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가톨릭 신학생들의 분노 실태에 관한 연구 : 광주 가톨릭 대학교를 중심으로

        최현철 광주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79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find out the Catholic seminary students' anger management status and the method of solution. First, what is it like for catholic seminary students to express their anger and the feelings of anger? Second, what are the anger releasing methods for catholic seminary students? To find out the answers to these questions,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and 117 students in Gwangju Seminary participated in the survey. 115 answer sheets out of total collected ones are used for the study. The materials collected for the study are analyzed statistically using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for Windows 12.0 to examine the frequency and differences. These are the results proven through analysis of the materials. The subject 1 of the study is to examine how catholic seminary students' feeling of anger is and what the expression of their anger is. First, as the result of studying the catholic seminary students' the feeling of anger through three sub-variables (aggressive feelings of anger, passive feelings of anger, claiming anger emotion), most of the students who are intending to be priests control their anger emotions well. It shows that seminary students have a passion to be models in communities by following Christ's teaching; seeing the world through God's eyes. Second, as the result of studying the catholic students' anger emotions through three sub-variables (aggressive feelings of anger, passive feelings of anger, claiming anger emotion), most of the seminary students appear to express their angers properly. It shows that because seminary students have been well trained in every area such as sexuality, personality, moral characters, intellectual characters and spiritual characters with special education, they express their angers in positive ways rather negative ways with care and warm perspectives toward the world and neighbours. The subject 2 of the study is to find out how seminary students release their angers. First, as the result of general examination of the way that seminary students use to release their angers, the students appear to use various ways of releasing their angers. They especially release their angers through communication to express their situations and to let others understand them and to be empathetic. Second, by studying the religious aspect of how they release their angers, most of the students control their angers through conversation with fellow seminary students, eucharist adoration and prayers. The students who have the specific mission to be priests try to handle their high emotions through the conversation with God. The result of the study suggests these as follows. Seminary students experience various negative emotions including anger. Therefore it needs to be studied and given attention to in which situation they experience angers and how they express them. There is a need to have the right education that angers which students feel is not necessarily negative. Since most of seminary students have a tendency to perceive high emotions, angers, hot-tempers, harsh words and cussword as sins, it requires concrete efforts to have right and healthy lives through spiritual life, communicative life and sacramental life. It is necessary to help seminary students to express their angers in a healthy way. Anger is considered as one of the seven original sins in the traditional church teaching. However beyond the perception of anger, it is necessary to teach that anger is from God and it is a natural emotion. Through this, the environment which seminary students can express their angers in a healthy way in their spiritual and religious lives can be created. Lastly not only the spiritual counselling but also psychological counselling is needed. Most of the students have a tendency to solve their anger problems through spiritual level. It is needed to have a system with specialized counselors to support and counsel them with daily unstable emotions such as depressions, anxiety, low self-esteem, jealousy and so on. 본 연구는 가톨릭신학생들의 분노 실태와 분노를 해소하는 방법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크게 두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가톨릭 신학생들의 분노 정서와 분노 표현은 어떠한가? 둘째, 가톨릭 신학생들의 분노 해소방법은 어떠한가?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연구문제의 규명을 위하여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모두 117명의 신학생들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그리고 수집된 설문지 가운데 최종적으로 115명의 응답 내용을 본 연구에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for Window 12.0을 활용하여 통계 처리하여 각 설문에 대한 빈도분석과 차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을 통해 나타난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연구의 연구문제 1은 가톨릭 신학생들의 분노 정서와 분노 표현은 어떠한가를 조사하는 것이었다. 첫째, 가톨릭 신학생들의 분노 정서를 3가지 하위 변수(공격적분노정서, 소극적분노정서, 주장적분노정서)를 통해서 알아본 결과, 사제직을 희망하는 신학생들이 대부분 자신의 분노정서를 잘 다스리고 있음이 나타났다. 이는 신학생들이 이웃과 형제를 사랑하라는 그리스도의 가르침을 통해 하느님의 시선으로 세상을 바라보며 타의 모범이 되고자 하는 열망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가톨릭 신학생들의 분노 표현을 3가지 하위 변수(분노표출, 분노억제, 분노통제)를 통해서 알아본 결과, 대부분의 신학생들이 자신의 분노 표현을 적절하게 표현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이는 신학생들이 신학교의 특수한 교육을 통해서 성, 인성, 덕성, 지성, 영성 등 모든 분야를 통해 양성되어지고 있기에 이웃과 형제들에게 자신의 감정 표출이 부정적이기 보다 긍정적인 표현으로 상대방을 배려하며 세상과 이웃을 보다 따뜻한 시각으로 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연구의 연구문제 2는 가톨릭 신학생들의 분노 해소 방법은 어떠한가를 조사하는 것이었다. 첫째, 가톨릭 신학생들이 분노가 나는 상황에서 어떻게 해소하고 있는지 일반적인 해소방법으로 조사한 결과, 신학생들은 분노를 다양한 방법으로 해소시키고 있음이 나타났다. 특히 대화라는 창구를 통해 자신의 처지를 밝히고 상대방이 자신을 이해하고, 공감해주는 마음을 통해서 분노를 해소시키고 있음이 나타났다. 둘째, 가톨릭 신학생들이 분노가 나는 상황에서 어떻게 해소하고 있는지 종교적인 해소방법으로 조사한 결과, 대다수의 신학생들이 분노를 해소함이 있어 동료 신학생과의 대화, 성체조배, 기도를 통해서 자신의 분노를 조절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무엇보다 사제직이라는 특수한 사명의식을 지닌 신학생들이 자신의 격해진 감정을 타인이 아닌 하느님과의 대화를 통해서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신학생들은 신학교 안에서 분노를 비롯하여 여러 부정적인 감정을 경험하게 된다. 그러하기에 신학생들이 어떠한 환경에서 분노를 경험하며, 표현되고 있는지 구체적인 조사와 관심이 필요하겠다. 또한 신학생들이 느끼는 분노라는 감정이 부정적인 감정만은 아님을 올바른 교육이 필요하겠다. 대다수의 신학생들은 격한 감정, 화, 욱하는 성격, 거친 발언, 욕설 등을 죄로 보려는 경향이 많기에 영성생활, 공동체생활, 성사생활을 통해서 올바르고 건강하게 살 수 있도록 구체적인 노력이 요청된다. 무엇보다 신학생들이 분노를 건강한 방식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분노를 칠죄종의 하나라는 교회의 전통적인 가르침에서 벗어나 분노가 하느님께서 주신 선물이며, 인간의 자연스런 감정임을 지도할 필요가 있다고 여겨진다. 그리하여 신학생들이 신앙생활과 영성생활 속에서 분노를 건강하게 표현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분노해소를 위해 영적인 상담뿐만 아니라 심리적인 상담도 필요하다는 것이다. 대다수의 신학생들이 신앙적인 차원에서 분노를 해소하려는 경향이 많기에 전문적인 심리상담사를 통해서 분노 감정뿐만 아니라 일상생활 속에서 자주 느낄 수 있는 우울, 불안, 자존감, 시기, 질투 등과 같은 불안정한 감정도 상담해주고 지원해주는 제도적인 장치가 마련되어야 하겠다.

