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남북한 의사 양성체계 비교에 관한 연구 : 북한 출신 의사의 한국 의사면허 취득에 관한 질적 다방법 연구 과정을 중심으로

        최희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807

        Inter-Korean medical cooperation exchanges require medium and long term goals and are emerging as an indispensable task for future unification.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so far, but there are no studies dealing with subjects who have experienced the North and South medical treatment fields. This research aims to derive measures to improve discrepancies between healthcare systems of South and North Koreas, utilization of North Korean refugee healthcare personnels and medical cooperation strategie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s. Focusing on discrepancies between healthcare personnel training systems of the two Koreas, characteristics of the North Korean healthcare system were reviewed and comparisons were performed between medical school courses of the two Koreas. Present conditions of North Korean medical schools and changes in North Korean medical school courses were discussed. Healthcare delivery systems and healthcare personnel training courses of the two Koreas were also compared to each other. Change training courses of North Korea medical school were organized by year. Also current state of North Korean refugee physicians' acquisition of South Korean medical license was analyzed and foreign cases were reviewed. Finally, Cases of East and West Germany and Israel were analyzed. Subject of study includes 27 cases, divided into two groups. The first group consists of 20 North Korean refugee physicians in South Korea and the second group is composed of 7 South Korean experts who have experiences of operating programs for North Korean refugee physicians' acquisition of South Korean medical license. Colaizzi's phenomenal analysis was applied on analysis of results of the qualitative researches. Results of the analysis suggest that above all, in order to improve discrepancies between medical systems and medical school courses of the two Koreas, education of courses absent in North Korea (laboratory medicine, medical terms, family medicine, English, statistics, etc.) and on diseases (obesity, diabetes, rehabilitation, etc.) should be prepared. Secondly, as a preparatory step for utilization of North Korean refugee healthcare personnels, standards of interview by the Korea Health Personnel Licensing Examination Institute during South Korean medical license acquisition process of North Korean refugee physicians in South Korea should be established and re-education programs should be prepared in parallel. Thirdly, for the purpose of utilizing healthcare personnels, legal and institutional standards regarding career acknowledgement of North Korean refugee physicians should be established and standardized educational processes should be prepared. 남북한 의료협력교류는 중장기적인 목표를 필요로 하며 향후 통일의 필수불가결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지금까지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지만 남과 북 진료현장을 경험한 대상들을 다룬 연구는 전무하다. 본 연구는 문헌 고찰과 인터뷰를 통하여 남북한 의과(의학)대학 교육 및 보건 의료 환경의 차이를 개선하고 의료인력 활용과 남북한 의료협력 및 교류 방도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남북한 의료인 양성체계의 상이함에 초점을 맞추어 북한 보건의료의 특징을 살펴보고, 남북한 의과(의학)대학 교육 비교 및 대학 졸업과 그 이후 교육과정에 비교를 두어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어서 남북한 의료 환경 및 수련과정과 북한 의학대학의 연대별 변천 및 북한 출신 의사들의 국내면허 취득현황을 분석하고 이에 해외사례 고찰을 병합하였다. 연구대상은 총 27명이며 두 그룹이다.첫 번째 그룹은 북한을 떠나 남한에 온 북한 출신 의사 20명이고, 두 번째 그룹은 북한 출신 의사들의 국내 의사면허 취득프로그램을 운영하였던 남한 전문가 7명이다. 분석결과, 첫째. 남북한 의과(의학)대학 교육 및 남북한 보건 의료 환경의 차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부재과목 교육(진단검사, 가정의학과, 영어, 통계, 의료법규, 예방의학 ,응급의학, 윤리 등)과 질병교육(비만, 당뇨, 정신 및 재활의학과 질병 등)을 준비하여야 한다. 둘째. 의료인력 활용 교육과정으로 남한에 온 북한 출신 의사들의 의사면허 취득과정에서 국시원 면접기준을 정하고 이에 병행하는 재교육 준비가 필요하다. 셋째. 남북한 의료협력교류의 기반으로 북한 출신 의사 경력인정의 법적·제도적 기준을 제시하고 표준화된 교육단계를 준비하여야 한다.

      • 의과대학 온라인교육(Online education)의 학습참여도, 학습성취도 및 학습만족도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을 통한 효과적 교수학습전략 연구

