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뉴미디어 아트를 활용한 웨딩 공간의 플라워 디자인 연출에 대한 연구 : 인터랙티브 표현요소를 중심으로

        김민경 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711

        최근 소비문화의 고급화와 감성화로 사람들의 라이프스타일과 트렌드가 다양해지고 있는 흐름 속에서 웨딩 공간을 이용하는 이용객들 또한 이에 걸 맞은 개성과 차이점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웨딩 공간의 플라워 디자 인 연출의 흐름 또한 과거의 획일화된 플라워 장식만이 아닌 미래지향적인 웨딩 공간 연출로서 개개인의 요구와 감성에 맞추어 디자인하는 것이 최근 의 경향이다. 그 중 기술 발전과 함께 문화·예술적 차원에서 지향되는 예 술로서 뉴미디어 아트가 대두되어지고 있다. 뉴미디어 아트는 기술의 발전과 예술의 창의성을 결합하여 현대 예술을 혁신하고 확장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는 예술의 경계를 넘어 관객과 예술가 및 기술과 사회 간의 연결을 강화하며, 예술의 본래의 목적을 새롭 게 정립하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뉴미디어 아트는 현대 예술의 새로운 시 대에 발맞춰 예술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으며, 예술의 미래를 열어가고 있 는 혁명적인 예술 형태로 떠오르고 있다. 뉴미디어는 최근 멀티미디어와 같은 새로운 형태의 미디어로서 과거의 매 스 미디어와 영화 등에 의해 주도되던 일방적인 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 쌍 방향적인 상호작용적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할 수 있게 하는 환경을 제공해 주고 있다. 이러한 뉴미디어를 예술적 표현을 위한 기술적 도구로서 활용하 는 뉴미디어 아트는 역동적인 예술의 분야로 끊임없이 발전하고 있다. 그 중 뉴미디어 아트를 대중들에게 깊게 각인되며 관심을 끌 수 있게 하는 가 장 대표적인 특성이 상호작용이다. 뉴미디어 아트의 상호작용은 그 하위 분야 중 하나인 인터랙티브 아트와 많은 유사관계를 가지고 있다. 이들은 기술과 예술의 융합, 관객과의 상호작 용과 참여, 현실과 가상을 넘나드는 새로운 예술 경험을 제공한다는 것에 있어서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현대 예술의 다양성과 창의성을 표현하 는 중요한 분야로서 대두되고 있다. 웨딩 공간 연출에 있어서도 이에 따라 젊은 소비자들의 요구를 반영하기 위하여 새로운 웨딩의 유형을 만들어 내고, 웨딩 공간에 다양한 기술적 연 출 요소를 도입하며 웨딩의 유행 또한 변화하는 과정에 있다. 즉, 현대의 웨 딩 플라워 디자인 연출은 공간 장식으로서 자연의 식물만을 주체로 사용하 는 것을 넘어, 다양한 소재 사용의 시도와 기술과의 융합으로 더욱 조형적 이고 디자인적인 표현의 확대로 연출의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소비자들에게 있어 인생의 중요한 순간 중 하나인 ‘결혼’이 이루어지는 웨딩 공간은 상업 공간의 일시성적 성격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화훼 연출의 공간이 더욱 인상 깊고 차별화된 기억의 장소로서 남기를 원한다. 이에 따라 웨딩 공간을 상업적이고 일시성적 성격의 공간이 아닌 트렌드 변화와 흐 름에 맞는 뉴미디어 아트를 활용한 플라워 디자인 연출의 공간으로써 공간 과 상호소통을 한다면, 기존과는 다른 차별성을 가지며 진정한 웨딩의 의미 와 소비자들의 취향에 맞춤화된 새로운 연출로서 발전할 수 있다. In the recent trend of diversifying people's lifestyles and trends due to the high-end and sensitivity of consumption culture, users who use wedding spaces are also demanding individuality and differences. Accordingly, the flow of flower design direction in wedding spaces is also a recent trend to design according to individual needs and emotions as a future-oriented wedding space direction rather than a uniform flower decoration of the past. Among them, new media art is emerging as an art aimed at the cultural and artistic level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New media art plays a role in innovating and expanding contemporary art by combining technological advances and art creativity. This reinforces the connection between the audience, artists, technology, and society beyond the boundaries of art, and re-established the original purpose of art. In this way, new media art presents the direction of art in line with the new era of modern art, and is emerging as a revolutionary art form that is opening the future of art. Recently, as a new type of media such as multimedia, new media provides an environment that enables interactive interactive communication in a one-sided communication environment led by the mass media and movies in the past. New media art using such new media as a technical tool for artistic expression is constantly developing into a dynamic field of art. Among them, interaction is the most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 that makes new media art deeply imprinted and interested in the public. The interaction of new media art has many similar relationships with interactive art, one of its sub-fields. They have close relationships with each other in the convergence of technology and art, interaction and participation with audiences, and provide new art experiences that cross between reality and virtual, and are emerging as an important field for expressing the diversity and creativity of modern art. In the direction of wedding space, in order to reflect the needs of young consumers, a new type of wedding is created, various technical directing elements are introduced into the wedding space, and the trend of wedding is also changing. In other words, modern wedding flower design direction is expanding the scope of production by expanding more formative and design expressions through attempts to use various materials and convergence with technology, beyond using only natural plants as the subject of spatial decoration. The wedding space, where "marriage," one of the important moments in life for consumers, takes place, wants the space for flower production to remain a more impressive and differentiated place of memory, despite having a temporary nature of a commercial space. Accordingly, if the wedding space is communicated with the space as a space for flower design production using new media art that fits trends and trends rather than a commercial and temporary space, it can be developed as a new production tailored to the meaning of true wedding and consumers' tastes.