      • 사제 양성에 대한 영성신학적 고찰 : 복자 앙트완느 슈브리에 신부의 영성을 중심으로

        정일준 광주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63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history of catholic priestly formation and provide an outlook on its future. It is a spiritual research method in practical theology, which examines the values needed for priestly formation in the Catholic Church in Korea and suggests an ideal direction. Based on its history, we study specifically how the priests have been trained in the universal church and local churches. In addition to this, we study the ministry and spirituality of Father Antoine Chevrier, and, based on this study, go on to suggest a direction for priestly formation in the Catholic Church in Korea. Priestly formation in the universal church was intensively discussed at the Council of Trent and the Second Vatican Council. The priest training process before the Council of Trent was not as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as today. Therefore, many priests, not well educated, were dispatched to the public. This situation caused numerous problems both inside and outside of the churches, thus the Council of Trent was held for reforming the Church. The Council of Trent, with its focus on reforming the Church, became aware of the importance of proper priestly formation and from this point on, interest and effort started to increase. Discussion on Priestly formation began in earnest at the Second Vatican Council. Since then, ‘Honest Poverty’, ‘Service’ and ‘Devotion’ have been considered as important factors to realize the spirit of the Council in a large number of catholic literature. The spirit of priestly formation in the universal church has been seen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church, one of the local churches. In the early days of the Korean church, theology students were sent to seminaries in foreign countries and received commissioned education to be Korean native priests because Korea was a mission frontier where Christians were persecuted. Since the theological seminary was founded in the country, priestly formation in the country has been going above and beyond producing Korean native priests, with its focus now on producing universal priests equipped with ‘Honest Poverty’, ‘Service’ and ‘Devotion’. Finally, the Korean church inherited and followed the spirit of the universal church, the spirit of becoming true disciples of Jesus Christ, and has firmly established the main value of priestly formation. From this point of view, the life and spirituality of Blessed Father Antoine Chevrier (1826 - 1879) who has recently received attention for Spirituality of the Prado, stand as a good example of ‘Honest Poverty’ and ‘Devotion’, the important factors of priestly formation. Father Chevrier’s ministry was completely based on following Jesus Christ. He was deeply touched by Jesus Christ’s complete self-emptiness and poverty, and his faith began on Christmas, 1856. And he defined the whole life of Jesus as the spirituality of ‘Manger’, ‘Calvaria’ and ‘Tabernacle’. Father Chevrier matched ‘Manger’ with ‘a priest being poor with Him’, ‘Calvaria’ with ‘Priest to be a priest being crucified with Him’, and ‘Tabernacle’ with ‘a priest being eaten as Him in the Eucharist’. Based on these three spiritualities, he encouraged fellow priests and taught theological students, and contributed to making them righteous priests who fully follow Jesus Christ as his true disciples. His spirituality stands as a great example for the theological students who are being trained to be priests and for the priests who serve the people of God in the Korean church today. If the spirituality of Father Chevrier is actively applied to the process of priestly formation in theological seminary in the current Korean church, it will help the priests practically live a life of service and devotion as true disciples of Jesus Christ. 본 연구는 가톨릭 사제 양성의 역사를 살피고, 앞으로의 전망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이는 실천 신학을 따르는 영성 연구 방법으로, 한국 교회의 사제 양성에 필요한 가치를 성찰하고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보편교회와 지역교회의 사제 양성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역사적 흐름을 바탕으로 살펴본다. 이어서 슈브리에 신부의 활동과 영성을 살피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 교회의 사제 양성 방향을 제시한다. 보편교회의 사제 양성은 트리엔트 공의회와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서 중점적으로 논의되었다. 트리엔트 공의회 이전의 사제 양성은 오늘날처럼 종합적이고 체계적이지 못했다. 그래서 제대로 교육받지 못한 사제들이 세상에 파견되는 경우가 빈번했다. 결국 교회의 내부와 외부에 많은 문제들이 발생하였고, 교회의 쇄신을 목적으로 트리엔트 공의회가 개최되었다. 트리엔트 공의회에서는 사제들의 쇄신을 위한 올바른 사제 양성에 주의를 기울였고, 이를 기점으로 사제 양성에 대한 관심과 노력이 증가되기 시작하였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서부터 사제 양성에 대한 논의가 본격적으로 진행되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를 시작으로 다수의 교회문헌에서 사제 양성에 있어서 공의회의 정신을 실현하는 중요한 요소를 ‘청빈’, ‘봉사’, ‘헌신’으로 보았다. 보편교회의 사제 양성에 대한 정신은 지역교회인 한국교회의 역사에서도 나타난다. 초기 한국교회의 사제 양성은 ‘선교지역’이라는 특성과 ‘박해’라는 특수한 요인으로 외국 사제 양성 기관에 신학생을 위탁하여 방인(邦人)사제를 양성하는 것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이후 국내에 신학교가 설립되면서, 사제 양성의 방향은 방인사제를 양성하는 차원을 넘어서, ‘사랑, 봉사, 헌신’을 갖춘 보편적 사제를 양성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기 시작하였다. 비로소 한국 교회는 예수 그리스도의 참다운 제자가 되어야 한다는 보편교회의 정신을 계승하고 따르며, 사제 양성에 토대가 되는 주요 가치를 확고히 설정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최근 프라도 영성으로 주목받고 있는 복자 앙트완느 슈브리에(Antoine Chevrier, 1826 - 1879) 신부의 삶과 영성은 사제 양성에 중요한 요소인 ‘청빈’과 ‘헌신’의 본보기가 된다. 슈브리에 신부의 사명은 ‘예수 그리스도를 따름’ 그 자체에 있었다. 그는 예수 그리스도의 철저한 자기 비움과 가난함에 큰 감동을 느끼며 1856년 성탄절에 ‘회심’하게 되었고, 이후 예수님의 전 생애를 ‘구유, 갈바리아, 감실’의 영성으로 정리하였다. 슈브리에 신부는 ‘구유, 갈바리아, 감실’을 각각 ‘청빈한 사제, 못 박히는 사제, 빵이 되는 사제’의 모습으로 연결 지었다. 그리고 3가지 영성을 바탕으로 동료 사제들을 격려하고 신학생들을 가르치며, ‘참다운 제자’로서 예수님을 온전히 따르는 올바른 사제 양성에 이바지하였다. 이러한 슈브리에 신부의 영성은 오늘날 한국교회에서 사제로 양성되고 있는 신학생들과 하느님 백성을 위하여 봉사하는 사제들에게 큰 모범이 될 수 있다. 슈브리에 신부의 영성을 오늘날 한국교회 신학교의 사제 양성 과정에 적극 활용한다면, 사제들이 예수 그리스도의 참다운 제자로서 봉사와 헌신의 삶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아가는데 도움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광주대교구 주일학교 교리교사의 신앙실태와 교육현황 : 광주시내 지구 본당을 중심으로

