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온라인 한·일 국제교류 프로그램 방향성에 관한 연구 - 동서대학, 규슈산업대학 국제교류프로젝트를 중심으로 - : 동서대학, 규슈산업대학 국제교류프로젝트를 중심으로

        타케우치 칸타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research is a study of the online international exchange project of three universities conducted in 2021.to the recent global epidemic of COVID-19, online design learning has been conducted all over the Globe by different educational institutions in order to prevent massive infections. In addition, there are many concerns about the possibility of achieving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SDGs) adopted by the leaders of the United Nations member states at the UN General assembly in September 2015.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select Korean and Japanese universities that teach Design,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design education in the modern era to compare and analyze the history of design education, academic structure, online education method, class satisfaction of both universities, and seek the future of design learning. Therefore, the research target universities continued exchanges for more than 20 years and Dongseo University and Kyushu Industrial University were selected, which are design-specialized universities. Next, the history of design education in Korea and design education in Japan, the academic structure of both universities, and international exchange projects are described. Since Dongseo University is a design-specialized university, conducting an online international exchange project course with Ulsan University and its overseas affiliated institutions, including Kyushu Industrial University of Japan. The three universities have been operating international exchange programs through mutual visits every year during summer vacation. The program was converted to a new concept practical online class method. Research method is described in the following order.a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24 to May7,2021, targeting a total of 106 students(78) and professors(28). The main content of the survey was the current status of online education methods in design universities, which mainly consists of practical classes. After identifying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online and face-to-face classes they were compared, and the direction of future design education was presented. In Design education theoretical and practical classes are both important, although theoretical classes can to be conducted online, and practical classes need to be conducted depending on the situation, such as how to conduct face-to-face classes, how to set the number of students in advance, or by time.addition, this study conducted a second survey of 12 questions from April 24 to May 7, 2021, related to online education and the main content was education method, teaching method, and learning gap. The survey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contents (special lectures, workshops, interim and final presentations) of the subjects of the international online exchange project, and the satisfaction of 53 participants. Another survey was conducted after the completion of the interim announcement between October 15 and October 21, 2021. Third, it was conducted after the final presentation of the online international exchange project course was completed. The period was held from December 07 to December 19, 2021. As a result, there were several problems such as language and communication problems between students, difficulties in investing time, etc., but overall satisfaction was 80% or more positive. Online education platforms can converge through new technology, virtual campuses and virtual classrooms based on future of online international exchange project subject directions, SNS(Instagram, Facebook, YouTube etc.) and virtual space(AR, VR, metaverse). Research is conducted to develop and expand exchange projects in various countries, such as the use of language and culture, reinforcement of prior learning such as language and culture, and communication methods. 본 연구는 2021년 진행했던 3개 대학 온라인을 통한 국제교류프로젝트 교과목에 관한 연구이다. 최근 코로나-19 감염병(COVED-19)의 글로벌 유행으로 현대시대는 온라인 통한 디자인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UN(United Nations)지정한 SDG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지속가능한 발전목표인 4.모두를 위한 양질의 교육의 목표(Quality Education)를 달성하기 위해 많은 고민과 갈등을 갖고 있다. 본 연구는 현대시대의 디자인 교육 현황의 이해 및 파악을 위하여 한국과 일본의 디자인 대학교를 선택하고 양국의 디자인 교육의 역사와 양 대학의 학사 구조, 온라인 교육 방식 및 수업 만족도를 비교분석하고, 이들 양 대학의 교육사례를 바탕으로 향후 디자인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에 연구대상 대학교는 20년 이상 교류를 지속하고 디자인 특성화 대학인 동서대학교와 규슈산업대학교를 선정하였다. 선행연구로써 온라인 교육의 개념 및 유형을 조사하였다. 다음, 한국의 디자인교육과 일본의 디자인 교육의 역사 및 양 대학의 학사구조, 국제교류 프로젝트에 관해 기술하였다. 또한, 디자인 특성화 대학인 한국 동서대학교는 울산대학교와 해외 자매대학인 일본 규슈산업대학교와 온라인을 통한 국제교류프로젝트 교과목을 2021년 6월부터 12월까지 진행하였다. 3대학교는 매년 여름방학기간을 활용하여 상호방문을 통한 국제교류 프로그램을 운영해왔다. 이번 온라인을 통한 신개념 실질적 수업방식으로 프로그램을 전환하였다.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기술한다. 첫째, 1차 설문조사는 양대학의 학생(78명), 교수(28명) 총106명을 대상으로 2021년 4월 24일~5월 7일에 진행하였다. 디자인대학내 온라인 교육 방식의 현황을 기술하였다. 주로 실습수업으로 이루지는 디자인교육에서는 온라인수업에서의 한계점이 있다. 또한, 수업 중에 카메라 활용 여부와 교수와 학생의 의사소통 등 문제점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파악 후에 온라인수업과 대면 수업의 장단점을 비교하고, 향후 디자인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디자인 교육은 실습수업이 중요하기에 이론수업은 온라인으로 진행하고, 실습수업은 대면으로 진행하는 방식, 미리 수강인원을 정하거나 시간별로 진행할 방식 등 상황에 따라 실습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본 연구는 학생대상으로 온라인 교육 및 온라인콘텐츠 관련된 12문항과 교수대상으로 교육방법, 교육내용, 우수교수법, 학습격차 등 11문항으로 설문조사를 2021년 4월 24일 ~ 5월 7일 가간에 실시하였다. 둘째, 온라인을 통한 국제교류프로젝트 교과목의 내용(특강, 워크숍, 중간 및 최종발표) 및 참여자(53명) 만족도를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2차 설문조사는 2021년 10월 15일~10월 21일 기간에 중간발표 종료 후에 진행하였다. 셋째, 온라인 국제교류프로젝트 교과목의 최종발표 종료 후에 진행하였다. 기간은 2021년 12월 07일~12월 19일에 진행하였다. 그 결과, 학생간의 언어 및 소통문제, 시간 투자의 어려움 등 여러 문제점 있었지만, 전체적인 만족도는 모두 80% 이상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다. 향후 온라인 국제교류프로젝트 교과목의 방향성과 SNS(인스타그램, 페이스북, YouTube 등), 가상공간(AR, VR, 메타버스)을 기반으로 가상캠퍼스 및 가상강의실을 통한 새로운 기술융합을 통한 온라인 교육 플랫폼의 활용, 언어 및 문화 등 사전학습의 강화, 커뮤니케이션의 방법 등 다양한 국가의 교류 프로젝트의 발전 및 확대되기 위해 연구를 한다.

