Effect". But construction technique(as designed) is insufficient and many problems like cost, duration to build the Free-Form buildings. MIT Stata Center(2004) have to pay many additional cost to fix the defects of building, and the construction cost of Walt disney concert hall(2003) was increased 250% than early stage cost estimation. Domestic situation is worse than overseas that they have solution through the trial and error in Free-Form project. Domestic Free-Form architecture is in infancy and there is no complete case. And many of Free-Form project depend on overseas engineering technique. In this Study, draw obstacle factors and provide ways to improve efficiency through case study about Free-Form Facade construction. Detailed research oder is below. 1) Free-Form building's fundamental concept & precedent study, and precedent study analysis on the efficiency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for preliminary considerations. And investigate the manufacturing methode of Free-Form panel. 2) Define efficiency judgment index & check point in domestic case study through overseas case analysis. 3) Draw the obstacle factors through the case study that are 3 in progress cases and 1 Mock-Up case. 4) Provide ways to improve efficiency of Free-Form building through experts workshop and case study's results. Defined efficiency judgment index are technical index, institutional index, social/curtural index, and environmental index. There are many factors by detailed efficiency index. Based on this index and factors, perform the experts workshop and talked with 14 people, and then draw the obstacle factors of Free-Form building's Facade. The obstacle factors are 1) Design process without manufacturer, 2) Uncertainty to predict construction cost, 3) Data severance between design-manufacturing, 4) Avoid knowledge sharing. Provided ways to improve efficiency according to drew obstacle factors. 1) Build the cooperation system based on BIM : BIM is essential to build Free-Form building, so we provide cooperation system like IPD that can be cooperated all participants in project on early stage. 2) Seek the efficient utilization methode with BIM data : Provide Geometry Rule-based Control Process that record irregular geometry rules(including coordinates) on the design books and contractors interpret it and reconstruct the model. 3) Prepare the estimation standard by Setting up the manufacturing method : Domestic methods of estimating can't reflect the Free-Form characteristic. So we provide estimation standard by manufacturing method or Free-Form types. 4) Technical knowledge accumulation and experts management : Introduce national PMIS and incentive program to accumulate technical knowledge on the Free-Form buildings. Through this study, grasp the obstacle factors existing in the Free-Form facade construction. And set up basic data for using Free-Form building project by providing ways to improve efficiency. They need to upgrade completely suitable for Free-Form buildings. But consider that domestic Free-Form construction situation is in the initial ste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a higher usage in the early planning stage of the project. Further study is going to be performed that can be used for universal data through more case study on the Free-Form building project. And facade construction as well as whole construction of Free-Form building's study seeking ways to improve efficiency have to be performed.

      • 관련성 없는 디지털증거 삭제시 이중해쉬를 이용한 무결성 입증 방안

        이상미 서울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655

        2012. 1. 1. 시행된 형사소송법은 압수수색 조문의 개정을 통하여 압수수색에 있어서의 ‘관련성’을 명문화하였다(법 제106조 제1항, 제215조 제1항, 제2항). 이에 더하여 최근 서울중앙지방법원은 디지털 증거의 압수수색 방법에 관한 ‘전자정보 압수수색 영장에 관한 새로운 실무 운영 지침(2015. 8. 1. 시행)’을 시행하겠다고 밝힌 바가 있다. 새 지침에 따르면, 전자정보만을 압수 대상으로 하고 컴퓨터나 외장하드 등 저장매체 자체의 압수를 금지하면서 압수한 전자정보의 목록을 상세히 작성하여 피압수자에게 교부하도록 하는 한편, 위 목록에 없는 전자정보는 범죄 혐의와 관련이 없는 것으로써 삭제·폐기하도록 영장에 명시한다고 한다. 그러나, 실무에서는 이미징 복제라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고, 이 이미지 파일에서 무관한 정보를 삭제하는 식의 조치를 하게 되면 해쉬값이 달라져서 그 파일이 최초에 압수되었던 상태 그대로임을 입증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향후의 증거사용을 위해서는 최초에 해쉬값이 부여된 이미징 파일이 수사기관의 수중에 있어야 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디지털 수집 증거 중 일부 데이터를 삭제하였을 경우에 무결성을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은 없는 것인가. 디지털 증거의 특성 및 증거능력 인정을 위한 요건을 살펴보면, 무관정보의 삭제․폐기가 일반 증거물처럼 당사자에게 환부하여 주거나 물리적으로 폐기하는 절차에 의할 수도 없고 일반인이 개인 PC에서 Delete 키를 누르거나, 파일을 휴지통에 넣는 것처럼 단순한 일이 아님을 확인할 수 있다. 디지털 증거는 그 특성상 취약성을 가지기 때문에 법원에 증거물로 제출될 때까지 보존되어야 하고, 무결성이 다투어질 경우 해쉬값을 보관하고 있다가 이를 원본의 해쉬값과 대조하여 무결성을 입증하는 절차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 논문에서는 그 해결방법 중 하나로 이중해쉬를 이용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중해쉬를 활용하여 일부 데이터 블록을 삭제한 후 그 해쉬값만을 남겨둔 뒤에 나머지 데이터들의 해쉬값과의 해싱 및 전체 해쉬값과의 비교를 통하여 무결성 입증이 가능한 것이다. 다만, 이 논문에서 제안하고 있는 방법은 무관정보의 데이터는 삭제하되 그 해쉬값은 보존하였다가 추후 무결성 입증시 이를 활용하는 방법인데, 해쉬값은 어떠한 방식으로, 어떻게 보관을 할 것인지 여부에 대하여도 연구가 필요한 부분이다. 현재는 압수․수색시 해쉬값을 계산한 후 참여권자의 확인 및 서명을 받도록 하고 있는데, 본건과 관련하여서도 동일한 절차에 따라 할 참여권의 확인 및 서명을 모두 필요로 할 것인지에 대한 부분도 추후 논의가 되어야 할 것이다. 앞으로도 이중해쉬를 이용한 무결성 입증방안에 대하여는 계속적인 연구와 각 기관 및 학계의 활발한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제안이 실체적 진실발견을 위한 수사의 필요성과 개인의 사생활보호라는 양 법익의 적절한 균형을 찾는 합리적인 방법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공용중인 콘크리트옹벽의 안정성에 관한 연구

