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그리스도교계 신흥종교의 구원·종말론에 대한 교의신학적 대응 고찰 : 모든 형제들의 가르침을 중심으로 바라본 대전교구의 ‘빈민’ 사목

        박병헌 대전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31

        In the midst of the COVID-19 pandemic, Korean society has become acutely aware of the gravity of the issue posed by new religious movements in the country. Within the backdrop of an unstable societal landscape, these new religious movements have deeply rooted themselves in the hearts of individuals, each wielding their respective doctrines. Consequently, there's a continuous influx of believers gravitating towards these new religious movements, even within the Catholic Church. However, the response to their growing influence within the Korean Catholic Church has failed to match the pace at which they are spreading. Thus, there's an urgent call for dogmatic theological responses from Catholic Church, particularly concerning salvation and eschatology, the fundamental tenets of these Pseudo-Christian new religious movements. This study delves into the formulation of their doctrines on salvation and eschatology and elucidates their defining characteristics. Amidst the dynamic changes in Korean society, indigenous new religious movements, born from grassroots religious movements of the marginalized, have acquired strong traits of Korean ethnic nationalism and syncretism. As a result, they prominently espouse eschatological ideologies with the aim of dismantling the secular order with Korea at its core. However, these eschatological ideologies have given rise to erroneous doctrines within the Pseudo-Christian new religious movements. Consequently, within their eschatology, concepts like ‘apocalyptic eschatology’, ‘deadline eschatology’, and ‘exclusive eschatology’ have surfaced, while concerning salvation, ideas of ‘miraculous salvation’, ‘conditional salvation’, and ‘exclusive salvation’ have emerged. These features are not only prevalent in the soteriology and eschatology of the ‘Jesus Christ Congregation Revival Association of Korea’, considered the genesis of Pseudo-Christian new religious movements in Korea, but also in the soteriology and eschatology of the ‘Shincheonji Church of Jesus, the Temple of the Tabernacle of the Testimony’, which currently holds sway as one of the most actively spreading sects domestically. In contrast, the Catholic Church's eschatology preaches universal salvation bestowed freely through Jesus Christ and teaches the kingdom of God, existing between the realms of ‘already’ and ‘not yet’, as the beacon of hope for eternal life. This soteriology and eschatology of Cahtolic Church serve as a clear contrast to that of the Pseudo-Christian new religious movements in Korea, serving as a benchmark for identifying erroneous soteriological and eschatological doctrines. Thus, this study suggests the soteriology and eschatology of the Catholic Church as theological responses, aiming to shield the Catholics from being ensnared by Pseudo-Christian new religious movements in Korea. Through this study, it is hoped that the various forms of soteriological and eschatological doctrines of the Pseudo-Christian new religious movements in Korea can be discerned, even as they continue to evolve in diverse manifestations. 한국 사회는 코로나 펜데믹을 겪으며 한국 신흥종교 문제의 심각성에 대해 절감했다. 불안정한 한국 사회 안에서, 한국 신흥종교들은 각자의 교리를 이용해 한국 사회 구성원 한명 한명의 마음속 깊은 곳으로 자리 잡아갔다. 이에 가톨릭교회에도 한국 신흥종교로 빠져드는 신자들이 계속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신흥종교의 영향력이 한국 가톨릭교회에 퍼져가는 속도에 비해 이에 대한 대응은 부진한 실정이다. 따라서 한국 그리스도교계 신흥종교, 특히 그들 주장의 핵심인 구원·종말론에 대한 교의신학적 대응책이 시급하다. 이에 그들이 어떻게 구원·종말론을 형성하게 되었는지, 그 구원·종말론에 어떤 특징이 있는지 살펴본다. 급변하는 한국 사회에서 억눌린 이들의 민중 종교운동으로 자생한 한국 신흥종교는 한민족 우월주의와 혼합주의(syncretism)의 성격을 강하게 지니게 되었다. 그리하여 한국을 중심으로 현세의 질서를 개벽하고자 하는 구원·종말 사상을 강하게 드러냈다. 그러나 이러한 구원·종말 사상은 한국 그리스도교계 신흥종교에 그릇된 구원·종말론을 형성하게 했다. 그리하여 한국 그리스도교계 신흥종교의 종말론에서는 ‘공포적 종말관’, ‘시한부 종말관’, ‘배타적 종말관’이, 구원론에서는 ‘기적적 구원관’, ‘조건적 구원관’, ‘배타적 구원관’이 나타났다. 이러한 특징들은 한국 그리스도교계 신흥종교의 뿌리라고 할 수 있는 ‘한국천부교전도관부흥협회’의 구원·종말론에서도, 그리고 현재 국내에서 가장 활발히 교세를 떨치고 있는 ‘신천지예수교증거장막성전’의 구원·종말론에서도 공통적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이와 달리 가톨릭교회의 구원·종말론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무상으로 주어지는 보편적 구원을 가르쳤으며, 영원한 생명에 대한 희망으로서 종말과 ‘이미’와 ‘아직’ 사이에 있는 하느님 나라를 가르쳤다. 이러한 가톨릭교회의 구원·종말론은 한국 그리스도교계 신흥종교의 구원·종말론과 극명히 대비됨으로써 그 자체로 그릇된 구원·종말론을 식별할 척도가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 가톨릭교회의 구원과 종말에 대한 가르침을 교의신학적 대응책으로 제안하는바, 이것을 통해 가톨릭교회의 신자들이 한국 그리스도교계 신흥종교에 현혹되지 않게 되기를 희망한다. 특히, 이 연구를 통해 지금도 다양한 형태로 생겨나는 한국 그리스도교계 신흥종교의 구원·종말론을 식별할 수 있게 되기를 희망한다.

