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조은혜의 작품 연구 : 1. 플루트 솔로를 위한 <선(Cord)> (2016), 2. 클라리넷과 피아노를 위한 <큐브(Cube)> (2016), 3. 바이올린, 비올라와 첼로를 위한 <낙원(Paradise)> (2017/2018), 4. 6인의 연주자를 위한 <타타(tata)> (2019)

        조은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711

        This thesis is a study on four works from the graduation recital of Eunhye Cho, a graduate music composition student at Ewha Womans University. It is aimed to research and demonstrate the background, form, pitch structure, and development method of the following works: Cord for Flute Solo (2016), Cube for Clarinet and Piano (2016), Paradise for String Trio (2017/2018) and tata for 6 Players (2019). On October 22, 2019, these works were premiered at the Ewha Womans University College of Music Recital Hall. Cord for Flute Solo is influenced by Density 21.5, a work for solo flute by Edgard Varèse (1883-1965). This piece cited motive of Varése and used his compositional method-intervalic composition. This work consists of five sections and expresses various musical effects through repetition and change of two intervallic combinations: the minor second and the augmented fourth. This is expanded via octave displacement, and includes different timbre by extended technique of flute. Cube for Clarinet and Piano was inspired by Cubes, the basic form of a cuboid. The musical elements replaced the verbal and mathematical meanings contained in dice with musical elements, and based on these, the music revolve through same pitch, minor second, and the six chords. Six sides of the dice, which have the same shape but are different objects, are represented by musical tone changes using the clarinet's glissando, multi-phonics, smorzato, diverse vibrations and key clicks and piano’s pedaling techniques. The work consists of six sections. Paradise for String Trio is composed by as a result of an individual experience and its influence of composer. The work is a musical expression of the three words "None," "Conjoining" and "Apnea“. The work consists of five parts. The work use three string instruments-violin, viola, cello for intending to cut off the diversity of sound. In this work, the timbre change is an important development, and this piece was formatted following theses timbre changes. The extreme contrast between the dynamics and musical figures generate various sound changes. Tata for 6 Players is composed of appreciation from the two books the composer has read, Friedrich Wilhelm Nietzsche’s "The Human, All Too Human" and Kim Ae-ran's novel "The Outside is Summer." The work consists of four sections and uses musical gestures based on the theme. The repetitive figures on the piano and the changing patterns of the meter make the music tense. This work has sub themes- irritation, disappearance, and accumulation. Structure of this piece related on its sub themes. And meaningless lyrics was used in this work for concentration on sopranos voice. In conclusion, through study of these works, this thesis demonstrates how ideas related to various experiences are expressed in music. By analyzing structures, harmonies and timbre of these four works, this thesis indicates that the composer choose various types of musical structures, timbre and diverse instrument techniques to express musically certain ideas. Especially focusing on music timbre and each sound of instruments, the composer shows her own thoughts and feelings through these compositional techniques. 본 논문은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음악학부 작곡과 조은혜가 작곡한 플루트 솔로를 위한 <선(Cord)>(2016), 클라리넷과 피아노를 위한 <큐브(Cube)>(2016), 바이올린, 비올라와 첼로를 위한 <낙원(Paradise)>(2017/2018), 6인의 연주자를 위한 <타타(tata)>(2019)에 관한 연구이다. 이 네 작품은 석사학위 이수를 위한 졸업연주회에서 연주된 작품으로 2019년 10월 22일 이화여자대학교 음악관 국악연주홀에서 초연되었다. 플루트 솔로를 위한 <선>은 석사학위과정 이수 중에 작곡한 <연습을 위한 작은 모형> 시리즈 중 첫 번째 곡으로 선으로부터 착안한 생각을 음악적으로 나타낸 작품이다. 다섯 부분으로 구성된 이 작품은 선율 전개 방식에서 바레즈(Edgard Varés, 1883-1965)의 “Density 21.5”의 주제의 인용과 음정 작곡기법(Intervalic Composition)을 사용하였으며, 원형집합 (0 1 2)와 단2도 및 증4도 음정을 중심으로 곡을 전개한다. 클라리넷과 피아노를 위한 <큐브>는 <연습을 위한 작은 모형> 시리즈 중 두 번째 곡으로 입체모형의 기본 형태인 입방체(Cube)에서 영감을 받아 작곡하였다. 일상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입방체인 ‘주사위’에 내포된 언어적, 수학적 의미를 음악 요소로 치환하여 곡에 사용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곡은 동음과 단2도, 증4도 음정과 여섯 개의 화성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동일한 모양을 가지나 다른 개체인, 주사위의 여섯 면은 클라리넷의 글리산도, 멀티포닉스, 스모르자토 등의 주법과 피아노의 페달링 주법을 통해 음색의 변화로 표현된다. 작품은 총 여섯 부분으로 구성된다. 바이올린, 비올라와 첼로를 위한 <낙원>은 작곡가 개인이 겪은 한 사건과 이로부터 받은 정신적 영향을 소리로 구현한 작품이다. 이 작품은 음색 변이를 주요 음악 전개 방식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곡의 형식이 구분된다. 곡은 다섯 부분으로 구성되며 현악기 주법, 악상, 음형, 음정 등의 극단적인 대비를 통해 곡의 주제인 ‘없음’, ‘결여’, ‘무호흡’을 표현하였다. 6인의 연주자를 위한 <타타>는 작곡가가 읽은 두 권의 책인 프리드리히 빌헬름 니체(Friedrich Wilhelm Nietzsche, 1884-1900)의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 I>과 김애란(1980-)의 소설 <바깥은 여름>에서 얻은 감상을 바탕으로 작곡된 곡이다. 곡은 소프라노, 플루트, 베이스 클라리넷, 비올라, 더블베이스, 피아노의 총 6인 편성이며 형식은 네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이 작품은 주제에 대한 상징성, 정형성, 주기성을 성악의 가사와 악기의 특수 주법, 음향 구조와 같은 음악적 장치를 통해 구현되고 있으며 특히 ‘자극-휘발-축적’의 주기를 음악적으로 서술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본 논문은 앞서 제시한 네 작품의 연구를 통해 작곡가가 작품마다 설정한 명확한 주제와 이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한 다채로운 음악 어법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 아동 성폭력 피해자의 보호 및 지원 방안에 관한 연구

