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기업협력을 위한 공연예술단체의 마케팅 전략 연구

        신용창 단국대학교 대중문화예술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703

        2011년 현재 국내에서 활동하고 있는 예술단체들은 약 4천여 개에 달하고 있으며 해마다 공연장, 전시장 등의 문화예술 인프라와 문화산업콘텐츠의 수가 꾸준히 증가하는 반면, 국내외 경기의 지속적인 침체와 문화예술 관련 수요, 즉, 문화향유층이 주요 선진국에 비해 매우 제한적이어서 공연예술 시장의 경쟁은 날로 치열해 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재정적인 면이나 조직력에서 열세에 놓여 있는 많은 중소규모 예술단체들의 경쟁력은 더욱 악화될 수밖에 없으며, 재정 안정성을 보장받지 못하는 단체들이 양질의 예술작품을 반복적으로 창조해 내는 데는 큰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연구자는 본 논문에서 중소규모 예술단체들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마케팅 전략의 일환으로 기업협력 사업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내고 기업과의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주제의 접근에 있어서는 마케팅 분야의 특성상 국내외 연구 자료와 사례들을 토대로 하되, 기업과 예술단체들과의 협력 사례를 위주로 연구하는 실증적인 방법으로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기업의 조직문화와 기업이 추구하는 협력 사업의 방향 및 목적성에 대한 이해를 도와 예술단체들이 기업협력 사업 추진 시 보다 효율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본 논문을 통해 예술단체들이 기업협력 사업을 점진적으로 확대해 나가고 기업수요라는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여 개개 단체의 재정의 안정성을 통한 지속적인 예술작품의 순환 창조는 물론이고 공연예술 시장 전반에 있어 대중화를 촉진시키고 안정적인 수요 창출을 통하여 시장의 규모를 확대해 나갈 수 있도록 바라는 바이다. Whileas private group or firms based on arts and performance are estimated at 4,000 in nation in 2011 and infrastructures on culture and arts such as theatres and exhibition halls and their contents are steadily increased, worldwide economic situation is still in recession as well as demand for the arts and performance market is very limited comparing with the developed countries, which means the competition in the market could be more and more intensified. Those group which has weakness in financial or organizational aspects may lose there competitiveness, and they could encounter big difficulties in repeatedly creating their new articles. The researcher is going to make process in marketing strategies for the successful business cooperation and communications with business partners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the group. The approach is based on the researches and cases of both domestic and overseas materials due to the specialty of the marketing field, but mostly is oriented on such cases as cooperation between the business partners and the group. Furthermore, understandings for the organizational cultures of the companies, directions and purposes of their pursuing cooperative models for arts and performance are considered to help plan more efficient strategies. Circulated creation of new articles on financial stabilities can facilitate the popularization of the whole market of the arts and performance by gradually developing a new market of business demand and by increasing the possibilities of business cooperation. The researcher finally hope that each group who makes business on arts and performance should increase their competitiveness in successfully constructing long-term business relations with their business partners, and the scale of the industry should be expectedly extended through this paper.