      • ‘신천지 예수교 증거장막성전’에 나타난 교부 시대 이단의 요소들

        이재홍 대전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31

        ‘신천지 예수교 증거장막성전’, 신천지는 그리스도교계열 신흥 종교 집단으로, 요한묵시록과 신앙 진리에 관한 계시를 하느님으로부터 직접 부여받았다고 주장하는 이만희를 교주로 내세운다. 신천지는 기성 교회에 대한 공격으로 교회 공동체 안에 많은 분열을 야기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들에 대한 더 나은 대응 방법을 찾기 위해 교부 시대 이단들과의 비교 연구를 진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신천지와 교부 시대 이단 사이의 공통점을 주요한 과제로 삼았다. 우선 교부 시대에 통용되던 이단의 정의와 특성을 파악하고, 몇 가지 유형에 따라 이단들의 분류를 시도하였다. 교부 시대 이단이란 본질적으로 성경과 전승에서 벗어난 가르침을 전하는 집단이며, 교회 공동체에 분열을 일으키던 존재였다. 그리고 이러한 이단들은 신학적, 신앙적 동기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또한 신천지의 정체와 주장 및 활동 방식에 대해서도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신천지는 이만희라는 인물을 신격화하기 위해 성경을 왜곡하여 해석하고 극단적인 종말론을 주장하는 집단이다. 그리고 이 집단은 영향력을 확장하기 위해 거짓과 폭력까지 일삼는 반사회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 신천지가 지닌 특성에는 교부 시대에 활동하였던 이단들의 특징이 나타난다. 영지주의 이원론과 아리우스주의, 도나투스파의 배타성, 펠라기우스파의 구원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교부 시대 이단의 요소들이 신천지의 핵심 교리와 전교 전략을 이루고 있다. 한마디로 신천지는 교부 시대 이단들의 특성을 모방하여 종합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한국 가톨릭교회는 현재 이러한 이단적 위협을 맞닥뜨리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 가톨릭교회는 교부들의 모범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다. 교부들은 이단과의 투쟁 속에서 성경과 전승이라는 신앙의 기본을 확고히 하였고, 치밀한 논변과 저술 활동에 더하여 삶과 신앙의 모범으로 이단의 오류를 밝혀내었다. 또한 이들은 그리스도의 사랑에 입각하여 이단에 빠진 이들과의 일치를 모색하고자 노력하였다. 한국 가톨릭교회 역시 교부들과 같이 진리를 수호하고 공동체의 일치를 추구하는 데에 앞장서야 할 것이다. ‘Shinchonji Church of Jesus, the Temple of the Tabernacle of the Testimony’ briefly called ‘Shinchonji’ is a newly-risen religious group of Christianity in Korea. Lee Man-hee is a founder who has asserted that he had received the revelations about the Apocalypse and the truth of the faith from the God directly. Shinchonji attacked the established churches and raised many divisions. There has been progress of the comparative study with heresies of the patristic ages for seeking the better coping methods against this religious group. Accordingly, this study aims main topics about the similarity between the Shinchonji and heresies of the patristic ages. First, ‘grasping the definition and the characters of heresy which had been accepted in the patristic ages’, then classify the heresies according to couple of types. The essence of the heresies in the patristic ages were the cult group which imparted the teachings deviated from the Scriptures and the Traditions. They can be classified variously with theological and religious motives. And to be further, this study proceeded inspection of Shinchonji’s identity. and the assertion, manner of activity. Through this Shinchonji’s identity is clarified as a cult which explains the Scriptures with distortion and insists on radical eschatology for deifying Lee Man-hee. To see in the other view point, This group can be an antisocial for having continued lying and violence for the expansion of its influence. These characters of Shinchonji have same colors with the heresies of patristic ages. Frist, in the doctrine and the missionary strategy of Shinchonji, there was a dualism of Gnosticism and Arianism to the exclusinism of Donatism and the view of salvation of Pelgianism, That is the various heretical elements of the patristic ages constitute the main doctrines and the missionary strategy of Shinchonji. Therefore, we can prescribe Shinchonji as an imitation and a collection of the characters of the heresies of the patristic ages. Korean Catholic Church is now struggles with this heretical thereat. To face them, following the model of the early Church Fathers can help Korean Catholic Church. The Fathers of the Church made firmly the foundation of the faith, which have been called as the Scriptures and the traditions. With their efforts during the struggle with heresies, and also proved the falseness of them by their models of the life and faith It had added with their delicate arguments and writings. Furthermore, they tried to seek the unity with the persons who had fallen into the heresies, basing on the love of Christ. Korea Catholic Church, like the Fathers of the Church, should lead to protect the truth and to seek the unity of the communities.

      • 가톨릭 교회의 일치 대화에 관한 연구

        이의정 대전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631

        There have been tensions between East and West, North and South in human history. Such a situation is the same today by the threats of war and terrorism. Christians also are being separated and divided into Roman Catholic, Eastern Orthodox, and Protestant etc. And among various religions they are insisting on their own theory of human salvation. But on the other hand there have also been trials to overcome such separations and divisions in and out the Church, which are hope for the Church, human happiness, and the peace of the world. This thesis is an inquiry on the movement of the Catholic Church which is making unity dialogue, overcoming the divisions in and out the Church. The trial to make dialogue for unity is called as 'Unity Dialogue', the fields of which are distinguished into four here. They are the dialogue within the Catholic Church, the dialogue with other Christians, the dialogue among religions, and the dialogue with unbelievers and atheism. This thesis is dealing with the four dialogues. In chapter 1 "the realty" that the procession of the dialogue has been progressed is examined in the Catholic Church. That is to say examining the history of divisions and tensions in and out the Church, and the trials of the Church to make unity of them as well. In chapter 2 it is judged what the teachings of the Church on unity dialogue is like. First, The Scripture and the fathers of the Church is teaching to make unity in relation with God and human in imitation of God, the most holy Trinity. And they are suggesting the ideal of the Church taken after the early Christian community thai was of 'one heart and soul'(act 4,32). Contemporary Church documents, brought by the Second Vatican Council, Paul Ⅵ, and John Paul Ⅱ, is teaching the view of the Church on unity dialogue, which is to be opened to all the dialogue, while the Church is maintaining its identity. In chapter 3 and 4 "the practice aspect" is suggested based on "the realty" of chapter 1 and "the judgement" of chapter 2. Chapter 3 is observing the direction, for which the each field of the four dialogues should go in and out the Church. Chapter 4, as practical device of unity dialogue, is suggesting the principle of the dialogue as 'mutual acknowledgement in its originality' and 'dialogue in commonness'. And 'self denial' and 'making unity' as key for all the dialogues are asserted there. Therefore this thesis is suggesting the way for unity dialogue, to which the Church should go based on reality analysis regarding the four dialogues and the teaching of the Church. I hope this inquiry on unity dialogue play a role of yeast to realize the prayer of Jesus "Father, May they all be one(John 17,21)."

