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소설 『토지』 속에 나타난 방언의 성격 : 조사와 어미를 중심으로

        이은주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55

        소설 『토지』는 우리 소설사의 한 획을 그은 작품으로, 그 문학사적 의의와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지대하므로 그 속에 나오는 지역 방언의 정확성을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토지』의 30% 이상의 배경을 차지하는 하동군 악양면 평사리의 방언을 대상으로 하여, 조사와 어미 체계를 중심으로 하는 형태ㆍ통사론적인 문제에 한정하여 그 성격을 조명해 보고자 한다. 격조사의 경우, 『토지』가 하동 지역어를 반영하고 있지 않는 경우가 더 많다. 목적격조사 ‘을/를’과 비교격조사 ‘만큼’, ‘보다’는 표준어로 쓰여 있고, 하동 지역어와 동일하게 표현된 주격조사 ‘이/가’와 비교격조사 ‘같이’의 경우도 그 의미가 적다. ‘이/가’는 표준어와 방언의 형태가 같으며, ‘같이’는 경남 방언과 하동 지역어의 형태가 같기 때문이다. 보조사를 살펴보면, ‘도’와 ‘만’은 표준어와 방언의 형태가 같고 ‘밖에’와 ‘까지’는 표준어와 방언의 형태가 다르지만, 『토지』에서 표준어 형태를 취하고 있다. 엄밀한 의미에서 보조사에는 하동 지역어가 전혀 반영되어 있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종결어미의 경우, 대체로 하동 지역어를 반영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데, 자세히 보면 주로 보편적 경남 방언과 하동 지역어가 겹치는 부분이 많다. 그리고 해라체, 하오체, 해체의 의문법에서 하동 지역어가 아닌 보편적인 경남 방언의 성격이 드러난다. 그 중 해라체 의문법의 경우는 경남 방언의 특이성을 잘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보편적 경남 방언 해라체 의문법의 형태는 서술어의 성격 등에 따라 ‘-나, -노, -가, -고’인데, 하동 지역어는 ‘-나, -냐, -네, -가, -라, -고’로 차이가 있다. 그러나 『토지』는 보편적 경남 방언인 ‘-나, -노, -가, -고’의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연결어미를 살펴보면, ‘-아/-아서’는 표준어의 형태를 취하고 있고, ‘-어/-어서’와 ‘-면’, ‘-어야’, ‘-지마는, -지만’은 하동 지역어를 반영하고 있다. 그러나 그 외에 ‘-ㄴ데’와 ‘-면서’의 경우는 보편적인 경남 방언이 사용되었고, ‘-으니/-으니까’는 경남 방언 중에서도 통영 지역어의 영향을 받고 있다. 그리고 ‘-듯이’는 그 영향 관계가 분명치 않으나, 하동 지역어의 비주류인 ‘-듯키’가 사용되어 하동 지역어의 영향이 아닌 것만은 확실하다. 필자가 『토지』는 대체로 하동 지역어가 아닌, 보편적인 경남 방언을 사용하고 있다고 지적하는 것은 이 작품의 가치를 폄하하려는 의도가 아니라, 이런 기회를 통해 하동(평사리) 지역어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와 보존이 필요하다는 것을 말하고 싶어서이다. The novel TOJI made an epoch in the history of Korean novel. We need to re-illuminate the accuracy of the author's description of the dialect, for it has influenced the community and the significance of history of literature. In this thesis, I will use the dialect data from Pyeongsa-ri, Akyang-myeon, Hadong-gun, forming its setting more than 30 percents in TOJI, and shed new light on its characteristics. However, our discussion will be restricted to morpho-syntactic issues; case markers and endings. As for the case markers, it has been revealed that TOJI doesn’t reflect Hadong dialect. Objective case markers /-eul, -reul/ and comparative case markers, /-mankeum, -boda / are written in standard language. Subject case markers such as /-i, -ga/ and comparative one /-gaci/ are written as good as those of Hadong dialect. The above mentioned case markers cannot have some special linguistic meaning. It is because that /-i, -ga/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standard language, and /-gaci/ is that of Hadong dialect. As for the delimiters, it has been revealed that /-do, -man/ have identical forms both in standard language and the dialect. Even though /-bakae,-kkaji/ of the standard language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dialect, the former is adopted in TOJI. Strictly speaking, Hadong dialect plays no role in the case of delimiters. As for the endings, it has been revealed that the endings in TOJI mostly reflect Hadong dialect, but it has also been revealed that general Gyeongnam dialect overlaps with Hadong dialect in most cases. In interrogative mood of some speech styles such as Haera-che, Hao-che, and Hae-che, the general distinctions of Gyeongnam dialect show themselves well, not Hadong dialect. In addition, Hara-che shows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Gyeongnam dialect. The interrogative forms in common Gyeongnam dialect Haera-che appear variously as /-na, -no, -ga, -go/ according to the feature of the endings, whereas in Hadong dialect, they appear as /-na,-nya,-ne,-ga ?ra- go/. However, TOJI shows nearly those of general Gyeongnam dialect as /-na,- no,-ga,-go/. As for sentence final endings, it has been revealed that /-a, -aseo/ are written as those of the standard language, and /-eo, -eoseo/ and /-myeon, -eoya, -jiman/ reflect Hadong dialect. But the forms in common Gyeongnam dialects are used in the case of /-dae,-myronseo/. Two forms / ?euni, eunikka/ are affected by the dialect of Tongyeong in Gyeongnam. Though it is not certain that where the form ‘-deusi’ is influenced, it is clearly not from Hadong, judging from ‘-deuki’, the fringe of Hadong dialect being used. What I point out that TOJI is written in common Gyeongnam dialect, not Hadong dialect, is never for devaluing this great work. I would like say that Hadong dialect needs to be studied systematically and be preserved, making use of this kind of opportunity.