      • 루쉰의 신흥 목판화운동에 나타난 디자인관에 관한 연구

        유이소 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711

        Lu Xun (1881-1936) was a well-known writer, thinker, and educator during China's enlightenment and development period. Moreover, Lu Xun is not only made achievements in the field of literature but also left a distinctive footprint in the field of design, which significantly impacted the history of Chinese art. When Lu Xun was studying in Japan, he realized that the problem of Chinese people was not physical fitness but the lack of independent personality. Therefore, he started his literary enlightenment after returning to China. After experiencing the Revolution of 1911, the New Culture Movement, and the May 4th Movement, which were revolutionary events in the old and new cultures alternated sharply, Lu Xun gradually found his ideological values. These thoughts and values formed the future enlightenment thought, the thought of equality, the thought of individual self-reliance, and the thought of integrating Eastern and Western cultures. He tried to help the Chinese people to build themselves and establish correct values. While absorbing advanced Western ideas, Lu Xun also noticed the critical revolutionary consciousness of enlightenment and resistance brought by the creation of prints in the West. Thus, he introduced western prints into China and launched a modern woodcut movement. He founded China's first woodcut workshop in Shanghai in 1931, a symbolic starting point for China's modern woodcut movement. Through the continuation of traditional Chinese woodcut and the absorption of the advantages of Western woodcut, He formed a modern woodcut movement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Under the promotion of Lu Xun, the emerging woodcut quickly formed an artistic revolutionary front in China. In developing the modern woodcut movement, Lu Xun used his ideas and ideas to beautify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He differentiated the modern woodcut from traditional Chinese woodcut and Western-created woodcut. Emphasizing the reality and integrity of woodcut leads to an art form that serves the public as its core group. As China's education was hindered by war and social factors, the number of illiterates in China increased sharply, and the enlightenment of literature was no longer the only way for China's reform. Coupled with the influence of Cai Yuanpei's aesthetic education thought, Lu Xun began to find the answer to China's development in art. Later, when he came into contact with Kaysik Lewitz and Soviet prints, Lu Xun discovered that new woodblock prints could shoulder the task of enlightening the Chinese public on a large scale, thereby promoting the democratization of art. Moreover, his modeling concept advocates the sublimation of personality through art, enlightening the public to establish correct values. Modern woodcut, as the new media needed by China, also confirmed Lu Xun's design concept of emphasizing the utilitarian nature of art. In the process of globalization, Chinese design had fallen behind. In the development of modern China, the modern woodcut movement led by Lu Xun successfully integrated Eastern and Western art to form an inherent Chinese art medium. Therefore, his design concept in the modern woodcut movement has a high research value. Today, the study of Lu Xun's literary field is still very active. However, the exploration of his design concept has yet to receive a due evaluation. This research evaluates the modern woodcut through the background of Lu Xun's growth, the ideological changes brought about by the eastern and western social environments during his activities, and his communication with modern woodcut artists in the modern woodcut movement. In addition, based on Lu Xun's artistic evaluation and related references to Kathe Kollwitz and Soviet prints, combined with Lu Xun's though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woodcut as a new mass media, this research summarizes two inherent design concepts. One is the popularization of art, and the other is the essence of Chinese design. Popularization of art includes art enlightenment, art democratization, and the common interests of art. The essence of Chinese design involves establishing Chinese identity, modernizing traditional Chinese elements, and improving the irrationality of social structures. As an important symbol of Chinese society in the process of China's modernization, Lu Xun devoted his whole life to advancing Chinese public thought. The modern woodcut movement also reflects that he was a figure who emphasized the integration of Eastern and Western art and culture and led the diversification of literature and art. Although China's modern design lagged in internationalization, modernization vitalized the world's modern design concepts. Lu Xun's design concept is the thought that leads the world trend. Therefore, through the multi-faceted analysis of his design concept, we can understand the spiritual origin of the modern Chinese design concept. 루쉰(1881-1936)은 중국의 계몽 발전 시기의 저명한 문학가, 사상가, 교육자이다. 루쉰은 문학 영역에서 성과를 거두었을 뿐 아니라 디자인 분야에서도 뚜렷한 발자취를 남기어 중국 예술사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다. 루쉰은 일본 유학시절 중국인들의 문제가 결코 신체적인 부분에 있는 것이 아니라 독립적 인격 결여에 있다는 것을 깨닫고 귀국 후 문학 계몽의 길에 올랐다. 신해혁명, 신문화 운동, 5·4운동과 같이 신구(新舊) 문화가 급격히 교체되는 혁명을 거친 후 루쉰은 자신의 사상과 가치관을 찾아가며 계몽사상, 평등사상, 개인의 자립 사상, 동서양 문화 융합사상을 형성해 중국 국민들이 자아를 찾고 건전한 가치관을 확립하는데 큰 도움이 됐다.  루쉰은 서양의 선진 사상을 흡수하는 동시에 서양 창작 판화의 계몽적, 반항적인 혁명정신에 주목했다. 그리하여 서양의 창작 판화를 중국으로 도입 시켜 신흥 목판화운동을 이끌었다. 1931년 중국 상해에서 중국의 첫 번째 목각 강습회(木刻講習會)를 열었는데 이는 중국 신흥 목판화운동의 상징적인 출발점이었다. 루쉰은 중국의 전통 판화를 계승하고 서양 판화의 장점을 흡수하며 중국 특색의 신흥 목판화운동을 형성했다. 신흥 목판화는 루쉰의 지도 아래 순식간에 중국 국내의 예술 혁명을 일으켰다. 신흥 목판화운동의 전개 과정에서 루쉰은 자신의 “만물” “자기인식(思理)” “미화” 미학적 특성을 이용하며 신흥 목판화와 중국의 전통 판화, 서양 창작 판화를 구분했고 목판화의 사실성과 총체성을 중시하며 대중 중심의 예술 형식을 이끌었다. 중국 교육이 전쟁과 사회적 문제의 영향을 받아 중국 내 문맹의 수가 급증했기에 문학 계몽은 중국 개혁의 유일한 방법이 되지 못했다. 게다가 채원배(蔡元培)의 미육사상(美育思想)의 영향으로 루쉰은 예술 영역에서 중국 발전의 해답을 찾기 시작했다. 그 뒤로 케테 콜비츠(Kathe Kollwitz)와 소련 판화를 접하며 루쉰은 신흥 목판화가 중국 국민의 대규모 계몽을 실현시킬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고 예술의 민주화를 추진하기 시작했다. 루쉰의 조형관은 마침 예술로 인격을 승화시켜 대중들의 건전한 가치관을 형성하자는 주의였다. 신흥 목판화는 중국에 필요한 신매체로서 루쉰이 강조한 예술의 공리적 디자인관을 증명했다.  중국 디자인은 세계화 과정에서 다소 뒤처진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근대 중국의 발전 과정 속에서 루쉰이 이끌었던 신흥 목판화운동은 동서양 문화를 융합하여 중국 고유의 예술 매체를 탄생시키는데 성공했다. 그렇기 때문에 신흥 목판화운동 과정에서의 루쉰의 디자인관은 연구 가치가 매우 높다. 지금까지도 루쉰의 문학 영역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그러나 루쉰의 디자인관 탐구는 제대로 된 평가를 받지 못했다.  본문에서는 루쉰의 성장 배경을 살펴보며 그가 활동했던 시기의 동서양 사회환경이 어떤 사상적 변화를 가져왔는지, 루쉰이 신흥 목판화운동에서 목각가들과 어떤 교류가 있었는지를 통해 신흥 목판화 작품을 평가한다. 또한 케테 콜비츠와 소련 판화에 대한 루쉰의 예술적 평가와 관련 참고 문헌을 기초로 루쉰의 사상과 대중 매체로서의 신흥 목판화의 특성을 결합하여 두 가지 고유의 디자인관으로 종합했다. 첫 번째는 예술의 대중화 사상이고 두 번째는 중국 디자인의 정체성이다. 첫 번째 예술의 대중화는 예술을 통한 민중 계몽, 예술의 민주화, 예술의 공리성을 포함한다. 두 번째 중국 디자인의 정체성은 중국적 아이덴티티(identity) 확립, 중국 전통 요소의 현대화, 사회구조의 불합리성 개선이 포함돼 있다. 루쉰은 중국 근대화 과정 속 중국 사회의 중요한 상징적 인물로, 그는 한 평생 중국 국민들의 사상을 발전시키는데 힘써왔다. 신흥 목판화운동은 루쉰이 동서양 문화의 융합을 중시하고 문학과 예술의 다원화를 이끈 인물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현대 중국 디자인은 국제화 과정에서 낙후성을 보이고 있지만 근대화 시기에는 세계 현대적 개념의 디자인이 활성화시켰고 루쉰의 디자인관이 바로 세계적인 흐름을 선도하는 사상이다. 따라서 루쉰의 디자인관을 다방면으로 분석하여 현대적 개념의 중국 디자인의 정신적 뿌리를 이해와 의의를 발견하였다.

