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백화점 전문식당공간 색채 계획에 관한 연구 : 북경시내 주요 백화점을 대상으로

        주자가 동서대학교 디자인&IT 전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1695

        21세기의 중국의 경제는 비약적인 발전을 가져왔다. 유통환경의 변화와 국제교류의 증가에 따라 국민들의 생활수준이 끊임없이 향상되고 경제무역과 문화생활환경 또한 개선되었다. 사람들의 여가시간도 점점 많아지고 있는 경향이고, 소비자들의 수요도 이와 함께 다양화, 개성화, 그리고 고급화되어가고 있다. 수많은 ‘외식업체’의 탄생, 발전과 더불어 외식산업의 경쟁이 날로 치열해지고 있다. 그렇다면, 고객의 수요를 어떻게 만족시켜서 치열한 경쟁 속에서 생존하고 발전해나가야 할 것인가? 우선, 고객의 수요를 우선시해야 한다. 하지만 “외식산업”의 경쟁적 환경에서 수많은 기업이 무수히 생겨났다가 소멸된다. 기업의 생존과 발전을 보장하고 고객의 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많은 백화점들에서는 음식산업을 도입하기 시작하였다. 고객들의 결코 단일하지 않은 쇼핑 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백화점의 음식공간은 왕성하게 발전하게 되었다. 중국에서 음식문화가 오늘날까지 발전된 것이 이미 단일하게 중국전통음식문화만을 설명하는 것뿐만은 아니다. 현재 중국의 음식문화는 날로 다원화, 개성화를 표현해주고 있다. 서로 다른 지역의 문화가 음식과 함께 중국으로 오게 되었다. 문화의 도입은 소비자들의 품위와 수요를 제고시켜 주고 있기에 소비자들은 날이 갈수록 단순히 미식(美食)에만 만족을 느끼지 못하게 되었고, 식사환경에 대한 요구 또한 어느 정도 높아졌다. 음식공간의 색채는 고객들에게 가장 직접적인 시각적 충격을 가져다 줄 수 있다. 색채 또한 고객들에게 양호한 식사환경과 문화 예술적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다. 이로부터 “음식 공간”은 이미 단순하게 음식만을 판매하는 곳이 아니라, 점차 문화와 예술체험의 공간으로 변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문화와 미식(美食)경험은 후각을 통해서만 오는 것이 아니라, 시각적인 감각도 특히 중요하다.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 하에서 장기간 생활하는 과정에서 형성된 색채습관이 다르기 때문에 색채를 통해 서로 다른 음식문화를 느껴볼 수 있다. 소비자들이 쇼핑을 하는 동시에 다른 곳으로 가서 식사를 하지 않고 백화점의 식사공간을 이용하게 된다. 그 이유는 쇼핑 자체가 단순하게 물건을 사는 것만이 아니라, 이미 하나의 여가활동으로 승화되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여가활동 시간에 식사를 할 때 음식 또한 유일한 수요가 아니게 되었다. 식사를 하는 동시에 음식 배후의 문화를 체험할 수 있어야 만이 고객에게 정신적으로도 생리적으로도 모두 만족을 가져다 줄 수 있게 된다. 이로부터 색채의 요소와 문화적 요소가 백화점 식사공간에서의 응용이 특별히 중요하고, 또한 서로 뗄수 없는 사이라는 점을 설명해준다. 본 논문에서는 우서 음식문화와 음식색채에 관련된 이론지식을 소개하고 음식색채가 사람의 시각과 심리에 대한 느낌을 연구하였다. 다음으로 백화점 음식공간의 관련 이론을 소개하고 백화점 식사공간의 문화적 스타일과 색채의 스타일을 세우는데 관한 연구를 하였다. 마지막으로 베이징 시내 가장 큰 상권 중에서의 다섯 개의 백화점의 식사공간에 대한 조사 분석을 진행하였다. 식당의 색채요소와 문화요소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베이징 백화점 식사 공간 내 음식문화의 색채가 표현하는데 있어서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백화점의 식사환경을 보다 좋게 개선하는데 참고적 자료를 제공하여, 끊임없이 증가되고 있는 고객들의 물질문화적 추구를 만족시키고자 한다. The 21st century will see a rapid development of China’s economy. With the changes in circulating environment, more opportunities in international exchange, the improvements of living standard and the developments in economy, trade and cultural environment, the Chinese, nowadays, have much more leisure time than before, so the demands of consumers become more diversified, individual and advanced. As many catering enterprises are established and enjoy a boom, the competition among those companies has become fiercer. Given this circumstance, a mass of department stores adopt to catering trade in order to ensure the survival and development of themselves and meet the demands of the consumers who go to department stores no longer only for shopping. As a result, the catering trade in department stores is flourishing. Besides the traditional food culture, the China’s diet culture has developed into a much more diversified and individual one. Different cultures, which flock into China with exotic food, result in the improvement in the tastes and the increasing demands of consumers. Therefore, people cannot be satisfied only by delicious food, and a better dining environment is also required. In the dining space, color is the exact element which can give consumers the most direct visual impact and create a comfortable dining environment for them. Viewed from this perspective, “dining space” is not only a place for the sale of food, but also a space to experience culture and art. Besides the taste, visual impression is also particularly important to the cultural and cuisine experience. Under the different geographical and cultural backgrounds, people form different habits towards colors because of their different living environments, so we can sense different diet cultures from the usage of colors. One important reason why people don’t eat anywhere else but in the department stores where they are shopping is that the purpose of shopping is not just buying the necessities, but also a way of relax. Therefore, food is not the only demand any more. The cultural experience behind the food can meet the demands of consumers both mentally and physically. From the above analysis, we can safely draw the conclusion that the combination of color and culture is especially vital in the dining space of department stores. This paper first introduces some related theoretical knowledge about diet culture and the usage of colors in food in order to figure out the influence that color has on people’s vision and psychology. Second, this paper gives a brief introduction of the related theoretical knowledge about the dining space in department stores, aiming at doing a research on the establishment of the cultural styles and color styles in them. At last, this paper records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on the dining space in five department stores in the largest CBD of Beijing. From the analysis of the elements of color and culture in those dining-halls, some problems about the usage of colors can be sensed. By exposing these problems, the dining environment of these department stores can be improved so that it can better meet people’s increasing demands both in material and culture.