        박종민 서울시립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연구에서는 도심지에 지진 하중을 고려하지 않고 설치되어 공용중인 콘크리트 옹벽의 안정성을 검토 분석하여 시설물 관리자가 보다 용이하게 실태를 파악하고, 지진 시 옹벽의 거동 및 취약부위를 예측 할 수 있고, 보강대책, 공사비 추정 등에도 참고 자료로 활용할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현재 공용 중에 있는 도심지 다양한 옹벽에 대해 구조해석에 필요한 현장 자료를 수집하였고, 각 옹벽에 대해 상시 하중만을 고려하였을 때와 지진하중을 고려했을 때의 각 각의 외적안정과 각 부재의 단면 해석을 통한 내적안정을 검토하여 안전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지진을 고려하지 않고 설계되어 범용되었던 건설부 표준옹벽에 대해서도 같은 방법으로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각 옹벽 형식별 안전율과 부재력의 감소폭 등을 비교하고, 취약부분과 문제점 파악, 보강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지진하중을 고려할 때 총 18개의 옹벽 중 8개소 약 44%가 외적안정 혹은 부재력에 문제점이 있어 실제적인 보강이 필요함이 나타났다. 상시와 대비하여 지진 시의 감소율은 평균적으로 외적 안정에 대하여 89%, 부재력에서 82%의 감소율을 보였다. 옹벽의 보강 방안으로는 단면보강이나 앵커 공법 등을 이용한 직접적인 구조보강 외에도 옹벽배면에 배수를 원활하게 하고 배수공 등을 보강하여, 간극수의 배제를 통한 토압 경감과 뒷채움흙의 전단강도를 증가시키면서 동시에 옹벽 배면의 고정하중을 줄이는 관리적 방법 등 다양한 방법 등을 고려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들이 지진을 고려하지 않고 시공되어진 도심지 산재되어 있는 옹벽에 대하여 시설물 관리자가 보다 용이하게 실태를 파악하고 효율적인 관리 및 보강에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shows the review and analysis of the stability of existing R.C. Retaining Walls in downtown areas which were built without the considerations of Seismic Loads. It is to help the managers of the field to evaluate the situation easily. The study, therefore, can be used as the reference to predict the behaviors of Retaining Walls and Weak Parts during earthquakes, to establish repair and reinforcement, and to estimate approximate costs. As the method of the study, survey data was collected for the structural analysis on the existing downtown R.C. Retaining walls. The study compared the evaluation of external stabilities and safeties of the structures via structural analysis of concrete members when only normal loads were considered versus those when earthquake loads were considered. The Standard Section of Retaining Walls written by the Ministry of Construction that has been widely used did not consider earthquakes. The study analyzed it using the same method, compared Decrease Rate of Safety Factor and Member force by each structure types, recognized the susceptible areas and problems, and suggested the reinforcement methods. As the result of the study, when earthquake loads are considered, the total 8 out of 18 R.C. Retaining Walls, about 44%, revealed problems in external stability or in Member force, and showed the needs for reinforcement. With Seismic loads compared with normal loads, the decreased rate of Safety Factor shows average 89%, and that of Member force shows 82%. As reinforcement methods, various other methods can be considered as well as Structural Reinforcing using Section­reinforcement or Earth Anchor system. By using Managerial Reinforcing, good drainage of the rear side of retaining walls and reinforcement of drain hole, exclusion of pore water, reduction of Earth Pressure, increase of Shear Strength of backfill soil, and at the same time the decrease of dead loads of rear side of retaining walls can be considered. Hopefully the information on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reference for managers of the structures that have been widely constructed without the consideration of earthquakes to grasp the situation of problems and to manage the reinforcements effectively.

