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韓·美 高等音樂敎育의 現況 : 교육제도에 대한 비교·분석 및 제안

        우은주 建國大學校 敎育大學院 1997 국내석사

        RANK : 249855

        1. 교육제도의 바람직한 교육과정에 대한 시안 및 대책 1) 바람직한 교육 개편의 방향 우리나라 음악교육의 전체적민 시각에서 보면 연주행위가 음악의 전부일 수는 없는데 많은 사람들이 연주, 또는 음악으로 생각하여 연주교육의 문제만 해결하면 음악계의 둔제는 다 해결 되리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편협한 시각에서 벗어나 우리 음악계에는 세계적인 연주가 발굴에 앞서서 음악의 학문적 연구의 필요성을 대학교육 과정에서 새롭게 인식시키는 일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러기 위해서는 앞에서도 살펴 보았듯이 연주자를 희망하는 학생, 학자가 되기를 원하는 학생, 교사가 되고자 하는 학생 모두를 섞어 놓고 특징없이 교육시키는 예를 우리 사회 통념에서 하루 속히 버리고 특정한 교육기관을 만드는 것이 매우 시급한 일이라 생각한다. 음악학자가 되기를 원하는 학생에게는 음악전반에 걸친 깊이 있고 전문적인 내용의 교육을 받게하고, 교사가 되기를 원하는 학생에게는 선생으로서 갖추어야 할 다양한 교육과정을 제공하며, 연주자가 되기를 원하는 학생에게는 실기 능력을 중점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과정이 마련되고 각 인력의 특징에 맞는 교육의 분화 및 전문화가 요청된다. 이렇게 음악교육이 세분화 된다면 지금처럼 훌륭한 학자나 교육자가 되고 싶은 사람이 실기 때문에 고민 하지 않아도 될 것이며 진짜 연주가가 되고자 하는 학생들만 연주자의 길을 걷는 풍토가 조성되리라고 본다. 그러나 위와 같은 윤리가 아무리 좋은 결과를 낳더라도 음악에 대한 서로 다른 생각을 하고 있다면 바람직한 음악문화에 큰 장애요소가 될 것이다. 음악은 각 분야간에 연계성이 중요한 학문이므로 서로의 문제를 절충시켜야 할 것도 큰 과제라 하겠다. 이에 음악원, 음악대학, 음악과에 맞추어 다음의 예를 들어본다. (1) 음악원 음악원이란 음악교욱기관은 전문실기를 위한 기관이다. 우리나라는 아직까진 시작 단계이나 학생스스로나 교수들의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과거 우리나라 음악교육기관이 음악원 체제를 지나지 못한 이유들 중의 하나는 대부분의 음악교육제도가 학력인정을 받기 위해 음악대학으로 승격되었기 때문이다. 현 상황에서도 이 문제는 중요하다. 기존의 음악원의 자격증이 대학의 학력에 밀려 다시한번 우리에게 주어진 좋은 기회를 놓쳐서는 안 될 것이다. 또 중요한 것은 국가적 차원의 뒷받침이 필요하다. 음악원은 전문 음악인 양성을 목적으로 하여 나이와 상관없이 능력 중심의 개별 성장에 개념을 둔 교육과정이므로, 장기교육을 받을 수 있게 국가적 차원에서 국민학교부터 대학 수준에 이르기까지의 전 과정을 연계시켜야 한다. 미국이나 유럽, 일본의 대부분의 음악원 과정은 영재 교육부터 그 과정을 두고 있다. 현재 대학 음악교육기관을 개개인의 역량과 여건에 따라 차둥적인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하지만 이러한 막대한 예산과 노력을 들여 만들것이 아니라 시설면이나 교수확보면에서 어느정도 갖추어진 음악 대학을 활용하여 운영하는 것이 오히려 미래 지향적인 장점을 다지고 있으리라 본다. 즉 음악대학 제도가 서로의 단점을 보완해주며 같이 존재하는 학제가 필요하다고 본다. 물른 교육과정의 성격은 본질적으로 서로 다른 것을 허용하는 제도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2) 음악대학 우리나라는 대부분의 음악교육기관이 '음악대학'의 체제를 지니고 있다. 음악대학 체제는 각각 분야의 '전문인력을 구분하여 양성한다',기보다는 종합적으로 양성하는 다목적 전문적 전문 교육 형태를 띠고 있다. 앞에서 미국의 교육기관과 비교하면서도 알 수 있듯이 우리나라 실정에선 음악원, 음악대학, 음악과를 선택할 만큼의 다양한 폭이 적다. 이상과 같은 음악대학의 단점을 보완하고 새로운 아이디어가 숨쉬게 하기 위해서는 음악교육과의 질적이고 획기적인 개혁이 사회, 학생, 교수모두 필요시 된다. 먼저는 학업 연안을 분할하여 2년 정도씩의 기본과정을 두어 이 과정을 마친 학생들의 의사에따라 새로운 교육과정으로 나누어 활발하고 세밀한 교육으로 나눈다. 또한 전공실기를 중점으로 하는 학생, 음악교육을 희망하는 학생, 음악학을 즘 더 체계적으로 연구하고자 하는 학생으로 나뉘어 이에 따라 나머지 학업 연안과 다양하게 교과과정을 개편해야 한다. 그 방법을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① 이론 위주 교육 - 음악학과·서양음악 이론 전공 ·국악이론 전공 ② 교사양성 교육 - 음악교육과 ·유아교육전공 ·초등교육전공 ·중등교육전공 ·고등교육전공 ③ 실기위주교육 - 기악과·건반악기 전공 ·현, 관, 타악기 전공 ·국악기 전공 성악·서 양음악전공 ·국악전공 작곡과·서양음악작곡전공 ·국악작곡전공 ·실용음악작곡전공 ·지휘전공 위와 같은 체제로 제도 개선을 한다면 음악대학은 음악에 관련된 모든 것을 포괄적으로 다루게 되어 음악인력을 고루 배출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음악이라면 우린 서양음악만을 떠올리고 우리의 전통국악을 뒷전으로 하는 경향이 있다. 앞에 제시한 체제의 특징은 바로 이런 양악, 국악의 양분화를 보다 포괄적인 시각으로 묶어서 보았다. 둘째는 교육과정을 대학의 자율에 맡기어 모든 영역별을 가장 효과적이고 전문적으로 교육 하도록 해야한다. 현채 교육과정은 교양, 전공실기, 전공 등의 학점 배분으로 되어 있어 각 전공이 원하는 교육을 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와같은 문제를 인식하고 바람직한 방향으로 개선하기 위해 3가지를 나누어 제안 해 본다. ① 실기 위주 교육은 교수와 학생이 연합하여 하나의 완성된 작품을 창조해 내는 이러한 교육을 즘 더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여러 가지 여건 조성이 요구된다. 한학기에 2학점에 불과한 전공실기 배점시간을 몇 배 더 늘이고 실기 향상에 도움을 주는 체계적 교육내용이 이룩될 때 흘릉한 연주가를 기를 수 있을 것이다. ② 실기 위주 교육에 밀려 우리 사회에서 인식되지 못했던 이론 위주 학과의 교육과정을 본다 즘 더 폭 넓게 교육과정을 이룩하기 위해서 종합대학의 장점을 이용하여 다른 타 대학의 전공 영역과 합동 설치하여 음악을 학문으로 정립시키는데 주도적 역할을 담당할 음악학자를 비롯하여 음악정책을 체계적으로 논할 수 있는 음악 상담가, 행정가, 요법사(치료사)등 사회 요소로 요구되는 음악인을 많이 길러내록 제도적 됫받침이 되어야 한다. ③ 음악 교사가 되기 위한 교육학과의 교직과목을 보면 거의 교육 학과의 일방적인 주관하에 이루어 지기 때문에 음악 교사가 되는데 주는 도움은 극히 적다. 교직과목 중 교육행정, 교육철학과 같은 교과목은 교사의 의식과 사명 정립에는 도움을 주겠지만 음악교육에 대한 구체적인 접근에는 미흡하다고 본다. 이렇게 교육과정의 문제점이 개선될 때 우리사회의 요구를 충족시켜 줄 뿐 아니라 우리의 음악 문화도 더 나은 방향으로 발전해 가리라 생각한다.

