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韓·日 平生敎育의 理念 및 體制에 關한 比較 硏究

        최순복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50703

        本 硏究의 목적은 體系化 具體化되어 있는 日本의 平生敎育의 이념 및 體制를 考察하고 韓國과 日本의 平生敎育의 理念 및 體制를 比較·分析하여 한국 平生敎育의 問題點을 찾고, 發展的인 平生敎育 방향을 提示하는데 있다. 硏究方法으로는 平生敎育에 관한 資料 收集을 위해 文獻硏究方法과 現地調査方法을 實施하였다. 이상과 같은 硏究目的 및 내용, 方法에 따라 수행된 硏究結果는 다음과 같다. 첫째, 韓·日 兩國의 敎育理念은 1945年 8月 15日 이후 싹트기 시작했고 시대적 背景에 따라 강조점이 變하면서 오늘에 이르고 있으나, 弘益人間의 理念 아래 人類共營을 實現하는 韓國의 敎育理念과 1980년대 이후 再武裝을 위한 新國家主義에 대응하는 敎育改革으로 점차 保守化 되어 眞理와 平和를 애호하는 精神에 정면에 배치되는 日本 敎育理念은 敎育의 이상에 있어서 큰 差異點이 존재한다. 둘째, 韓國과 日本의 平生敎育法의 취지는 모두 國民의 平生學習을 보장하기 위해 制定된 法으로써, 國家 및 地方自治團體의 임무 또한 비슷하다. 그러나 平生敎育法 체제에 있어, 우리 나라의 平生敎育법 體制는 기존의 社會敎育法을 전면 개정하여 平生敎育法을 새로이 제정한 것으로써 이 法律은 교육기본법의 하위에 위치하며, 初·中等敎育法 및 高等敎育法과 같은 위계를 갖고 있는 반면 日本은 平生學習振興法을 敎育基本法과 법의 위계상 같은 位置에 두고 있다. 평생교육법의 適用範圍에 있어, 우리 나라의 平生敎育法은 社會敎育法을 확대 改定한 것으로서 그 適用範圍가 學校敎育을 제외한 모든 形態의 敎育活動인 반면, 일본의 平生學習振興法은 社會敎育法과는 별도로 제정되어 學校敎育 및 社會敎育, 문화의 진홍에 관련하여 平生學習振興을 위한 사항 및 활동을 規定하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나타난다. 셋째, 平生敎育 機關에 있어 日本은 전후 公民館을 각 市町村에 설치함으로써 세계 어느 나라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日本 특유의 社會敎育施設을 구축하여 각 지역 住民의 平生學習을 振興시킬 수 있는 制度的 기반을 마련해 왔다. 반면에 우리 나라의 각종 平生敎育 關聯施設은 언제, 어디에서라도, 누구든지, 必要한 때에 학습할 수 있는 學習環境을 보장하고 있지 못한 形便이며, 기존에 存在하는 평생교육시설마저도 體系的인 정비·홍보체제가 미비한 狀態이다. 한편, 平生學習體系로 들어서면서 日本은 주로 府縣을 중심으로 기존의 公民館과는 달리 廣域的이면서 綜合的인 사업인 平生學習센터를 設置·運營하고 있으며, 1990년부터는 平生學習 시설의 네트워크화를 積極的으로 추진하고 있다. 반면에 韓國의 平生敎育센터 설립은 아직 計劃案의 수준일 뿐, 실제로 平生學習 振興을 위해 시설 면에서 地方自治團體가 새롭게 추진하고 있는 것은 특별히 없는 實情이다. 넷째, 平生敎育 指導者에 있어 韓國에서는 아직까지 平生敎育指導者들에 대한 인식 및 연구가 부족하며 槪念조차 定立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며 平生敎育法에 기존의 ‘社會敎育專門要員’을 ‘平生敎育師’로 그 명칭을 改定하고 있지만 平生敎育法에 규정되어 있는 平生敎育師는 定規교육을 받고 資格을 취득하는 제도화된 指導者일 뿐, 이것이 平生敎育指導者의 전부라고는 말할 수 없다. 반면에 日本에서는 平生敎育指導者를 公式的인 資格證을 소지하거나 정규 지도자교육을 받은 자뿐만 아니라 특별히 資格制度는 없지만 學識과 經驗이 인정되는 사람이 平生敎育指導活動에 參與하게 되면 그 또한 지도자로 認定하고 있으며, 非定期的이면서 間接的으로 학습에 도움을 주는 自願奉仕者들까지 平生敎育指導者로 포함시키고 있다. 兩國의 제도화된 平生敎育指導者의 양성 및 배치, 연수에 있어서 韓國의 평생교육사와 日本의 사회교육주사는 大學이나 文部省(교육부)이 指定한 기관에서 養性되고 있다는 점에서 유사하지만 韓國의 平生敎育師는 大統領령이 정하는 일정규모 이상의 社會敎育團體 또는 社會敎育施設에 배치되어 社會敎育課程의 편성·진행과 敎育效果의 분석·평가 등 교육활동의 기획·분석 및 指導業務를 전담하는 任務를 지니고 있는데 반해 日本의 사회교육주사는 각 지역의 敎育委員會의 사무국에 배치되어 專門的 敎育職員으로서 社會敎育을 행하는 자에게 專門的·技術的인 지도조언을 하는 任務를 지니고 있어 配置와 任務에 있어서 약간의 差異點이 있다. 지금까지의 硏究를 通하여 다음과 같은 結論과 問題點이 導出되었다. 첫째, 平生敎育의 제도를 이행하는 데에 있어서는 多樣한 교육형태간의 協力體制를 개발하는 것이 重要하며, 이에 따라 平生敎育 理念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統合의 理念을 중심으로 삶과 敎育이 統合될 수 있도록 경직된 固定觀念에서 벗어나 開放體制로 나갈 수 있는 보다 과감한 敎育改革의 의지가 必要하다. 둘째, 平生敎育 理念의 실현을 위해서는 平生敎育의 理念을 올바로 이해하고, 그 개념을 재정립해 가는 課程이 무엇보다 先行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각종 高等敎育機關에서 양성된 평생교육사에 대한 認識을 달리하고 평생교육사를 다양한 社會敎育 시설에서 임용하여 社會敎育의 專門性과 질 향상에 努力하여야 할 것이며, 그들이 正當한 대우와 身分保障을 받아 그 役割을 충실히 修行하게 함으로써 平生敎育의 이념을 충실히 반영한 平生敎育이 실현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넷째, 平生敎育 理念을 실현할 수 있는 平生敎育體制가 우리 나라에 조속히 定着되기 위해서는 平生敎育 理念에 대한 國民들의 認識을 높이고, 국민 스스로가 平生敎育推進體制에 참여할 수 있는 여건을 造成하는 일이 急先務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idea and the system of lifelong educations of Japan which have been systematic and concrete; at the same time, it aimed at finding out the problems of Korean lifetime education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ideas and the systems of lifetime education of Korea and Japan, and providing guidelines for the constructive lifetime education. As a research method, the primary research, collecting data on the education, and the secondary research, reviewing the literatures were conducted.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First, since August 15, 1945, the education principles of both Korea and Japan were started and they have been evolved to the present period with changes of emphasis in accordance with the historical background. A significant difference exists between Korea that practices the prosperity of the mankind in its education principle under the devotion to the welfare of mankind and Japan that becomes more conservative and confronts new nationalism through education reform that defies to the principle of truth and peace. Second, the ultimate goal of the lifelong education law of Korea and Japan is enacted to guarantee continuing education of all citizens, and it is similar to the duty of country and local government. However, in regard to the legal system of the lifetime education law, the system of Korean law was reestablished after the existing social education law was reformed and this law is placed in low rank among the education laws and it has the same weigh as the elementary, junior high school, and high school education laws. In the mean time, lifelong education promotion law of Japan is at the equal position as the education foundation law. In terms of the applied scope of the law, the law of Korea is an expanded and reformed social education law; it covers all types of educational activities except school education. In contrast, since the lifelong education promotion law of Japan is separately established from the social education law, it regulates school education and social education, and promotion of culture that are related to matters and activities of lifelong education promotion. A difference exists here in their goals. Third, in regard to organization for lifetime education, by establishing public citizens places at each city government, the Japanese government has been able to build up unique social education facilities that can never be found in any country of the world, and Japan was able to prepare systematic cornerstone that can promote the lifelong education of local residents of every district. Meanwhile, unlike Japan, the lifelong education facilities of Korea are not able to provide and create the learning environment for people who wish to continue their education at anytime and anywhere, Moreover, even existing facilities are lack of systematic equipment and promotion. On the other hand, as entering into the system of lifetime education, unlike the previous public citizens places centering around mainly Boohyun, the Japanese government has begun to operate lifetime education centers that covers wide and overall areas Meanwhile, the establishment of lifetime education center in Korea is still at the stage of planning, and there have been no actual projects driven by the local governments at this time. Fourth, in regard to lifetime education instructor, there have been no sufficient studies and its concepts are not even established. Although the title of "social education professional agent" was changed to "lifetime education instructor, a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 specified in the lifelong education law is just the one who obtains the license after completing regular education; therefore, this cannot be everything of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 In Japan, the Japanese society, on the other hand acknowledges anyone who has completed the license course or regular course; in addition, although there is no system of specific qualification, if one who has knowledge and experience participates in activities of lifelong education guidance, he or she is also recognized as a guider, and even volunteers who provide help irregularly and indirectly are included in the category of lifelong education guider. In terms of fostering, allocation, and training of the guiders, it is similar that those instructors of Korea and Japan are being fostered in universities or organizations approv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However, those instructors in Korea take charges of organization and process of social education process, and analysis and evaluation of education effects, and planning, analysis, and guiding work after allocated to social education centers or social education facilities appointed by Korean president with certain size of scale and. However, social education workers in Japan are responsible for providing professional and technical advises to those who perform social education after being placed to a bureau of committee of education in each district so that there is a little difference in the aspects of allocation and responsibility. Through the research, following conclusions and problems were reached. First, in regard to carrying out the system of lifelong education, it is important to develop cooperate systems among different forms of educations. Consequently, a bold will of reforming education to move forward to an open system from getting out of fixed idea is necessary so that a life and an education can be combined centering around the idea of unification which is a core in the idea of lifelong education. Second, in order to make the idea of lifelong education real, right understanding of lifetime education idea and rearrangement of its concept should be preceded in advance. Third, one should change his or her perception on lifelong education guiders fostered in a number of higher education organization and hire them in a social education facilities so that there should be an effort to improve professionalism and quality; at the same time, by allowing equal treatment and secured their status, they can play their roles, and the lifelong education the reflects the idea of lifelong education should be actualized. Fourth, in order to root in the system of lifelong education that materializes the idea of lifelong education in Korea as soon as possible, raising peoples perception on the idea and creating environment that motivates people to participate in the system of lifelong education project can be an urgent matter.