      • An Analytical Resistance of Soil on Square Pile Installation in Clay

        쏭사요 손탄오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655

        초록 연약지반에 사각 항타말뚝 시공에 따른 말뚝-지반 관입저항 분석 Thongxayo Sonthanou Prof. Kook Hwan Cho, Ph.D., P.E. 철도건설공학과 철도전문대학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말뚝은 특히 매립지 및 연약지반에서 건물, 교량, 연안 구조물과 같은 인프라시설의 건설시 널리 사용되는 기초방식이다. 따라서, 정확하고 신뢰도가 높은 말뚝의 지지력을 결정하는 것은 기초의 설계, 시공 및 전반적인 건설비용 추정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말뚝의 설계시, 현장 및 실내실험 결과를 통한 정적 분석에 의해 말뚝의 지지력을 예측하고 있는 실정이다. 말뚝기초의 설계는 주로 말뚝의 지지력 산정이 주를 이룬다. 지지력을 결정하기 위해 정적 및 동적 공식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자주 사용되며 보편적인 방법이다. 앞서 언급한 계산방법은 넓은 적용성을 갖고 있으나, 변수에 대한 여러 가지 가정과 정확성이 다른 수많은 공식으로 인해 실용적인 적용이 어렵다. Hiley 공식은 이론적으로 1차원 응력파동 이론에 기초한다. 지반공학에서 Hiley 공식을 적용하여 말뚝항타시 발생할 수 있는 말뚝의 균열 및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해머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말뚝의 쿠션-말뚝-지반의 상호작용을 고려하므로 지반에 따른 저항조건에 적절한 해머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말뚝항타시 관입저항 및 항타횟수에 대한 예측은 조사된 지반조건 및 두 가지 해머 종류에 따라 항타과정에서 수행되게 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은 계산식을 통한 이론값을 검증하고 현장계측 데이터의 비교•분석을 통해 말뚝항타시 해머 타입에 따른 효율 및 말뚝의 균열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항타인자를 결정하는 것에 있다. 이론값 및 현장계측 값의 비교결과, 충분한 신뢰성을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실제 현장에 적용할 경우 정확한 값을 얻기 위해 충분한 지반조사를 통해 신뢰할 수 있는 지반정수를 얻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항타말뚝, 말뚝 지지력, 말뚝침하, 말뚝-지반 상호작용. Summary Title: An Analytical Resistance of Soil on Square Pile Installation in Cla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the square pile driven and settlement of pile foundation have been studied independently. The pile-soil system will be modeled by the installation of a driven pile in the site. Stress level, the blow count and the duration of the driving process predictions will be done depending on the hammer selection for the modeled soil profile condition. The goal of the study is to choose efficient hammer as well as with the efficient driving parameters not to cause any damage to pile during driving. The results will be compared with the actual driving parameters and the accuracy of the prediction will be discussed. Driving resistance against penetration and blow count predictions are performed during driving process depending on two different hammer types and depending on the modeled soil profile condition. The goal of the study is to verify the obtained calculation based results with the actual field data in order to be able to test the efficiencies of the hammer types as well as with to determine the efficient driving parameters not to cause any damage to pile during driving. At the end of the study it is observed that the predictions and actual data match with some appropriate calibration. As a result it is concluded that the site investigation in-situ tests defining the actual soil condition must be reliable in order to get an accurate analysis result. Abstract Piles are widely used in construction of foundations for infrastructure such as buildings, bridges and offshore structures particularly at fill and soft soil sites. Hence accurate and reliable determination of pile capacity is very important for design, construction and the overall estimate of the cost of these foundations. It is common in design practice to predict pile capacity by static analysis in advance of pile driving based on the results of in-situ and laboratory tests. Pile foundation design mainly depends on the determination of bearing capacity. In this manner determination of pile capacity by static and dynamic formulas are the most frequently used and the known oldest methods. Although those mentioned calculation methods have wide application areas, they have weaknesses in practical application results due to a great number of different dynamic formulas having several different assumptions and different degrees of accuracy. Also their lack of providing any information about the pile drivability bring out the necessity of usage of more comprehensive solution provided for impact driven piles by the Hiley equation. Hiley equation theoretically based on the one dimensional stress wave theory. In geotechnical engineering one of the application areas of the Hiley equation analysis is the drivability studies in order to be able to decide hammer selection to prevent possible damages during pile driving. Hiely equation analysis considers the hammer cushion-pile-soil system to be able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hammer size for the given pile dimensions and soil resistance conditions. Pile-soil system is modeled before the installation of a driven pile in the field. Driving resistance against penetration and blow count predictions are performed during driving process depending on two different hammer types and depending on the modeled soil profile condition. The goal of the study is to verify the obtained computer based results with the actual field data in order to be able to test the efficiencies of the hammer types as well as with to determine the efficient driving parameters not to cause any damage to pile during driving. As a result it is concluded that the site investigation in-situ tests defining the actual soil condition must be reliable in order to get an accurate analysis result. Keywords: pile driving, pile load capacity, settlement of piles, soil-pile interaction.