      • 그리스도교 안에서 마리아 교의에 관한 비교 연구

        오순욱 대전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논문을 통해 마리아의 4대 교의에 관한 가톨릭 교회의 가르침을 중심으로 개신교와 동방 교회의 입장을 살펴보았다. 나아가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가르침을 통해 교회일치적 방향도 모색하였다. 한편 오늘날 마리아에 대한 교회의 신앙은 여전히 도전을 받고 있다. 본 소고에서 살펴보았듯 초대교회로부터 이어온 마리아 신심은 멀어진 형제들과의 분열 당시에 큰 문제로 거론되지 않았으나, 시간이 흘러 오히려 갈등의 폭이 깊어져 갔다. 그동안 개신교측은 가톨릭 교회의 마리아론이 성서적 근거를 갖지 않는다는 이유로 비판해왔고, 이에 대한 반작용으로 가톨릭 교회는 더욱 마리아 신심을 장려하는 방향으로 나아간 것이 사실이다. 그 결과로 근래에 들어 마리아의 ‘원죄 없으신 잉태’와 ‘성모 승천’ 신앙이 믿을 교리로 선포됨으로써 동방 교회와의 대화에도 어려움을 시사하였다. 점차로 종교간의 대화가 무르익어 가는 오늘날 교회의 모습을 생각할 때, 제2차 바티칸 공의회가 이미 말했듯이 16세기 종교개혁으로 인한 그리스도교 분열 이후 마리아에 대한 신앙은 타종교, 특히 개신교와 함께하는 대화의 장에 걸림돌로 오해될 여지가 충분히 남아있다. 그러나 이러한 오해는 마리아 교의와 함께 초대교회부터 전해온 그리스도인들의 마리아 신심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부족하기에 일어난 결과이다. 이러한 부족한 이해로 말미암아 가톨릭 교회가 마리아를 신격화(神格化) 하고 있다는 오해를 낳기도 한다. 이러한 점은 무엇보다 서로간의 충분한 대화와 연구를 통해 극복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마리아 4대 교의의 가르침을 분명히 인식하는 가운데 개신교와 동방 교회에서 마리아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 이해함으로써 마리아론에 관한 현주소를 연구함과 동시에 대화의 가능성을 열어놓았다. 한국 교회 안에서는 마리아 신심이 지극한 것이 사실이다. 그러기에 신자들이 그릇된 성모 공경에 빠지지 않고 올바른 자세를 이룰 수 있도록 마리아 신심이 신자들의 시선을 그리스도의 중심 진리로부터 멀어지지 않도록 신중을 기해야 한다. 오늘날 한국 교회 내에서도 마리아께 대한 지나친 신심으로 인해 올바른 신앙을 포기하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교도권으로부터 멀어질 뿐만 아니라 개신교, 동방 교회와의 일치에 있어서도 큰 장애물이 될 수 있다. 마리아 신심은 분명히 교회일치적인 면을 지니고 있다. 마리아를 영광에 빛나는 하느님의 어머니이며 그리스도인들의 희망으로 공경하는 것은 동방 교회의 형제들과도 일치하고 있다. 또한 성공회의 신자들과도 가톨릭 교회의 마리아신심은 일치하고 있으며, 성공회의 신학자들은 마리아께 대한 신심을 건전한 성서적 근거 위에 굳건히 수립하도록 노력하였다. 따라서 마리아 신심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대화를 위한 노력은 오늘날 그리스도교 안에서 이루어져야 할 중요한 과제임에 틀림없다. 하느님의 구원경륜 안에서 마리아의 뛰어나고도 독특한 역할이 모든 그리스도인들에게 올바르게 인식될 때 우리의 신앙은 더욱 풍성한 결실을 맺을 것이다. 마리아에 대한 신심이 교회 일치에 방해가 되는 요소로 작용할지, 혹은 교회 일치의 중요한 시금석이 될지는 우리의 열린 마음과 끊임없는 연구와 노력에 달려있다. This paper has looked at the stance of Protestantism and the Orthodox Church with a focus on the teachings of the Catholic Church on the four dogmas of Mary. Moreover, by contemplating the teachings of the Second Vatican Council, the direction towards ecumenism was also investigated. Meanwhile, the belief of the church towards Mary is still being challenged. As we’ve seen in this paper, the belief in Mary that had been continued since the early church was not mentioned as a big issue when she was being separated from brothers , but with passing time the conflict only worsened. Protestants criticized citing that the theory of Mary was not based on the bible and as a reaction to this the Catholic church had encouraged belief in Mary even more. As a result, as the belief in ‘impregnation without original sin’ of Mary and the assumption of the virgin was declared as a doctrine, indicating the difficulty of conversation with the Orthodox church. Given today’s church that is seeing a maturity of conversation across religions, as was noted in the Second Vatican Council, there is still room for the belief in Mary to remain an obstacle to conversation as it has been since the Reformation in the 16th century and the separation of Christianity. But, these misunderstandings are a result of a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belief in Mary by Christians since the early church. This lack of understanding often leads to a perception that the Catholic church idolizes Mary. These issues can be overcome through sufficient conversation and research. As such, this paper seeks to understand how the Protestant church and the Orthodox church views Mary within the context of the teachings of the four doctrines of Mary. By doing so, the paper opens the possibility of research and conversation in regards to the current status of the theory on Mary. It is true that within the Korean church, belief in Mary is strong. For this reason, it is important to ensure that believers do not fall into the trap of idolizing Mary but retains their center focused on the Christ. There are cases within the Korean church these days where an overly excessive belief in Mary leads to the believer giving up on proper faith. This is not only a derailing from the original teachings of the faith but also a major obstacle with to the compatibility with the Protestant church and the Orthodox church. The belief in Mary certainly has an aspect of church compatibility. The respect towards Mary as the mother of God and a hope for Christians is along the same lines of the brothers of the Orthodox church. Believers of the Anglican church, too, have made efforts to establish the belief in Mary on a strong biblical foundation. Therefore a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faith in Mary and efforts for conversation is an important task that needs to be undertaken within Christianity. When the unique role of Mary is understood within the context of God’s plans for salvation, our faith will bear fruit. Whether the belief in Mary will become an obstacle to church compatibility or whether it will be a touching stone for church compatibility will depend on our open attitude and constant research as well as efforts.

      • 가톨릭 교회의 사회교리 원리에 관한 연구 : 교회의 사회적 가르침을 중심으로

        박영봉 대전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9631

        Nowadays humankind are faced with new age of the history. So many persons yet are suffering from starvation and poverty. And new type of social and psychological slavery is appeared. Also conflict of power with each other made extreme disruption. Violent strife occurred in the aspect of politics, society, economy, race, ideology. In these confused environment, the Church promulgated documents, encyclicals and synod statements as the catholic social justice teachings with using the Bible, Church father's teachings, rational principles in order to suggest the activity basis which affect human activity. The Church should accomplish triple subject-promulgation of the truth of human dignity and human right, indictment of unjust situation, participation of true human development and social positive variation in whole time and whole situation. When the Church accomplish these triple subject through social teachings, the Church embodies the kingdom of God correctly. In this viewpoint, this paper studied basic principles of social teaching and the principles about order of social teachings. The principle of catholic social teachings did not derive from a document systematically but are constructed through whole course of historic progress of social teachings. Basic principles of social teaching are consist of the principle of the human dignity and the principle of human rights. The principle of the human dignity is based on the belief which we are made in the image of God (Genesis 1, 27) and we are created to supernatural object transcending earthly life. As a rational and free being, and as a being with rights and responsibilities, the principle of the human dignity is a best principle of social teachings. The principle of human rights indicates that basic rights which whole human has as a inborn rights about life, freedom, equality should be respected because whole human is a "Imago Dei" meaning the image of God. In order that preservation and extension of human rights becomes evangelical evidence effectively and reliably, whole christian should make a common effort. The principles about order of social teachings are consist of the principle of the common good, the principle of solidarity, the principle of subsidiarity, the principle of participation, and the principle of universal purpose of material goods. The principles which induce and restrict social life are originated from human dignity, human right and sociality. The principle of the common good indicates that something is good to all. The common good is the sum of social life condition which need in order to achieve self-completion easily and sufficiently. When it is good in whole aspect such as, politics, economy, society, religion, that is common good. So to spot, common good is good not to individual but to all. Solidarity means interdependency, dependence to each other, solidarity with society of whole person, and reversion to person as a part of society. Primary, the principle of solidarity is a principle of existence derive from social essence of human directly. Because human is a social being, common responsibility, common duty of a person is not a problem of right action morally and personal approvement but a problem of recognition of relationship among communities. This principle is the rule of social existence and progression. Responsibility of solidarity is the responsibility accepting the others and the responsibility of christian love. Solidarity is a may to the peace and the development. Fruit of solidarity is peace. As a starting point, we consider two grounds. First, protection (self-existence)of person and little life community from unjust; interference of general social community. Second, "assistance to down from up." this is liable to ignore. The reason why the Church pay attention to apply this principle is that this principle is a respect of humanlike something in structure of social life and a respect of human dignity itself and that personal rights must be preserved between individual society and general society. Through the principle of participation, individual and society are supposed to develop quality of the life as such, when this principle apply social life, we can live positively and voluntarily. Because the principle of universal purpose of material goods is human inborn right and basic right which divide human and beast, material goods must be given according to human dignity and domestic necessity in order to satisfy right of the life. Created goods must be divided on the basis of justice with love fairly, abundantly. Because earthly goods are created for whole people, Those should be divided to whole people fairly. When the guide of social action which catholic social teaching teaches apply and practice, new evangelization comes true. That means respect of human dignity and realization of dialogue of inter-respect and struggle for justice and possession of social solidarity consciousness. Therefore, new evangelization is cultivation of necessary ability, strengthening of experience of earthly reality and christian belief, practice of love and charity through opening us to the grace of the Holy Spirit. In order to realize new evangelization, social teachings and christian practice should have communion, especially Church can judge and must judge politic action. Through this endeavour, Church social action should be a sign of existence of the kingdom of God through light of the gospel.

