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하기도 감염 소아들의 비흡인물에서 분리된 Adenovirus 혈청형 1,2,5형의 유전체형 분석

        박기원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박사

        RANK : 248639

        목 적 : DNA 제한효소 분석법을 이용한 아데노바이러스의 유전체형 분석에서 많은 연구자들이 서로 다른 종류의 제한효소와 명명법을 사용하여 분류함으로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본 연구는 가장 체계적인 방법으로 아데노바이러스 유전체형을 분류한 Li와 Wadell의 제한효소 분석법과 명명법을 이용하여 혈청형 1, 2, 5형의 유전체형을 분류하고 그 분자역학과 유전체형 상호 간의 연관성을 밝혀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0년 11월부터 2003년 2월까지 하기도 감염으로 서울대학교병원 소아과에 입원하였거나, 서울지역 타 종합병원 소아과에 입원한 소아들로부터 채취한 비인두 흡인물을 검체로 하였으며, 검체에서 분리된 아데노바이러스 382주를 대상으로 하였다. 중화항체 반응법을 이용하여 혈청형을 결정하고 확인된 혈청형 중 1, 2, 5형을 대상으로 하여 DNA를 추출하고 12가지 제한효소 BamHI, BclI, BglI, BglII, BstEII, EcoRI, HindIII, HpaI, SalI, SmaI, XbaI, XhoI로 절단한 후 전기영동 시키고 나타나는 분절형태를 각혈청형의 표준주와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유전체형간의 상관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PCRF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 분리주 382주를 대상으로 혈청형을 확인한 결과, 혈청형 1형 33(9%)례, 혈청형 2형 45(12%)례, 혈청형 3형 107례(28%), 혈청형 4형 16례(4%), 혈청형 5형 24례(6%), 혈청형 6형 8례(2%), 혈청형 7형 116례(30%), 혈청형 11형 9례(2%), 그 외의 형들이 24례(6%)로 나타났다. 변이 유전체형은 혈청형 1형 18종류, 혈청형 2형 25종류, 혈청형 5형 10종류가 분류되어 새롭게 명명되었다. 분류된 유전체형 가운데 표준주와 혹은 이전에 보고 된 유전체형과 일치하는 유전체형은 발견 되지 않았다. 대부분의 유전체형은 전 연구기간 동안 1-2 주만 분리 되었고 일부 유전체형들은 산발적으로 수 주 반복 분리되었다. 유전체형 Ad1p5나 Ad5a1와 같이 유행성 양상을 시사하는 분포형태를 보이는 유전체형도 관찰되었다. 혈청형 1형 유전체형 간의 PCRF %는 79-99%로 GC1과 GC2로 구분 되었고, 혈청형 2형과 5형은 각각 82-99%와 84%-99%로 모두 80% 이상이었다. 결 론 : 본 연구는 혈청형 1, 2, 5형 유전체형의 다양한 변형성을 보여 주었다. 혈청형 1, 2, 5형이 주로 산발성 감염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유전체형에 따라 유행성 양상을 보이는 변이형들이 관찰되는 것은DNA의 일부 변형이 바이러스의 감염력과 생존력 향상에 변화를 일으켰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결과는 혈청형 1, 2, 5형의 비교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변이 유전체형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백신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교내 자율장학 영역별 교사의 기대수준과 실행수준의 차이 연구

        박기원 금오공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effective school-based autonomous supervision by analysing the difference between expectation level and practice level of teachers in each section of professional,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development. This study analyzed, firstly, the background factors of expectation level with teachers in each section, and, secondly, the background factors of practice level, and lastly, the background factors of both expectation level and practice level. The resul is as following. First, the expectation level in various areas of school-based autonomous supervision turned out to be in average. This can be attributed to the heavy burden of teachers, resulting from the extra-curricular work such as too much paperwork, complementary classes or night study supervision. Under these circumstances, it is strongly recommended that this extra-curricular burden be reduced by lessening the amount of teachers' paperwork and the number of classes in charge. And it is also important that teachers in general should have a better image of school-based autonomous supervision by achieving a higher standard of psychological, physical, and human resources. Second, the practice level of school-based autonomous supervision turned out to be ordinary, too. In the school-organizational development area, the teachers with more than 21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show better performance. This means that teachers with longer teaching experience are better motivated to achieve the educational objectives of the school by enhanc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s such as the morale and working conditions of their workplace. On the contrary, the teachers with 10-20 teaching experience showed poorer performance. This can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hose teachers who want to be educational administrative specialists are more interested in the promotion and self-improvement in the developmental stage of teacher. The experiences of this stage, though possibly negative, can also be put into use in going up the developmental ladder of becoming a good teacher. So it is highly recommended that these teachers should be positively motivated by making them participate voluntarily in school-based autonomous supervision, encouraging and reinforcing those teachers of great enthusiasm, and reflecting those results in the promotion, evaluation and awards. Third,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pectation level and the practice level in the personal development of teachers is greater in the teachers of private schools than those of public or national schools. This can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eachers in private schools have a higher desire for personal development but have a less chance of achieving it. So it is very important to put into consideration the various personal differences of individual teachers. For the personal development of teachers, it is highly recommended that they have various and repetitive workshops based on their personal needs. And also depending on the individual teachers, school-based autonomous supervision must help them feel secure psychologically, emotionally, physically, domestically and socially, and assist them pursue self-development in every stage of their teaching careers.