      •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문영화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86 국내석사

        RANK : 249855

        우리나라 大學院 敎育制度는 一般大學院이 53年부터, 特殊大學院이 60年代初부터 設立되어 오늘에 이르면서 敎育 內的 및 外的으로 많은 變遷과 發展을 거듭하여 왔다. 그러나 現 時點을 基準한다면 아직도 是正되어야 할 많은 問題點들이 內在해 있음을 直視한다. 本 硏究에서는 이러한 많은 問題點 중에서도 指導的 資質을 갖춘 敎育專門家의 育成을 目的으로 하고 있는 敎育大學院 音樂敎育에 있어서 時急하게 해결해야 할 많은 問題點들이 있어 差眼한 것이다. 그 중에서도 모든 音樂行爲의 根本이 되며 밑바탕이 되는 것이 音樂敎育課程이라고 생각되어 그 問題點을 파악하고 새로운 音樂敎育專攻의 敎育課程을 試案 作成하기 위해서 現行 우리나라 敎育大學院 音樂敎育專攻의 敎育課程을 전부 收集해서 分析하고 美國의 석사과정 中 音樂敎育專攻을 開設하고 있는 유명대학원 7개교를 先定하여 比較 分析하였으며 또한 敎育大學院 在學生을 中心으로 그들의 意識構造 및 音樂敎育 課程에 關한 意見調査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問題點을 發見하게 되었다. 1. 現 敎育大學院에서 施行하고 있는 音樂敎育課程은 均衡性을 喪失한 一慣性이 없는 學科 設定으로 만들어져 있다. 특히 학교별로 開設 科目數 및 配當學點의 격차가 甚하게 나타났다. 2. 音樂敎育專攻인데도 敎育目的에 부적합한 學科目을 設定하고 있는 事例가 있다. 3. 사실상 選擇科目이 있으나 學生의 自由意志에 따른 學科選定을 하지 않고 학교당국의 一方的인 計劃에 의하여 敎育이 施行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4. 美國에 比해 實技敎育이 거의 이루어 지지 않고 있으며 現場硏究(敎育實習)를 通한 실제적인 敎育活動은 전혀 經驗할 수 없다. 그러나 質問紙 調査에 依하면 대부분의 學生이 專攻 및 副專攻實技 敎育과 現場硏究의 重要性을 대단히 必要로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위와 같은 理由에서 훌륭한 素養과 指導的 資質을 갖춘 音樂 敎育 專門人을 輩出하기란 어렵게 되어 있다. 이러한 結果로 다음과 같은 結論을 얻었다. 1. 敎育大學院 音樂敎育專攻의 敎育課程은 師範大學과 상호 연계성을 찾아 效果的인 學習이 이루어져야 하고 2. 音樂敎育의 指導者로서 중요한 使命感과 矜持를 길러 주어야 하며 3. 美國의 敎育課程처럼 音樂敎育目標를 이룰 수 있는 體係的인 敎育이 이루어짐으로써 4. 맹목적으로 대학원 體制만을 따르려함으로 빚어지는 모순을 改善하여 音樂敎育의 特殊性이 反映된 새로운 敎育課程을 導入해야 한다.(本 硏究에서는 <表-28>에서 새로운 음악교육전공의 敎育課程 試案을 作成해 보았다.) 끝으로 本 硏究의 試案이 처음으로 試圖된 것임으로 앞으로 좀 더 具體的으로 硏究되어 보다 나은 우리나라 敎育大學院 音樂敎育의 發展을 期待해 본다. A curriculum of the graduate school has been in our country from 1953. Especially, professional graduate school was established in the early 1960's and its many improvements and modification are had made of a course of study in intrinsic as well as in extrinsic educational program on graduate school. However, it contains many problems to reform on educational program at present. In my study, I propose many problems to be solved in music education department 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analysis a curriculum of music education department of my country in comparison with it of America to suggest many problems to be settled amicably in a curriculum of music education department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addition to them, I investigate a consciousness and a view-point of graduate student of education on a curriculum of music education department. According to the above investigation, I obtained the below results. 1. A curriculum of music education department 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hould be achieved by effective study to find a functional connection with the college of education. 2. As a leader of music education, a graduate student should have a mission and a pride on the educational program. 3. A systematical education should be completely given to obtain a purpose of the music education like a curriculum of America. 4. A new curriculum to which a speciality of music education is given life should be introduced to improve a contradiction which appears only to be followed a structure of the graduate school.

      • 음악학습·음악연주 자기효능감, 직업선택 의지가 대학원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서유진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855