      • 경남 보육시설 평가인증 조력에 대한 인식과 요구

        강미옥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보육시설 평가인증 자체점검과정 중 조력과정에 대한 인식과 요구도를 보육시설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문헌 연구, 전문가의 의견 수렴, 설문 조사 등의 방법으로 추진한 결과를 분석하여 평가인증의 질적 수준 향상 및 경남지역의 평가인증 조력에 대한 앞으로의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경남지역 보육시설 평가인증 통과시설 및 현재참여시설과 참여예정시설의 보육시설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SPSS 14.0을 이용하여 일반빈도와 백분율 및 표준편차 그리고 카이제곱 검증(-검정), 일원배치 변량분석을 적용하여 차이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남의 보육시설 평가인증 조력실태를 알아본 결과, 평가인증 현재 참여시설 및 참여예정시설보다 통과시설의 보육시설종사자들이 경남의 보육정보센터에서 파견한 조력전문가에게 현장방문조력을 더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남의 보육시설 평가인증 조력에 대한 인식 조사를 한 결과, 평가인증 참여시 경남의 보육정보센터 조력이 도움되었다는 답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모든 보육시설에서 경남의 보육정보센터 조력에 도움이 된다는 것에는 이견이 없으나 현재 참여시설과 참여예정시설에서의 평균이 통과시설보다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경남의 보육시설 평가인증 조력에 대한 요구 분석 결과, 평가인증 지표에 근거한 객관적인 평가능력을 가진 현장방문조력자에게 1회 이상 현장방문조력 받기를 요구하였다. 평가인증 통과시설과 현재참여시설 및 참여예정시설에 따라 조력에 참여한 동기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This research tries to provide basic data for groping development plan to rise quality of the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system and to assist in that process of Gyeongnam province, with analyzing the result of conducting research recognition and demands about assisting process appeared when the facility checks the test of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by itself, targeting the workers, who work in child-care facilities, by literaturere search, gather experts’opinion and survey. The objects of this research are the workers of the facilities, which hadpassed or are participating now of or will participate the test of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of a child-care facility in Gyeongnam province. Surveying them, I examined general frequency, percentage and standard deviation using SPSS 14.0 and examined differences applying chi-square verification (x2-verification) and one-way ANOVA.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The first, as the result of investigating actual condition of the assist to the test of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of Gyeongnam child-care facilities, workers of passed facilities had more visiting assist from assistants dispatched from Gyeongnam nurture information center than on going facilities’or planed facilities’ ones. The second, as the result of the research for recognition about assist for the test of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of Gyeongnam child-care facilities, the prevailing answer was that it was helpful when they were testing, the assist from Gyeongnam nurture information center. However, as on going facilities and planed facilities showed higher average, there are meaningful statistical differences, there isn’t dissenting about the result that assists are helpful for all of child-care facility though. The third, as the result of the research for demands about the assist for the test of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of Gyeongnam child-care facilities, facilities want more than one time of visiting assist by assistant who can evaluate fairly based on the index of the test of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About the motive of participation, there were meaningful statistical differences among passed facilities and on going facilities and planed facilities.

      • 중등 정보과학 영재 교육과정에 대한 고찰

        김소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55

        정보과학 영재 교육과정은 그들의 높은 학업성취 욕구를 충족 시켜줌과 동시에 사고력신장, 특수능력습득, 특정지식습득, 적성강화, 일반능력신장 5가지 교육목표를 골고루 신장시켜 줄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현재 실시되고 있는 정보과학 영재교육기관의 교육내용과 교육일정을 분석하여 문제점들을 지적하고, 정보과학 영재의 잠재력을 이끌어 낼 수 있는 미래형 중등 정보과학 영재 교육 방향을 제시하였다. A curriculum for the gifted students of information science has to satisfy their desires for academic achievement, and to reach five education targets for acquiring ability to think, specific knowledge, specific skills, strengthening aptitude and increasing general ability. In this thesis, we analyze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schedule of institution for the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of information science, introduce their problems and propose the direction of education for the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of information science who can bring out their latent force.