        조은혜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최근 몇 년 간 우리 사회에는 수차례 심각한 아동 성폭력 범죄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비극적인 아동 성폭력 범죄가 되풀이 되어 발생하여 우리 사회에서는 아동 성폭력 범죄에 대한 종합적인 대책을 마련하고자 각종 제도의 수립과 다양한 아동 보호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실효성은 사회적인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듯하다. 본 논문은 아동 성폭력 범죄 피해자에 대한 적극적이고 실효적인 보호 및 지원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아동은 자신에 대한 방어능력이 부족하고 어른에게 의존의 정도가 강하기 때문에 범죄에 노출되기 쉽고 범죄 피해 후 신체적, 정신적으로 후유증이 심각하다. 하지만 이에 비해 현재 아동 성폭력 피해자에 대하여 구체적인 연구가 부족하여 아동 성폭력 피해자의 신체적, 정신적, 경제적 지원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 사실이다. 또한 우리나라의 아동 성폭력 피해자에 대한 보호 및 지원 대책이 실현된 시기는 비교적 최근의 일이다. 몇 년 간 사회적 이슈가 된 사건을 통하여 단기적으로 만들어진 대책들이기 때문에 잠재적 피해자를 보호하기 위한 대책의 효과에도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아동 성폭력 범죄의 개념, 아동 성폭력 피해자의 특징, 아동 범죄 피해자의 보호 및 지원의 필요성을 확인하여 현실에 맞는 아동 성폭력 피해자의 보호 및 지원방안을 강구하여야 한다. 또한 각국의 아동 성폭력 범죄 피해자의 보호 제도와 기관을 통한 지원을 검토하여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게 효과적이고 다양한 방향으로 발전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 실정을 파악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최근 사회적으로 큰 파장을 일으켰던 ‘조두순 사건’, ‘김수철 사건’, ‘광주 인화학교 사건’의 사례를 통해 아동 성폭력 범죄의 전반적인 특징과 시사점, 이후 사회적 파급효과를 통해 현재 아동 성폭력 범죄에 대응하는 체계를 분석하였다. 현재 아동 성폭력 범죄 피해자에 대한 보호 및 지원 실태는 제도적 측면, 관련기관의 측면, 프로그램의 측면으로 나누어 파악하였다. 제도적 측면에서는 가해자에 대한 재범방지 측면의 제도가 대부분이고 범죄 발생 후 처벌을 중심으로 하기 때문에 예방적 측면이 약하고 피해자를 실질적으로 보호하고 지원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관련기관의 측면에서는 수사·법률, 경제적, 의료, 상담까지 다양한 지원을 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전문 인력이 부족하고 경찰과 검찰, 병원까지 피해자에게 관여하는 모든 기관과의 상호협력의 부족으로 피해자에게 제대로 된 지원이 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프로그램에 대하여는 홍보와 관심의 부족, 지속적인 관리 및 감독이 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제도적 측면으로는 좀 더 실효적인 피해자 보호 방안을 도입할 것을 검토하였고 정신적, 신체적인 지원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부분에 까지 다각도로 아동 성폭력 범죄 피해자를 지원할 수 있는 제도를 연구하였다. 관련기관의 측면에서는 정부와 지방 자치단체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전문성을 강화하고 각계 기관의 상호협력을 통해 아동 성폭력 범죄 피해자들이 2차 피해를 입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프로그램의 측면에서는 적극적인 홍보를 통해 아동들이 프로그램을 적극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며 스스로 쉽고 빠르게 도움을 요청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의 보완도 함께 필요 하다. 또한 꾸준한 관리를 통해 형식적인 프로그램이 아닌 실질적인 프로그램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ABSTRACT A study on the Protection and Support of Victims in Sexual Assault against Children Eun - Hye Cho Department of Police Administation Graduate School of Soonchunhyang University Asan,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Suk - Heon Chang In the last few years, a number of serious sexual assaults against children have occurred in our society. On account of the tragic recurrence of sexual assaults against children, our society has established various systems and children protection programs to prepare comprehensive measures for sexual assaults against children, but its effectiveness seems to fall short of expectations of the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ctive and effective protection and support measures for victims of sexual assault against children. Children are prone to be exposed to crimes against them and have a serious physical and mental aftereffects because of their lack of self-defense capability and high degree of dependence on adults. In comparison, physical, mental, and financial supports have not been provided to victims of sexual assault against children since currently there is not enough concrete studies on them. Furthermore, it is relatively recent when the protection and support measures for victims of sexual assault against children have been realized in our country. And there is a limit to the measures for protection of potential victims because they are come after several cases that become socially at issues on a short-term basi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ek for measures to protect and support for victims of sexual assault against children that match the reality by identifying the concept of sexual assault against children, characteristics of its victim, and necessity of protection and support for them. Moreov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effective and various measures that suit our country by examining the protection systems and support of agencies for victims of sexual assault against children in various countries. To understand the situations of our country,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confrontation systems and general characteristics, implications, and social ramifications of sexual assaults against children by examining cases that greatly impacted our society such as 'Cho Doo-soon case', 'Kim Soo-chul case', and 'Gwanju Inhwa School case'. Real conditions on current protection and support for sexual assault against children's victims were examined by dividing them into aspects of systems, related agencies, and programs. As for the aspect of systems, problems lie in the lack of prevention, substantial protection, and support for victims because most of the system are made to prevent second convictions and they are centered around the punishments after crimes occur. Regarding the related agencies, even though there are various supports from police investigation, law, finance, medical care, and counselling, because of the shortage of professional manpower in those areas and of insufficient cooperation among related agencies which are involved in victims such as police, prosecutor's office, and hospitals, proper support has not been provided to victims. As for programs, there are lack of publicity and interest and failure in continuous management and supervision. To supplement those problems, for system aspect, this study examined the introduction of the more effective protection measures for victims and reviewed the system that supports victims of sexual assaults against children economically as well as mentally and physically. As for the related agencies, second victimization should be prevented by enhancing professionalism through active supports from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nd through mutual cooperations among various agencies. Regarding the programs, children can actively use the programs by means of active promotions and supplementation of the program to facilitate faster and easier use of children. And by providing continuous management, the program should be substantial not ceremonial.