      • 사랑의 상징으로서 ‘육체’ : 아우구스티누스적 관점으로 바라본 회칙 DEUS CARITAS EST 5항

        오세정 대전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31

        This research attempts to present the concept of Body in the encyclical, DEUS CARITAS EST, written by the Pope Benedict XVI with religious philosophical perspective. Especially this research has focused on the concept of Body as a symbol, since the encyclical is based on the concept of Body as a ‘sacrament of Love.’ In other words, according to the title of this encyclical, if we can conceive of Body, then we can hold the concept of Love. On this standpoint, this research has evolved as follow. The first chapter has covered Pope's philosophical and theological background of thought. As a result, this chapter has proven that Augustine's ideas had inspired the Pope. The second chapter has analyzed the content and structure of this encyclical. First, through analysis of this encyclical's recipient that the Pope regarded Love as the most important gift from God which Catholic Church has preserve and should keep continually. After the structurally analyzed, we could have understood Pope's anthropology at a glance. In addition, through the investigation into the frequency of the used words that are associated with Body(corpus, caro) and Soul(anima, spiritus), it has been ascertained that 5th paragraph in the encyclical is the most noteworthy part in connection with subject of this research. The third chapter has been devoted to translating Latin text of the 5th paragraph into Korean and especially to commenting it depending on Augustine's ideas. In this way, it has been clearly revealed that neither Soul alone nor Body alone but a unified Person(persona) being composed of Body and Soul needs to purify for Love. Particularly, there is a way when we keep harmony, Soul and Body, having the priority of Soul and respect of Body, we can comprehend the Resurrection that the Catholic Church teaches as creed well. The fourth chapter has attempted to recover the correct position or the role of Body in Love. Prior to this, it has been defined that Body is the symbol indicating the presence and the activity of supernatural being. On the other hand, it has also confirmed that Body, the symbol indicating whole Person, closely has linked to the Resurrection of Body in the Catholic Church. And it has been devoted to reconsidering today's perspective of Body in Republic of Korea with the help of the previous researches dealing with actual life and understanding of sexuality in Korea. By this research, it has been suggested that Catholic Church has not neglected Body as a corruptible material, but rather from Augustine to the Pope Benedict XVI, Body has consistently been considered and taught as a symbol of whole Person, Resurrection, the presence of God and the integration of ‘eros and agape.’ This notion is the resolute teaching of the Catholic Church. In conclusion, Body is not a ‘lump of flesh’ for life but a ‘estimable symbol.’ The support of Body is essential until a human being fulfills his life. However, we should not forget that the support of Body itself is not the goal, to assistance in fulfillment of whole Person's life. 본 연구는 베네딕토 16세 교황의 회칙 DEUS CARITAS EST 를 종교철학적으로 헤아려 보려는 시도이다. 특별히 육체의 상징성에 주안점을 두었는데, 왜냐하면 상기 회칙의 근저에는 ‘사랑의 성사’로서 육체 개념이 자리하기 때문이다. 본 회칙의 제목에 의거하여 다시 말하자면, ‘올바른 육체관은 올바른 사랑관과 직결된다.’고 이해할 수 있겠다. 이 같은 관점에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먼저(Ⅰ장에서는) 교황의 철학적ㆍ신학적인 사상의 배경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아우구스티누스의 사상이 교황의 사상적 바탕을 이루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Ⅱ장에서는) ‘DEUS CARITAS EST 의 내용과 구조’를 분석했다. 우선 회칙의 수취인 분석을 통해 교황이 ‘사랑’을 가톨릭교회가 반드시 보존해야 할 하느님의 가장 중요한 선물로 여겼음을 알 수 있었다. 이어 구조 분석을 통해서 교황의 인간관을 한 눈에 알 수 있었다. 게다가 회칙에서 사용된 육체와 영혼에 관련된 단어의 사용빈도 분석을 통해 회칙의 5항이 본 연구의 주제와 관련하여 가장 주목해야 할 부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다음(Ⅲ장에서는) 회칙 5항의 라틴어 원문 번역과 특히 아우구스티누스의 관점을 따라 주석을 시도했다. 이를 통해 사랑의 정화를 위해서는 영혼만도 아니요, 육체만도 아닌, 이 두 가지가 결합된 ‘인격’개념이 요구된다는 사실이 분명하게 드러났다. 더욱이 이 인격 개념 안에서 영혼의 우위성을 보존하면서도 동시에 육체를 존중할 수 있는 길은 부활 개념과 직결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Ⅳ장에서는) 사랑에 있어 육체의 합당한 자리 혹은 역할을 모색하였다. 이에 앞서 육체는 보다 높은 초자연적인 존재가 자신이 현존․활동하고 있음을 알려주는 상징임을 밝혔다. 그러므로 그렇듯 한편으로 인격 전체를 대변하는 상징으로서 육체는 가톨릭교회의 ‘(육신)부활’과 긴밀한 관계에 놓여 있음도 잊지 않았다. 이때 다른 한편으로 현대 한국사회의 성(性)문화에 대한 일부 연구 성과물의 도움으로 오늘날 한국 사회의 육체관을 재고함으로써 현실감 있는 평가가 되도록 노력했다. 본 연구를 통해 가톨릭교회가 육체를 그저 경시해온 것은 아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오히려 아우구스티누스 이래로 베네딕토 16세 교황에 이르기까지 ‘육체’는 인격 전체, 부활, 하느님의 현존 그리고 ‘에로스와 아가페의 통합’의 상징으로 꾸준히 고려되고 또 가르쳐져 왔다. 이는 가톨릭교회의 ‘육체’에 대한, 나아가 ‘인간’에 대한 한결같은 가르침이다. 결론적으로 재언하자면, 육체는 이 세상에서 살아가는 동안 단순한 ‘살덩어리’가 아니라 존중되어야 할 상징이다. 한 인간으로서 삶을 완성시키는 그 날까지 육체의 도움은 긴요하다. 그러나 모든 도움이 항상 그러하듯이, 다만 그 자체를 위해서가 아니라 정작 도와야 할 한 인간의 완성된 삶을 위해 긴요하다는 점을 우리는 잊지 말아야 한다.