      • 기독교교육을 위한 교회공동체론 : John H. Westerhoff III를 중심으로

        정성은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논문은 다변화된 현대사회를 살고 있는 교회의 지도자들에게 갑자기 기독교 교육의 방향과 방법을 제시해 달라는 질문을 받으면 이론적으로는 쉽게 말할 수 있다. 그러나 다시금 심사숙고하여 표현해달라고 하면 그리 쉽게 말할 수 없을 것이다. 우리나라의 현재 상황은 다른 나라들과는 다르게 문화(유행)가 획일화되며 독특한 개성도 또 주관도 빈약하기 때문에 한층 더 어려워진다고 생각되어 진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독교 교육은 이제 새롭게 시도되어야 할 것이라고 생각되어지고 구태의연한 방법 말고 새 방법이 제공해야 하는데 그것이 바로 공동체로서의 교회 즉 교회공동체에 의한 기독교교육을 대안적 방법으로 제공하고자 한다. 이 논문은 5장으로 구성 되어있다. 제 1 장은 서론으로 인간성 상실시대에 기독교교육 마저도 흔들리고 있는데 그것은 학교형 교육을 따르고 있는 기독교교육이 이제는 쇠퇴해가고 있기 때문이다. 이 낡은 교육방법은 대안을 요구하고 있고 그에 합당한 것으로 웨스터호프(Westerhoff Ⅲ)와 넬슨(C. F. Nelson)에 의해 소개된 신앙-문화화 공동체 범례(the community of faithen-cultivation paradigm)가 있다는 것을 소개하고 제 2 장은 지금까지의 우리 기독교교육이 뿌리 없이 되어진 것은 아니다. 하나님과 인간과의 신앙이 생성되고 이 신앙을 학문적으로 연구하는 것을 신학이라고 한다. 이 신학적으로 종교적 용어인 신앙은 그저 느끼는 느낌이 아니라 전달될 수도 있다고 하는데 이 전달을 ‘어떻게’ 하는가 하는 것이 바로 기독교교육이라는 것을 주장하며, 기독교교육은 기독교신앙과 일반교육을 접목시킨 학문이지만, 그 교육이 되어짐에는 항상 하나님이 역사 하여야 하고 그 결과는 하나님의 자녀로서의 생활로 이끌기 위한 것으로 이 교육은 교회라는 장(場)에서 이루어지며 이 장이 곧 교회 공동체라는 것을 밝혔다. 제 3 장에서는 이 교회 공동체는 개인이 개인으로 무엇을 전달 혹은 승계하는 것이 라기 보다는 각자 자기에게 주어진 일을 하는 사회화가 형성되어야 하는데 사회는 개인의 집합이 아니다, 그 이유는 개인은 사라져도 사회는 존속 유지되기 때문이다. 사회화는 이 사회에 잘 적응하도록 목적을 세워, 적응하도록 하는 의도적 사회화를 소개하고 이 의도적 사회화는 누군가에 의해 영향력을 행사하는 즉 사회화하는 자가 필요한 것으로, 이것은 순수한 공동체가 아니므로 웨스터호프는 이 ‘의도적 사회화’라는 단어를 ‘문화화’로 대신 하였다. ‘문화’는 사회의 삶의 방식이다. 한쪽에서 다른 쪽으로 흘러가고 훈련되어지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서로가 영향을 주고받으며 형성되는 것이다. 문화는 삶의 방식이고 삶의 실재이며 또한 학습된 행동과 행동결과의 구성으로 이 문화는 서로 나누어지고 또 전달된다. 기독교교육은 학교형 교육 즉 교수-학습 방법을 탈피하여 이제 '문화화의 과정'으로 이해하며 그 좌표를 설정하여야한다. 이 문화화의 과정은 참다운 신앙공동체가 이루게 될 것이다. 제 4 장에서는 웨스터호프가 말하듯이 문화화 과정을 이루는 신앙공동체는 어떠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나 를 알아보고 그 공동체가 갖추고 있는 특징 4가지를 제시하며 공동체를 소개하고 이 공동체 안에서 일어나고 있는 것들인 종교의식과 경험 그리고 행동 등을 살펴보면서 세대간에 전달되어지는 내용의 범위를 나름대로의 전통과 인간의 영적 생활을 유지하며 촉진시켜 나아갈 것인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그런 것을 세계와 사회 속에서 행동할 수 있는가를 살펴보며 이 신앙공동체가 추구하는 4가지의 신앙유형을 살펴보며 신앙교육을 위한 교회의 교육적 방안을 제공함에 한국교회에 그 수용가치가 있을지는 의문이지만 크고 작은 공동체의 연결 속에 새로운 영적인 교회 공동체를 기독교교육의 제한성을 극복할 하나의 비젼 있는 대안적 모델로 제시하고자 시도해 보았다. 이상에서 살펴본 교회공동체이론을 우리나라 형편에서 어떻게 준비되어야하며 그 내용을 어디서 누가 가르쳐야 하는가를 살펴보며 나름대로 공동체교육을 위한 기초 과정적으로 한국교회가 고쳐나가야 할 것들을 제시했다. 제 5 장은 결론으로 신앙공동체로서의 교회교육이 자의에 의한 고백적 신앙인을 양성하는데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라고 주장해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tended to provide for leaders of church the efficient way to educate Christians. When these leaders are asked to give an answer for the Christian education, it seems that they could give an answer in theory easily but it is not so easy to give in considerable levels. Especially, the Christian education is quite difficult for Korean, because the culture of Korea doesn't allow the coexistence of various cultures. That is, the trend dominates Korean's all aspects of life seriously so that it hardly find the individuality and subjectivity in culture (The basic stance of the writer in this paper is that Korea's politics, economy, culture and education are all in transitional phase). As a result, this makes the situation hard to give ample and efficient Christian education to Koreans. Definitely, it is required for us to have the brand-new ways to educate Christians. Therefore, I present in this paper the alternative education system that is called the community of Faithenculturation for theology education. This paper consists of 5 chapters. In the first chapter, I will go through why Christian education is under going the hardship along the collapse of the humanity education recently. The main reason is that the Christian education in school-style system is no longer valid and it needs the alternative ways. For this, I'm going to introduce the community of Faithenculturation paradigm by Westerhoff Ⅲ and C. F. Nelson as the alternative ones. In the second chapter, I focus on what Christian education is. That is, Christian education is not pulled up by the roots in Korea, as theology that studies how the faith is formed between God and human beings exists. It is question of how we can convey this notion of faith to Christian properly. Christian education is the study that intends to combine the faith and general education. To accomplish this task, it is important to know that God is doing this and the education is the result of effort to lead our children to God's ones. And this education must be completed at the church, and church is the community itself. In the third chapter, these church communities are not the entity succeeded to individual to individuals. It is rather the whole socialization process where every individual learns how to complete his or her own task. As a result, though an individual no longer exists but this community still does. The purpose of this socialization makes the individuals adaptive to this society. This is called the deliberate socialization. However some authorities that intend to socialize the individuals manipulate this deliberate socialization. Therefore this is not for the person who is socializing. Westerhoff Ⅲ replaced this "deliberate socialization" to "culturalization" to focus on the community where socialization occurred. Culture is the way of life so everyone in this society interacts significantly. It is the reality and real way of life: it could be shared among people and handed to next generation. Christian education also must be focused on this culturalized process apart from the existing the school-style education system. In fourth chapter, I will go over the four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his community as the process of culturalization. Also I will check what kind of religious rituals, experience and behaviors are occurring within this community. And then I will focus on how we could maintain and foster the tradition and human being's spiritual life within the range of contents that is handed by the pictures, how human beings who are educated in this community could act in this society. I will go over the four types of faith that are pursued in this community and then present the new educating way. That is, I present the link among the each community and the spiritual church community that is based on these links. I think that this is the alternative model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existing Christian education. However, it is questionable how Korean churches accept this proposal. In the last chapter, I conclude that The Community of Faithenculturation will be very helpful to rear the professant of religion.