        이희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807

        With the rapid spread of the Internet from the 1990s, students who have been familiar with the Internet through electronic media such as computers, tablet PCs and mobile phones since childhood are gaining more knowledge through the Internet than in the previous generation. As the knowledge acquisition process changes, the need for an education method different from the existing method emerged. In addition, online education, a distance education method using the Internet, has been introduced in the field of education since the 2000s due to the advantage of the Internet that it has higher accessibility and can provide education to more learners compared to existing distance education methods. In medical education, online learning began to be introduced in the late 2000s. International academic conferences using online conferences and live surgeries made it possible to quickly share new medical knowledge without going far, and through online training, it was possible to participate in education without being limited by working hours. In addition, in recent medical education, simulation-based medical education, which provides a situation similar to the actual medical treatment situation, is expanding. The development of an educational program that combines online learning with simulation-based medical education has raised interest in education. It is believed that it could not only trigger, but also provide more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students. However, despite these expectations and possibilities, medical education through online education has not yet been widely used in basic medical education (BME, undergraduate medicine education), but rather, it is more widely used for education in majors or training for specialists. Due to the 2020 COVID-19 pandemic, E Medical School has conducted online education for most of the curriculum except for clinical practice courses in the 3rd and 4th grades in 2020. Although it was implemented due to external factors such as infectious diseases, this provided a good opportunity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online education in preparation for the future medical education environment. This study examines the factors that affect learning participation, learning achieve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and the effects of online education conducted by E Medical School in the first semester of 2020. This study was conducted by dividing it into learner factors such as online education experience, and exploring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to improve the learning effect of online education in the future. A questionnaire survey and group interview were conducted for instructors and learner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and 252 students in the 1st to 4th grades of the medical school who participated in the online education for the first semester of 2020 and 69 professors answered the questionnaire. A total of 8 students and 2 professors participated in the interview, with 2 students per grade. As a result of the study, among learner factors, students' computer and internet proficiency, existing online education experience, and education methods experienced in existing online education acted as influencing factors on learning effect. Students with low computer and internet proficiency showed low learning participation, learning achieve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and students without previous online education experience showed low learning outcomes.Among the students who had previously experienced online education, students who had previously heard video lectures showed higher learning outcomes than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online education in other ways. In addition, there was a difference in learning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content of education and the delivery method of online education, which implies that the selection of appropriate education content and appropriate education method is important in the instructional design process of online education. Since self-regulated learning acts as an important learning principle in online education, students' learning strategies were analyzed focusing on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They also used some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such as finding data through searching for data with fellow students and selecting an environment suitable for learning, but the method was not systematic and depended on the discretion of the learner. To overcome this, detailed guidelines for self-regulated learning were presented to help students design and check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nd, in addition to support for instructors, such as education on online education methods and tools, equipment and programs for online education materials production, improvement of online education platform to promote self-regulated learning and Internet use and online education guidance for students. This study was aimed at an online curriculum that was suddenly implemented due to the pandemic of infectious diseases, so the design of the study was not precise, and it was difficult to apply the study results to all learners because it was targeted at women's medical college students. But, it is meaningful that it suggested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for online education in medical education. 1990년대부터 인터넷의 보급이 빠르게 진행되면서 어렸을 때부터 컴퓨터, 태블릿 PC와 모바일 폰 등 전자매체를 통해 인터넷을 익숙하게 접해온 학생들은 이전 세대에 비하여 인터넷을 통해 많은 지식을 얻고 있다. 이렇듯 지식 습득 과정이 변화함에 따라 기존의 방식과는 다른 교육방법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또한 기존의 원격교육 방식에 비하여 접근성이 높고 더 많은 학습자를 대상으로 교육을 제공할 수 있다는 인터넷의 장점으로 인해 2000년대부터 교육분야에서 인터넷을 활용한 원격교육방법인 온라인교육이 도입되었으며, 의학교육에서도 2000년대 후반부터 온라인학습이 도입되기 시작하였다. 온라인 컨퍼런스를 활용한 국제 학술대회, 인터넷을 통한 수술 시연인 라이브 수술 등을 통하여 멀리 가지 않고도 새로운 의학 지식을 빠르게 공유할 수 있게 되었고, 온라인 연수교육을 통하여 근무시간의 제한을 받지 않고 교육에 참여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최근의 의학교육에서는 실제 진료 상황과 유사한 상황을 제공하는 시뮬레이션 기반 의학교육(Simulation-based medical education)이 확대되고 있는데, 온라인학습에 시뮬레이션 의학교육을 접목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은 교육에 대한 흥미를 유발할 뿐 아니라 학생들에게 더 많은 교육적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여겨진다. 하지만 이러한 기대와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온라인교육을 통한 의학교육은 아직까지 기본의학교육(Basic Medical Education. BME. 학부의학교육)에서는 널리 활용되지는 않았으며, 오히려 전공의 교육 혹은 전문의 연수교육 등에서 더 널리 활용되었다. 온라인교육이 의학교육 영역에 도입된 지가 얼마 되지 않아 기본의학교육에서 적용할 수 있는 영역에 대한 논의와 근거가 충분하지 않은 상황에서, 교육과정에 온라인교육을 본격적으로 도입하는 데는 부담이 있을 것이다. 그로 인해 온라인교육은 일부 단기간의 교육 프로그램 혹은 단발성 교육에 제한적으로 적용되어 왔다. 2020년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하여 E의과대학에서는 2020학년도에 본과 3학년과 4학년의 임상실습 교과목을 제외한 대부분의 교육과정을 온라인교육으로 진행하게 되었다. 비록 전염병이라는 외부 요인에 의하여 시행하게 되었지만 이는 미래 의학교육 환경에 대비하기 위해 온라인교육의 효과를 검증할 좋은 기회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는 2020학년도 1학기에 E의과대학에서 시행한 온라인교육의 학습참여도, 학습성취도 및 학습만족도와 그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교육내용과 교육방법 등 교육적 요인, 학습자의 인터넷 숙련도와 기존 온라인교육 경험 등 학습자 요인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이를 통하여 향후 온라인교육의 학습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교수학습전략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수자와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그룹인터뷰를 시행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2020학년도 1학기 온라인교육에 참여한 의과대학 본과 1학년에서 4학년 학생 252명과 교수 69명이 설문에 응답하였고, 학년 별로 학생 2명씩 총 8명과 교수 2명이 인터뷰에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자 요인 중에서는 학생의 컴퓨터 및 인터넷 숙련도, 기존 온라인교육 경험 유무 및 기존 온라인교육에서 경험한 교육 방식이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컴퓨터 및 인터넷 숙련도가 낮은 학생의 경우 낮은 학습참여도와 학습성취도, 학습만족도를 보였으며 기존 온라인교육 경험이 없는 학생에서 학습성과가 낮게 나타났다. 기존 온라인교육 경험이 있던 학생 중에서는 이전에 동영상강의를 들은 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다른 방식으로 온라인교육을 경험한 학생보다 학습성과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교육의 내용과 온라인교육의 전달 방식에 따라 학습만족도에 차이가 나타났는데, 이는 온라인교육의 교수설계 과정에서 적절한 교육내용과 적합한 교육방식의 선정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자기조절학습은 온라인교육에서 중요한 학습 원리로 작용하기 때문에 자기조절학습전략을 중심으로 학생들의 학습전략을 분석하였다. 이들은 동료 학생 및 자료 검색을 통한 자료 구하기와 학습에 적합한 환경 선택 등 일부 자기조절학습전략을 활용하기도 하였으나 그 방법이 체계적이지 않고 학습자의 재량에 의존하고 있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학생이 자기조절학습전략을 설계하고 점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도록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자기조절학습 세부지침을 제시하였다. 또한 온라인교육방법 및 활용 도구에 대한 교육, 온라인교육자료 제작을 위한 장비 및 프로그램 지원 등 교수자 대상 지원과 더불어, 자기조절학습을 촉진시키기 위한 온라인교육 플랫폼의 개선 및 학생 대상의 인터넷 활용 및 온라인교육 안내, 학생을 위한 학습 공간의 지원 등 교육기관 차원에서 필요한 학생 지원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는 전염병 팬데믹 상황으로 인하여 갑작스럽게 시행된 온라인교육과정을 대상으로 하였기에 연구 설계가 치밀하지 못했으며, 여자의과대학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기에 연구 결과를 전체 학습자에 적용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동일 집단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동일한 기간 동안 서로 다른 교육내용의 교과목에 적용된 온라인교육에 대한 사례 연구로서 기본의학교육에서 온라인교육에 미치는 요인들을 다방면으로 분석하고, 온라인교육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자기조절학습을 촉진하는 방안을 고찰하는 등 의학 교육에 온라인교육을 적용하는 효과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의과대학 교육과정 개편에 대한 통시적 고찰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을 중심으로

