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경남지역 교육대학원 영양교육전공 대학원생들의 교육과정 만족도에 관한 연구 : 고용 형태에 따른 비교

        이성남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95

        본 연구는 경남지역 교육대학원 영양교육전공자들을 대상으로 고용형태에 따른 교육대학원의 기능과 요구수렴, 교육과정의 만족도를 살펴보았다. 설문조사는 경남지역 4개 대학 교육대학원 영양교육전공 재학생을 대상으로 2010년 12월 4일부터 12월 20일까지 실시하였다. 총 16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그 중 147부의 설문지가 회수되었으며(회수율 91.8%) 이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용형태에서는 계약직 83명(56.5%), 직종은 비정규직 영양사 83명(56.5%), 근무지에서는 중학교 45명(30.6%), 연령은 25~30세 46명(31.3%)으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육대학원이 수행해야 할 기능은 정규직은 ‘현직 교원의 자질향상을 위한 계속교육, 재교육’으로 나타났으나, 비정규직(임시직, 계약직)의 경우 ‘교원양성기관으로서의 예비교사교육’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대학원의 현재의 기능은 정규직, 비정규직 모두 ‘학위 취득을 위한 기관’이 높게 나타났다(p<0.001). 셋째, 교육대학원의 진학 동기는 정규직은 ‘학교 현장에서 필요한 수업관련 지식을 공부하기 위하여’로 나타났으며, 비정규직은 ‘영양교사가 되기 위하여’로 나타났다(p<0.001). 또한 교육대학원 선택에 있어 중요한 요인은 정규직, 비정규직 모두 ‘동료, 친구의 추천’과 ‘거리가 가까워서’가 높게 나타났으며(p<0.05), 교육대학원 진학만족도는 정규직, 비정규직 모두 ‘그렇다’로 높게 나타났다(p<0.001). 넷째, 교육대학원의 요구수렴 여부는 정규직, 비정규직 모두 ‘그렇지 않다’와 ‘보통이다’의 응답이 높았으며, 요구수렴의 방법은 ‘하지 않는다’가 높게 나타났다(p<0.01). 교육대학원생의 적절한 요구수렴 방법은 정규직, 비정규직 모두 ‘정기적인 설문조사’로 나타났으며, 사회단체와의 상호교류수업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정규직은 ‘그렇다’가 높게 나타났으나, 비정규직의 경우 ‘보통이다’가 높게 나타났으며(p<0.05), 교과과정에서의 우선순위는 정규직, 비정규직 모두 ‘학문(이론) 능력 함양 면’이 높게 나타났다(p<0.01). 다섯째, 교육대학원 영양교육학과 학생들의 교과과정의 만족도는 정규직과 비정규직 모두 ‘만족한다’와 ‘보통이다’가 높게 나타났으며(p<0.05), 개설 교과목 수의 만족도는 정규직과 비정규직 모두 ‘그렇지 않다’와 ‘보통이다’가 높게 나타났다(p<0.01). 또한 교육과정 내용의 수준에 대해 정규직은 ‘학부보다 심화 확장되지 않은 편이다’가 높게 나타났으나 비정규직은 ‘학부보다 심화 확장된 편이다’가 높게 나타났다(p<0.05). 이상의 연구 결과로 대체로 정규직과 비정규직은 교과과정에 대해 만족하고 있었으며, 식품영양학 전반적인 지식을 두루 함양하는 전문인 양성위주의 교육이 교과내용의 목표로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교육대학원의 진학 목적이 달라 수요자에 맞춘 차별화된 교육과정이 필요하며, 교육대학원의 요구수렴 여부와 방법에 대해 질적인 수월성을 확보하기 위해 제도적인 장치를 마련하여, 학생들의 교육만족도를 충족시킬 수 있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satisfaction on the function and demand collecting, and course of study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y the type of employment targeting graduate students majoring nutrition educ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Gyeongnam region. Th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nutrition education in 4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Gyeongnam region from Dec. 4th to Dec. 20th, 2010. Total 16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147 ones were returned (returning rate 91.8%), and the results of analyzing those questionnaires were as follows. First, 83 of contract workers (56.5%) as for type of employment, 83 of temporary nutritionists (56.5%) as for type of job, 45 people in middle school (30.6%) as for working place, and 46 people aged 25~30 (31.3%) accounted for the most. Second, as for the functions which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should perform, regular workers answered ‘continuous education for enhancing qualification of current teaching staffs and re-education’, while non-regular workers (temporary workers and contract workers) selected ‘education of would-be teachers as an institute for fostering teaching staffs’. Also, as for current function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oth groups answered ‘an institute for earning a degree’ the highest (p<0.001). Third, as for a motive to enter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regular workers answered ‘to study knowledge relevant to classes needed at school’, and non-regular workers answered ‘to become a nutritional teacher’ (p<0.001). Also, as for important factors in selecting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oth regular workers and non-regular workers answered ‘recommendation of co-workers or friends’ and ‘easy distance’ (p<0.05), and as for satisfaction of entering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oth regular workers and non-regular workers answered ‘yes’ (p<0.001). Fourth, as for whether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ollects their demands or not, both regular workers and non-regular workers answered ‘no’, and ‘so-so’, and as for a way to collect demands, an answer of ‘it does not collect demands’ accounted for the most (p<0.01). As for a way for appropriately collecting demands of students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oth regular workers and non-regular workers answered ‘conducting regular surveys’, as for the necessity of mutual exchange class with the social organization, most regular workers answered ‘yes’ while most non-regular workers answered ‘so-so’ (p<0.05), and as for the order of priority in the course of study, both regular workers and non-regular workers answered ‘to foster academic (theoretical) ability’ the most (p<0.01). Fifth, as for satisfaction of students majoring in nutrition educ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atisfied’ and ‘normal’ accounted for the most in both regular worker group and non-regular worker group (p<0.05), and as for satisfaction on the number of classes, ‘not satisfied’ and ‘normal’ accounted for the most in both regular group and non-regular group (p<0.01). Also, as for the level of the educational courses, regular workers thought ‘not to be intensified and extended compared with those of undergraduate courses’ the most while non-regular workers thoughts ‘to be intensified and extended compared with those of undergraduate courses’ (p<0.05). With the abov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hown that both regular workers and non-regular workers are satisfied with the courses of study, and think that the goal of educational contents is to educate professionals who develop general knowledge on food and nutrition. In addition, as the purpose of entering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regular workers and non-regular workers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is necessary to prepare differentiated educational courses appropriate for the demanders, and it should meet students' satisfaction by preparing an institutional strategy in order to secure qualified excellence about whether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ollects students' demands or not and its way.