      • 임상 간호사의 혁신행동, 창의성, 간호전문직관이 간호역량에 미치는 영향

        조은혜 호남대학교 사회융합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논문개요 임상 간호사의 혁신행동, 창의성, 간호전문직관이 간호역량에 미치는 영향 제 출 자 : 조은혜 지도교수 : 하윤주 본 연구는 임상 간호사의 간호역량 정도를 파악하고 혁신행동, 창의성, 간호전문직관이 간호역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함으로써 간호사의 간호역량 향상을 돕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대상은 G광역시에 소재한 1개 대학병원과 3개 종합병원을 의도 표집한 후, 본 연구의 취지를 이해하고 동의하여 자발적으로 참여 의사를 밝힌 일반 병동에 근무하는 임상경력 1년 이상의 일반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2019년 8월 1일부터 2019년 8월 23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최종분석에는 267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도구로 혁신행동은 Kleyson & Street(2001)가 개발한 개인의 혁신행동척도(Individual Innovative Behavior)를 김성진(2014)이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창의성은 정은이(2002)가 개발한 대학생 및 성인을 위한 일상적 창의성 도구, 간호전문직관은 윤은자 등(2005)이 개발한 도구, 간호역량은 장금성(2000)이 개발하고, 김순자(2009)가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Scheffe's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임상 간호사의 혁신행동 점수는 6점 만점에 3.97점, 창의성 점수는 5점 만점에 3.51점, 간호전문직관 점수는 5점 만점에 3.52점, 간호역량 점수는 4점 만점에 2.67점이었다. 2. 임상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혁신행동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령(F=5.71, p<.001), 결혼상태(t=-3.25, p<.001), 총 임상근무경력(F=4.10, p=.003), 간호직에 대한 만족도(F=25.00, p<.001), 프리셉터 경험(t=-3.44,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임상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창의성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령(F=2.61, p=.036), 간호직에 대한 만족도(F=26.83, p<.001), 프리셉터 경험(t=-2.18, p=.03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임상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전문직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간호직에 대한 만족도(F=63.42, p<.001), 프리셉터 경험(t=-2.80, p=.006)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임상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역량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령(F=5.40, p<.001), 결혼상태(t=-2.90, p=.005), 최종학력(F=3.30, p=.038), 총 임상근무경력(F=5.52, p<.001), 간호직에 대한 만족도(F=36.66, p<.001), 프리셉터 경험(t=-4.34,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6. 간호역량과 예측변수들 간의 관계에서는 모든 변수들이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즉, 간호역량은 혁신행동(r=.64, p<.001),창의성(r=.62, p<.001), 간호전문직관(r=.62, p<.001)순으로 각각 유의한 순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 임상 간호사의 간호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혁신행동(β=.30, p<.001)이었고, 다음으로는 간호전문직관(β=.26, p<.001), 간호직에 대한 만족(β=.23, p<.001), 창의성(β=.22, p<.001), 총 임상경력 15년 이상(β=.11, p=.004)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63.1%인 것으로 나타났다(F=74.19, p<.001). 이상의 결과 혁신행동, 창의성, 간호전문직관이 간호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임상 간호사의 간호역량을 높이기 위해서는 간호사의 혁신행동, 창의성, 간호전문직관과 관련된 전략들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으며, 본 연구는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간호사들의 간호직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대안을 마련하고, 임상경력을 고려한 단계적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주요어 : 간호사, 혁신행동, 창의성, 전문직관, 역량 Abstract The Effect of Innovative Behavior, Creativity, Nursing Professionalism on Nursing Competence of Clinical Nurses Cho, Eun Hye Department of Nursing Graduate School Honam University Gwangju. Korea Directed by Prof. Ha, Yun Ju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help nurses improve their nursing competency by analyzing the effects of innovative behavior, creativity, and nursing professionalism on nursing competency of clinical nurse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selected using a purposive sampling technique from one university hospital and three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G Metropolitan City. Nurses with one year or more clinical experience who understood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agreed to voluntarily participate in the study were selected.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1 to 23, 2019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The data from 267 participant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Individual Innovative Behavior scale (IIBS) developed by Kleyson and Street (2001) and translated by Kim (2014) was used to assess the innovative behavior of the participants. The Common Creativity Scale for college students and adults developed by Jeong (2002) was used to assess the creativity of the participants. Nursing professionalism was assessed using the scale developed by Yoon et al. (2005), and nursing competency was assessed using the scale developed by Jang (2000) and revised by Kim (2009).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 t-test, one-way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WIN 25.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Clinical nurses' innovative behavior score was 3.97 out of 6, creativity score was 3.51 out of 5, nursing professionalism score was 3.52 out of 5, and nursing competency score was 2.67 out of 4. 2.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innovative behavior with respect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linical nurses, age(F=5.71, p<.001), marital status(t=-3.5, p<.001), clinical work experience(F=4.10, p=.003), satisfaction with the nursing job(F=25.00, p<.001), and preceptor experience(t=-3.44, p<.001)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3.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creativity with respect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linical nurses, age(F=2.61, p=.036), satisfaction with the nursing job(F=26.83, p<.001), and preceptor experience(t=-2.18, p=.031)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4.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nursing professionalism with respect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linical nurses, satisfaction with the nursing job(F=63.42, p<.001) and preceptor experience(t=-2.80, p=.006)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5. As a result of analyzing differences in nursing competency with respect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linical nurses, age(F=5.40, p<.001), marital status(t=-2.90, p=.005), final level of education(F=3.30, p=.038), clinical work experience(F=5.52, p<.001), satisfaction with the nursing jobs(F=36.66, p<.001), and preceptor experience(t=-4.34, p<.001)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6. In terms of the correlations between nursing competency and the predictors, all variable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each other. Nursing competency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in the order of innovative behavior(r=.64, p<.001), creativity(r=.62, p<.001), and nursing professionalism(r=.62, p<.001). 7. Factors affecting nursing competency of clinical nurses were innovative behavior(β=.30, p<.001), nursing professionalism(β=.26, p<.001), satisfaction with the nursing jobs(β=.23, p<.001), creativity(β=.22, p<.001), and having more than 15 years of clinical experience(β=.11, p=.004), in that order.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variables was 63.1%(F=74.19, p<.001). The results showed that innovative behavior, creativity, and nursing professionalism affect nursing competency. Therefore, to improve the nursing competency of clinical nurs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strategies related to nurses’ innovative behavior, creativity, and nursing professionalism.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provides basic data to support the results. In addition, it is imperative to introduce measures to increase nurses’ satisfaction with the nursing job and develop a step-by-step program that considers clinical experience. Key words: Nurses, Behavior, Creativity, Professionalism, Competency