        안신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807

        국내 의과대학 교육과정의 개편에 관한 통시적인 연구가 없으므로 이 연구는 일개 의과대학에서 1970년 이후로 진행된 교육과정의 개편을 통시적으로 고찰하여 1) 교육과정 개편 전개의 시기를 구분하고, 2) 각 시기별로 이루어진 교육과정 개편의 핵심 과제들과 특징을 설명하며 동시에 교육과정 개편 과정을 통해서 관통하고 있는 지향점을 밝히고 3) 교육과정 개편이라는 변화에 영향을 준 요인들을 규명하여 의과대학의 교육과정 개편을 선도적인 방향으로 지속할 수 있었던 이유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으로 국내 최초의 서양의학교육기관이자 지속적으로 선도적인 의학교육 개편을 해왔다고 평가받고 있는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이하 연세의대)를 선정하였다. 교육과정 개편의 내용을 필요성의 인식과 목적의 설정, 설계와 실행 및 평가라는 세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구분된 시기별로 분석한 후 비교하였다. 각 시기별 변화요인은 Kurt Lewin의 변화관리모델에 기반한 역장분석(force-field analysis)을 통해 규명하였으며, 이를 다시 통시적으로 비교하였다. 1970년 이후 연세의대에서 이루어진 교육과정 개편의 전개는 네 개의 시기로 나눌 수 있었다. 교육과정 개편의 결과로 드러난 교육과정 유형을 보면 1) 교과목중심 교육과정 시기(1, 2차, 1970-1995), 2) 장기-계통바탕 통합교육과정 시기(3차, CDP2004, 1996-2010), 3) 성과중심교육과정 시기(4차, CDP2013, 2010-현재)로 나누어지는데, 이는 연세의대가 의학교육 흐름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개편을 진행했음을 보여준다. 교육과정 개편은 교육계획위원회(1, 2차 시기)와 CDP 사업단(3, 4차 시기)이 주도했다. 제1차 시기는 1970년에서 1983년까지로 관습적 의학교육에서 교육학적인 접근을 도입하였고, 교육과정과 교수 전원에 대한 심도있는 평가가 이루어진 후 그에 근거해 교육계획위원회를 개설했다. 그리고 이를 중심으로 의학교육의 목적과 목표를 제정하고 학생중심교육을 지향하며 강의시간 감축, 임상실습의 확대, 통합교육과목 도입, 선택과목 확대 및 자율시간 도입 을 결정했으나 실행과정에 한계를 노정하였다. 1984년에서 1995년까지 진행된 제2차 개편은 교육과정의 큰 틀은 유지하면서 외적요인에 대응하는 보완적 성격을 지닌다. 3차 개편은 1996년 의학교육학과 개설과 의과대학 인증평가제도 시행 이후에 CDP사업단 주도로 진행되었다. CDP2004는 1996년에서 2010년에 걸쳐 장기-계통바탕의 통합교육과정을 전면적으로 도입하면서 강의시간의 대폭 감소와 자율시간 확대, PBL과 선택과목의 확대 등 제1차 개편에서 시도했던 학생중심 교육제도를 강화하고 실행하였다. 4차 개편, CDP2013은 2010년부터 시작되었는데 학생중심, 성과바탕, 연구중심의 통합교육을 구현하기 위한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CDP2004의 교육과정 틀을 유지하되 절대평가제도의 도입, 연구력 교육과정 및 DMH교육과정 및 학습공동체를 도입했다. 모든 교육과정이 필수와 선택으로 운영되고, 모든 학생들을 개별적으로 학습지도하는 학생중심의 교육이 강화되었다. 이처럼 1차 교육개편 이후로 현재까지 통합교육과 강의시간의 감축, 선택과목의 확대, 자율시간의 확대를 지속적으로 다루며 학생중심의 의학교육을 지향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교육계획위원회의 교육관련 기획과 실행 기능 중 실행기능은 CDP2004 이후 도입된 광혜교육위원회에 이관되었으며, 의학교육학과는 이론적 제시와 학문적 연구, 교육지원실은 행정적 지원을 이루는 구조를 구축하였다. 시기별 변화에 있어 추진요인은 외부적으로는 세계적인 의학교육의 새로운 흐름, 의학교육인증평가기준의 변화, 사회적 변화가 있었으며, 연세의대는 이에 주도적으로 반응하였다. 내부적으로는 1차 교육과정 개편에서 이루어진 심도 있는 교육 평가 이후, 교육과정에 대한 평가와 그에 근거한 비판적 성찰이 지속되어왔다. 이러한 성찰은 연세의대의 문화적 전통이 교육에 대한 관심을 반영하는 것이며, 국내최초로 설립된 의학교육학과에서 영입한 교육학전문가들과 협업하여 더욱 전략적으로 발전한다. 이러한 발전은 교육과정 개편이 CDP라는 구조화된 사업으로 구현되는 것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교육과정 개편에서 주된 저항요인은 교육목적을 구현함에 있어 다른 의견을 지닌 교수들과 그 교수들의 인식의 바탕이 되는 관행과 문화(미국과 한국의 비교, 교실중심의 문화, 상대평가 기반 문화)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한 소통과 대응과정에서의 절차적 정당성은 변화관리에서 주요한 과제였다. 이상의 교육과정 개편에 대한 통시적 고찰을 통해서 연세의대가 당대 의학교육의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교육과정 개편을 이루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와 같은 변화 속에서 1차 교육과정 개편에서 도입한 학생중심의 교육을 지속적으로 지향함 또한 확인하였다. 국내 최초의 현대적 의학교육기관이라는 역사적 기원, 그리고 교육을 강조하는 문화적 전통, 이는 학생중심 교육을 지속적으로 지향하는 흐름을 이루었다. 이러한 가치지향은 여러 가지 저항요인에도 불구하고 교육과정 개편과 개선을 위해 끊임없는 비판적 성찰을 가능하게 해주었다. 이러한 가운데 연세의대가 최초로 개설한 의학교육학과는 ‘학생중심 교육의 지향과 그를 위한 비판적 성찰’을 교육학적 전문성에 근거하여 전략적인 방안으로 모색하는 과정을 순환하게 했다. 연세의대는 이런 흐름을 통해 지속적인 교육과정 개편 및 선도적인 의학교육 제도의 도입과 창안을 이루어 올 수 있었다.