        This research examines self-efficacy for musical learning, self-efficacy for musical performing, and intention to pursue a career as a musician or music teacher and investigate how these three factors influence on career maturity of master's degree students who majored in music or music education. Also, the differences in these three factors between music and music education major students were investigated by t-test. A total of 129 music(n=53) and music education(n=76) students completed a online survey. The measures of self-efficacy for musical learning and performing are from Ritchie & Williamon(2010). And the measure of career maturity is from Lee & Han(1997) who explained career maturity with five sub-factors: decisiveness, aim, certainty, preparedness, and independency. As a result of analysis by SPSS Statistics 29.0, several points imply certain results and implications. First,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efficacy for musical learning and performing between music and music education major students. Second,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areer maturity between music and music education students. Bu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ndependency, where music education students’ is lower than music student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independency suggests that students have different attitudes toward their careers depending on the major they select. Music education major students are more likely to exhibit a tendency to be influenced by their parents and circumstance. In terms of field-dependence-independence, individuals who are field-dependent may face difficulties in articulating their vocational interests(Witkin, 1973), The comparatively lower score in independency among music education students could have an impact on their satisfaction as music teachers. Therefore, it is important for music education major students to strengthen their independency. In addition, among career maturity sub-factors, music major students scored the lowest in convincing, while music education major students scored the lowest in aim. The lowest score in convincing among music major students suggests that, despite being enrolled in master's degree courses, they lack a certain belief in their potential success as professional musicians. And the lowest score in aim among music education major students suggest that, even though they have made a firm decision to become music teacher, it implies that they are not clear about what they aim to achieve through the profession. Third, self-efficacy for musical learning have a positive effect on career maturity, especially preparedness and independency. Self-efficacy for musical performing have a positive effect on career maturity, especially convincing. These results indicate that lower score in independency among music education major students can be improved through self-efficacy for musical learning. Furthermore, enhancing self-efficacy for musical performing can help improve the lowest score in convincing among music major students. It is important to enhance self-efficacy for musical performing as the lack of it can be lead to stage anxiety(Ritchie & Williamon, 2010). Fifth, intention to pursue a career as a musician or music teacher does not directly impact overall career maturity score, but rather specific sub-factors. Intention to pursue a musician have impact on aim, independency, while intention to pursue a music teacher have impact on decisivenes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ndividuals with a higher intention to pursue a career as a musician demonstrate a clearer and more independent pursuit of specific aspects such as self-developmen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rough their profession. Similarly, those with a stronger intention to become music teachers exhibit a firm determination and resolve to pursue a career as a music teacher. In conclusion, in order to enhance career maturity, it is important to strengthen self-efficacy for musical performing and learning. Specifically, music major students should focus on enhancing self-efficacy for musical performing, particularly in terms of convincing, while music education students should focus on enhancing self-efficacy for musical learning in terms of independency. 본 연구는 일반대학원 음악전공,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대학원생의 음악학습 자기효능감, 음악연주 자기효능감, 직업선택 의지를 파악한 후, 이러한 요인들이 진로성숙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고자 시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Likert 7점 척도로 구성된 온라인 설문을 배포한 결과, 53명의 음악전공, 76명의 음악교육전공, 총 129명의 연구대상이 모집되었다. 음악학습 자기효능감과 음악연주 자기효능감 문항은 Ritchie & Williamon(2010)이 개발한 척도를 번안하여 사용하였으며, 진로성숙도는 이기학, 한종철(1997)이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전공 대학원생과 음악교육전공 대학원생의 음악학습 자기효능감은 모두 ‘높음’으로 나타났으며, 음악연주 자기효능감은 모두 ‘보통’ 수준을 보였다. 음악전공 대학원생의 음악학습 자기효능감은 평균 5.74(SD=.67)점, 음악연주 자기효능감은 평균 5.40(SD=.86)점이었으며, 음악교육전공 대학원생의 음악학습 자기효능감은 평균 5.66(SD=.82)점, 음악연주 자기효능감은 평균 5.30(SD=.98)점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음악학습 자기효능감과 음악연주 자기효능감은 전공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음악전공 대학원생과 음악교육전공 대학원생의 진로성숙도는 모두 ‘보통’ 수준으로 전공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진로성숙도의 하위요인에서는 차이가 있었다. 특히 진로성숙도 하위요인 중 독립성은 음악교육전공이 음악전공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음악전공과 음악교육전공을 비교했을 때, 음악교육전공 대학원생의 독립성이 유의하게 낮은 것은 이들이 상대적으로 부모나 주변의 영향에 의하여 진로를 선택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의존적 인지경향을 가진 사람은 독립적 인지경향을 가진 사람보다 불분명한 직업적 흥미를 보여준다는 것을 고려한다면(Witkin, 1973), 낮은 독립성은 후일 교직 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음악교육전공 대학원생의 독립성을 증진시킬 필요가 있다. 한편 음악전공의 경우 진로성숙도 하위요인 중 확신성이 평균 4.54점, 음악교육전공의 경우 목적성이 평균 4.55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음악전공 대학원생의 진로성숙도 하위요인 중 확신성이 가장 낮게 나타난 것은 대학원 석사과정에 진학했음에도 불구하고, 전문음악가로서 성공할 수 있는지에 대한 믿음이 부족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음악교육전공 대학원생의 진로성숙도 하위요인 중 목적성이 가장 낮게 나타난 것은 설령 음악교사가 되겠다는 확고한 결정을 했을지라도, 직업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추구하는 것이 무엇인지 명확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음악학습 자기효능감과 음악연주 자기효능감은 진로성숙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진로성숙도의 하위요인별로도 부분적으로 유의하였다. 음악학습 자기효능감은 진로성숙도 하위요인 중 준비성과 독립성에 영향을 미쳤으며, 음악연주 자기효능감은 진로성숙도 하위요인 중 확신성에 영향을 주었다. 위와 같은 결과는 음악교육전공의 상대적으로 낮은 독립성이 음악학습 자기효능감을 통하여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진로성숙도 하위요인 중 확신성이 가장 낮게 나타났던 음악전공 대학원생은 음악연주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는 음악전공 대학원생의 확신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뿐만 아니라, 음악연주 자기효능감의 결여는 무대 불안과 같은 어려움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Ritchie & Williamon, 2010)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전문음악가로서의 직업선택 의지와 중등음악교사로서의 직업선택 의지는 모두 전체 진로성숙도 점수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하지만 전문음악가로서의 직업선택 의지는 진로성숙도 하위요인 중 목적성과 독립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중등음악교사로서의 직업선택 의지는 진로성숙도 하위요인 중 결정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전문음악가로서의 직업선택 의지가 높은 사람일수록 직업을 통한 자기계발, 대인관계 등과 같이 직업을 통해 구체적으로 추구하고자 하는 바가 명확하며, 직업선택에 있어서 독립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중등음악교사로서의 직업선택 의지가 높은 사람일수록, 중등음악교사가 되고자 하는 확고한 결정과 의지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실제 전문음악가 혹은 중등음악교사로서 직업을 선택할 때 자신과 직업 환경을 이해하고 결정하기 위한 진로성숙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음악학습 자기효능감, 음악연주 자기효능감을 높여야 한다. 특히 음악전공 대학원생은 확신성 측면에서 음악연주 자기효능감을, 음악교육전공 대학원생은 독립성 측면에서 음악학습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킬 필요가 있다.