      • 중등 정보과학 영재 교육과정에 대한 고찰

        김소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79

        정보과학 영재 교육과정은 그들의 높은 학업성취 욕구를 충족 시켜줌과 동시에 사고력신장, 특수능력습득, 특정지식습득, 적성강화, 일반능력신장 5가지 교육목표를 골고루 신장시켜 줄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현재 실시되고 있는 정보과학 영재교육기관의 교육내용과 교육일정을 분석하여 문제점들을 지적하고, 정보과학 영재의 잠재력을 이끌어 낼 수 있는 미래형 중등 정보과학 영재 교육 방향을 제시하였다. A curriculum for the gifted students of information science has to satisfy their desires for academic achievement, and to reach five education targets for acquiring ability to think, specific knowledge, specific skills, strengthening aptitude and increasing general ability. In this thesis, we analyze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schedule of institution for the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of information science, introduce their problems and propose the direction of education for the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of information science who can bring out their latent force.

      • 초등학생 정보과학영재 교육과정 분석 및 개선 방안

        김인혜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79

        정보과학영재 분야는 오랜 전통을 가진 수학과 과학 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교육과정, 교육내용, 교수·학습내용, 영재 판별도구와 선발과정 등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로 인해 정보과학영재 교육은 컴퓨터나 인터넷 이용, 응용 소프트웨어의 활용, 프로그래밍 언어 학습과 같은 기능 습득 중심의 교육으로 잘못 인식되는 경우가 많다. 이것은 학습자의 지적능력에 상응하는 상위수준의 사고과정 계발, 창의력 배양, 논리적 사고력 신장, 문제 분석 및 해결능력 신장과 같은 궁극적인 영재교육의 취지에 맞지 않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현재 대학과 교육청 산하 영재 교육기관의 초등 정보과학 영재 교육과정을 조사 분석하여 초등 정보과학 영재교육과정을 위한 현실적인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area that deals with the elementary gifted in information science is in shortage of research on curricula, educational contents,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and discrimination tools and selection processes for the gifted compared to the traditional areas of mathematics and science with a long history of research. Thus education of the elementary gifted in information science has often been mistaken as teaching skills of using computers, Internet, application softwares, and programming languages. The misconception does not reflect the ultimate goals of the gifted education which include cultivating higher-level thinking processes that correspond to the intellectual capability, nurturing creativity, and enriching logical thinking abilities and problem analysis and solving skills. This study aims to propose feasible improvement measures of the curricula for the elementary gifted in information science through surveying and analysing the curricula of the gifted education institutes of universities and education offices.

      • 유치원과 초등학교에서의 문자. 수 교육 및 교사들의 견해 : Teachers' opinion on teaching letters and numbers at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조경숙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문자.수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알아보고, 문자.수 교육으로 인해서 교사들이 느끼는 어려움과 요구하는 사항이 무엇인지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문자.수 교육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2. 문자.수 교육으로 인해서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교사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은 무엇인가? 3. 문자.수 교육에 대한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교사들의 요구는 무엇인가? 연구를 위하여 경남지역의 시 또는 군 지역에 근무하는 병설유치원 교사, 초등학교 1학년 교사 각각 8명을 대상으로 13주간에 걸쳐 준비된 질문을 상황에 맞추어 개별적으로 면접을 실시하였다. 면접이 이루어지는 동안 녹음하여 면접내용을 전사하고, 조정과정을 거쳐 범주화시켜서 분석하여 기술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유치원에서 문자.수 교육은 대부분 이루어지고 있었다. 문자교육은 별도의 시간을 편성하지 않고 여러 가지 다른 활동과 병행하여 실시하고, 유아들이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친숙한 물건이나 환경들에 호기심을 나타낼 때 읽고 써보는 정도였다. 수 교육은 구체물을 이용하여 많고 적음을 분류해보고 수의 크기를 비교해 보는 활동이 가장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초등학교에서의 문자교육은 먼저 기본 음절표를 익힌 다음 그 기본글자를 조합하여 낱말을 만들고, 그 낱말을 익히기 위한 보충심화 학습방법으로 받아쓰기를 가장 많이 활용하였다. 수 교육은 일상생활에서 부딪히는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이나 방법을 익히게 하기 위해 유치원과 마찬가지로 구체물을 사용해서 수의 원리나 개념을 익혔다. 둘째,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사들은 문자.수 교육을 함에 있어서 겪는 어려움은 여러 가지였다. 유치원 교사들은 학부모들의 유아교육에 대한 기대치와 교육과정간의 괴리감으로 인한 심리적 부담을 가지고 있었고, 초등교사가 유치원 교사를 부정적인 시각으로 본다는 점에 불만이 컸으며, 장소의 협소성으로 인해 교재.교구의 보관이 어렵다고 하는 반면 초등학교 교사들은 체계적이지 못한 조기교육의 실시로 아동능력의 개인별 수준차가 심하여 지도에 어려움이 있고, 유치원과 중복되는 학습내용으로 흥미를 잃게 되어 주의가 산만해지며, 기본적인 생활습관지도에 어려움을 나타냈다. 셋째, 문자.수 교육을 함에 있어서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사들이 원하는 요구도 다양하였다. 유치원 교사들은 학부모들이 유치원 교육과정을 새롭게 인식하고, 초등학교 교사가 유치원을 바라보는 시각을 긍정적으로 바꾸어 주기를 원했다. 그리고 사설학원에서는 학부모의 요구에 따라 교육과정을 운영하기보다는 유아 발달단계에 맞게 정상적인 유아교육과정을 운영하였으면 한다고 했다. 초등학교 교사들은 문자를 유치원에서 익혀오기를 원했다. 그러나 문자를 익히기 위한 수단으로 쓰기 위주의 교육이 이루어져서 아동들이 흥미를 잃어버리지 않도록 하고, 정확한 필순이나 바른 연필 잡는 법을 요구하였다. 그리고 기본적인 예절, 바른 생활습관 등을 반복 지도하는 것이 유아교육의 필요성이라고 하면서 올바른 생활습관 형성에 강조점을 두었다.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teaching letters and numbers are conducted at kindergartens and 1st grade classrooms in elementary school, and to analyze what the difficulties and demands of teachers are in classrooms. For the purposes, the study questions are set as follows. 1. How is teaching letters and numbers performed at kindergartens and 1st grade classrooms in elementary school? 2. What are teachers' difficulties in teaching letters and numbers? 3. What are teachers' demands in teaching letters and numbers? The researcher had individual interviews with 8 kindergarten teachers and another 8 first grade teachers in Kyungnam for 13 weeks. Individual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ready-made questions for adapted situations, and all the interview recordings were analyzed in transcription and categorization with adjustm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st kindergarten teachers taught children letters and numbers. Teachers taught letters in other activities without setting separate time, and children barely read and wrote names of familiar things. They did number teaching in counting and other activities. However, elementary school teachers provided tables of syllable first, and mixed syllables to make basic letters. For memorizing the letters, they used dictation test the most. Number teaching started with tangible things, just like kindergartens, to make children understand means of solving problems in daily life. Second, the teachers faced several difficulties in teaching letters and numbers. Kindergarten teachers expressed their psychological burden of estrangement coming from parents' expectation and educational curriculum, discontentment to elementary school teachers' negative views and storage difficulty of materials. On the other h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ressed teaching difficulties due to children's great individual level gap of learning, children's lack of interest due to early learning in kindergarten, and teaching difficulties of basic habits for daily life. Third, the teachers had various demands at teaching letters and numbers. Kindergarten teachers asked for parents' understanding of kindergarten curriculum and elementary teachers' positive views. They also wanted private institutions to have proper curriculum to keep pace with children's developmental stages. However,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nted children to know letters with their interests intact, and demanded correct letter writing or proper pencil holding. The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right life habits with say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should teach basic etiquette and right habits repeatedly.