      • 조리전공 대학생들의 조리실기 선행학습과 전공교육 만족도에 관한 연구 - 4년제 대학생을 중심으로 -

        조은혜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조리전공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입학 전 조리실기 선행학습이 현재 대학교의 조리전공 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조리실기 선행학습 유·무에 따라 전공교육 몰입과 만족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알아봄으로써 향후 전문 조리인력 양성의 발전 방향에 기초 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연구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조리실기 선행학습, 전공교육 몰입, 만족도에 대한 이론과 선행연구를 통한 가설을 설정하고 실증분석을 실시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조리실기 선행학습이 전공교육 몰입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연구결과는 학습 집중력, 학습 통제 및 행동력, 지적 호기심, 학습 흥미 4가지 요인에서 모두 조리실기 선행학습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조리실기 선행학습과 전공교육 만족도와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조리실기 선행학습은 전공교육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셋째, 전공교육 몰입과 전공교육 만족도와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전공교육 몰입 요인 중 학습 집중력, 학습 통제 및 행동력, 지적 호기심은 전공교육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학습 흥미 요인은 전공교육 만족도와 상관관계가 있다고 볼 수 없으므로 가설 3~4는 기각되었다. 이는 현재 대학교 조리실습 교육과정은 심화단계의 커리큘럼이 아닌 단편적 반복실습으로 구성되어 있다. 때문에 학습자들의 학습 흥미가 전공교육 만족으로 이어질 수 있는 교육과정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조리실기 선행학습 기간이 2년 이상일수록 전공교육 몰입 요인들의 평균값이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학습 통제 및 행동력에 있어서 이러한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 조리실기 선행학습 기간이 길수록 조리전공 학생들의 전공교육 몰입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조사대상의 학년과 학습 흥미는 영향관계가 있으나 전공교육 몰입 요인들의 평균값을 보면 전반적으로 1-2학년에서는 증가하고, 3-4학년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학습 흥미에서 이러한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는 전공교육 몰입 요인이 전공교육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여 대학교 조리전공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다른 선행연구와 달리 전공교육 몰입 요인 중에서 학습 흥미는 학년에 따라 그 양상이 다르다는 연구결과에 의의가 있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로 조리실기 선행학습은 전공교육 몰입 및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므로 전공교육 몰입 및 만족도 향상을 위하여 조리실기 선행학습과 연계한 심화단계의 조리실습과 함께 학습자 중심의 교육과정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 Study on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In-advanced Cooking Practice of Culinary Arts Majored Student in University Joe, Eun-Hye Department of Food Service Industry Graduate School of Woosuk University Directed Professor Lee, Bo-So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oking training experience before enrolling in a college on the current cooking performance of college students who are majoring in culinary art, to analyze the effects of such experience on the immersion and satisfaction of studies in major, and to present the direction of educational development for cultivating future professional cook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 theories on the pre-cooking experience, the immersion of major studies, and the satisfaction of major studies are identified and hypotheses regarding this were establish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on the studying, and satisfaction with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bout the effects of pre-cooking experience on the immersion of major studies showed that pre-cooking experience had positive effects on all the four factors; learning concentration, learning control and action power, intellectual curiosity, and learning interest. Second,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re-cooking experience and satisfaction with major showed that cooking traning experience c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positive effects on satisfaction with major. Third, the results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mersion of studying major and satisfaction with major showed that among learning immersion factors, three factors such as the learning concentration, learning control and acting power, intellectual curiosity had positive effects on satisfaction with major. The learning interest foctor. however, was not considered to have correlation with satisfaction with major, so Hypotheses 3 and 4 were rejected. It can be caused from the university cooking training curriculum, which is composed of repetitive training curriculum in the repetitive and fragmentary context, rather than gradually stepwise and intensified curriculum. It is agreed with the results of some researches that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in which learner’s learning interest can lead to satisfaction with major, is needed. Fourth, as cooking training experience period was longer than two years, the mean values of immersion factors for learning major generally increased to higher, and particularly, this phenomenon became preminent in learning control and acting power. So it was considered that the longer the cooking training experience period, the higher was the cooking major student’s leaning immersion. Fifth, it was shown that the college grade and learning interest might influence mutual relationship, but the mean value of immersion factors for learning major generally increased in the freshman and sophomore whereas decreased as school year became to junior and senior and this phenomenon was prominent particularly in learning interest. This research is to grasp whether learning immersion factors have effects on satisfaction with major, and is basic research to be applied to the university cooking major educational curriculum, and this research has significance in that, derived the results that learning interest factors, among other immersion factors, vary depending on school year. Meanwhile, when these results are considered in the context of advance learning theory, in-depth learning of now theories through advance learning was not performed in the cooking major curriculum and limitation of repetitive learning of advance learning was found through this research. Past researches related to advance learning revealed that classes through advance learning and textbook reoranization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students' academin achievement. So the enhancement of cooking training contents and methods that are currently being applied to the students of the senior classes and the textbook reorganization is need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 that cooking training experience has effects on the immersion of learning major and satisfaction with major, an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ogether with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egrams where the educational curriculum for cultivation professional cook is connected with cook training experience, the development of cooking major curriculum which maintains continuously the student' learning immersion and leads to satisfaction with major is considered necessary.