      • 타이포그래피에 의한 포스터 디자인에 관한 연구

        고나 동서대학교 디자인&IT전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1695

        This study mainly focuses on the new method of applying the typography to the post design through the research of the writing language development. At the same time, the visual art communication based on the artists’ personal expression of the massage and is usually subjective ones. In the field of typography, the method of visual communication by the writing language is objectively, clearly and directly by now. So, in the modern time, typography as one of the expression factors is not only with the language communication function but also with the aesthetics communication function, in another word, the non-language communication function is becoming stronger and stronger. The trend of this changing can also be seen in the contact to pure art design work. This is not only what the designers(massagers)want to express but also the desire of the udiences(accepters) who get themselves into the modern civilization show even it is temporal. So, as the situation of typography in visual communication the possibility of the expression in another new field by the visual communication method is becoming clear. In this paper, in order to apply with the characters of the typography into the post design, the evidence research of the topic is carried on. And the aims of this research are: first, to find the characters of applying with typography as morphology factors in the post design; second, to carry on the post design apply with the defined characters. The framework of this paper is built up by 5 parts. The 1^(st) part is about the background, aim and the method of this research. The 2^(nd) part is to explain the key words of this paper as to make a clear comprehension to the readers. The 3^(rd) part is the evidence research part, mainly focuses on the analysis of the design characters applying with typography. The 4^(th) part is the post designs apply with the defined characters above. And the last part is the conclusion of this paper. 본 논문은 타이포그래피를 중심으로 포스터에 관한 연구로 포스터에 나타난 글자의 발전 잠재력을 개발하고, 포스터와 타이포그래피의 새로운 사고 및 표현에 대해 깊이 있게 탐구하였다. 대부분의 시각 예술에 있어서의 전달은 예술가의 자유분방한 표현을 통하여 메시지를 전달하는 시각적이면서도 주관적 커뮤니케이션에 의한 전달 방법을 흔히 볼 수 있다. 타이포그래피의 경우, 이제까지는 문자를 통하여 객관적이고 명확하며 직접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법이 대부분 이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타이포그래피가 언어적인 전달 뿐만 아니라 미적인 표현의 한 요소로서, 즉 아트적인 표현과 일러스트레이션(Illustration)적인 역할까지도 할 수 있는 비언어적 전달(의미 전달이 대부분 주관적, 간접적이고 이미지적인)에도 적용되고 있는 경향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디자인의 표현이 부분적으로 순수 예술에 근접해 가고 있는 움직임에서도 찾아 불 수 있다. 이는 디자이너가(전달자) 표현하고자 하는 의도뿐만 아니라, 고도로 발달된 현대 문명 속에서 일시적으로나마‘쉼’을 얻고자 하는 감상자(수용자)의 요구 변화에 따른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추이로 불 때, 타이포그래피에 있어서 시각적 전달 방법을 통한 표현의 시도는 새로운 영역으로서의 중요한 의미와 가능성이 있다. 이는 이미 디자이너들에 의해 시각 작품들이 제작되고 있는 사실에서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타이포그래피의 요소를 포스터 디자인에 적용하는 특징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타이포그래피의 요소로서 형태의 요소는 다른 시각요소의 캐리어(Carrier)이기 때문에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형태의 요소를 중심으로 타이포그래피의 요소를 포스터 디자인에 적용하는 특징을 찾아보는 것이며 둘째, 이런 특징을 응용하여 실제 포스터 디자인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논문의 내용은 총 5장으로 구성되었다. 제 1장 서론에서는 연구 배경을 전개 하면서 연구의 목적 및 방법론에 대해 설명하였고 연구의 범위를 한정하였다. 제 2장에서는 이론적인 개념을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 언급한 이론적인 개념에 대한 문헌 조사를 통하여 이론적인 고찰을 하였다. 제3장에서는 실증적인 연구를 통하여 타이포그래피(Typography)의 시각 요소를 포스터 디자인에 어떻게 적용하는지에 대한 디자인 특징을 분석하였다. 제4장에서는 앞서 정의한 타이포그래피의 시각요소를 포스터 디자인에 적용한 특징에 따라 포스터 작품을 디자인 하였다. 마지막으로, 제 5장에서는 본 논문의 결론을 제시하였다.