      • 『한글』소재 방언 연구

        심초희 경남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55

        이 논문은 『한글』지에 수록된 방언 조사 자료들을 음운, 문법, 어휘, 구술발화 등의 항목으로 분류하고, 그 중 경남 방언 자료를 다시 음운, 문법, 어휘 등으로 나누어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작성된 것이다. 『한글』지에는 1928년에서 1956년에 걸쳐 총 64호에 방언 자료가 실려 있고, 방언의 개수도 모두 12,547개로 상당히 많은데도 불구하고 아직 『한글』지 소재 방언 조사 자료에 대한 체계적인 정리가 없었다. 이렇게 『한글』지에 방언 자료가 상당한 양으로 실린 것은 우리말의 중요성을 인식하지 않고서는 불가능한 일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시기의 방언 연구는 그 시기적인 한계로 인해 자료 제시에 그치고 있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이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한 것이다. 『한글』지는 1927년 8월호(동인지 6호)에 방언 자료를 처음으로 싣기 시작하는데, 이 방언 자료들이 체계적으로 실리게 되는 것은 1935년부터라고 할 수 있다. 1935년의 자료에 나타나는 표제 및 부제가 이후의 자료에서 반복적으로 사용되며, 이 시기부터 자료의 배열도 가나다순 및 주제별로 나타나는 등 이전의 것보다 훨씬 체계적인 모습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방언 자료도 거의 매 호에 실리는 등 『한글』지에서 방언 자료가 갖는 중요성은 1939년의 자료까지도 계속된다. 그러나 1940년대의 자료부터는 방언 자료가 조금씩 빈약해지는 모습을 보이는데, 1946년에 전국적인 방언 조사로 ‘시골말 캐기’가 3회 실린 것 이외에는 큰 특징을 발견하기 어렵다. 그리고 1956년에 경남 진해 지역의 방언이 실리고 더 이상 『한글』지에는 방언 자료가 나타나지 않는다. 이렇게 『한글』지에 실린 방언 자료들의 시기적인 특징을 간단하게 살펴보고, 그 시기의 방언 자료들을 음운, 문법, 어휘, 구술발화 등으로 분류하였는데, 음운이 262개, 문법이 212개, 어휘가 12,072개, 구술발화가 1개로 어휘가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였다. 그리고 『한글』지에 실린 방언 자료들 중에서 경남 지역의 방언들을 다시 음운, 문법, 어휘로 나누어 각각에 대해서 다시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한글』지에 나타난 경남 지역의 방언 자료들을 분석한 결과, 음운이 61개, 문법이 101개, 어휘가 1,424개로 총 1,586개의 방언 자료가 실려 있었다. 먼저, 음운 관련 자료를 분석하여 경남 지역 방언의 음운적 특징을 잘 보여주는 구개음화(口蓋音化), 비모음화(鼻母音化), 경음화(硬音化), 단모음화(單母音化) 등으로 나눌 수 있었다. 그리고 문법 관련 자료의 경우 크게 정확한 경남 지역의 특징을 보여주는 자료와 그렇지 않은 자료로 나누었다. 그리고 후자를 다시 조사 및 부사, 어미, ‘ㅂ’받침의 어간 등으로 나누어 경남 방언의 문법적 특징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경남 방언의 경우도 어휘 관련 자료가 압도적으로 많았는데, 어휘 중에서도 여러 지역에서 주목받은 것과 한 지역에서만 주목받은 것을 각각 ‘복수형 방언’과 ‘단수형 방언’이라는 이름으로 나누었다. 그리고 이들을 각각 국립국어원(2006)의 분류를 참조하여 14개의 주제로 정리하였다. 『한글』지에 실린 자료들은 1927년~1956년 사이의 경남 방언을 보여주는 것이기 때문에, 이들을 김영태(1975)와 한국정신문화연구원(1993)의 방언 조사와 비교하여 현대 경남 방언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이 논문은 『한글』지에 실린 방언 자료들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 논문에서는 경남의 여러 지역에서 조사된 방언 자료를 모두 ‘경남 방언’으로 간주하여 논의를 전개했기 때문에 경남의 각 지역적 특성에 대해서는 제대로 언급하지 못하였다. 그리고 어휘의 분석의 경우 하나의 주제에 대해서도 연구할 항목이 상당히 많은데도 불구하고 여기에서는 특징적인 것 몇 가지에 대해서만 언급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은 앞으로의 연구과제로 남긴다. This paper classifies dialect study, which is contained in Hangeul, to phoneme, grammar, lexeme, and oral statement. Especiall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m after clssifying Gyeongsangnamdo Dialect to phoneme, grammar, lexeme, and oral statement. Hangeul had contained dialect data from 1928 to 1958, which means there are totally sixty four issues. Even though there are a variety of dialects, 12,547, it have not been done to file the dialect contained in Hangeul. It is impossible that Hangeul had contained a variety of dialects, if not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Korean language. However, at those times, the studies of dialects just presented data because of the limitation of the colonial era, so this paper is to analyze them systematically. Hangeul started containing dialect data in the August 1927 issue (동인지 6th) and it became more systematical to analyze dialect data from 1935, because the title and subtitle used in the August 1927 issue were used repeatedly after that time, and data in Hangeul had categories based on Ga, Na, and Da(가나다) or subjects, which was more systematical than previous researches. In addition, almost every Hangeul contained dialect data after that certain time, and the importance of dialect data continued to 1937. However, the amount of dialect data became less and less after 1940. Hangeul contained only ‘시골말캐기’, which was project to search dialect all over Korea, three times at those times. Furthermore, there was no more dialect data in Hangeul after it contained Gyengsangnamdo Ginhae Dialect in 1956. This paper is to examine dialect data contained in Hangeul based on the period feature briefly, and to classify that data to phoneme 262, grammar 212, lexeme 12,072, and oral statement 1, that is there is the highest portion of phoneme. This paper is to analyze Gyeongsangnamdo dialect systematically after classifying it to phoneme, grammar, and lexeme. In the result of analyzing Gyeongsangnamdo dialect in Hangeul, it contained totally 1,586 dialect data, which consisted of phoneme 61, grammar 101, and lexeme 1424. Firstly, the paper starts from classifying Gyeongsangnamdo dialect to palatalization, nasalization, fortis, shortening, which are well known as Gyeongsangnamdo dialect's feature. Secondly, the paper divides grammar data into two sections. One is about data to explain Gyeongsangnamdo dialect accurately, the other is about not accurate data. After classifying the latter one to postposition, adverb and words to end with ‘ㅂ’, the paper explains Gyeongsangnamdo dialect's feature. In case of Gyeongsangnamdo dialect has amongst the most lexeme-related-data and there are two different kinds of lexeme, which means one is called ‘singular dialect’ examined in one area and the other is called ‘plural dialect’ examined in several areas, and this paper is classify 14 subjects in reference to the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ean Language(국립국어원, 2006) This paper is to compare the dialect data by Kim Youngtae(1975) and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3) with Modern Gyeongsangnamdo dialect and to analyze the relations between them, because the data in Hangeul had contained Gyeongsangnamdo dialect from 1927 to 1956. This paper aims to analyze dialect data systematically and think of the importance of dialect data contained in Hangeul throughout this study. Unfortunately, this paper does not refer the specific features on all of regional dialects in Gyeongsanamdo province because it regards the collections of dialect data searched in severe areas of Gyongsangnamdo as 'Gyeongsangnamdo dialect', and this paper refer a few features on lexeme even though in case of analyzing lexeme, there are a variety of lists for study on a certain subject. I remain this as future study.