      • 퇴원교육이 만성 폐쇄성 폐질환자의 증상경험 및 자가간호 수행에 미치는 효과

        조은혜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Effects of a Discharge Education on Symptom Experience and Compliance with Self-Care Among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Jo Eun Hye Advisor : Seon Young Hwang, Ph.D. RN Department of Nursing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discharge education on the degrees of symptom experience and compliance with self-care among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COPD). Methods: This study adopted a quasi-experimental control group pre-and post-test design. A total of 67 patients who were hospitalized for COPD management were recruited from in-patient units of a hospital from August to November, 2010. Approval for research proposal was obtained from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of the hospital. Thirty five patients each were assigned 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A 40-minute length one-to-one education using an education chart and a booklet was administered to experimental group and included the managements of COPD symptoms and daily self-car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used and data from control group were obtained in advance to the data of experimental group. Data for post-test was collected at the time of visiting outpatient clinic after 1 month among experimental group.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PC version 17.0. Results: Average age of the subjects was 67.43(±10.24) and 90% of the subjects had a middle school graduation or lower. The degree of symptom experience after 1 month among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ne of control(t=3.39, p=.001). In addition, the degree of self-care compliance among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ne of control group(t=-38.13, p<.001). All subcategories of a self-care compliance were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except oxygen use. Conclusion: One-to-one discharge education was effective in decreasing a symptom experience and increasing a compliance with self-care, and should be continuously provided to the patients with COPD.