        이창훈 광주가톨릭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status of faith and the present condition of education of the catechist in a district parish in Gwangju Archdiocese. For this, the following two main research questions were set. First, how is the status of faith of the catechist? Second, how is the present education condition of the catechist? The survey for examination these research questions were carrying out targeting the doctrine teacher in a district parish in Gwangju Archdiocese. 129 doctrine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120 out of 129 responses were used in this study.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for Window 12.0 was used for processing collected data to statistical leverage. The analysis data indicat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Research subject 1 is investigation about the faith status of the catechist. First, as a result of survey, Mass participation rate of the catechist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participation rate of laity. It seems to dutiful behavior as a teacher who should set an example for students. Secondly, catechists' life of faith showed a sign of the polarization. The 'Lord's Prayer', the 'Hail Mary' and the 'Glory be' and the 'grace at meal' were accomplished frequently, comparing with Way of the cross. people seems to considered Way of the cross as a pray for special period, like Lent. On the other hand, research subject 2 is investigation about the present education situation of catechists. Firstly, catechists know the basic doctrine generally. Though teachers are reeducated well, they need an additional retraining. Especially, they want to be reeducated on a parish basis. Through the result of survey about condition of preparing doctrine, Secondly, there are lots of difficulties. They pointed out that lack of common knowledge of doctrine and training support materials is one of the problems. And they selected fellow teacher and pastoral ministry of their own parish as a supporter. Attention of pastoral ministry is needed. Third,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 which is itemized a parish, diocese and district, most of reeducation is conducted by diocese. Respondents wanted that the education of faith is conducted at the parish and the education of lesson plan and of teaching method is conducted at diocese. Recognition about education conducted by district is low and also inexperienced. But the expectation is positive. Ultimat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the new course of basic doctrine and faith education which is aimed catechist is needed. The process from reality realizing to knowing the theory of Catholic doctrine which is ultimately revealed in life is essential for catechist training through long-term plan. This education course can empower the catechists' specialty for faith and doctrine. Second, parish, district and diocese have to set a network.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urvey, education for catechist is converged on diocese. If parish, district and diocese conduct the education by their own characteristics, diocese centered education and be distributed and professional education can be provided. Also doctrine teachers' satisfaction and participation will be increased. The diocese officer and pastoral ministry of parish should not overlook the importance of faith life and education of catechist. 본 연구는 광주대교구 광주 시내 지구 본당의 주일학교 교리교사의 신앙실태와 교육현황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크게 두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교리교사들의 신앙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교리교사들의 교육현황은 어떠한가?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연구문제의 규명을 위하여 광주시내 지구 본당의 교리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모두 129명의 교리교사들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그리고 수집된 설문지 가운데 최종적으로 120명의 응답 내용을 본 연구에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for Window 12.0을 활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자료 분석을 통해 나타난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연구의 연구문제 1은 교리교사들의 신앙실태를 조사하는 것이다. 첫째, 교리교사들의 미사참여 실태를 조사한 결과 일반 평신도에 비해서 미사참여 비율이 상당히 높았다. 이는 학생들에게 신앙의 모범을 보여야 하는 교리교사로서 의무를 다하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교리교사들의 신앙생활은 양극화 현상을 보였다. 보편적으로 이루어지는 주모경, 식사기도 등은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십자가의 길은 상당히 낮은 비율을 보였다. 이는 특별 시기인 사순시기에 이루어지는 기도라는 인식이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한편 본 연구의 연구문제 2는 교리교사들의 교육현황을 밝히는데 있다. 첫째, 교리교사들의 기초교리의 실태를 조사한 결과 대체로 알고 있다고 조사되었다. 하지만 기초교리에 대한 재교육은 대체로 잘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이나, 교사들은 그 재교육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다. 특히, 본당차원에서 그 교육이 이루어지기를 원했다. 둘째, 교리교사들의 교리준비의 실태를 조사한 결과 교리준비 시 어려운 점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리 상식과 교육 보조 자료의 부족을 언급하였다. 그리고 그들에게 도움을 주는 대상으로 동료 교사와 본당 사목자를 선택하였다. 사목자들의 관심이 요구된다. 셋째, 교리교사들의 본당, 교구, 지구별 교육의 실태를 조사한 결과 대부분의 교사교육은 교구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신앙교육은 본당에서, 교안교육과 교리 교수방법은 교구에서 이루어지기를 원했다. 지구별 교육에 대해서는 교사들의 인지도와 경험도가 낮았다. 하지만 교육에 대한 기대는 긍정적이었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교리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기초교리교육과 신앙교육의 새로운 과정이 필요하다. 장기적인 계획을 통한 교리교사 양성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현실의 진단에서부터 가톨릭 교리에 대한 이론 그리고 그 이론이 삶으로 드러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교육과정을 통해서만이 교리교사들의 신앙과 교리에 대한 전문성을 키워줄 수 있다. 둘째, 본당과 지구 그리고 교구의 네트워크 형성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교리교사 교육은 교구에 집중되어 있었다. 하지만 본당과 지구 그리고 교구가 각자의 특성에 맞게 교육을 실시한다면, 교구에 집중되었던 교육이 분산되어 전문적인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당과 지구 그리고 교구가 각자의 특성에 맞게 교육이 실시된다면, 교리교사들의 교육의 참여도와 만족도가 높아질 것이다. 교구의 담당자들과 본당 사목자는 교리교사들의 신앙생활과 교육의 중요성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으로 판단된다.

      • 가톨릭 청소년의 게임중독 실태 조사 연구 : 광주 대교구 가톨릭 청소년을 중심으로

        성종명 광주가톨릭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가톨릭 청소년들의 게임중독 실태와 게임으로 인해 실생활에 어떠한 영향을 받고 있는지를 조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선 이론적 연구를 통하여 청소년기의 중요성과 청소년기에 대한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고 실질적으로 가톨릭 청소년들의 게임중독 실태와 게임 이용으로 인해 실생활에 받는 영향들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 조사 연구를 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와 다른 선행 연구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가톨릭 청소년들의 일반적 특성, 게임 이용, 학업/업무, 사회성, 생활면, 금단 현상에 걸친 41개의 질문을 바탕으로 한 통계를 분석하고, 다음의 두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가톨릭 청소년들의 게임중독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가톨릭 청소년들의 게임으로 인해 실생활에 받는 영향은 어떠한가?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연구문제의 규명을 위해 광주대교구 내에 있는 광영동, 금호동, 대성동, 동산동, 두암동 본당에 중 · 고등부 주일학교를 다니고 있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모두 220명의 가톨릭 청소년들이 조사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for Window 10.0을 활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이러한 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하여 본 논문의 전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제 1장에서는 서론 부분으로 연구의 필요성, 연구의 목적, 연구 문제, 연구의 범위 및 한계를 기술함으로써 본 연구의 전체적인 방향성과 틀을 제시하였다. 제 2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을 알아보기 위한 장으로 청소년기에 대한 심리학적 이론들을 토대로 청소년기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시도하였고, 청소년과 포스트모던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제 3장에서는 연구 방법 부분으로 가톨릭 청소년들의 게임중독 실태와 가톨릭 청소년들이 게임으로 인해 받는 실생활에서의 영향들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선택한 설문 조사의 대상, 조사 내용, 자료 수집 및 자료 처리 방법을 소개하였다. 제 4장에서는 연구 결과 및 분석 부분으로 최종적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의 게임중독 실태를 다음의 6가지 차원으로 나누어 이를 구체적으로 서술하였다. 조사 대상에 대한 1) 일반적 특성, 게임중독을 알아보기 위한 2)게임 이용 수준, 게임으로 인해 받는 실생활의 영향을 3) 학업/업무, 4) 사회성 5) 생활면, 6) 금단 현상. 제 5장에서는 연구에 대한 논의 부분으로서 본 연구자가 자료의 분석을 통해 나타난 연구의 주요 핵심적 결과에 근거하여 전체적인 맥락에서 각 부분별 실태, 문제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바람직한 방향성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마지막으로 제 6장은 결론 및 제언 부분으로서 논문 전체에 대한 요약을 하면서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론을 서술하였으며, 또한 차후의 보다 효과적이고 실질적인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으로 마무리 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of catholic teenagers' game addiction and how it affects their real life. First of all, I have searched the importance 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adolescence in theory and conducted a survey in order to check the actual condition of catholic youth' game addiction and how it affects their real life. Also,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other previous studies. After analyzing statistics, I set two research issues based on data. The questionnaire is composed of 41 items, and it covers youth's general characters, the use of game, academic/business, sociality, living patterns, and withdrawal symptoms. At first, what is current situation of catholic teenagers' game addiction? Second, how does the game affect catholic youth's real life? Therefore, in order to examine the issue, the survey was carried out among 220 students at Kwangyoung, Kumho, Daesung, Dongsan, Duamdong in archdiocese of Gwangju. For analyzing collected data, SPSS 10.0 program was employed, and the overall contents are as follows. Chapter 1 is an introductory section. By describing research needs, research objectives, research questions, and scop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the overall direction and framework for this study are presented. Chapter 2 describes correct recognition of adolescence on the basis of psychological theories. Also the relation between the youth and postmodernism is covered in this chapter. Chapter 3 is research methods section. The subject of surveys, survey information, data collection and data processing method are introduced. It is prerequisite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of catholic teenagers' game addiction and how it affects their real life in more specific. Chapter 4 is the part of research product and analysis. The status of research subjects is described as follows. Divided into 6 parts: 1)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search subjects 2) the level of using game to judge for a game addiction 3) study or task, these are an indicator how game addiction affects real life 4) sociality 5) a way of life 6) withdrawal symptoms. Chapter 5, the part of discussion, shows the right direction that is based on the core result to solve problems in the overall context. Finally chapter 6 gives a conclusion and a brief summary. Also, more effective and practical follow-up research is introduced.

