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정지용 후기시에 나타난 주체의 실존의식 연구

        이수민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Jeong Jiyong’s later poems b y ‘the subject’ and ‘the existential consciousness of the subject’. This s tudy examined ‘the existential consciousness of subject’ with ‘Christianit y’ that can be involved in his later poems. Because Jeong Jiyong’s wor ld of poetry concerning religion is a basic factor in his later poems as well as his middle period poems. By elucidating the internal consciousn ess of the subject, Jeong Jiyong’s later poems have significance overco ming his middle period poems that was valued low as the notion poe m. Therefore the study of later poems needs an investigation by elucid ating ‘the subject’ that shows anxiety and pain. The internal consciousness of the subject can be explained by exami ning the aspect of feeling which is directly seen from the subject. The subject in later poems shows the allusion to his internal consciousness which is anxiety and pain. This is being contrary to the frontal appear ance of the object in his early poems. And the theme of nature which appeared in the later poems also shows the consciousness of anxiety a nd pain like the subject. The theme of nature don’t appear as the repr esentation of the object. Thus both the subject and theme of nature ap pear an impression of anxiety and pain. To elucidate the internal consciousness of the subject, this study is assisted the concept of the existential consciousness from Søren Aabye Kierkegaard. Since Søren Aabye Kierkegaard’s concept of ‘religion exis tence’ is to understand the subject of religion, it is applied to study th e subject and the religion of Jeong Jiyong’s later poems. The aspect of subject expressing his internal consciousness could be explainable as a process of the existential awareness. The awareness of life’s limitednes s and eternity has caused by the subject owing to the religion existen ce. Thus the religion existence means the pursuit of the existence of God while the subject has the feeling of anxiety and pain. And the existential consciousness described through the matter of de ath in Jeong Jiyong’s later poems. The fact that the death is immanen t in life enlarges the weight of the existential awareness to the subjec t. The matter of death in later poems appeared by another person’s de ath. Another person is a similar characteristic with the subject in later poems. And the subject is in existence as an observer. By showing th e death of another person who has a similar characteristic with the su bject, Jeong Jiyong’s later poems has questioned the existence of death over the biological death to existent. The significance of later poems could be investigated by seeking for meaning to Jeong Jiyong’s composition of poems. Jeong Jiyong’s later poems were composed at the last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m. The impoverished era of Japanese imperialism made Jeong Jiyong to have t he being way and to compose later poems as the existential awarenes s. It could be earnestly request to Jeong Jiyong who is a sincere religious man. As the existence comes into question concerning the life and actu ality, the significance of later poems in its day is soliciting the existen ce to Jeong Jiyong who had the thoroughgoing self consciousness as a poet. 이 논문의 목적은 정지용의 후기시에 나타난 ‘주체’를 통해 ‘주체의 실존의식 양상’을 고찰하는 것이다. 논의 진행에 있어 이 논문이 중점을 둔 것은 후기시에 내포되어 있을 시인의 ‘신앙’과 ‘주체의 실존의식’을 함께 밝히는 작업이었다. 정지용의 시에서 신앙과 관련된 시의식은 종교시편으로 분류되는 중기시에서만이 아니라, 후시기에서도 기본적 요소가 되는 것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주체의 내면 의식에 관한 해명은 정지용의 중기시를 신앙심을 표출하는 데 치중한 관념시로 평가한 기존의 논의를 넘어서 종교성에 관련된 후기시가 지니는 의의를 찾을 수 있도록 할 것이다. 따라서 후기시 연구에는 ‘주체’를 통해 불안과 고통의 의식이 드러난데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주체의 내면의식은 시에서 주체를 통해 직접적으로 표출되는 양상을 살펴볼 때 해명될 수 있다. 후기시에서 주체는 직접 전면에 나타나 내면의 불안과 고통의 의식을 직접 발화하는 양태를 보인다. 이는 정지용의 초기시에서 대상들만이 시의 전면에 드러난 것과 상반된다. 또한, 후기시에서 대상 제재로 등장하는 산수 자연도 단순히 외부 대상에 대한 재현으로 시에 등장하는 것이 아니라 주체와 함께 불안과 고통의 의식을 나타낸다. 