      • 디자인기반 창의성교육에서 대학생 학습경험에 관한 이론 모델 연구

        윤우람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623

        디자인기반 창의성교육에서 대학생 학습경험에 관한 이론 모델 연구 본 연구는 근거이론 접근을 통하여 디자인기반 창의성교육에서 대학생 학습경험이 형성되는 과정에 관한 이론 모델을 생성하기 위한 기초연구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와 관련 기술의 도입으로 현대 사회는 역동적인 변혁의 시대에 진 입하고 있다. 기존의 사회를 구성하는 다양한 가치와 규범이 해체되고 재구성되면서, 사회문화 적 문제를 구성하는 요소들이 계속해서 복잡해지고 난해해지고 있다. 이에 새로운 환경과 변 화에 적절히 적응하고, 본질을 파악하여 적절하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창의적 역량 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이에 교육의 패러다임 또한 창의성을 갖춘 인재 육성 으로 전환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서 디자인교육은 창의성 증진에 주요한 방법으로 지속적인 주목을 받아왔다. 국내 디자인 연구자들도 창의성의 이론과 개념을 활용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특히 디자인기반 창의성교육 연구는 관련 연구 영역의 중심축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현재 관련 연 구 분야에서 국내 현장의 맥락을 반영한 이론 모델을 생성하고자 하는 시도가 미비한 실정이 다. 또한 연구자들은 대부분 외래이론에 의존하고 있으며, 연구자 혹은 교육자의 관점에서 학 습자와 교과목을 평가하는 양적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 경향에서는 새롭고 유의한 논의와 이론을 도출하는 데 한계가 있다. 미래 세대를 위해 국내 교육 현장에 적합한 창의성 교과목에 접근하기 위해, 학습자의 관점에서 관련 학습경험을 이해하고 통찰하는 연구 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맥락에서 시작되었다. 본 연구는 이론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디자인기반 창의성 교과목 학습자의 관점에서 그 학습경험이 형성되는 과정에 관한 이론 모델 을 생성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근거이론 접근을 통한 연구를 설계하였으며, 그 구체적 연구 문제로 (1) 디자인기반 창의성 교과목에서 학습자는 어떤 과정을 거쳐 학습경험을 형성하는가? (2) 해당 교과목에서 학습자가 경험을 형성하는 핵심 요인은 무엇인가? (3) 해당 교과목에서 학 습자의 유형은 어떻게 분류할 수 있는가? 의 세 가지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D 대학교의 디자인기반 창의성 교과목을 수강 완료한 디자인대학 학생 7명 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학습경험에 관한 자 료를 수집하였으며, 근거이론의 절차에 따라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 방법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근거이론에 따른 분석 결과, 개방코딩을 통해 84개 개념을 생성하였으며, 이러한 개념의 속 성과 차원의 공통성을 분석하여 30개의 하위범주와 18개 범주를 도출하였다. 축코딩의 패러다 임 모형을 활용하여 ‘인과적 조건, 중심 현상, 맥락적 조건, 중재적 조건, 작용/상호작용 전략, 결과’를 축으로 개방코딩에서 도출된 범주들을 구조화하였다. 학습 과정의 중심 현상을 형성 하는 인과적 조건은 ‘학습 동기 부재’와 ‘정보 부족’이 있었다. 이로 인한 중심 현상은 ‘교과목에 대한 부정적 인상 형성’, ‘낯선 교육환경에 대한 불편함’이 나타났다. 이러한 중심 현상의 맥락을 형성하는 맥락적 조건으로는 ‘교과목 수강 피로도를 상승시키는 수업 내 용 및 진행 방식’, ‘교수자에 대한 불신과 거부감을 형성하는 요인’, ‘비대면 상황에서 불 편함을 일으키는 환경적 요인’, 그리고 ‘학습 과정에서 교수자 혹은 동료의 지원 필요’가 있었다. 학습자의 작용/상호작용 전략 선택에 영향을 끼치는 중재적 조건으로는 ‘명확한 목표 의식’. ‘학습 과정에서 교수자 및 동료의 지원을 받음’, ‘불쾌한 조별 활동 경험을 유발하 는 요인’, ‘교수자 및 동료에 의한 감정적 상처’, ‘비대면 환경의 이점 활용’이 나타났 다.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이상의 현상, 조건에 의해 학습자가 취하는 행동 전략을 의미한다. 분석 결과 ‘스스로 교과목의 의미탐색’과 ‘교과목의 과정 무시’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행 동을 취한 결과로 ‘창의성 교육에 대한 긍정적 경험 형성’과 ‘창의성 교육에 대한 부정적 경험 형성’, 그리고 ‘심화 과정에 대한 요구’가 도출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이러한 학습 경험을 크게 ‘혼란’, ‘실망’, ‘적응’, ‘경험 형성’의 4단계에 걸쳐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과정에서 핵심적 요인은 ‘개인적 동기부여’인 것으로 나타났다. 선택코딩 과정에서는 앞서 도출한 학습경험 형성 과정에서 나타난 중심 스토리라인을 분석 하였으며, 이어 해당 교과목 학습자의 학습경험 형성을 설명하는 핵심범주로 ‘선택권이 없는 상황 및 학습 과정의 부정적 변수와 요인들을 극복하고 개인적 동기를 달성하기 위한 노력을 통해 자신만의 의미탐색’을 도출하였다. 이어 핵심범주에 기반하여 각 범주의 속성과 차원에 대해 가설의 정형화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를 ‘적극적 의미탐색형’, ‘소극적 팔로 워형’, ‘적극적 과정이탈형’, ‘소극적 과정이탈형’의 네 가지 정형화 조건으로 유형화하 였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이러한 결과들의 핵심적 내용들을 통합하는 ‘상황 모형’을 제시하 였다. 이와 더불어 각 유형의 특성, 상황 조건, 학습경험 형성 과정을 심층적으로 기술하여 관 련 교과목에서 보완과 개선을 고려해야 할 부분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기초연구로서 근거이론 접근을 통해 새로운 이론 모델을 생성하였다. 이는 기존의 관련 연구에서 제시하지 못했던 체계적이고 구조화된 이론을 제시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둘째, 학습자의 관점에서 질적연구를 통해 학습경험의 형성 과정을 통찰하였으며 이는 기존의 연구들과 차별화된 의미가 있다. 기존 연구는 연구자 혹은 교육자 관점에서 행해진 하향식 양적 조사가 주류를 형성하고 있었다. 따라서 연구자 관점에 서 제기한 가설에 대한 검증은 가능하였으나 학습자의 관점에서 구조적 문제에 접근함으로써 이론을 형성하는 시도가 미진하였다. 본 연구는 체계적 질적연구방법을 통해 기존 연구의 공 백에 대응하여 새로운 지식을 구축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로 생성된 근거이론 모델은 해당 교과목 학습자의 학습경험을 형성하는 상황 적 조건과 중심 현상에 대한 다양한 개념과 범주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근거이론을 통해 생 성된 이론 모델은 질적연구와 양적연구를 연결하는 논리적 기반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연구 에서 제시된 이론 모델은 관련 교과목의 평가, 검증, 개선 혹은 신규 교과목 개발을 위한 연구 등에서 유용한 기초적 자료로서 폭넓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키워드 : 디자인기반 창의성 교과목, 대학 디자인교육, 학습경험, 근거이론 This study is a foundational research endeavor conducted through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with the aim of generating a theoretical model that elucidates the process through which the learning experience is formed for participants in a university design-oriented creativity course. The adv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nd the introduction of related technologies have propelled modern society into an era of dynamic transformation. As various values and norms that constitute the foundation of traditional societies undergo de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the elements contributing to sociocultural issues continue to grow in complexity and intricacy. Consequently, there is an increasing societal demand for creative competencies that enable individuals to adapt appropriately to new environments and changes, grasp the essence, and effectively resolve problems. In response to this trend, the paradigm of education is transitioning towards fostering talents with creativity. In this context, design education has long been recognized as a significant method for enhancing creativity. Domestic researchers in the field of design have conducted diverse studies utilizing theories and concepts of creativity. Particularly, research on creativity education based on design constitutes a central axis in this area. However, there is a current deficiency in attempts to create theoretical models reflecting the context of the domestic field in the relevant research field. Moreover, researchers predominantly rely on foreign theories, and quantitative research evaluating learners and curricula