      • 통합 Brand Identity 전략 수립에 관한 연구 : 나이키와 Li-Ning을 중심으로

        류동 동서대학교 디자인&IT 전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1695

        최근의 세계금융위기는 중국기업들에게 새로운 도약의 기회가 되고 있다. 지금 기업이 당면하고 있는 여러 가지 문제들을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세계경제의 중심으로 새롭게 거듭나기 위해서는 기업이 가지고 있는 장점들을 발전시켜 기업의 브랜드 경쟁력을 높이고, 부가가치가 높은 상품을 생산하여 기업의 경쟁력을 길러서 기업을 꾸려나가는 것이 절박한 임무로 되고 있다. 오늘날의 기업들은 제품개발과 브랜드 전략 관리로 다양하고 수많은 분야에 자기만의 정체성을 가져야 한다. 브랜드는 시장에서 마케팅의 중요한 무기일 뿐만 아니라 한 기업의 경영관리 실력과 수준을 말하고 있으며 또한 국가의 경제능력을 가늠할 수 있는 전략 가치를 구비한 주요 요소로 볼 수 있다. 새로운 것을 생산하여야 하는 기업으로서는 발전해야 하는 현실을 직시하면서 디자인 관리로 브랜드 가치를 제고하기 위한 방안으로 차별화된 제품 개발과 혁신적인 디자인으로 접근이 필요하다. 본문에서는 종합브랜드의 아이덴티티 전략연구를 목적으로 하며 브랜드의 아이덴티티와 브랜드의 전략 간에 유기적인 관계를 결합시켜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양자 간에 본질적인 이론 관계를 정립하고, NIKE와 리닝 두 가지의 대표성 있는 브랜드를 선택하여 연구 성과를 꾀하도록 하였다. 브랜드의 아이덴티티 전략과 관리를 체계화시켜 총괄적인 원칙을 체계화 시켜서 효과적인 브랜드 아이덴티티전략으로 기업의 이미지와 브랜드 이미지를 철저하고 정교하게 관리하여 브랜드 가치를 제고해주는 중요한 수단이라고 볼 수가 있다. 이러한 내용을 기반으로 브랜드 아이덴티티와 브랜드 전략 간의 가치분석을 통하여 브랜드 가치를 제고하고자하는 방법들을 제시하였으며, 세계적인 브랜드인 NIKE와 중국의 대표적인 리닝 기업의 브랜드이미지의 비교분석을 통해서,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기업에 얼마나 중요한가를 분석하면서 기업이미지를 극대화 시키는 전략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기업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전략을 종합하여 효과적으로 현대 기업의 경영 관리에 적용하여 기업의 경영관리 수준을 높이고 기업의 브랜드 전략을 구축하고, 브랜드 아이덴티티 관리 전략을 핵심 경쟁력의 하나로 하여 새로운 제품의 생산에 앞서 차별화된 브랜드 전략으로 브랜드 가치가 제고될 수 있도록 기업의 핵심적인 사항들을 검토해야 한다. 기업은 새로운 브랜드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브랜드 가치에 확고한 믿음으로 무한 경쟁의 세계에서 우위를 선점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이 선행되어져야 한다. Recently, the global financial crisis has become a fresh leap, where opportunities and chances coexist, for Chinese corporations. Since energizing and vitalizing corporations have become a desperate mission, corporations have to intensively research the hindrances that they are facing now, and in order to take control in the global economy, they have to advance their own specialized resources to improve their brand images, and produce highly qualified merchandises to form prior leadership. Also, the corporations need to be individually identified, because each corporation has distinct strategies of developing products and managing one's brand. Brand marketing not only is an important weapon in the market, but also represents the capability and value of a corporation, and it is an economical resource that can symbolize the economical merit and ability of a nation and its people. Corporations that need to create innovative products have to be aware of the reality to improve. Also, they have to approach the market with outstanding product-development and revolutionary design to differentiate themselves from others. In the text, the purpose is to differentiate strategic research and bonding relationship of colligation of brands, and systematically research to form theoretical relationship o form tfoo corporation, and the research results ca to shown in the two representative brands, heoretical -elat. By systematizing the strategy of identifying and management of brands, corporations d fermine inclusive principle and effective discriminating strategy of brands, and it is an importand device to improve brand value by managing the image of a corporation and brand. Having offered the process of improving brand value by differentiation and strategic analysis of corporation's value based on statratsubstances and through cross-analysis of world's leading corporations, heoretical -elat, it researches how important it is to distinguposeone brand from others to maximize the brand value by strategy. Improving business management of corporations eoretlearly structuring brand strategy of them by tionsng brand differentiating strategy of corporations eoreapplying business management to modern corporations effectiveatrait is possiure to set brand differentiating management strategy to be one of the corey resetitiveness to improve brand value before producing new and differe. Aoducing new and dto be e tippratwith d ferminedingith of brand value y of them byimprove its perception of a new brand ons efprove constantly to predominate in the in anitely resetitive world's economy.

      • 문화적 특성이 반영된 제품디자인에 관한 연구 : 삶는 소형세탁기 디자인을 중심으로

        김하남 동서대학교 디자인&IT 전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1695

        21세기는 소비자의 다양한 Life style에 따른 생활 소비 환경의 변화와 함께 문화적인 요소가 제품의 경쟁력을 결정짓는 핵심적 요소로 부각되고 경제적 차원에서 전략적 개념으로 등장된 점을 주시할 필요가 있다. 문화적 요소가 적용되지 않은 디자인이 존재할 수 없다는 관점은 이미 디자인 프로세스 개발 과정에서 보편적으로 인식되어지고 있다. 지난 40년간 디자인의 주요 이슈(Issue)들을 살펴보면 1960년대에는 미적 가치를 추구하는 심미성에, 1970년대는 판매 전략에 따른 시장성에 중점을 두었고, 1980년대에는 기술적 표현이 관심의 대상이었으며, 1990년대에는 제품의 사회성을 중시함으로써 표면적이진 않지만 소극적으로 문화적인 요인이 적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새로운 세기인 2000년을 맞이하면서 디자인의 문화성을 표방하게 되었는데, 이러한 경향은 문화가 새로운 경쟁의 수단으로 부각되고 있는 시대적 흐름이 디자인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었음을 알리는 것이다. 문화가 반영된 제품디자인은 일종의 상징이라고 할 수 있다. 문화의 상징체계가 도구를 사용하는 ‘물질문화’로 투영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제품디자인은 소비자의 만족을 이끌어내는 방편으로 문화를 제품디자인에 융화시킨다. 문화를 이끌어내지 못하는 제품디자인은 더 이상 소비자들에게 호응을 받지 못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제품디자인은 제품의 사용성이나 경제성, 상징성 그리고 문제점을 찾아내고 그러한 문제점의 개선과 문화를 담아내는 그릇으로서 디자인을 진행하게 되었다. 이는 궁극적으로 소비자의 생활양식에 가장 밀착된 제품디자인을 추구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논문, 서적과 관련 간행물에 나타난 문화와 디자인의 상관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서 문화적 특성을 담은 제품디자인 개발 성공 사례들의 내용을 분석하고 ‘문화적 특성이 반영된 제품디자인’의 중요성과 제품디자인에 반영된 문화적 특성에 대해 정의하였다. 그리고 한국의 전통적인 삶는 세탁문화를 제품에 접목하는 디자인개발 과정을 ‘사례연구’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삶는 전용 소형세탁기’ 디자인을 제안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삶는 전용 세탁기 디자인 제안에 있어서 첫째, 한국의 세탁문화에 대해 고찰해보고, 세탁기에 관련한 시장 조사 및 Image Map분석과 소비자 인터뷰를 통해 소비자의 Needs를 파악하였다. 위와 같은 조사와 자료분석의 과정을 통하여 한국적 삶는 세탁문화의 특성이 반영된 ‘삶는 전용 소형세탁기’ 디자인을 연구 최종결과물로 제시하였다.