      • 기술창업 성공을 위한 창업지원 정책에 관한 연구

        김민재 경남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55

        지속적 경기 침체와 저조한 고용의 수준을 개선하기 위한 경제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국가 경제 질적 성장을 유도 가능케 하는 경제 주체로 중소기업 역할이 주목받고 있다. 그리고 정부는 창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으로 예비창업자를 육성하고 창업을 장려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에 관한 관심이 대기업에서 창업기업 중심으로 변하는 현상과 창업에 대한 인식의 변화에 대해 살펴보고 경남지역의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을 대상으로 창업자의 정보와 애로사항, 자금조달 방법 등의 실태조사를 하였다. 경남지역의 창업기업 실태조사를 통해 경남지역의 창업 정책에 대한 수요자의 애로를 파악하여 경남지역의 기술창업 기업에 대한 지원정책의 개선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에 활용한 자료는 창업진흥원의 “한눈에 보는 창업 동향” 자료와 도내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 367개에 대한 설문조사(2019년 6월)를 기반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단기정책으로 첫째, 비대면 방식의 창업지원 체계구축이 필요하고, 둘째, 기업의 생애 전 단계 성장단계별 맞춤식 경남형 창업 트랙 구축과 고도화가 필요하며, 셋째, 온/오프라인 국내 판로개척 지원시스템과 글로벌 창업지원 체계구축이 필요하며, 인력난 문제 해소를 위한 청년-스타트업 인력지원 매칭 프로그램 확대가 필요하다. 중기정책으로 첫째, 경남형 컨트롤 타워와 창업 지원기관의 집적화가 필요하고, 둘째, 경남지역의 Post-BI 공간 마련이 필요하며, 셋째, 경남창조혁신센터 서부센터 기능의 확대가 필요하고, 넷째, 창조경제혁신센터의 인력 재구조화가 필요하다. 장기정책으로 첫째, 도내 대기업, 공공기관과 스타트업과의 연계 협력사업 강화를 위한 경남도의 주도적 역할이 필요하며, 둘째, 경남 액셀러레이터 확대와 독자적 창업 투자 지원기관 확충과 고도화가 필요하며, 셋째, 퇴직자 및 고숙련 기술자 등의 창업 연계 방안의 마련이 필요하고, 넷째, 도내 창업지원 기관들의 연계 프로그램 추진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경남지역 기술 창업기업의 성공을 위한 정책지원에 대한 여러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서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분석 범위를 경남 도내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을 대상으로 선정하면서 특정 시점 기준으로 한정된 데이터를 이용한 부분이 연구의 한계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향후 추가적 분석 기간 연장을 통해 더 명확한 기술창업의 성공과 정책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A great deal of attention to the major business entity to cope with the continuous economic recession and the low level of employment rate has been increased the role of small and mediums enterprises(“SMEs”). Korean government facilitate pre-startups and develop post startups as the policy to vitalize the startups. This paper studied the current situation on the basis information, general predicament and the method of raising funds of startups in the business incubation centers of Gyeongsangnam-do Province. We also investigated the changing trend on the recognition to startups as well as the changing attention to startups from big companies. From the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startups, we understand the bottleneck problems of the potential startups on the startup supporting policy by Gyeongsangnam-do and give any policy implication in order to develop the startup programs. Our study is based on the startup develop institutes’s “startup trend at a glance” and the survey materials by the 367 companies which is moved into the business incubator centers of Gyeongsangnam-do Province as of June, 2019. The major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As the short-term policy, First, we think a startup supporting system based on the on-line method is necessary. Second, Gyeongsangnam-do startup track based on the companies’ life cycle and growth stage should be developed and advanced. Third, to set up a new local on/off line supporting system and a global startup supporting system to cultivate a new market is needed. To solve the human resources shortage,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young-startup personel matching program. As the mid-term policy, First, Gyeongsangnam-do’s control tower and startup supporting institutes’ cluster are necessary. Second, a Post-BI system in Gyeongsangnam-do Province should be built up. Third, the function of CCEI’s west center must be expanded. Fourth, a human resources’ restructuring of the CCEI is required. As the long-term policy, First, Gyeongsangnam-do’s role and leadership to build up the cooperative projects among big private company, public company and startup should be strengthened. Second, the expansion of Gyeongsangnam-do’s accelerator and the scale-up of the independent startup investment supporting institution are necessary. Third, the operation of a startup cooperative program with retired and high level engineers is required. Fourth, the startup aiding program among the Gyeongsangnam-do’s startup supporting institutes should be implemented. This study suggested several policy ideas for the success of technology startups. The limitation of this paper is in the usage of Gyeongsangnam-do BI companies data at a specific tim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ample period and companies in order to give a concrete policy implication for the success of technology startups in the further research.