      • 대체의학에 대한 조리 종사자의 인식도 조사

        이소영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aimed to find ways of vitalizing alternative medicine(nutrition therapy) and surveyed 310 cook workers on 4 types of general information(sex, career, etc.), their perception of alternative medicine(perception of alternative medicine, current status of use, perception level, etc.), and 8 perception items of food therapy(perception of nutrition therapy, prospect of use, expected effect, etc.). As for the perception of alternative medicine,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 were aware of it, mostly through “the Internet, TV, radio and printed publications” or “education, lectures, seminars and exhibitions”. Many respondents said they used the alternative therapy as a supplementary means to relieve symptoms and pain. As for the utilization of alternative medicine, there were positive survey results about “scientific standardization”, “professional manpower training through systematic programs”, “accurate publicity and education on alternative medicine”, and “institutionalization into the medical system”; respondent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nutrition therapy, because “it enhances the effect of treatment when applied in conjunction with medicine”, and “it can be used and accessed easily”. Most responded that it was necessary to develop food treatment menu to prevent disease, and demanded “development of supplementary treatment menu for a specific disease of an individual”, “development of health menu required for the general public”, “development of diverse food and products as a convenient meal”, and “development of detailed menu by life cycle”. When asked about whether they were willing to be educated when alternative medicine(nutrition therapy) professional courses were set up, most cooks expressed taking them actively. As for the role of alternative medicine(nutrition therapy), respondents perceived that “it helps to prevent diseases”, “helps with the treatment of diseases”, “helps to prevent aging and prolong life”, and “it is a safe method that can be used in conjunction with medical treatment".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is survey, the perception of cook workers about alternative medicine(nutrition therapy) was found to be positive in most items. Therefore, based on these results, we can provide basic data to establish education systems for cook workers and expend nutrition therapy majors by promoting positive perception about alternative medicine(nutrition therapy) studies. 본 연구에서는 조리종사자들을 대상으로 대체의학(식품치료)의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고자 조리종사자 310명을 대상으로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사항 4항목(성별, 경력 등), 대체의학의 인식도(대체의학의 인식, 이용현황, 인지수준 등), 식품치료의 인식도 8항목(식품치료의 인식, 이용전망, 기대효과 등)으로 인식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대체의학에 대한 인식도의 경우 과반 수 이상이 대체의학을 인지하고 있었으며, ‘인터넷, TV, 라디오 및 인쇄매체’나 ‘교육 및 강연, 세미나, 전시회 등을 통해’ 알게 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대체요법을 경험한 이유는 ‘증상 및 통증의 완화 등 치료방법의 보조적 수단으로’이용한다는 응답자가 많았다. 대체의학의 활용방안의 경우 ‘과학적 표준화 선행’, ‘체계적인 교육을 통한 전문 인력 양성’, ‘대체의학에 대한 정확한 홍보와 교육’, ‘제도권 진입’에 대해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났으며, 식품치료의 중요성에 대해 ‘현대의학과 병행하면 치료의 효과가 상승’되기 때문에, ‘손쉽게 활용하고 접할 수 있기 때문에’라고 하였다. 질병예방을 위해 식품치료식 메뉴개발이 매우 필요하다고 대부분이 응답하였으며, ‘개인별 특정 질병에 대한 보조치료식 메뉴개발’, ‘일반인들에게 필요한 건강메뉴개발’, ‘식품 및 제품을 편의식으로 다양하게 개발’, ‘생애주기별로 세분화된 메뉴개발’을 가장 많이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체의학(식품치료) 전문인 과정이 마련되면 교육을 받을 의향이 있는가에 대한 질문에 대부분의 조리종사자들은 적극적으로 받아 볼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체의학(식품치료)의 역할에 대한 연구결과 ‘질병예방에 도움이 된다’, ‘질병치료에 도움이 된다’, ‘노화예방과 수명연장에 도움을 준다’, ‘건강증진에 도움을 준다’, ‘현대 의학적 치료와 병행할 수 있는 안전한 방법이다’라고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조리종사자들의 대체의학(식품치료)에 대한 인식도는 대부분의 항목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향후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체의학(식품치료)의 학문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확산시켜 조리사종사들의 교육제도 방안 마련과 식품치료 전공확산에 기초적 자료를 제공 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 세계 보완대체의학의 실태 및 한국 보완대체의학의 발전방안