정지용의 후기시에서 주체의 내면의식을 해명하는데 도움을 얻고자 이 논문은 키에르케고르의 실존철학 개념을 방법론으로 활용했다. 키에르케고르의 ‘종교적 실존’ 논의가 신앙 안에서 이루어지는 종교적 주체 이해에 중점을 두고 있기에, 정지용 후기시의 주체와 신앙 그리고 실존의식을 함께 고찰하는데 활용되었다. 주체가 신과의 절대적인 관계를 맺고 있음을 보증해 주듯 신성한 관계의 표현 방식으로서 주체에게 불안 의식과 고통은 자리한다는 것이 종교적 실존이다. 후기시의 주체가 일련의 고백과도 유사하게 자신의 내면을 표출하는 양상은 종교적 실존 자각의 도정으로 해명될 수 있었다. 후기시의 주체가 유한성과 무한성을 자각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은 종교적 실존이 존재하는 양식을 문제시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종교적 실존은 해소되지 않는 불안과 고뇌를 지니는 동시에 자기 자신의 바깥에 초월하는 존재를 추구하는 뜻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후기시에서 실존의식은 죽음의 문제를 통해 형상화되기도 한다. 삶 속에 죽음이 언제나 내재한다는 사실은 주체의 실존 자각에 무게를 더한다. 후기시에서 죽음의 문제는 관찰자의 위치에 있는 주체가 타자의 죽음을 통해 ‘나’의 소멸을 예견해보는 과정을 거치도록 한다. 현존재에게 직접적인 경험 밖의 사건이 될 수밖에 없는 죽음의 문제를 주체의 자기반영적 타자를 통해 드러냄으로써, 정지용의 후기시는 생물학적 현상을 넘어 죽음의 존재 그 자체에 관해 질문하는 것이다. 후기시의 의의는 정지용이 후기시를 詩作할 당시에 가졌을 詩作의 의미를 찾아야 규명될 수 있었다. 시인이 詩作을 이루던 당시 일제 말의 피폐한 실제 현실은 더욱 시인으로 하여금 자신의 존재하는 양식을 문제시했을 것이기 때문이었다. 실존이 세상 속에 인간이 처해진 세상과 현실을 문제로 하듯 자신이 시인이라는 데 대한 투철한 자각을 지녀온 시인 정지용에게 있어 후기시의 詩作이 가지고 있는 의미는 시인에게 간구한 실존이었다고 할 수 있다.

      • 질적 메타분석을 통한 어머니의 사교육 실천의 장-아비투스 탐색

        이수민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paper studies the structural reasons why the shadow education increases despite of political endeavors to reduce it in Korea. To reveal the structural reasons of shadow education, methodologically, I used qualitative meta-synthesis which synthesize the findings of qualitative research which analyze the discourses of practical subjects. A pilot study from 11 qualitative studies on shadow education reveals that the structures are structured in habitus of mother, the practical subject. Credentialism habitus is ungendered, motherhood habitus is gendered but unclassified and middle-class-full-time-mother habitus is gendered and classified. Each habitus explains particular practices of shadow education. The pilot study also reveals the relationships between mothers, mother and their children, mother and father. These relationships imply the shadow education ‘field’ which include habitus. Therefore Bourdieu’s concept of habitus and field were used theoretically based on results of the pilot study. Through a thematic synthesis from 30 qualitative reports, 6 main themes were identified as follows: (ⅰ) stakes, (ⅱ) doxa, (ⅲ) capitals, (ⅳ) positions, (ⅴ) relationships, (ⅵ) subjectivity. These themes construct the concept of the Bourdieu’s‘field’. Therefore the ‘shadow education field’ can be discussed based on the synthetic results. The synthetic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takes of shadow education field were credentials(Hakbul). Second, the doxa of shadow educational field is mothers’practice of shadow education. That is from capitalism, credentialism, famlism, patriarchism. Third, the capitals of shadow educational field were unique and various. Shadow education field convert time into capital. Middle-class-full-time mother with time and money takes good position for their children’s Hakbul, the stakes of the shadow education field. Fourth, there are various positions depend on mothers’ capitals. The best position for Hakbul is taken by upper-class-full-time mother with time and economic capitals. Mothers are unlimitedly classified by their capitals. Daechi-dong-mother, Mok-dong-mother, Gangbuk-mother, Suseong-gu-mother is a new class in Korean Society. Fifth, Mother compete each other for their children’s Hakbul which alienate the children. But middle-class-full-time-mother spending money on education are subjected to father who makes the money. The present synthesis suggest the mother’s practice of shadow education in Korea is very structural. Mother’s practice of shadow education is restrained to shadow education field. The present synthesis explains reproduction of mothers’ practice of shadow education which is doxa of shadow education field. To resolve these structural problems, political endeavors cannot be restricted to the education policies.