      • 慶尙南道 觀光産業 活性化를 위한 戰略에 관한 硏究

        조현택 慶南大學校 2019 국내석사

        RANK : 248655

        관광은 일상 생활에서 벗어나 여가 시간을 즐기기 위해 다른 지역으로 여행하는 관행이다. 관광에 대한 사람들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대상을 관광자원이라고 하며, 이러한 관광자원을 바탕으로 관광에 대한 사람들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관광산업이다. 관광산업은 흔히 '보이지 않는 무역'과 '외국인 공장'으로 불리는 외화 획득을 위한 전략산업으로 육성되고 있다. 관광산업은 현재 외화 획득뿐만 아니라 고용, 국격, 국제 친선, 문화 교류 등에도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따라서 관광을 국가의 인프라와 미래 성장잠재력으로 육성하기 위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사람들을 끌어들이기 위해서는 관광지에는 세 가지 전제조건이 있어야 한다. 우선 관광객을 끌어들이는 명소가 필요하다. 자연환경이든 건물이든 문화든 매력적일 수밖에 없다. 둘째, 숙소와 음식이 있다. 일반적으로 관광객들은 그들이 현재 가지고 있는 것보다 더 좋은 곳에서 씻고 자고 싶어한다. 그리고 더 맛있게 먹고 마시고 싶다. 셋째, 교통. 도보든, 도로든, 항공이든, 바다든, 관광객들은 그들이 원하는 곳으로 갈 수 있어야 한다. 아무리 매력적인 곳이라도 관광객이 접근하기 어렵다면 방문하기 좋은 곳은 아니다. 그런 점에서 경남 관광객은 전국 5위권이라고 하지만 실제로는 다른 지역에 비해 관광산업이 크게 뒤처져 있다. 경남의 대표적인 관광지인 거제도와 통영, 합천을 제외하면 수도권과 외국을 찾는 관광객이 많지 않다. 자연적인 문제, 인프라 부족, 홍보 부족은 경남의 관광 산업을 훨씬 덜 인기 있게 만들었다. 경상남도가 조선과 중공업 등 주력 사업의 글로벌 경기침체로 다른 산업으로 옮겨갈 필요가 있는 것은 사실이다. 대체산업은 관광산업이다. 천혜의 자연환경과 비행기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제주도를 제외한 2개 공항이 우리나라에도 있지만 부산 전남 경북 등 인근 도시에서 많은 관광객이 몰리고 있는 게 현실이다. 이런 현실을 넘어 굴뚝 없는 산업으로 불리는 관광산업이 경남의 대안이다. 관광산업이 활성화되려면 먼저 접근해야 하고, 다양한 관람객이 보고 즐길 수 있는 것을 만들어 방문할 수 있도록 관광산업이 활성화돼야 한다. 관광산업 활성화와 관광객들의 다양한 방문으로 인해 정부는 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한 사전조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와 함께 경상남도 관광 산업의 문제를 해결하면 경남의 실업과 경제 문제를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Tourism is the practice of traveling to other areas to enjoy leisure time away from everyday life. The object of meeting people's needs for tourism is called tourism resources, and it is the tourism industry that provides various services to meet people's needs for tourism based on these tourism resources. The tourism industry is being fostered as a strategic industry to acquire foreign currency, which is often called "invisible trade" and "out-of-the-box factories." The tourism industry is currently investing a lot not only in acquiring foreign currencies, but also in increasing employment, national prestige, international goodwill and cultural exchanges. Therefore, competition to nurture tourism as the nation's infrastructure and future growth potential is intensifying. To attract people, tourist attractions must have three prerequisites. First, you need to have some attractions that attract tourists. Whether it's a natural environment, a building, a culture, it must be attractive. Second, there are accommodation and food. Generally, tourists want to wash and sleep in a better place than they currently have. And I want to eat and drink more deliciously. Third, traffic. Whether on foot, road, air, sea, or sea, tourists should be able to go where they want to be. No matter how attractive a place is, it is not a good place to visit if it is difficult for tourists to approach. In this regard, tourists from South Gyeongsang Province are said to be the fifth- largest tourist destination in the country, but in reality, the tourism industry is far behind compared to other regions. Except for Geoje Island, Tongyeong and Hapcheon, one of the major tourist destinations in South Gyeongsang Province, there are not many visitors to the capital area and foreign countries. The lack of natural problems, a lack of infrastructure, and a lack of publicity have made the tourism industry in Gyeongnam much less popular. It is true that South Gyeongsang Province needs to shift to other industries because of the global economic recession of its major projects such as shipbuilding and heavy industries. The alternative industry is tourism. Although Korea has two airports with the warmest exception of Jeju Island, with a natural environment of Cheonhye and easy access by plane, the reality is that many tourists are driving in neighboring cities such as Busan, South Jeolla and North Gyeongsang. Beyond this reality, the tourist industry, called the chimney-free industry, is the alternative to Gyeongsangnam-do. In order for the tourism industry to be activated, it should be accessible first, and the tourism industry should be promoted so that a variety of visitors can visit by creating things to see and enjoy. As a result of the active tourism industry and tourists' visits to various countries, the government needs to take advance measures to revitalize the tourism industry. Along with these problems, solving the problems of the Gyeongsangnam-do tourism industry could solve the unemployment and economic problems in Gyeongsangnam-do to some extent.