      • 대학가 노후주택을 활용한 코하우징 디자인에 관한 연구 : 건국대학교 주변을 중심으로

        김효진 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63

        대학가 노후주택을 활용한 코하우징 디자인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주변을 중심으로 한국의 경제 성장과 더불어 저출산, 인구 고령화, 비혼 등의 영향으로 오 늘날의 1인 가구는 가장 상승률이 높은 인구 유형으로 자리 잡았지만 최근 집값 인상 가속화로 1인 가구들에게 주거에 대한 고민은 늘어갔다. 정부는 이러한 인구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주거비 부담은 줄여주되 안정적인 주거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주택 정책들을 발표하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반영된 대안이 부족한 실정이다. 최근 동향을 살펴보면 1인 가구는 학교 또는 직장 때문에 자연스럽게 살아가게 되는 이유도 있지만, 혼자만의 라이프 스타일 을 추구하며 개인적인 프라이버시를 보호받기 위해서 자발적으로 선택한 경 우도 늘어가고 있다. 사회적으로 청년층에 해당하는 1인 가구들은 현대 주 거 트렌드가 반영된 신축 건물의 라이프 스타일을 추구하지만 부담스러운 주거 비용을 감당하기 어렵다. 증가하는 1인 가구들에게 현실적인 경제 상 황을 고려한 다양한 주거 환경을 제안하여 그들의 주거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주거 대안이 필요하다. 이 논문의 범위는 1인 가구들이 가장 많이 거주하는 주거지역인 대학가 주변을 중심으로 분포되어 있는 노후주택을 활용하여 그들을 주거 문제의 대안을 제시한다. 대학가 주변에 방치되어 있는 노후주택을 활용함으로써 1 인 가구의 주거만족도를 높이고 주변 거리 환경을 개선시키고자 한다. 또한 1인 가구의 특성을 고려하여 개인적인 프라이버시를 지키되 사회적 인격체 로 살아가기 위한 외로움을 해소할 수 있도록 공유공간의 유형인 코하우징 특성을 도입하여 노후 주택에 적용한 디자인을 제시한다. 이 연구는 대학가 주변을 중심으로 노후주택의 구조적 특징을 조사하고 코하우징에서 도출된 특성을 결합하여 노후주택에 적용할 코하우징 디자인 을 적용시켜 1인 가구를 위한 주거 디자인을 제시한다. 제시한 디자인은 1 인 가구에게 환경적·사회적으로 영향을 주도록 목표한다. 환경적으로 개선 된 개인의 주거 공간은 1인 가구의 주거만족도를 상승하게 하고, 사회적으 로는 고립되지 않도록 공동체 생활을 통한 심리적 문제를 해결하게 한다. 이 연구는 대학가 주변에 방치되고 있는 노후주택을 활용하여 1인 가구들 을 위한 코하우징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코하우징 특성이 반영된 공간 활성 화를 통해 1인 가구들의 주거 환경 개선과 활발한 커뮤니티 활동을 도모하 는 디자인을 제안함으로써 대학가 노후주택의 활용 가능성을 보여준다. 주제어 : 노후주택, 공유공간, 코하우징, 1인가구, 주거공간 Along with Korea's economic growth, single-person households have become one of the fastest growing demographic groups due to low birth rates, aging population, and singlehood. However, the rapid increase in housing prices in recent years has caused many single-person households to worry about housing. In response to this demographic trend, the government has announced housing policies to ease the burden of housing costs and provide a stable living environment.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alistic alternatives. Recent trends show that while single-person households are a natural consequence of education or work, a growing number of people voluntarily choose to live alone to pursue their own lifestyles and protect their personal privacy. The younger generation of single-person households seek the lifestyle of new construction, which reflects modern housing trends, but cannot afford the high cost of housing. There is a need for housing alternatives that can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increasing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by proposing different living environments according to their realistic economic situation.The scop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alternative to the housing problem by utilizing old houses around university districts, which are the most popular residential areas for single-person households. By utilizing the neglected old houses around the university area, this research aims to increase the housing satisfaction of single-person households and improve the surrounding street environment. In addition, given the characteristics of single-person households, the researcher proposes a design applied to old houses by adopting the characteristics of cohousing, a shared house, to alleviate the loneliness of living as a social person while protecting personal privacy.This study examines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old houses, focusing on the university area. It presents a housing design for single-person households by combining the features derived from cohousing and applying a cohousing design to old houses.The proposed design aims to have an environmental and social impact on single-person households. Environmentally, the improved personal living space will increase the housing satisfaction of single-person households, and socially, it will solve psychological problems through community living to avoid isolation. This study proposes a cohousing design for single-person households using abandoned old houses around a university town. By proposing a design that improves the living environment of single-person households and promotes active community activities through space revitalization that applies the characteristics of cohousing, this study shows the potential of using old houses in university areas. Keywords: Old house, Shared house, Cohousing, Single household, Living space

      • 현대패션에 나타난 경험디자인

        김수연 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63

        In comtemporary times, the design has changed into a design for people which gives first priority to consumer emotion first. According to this time setting, designers have focused on which design induces consumer emotion, which naturally led to the emergence of experience design. Experience design aims to provide a valuable experience to people and is being studied with interest and interconnection in various design fields. Since this cannot be concluded only through a specific design field, this study was intended to derive clearer viewpoints by organizing it as a concept of comprehensive range that can be defined with experience and knowledge professional fields with various categories including web, culture, system, and environ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uthor examined the design field that has expanded with social development and the setting for the emergence of the experience design developed according to value change, and organized the concept of experience design based on interactive design, UX design, and emotional design studied based on experience. Unlike the substantial form of the general design, the experience design has an intangible form manifested by the reaction of people. And this experience design is implemented by stimulation and reaction in space and time, producing a result which is the experience of people. It is studied with interest in various design fields including fashion design. By reviewing arts and design cases reflecting such experience factors, it was found that the experience was extracted by the method of behavior induction, emotion induction, and sense induction By analyzing the fashion exhibition, fashion design, and fashion marketing field using these methods, it was found that fashion is a concept that includes both artistic value as a work and commerciality as a product. Therefore,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xperience design which are more salient in fashion design by comparing two fields of art form and design form. As a result of comprehensively analyzing them, it was found that fashion becomes a mediator which enables communication between products and people, people and people, people and natural environment, and nature, showing an tendency to develop to make an useful experience. In addition, since the fashion is always worn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body, it is able to more effectively provide the experience achieved from the tactile sense among the various senses, and easily grasp the user’s physical conditions, psychology and surrounding environment, providing what are needed for users and being able to interact. These characteristics make it possible to apply the nature of the experience design eminently. In addition, in the fashion marketing, there are cases in which the experience design is applied after being replaced with the term of experience marketing. In the contemporary fashion, the experience design is expected to further develope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a beneficial experience to people through the convergence of experts in various fields in the future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methodologically helping various studies of fashion design applied with experience, development of product design, installation of works and experience marketing. 현대에 와서 디자인은 인간을 위한 디자인으로서 소비자의 감성을 우선으로 고려하는 방향으로 변화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에 따라 디자이너들은 어떤 디자인이 소비자의 감성을 이끌어 내는가에 집중하게 되었고, 자연스럽게 경험디자인이라는 개념이 대두 되게 되었다. 경험디자인은 사람에게 가치 있는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갖고 있으며 다양한 디자인 영역에서 관심을 갖고 서로 연계성을 갖고 연구 되고 있다. 이는 특정 디자인 분야를 통해서만 결론지을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웹뿐만 아니라 문화, 시스템, 환경까지 총체적으로 아우르는 다양한 범주의 전문영역의 경험과 지식이 어우러져야 정의할 수 있는 포괄적인 범위의 개념으로 이를 정리하여 좀 더 명확한 관점을 도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사회 발전에 따라 확장되어가는 디자인의 영역과 가치 변화에 의해 발전하게 된 경험디자인의 등장배경을 살펴보았고, 경험을 기반으로 연구되어지고 있는 인터랙션디자인, UX디자인, 감성디자인의 개념들을 바탕으로 경험디자인 개념을 정리하였다. 일반적인 디자인의 실재적인 형태와 달리 경험디자인은 사람의 반응에 의해 나타나는 무형적인 형태로 이러한 경험디자인이 주로 구현되는 방식은 주어진 공간과 시간 속에 자극을 주고 반응되며 얻게 된 인간의 경험을 성과로 한다. 이는 패션 디자인을 포함한 다양한 디자인 영역에서 관심을 갖고 연구 되고 있는 것으로 이러한 경험요소가 반영된 예술·디자인 사례를 고찰해보면 경험을 도출하기 위한 방법으로 행동유도, 감성유도, 감각 유도 방식으로 추출되어진다. 이 방식들을 이용해 패션작품 전시 영역과 패션 디자인 영역, 패션 마케팅 영역을 분석해보면 패션은 작품으로서의 예술성과 상품으로서의 상업성 모두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예술형식과 디자인형식의 두 영역을 함께 비교함으로써 패션디자인에 보다 특수하게 나타나는 경험디자인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본 결과, 패션은 인간의 신체, 심리, 환경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제품과 사람, 사람과 사람 또는 사람과 자연환경, 문화 속에서 상호소통 할 수 있는 매개체가 되며 유익한 경험을 만들어 가기 위해 발전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패션은 늘 착용하고 있고 몸과 고르게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여러 감각 중에서도 촉각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험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었고 사용자의 신체 컨디션이나 심리, 주변 환경을 파악하기 수월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사항을 즉각적으로 제공하며 상호작용 할 수 있어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경험디자인의 성격을 적용하기에 탁월함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리고 패션마케팅에서 또한 체험마케팅이라는 용어로 대체되어 경험디자인 개념이 적용된 사례들로 나타나고 있다. 현대 패션에 있어 경험디자인은 앞으로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의 융합을 통해 인간에게 유익한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점차 더 발전될 것이라 예상되며 본 연구를 통해 경험디자인이 적용된 패션디자인의 다양한 연구 및 제품디자인 개발, 작품 설치, 체험 마케팅의 방법적 측면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 렘 콜하스 실내공간에 나타난 영화의 연결방식 특성 분석