        진경희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전 세계적으로 고령인구의 증가와 더불어 현대의학기술만으로는 완치가 어려운 만성질환이 증가되는 등 질병의 구조가 변화하고 있다. 만성질환이 증가함에 따라 국민의료비 부담이 커지자 전 세계적으로 보완대체의학(요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그 활용 또한 증가추세에 있다. 특히, 미국에서는 의료비 절감을 위해 대체의학(요법)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목적에서 1992년 국립보건원 산하에 대체의학국(Office of Alternative Medicine, OAM)을 설치하여 의료비절감 성과가 나오자, 1998년에는 대체의학국을 국립보완대체의학센터(National Center for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NCCAM)로 승격시켰다. 또한, 정부 차원의 보완대체의학 전략계획을 수립하여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보완대체의학(요법)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였다. 2016년에는 국립보완대체의학센터를 국립보완통합의학센터(National Center for Complementary and Integrative Health, NCCIH)로 명칭을 변경하여 보완대체요법의 효과뿐만 아니라 그 안전성도 고려하는 웰니스(wellness) 지향의 건강증진과 질병예방을 강조하는 단계로 발전시켰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는 긴 역사를 통해 전통적인 민간요법(대체요법)이 다양하게 사용되어 오고는 있으나, 서양의학과 한의학이 모두 정통의학으로 인정되고 있는 의료제도의 이원화의 현실 속에서 제도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외국에서는 보완대체의학의 영역에 포함되는 한의학 분야와는 중첩되는 요법들(침술, 뜸, 약초, 추나요법 등)로 인해 제도권 밖으로 밀려나 있는 현실이다. 이에 제도권 안에서 보완대체요법사의 치료행위는 불법으로 간주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애매한 상황을 관리할 수 있는 정부 산하 관리기구 뿐 아니라 의사나 한의사와 협치 할 수 있는 자격을 갖춘 보완대체의학 전문가를 양성할 교육기관도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세계 각국의 보완대체의학(요법) 이용실태, 관리 기구, 교육기관 등 보완대체의학에 대한 전반적인 현황을 근거로 현재 우리나라 보완대체의학의 현실을 개선할 수 있는 네 가지 전략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첫째, 보완대체의학(요법) 전반에 대한 관리(일반인, 의료인, 보완대체요법전문가에게 정보제공) 및 지원(센터, 보완대체의학연구소 설치)을 위해 보건복지부 산하 한국형 NCCIH가 설치되어야 한다. 둘째, 선별된 보완대체의학 대학교 및 대학원 과정에 표준화된 교육과정이 달성되어야 한다. 셋째, 표준화된 정규 교육과정을 거친 보완대체의학졸업자에게 보완대체의학전문가 자격(면허)시험과 합격자 대상의 보수교육이 제공되어야 한다. 넷째, 올바른 보완대체의학 관련 정보가 일반인을 대상으로 제공될 수 있는 환경(website, SNS, application, youtube 등)이 마련되어야 한다. 위에 제시된 환경이 가까운 장래에 마련이 된다면 더 이상 제도권 의학과 보완대체의학(요법) 간의 분쟁은 발생하지 않을 것이며, 정규교육과정을 통해 양성된 보완대체의학 전문가들이 주로 예방차원의 건강관리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으로 국가의료비 부담을 줄이는데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민간요법에 대한 오랜 역사와 전통을 지닌 우리나라가 세계에서 보완대체의학 선진국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With the global trend of aging populations, disease profiles are changing.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is is the increase in the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s that are difficult to cure through modern western medicine. With such a rise in the number of chronic diseases, national health care expenditure has also increased; this has resulted in a growing interest in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CAM) worldwide. Consequently, the utilization of CAM has also increased. Particularly in the United States, the Office of Alternative Medicine(OAM) under the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was founded in 1992 for effective utilization of CAM to reduce public medical expenses; this resulted in actual reductions in health care expenditure. With its success, OAM was elevated to the National Center for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NCCAM) in 1998. Additionally, strategic plans for CAM were developed at a governmental level, which led to the cultivation of professional manpower, enabling the provision of proper information on CAM. In 2016, NCCAM was renamed the National Center for Complementary and Integrative Health(NCCIH). The center continued to lead development in focusing on wellness-oriented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considering both the effects and the safety of CAM. However, in South Korea, traditional folk medicine(or alternative medicine) has been adopted in various ways throughout the country’s long history. However, in the present circumstances of a dual medical system, in which both Western and Korean medicine are accepted and recognized as conventional, there have been difficulties in the institutional establishment of CAM. Several therapies fall under the category of CAM in foreign countries overlap with treatment methods of Korean medicine (e.g., acupuncture, moxibustion, herbal medicine, and Chuna manual therapy). Thus, official system and institutions in South Korea have turned away from CAM. Currently, within the institutional system of South Korea, treatments by CAM therapists are illegal. Additionally, there are few governmental agencies that can manage and control such ambiguous circumstances, or academic institutions that can educate and train qualified CAM experts, who can then collaborate with Western or Korean medicine doctor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propose four strategies to improve the current situation of CAM in South Korea based on CAM’s current status, such as the global status of applying CAM, supervisory agency,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the same. First, the foundation of NCCIH under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customized for South Korea is proposed for overall management(providing information to the general public, health care providers, and CAM experts) and support(operation of the center, CAM research) of CAM. Second, a standardized curriculum should be applied to selected CAM universities and graduate programs. Third, CAM expert qualification(license) examination and extension refresher course should be provided for CAM graduates who have completed the standardized curriculum. Fourth, an environment (Website, SNS, Application, YouTube channel, etc.) in which proper CAM-related information can be disseminated to the general public, should be formed. If the environment presented above can be built, conflicts between conventional institutionalized medicine and CAM will no longer exist. Moreover, CAM experts who have been educated and trained through standardized curriculums are expected to reduce the burden of national medical expenses mainly through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preventive health care programs. It is expected that South Korea, with its long history and tradition of folk medicine, can develop into a global powerhouse in CAM.