      • 실용음악전공생의 교육대학원 경험과 진로탐색에 대한 연구

        이상원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855

        본 연구는 교육대학원을 졸업한 실용음악전공생의 교육대학원에서의 경험과 진로탐색 과정이 그들의 전공 및 진로에 대한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대학원을 졸업한 실용음악전공생 6인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고, 질문지를 제작하여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연구 문제에 따라 분석하고, 네 가지 주제로 정리하여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교육대학원 진학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몇 가지의 어려움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진학에 대한 정보 부족, 실용음악전공자에 대한 편견, 교육대학원의 지원서 거절 등으로 인한 것이었다. 이에 실용음악전공생들이 교육대학원을 진학하기 위해 필요한 지원 자격에 대해 명확한 기준과 방안을 논의해야 할 것이다. 둘째, 참여자들은 음악교육 분야에서 실용음악전공자에 대한 일부 편견이 있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그들은 교육대학원 진학 과정, 교생 실습 등에서 실용음악전공자로서 차별을 느낀 경험이 있었으며, 이에 실용음악전공자가 음악교육전공으로 동등하게 받아들여질 수 있는 사회적, 문화적 시각이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의 창의적이고, 유연한 음악적 가치관은 그들의 교육대학원 경험과 진로탐색 과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음악교육의 현장에서는 학생들에게 흥미로운 음악 수업을 제공하였으며, 이러한 경험이 자신의 전공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게 되는 계기로 이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학교 음악교육에서는 실용음악 및 대중음악에 대한 수요가 충분하기 때문에 이러한 요구를 채우고, 관련 수업의 질을 높이기 위해 실용음악전공 음악 교사의 역할에 대해 논의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교육대학원 내 음악교육전공생들의 진로와 전공에 대한 관련 자료들이 확충되기를 바란다. 또한, 시대에 맞추어 변화하는 음악교육 현장의 수요에 따라, 실용음악을 전공한 교사의 역할과 필요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이를 통해 관련 음악 수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he experience and career exploration process of practical music majors who graduated from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o this end, six practical music majors who graduated from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questionnaires were produced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earch problem, and the results were derived by organizing them into four top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study participants experienced several difficulties in preparing to enter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ence, it is necessary to discuss clear standards and measures for the qualifications of practical music students to apply for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participants felt that there were some prejudices toward practical music majors in the field of music education. In fact, they have experienced discrimination as practical music majors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o it is necessary social and cultural perspectives that practical music majors can be equally accepted as music education majors should be improved. Third, it was found that the creative and flexible musical values of the study participant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graduate school experience and career exploration process. It was found that this experience led to a positive recognition of one's major. Fourth, since the demand for practical music and popular music is sufficient in school music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meet these demands and discuss the role of music teachers majoring in practical music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related classes. Through these results, the author hope that related data on the career and major of music education majors in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will be expanded.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e role and needs of teachers majoring in practical music will be discussed according to the demand of the music education field changing according to the times, thereby laying the foundation for active music classes.

      • 현행 서울 소재 음악대학 피아노과 교과과정 연구

        장인호 梨花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9855

        음악교육의 기초를 이루는 피아노 교육을 실행함에 있어서 최고음악교육의 출발점인 음악대학 피아노과의 교과과정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파악하며 개선책을 연구하는 것은 음악교육계에 주어진 필수적인 과제이다. 본 연구는 미래 음악교육과정 변화에 기초를 마련해주고 음악교육 분야의 방향을 설정하는데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우리나라의 현행 음악 대학 피아노과의 교과과정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교과과정의 분석은 서울시내에 소재한 종합대학교 내 8개 음악대학의 피아노과를 중심으로 하였다. 교과과정 분석에 들어가기에 앞서 우선 국내 음악 관련학과와 서울 소재 음악대학의 현황을 고찰하고 문헌 연구를 통해 세계 피아노 교육의 역사적 변천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음악대학 졸업생들의 진로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선행 연구에 대해 조사 · 정리하였다. 이를 기초로 하여 서울 소재 8개 음악대학의 교육목표와 피아노과의 교육목표를 정리함으로써 그 목표를 비교하고, 국내 음악대학의 학점이수 현황과 미국 음악교육기관의 학점이수 현황을 비교하였다. 실제적인 교과과정 분석에서는 8개교 피아노과의 전공과목 개설 현황을 대학별로 조사하고 세부적으로 대학별 전공과목 설정과목수, 공통과목 이수학점, 공통과목의 전공필수·전공선택 여부, 전공과목의 이론·실기 교과목 비율을 비교하고 전공실기 과제곡을 학년별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전체 음악대학 간에 교과과정 구성상의 통일성이 미흡하고 전공과목 수의 부족과 낮은 이수학점의 책정으로 효율적인 전공과목 학습이 시행되고 있지 못한 것으로 보여진다. 대학별로 공통과목의 이수학점과 이수학기 그리고 필수·선택 여부가 다르게 책정되어 있으며, 심화된 전공 실기의 교육에 있어서 전공실기 과목 비율의 낮은 책정과 함께 다양한 선곡의 기회가 주어지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졸업 후 다양한 분야로의 진출에 있어서 필요한 교과목의 개설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고 대학별 특수성이 전제되지 못한 교과과정 구성으로 인해서 대학간의 평준화·획일화를 초래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연구 결과 나타난 문제점에 대해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우선 각 대학의 자율적인 교과과정 운영으로 인해서 전체 음악대학 간에 운영상의 통일성이 미흡하므로 교과과정 및 운영을 감독하는 기관의 설립이 필요하며, 전공과목의 개설수와 이수학점이 적어서 전공과목에 있어서 효율적인 심화학습이 시행되지 못하고 있으므로 점차 전공과목과 이수학점을 늘려야 한다. 대학별로 공통과목의 이수학점과 이수학기가 달라 전공 교과목에 대한 학습의 깊이에 차이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학 상호 간의 협의가 필요하고 공통과목들을 필수과목과 선택과목으로 책정하는 데 있어서 대학 상호간에 기준을 세워야 한다. 전공실기 능력의 향상을 위하여 전공실기 교과목의 학점수를 늘려야 하며 전공실기 과제곡에 있어서 학생들에게 보다 광범위한 선곡의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그리고 급변하는 현대사회의 흐름에 부합하며 졸업 후 직업 선택에 있어서도 다양함을 줄 수 있는 교과목을 개설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각 대학마다의 특수성을 살릴 수 있는 교과목을 개설하여 교과과정을 운영 하여 야 한다. 이상과 같이 제시된 피아노과 교과과정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이 앞으로의 교과과정 개선과 운영 그리고 더 나아가 국내 음악교육계의 발전에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었으면 하는 바이다. In order to enhance piano education, which is considered as a basic for the music education, it is an essential task to analyze the college music curriculum for a piano major : starting point for advanced music education, assess problems and find solutions to correct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college music curriculum for a piano major in order to provide data to be used for improving educational system in music and establishing direction of music education. The curriculum samples used for the analysis were centered around those for a piano major in school of music of eight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Korea. Prior to the analysis, inquiries into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nationwide departments related to music and music departments in Seoul, and studies on related literature about worldwide histories of changes and progresses of the piano education were performed. And also, the related research papers were referenced to examine the status of occupations of graduates from the school of music. Based on the base studies described above, the objectives of the school of music and for a piano major were examined closely by comparing and adjusting those from the eight universities, and required credits completed for graduation in Korea and in the advanced music institutions in the U.S.A were compared and adjusted. In the analysis of curriculum, current major subjects offered by each eight universities were investigated and the following items for each university are analyzed in detail: (a) Number of major courses (b) Total credits of common courses (c) Required subjects among common courses (d) Elective courses for major (e) Ratio of theory and performance (f) Sorting assigned music for performance by grade The problems discovered from this study and solutions for correcting these problems are discussed below. (1) It is required to establish a supervising institution to monitor curriculum and their implementations, because they lack in overall uniformity between universities due to its' own self-regulated curriculum and practice by each university. (2) Number of major courses offered and credits required for graduation are not adequate to provide efficient education in quality. Major courses and number of credits required for graduation should be gradually increased. (3) There should be agreements between universities about number of credits of common courses and semester year to take these courses, because they varies depending on universities and they can create gaps in depth of major courses. (4) Agreements should be made between universities about standard for designating required and electives from common courses. (5) Number of required major courses for performance should be increased to improve the techniques. (6) Universities should provide students more variety of music for selecting assigned music for performance. (7) Universities should provide curriculum in keeping up with rapidly changing modem society and provide graduates opportunities to pursue variety of occupations. (8) Each university should create unique curriculum and manage to promote its' specialty. This study has made an invaluable contribution in improving curriculums and their managements for advancing national level of the music education.