      • 경남지역 중등학교의 교훈 및 교육목표 인지도에 대한 연구

        김가영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mottos and goals of middle and high schools should include and present the image of an ideal person that students want to resemble. In addition, behavioral characteristics that students are able to gain should be clearly stated. On the basis of these policies, not only the management of each school but also the mottos and aims of individual school education should be created and modified by means of all the school faculty members who participate in deciding school matters. However, the goals of school education tend to be frequently created by the educational board of the government even though each school has the right to decide on its matters. Consequently, the characteristics and traits of school might be ignored due to concentrating more on the school principals or homeroom teachers. Specifically, the future of the education depends on what the aims are. Therefore, each school should have its own specific goals which are attainable. Through this current study, the researcher examined how many people recognize their school mottos, analyzes the effect of school mottos and goals on school activities, and explores the roles of education in the field of current education. The following 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First,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responses to the items of the questionnaire, this study found that the most popular school motto was concerning sincerity which gained 22 percents. The second one was regarding diligence that had eighteen percents. The third popular motto was about creativity with nine percents. Second, the study also foun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urrent school mottos and the ones which were used thirteen years ago. However, there was a slight difference in terms of the creativity and globalization. The current mottos focused more on these two factors such as the creativity and globalization.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the majority of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recognize their school aims or school mottos. Besides, the participants thought that these mottos did not affect on school education in spite of the fact that they realized school education should be emphasiz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thought that the school aims or mottos need to be modified to fit into the current educational situation. 학교의 교훈이나 교육목표는 긴 미래를 보고 학생들이 궁극적으로 도달해야 할 바라는 인간상을 제시하거나 그 행동특성을 종합적으로 명시한 것이어야 할 것이다. 학교경영은 이러한 맥락에서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학교의 교훈이나 교육목표는 전 교원은 물론 학교공동체의 공동사고나 참여에 의해서 결정되어야 하고 또 필요에 의해 수정되어야 할 것이다. 하지만 학교의 많은 자율성이 보장됨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학교의 교육목표가 상위 기관의 방침이나 역점사업에 맞추어 이루어지는 경우가 허다하다. 그러다 보니 각 학교의 개성이나 특성이 무시되기 쉽고, 또 학교장이나 담당교사 위주로 만들어져 형식적인 존재로 전락할 가능성이 많다고 볼 수 있다. 교육의 장래는 그 목표를 무엇에 두는가에 따라 좌우된다. 이것은 곧 학교가 무엇을 달성할 것인가에 대한 명확한 개념이 없이는 교육의 본질이나 교육의 방법을 적절하게 결정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학교의 교훈에 대한 인지도를 알아보고, 교훈이나 교육목표가 과연 교육활동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조사·분석하고, 학교 현장의 교육에 더욱 효과적인 교훈으로의 역할을 탐색해보고자 했다. 첫째, 경상남도 전체 중·고등학교의 교훈을 조사한 결과 가장 많은 교훈으로는 성실(22%), 근면(18%), 창의(9%)로 나타났다. (각 학교의 교훈을 중심으로 통계 처리하고 교훈이 없는 경우에는 교육목표로 대신했다) 둘째, 지금의 교훈은 13년 전의 교훈과 비교할 때 큰 변화가 없음을 알 수 있다. 그래도 13년 전의 교훈을 비교하여 차이점을 찾아본다면 창의성 교육이라든가 세계화를 강조하는 점을 발견할 수 있다. 셋째, 학교 현장의 교훈 및 교육목표에 대한 인식 정도를 설문조사한 결과는 교사나 학생 모두 자기 학교의 교훈이나 교육목표를 대체로 알고는 있었다. 그리고 교훈은 학교 교육에 영향을 크게 미치지 않는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학교 교훈을 주로 홈페이지에서 보고 있고, 학교교육에 그것이 강조되어야 한다는 인식은 하고 있다. 교사나 학생은 모두 교훈에 대한 인식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으며, 교훈이 새로운 시대 상황에 맞게 바뀌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다.