        박윤정 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63

        Modern interior design has grown and developed under the influence of various genres. In Japan, practitioners pursued interior design solutions influenced by fine arts in line with the idea of securing the originality of interior design and discarding the influence of architecture. It was through this pursuit that Shiro Kuramata and others were able to make the leap to the global design circle. Thus, it is safe to say that interior design paved new opportunities for improvement through the influence of other genres. In this regard, film art, for its attributes of comprehensive art found also in interior design or architecture, is an area that has considerable potential for influencing interior design. These fields have a simple and direct connection with human senses and tendencies. On the other hand, as a comprehensive art, film has been defined in numerous ways by many people. Nevertheless, as the only form of art that expresses time and space while offering the experiences of various spaces according to the intent and editing of the director, film bears great similarity with interior designing in that interior design spaces also offers the experiences of time and space according to the intent and program of the interior designer. This similarity between the two genres implies the possibility of mutual influenc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interior space in terms of cinematic continuity. Based on the premise that handling time and space concurrently is a common factor in film and interior design,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interior design cases and deduce the characteristics found when techniques of cinematography are applied to interior space. Interaction with other genres creates improvement opportunities for spatial design, opening new possibilities for creativity. Various artistic expressions create many images to make advanced changes, which induce new experiences and possibilities of spaces. Therefore, viewing a space from a cinematic point of view stimulates new experiences with special sensory perceptions. When these new experiences are revealed in a space, they create new images. Rem Koolhaas is one of the architects who take great intere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ilm and space. He was a former screenwriter, and his father also worked in the film industry. His interest in film and space is reflected in his sketches for the Palais de Justice de Lille project, which are reminiscent of a film storyboard. In Casa da Música, the techniques of cinematography are applied to the space creating contraction, expansion, and sequence of spaces in the flow of paths. Thus, this study analyzes the spaces created by Rem Koolhass who applied cinematic techniques and elements to spaces in a condensed manner to help develop and establish new space vocabulary in the field of interior design. In other wor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derive the cinematic characteristics in the interior spaces of Rem Koolhaas’s architecture. By analyzing the cinematic characteristics reflected in the interior spaces of his buildings, this study aims to propose new vocabulary and techniques in interior design. 현대 실내디자인은 다양한 장르에 영향을 받으면서 성장, 발전하였다. 일본의 경우도 실내디자인의 독자성 확보와 건축의 영향에서의 탈피라는 캐치프레이즈 아래 순수예술에서의 영향을 통한 모색을 추구하였다. 이를 통하여 구라마타 시로 등이 세계 디자인계로 발돋음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이렇게 실내디자인은 타 장르의 영향을 통하여 도약의 새로운 계기를 마련한 것을 볼 수 있으며, 그런 의미에서 실내디자인이나 건축과 비슷한 종합예술의 속성을 지닌 영화는 실내디자인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가능성이 많은 영역이다. 영화가 시간과 공간을 표현하는 유일한 예술이면서 감독의 의도와 편집에 의해 다양한 공간을 경험하는 것처럼 실내공간에서도 실내디자이너의 의도와 프로그램에 따라 시간과 공간을 경험하게 된다는 것은 두 장르의 유사성과 함께 상호 영향을 줄 수 있는 가능성을 직감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영화의 연결방식에 의한 관점으로 실내공간에 나타난 특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시간과 공간의 문제를 두 예술분야의 공통점으로 설정, 영화적인 방식이 실내공간에 적용할 때 나타나는 특성을 도출하여 사례를 대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타 장르와의 교류가 공간 디자인에 발전 계기를 만들어 또 다른 창의성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둔다. 다양한 예술적 표현은 수많은 이미지를 만들어 발전적인 변화를 주어 공간의 새로운 경험과 가능성을 유도한다. 그러므로 영화의 관점으로 공간을 본다는 것은 특별한 지각으로 새로운 경험을 자극한다. 이러한 새로운 경험이 공간 속에서 나타나게 되면 새로운 이미지를 만들어낸다. 이런 영화와 공간에 대한 관계에 대해서 많은 관심을 갖은 건축가 중 한사람이 렘 콜하스로 그는 전직 영화 시나리오 작가이기도 하였으며 그의 아버지 또한 영화 분야에서 일을 하였다. 그의 영화와 공간에 대한 관심은 릴 프로젝트의 경우, 영화의 콘티를 연상시키는 스케치 등에서 나타나 있고 카사 다 무지카에서는 동선의 흐름에 있어서 공간의 수축과 팽창 및 시퀀스를 만드는 방법으로 영화의 기법을 공간에 적용하고 있다. 이렇게 영화적 기법과 요소를 공간에 밀도있게 적용하는 렘 콜하스의 공간을 대상으로 연구, 분석하여 실내디자인 분야에 있어 새로운 공간 어휘를 개발, 정립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즉 본 연구는 렘 콜하스 건축의 실내공간에 나타난 영화적 특성을 분석,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의 건축물의 실내공간에 나타난 영화적 특성의 분석결과를 통하여 실내디자인에 있어 새로운 어휘와 기법을 제시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디자인 호텔 로비 디자인의 연상 기제에 관한 연구