      • 고등학교의 실용음악과 드럼전공 교과과정 분석 연구

        신보영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855

        본 논문은 실용음악과의 드럼 교육의 체계적인 발전을 위해 국내 고등학교 실용음악 드럼전공의 교과과정을 조사하고 설문조사와 함께 비교 분석하여 발전적으로 나아갈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고등학교 실용음악 드럼전공 교과과정 개선을 위해 필요한 자료는 국내 실용음악 드럼전공이 개설되어있는 26곳의 학교중 실용음악교육의 개설연도가 빠른 학교와 높은 입시 경쟁률을 기록했던 8개교를 선정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교육부 홈페이지와 학교홈페이지를 활용하여 교과과정을 수집하였고, 8개교 총 104명의 실용음악 드럼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고 그 중 84명이 설문에 참여하여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용음악의 독립적인 학과 운영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클래식음악, 국악이 통합되어있는 음악학과와는 별개로 단독적인 실용음악학과가 개설, 교육 되어져야 한다. 설문조사 결과 알수 있듯이 학생들의 수업 만족도가 높게 나온학교는 실용음악과를 독립적으로 운영중인 학교들에서 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고등학교는 대학을 가기위해 입시준비를 하는 교육기관이지만, 기존의 드럼 연주자만을 길러내는 교육에서 더 나아가 급변하는 음악시장을 대처할수 있는 뮤지션으로 길러내야한다.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진행해보니 대다수의 학생들의 진로 목표가 연주자였는데, 음악관련분야의 다양한직업에 대해 알지 못하고 있는 부분이 아쉬웠다. 또한 고등학교나 대학교 진학후에 학업을 중단하거나 전공파트를 바꾸는 학생들이 생각보다 많았다. 본인 전공 외에 다른 악기나 MIDI, 음향, 작곡 같은 전공 또한 접해봄으로서 다양한 가능성의 기회를 제공해 주어야 한다. 셋째, 실용음악전공자들을 더 많이 학교 현장에 근무할수 있도록 해야한다. 전공레슨만 담당하는 강사가 아닌, 정교사로 학교에 근무할수 있게 해야한다. 기존의 클래식음악이나 국악전공자 출신인 음악교사들은 실용음악을 전공하는 학생들을 지도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넷째, 미래를 준비하는 교육이 되어야한다.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낸 서울실용음악고등학교의 뉴미디어와 연계된 교육방법을 다른 고등학교들도 참고하여 그에 걸맞는 다양한 워크샵과 현장실습을 경험하게 하고, 창의성을 발달 시켜줄수 있는 교육프로그램과 레코딩, 영상편집, 컴퓨터 악보사보 프로그램 같은 교육을 경험하게 해 1인 미디어 시대에 대응할 수 있도록해야 한다. 실용음악의 불모지였던 우리나라가 30년 만에 이뤄낸 음악의 성과는 정말 위대하다. 여러 시행착오를 거쳐 30년 동안 실용음악교육도 비약적 발전을 이루었다. 앞으로 우리나라의 실용음악교육은 더 많은 노력과 연구를 통해 더 유능한 인재들을 육성할 것을 기대한다. 본 논문을 바탕으로 고등학교 드럼교육이 향상되길 바라며 효율적인 방안이 지속적으로 연구되길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the curriculum of the practical music drum major in domestic high school and to present a direction for progressing by comparing and analyzing it with the questionnaire for the systematic development of drums education with practical music. In order to improve the practical music and drum major curriculum of high school, the necessary materials were selected from 26 schools where practical music drum major was established, and 8 schools which had a high rate of competition for high school entrance examination. As a research method, the curriculum was collected using the homepage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homepage of the school. A total of 104 students of practical music drums majoring in 8 schools were surveyed and 84 of them participated in the questionnaire. First, independent study and practice of practical music is needed. In general, a separate practical music department should be established and taught separately from the music department, which integrates classical music and traditional music. As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indicate, the school where the students' satisfaction level was high was mainly high in the schools operating independently of the practical music department. Second, high school is an educational institution that prepares students for admission to college. However, they have to cultivate musicians who are able to cope with rapidly changing music market in education that only existing drum players are raised. As I went through the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there were more students than I expected to stop studying after graduating from school or changing major parts. In addition to your major, you will also need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a variety of possibilities, such as listening to other musical instruments, MIDI and composition. Third, we should make more students of practical musicals work at the school site. I need to be able to work at school as a regular teacher. This is because music teachers, who are originally from classical and traditional music major, have limitations in teaching students majoring in practical music. Fourth, education should be prepared for the future. It is also possible to refer to other high schools as well as to various workshops and on-the-job training in relation to the new media-related education methods of Seoul Music High School which showed a positive effect and to experience the education that can develop creativity, should be able to respond to the media age for one person. The accomplishment of the music that our country which was a barren of practical music in 30 years is really great. After many trial and error, practical music education has made remarkable progress for 30 years. In the future, we expect that practical music education in Korea will foster more talented people through more efforts and research. Based on this paper, I hope that high school drum education will be improved, and I hope that effective methods will continue to be studied.