      • 경남지역 고등학교 급식조리종사원의 직무 실태 및 교육요구도 분석

        김현정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63

        2009년 현재 경상남도교육청 관내 학교직영으로 운영되는 고등학교급식에 근무하는 조리사와 조리원을 조사대상으로 직무 및 교육 실태를 알아보고 직무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리종사원들의 교육 요구도를 조사하여 직무능력 향상에 적합한 교육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조사는 2009년 6월 1일~20일까지 우편으로 500부를 배포하여 261부(회수율: 52%)를 회수하여 본 연구의 자료로 활용하였다. 첫째, 경상남도교육청 관내 학교직영으로 운영되는 고등학교급식에 근무하는 조리종사원의 연령층은 ‘40~50대’의 여성이 많았고, 직위는 상당부분 ‘비정규직’조리원의 신분으로 고용되어 있었으며, 대부분 인문계고등학교로 1일 식사 제공 횟수는 ‘2식 이상’의 식당배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근무여건과 직무실태에서 1주일간 근무시간은 ‘50시간 이상’이, 1개월간 평균 초과근무시간은 ‘30~60시간미만’이 높게 나타났다. 이들 대부분은 인문계고등학교에 근무하고 있었고 1일 2식 이상의 식사를 제공하고 있었으며, 월 평균 ‘100만원 이상’의 임금을 받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리종사원은 ‘청소’의 노동 강도가 가장 높다고 응답하였으며, 작업환경 중 개선이 필요한 부분에서는 ‘과도한 업무량’으로 조사되었다. 근무학교의 복지시설과 복지제도에 대한 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불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체적 상해 경험은 16.1%였으며, 사고원인은 ‘본인 부주의’가 많았고, 신체 상해 관련 업무는 ‘주 조리’가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조리종사원 중 42.9%가 이직 의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직을 한다면 이직 사유로는 ‘과다한 업무’ 때문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조리종사원의 직무능력 향상을 위한 연간 교육 횟수는 ‘1~2회’가 많았으며, 직무능력 향상 교육이 업무에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였다. 교육을 참석하기 어려운 주된 이유로는 ‘급식 업무가 바빠서’였다. 현재 실시되고 있는 교육에서 ‘교육기회가 많지 않다는 것’이 교육의 개선점으로 조사되었다. 조리종사원은 1회 교육시 ‘3시간 미만’의 교육을 ‘6개월’ 주기로 실시하기를 원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교육시 가장 효과적인 교육은 ‘실제급식현장을 담은 동영상교육’과 ‘우수한 조리종사원의 교육‘으로 실제 사례를 통한 교육이 교육효과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업무분야별 업무의 중요도와 교육의 필요성 모두 ‘위생관리(HACCP포함)’과 ‘안전사고 예방 및 대책’이 높게 조사되었으며, ‘창고 및 저장관리’와 ‘업무와 관련된 법규 및 행정’은 낮게 조사되었다. 9개 업무분야에 대한 업무의 중요도와 교육의 필요성은 정(+)의 상관관계로 나타나, 조리종사원들이 중요한 업무로 파악하고 있는 경우 교육에 대한 요구도 또한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직무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해서는 많은 조리종사원들이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고등학교급식의 효율적인 운영관리와 위생적이고 안전한 급식을 위해서는 급식운영과 더불어 조리종사원의 직무향상을 위한 정부차원의 제도적 지원이 이루어져야하며, 조리종사원의 요구나 의견들을 적극 반영한 연수 및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전문적인 체계가 확립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per education means for job competence enhancement of the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by checking their education needs which can improve their job skills.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made by the school foodservice 261 employees who are working at the school restaurant under direct management of the school in Gyeong-Nam province we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are 40~50 ages women, and the majority was casual cuisine employees and they have the honor of dining with more than two meals a day at general high schools. Second, according to working conditions and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duties, their on-duty hours were beyond 50 hours in week, 30~60 hours in months with regard to overtime work on average. Most of the employees were working at general high schools and they had the honor of dining with more than two meals a day and got average money less than 1,000,000 won every month. They replied that most strong labor intensity of the employees were cleaning and their excessive work load and they needed to be required to improve working environment. Their satisfaction in regard to welfare facilities and welfare system at their school was generally low. In a survey of work-related injuries, their injury cases showed 16.1%, and their own carelessness was the primary cause, and the top cause by their business of injury case occurs during their preparing the main course. The 42.9% of the employees didn't want to change present work place. If they take up another employment, that was because they have too much work to do. Third, in case of the number of annual education for their job competence enhancement, when they attended the education they want to take part in 'under 3 hours of education' at a time, it periodically took effect half yearly. The most effective tools for education were 'the movies filmed under the actual school food service circumstances' and ' the education made by excellent cuisine employees' which were based on real cases. With respect to critical factors about business spheres and needs for education, while 'health control(including HACCP)' and 'the prevention & measures of safety-accident in food service' surveyed high, 'warehouse & store management' and 'laws and regulations & administration on cuisine business' surveyed low. The importance of the business and needs for education about 9 business spher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one another, it is surveyed when cuisine employees have an important understanding of something that has higher needs for education. Many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admitted the importance & needs for duty education. In an attempt to make effective management, sanity and safe meals system, it was required to have systematically governmental support for their job competence enhancement with meal service management and to have special system for in-service training & education program which positively reflect demands & opinion by cuisine employees