      • 都市女性의 餘暇實態와 社會敎育 要求에 關한 硏究

        박기원 明知大學校 社會敎育大學院 1997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는 급격한 사회변화에 따라 늘어나는 여성의 여가 문제를 어떻게 사회 교육적으로 해결하고 또 바람직하게 선용하도록 유도할 것이냐에 따라 도시여성의 여가 활동 실태를 파악해 보고 사회교육활동참여와 요구를 조사하여 도시여성들을 위한 사회교육프로그램을 구성할 때 참고가 되는 자료를 제공하려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거주하고 있는 여성들 8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여 총 672부를 회수하였으며 이중 한쪽에 치우친 응답이나 무응답 문항이 지나치게 많은 불성실 응답자 34명을 제외하고 나머지 총 638부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조사로 얻어진 자료는 지역별, 연령별, 결혼여부, 학력별, 직업별, 생활정도별로 나누어 두 변수(문항)간의 상호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X^(2)(Chi-Square)검증과 ANOVA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도시여성들의 여가 활용 실태에 대해 살펴본 결과에 의하면 도시여성들의 평일 중 가장 한가한 시간은 오후 9시 이후가 가장 많았으며 여가에 소요되는 1시간~2시간 정도였고 여가란 일에서 벗어나는 자유시간으로 생각하며, 여가 생활에 있어 생활의 활력과 새로움을 찾기 위한 욕구가 크며, 여가 생활 만족도는 대체로 만족스럽게 나타났다. 2. 도시 여성들의 사회교육 활동에 대한 인식도를 살펴본 결과에 의하면 도시여성들은 사회교육활동 참여를 대체로 필요하다고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특히 41~50세, 50세 이상의 여성들은 여성의 사회교육활동이 매우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교육프로그램 안내는 주로 방송매체를 활용하면 사회교육에 참여하는 목적은 교양, 지식, 건강을 위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교육활동 참여시 주된 관심사는 마음의 여유로 나타났으나 기혼의 가정주부들은 비용에도 많은 관심을 나타냈다. 교육방법은 실험, 실습, 견학위주의 창조적이고 활동적인 교육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도시여성들의 사회 교육시설 이용에 대해 살펴본 결과에 의하면 사회교육기회는 주로 공공시설인 구청, 구민회관, 지역사회복지관을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기간은 3개월 정도였으며 생활정도와 학력이 높을수록 교육기간이 길었고 생활정도와 학력이 낮을 수록 교육기간이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교육시설은 1년에 1회 정도 이용하며 거주지역의 사회교육시설에 대해서 그저그렇게 생각하거나 불만족스럽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직장여성들이 직장이 끝난 후에 이용할 수 있는 시설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며 저소득층 여성들을 위한 시설 확충이 시급한 것으로 보여진다. 4. 사회교육 활동 및 프로그램 특성에 대해 살펴본 결과에 의하면 도시 여성들의 교육 참여 내용으로는 직업기술전문분야와 건강 교육 보건 분야로 나타났으며 기초교양 교육 분야에서 주로 희망하는 내용은 인간관계 및 여성활동에 관한 교육이었고, 건강, 보건교육 중 희망내용은 생활건강 및 운동에 관한 교육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기술 분야 중 희망 내용은 부업 및 취업을 위한 기능교육을 원하는데 연령이 낮고 학력이 높을 수록 컴퓨터교육과 외국어 교육을 연령이 높고 학력이 낮을 수록 부업 및 취업을 위한 기능 기술교육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교육 중 희망내용은 체육교육 분야로 에어로빅 및 건강체조 등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needs for education in leading urban women for useful their leisure activities. This study describes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analysis of survey findings.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s are observed by reviewing general concept of leisure, change of women's urban life and leisure, and social education for women from the standpoint social educati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1. New concept of leisure should be establish and adapted to social education for women. The leisure now not only means 'spare time' but more comprehensively 'free state of mind' so that one can perform ones duty in free envelopment.. 2. The social education for women should include leisure education. To make best use of increased leisure, more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education is needed and it can be done effecting through social education for women. 3. The social education for women must be education that can prepare women for the future. 4. The social education for women must be for self-actulization of women, and to do so, may high quality education program must be developed. In order to improve the women's leisure activities high quality education programs are necessary along with seminars and symposium about the useful use of women abilities.