from the perspectives of researchers or educators predominates, limiting the derivation of novel and significant discussions and theories. To approach creativity curricula suitable for the domestic education scene for future generations,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that understands and gains insights into learners' experiences related to relevant curricula from the learners' perspective. This study originated in this context. This study, as foundational research, aimed to construct a theoretical model elucidating the process through which the learning experience is formed from the perspective of learners in design-oriented creativity course. To achieve this, we designed the research using a grounded theory approach and established thre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1) Through what processes do learners in design-oriented creativity general education courses form their learning experiences? (2) What are the key factors influencing learners' experiences in the courses? (3) How can learners in the courses be classified based on their types? Seven students from a Design University in South Korea, who had experienced taking design-oriented creativity general education course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collect data on their learning experiences, an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methods following the procedures of grounded theory. The results of the study include the generation of 84 concepts through open coding, an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ommonalities in attributes and dimensions of these concepts, 30 subcategories and 18 categories were derived. Utilizing the paradigm model of axial coding, the categories derived through analysis were organized into causal conditions, central phenomena, contextual conditions, intervening conditions, strategies for action/interaction, and outcomes. The causal conditions forming the central phenomenon of the learning process were 'lack of learning motivation' and 'insufficient information.' The resulting central phenomena were 'formation of negative impressions about the curriculum' and 'discomfort with unfamiliar educational environments.' Contextual conditions forming the context of these central phenomena included 'increasing fatigue in the course content and delivery methods,' 'factors forming distrust and resistance to instructors,' 'environmental factors causing discomfort in remote situations,' and the 'need for support from instructors or peers in the learning process.' Intervening conditions influencing learners' choice of strategies for action/interaction included 'clear goal awareness,' 'receiving support from instructors and peers in the learning process,' 'factors causing discomfort in group activities,' 'emotional wounds caused by instructors or peers,' and 'utilizing the advantages of remote environments.' Strategies for action/interaction represent the behavioral strategies adopted by learners in response to the above phenomena and conditions. The analysis revealed 'exploration of the meaning of the curriculum by oneself' and 'ignoring the process of the curriculum' as the resulting behaviors. These behaviors led to the outcomes of 'formation of positive experiences in creative education,' 'formation of negative experiences in creative education,' and 'demand for advanced courses.'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experienced these learning processes significantly in four stages: 'confusion,' 'disappointment,' 'adaptation,' and 'formation of experiences.' Throughout these stages, the key factor was identified as 'personal motivation.' In the selective coding process, the central storyline emerging from these processes was analyzed, and the core category for the formation of learners' experiences in design-oriented creativity general education courses was derived as 'efforts to overcome situations without choices and negative variables in the learning process and achieve personal meaning exploration.' Furthermore, based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ategories derived from selective coding and the core category, hypotheses were formulated, lea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learner types into four categories: 'actively exploring meaning-oriented type,' 'passive follower type,' 'actively process-detached type,' and 'passive process-detached type.' The study also proposed a 'Conditional Matrix' integrating the key content of these results. Additionally, detailed descriptions of each type's characteristics, situational conditions, and the process of learning experience formation were provided, offering insights for potential improvements in relevant cours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several aspects. Firstly, as foundational research, this study used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to create a new theoretical model, presenting a systematic and structured theory that previous relevant studies failed to provide. Secondly, by conducting qualitative research from the learner's perspective, the study offers insights into the formation process of learning experiences, differentiating itself from the predominant downward quantitative investigations from the researcher or educator's viewpoint. By addressing gaps in existing knowledge,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the construction of new knowledge. Finally, the generated grounded theory model includes various concepts and categories related to situational conditions and central phenomena shaping the learning experiences of learners in the course. The theoretical model produced through grounded theory provides a logical foundation connecting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making it a valuable resource for evaluating, verifying, improving, or developing new courses in the relevant field.