      • SUKI 대체의학 기법이 테니스 엘보 환자의 근긴장도와 통증에 미치는 영향

        변상준 남부대학교 보건경영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테니스 엘보 치료에 대한 SUKI 대체의학 기법(금속소재로 만들어진 도구로서 근육을 자극시 일반의학이나 한의학에서 사용하는 자침(IMS, acupuncture)의 종류에 비해 피부를 손상시키지 않는 도구로서 자침(IMS, acupuncture) 도구들의 문제점인 감염등의 의학적 위험성이 없으므로 임상에서 적극적으로 사용되어지면 유익함)은 대체의학 임상가들 중 일부가 통증감소 및 치유 목적 그리고 피부탄력을 유지시켜 주름이 잘 발생하지 않도록 이용되고 있는 SUKI에 대한 임상적 효과에 대하여 과학적 데이터를 활용한 연구를 목적으로 하였다.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SUKI대체의학 기법이 테니스 엘보 질환에 있어 통증과 수근관절 신전근의 비정상 근 긴장 상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통증 변화에 대하여 VAS(visual analogue scale)측정과, 근 긴장도 변화를 Myotonometer를 통하여 본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연구 대상은 2010년 10월부터 2010년 11월 까지 1개월 동안 일부지역 J 정형외과의원에 초진으로 내원해서 수근관절 신전근의 비정상적 과도한 근긴장(muscle tension)이 있으면서 테니스 엘보라는 진단을 받고 통원치료중인 외래 환자들 중에서 급성통증환자를 제외한 만성통증환자 40대 주부 1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대상자는 최근 6개월 이내에 주관절 외상과에 통증과 신전근의 딱딱함을 느낀 사람들로서, 고혈압이나 당뇨 등 다른 병리학적 증상이 없으며, 주관절 수술을 받지 않고, 특별한 약물치료를 시행하지 않은 사람들로 하였다. 대상 환자에게 1일 간격으로 5회 SUKI 대체의학 치료 후의 측정값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테니스 엘보에서 SUKI대체의학 적용이 VAS 점수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2. 테니스 엘보에서 SUKI대체의학 적용이 과 긴장된 수근 신전근의 근 긴장도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그러므로 SUKI대체의학 기법이 테니스 엘보 질환에 통증과 과 긴장된 신전근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근골격계 질환에 대한 체계적인 SUKI대체의학 기법의 연구가 앞으로 더욱더 발전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se secience data for the clinical effects about Tennis elbow using SUKI(it is made of special silver and it is much useful for the clinical methods without inflammation for the patients. but other instruments for example acupuncture and IMS etc. which are will be occurs some kind of sideffects and problems) which are prevent skinfold by maintain to skin flexibility and aim for therapy and pain reduce by alternative specialists. The study is to know about the VAS measurement for the change of pain and due to know the change of muscle tension by Myotonometer. It is what kind of effects for pain and abnormal tension of extensorcarpiradialis to the Tennis elbow by SUKI alternative medicine techniques. Experiment peoples was selected 10 persons with chronic pain patients of 40years housewifes except for acutepain patient among output patients with Tennis elbow. its research period is during October to November(1mths) on 2010 which located J Orthopadic surgery hospital in some area, They came to hospital for the first time and who has abnormal heavy muscle tension of carpal joint extensors. Experiment peopleswho feels have pain on lateral epicondyle of elbow joint and hardness on extensors in recent 6mths, There are no hypertension or diabetes mellitus etc. any other pathologic symptoms, no operation of elbow joint, and no medicine treatment. The following results like this that is treatment 5times each day after SUKI alternative medicine techniques for patients. Therefore,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 that SUKI alternative medicine techniques effects for the pain and radialis ms with extra tension. The conclusion is that more systematic research is necessary and to be developing for SUKI alternative medicine techniques about the musculoskeletal diseases.

      • 동의학에서 어혈(瘀血) 치방(治方)의 자연치유적 활용

        허동수 선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전통의학에서 어혈(瘀血)에 대한 역대 의가설(醫家說)과 치방(治方) 등 문헌 고찰과 현대의학에서 보고 있는 혈전(血栓)에 대한 연구 동향을 살펴서 이에 대한 명확한 개념 정리와 어혈・혈전에 대한 자연치유적 측면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서 아래의 주제를 가지고 연구를 진행한다. 첫째, 『황제내경(黃帝內經)』, 『동의보감(東醫寶鑑)』 등 전통의학적 관점에서의 어혈에 대한 개념 및 정의와 역대 의가설과 현대의학적 관점에서의 혈전에 대한 개념 및 혈전의 원인 등을 고찰한다. 둘째, 전통의학에서의 어혈에 대한 일반적인 치방과 우리 한민족 고유의 독창적인 침법인 사암도인(舍巖道人)의 鍼法(침법) 중 『사암침구요결(舍巖鍼灸要訣)』 제41장 혈증문(血證門)의 사암어혈방(舍巖瘀血方)을 살펴보고, 현대의학적 관점에서의 혈전용해(血栓溶解)에 대하여 고찰한다. 셋째, 전통의학과 현대의학적 관점에서의 어혈・혈전에 대한 국내・외 연구 동향과 사암침 어혈방에 대한 의과학적 근거와 이를 활용한 어혈의 발생 및 용해(溶解)의 기전(機轉)을 살펴보고 현대 사회의 치유 현장에서 자연치유 요법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어혈・혈전의 개념, 발생 원인과 발병기전(發病機轉) 및 치병(治病) 등을 문헌적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어혈・혈전증이 동서의학적으로 어떤 질환의 범주에 속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한국과 중국 등 외국의 어혈・혈전 관련 자료와 과학저널 등에서 발표된 어혈・혈전 관련 고전(古傳) 및 현대의 학술지 논문과 학위논문 70여편, 『황제내경(黃帝內經)』, 『동의보감(東醫寶鑑)』, 『상한론(傷寒論)』 등의 전문 서적 30권, 관련 강의 자료 62건 등을 중심으로 분석・정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어혈”에 대한 용어가 “어혈”, “혈전”, “혈어(血瘀)” 등으로 혼재되어 있고 이에 대한 개념과 진단 기준 등이 명확히 정립되어 있지 않다. 또한 전통 문헌에서 나오는 자료들을 이해하는 데에도 난해한 점이 많은 관계로 어려움이 있으며, 현대의학적인 자료 등에도 여러 의견이 대두되고 있어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우리 인간이 건강하기 위해서는 질병의 치료보다 예방 즉, 양생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 어혈과 혈전에 관한 많은 문헌·학술지와 외국의 연구 등을 살펴보면 이에 대한 이론과 치병에 대한 내용들은 많으나 예방 대책으로서의 양생법에 대하여는 명확히 제시한 자료를 찾을 수가 없다. 우리 고유의 전통의술인 사암침법과 자석을 응용하여 사암자기침자요법을 활용한 어혈과 혈전을 예방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에 대하여 의과학적인 설명과 근거를 제시하였다. 또한 일반인들도 일상생활 속에서 어혈과 혈전에 대한 예방 차원의 양생법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여 선행연구들과의 차별성을 가진다. 현대의학에서 혈전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그 어느 때 보다도 중요한 이슈로 자리 매김하고 있다. 현대 산업사회하에서 건강을 위한 가장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가 피, 혈액이라고 한다. 이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제언한다. 첫째, 현재 혼재되어 있는 어혈에 대한 명확한 개념 정립과 기본적인 진단 기술 확립 및 관련 유관 질환에 대한 재정립이 필요하다. 둘째, 어혈의 병리적 특성을 동서의학의 융합으로 재해석하여 기본적인 진단을 할 수 있는 과학적인 기기 개발과 체계적인 질병 관리가 필요하다. 셋째, 무엇보다 질병을 예방하기 위한 양생법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과 제도적인 뒷받침이 절실히 요망된다. 넷째, 기존의 양생법과 함께 우리 고유의 전통 의술인 사암침법과 자석을 활용한 사암자기침자요법에 대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임상 시스템을 제도적으로 지원하여, 일상에서 누구나 활용할 수 있는 양생법을 마련할 것을 제언한다. 이에 본 논문이 이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희망한다.