      • 北韓離脫住民의 韓國 社會 適應을 위한 社會敎育的 對應에 관한 硏究

        김한목 明知大學校 社會敎育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는 시대적 상황에 따른 북한이탈주민의 慾求變化를 인식하고 효과적이며 지속적인 社會適應 敎育方法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북한이탈주민이 시대적인 상황변화에 따라 북한을 탈출해 나가는 과정과 이에 따른 특성의 변화 및 욕구의 다양화를 살펴보았고 이들이 한국사회에서 適應하는 모습과 不適應의 원인을 고찰함으로써 一生동안 지원해야 할 사회적응교육의 모형을 도출하려하는 한편 나날이 증가하고 있는 탈북자의 국내 유입과 관련하여 對應策을 마련하려는 것이었다. 연구방법으로는 우선 文獻硏究를 중심으로 한 比較硏究方法이 적용되었으며 일부 북한이탈주민을 개별적으로 심층 면접함으로써 연구목적에 대한 質的 分析의 기초를 갖추는 한편, 관련 설문조사 등에서 나타난 原資料(raw materials)들을 재구성함으로써 가능한 범위 내에서 量的 分析을 竝行하였다.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사회 적응에 필요한 社會適應敎育의 模型을 결정짓는 변수로는 첫째, 탈북의 배경이 되는 北韓의 社會構造的 要因과 周邊國家간에 탈북자를 ‘밀어내는 힘’과 ‘끌어당기는 힘’의 力學的 關係가 고려되었으며 둘째로는 탈북자들이 국내에 들어온 후 한국사회에 適應하는 모습과 이들의 社會·文化的 욕구와 특성이 사회적응교육에 미치는 影響이 고려되었고 셋째로 고려한 변수는 한국의 정부 및 민간단체의 定着支援努力과 社會適應敎育간의 상호 代替的 관계이며 끝으로는 社會敎育學의 自己 主導的이며 相互 學習的인 學習原理가 고려되었다. 이러한 變因들간의 相互關係에 留意하면서 연구를 진행한 結果 1) 최근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國外 탈북자와 國內 북한이탈주민은 北韓의 社會構造的 요인과 한국·중국·북한 등 關聯國家간의 國際政治·經濟的 상호작용 요인 등으로 量的 增加趨勢()는 앞으로 지속될 전망이며 質的인 면에서도 이들의 脫北動機와 慾求의 多樣化 경향은 더욱 증폭될 것이 예상됨으로써 한국의 정부 및 민간단체의 정착지원노력과 사회적응교육이 일대 方向轉換을 모색해야 할 단계에 이르렀으며. 2) 이미 韓國 國籍을 취득한 북한이탈주민 역시 현금지급방식의 定着支援金 制度의 非現實性과 입국초기에 편중되어 있는 單發性 社會適應敎育으로 인해 높은 실업율과 잦은 이직, 정착금 소진 등으로 경제적으로 불안정한 생활을 하고 있으며 입국초기에 극복되었어야 할 心理的 不安感과 社會·文化的 異質感이 남아있어 심한 憂鬱性向(CES-D 16.77)을 보이는 등, 각 분야의 不適應현상이 심화되고 있어, 계속 방치될 경우에는 社會不安要因이 될 우려가 있음이 밝혀졌다. 3) 따라서 북한이탈주민 政策에 대한 근본적인 시각을 통일정책 차원보다는 內國民에 대한 社會保障 및 社會敎育정책 차원으로 전환하는 한편 첫째, 북한이탈주민 정책의 效率的이며 體系的인 추진을 위해 主務部處를 중앙 및 지역의 行政資源을 효과적으로 동원, 관리 가능한 行政自治部로 변경·지정할 것과 거주지 신변보호·취업알선 담당공무원의 역할재편, 脫北者 國內 大量流入에 대비한 地域別 收容 및 敎育施設 조기확보 등 행정지원체계를 정비하고 둘째, 북한이탈주민의 經濟的 생활안정을 위해 현행 定着支援金 제도를 融資支援方式으로 전환하고 자립·자활교육을 강화하며 하나원과 북한이탈주민 밀집지역에 職業訓鍊機關을 설치하여 직업훈련 기회를 확충하고 사회적 연계망을 활용한 취업알선 활동 등을내실화하며 셋째, 문화적 異質感과 심리적 不安感을 조기에 극복하고 社會適應能力을 제고하기위해 입국초기에 편중되어 있는 사회적응교육을 일생 관리적인 입장에서 계속 지원하는 방안을 강구하며 하나원과 민간단체의 사회화 교육과정을 體驗爲主 생활교육으로 전환하는 등 社會敎育次元의 學習방법을 도입하고 心理安定 프로그램의 조기 시행 등 개선방안이 제언되었다. The thesis is an attempt in direction of developing the social adaptation education for the displaced people from North Korea. For this purpose, the survey takes a look at the situations and needs of them with the changes of times and analyze the social education services by stages. The survey is through the literature study and individual interviews and SPSS data analyzed from the raw data of the displaced people from North Korea by the Ministry of Unification. For example, the basic data are like these 1. Literature review of the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 and North Korea society. 2. Literature review of the adaptation process in South Korea society, present situations and their characteristics of the displaced people from North Korea. 3. Private interviewing with some of them, for qualitative approaches. 4. Review of preceding studies about adaptation program of them and cases of foreign countries. 5. SPSS data analyzed from the raw data of them by the Ministry of Unification and domestic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for quantitative analyzing. In this study,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 1. The number of displaced people from North Korea has been rapidly increased since 1990, and it is because that the number of people as the whole family and as the group immigrants has been increased since then. And in this study the speed of rapid increase of the detached people is defined as a numerical formula, . In short, the number of the detached people has increased twice a year. Therefor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them have greatly changed. 2. Although these phenomena made South Korean government and people be concerned about the displaced people from North Korea, they are still faced with many difficulties to adapt themselves to their surroundings. Basically they are much in needs of economic help to maintain their lives in this capitalistic society, but the degree of their capacity for living analyzed by the employment rates is high and mostly they strive for job seeking. Since no adequate vocational trainings of government consider their individual peculiarities, their unemployment rate is high, about 40%. In addition, they are suffered from psychological unrest and socio-cultural heterogeneity. 3. So, in this paper, the directions of improvement of social adaptation education and resettlement policy are followings; First, in terms of social security and social education, the detached people from North Korea should be impartially treated.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is the leading Ministry which will effectively drive the policies related to the detached people and will systematically control the administrative resources. Second, in case the number of the detached people are huge, accomodations should be regionally secured. Unused schools could be used as the accomodations which would reduce financial burden, teach the people linking the regional industries and protect them safely. Third, for the economic living security of them, the existing lump sum method should change to the loan facilitation. We should teach the principle of the market economy to inspire them the will of self-reliance and self-support. In addition, we should establish two kinds of institutions; the elementary job training school in Hanawon and the technical job training school in the detached people aggregated region. The job training would increase the rate of employment of them. Fourth, there are some methods to decrease cultural heterogeneity and psychological unrest and to increase social adaptability; early operation of psychological rest program, curriculum reinforcement of Hanawon, introduction of experience-based learning method, inducement of positive participation in community development activities, etc. All mentioned above would be materials which could construct a model of social education for the detached people.