      • 비트코인 악용 범죄 수사에 대한 제도 및 기술적 문제점과 해결방안에 대한 연구

        정재원 서울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655

        국문초록 암호화 화폐이자 일종의 가상화폐인 비트코인은 2008년 미국발 서브프라임(subprime) 모기지 사태의 영향으로 전 세계적인 금융위기 조짐이 현실화되면서 기존 금융시스템에 대한 불만과 불신이 최고조에 달한 시점에 ‘사토시 나카모토’ 라는 익명의 컴퓨터 프로그래머(또는 집단)가 창안하였다. 이후 통화가치 안정과 거래 비용 절감을 위한 방편이자 새로운 디지털 시대의 대안화폐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비트코인은 실제 유통되는 과정이 P2P를 기반으로 하는 네트워크상에서 현금거래와 유사하게 익명으로 국경과 시간에 관계없이 개인 간 거래가 처리되고, 정부나 금융당국의 규제나 감독으로부터 자유로운 특성을 가진 디지털 화폐로서 그 활용도가 부각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다양한 긍정적인 측면이 인터넷 도박, 마약, 포르노 등 불법거래 수단이나 범죄조직, 국제테러조직 등의 불법자금세탁, 탈세 등의 범죄 수단으로 악용되는 폐단으로 발생하였고, 2012년 하반기부터 비트코인 시스템이 국내에 본격 도입되면서 이러한 폐단에 대한 정부 당국의 규제와 더불어 범죄 수사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비트코인을 선행 연구한 각종 국내외 문헌 및 검찰?경찰 등 수사기관에서 발표한 수사사례, 언론에서 보도되는 범죄 내용들을 참고하여 비트코인 악용 범죄 사례들을 유사한 범죄 행태별로 유형화하여 범죄 과정을 분석한 후, 비트코인 악용 범죄 수사 관점에서 기술적?제도적 문제점과 이에 대응되는 해결방안을 모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비트코인 악용 범죄 수사에서 있어서 기술적인 문제점으로 비트코인의 전형적인 특성인 ① 비트코인 익명성 ② 중개기관 부재 ③ 실시간 자금이체 편리성 ④ 사이버 범죄에 적합한 환경(분산 네트워크를 통한 처리가능성 등) 등인 점을 확인할 수 있었고, 그 중의 핵심은 비트코인의 거래내역에 개인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비트코인 특유의 익명성으로 인해 비트코인 거래 추적의 어려움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비트코인의 범죄 수사에 있어 기술적인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의 핵심은 비트코인의 익명성에 대한 ‘모든 가능성을 동원한탈익명화의 시도’ 라고 볼 수 있다. 즉, 암호학적 기술뿐만 아니라 ‘OSINT(공개출처정보) 공개출처정보(공개출처정보, open source intelligence, OSINT)는 공개된 출처에서 얻은 정보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미 FBI의 정의에 따르면 오픈 소스 인텔리전트는 일종의 기밀정보 수집 방법으로 이미 공개된 정보를 광범위하게 수집하고 분석하는 기술을 말한다.(위키 백과) ’ 라고도 불리는 ‘오픈 소스 인텔리전트(open source intelligent)’ 기법이나 사이버범죄 수사기법 등 총동원 가능한 기법의 활용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근거에 의해, 구체적인 기술적인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① 비트코인 블록체인을 통한 거래정보 등 획득 가능성 ② 비트코인 거래소를 통한 거래 및 가입정보 등 획득 가능성 ③ 비트코인 거래내역의 패턴 분석으로 연관 정보 추적 가능성 ④ IP 주소 및 도메인 추적 기법, 웹사이트 추적기법, 네트워크 침해 및 DoS 추적 기법, 악성코드추적 기법, 로그 분석 기법 등 사이버범죄 추적 기법의 병행을 제안하였다. 둘째, 비트코인 악용 범죄 수사에서 있어서 제도적인 문제점은 ① 비트코인 법적 성격 미규정 ② 비트코인 거래 관리감독 부서 부재 ③ 비트코인 거래 규제 정책 부재 ④ 자금세탁방지 제도 연계 방안 부재 ⑤ 비트코인 세법상 분류 방향 부재 ⑥ 해외송금 규제 방안 부재 등인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른 제도적인 문제점에 대한 핵심은 특정 국가에 기반을 두지 않은 탈집중화된 P2P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한 거래시스템이기 때문에 ‘국가별로 비트코인을 규제하기 위한 법률 부재’ 및 ‘중개(규제)기관 부재’ 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은 비트코인 관련 산업에 대한 제도적인 규제는 국제적으로 유사한 형태를 지닐 수밖에 없고, 장기적으로 비트코인 산업에 대한 규제는 큰 틀에서는 하나의 국제적인 규제안을 따라가면서 각국의 특성을 반영한 형태로 구성될 것이다. 따라서 비트코인에 대한 특별한 규제안이 마련되지 않은 우리나라의 경우 비트코인 산업이 상대적으로 발전한 미국, 영국, 독일 등의 국가들에서 도입한 비트코인 관련 규제를 심도 있게 검토한 뒤 이를 향후 규제안에 선별적으로 반영하는 작업을 통해 제도적인 문제점을 해결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와 같은 근거에 의해, 구체적인 제도적인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① 비트코인 거래소 면허제 도입 ② 비트코인 거래상황 금융당국 확인·의심거래, 고액거래 부여(거래 모니터링 강화) ③ 사이버범죄수사 관련 기관에 신고 센터 연계 방안 ④ 비트코인 거래소 등 본인인증강화 ⑤ 자산으로 인식하여 소득세, 부가가치세 부여 ⑥ 과세신고 모델 구축 등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비트코인 악용 범죄에 대한 수사 관점에서 최선의 기술적·제도적 문제점에 대한 보완장치를 선제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신종 범죄에 대한 효율적이고 능동적인 대응체계를 구축하고, 종국적으로 범죄 예방 효과와 더불어 건전한 비트코인을 비롯한 전자금융거래의 활성화를 도모하게 될 것이다. 주요어 : 암호화 화폐, 비트코인 범죄 수사, 비트코인 규제, 자금세탁방지, 비트코인 거래추적 학 번 : 2014-24861