      • 광주지역 가톨릭 도입과정과 노안 본당의 역사 : 노안 본당 100년사

        김경욱 광주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63

        No-ahn parish (old Gye-ryang parish church), which was established in 1908, is the oldest parish church second to the Sanjung-dong parish (old Mok-po parish) established in 1897, and is a parish with long history enough to celebrate an anniversary mass for the 100th in 2008. However, there is a lack of historical data to shed new light on the historical value of No-ahn parish, and even the existing data are actually disappearing due to the inadequate storage. Therefore, the necessity of collecting and organizing data related to No-ahn parish has been brought up consistently in the diocese. A review on the history of No-ahn parish is an examination of the primary images of the archdiocese of Gwang-ju beyond simply revealing the historical facts of a parish itself. Because No-ahn parish is where the archdiocese of Gwang-ju strengthened itself basing on developing into the present condition and it is a local foundation that could make diocese into the present position. Economic and educational situation of No-ahn was poor because it locates geographically in the suburb of Na-ju and agriculture were considered as a primary industry. Contrary to the this poor situation, the fact that the seeds of the gospel were sown and reared this evangelical local community gives us a meaningful message. Not only that, but how they maintained a religious belief in various historical circumstances over 100 years gives a high historical value. The historical values of No-ahn parish are as follows. First, it was established and has been maintained since Jo-seon diocese periods till the jurisdiction was transferred to the establishment of Dae-gu archdiocese, and once again belonged into the archdiocese of Gwang-ju, as like No-ahn Parish experienced and encountered changes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 Secondly, the No-ahn parish, which was established in 1908 experienced the First and Second World War and vacancy of a parish priest during the Korean War, and has maintained faith, even when the number of inhabitants decreased due to the farm-abandonment phenomenon in 70~80’s. This fact that the No-ahn parish affrontedmany historical changes would be historically valuable. Thirdly, as they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spreading Catholicism in Gwang-ju area, they paved the foundation for the people of Jeollanam-do province, where it once was a barren wilderness of catholicity, to be expanded as today. Fourthly, they are maintaining the existence as an extraordinary catholic village of the archdiocese of Gwang-ju, and they can be established as a model of belief in the diocese. Fifthly, the edifice itself can be considered as a representative of the auditorium-typed Western catholic architecture among churches which were constructed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and has a historical value as the first Catholic church around Gwang-ju in the regional point of view.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the situations of Jeollanam-do and process of establishment until the No-ahn parish was constructed, and investigated difficulties how the priests went through in evangelizing during the Second World War and the Korean War. Also, this study will research efforts how No-ahn parish made to spread the Gospel around the regional community through education projects, and how No-ahn parish is maintaining evangelical community with the village community and living today. And this thesis also tries to get a useful for those whom live today. Specially, in regards to the founding year of the parish, this study will investigate Father Noh Jacob’s argument that the parish was established in 1895, and tries to insist that the No-ahn parish was constructed in 1908 by criticizing his argument providing truth worthy data. However, in spite of the trial to collect all related materials on No-ahn parish for this research, the collected data was far from sufficient. Therefore, I, personally, hope and pray for being supplemented through studies by church and the academic sphere in the future. 노안 본당(옛 계량 본당)은 광주대교구에서 1897년에 설립된 산정동 본당(옛 목포 본당) 다음으로 1908년에 설립된 가장 오래된 본당이며, 2008년에 본당 설립 100주년 감사 미사를 봉헌했을 정도로 역사가 깊은 본당이다. 그러나 노안 본당이 지닌 역사적 가치를 재조명할만한 역사적 자료가 부족하고, 기존에 보관되어 있던 자료들도 보관 미숙으로 소실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그동안 노안 본당에 관련된 자료들을 수집하고 정리하는 작업의 필요성이 교구 내에서 꾸준히 제기되었다. 노안 본당의 역사를 조명하는 작업은 단순히 한 본당의 역사적 사실을 밝히는 차원을 넘어서서 광주대교구 초기의 모습들을 살펴보는 작업이다. 광주대교구가 지금의 모습으로 성장하는데 그 초석을 닦은 곳이기 때문이다. 노안은 지리적으로 나주에서도 외곽지역에 있으며 전통적인 농업을 주업으로 삼는 곳이기 때문에 경제적․교육적 상황이 열악했다. 그런 곳에 복음의 씨앗이 뿌려져 지금까지 그 명맥을 유지하며 지역사회와 교회가 일치된 복음적 공동체를 이루고 있음은 그 자체로 많은 교훈을 준다. 그 뿐 아니라 100년이 넘는 시간을 지내면서 여러 역사적 상황들 속에서도 신앙을 유지했다는 점에서 그 역사적 가치를 높게 평가할 수 있다. 노안 본당이 가진 역사적 가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교구 시절에 설립되어 유지해오다가 대구교구가 설립되면서 관할이 이관되었고 최종적으로 광주교구 소속이 됨으로써 한국 천주교회의 변화를 온 몸으로 겪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둘째, 1908년에 설립된 노안 본당은 제1차 세계대전과 제2차 세계대전, 한국전쟁 때에는 주임신부가 공석인 상황을 겪었으며 70~80년대 이농현상이 심화되어 교세가 줄어드는 상황에서도 신앙을 유지해 나갔다. 이처럼 한국의 역사적 변화를 온몸으로 겪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셋째, 광주지역에 천주교가 전해지는 중요한 역할을 함으로써 천주교 신앙의 불모지였던 전라남도 지역의 교세가 오늘날처럼 확장될 수 있었던 기틀을 마련하였다. 넷째, 광주교구의 보기 드문 교우촌으로서 현재까지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으며 교구 내에서 신앙의 모범으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다섯째, 성당 건물은 일제 강점기에 건축된 성당 중 강당형 서양 성당건축 유형을 대표할 수 있는 성당이라 할 수 있으며, 지역적으로도 광주인근 지역에 처음 생긴 성당 건축물로서 역사적인 가치를 지니고 있다. 본 논문은 또한 노안 본당이 생기기까지 전라남도의 상황과 설립과정에 대해서 살펴보고, 이후의 교세 확장과정과 제2차 세계대전 및 한국전쟁 때에 겪었던 사제들의 어려움에 대해서 살펴본다. 또한 노안 본당이 펼쳤던 교육사업들을 통해 지역사회를 복음화 시키기 위해 노력했던 바를 살펴보고, 노안 본당이 마을 공동동체와 어떻게 복음적 공동체를 이루어가며 생활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며 오늘날 우리에게 주는 교훈을 얻고자 한다. 특별히 본당 설립년도와 관련하여 1895년에 본당이 설립되었다는 노 야고보 신부의 주장에 대해서 살펴보고 이에 대해 근거 자료들을 비판하고 반박 자료를 제시함으로써 노안본당이 1908년에 설립되었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한편 본 논문을 진행하기 위해 노안 본당과 관련된 자료들을 최대한 수집하려고 노력했으나 자료들이 턱없이 부족했다. 따라서 이후에 교회와 학계에서 이어지는 연구를 통해 보완되기를 희망한다.