      • 국내 대학생 진로 탐색 서비스를 위한 MF Play(My Future Picture Relay) 도구 개발

        차한비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국내 대학 재학생의 진로 탐색을 지원하는 도구 개발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국내 대학은 학령인구 수의 감소, 디지털 기술의 발전, 코로나-19와 같은 이슈를 거치며 대학 교육 변화의 필요성을 촉구하고 있다. 이는 상대적으로 수도권에 비해 선호도가 낮은 지방 소재 대학의 문제로 가시화되고 있으나 국내의 모든 대학의 문제로 정의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불가피한 문제 속에서 대학은 기존에 제공하던 전공 위주의 지식 전달이 아닌 개인의 미래와 진로를 탐색할 수 있는 역량 개발을 지원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학의 재학생들에게 진로 탐색 역량 개발을 지원할 수 있는 서비스 도구를 제안하고자 사용자 중심 실험을 진행하였다. 기존 서비스에 대한 문제 분석과 디자인 방법론 활용을 목표로 사용자 워크숍을 진행하였으며 서비스 도구의 프로토타입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 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진행하여 최종 서비스 모델을 제안하였다. 최종 서비스는 My Future Picture Relay의 축약어로 국내 재학생들이 입학부터 졸업까지의 과정 속에서 스스로의 미래를 그려나가는 것을 지원하고자 하는 목표를 가진다. 결과로 제안하는 진로 탐색 서비스 MF Play를 통해 기존 대학의 역할을 전문지식에서 인적개발로 이동하는 시작점이 되길 제언하는 바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developing tools to support career exploration of domestic university students. Domestic universities are calling for a change in university education through issues such as a decrease in the number of school-age population,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and COVID-19. This is seen as a problem of universities in provincial areas with relatively low preference compared to the metropolitan area, but can be defined as a problem of all universities in Korea. Amid the inevitable problems mentioned above, universities should support the development of capabilities to explore the future and career path of individuals, not the transfer of knowledge centered on the previous major. In this study, a user-centered experiment was conducted to propose a service tool that can support the development of career search capabilities to students at domestic universities. User workshops were conducted with the aim of analyzing problems with existing services and using design methodologies, and prototypes of service tools were derived. Based on this, the final service model was proposed by conducting a survey and interview with students enrolled in domestic universities. The final service is an abbreviation for My Future Picture Relay and aims to help domestic students portray their future in the process from admission to graduation. It is suggested that the career search service proposed as a result serves as a starting point for moving the role of existing universities from expertise to human development.

      • 대학생 아파트 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 : 부산 D대학 캠퍼스 기숙사를 중심으로

        담치우 동서대학교 디자인전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23

        대학생 기숙사는 대학 캠퍼스를 구성하는 중요한 부분으로 대학생들이 학교에 있는 동안 공부와 생활을 하는 중요한 장소이다. 경제가 빠르게 발전하고 고등교육이 보편화되면서 대학생 규모가 점차 확대되었으며 이로 인해 대학생 기숙사는 밀집되고 폐쇄적으로 변해 교류, 휴식, 활기가 부족한 공간이 되었다. 특히 정보화 시대인 오늘날 대학생의 생활 방식에는 큰 변화가 나타났다. 이는 대학생의 기숙사 공간에 대한 새로운 디자인이 요구됨을 의미한다. 대학생 기숙사는 단순한 거주 공간에서 벗어나 사교, 스터디, 운동, 놀이 등 여러 기능이 일체된 공간이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기존의 디자인을 탈피해 현대적인 대학생 생활방식과 심리 요구에 맞는 공간을 만들어야 한다. 본 연구는 현재 늘어나는 대학생 수, 밀집된 거주환경, 단일화된 학습, 생활방식 등 문제에 대해 연구하였다. 기숙사의 개념과 대학생 아파트에 대한 중요성에 대해 선행 연구하고 대학생이 공부하는 과정에서 자주 사용하는 공간 유형과 심리 및 행위의 특징을 이해했다. 또한 대학생 기숙사 디자인의 변화와 추세를 분석해 대학생 기숙사 디자인의 요소를 찾아냈다. 즉 대학생 기숙사의 실내외 공간, 공공 공간, 거주 공간 이 3개 요소를 연구해 아름다운 실내외 공간, 다양한 교류 공간, 실용적인 거주 공간을 이루는 종합적 공간디자인은 제안한다. 또한 이후 대학생 기숙사의 디자인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활용하고자 한다. 키워드: 대학생 아파트 ,디자인, The university apartment is a significant component of the university architecture. It is important for the universitystudents to carry on their study, social communication and daily lives during their university life. With the rapid social and economic development and popularization of higher education, the number of university students is growing fast. As a result, the present apartment of university students is too intensive and confined, lack of communication, rest, activity space for the students. This is prompting a new space design form of the students’ apartments to establish, especially in the new era of network information when the lifestyle of university students has changed greatly. The apartment not just needs to provide a place to live, but should be a combination place assembling social communication, study, sport, entertainment and many other functions in one. It requires the improvement of traditional spatial design style to create a space which can meet the needs of modern university students psychologically and materially. This thesis analyzes the current situation of growing size of university students, their confined living space and simple pattern of study and daily lives. It starts from discussing the concept of apartment and the significant of the student’s apartment. Then, on the basis of researching university students’frequent using space during their study, social communication and daily lives, and after the analysis of the design changes and tendency of the university apartment, this thesisfinds out and analyzes the three elements of space design of university apartment, namely indoor-outdoor space, communication space and living space. On the above studyand analysis, this thesis proposes a diverse design solution of university apartment with beautiful indoor-outdoor space, multi-kind communication space and comfortable, practical living space and provides fundamental design materials for the future space design of university apartment. key word: University Apartment, Design