      • 일제강점기 경남지역 고적보존회에 대한 고찰

        선우성혜 慶南大學校 2008 국내석사

        RANK : 248655

        경남은 임란의 격전지이며 고대 일본과의 빈번한 교류가 이루어진 지역이었다. 따라서 일제는 식민정책을 정당화하기 위한 근거지 및 임란에서 왜군의 활약을 볼 수 있는 지역으로 조선 지배를 공고히 하고자 의도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강점 이전부터 관심을 가져왔다. 한편으로, 조선민중에게 경남지역은 임란의 격전지로서 전승지로 구국충절의 정신이 새겨있는 곳이면서, 고대 국가의 발원지라는 점에서 민족영웅에 대한 존숭심과 지역에 대한 자긍심·애향심강한 지역이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역사적 특성을 바탕으로 경남지역에서는 일찍부터 고적보존회가 등장하고 있었다. 경남지역의 고적보존회의 설립은 이 시기 고적보존회 설립의 일반적 현상과 마찬가지로 총독부 고적조사보존정책의 영향을 받고 있었다. 그러나 일부 지역은 지역민들의 애향심과 조상에 대한 존숭심이 그 활동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였다. 이러한 점에 주목하며 본 연구를 시작했다. 경남은 일제하 설립되는 다양한 고적보존회의 동향을 한눈에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지역으로 선정하였으며, 경남 각지에서 설립되는 고적보존회의 존재양상은 해당 지역의 지역민들이 품고 있던 조상 및 지역의 민족 영웅에 대한 존숭심과 애향심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일제하 경남지역 고적보존회를 연구한다는 것은 의미를 갖는다. 본고는 이와 같은 인식을 가지고 일제하 총독부 고적정책의 변화를 통해 경남지역 고적보존회의 설립 배경을 살펴보고자 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당시 경남지역에서 나타나는 고적보존회의 실제적인 존재양상을 살펴봄으로써 일제하 경남지역 고적보존회의 성격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고를 통해 살펴본 경남지역의 고적보존회의 성격은 크게 官邊的·民官合作的·民族的인 구분 속에서 이해할 수 있었고, 민간과 관인이 같이 활동하고 있음으로 넓은 의미에서 民官合作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지역별로 그 성향은 조금씩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남해와 통영의 경우 민족적 성향이 보다 강하게 드러난다. 뿐만 아니라 민족적 성향이 강한 지역의 고적보존회 활동은 참여인물이 비단 해당 지역에서만 활동하는 것이 아니라 인근지역의 인사들과 유기적인 관계를 가지면서 활동하고 있었고, 이는 1930년대 전국적으로 일어난 민족적 고적보존운동의 영향이었다. 이와 같은 점으로 미루어 보아 경남지역 고적보존회는 경남이 가지는 역사적 특성을 바탕으로 일제의 정책에 영향을 받고 있으나 지역에 따라 그 성향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Gyeongnam was one of the intense battle fields at the time of the Imjin Korea-Japan War, and was an area where exchanges with ancient Japan were fulfilled. Thus, Imperialist Japan had paid attention to this area before it took over Korea in order to justify its colonial ruling. On the other hand, for the Joseon people, the Gyeongnam area was an intense battle field, a site of the greatest victory, and a place where state-saving heros’ spirits were engraved.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it was a place of origin of an ancient nation, and was a base for national heroes’ activities, the residents had stronger attachment to and pride of it than any other people from other areas. Thus, based on such historical characteristics, the Gyeongnam area had the Historic Site Preservation Society early in the Japanese Imperialist era. As was the case with the general phenomenon in the foundation of a historic sitet preservation society at that time, its foundation was affected by the Government-General’s policy of historic site preservation. However, in some subareas, the local residents’attachment to the areas and their respect for forefathers also had great influence on the organization’s activities. The Historic Site Preservation Society in the Gyeongnam area have such characteristics that one can find the trends of various such societies founded in the Japanese Imperialist era from it one fell swoop. Furthermore, the society has certain amount of significance in that it was based on the residents’ respect for their forefathers and national heroes and their attachment to the area. With this recognition, this paper tries to investigate the background of the foundation of the Historic Site Preservation Society in the Gyeongnam area through changes in the Government-General’s policies for historic sites in the Japanese Imperialist era. And, based on this, it also tries to explic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ciety by looking at the aspects of its substantial existence in the Gyeongnam area. Consequently, through this paper, I can understand the society’s characteristics as having propensities of official sources, civilian and official collaboration, and the nation, and it can be said to be based on civilian-official collaboration in that civilians and officials participated in its activities. However, the propensities were different from area to area, and Namhae and Tongyeong had more national tendency. In addition, in the activities led by the historic site preservation societies in the areas with strong national propensities, the participators did not remain at their original areas, but had active relationships with neighborhood figures. To judge on the basis of these points, though it was influenced by the Imperialist Janpan’s historic site policies, the Historic Site Preservation Society in the Gyeongnam area had strong national propensities on the basis of the area’s historical characteristics.