      • 도시여성의 여가와 사회교육 참여 : 포항시를 중심으로

        조성례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1992 국내석사

        RANK : 250703

        1. 연구의 성격 포항제철 건설에 따라 형성된 주택단지 주부들의 일일생활 역할과 사회교육 및 여가생활을 조사함으로써 그들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도움이 되는 사회교육계획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다음과 같은 내용의 조사를 실시하였다. 1) 여가에 관한 조사 2) 사회교육활동에 대한 인식조사 3) 사회교육 활동 및 프로그램 특성에 관한 조사 4) 사회교육 시설에 관한 조사 5) 사회교육 활성화 방안에 관한 조사 조사대상은 포항제철으로 부터 서쪽으로 2Km 떨어진 효자 주택단지의 3,078호 중에서 1,000가구률 무작위 표집하여 질문지 조사를 하였다. 그중 523부를 회수하여 회수율은 52%였으나 표기처리등이 잘못된 것을 제외하고, 382매를 SPS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 처리했다. 1. 여가에 관한 조사 1) 주택단지 주부들의 여가시간은 대체로 3시간에서 5시간 정도이며, 가사활동 사이에 간간이 있는 여가시간대는 오전 9시에서 12시 사이, 오후 12시에서 3시사이, 그리고 오후 3시에서 6시 이후의 시간이다. 2) 주부들이 여가시간 중에 가장 많이 하고 있는 것은 매스·미디어(라디오, TV, 신문, 잡지 등)이다.(21.2%) 그러나 이밖에 교양강좌(16.5%), 서예(7.6%), 건설적인 스포츠나 건강활동도 16.5%로서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다. 2. 사회교육활동에 대한 인식조사 3) 사회교육활동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약간 필요하다'가 57.9%로 가장 많고, '매우 필요하다'는 응답은 31.5%여서 사회교육의 필요성이 상당수 인식되고 있다. 3. 사회교육 및 프로그램 특성에 관한 조사 4) '프로그램에 대한 매력을 느낀다'는 응답이 17.3%이고, '사회교육 활동에 만족한다'는 응답이 30.1%이고, '그저 그렇다'는 응답이 57.6%이다. 그리고 프로그램에 대한 바램은 기술교육, 외국어, 홈패션, 상업미술, 실내장식 등의 순서이다. 4. 사회교육 시설에 관한 조사 5) 사회교육 시설은 방송매체와 주택단지내의 사회교육기관(부덕사) 등이다. 6) 사회교육 활성화 방안에 관한조사 사회교육활성화 방안으로는 큰 수치부터 국고부담, 기업부담, 피교육자의 부담 순이다. 5. 학력별 사회교육 활동의 동기에 관한 조사에서는 고등학교 졸업자의 자아발전을 위하여가 57.9%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는 역시 고등학교 졸업자의 경우에서 '대인관계를 위해서'가 11.3%이다. 6. 사회교육 참여시의 관심사는 마음의 여유가 34%이고, 비용이 16.8%이고, 예상되는 만족감이 18.6%이다. 7. 학력별 사회교육활동에 함께 참여하는 사람을 보면 '이웃과 함께'의 경우 고등학교 졸업자가 40.3%이고 중학교 졸업자가 4.7%이고, 대학졸업 자가 1.6%순이다. 8. 사회교육 활동의 필요성을 여성들은 원하고 있고, 그 프로그램의 성격은 구체적이고 여성들의 사회생활이나 가정생활에 맞게 제공되어야한다. 이를 위하여 사회교육 활동은 국가와 기업의 일부부담, 사용자의 일부부담 등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 幼兒美術學院 敎師의 幼兒社會敎育 內容에 대한 槪念圖 硏究

        한송철 明知大學校 社會敎育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50703

        本 硏究의 目的은 幼兒美術學院敎師의 유아사회교육內容에 대한 槪念圖를 分析 硏究를 통하여 교사들이 유아교육을 실시함에 있어 그 내용을 결정하는데 基礎가 되는 知識을 알아보고 敎師敎育의 基礎資料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硏究의 問題는 다음과 같다. ① 유아사회교육내용에 대한 교사의 개념도에 나타난 상위개념은 어떠한가? ② 유아사회교육내용에 대한 교사의 개념도에 나타난 종속개념은 어떠한가? ③ 미술학원 교사들이 중요하게 인식하는 사회교육 내용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강동 지역의 유아미술학원의 교사 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유아미술학원 교사들의 유아사회교육 내용에 대한 지식을 조사하기 위해 개념도를 사용하여 내용을 분석하였다. 또한 유아미술학원의 교사들이 중요하게 인식하는 유아사회교육 내용을 조사하기 위해 제6차 유치원교육과정 사회생활 영역의 내용체계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5점 척도로 각 문항의 평균 점수를 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교사들은 개념도에서 총 15개의 상위개념을 사용하였으며 교사들 50명중 50명(100%)의 교사가 상위개념으로 ‘개인생활’을 사용하였으며, 다음으로 ‘가정생활’ 49명(98%), ‘집단생활’ 48명(96%)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사들이 사회생활 내용을 다룰 때 ‘개인생활’, ‘가정생활’, ‘기본생활습관’을 중요하게 여기고 있음을 의미한다. 교사들은 '개인생활'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으나 위계와 포함된 종속개념수가 높지 않은 것으로 보아 그 내용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내용의 범위가 넓지 않고 확장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특히 '개인생활'은 위계가 낮은 것으로 보아 개념의 확장보다는 일상생활 속에서의 실례를 주로 다루고 있음을 나타낸다. 반면, ‘기본생활습관’은 사용되어진 상위개념의 빈도에 비해 포함된 종속개념의 수와 특성점수, 위계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개념이 확장되고 다루는 내용의 범위가 넓음을 보여준다. 즉, 주제가 갖고 있는 특성에 따라 교육내용에 대한 결정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이므로 교육내용에 대한 결정이 과목 또는 과목 주제마다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유아미술학원교사들은 개념도에서 총 582개의 용어를 사용하였으며 같은 개념을 표현하는데 비슷한 용어가 많이 사용되었다. 또한 개념도에서 많이 사용된 상위개념 중 ‘기본생활습관’, ‘개인생활’, ‘가정생활’, ‘집단생활’, ‘사회현상과 환경’을 중심으로 2수준의 종속개념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교사들은 제6차 유치원교육과정에서 제시한 내용을 종속개념에서 거의 포함시키고 있으며 그 외의 다른 개념까지 연결 시켜서 다루고 있었다. 3. 제6차 유치원 교육과정의 사회생활 영역의 내용 중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은 ‘예의바르게 생활하기’(기본생활습관 4.68), ‘질서 지켜 생활하기’(기본 생활습관 4.38), ‘아껴서 생활하기’(기본생활습관 4.30) 등의 순으로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교육활동으로 어느 정도 실시하는가에 있어서는 ‘예의바르게 생활하기’ (기본 생활습관 3.92) ‘다른 사람 이해하고 존중하기’ (집단 생활 3.90)의 순으로 실시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대부분의 교사들이 기본생활습관 중 ‘예의바르게 생활하기’,‘질서 지켜 생활하기’를 중요하게 인식하며 교육을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essay was to look into basic knowledge in deciding the contents for teachers to carry out children's education through the analytic research of concept on the expression life of children's art academy teachers and provide basic data for teachers' education. The resulting concrete research problems are as follows. ① How is the high rank concept revealed at the teacher's conceptional chart the contents of expression life? ② How is the subordinate concept revealed at the teacher's conceptional chart the contents of expression life? ③ What are the contents of expression life art academy teachers think much of? ④ How is the teacher's attitude toward tp the conceptional chart after drawing it up?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51 teachers of children's art academies, members of 'Children's Art Education Institute of Children's Drawings' in Seoul, Kyeongki and Incheon-City. The contents were analyzed using the conceptional chart to inquire into art academy teachers's knowledge on expression life. The average of each item with 5 point measure using the questionnaire of the 6th children's curricula to explore the contents of expression life valued by art teachers, and the attitude test paper to the conceptional chart as a plan to apply significant learning to children's education. This study can be summed up as follows. 1. The teachers used high rank concepts in the conceptional chart, 40 of 51 (78.43%) used 'appreciation' most as a high rank concept, and 35 (68.62%) expression and 31 (60.78%) exploration, which signifies that teachers think highly of 'appreciation', 'expression', 'exploration' in dealing with the contents of expression life. Teachers perceive 'appreciation' as most significant, but given its rank and the number of subordinary concepts included, it can be found that the scope of them in performing the contents is not wide, nor inclusive. In particular, 'appreciation of low rank shows that is does not expand concept, but mainly deals with the actual state of daily life. On the contrary, 'expression' having more number of subordinate concepts, higher scores of its features and ranks compared to the frequency of high rank concepts used shows its concept is expanded and deals with wide range of contents. In other words, it is found that the decision on educational content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 topic has comes as different, so the decision in educational contents differ in each subject or subject topic. 2. Children's art academy teachers used 759 terms in total in the conceptional chart, and applied similar words in expressing same concepts. Also subordinate concepts of 2nd level were investigated mainly focused on 'exploration', 'expression', 'appreciation' of used high rank concepts. As a result, the teachers nearly included the contents of the 6th preschool's curricula in subordinate concepts, and dealt with them in connection with other concepts. 3. It was indicated that the descending order of the valuable contents at expression life in the 6th preschool's curricula was drawing (expression (4.50), singing (expression 4.33), being familiar with traditional art (appreciation 4.27), making and decorating things (expression 4.27), and that of educational performance degree was drawing (expression 4.64), singing (expression 4.39), and making and decorating things (expression 4.07). This result shows that most teachers conduct education perceiving 'drawing pictures, making and decorating things' of expression life as important. 4. The children's art academy teachers' attitude to the conceptional chart was positive in that the descending highest order of their perception degree was 'reading written data is easier to understand than reading drawn data with conceptional chart', 'checking teaching contents and setting it in order helps classes', 'conceptional chart can be used at classes only after drawing it up', 'the activity of conceptional concept helps grasping the concept of expression life'. On one hand, it is found they generally show positive response on utilizing the conceptional chart to children's education though there are negative aspects such as 'reviewing teachers' thoughts may disappoint individuals', 'drawing up the conceptional chart is not thought to be more helpful than traditional classes'.