      • 감성 요소를 적용한 Tea infuser디자인 개발에 대한 연구

        구실 동서대학교 디자인&IT 전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1695

        The demand of the consumers is getting more and more individual and diversity. Moreover, the view point of design function is getting focused on the view point of functionalism rather than the view point of emotional design in the development of the modern society. In case of the Tea infuser product, the producers all focus on that how to abstract the emotional area. In this context, the ’emotion issue’ is the main issues in the Tea infuser product design. Therefore, the ’emotion’ concept that offer a joyful and satisfy to consumers is emerging in these days. This research can be seen the almost first research work which tried to define the characteristics of emotion products, and then develop the emotion products as an experimental research. This research mainly has two aims as follows. First of all, the aim of this research work is to define the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products in order to product the guide lines for making emotional products. The other aim is to develop new tea infuser product which follows the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design as a case study. This research work carried out the below steps as a research methods. The first, make a collection of famous products within emotion concept as many as you can; second, choose the representative samples in the collected products following the design team’s common opinions; third, make a interview to 10 designers in different majors and record the results; forth, make a visual grouping analysis to the samples and a linguistic grouping analysis to the interview results using the Emotional Engineering method at the same time; fifth, define the emotional product design characters following the analysis results; and last, make a guide line applying the defined emotional product design . This research woke can be contributed to help people, who want to make emotional design, with the definitions of emotional design. 본 연구에서는 감성디자인 시대의 트렌드(Trend)를 파악하여 소비자의 감성을 만족 시킬 수 있는 Tea infuser 제품 디자인 개발해보자 한다. 본 연구는 실증적인 연구를 통하여 감성 제품 디자인 특징을 분석하였으며 그리고 이렇게 분석 되어진 감성 제품 디자인 특징을 기반으로 실제적인 제품 디자인에 대한 감성 개념을 적용하고 Tea infuser 제품 개발을 진행해 보았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 논문의 목적을 기술하면, 첫째, 기준 제품의 특징을 분석하여 Tea infuser 제품 디자인개발을 위한 가이드라인(Guide line)을 만드는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 위의 감성 컨셉을 적용한 Tea infuser 제품 디자인을 개발하여 제안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런 연구 목적을 갖고 이론적인 선행 연구를 고찰하였다. 이론적인 고찰은 문헌조사를 통하여 연구 하였다. 실증적인 연구는 기존 제품들을 연구 대상으로 감성의 원인을 디자인 전공 학생을 대상으로 인터뷰조사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그리고 분류법과 귀납적 연구 방법이 채택되어졌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감성디자인 키워드를 중심으로 Tea infuser 을 직접 디자인 개발 사례 연구 진행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물로 사용자에게 새로운 감성만족을 주는 Tea infuser 를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그 동안의 선행연구들의 경우에는 “감성디자인 개발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에 대한 논문들과 “어떻게 감성디자인 해야 하는지?”에 대해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해준 연구가 거의 없었다. 감성디자인 개발 방법에 대한 선행 연구들을 대부분 오감을 만족하는 제품디자인을 해야 한다는 원론적인 언급만을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감성디자인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잘 모르는 디자이너에게 매우 중요한 감성디자인 방법을 위한 가이드라인 정보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

      • 시각 정보와 소리 정보의 전환을 이용한 공공 미디어 설치에 관한 연구

        이흔 동서대학교 디자인&IT 전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1695

        Along with the technical progress and computer technology's development, as message channel's through many kinds of media ,multimedia technologies has caused the union of visual and the sense of hearing reached a brand-new level. Many kinds of artistic forms which constitute the image and the sound emerges unceasingly. The movie, the television, the game, the network and so on multimedia technologies' products, has already penetrated into modern people's life, and has become an indispensable part of their lives. In recent years, more and more designs applied the multimedia technologies appeared. They brought the unprecedented sense organ experience to the people. The urban activity time's extension, causes the function of urban public space in night to strengthen day by day .The drawing, the sculpture, and the facility form were used widely in the traditional public art designs ,which in order to satisfy people's material needs. Along with economical and cultural development and technical progress, people have been already not satisfied with the sense organ experience comes from the traditional art. They tend to pursue new artistic and new experience. This also set a new request for the public art design. The present paper will do the research of the multimedia art design of public space in city night.It is based on the creation element of high-rise building's window light of the night city public space nearby, through the MAX/MSP algorithm, analogies the music box pronunciation music theory, manufacture digit experiment music, and transform it into vision.t t will form the multimedia seeing and hearing environment, through lays down in the public space LED matrix feedback for the public space, and the sense of hearing and the vision and so on mthe vision and tngds, as to explores a new public special art design method. The paper takes the multimedia interactive theory as the foundation, analyzes the application in the multimedia environment visual and the sense of hearing, researches the existing sound art ,the lighting art and the public art design work, derives the work concept, takes sound art and the turbulent waves art theory as the sense of hearing part theory basis, takes lighting theory as the theory basis of visual feedback part, unifies the city public spece design principle, and designs public art design proposal under the multimedia environment. The paper explores a new way of public art design, through multimedia environment public space designs which constitutes the sense of hearing and visual media. 과학기술의 진보와 컴퓨터 기술의 발전에 따라 여러 종류의 매개체가 공동으로 정보통로의 멀티미디어 기술로서 시각과 청각의 결합이 참신한 고도로 상승하도록 하였다. 각종 그림과 소리가 공동으로 구성된 예술형식이 끊임없이 나타나게 되었는데 영화, TV, 게임, 인터넷 등 멀티미디어 기술의 산물이 이미 현대인들의 생활 속 깊이 침투되어 사람들의 생활에 없어서는 안될 한 부분으로 되었다. 근년에 와서, 멀티미디어 기술을 응용하여 제작한 디자인이 날로 증가되고 있는데 사람들에게 전례가 없는 감각의 체험을 가져다준다. 도시 활동시간의 연장으로 인해 도시 공공 공간이 날로 확장 되에신 있다. 전통적인 공공 예술 디자인은 대부분 회화, 조각, 설치의 형식으로 출현되어 사람들의 물질적 수요를 만족시키는데 중점을 둔다. 경제와 문화의 발전과 기술의 진보와 함께 사람들은 이미 전통적 예술이 사람들에게 가져다주는 감각의 체험에 만족하지 않게 되었는데 새로운 예술과 새로운 체험 측면에 대한 소구가 보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공공 예술 디자인에 대한 새로운 요구는 계속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도시의 야간 공공 공간의 멀티미디어 디자인을 연구하게 된다. 야간 도시 공공 공간의 근처 고층 건축물의 창구 불빛을 창작의 요소로 하고,MAX/MSP의 알고리즘(algorithm)을 통해 오르골의 원리를 이용하여 디지털 실험음악을 제작하고, 동시에 실험음악을 시각화 시켜 공공 공간에 설치한 LED를 통해 공공 공간에 피드백을 제공하는데, 청각과 시각 등 여러 가지 수단을 통해 멀티미디어 시청 환경을 형성시킴으로써 새로운 하나의 공공 공간 예술디자인 수단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멀티미디어 인터랙션 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멀티미디어 환경에서의 시각과 청각의 응용을 분석하고, 기존의 소리예술, 불빛예술과 공공 예술디자인 작품에 대해 분석하고 연구함으로써 작품의 컨셉을 도출해낸다. 소리예술의 플럭서스(Fluxus) 이론을 청각부분의 이론적 근거로 삼고 불빛예술이론을 시각적 피드백 부분의 이론적 근거로 삼아 도시의 공공 공간예술디자인원리와 결합시켜 멀티미디어 환경 하에서 공공 예술디자인의 제안을 디자인 한다. 따라서 청각, 시각 여러 매체를 통해 멀티미디어 환경의 공공 공간의 예술 디자인을 구축하여 공공 예술 디자인의 새로운 경로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 중·한 지하철 시각정보시스템에 관한 연구 : 부산 지하철과 베이징 지하철을 중심으로