      • 국제개발협력 이해증진을 위한 교양수업의 효과

        김락기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23

        1991년 외교부 산하의 한국국제협력단(KOICA)이 설립된 이후 개발도상국의 지속가능한 사회, 경제발전을 실현하고 국제사회와의 상호조화를 이루기 위한 사업과 활동을 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 실현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국제개발협력에 대한 대학생의 이해 및 참여도 제고, 세계시민의식을 함양하고자 2009년부터 ‘대학교 국제개발협력 이해증진사업’을 수행해 오고 있다.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동서대학교는 2017년부터 2020년까지 ‘대학교 국제개발협력 이해증진사업’에 선정되어, 매 학기 교양과목(2학점)인‘국제개발협력과 헬스케어’를 개설하여 운영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2018년부터 2020년까지 ‘국제개발협력과 헬스케어’ 수업의 교육효과를 파악하고, 향후 국제개발협력 이해증진 수업운영의 기초자료로 제시하는 것이다. 국제개발협력과 헬스케어 교과목의 효과측정을 위해 KOICA에서 제공하는 수강 전 설문지와 수강후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수강 전 설문조사는 기초정보, 국제개발협력인지도(국제개발협력의 이해, 대한민국 정부의 ODA 이해, 원조에 대한 생각, 정부의 원조규모에 대한 생각)가 포함되었으며, 수강 후 설문조사는 기초정보, 교육효과 평가(국제개발협력 및 ODA 이해, 국제개발협력 및 ODA에 대한 관심 및 흥미, 국제개발협력 진로탐색 및 설정), 국제개발협력인지도(국제개발협력 이해, 대한민국 정부의 ODA 이해, 원조에 대한 생각, 정부의 원조규모에 대한 생각)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수강 전 설문조사는 학기 시작 1~2주 시점에서 이루어졌으며, 수강 후 설문조사는 학기 종료 1~2주 시점에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강생들의 수강 전후 국제개발협력인지도에 대한 변화를 파악한 결과, 국제개발협력 이해, 대한민국 정부의 ODA 이해, 원조에 대한 생각, 정부의 원조규모에 대한 생각이 모두 향상되었다. 둘째, 수강 후 교육효과(강의 전과 비교할 때 국제개발협력 및 ODA에 대해 더 알게 되었다, 강의 전과 비교할 때 국제개발협력 및 ODA에 대한 관심 또는 흥미가 제고 되었다, 동 강의가 국제개발협력 분야 진로탐색 및 설정에 도움이 되었다)를 분석한 결과, ‘강의 전과 비교할 때 국제개발협력 및 ODA에 대해 더 알게 되었다’의 경우 92.3%가 ‘매우 그렇다’또는 ‘그렇다’로 응답하여 가장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셋째, 수강생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수강 전후 국제개발협력 인지도 및 수강 후 교육효과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모든 일반적 특성(학기, 계열, 학년)에 따라서 국제개발협력 이해정도와 대한민국 정부의 원조규모에 대한 생각에 두드러진 차이가 있었다. 원조에 대한 생각은 2018-1학기와 2018-2학기를 제외한 모든 일반적 특성에 따라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다. 정부의 원조규모에 대한 생각에는 예체능, 방송영상, 디지털콘텐츠계열에서 수강 전에 비해 수강 후 점수가 증가하였다 (p=0.010). 본 연구결과 저학년에서 수업의 효과가 높았으며, 정부의 원조규모에 대한 생각의 변화는 다소 낮았으므로 향후 국제개발협력과 헬스케어 수업은 모든 계열의 저학년(1, 2)을 대상으로 정부의 원조규모에 대한 생각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수업내용을 보완하여 운영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TUI기반 도서관 시스템에서 ‘재미’(Fun)개념 적용에 관한 연구