      • 사회교육 시각에서 본 장병교육의 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 군대내 정훈병과를 중심으로

        서철규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1991 국내석사

        RANK : 250703

        A. 요약 및 결론 국민개병주의를 채택하고 있는 한국에서는 많은 청장년들이 군대를 거쳐 나갔으며 앞으로도 그렇게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교육은 지식과 기술, 태도를 포함하는 인간의 모든 성장과 발전을 집단속에서의 사회적 과정을 통하여 이루는 것이라고 볼때, 가장 방대한 조직사회인 군내에서의 교육 특히 사병들의 정신교육과 제대후 사회적응을 위한 사회교육을 담당하는 정훈교육은 매우 큰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일반 사회는 물론 군당국 자체에서도 이와 같은 사회교육에 대하여 관심이나 인식이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정훈교육의 중요성을 재인식 하고 육군내 정훈병과를 중심한 사회교육 실태와 문제점을 밝혀 군내 정훈병과를 중심으로한 사회교육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저 한다. 본 연구의 방법은 문헌연구와 실태조사 방법을 병행하여 수행하였으며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1 - 3까지는 문헌연구로, 4는 설문조사로 수행하고 부가적인 방법으로 전문가와의 면접을 실시하였다. 문헌연구 결과 사회교육은 학교교육외 청소년과 성인을 위한 조직적인 교육활동이라 할 수 있으며 그 대상 중에 군대는 매우 큰 영역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이중에서도 정훈교육은 군내 사회교육에 핵심적인 부분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정훈은 제1 , 2차 세계대전후 각국에 등장하기 시작하였으며 한국에서는 1946년 1월 15일 남조선경비대의 창설과 더불어 등장하였다고 볼 수 있다. 정훈교육이란 군인정신의 함양과 사상전도를 위한 교육이고, 공민교육이라 함은 각 장병들에게 비군사적 일반 교과 및 실업교육을 시킴으로써 장병의 교육수준을 향상시키는 것을 말하며, 공보란 군에 관한 사실을 언론이나 기타 수단을 통하여 국민에게 주지시킴으로써 군에 관한 이해와 신뢰 그리고 지지를 얻게 하려는 시도를 말한다. 한국의 정훈의 역사는 1946년 남조선경비대 창설과 함께 시작되었으며 1948년 미군정으로 부터 행정권을 이양받아 12월 15일 국군조직법을 제정·공시함으로 국방부에 정훈국이 탄생하게 되었다. 그후 육군정훈감실 설치 (1949.5.22) , 정훈대대 창설 (1950.11.25). 종군작가 종군기자단 조직 (1951.8.29) 휴전이후 육군정훈학교 창설(1954.7.20), 정훈병과 창설 (1954.7.20). 정훈학교가 개설(1968.10.5) 되는등 장족외 발전을 거듭하다가 정훈학교가 내실화를 위해 종합행정학교내에 흡수 통합되고. 1977년 9월 5일에 국군정신 전력학교의 창설을 갖게 되었다. 현재는 국방부 정훈국 산하에 정신전력과, 정훈과, 문화 홍보과가 설치되어 있다. 정훈교육의 업적은 많은 부분들이 있지만 대표적인 것은 첫째, 군부내 공민교육의 실시로 장병들의 문해교육 (문맹퇴치)에 커다란 공헌을 하였다. 둘째, 민주주의 교육의 실시이다. 세째, 반공 및 일반 교양교육의 실시이다. 네째, 장병들의 정신춘화 및 여가선용을 위한 교육실시이다. 다섯째, 전시 군인의 연합대학에서의 교육과 일반 대학에 위탁교육 등을 말할 수 있다. 정훈교육의 교육과정은 창군기 (1946-1947) , 동란기 (1949-1953), 과도기 (1954-1960), 준비기 (1361-1968), 체제확립기 (1969-1980), 교육내용 심화기 (1981-1989), 교육방법개발기(1990-) 등으로 나누어 질수 있다. 군대사회는 통제되고 획일적인 사회이어서 어느정도 그 나름대로 특징이 있으리라 생각되지만 사병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대상자들의 지역, 종교, 학력에 큰 유의차 없이 비슷한 생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군대내에서의 장병교육에 관찬 설문조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장병들은 군에 복무하는 것을 3분의 2 이상이 자랑스럽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표- 19), 군에 복무하는 목적을 국가와 민주주의를 위해, 가족을 위해, 병역의 의무 때문에, 민주주의 정의를 위해 라는 순으로 나타났다. (표-21) 둘째,군복무중 정훈교육을 받는 것에 대하여 80 %에 해당되는 상병들이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냈으며 (표-22) , 3분의 2 이상이 군복무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정훈교육이 실제로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였다. (표-23) 이것으로 보아 정훈교육 자체가 장병들이 군생활에 적응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볼 수 있다. (표-24) 세째, 정훈교육을 받는 횟수에 대해서는 3분의 2 이상의 장병들이 한주에 1번 정도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소수이기는 하지만 전혀 받지 않는 장병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표-25) 실시 시간은 3분의 2이상이 오전중에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표-26) , 일회 교육시 절반 이상의 장병들이 1 - 2 시간 정도의 교육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이 실시 시기와 시간의 양에 대하여 만족해 하고 있는 깃으로 나타났다. 네째, 정훈교육의 내용에 대한 전체적인 평가는 3분의 2이상이 긍정적인 생각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표-35) 현재 실시하고 있는 정훈교육의 내용은 이데올로기교육, 정신전력교육, 군법교육, 군정신무장교육, 국가관확립, 일반교육 순으로 중점을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표-31) 장병들 스스로가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내용은 일반교육, 인격지도 정신전력교육, 군법교육. 이데올로기교육 등으로 역순을 나타내고 있고, 제대후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내용으로는 일반교육, 인격지도를 지적함으로써 제대후 생활에서 실질적으로 자신에게 도움이 될 만한 내용을 희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표-33) 다섯째, 정훈교육을 받고 있는 교수방법으로는 70 % 이상의 장병들이 주로 강의식 교육을 받고 있고, 그외 주제발표, 토의식 시청각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정훈교육시 회망하는 교육방 법에 대해서는 80.4 %의 장병이 시청각 교육을 회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표-36) 이것으로 볼 때 현재 실시하고 있는 교육방법이 학습자 보다는 교수자 위주의 방법인 것을 알 수 있다. 여섯째, 정훈교육이 제대후 사회생활에 있어서 도움이 될 것이라고 3분의 2이상의 장병들이 생각하고 있으며(표-38), 이러 한 생각은 학력이 높을수록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표-39) 또한 군내에서 제대후 직업을 위한 교육을 절반 가량이 받은 일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표-40), 3분의 2 이상의 장병들이 직업교육과 장병교육 등이 사회 적응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군내에서 사회교육의 참여유무는 절반 가량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복무기간이 길고 연령이 높을수록 참여 경험이 더 많으며 (표-41), 교육내용은 정신교육, 성인교육, 직업교육, 인격교육, 공민교육, 위탁교육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표-44) 군대외 기관에서 사회교육 참여는 부대간에 따라 다소간의 차이는 있겠지만 적은 수의 장병이 교육에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표-42). 이들이 군대외 기관에서 받는 사회 교육의 종류는 사회교육 기관을 통한 교육, 대학위탁교육, 직업 훈련등의 순으로 나타났는데 고학력자 일수록 대학 위탁교육이 고졸과 그 이하일 경우에는 직업교육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43). 여덟째, 장병들을 위한 정훈교육의 교수자는 정훈장교와 같은 전문 요원보다는 비전문요원인 소·중대장이 더 많이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표-45), 장병들을 위한 사회교육의 교수자 또한 전문요원 보다는 비전문 요원들이 더 많이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46). 이것으로 보아 정훈장교나 군종장교와 같은 전문요원 보다는 소·중대장인 비전문 요원이 정훈교육과 사회교육에 주 교수자로 참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비전문 교수자 임에도 불구하고 장병들은 교수자의 교수태도에 대한 평가에 3분의 2이상이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표-47). 이상과 같이 대체로 군대내 장병교육에 대한 사병들의 평가는 매우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장병교육의 교육과정 및 방법면에 있어서는 개선할 여지가 있다고 판단 된다 특히 교수자 가운데 대부분이 비전문 요원인 것으로 나타나 이들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며 군내의 사상교육과 병행하여 제대후 사회적응에 관한 교육이 보다 더 많이 취급되야 할 것이다. B. 제안 이 연구에서 얻어진 몇가지 결과를 근거로 하여 군내의 장병교육을 중심으로한 사회교육 발전을 위하여 몇가지 개선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정훈교육시 사병들을 위한 교육내용은 이데올로기교육, 정신전