      • 한국 가톨릭 교회의 정치적 무관심에 대한 비판적 고찰

        이동식 대전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631

        한국 사회의 문제점은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다. 그 원인은 한국사회의 구조적 문제이며, 정치 공동체에 의해 형성되었다. 지금도 정치에 의해 형성된 사회구조 속에서 대다수의 가난한 사람들은 고통을 받고 있다. 교회는 사회의 복음화, 정치의 복음화란 측면을 생각할 때는 결코 정치에 무관심할 수 없으며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가그침대로 '비판적 정치참여'를 해야 한다. 이것은 '영혼 구원을 위해 정치질서에 윤리적 판단을 내리는'(「사목헌장」, 76항 참조) 구체적 모습이다. 하지만 사회정의 실현을 위한 '비판적 정치참여'를 함에 있어 큰 걸림돌이 있으니 바로 교회 안에 있는 정치적 무관심이 그것이다. 정치적 무관심이란 정치 공동체의 정당한 행위는 물론 불의한 행위에 대해서조차 관여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한국 교회의 정치적 무관심은 현대 사회적 현상이라는 점 이외에도 다음과 같은 원인들이 있다. 즉 한국 정치지도층의 의도, 현세불간섭주의, 정치무비판주의, 정교분리원칙에 대한 오도와 오해, 불이익을 당하지 않으려는 교회 수호주의, 균형 잃은 영성과 수도자적 영성에 대한 지나친 강조 등이다. 이런 현상은 정치부패의 근원이 되며, 불의한 정치에 의해 형성된 사회구조적 악에 대해 눈과 귀를 막게 한다. 따라서 한국교회의 정치적 무관심은 극복되어야 하는데 그 대안은 사목적인 측면과 영성적인 측면에서 제언해 볼 수 있다. 사목적인 측면에서는 사회교리 원리에 입각한 신자교육과 정치분야에 대한 진문인 양성, 정치에 의해 형성되고 조정되는 사회구조의 원리와 불의한 정치에 의해 형성된 한국사회의 구조적 악에 대해서 일반대중과 대화를 통해 고발·비판·선포하는 일, 사회정의 실현을 위해 일하는 단체가 활성화되도록 관심과 재정적 지원을 해 주는 일 등이 있다. 정치 참여에로의 인식변화를 위해서는 장기적 측면에서도 고려되어야 하는데, 그것은 사회정의구현을 위해 투신을 할 수 있도록 '내적 원동력'을 제공해주는 것이다. 바로 영성이 그 역할을 할 것이다. 실제로 한국 교회사 안에서 형성된 정치적 무관심은 '균형 있는 영성'의 부재(不在)에 윈인이 있다. 즉 교회와 사회를 이분법적으로 바라보는 영성관이나 사회와는 결별된 삶으로 비춰진 수도자적인 영성만을 사제나 평신도에게 강조하는 경향이 바로 그것이다. '균형 있는 영성'은 기도(관상)와 실천이 조화되는 것으로서 한 사회의 시대적 징표에 부합하는 시대적 영성의 특징을 지닌다. 그것은 바로 '예언자적 영성'으로 구체화시켜 볼 수 있다. 한국 사회의 '시대적 표징'인 사회의 구조적 불의에 대한 고발과 비판은 성서 예언자적 삶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정치적 무관심은 반드시 극복되어야 한다. 특히 교회 안에 있는 그것은 더욱 그렇다. 정치적 무관심은 정치 부패의 기반이 될 뿐 아니라 이미 형성된 사회 구조악으로부터 고통당하는 이웃 형제들의 아픔에 눈과 귀를 막는 것이기 때문이다 정치 공동체가 정의실현이나 공동선이라는 목적에 미치지 못한다고 해서 불의한 것으로 보고 관심을 가지지 않는 것은 교회의 정치 복음화에도 어긋나며 더욱 큰 불행과 고통을 다른 형제에게 지우는 것이다. The problem of Korean society is a phenomenon of "the rich-get-richer and the poor-get-poorer". The reason for this is the structural problem of Korean society which is formed by political groups. Today many poor people are suffering in this social structure formed by politics. In consideration of "Social Evangelization and Political Evangelization", the Church can not be in political apathy. Moreover according to the teaching of the 2nd Vatican Council, the Church must take part in politics by a critical method. This is a concrete appearance which "decides moral judgments in the political order for the salvation of souls" (Gaudium et Spes, Art. 76). But when the Church takes part in politics by a critical method for the realization of social justice, it is faced with a great obstacle, namely political apathy. It doesn't concern legitimate action of political groups or even illegitimate action. The political apathy of the Korean Church has some reasons which are modern social phenomena, that is: intention of political authority in Korea, world non-interventionism, political non-interventionism, misunderstanding about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church preservation which intends not to suffer any disadvantage, a balance losing spirituality and over-exaggeration of religious spirituality. These phenomena arc the origin of political corruption and show little concern for structural evil in society fanned by illegitimate politics. Therefore, political apathy in the Church must be overcome. We can suggest an alternative plan with a pastoral phase and a spiritual phase. In the pastoral phase, there should be expert cultivation about politics, education of the laity according to principles of social teaching, accusation, criticism and proclamation through dialogue with the general public about structural evil in Korean society formed by illegitimate politics and about the principle of a social structure which is formed and mediated by politics. Lastly there should be concern and financial support for groups which work for the realization of social justice. In the long- term phase for change of recognition of political participation in the realization of social justice, spirituality will play an important role. Actually, political apathy found in Korean Church history originated from an absent of a "Balancing Spirituality", so to speak, the view of spirituality which considers church and society a dichotomy and a religious spirituality which differs from Society as such. "Balancing Spirituality" is a harmony with prayer(meditation) and praxis(action) and it has the special quality of a "spirituality of the times" which coincides with "the sign of the times". This spirituality is able to take concrete shape in "Prophetic Spirituality". The accusation and criticism about social unjustice demands the prophetic life of the Bible. Political apathy must be overcome in the Church because it not only is a basis of political corruption but also a turning away from the agony of one's neighbor who suffers from social structural evil.