      • 교육개혁방안에 의한 한국 음악대학의 특성적 학사제도에 대한 고찰

        이은영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9855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육차원에서 추진된 특성적 학사제도가 국내 음악대학에 적용되고 활성화되어 있는 정도를 도입·운영현황을 통해 고찰하는 데 있으며, 앞으로 발전적인 음악대학의 교육방향을 탐색하는 데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로 활용되기 위하여 연구되었다. 이 연구를 위하여 임의로 수도권과 비수도권에 소재한 6개 연구대상 대학을 선정하였다. 이론적 배경으로 대학교육의 본질적인 기능이 교육에 대한 사명임을 확인하고, 지난 50년 동안의 교육개혁의 변천과정을 살펴 봄으로써 현재 진행중인 교육개혁의 위치를 파악해 보았다. 전국의 4년제 일반대학교와 음악대학의 분포 비율을 비교하여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는 대학 소재 현황을 확인하고, 고등음악교육기관에 포함된 학과 또는 학부의 소속형태를 분류하여 교육조직유형의 다양성을 살펴보았으며, 지방대학의 다양화와 특성화를 위한 제도적 개선의 필요성 및 육성방안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분석에 앞서 우선 정부에서 제시한 교육개혁방안 가운데 대학교육개혁 차원에서 해결해나갈 과제들을 살펴보았다 현재 시행되고 있는 음악대학의 교육제도의 분석은 첫째, 기존과는 다르게 적용된 학사제도의 개념과 의의를 정립하고 둘째, 연구대상대학의 요람 및 관련문헌들을 조사하여 학사제도의 시행관련규정과 운영현황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학부제 시행에 따른 분석에 있어서는 교육조직단위가 학과에서 학부내의 전공으로 옮겨진 것 이외에 특징적인 변화가 없었다. 학부제의 시행으로 학부 또는 전공의 기초학문분야를 이루는 학부교과가 새롭게 편성되어 전공과목의 이수범위가 확대되었다. 둘째, 최소전공인정학점제도는 학부체제로 전환한 학교와 일치하였으며, 비수도권의 대학에서는 아직 도입하지 않고 있거나, 시행 과도기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소전공인정학점제도를 시행하고 있는 학교는 복수전공제도, 부전공제도, 전과제도의 활용이 수월해진다. 셋째, 복수전공제도와 부전공제도 및 전과제도의 활용은 아직 미흡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점차 그 수가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넷째, 편입학제도의 활용은 비수도권 소재 대학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학점인정 등에 관한 법률에 의해 입학자격 범위가 확대되어 그 수가 확산되어 가고 있다. 다섯째, 비사범대의 교직과정이 설치되어 있는 학교는 복수전공제도와 부전공제도 및 전과제도를 운영하지 않고 있었다. 중등학교 교육과정의 기본과목 (분야)을 다루는 기본이수과목의 공통적인 편성은 전공실기와 서양음악사 및 국악개론(이론)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음악학과(부)생의 조기졸업은 전공실기과목의 학기당 이수 횟수에 따른 규정과 계절학기 과목의 설치 여부에 의해 좌우된다. 일곱째, 계절학기의 폐강인원이 획일적으로 규정되어 있어 음악전공과목의 실질적인 수강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단, 수도권 소재 대학에서는 교양과목과 전공과목 및 전공실기교과에 대한 인원기준을 각기 다르게 책정하고 있어서 보다 탄력적인 학사운영을 보이고 있다. 마지막으로, 국내 대학간 학점교류의 현황은 미흡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음악학과(부)에 교류학점인정제도가 설치된 학교는 대부분이 비수도권에 위치한 대학교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분석한 학사제도의 현황자료를 근거로 음악적 특성과 음악대학의 특성에 대한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져 바람직한 학사제도의 운영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The pro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in an effort to promote a positive development of baccalaureate music programs (the "Programs") in Korea, basic research materials related to the level of current apprecation and success of the Programs at Institutions of higher education (the "Institutions") in Korea by studing the introduction and management of the program at the Institutions in Korea. In particular, I have (i) first analyzed the distribution of the Programs in Seoul Area and Other Regions and confirmed higher concentration of the Programs in Seoul Area, (ii) examined diverse forms of the Programs at the school of music or the department of music, as the case maybe, of the Institutions in Seoul Area and Other Regions, and (iii) investigated the need for, and the direction of, diversity and specialization of the Programs at the Institutions in Other Regions. As a theoretical basis of analysis in this paper, I reviewed the Educational Reform Plan (the "Plan") proposed by the Korean government and, in particular, the issues related to reform within the Institutions as may be affected by such Plan. I also reviewed the Programs currently in effect within the Institutions by (i) investigating the employment by some Institutions of the Programs that differ substantially from the established Programs and (ii) analyzing various Institutions' current management of the Programs through examining the their handbooks and related documents. Based on the foregoing analysis, this paper concludes as follows: 1. Some Institutions, mostly in Seoul Area, have made some efforts to establish the school of music system and move away the department of music system, but such efforts to date have been primarily limited to the change of name from "the department of music" to "the school of music" and introducing more varied basic course curricula thereby providing somewhat expanded option to complete the Programs. 2. However, in further efforts to establish the school of music system, some Institutions are beginning to adopt the idea of minimum course credit requirements and to provide the option of choosing multi-majors, a minor, and a change of majors (the "Choice of Major Option"). Provision of the Choice of Major Option at these Institutions is taking place in a marginally incremental way, but the number of the Institutions providing such option is clearly on the rise. 3. The Institutions in Other Regions are vigorously establishing programs, to the extent allowed under the law, to admit transfer students from other Institutions and to accept credits earned by the transfer students at the previous Institutions. 4. Those Institutions that provide programs for the students to obtain music teacher's license outside the school of education system are not providing the Choice of Major Option. 5. Early graduation of music majors in each Institution depends largely upon its regulations related to the provision of major-related performance courses (the "Performance Courses") during the non-traditional terms ("Seasonal Terms"). Music students in most Institutions are not able to take advantage of the Performance Courses offered during Seasonal Terms because of frequent cancellation of the Performance Courses due to such Courses' failure to meet the minimum number of students requirement (the "Minimum Requirement"). The Minimum Requirement is applied uniformly at the Institutions without regards to the special nature of the Performance Courses. However, few Institutions in Seoul Area have begun to provide lower Minimum Requirement for the Performance Courses thereby making it easier for the students to take the Performance Courses during Seasonal Terms. 6. The general inadequacy in the acceptance of the transfer students' credits earned at the previous Institutions continues, except in some Institutions in Other Regions as described above. I hope that this paper provides some of the basic research required to show a proper direction to establishing positive baccalaureate music programs in Korea.