        장효방 동서대학교 디자인&IT 전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23

        TUI인터페이스는 GUI인터페이스에 비해 새로운 조작의 인터페이스이다. TUI와 전통적인 GUI조작 인터페이스에 비교했을 경우, 조작 시스템은 보다 사실성 높고, 재미를 느끼게 하는 디자인을 할 수 있다. 공공 공간에서 TUI서비스가 점점 많이 만들어지고 있는데, 터치스크린을 기반으로 한 TUI는 공공 공간에서의 검색과 전시, 오락기능하고 있다. 도서관은 서적을 집중적으로 보관하고 열람할 수 있는 중요한 공공시설로, 신기술이 가져다주는 변화에 영향을 받아, 도서정보 검색 뿐 만 아니라, 전통적인 종이가 전자 파일로 전환되었으며, 서비스의 방법적 측면에서 크게 변화를 보이고 있다. 디지털 기술을 빌어 도서관의 서비스 시설과 양식을 개선시키는 목적은 서비스의 효율을 제고시킴으로써 사용자들의 도서관 이용 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이고, 정보의 교류를 진행하기 위한 것이며, 최근 부각되고 있는 멀티미디어 공간으로서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는 ‘재미’ 이론이 세 개의 도서관 (연세대학교 도서관, 성균관대학교 도서관, 국립중앙 도서관)에 설치된 TUI시설의 디자인 사용에 대한 사례분석을 진행하였다. ‘재미’요소가 TUI디자인 사용에서 중요한 역할을 일으키고 있는데, 디자인적인 면에서‘재미’의 요소는 메타포(alluring metaphors)측면, 콘텐츠(Compelling content)측면, 그래픽(Attractive graphics) 측면, 애니메이션(Appealing animations)측면, 사운드(Satisfying sound)측면 5가지가 있다. 이와 같은 5가지 요소들로 인하여 TUI를 활용한 서비스는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사용자가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즐거움을 통해 만족감을 가지게 된다. 도서관 TUI디자인에 있어서 메타포는 새로운 학습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제작되었으며, 콘텐츠들은 단순 반복 동작을 통하여 인터페이스를 조작 할 수 있도록 정보구조가 단순화되어 있었으며, 그래픽 표현은 화려한 색상과 명확한 표현으로 정보 찾기 뿐 만 아니라 전시를 통한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었다. 또한 애니메이션은 사용자 반응행위를 나타내는 피드백 효과 뿐 아니라 프로세스 과정을 움직임으로 보여줌으로써 사용자의 주의 분산을 막고, 기대하지 않았던 새롭고 재미있는 애니메이션으로 사용자가 재미를 느끼도록 구현하고 있었다. 그러나 도서관이라는 특수성에 의해서 사운드 사용은 최소화되었는데, 사운드 역시 사용자 행위에 대한 피드백 측면이나 정신적 휴식을 위한 소리 등에 대한 응용은 필요하다고 본다. 이러한 도서관TUI인터페이스 디자인의 궁극적 목표는 인터페이스 행위를 통하여 사용자들을 ‘재미’있는 상태에서 미세몰입(Micro‐flow)에 이르게 하는 것이다. TUI is a new generation of user interface relative to GUI interface, comparing with controversial GUI operating mold, TUI operating mold is more realistic operation and more interesting. Public places have increasing numbers of TUI equipments, the main functions of touch screens are search, display and entertainment etc. Libraries as significant storage and reading public places confront with the transformation of new technology. This charge is not only from traditional paper to electronic filling, but also is the transformation of service model. To use digital technology to library services, facilities and mode of change, aimed at improving efficiency in delivery, thereby enhancing the efficiency of the user, and the library can be used anytime, anywhere to receive and even to exchange information on the library system. In this day and age, a large number of libraries transform to the places of information collection and entertainment. A vast number of multimedia facilities promoted original functions. In this dissertation will analyses the design and use example which combines with interesting theory in three libraries (Yonsei University Library, SungKyunKwan university Library,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Interesting emotional elements in the design TUI has an important role. The characters of interesting have alluring metaphors, compelling content, attractive graphics, appealing animations and satisfying sound. These factors assist to TUI equipments more interesting which allowed people experiences the fun and involved in there. FLOW theory point out that the interesting of experience is depend on the interesting of interface design. Consequently, researching how to make interface more interesting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ouching interface design. Key words: Tangible User Interface, Fun element, Flow theory, TUI for Library, Fun factors in Library System.