      • 3차원 적층 반도체 패키지에서 TSV 구조의 열기계적 신뢰성 연구

        정훈선 서울과학기술대학교 NID융합기술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655

        Three-dimensional integrated-circuit is a developing technology that vertically stacks multiple dies with a high density die-to-die interconnect. This results in a decrease in the overall wire length, providing a reduction in wire delay. 3D integration with through silicon via has emerged as a promising alternative to achieve further improvements for future electronics systems with high density, high band-width, low-power, and small from-factor. TSV technology is essential for 3-dimensional integrated packaging. TSV technology, however, is still facing several reliability issues such as interfacial delamination, crack generation and Cu protrusion. These reliability issues are attributed to themo-mechanical stress mainly caused by a large CTE mismatch between Cu via and surrounding Si. In this study, the thermo-mechanical reliability of copper TSV technology is investigated using numerical analysis. Finite element analysis (FEA) was conducted to analyze three dimensional distribution of the thermal stress and strain near the TSV and the silicon wafer. Several parametric studies were conducted, including the effect of via diameter, via-to-via spacing, and via density on TSV stress. In addition, effects of annealing temperature and via size on Cu protrusion were analyzed.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Cu TSV, small diameter via and less via density with proper via-to-via spacing were desirable. To reduce Cu protrusion, smaller via and lower fabrication temperature were recommended. These simulation results will help to understand the thermo-mechanical reliability issues, and provide the design guideline of TSV structure. 최근 PC,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제품의 성능은 불과 10년 전에 비해 비약적인 발전을 하였다. 이러한 전자기기의 소형화, 고기능화의 이면에는 반도체 디바이스의 미세화, 고성능화, 고집적화가 큰 기여를 해왔다. 반도체 기술의 발전은 최소선폭을 줄여서 고성능 칩을 개발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어왔으나, 20 nm 이하 선폭 감소에서 오는 물리적 한계와 하나의 반도체 패키지에 다양한 메모리, 센서 등을 직접화할 때 발생되는 기술적 난제 및 경제성 한계로 인해 고성능 반도체 패키지의 개발의 어려워지고 있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전자기기의 고성능, 다기능, 소형화의 요구는 계속되고 있으며, 이러한 요구에 따라 반도체 패키징 기술은 기존의 2차원적인 방식에서 벗어나 고집적, 고효율, 낮은 생산단가를 실현 할 수 있는 3차원 적층 기술이 연구되어지고 있다. 3차원 적층 기술은 기존의 2차원적 직접형태의 구조와 달리 수직으로 반도체 소자를 적층하는 기술을 말한다. TSV 기술은 3차원 적층 패키징을 위한 핵심 기술로서 큰 관심을 받고 있으나 아직 다양한 공정상의 문제와 신뢰성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난제가 남아 있다. 특히 구리 비아(via)와 실리콘 기판의 큰 열팽창계수의 차이로 인한 열응력은 계면 박리, 크랙 발생, 비아 돌출(protrusion) 등 다양한 신뢰성 문제를 발생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구리 TSV 구조의 열응력을 수치해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3차원 TSV 비아와 실리콘 기판의 응력 및 변형을 해석하였다. 비아의 크기, 비아와 비아 사이의 간격 및 비아의 밀도가 TSV 구조의 응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또한 어닐링(annealing) 온도 및 비아의 크기가 구리 protrusion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구리 TSV 구조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적절한 비아와 비아 사이의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비아의 크기 및 비아의 밀도는 작아야 한다. 또한 구리 비아 돌출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비아의 크기 및 어닐링 공정과 같은 공정의 온도를 낮추어야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TSV 구조의 열응력과 관련된 신뢰성 이슈를 이해하고, TSV 구조의 설계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플레이노동 연구 : 디지털 게이밍 문화의 자본주의적 전유 비판