      • 추기경의 삶과 사상을 통해 바라본 베트남 교회의 오늘, 그리고 내일

        응우옌 반 판 대전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31

        Today Catholic Churches are facing in complicated social conditions. People gets more and more hopeless in this rapid changing social situation of extreme materialism and scientific development. It is not easy to avoid distress and suffering that is given in the daily life. Specially Vietnamese remains enormously difficult condition under the Communists. After became independent from France in 1954, Christians become free in their religious life in southern Vietnam while it was still suppressed under communist regime in northern. Since the reunification of northern and southern Vietnam in 1975 the religious suppressing was also begun in southern region. Catholic was specially mentioned by the Vietnam communist because they considered that the catholic would have any connection with disquieting imperialism of western countries. After became independent from France in 1954, Christians become free in their religious life in southern Vietnam while it was still suppressed under communist regime in northern. Since the reunification of northern and southern Vietnam in 1975 the religious suppressing was also begun in southern region. Catholic was specially mentioned by the Vietnam communist because they considered that the catholic would have any connection with disquieting imperialism of western countries. The constitution of Vietnam allows the religious freedom including the obligation of fully cooperation to regime. In terms of time the government's suppression to religious activity was decreased but the difficulties are still remained. Under this enormous communist regime Cardinal Nguyen Van Thuan Francis Xavier was jailed in a prison for 13 years. He never forgot the Hope at that time and continued to evangelize to his direct neighbors and the prison officers. This thesis studies life and thoughts of Cardinal Thuan. His whole life was consisted of the love, the humility, and the servant of the people. Whenever he was in childhood, seminarist, priest and bishop, imprisonment, and finally in the time of Rome, he tried to live with love and forgiveness simply according to the Gospel. Sometimes it seemed to be desperate but he never to give up the Hope and the continuous praying. Once he became so weak that he could not pray any more. At that moment he could say only a sentence “Oh God, I am here” and heard a low voice “I am here with you, too.” He experienced the presence of God. Cardinal Nguyen Van Thuan endured trusting to God his all sufferings. He did not want to avoid his suffering but stand against it. He considered of neither today nor tomorrow but of this very moment. He enabled to change the desperate situation to hopeful atmosphere. He changed enemies to friends and also suffering to peace. From now on Vietnam Catholic has to overcome from the facing dilemma via accepting the remaining suffering and changing it into hope as like Cardinal Nguyen Van Thuan did. Cardinal Nguyen Van Thuan said once that even if a word, a small gesture, and a phone call with a whole heart can change the situation. To love and to respect can bend the stubborn heart. In spite of that there still remains difficulties and sufferings even threaten ones life. Jesus was also crucified in order to show us the love and truth of God. In this very moment we all have to hope the power of redemption wherever we are. 현대인들은 희망을 잃어버리고 급속히 발전하는 과학과 물질만능의 사회 환경 속에서 그것을 따르며 살 수밖에 없는 처지에 있다. 복잡한 세상을 살아가는 현대인들은 매일, 매순간에 닥쳐오는 고통과 시련을 피할 수 없게 되었다. 베트남에서도 공산정권하에서 생활하고 있는 베트남인들은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별히 베트남 그리스도인들은 1954년 프랑스로부터 독립하고 남북이 분단되면서 남쪽은 자유로운 신앙생활을 할 수 있었지만 북쪽은 공산주의 치하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1975년 4월 30일 베트남이 통일 된 이후부터는 남쪽의 교회역시 많은 탄압을 받게 되었다. 가톨릭은 많은 종교들 중에서 제국주의와 신 식민주의와 결탁된 불온한 세력으로 인식되어 베트남 정부로부터 특별히 심한 탄압을 받았다. 그러나 베트남 헌법에는 ‘베트남 인민은 신앙의 자유를 향유하며 종교의 자유가 있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정부는 법률상으로 모든 신앙의 자유를 보장하고 있는 것이다. 종교단체는 절차상 베트남의 조국전선에 참가하고 정부와 당 정책에 협력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1997년 이후부터는 종교에 대한 탄압의 정도가 비교적 줄어들었으나 베트남에서 신앙생활을 하는데 아직도 많은 어려움이 남아있다. 이러한 공산정권하에서 응우옌 반 투안(Nguyễn Văn Thuận) 프란치스코 하비에르 추기경(이하 투안 추기경으로 표기)은 무려 13년 동안이나 긴 감옥생활을 하면서 수감자들과 교도관들에게도 복음을 전하는 등 단 한 순간도 희망을 잃지 않고 꿋꿋하게 신앙을 증거 하였다. 이 논문에서 투안 추기경의 삶과 사상을 연구하였다. 투안 추기경의 삶 전체가 사랑과 겸손, 봉사하는 삶으로 이루어져 있다. 어린 시절, 신학생시절, 사제와 주교시절, 수감생활 그리고 마지막으로 로마에서 세계교회를 위하여 봉사하던 시절, 그는 늘 단순하고 겸손한 마음으로 그리고 그리스도의 복음을 따라 사랑과 용서하는 마음으로 온 삶을 살았다. 투안 추기경은 또한 아무런 희망도 없어 보이는 절망적인 상황에서도 희망을 포기하지 않았다. 희망하는 삶은 기도와 깊은 신앙심으로부터 생겨나는 것이다. 기도는 그의 삶 자체였다. 육체적으로 허약해져 정신 집중이 잘 안 되고 이로 인하여 영적 메마름으로 치달았을 때 그는 매우 고통스러웠다. 고통스러운 그 순간에도 “하느님 저 여기 있습니다.”라는 화살기도를 드렸기에 예수님의 응답으로 “나도 너와 함께 여기 있다.” 라는 하느님 체험을 할 수 있었던 것이다. 투안 추기경은 사랑이신 하느님께 온전히 의탁하며 믿음과 희망으로 고통을 견디어냈다. 그는 고통을 피하지 않고 고통과 맞섰다. 또한 그는 미래를 기다리지 않았고 과거도 되돌아보지 않으면서 밝은 희망과 함께 지금 이 순간을 사랑하면서 살았다. 아울러 그는 가득한 사랑의 삶과 함께 자신이 처한 혹독한 환경마저도 기쁨으로 변화시킬 수 있었다. 원수를 친구로 변화시켰고 고통을 평화로 변화시킨 것이다. 베트남교회에 속한 각 개인이나 단체 그리고 교구는 투안 추기경을 본받아 베트남사회가 현재 겪고 있는 고통을 사랑으로 받아들이면서 하느님 사랑을 믿고 희망하여야 한다. 투안 추기경이 표현한 것처럼 ‘말 한마디, 손짓 한 번, 전화 한 번이라도 사랑하는 마음으로 표현한다면 주변의 환경을 변화시킬 수 있다.’ 사랑과 존중은 완고한 사람들의 마음까지도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럼에도 어려움과 고통은 항상 동반되기 마련이고 경우에 따라서는 목숨까지도 위협받을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사람이 되신 하느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께서도 인간들에게 하느님의 사랑과 진리를 알려주시기 위하여 고통을 당하시고 목숨까지 바치셨다. 그러므로 지금 이 순간을 사는 우리에게도 그러한 구원사업을 희망하는 권한이 주어져 있는 것이다.