      • 應急醫學科 醫師의 尹理 綱領 開發에 關한 硏究

        차지훈 인제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목적: 응급의학과 의사는 늘 응급환자와 생명이 위중한 환자를 진료해야 하므로 다른 어떤 과보다도 높은 수준의 직업의식을 가지고 환자의 치료에 임해야 한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현재 그러한 직업의식을 대변해 줄 윤리강령이나 지침이 전무한 상태이다. 이에 우리나라의 실정에 적절하고 임상에 쓰일 수 있는 응급의료 윤리강령의 개발을 위해 본 논문을 시작하게 되었다. 방법: 문헌고찰 및 외국의 응급의료 윤리강령과 윤리 사례를 분석한 기술적 연구방식을 이용하였다. 결과: 응급의료 및 응급의학의 특징으로 의사의 빠른 판단 능력의 필요성, 의사-환자 관계의 다양성, 팀워크, 병원에 대한 대표성, 응급실 환자 전체에 대한 진료, 응급의학과 의사의 높은 근무 스트레스, 사회적 요구에의 부응 등이 검토되었다. 그리고 응급의료 윤리 규약 제정의 필요성으로 제안된 것으로 빈약한 응급의료 전달체계, 직업전문주의, 조직윤리의 대두, 병원 윤리위원회 기능의 미비 등이 있다. 마지막으로 응급의학과 의사의 윤리강령의 초안으로서 10개의 항목을 제시하였으며 여기에서는 대한의사협회의 윤리 강령의 내용에서 응급의료의 특수성을 가미하였고 외국의 응급의료 윤리 강령의 내용을 적절히 참조하였다. 응급의료의 특수성이 가미된 내용으로는 응급환자에 대한 민첩성, 신중성, 그리고 환자의 의사결정능력에 대한 고려, 응급의료와 관련된 모든 보건의료인과의 협조적 관계의 중요성 강조, 응급의료에서의 리더십, 응급의료 전달체계의 개선을 위한 노력, 의학적, 윤리적 오류를 범하는 동료 보건의료인에 대한 적절한 대처 등이다. 앞으로 응급의학과 의사의 윤리 강령 및 지침의 개발을 위한 계속된 연구와 학회 차원에서의 체계적인 토의도 뒤따라야 할 것이다. 응급의료 윤리강령을 제정하고 보급, 실천하는 것은 한국의 응급의료 수준을 높이고 응급의학과의 위상을 높이는 데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 결론: 여러 문헌 검토와 외국의 윤리강령의 사례 및 응급의료 윤리의 사례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응급의학과 의사의 윤리강령에 대한 초안을 제시하였다. Objectives: Most emergency physicians have a difficult time making decisions which have ethical implications in an emergency department. Therefore, education for emergency physicians concerning ethical decision making should be done in their residency. However, in the meantime, there is little trial to develop an ethical code or principles for emergency physicians or residents. In this study, I will attempt to establish an ethical code for emergency physicians in Korea. Methods: Descriptive study by literary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other countries’ ethical guidelines for emergency physicians Results: First, I showed the peculiarity of emergency practice and emergency medicine, and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n ethical code,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the Korean emergency medical system. Then I closely examined the codes of ethics of an American college of emergency medicine, a society for academic emergency medicine and an emergency medicine resident’s association. Lastly, I suggested a code of ethics for emergency physicians. In this proposal, I emphasized that emergency physicians should possess leadership skills among other health care providers, stand for patients and support social effort to improve the emergency medical system. I trust that this ethical code can be used in clinical practice and will be helpful to many emergency physicians in Korea. Conclusions: By literary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other countries’ ethical guidelines of emergency physicians, I proposed an ethical code of conduct for emergency physicians in Korea.