        문풍 동서대학교 디자인&IT 전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1695

        본 연구는 중국과 한국의 지하철 역사 내에 있는 시각정보시스템을 상호 비교 검토하여 베이징 지하철의 효과적인 시각정보시스템 구축을 위한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현대 사회에 들어 급속한 경제성장이 진행됨에 따라 지하공간의 중요성이 더욱 증대되어지고 있다. 그리하여 지하교통의 안내 등 시각정보시스템의 중요성이 더욱 뚜렷하게 나타나게 되었다. 이렇게 지하 공간에서 시각정보시스템의 성패는 바로 그 디자인에 대한 대중들의 인지도이라고 할 수 있다. 동일한 시각정보라고 할지라도 지하공간과 지상공간에서 인지도는 차이가 난다. 즉 지하공간은 비교 대상이 없는 관계로 방향성 인지에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그러나 증대되는 지하철의 역할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안내 시스템 등과 같은 일부 지하철 내부의 시각적 정보들은 사람들의 출입 등에 편의를 제공해주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보인다. 또한 각 지하철 역사내 시각정보시스템의 통일된 체계 구축과 함께 지역적 특성도 부가되어야만 하는데 현재 베이징 지하철은 부족한 부분이 존재한다. 그렇기 때문에 베이징 지하철의 시각적 정보에 대한 대중들의 인지도를 어떻게 높일가? 하는 문제는 향후 중국에 건설되는 모든 지하공간의 시각정보디자인에 있어서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가 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논문에서는 한국 부산 지하철 역과 베이징 지하철 역 내부의 시각정보시스템에서 디자인의 색채 조형 문자 등 시각 디자인을 구성하는 전반적인 관련요소에 대한 비교와 분석을 통해, 서로 다른 문화의 영향 하에서 두 곳의 시각적 정보 디자인의 공통점과 감성의 다른 점 및 어떤 디자인이 대중들의 시각적 정보 디자인의 인지도 높일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인지심리와 시각정보시스템디자인의 개념과 주요 이론을 살펴보고, 기존 지하철역사 내 시각정보시스템디자인을 지하철 이용자 인지 중심으로 분석한다. 우수 시각정보시스템디자인 사례 연구를 통하여 지하철역사의 시각정보시스템에 대한 인지를 통일, 향상할 수 있는 디자인 콘셉트을 제시하고, 구체적인 디자인을 제안하는 것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2 장에서는 개념정의 및 이론적 배경으로써, 지하공간의 특징과 그 속에서 인간의 인지적 특성을 알아본다. 3 장에서는 지하철 역사 내 시각정보디자인에 필요한 주요 정보에 대해서 조사하고 영국 런던 지하철과 서울 지하철의 사례 비교 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 반영해야 할 요소들을 선별 반영한다. 4 장에서는 연구 대상지인 부산 지하철역과 베이징 지하철역의 사인, 심벌마크 로고타입 등 분석하고, 지하철 시각정보시스템디자인의 원칙과 주요 정보를 기초로 하여 역사 내 시각정보시스템디자인 사례를 분석한다. 그 과정에서 베이징 지하철 내에 있어 시각정보시스템의 문제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5 장에서는 4장의 분석을 기초로 하여 베이징 지하철의 디자인 콘셉트를 제시한 후 효과적인 지하철 시각정보시스템 디자인 제안을 수행하고자 한다. 디자인 개발은 이용자의 정보 인지와 정보의 유용성을 고려한 정보의 구조화 과정을 거친 후 사인 시스템, 안내도 등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결론에서는 연구를 통해 얻은 인지와 시각정보시스템디자인과의 관계를 정리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한다.

      • 문화서비스를 통한 지역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부산시〈아트팩토리 인 다대포〉운영 가이드라인을 중심으로