      • 소외계층의 문화예술 향유권 확대를 위한 재원확보 방안 연구 : 개인 기부를 통한 재원확보 방안을 중심으로

        김성연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0703

        This study considers that the right to enjoy culture and arts of the underprivileged should be guaranteed in terms of fundamental rights and for this it objects for securing finances by promoting individual contribution since stable and continuative cultural support is difficult relying on national treasury. South Korea's intensified gap between the rich and poor due to economic polarization affected on inequality of enjoying culture and arts also as global positioning and attention on culture and art gets increased, cultural deficiency of the underprivileged are relatively getting worse. The right to enjoy culture and arts are essential elements of the human rights and it should be guaranteed as the fundamental rights. Cultural deficiency of underprivileged are not only affecting on enjoying culture, but also affects on developing own interests prior to participate in cultural and arts activity. And this could cause narrow based on popular preference which is easy and getatable. In terms of simple supply and demand, unpopular culture and arts can be easily lag behind, thus to transmit culture and arts traditions for future generations and to be creatively developed, there should be a political support for the underprivileged to enjoy culture and arts and this could form social equity. The present government which established in February this year, selected 'culture prosperity' as one of the four government administration basis, and settled 'secure 2% of cultural finances', 'ravel the culture gap' as a subject. But in addition to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large scale of exigent budget projects for public welfare, stabilization and welfare in each divisions are increasing, thus diverse financing besides national treasury are demanded. In case of western welfare states, while on the economic recession, non profit organizations substituted the role of government and financial resources for this were provided by spontaneous contributions from privates. Assessing actual condition of South Korea's current donations based on taxation materials for income tax deduction application, private donations show higher portion than corporations donations, however most of donations are converged to a religious groups and social welfare organs rather than culture and arts organizations. Thus, I suggested the following as the measures to promote individual contributions for expanding right to enjoy culture and arts for underprivileged. Firstly, substitute labor costs by activating talent donation which induces voluntary participation of privates, and establish the national matching system by producing regional manpower pool for practical using. Secondly, reinforce the benefits of donation by taxation policy supporting and intensified incentives for donors. Thirdly, publicize the advantages of donation by searching model cases and establishing the public benefit donation brand. Fourth, activate crowd funding which is able to donate a small sum of money by a large number of people, and reinforce online service to make individuals easy and comfortable of donation by establishing donation portal website which can search the designated donation for culture and arts organization. Lastly,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beneficiary organization is enhancing the management of contributions and procure transparency for obtaining the trust. Also introduce the concept of marketing service and thoroughly administrate the donors to avoid a one-off donation for individuals and at national level, endeavor is needed to procure transparency by supporting periodic consulting to the cultural and arts organization. Embrace the underprivileged and produce the cultures together from the participation of nation by themselves gratifies concept of 'Culture' itself, and by collaborating with government policies this could lead to the culture prosperity. 본 연구는 소외계층 대상의 문화예술 향유권이 기본권의 측면에서 보장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 국고에 의존해서는 안정적이고 계속적인 문화재정 지원이 어렵다는 점에 착안하여 개인 기부를 촉진하여 재원을 확보하는 방법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우리나라의 경제적 양극화로 인한 빈부격차 심화는 문화예술 향유에 있어서도 불평등을 초래하였고,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국제적 위상이 높아질수록 소외계층의 문화적 결핍은 상대적으로 심화되고 있다. 문화예술 향유권은 인권의 주요 요소이며, 기본권으로서 보장되어야 한다. 소외계층의 문화적 결핍은 문화 향유의 영역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문화예술활동 참여 이전에 취향을 계발할 기회마저 누리지 못하게 되어, 쉽고 접근하기 편한 대중적인 선호로의 쏠림 현상을 초래할 수 있다. 단순한 수요공급의 측면에서 보면 대중적 인기가 부족한 문화예술분야는 도태되기 쉬우므로, 문화예술 전통이 후대에 전달되고 창조적으로 발전해 나가기 위해서는, 소외계층도 문화예술 향유권을 누려 사회적 형평성을 이룰 수 있도록 정책적 뒷받침이 되어야 한다. 올해 2월에 출범한 현 정부는 4대 국정기조 중의 하나로 ‘문화융성’을 정했고, 과제로 ‘문화재정 2% 확보’, ‘문화격차 해소’ 등을 설정했다. 하지만 문화체육관광부 이외에도 각 부서들의 민생, 안정, 복지에 대한 대규모 시급예산 사업들은 점차 늘어가고 있어, 국고 이외의 재원확보의 다양화 방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서구의 복지국가들은 경기침체 중에도 복지제도를 유지하기 위해 비영리조직이 등장하여 정부의 역할을 대신하였고, 이 재원은 민간의 자발적 기부를 통해 마련되었다. 우리나라의 현재 기부 실태는 소득공제를 신청한 세무자료를 기준으로 개인의 기부금액이 기업의 기부금액보다 높은 비율로 나타나고 있지만, 기부처가 종교단체나 사회복지 분야로 몰려있어 문화예술단체에 대한 기부는 미비한 수준이다. 이에, 소외계층의 문화향유권 확대를 위한 개인기부 촉진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민간의 자율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재능기부를 활성화시켜 인건비를 대체하고 지역별 인력풀(Manpower Pool)을 만들어 전국 매칭 시스템을 구축하여 활용한다. 둘째, 조세정책을 통한 지원과 기부자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여 기부에 대한 혜택을 강화한다. 셋째, 기부 모범사례를 발굴하고 공익 기부 브랜드를 제정하여 기부에 대한 편익을 홍보한다. 넷째, 다수의 시민들이 소액으로도 기부할 수 있는 크라우드 펀딩(Crowd Funding)을 활성화하고, 기부 포털 사이트를 구축하여 문화예술 지정기부금 단체를 분야별로 검색할 수 있는 등 개인들이 쉽고 편하게 기부 할 수 있도록 온라인서비스를 강화하는 방법이다.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점은 기부 수혜단체가 기부금 관리를 강화하여 신뢰를 얻기 위한 투명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개인들의 기부가 일회성으로 그치지 않도록 마케팅서비스를 개념을 도입하여 기부자에 대한 관리를 철저히 하고, 정부 차원에서도 문화예술단체에 대해 컨설팅을 주기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투명성을 확보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국민 스스로의 참여를 통해 소외계층을 감싸 안고 함께 문화를 만들어 가며 누리는 것이야말로 ‘문화’의 개념 그 자체에 부응하며, 정부 정책과 맞닿은 문화융성으로 가는 길이 될 것이다.