      • 문제해결에서 유추 생성 전략이 유추 사용에 미치는 영향

        박기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유추는 인간이 가지는 기본적인 추론 방식 중 하나인 동시에, 문제해결이나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인지적 전략이기도 하다. 지금까지 많은 연구들로부터 유추의 사용이 창의적 해결책의 도출, 불확실성의 감소 등의 측면에서 도움을 줄 수 있음이 밝혀져 왔다. 그러나 이러한 이점에도 불구하고, 인간이 실제로 인지적 전략으로서 유추를 잘 사용할 수 있느냐에 대해서는 상반된 결과들이 보고되어 왔다. 이 연구들은 대부분 유추의 사용에 대해 상이한 상황 설정과 평정 기준을 가진 상태에서 진행되었기 때문에, 인간의 유추 사용 능력에 대해 일관된 결론을 내리기에 무리가 있다. 뿐만 아니라 인지적 전략으로서의 유추를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촉발시킬 수 있는지, 그것이 가능하다면 어떤 방법이 효율적인지 등에 대해서는 거의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지적 전략으로서의 유추 사용이 지시나 과제에 의해 촉발될 수 있는지에 대해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 96명을 대상으로 사고 발화(think-aloud) 기법을 이용하여 문제 해결 과정에서의 유추 사용 및 그 특징을 측정하였다. 연구 1에서는 참여자들에게 유추 사용을 권유하는 직접적인 지시를 내렸다. 연구 2에서는 참여자들에게 생성 패러다임(Blanchette & Dunbar, 2000)에 의한 유추 생성 과제를 실시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생성 패러다임 조건 및 유추 직접지시 조건의 참가자들은 통제조건의 참여자들에 비해 유추 사용이 촉진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단, 유추 사용에 대한 직접 지시는 정구조 문제에 비해 비구조 문제에서는 그 효과가 떨어짐이 드러났다. 또한, 유추 생성 과제를 수행한 조건은 통제조건이나 직접 지시 조건에 비해 원거리 유추를 더 많이 생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유추 촉진 처치의 효과는 명시적인 지시문이나 과제가 제시되지 않으면 사라졌다. 이 결과에 대해, 유추가 암묵적 전략이기 때문에 명시적 지시로는 제대로 학습되지 않을 가능성과 더불어, 유추에 대한 기존의 ‘구조적 정렬’ 접근 자체가 적절하지 않을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Analogy is a cognitive strategy which can improve problem solving or decision making process, as well as one of the fundamental ways of reasoning. Traditional studies have shown that the use of analogy can lead to creative solutions or decreased uncertainty in problem solving. Meanwhile, there has been a controversy about whether human can use analogy as a cognitive strategy proficiently or not. Many studies on analogy use could not make a consensus because they had different task settings and incoherent criteria evaluating generated analogs. Also, it has been rarely researched how to guide analogy use efficiently when it is needed. Therefore,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undamental abilities of humans to use analogy and the effect of strategy instructions on promoting analogy generation. Ninety-six undergraduate students performed two types of problem-solving tasks; one was a well-defined, physics problem used by Clement(1988, 2008), and the other was an ill-defined, social-issue problem. Participants’ thinking process were obtained using a think-aloud method. Frequency and characteristics of analogy use were measured in the protocol. Two kinds of analogy-promoting treatment were applied in each study. In Study 1, a direct instruction promoting analogy use was used. In Study 2, participants performed the analogy generation task using ‘production paradigm’ suggested by Blanchette and Dunbar(2000). Both participants in the direct-instruction condition and generation-task condition produced more source analogs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The participants in the generation-task condition produced more fardistance analogs than those in the control or direct-instruction group. However, the effect of direct instruction was limited in the ill-defined problem, which allowed less analogy use than in the well-defined problem. Moreover, the effect of both analogy-promoting treatments decreased when explicit instructions were withdrawn. Two possibilities for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First, the mechanism of analogy might have an implicit feature, so that explicit instructions or tasks cannot help participants use analogy as a cognitive strategy. Second, ‘structural alignment’, which is a traditional explanation about the analogy mechanism, might not an appropriate approach to explain or induce analogy generation.