      • 중국내 음악전공 석사생의 진로결정 행위의도에 관한 실증연구

        구윈윈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07

        졸업생들의 취업은 줄곧 가장 큰 사회적 이슈였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영향과 경제활동의 위축으로 고용 상황은 낙관적이지 않다. 학부 졸업생이 취업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대학원에 진학하는 것이 사회적 추세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석사 졸업생의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일자리 채용이 줄어들었고, 석사생들의 취업에 대한 기대 또한 높아지는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2022년 석사생의 취업률은 크게 떨어졌다. 음악공연과가 5년 연속 취업이 어려운 전공으로 선정된 것은 음악학부 졸업생 인력수급의 갈등과도 직결된다. 다른 전공에 비해 음악 전공학생의 진로 문제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다. 졸업생의 취업은 사회 발전의 핵심적인 문제인 만큼 음악전공 학생의 진로 문제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석사생의 수가 늘어나면서 확정한 진로결정과 안정적인 발전단계에 있는 석사생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중국 음악전공 석사생의 진로결정의도의 영향요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이론적 틀을 제시하였고 인간 태도와 행위의 관계를 예측하고 설명하는 계획행동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과 진로발전 연구에서 가장 흔히 사용되는 사회인지 진로이론(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을 통합하였다. 이런 종합적인 이론의 틀을 통해 음악전공 석사생의 진로결정 행위의도의 측정모델을 제시하고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 및 논의를 통해 도출한 결론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계획행동이론과 사회인지 진로이론을 기반으로 구축된 통합모델은 진로결정 행위태도, 지각된 행위 통제, 결과기대, 주관적 규범과 사회적 지지의 5가지 변수를 통해 68.7%의 진로결정 행위의도를 공동으로 설명하였다. 둘째, 진로결정행위태도, 지각된 행위 통제, 결과기대, 주관적 규범, 사회적지지 사이의 직·간접적 관계는 구조 모형 각 구성의 밀접한 관계를 나타낼 수 있다. 이중 사회적 지지와 결과기대는 본 연구의 중요한 변수로 선정했다. 셋째, 진로결정 행위태도가 행위의도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은 행위태도가 음악 전공 석사생의 진로결정행위의 중요한 예측 요소임을 시사한다. 넷째, 지각된 행위 통제와 주관적 규범은 계획행동이론의 초기변수였으며 선행 연구에서 행동의도에 대한 중요한 해석력을 확인했다. 다섯째, 연구 대상의 특성을 보면 24-29세의 음악전공 석사생(404명, 95.06%)이 가장 많았고, 대학원생의 학년 차이는 그다지 크지 않았으며, 전문형 석사(373명, 87.76%)가 많았다. 또한 음악전공 석사생의 주위에 음악공부를 하는 사람이 다수(68%)였다. 응답자의 특징으로 봤을 때 대학교 졸업 후 석사학위 취득이 중국 사회의 트렌드가 되었고, 국가 정책의 변화에 따라 석사과정을 진행하는 시기부터 진로결정문제에 대해 관심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여섯 째, 부모와 주위 사람들의 지지도 음악 전공 석사에 큰 영향을 미치며, 음악을 배우는 시간이 빠를수록 진로 결정이 쉬워지고 진로결정 행위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계획행동이론과 사회인지 진로이론의 통합모델은 음악 전공 석사의 진로결정 행위의도의 영향요소를 설명한다. 이는 진로발달 문제는 음악 분야에서 연구를 확장했을 뿐만 아니라, 연구대상의 범위를 넓혔고 후속 연구를 위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했다. 또한, 음악 전공 진로결정 행위의도의 영향요소에서 행위태도는 매우 중요한 변수이며 태도가 가소성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음악전공 석사생이나 교사 및 관련 기관 모두 의식적인 학습, 지도 및 훈련을 통해 적극적인 행동태도를 생성할 수 있으며, 진로결정행위의도와 진로결정행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 밖에도 지각된 행위 통제와 주관적 규범에 비해 음악전공 석사생은 미래의 결과에 대해 좋은 기대를 갖고 있으며, 다양한 측면에서 부모님과 사회적 지지를 받아 진로결정 행위의도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진로결정은 매우 복잡한 인간 행동이기에 계획 과정에서 행위태도만 고려해야 할 것이 아니라 결과기대, 지각된 행위통제 등 개인 요인과 사회적 지지, 주관적 규범 등의 사회 환경적 요소도 고려해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음악전공 석사생의 진로결정 행위의도의 영향요소는 향후 후속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라 기대된다. Graduate job has been a hot issue of society. The employment situation is not optimistic under the influence of Covid-19 pandemic and the pressure of the economic downturn. Get master degree for college graduates in order to increase their employment competitiveness become a social trend. Multiple reasons, for example, the number of master graduates increase continuously and the related job decreases, master students have higher expectations for job and employment cause a significant decline in the master's signing rate in 2022. The major of music performance have been listed as a 'red card major' for graduate job for five consecutive years, which is directly related to the contradiction of supply and demand of music-major graduates. Compared with other majors, the studies on the career issues of music-major students are limited, and the employment of graduates is the key and core of social development. Based on this situation, the employment of students majoring in music should be given attention. As the number of master students increases, research on the master degree in the stable career decision and development status is needed.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behavioral intentions of master of music's career decisions. On basis of previous research, this study proposes a theoretical framework that integrates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which predicts and explains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ttitudes and behaviors, with the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the most commonly used theory of career development, in a complementary manner. Based on the integrated theoretical framework, a measurement model of behavioral intentions for career decision making in music majors was proposed and verified. The findings by main results of research and discussion are as follow. First, an integrated model built on the basis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with five variables of career decision-making behavior attitude,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outcome expectations, subjective norms, and social support explain 68.7% of career decision-making behavior intention. Second, the direct and indirect relationship of career decision-making behavioral attitude,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outcome expectations, subjective norms, and social support show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structures of structure model. Of these, social support and outcome expectations were selected as important variables in this study. Third, the direct effect of behavior intention on career decision-making behavior attitude suggests that behavior attitude is an important predictor of career decision-making behavior for master of music. Forth,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subjective norms, as the original variables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have been confirmed in many prior studies to exert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on behavior intentions. Fifth,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object, the largest number of studying music masters (404, 95.06%) were 24-29 years old, the number of respondents in each year of postgraduate studies was not very different, more professional masters (373, 87.76%), and the majority of those who had music study experience around them (68%).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viewees show that it has become a trend in society to take master's degree after bachelor's degree, the change of national policies appeal the concern of career decision-making issues during the master's period. Sixth, the support of parents and people around them has a great influence on master of music; the earlier they study music, the easier it is to determine the career direction and the more it can influence the behavioral intention of career decision making. The integrated model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proposed in this study can be used to elucidate the influencing factors of behavior intention for career decision making of master of music, which not only broadens the research on music majors in the field of career development, but also expands the scope of the research object and provides a theoretical basis for subsequent research. Second, behavior attitudes are mostly important variables among the influencing factors of behavior intention for career decision making for master of music. Since attitudes are malleable, both master of music themselves and their teachers and related institutions can positively influence behavioral intention for career decision making and career decision making behavior by consciously learning, guiding and cultivating them to produce more positive career decision-making behavior attitude and career decision-making behavior. In addition, compared to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subjective norms, master of music have good expectations of future outcomes and being supported in all aspects by social parental support are more likely to influence their career decision-making behavior intentions. Fi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areer decision-making behavior, as a complex human behavior, cannot be planned by considering only personal cognitive factors such as behavioral attitudes, outcome expectation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but also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social support and subjective norms.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of career decision-making behavior of master of music identified through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subsequent studies.

      • 신앙생활의 유형에 따른 기독교 예비노인층의 죽음에 대한 태도 연구

        김동환 동서대학교 선교복지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07

        부산 및 경남지역의 기독교 예비노인 331명을 대상으로 죽음에 대한 태도 5개 요인인 죽음회피, 죽음 과정 공포, 사후세계 공포, 중립적 수용, 접근적 수용이 정통성, 내재적, 외재적 신앙생활의 유형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죽음에 대한 태도는 기독교를 믿은 기간에 따라 차이가 많았으며 모태신앙이나 15년 이상 신앙생활을 한 신도의 경우 죽음에 대한 수용적 태도가 높았으며 공포 수준은 대체로 낮았다. 또한 학력이 대학 졸 이상인 경우 사후세계 공포가 낮고 중립적 수용태도가 높았다. 또한 모태신앙이나 15년 이상 신앙생활을 한 신도의 경우 신앙생활의 유형도 정통성이 높으며 목적 차원인 내재적 성향이 높으며 수단차원인 외재적 성향은 낮았다. 학력이 대학 졸 이상인 경우도 내재적 성향은 높으며 외재적 성향은 낮았으며, 특히 외재적 성향은 여자 보다 남자가 높았다. 둘째, 정통성 신앙생활의 유형과 내재적 성향이 높을수록 접근적 수용태도도 높으며 사후세계 공포는 낮아졌다. 특히 외재적 신앙생활의 유형이 높을수록 사후세계 공포 수준이 높아졌으며, 정통성이 높으면서 내재적 성향을 가질수록 죽음에 대한 태도가 수용적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ath attitude of pre-elderly Christians and their types of religious life. Five factors of death attitude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death avoidance, fear for death process, fear for afterlife, neutral acceptance and approach acceptance. And three types of religious life were selected: orthodox, intrinsic and extrinsic type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31 Christians in Busan and South Gyeongsang Province who were going to be elder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the following findings were given: Firstly, there were broad gaps in death attitude according to the period of having faith in Christianity. Those who were born a Christian and who led a religious life for 15 years or more took a more receptive attitude to death and weren't fearful a lot in general. The Christians who received college or higher education were less fearful of afterlife and took a more attitude of neutral acceptance. As for the type of religious life, those who were born a Christian and who believed in God for 15 years or more led a more orthodox religious life. These Christians had a stronger intrinsic disposition, which belonged to the dimension of ends, and had a weaker extrinsic disposition, which belonged to the dimension of means. Those who received college or higher education had a more intrinsic and less extrinsic disposition as well. Specifically, the men had a stronger extrinsic disposition than the women. Secondly, the Christians who led a more orthodox religious life and had a stronger intrinsic disposition took a more attitude of approach acceptance and were less fearful of afterlife. In particular, those who led a more extrinsic religious life were more fearful of afterlife, and the Christians who led a more orthodox religious life and had a stronger intrinsic disposition took a more receptive attitude to death.