        윤현주 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47

        Today, modern society is moving from quantity-seeking society to value-pursuing one. With the progress of deindustrialization and informatization, pluralistic phenomenon is appearing in which values and modes of life are becoming more complex and diverse even in the same society. In this environment, one of the changes worthy of attention is the change in consciousness of consumers who place importance on intangible values and experiences and actively exhibit their existence, intentions and opinions. This change in consciousness has given rise to a new consumer class with new life styles which escape from uniformity and fixed nature, placing high value on, and actively investing in, what fits to their tastes. The emergence of a new class not only has great effect on consumer consciousness and consumption patterns but also works as an important factor in the choice of hotels. Recently, the fact that design hotels, which provide unique experiences with differentiated and sensitive designs beyond daily routines by reflecting customer needs and various changing lifestyles, attract attention can be understood in the same context. As a matter of fact, design hotels recently serve as destinations as they become cultural and artistic icons which reflect customer lifestyles. Especially, the designs of lobby spaces in hotels play a deciding role in customers’ choices while representing the nature of hotels, and what space designs remind the customers of plays a vital role in the consumers with specific lifestyles. Thus, exploration on life styles to investigate consumer needs and preferences and the utilization of association mechanism as a psychological approach to reach their positive image are convincing ways to understand consumer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lobby spaces of design hotels which focus on specific lifestyles from the perspective of association mechanism based on experiences under the premise that the kinds of accumulated experiences are different depending on lifestyles and that preferences for specific interior spaces are influenced by association mechanism formed by experienc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lassified the types of life styles and association mechanisms and conducted case analysis to find out what association mechanisms are used to enhance preferences for design hotels of each type. Before case analysis, study classified types of life styles into 4 types, which are experiential activity type, social meeting type, fashion-pursuing type and hideout-preferring type, and classified association mechanisms into 5 types, which are similarity association in the nature of visual form, contrast association, approach association of visuospatial nature, assumption association and memory association. As the result of study, first, experiential activity type preferred spaces which enable them to enjoy direct experiential activities and mainly utilized similarity association and approach association through senses. Social meeting type preferred spaces which vitalize meetings and communications with people and utilized similarity association and memory association through senses and images. Fashion-pursuing type preferred spaces and brands which take the lead in new fashions and utilized similarity association and assumption association through forms, senses and images. Hideout-preferring type preferred individual spaces in which they can concentrate on their inside and mainly utilized similarity association and approach association through senses and images. Second, in utilizing association mechanism, similarity association was highly used as the role of starting point of association through space and most cases were characterized by making compound use of association mechanisms of visual and formative nature and association mechanisms of visuospatial nature, which created stories for the spaces through expansion process of association. Stories of spaces created this way became unique identities of the design hotels that provided new experiences for customers. As modern society changes into value-pursuing one, world-famous companies are seeking ways to communicate with customers with (various) lifestyles to create new market before they produce new products. In line with this change, design hotels should become places where they can form bond of sympathy with common values and experiences by providing consumers with creative story spaces which can stimulate customer needs, not simply spaces with differentiated designs alone any more. In this resp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based on association mechanisms are expected to work as a basic material to develop lobby designs of the design hotels optimized for various life styles. 현대사회는 양적 추구 사회에서 가치 추구 사회로 이동하고 있다. 탈산업화와 정보화로 한 사회 안에서도 가치관과 생활양식이 점차 복잡, 다양해지는 다원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주목해야 할 변화 중의 하나는 무형의 가치와 경험을 중시하며, 자신의 존재나 의사를 적극적으로 드러내는 소비자의 의식 변화이다. 이로써 획일성과 고정성에서 탈피하여 자신의 취향에 맞는 것에는 높은 가치를 부여하고 적극적으로 투자하는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의 소비계층이 등장하게 되었다. 새로운 계층의 등장은 소비 의식을 비롯해 소비 행태에 큰 영향을 끼치고, 호텔 선택에서도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최근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하여 차별화된 감각적인 디자인으로 일상을 뛰어넘는 독특한 경험을 제공하는 디자인 호텔이 주목받는 것도 같은 맥락으로 이해된다. 실제로 최근 디자인 호텔은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하는 문화적, 예술적 아이콘이 되면서 그 자체로 목적지가 되고 있다. 특히 로비는 호텔의 성격을 대변하면서 소비자들의 선택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데, 공간디자인이 무엇을 연상시키느냐에 따라 특정 라이프스타일의 소비자들의 선호도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러므로 소비자의 욕구와 선호도를 파악하기 위한 라이프스타일에 관한 연구와 그들의 긍정적인 심상에 도달하기 위한 심리적 접근 방법인 연상 기제의 활용은 소비자를 보다 깊게 이해할 수 있는 설득력 있는 방법이 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축적된 경험의 종류가 상이하고, 특정 실내 공간에 대한 선호도는 경험에 의한 연상 기제에 영향을 받게 된다는 전제 아래 특정 라이프스타일에 초점을 맞춘 디자인 호텔의 로비 디자인을 경험에 따른 연상 기제의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라이프스타일의 유형과 연상 기제를 분류한 후 각 유형에 따른 디자인 호텔의 선호도를 높이기 위해 어떤 연상 기제가 활용되는지 알아보고자 사례분석을 병행하였다. 사례분석에 앞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유형은 체험활동형, 사교모임형, 유행추구형, 아지트선호형을 포함하여 4가지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연상 기제의 구분은 시각·형태적 성격으로는 유사 연상, 대비 연상, 시·공간적 성격으로는 접근 연상, 추측 연상, 추억 연상을 포함하여 5가지로 분류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체험활동형은 직접적인 체험활동이 가능한 공간을 선호하고, 형태, 감각을 통한 유사 연상과 접근 연상을 주로 활용하였다. 사교모임형은 사람들과의 만남과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시켜 주는 공간을 선호하며, 감각, 이미지를 통한 유사 연상, 추억 연상을 주로 활용하였다. 유행추구형은 새로운 유행을 선도하는 공간, 브랜드와 콜라보레이션한 공간을 선호하고, 형태, 감각, 이미지를 통한 유사 연상과 추측 연상을 주로 활용하였다. 아지트선호형은 내면에 집중할 수 있는 개인적인 공간을 선호하며, 감각과 이미지를 통한 유사 연상과 접근 연상을 주로 활용하였다. 둘째, 연상 기제의 활용에 있어 대부분의 사례에서 공간을 통해 연상을 이어가도록 단서로써의 역할을 하는 유사 연상의 활용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시각·형태적 성격의 연상 기제와 시·공간적 성격의 연상 기제를 복합적으로 활용하는 특징을 보이고, 이러한 특징은 연상의 확장 과정을 통해 공간의 스토리를 만들어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공간의 스토리는 디자인 호텔만의 독자적인 아이덴티티가 되고 고객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였다. 현대사회가 가치 추구 사회로 변화함에 따라 세계적으로 유명한 기업들은 새로운 시장 창출을 위한 신제품 생산에 앞서, 라이프스타일로 고객과 소통하는 방법을 찾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변화에 맞춰 앞으로의 디자인 호텔은 더 이상 디자인만으로 차별화된 공간이 아닌, 고객의 니즈에 자극할 수 있는 독창적이고 고유한 스토리가 담긴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새로운 경험이 축적되어 그들과 가치로 공감대가 형성되는 장소가 되어야 한다. 그런 관점에서 연상 기제를 바탕으로 한 본 연구의 결과가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에 최적화된 디자인 호텔의 로비 디자인을 전개하기 위한 기초적 연구로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안토니오 치테리오의 실내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한미희 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47