      • 헤어아트 기법을 적용한 업사이클 헤어장신구 개발

        이수민 영산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paper is on developing up-cycle hair accessory by applying hair art technique. Applying concept of up-cycle in the field of hair design is in accord with the purpose of 'sustainability development/SD,' becoming global topic now and suitable for minimizing the sense of difference. Nevertheless, we think that academic study of up-cycle on hair beauty is not theoretically organized, compared to active study of other fields. Therefore, the researcher decides that there is a need for study, analyzes the traditional manufacturing technique of hair art, and organizes the terms and consequent concepts. It is to make a systematic and theoretical establishment in the hair art technique by that, and it proves empirically via built theoretical establishment. For theoretical method of study, it finds out hair art in terms of aesthetic viewpoints up to now from environmental view, and for empirical method of study, it classifies by presentation technique and technology trend, deducted from the precedent study and analyzes it in accordance with time sequential flow. In addition, researcher assorts it as total of eleven items; blending and spraying, combing and spreading, unfolding and collecting, sewing, tying, drying and hardening, compressing, winding, wrapping, bending, mixing and blending, based on operational continuity and artistic connection among presentation techniques via stated above analysis of precedent study. We have suggested manufacturing technique of up-cycle hair art design through the deducted technique, and there is a difficulty in manufacturing the desired works for using each manufacturing technique exclusively when producing design work of up-cycle hair art using scrap hair. Based on primary techniques, it produced works of manufacturing technique as minimum form of hybrid. The result of study is as follows; as a result of analyzing technology trend by presentation technique in the precedent study related to traditional hair art, it could confirm that there are feather, mask, natural object, marble, timber, soil, metal, and paper, etc. including scrap hair, for used materials in hair art. Also, it was mainstream to have formative forms among various objets such as metal, mask, feather, timber, mirror, alginate, paper, acrylic, metal, and waste, etc. in the early hair art, and it checked that flow of change is formed for formative forms to have practicality like hair picturesque forms which applied scrap to canvas and accessory, as it passes back. In particular, we have analyzed that frequency of use in presentation technique such as cutting, combing, dyeing, winding, blending, spraying, attaching, bending, twisting, braiding, spreading, stacking, drawing, tying, and wrapping is the highest, as scrap hair is utilized as main material. By analyzing the stated-above precedent study, it assorts again as eleven techniques; blending and spraying, combing and spreading, unfolding and collecting, sewing, tying, drying and hardening, compressing, winding, wrapping, bending, mixing and blending, focused on operational continuity and artistic connection among presentation techniques in this study, and suggests the manufacturing technique of up-cycle hair art design. With suggested techniques, it has produced twenty works in total; three works using unfolding and collecting technique, four works combing and spreading technique, four works blending and spraying technique, a work sewing technique, a work mixing and blending technique, two works winding technique, two works tying technique, two works mixing and blending technique, and a work blending, spraying and combing, spreading technique. It made possible up-cycle hair art design to be established smooth technique to everybody for hair art, known to hairdressers but unexplored field for the general public via deducted technique respectively in the results of study. Moreover, it can enhance added value so that real sale was done by way of producing from producing props via small and simple technique to large and difficult producing props. This can expand the field for art design of up-cycle hair and propose the production guideline for craft technique and work which can be applicable and usable to real life, so we think that it can contribute to expand the base in the fields of up-cycle design using scrap hair. 