      • 한국 산업의학과 의사의 직업윤리인식

        김민 인제대학교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Abstract Perception on ethical issues of occupational physicians in Korea Min Kim (Director: Prof. Jong Tae Lee) Department of Medicine Graduate School, Inje University Objectives: In medical fields, ethical conflicts are very important part. Many doctors encounter these problems every day. So many countries make an effort to resolve it. As a part of these effort, many countries have established ethical codes for medical physicians.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have a distinct character in comparison with other medicine. So its ethical conflicts have different characters. This study investigates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al doctors' ethical perception in Korea. Methods: To understand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al doctors' ethical perception in Korea, I us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is consist of three parts. In first part, I questioned about general ethical perception. In second part, I questioned about favorable ethical codes between 10 ethical codes. In final part, I questioned about four cases relation with practical ethical conflicts. To analysis this survey, I distinguished residents and specialists. Also to compare specialists, I distinguished work period, work place, their assignments. To statistical analysis, I used χ²-test and Fisher exact test by using SPSS 17K version. Results: In this study, I found that many Korean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al doctors have ethical conflicts. The questions about ethical conflicts in works and necessity of ethical education distinguish between residents and specialists. In these two questions, specialists prefered to negative trend. The opinions of specialists are distinguished from work period. Conclusions: In Korea, many doctors have ethical conflicts. To resolve these problems, they want to train in education of ethics. And they want to have ethical codes. The most important ethical codes are neutrality, consideration of worker's safety and health, expertise, independence as doctor. Key words: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ethical perception, ethical code, ethics 국문초록 한국 산업의학과 의사의 직업윤리인식 인제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김 민 (지도교수 :이 종 태) 연구목적: 의학의 전문분과로서의 산업의학은 다른 의료분야와는 또 다른 차원의 윤리적 갈등이 존재하고 있다. 이는 산업의학이 의사와 환자라는 전통적인 의료 환경 아래에서의 관계뿐 만 아니라 의사, 근로자, 사업주, 정부 등의 다양한 사회집단들과의 관계까지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다양한 사회집단이 맞물려있는 산업의학에서 발생하는 윤리문제 또한 의학의 다른 분야와는 구별되는 특징을 가진다. 서구 사회에서는 일찍이 이러한 윤리적 갈등상황에 대해서 연구하고 산업의학 전문가를 위한 다양한 윤리헌장의 제정을 통하여 이러한 갈등상황을 해결하기위해 노력해왔다. 지난 세기동안 한국은 급속한 경제성장의 과정에서 산업의학도 시대의 요구에 맞추어 발전을 해왔음에도 불구하고 산업의학의 윤리문제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었다. 또한 우리나라 산업의학과 의사를 위한 의사윤리헌장의 제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산업의학과 의사의 윤리문제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고, 이를 통해 산업의학과 의사윤리강령 제정의 필요성을 제안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연구방법: 2009년 기준 대한산업의학회 주소록에 등록된 회원 414명(전문의 341명, 전공의 73명) 전체를 대상으로 우편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2009년 12월 1일부터 설문지를 발송하여 2009년 12월 31일까지 회신된 설문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는 산업의학과 의사의 직업윤리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산업의학과 직무수행 중의 직업윤리 문제에 대해 4가지 질문을 하였고, 세계 각국에 다양하게 존재하고 있는 산업의학 관련 윤리헌장과 선언에 대해 어느 정도 알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질문을 하였다. 산업의학과 직무 수행 중에 윤리문제가 빈발하는 분야와 윤리적 갈등 대상에 대해서도 질문하였다. 다음으로 산업보건국제위원회, 미국산업환경의학회, 영국산업의학회, 미국산업위생사협회의 윤리헌장을 비교하여 이들이 공통적으로 지적한 윤리항목 10가지를 선정하여 한국 산업의학과 의사들이 가장 중요시하는 윤리항목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산업의학 업무수행 중에 발생할 수 있는 가상적인 상황을 만들어서 실제 직무 수행 중에 윤리문제에 부딪혔을 때 산업의학과 의사들의 대응 방식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조사대상은 전공의군과 전문의군을 나누어 분석하였고, 전문의들 사이에 비교를 위하여 대학과 산업의학 관련 연구기관 의사군과 종합병원과 개인의원 의사군을 비교하였으며, 건강검진, 보건대행, 기업체 보건의 의사 군과 예방의학, 개업의, 연구기관 의사군을 나누어 비교하였다. 또한 근무연한에 따른 차이를 보기위해 10년 이하 근무군과 10년 초과 근무군을 비교하였다. 빈도분석을 통해 각각의 응답에 대한 비율을 구하였고, 평균비교 및 카이제곱검정을 이용하여 각각의 그룹간의 응답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산업의학분야 전문의와 전공의 41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설문에 응답한 전문의는 66명, 전공의는 44명으로 응답률은 전문의가 19.1%, 전공의가 60.3%로 전체 26.3%였다. 이중에 설문응답이 부적절한 3부의 설문지를 분석에서 제외하여 최종 107부의 설문지로 분석을 하였다. 전체 응답자의 평균연령은 42.03세였으며, 남자가 89명(83.2%), 여자가 18명(16.8%)를 차지하였다. 이들 중 전문의는 63명, 전공의는 44명이었다. 일반적인 윤리인식에 대한 질문에서 전공의와 전문의 간에 업무 중 윤리적 문제로 고민여부(p=0.044)와 윤리교육의 필요성(p=0.000)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전문의들은 근무연한에 따라 윤리교육의 필요성(p=0.047)과 다른 임상과 보다 높은 윤리의식이 필요하다(p=0.018)는 질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윤리헌장의 인지여부에 대해서는 전공의와 전문의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02), 전문의들 간에는 근무 장소에 따라 유의한 차이(p=0.04)를 보였다. 윤리문제로 가장 고민하는 분야는 근로자 특수건강 진단이었으며(47.7%), 윤리적 갈등의 대상은 근로자가 가장 많았다(54.2%). 복막투석환자의 오지출장근무 요청사례에서는 부서전환을 통해 업무를 수행토록 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흡연자의 석면노출 작업장 근무 사례에서는 응답자의 64.5%가 금연 후 취업허용이 가장 많았다. 업무상 알게 된 비밀의 노출사례에서는 당국에 즉시 고발을 한다가 가장 많은 의견을 보였다. 업무적합성평가의 윤리적 정당성사례에서는 응답자의 43%가 의학 고유의 활동이라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결 론: 우리나라 산업의학과 의사들은 업무수행 중에 높은 직업윤리적 갈등상황을 경험하고 있으며, 체계적인 윤리교육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다. 의사들이 업무수행중의 직업윤리적 갈등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산업의학과 전문가 윤리헌장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의사들은 업무수행중의 중립성, 산업의학과 전문의로서의 전문성 확보, 근로자의 건강과 안전에 대한 고려, 전문가적 독립성의 유지 등의 덕목을 중요한 직업윤리덕목으로 생각하고 있으므로 향후 윤리문제 연구 시 이러한 덕목에 대한 연구가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중심단어: 산업의학, 직업윤리인식, 윤리헌장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