      • 중학교 2학년 영어교과서의 문화내용 분석 및 문화교육의 실태조사

        김지연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cultural contexts are properly presented in the English textbooks and to know the teachers perspectives of cultural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amended 7th national curriculum for English education. To perform this study, the cultural contents in five different textbooks are analyzed and compared according to cultural materials, backgrounds, and types. It also investigates the attitudes and opinions of teachers and students towards cultural education and cultural section of English textbooks through the survey and the test of understanding culture. The results of textbooks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books do not introduce various cultural contents to reflect diversity in culture education. Among 19 cultural materials presented in curriculum, there was a certain one that accounts for 15% the maximum while some were not dealt with. Second, It was found that most textbooks fail to provide various backgrounds to understand other cultures and to develop communicative competence. Although it is easy to experience universal cultural background through other materials not through English textbooks, it holds 48% of all. In addition to it, the ratio of Korean cultural background was only 2%. Third, most textbooks do not perform a role properly to broaden and deepen learners' understanding of the culture by accepting diverse cultural types. The behavioral culture was given more weight than material or spiritual culture and it was three times higher than others. Fourth, only two of the textbooks have the separated section for learning culture and it doesn't even have the sufficient contents in terms of quality and quantity. It also introduces common subjects that the students already know much.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 that although both teachers and students realize the importance of cultural education and the need to increase cultural information in English textbooks, the current English classes do not provide adequate cultural education. Furthermore, the teachers agree that English textbooks should be revised, adding more detailed and currently updated cultural information. With the test result of understanding culture,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with separated culture section and none). What is worse, 30% of the students with the textbook which has a separated culture section answered that they don't know whether they learned culture or not. It lets us know that teaching culture is not being realized.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of English textbooks, survey and the test result of the students' understanding culture, the present study puts forward the following three proposals. First, there is an urgent need to incorporate more exciting and authentic cultural information into the structure of the textbooks. Second, cultural contents have to be concerned from the first stage of writing and planning the textbooks, so they could be embedded systematically into the main contents. Third, the obvious standards of cultural contents should be established in the curriculum guidelines. Therefore, we should change the English textbooks to be the cultural books and the teachers are required to take the initiative in teaching and to guide learners in acquiring knowledge of the target language and culture. 본 논문의 목적은 중학교 2학년 5종 교과서의 본문과 문화고정란을 중심으로 영미문화 내용의 반영 정도를 소재별, 배경별, 유형별로 비교 분석하여, 본문과 문화 고정란의 유기성에 대해 알아보고, 교사와 학생의 문화의식 및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영미 문화수업의 실태에 따른 설문을 비교 분석하여 문화 교육을 위한 영어 교과서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는데 있다. 서론에 이어 2장에서는 문화의 정의, 문화와 언어의 관계, 영어교육에서의 문화지도의 필요성,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나타난 문화교육의 목표와 내용에 관해서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중학교 5종 교과서를 선택하여 본문과 문화고정란을 소재별, 배경별, 유형별로 분석하는 기준을 제시하였고, 분석대상 교과서를 채택하고 있는 경남도 내 중학교 8곳의 교사 35명과 학생 350명을 대상으로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문화 교육의 실제와 문화고정란에 대한 의견을 들어보기 위한 설문과, 학생들의 영미문화 이해도 검사에 대해 구성하였다. 4장에서는 교과서 내용의 문화반영 정도와 설문조사, 학생 영미문화 이해도 검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교과서 분석 결과 나타난 문제점은 첫째, 다양한 문화내용들이 교과서에 소개되지 못하였다. 문화소재범주 면에서 대부분의 교과서들은 상대적 균형이 유지되지 못했다. 둘째, 특정 문화배경 소재에 너무 비중을 두어 타 문화권을 이해하고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다양한 문화배경을 제시하지 못했다. 셋째, 분석대상 5종의 교과서 중 3종에서는 문화 고정란이 아예 없거나 고정란이 있는 경우도 교과서 내에 차지하는 양이 부족하였다. 설문조사 결과의 문제점은 교사와 학생이 문화교육의 필요성은 인식하고 있지만 현재 학교에서 문화 수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문화고정란의 양을 늘려야 한다는 것에 의견이 일치하였으며 교사들은 문화교육을 위해 교재 개편이 필요하다고 조사되었다. 학생들의 영미문화 이해도 검사에서도 문화란이 있는 교과서를 쓰는 학교의 학생들이 좀 더 이해도가 높을 것이라는 예상이 크게 빗나가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는 학교에서의 문화교육 적용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긍정적 효과를 가져 오지 못한 것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문화교육을 위해 고려해야 할 교과서의 개선방안을 3가지로 정리해 보았다. 첫째, 교과서의 소재는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것처럼 학생들의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고 흥미를 유발해야한다. 또한 문화고정란을 확대편성 하여 학습자로 하여금 영미문화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해야 한다. 둘째, 문화내용이 교과서를 집필하고 기획하는 시작단계에서 고려되어 주요 교과내용에 연계적, 체계적으로 포함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제대로 된 문화교육이 학교에서 가능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 지침에 문화교육에 관한 명확한 기준이 확보되어야 하겠다. 이제 영어교과서가 단지 영어라는 언어만을 교육하는 것이 아닌 범 교과서적인 교양서적으로 변해야 한다고 본다. 이를 위해 교사들 또한 꾸준한 자기 연찬을 통하여 학생들의 수준에 제일 적합한 수업형태를 찾아내어 수업의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린다면 보다 나은 외국어 문화교육이 이루어질 것으로 본다.