본 논문은 헤어아트 기법을 적용한 업사이클 헤어장신구 개발에 관한 연구이다. 헤어 디자인 분야에서의 업사이클 개념적용은 현재 세계적인 화두가 되고 있는 ‘지속가능성 발전/SD’의 취지에도 부합하며 이질감을 최소화하는데 적합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헤어미용분야에 관한 업사이클 학술연구는 다른 분야의 활발한 연구에 비해 이론적으로 정리되지 않았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연구자는 연구의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종래의 헤어아트 제작기법을 분석하여 용어 및 그에 따른 개념들을 정리하였다. 그로 인해 헤어아트 기법에서의 체계적인 이론적 정립을 구축하고자 하였고 구축된 이론적 정립을 통해 실증적 입증을 하였다. 이론적 연구 방법으로는 현재까지 미학적 측면에서 바라본 헤어아트를 환경적인 관점에서 관찰하였고 실증적 연구 방법으로는 선행연구로부터 추출된 표현기법 및 기술동향별로 분류하여 시계열적 흐름에 따라 분석하였다. 아울러 전술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하여 연구자는 표현기법 간의 작업적 연속성과 예술적 연관성을 기준으로 하여 분쇄하여 뿌리기, 빗고 펼치기, 펼치고 모으기, 바느질, 묶기, 건조하여 굳히기, 압축하기, 감기, 감싸기, 구부리기, 섞고 혼합하기로 총 11가지로 분류하였다. 도출된 기법을 통해 업사이클 헤어아트 디자인 제작기법을 제안하였고 폐 모발을 이용하는 업사이클 헤어아트 디자인 작품 제작 시 각각의 제작기법을 단독으로 사용하기에는 원하는 작품 제작에 어려움이 있어 주요기법을 중심으로 각각의 제작기법을 최소한의 하이브리드 형태로 작품을 제작하였다. 그에 따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종래의 헤어아트 관련 선행연구의 표현기법별 기술동향을 분석한 결과, 헤어아트에 활용된 재료에는 폐 모발을 위시한 깃털, 가면, 자연물, 대리석, 목재, 흙, 금속 및 종이 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초기의 헤어아트는 금속, 가면, 깃털, 목재, 거울, 알지네이트, 종이, 아크릴, 금속, 폐기물 등의 다양한 오브제 간의 조형적인 형태를 이루는 것이 주류였다면, 후기로 갈수록 폐 모발을 캔버스에 응용한 회화적 형태와 장신구 같이 실용성이 내재된 조형적인 형태를 이루는 변화의 흐름이 형성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특히, 폐모발이 주요 소재로 활용됨에 따라 자르기, 빗질하기, 염색하기, 감기, 분쇄하기, 뿌리기, 붙이기, 구부리기, 꼬기, 땋기, 펼치기, 겹치기, 그리기, 묶기, 감싸기와 같은 표현기법의 사용빈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술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는 표현기법 간의 작업적 연속성과 예술적 연관성을 기준으로 분쇄하여 뿌리기, 빗고 펼치기, 펼치고 모으기, 바느질, 묶기, 건조하여 굳히기, 압축하기, 감기, 감싸기, 구부리기, 섞고 혼합하기 11가지의 기법으로 재분류하여 업사이클 헤어아트 디자인 제작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기법으로 펼치고 모으기 기법을 이용한 작품 3점, 빗고 펼치기 기법을 이용한 작품 4점, 분쇄하여 뿌리기 기법을 이용한 작품 4점, 바느질 기법을 이용한 작품 1점, 섞고 혼합하기 기법을 이용한 작품 1점. 감기 기법을 이용한 작품 2점, 묶기 기법을 이용한 작품 2점, 섞고 혼합하기 기법을 이용한 작품 2점, 분쇄하여 뿌리기와 빗고 펼치기 기법을 이용한 작품 1점으로 총 20작품으로 제작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통해 미용인들에게는 인지가 되어 있지만 일반인들에게는 미개척분야였던 헤어아트가 각각 도출된 기법을 통해 업사이클 헤어아트 디자인이 누구에게나 원활한 기법 정립이 가능하도록 하였고 작고 단순한 기법을 통한 소품제작부터 크고 난이도가 있는 소품제작까지 제작함으로 인해 실제 판매까지 이루어져 부가가치가 늘어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는 업사이클 헤어아트 디자인에 대한 영역을 확장하며 실생활에 접목 및 사용 가능한 공예 기법과 작품 제작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어서, 폐 모발을 이용한 업사이클 디자인 영역의 저변 확대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수준별 수업에서의 교사의 질문 양상

        이수민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학습자의 능력과 흥미에 맞는 개별화 수업을 제공하고자하는 취지에서 제7차 교육 과정부터 초, 중등학교 과정에 본격적으로 수준별 수업을 도입하여 많은 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수준별 수업을 실시하면서 발생되는 문제점으로 성공적인 수준별 수업 시행을 위해서는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수준별 수업이 진행되는 중학교 교실 내부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과정적 측면에 중점을 두어 교사와 학생간의 상호 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의 발화, 그 중에서도 학생들의 수준에 따른 차별화된 교사의 질문 전략을 고찰하기 위한 것이다. 우리나라와 같은 EFL 상황에서 교사 발화가 학생들에게 유일한 입력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고려한다면 교사 발화의 질이 수업의 질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교사의 발화 중 교사의 질문은 상호 작용적인 교실 환경을 만드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학생들의 참여를 이끌어 내는 주요 수단이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동일한 교사가 각기 다른 수준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질문을 다르게 하는지 그렇다면 어떤 식으로 질문을 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Long과 Sato(1983)의 질문 분석 기준에 맞춰 교사의 질문을 분류하였으며 교사의 질문의 빈도를 측정하여 수준별 수업에서의 교사 질문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상, 하급 학급에서 교사는 공통적으로 국어보다 영어 질문을 많이 하였으며 가장 빈번하게 사용된 질문은 전시형 질문으로 나타났다. 상급 학급과 비교해보면 교사는 하급 학급에서 보다 많은 질문을 하였고 특히 국어 질문이 많았다. 또한 교사의 높은 빈도의 영어 사용은 학생들의 상호 작용과 언어 사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교사 역시 영어 발화 전달력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였다. 