        정송이 동서대학교 디자인&IT 전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1695

        최근 들어 우리 사회는 수도권, 지방 할 것 없이 살기 좋은 지역을 목표로 저마다 개성 있고 쾌적한 지역으로 만들기 위한 여러 활동들로 분주하다. 지난 참여정부는 공간의 질과 삶의 질을 향상 시키고자 여러 형태의 정책을 추진해 왔다. 그 중 ‘살기좋은 지역만들기’란 지역별로 가지고 있는 개성과 부존자원을 활용하여 각 도시와 농어촌을 자치단체, 주민, 시민단체 등이 협력하여 재설계, 재창조하는 활동을 말한다. 그러나 정작 우리나라의 과거 지역활성화 정책은 급격한 산업발달과 인구집중 문제로 뒤늦게 시작되어 주로 중앙주도 및 성장 지상주의에 의해 획일적인 지역개발이 추진되어 왔다. 지금까지의 지역활성화에서는 지역의 문화적 환경과 공간을 매력 있게 변화시키고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실질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이 많지 않았다. 지역주민이 살고 있는 장소를 새롭게 만들고 문화예술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지역주민의 생활 방식을 문화적으로 전환함으로써 마을의 창조성의 중심이 되도록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미술창작스튜디오를 도입, 활용하여 지역주민과 문화예술인이 상호관계를 맺으면서 지역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문화 공간, 특히 미술창작 공간과 결합한 공간이 지역문화 활성화에 일조 할 수 있다는 전제 아래, 미술창작스튜디오의 조성방안을 제시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을 두었다. 우리나라 예술 공간의 시스템을 볼 때, 예술 생산자와 소비자, 향유자 사이의 효과적 연결과 소통이 가장 시급하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참여 주체간의 관계를 문화서비스라는 관점으로 접근하여 주체별 서비스의 경험과정을 디자인하고 창작문화에 의한 문화 공간화로 지역활성화를 이루는 문화서비스 디자인을 제안 하고자 한다. 와 같은 배경과 목적에 의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흐름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제1장에서는 「문화서비스를 통한 지역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에 대한 연구 배경과 목적을 알아보고 연구의 당위성을 살펴보았다. 연구진행을 위한 범위와 방법은 연구 방법 체계 도를 통해 구체적으로 서술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크게 문헌조사와 현장조사와 같은 조사․분석 과정과 연구대상지에 대한 문화서비스를 디자인하는 과정으로 구분된다. 마지막으로 전체적인 논문의 구성과 절차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논문 구성 체계를 제시하였다. 제2장은 지역활성화와 문화의 상관관계를 고찰하여 문화나 예술적인 접근을 통한 지역개발이 지역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먼저 지역활성화의 정의를 통해 개념을 정리 한 후 지역활성화의 현황과 유형들을 알아보고 국내 지역활성화 정책의 문제점을 짚어 보았다. 또한 문화를 중심으로 지역활성화를 도모한 사례들을 분석하여 어떠한 문화적 지형 속에서 도출된 전략인지 각 도시에 따른 여건과 그에 따른 전략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제3장에서는 지역문화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미술창작스튜디오 조성을 제안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효과적인 도구로서 서비스이노베이션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미술창작스튜디오 조성을 위한 기초조사로 미술문화공간의 개념과 특성을 정의하고 그 유형을 분류하였다. 현실적인 조사를 위해 국내 3곳과 일본 1곳을 직접 방문하여 관련 인사들의 의견을 참고하고 현 연구 대상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정보를 수집했다. 또한 모든 주체가 만족하는 문화서비스를 디자인하고자 서비스이노베이션 디자인을 이용하여 각 주체별로 창작공간에서 일어날 수 있는 복잡한 욕구충족의 상호 관계성에 대해 미리 파악하였다. 제4장은 지역의 특색을 살린 문화공간 조성은 철저한 지역자원의 조사를 기초로 시작되므로 연구 대상지에 대한 지리․인문학적 현황 조사를 실행하였다. 먼저 연구 대상지의 지역자원을 분류하여 지역의 특성을 파악하고, 차후 개발할 수 있는 연계 자원을 이끌어 냈다. 또한 연구 대상지가 예전 미술창작스튜디오로 운영되었지만 진전하지 못한 원인을 파악하고 새롭게 운영체계를 정비하기 위한 조성 방향과 범위를 설정하였다. ⅶ 제5장에서는 미술문화공간을 통해 지역문화를 활성화하기 위한 구체적인 문화서비스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창작문화 공간이 예술 작가와 지역민 모두가 상생할 수 있는 문화서비스 교류의 장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구체적인 운영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복잡하고 다양한 무형적 특성을 가진 서비스를 현실화하기 위해 서비스이노베이션 디자인 프로세스에 의해 전략적으로 접근하였다. 주체별 서비스의 경험과정을 디자인하고 창작문화에 의한 문화 공간화로 지역활성화를 이루는 문화서비스의 디자인을 제안하여, 최종적으로 창작문화 커뮤니티를 위한 운영 가이드라인은 운영체계, 운영내용, 공간 활용, 지속가능성으로 나누어 제안 하였다. 제6장에서는 문화서비스를 통한 지역활성화 방안으로 다대포 창작스튜디오 운영 가이드라인을 디자인하는 과정을 요약하였다. 여기서 진행된 문화 Each regional community are, in recent years, busy in various activities to make their region to be characteristic and pleasant with the goal of livable one regardless of whether they are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or not. The last Participatory government have promoted many types of policies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space and life. The 'making livable regional community' of them refers to activities of each municipal corporation, resident, and civic organization to redesign and re-create their own city or farming and fishing communities using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natural resources. The past actual policies for regional revitalization started lately due to rapid industrial development and centralization, therefore, the regional developmental policies were uniform with the central government-leading and growth orientation. The programs for regional revitalization by now have rarely focused on the change of cultural environment and space into attractive one and on the substantial improvement of quality of residents' life. It is needed to renew the site where residents are living and to converse their lives to cultural one using cultural and artistic program, in order to make the site to center of creativity.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 way to revitalize a local community with the interrelation between artistic people and local residents by introducing and using Artistic Studio Progra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refore, to present a way to introduce Artistic Studio Program with the assumption that the space in combination with cultural especially artistic space is helpful in revitalization of regional culture. Considering the system of artistic space in Korea, the most urgent one is an effective linkage between producer and consumer of art and their communication. Applying the view of cultural service among participating subjects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was to design a experiential procedure of each subject's service and also to design cultural service achieving regional revitalization using cultural space by creative culture. The procedure of this study based on those background and purpose are as follows:- In the first section, the rationale,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a study on the way for regional revitalization using cultural service' are investigated. The scope and method of this study is described in detail using structural scheme for study method. The scope of the study is divided broadly into survey and analysis step such as literature review and site examination and a step to design cultural service for subjects. Finally, an organizational system of study is proposed in order to allow to understand whole organization and procedure of the study easily. In the second section, the effect of regional development through cultural or artistic approach on the local community is investigated by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regional revitalization and culture. After the summarizing the concepts using the definition of regional revitalization, the state and types of regional revitalization were investigated and the problems related to domestic regional revitalization were determined. The cases on the seeking regional revitalization centered on culture are analyzed in order to investigate what their cultural topography produce each cities' circumstance and their strategies In the third section, the introduction of Artistic Studio Program is proposed as a way for regional revitalization and service innovation design is proposed as a effective tool to achieve the program. As a basic survey,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 of artistic cultural space are defined and classified. We visited three sites in Korea and a site in Japan for empirical survey and referred opinion of related persons and collected informations to be used in solving current problem of ArtFactory. And, in order to design a cultural service satisfying all subjects, an prior study on the complicated correlation among desire fulfillment which may be occur in each subject's creative space is performed using service innovation design. In the fourth section, a study on the geographical and cultural scientific status survey of subject site is performed because the introduction of cultural space based on regional characteristic starts inevitably with the base of strict survey of regional resources. The regional resources of subject site are classified in order to understand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determine the associated resources to be developed later. The reason the subject site was not developed, despite it was operated as a Artistic Studio before, was investigated and the direction and scope to improve the management system newly is set. In the fifth section, considering that the Dadaepo Artistic Studio is located at boundary between industrial and residential region, the cultural service which the ArtFactory will deliver to surrounding industrial and residential regions's dwellers is designed. In order to realize those service which is complicate and has various intangible characteristics, the service innovation design process is applied strategically. After designing each subject's experiential procedure and proposing a design of cultural service composing inducing the regional revitalization using cultural space by creative culture, finally the management guideline for creative culture community is proposed on management system, management content, space utilization, sustenance. In the sixth section, the procedure of designing the management guideline for the Dadaepo Artistic Studio was summarized as a way for regional revitalization using cultural service. The design of cultural service, here, is focused on the achievement of service innovation by designing the generation and delivery system of service based on the correct correlation among service subjects. The feasibilities of service innovation design applying the design of cultural service for region