      • 페미니즘을 통해 바라본 한국 가톨릭교회 내 여성문제에 대한 고찰

        김대주 대전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31

        Recently, there has been a problem of sexual violence against women in various parts of the Korean society, including politics, religion, art, and education. The widespread resistance to sexual violence, called ‘Me-too Movement’, reveals the male-centered hierarchical culture. The conservative position of the church on women's issues shows clearly that the Catholic Church is not free from male-centric culture. The Catholic Church stands on the foundation that all human beings are equal in accordance with the teachings of Jesus Christ. Over time, however, the Catholic Church has alienated women from the Church activities with rigid organizational culture and clericism. Most of the problems in the Catholic Church, such as 'sexual abuse by clergy', occurred under this structure. Having recognized the problem, this paper presented a general understanding of feminism and then examined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feminism through the history of feminism. This thesis also presented how socialization of fixed gender roles creates a patriarchal structure. Then the paper looked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ization of gender roles and women's problems. Lastly, I mentioned direction for solving of structural problems in the Korean Catholic Church. It based on Church documents on women. At the end, this paper also presented the issues of 'sexual abuse by clergy', 'abolition of abortion' and 'position and role of women in the Korean Catholic Church'. Through this process, this thesis suggests how “liberation theology”, called Feminist theology, can renew the church. Of course, the gap between feminism and the church cannot be ignored. Nevertheless, the Church should always be awake to this challenge, because the Spirit is always with us to make the church new. 최근 정치, 종교, 예술, 교육 분야 등 한국 사회 곳곳에서 여성에 대한 성폭력 문제가 불거지고 있다. ‘Me-too’라고 불리는 광범위한 성폭력에 대한 저항 현상은, ‘남성의 여성 지배’라는 남성 중심적 위계주의 문화를 적나라하게 드러내고 있다. 오늘날 사회가 제기하는 여성문제에 대한 교회의 보수적인 입장은 교회 또한 이 문화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는 것을 여실히 보여준다. 가톨릭 교회는 모든 인간은 평등하다는 기초 위에 서있다. 이는 예수 그리스도의 가르침에 따른 것이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교회는 경직된 조직문화와 성직주의로 교회 내 활동에서 여성을 소외시켰다. ‘사제 성폭력’과 같은 교회 내 문제들은 모두 이러한 구조 아래 발생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인식을 기초로 페미니즘의 일반적인 이해를 제시했다. 그 다음 페미니즘의 역사를 알아봄으로써 페미니즘의 배경과 목적을 살펴보았다. 이어서 고정된 남녀 성역할의 사회화가 어떻게 가부장제적인 구조를 만들어내는지 알아보았다. 다음으로 성역할의 사회화와 여성문제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교회 내 여성문제, 특히 구조적인 문제에 대해 다루며 교회문헌을 토대로 여성문제 해결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는데, 이를 위해 ‘사제 성폭력 문제’ ‘낙태죄 폐지’ ‘교회 내 여성의 위치와 역할’이라는 현안도 함께 다루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 논문은 여성신학이라는 해방을 지향하는 신학이 어떻게 교회를 쇄신할 수 있는지 방향을 제시했다. 물론, 페미니즘과 교회의 간극을 무시할 수는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회는 늘 이러한 도전에 깨어있어야 한다. 교회가 언제나 새로워지도록 성령께서 늘 함께하시기 때문이다.