상급 학급과 하급 학급에서 동일하게 전시형 질문은 교과서 내용을 확인하거나 선행 학습을 확인할 때 사용되었으며 참조형 질문은 학생들의 학습 동기를 유발시키고 선행 조직자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참조형 질문의 활용 여부에 따라 학생의 발화 양에 영향을 미쳤으며 교사의 수업 목표에 따라 전시형 질문의 내용도 달라졌다. 이해 점검 질문은 학생들의 이해력을 점검하는 과정에서 사용되었으며 학생들의 수준에 따라 전시형 질문이 함께 사용되기도 하였다. 확인 점검 질문은 학생들의 대답이 틀렸다는 암시를 주거나 학생들의 불완전한 발화를 이해 가능한 발화로 만들기 위해 사용되었다. 또한 명료화 요구 질문이 사용되지 않은 이유는 교사와 학생들의 동일한 모국어 사용과 중학교 1학년이라는 낮은 단계의 영어 사용 때문으로 분석된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교사 질문의 문제점은 3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영어 질문을 이해하는 못하는 학생들에게 교사는 똑같은 영어 질문만을 반복하였다. 둘째, 상, 하급 학급에서 사용된 교사의 질문 유형과 양상에 큰 차이가 없었다. 마지막으로 한가지 질문에 지나치게 의존하면서 교사 주도적인 수업이 진행되었다. 교사는 자신의 발화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보다 효과적인 수업 전달을 위해 본인 스스로가 노력하는 것이 요구되어진다. 이러한 노력은 교사 혼자만으로 해결될 수 있는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교사의 다양한 질문 전략 개발과 영어 능력 신장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양질의 교사 연수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해 보인다. 뿐만 아니라 중등학교 대상 교사의 발화에 대한 연구가 보다 활발하게 진행되어 학교 현장과 이론을 전목시킬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여 교사의 보다 효과적인 질문 전략 개발에 기여해야 할 것이다. The main purpose of education is to provide the underprivileged with opportunities to be equal. As many students come from different backgrounds, it seems less likely to have the same learning experience. Consequently, students' levels are varied in a classroom. Taking this difference into consideration, the system of level-differentiated classes has been implemented to reduce the gap between able and less able students since 2004. To prove how effective the new system is, a lot of research has focused on its effects on either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or affective aspects, but very few has done to see what is really happening in the level-differentiated clas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eacher's questioning patterns in level-differentiated classes. Teacher questions are of significance because they play a key role in creating interactive classroom environment as well as encouraging students' participation. To achieve this goal, Long and Sato's question types (1983) are used to analyze patterns of a teacher's questions and their characteristics. One teacher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she taught different classes- beginners and advanced student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s: in both classes the teacher asked questions in English more than those in Korean and the most common question type was display questions. However, she asked more questions and Korean questions in beginners' class than those in the advanced class. Another finding is that the teacher used display questions to check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textbook and to remind the students of previous lessons while referential questions were commonly used to motivate students and activate their background knowledge. Though both question types function similarly in two different level classes, how the teacher used them seemed to contribute to creating communicative classroom environment. Comprehension check questions were used to check if the students followed the class and understood the teacher's English utterances and were sometimes followed by display questions in Korean to double-check their knowledge. Confirmation check questions were used to give students a clue that their answers were incorrect and make students' incomprehensible English output comprehensible. Interestingly enough, clarification request questions were rarely used. It was because both students and the teacher shared the same language. There seems to be several problems regarding teacher's questioning strategies. First, the teacher repeated the same English question rather than paraphrasing it when the students failed to understand her question. Another problem is that teacher's questioning strategies did not seem to be different in both levels. Third, the large proportion of teacher's questions was display question resulting in teacher-centered classroom. It is important for teachers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teacher questions. Therefore, they should do their best to develop their own questioning strategies. This cannot be done without the government's support. High quality teacher training programs are in dire need of improving both teachers' English skills and questioning strategies. In addition, more research on teacher questions in secondary schools should be done to forge a theory-practice connection.