        Progettazione is a term which has the meaning of ‘design or planning’ in Italian. The term is used in all fields of art such as painting, architecture and literature and means a series of work materializing ideas for the objects of production. Giotto, Leonardo Da Vinci and Michelangelo in the Middle Ages of Italy exerted their abilities as a mediator or a creator of holistic culture within the category of objective means called progettazione by expanding their domain of activities into artist, sculptor, painter and architect. For this reason, the Italians believe that architects are the ones who can mediate brilliant past and upcoming future and work as a medium based on abundant sensitivity, imagination and culture. In the early 1900s, although design area in Europe developed together with beginning of modern architecture, design in Italy was mostly developed by architects due to traits of social structure and the concept of industrial design was not systemized until 1940-50s. Design activities of these Italian architect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economic growth period and became the very foundation to establish identity of Italian style. We can confirm that Italian designers are still exerting strong influence in the field of design in Italy in that those who are called as pioneers of Italian modern design movement such as Gio Ponti, Franco Albini and Carlo Scarpa and second generation of architects who opened following age such as Alessandro Mendini, Gaetano Pesce, Ettore Sottsass, Bruno Munari, Enzo Mari, Joe Columbo and Achille Castiglioni are all from architecture background. In the 1990s, Milano rapidly emerged as the design capital of the world by post-modern design movement of Alchimia and Memphis groups which was operating in the city. Unlike post-modernist design trend of the time in Italian environment, Antonio Citterio who shows different modernist tendency is also a total designer who runs the gamut of furniture, interior design and architectur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design methodology of total designer Antonio Citterio who encompasses furniture, interior design and architecture by analyzing and integrating his interior spaces. As a study method, this study drew out the characteristics of Antonio Citterio's interior spaces based on his background of design, influence and design philosophy and, based on them, analyzed and integrated interior spaces he designed.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his interior spaces are the spaces connecting urban flow which pursue continuity of urban context through understanding and reinterpretation of typical Italian urban factors such as piazza, inner court, portico and pillared corridor. Second,, in order to overcome problems that can become monotonous in a space, Citterio provides spatial experiences to feel visual and spatial variations using the ramp and bridge. Third, he created various senses of space with visual and spatial expansion using transparency in the walls made of glass. Fourth, with linear expressions, he designed spaces with beauty of proportion and balance through contrast and emphasis. Fifth, he made constructive expression through exposure of structures or stairs in the interior space. Sixth, his design also shows the characteristic of using furniture as the role of adjusting overall atmosphere of interior space, not as separated parts from it. The author hopes that abov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new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domestic interior design which has the problem of tradition, history and public nature as well as realistic and reasonable approach to design. 프로제타지오네(Progettazione)는 이탈리아어로 디자인(Design), 플래닝(Planning)의 의미를 지닌 미술, 건축, 문학 등 모든 예술 분야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생산하고자 하는 대상을 위해 아이디어를 구체화하는 일련의 작업을 뜻한다. 이탈리아 중세시대에 지오토(Giotto)나 레오나르도 다 빈치, 미켈란젤로는 예술가, 조각가, 화가, 건축가 등으로 활동 영역을 넓혀 프로제타지오네라는 객관적 수단의 범주 안에서 총체적 문화의 중재자 또는 창조자로서의 능력을 발휘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이탈리아인들은 풍부한 감수성과 상상력, 문화를 바탕으로, 찬란했던 과거와 다가오는 미래를 중재하고 매개체 역할을 할 수 있는 사람이 건축가라고 믿고 있다. 1900년대 초 유럽에서는 근대 건축의 시작과 함께 디자인 분야도 산업의 발전과 함께 이뤄졌으나, 이탈리아는 사회적 구조의 특성상 대부분의 디자인이 건축가에 의해 발전되어 왔으며, 1940-50년대에 이르러서야 산업디자인이라는 개념이 체계화되었다. 이러한 이탈리아 건축가들의 디자인 활동은 경제적 성장기에 중요한 역할을 하면서 지금의 이탈리안 스타일이라는 아이덴티티를 확립하는데 밑거름이 되었다. 이탈리아 현대 디자인 운동의 선각자로 불리는 지오 폰티(Gio Ponti), 프란코 알비니(Franco Albini), 카를로 스카르파(Carlo Scarpa)같은 건축가와 그 다음 시대의 새로운 지평을 제시한 제2기의 건축가들인 알레산드로 멘디니(Alessandro Mendini), 가에타노 페세(Gaetano Pesce), 에토레 소트사스(Ettore Sottsass), 부르노 무나리(Bruno Munari), 엔조 마리(Enzo Mari), 조 콜롬보(Joe Columbo), 아킬레 카스틸리오니(Achille Castiglioni) 등도 모두 건축가 출신이라는 점에서 이탈리아 건축가들이 디자인 분야에서 여전히 영향력 있는 활동을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1980년대에는 밀라노를 중심으로 활동하던 알키미아(Alchimia), 멤피스(Memphis)그룹의 포스트 모던 디자인 운동으로 밀라노는 세계 디자인 수도로 급부상하였다. 이러한 이탈리아의 환경 속에서 시대적 경향이었던 포스트 모더니즘 디자인과는 다른 모더니즘 경향의 디자인을 보여주는 안토니오 치테리오 역시 가구와 실내, 건축을 아우르는 토털 디자이너이다. 그는 그가 태어난 이탈리아의 지리적, 문화적 특성과 성장 과정의 영향으로 해박한 역사 지식을 가진 근대 성향의 토털 디자이너가 되었다. 그는 대학 시절 영향으로 이탈리아에서는 보기 드물게 미스 반 데어 로에의 미학을 지닌 근대 디자인을 흡수, 미니멀한 디자인을 전개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가구와 실내, 건축을 아우르는 토털 디자이너인 안토니오 치테리오의 실내공간에 특성을 분석, 종합하여 디자인 방법론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치테리오의 디자인 배경과 영향, 디자인 철학을 토대로 그의 실내공간 특성을 도출, 이 분석틀을 중심으로 그가 디자인한 실내공간을 대상으로 분석, 종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내공간은 도시적인 흐름이 연결된 공간으로서 이탈리아의 도시 유형적인 요소들인 광장과 중정, 포르티코, 주랑 등의 이해와 재해석을 통하여 도시적인 맥락의 연속성을 추구한다. 둘째, 공간에서의 단조로워질 수 있는 문제점의 극복을 위해서 경사로와 다리를 이용한 시공간적 변화를 느끼게 하는 공간 체험을 제공한다. 셋째, 공간에서 유리로 된 벽의 투명성을 이용한 시공간적 확장으로 다양한 공간감을 연출하였다. 넷째, 선형적 표현으로 대비와 강조를 통한 비례미과 균형미를 가진 공간으로 디자인하였다. 다섯째, 실내공간에서 구조나 계단의 노출을 통하여 구축적 표현을 하였다. 여섯째, 가구를 실내공간에서 분리된 부분이 아니라 전체 공간 분위기를 조정하는 역할로 디자인하는 특성을 보인다. 이렇게 상기한 연구의 결과가 전통과 역사, 공공성의 문제를 가지고 있는 국내 실내디자인의 전개에 있어 현실적이면서 합리적인 디자인 접근과 함께 새로운 시사점을 주기를 기대한다.