      • 아동의 음악적 성취감을 위한 테크놀로지 도구의 활용 사례연구

        조은혜 동의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Music education has developed tremendously over the past 100 years, and the schools are already using the computer in each classroom. On the other hand, in Oh So-young (2015) 's doctoral dissertation (p.5), although there are many recognitions of the effectiveness and importance of technology, there are not many piano teachers who utilize technology tools effectively in piano education and continued saying that a variety of piano learning methods using technology tools can improve comprehensive musicality. Today's children are exposed to many applications and computers on cell phones. The use of technology tools for such children is sufficient to inspire children in piano education. Therefore, the researcher discovered and developed musical talents that were latent in the children's musical interests so that they could play with a sense of achievement and confidence. First, as a research method, the children played with MP3 file with the textbook. This case is very suitable for children who are new to the piano. Children who do not know the simple rhythm and beat can learn the rhythm and beat by playing along with popular music. Second, after a certain period, children desire to play their favorite songs. To satisfy this desire, children can enjoy the popular music they want together with teachers, and if there was a textbook in the first study, in the second study, the researcher made the sheet music, or the music that is well copied and the children read it and learned to play them. At that moment, the children gain satisfaction through the experience of being a real accompanist of his favorite song singer and at the same time gain confidence. However, children who could not play at the tempo of the original song may feel lost or abandoned through the experience of failure, so the researcher arranges the score easier, and by adjusting the tempo, the children did not give up and finish to the end to let them feel the accomplishment and gain confidence. Third, passive children, unlike the children in the second case, had difficulty in actively talking about the songs they wanted to play and the second intervention was a burden for them. Some students did not even challenge because of the vague idea that it would be just difficult. The researcher selected a textbook called "Jazz Prelude Piano Recipe", which was arranged for children's beginner and intermediate levels. This book made the children to check the model performances and drum beats with QR codes. The researchers helped the children experience the band performance by creating a piece of music through logic or cue bass to give the children a feel of a real band. This experience gave children a sense of confidence. After some time, the children were able to say the tempo he or she wants, and either the melody or the bass should be removed from the music and eventually the children were able to play on their own without depending on the music. Fourth, the application iReal Pro™ was used for children playing standard jazz songs. This app lets them to set drum rhythm, tempo, key freely, and let them experience the “real band” playing experience as if they were playing with professional performers. These methods were able to naturally attract children's interests and incentives to beginner and intermediate children. Also, as they practiced, they learned which part was not good, and they develope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rough the process of finding and practicing the part for themselves. As a result, everyone was able to realize the improvement of their skills by watching video clips of their own. The practice with the music removed the simplicity of the song, and many children have gained better ears and sensitivity to the sound of music. The children used various methods of research, so they showed satisfaction and confidence in their performance after shooting the video clips as the last step. When the children liked their performances, they wanted their parents to confirm their performances so that they could be praised. A stronger sense of accomplishment was seen after showing their finished song to others and when they practiced a new song, they got more excited and active. Also, children who have experienced this confidence, expectation, and accomplishment have achieved good results through the competition and often reached self-fulfillment as well. This could be a critical step for some children in determining their careers. 현재 음악교육은 100년 이상의 세월을 통해 많은 발전을 이루었고, 이미 학교에서는 각 교실에 있는 컴퓨터를 이용해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에 반해 오소영(2015)의 박사 논문(p.5)에서는 테크놀로지의 효과와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음에도 피아노 교육에 있어서 테크놀로지 도구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피아노 교사는 많지 않다고 하며, 테크놀로지 도구를 활용한 피아노 학습방법을 통해 포괄적인 음악성을 향상할 수 있다고 했다. 현시대 아동들은 핸드폰의 애플리케이션이나 컴퓨터에 많이 노출되어 있다. 이런 아동들에게 테크놀로지 도구의 활용은 피아노 교육에서 흥미를 유발하기 충분하다. 이에 연구자는 음악적 흥미를 느끼고 있는 아동의 내면에 잠재되어있는 음악적 재능을 발굴하여, 개발하고 발전시켜 연주함으로 성취감과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첫 번째, 교재와 함께 제작된 음원과 함께 연주했다. 이 경우는 피아노를 처음 접하는 아동들에게 매우 적합하다. 단순하지만 리듬과 박자를 모르는 아동들은 음원과 함께 연주함으로 리듬과 박자를 익힐 수 있다. 두 번째, 어느 정도의 기간이 지나면 아동들은 자신이 좋아하는 곡들을 치고 싶은 욕구가 생긴다. 이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아동이 원하는 곡의 음원을 함께 감상하며, 첫 번째 연구에서 교재가 있었다면, 두 번째 연구에서는 연구자가 악보를 만들거나, 또는 카피가 잘 되어있는 악보를 보고 익혀 음원과 연주하게 한다. 그럴 때 아동은 좋아하는 노래 가수의 실제 반주자가 된 듯한 경험을 통하여 만족감을 얻고 동시에 자신감도 가지게 된다. 하지만 원곡의 빠르기에 맞춰서 연주할 수 없는 아동들은 실패의 경험을 통해 상실감에 빠지거나, 포기할 수 있으므로 연구자는 악보를 쉽게 편곡하기도 하고, 빠르기 조절을 통해 모든 아동이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완주함으로 성취감과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했다. 세 번째, 소극적인 아동들 즉 두 번째의 경우와 달리 자신이 치고 싶은 곡을 적극적으로 말하기 어려워하는 아동들은 두 번째 방법의 곡들에 대한 부담감을 가지고 있었다. 그들은 어려울 것이라는 막연한 생각 때문에 도전조차 하지 않는 학생들도 있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아이들의 초급, 중급 수준에 맞게 편곡이 된 “재즈 소곡 피아노 레시피”라는 교재를 선택하였다. 이 교재에는 모범연주와 드럼 비트를 QR 코드로 확인할 수 있게 하였다. 연구자는 이 교재의 곡들에 실제 밴드의 느낌이 나도록 로직이나 큐베이스를 통해 음원을 만들어 아동들에게 밴드연주를 경험할 수 있도록 도왔다. 이런 경험은 아동들이 자신감을 가지게 되는 계기가 된다.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고 나면 아동이 자신이 원하는 빠르기를 말하기도 하며, 음원에서 멜로디를 빼거나, 베이스를 빼내어 음원에 의존하지 않고 아동 스스로 연주할 수 있게 된다. 네 번째는, 스탠다드 재즈곡을 연주하는 아동들을 위해 애플리케이션 iReal Pro를 사용하였다. 이 애플리케이션은 드럼 리듬, 빠르기, 조성(Key) 설정이 자유로우며, 전문연주자들과 같이 연주하는 듯한 연주 경험을 하게 해 준다. 이러한 방법들은 초급, 중급의 단계인 아동들의 흥미와 동기유발을 자연스럽게 끌어낼 수 있었다. 또한, 연습하면서 자신이 어느 부분이 잘 안 되는지를 알게 되어 스스로 연습할 부분을 찾아 연습하는 과정을 통해 자기 주도 학습능력이 길러졌다. 이로 인해 점차 실력이 향상되었다는 것은 누구나 동영상 확인을 통해 알 수 있었다. 음원과 함께 연습함으로 곡의 단순함을 없애주고, 다수의 아동은 좋은 음감의 귀를 가지게 되었다. 아동들은 연구방법 중 다양한 방법들을 연구자가 활용하므로 마지막 단계인 동영상 촬영 후 본인의 연주결과에 대한 만족감과 자신감을 드러내었다. 아동들은 자신의 연주가 마음에 들었을 때는 부모님들에게 자신의 연주를 확인하도록 해서, 부모님에게 칭찬을 듣고 싶어 하였다. 완성된 곡에 대한 자신감은 다른 사람에게 보여줌으로 더욱더 강한 성취감을 나타나게 되고, 새로운 곡을 연습하게 될 때 기대감이 생기고 더 적극적인 모습으로 연습에 임하게 되었다. 이러한 자신감과 성취감을 경험해 본 아동들은 콩쿠르를 통해 좋은 결과를 낳았으며 자아 성취감에 도달하기도 한다. 이는 어떤 아동에게는 진로를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기도 한다. 마지막으로 질적 연구의 삼각 검증법으로 참여자와 비참여자, 전문가들의 인터뷰를 하였다. 참여자인 아동들과 인터뷰를 한 결과 아동들은 자신이 치고 싶었던 곡을 완성했을 때, 다음 곡에 대해 어려울지라도 극복할 마음의 준비를 하게 되었고, 본인이 연주곡을 정할 정도의 자신감을 드러내었다. 비참여자인 학부모들에게 인터뷰한 결과 음원이라는 자료를 소장할 수 있어 좋으며, 동영상을 통해 아동들의 성장 과정을 한눈에 볼 수 있어 하나의 추억거리로 만들어 준 것에 대해 만족한다고 하였다. 그리고 곡을 완성한 동영상들은 부모로서 자랑스러워했다. 또한, 콩쿠르라는 테스트 현장에서도 우수한 결과들을 낳아 테크놀로지의 도구를 사용함으로 긍정적인 결과들을 입증할 수 있었다. 전문가들과의 인터뷰에서도 어린 아동들에게 리듬적인 부분을 체계적으로 가르치는 것이 어렵지만 중요하다고 했다. 연구자의 연구방법 활용에 따라 음악적 스타일을 만들어 내며 음원과 함께 연주하며 합주경험을 할 수 있으니 좋은 교육방법이라 했다. 그리고 앞으로 더 발전하여 리하모니제이션(Reharmonization), 즉흥연주(Improvisation), 편곡(Arrange)등의 요소들을 아이들에게 체계적으로 가르치길 바란다고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많은 음악 교육가들이 테크놀로지 도구에 관심을 가지고 배우고 익혀 활용되길 바라며, 앞으로 리하모니제이션(Reharmonization), 즉흥연주(Improvisation), 편곡(Arrange) 등의 창의적인 요소들을 체계적으로 아동들에게 가르치는 교육방법들이 많이 나오길 기대해 본다.