      • 아동의 권리의 헌법적 보장

        이수민 대구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With respect to the children, the traditionally dominant concept in Korea has been the one that they are one of parents' possessions under their absolute custody and control. Moreover, children have been regarded as the minors legally and the objects who shall be nurtured and obey their parents socio-conventionally. They have been regarded as the objects for protection but never be recognized as the subjects with active rights at the state level. The children's rights as the object for protection of constitutional basic rights have been accepted as the adjuncts to those of their parents, and as long as the children are able to become the subjects of the basic rights as the adults, they have been accepted as independent subjects with rights by the constitutional order or state's legal order to the limited extent.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of the United Nations adopted in 1989 regards the children as the subjects with dignity and rights rather than the objects for protection and expressively stipulates the basic rights for their survival, development and protection. Korea ratified this convention in 1991, which is effective now. However, it is also true that there are many restrictions imposed on the rights of the children in many fields under the name of protection in reality. Therefore, to guarantee the rights of the children to the maximum extent, there is a need for clear criteria as well as the judgemental standards in restricting the rights of the children. The constitution is not only the highest standard for the state order but also the standards for the life of the people. Currently the constitution of Korea stipulates protection of the rights of the children as social minorities through various rules and regulations or derives out the guarantee of the rights of the children through stipulating the comprehensive rights to pursue one's dignity, value and happiness or the rights to pursue a humane life as the generic terms of social basic rights. Therefore, it is required that the future constitution shall more clearly stipulate the rights of children to guarantee them more specifically and clearly. 아동에 대해서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부모의 절대적인 양육권과 통제권 하에 있는 부모의 소유물이라는 개념이 지배적이었고, 더구나 아동은 법률상 미성년자이고 사회관습적으로 부모에게 복종하며 양육되어지는 대상에 불과했고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아동들은 보호의 대상으로만 파악되었을 뿐 국가적 차원에서의 적극적인 권리의 주체로 인식되지 못했다. 헌법상의 기본권 보호의 객체로서 아동의 권리는 그 부모들의 기본권에 대한 부속물로 받아들여져 왔으며, 아동은 단지 그들이 성인과 같은 기본권 주체가 될 수 있는 경우에 한해서만, 제한적인 측면에서만 국가법질서 혹은 헌법질서에 의하여 독립적인 권리주체로서 인정받을 수 있을 따름이었다. 1989년에 채택된 유엔아동권리협약에서는 아동을 단순한 보호대상이 아닌 존엄성과 권리를 지닌 주체로 보고 이들의 생존, 발달, 보호에 관한 기본 권리를 명시적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1991년에 비준을 하여 현재 효력을 발휘하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아동을 보호하기 위한 명목으로 많은 영역에서 아동의 권리의 제한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아동의 권리를 최대한 보장하기 위해서는 아동의 권리를 제한 할 경우 그 판단 기준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그 명확한 준거를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헌법은 국가질서에 있어서 최고규범인 동시에 국민의 생활규범이 된다. 현재 우리 헌법에서는 여러 규범을 통하여 특정 영역에서의 사회적 약자로서의 아동의 권리보호를 규정하고 있거나 포괄적 성격을 가지는 인간의 존엄과 가치 및 행복추구권 혹은 사회적 기본권의 총칙적 성격을 가지는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의 규정을 통하여 아동의 권리의 보장을 도출하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헌법에 아동의 권리에 대한 보다 명확한 규정을 두어 보다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아동의 권리를 보장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 위기청소년의 빗속의 사람 그림에 관한 반응특성 연구