      • 한국 교회 성령 쇄신의 문제점 진단과 방향 모색 : 신학생 설문 조사를 중심으로

        이원재 광주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한국 가톨릭 교회의 성령 쇄신 현황을 파악하고 진단하여 나타나는 문제점에 대해 고찰하고 성령 쇄신이 더 풍요로워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다음과 같이 크게 세 가지의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성령 쇄신의 원천인 성경에서는 성령의 움직임이 어떻게 이해되며, 성령 쇄신의 발단과 그 성장 과정은 어떠한가? 둘째, 성령 쇄신은 무엇이며, 성령 쇄신이 신앙 생활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셋째, 한국 가톨릭 교회의 성령 쇄신이 가지는 문제점은 무엇이며, 교회 내 다른 운동들과의 연계를 통하여 어떠한 풍요로움을 가져올 수 있는가?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연구 문제를 풀어내기 위하여 한국의 7개 가톨릭 신학대학교 중 3개의 신학대학교 신학생들에게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모두 457명의 신학생들이 설문에 참여하고 응답하였다. 그리고 이 설문 조사의 결과를 본 연구에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PC+ 1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문항의 내용과 분석 목적에 따라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한 다음, 각 배경 변인에 따른 반응상의 차를 알아보기 위해 X2(chi-square) 방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연구의 연구 문제 1은 성령 쇄신의 원천인 성경에서 이해되는 성령의 움직임에 관한 연구와 성령 쇄신의 발단과 그 성장 과정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구약 성경에서는 창조 질서의 축인 자연과 인간 안에서 하느님의 영(靈)을 힘과 생명력으로 이해하고 있었고, 신약 성경에서는 예수님의 영이 제자 공동체에게 전해져 예수님을 알 수 있게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 성령 쇄신의 발단과 그 성장 과정에서는 미국 듀케인 대학에서 시작된 성령 쇄신이 한국에 들어오게 되면서 교회 안에 영향을 미치게 된 과정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 2는 성령 쇄신이 과연 무엇이며, 신자들의 신앙 생활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 것인지 조사하는 것이었다. 이 과정에서 성령 쇄신이 궁극적으로는 하느님의 성령이 주시는 은사를 최대한 받아들여 신앙 생활의 성장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운동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신자들의 신앙 생활에 실질적으로 많은 영향을 끼침으로써 성령 쇄신에 참여한 사람들이 성령의 움직임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이 드러났다. 아울러 본 연구의 연구 문제 3은 한국 가톨릭 교회 성령 쇄신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진단한 후 그 대책 방안을 제시한 후 교회 내 다른 운동과의 연계를 통해 성령 쇄신이 가질 수 있는 풍요로움에 대해 제안하는 것이었다. 이 연구 과정에서 한국의 7개 가톨릭 신학대학교 중 3개의 신학대학교 신학생들에게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한 후 성령 쇄신의 문제점을 진단할 수 있었다. 그런 가운데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드러났고, 특별히 성령 쇄신과 교도권과의 관계에서, 은사에 대한 잘못된 이해에서 오는 그릇된 은사 사용에서 그 문제가 더욱 심각했다. 따라서 교회 내 여러 학자들과 성령 쇄신 내에서 문제점 극복을 위한 방안들을 참고하여 대안을 제시하였고, 교회 내 다른 운동들, 포콜라레 운동의 새 가정 운동과 소공동체 운동과의 연계를 위한 사목적 검토를 통하여 성령 쇄신이 더욱 풍요로워지고 기초를 단단히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40여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는 성령 쇄신이 교도권의 충실한 지도를 받으며 이 운동을 펼쳐 나가야만 본래 성령 쇄신이 탄생하게 된 그 배경인 신앙 생활의 쇄신이라는 주된 목적을 흐리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것이라고 하는 내용이다. 그것은 성령 쇄신이 그동안 신자들의 영적 성장을 위해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온 동시에 은사에 대한 그릇된 이해 때문에 영적 성장을 저해하는 결과를 낳기도 했기 때문이다. 더욱이 미래 사목자가 될 신학생들이 성령 쇄신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가지고 신자들의 신앙 생활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지도해야만 더 이상 성령 쇄신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들이 드러나지 않게 될 것이다. 또, 사회 내 기초 공동체인 가정의 파괴가 심각해져가는 현대 사회 안에서 공동체의 일치를 가져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성령 쇄신이 가정 공동체 안에서 활성화 된다면 가정 파괴라는 사회적 문제도 줄어들 것이다. 그것은 바로 교회 공동체와 관련된 아주 중요한 문제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기초 공동체의 활성화를 가져오는 포콜라레의 새 가정 운동이나 소공동체 운동 등에서 일정 부분을 도입하여 성령 쇄신을 활성화 시키면 좋은 결과를 가져오게 될 것이다. 성령 쇄신이 성령의 움직임을 자신 안에 극대화하여 신앙 생활의 쇄신을 가져오도록 하는 것이라 한다면 교회 안에서 올바르게 이해되고 실행될 수 있도록 관심을 가지고 지도하고 보호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rimary goal of my research is to find out the present state of the Holy Spirit Renewals for diagnosing actual problems in Korean Catholic Church and to seek the method making the Holy Spirit Renewals more abundant. To achieve the goal, I set three research subjects. First of all, I want to figure out how the movement of Holy Spirit is considered in Bible, the source of the Holy Spirit Renewals, and what the inception of the Holy Spirit Renewals is. The second one is to answer what the meaning of the Holy Spirit Renewals is and what takes place during the developmental process. Lastly, I try to find the problem that the Korean Catholic Church has in the Holy Spirit Renewals and things that can be brought through connecting to other movement in the church. To answer these questions, I conducted some surveys which were subject to 477 seminarians in 3 out of 7 seminaries. The data in this paper was analyzed by using SPSS/PC+ 10.0 program which helps compute the frequence rate and percentage according to the context and the aim of the analysis, and I used X²(chi-square) to discover the gap among variables in this study. Let me describe the results of my research briefly in the following. As to the first subject,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movement of Holy Spirit in Bible and the process of the Holy Spirit Renewals from its beginning, I found out that Holy spirit is considered as the energy and vitality that appears through the nature and humans alike. That is the axis of Creation according to the Old Testament. In the New Testament, however, the Holy Spirit takes a role that helps the disciples realize the existence of Jesus. Additionally I could find out the effect on Korean Catholic Church by the influx of the Holy Spirit Renewals that came from Duquesne University in America. The second subject that I mentioned before is to seek what the Holy Spirit Renewals is and how the Holy Spirit Renewals would effect the religious life of the Roman Catholics. While doing the research, I grasped that ultimately the the Holy Spirit Renewals is the movement that helps believers improve their religious life by adopting the grace that the Holy spirit of God gave them. Furthermore, through the Holy Spirit Renewals, believers participating in it can be more susceptible in 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Holy Spirit. The last subject dealt in this research is to diagnose the problems that the the Holy Spirit Renewals in the Korean Catholic Church holds and to propose the solutions and the way that can make the Holy Spirit Renewals more abundant. To do the research, I carried out the survey targeting 477 seminarians in 3 out of 7 seminaries. After analyzing the data, I found some problems in the Holy Spirit Renewals. Among the problems, misunderstanding the grace of God and misusing it is the most serious one especially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oly Spirit Renewals and the power of magisterium. Thus, I suggest some alternatives for surmounting the problems referring to the theories some scholars proposed and for laying the foundation of the Holy Spirit Renewals firmly through the ministry by connecting small group activities to other activities in Catholic Church such as new family movement of Focolare movement. As a result, the main point of this research is only when we do the Holy Spirit Renewals under the power of magisterium, we can achieve the primary goal, which is to revive our religious life. It is caused from the fact that the Holy Spirit Renewals can positively effect the spiritual improvement of believers, and at the same time bring negative effects because of misunderstanding God's grace. Furthermore, not to make the problems worse, it is essential that the seminarians who will enter the priesthood comprehend the Holy Spirit Renewals correctly and get upright lessons to be the leader of believers. Additionally it can be assumed that the Holy Spirit Renewalscan lessen family breakdown because the aim of the Holy Spirit Renewals is to bring solidarity in communities in contemporary society, when the basic unities - family - are broken down more easily. I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blems that related to the Catholic church. Thus, if the Holy Spirit Renewals is invigorated with The New Family Movement of Focolare and other small group activities, it will bring the better consequences. Above all things, regarding the Holy Spirit Renewals as the way that reforms religious life by maximizing the movement of Holy Spirit in oneself, the Holy Spirit Renewals should be guided and protected to make the movement understood and carried out more accurately in church.