      • 정신분석적 관점에서 본 살바도르 달리(Salvador Dali)의 편집증적 비평방법시기의 회화작품연구

        윤해정 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정신분석적 관점에서 살바도르 달리(Salvador Dali)의 편집증적 비평방법 시기에 나타난 대표 회화작품들을 통하여 잠재적인 무의식속 표출이 예술로 승화되고 편집증이라는 강박이 치유의 과정으로 나타나게 되는 것을 살펴보았다. 초현실주의는 본능적이고 잠재적인 무의식적인 꿈의 경험을 결합시킴으로써 현실을 바라보는 시야를 확장시켰는데,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은 초현실주의자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주었고 의식적으로 보여줘야 하는 부분이 아닌 잠재적인 것에 대한 표출을 이루어냈다. 그것은 억압되어 있거나 의식의 지배를 받지 않는 인간의 무의식 속의 본성을 현실세계로 끌어내어 착각이나 환상체험으로 끝나는 곳이 아닌 바로 현실의 세계에서 에너지화 시킬 수 있는 잠재된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이에 달리는 자신의 강박관념과 본능적 욕구를 체계화시키고 조직화하여 표현하였고 이러한 표현을 표출할 수 있는 기법을 창조해 내었는데, 그것이 바로 정신병적으로 보이는 착각의 시선을 이중 또는 다중의 이미지로 만들어낸 것이었다. 이러한 독창적 예술에 대한 확고한 신념과 함께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적 사상을 바탕으로 광기와 현실의 중간 세계를 작품으로 표출해내기 위해서 편집증적 비평방법이라는 자신만의 독특한 표현기법을 창안하게 되었다. 이 방법은 편집증이라는 정신병의 주된 증상을 자신의 스타일로 새로운 해석을 창조하고 비현실의 세계를 현실처럼 보이게 함으로써 승화의 과정을 거쳐 작품으로 표현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달리의 편집증적 비평방법의 시기에 대표작품들을 재해석 할 수 있는 세 가지의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첫 번째는 ‘만종 시리즈’의 작품에서 비극적 죽음의 요소를 발견하여 ‘수확에 대한 감사’에서 ‘죽음에 대한 추모’로써의 이원론적 해석이 기존의 <만종>과 전혀 다른 해석을 보여주고 있다는 것과, 두 번째는 이중과 다중의 이미지로써 ‘환상의 실제화’를 보여주는 작품들이 달리의 비평방법으로 변형된 환각적 이미지를 통해 강조했던 것이 잠재의식의 숨겨진 일면을 드러내게 하여 무의식적 가치를 재정립하고 삶에 대한 투시력을 만들어내어 예술적 가치를 지닌 작품으로 승화된 것이다. 마지막 세 번째는 자기애착이 강했던 달리의 사랑을 무참히 밟으려 했던 아버지에 대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작품으로 표현함으로써 불안의 요소들을 프로이트의 심리성적 이론에 입각하여 불안을 치유하려는 것이었다. 즉 두려움과 공포의 과대망상과 강박관념 속에서 심히 왜곡되어진 것을 편집증적 비평방법이라는 자신의 독창적 치유방법을 통하여 예술적 승화를 가져온 것이다. 이와 같이 달리의 무의식의 의식화를 위한 독창적 방식이 된 편집증적 비평방법은 정신착란을 현실 속에서 눈에 보이는 것으로 전환하여, 잠재되어 있는 무의식의 정신세계를 표출함으로써 논리와 합리성의 틀에 얽매이지 않게 하였다. 의식적으로 생각할 수밖에 없는 논리적 사고의 배제는 일부러 거짓으로 꾸며낼 필요가 없는 것이고, 작가의 자연스럽고 적극적인 심상을 인정함으로써 정신의 해방을 추구할 수 있었다. 달리의 편집증적 비평방법 시기의 작품들은 자기 자신의 선입관과 주관적인 의도가 명확히 반영되는 개인적인 차원에서의 자기분석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달리의 잠재되어 있던 무의식의 표현은 우리가 보지 못했던 의식의 자유로운 시각과 표현영역의 확장을 가져왔고, 인간의 내면가치를 재정립하고 탐구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정신분석적 관점에서 편집증적 비평방법 이라는 것이 다양한 사고의 전환과 새로운 시각의 방향성을 준다는 측면에서 달리의 작품들을 재조명하였다.

      • 카를로 스카르파의 전시공간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김진섭 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47

        국문초록 카를로 스카르파의 전시공간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이탈리아의 지역주의 건축가로 알려진 카를로 스카르파(Carlo Scarpa)는 건축가로서의 명성보다는 자신의 디자인적 표현의 완성도를 높이는데 집중한 건축가이다. 이탈리아의 디자이너는 건축, 가구, 조형 등으로 세분화된 것이 아닌, 종합적으로 모든 분야를 넘나드는 토탈 디자이너이다. 스카르파 또한 그의 모든 작품에 있어 외부와 내부, 조형, 조경 등 모든 곳에 그의 손길이 닿아 있으며, 그것들의 조화는 하나의 예술작품으로 인식된다. 카를로 스카르파는 활동시기보다는 사후에 더욱 인정을 받고 있다. 당시 세계전쟁 이후 재건을 위한 빠른 공정과 규모에 대한 요구는 그에게 부합되지 않아 오랜 침체기를 보내었다. 이후 유리공예에 대한 심취와 여러 분야 작가들의 전시공간계획을 진행하며 자신만의 디자인 철학을 완성하게 되었다. 또한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Frank Lloyd Wright)를 알고 감명 받아 미국을 여행하게 되고, 일본 문화에 대한 관심은 두 번의 여행으로 이어졌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카를로 스카르파가 가지는 디자인 철학을 바탕으로 실내디자인적 측면에서 전시공간의 디자인 특성을 도출하고 종합하여 그의 디자인 방법론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베네치아의 도시적 맥락의 이해를 통한 중력에 반하는 부유성이 표현되었다. 주로 계단에서 확인된다. 두 번째, 장인적 기술과 정확한 물성의 이해를 바탕으로 설비와 계단, 기둥, 개구부 등을 이용한 오브제성이 표현되었다. 또한 그가 영향 받은 다양한 작가들의 언어가 엿보인다. 세 번째, 벽과 바닥, 천장의 패턴을 통해 공간에 리듬감을 부여하며 전시공간이 방향성과 인지성을 가지게 하였다. 네 번째, 빛을 효율적으로 받아들이기 위해 모서리창과 천창을 사용하였으며, 유입된 자연광은 방향성과 시간성을 가진다. 다섯 번째, 정확한 물성의 이해를 바탕으로 한 차이를 강조하기 위한 디테일의 분리와 분절이 나타난다. 이질적 재료들 또는 분리를 통한 보이드(Void)를 이용하여 하나의 면 또는 하나의 오브제로 보이게 하였다. 여섯 번째, 매스의 강조를 위한 금속 프레임은 일종의 재료적 경계로 작용된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로 공간을 이루는 모든 것에 정성을 기울인 장인 정신과 그로부터 나타나는 디테일과 마감이 실내디자인을 하는 사람들과 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좋은 귀감이 되기를 기대한다. ABSTRACT Study on Design Characteristics of Carlo Scarpa's Exhibition Spaces Kim, Jin Seob Department of Interior Design Graduate School of Art and Design, Konkuk University Carlo Scarpa known as an Italian regionalist architect focused on enhancing the integrity of his design expression, rather than his reputation as an architect. The Italian designers are not are divided into those engaging in architecture, furniture and sculpture, but are the total designers who can comprehensively deal with all fields. All of Scafpa’s works, including interior, exterior, sculptures and landscapes are also touched by his hands, and the combination of them is recognized as an art work. Carlo Scarpa has been more highly valued after death, than during the time of activity. He spent a long downturn, as demands for fast process and large scale, for the reconstruction after World War did not match with his tendency. Then, he completed his own design philosophy, as he was devoted in glassblowing and made plans for exhibition spaces of authors from many fields. In addition, he traveled to U.S.A, after he was aware of and impressed by Frank Lloyd Wright, and his interest in the Japanese culture led to two trips to Japan.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refore, is to examine his design methodology, by drawing and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exhibition spaces in terms of interior design, based on his design philosophy.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floating acting against gravitation was expressed through understanding of the urban context of Venezia, and is often verified on steps. Second, object characteristics were expressed by using equipment, steps, pillars and openings, based on artisan skills and exact understanding of properties of matter. In addition, the languages of various authors who influenced him are glanced at. Third, exhibition spaces were made to have orientation and cognitiveness, by applying rhythmic sense to the spaces through patterns of walls, bottoms and ceiling. Fourth, corner windows and cloth windows were used to effectively receive light, and introduced natural light has orientation and temporality. Fifth, separation and segmentation of details for stressing difference occurs based on exact understanding of properties of matter. One plane or one object were shown by using heterogeneous materials or Void through separation. Sixth, metal frames for stressing a scalpel acts as a kind of material boundaries. The craftsmanship of masters who devoted themselves in all things constituting spaces and details and finishing, derived from it are expected to be desirable models for people engaging in interior design and candidates.