      • 工業系 專門大學의 社會敎育 要求分析 : 勤勞靑少年의 要求를 中心으로

        곽중근 明知大學校 社會敎育大學院 1991 국내석사

        RANK : 250703

        In the modern industrial society, the education of young laborers in the employ of industries has been much demanded from the viewpoints such as manpower development, indestrialedecational cooperation, life-long education and so on. From the standpoints of social demands on non-formal education, equality of opportunities for individual education, and national institutions, their education has been emphasized as a natural right to be educated. However, the educational facilities, teaching personnel and organs of non-formal education for young laborers in the industries are in a considerably insufficient stat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mands on the non-formal education of young laborers in the employ of industries and to show how the technical junior colleges, which have comparatively diverse educational data, facilities and personnel, give more desirable non-formal education to then through this analysis. As a testing instrument, the questionnaire, drawn up by referring to non-formal education experts' research books and documents concerned with this study, was used. For this study, 800 young laborers were sampled from 5 industries in Kyong-in Area and technical junior colleges in the metropolitan area were chosen as objects of this study. The data were chiefly stated by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the degree of demands on the contents of non-formal education was analyzed in priority order. The results may be stated as follows: First, the priority of the courses suitable for non-formal education of young laborers was in the order of Knowledge, basic and cultural education, professional education or education for technical progress, and technical education for a side job. Second, most young laborers said that they had never received non-formal education, but that they would do it at the first opportunity because the non-formal education was essential. They wished to be educated in the nearby schools or their own workshops during one to three months by the means of lectures, shop practices and field stud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data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in ways that technical junior colleges give non-formal education to young laborers in industries Firstly, programs shall be on a level of high school. The Knowledge, basic, and cultural education shall be considered preferentially. Secondly, the courses that school career or skills can be officially approved should be established. Thirdly, it's desirable to establish courses in the evening sessions in schools or young laborers workshops. Foully, it is desirable ,to carry out lectures, shop practices and field study side by side in teaching methods.