      • 대학입학사정관제도에 대한 고등학교 교사의 인식 및 대응실태 분석 : 경상남도를 중심으로

        이영진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high school teacher's perception and response to admissions officer system, thereby provide meaningful data. Research questions to achieve this inquiry's goals are as follows: First, is there any difference in high school teacher's awareness about the admissions officer system on the background variables? Second, is there any difference in high school teachers's awareness about evaluation data about the admissions officer system on the background variables? Third, is there any difference in high school teacher's response to admissions officer system on the background variables? The questionnaires were responded by the 345 teachers who are working in Gyeongsangnam-do. Excepting the questionnaire that is not possible to conduct statistical treatment, a total of 322 subjects were used. SPSS 12.0 for windows was used for data analysis. High school teacher were classified demographic characteristics(age, sex) and working characteristics(establishment, the seat of school, teaching career, job position, class teacher of seniors in 5 years, guide students go in for admission officer exam, division of works). The conclusive main results of study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 while high school teachers` level of awareness over admission officer system was high, it is perceived negatively. High level of teachers` awareness of overall system could be seen as the result of continuous implementation of college admission screening`s admission officer system in education field. The teachers who have experience of 12th grade`s class teacher were skeptical about effect awareness of system depending on individual variables and career-planning teacher perceived it relatively positively than other group. Perception of problem of system was higher than average, and group that experienced or carrying out educational guidance had relatively low trust over fairness of student selection than other group. Second, high school teachers put importance on school record, interview, club activity, and scholastic ability test score in admission officer screening student evaluation data. In the importance awareness depending on individual variables, teachers who have experience in 12th grade class teacher or guidance experience of candidate students had relatively high perception of importance in school record and scholastic ability test score than other group. In subordinate scope of creative activity for experience, importance of career planning teacher was relatively high in entire area excepting certificate, and teachers who do not have experience of 12th grade class teacher`s importance awareness were relatively high in reading, voluntary service. The importance awareness of teacher who has experience in candidate students was relatively high in club activity. An interview and self-introduction letter were perceived importantly in school life fidelity and personality and aptitude part, and among the subordinate scope, career-planning teachers` level of awareness of importance in special activity and attendance record was higher than other group. Level of awareness of self-introduction letter and interview showed higher level for teacher who have experience of instructing candidate student than other group. Also, national school teachers put more importance in self-introduction letter, and female teachers put more importance in special activity than other groups. For study environment, region`s condition of education was perceived more importantly than location of graduated high school. In subordinate scope, teachers who have experience of 12th grade class teacher perceived the location of graduated high school more importantly than other groups, and district area school teacher and career-planning teacher perceived region`s condition of education more importantly than other groups. Conclusively, in perception of importance of admission officer student evaluation data, teachers still tend to put existing score-oriented evaluation data before. Third, for teacher`s actual condition of confrontation with admission officer system, awareness level of student club organization, inside and outside of school competition conference management, faithful writing and verification of student record, providing information on entrance exam, related training completion were relatively higher. However, awareness level of integrated education among subjects, individual path and aptitude education,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reading education record, portfolio writing education, providing volunteer service information, university-related education were relatively lower. In subordinate scope, young age teacher under 30 years old and private school were more actively implementing integrated education among subject than other groups. Career planning teacher, class teacher and teacher who has experience of class teacher who highly related to student`s educational guidance perceived individual course education of student and portfolio writing education, faithful writing of student record, university-link education relatively more importantly. Also, city area school teacher and teachers in their 40s, 12th grade class teacher and teacher who has experience in instructing candidate student showed higher awareness of management of inside and outside competition conference. Male teachers and grade head teacher showed higher awareness in provision of information of entrance exam, career planning teacher and grade head teacher showed higher awareness in participation of related training. In its final analysis, it could be indicated that there was tendency of following existing education activity in overall area. In other words, it was focused on existing contents, and it showed somewhat passive attitude on new education activity. 본 연구는 입학사정관 제도에 대한 고등학교 교사의 인식 및 대응실태를 밝힘으로써 제도 실시 이후, 실행주체의 의식 수준을 파악하여 입학사정관 제도의 질적 향상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고등학교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입학사정관제도의 인식에는 차이가 있는가? 둘째, 고등학교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입학사정관 전형 학생 평가 자료의 중요도 인식에는 차이가 있는가? 셋째, 고등학교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입학사정관제의 대응실태에는 차이가 있는가?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확인하기 위해 경상남도에 근무하고 있는 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345부를 회수하였고 통계처리가 불가능한 설문지를 제외한 322부의 자료를 최종 선정하여 SPSS 12 for Window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고등학교 교사는 인구사회학적 특성(연령, 성별)과 근무 특성(설립, 소재지, 교육경력, 보직여부, 최근 5년 내 고3 담임 경험 유무, 입학사정관 응시학생 지도경험 유무, 2013학년도 담당업무)으로 구분하였다. 설문 문항은 입학사정관 제도의 인식(21문항), 평가 자료의 중요도(15문항), 입학사정관 대응실태(14문항)의 세 부분으로 구성하였다. 결론적으로 주요한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교사의 입학사정관 제도 인지 수준은 높은 반면, 효과는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문제점과 개선 방안도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제도 전반에 대한 교사의 인지 수준이 높게 나타난 것은 새로운 대입 전형의 입학사정관 제도가 교육현장에서 지속적으로 실시된 결과로 볼 수 있다. 개인 변인별 제도의 효과 인식에서는 고3 담임경험이 있는 교사가 회의적이었으며, 진로진학 상담교사는 상대적으로 다른 집단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제도의 문제점 인식은 보통 수준 이상으로 나타났고, 진학지도를 경험하거나 실시하고 있는 집단에서 상대적으로 다른 집단보다 학생 선발의 공정성을 신뢰하고 있지 않았다. 둘째, 고등학교 교사는 입학사정관 전형 학생 평가 자료 중 내신, 면접, 동아리 활동, 수능 성적 등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개인 변인별 중요도 인식에서 고3 담임 및 응시학생 지도경험이 있는 교사가 내신과 수능 성적의 중요도 인식이 상대적으로 다른 집단보다 높았다. 창의적 체험활동의 하위영역에서는 자격증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진로진학 상담교사의 중요도 인식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독서, 봉사 활동에서는 고3 담임경험이 없는 교사의 중요도 인식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동아리 활동에서는 응시학생 지도경험이 있는 교사의 중요도 인식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학교생활 충실도 및 인·적성 부분에서는 면접과 자기 소개서의 중요도 인식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하위 영역 중 특별활동과 출결사항에서 진로진학 상담교사의 중요도 인식 정도가 상대적으로 다른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자기 소개서와 면접에서는 응시학생 지도경험이 있는 교사의 중요도 인식 정도가 상대적으로 다른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국공립학교의 교사는 자기 소개서, 여교사는 특별활동의 중요도 인식 정도가 다른 집단보다 상대적으로 다른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학습 환경에서는 출신 고교 소재지보다 지역의 교육여건의 중요도 인식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하위영역에서 출신 고교 소재지는 고3 담임경험이 있는 교사가 상대적으로 다른 집단보다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지역의 교육여건은 군 지역 학교의 교사와 진로진학 상담교사가 상대적으로 다른 집단보다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입학사정관 학생 평가자료 중요도 인식에서 교사들은 여전히 기존의 점수 위주의 평가 자료를 우선시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입학사정관 제도의 대응실태에서는 학생 동아리 조직, 교내외 경시대회 운영, 생활기록부의 충실한 작성 및 검증, 입시정보 제공, 관련 연수 이수 영역의 인식도가 다른 영역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교과 간 통합교육, 개개인의 진로 및 적성교육, 독서교육의 기록 유지 및 관리, 포트폴리오 작성 교육, 봉사활동의 정보 제공, 대학 연계 교육에서는 인식 정도가 다른 영역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하위영역에서 교과 간 통합교육은 사립학교와 30대 이하의 저연령 교사들이 상대적으로 다른 집단보다 적극적으로 실시하고 있음을 인식하고 있었다. 학생 개인별 진로교육과 포트폴리로 작성 교육, 생기부의 충실한 작성, 대학 연계 교육은 학생의 진학지도와 관련이 높은 진로진학 상담교사, 담임교사 및 담임경험이 있는 교사에게서 인식 정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시 지역 학교의 교사와 40대 교사, 고3 담임 및 응시학생 지도경험이 있는 교사들이 교내 외 경시대회 운영의 인식 정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입시정보의 제공에서 남교사와 보직교사가, 관련 연수 참여는 보직교사와 진로진학 상담교사의 인식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전체적인 부분에서 이전부터 실시하고 있던 교육활동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이전부터 실시하고 있던 내용을 중심으로 하고, 새로운 교육 활동에는 다소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었다.