      • 부동산 전세시장의 가격발견기능에 관한 연구 : 부산·경남지역 중심으로

        김영경 경남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55

        동 연구는 국내 부동산시장 중에서 부산, 경남 및 울산지역 내 아파트 매매와 전세시장 사이의 선도-지연 관계 분석을 통하여 우리나라 동남권 지역 내 아파트 매매와 전세시장 사이의 가격발견기능을 분석함으로써 지역 내 아파트 실거주자와 투자자들의 투자전략과 리스크관리전략 수립에 정책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전세 분석 기간은 2008년 6월부터 2019년 2월까지 주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와 전세가격지수를 이용하여 단위근검증, 공적분 검증 및 벡터자기회귀모형 및 그랜즈인과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부산, 울산 및 경남지역 아파트 매매가격과 전세가격 지수 수익률의 안정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요한센공적분검증을 실시하였다. 단위근 검증 결과 부산, 울산 및 경남지역 아파트 매매가격지수와 전세가격지수 수준변수들은 대부분 단위근이 존재하는 불안정한 시계열들이지만 로그 차분된 부산, 울산 및 경남지역 아파트 매매와 전세가격지수들은 모두 안정적인 시계열로 나타났다. 둘째, 부산, 울산 및 경남지역 아파트 매매와 전세가격지수 수준변수사이의 공적분 관계를 요한센 검증을 통하여 실시한 결과 전체적으로 각 변수사이에는 장기적인 균형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창원지역 아파트 매매시장과 전세시장 사이의 장기적인 균형 관계를 분석한 결과, 두 시장 사이에도 공적분 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그랜즈 인과관계 분석을 통하여 부산, 울산 및 경남지역 아파트 매매와 전세시장 사이의 단기적인 정보전달 체계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지역 매매와 전세시장은 경남과 울산지역 매매시장에, 경남과 울산지역 전세시장은 부산지역 매매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남지역 매매시장은 울산지역 매매시장과 부산지역 전세시장으로부터 영향을 받고 있으며 경남지역 전세시장은 부산과 울산지역 매매와 전세시장으로부터 모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매매시장 ⇒ 울산매매시장 경남/울산전세시장 ⇒ 울산매매시장 부산전세시장/울산매매시장 ⇒ 경남매매시장 울산전세시장 ⇒ 부산매매시장 경남전세시장 ⇒ 부산/울산전세시장 부산/울산 매매시장 ⇒ 경남전세시장 부산 및 울산 전세시장 ⇒ 경남전세시장 이러한 실증분석결과는 부산, 울산 및 경남 등 국내 부동산시장 참가자들과 부동산 정책 담당자들의 의사결정에 다소나마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is paper has investigated the lead-lag relationship between Pusan metropolitan city, Ulsan and Gyeongsannam-do province’s real estate trading and rental markets. The sample period is covered from June, 2008 to February, 2019. We made use of the weekly APT trading and rental price index data. To test the dynamic inter relationship between Pusan, Ulsan and Gyeongnam APT trading and rental markets, we introduced VAR, VECM and Granger causality test. The major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e studied the stationarity of weekly APT trading and rental price index data with ADF(augmented dickey fuller) and PP(philips-perron) tests. According to the unit root test, most of the level data of the level data of Pusan, Ulsan and Gyeongnam APT trading and rental markets are non-stationary, but the returns data of Pusan, Ulsan and Gyeongnam APT trading and rental markets are all stationary. Second, we find that there is a long-run equilibrium relationship among the level data of the level data of Pusan, Ulsan and Gyeongnam APT trading and rental markets Third, there is a feed-back information transmission among the return data of the Pusan, Ulsan and Gyeongnam APT trading and rental markets. From these empirical results, we infer that there is a co-movement among the returns of Pusan, Ulsan and Gyeongnam APT trading and rental markets. For the stabilization of Korean real estate market, it is more effective for the government policy makers to manage properly the short-term interest rate as well as bank loan markets.