      • 복합 문화예술 공간으로서 폐교의 활용방안 연구 : KT&G상상마당 논산 사례를 중심으로

        조혜림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703

        In 1999, based on the legislation of the act called A Special Law for the Encouragement for the Use of Assets of Closed Schools and its enforcement ordinance, the momentum for a variety of uses of the assets of closed schools was initiated. It has been reinforced by the recent amendment that changed the suggested use of a closed school to a cultural space from the exclusive use as educational space. Many local and regional governments in Korea have developed various plans for "the creative use of closed schools" in their areas recognizing that it could be an efficient solution to the request of cultural enjoyment, social welfare and educational inspiration from their own residents. The redefinition of the closed schools as a cultural facility from the limited conception for the educational and social welfare and the revision on the authority entitled to manage the assets of a closed school enabled us to assess the potential of its redevelopmen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mense possibility for closed schools as a multi-cultural complex where there are various arts disciplines in one spot by looking into some cases that illustrate a distinctive space composition and programming strategies. My point is that the "mixed-use strategy" for the use of the closed schools deserves to be examined; the complex may include social, economic and leisure related contents as well as cultural activities, by which the space itself would become the core living space for its regional life. By containing a wide variety of programs such as cultural creation, exhibition, participation by the people, education, day-to-day living space, and local community center in one complex, a closed school will be redeveloped as a multi-cultural center. Such a center will provide the residents with the possibility to enjoy themselves in one complex without going somewhere outside the region meanwhile encouraging them to participate in many programs that the center offers. The comprehensive use of the space contributes to the quality life for the local residents. To illustrate, the major expectations for the center from visitors fall into the following three realms: cultural activities in the field of performance arts and visual arts; educational programs and an archive information system; offerings of space for meetings and film screenings. However, it is not enough to satisfy the constituents to take only the above mentioned cultural programs. What I point out is that the facilities and programs for leisure and entertainment should be included for the public. In this respect, I tried to find out more potential for the redevelopment of closed schools by doing some research on the case of KT&G Sangsangmadang, Nonsan. Sangsangmadang Nonsan used to be an elementary school called Hancheon elementary school, and it was established as "suburban cultural space" as part of the efforts for the creation of the social value and improvement of local infrastructure by the KT&G. By providing the community-oriented education and the opportunities for participation, Sangsangmadang Nonsan positions itself as an essential venue for the creative education while increasing more platforms for domestic artists. The ultimate goal of the complex, therefore, is a unique cultural complex where the people enjoy culture breathing in the nature. As a good example of a multi-cultural complex, KT&G Sangsangmadang Nonsan offers cultural space to the public, supports various cultural disciplines, which contributes to the enhancement of the positive corporate image with the regional cultural prosperity. In conclusion, a multi-cultural complex may broaden its perspective by taking the 'mixed-use' strategy as the cultural hub for a region; That is to say that by taking the strategy of containing various programs of exhibition, education, and leisure as well as performing arts, closed schools could be redeveloped as a cultural complex with a new concept and vision. 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a multi-cultural complex established at the corporate level may prove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ies, which contributes to the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s among the people and the relevant company. 1999년 제정된 ‘폐교재산 활용촉진을 위한 특별법’과 ‘폐교재산의 활용촉진을 위한 특별법 시행령’이 실시됨으로 폐교자산을 다양한 용도로 재활용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마련되었다. 또한 최근 개정된 법령을 보면, 본래 ’교육 공간‘으로 제한되어 있던 권장 활용 용도의 형태에 ’문화 공간‘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확대된 바 있다. 최근 들어 지방자치단체들은 문화공간으로서의 폐교 활용이 주민의 문화향유나 복지 및 교육적 측면에서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인식하고 이미 많은 폐교를 활용하기 위한 계획을 활발히 추진하고 있으며, 기존의 ‘교육용 시설, 사회복지시설’의 용도에서 ‘문화시설’로 활용할 수 있도록 규정한 것과 ‘폐교재산을 시․도 교육감에 권한을 이양한다’ 등을 포함한 개정된 법령으로 폐교 활용에 대한 가능성을 열어두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폐교가 가지는 특성을 고려하여 성공적인 지역문화공간으로 발전하기 위한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 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복합 문화예술 공간이 단일화된 성격의 공간이 아닌 지역 내에서의 문화예술 공간인 동시에 사회, 경제, 여가 활동 공간 등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지역 내에서 중요한 생활 중심공간으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보여진다. 이러한 관점에서 KT&G의 상상마당 논산의 폐교활용 사례는 사회적 책임의 일환으로 부족한 문화예술 공간운영과 문화예술프로그램을 통해 새로운 문화가치 창출, 기업의 긍정적 이미지를 확립할 수 있게 될 것이다. KT&G상상마당 논산 사례를 통해 복합 문화예술 공간은 새로운 문화예술이 창조되는 공간으로 공연 뿐 아니라 전시, 교육, 휴식 기능 등의 다양한 문화적 기능을 포괄하는 문화예술 공간으로서 소비자와 기업의 이익뿐만 아니라 지역의 문화발전과 문화예술분야의 발전을 위한 공간으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폐교재산의 문화예술 공간 활용에 있어 단일문화 프로그램을 특성화 하여 지속성을 유지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복합문화공간으로서 창작․전시․체험․교육․생활문화 공간․지역 커뮤니티 센터의 역할 등 다양한 활동들을 한 곳의 장소에서 손쉽게 즐길 수 있고 참여할 수 있어 풍요로운 삶을 살아갈 수 있는 밑거름이 될 수 있는 새로운 면모를 갖춘 공간으로 자리 잡을 수 있기를 바란다. 하나의 문화공간이 건립되어 안정적 운영과 특색을 견지하기 위해서는, 운영기반조성에 보편적으로 2년 이상의 기간이 소요된다. 다만, 복합 문화예술 공간 사례로 KT&G상상마당 논산이 운영시스템의 안정과 지역민을 위한 공간을 넘어 도시와 지역의 연결, 도시민의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는 방법과 연구가 아직 미비하지만, 개관을 하고 4개월이 된 KT&G상상마당 논산으로 한정하여 연구한 것은 새로운 문화공간으로서 발전 가능성에 대한 관점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목적과 방향은 폐교활용에 있어 문화공간에 대한 좀 더 다양한 연구가 지속되길 기대하며 문화예술의 대안적, 새로운 형식의 공간으로 발전가능성을 지속시키고자 함에 있다.