        신현우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50655

        This study analyses digital games, information machines that form digital techno-gaming environments, and views the problems of“playbour”. Playbour is a new form of labour emerging in digital games, which is the dominant form of techno cultural play in this information capitalism era. As data and information technology develop and the society’s physical conditions gradually spread to the basis of cybernetics’computation, not only labour but also human play as a ‘free conscious activity’ is changing. Digital game has grown to be the hegemony of cultural and technology-intensive industry through decades of computer development, and human play has been reorganized into a new product form in terms of culture and information machine. Digital game itself is a product, but the key problem with gaming today is that people commercialize playing activities in digital games itself. In addition, digital games are not a single technological mode of existence, but a complex technological environment connected to external media and networks such as various software, platforms, and user communities of information capitalism.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phenomenon that play in this techno-gaming environment is turning into a productive act that creates capitalist profits in various ways. Also, this study intends to criticize the form in which capital subsumes play in this new technological reality and thus achieve accumulation of surplus value. To this end, this study approaches playbour largely in two dimensions. First is structure. Unlike games in the past, digital techno-gaming consists of“Bit”time and space, where thousands of people interact with each other simultaneously and form social relationships. Within this“Bit”time and space, people mediate via gameplay and produce exchangeable values, and ommercialize play. The fact that play itself is commercialized has an important social implication. Kant said that“play is a practical act that the first stage of aesthetic sublime at the point where human imagination intersects intelligence”, while Huizinga and Caillois define play as“a legitimate impulse of human nature that has nothing to do with value and the purposeful activity that takes place in temporary time and space”. Today’s techno-gaming problems, however, move toward internalizing the protocols of the capitalist practice amid material relationships between human-to-product rather than human-to-human play, as users massively produce and spread goods both inside and outside games. Thus, we must study commercialized play from the viewpoint of Marx's labour value theory. This study tries to analyse the structure of what forms the capitalist practice that subsume‘playbour’dominates the techno-gaming environment, and criticize the playbour process, in which playbour is specifically conducted, from the perspective of a new labour value theory that is suitable for the data information technology environment. Through case analysis, this study specifies the process of labour, division, exchange, and de-skilling of users who produce goods in games, and the dynamics of the capitalist structure that is newly commercialized