      • 機會均等을 爲한 社會敎育 沮害要因 解消에 關한 硏究

        전명호 明知大學校 社會敎育大學院 1997 국내석사

        RANK : 250703

        현대 사회는 국가의 경쟁력을 외형적, 물질적 자본보다는 국민 개개인의 능력을 중요시하는 국제화·개방화 시대이며 정보지식 폭증의 정보화 시대이다. 하지만 준비교육적인 속성을 지니고 있는 학교교육으로는 이러한 현대산업 사회의 급격한 변동에 따른 산업구조의 변화, 가치갈등, 인간소외, 기술의 변화와 혁신, 청소년 문제 등에 대처하기 어렵게 되었다. 따라서 사회변동에 신속히 적응할 뿐만 아니라 이를 혁신하려면 단기적, 탄력적이며 현실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사회교육의 필요성이 대두하게 되었다. 하지만 경제에 있어서 재화의 균등분배가 어렵듯이 교육에 있어서도 기회균등의 이론이 적용되기 어려우며 기회균등의 논의가 시작된 이래 그것은 마치 학교교육의 기회균등만을 가르키는 것처럼 그 관심과 투자를 학교교육에만 집중시켜 왔고 교육의 기회균등의 성패여부도 학교교육에 한정되어 논의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교교육으로 편중되어 있는 교육의 기회균등을 사회 교육적 관점에서 연구하여 사회교육 기회균등의 저해원인은 무엇이며 그 해결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수도권지역 5개 도시(서울시, 부천시, 의정부시, 일산시, 하남시) 시민 650명을 임의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사회교육 또는 평생교육의 변인별 인지여부는 여자보다 남자가, 연령이 많은 집단보다 적은 집단이 기혼보다는 미혼인 집단에서 사회교육 또는 평생교육에 대한 인지도가 높았으며, 지역별로는 다른 수도권지역보다 서울지역이 수입별로는 100만원 이하와 201만원 이상의 집단이 다른 집단보다 敎育程度로는 전문대졸 이상의 고학력 집단이 고졸 이하의 저학력 집단보다 사회교육 또는 평생교육에 관한 인지도가 높은 것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2) 대한민국 헌법 31조 5항의 평생교육진홍조항에 대한 인지여부는 성별로는 남자가, 연령별로는 30세 이하 집단이, 결혼여부별로는 미혼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하여 높게 반응하였고 지역별로는 하남시를 제외한 전지역에서 지역간에 다소 차이는 있지만 큰 차이는 없었다. 또한 수입별로는 100만원 이하의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다소 높게 반응하였고 敎育程度로는 전문대졸 이상의 집단이 높게 반응하였으나 전체적으로 큰 의미를 가진 차이는 없었다. (3) 사회교육 기회제공에 따른 만족도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연령이 낮을수록, 기혼 보다 미혼이 기회제공에 따른 만족도에서 높게 반응하였으며 지역별로는 일산시와 의정부시가, 수입별로는 201만원이상의 고소득층이, 敎育程度로는 전문대졸 수준의 집단이 4년제 대졸 이상의 집단과 고졸 이하의 집단보다 높게 반응하였으며 전체적으로 변인별 항목간에 평생교육 진홍조항 의 인지도에 있어서 의미 있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4) 서울시 사회교육 시설에 대한 만족도에서 '매우 그렇다'(20.7%), '다소 그렇다'(41.4%)에 62.1%가 반응하여 전체적으로 서울시의 사회교육 시설이 다른 지역에 비해서 우수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전체적으로는 연령별, 결혼여부별, 지역별, 수입별로 의미 있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5) 사회교육에 있어서 성별에 따라 기회를 균등하게 받고 있는가에 관한 조사에서 '매우 그렇다'(2.8%), '다소 그렇다'(18.2%) 보다 '전혀 그렇지 않다'(12.4%), '별로 그렇지 않다'(38.2%)에 높게 반응하여 전체적으로 남녀간에 사회교육 기회가 균등히 주어지지 않고 있다고 느끼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6) 사회교육의 참여를 저해하는 요인이 무엇인지에 대한 조사에서 전체적으로는 '근처에 원하는 프로그램이 없어서',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부족', '육아 때문'에 높게 반응하였으며, 이밖에도 '문화활동에 익숙치 않아서', '비용때문'에도 많은 반응을 하였다. (7) 사회교육 저해 요인 해소를 위한 행정적인 요구사항에 관한 조사에서 전체적으로 '국가에서 더 많은 사회교육 장소를 제공했으면', '아이를 돌보아 주거나 함께할 프로그램이 있었으면'에 많이 반응하여 사회교육 참여를 활성화 시키위하여 보다 많은 사회교육 장소와 탁아시설의 확보가 시급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8) 사회교육 참여시 선호하는 시설은 전체적으로 대학부설 평생교육원(24.2%)에 가장 많이 반응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구청, 구민회관, 지역사회복지관'(16.5%), '도서관, 박물관, 문화원의 문화교실'(13.8%), '사회단체, 종교단체의 문화교실'(13.8%), 등에 많이 반응하였으며 '사설학원의 문화 강습소'(3.5%)에 반응한 응답자는 매우 적었다. (9) 사회교육 참여시 투자가능한 시간과 비용에 관한 조사에서 최고 6번 이상에서 최저 1번으로 주당 평균 교육횟수는 주당 평균 2.06회였으며 여자가 남자보다, 서울외 지역이 서울지역보다, 고졸이하 보다 초대졸이상의 집단이 더 많은 교육횟수를 원하는 것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10) 사회교육 1회 참여시 투자 가능한 시간은 최저 30분에서 최고 360분까지였고 평균값은 107.94분이었다. 변인에 따른 차이는 다소 있었지만 의미 있는 큰 차이는 아니었다. (11) 사회교육 참여시 투자 가능한 비용에 관한 조사에서 응답자들은 최저1만원에서 최고 80만원까지 반응하였으며 평균값은 6.58만원이었다. 변인별로는 성별, 지역별에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12) 사회교육 프로그램 선택시 고려하는 사항에 관한 조사에서 '프로그램의 내용'(67.9%), '강사의 전문성'(17.4%), '교육장소의 시설'(7.4%), '교육장소의 교통'(3.9%), '교육비용'(3.5%)의 순이었고 '모임의 횟수'에 반응한 응답자는 1명도 없어 프로그램의 내용이 좋다면 모임의 횟수는 사회교육 참여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 기회균등을 위한 사회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사회교육 참여를 위한 탁아 시설이나, 아이들과 함께할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 둘째, 시간이 부족한 학습자들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교육방송(TV, Radio)을 이용한 다양한 사회교육 프로그램의 보강 및 개발 셋째, 영세민, 저소득층 및 그 자녀, 노인, 장애인 등 교육적 소외집단을 위한 사회교육 경비의 국가부담 넷째, 부족한 사회교육 시설을 위하여 기존의 학교시설을 학교교육에 지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회교육을 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제도화 다섯째, 다양한 학습욕구를 파악하기 위한 정기적인 학습욕구 조사 및 프로그램의 개발을 담당할 전문 연구기관의 신설 여섯째, 정부 각 부처의 사회교육을 통합하여 운영할 전담기구의 신설 The fair distribution of opportunity of education is a difficult problem as much as the fair distribution of goods and, ever since a disputation about the fair distribution of opportunity arose, the concerns and the investments are limited to the public school education as if it only focuses on the fair distribution of opportunity. Furthermore, the success and the failure of the fair distribution of opportunity were decided limitedly on the public school education. For this reason, this study is fundamentally designed to provide a device to solve the problems of social education for fair distribution of opportunity as it collects the research datas which show the causes of the hindrances in social educat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tudy, 82.5% of the investigated people already knew about 'social education' or 'lifelong education' and 50.4% of over-all investigated people have affiliated with social education at least one or more times. This result shows that there is a big difference between the legal acknowledgement and the participation of social education. The result of the investigation shows the causes of lack of participation even though there is a high recognition of the need of 'social education' or 'lifelong education'. This problem was caused by reasons that are listed below : First, it is the unbalanced locations of social education system. The systems of social education is centralized in metropolitan areas because of its distinctive features and, for this reason, the possible learners outside of metropolitan areas have burdens of the time spending and the expanses of transportations. This is one of the disturbed factors which causes a hindrance for the people outside of city areas for their social education. The people who responded to this study wished that if Korean government can provide more local places in outside of metropolitan areas in order to activate social education in our present reality. Second, there is a lack of variety of the social educational program. Early social education has been developed as a compensated education for the uneducated people and, therefore, it was concentrated on 'basic·common sense' and 'job selection·technics'. But the present Korean society is requesting further needs of social education programs as it becomes a high-income and high educated society. But, unfortunately, she had failed to provide the programs for the highly educated people. And there was not enough efforts to develop for the leisure programs for the seniors. Third, there is a lack of the good offices for the possible learners. For example, there is a lack of the good offices, and sometimes they do not even exist at all, for married women such as a nursery and the programs for the children in order to maximize their participation. This lack of the good offices is the same story to uneducated people and seniors of the society. Furthermore, there is a lack of the programs of the early morning classes and night class for salary people except for those private institutions and, especially, the facilities and programs for the disables do not exist at all. It is very important to recognize the need of social education for disables and it must be continued for a long period of time in order to acquire positive results from it. Fourth, it is the irrational management of social education. The national plans for education was focused on the public schools and its concerns and investments have been invested on them. And the different offices of budget management. Fifth, the problem is closely connected with the related laws of social education. Social education is supposed to be managed by the Department of 'lifelong Education'(formerly called 'Social-National Education Department') but other departments of Ministry of Education also involved in this ministry as they set up other rules for social education. This caused a confusion in the relationship among them. Sixth, the problem of relationship between social education and public school education. The deficits for social education is so great in both human resources and material resources compare to public school education and the human resources in local areas have not been used effectively. The following devices are suggested in order to activate social education with the results that are listed above : First, the development of variety of programs for children such as a nursery to help the possible learners to participate in social education. Second, the development of social educational programs in using broadcasting stations such as television or radio for those people who do not have enough time to spare. Third, Korean government needs to bear the burdens of expanses for indigents, low-income people, and their children, seniors, and disables. Fourth, using the existing public school facilities for social education as long as it does not cause any inconvenience for public school education. Fifth, establishing professional research association in order to find out the variety desires to learn of the people and to develop more programs to fulfill these needs. Sixth, establishing an office which can take complete charge of social education as different offices of Ministry of Education for social education put together as one single depar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