      • 일상생활 건강모니터링을 위한 착용형 PTT 측정 시스템의 구현

        이수영 동서대학교 디자인&IT 전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07

        사회가 발전하고 삶의 질이 향상 되면서 자신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자신의 건강을 스스로 체크하고 관리하기란 쉽지 않다. 바쁘게 살아가는 현대인들과 몸이 불편한 노인들의 경우에는 더욱 힘든 현실이다. 이에 시간과 장소에 제약을 받지 않고 가정에서 누구나 손쉽게 자신의 건강을 체크할 수 있는 헬스케어기술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각광받고 있는 홈 헬스케어 또는 U-헬스기술은 건강상태를 체크하기 위해 병원을 찾지 않고도 집에서 자신의 상태를 측정하여 데이터를 병원으로 보냄으로써 건강 상태를 확인 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또한 응급상황이 발생하거나 스스로 건강 관리를 할 수 없는 사람들의 경우 즉각적인 대처가 가능하도록 도와준다. 자신의 건강상태를 측정하여 병원으로 전송할 수 있는 방법 중에 생체 신호를 통한 전달이 많은 도움을 준다. 그 중에서 심전도는 자신의 건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정보를 가지고 있다. 심전도에서 나오는 전위의 변화는 심장이 만들어 내는 혈압과 혈류 등의 변화와 거의 일대일의 상관관계가 있으므로 심전도만 보아도 심장이 혈액을 제대로 제 기능을 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맥파는 맥박이 말초 신경까지 전하여지면서 이루는 파동으로 몸에 이상이 생기거나 변화가 있으면 맥파의 형태가 변하고 전파 속도도 빨라진다. 본 연구에서는 일상생활에서 편리하게 건강모니터링을 수행하기 위해 신체에 착용가능한 심전도 및 맥파 계측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배터리로 구동 가능한 초소형의 심전도 및 맥파 측정 시스템의 구현하고 계측된 생체신호의 무선전송을 위해 초저전력 무선 센서네트워크 기술을 적용한 무선 생체신호 전송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구현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동맥순환계의 긴장도 및 유순도 변화를 반영하는 심전도 신호의 R파 정점과 신체의 말초혈관에서 계측한 맥파의 기준점사이 시간차인 맥파전달시간(pulse transit time, PTT)을 계산하였다. 구현된 맥파전달시간 계측시스템과 기존 상용시스템의 비교평가를 수행하였으며, 실험결과 구현된 시스템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자세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혈압의 변화 및 맥파전달시간의 변화양상을 관찰하였다. As the quality of modern society becomes infatuated with on going improvements with an ever so more demand for a more distinguished quality of life, personal health issues are also becoming an identity in today’s era. However, with the growing interests of personal health in mind, an average person will definitely have a cumbersome time checking and maintaining a healthy lifestyle, not to mention everyday workers and especially pensioners, who are deemed impossible of managing a healthy lifestyle. To overcome this impractical problem, many researches and developments have been continuously practiced in order to ease the process of monitoring health for whoever, without the obstacles concerning time, nor place. The recent "home healthcare", as well as the "U health techniques" has received the spotlight, embarking a new revolutionary sensation within the medical science field. These systems allow a person to directly measure their health patterns and transfer the data to the hospital without the troublesome delay of commuting back and forth from the hospital. What is even more is that, these systems enable an immediate action towards an emergency situation or for those who can not cater for themselves at a certain time. Monitoring your health through your bio-medical signal proves to be the most aiding measurement. With this in mind however, the electrocardiogram measures the most fundamental information within a human’s body. The electrocardiogram informs the change in potential, which correlates with the change of blood pressure and blood flow, thus, the information, provides whether the heart is pumping out the sufficient amount of blood. The photoplethymorgraphy is another tool of measurement. This measures the rate and form of the pulsation through a wave circulating through the body, which had been transmitted by the movement of pulsation towards the peripheral nerve. The current studies are engaged in a process where, a wearable, daily life health monitoring system is being designed for the purpose of recording the measurements of a person’s electrocardiogram as well as the photoplethymorgraphy. For this reason, a micro electrocardiogram and photoplethymorgraphy measuring system, which operates through a battery has been developed, as well as a wireless bio-medical signal transmitting system, which incorporates the wireless sensor network, that ultimately uses the minimalist electrical currents whilst transferring the bio-medical signal. On a more detailed note, the system induces to bring the precise measurements and calculations for the tone of the artery circulatory system in addition to the electrocardiogram’s r-peak, which is the reflection of the compliance’s alteration, and the pulse transmit time (PTT), which is the time interval between the photoplethymorgraphy signals from the peripheral vascular. After the evaluation of both the conventional measuring systems and the proposed photoplethymography measuring system, a highly effective and efficient formation and distribution sequences were found within the proposed photoplethymography measuring system. Also, altering blood pressure as well as a change in the photoplethymography signals could be diagnosed with a movement in the positioning of a pers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