      • 예술고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 비교연구 : 국악전공을 중심으로

        김가영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855

        This study presents the comparison and analyzation between administration of the curriculums of art high schools, according to the seventh curriculum presented by Ministry of Education. Additionally, based on the analyzing the research data, it is meant to find out the problems of special education of Korean Music and to present some guidelines for the Korean music curriculum to follow. For this, a general survey on the 7th curriculum of musical subjects in the art high schools was made, and so was the survey on the formation of the curriculums and the allotment of credits. And Directory of Korean Education was referred to, in order to realize the situation of art high schools all around the country. Furthermore, through inquiring of the art high schools, considerable information about each school was collected, such as establishing subject, establishment year, subject being taught recently, and special course of music. There are 25 art high schools throughout the country, and 19 of them recruit and educate the students who want to major in Korean music. This thesis is based on data from 7 schools from the 19 above, and comparing and analyzing data includes this : the actual condition of running special class for Korean music-majoring students, school activities for improving students’ practical techniques on their majoring subjects, and facilities for education. In addition, through comparison and analysis on freshman selection programme of each school, it was easy to find out the reality of the education of Korean music. The research shows that each art high school meets the standards of credits directed by the authorities, and that special subjects in musical course are administered flexibly by discretion of each school within the boundary of the 7th curriculum of subject of music. However, some art high schools was found out not to run the identical subjects listed in the music curriculum. In comparison between general art high schools and the ones specialized in Korean Music, the specialized ones have diverse and more detailed subjects and provide opportunities in which students can cultivate their musical attainments. Meanwhile, general art high schools has more subjects that are concentrated on Western music, so, consequently and relatively, they offer considerably less subjects in the field of Korean Music than the Korean music-centered ones(e.g. Gukak National High School). The activities and facilities for enhancing students’ musical abilities in art high schools are like the followings : Korean music-specialized high schools are providing more onstage experiences and more opportunities for playing their instruments in their specialty, so they can upgrade their manners on stage and playing control techniques. Also, these schools have made practicing rooms and labs for their major to improve the quality of classes. General art high schools also try to offer a variety of playing experiences, musical activities and facilities for higher performance of students. However, the number of students majoring in Korean Music is much smaller than that of students of Western Music. Therefore the schools have difficulty in organizing and administering the curriculum of Korean music, as well as preparing activities like concerts. Art high schools is aiming to help the students of musical potentialities to have various experiences and to become great artists. Consequently, every art high school should install diverse special curriculums for students of Korean music, and also should let them have the opportunities to grow to be professional artists. In addition, Ministry of Education allow the schools to have as much discretion as possible, for them to manage the curriculum freely in accordance with special qualities of art high schools. Finally, the schools need to have special curriculums for the students of Korean music when setting and organizing ones. In the end, I hope this research will help the establishment of the next curriculums of musical subjects and the preparation of the data required for the administration of curriculum for Korean music-majoring students in art high schools. 본 연구는 교육부에서 제시한 제 7차 예술고등학교의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예술고등학교에 개설된 국악전공의 전문교과과정의 운영 실태를 비교ㆍ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연구 자료 분석을 바탕으로 전문국악교육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향후 전문국악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악교육의 역사와 제 7차 예술고등학교의 음악과 교육과정에 대해 개관하였으며, 교육과정의 편제와 단위배당에 대한 문헌연구를 실시하였다. 또한 전국에 설립된 예술고등학교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한국교육명부를 참고하였으며, 전국의 예술고등학교에 문의하여 각 학교의 설립주체, 설립연도, 개설학과, 음악과의 전공분야 등을 파악하였다. 전국에는 25개교의 예술고등학교가 설립되어 있으며, 이 중 19개교에서 국악전공을 선발하여 전문적인 예술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이 논문은 국악전공을 선발하는 19개교 중 7개교의 예술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제 7차 음악과 교육과정을 기준하여 국악 전공 학생의 전문교과 운영 실태와 전공 실기 능력 향상을 위한 학교활동 및 시설현황에 대해 비교ㆍ분석하였다. 뿐만 아니라 각 예술고등학교의 신입생 선발 전형을 비교ㆍ분석함으로써 예술고등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국악교육의 실제를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각 예술고등학교는 교육부에서 제시한 교육과정 기준단위를 적합하게 이수하고 있으며, 음악과에 편성된 전문교과의 경우 제 7차 음악과 교육과정의 범위 안에서 학교 재량에 의해 탄력적으로 운영되고 있었다. 하지만 일부 예술고등학교의 경우 음악과 교과과정에 편성된 전문교과명과 실제 수업하는 교과가 일치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국악전문고등학교와 일반예술고등학교의 전문교과과정을 비교ㆍ분석하면, 국악전문고등학교의 경우 국악에 관련된 전문교과를 다양하게 편성하고, 국악 전공 학생들에게 풍부한 음악적 경험과 활동을 제공함으로써 예술적 소양을 갖출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 있었다. 반면 일반예술고등학교의 경우 서양음악 중심의 교과과정과 학교활동 등으로 인해 국악 전공 학생에게 제공되는 국악에 대한 심도 있는 음악적 경험과 활동이 국악전문고등학교에 비해 현저히 적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각 예술고등학교의 전공 실기 능력 향상을 위한 학교활동과 시설현황에 관련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국악전문고등학교의 경우 학생들에게 다양한 무대 경험과 심도 있는 전공 연주 기회를 많이 제공함으로, 전문예술인으로써 갖추어야 할 무대 태도와 연주 조절 능력 등을 함양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또한 연습실과 전공실 등의 다양한 시설을 마련하여 수업의 질을 향상시켰다. 반면 일반 예술고등학교의 경우 국악 전공 학생들에게 다양한 연주 경험과 풍부한 음악적 활동, 시설 등을 제공함으로 학생들의 전공 실기 능력을 향상시키려 노력하고 있으나, 서양음악전공에 비해 국악 전공 학생의 수효가 현저히 적어 국악 관련 전문교과의 편성과 운영, 그리고 연주회 개최 등의 학교활동에 있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예술고등학교는 음악적 잠재력을 가진 학생들에게 다양한 음악적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훌륭한 예술인으로 성장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기 위한 목적에 의해 설립되었다. 따라서 각 예술고등학교에서는 국악 전공 학생을 위한 다양한 전문교과를 개설해야 하며, 풍부한 음악적 활동과 시설을 마련하여 전문예술인으로써 성장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또한 교육부에서는 예술고등학교의 특성에 맞게 교과과정을 자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재량권을 많이 부여해야 하며, 음악과 교육과정의 전문교과 편성 시 국악에 관련된 다양한 전문교과를 편성해야 할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는 차기 음악과 교육과정 수립과 예술고등학교의 국악 전공 학생들의 교과운영에 필요한 자료를 마련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 음악대학 국악과 거문고 전공실기 교육과정 실태조사 분석