      • 경도치매환자의 사회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경로분석

        조은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hypothetical path model for social participation in mild dementia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function, activity daily living(ADL), health status, depression,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BPSD), social support, education level and economic status that are influencing social participation. In total, 101 participants aged more than 65 with dementia in the mild phase(0.5≤CDR≤1) and their caregivers (family and welfare service providers) were recruited. Social participation as Korean-Activity Card Sort(K-ACS), cognitive function as MMSE-DS, ADL as Alzheimer's Disease Cooperative study-Activity Daily Living inventory(ADCS-ADL), health status as Euroqol-5 Dimension-5 Level(EQ-5D-5L), depression as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Korea(GDSSF-K), BPSD as Neuropsychiatric Inventory Questionnaire(NPI-Q), social support as Social Support Measuring Tool were assessed. Socio-demographic information including education level and economic status was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 made by researcher. SPSS version 22.0 and AMOS version 20.0 was used to analysis the collected data. On the final path model of social participation in mild dementia, ADL was direct factor and had biggest total effect on social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was indicted direct factor to social participation and depression. Cognition was identified to be mediated by ADL to have an indirect path to social participation. Depression has direct path to cognition but was not identified to be mediated by cognition to have an path to social participation. Health status was identified to be mediated by ADL to have an indirect path to sicial participation and has direct path to depression. Education has indirect path to social participation by cognition. BPSD and economic status was deleted from final model as path coefficients has not significant impac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s the direct and indirect relationships among factors affecting social participation and verifies the multidimensional effects. According to the results, it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efficient programs in th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to increase the social participation of mild dementia living in the community. 본 연구는 경도치매환자의 사회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인지기능, 일상생활활동수준, 건강상태, 우울증상, 정신행동증상, 사회적지지, 교육수준, 경제적 수준간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 가설 경로모형을 설정하고 모형의 적합성을 검증하여, 경도치매환자의 사회참여에 대한 최종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만 65세 이상이며, 치매임상평가척도 (CDR) 평가 시, 0.5점 이상 1점이하인 지역사회 거주하고 있는 노인 101명과 그의 가족 또는 간병인 (복지서비스 제공자) 101명이였다. 대상자들의 사회참여는 한국형 활동분류카드(Korean-Activity Card Sort; K-ACS), 인지기능은 치매 선별용 간이정신상태검사(Mini-Mental State Examination-Dementia Screening; MMSE-DS), 일상생활활동 수준은 알츠하이머 치매 공동연구회 - 일상생활수행평가(Alzheimer's Disease Cooperative study-Activity Daily Living inventory; ADCS-ADL), 건강상태는 EQ-5D-5L(Euroqol -5 Dimension-5 Level), 우울증상은 한국판 단축형 노인 우울척도(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Korea; GDSSF-K), 정신행동증상은 신경정신행동검사 설문지(Neuropsychiatric Inventory Questionnaire; NPI-Q), 사회적지지는 사회적지지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교육수준과 경제적 수준을 포함한 인구사회학적 정보는 연구자가 작성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정보는 SPSS Version 22.0와 AMOS 20.0 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경도치매환자의 사회참여에 대한 최종 경로모형에서 일상생활활동 수준은 사회참여에 가장 큰 총 효과를 나타냈고, 경도치매환자의 사회참여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사회적지지는 사회참여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직접경로를 나타내었고, 우울증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경로 또한 나타났다. 인지기능은 일 상생활활동 수준을 매개로 사회참여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 수준은 인지기능에 직접적인 경로를 나타냈으나 매개로 하여 사회참여에 간접적인 경로는 나타내지 않았다. 건강상태는 일상생활활동 수준을 매개로 하여 사회참여에 간접경로를 나타냈다. 또한 우울증상에도 영향을 주는 직접경로도 확인되었다. 교육수준은 인지기능을 매개로 하여 사회참여에 간접적인 경로를 나타내었다. 정신행동증상과 경제적 수준은 경로계수가 유의하지 않아 최종 경로모형에서는 제외되었다. 이 연구는 경도치매환자의 사회참여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의 직간접적 관계를 파악하고, 사회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다차원적 효과를 검증하였다는데 의미가있다.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경도치매환자의 사회참여를 증진시키기 위한 예방과 중재 접근 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보다 효율적인 프로그램을 구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의사소통중심 교수법을 이용한 교실수업 연구