      • 일본 가톨릭 교회사에 있어서의 포교보호권과 교황들의 칙서에 따른 수도회 사이의 갈등에 대한 고찰

        윤여옥 대전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631

        15-16세기는 포르투갈과 스페인 두 나라에 있어서 신대륙발견과 더불어 대항해시대(大航海時代)의 시작이기도 했다. 이들 두 나라가 신대륙을 발견하게 된 동기는 무역거래를 통해서 이익을 남기는 것도 있었지만, 동시에 이 이익금을 통한 그리스도교의 이슬람교 정복이라는 것도 있었다. 그러나 이 대항해시대(大航海時代)는 식민지정책의 시작이기도 했기에, 새 정복지에서의 신자들을 보살피기 위해서, 그리고 새로 발견한 정복지에서의 원주민에 대한 복음선교의 필요성을 느낀 교회당국은 포르투갈과 스페인 두 나라의 국왕에게 포교보호권(Jus Patronatus)의 권한을 줌으로써, 그리고 지역을 나누어 줌으로써 서로가 불화없이 그들의 경제적 도움에 힘입어 신자들의 영적생활의 유지와 원주민에 대한 복음선교를 행하고자 했다. 이러한 포교보호권(Jus Patronatus)은 점차적으로 식민지에서의 국가 관리들의 횡포와 이에 따른 피지배자인 원주민과의 갈등, 그리고 정치와 밀착된 삶에서 오는 선교사들의 갈등 등 많은 문제점을 빚기도 했다. 또한 포교보호권(Jus Patronatus)은 포르투갈과 스페인 이 두 나라의 왕에게 속해 있었던 관계로 선교사의 활동범위도 당연히 두 나라의 국토와 식민지와 무역국에 걸쳐 있었음으로, 아직 두 나라가 들어가지 않았으나 선교사가 먼저 들어간 곳에서, 특히 상업이 발달해 가는 와중에 있던 시대의 흐름을 고려해 볼 때 비식민화 된 나라에서의 선교사들의 충돌은 당연한 일이기도 했다. 이러한 시대적 여건 속에서 인도의 식민지에서의 국가관리들의 횡포와 윤리적 타락 등 문제점을 깨달은 포르투갈 왕은 교황에게 의뢰하여 이제 말 첫 발을 내딛고 있던 예수회를 포르투갈의 포교보호권(Jus Patronatus)속으로 불러들임으로써 예수회의 동양에서의 선교가 시작되었던 것이다. 그러한 가운데 프란치스코·하비에르 신부는 무역상인이던 알바레스와 그를 통해 알게 된 안지로(彌次郞)를 통해 이제까지의 식민지에서의 원주민들과는 다른 일본인을 알게 되고 안지로(彌次郞)를 통해 보여준 일본인의 지식욕(知識慾)에 이끌려 일본에 선교의 발을 들여놓게 되었다. 그러나 포르투갈의 식민지도 아니었고, 이미 전통종교와 한 언어를 사용하고 있었고, 동시에 중세에서 근세로 넘어가면서 전국시대(戰國時代)에서 통일국가를 형성하려고 하고 있던 일본에서의 선교는 예수회에게 이제까지와는 다른 선교방침이 요구되었고, 이로써 교황을 통한 예수회의 일본포교독점권(日本布敎獨占權)을 가져오게 하였다. 초기의 오다 노부나가(織用信長)의 도움과 프란치스코·하비에르 신부의 포교순응방침(布敎順應方針)을 이어받은 예수회 동인도 순찰사 알렉산더·바리냐노 신부의 정신을 바탕으로 교회의 발전은 별 무리가 없이 순조롭게 진행되었으나, 하극상에 의한 정치적 변화와 무역을 통해 부국강병책을 노린 국가 위정자들, 특히 도요토미 히데요시(臣秀吉)와 도쿠가와 이예야스(德用家康)는 포르투갈과 스페인의 포교보호권(Jus Patronatus)을 무시하게 되었고 또한 당시 지리상으로 명확하지 않던 일본에 대한 관계 때문에 탁발수도회의 일본진출이 시작되었고, 이는 다시 포교보호권(Jus Patronatus)을 둘러싼 교황칙서를 불러오게 하였다. 또한 이는 예수회의 일본 위정자와의 관계를 어렵게 만들었고, 동시에 예수회 내에서의 포교보호권(Jus Patronatus)을 뛰어넘은 스페인 출신의 선교사와 다른 국가의 선교사 사이의 간격을 벌려놓게도 하였다. 본 논문은 이러한 제반 여건 속에서 먼저 서론으로 일본에서의 그리스도교의 현대까지의 그리스도교의 흐름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고, 이어서 포교보호권(Jus Patronatus)의 기원과 동기에 대해서 살펴보고, 셋째로 당시의 일본의 시대적 흐름과 더불어 예수회의 동양포교에 이르게 된 동기와 포교보호권(Jus Patronatus)과 일본의 포교독점권(布敎獨占權)을 쥔 예수회의 일본포교에서의 위정자들의 관계와 더불어 일본포교를 위한 예수회의 방향, 그리고 일본인관(日本人觀)의 상이함에서 오는 예수회 내에서의 회원들의 갈등을 살펴보고, 넷째로 일본포교를 갈망하던 탁발수도회의 일본진출의 동기와 일본에서의 예수회와는 다른 포교방향을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예수회와 탁발수도회의 일본에서의 교황들의 칙서들에 따른 갈등과 예수회 내에서의 탁발수도회에 대한 입장에서 온 민족 간의 갈등 등을 살펴보며, 현 시대의 시각에서 당시의 일본 내에서의 포교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조명하고자 했다. 일본의 가톨릭 교회는 1549년 예수회 선교사 프란치스코·하비에르 신부가 가고시마(兒島)에 첫 발을 들여놓음으로써 씨가 뿌려지기 시작하였고 많은 선교사들의 노력에 의해서 그 씨는 뿌리를 내리고 성장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각 시대의 위정자들의 야심에 의해서 그 성장은 멈춘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그 뿌려진 씨앗은 250년이라는 긴 박해 속에서도 보이지 않았지만 줄기차게 성장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것이 긴 박해가 끝나던 1865년 나가사키(長)의 오오우라 천주당(大浦天主堂)에서 파리외방선교회의 프치쟝 신부와 우라카미(浦上)지역의 신자들과의 만남을 통해서 세상에 얼굴을 내밀게 되어 현재에 이르게 된 것이다. 선교는 예수 그리스도에 의해서 지상의 그리스도교 신자에게 내려진 사명이자 유언이기도 하다. 그러기에 이는 사제, 수도자, 평신도를 막론하고 모든 그리스도교 신자들이 각자의 처지 속에서 이 사명을 위해서 경주해야 할 것이다. 이제 일본은 그동안의 긴 박해와 군국주의(軍國主義)의 역경을 벗어나 국제화 시대에 발맞추어 시대적 여건에 부응하면서 발전을 향해 나아가고 있다. 특히 외국인 노동자들이 신자숫자의 반을 차지하고 있는 일본의 현실을 감안해 볼 때 무력으로가 아닌 그들의 안식처가 될 수 있는 교회의 모습으로 살아가기 위해서는 사목상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야기됨과 동시에 이를 일본 가톨릭 사제들과 수도자들과 신자들은 힘을 합쳐 노력과 연구를 거듭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논문이 각 수도회와 선교회가 영합해 있으며 동시에 세계국제화에 따라 많은 나라에서 저마다의 풍습과 습관을 바탕으로 살아오고 있는 일본이라는 땅의 그리스도교 복음화를 위한 노력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In 15 16 centuries, it was new era to develop new land and sailing for Spain and Portugal. "The motivation to develop the new land was profit through trade and also conquering Islam through the profit. However, the colonial policy was started in this sailing era. In the new colonies, the head office of the church gave an authority (Jus Patronatus) to the kings of Spain and Portugal for missionary work in the new colonies without trouble. These " Jus Patronatus " had gradually caused many problems due to oppression of government officials, frictions with the natives at the colonials and troubles for missionaries because of close subservience with political issues. The Kings of Spain and Portugal had the authority on the Jus Patronatus, therefore, the missionary work was related to the colonials of bath countries and their trading countries. Considering business development at the moment, the missionaries had trouble with their missionary activity in the non colonial countries. In this age, the king of Portugal had understood the problems of the oppression fron government officials and their depravity in the colony of "India". The king requested the Pope to subordinate the Society of Jesus to their jus Patronatus. Therefore, the missionary work of the Society was started the oriental country. At that moment, Father "Francisco Xavier" had known a Japanese by the name of "Angero" through Alvares io was a business man. Francisco Xavier started missionary work in japan with high expectations of the Japanese converting to Catholicism. However, Japan was not a colony of Portugal and had her traditional religion and own language. Japan was also in a state of transition to become a unified country at that moment. Therefore, the Society of Jesus needed a different way for its missionary work in Japan. The king of Portugal got the Jus Monopoly in Japan from the Pope. In the early stage, the development of the church went smoothly due to the spirit of Father Francisco Xavier and his successor Father Valignano, Inspector of Eastern India. However, politicians such as Tiyotomy Hideyoshi and Tokugawa Iyeyasu disregarded the Jus Patronatus of Spain and Portugal. Medicans started to launch missionary activities into Japan due to geographically unclear relation with Japan. This led up to the Breve of the Pope because of the Jus Patronatus, and it deteriorated the relationship with Japanese politicians. Moreover, it poiso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mbers of the Society of Jesus along the line of their countries of origin. In this paper, under these situations the development of the Catholic Church up to present time will be briefly considered in the introduction. Then, the origin and motivation of the ins Patronatus, the Jus Monopoly in Japan will be mentioned. In the third part, the motivation for the missionary work of the Society of Jesus in the oriental countries, ti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ety of Jesus and Japanese politicians, as we 1 as internal problems of the Society of Jesus will be discussed. In the fourth Var. the motivation of the Medicans advance in Japan, and the difference of missionary orientation between Midicans and the Society of Jesus will be covered. Lastly, the frictions between Midicans and the Society Jesus due to the Breve of the Pope, and the position of the Society of Jesus towards Midicans will be considered. Also the problems related to the missionary work at that time will be highlighted. The Catholic faith in Japan was initially seeded by Francisco Xavier, missionary, into Kagoshima prefecture, Japan in 1549 and has been grow up by many missionaries afterwards. However, it looked like it had been stopped from time to time, because of politicians. It had been maintained alive but concealed under persecution for 250 years. It came out to the attention of the world due to meeting of Christians from Uragami with Father Petitjean form Paris Missionary Society at Uoura Catholic Church located in Nagasaki up to the present Catholic Church in Japan. The propagation of the Gospel, according to Jesus' last will, is an appointed task bestowed upon every Christian. Therefore, everybody has to do its best, to meet this mission. The Church in Japan has overcome severe persecutions and militarism and is actually trying to adjust to internationalism. Half of the faithful are foreign workers. The Church, as a Mother, has the responsibility to greet all those new members in her womb. In order to do so, every catholic (priests, brothers, sisters and laity) must work together to find new solutions to build a new Church, house for all. If this research could help in an humble way the missionaries from various backgrounds and foreign workers living in Japan to open a new pastoral path, I would be rewar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