      • 매튜 폭스의 창조영성을 접목한 한국 가톨릭 환경운동의 방향 모색

        진우섭 光州가톨릭大學校 2007 국내석사

        RANK : 249663

        현대 사회에서 세계인들에게 최고의 화두는 단연 ‘환경’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기상 이변, 지구 온난화, 생물종의 멸종, 사막화 현상 등 이루 다 말할 수 없는 생태계 파괴의 실상이 인간의 생존을 위협하고 있다. 이런 심각한 생태계 파괴의 현실 안에서 우리는 이제 생태계 파괴로 인한 문제 해결을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하고 있다. 이런 차원에서 전 지구적으로 지역과 사회 그리고 국가와 인종을 뛰어 넘어 생태계의 회복을 위해 여러 가지 연구를 통한 대안과 방향이 제시되고 있다. 생태계 파괴라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문제를 일으키게 한 정확한 원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 원인이 어느 하나라고 지목될 수 없을 만큼 생태계 파괴의 원인은 다면적이라고 할 수 있다. 거기에는 철학적 요인과 가치체계의 변화로 인한 원인과 전통적 창조신학이 갖는 한계 그리고 인간의 생활양식과 행동양식을 포함하는 총체적인 원인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모든 원인들 사이에 나타나는 공통적인 요소가 있는데 그것은 나를 포함한 세상 모든 만물이 하나로 연결되어 있다는 상호의존 의식의 결여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생태계의 파괴에 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가장 일차적인 것은 만물의 상호의존 의식을 회복하는 것이다. 이것을 그리스도교 신학 안에서는 하느님께서 세상을 창조하셨을 때 주어진 창조질서의 회복이라고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창조질서의 회복에 있어서 필자는 생태신학자인 매튜 폭스가 주장하는 창조영성의 회복이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폭스는 세상의 모든 창조물이 원축복을 지니며 서로 긴밀한 연관 관계를 가지고 있다는 생각을 바탕으로 자신의 사상을 펼치기 때문이다. 그래서 생태신학과 생태영성의 기반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한국 가톨릭 환경운동을 폭스의 창조영성과 접목해서 한국 가톨릭 환경운동의 새로운 방향을 여섯 가지로 모색해 보았다. 첫째, 창조영성과 자비(감수성) 회복 운동으로서 환경운동이다. 둘째, 창조영성과 대안 문명운동으로서 환경운동이다. 셋째, 창조영성과 신학과 제반 학문과 연대로서 환경운동이다. 넷째, 창조영성과 종교 간 대화 운동으로서 환경운동이다. 다섯째, 창조영성과 환경정의 운동으로서 환경운동이다. 여섯째, 창조영성과 생태문화 운동으로서 환경운동이다. 이와 같은 여섯 가지 환경운동의 방향은 한국 가톨릭 환경운동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는 대안으로 제시될 수 있다. There is no doubt that one of the global buzzwords these days is 'environment.' Environmental degradations, as witnessed by climate change, global warming, extinction of species, desertification and so on, put all human beings in danger. Against this backdrop, we are now making a lot of efforts to deal with the environment-related problems. Part of the effort is to give guidelines and propose alternatives to help the nature restore itself, which go way beyond community, country, and rac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environmental degradation, we should put the top priority on finding what exactly caused it. A number of factors, however, have worked behind the environmental destruction, so we cannot put a finger on just one. Traditional values have changed, creational theology came to limit itself, philosophy was one of the factor, and the way we live and behave has also changed as well. No matter how many factors worked, there should be something in common, which is we are lacking in sense of interdependence that everything in the world, including me, depend on each other in one way or another. Therefore, the first step we should take to tackle the problem is to help ourselves restore the sense of interdependence. In christian theology, that is to recover the creationism which was established when God created the universe. In reviving creationism, I believe that creational spirituality claimed to be restored by Matthew Fox, an ecotheologist, will play a positive role. That is because Fox established his theory based on that everything created by God is originally blessed and closely related with each other. Thus I propose that the Catholic Environmental Movement in Korea, which is considered lacking in both eco-theology and eco-spirituality, be supplemented with Fox' creation spirituality to put forth six guidelines. First, environmental movement to restore creation spirituality and mercy (sensitivity). Second, environmental movement as an creation spirituality and alternative. Third, environmental movement as a combination of creation spirituality, theology and related areas. Forth, environmental movement as an interchange between creation spirituality and religion. Fifth, environmental movement as creation spirituality and environmental righteousness. Sixth, environmental movement as creation spirituality and eco-culture. The six guidelines as proposed above can be an alternative to reinvigorate the Catholic Environmental Movement in Korea.

      • 전주 가톨릭 사회복지회 활동의 발전 방향에 대한 연구 조사

        김태환 광주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47

        가톨릭 사회복지 활동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새로운 전환점에 처해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가톨릭 사회복지는 우리 사회 내의 다양한 복지욕구를 얼마나, 어떻게 충족시키고 있는지를 진단해 볼 필요가 있다. 즉, 급격한 사회변동에 따른 많은 사회문제 속에서 가톨릭 사회복지 기관·시설의 활동은 미래의 방향에 대한 치열한 고민 없이 주어진 여건 하에서 과거 해 오던 대로만의 답습을 이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전주교구를 중심으로, 전달체계 안에서 가톨릭 사회복지 기관·시설의 상위에 있는 교구 사회복지회에 대해 교구 내의 종사자들이 인식하는 여러 가지 사항들에 대해 알아보고, 그것을 바탕으로 전주 가톨릭 사회복지회의 역할과 발전방향에 대한 검토 및 방안에 대해 연구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가톨릭 사회복지에 대한 이론적인 접근을 시도해보는 차원에서 일반적인 사회복지 개념과 가톨릭 사회복지 개념을 먼저 살펴본 후에 한국 가톨릭교회의 전달체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전주 가톨릭 사회복지회의 앞으로의 활동 방향을 이해하기 위해서 전주 가톨릭 사회복지회 소속 36개의 기관·시설의 종사자들 362명 중 200명의 표본 집단을 무작위로 선출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조사 대상자들의 일반적 사항 6문항, 기관·시설에 대한 일반적 사항 6문항, 종사자들의 근무 만족도에 관한 12문항, 교구 사회복지회 소속감에 대한 3문항, 교육에 관한 6문항, 물적·인적 자원에 대한 4문항, 전달체계 및 교류에 관한 14문항으로 총 51문항으로 설문지를 구성하고, 수집된 자료는 SSPS for Window 12.0 을 활용하여 통계 처리하여 각 설문에 대한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을 통해 나타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적 사항에 대해 살펴보면 첫째,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서 근무기간은 1-10년 동안 근무한 종사자들이 대부분으로 드러났고, 자격증 유무에 대해서는 비슷한 수치로 드러났다. 둘째, 조사 대상자들이 소속되어 있는 기관·시설의 일반적 사항에서 기관·시설 이용(생활) 대상자의 종교는 신자 여부와 관계없이 누구나 대상이 될 수 있는 경우가 70% 가까운 비율로 나타났고, 대상자의 선정방법은 반수 이상이 대상자 또는 대상자와 관계된 연고자들의 의뢰 및 신청으로 선정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조사 대상자들의 근무 만족도는 모두 평균 이상의 만족도를 보였다. 조사 대상자들이 근무하고 있는 기관·시설이 가톨릭 사회복지의 수직적 전달체계 안에서의 소속감에 대해서 살펴보면, 첫째, 소속감 정도에 대해서는 조사 대상자들 86.3% 정도가 교구 사회복지회에 소속되어 있다는 점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고, 둘째, 소속감을 느끼기에 장애가 되는 요인은 ‘교류 부족’과 ‘자원 지원 부족’이었다. 조사 대상자들이 인식하는 교구 사회복지회에서 이루어지는 정체성과 고유성에 관한 교육을 살펴보면, 첫째, 교육 형태에 대해서는 교구 주관이나 외부 특강인 경우가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고 있었고, 둘째, 교육에 대한 참여의사에 대해서는 90% 이상이 긍정적으로 바라보았다. 