      • 북한이탈 예술인의 남한사회 적응실태와 지원방안 연구

        조은혜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703

        분단이후 남북한은 각기 체제에 부응하는 문화체제를 유지 발전시켜 왔다. 남한은 자본주의 문화를, 북한은 주체형 사회주의 문화를 형성하여 왔다. 북한의 문화예술은 예술의 본질적 가치보다는 체제유지의 정치적 의의에 그 가치를 두었고, 북한의 예술인은 당의 선전선동의 앞잡이로서 최선두에서 활동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북한은 유능한 예술인을 키워내기 시작했고, 당의 신임을 얻은 예술인은 사회적․경제적으로 혜택을 받으며 살 수 있었다. 그러나 1990년 중후반 ‘고난의 행군’이 시작되면서 북한예술인들의 배급도 모두 끊기게 되었다. 배고픔과 체제에 대한 불신이 생기면서 그들 또한 탈북하여 남한으로 입국하였다. 북한이탈주민정착지원시설인 하나원은 탈북하여 들어온 이들에게 정착금지원, 체제적응교육, 심리안정프로그램, 취업진로 교육 등을 통해 남한사회에 정착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하지만 북한이탈주민의 재북시 직업을 고려하지 않고 일괄적 교육․지원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정부는 북한이탈 예술인이 비록 소수이기는 하나 특별히 구분하여 교육시킴으로써 남한에서 예술 활동을 하며 정착해 살아갈 수 있도록 장려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이들은 향후 남북한 문화통합의 가교 역할을 할 중요한 인적 자원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정부가 북한이탈 예술인을 지원해야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북한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예술 활동과 대중문화는 북한문화예술의 핵심부에 있던 이들을 통해 만들어지고 전달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남한사람들은 이들을 통해서 미리 북한문화예술을 접할 수 있다. 그리고 북한이탈 예술인이 남한사회에서 적응하는 과정을 통해 남북한 문화예술이 부딪쳤을 때 발생하는 문제점도 미리 찾아볼 수 있다. 하지만 북한이탈 예술인은 문화가 다른 남한사회에서 그들이 가지고 있는 예술적 재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일반 북한이탈주민들과 같이 예술과 전혀 관계없는 일에 종사하고 있다. 그리고 예술분야에 종사하더라도 그중 일부는 아르바이트를 겸하여 예술 활동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북한이탈 예술인이 향후 남북한 문화예술통합에 중요한 인적자원임 고려하여, 이들이 가지고 있는 문화예술 재능을 살리기 위한 지원방안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북한에서 받은 왜곡된 교육과 사상을 재교육할 수 있는 교육적 지원, 둘째, 남북한 예술인들이 만남을 통해 서로의 문화를 알리고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남북한 예술인 협력 작업 지원, 셋째, 남북한 문화예술의 공통점을 찾아나가며 통일문화를 연구할 수 있는 연구개발 지원, 넷째, 정부․비정부기구․기업의 공조를 통한 재정지원 등을 제시한다. 따라서 정부는 북한이탈 예술인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남한사회에서 예술인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체계적인 정책을 제정함으로써 이들이 통일문화의 가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할 것이다. After the division of North and South Korea, each side has been developing the arts according to their system, South Korea for their Capitalistic culture and North Korea for their Juche Socialistic culture. The arts in North Korea focus more on political hegemony in order to justify their social system rather than the essential value of art itself. Therefore artists of North Korea have had to be the forerunners for advertising the political system as a voice of the Labor party. With this background, North Korea has nourished competent artists and these artists who attained trust from the party could comparatively live a well-off life both economically and socially. However when the “March of Suffering” begun after the middle of the 1990s, the distribution system was cut off, even for the middle class, and the artists group as well suffered from the ceased distribution. This in turn led some artists to escape North Korea and come to South Korea. “Hanawon”, which is the government aid center for North Korean refugees to live in South Korea, helps North Korean refugees with financial aid, social adjustment programs, mental stability counseling, as well as, job counseling in order for them to live well in South Korea. Yet these are still support systems which work en bloc without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former careers that the refugees used to have in North Korea. Therefore, the government needs to sectionalize the refugee artist group, even though they are a comparative minority among refugees, and give them a fitful education so that they would be able to use their artistic ability in South Korean society. In the end, these artists would be a valuable resource for the cultural unificat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when unification happens in the future. In relation to that, the purpose of why the government should support this artistic group of North Korean refugees is clear; this group produced most of the public artistic activities and popular culture in the center of North Korean culture. Therefore, this specific group can give to South Korea, not only what North Korean culture looks like but also beforehand experiences of the possible conflicts that might arise when these two cultures embrace each other. Unfortunately, this valuable group mostly works in areas of South Korea where their artistic talents are not used instead just working in the same fields as other normal refugees. Even though some have managed to work in artistic areas, they still must take part time jobs in order to support themselves financially. Here are suggestions of how to support and preserve the artistic ability of North Korean artist refugees who will be a valuable human resource for cultural unificat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First of all, educational support that can re-adjust any distorted education or ideology they received through the closed society of North Korea. Secondly, the support of co-operational works between the refugee group and South Korean artists in order for them to embrace each other’s culture and receive help from each other to foster understanding. Thirdly, supporting for studies of common characteristic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as well as developing cultures of when both countries united. Finally, suggesting financial aid created by cooperate working of both governmental and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Government should solve actively problems of North Korean artist group as well s opening doors for them to live as artists in South Korea as well, so that they may be expected as bridge makers of two different cultures.

      • 문화예술소비가 전업주부의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진영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703

        우리나라도 이제 소비문화라는 용어가 전혀 낯설지 않게 될 만큼 우리 사회를 지배하고 있다. 현대 사회에서의 소비활동이란 자신을 타인과 분류하고 사회적 차이화를 이루는 과정 속에서 정체성을 표현하는 행위이다. 즉 내가 소비하는 것과 타인이 소비하는 것의 차이가 정체성을 나타내고 있다는 이야기가 되는 것이다. 정체성은 더 이상 개인의 내재적인 측면이 아니며 외적으로 표출되어 남들과 비교될 때 그 위치를 찾는다. 가사노동자이지만 노동의 가치와 대가를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전업주부들의 정체성은 개인적으로도 사회적으로도 매우 낮게 평가되고 있다. 전업주부는 현대 사회에서 문화소외계층을 논할 때 새롭게 등장하고 있을 뿐 아니라 정체성 측면에서 특유의 혼란을 보이고 있는 집단이다. 특히 결혼한 지 10년 이상의 전업주부들은 모성 정체성과 개인적 정체성 사이에서 끊임없이 갈등하며 불안한 생애주기적 시기를 보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전업주부들의 심리적 불만족 양상에 주목하고, 문화예술소비를 통해 얻은 혜택들이 전업주부들의 자아정체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분석해보고자 한다. 문화예술을 소비한다는 것은 그 사람의 문화적, 지적 수준을 나타내주는 가치로 어떤 문화적 취향을 가지고 있는지에 따라 그 사람의 경제적, 문화적, 사회적 자본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연구대상의 범위는 생애주기 상 자아정체감에 혼란을 느끼는 시기인 결혼 10년 차 이상의 전업주부로 한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문화예술소비가 전업주부의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의 연구를 통해 문화예술의 새로운 향유자로서의 전업주부의 가치를 제고하는 것에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 아마추어 예술단체의 지원 활성화 방안 : 주5일 수업제 변화에 따른 지원을 중심으로