      • 무선전력전송을 위한 시공간 보간 빔포밍 기법

        박기원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에서는 시공간 보간 기반 무선전력전송 빔포밍 기법을 제안한다. 전파방사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에서 송신 빔포밍을 사용하면 송신 전력을 집중시켜 에너지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최적의 빔포밍을 위해서는 송신기의 발사각 또는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의 채널정보가 필요하다. 제안하는 시공간 보간 기반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에서는 주기적으로 피드백 받은 파일롯 신호를 통해 매 프레임마다 프레임 구간 내에서 변화하는 최적의 조향 방향을 연속적으로 추정하여 전력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간 보간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한된 파일롯 신호의 해상도에 의한 전력전송 효율 증가를 위한 조향 방향의 정확도 향상은 3차원 Thin-Plate Spline (TPS) 모델을 이용한 공간 보간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한 시공간 보간 기법은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에서 시공간을 고려한 빔 조향 방향 정확도와 전력전송 효율 향상을 목표로 하고 모의실험을 통해 제안한 기법의 성능을 검증한다. In this thesis, we propose a fine beam tracking using spation-temporal interpolation in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s. In a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based on the RF method, transmission beamforming can improve energy transmission efficiency by concentrating transmission power by using. For optimal beamforming, angle of departure (AoD) or channel information between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is required. In the proposed space-time interpolation-based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it is possible to improve power transmission efficiency by continuously estimating the optimal steering direction that changes within the frame section based on the optimal AoD for every frame through the periodically fed back pilot signal. We propose a temporal interpolation algorithm. In addition, we propose a space interpolation algorithm using thin-plate spline (TPS) model to improve the accuracy of steering direction to increase power transmission efficiency by approximating the limited resolution of the pilot signal. The proposed spation-temporal interpolation technique aims to improve the beam steering direction accuracy and power transmission efficiency considering spatio-temporal in a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and the numerical results are presented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lgorithms.

      • 머시닝센터 인덱스 부가축을 이용한 캠 축 가공면의 表面거칠기 특성에 관한 硏究

        박기원 한국산업기술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최근 기계부품의 정밀가공 산업현장에서의 머시닝센터 활용은 과거 일반 선반과 같이 범용 공작기계처럼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특수 지그 및 고정구를 장착하면 복잡한 형상의 제품도 고정도의 가공면을 얻을 수 있다. 절삭가공에서 가공물의 치수정도, 형상정도 및 거칠기 정도는 매우 중요하며, 초고속 고정밀화, 리드타임 단축, 추가 비용 절감, 표면거칠기 개선 등이 절삭가공의 경쟁력이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비교적 형상이 복잡한 캠축을 머시닝센터의 부가축인 인덱스에 장착하여 절삭가공의 특성을 실험하였으며 실험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실험에서 절삭속도 15~20m/min의 저속에서는 가공면의 표면이 거칠었고 20~30m/min에서는 거칠기 정도가 상당히 향상 되었다. 또한 회전수가 점차 고속이 될수록 표면거칠기는 향상되었으나 일정 임계점을 초과하는 35m/min에서는 표면이 급격히 거칠어졌다. 가장 양호한 임계점의 절삭속도의 범위는 30m/min임을 보였다. 고속도강(HSS) 엔드밀을 이용한 절삭가공시 절삭속도 15~20m/min의 저속인 경우 가공면이 치우쳤으나, 절삭속도 30~40m/min로 상승시킬수록 가공면이 중앙으로 이동하여 정상적으로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고속도강(HSS)엔드밀과 키홈 엔드밀의 특성에 관계없이 표면거칠기는 공구의 윤활과 냉각이 양호할수록 우수한 가공 면을 얻을 수 있었다. 캠축 가공에 있어 가공면의 표면거칠기는 냉각수(Coolant) 보다 공기압축냉각절삭(Air Dry Cutting)을 사용 했을 때 냉각 온도가 23.3도에서 18.6도로 약 25% 향상되었으며, 공기압축냉각절삭(Air Dry Cutting) 보다는 유제분사가공유(Oil Mist)를 분사 시키면서 가공 했을 때 18.6도에서 13.3도로 약14% 더 향상된 표면거칠기를 얻을 수 있었다. 유제분사가공유(Oil Mist)를 분사하면서 가공할 때 냉각과 윤활성이 우수하여 거칠기 정도가 가장 양호함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