        이수민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사회의 급격한 변화 속에서 청소년은 많은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다양한 위기 상황에 처해 있으며, 스트레스를 적절히 해소하지 못할 때 위기청소년으로 변화될 가능성이 높다. 점차 증가하는 위기청소년에 대한 적절한 선도 및 치료를 위해서는 위기청소년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위기청소년의 위기수준과 빗속의 사람 그림에 관한 반응특성을 통해 위기행동의 근본원인이 되는 스트레스를 파악하고, 그에 대한 대처능력을 살펴봄으로써 위기청소년을 위한 적절한 선도와 치료에 대한 지원을 하고자 한다. 또한 위기청소년을 선도하는 치료자 및 상담자와 관련 기관에 위기청소년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도울 수 있는 상담 자료와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시 S센터의 사랑의 교실에 참여하는 절도범죄 청소년을 대상으로 위기수준을 알아보기 위한 위기 스크리닝 척도와 스트레스 및 대처능력을 살펴보기 위한 빗속의 사람 그림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위기 스크리닝 척도를 통해 살펴본 결과 절도범죄 청소년은 대부분 위기 3수준에 속하여 위기정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위험요인에서는 또래 및 학교 영역과 개인영역이 높게 나타나 학교적응력이 떨어지고 또래와 개인 성향에 따른 영향을 많이 받음을 알 수 있었고, 문제행동에서는 범법행위와 인터넷 중독이 높게 나타났다. 이것으로 척도 검사는 결과에 따른 외형적인 문제를 중심으로 위기청소년을 판단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위기청소년의 빗속의 사람 그림을 분석한 결과 위기청소년은 스트레스는 많으나 적절한 대처능력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 영역에서는 비의 양이 많고 비와 바람의 세기가 강하며, 비와 사람의 접촉이 많고 스트로크가 불균형하여 스트레스가 높은 것이 특징이었다. 대처자원 영역에서는 직접보호물의 수는 많으나 적절성이 부족하고, 인물의 크기가 작고 가장자리에 위치하며, 비우호적인 표정과 불균형한 모습으로 신체부위가 생략되어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능력이 부족한 것이 특징이었다. 이것으로 빗속의 사람 그림은 위기청소년의 스트레스를 나타내주며 내면적인 대처능력까지 측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위기수준에 따른 빗속의 사람 그림을 교차 분석한 결과 위기에 따른 스트레스는 비슷하나 대처능력은 직접보호물의 수와 적절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위기 1수준은 직접보호물의 수와 적절성이 일치하여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를 하는 반면, 위기 3수준은 직접보호물의 수는 많으나 적절성이 부족하여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능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그림 사례를 통해 위기수준에 대한 빗속의 사람 그림의 특성을 살펴본 결과 수준이 일치하지 않는 예외적인 경우도 나타나 자기보고식 척도의 단점을 빗속의 사람 그림이 보완해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통해, 위기청소년의 상담 현장에서 사용되는 위기 스크리닝 척도뿐 아니라 빗속의 사람 그림을 활용하여 위기청소년의 외형적인 요소와 내면적인 요소를 함께 살펴봄으로써 위기청소년 개인을 올바로 이해하고 적절한 선도와 치료를 위한 개입 및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 명화와 영화 속 그리스·로마 여신을 모티브로 한 창작 업스타일 연구

        이수민 광주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명화와 영화 속 그리스·로마 여신을 모티브로 한 창작 업스타일 연구 그리스·로마 신화는 서양 문화일 뿐만 아니라 우리 일상 속에 자연스럽게 녹아들어온 하나의 문화이자 영감의 보고(寶庫)로서 예부터 지금까지 꾸준히 명맥을 잇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디자인 연구는 복식, 건축물, 미술 등에 국한되어 있다. 헤어디자인 관련 연구 사례가 많지 않으며 그리스․로마 신화에 등장하는 여신들의 헤어스타일을 응용한 창작 업스타일에 대한 연구 역시 미비한바 대중성과 접근성이 용이한 명화와 영화에 나타난 여신을 모티브로 하여 창작 업스타일을 연구․제작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문헌 연구와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문헌 연구에서는 그리스·로마 신화 시대의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한 관련 서적, 선행연구 논문, 학술지, 지식 검색 등을 조사하여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고, 실증적 연구에서는 그 당시의 헤어스타일을 명화와 영화 속 여신들의 역할과 상징물에 나타난 디자인을 토대로 각 여신들의 특징적인 이미지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특징들을 바탕으로 5명의 여신을 선정하였는데 각 작품의 모티브 1은 형상물을, 모티브 2는 이미지를 기준으로 하였다. 각 모티브가 된 형상물과 이미지를 바탕으로 다양한 제작방법을 사용하여 여신들의 개성을 표현하고자 하였으며 이러한 방식으로 재해석된 창작 업스타일 디자인의 연구를 통해 여신들의 아름다움을 재발견하는데 목적이 있다. 작품 1은 공작의 형상물, 여신들의 여왕의 이미지를 모티브로 하여 땋기, 롤, 매듭 기법으로 헤라를 표현하였다. 작품 2는 날개의 형상물, 칠흙 같은 어두움의 이미지를 모티브로 하여 바구니 땋기, 고리, 매듭 기법으로 페르세포네를 표현하였다. 작품 3은 바다의 파도소리를 떠올릴 수 있는 소라의 형상물, 깊은 바다 속의 이미지를 모티브로 하여 매듭, 롤, 고리 기법으로 테티스를 표현하였다. 작품 4는 투구의 형상물, 궁수의 이미지를 모티브로 하여 매듭, 롤, 겹치기 기법으로 아테나를 표현하였다. 작품 5는 장미의 형상물, 곡선의 아름다움을 표현하기 위해 아르누보의 이미지를 모티브로 하여 백콤, 반고리, 펼치기 기법으로 아프로디테를 표현하였다. 이처럼 그리스․로마 신화에 등장하는 여신들을 모티브로 한 헤어작품 연구를 통해 창작 업스타일을 제작하면서 기존의 아름다움의 틀을 기초로 하되 현대적이고 창의적인 디자인 개발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고대와 현대를 자연스레 이어가는 헤어 디자인의 조형적 가치를 높이는데 일조하고자 하며 다양한 미적개성과 독창성을 필요로 하는 니즈에 보다 더 다양한 메뉴로 접근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의 과정에서 여신이라는 특화된 인물이 갖고 있는 고정화된 이미지를 표현하는데 제한점이 있었으며 객관적인 데이터보다 주관적인 성향에 의해 5인의 여신을 한정지어 작품을 제작하였다는 것이 한계점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추후 진행될 연구에서는 다양한 콘텐츠 조사를 바탕으로 연구를 실시하여 헤어 디자인의 새로운 트렌드 개발에 기여하여야 할 것이다.