        김선영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703

        최근 2012년 주5일 수업제를 전면 시행하게 되면서 자기 주도적 학습력․창의성을 중시하는 새로운 학력관의 대두로 다양한 체험활동을 제공할 필요성이 커지고, 건전한 여가문화 정립을 위한 주40시간 근무제 확대 시행으로 부모와 자녀가 함께 할 수 있는 주5일 수업제 시행에 대한 요구가 높아졌다. 주5일 근무제의 실시 확대와 소득의 향상 등에 따라 활용 가능한 여가시간이 많아지고, 주말을 이용한 청소년의 올바른 여가활동의 중요성이 커지고, 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이 절실해 짐에 따라 여가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하는 것이 가정-학교-지역사회를 중심으로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이에 따른 정형성 보단, 자발적인 선택에 의해서 시작되는 아마추어 예술단체의 활성화가 개개인의 삶에, 더 나아가 가정과 그 지역 사회에 풍요로운 문화적 향유를 차별 없이, 누구나 누릴 수 있는 사회가 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아마추어 예술단체의 새로운 역할을 제시 한다. 일상 속 문화향유 기회 확대, 지역을 중심으로 한 시민참여 유도를 위한 각 지자체와 아마추어 예술단체의 연계 프로그램 운영, 아마추어 예술동아리 활성화와 문화 나눔 활동 사업을 통해 시민들의 생활 가까이에서 다양한 장르의 공연을 즐길 수 있도록 아마추어 예술단체에 대한 공연활동에 지원이 활발히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주 5일 수업제가 전면 시행됨에 따라 지역 공공기관과 아마추어 예술단체들이 서로 연계하여 청소년들이 토요일을 알차고 유익하게 보낼 수 있도록 문화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올바른 여가 문화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적극적인 지원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세계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시민 스스로의 자발적 예술 활동의 흐름을 맞춰 최근 전면적으로 실시된 주5일 수업제 변화에 따른 생활 속 문화예술 활동인 아마추어 예술단체의 지원 활성화 방안에 대해 논의 하였다. 문화정책 지원이 특성화 되고, 각 지역 지자체의 공공지원이 아마추어 예술단체를 통해 활발히 이루어질 때, 국민의 문화 향유능력을 향상시키고 더불어 어릴 적부터 행해지는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문화체험 학습과, 문화향유는 개개인의 삶을 풍요롭게 하여 삶의 질 또한 향상시킬 것이다. Ⅶ장에서 논의한 방안들이 좀 더 구체화되어 아마추어 예술 활동에 있어서 문화저변의 확대가 이루어지길 바란다. Recently from 2012, the 5-day school week system has been implemented nationwide, and a new view of education valu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reativity has appeared. Now there is more necessity to provide activities allowing learners to have various experiences, and with the extended implementation of the 40-hour work week system, there is also more demand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5-day school week system to establish sound leisure culture, too, which provides more time for both parents and children to enjoy together. Along with the extended implementation of the 5-day work week system and the increase of income, people come to have more free time to use, and now it is more important for teenagers to use their weekends with desirable leisure activities. And as the necessity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is getting greater, how to use free time is now regarded as a crucial factor at home-school-local community. Therefore, rather than typicality, it would be more desirable to activate amateur arts groups initiated by voluntary choices. In this way, we can make the society where not just individuals but families and local communities, too, can enjoy rich culture with no discrimination. This article suggests new roles to amateur arts groups. First, it is needed to increase the opportunities to enjoy culture in daily life and also operate the programs connecting each local autonomous entity and amateur arts groups in order to induce the participation of citizens centering around the region. Also, it is necessary to support amateur arts groups’ performing activities positively through the activation of amateur arts clubs and the culture share projects so that citizens can enjoy various genres of performances near at hand. Along with the general implementation of the 5-day school week system, it is needed to develop culture programs which teenagers can enjoy usefully and valuably on Saturdays through the connection between local public institutions and amateur arts groups and also provide systematic and positive support constantly so that they can conduct desirable leisure and culture activities. This study discussed the methods to activate support for amateur arts groups, the culture and arts activities in daily life, according to the recent general implementation of the 5-day school week system following the flow of global expansion of voluntary art activities conducted by citizens themselves. When support for culture policy is specialized and public support by each local autonomous entity is activated for amateur arts groups, people’s ability to enjoy culture will be enhanced, and also, the learning from cultural experience and cultural enjoyment through culture and arts education they get from childhood will richen each individual’s life and improve their life quality. By concretizing the methods discussed in Chapter Ⅶ further, the extension of cultural foundation will be able to be realized in amateur art activities.

      • 언택트 문화 확산으로 인한 시각예술분야 온라인 향후 기반 변화와 모색방향

        김영신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703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뉴미디어 매체의 등장에 따라 시각예술 분야는 온라인 기반으로 비대면 서비스를 점진적으로 확장 해왔다. 이로 인해 시각예술분야에서는 향유방식 및 유통을 온라인 기반으로 옮기며 변화에 대비하고 있었다. 하지만 올해 2020년 3월부터 코로나 19 바이러스에 의한 언택트 문화 확산으로 인해 비대면 서비스에 대한 필요성이 절대적으로 부각 되면서 예상보다 빠르고 급격하게 업계 전체의 변화를 겪었다. 본 연구는 언택트 문화 확산으로 인한 시각예술의 국내 온라인 기반 변화를 살펴보고 모색하고자 한다. ‘언택트’란 ‘접촉하다’라는 의미를 가진 ‘Contact’에 부정의 의미를 담은 접두사 ‘Un-‘을 합성한 ‘비대면’ ‘비접촉’ 의미를 지진 신조어로써 기존과 다르게 일상에서 대면으로 이뤄진 모든 현상이 비대면으로 전환되며 하나의 새로운 문화현상이 되었다. 이에 따른 사례 분석을 위해 시각예술 기관, 정책, 민간 사례로 나누어 온라인 기반 변화를 살펴 보았고 향후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인한 활동제약으로 비대면 시각예술 분야 활성화 방안은 다음과 같이 모색했다. 첫째, 새로운 시각예술 콘텐츠 개발에 대한 지원 및 시도가 이루어져야 한다. 공익 또는 홍보 목적 무료 콘텐츠가 주로 이루어져 있는 상황이라 사업체 및 민간 차원에서의 시각예술 콘텐츠 개발을 위한 지원이 있어야 한다. 두번째, 온라인 기초로 대중을 상대하는 유통기반 구축이 필요하다. 고가 미술품 거래 가능한 일부 영역 외로 유통기반이 미비한 상황이다. 비대면 향유방식의 또다른 형태로 좀 더 다양한 계층에서 시각예술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온라인 유통기반 구축이 필요하다. 셋째, 온라인 창작 및 유통을 위한 신기술 교육, 신직업군 육성, 기술기반 창업 등의 정부 지원 강화가 필요하다. 시각예술 분야 종사자와 기업의 기술 역량 및 관련 경험이 부족하여 비대면 환경에 대응할 준비가 미흡한 상황이기에 민간 치원의 지원보다 정부의 지원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상황이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비대면 시각예술 향유 기반이 온라인으로 확대되어 시각예술 분야 성장의 토양 마련이 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 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으며 향후 활발한 후속 연구를 기대한다.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and the emergence of new media afte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visual arts have gradually expanded non-face-to-face services based on online. Because of this, a field of visual arts prepared for the changes in appreciation methods and distribution to online platform. Under the circumstances, in 2020, the industry experienced a rapid change since the necessity of non-face-to-face services was required due to the wide spread of covid-19 in March, 2020.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changes in visual arts based on domestic online because of the expansion of untack culture. As "untact" is the new word which consists of un (a prefix meaning "negative") + "contact" and means non-contact, it has become one of new cultural phenomenons that all daily activities are changed from contact to non-contact. For analyzing a case study under the circumstances, the changes in an online platform were examined by dividing visual art organizations, policies, and private cases and this study attempted to seek the activation plan for a field of non-contact visual arts due to the restriction of activity caused by the covid19 situation. The results are shown below. First, supports and attempts to develop new visual arts contents should be conducted. Since free contents focusing on public interest or advertisement are dominated, supports to develop visual arts contents should be conducted in terms of companies and private interests.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distribution bases for the public based on online. Behind certain fields that can deal a high-priced piece of art, distribution bases are not sufficien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online distribution bases in order to increase the accessibility of visual arts in various classes as other types of non-contact appreciation methods. Third, government supports for new technology education, new occupations, startup companies, etc. are required in order to create online and distribution. As visual arts personnel and companies fail to prepare to meet non-contact environment due to the lack of the technological capacities and experiences, government supports is absolutely critical in comparison with private supports. Thus,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suggested the plans that make a contribution to the growth of a field of visual arts by expanding the fundament to appreciate non-contact visual arts on online and further studies are expected.