      • 초현실주의 표현기법을 이용한 모션그래픽 디자인 작품 논문 : TVN 예능프로그램 오프닝 타이틀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서아름 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47

        Media became a readily accessible medium in daily lives, and humans are being exposed to media many times in a day. Furthermore, as the demand for things which consumers see and feel is increased, image is colorfully made through continuous research and manufacturing technologies in order to capture consumers’ eyes and ears. Of these technologies, the digital media based on motion graphic design has been an highly effective means to provide information to consumers. Also, motion graphic design is widely used in various forms in the digital media field. Due to the development of computer graphic technology and media technology, the surrealistic world that is unrealistic and is difficult to be expressed can be well expressed in the film. Compared to other art movements, surrealism tried to embody images conceived in dream, unrealistic imagination, and the unconscious world in the reality and expanded the freedom of expression. In these senses, surrealism is an art movement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aesthetic in the 20th century. Imagination more inspires designers when non-existent things are created in motion graphic design. Also, the opening title design using motion graphic design makes objects and scenes be meaningful, and viewers are enabled to envision the potential meaning of objects and scenes in their brain. Using surrealistic idea based on unconsciousness as a source of imagining is a good way in order to decode the signifying system of images consisting of graphic. The signifying system of technique used in surrealistic works was examined in order to understand how factors of motion graphic design produced signification in depth. Previous studies reported that expression technique was reconstructed by automatisme as overlapped technique, collage, frottage, décalcomanie, and dépaysement because differentiating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 from technique was vague. These techniques had a common thing that they embodied the internal world and the unconscious image in the realistic. However, they were different in the method. Art works using the traits of surrealism were analyzed. In addition, the way that art works of motion graphic design use the characteristics of surrealism was analyzed. There were various studies that used the surrealistic expression in other design fields. However, compared to the development of the digital image medium, the fundamental study on motion graphic style is insufficient.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basic attribute of motion graphic design and to explore how users reinterpret motion graphic design in the surrealistic perspective. Expression technique, which newly conceives internal meaning of objects by shaping images of the ultimate signifying system in surrealism, was applied to a renewal of opening title of <Grandpas over Flowers in Greece: 꽃보다 할배 그리스 편>. This renewal of opening title of <Grandpas over Flowers in Greece> combined motion graphic style. This study drew the conclusion that images obtained by the concept of surrealism could be represented as image media. This study analyzed works expressed in viewpoints of dream, imagination, and unconsciousness mentioned in surrealism. Additionally, it explored expressions by motion graphic design through technique which embodies the inner world in unconsciousness in a reality. The ultimate goal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surrealism is represented by motion graphic, and to provide a framework for analyzing to increase the use of surrealistic motion graphic design in other image media on the basis of the possibility that surrealism is represented by motion graphic. 미디어는 일상생활 속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매체가 되었고 우리는 하루에도 수십 번씩 미디어에 노출되고 있다. 게다가 소비자의 보고 느끼는 것에 대한 수요가 상승함에 따라 영상 또한 소비자의 눈과 귀를 사로잡기 위해 끊임없는 연구와 제작 기술을 거쳐 화려하게 만들어진다. 그중 모션그래픽(Motion Graphic)을 이용한 디지털 미디어 매체의 활용은 소비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데 매우 효과적인 수단이 되고 있다. 또한 모션 그래픽은 디지털 영상 매체에서 다양한 형식으로 폭넓게 사용된다. 현대로 오면서 컴퓨터 그래픽 기술과 미디어 콘텐츠의 발전으로 영화는 비현실적이고 표현하기 어려운 초현실주의를 자유롭게 묘사할 수 있는 무대가 되었다. 초현실주의는 다른 예술 운동과 비교하여 꿈과 비현실적인 상상, 무의식의 세계에서 떠오르는 심상을 현실로 구현하는 시도를 했으며 표현의 자유를 확장하고자 했었다는 점에서 20세기의 기존 예술 사조와는 구별되는 예술운동이다. 모션그래픽 디자인에서 실제 하지 않는 것을 창조할때 상상력은 디자이너들에게 많은 영감을 준다. 모션그래픽을 이용한 오프닝 타이틀 디자인 또한, 오브젝트와 장면에 의미를 부여하며 보는 이는 그 잠재적 의미를 머릿속에 상상하게 된다. 이러한 그래픽이 구성하는 이미지의 의미 작용 체계를 해독하기 위해 무의식을 상상력의 원천으로 한 초현실주의 사상을 가지고 오는 것은 좋은 수단인 것이다. 모션그래픽의 요소들이 어떻게 심층적으로 의미를 생성하는지 파악하기 위해 초현실주의 작품 기법들의 의미 작용 체계를 살펴보았다. 초현실주의 선행연구에 의하면 표현 특징과 기법에 대한 구분이 모호하여 중복되는 기법인 자동기술법, 콜라주, 프로타주, 데칼코마니, 데페이즈망으로 표현기법을 재구성하였다. 이 기법들은 내면의 세계와 무의식의 심상을 현실로 구현한다는 공통점을 보이고 있지만 방법적인 면에서 상이하다. 초현실 주의 특성을 차용한 작품들을 분석하고 모션그래픽 디자인 작품에서는 그 특성을 어떻게 차용하였는지 작품을 분석하였다. 다른 디자인 분야에서는 이미 초현실주의 표현을 이용한 다양한 연구들을 볼 수 있었다. 하지만 영상 디지털 매체의 발달과 비교하여 볼 때 모션 그래픽 스타일에 대한 기초연구는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모션그래픽의 기본 속성을 이해하고 초현실주의 관점에서 사용자에게 어떻게 재해석 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초현실주의의 궁극적인 의미 체계인 이미지의 형상화를 통해 사물의 내면의 뜻을 새로 구상하는 표현기법을 실제 적용한 <꽃보다 할배 그리스 편>오프닝 타이틀 리뉴얼은 초현실적 모션그래픽 스타일을 접목시켰다. 이 연구 작품은 초현실주의 이념을 통해 얻어지는 심상을 영상으로 구현하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초현실주의에서 말하는 꿈과 상상, 무의식의 관점으로 표현되는 작품들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분석하고, 무의식속 내면의 세계를 현실로 끌어오게 한 기법을 이용해 모션그래픽 표현을 파악한다. 초현실주의가 모션그래픽 디자인으로 구현될 가능성을 제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다른 영상 매체에서도 초현실주의 모션그래픽 디자인의 활용을 높일 수 있도록 분석 틀을 제공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