      • 한국어 쓰기 교육에서 교사 피드백이 학생 수정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수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쓰기 교육에서 교사의 피드백이 학생의 수정 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한 것이다. 실제 수업 현장에서 점차 확산되어 가고 있는 과정 중심 쓰기 교육에서, 교사는 학생의 쓰기에 대해 촉진자와 반응자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 역할에 따른 주요한 활동 중 하나는 학생들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다. 학생들은 제공받은 피드백을 활용하여 수정 활동을 하고 이를 통해 자신의 글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피드백이 학생의 수정 활동에 실질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학생 쓰기 및 교사 피드백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고 조사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교사의 피드백에 대해 학생들이 어떻게 반응하는지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고, 학생이 제공받은 피드백을 성공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돕는 방안을 마련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1 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소개하였다. 그간 쓰기 교육 연구 분야에서 교사 피드백과 학생 수정에 대한 연구가 그 중요성에 비해 실질적으로는 부족했음을 지적하고, 이에 관한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목적이 교사 피드백의 각 특성이 학생 수정에 미치는 영향과 전반적인 글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데에 있음을 밝혔다. 2 장에서는 연구에 필요한 이론적 배경을 소개하였다. 우선 과정 중심 쓰기 교육의 특징을 살펴보고, 그 안에서의 교사 역할에 대해 고찰하였다. 교사의 역할 중 특히 피드백 제공에 초점을 맞추어 그에 관한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고, 이러한 교사 피드백이 학생 수정 미치는 영향에 관해 조사한 연구들도 살펴보았다. 3 장에서는 본 연구의 진행 방법과 절차를 소개하였다. 연구는 3개 기관에서 한국어를 학습하고 있는 중급 학습자 51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학생들의 초고에 대해 교사가 피드백을 하고 이를 돌려 받은 학생들은 피드백을 보고 다시 쓰기를 하였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자료는 '교사 피드백 분석 모형'과 '학생 수정 분포 척도'라는 도구를 통해 분석되었다. 4 장에서는, 연구 결과로, 교사 피드백의 각 특성에 따른 학생 수정 분포를 제시하였다. 교사가 제공한 피드백은 학생들의 반응을 이끌어 내기 위한 의도를 가진 것이 많았고, 따라서 학생들은 대체적으로 적극적인 태도로 수정 활동에 참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 피드백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은 길이와 같은 형식적인 면보다는 피드백의 의도나 유형 등에 의해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효과적인 피드백은 문법적인 피드백과 요청 유형의 피드백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면에 가장 적은 반응을 이끌어 낸 피드백은 긍정적인 피드백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텍스트와 관련된 피드백이 그렇지 않은 피드백에 비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러한 교사 피드백에 따른 학생의 수정 활동은 전체적인 글의 향상에 매우 도움을 준 것으로 밝혀졌다. 5 장에서는 앞에서 얻은 연구 결과를 실제 수업 현장에 적용하여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고찰하였다. 먼저 피드백에 소극적으로 대처하거나 이를 거부하는 학생들로 하여금 성공적으로 피드백을 활용할 수 있게 돕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연구 결과에서 비교적 덜 긍정적인 반응을 얻은 피드백을 보다 효과적으로 만들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였다. 또한 내용적인 피드백과 형식적인 피드백의 조화를 통해 전체적인 글의 향상을 도모해야 한다는 것과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하고 텍스트와 관련된 피드백을 제공할 때 보다 효과적인 수정 활동을 이끌어 낼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6 장에서는 지금까지의 연구의 내용을 정리하고, 이를 토대로 본 연구가 갖는 의의를 살펴보았다. 더불어 본 연구에서 제한점으로 남는 몇 가지 문제에 대한 제언을 덧붙였다. This paper presents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eacher feedback to student correction in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KFL) writing instruction. In the process-oriented writing instruction, the role of the teacher is also one of facilitator and responder. This role of the writing teacher has been the inspiration for providing feedback to students. Through the feedback, students improve their paper by correcting their own errors on revised papers. Therefore, in this study, examined teacher feedback on student papers and revised drafts of each paper were observed in order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the first-draft feedback on the students' revisions and assess whether the changes made in response to the teacher's feedback actually improved the papers. The results suggest an insight as to what kind of teacher feedback led to substantive student correction and a way to help students use teacher feedback successfully. The first chapter focuses 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hich is to 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 feedback that appear to influence student correction and whether revisions influenced by teacher feedback led to substantive and effective changes in students' papers. The second chapter reviews process- oriented writing instruction, teacher feedback, and student correction from previous researches. The experimental method and procedures employed in this study are described in the third chapter. The subjects were 51 intermediate-level KFL students at three language institutes. They were required to write a minimum of two drafts for the task. The students' first drafts contained handwritten feedback provided by the teacher. The students then wrote a second draft after receiving teacher feedback. The first drafts and second draft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n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teacher feedback to student correction is contained in the fourth chapter. Student response was influenced more by intent or type of teacher feedback rather than by form of teacher feedback, such as length. Grammar and request feedback appeared to lead to the most substantive revisions, whereas positive feedback almost never led to any changes at all. Text-specific feedback was associated with major changes more so than general feedback, but the presence or absence of hedges had little effect on the degree to which changes were made. When changes were made, whether they were minimal or substantial, they overwhelmingly tended to improve the students' papers.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for KFL writing instruction based on this study are described in the fifth chapter. Suggestions are made to help students use teacher feedback more successfully and to make feedback more effective. I also suggest simultaneousness of form-based feedback and content-based feedback, taking into consideration student level, then providing text-specific feedback for more effective student corrections. In the last chapter a brief summarization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made and some suggestions are offered to overcome the problems identified in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