      • 문화예술분야 사회적 기업 실태 및 발전방안 연구 : 한국공연예술분야 사회적 기업을 중심으로

        이수민 단국대학교 대중문화예술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는 문화예술인에 대한 고용불안정 해결과 경제적 지원을 위한 한 방안으로 사회적 기업을 제시하고 문화예술분야 사회적 기업의 실태분석 및 발전방안 고찰에 목적을 두고 외국의 성공사례와 국내의 성공사례를 통해 사회적 기업 발전 방안에 관하여 연구를 하였다.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법, 제도, 지원방안 및 발전방안과 사회적 기업을 전반적으로 분석한 선행연구는 있었으나 공연예술 분야만을 집중적으로 다룬 선행연구는 없는 것으로 나타나 연구범위를 공연예술 분야로 한정하였다. 연구문제로 사회적 기업의 개념 및 일반현황을 살펴보고 국내 문화예술부문 사회적 기업의 현황 및 공연예술분야의 사회적 기업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외국의 공연예술분야 사회적 기업 사례와 국내의 공연예술분야 사회적 기업 사례를 분석하여 발전방안에 관해 논의하였다. 영국, 미국, 일본의 성공적인 공연예술분야 사회적 기업의 사례 통해 많은 시사점을 도출 할 수 있었다. 외국의 경우 국가마다 사회적 기업을 구체적으로 정의하는 것은 다르지만, 상업부분, 공공부문 등 넓은 사회경제적 활동에 통합되는 경향과 조직형태의 유연성과 다양성을 가지고 있다. 영국은 정책 관심사항에 따라 다양한 사회적 기업이 존재하고 있으며, 복지민영화 방식으로 정부의 개입을 최소화하고, 영리기업 활동을 통해 취약계층을 지원하고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법적, 제도적 지원이 체계적이고 포괄적이었다. 미국은 자율성 및 독립성과 사회적 기업가 정신을 강조하며 자원봉사자들의 역할이 크게 두드러졌다. 일본은 시민사회와 사회적 경제를 토대로 사회적 기업이 발달하였기 때문에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NPO, 시민, 민간기업 사이에 네트워크가 매우 긴밀하고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사회적 기업과 관련된 직접적인 정책과정에 NPO들이 관여하고 있다. 국내의 문화예술분야 사회적 기업의 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공연예술분야 사회적 기업은 인증시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한 수치화와 이를 위한 증빙의 어려움 등으로 인하여 다른 분야 사회적 기업과 비교하여 성장세가 약한 것으로 파악되었고 인증후에도 인력수급이나 재정악화로 인하여 인증반납이나 사회적 기업을 폐업하는 사례들도 생기는 등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 지속경영 어려움의 이유로는 정부보조금에 대한 지나친 의존, 사회적 기업 정책 초기부터 제기된 예술의 사회적 가치 실현 증빙의 어려움, 상품 및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장이 부족, 인증기관의 전문성 부족, 인증 후 관리·감독의 비체계성, 근무환경에 공연예술 특성 미반영 등으로 분석할 수 있었다. 외국 공연예술분야 사회적 기업 성공사례와 한국의 공연예술분야 사회적 기업의 실태와 성공사례를 총체적으로 분석한 결과 발전방안을 3가지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연예술분야 사회적 기업 환경의 개선, 둘째 공연예술분야 사회적 기업 경영인들의 역량개발, 셋째 공연예술분야 사회적 기업 사회자원 및 네트워크 강화이다. 이를 통하여 정부주도의 직접지원에 안주할 것이 아니라 경제적·사회적으로 질적 성장을 이루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research suggests a social enterprise as one of the solutions for employment instability of artists and the economic supports for them, and studies the development plan for social enterprises in culture and art based on successful cases of foreign and domestic enterprises for analysis of their status and consideration of development plan for them. There are precedent researches generally analyzing law, system, support plan, development plan, and social enterprises; however, there is no precedent research focusing on performing arts. Thus, this research restricts its range to performing arts. It also examines the concept and present condition of social enterprises and understands the present condition of social enterprises in Korean culture and art and the status of social enterprises in performing arts for its subject. Finally, this research analyzes the cases of social enterprises in both foreign and domestic performing arts to discuss about the development plans. The successful cases of social enterprises in British, American, and Japanese performing arts lead various implications for this research. Each country has different definitions for the social enterprises; there are also similarities such as a tendency to integrate with greater social and economic activities including commercial sector and public sector, and flexibility and diversity in organization form. In Britain, there are not only various social enterprises due to the interest of policy but also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legal and institutional supports such as minimization of governmental intervention by welfare privatization, and support and social welfare service for vulnerable social group by activities of commercial enterprises. In US, autonomy, independence, and spirit of social enterprise are emphasized, and the role of volunteers is remarkable. In Japan, the development of social enterprises based on the civil society and social economy brings intimate and organic network between government, local government, NPO, citizen, and private enterprise, therefore, NPOs are involved in the direct policy process relevant to social enterprises based on the network. The number of domestic social enterprises has been constantly increased; however, it is difficult to digitize and verify the realization of social values for certification of domestic social enterprises in performing arts, and it leads them to grow slower than the other social enterprises in different areas. Furthermore, they still suffer from the return of certification or closure by manpower supply and demand or financial problems even after certification. The reasons for difficulties in maintenance of business are heavy reliance on government subsidies, difficulties in verification of social value realization which has been discussed even since the police was announced, lack of market for products and service. shortage of professionalism in certificate authority, unsystematic administration and supervision after certification, and no application of characteristics of performing arts in working environment. Overall analysis on successful cases of foreign and domestic social enterprises in performing arts and status of domestic social enterprises in performing arts leads 3 development plans: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for social enterprises in performing arts, the competence improvement of managers of social enterprises in art, and the enhancement of social resource and network for social enterprises in performing arts. The enterprises will refuse to settle for the direct support of government and economically and socially the achieve qualitative development through those plans.