        윤미선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855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an actual state of a Geomungo performance curriculum in the departmen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t music colleges and to find out both organized and efficient ways to grow Geomungo performers.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the convenience sampling was adopted and a total of five colleges out of 24 music schools of Geomungo department were selected to be a research object. The Geomungo curriculums of those five colleges were compared and anlayzed while a survey to learn activities of 100 professional Geomungo performers in concert parties, schools and other private organizations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the five different Geomungo performance curriculums, it was found out that those curriculums are supposed to be divided into three fields as the classical music, the solo and the creative music. In addition, for a graduation concert, those Geomungo majors at the five colleges would pick three pieces (one from the classical music, one from the solo and one from the creative music) and master the pieces until the graduation. Each college, however, appeared to have a different educational weight (educational contents) on those three music fields in the curriculum. Add to that, in order to keep up with the demands from the 21st global age, all the colleges in the study greatly increased the importance of the creative music in the current Geomungo performance curriculum. For the survey on the actual state of the Geomungo performance curriculum in the departmen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t music colleges, a total of three main topics as the curriculum satisfaction, performance curriculum contents and practical subjects contents of Geomungo an lastly, expertise and real conditions of Geomungo performers were discussed. 100 professional Geomungo performe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Geomungo performance curriculum satisfaction, 55% of the professional Geomungo performers answered 'average' while they responded that this performance curriculum is the most important subject of all the other Geomungo relevant subjects for it would have students experience and learn the instrument as much personally as possible. Second, according to the professional Geomungo performers, sessions for the performance and teaching should be increased even more than now in order to raise professional Geomungo performers. As the most popular Geomungo performance textbooks,『Three Geomungo Solo Backgrounds』,『Surijae, Geomungo Solo Collection』and『Classical Geomungo Music』were picked while the students would also refer to other pieces or textbooks recommended by a professor including『Classical String Music』. Regarding topics that would be emphasized the most in the performance class, the performers came up with the five ones as the tone-creating, the fingering, techniques, playing postures and dynamic. 38% of the professional performers added that the Geomungo performance curriculum should have a new educational objective, which is to 'expand activity area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majors.' Third, the professional Geomungo performers answered that the competent performing techniques should be the most important qualification for a Geomungo performer. 49% of those professional Geomungo performers in the study believed that Geomungo performers should work harder than now to improve their techniques. For a question for why they would have a relatively little confidence in a certain field, 35%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it was because their lack of ability. In addition, the respondents also said that a performer's qualification is built up based on a solid support from a college, the performer's performing experience and the performer's own hard work as well. Those professional Geomungo performers believed that a Geomungo performer should do one's best with the performance class if one wants to be good at playing the Geomungo. In order to develop a choice and performing ability of Geomungo performers, the respondents said that first, the sessions of the performance class should be increased and second, the students should get an individual, systematic and efficient performing education via any subspecialized performance classes. Not only that, the professional Geomungo performers in the study emphasized that those Geomungo majors should understand the spirit of Geomungo, the importance of Geomungo music and Geomungo theoretical knowledge while they are given a chance to take a Geomungo performance and theory curriculum that would be specialized and globaliz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above, the study suggests not only that the students should receive a more profound performance education with more time given for each piece but also that the music schools should increase performance class and the teaching class sessions. In addition, in order to keep up with flows of the 21st global age, any following studies in the future should focus on how to expand Geomungo performers' musical experience as those studies discuss developments of Geomungo teaching methods and Geomungo education systems. That way, a new special performance curriculum made of various performances and theories would be built with new textbooks and new teaching methods proper for a new Geomungo special course developed. In the following studies in the future, efficient ways to deliver Geomungo knowledge to the students will be also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대학 국악과 거문고 전공실기 교육과정에 대한 실태를 조사하여 이를 분석함으로써 거문고 연주가 양성에 있어서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교육과정의 보완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편의표집(convenience sampling) 방법으로 우리나라 음악대학 국악과 24개교 중 거문고 전공을 운영하고 있는 5개 대학교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5개교의 거문고 전공실기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고 거문고를 전공으로 대학을 졸업한 후 현재 각 연주단체 교직 개인활동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는 거문고 전문인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5개 대학교의 거문고 전공실기 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 기본적으로 정악· 산조·창작곡 분야로 나누어 운영 되었다. 그리고 졸업연주회 준비를 위해 개별적으로 3곡(정악 1곡·산조 1곡·창작곡 1곡)을 선정하여 이수할 수 있도록 계획되어 있었으며 각 대학별로 비중 있게 다루는 음악 분야와 교육과정(이수내용)의 양이 차이를 보였다. 또한 21세기 글로벌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현재의 거문고 전공실기 교육과정의 창작곡 구성 비율이 상당히 증가하였다. 음악대학 국악과 거문고 전공실기 교육과정의 실태조사를 위한 설문은 거문고 전공실기 교육과정의 만족도, 거문고 전공실기 및 실습교과 내용, 거문고 연주가들의 전문성 및 실태 세 부분으로 구성되었고 100명의 거문고 전문인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거문고 전문인들은 거문고 전공실기 교육과정의 만족도에 대해서 55%의 ‘보통이다’라는 응답을 보였으며 음악대학 국악과 교육과정 중 가장 많은 경험과 학습이 이루어지고 교육과정에 개설된 교과 중 가장 중요한 교과목으로 전공실기 수업이라고 응답하였다. 둘째, 거문고 전문인들은 전문적인 거문고 연주가 양성을 위해 거문고 전공실기 이수시간과 지도시간의 배정을 현재보다 더 늘려야 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거문고 전공실기 수업의 교재로 『거문고 산조 세바탕』,『거문고 독주곡집 수리재』,『정악 거문고보』, 교수가 선택한 작품이나 교재,『현금정악』을 선택하였고 거문고 전공실기 수업시간 가장 중점을 두는 지도 방법의 종류로는 음색 만들기, 운지법, 테크닉, 연주 자세, 다이나믹 이라고 응답하였다. 그리고 앞으로 거문고 전공실기 교육과정이 지향해야 할 교육목표로 ‘국악 전공자의 활동영역 확대’라고 38%의 거문고 전문인들이 응답하였다. 셋째, 거문고 전문인들은 거문고 연주가의 전문적인 연주 능력을 가장 중요하게 보았으며, 49%의 거문고 전문인들이 자신의 연주력에 대해 때에 따라 한계가 있거나 대체로 부족하다고 생각하였다. 자신 없는 분야에 대한 이유로는 자신의 능력 부족 때문이라고 35%가 응답하였다. 그리고 대학에서의 충분한 바탕 마련과 연주 경험, 연주가 자신의 노력을 통해 연주가의 자질 향상이 이루어지며 거문고 전문 연주가 자질의 증진을 위해 중요한 과목이 전공실기라고 답했다. 또한 거문고 연주가들의 선택의 폭 내지는 연주 능력 증대를 위해 전공실기 교육의 시수 확대와 더불어 세분화된 전공실기를 통해 전통과 창작의 각 음악분야에 맞는 차별적·체계적·효과적인 연주 교육, 거문고의 정신과 거문고 음악의 중요성 및 이론적 지식 교육, 전문화 · 세계화 된 실기 및 이론의 교육과정 등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각 악곡마다 충분한 시간을 갖고 보다 심화된 실기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전공실기 이수시간 및 지도시간의 배정을 늘릴 것을 제안한다. 그리고 21세기 글로벌 시대적 흐름에 맞추어 음악적 경험의 폭을 넓힐 수 있도록 다양한 실기와 이론적 분야가 통합된 전공실기 교육과정에 적합한 교재 및 교수법 개발, 거문고에 대한 효율적 지식을 전달하는 학습과정의 거문고 전문 교육자 과정으로서 거문고 교수법 개발, 교육 시스템 개발 등의 후속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