셋째, 교육의 적절한 횟수에 대해서는 1년에 한 두 차례인 경우가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였고, 마지막으로, 교육 내용에 대해서는 전문성 강화 교육과 자기계발과 관련된 교육인 경우가 65.7%나 차지하였다. 조사 대상자들이 인식하는 교구 사회복지회의 물적·인적 자원을 살펴보면, 첫째, 물적·인적 자원의 지원 형태에 대해서는 정기적인 경우라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지원이 없는 경우도 약 20%가량이나 되었다. 둘째, 바람직한 물적·인적 자원 지원에 대해서는 정기적인 재정적 지원과 자원봉사자 지원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교구 사회복지회에서 이루어지는 전달체계 및 교류에 대한 조사 대상자들의 인식에 대해 살펴보면, 첫째, 교구와 기관·시설 간의 교류에 대해서는 사안에 따라 교류한다는 응답이 과반수 이상으로 나타났고, 둘째, 개별 기관·시설 간의 교류에 대해서는 과반수 이상이 산발적인 교류를 하고 있었고, 형태는 연합행사나 화합적인 부분이 53.7%나 차지하고 있었으며, 개별 기관·시설과의 연계 과정에 있어 교구 사회복지회가 해야 될 역할에 있어서는 종사자들을 위한 교육과 유대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운영이 부각되었다. 조사 대상자들이 인식하는 교구 사회복지회의 활동의 발전 방향을 살펴보면, 첫째, 활성화에 대한 바람직한 형태에 대해서는 물적·인적 자원 지원에 관한 부분이 상당수를 차지하였고, 둘째, 주력해야 할 활동에 대해서는 물적·인적 자원에 대한 개발 및 동원과 지역사회와 본당과의 연계가 필요하다는 점이 부각되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연구의 결과는 궁극적으로 다음과 같은 실천적인 부분을 제시한다. 교구 사회복지회는 첫째, 전달체계 및 교류의 효율적인 운영이 필요하다. 둘째, 지역 중심적인 사회복지 서비스를 펼쳐 야 한다. 셋째, 다양한 프로그램 및 교육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재정적 확보 및 양질의 인력확보이다. 즉, 교회 Catholic social welfare activity is placed on new turning point in various aspect. From this time, It is needed to check that how can Catholic social welfare satisfied the desire of our society. Many society problems happened according to rapid society change. Catholic Diocese's activities for social welfare continue to follow the past without intense agony about the direction of future. Focused on Jeon-ju Diocese, This research put the purpose to find out various item how Diocese's worker recognised about the organization of Diocese's social welfare. Moreover based on this fact, we will research the role of jon-ju catholic Diocese in social welfare include the direction of future about it. So, In the text, we will study general conception of social welfare and Catholic social welfare that is based on theological aspect. And we will research the communication system in Korea Catholic church. To understand the direction of Jeon-ju Diocese's social welfare activities deeply, this Thesis treated questions that was surveyed by 200 workers among 36 welfare-organization in Jeon-ju Diocese. This research consisted of 51 item. 12 questions are General items about common and equipment. 12 questions are items about worker's feeling of satisfaction. 3 items are about feeling of their position. 6 items are about education, 4 items are resources of materiel and human, and 14 items are about communication system and exchange. The data which is collected in this research is analyzed in using SSPS Window 12.0 and make a frequency analysis and crossing analysis on each question. The result which is analyzed in this research is like that. If look into general item, First the average of worker's period almost appeared from 1 year to 10 years. And the presence of certificate is similar. Second, Focused on organization. the religion of users who have used this facilities are nearly 70 percent whether they were christian or not. The method of choosing objects is to be appeared that over half were objects or mostly relatives who had a relationship with objects. Third, the feeling of object's working satisfaction is over the average. Sense of belongings that every objects have about Catholic welfare is like that. First. about 86.3 percents of objects are proud of their positions. because they are involved in welfare-organization of Jeon-ju Diocese. Second, The obstacle for every objects's sense of belongings is the lack of exchange and resourceful support. The education that every objects recognize about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stic in Diocese's welfare is like that. First. Almost education form that is performed in Jeon-ju Diocese to be appeared Diocese's supervision or special lecture from outside is over half. Second. 90 percent objects have positive view about participation of education. Third, the properly number of education is appeared once or twice per 1 year is over half. Lastly, content of education is appeared the consolation education and self development is occupied 65.7 percent. Object's recognition about material and human resources in Jeon-ju Diocese is like that. First. the rates of object's answer about supportless form of materiel and human resources is highly showed regularly. But 20 percent showed that there isn't any supports about it. Second. The question about right materiel and human resources, continuous support about financial and volunteer is to be showed the highest data. The object's recognition about communication system or exchange in Jeon-ju Diocese is like that. First, the question communication about Diocese and organization, according to object's responses. Case is over majority. Second, the question communication with individual organization, major response is sporadic connection according to necessity. And the question about form, the response that is performed as combined event or intimacy is occupied 53.7 percent. Lastly, the question about role of Jeon-ju Diocese is to be emphasized education to workers and good program for connecting with individual and general organization. The direction how objects recognized about Jeon-ju Diocese is like that. First, right support about material and human is occupied over half on making vitality. Second, Jeon-ju Diocese's activities should concentrate on right support about material and development of human include making a connection with local society and church. The result of this research ultimately presented the part of practical aspect. First, Diocese organization need effective management about communication system and exchange. Second. Diocese organization should spread social welfare service for centered region. Third. Diocese organization needs development about various program and education. Lastly, various financial that is stable and manpower for good quality are needed to Diocese organization. It seems to be needed that making a harmony between the resources of church include practical mind of love and the social welfare because It is the way to make a better social welfare.