      • 대중문화예술산업 이해관계자의 계약요인 인식 비교 연구 : AHP 방법론을 기반으로

        백보현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703

        대중문화예술산업은 한류를 탄생시킨 주역으로서 우리나라의 사회적, 경제적 발전에 큰 기여를 해왔다. 그 결과 국내 대중문화예술산업의 시장 규모는 5조 원을 돌파하였다(문화체육관광부, 2017). 그러나 화려한 외연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대중문화예술산업에는 어두운 면이 공존한다. 산업적 영향력이 있는 대중문화예술기획업자가 산업적 영향력이 약한 대중문화예술인을 상대로 불공정 계약 체결, 계약 불이행, 금지행위 알선 등 불법적 행위를 지속하여 불공정한 산업 구조가 형성된 것이다(윤애경, 2007; 이승희, 2009; 이우석, 2010; 이재목, 2011; 한국콘텐츠진흥원, 2016). 이에 국가 차원에서 대중문화예술산업 이해관계자가 동등한 입장에서 공정하게 계약을 체결하고, 성실한 태도로 계약을 이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하여 「대중문화예술산업발전법」이 시행되고 있으며, 공정거래위원회에서는 표준전속계약서를 공시하여 건강한 생태계가 형성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대중문화예술산업발전법」에 포함된 사항은 이해관계자가 계약을 체결하고 이행하는 과정에서 서로 명확히 합의하기 어려운 언어적 한계가 있으며, 표준전속계약서의 활용은 강제가 아닌 선택 사항이기 때문에 여전히 계약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대중문화예술산업 이해관계자의 합리적 관계 유지를 위해 계약요인에 대한 상호 간의 인식 차이를 비교 분석하여 효율적인 조직문화를 제시하는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중문화예술인과 대중문화예술기획업자 간 계약의 체결과 이행 과정에서 갈등이 발생하는 근본적인 지점을 파악하기 위하여 심리적 계약이론(psychological contract)을 적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1]에서는 전문가 심층인터뷰를 토대로 선행연구에서 도출한 일반 산업의 심리적 계약요인을 대중문화예술산업에 맞게 수정 및 추가하였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 2개의 상위요인, 6개의 중위요인, 28개의 하위요인이 확정되었다. [연구 2]에서는 대중문화예술인 16명과 대중문화예술기획업자 15명에게 쌍대비교 설문을 실시하고 응답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중문화예술기획업자의 상위범주는 거래적 계약과 관계적 계약이 비슷한 비율인 반면, 대중문화예술인의 경우 압도적으로 관계적 계약을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계약요인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과정에서 이해관계자 간에 인식 차이가 발생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갖는다. 첫째, 본 연구는 학술적 연구가 부족했던 대중문화예술산업의 조직문화에 대한 기초연구를 진행하였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갖는다. 둘째, 본 연구는 심리적 계약의 구성요인을 도출하는 탐색적 연구를 실시하여 대중문화예술산업의 특성에 맞게 수정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를 가진다. 셋째, 대중문화예술인과 대중문화예술기획업자 간 계약요인의 인식 차이를 비교분석하고 이를 해석했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가진다. 대중문화예술산업의 핵심 이해관계자는 대중문화예술인과 그들을 지원하는 대중문화예술기획업자이다. 이들 간에 공정한 거래 문화가 형성될 때 우리나라 대중문화예술산업이 더욱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 결과가 대중문화예술산업 이해관계자 간에 건강한 계약문화 조성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opular culture and arts industry is the driving force that gave birth to the Korean Wave, and has since made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the social and economic growth in Korea. The size of the domestic popular culture and arts industry has exceeded 5 trillion won (4.2 billion US dollars) (Korea Culture & Tourism Institute, 2015). However, despite the brilliance of its apparent growth, the industry also has a dark side. Operators in the industry have continued unscrupulous activities against pop culture artists, thus creating an iniquitous structure. These include unfair contracts, non-fulfillment of contract terms, and involvement in shady practices (A.G. Yun, 2007; S.H. Lee, 2009; W.S. Lee, 2010; J.M. Lee, 2010;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2016). Accordingly, the Popular Culture and Art Industry Development Law has been implemented on the national level to ensure the fair signing and fulfillment of contracts based on good faith. The Fair Trade Commission is also making efforts to create a healthy ecosystem by publishing a standard exclusive contract form. However, contract issues continue to arise due to the linguistic limitations of provisions within the law, which make it difficult for parties to reach a clear agreement in the process of signing and executing contracts, and also because the use of the standard exclusive contract form is voluntary rather than compulsory. In order to help parties execute contract terms in a reasonable manner in the popular culture and arts industry, there is an urgent need for research that examines differences between contractual terms perceived by different parties, thus providing a healthier business culture. As such,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by scrutinizing the psychological contract factors to determine the fundamental areas where conflict occurs in the process of signing and executing contracts between popular culture artists and their agents. Using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Study 1] modified and added to the standard psychological contractual terms derived from previous studies to fit the popular culture and arts industry. As a result, two higher-level factors, six intermediate factors, and 28 subordinate factors were ultimately determined. [Study 2] conducted a pairwise comparison survey with 16 popular culture artists and 15 agents,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eir responses. The results confirmed that while transactional contracts and relational contracts among the agents had a similar proportion, the artists overwhelmingly considered relational contracts as more important. The present study ha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this study is meaningful academically as it conducted an exploratory study by deriving the factors comprising psychological contracts and modified them to fit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pular culture and arts industry. Second,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carried out a foundational research on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industry which had not been examined academically so far. Third, the study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erceptual differences in contractual factors between popular culture artists and their agents, and interpreted these differences. The core pillars of the popular culture and arts industry are the popular culture artists and the agents who support them. Korea’s popular culture and arts industry will be able to grow only when a fair transactional culture is established between these entities. Accordingly,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a healthy contractual culture between the stakeholders in the industry.