        조은혜 부산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in a middle school and to evaluate the improvement of self-confidence and the learners' interests towards learning English.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according to following procedures: (1) In the middle school, the 4 classes were chosen. Two of them are the control group and the other two are the experimental group. (2) One group of the classes was taught an experimental lesson to improve their communicative competence while the control group was taught a standard way like focusing on the knowledge of the language. (3) To find out degree of improvement of affective, the tests were evaluated twice before and after the activity. Tests were asked by using questionnaires about learners' interests and self-confidence regarding learning English. (4) Collected data of this study include analyses of questionnaires and an interview with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considerable number of participants have made a positive change their self-confidence and interest in learning English. Second, the study also showed that it is increased students' motivation, participation and achievement. Third, It had great effect keeping up the students' interest and attitudes toward learning English. Fourth, before the study, most students hesitated because they feared they must speak perfectly. At the end of the study, however, that attitude disappeared. These facts suggest that the affective aspect of learning English affects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ve competence in four skills: speaking,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 부모의 정서조절곤란과 청소년의 정서조절곤란의 관계: 부모의 정서무효화의 역할

        조은혜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청소년과 그들의 부모를 대상으로 부모의 정서조절곤란과 청소년의 정서조절곤란의 관계에서 부모의 정서무효화의 역할은 어떠한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에 소재한 중,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남여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1, 2학년 총 299명과 그들의 학부모인 아버지 213명, 어머니 202명을 대상으로 정서조절곤란 척도와 정서무효화 척도를 측정하였다. 청소년은 본인의 정서조절곤란과 본인이 지각한 부모의 정서무효화에 대해 자기보고식 설문지에 응답하였으며, 부모는 본인의 정서조절곤란에 대해 자기보고식 설문지에 응답하였다. 부모의 정서조절곤란의 경우, 전체 집단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문제가 있는 집단을 선별하기위해, 상위 50%의 집단을 선별하여 총 아버지 108명, 어머니 101명의 자료를 최종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성별에 따른 집단 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부모의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본 결과, 아버지가 어머니보다 정서조절곤란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하위요인으로는 아버지가 어머니보다 충동통제곤란, 정서조절전략의 접근제한, 목표지향행동 수행의 어려움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정서조절곤란 및 정서무효화와 청소년의 정서조절곤란의 상관분석결과, 아버지의 정서조절곤란은 아버지의 정서무효화, 청소년의 정서조절곤란과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그리고 아버지의 정서무효화는 청소년의 정서조절곤란과 어머니의 정서무효화와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어머니의 정서무효화는 청소년의 정서조절곤란과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셋째, 부모의 정서조절곤란이 청소년의 정서조절곤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아버지의 정서조절곤란은 청소년의 정서조절곤란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어머니의 정서조절곤란은 청소년의 정서조절곤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부모의 정서무효화가 청소년의 정서조절곤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부모의 정서무효화 경향이 높을수록 청소년의 정서조절곤란도 높아졌다. 다섯째, 부모의 정서조절곤란이 청소년의 정서조절곤란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무효화의 매개효과를 알아본 결과, 아버지의 정서무효화는 아버지의 정서조절곤란이 딸의 정서조절곤란에 미치는 영향에서 완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아버지의 정서조절곤란은 딸의 정서조절곤란에 직접적인 영향뿐만 아니라 정서무효화를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아버지의 정서조절의 어려움이 많을수록 아버지의 정서무효화 경향이 높아지고, 아버지의 정서무효화를 많이 경험한 딸의 정서조절도 어려워진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아버지의 정서조절곤란과 딸의 정서조절곤란의 관계에서 아버지의 정서무효화를 통해 정서조절곤란이 전이되는 기제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부녀지간의 정서사회화 과정의 중요성이 시사되며, 정서무효화의 역할을 밝힘으로써 앞으로 아버지의 양육의 개입에 대한 방향을 제공해 줄 수 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연구에 대한 제언 등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