      • 백화점 공용 공간 VMD에 관한 연구 : 한국과 중국의 비교 연구

        류곤 동서대학교 디자인&IT 전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1695

        20세기 90년대 이후 중국경제는 고속성장을 하고 특히 중국이 WTO에 가입한 후 대양의 외국 백화점 및 패션 브랜드가 중국 시장에 들어오고 있고 중국 백화점 산업 발전을 빠른 속도로 진행하고 있다. 소비수준은 끊임없이 상승하고 있으며 전통적인 소비 관념은 이미 현재의 소비수준에 못 미치게 되었다. 백화점에서 쇼핑할 때 소비자의 구매는 상품을 구매하는 행동일 뿐만 아니라 오락, 휴식, 정보 등을 얻는 하나의 복합적인 활동이다. 백화점은 소비자에게 기업의 이미지를 부각시키기 위해 기업의 독창성 창출에 고심하고 있으며, 타 백화점과의 차별화와 판매 증진을 위해 VMD는 경영전력의 한 요소로서 자리매김하고 있고 동시에 쇼핑의 편리성을 지향하는 소비자들의 욕구와 맞물려 일관된 컨셉에 따라 VMD전략이 필요하게 되었다. 20세기 후반 개점한 백화점을 보면 적지 않은 규모에 전체 매장의 유기적인 디스플레이로 백화점이 전달되고자 하는 판촉 테마를 인간의 직접적인 감각기관에 호소하여 이미지를 강렬하게 인식시키고 상품을 위한 효과적인 디스플레이로서 고객의 구매편익을 도모시키는 목적으로 아주 효과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시대의 요구에 맞추어 소비자를 위한 쾌적한 쇼핑 공간으로서의 시각적 환경 조성과 정보 전달자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적극적인 장으로서 백화점으로 전환시켜야한다고 여겨진다. 이러한 변화에 대비하여 백화점 공용 공간의 VMD 제안에 관한 기초연구의 필요성을 느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백화점의 기초 이론을 연구하고 VMD의 이론적 배경을 연구하고 공용공간에 관련된 조사와 백화점 공용 공간 사용자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연구 대상은 한국 부산과 중국 칭다오의 백화점 공용공간으로 백화점 공용 공간VMD전개 특성에 대해 이론 분석법, 현장 조사법을 통해 얻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로 휴게 공간, 이동통로 중에서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와 층 VP의 VMD를 비교하였다. 그리고 백화점의 자료와 현장 공용공간의 현황을 활용하여, 본연구자가 현장에서 얻은 자료를 기초로 한중 백화점 공용 공간 VMD를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은 중국 백화점의 공용 공간 VMD 전개 특성과 개선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한국 백화점 공용공간에서 공통적으로 아트마케팅과 그린마케팅을 이용한 VP의 전개로 근본적으로 미술품을 이용한 VP전개를 확대하여 백화점의 고급이미지를 고객에게 인식시키고자하고 있다. 중국 백화점은 공용공간의 다양성과 디테일이 필요하고 충분히 이용하며 백화점이미지를 고객에게 증가하여야 한다. 둘째, 한국 백화점 점외 공간은 고객 휴식의 요구를 만족뿐만 아니라, 주위에 시즌성 공원이나 다른 형식의 연출 및 파사드 쇼윈도우의 디자인이 있어서 사람들의 라이프스타일을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다. 중국 백화점 점외 공간에는 고객 휴식의 요구를 만족하여 다양화한 형식을 만족시켜서 고객이 쉴 때 백화점이나 브랜드의 켄셉을 알 수 있고 한국 백화점 옥상의 생태공원을 연결한 휴식공간의 구성으로 공용공간의 이용률을 확대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셋째, 한국 백화점 점내 휴게공간은 백화점의 테마와 서로 연결되어있다. 주변에 약간의 브랜드 VP. PP, IP 연출을 있고 고객들이 쉴 때 넓은 시야를 매장의 상황을 볼 수 있게 구성되었다. 점내 휴게공간에는 주요한 휴게공간이 각층 매장의 소비자에 따라서 설립하고 화장실내에 파우더룸이 있고 휴식시설도 완벽하다. 중국백화점은 문 주위와 로비의 공간 사용 기회를 제고하여야 하고 각층 매장의 소비자에 따라서 주요한 휴게공간을 설립하여야 한다. 휴게공간에서는 패션 잡지나 점내 잡지를 제공해서 고객들이 백화점의 정보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넷째, 한국의 백화점은 고객용 엘리베이터 홀은 다 휴게공간이 있고 휴식시설도 비교적 완벽하다. 벽에 층 상품구성의 그림이나 층 VP를 대표해서 현대 사람들의 라이프스타일도 반영한다. 중국 백화점은 엘리베이터 홀에 휴게공간이나 층 VP를 디자인하여야 하며 고객들이 쉽게 다가갈 수 있는 엘리베이터 홀의 경우 층간 이동 또는 대기 장소가 아닌 고객들이 편안하게 쉴 수 있는 공간이어야 한다. 엘리베이터를 내리거나 문이 열렸을 때 보이는 이미지는 층 전체의 상품군을 대표할 수 있는 VP공간을 연출하여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공간으로 디자인하여야 한다. 다섯째, 한국 백화점 에스컬레이터 옆에 휴식공간이 비교적 많다. 에스컬레이터 정면이나 측면 의 층 메인VP, 브랜드 VP, 쇼윈도우는 한국 백화점이 운용이 좋고 대부분 각층도 층 메인 VP가 있어 이 매장의 테마컬러 및 이벤트성을 반영시키고 마네킨과 도구의 운용이 탄력적이다. 중국 백화점은 에스컬레이터 옆에 휴식공간을 증가시켜야 한다. 휴식시설이 완전하고 휴식 공간 주변의 층 메인 VP,브랜드 VP가 있어야 한다. 고객이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잠시 쉴 때 보이는 이미지는 층 상품군을 대표할 수 있는 VP공간을 연출하여 직접 체험하며 구매의 욕구를 야기할 수 있는 공간으로 디자인하여야 한다. 여섯째, 중국 백화점의 계단공간에서는 디테일의 강화가 필요하고 휴식공간과 층 상품구성을 한 공간에 두어 쉬는 동안 자연스럽게 고객에게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하는, 휴게공간과 생태가 결합된 감성의 휴식 공간을 증가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 백화점 공용 공간 VMD 전개에 단한 실제 조사와 비교 분석을 통하여 중국 백화점 공용 공간 VMD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관심이 확대되기를 바라면서 지금 발전하고 있는 중국 백화점 공용공간에 정보와 의견을 제공하기를 기대하고 중국의 VMD분야의 기획 관리인원들에게 전문적인 정보가 되기를 기대한다. Since 1990s, the economy of China has achieved its consistent and increasing acceleration. Especially after the entrance of the WTO, the businesses of department stores and clothing brand have been introduced on a large scale to the Chinese market, while the industry of China’s department stores also has been developing with a high speed, which has contributed to the competition between foreign and native department stores. Nowadays, the traditional shopping concept has been no longer adapted to the present economic degree. Consumer’s doing shopping in the department stores has inclined to be an activity integrating shopping, entertainment, leisure and information acquirement together. The department stores shall create the corporate originality in the hope of presenting its enterprise image to the consumers so as to distinguish themselves from others and promote the shopping sales. Visual merchandising (VMD), a special marketing strategy to build up enterprise uniqueness, is of quite necessity to match the concept that consumptional conveniences satisfy the consumers` demands. Judging from the