      •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일본문화수업의 효율성

        김지은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고는 일본어교육에 있어서도 단순히 언어만이 아닌 그 나라의 문화를 이해함으로써, 학습자들이 일본어교육에 흥미를 갖고 동기부여가 될 것이라는 목적에서 시작하였다. 또한 제 7차 일본어 교육과정에서도 문화간의 상호이해와 원활한 의사소통 역시 요구되고 있는 시점이다. 본고에서는 관련문헌과 논문검색을 통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외국어에 있어 문화교육의 필요성과 제 7차 일본어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문화교육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학습자들이 그 나라의 문화를 이해하기 위해 어떤 학습방법이 학습자들로 하여금 학습 의욕을 높이고 동기를 유발시킬 것인지 고려하여 시청각 자료를 활용한 문화교육을 실시하였다. 본고를 위해 경남 창원지역의 K고등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학습자들의 일본과 일본어, 문화에 대한 전반적인 관심도를 파악하기 위해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학습자들의 수준과 일본에 대한 관심도를 파악하여 수업모형을 만들기 위해 사전설문지와 수업모형을 활용하여 수업을 한 경우 학습자들의 문화에 대한 인식변화와 수업에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알아보기 위해 사후설문지를 통해 실시되었다. 수업모형은 시청각자료로써 문화교육의 학습자들로 하여금 간접적 체험으로써 학습동기와 학습에 동기유발을 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시청각 자료중에서도 설문조사를 통해 학습자들의 관심도가 높았던 애니메이션을 가지고 수업모형을 짜 보았다.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교수 방법은 학습자의 흥미를 고취시키고, 언어를 구체화하여 학습자들로 하여금 문자인식뿐만이 아닌 그에 내포되어있는 실질적인 뜻을 알 수 있다. 애니메이션의 재료선정에 있어서도 학습자들의 수준과 청취의 난이도를 고려하여, 애니메이션을 통해 문화교육을 할 수 있는 작품으로써 일본과 그 나라의 문화를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여러 애니메이션 중에서도「サザエさん」은 일본의 사회상이나 가족상이 잘 반영된 작품이고 초급수준인 학생들에게 적합하다고 판단되어져서, 일본어와 일본문화에 이해를 도울 수 있다는 점에서 선정하였다. 본고는 「サザエさん」을 중심으로 수업모형을 만들어 K고등학교 2학년 4개의 반을 중심으로 총 8차시에 걸쳐 문화수업을 실시, 제7차 교육과정에서 요구되는 문화교육 내용 중에서도 생활예절, 주거문화, 의복문화를 나누어 실시하였다. 또한 수업 실시 후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문화수업의 효율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사후 설문조사를 통해 학습자들의 의식변화를 알아보았고, 문화수업이 일본어교육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해 보았다. 본고에서 마지막으로 평가지를 통해 학습자들에게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문화수업이 일본어교육에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 알아보기 위해, 10문항을 만들어 측정해 본 결과 평상시 교과수업에서의 일본어성적보다 높은 성적을 나타내는 것을 통계를 통해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설문조사의 자료와 분석으로, 앞으로 학습자들의 학습의욕을 고취 시킬 수 있고,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교수자는 다양한 시청각자료를 활용한 연구방안을 모색하여 학습자들이 보다 일본어에 많은 관심을 가지도록 효과적인 지도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I think understanding the lifestyle, the way of thinking and primary values of Japanese people is very important to reduce the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Japan and Korea. I started this study to make learners more motivated and interested to learn Japanese by understanding Japanese culture. In addition, in concern of lack of understanding political, economical, social and cultural relationship between Japan and Korea, it is getting important to understand differences to have a smooth conversation. Furthermore, understanding difference between two countries is emphasized in the 7th curriculum revision. In this study, I investigated the necessity of understanding the culture to study languages and researched what cultural education should be learned in 7th curriculum through related documents and thesis. Furthermore, I demonstrated a class with audio visual material which can make learners motivated in purpose of knowing which class is effective to make learners eager to learn. For this study, students in the second grade in K high school, Changwon, Kyongnam have been made to answer some questions about how much they are interested in Japan and Japanese culture. We had two surveys. One has been done before the class, which is about the Japanese culture and the other is conducted after the class to recognize students' change about the recognition of Japanese culture. Class-model is consisted of animation material because the survey showed students prefer animation to the other visual audio materials. animation makes the class boost students' interest. In addition, animation turns lectures into real object and it makes students match the lecture with real objects. When I picked an animation, I considered the level of the students japanese and hearing level. I thought Sazaesan was proper for the class. This animation reflects the Japanese families and society and it is easy for beginners. That is why I picked up this video. I made a class-model with Sazaesan and taught students 8 times in 4 classes in K high school. I especially taught lifestyle manners, clothing manners, and table manners of Japanese. After these classes, I conducted a survey to know how students' culture recognition is changed and how much effective this class is. I made 10 questions and let the students answer them. The survey shows they got higher scores and got more interested in Japanese culture and learning Japanese. The class made learners motivated to learn Japanese and Japanese culture. By analysing the surveys and responses to the classes, I realized classes with various material make learners eager to learn and be interested. I know how much more effective the class is. The teachers should use various materials to teach students Japanese culture.