with add-on, mod making, beta testing, and game broadcasting, which form a new profit by escaping into a technological environment outside the games. Through the aforementioned analysis, this study intends to figure out how“Bits”engraved with blood and fire in the spiral orbit of capital and technology generate exchange values from play and the process of valorization. Second is actors within the structure. Play is formed through the interaction of the users involved in gaming, and in this network of interactions, the mechanics structures the performance of play and constitute the technical operationality. Users play digital games, share and accumulate knowledge and information of play internally and externally with other users, and also transmit the process through broadcasting. Digital games are not a single structure but an open, associative environment that organizes numerous nodes scattered across the network into acts of play. In this highly technical ecosystem, play becomes social rather than private. In short, digital games as information machines appropriate users’participatory actions as a component of its structure, along with the technical elements designated inside. To analyse the aspects of these performers, this study approaches through specific examples of game play activities in which game play information is accumulated in data, through which users autonomously invent technical installations outside the game, and self-improvement of game code and embody them into other plays. Furthermore, this study tries to overlook meta-play production that creates play in complex interactions in the media environment of one-person broadcasting. Through the process of technology itself being autonomously converted and the cross-connecting of the ways in which human performers intervene, techno-gaming environment shifts its cultural and technological elements into the structure of information capitalism. It is a key part of playbour research that identifies how users intervene in the technical practices and how technology evolves using it as a medium. The embrace of playbour developed in digital techno-gaming environments shows that today’s capital is increasingly blackboxing institutions and circuits that are embedded in it. In tracking the trajectory of this techno capital, this study criticizes the reality that play, the species-essence of human, is becoming playbour, perhaps more essential than labour, with a Marxist approach. In the modern network information technology environment, not only goods and labour but also the process of labour itself has commercial value, and playbour is one of the typical examples. Through playbour study, the only point we need to pay attention is not just play being commercialized. Reinterpreting Marx’s labour value theory as the only theory and regulatory ideology that can counter the exploitation and enclosure of capitalism, and criticizing the play of the digital world, which has become dense from atoms to bits, is another mountain that this paper seeks to reach. Keywords: Digital games, Playbour, Free Labour, Techno-gaming, General Intellect, Game streaming, Information Capitalism, Platform Labour, Metaplay 본 연구는 디지털 기술·게이밍 환경을 형성하는 정보기계인 디지털 게임을 분석하고, 여기에서 행해지는 플레이노동의 문제를 다룬다. 