      •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의 전문성 개선방안 연구 : 생활스포츠지도사와 평생교육사 자격제도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현희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703

        국민들의 여가시간과 문화 향유에 대한 욕구가 증가됨에 따라 평범한 일상에서 예술이 놀이, 교육 등으로 다양하게 일상 속에 스며들고 있다. 이에 따라 국가에서도 다양한 문화공간의 확충과 예술 프로그램의 개발로 예술교육과 문화향유, 생활하면서 즐기는 예술로 변화하고 있으며 문화예술교육사의 역할이 중요해졌다.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 도입은 2011년 12월 문화예술교육지원법 시행령이 개정됨에 따라 시행되었고 2012년 문화예술교육지원법의 개정 및 시행규칙의 제정을 통해 2013년부터 예술 강사의 지원, 전문성과 역량을 갖춘 국가 공인 자격으로 인증한 문화예술교육사를 현장인력으로 투입하는 제도를 시행했다. 본 연구는 국가공인자격증인 문화예술교육사와 생활스포츠지도사, 평생교육사 자격제도를 비교, 분석하여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의 한계점을 도출하여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의 전문성에 대한 발전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진행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사의 자격요건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문헌자료와 법령을 조사하여 문화예술교육사와 생활스포츠지도사, 평생교육사 자격제도의 이론적 개념을 이해하고 자격제도, 교육과정, 활용현황 및 배치를 비교하여 문화예술교육사의 전문성에 중점을 맞추어 발전방안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의 전문성에 관한 개선방안을 연구하는데 목적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 하였다. 첫째, 문화예술교육사의 자격요건에서 비전공자의 예술에 대한 이해와 교육자의 자격유무를 판단 할 수 있는 뚜렷한 자격조건이 있어야 한다. 둘째, 문화예술교육사의 전문성을 높일 수 있는 자격제도를 개선해야 하고 경력을 조회 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 되어야 한다. 셋째,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의 등급에 해당하는 교육과정에서 성적기준과 평균성적의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 넷째, 문화예술교육사의 현장실습 강화와 실습의 시수를 늘리고 연계되는 지정기관을 지정하여 기관의 실습지도사의 지도로 현장실습이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의무배치기관을 명확하게 규정하여 안정적인 취업연계에 대한 구체적인 보장이 이루어진 양질의 교육을 담당 할 수 있도록 자격증과 취업이 연계되어야 한다. 여섯째, 문화예술교육사 신분보장을 위하여 정규직 전환에 대한 계획이 제시되어야 한다. 일곱째, 문화예술교육사의 다양한 연수체제를 마련하여야 한다. 본 연구가 향후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의 전문성 개선 방향 및 정책적 방안 수립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되어 보다 전문성이 있는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가 조성되고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As the number of people who desire to enjoy leisure time and appreciate cultures increase, arts, as forms of amusement, education, and so on, permeates into our daily life. Therefore, due to the expanding of cultural spaces and development of art programs, arts education and cultural appreciation, and arts which people enjoy in their daily lives have been changed and the roles of culture & art educators become important. The teaching artists certificate system was introduced as the enforcement ordinance of Support for Arts and Culture Education Act was revised in December, 2011 and after Support for Arts and Culture Education Act and the enforcement regulations were revised, the system that culture & art educators certified by government and qualified to support art instructors and satisfy professionalism started to work has been enforced since 2013. This study attempted to seek the improvement plans for the professionalism of the qualification system of culture & art educators, drawing the limitation of the qualification system of culture & art educators after comparing and analyzing the qualification system of culture & art educators, daily sports Instructors and lifelong educators. In order to do that, this study researched literature materials and legislations by focusing on the qualifications and educational courses for culture & art educators, tried to understand the theoretical conception of the qualification systems for culture & art educators, daily sports Instructors and lifelong educators, compared the qualification systems, educational courses, applicable situations and arrangement, and, eventually, discussed the improvement plans along with the professionalism of culture & art educators. This study concluded the results shown below, aiming to examine the improvement plans for the professionalism of the qualification systems for culture & art educators. First, the qualification requirements should include the clear qualifying conditions that measure the understanding of arts for non-majors and determine the qualification of educators. Second, the systems which can develop the professionalism of culture & art educators should be developed and the system that can check the careers should be established. Third, the standards for performance and average performance during the educational courses equivalent to the grades of the qualifications for culture & art educators should be prepared. Fourth, the work experience and practical exercises for culture & art educators should be increased and practical training should be conducted under the guidance of work instructors by assigning an appropriate institute. Five, the certificates and jobs should be associated in order to assure stable job opportunities and provide a high-quality education by regulating mandatory placement organizations. Six, the plan to become permanent positions should be suggested to secure a person's position. Seven, various training systems for culture & art educators should be prepared.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establish the qualification systems for culture & art educators with professionalism by providing necessary fundamental materials to establish the development of the professionalism of the certificates and policy plans for culture & art educa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