department stores settled up in the last period of 20thcentury,the excitement on visuals plays a crucial role to broadcast the marketing theme and form an advantageous recognize by the display in all businesses, with the purpose of benefitting the consumers`s hopping. In regard to the demand of modern times, the author supposes that it’s indispensable to research into the VMD proposition about the department stores public space so as to render the consumers a comfortable visual circumstance and transmit its consumptional information. This paper is trying to look from the angles of mall basic theory, VMD theory, material of public space and the users of it, with the analysis target of department store’s public space in China Qing Dao and Korea Busan. After a series of study, the conclusion about the analysis and comparison each floor main VP’s VMD, between elevator and staircase in the resting space and motion pass-ways. The finding of this paper will be stated as follows: 1. Department stores in Korea pervasively use artistic marketing and green marketing to carry out up and enlarge the artistic usage, aiming at attracting more attention from consumers to the high-level image of department stores. Meanwhile, China should make use of diversity and details of public space and establish an excellent image of department stores. 2. The outdoor space of department stores in Korea can definitely satisfy the consumers to some extent. The surrounding parks, performances with different styles and the Facade Show Window are adequately applied to the people’s living style. As for the department stores of China, the demand on the diversity in the outdoor resting space should be met with practice. People can get familiar with the brand concept in the department stores while taking a rest there. The utilization of public space will be achieved by combining with the ecology parks on the ball pool of department stores in Korea. 3. The public space has been blended together with the department store’s theme. The brand performance of VP, PP and IP around the mall and lively sight inside the mall will absolutely delight the consumers’ eyes. The main resting space is designed for consumers on the certain floor: A powder room is provided in every washroom and the resting facilities are perfect. The shopping malls in China should improve the utilization of resting space around the department store’s gates and lobbies, and design the main resting space according to the consumers on each floor. Supplied with some fashional magazines and manuals about the mall in resting space, the department store can convey the information to the consumers effectively. 4. The resting space has been provided around the elevators and equipped with convenient facilities in Korea’s department stores. There are some pictures and VPs reflecting the ingredients of commodities on each floor and symbolizing the modern life style .China’s department stores should design the resting space and VPs of elevator-hall to offer a comfortable place to rest. While waiting for the elevator and opening the door, the consumers can directly experience the VP performance representing the commercial areas on each floor. 5. There are many resting quarters near the staircase of Korea department stores. The main VP, Brand VP and show window display in the front of and beside the staircase in each floor are used efficiently. That each floor has a main VP expresses the themes and events of this department store. The utility of models and tools is flexible. The China’s department store should increase the resting space near the staircase, improving the main VP and Brand VP .etc of zone in each floor. While taking the staircase or resting, customers can enjoy the VP performance by standing on the floor and raise the desire of shopping. 6.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the details in the staircase and set up the resting quarters and commodities arrangement. Increasing the design of perceptual space between resting space and ecology, it will provide customers information about commodities naturally when they are taking the rest. By property survey and comparison about the public space between China and Korea, it shall enlarge the reorganization and attention of the importance of VMD in the department store’s public space of China, which provides information and accordance for the developing China’s department store, also professional intelligence and inference for concerning administrators in the filed of VMD in Chin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