플레이노동은 오늘날의 정보자본주의 현실에서 지배적인 기술 문화적 놀이의 양식인 디지털 게임에서 대두되고 있는 새로운 노동 양태 중 하나이다. 데이터·정보기술이 발전하고 사회의 물적 조건이 점점 사이버네틱스 연산의 토대로 전이됨에 따라, 노동과 여가 뿐만 아니라‘자유로운 의식적 활동’으로서의 인간 놀이 또한 변화하고 있다. 디지털 게임은 반세기의 컴퓨터 진보 가운데 제1의 문화산업이자 기술집약적 산업의 근간으로 성장하였고, 인간 놀이를 문화 및 정보기계의 차원에서 새롭게 상품형태로 재창출하였다. 디지털 게임은 그 자체가 상품이기도 하지만, 오늘날 게이밍에 있어 핵심 문제는 그것을 즐기는 인간 행위자의 활동인 플레이 자체를 상품화한다는 것이다. 또한, 디지털 게임은 단일한 기술적 존재양식이 아닌 정보자본주의의 다양한 소프트웨어, 플랫폼, 커뮤니티 등 외부의 미디어 및 네트워크와 연결된 복합적 기술환경이기도 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기술·게이밍 환경에서 행해지는 플레이가 다양한 방식으로 자본주의적 이윤을 자아내는 생산적 행위로 전화하고 있는 현상에 주목했다. 또한 이 새로운 기술적 현실에서 자본이 플레이를 포섭하고 이로부터 잉여가치 축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형태를 비판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크게 두 가지 차원의 분석틀로 접근했다. 첫째는 구조의 차원이다. 디지털 기술·게이밍 환경은 과거의 놀이와 달리 수 명 내지 수천 명이 동시에 상호작용하는 사회적 관계의 비트(bit)적 시공간이다. 이 안에서 사람들은 게임플레이를 통해 매개되고, 교환 가능한 가치를 생산하며, 플레이를 상품화한다. 플레이 자체가 상품화된다는 것은 중요한 함의를 내포하고 있다. 칸트(Kant)는 인간의 상상력이 지성과 교차하는 지점에서 놀이가 실천적 행위이자 미적 숭고의 첫 단계라고 말했으며, 하위징아(Huizinga)와 카이와(Caillois)는 놀이가 일시적인 시공간에서 벌어지는 합목적적 활동이자 가치와 무관한 인간 본연의 충동이라 정의했다. 그러나 오늘날의 기술·게이밍의 문제는 이용자들이 게임 내외에서 플레이를 통해 재화를 대량으로 생산하고, 유통하며, 인간-인간 사이의 플레이가 아닌 인간-상품 사이의 물적 관계 속에서 자본 운동의 프로토콜을 내면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간다. 이는 그 자체가 상품화 과정이 된 플레이를 마르크스 노동가치론의 관점에서 고찰해야만 하는 당위를 부여한다. 본 연구는‘플레이노동’을 포섭한 자본주의 운동이 어떤 형태로 기술·게이밍 환경을 지배하고 있는지를 그 구조를 분석하고자했으며, 이를 위해 플레이노동이 구체적으로 행해지는 노동과정을 데이터 정보기술 환경에 걸맞는 새로운 노동가치론의 관점에서 비판하였다. 게임 내 재화를 생산하는 이용자들의 노동, 분업, 교환과정, 탈숙련화의 프로세스를 사례분석을 통해 구체화했으며, 이러한 플레이노동이 게임 밖의 기술환경으로 탈주해 새롭게 이윤운동을 형성하는 애드온, 모드제작, 베타테스트, 1인 게임방송 등으로 새롭게 상품화되는 자본주의 구조의 역학을 탐색했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자본과 기술의 나선궤도에서 피와 불이 새겨진 비트(bit)들이 어떻게 플레이로부터 교환가치를 생성하고, 그 가치들이 실현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두 번째는 이러한 구조 안에서의 행위자 차원이다. 플레이는 게이밍에 참여하는 행위자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되며, 이 상호작용의 네트워크 속에서 플레이의 수행성을 구조화한 메커닉 및 이를 재현하는 기술적 실행성이 만들어지게 된다. 이용자들은 디지털 게임을 플레이하고, 다수의 다른 이용자 및 인터넷 이용자들과 플레이의 지식과 정보를 내외적으로 공유하고 축적하며, 방송으로 그 과정을 송출하기도 한다. 디지털 게임은 단일한 구조가 아니라 개방되어 있는, 네트워크에 흩뿌려진 수많은 노드들을 플레이라는 행위로 조직화하는 연합환경이다. 이 고도의 기술적 생태에서 플레이는 사적인 것이 아닌 사회적인 것으로 전화한다. 요컨대 디지털 게임이라는 정보기계는 그 안에 설계된 기술요소들과 더불어 이용자의 참여적 행위들을 그 구조화의 요소로 삼는다. 본 연구는 이러한 행위자들의 측면들을 분석하기 위해 게임 플레이의 정보가 데이터로 축적되고, 그를 통해 이용자들이 자율적으로 게임 외부의 기술적 장치들을 발명하며, 스스로 게임의 코드를 개량해 다른 플레이로 변환시키는 행위들을 구체적인 사례들을 통해 접근했다. 나아가 1인방송이라는 미디어 환경에서 복잡한 상호작용 속에 플레이에 대한 플레이를 자아내는 메타플레이 생산 활동들을 분석하고자 했다. 기술 자체가 자율적으로 구체화되어가는 과정, 그리고 인간행위자들이 여기에 개입하는 방식의 이종접합을 통해 기술·게이밍 환경은 그 문화적·기술적 요소를 정보자본주의의 구조 속으로 편류시킨다. 이용자들이 플레이를 둘러싼 기술적 상호작용에 어떤 방식으로 개입하고, 기술은 이를 매개삼아 어떻게 진화하는지를 규명하는 것은 플레이노동 연구에 있어 핵심적인 부분이다. 디지털 기술·게이밍 환경에서 현상되는 플레이노동으로의 포섭은 오늘날의 자본이 그 안에 내재된 가치생성의 기관과 회로를 점점 기술적으로 블랙박스화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이 기술화된 자본의 궤적을 추적하면서, 어쩌면 노동보다도 더욱 본질적이라 할 수 있는 인간의 유적 본질인 놀이가‘플레이노동’이 되어가는 현실을 마르크스적 접근으로 비판하고자 하였다. 현대의 네트워크 정보기술 환경은 점점 인간의 지적 노동과정 혹은 삶활동 자체를 상품으로 만드는 경향이 있는데, 플레이노동은 바로 그런 대표적인 예제 중 하나라 할 수 있을 것이다. 플레이노동 연구를 통해, 우리가 주목해야 하는 지점은 상품화 되어가는 플레이뿐이 아니다. 자본주의의 종획과 수탈·착취에 대항할 수 있는 유일한 이론이자 규제적 이념으로서 마르크스의 노동가치론을 정보자본주의 국면에 걸맞게 재해석하며, 원자에서 비트로 촘촘해진 디지털 세계의 플레이 정치경제를 비판하는 것은 본 논문이 도달하고자 하는 또 하나의 지점이기도 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