      • 바오로 사도의 생애와 영성

        최요왕 光州가톨릭大學校 2009 국내석사

        RANK : 249647

        한국가톨릭교회는 근·현대에 와서 큰 위기를 직면하고 있는데 그것은 바로 다원주의, 물질주의, 개인주의와 같은 사회현상의 영향을 받아 세속화가 진행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물론 엄밀한 의미에서 한국가톨릭교회는 이 땅에 가톨릭 신앙을 전파한 날부터 현실 사회를 닮아, 속화되는 세속화를 겪었다. 하지만 근·현대에 와서는 또 다른 의미의 세속화인 종교의 권위가 미치는 범위가 감소되는 현상을 겪으면서 신앙의 위기를 직면하고 있다. 실제로 다원주의, 물질주의, 개인주의와 같은 사회 현상은 한국가톨릭교회 안에 깊숙이 파고들어 교회의 질서와 신앙인들의 사상 그리고 신심을 크게 뒤흔들었다. 이로 인해 한국가톨릭교회의 신앙인들은 그들의 신앙 형성과 유지, 그리고 성장에 있어 큰 어려움과 혼란을 겪고 있으며 이는 신자들의 주일 미사 참석률 저하와 냉담률 증가로 드러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한국가톨릭교회의 위기를 이겨내기 위해 한국가톨릭교회는 교회 내적인 쇄신을 이루어야 하고 이를 구체적으로 실현하기 위해서는 영성적인 접근 방법이 필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본고에서는 한국가톨릭교회가 직면한 세속화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무엇보다도 신앙의 내적 쇄신이 필요함을 인식하였다. 한국가톨릭교회는 그 신앙 전파에 있어 공동체와 개인의 사랑을 강조하여 상호일치, 증여, 발전 등을 가르쳐왔다. 하지만 세속화로 인해 공동체와 개인의 상호관계성은 균형을 잃기 시작하였다. 그 중 가장 두드러진 것은 공동체 보다 개인을 중시하는 현상이다. 그 결과 공동체 보다는 자기중심적인 삶과 신앙, 이기주의적인 삶과 신앙으로 치우치게 되었다. 따라서 이제는 한국가톨릭교회가 겪는 세속화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개인에게 치우친 신앙에서 벗어나 하느님과 이웃 중심의 삶과 신앙, 이타주의적인 삶과 신앙을 형성하여 다시금 공동체와 개인의 신앙이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내적 쇄신을 이룰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본고에서는 한국가톨릭교회의 내적 쇄신을 위해 각각의 위격 안에서도 일치를 이루셨던 삼위일체 하느님에게 믿음을 두고 이러한 하느님을 본받기 위해 신앙생활을 해온 바오로 사도의 영성을 그 모델로 제시하여 그의 생애와 영성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알 수 있었던 사실은 바오로 사도의 영성 형성과 발전과정, 그리고 바오로 사도의 영성이 가져다준 여러 가지 결과들이었다. 바오로 사도의 영성이 보여주는 초기 단계는 유일신 하느님을 믿고 따르는데 있어 율법을 엄격히 지켰던 단계이다. 하지만 이 단계에서 바오로 사도를 비롯한 대부분의 유다인들은 인간을 의롭게 해주는 하느님의 자비와 사랑 보다는 율법 준수를 강조한 의화를 강조하게 되었다. 그 결과 바오로 사도의 영성은 하느님 중심 보다는 율법 준수에 치우치는 인간 중심의 영성이 되었다. 그 결과 바오로 사도는 율법의 정신인 하느님 사랑과 이웃 사랑을 실천하기보다 엄격한 율법의 준수만을 위해 스스로 의롭게 되어 전능하신 하느님을 닮으려 했다. 하지만 바오로 사도는 다마스쿠스 사건 이후로 인간 중심의 삶과 신앙에서 벗어나 하느님을 중심으로 하는 삶과 신앙을 형성하였다. 그 이후로 바오로 사도는 인간의 나약함과 부족함을 인정하고 인간의 부족함을 통해 성부 하느님께로 향하는 아래로부터의 영성을 형성하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 안에서 바오로 사도는 인간을 완전하고 의롭게 하시는 삼위일체 하느님의 도우심을 통해 자신이 의롭게 된다는 사실을 깨달았으며 성자 하느님과 성령 하느님의 도움을 통해 성부 하느님께서는 모든 인간을 의롭게 하신다는 사실을 이방인들에게 알리며 삼위일체 하느님이 선물로 주신 의로움을 지키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였다. 그 결과 바오로 사도는 삼위일체 하느님 중심의 영성을 형성하였으며 이러한 영성은 삼위일체 하느님과 바오로 사도가 일치를 이룰 수 있게 하였다. 더불어 바오로 사도는 하느님과의 이러한 관계와 그의 영성을 유지하기 위해 신·망·애, 삼덕의 영성도 키워 나갔다. 그 결과 바오로 사도가 형성하고 유지한 하느님 중심의 영성은 하느님 사랑과 이웃 사랑을 드러내어 그의 생애에 개심, 겸손, 사랑, 선교, 순교 등과 같은 많은 열매를 맺었다. 이러한 바오로 사도의 생애와 영성의 고찰을 통해 모든 신앙인들은 사도 바오로의 신앙과 영성을 본받아 삼위일체 하느님 중심의 영성과 이를 유지해 주었던 신·망·애 삼덕의 영성을 형성하여 하느님 중심의 삶을 살아가고 이를 지속시킬 수 있는 방법을 발견할 수 있다. 또한 한국가톨릭교회의 신앙인들도 바오로 사도처럼 그들의 삶 안에서 영성의 열매를 맺어 자기중심적, 이기주의적인 것에 치우친 삶을 벗어나 하느님과 이웃 중심의 삶, 자기 헌신적 삶을 영위하여 개인과 공동체의 신앙이 균형 있게 발전될 가능성도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을 바탕으로 한국가톨릭교회의 신앙인들은 각자의 삶 안에서 하느님 사랑과 이웃 사랑을 실천하여 그 사랑의 열매를 통해 한국가톨릭교회가 겪는 세속화 현상을 극복하여 교회 내 일치, 사회의 일치 The Korean Catholic Church faces to the great crisis that the secularism is proceeded by some social phenomenons like pluralism, materialism and individualism. Actually some social phenomenons like pluralism, materialism and individualism sunk deeply into the Korean Catholic Church and stir greatly up the order of church and the thought, faith of believers. Due to this, the Korean Catholic Church's believers have the great difficulty and confusion in formation and growth of faith. As a result, the number of believers on Sunday Mass have been decreased and coolness believers have been increased. Therefore the Korean Catholic Church should reform in the inner aspect for the overcoming of crisis. And there needs concretely the spiritual approach to practice this. Because of this, this thesis recognised above all that the Korean Catholic Church should reform in the inner aspect to solve secularism which the Korean Catholic Church faces. Accordingly the Korean Catholic Church's believers should escape self-centered life and faith. And they should reform in the inner aspect forming God-centered life and faith, altruistic life and faith. To achieve this, it examined St. Paul's life and spirituality suggesting St. Paul's spirituality for the model. As a result, it found out formation of spiritualty, process of development of St. Paul and some fruits that St. Paul's spirituality brought. In the early days, St. Paul's spiritualty was in the center of law. This law didn't focus on the God but the human. So St. Paul didn't practice love of the God and neighbor which is the spirit of law but persecuted many christians for only obeying the strict law. Through this, he tried to take after the Almighty God by justifying himself. But St. Paul escaped from the life and faith in the core of human after the event of Damascus. And he formed the life and faith in center of God. As a result, St Paul admitted the weakness and the shortage of human so that he formed 'the spirituality from below' that is toward the Father. In this process, St. Paul tried to imitate the Father's perfection and justification through the help of Son and Holy Spirit. As a result, St. Paul formed the spirituality in the center of Triune God so that he could be union with the Triune God. And St. Paul developed the spirituality of faithㆍhopeㆍcharity, the theological virtues to sustain the relationship with God and his spiritualty. As a result, the spirituality in the center of God that St. Paul formed and sustained appeared love of the God and neighbor so that it bored many fruits like the repentance, humility, charity, mission, martyrdom in his life. Through the examination of his life and spirituality, all christians should take after his faith, spirituality and form the spirituality in the center of God and the faithㆍhopeㆍcharity, the theological virtues so that they live in the center of God and can find the method that sustain this. And the Korean Catholic Church's believers bear the fruit of spirituality in their life like St. Paul so that they escape from self-centered, egoistic life and may live in the center of God, in the self devoted. Based on this, the Korean Catholic Church's believers should practice the love of God and neighbor so that they should overcome the secularism through the fruit of charity. And these tries contribute the unity in church, the unity of society and may lead to the inner reform of church, the positive change of Korean society.

      • 가톨릭 청년들에 대한 신앙 실태 조사 연구 : 전주교구 가톨릭 청년을 중심으로

        송현석 광주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기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통하여 교회가 가톨릭 청년들의 신앙 성숙을 위해 어떤 도움을 줘야 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우선 이론적 연구를 통하여 청년기의 중요성과 청년기에 대한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고 실질적으로 가톨릭 청년들의 신앙 실태와 원의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 조사 연구를 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와 다른 선행 연구를 비교 분석하여 가톨릭 청년을 위한 사목적 대안들을 제공해 보았다. 먼저, 제 1장에서는 서론 부분으로 연구의 필요성, 연구의 목적, 연구 문제, 연구의 범위 및 한계를 기술함으로써 본연구의 전체적인 방향성과 틀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제 2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을 알아보기 위한 장으로 청년기에 대한 심리학적 이론들을 토대로 청년기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시도하였고, 청년기에 이루어져야할 “성숙한 신앙 생활을 위한 교육의 중요성”을 역설하였다. 제 3장에서는 연구 방법 부분으로 청년들의 신앙 생활 실태와 청년들이 교회에 원하는 점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선택한 설문 조사의 대상, 조사 내용, 자료 수집 및 자료 처리 방법을 소개하였다. 제 4장에서는 연구 결과 및 분석 부분으로 최종적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의 신앙 생활 실태를 다음의 8가지 차원으로 나누어 이를 구체적으로 서술하였다. 조사 대상에 대한 1) 일반 사회 인구학적 특성 2) 일반 종교적 특성 3) 기도 생활 4) 단체 활동 5) 교육 프로그램 6) 전례 생활 7) 신앙 생활 전반 8) 교회 인식. 제 5장에서는 연구에 대한 논의 부분으로서 본 연구자가 자료의 분석을 통해 나타난 연구의 주요 핵심적 결과에 근거하여 전체적인 맥락에서 각 부분별 실태, 문제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바람직한 방향성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마지막으로 제 6장은 요약 및 결론 부분으로서 먼저, 논문 전체에 대한 요약을 하였고, 이어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청년 신앙 성숙을 위한 방안에 대하여 실천적인 제언을 하면서 종합적인 결론을 내렸다. 또한 차후의 보다 효과적이고 실질적인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으로 마무리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realistic issues that rise during maturity of faith while adolescence and seek the solution through specific support. Through various theories, we can understand general characteristics of adolescence and its importance in one’s life, also through survey, I am going to find real base of adolescence real conditions and their intention of the faith. Finally with the result of above tests and theories, I am trying to analyze and compare with other preceding studies to suggest alternative plan for pastoral adolescence. First, chapter 1 offers necessity, purpose, problem, range,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to show basic direction where it should be heading to. The chapter 2 tries to introduce psychological theories behind adolescence and lead them to right direction using those theories, as well as emphasize on importance of education for matured religious life. Chapter 3 describes objects and contents of survey, what adolescence truly wants from the church, and explains basic conditions of data and how they are collected. Chapter 4 is based on analyzing the results. Categorized into 8 sections that apply the subject’s religious life, which follows; The object about 1) Characteristic of social demography, 2) Characteristic of general religion, 3) Life of pray, 4) Group activity, 5) Educational Program, 6) Ritual Life, 7) The whole faithful life, 8) Church recognition. Chapter 5 discusses about pros and cons of the issues and the right direction to solve problem. Chapter 6 describes the abstract and its conclusion. It summarized the whole thesis first, then conclude totally, base on the result of this study, practical proposal about scheme for the maturity of faith to young people. Moreover, I suggest more effective and proposal for the future studies to co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