      • 慶南의 音樂史 1996 ~2005 : 慶南日報 · 慶南新聞을 中心으로

        최은정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55

        Kyung-nam has the most characteristic living place environment throughout the country because it has abundant mountain resources, traditional culture heritage and purely natural environments of the southern sea. Kyung-nam music culture , however, still needs to direct objectives, and even arranged data related to Kyung-nam music culture is in short supply although there are such enough natural friendly environment , traditional resource and inherent cultural resources. Therefore, this thesis heads toward 21century that was called the century of culture, recognizes that competitive culture is national power and illuminate Kyung-nam music history again. On the basis of Kyung-nam newspaper, two greatest daily newspaper, Kyung-nam Daily News and Kyung-nam Newspaper, was reorganized and analyzed after the operation of Kyung-nam music history from 1996 to 2005. This thesis is divided five categories, art music, traditional music, education, record, and others, according to the concert has been opened in Kyung-nam by description methodology of Kyung-nam music history , and the art music is divided to creation performance, opera in detail and preside over these categories , and represents analysis about this control. As a result of external analysis, 1990s tried to work indiscriminately with an interests and policies about cultural art of civil government although the cultural activities were shrank with IMF situation which was hard economically, open a variety of performances and seminars and meetings actively for development of Kyung-nam music. Entering a period of new millenium, it concentrated its efforts on ensuring more substantial economic basement. Moreover, A Concert with an Explanation, A Concert with Citizen and a Visiting Concert prevailed conspicuously for juveniles. The creation is still poor from other genre. Not only the composition people for playing song, opera, musical is limited, but also the conditions for creation are not encouraged. We have to support Hap-po Bay Hyun-Dai music festival or Kyung-nam creating music festival actively and step forward to dig out hidden talent by more creative musical concours. Throughout 1990s to 2000, orchestral music of active Kyung-nam music activities contributes to popularization with Ma-san national symphony orchestra and a various project performance of Chang-won national symphony orchestra, Ma-san national symphony orchestra which lead in A Concert with an Explanation for Juvenile goes into action diversely. As a result of chamber music boom, many chamber orchestra was created, led various chamber musical performance. The opera granted depressed Kyung-nam opera field a new opportunity. As a result of creation of Kyung-nam opera band which was combined Kyung-nam opera band with Chang-won opera band in 1999. Traditional music has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assets with -happiness, song, activity, such as Jinju, Sam-cheon-po twelfth farm music, and Go-sung O-guang-dei, Mil-yang Packjung Play, Jin-ju Palgummu, Go-sung agricultural song, therefore, serve as a opportunity to develop Korean classical music actively with high quality of performances. In addition, Kyung-nam Yeo-chong as a result of managing Kyung-nam art love ticket project, pure performance art was seen positively because audiences can buy more affordable price ticket. In this thesis, I tried to analyze a part of musical criticism but couldn't analyze it because of lack of musically critical data extremely. For development of Kyung-nam musical history, I hope that this thesis provide its basement rapidly and maintain high quality of Kyung-nam musical culture. This thesis organizes Kyung-nam musical culture again from 1996 to 2005 by history point of view. Therefore, in description of later Kyung-nam music history, I hope this thesis be essential data, it at least help to reorganizing Kyung-nam musical history of whole Kyung-nam. 경남은 남해안의 청정 자연환경과 풍부한 산악자원, 전통문화 유산이 풍부한 지역 내 조건으로 전국에서 가장 특색 있는 생활공간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자연 친화적 환경과 전통자원, 경남의 고유의 문화자원이 풍부함에도 불구하고 경남음악문화는 여전히 뚜렷한 방향성이 결여되어 있으며, 경남음악문화와 관련되어 정리된 자료조차 아직 미비한 실정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문화의 세기라고 불리는 21세기에 접어들어 ‘문화경쟁력이 곧 국가경쟁력’으로 인식되면서 경남음악사를 재조명하고 경남음악사의 후속작업으로 1996년부터 2005년까지 경남의 2대 일간지 즉 경남일보, 경남신문을 중심으로 재정리하여 분석하게 되었다. 본 논문은 경남음악사 서술방법론에 따라 경남에서 열렸던 음악회를 중심으로 크게 예술음악, 전통음악, 교육, 음반, 기타 등 5부문으로 나눠 정리하였으며 예술음악에는 다시 창작, 연주, 오페라를 세부사항으로 두어 구분하여 총람화 하였다. 그리고 이 총람에 대한 것은 외형적으로 분석하여 나타내었다. 외형적 분석의 결과 90년대는 경제적으로 어려웠던 IMF 사태 속에서 문화적인 활동이 많이 위축되었지만 문민정부의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과 정책으로 인해 균형 있는 활동을 하기에 노력하였으며 새천년에 접어들면서 경남음악의 발전을 위한 여러 가지 공연 및 세미나, 모임을 적극적으로 개최하였으며, 보다 내실 있는 자체 재정기반을 확보하는데 주력했다. 또한 청소년을 위한 해설 있는 음악회 및 시민들과 함께하는 음악회, 찾아가는 음악회가 눈에 띄게 활발하였다. 그러나 아직도 창작은 타 장르에 비해 부실함을 보이고 있다. 가곡·오페라·뮤지컬 등을 소화할 수 있는 작곡인구가 적을 뿐만 아니라 창작에만 전념할 수 있는 여건조성이 안돼 있는 실정이다. 앞으로는 합포만 현대 음악제나 경남 창작 음악제를 후원하고 그 외 창작 음악 콩쿠르의 활성화로 숨어있는 인재 발굴에 적극적으로 앞장서야겠다. 90년대를 거쳐 2000년대를 오면서 활발했던 경남 음악 활동 중 관현악은 마산시립교향악단과 창원시립교향악단의 다양한 기획연주로 대중화에 크게 기여하였고 청소년을 위한 해설 있는 음악 연주에 앞장선 마산청소년교향악단이 두드러진 활동을 하였다. 실내악 붐을 이뤄 많은 실내악단이 창단되었고 이로 인해 풍성한 실내악연주를 보여 주었다. 오페라는 1999년 경남 오페라단과 창원오페라단의 결합으로 이름 붙여진 ‘경남 오페라단’의 탄생으로 침체된 경남 오페라계에 새 계기를 마련하였고 전통음악은 진주, 삼천포 12차 농악을 비롯하여 고성오광대, 밀양 백중놀이, 진주 팔검무, 고성농요 등의 樂, 歌, 舞를 고루 갖춘 국가지정 중요무형문화재가 있기에 양질의 공연으로 경남국악발전의 활발한 활동과 기틀을 마련하고 있다. 또한 경남예총은 연극, 무용, 음악, 국악협회와 함께 경남예술사랑티켓 사업을 주관한 결과 순수공연예술을 관객들이 보다 저렴한 가격에 접할 수 있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본 논문에 음악 비평에 대해 한 부분을 분석하려 하였지만 전문가들의 음악적 평론 자료가 턱없이 부족하여 분석할 수 없었다. 경남음악사의 발전을 위해서 전문비평시대의 기틀을 조속히 마련하여 양질의 경남음악문화가 정착되길 바란다. 본 논문은 1996년부터 2005년까지의 경남음악문화를 역사적 관점에서 재정리하였다. 따라서 향후 경남음악사 서술에 있어, 절대적으로 필요한 자료가 되길 바라며 나아가 경남 전체의 경남음악사를 재정리하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