      • 병원평생교육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

        장귀옥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현재 병원에서 간호사에게 제공되는 병원평생교육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병원평생교육에 대하여 간호사들은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알아봄으로써 병원평생교육의 효율적 운영에 대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병원평생교육 필요성에 대한 간호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병원평생교육의 참여 동기, 참여이유, 참여효과, 참여향상방안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간호사가 참여하는 병원평생교육은 어떤 내용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간호사는 병원평생교육 내용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는가? 넷째, 간호사가 참여하는 병원평생교육 운영방식은 어떠하며, 간호사는 병원 평생교육 운영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는가?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병원평생교육의 필요성에 관하여 대부분 간호사들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특히 20~30대 간호사들 보다 행정 및 직원을 관리, 감독하고 있는 40~50대에서 병원평생교육이 더욱 필요하다고 응답한 것은 급변하는 의료지식 및 전문 의료, 간호기술과 의료기기의 급증으로 더욱 교육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병원평생교육이 필요한 이유에 대한 인식에서는 전문 의료 및 간호기술과 관련한 정보 습득을 위하여가 가장 많이 응답하였으며 병원평생교육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하여 합리적인 프로그램 마련이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둘째, 병원평생교육 참여에 대한 의사결정에서 흥미로운 점은 대학원이상의 경우 약간의 강제성이 있어야 한다가 50.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는 점과 희망하는 사람만 참여한다가 22%로 가장 낮게 응답 한 것은 학력이 높을수록 배우고자하는 경향이 강하며, 교육의 필요성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기 때문에 강제적으로 참여시켜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학력이 높을수록 자기주도적인, 자발적인 교육 참여를 원할 것이라는 의도와는 달리 결과는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셋째, 병원평생교육의 내용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병원평생교육에서 다루어지는 교육내용에서 전문 의학 및 간호기술 교육이 가장 많았으며 간호사들이 가장 많이 시간을 들여 하고자 인식하는 교육이 실제로도 잘 실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병원평생교육담당자와 관련한 인식에서 젊은 간호사들은 현장 경험 및 업무 경험이 없는 관계로 실무자들에 의한 실제사항 및 현장 경험에 의한 교육을 더 의미를 가지며 환자들의 다양한 질적 간호요구, 전문성 유지 향상 및 다양한 욕구에 대처 할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병원평생교육 운영에 대한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몇 가지 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병원간호사들의 경우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간호사도 수행해야 할 역할의 종류가 많아지게 되었으며 또한 병원의 대형화와 함께 병원 조직이 세분화되면서 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들 또한 전문지식과 간호기술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이런 특성에 맞는 맞춤형 병원교육프로그램과 교재 개발이 시급하다. 둘째, 병원평생교육 운영은 병원 간 교육 횟수 및 교육내용이 일정하지 않은 실정이다. 이런 상황에서 병원평생교육이 적게 이루어지고 있는 병원의 경우 전문성 향상을 위한 병원 간 네트웍 형성 및 실무에 적응 할 수 있는 체계적인 교육시스템과 프로그램 개발로 효율적인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현재 대부분의 간호사들에게 병원평생교육은 매우 필요로 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병원은 모든 간호사들이 병원평생교육에 참여 할 수 있도록 다각도의 방안을 마련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넷째, 병원에서 다양하게 평생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병원평생교육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 병원평생교육이 효율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병원평생교육에 대한 인식 제고를 위한 교육 및 홍보가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병원평생교육 프로그램이 고객 만족 뿐 아니라 의료의질, 서비스 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병원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맞는 교육계획과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병원은 무엇보다 간호사들이 희망하는 평생교육 내용으로 현장실습 및 경험을 통한 실무교육을 시행해야한다.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effective methods to improve the lifelong education provided to nurses in hospital by researching the current status of lifelong education system in hospital and evaluating the recognition of nurses about it. To do so, we initially established the research questions as below. Firstly, how much do nurses recognize the needs of lifelong education in hospital? Secondly, how much do nurses recognize about the participation motivations, participation reasons, participation effects, and suggestions to improve participation for the lifelong education in hospital? Thirdly, what are the contents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for nurses in hospital like and how do nurse recognize it? Lastly, how ar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for nurses in hospital being operated and how do nurse recognize it? The following is the result analysis of the research. Firstly, most of nurses recognized the needs of lifelong education in hospital. In particular, the nurses between 40 and 50s years old showed higher recognition than ones between 20 and 30s years old, For the question about the reason to need the lifelong education in hospital, respondents picked “to acquire advanced ,nursing technique, and related information” the most. Thus, there should be proper programs to run thelifelongeducationinhospitaleffectively. Secondly, the interesting point from the question about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was that 50% of nurses answered the program will have more participants if it is mandatory and 22% responded the program should be run for only voluntary applicants. It went against the presumption that nurses with the higher academic background will want to participate more voluntarily. Thirdly, for the research about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 contents, the education of professional medical knowledge and nursing technique was ranked at the top, which corresponds with nurses needs. Fourthly, for the recognition regarding the lifelong education personnel, it was concluded that will be much proper to operate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based on their field experiences than young nurses who are not fully experienced or skilled. Therefore, the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not only to provide patients high quality service but to meet the expectation with various desires. The followings are the suggestions based on the research analysis. Firstly, it is essential to develop the customized programs and teaching materials as the roles of nurses have become wider and the demands for advanced professional medical knowledge and nursing technique have been increased in the line with larger scale of hospitals and more segmented internal organizations. Secondly, the current lifelong education system is not consistent with the number and contents of program between hospitals. For the hospital with fewer programs should be provided an organized training system for nurses and a program development for the advanced network between hospitals. Thirdly, as stated above, it is vital for nurses to have such programs. Therefore, each hospital should come up with multiful ideas for nurses to participate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 Fourthly, the recognition about lifelong education is relatively weak even though there are diverse programs currently running at many hospitals. This should be complemented with the promotion to raise the recognition level. Lastly, there should be a lot of efforts delivered to establish the proper program and effective operation in order to meet customer’s expectation and improve the quality of medical treatment or service. Thus, hospitals should include and encourage programs with field training for their lifelong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