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소 진행된 하인두암의 치료 결과와 예후 인자 분석

        윤미선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47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treatment results and to identify possible prognostic indicators in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hypopharyngeal carcinoma. Materials and Methods : Between October 1985 to December 2000, 121 patients who had locally advanced hypopharyngeal carcinoma were retrospectively studied. Fourteen patients were treated with radiotherapy alone, 94 patients were treated with a combination of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and 13 patients were treated with neoadjuvant chemotherapy, surgery and postoperative radiotherapy. Total radiation dose ranged from 59.0 to 88.2 Gy (median 71.5Gy). Of 121 patients 107 had chemotherapy. Of 107 patients 76 had ciplatin and 5-fluorouracil, and 27 had cisplatin and pepleomycin. Median follow-up period was 16 months. Kaplan-Meier method was used for survival rate and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for multi-variate analyses of prognostic factors. Results : Overall 3 and 5 year survival rates were 26% and 18%, respectively. The 5-year disease-free survival after radiotherapy alone 7%, after combined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22%, and after combined surgery and radiotherapy 38%. Combined therapy with surgery and radiotherapy is superior to combined treatment with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or radiotherapy alone for survival and locoregional control rate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disease-free survival and locoregional control rates between combined therapy with surgery and radiotherapy group and concurrent chemoradiation group. With RT alone, 11 patients achieved more than partial remission (PR); the response rate was 79% (11/14). With neoadjuvant chemotherapy, 4 patients had complete remission and 23 patients partial remission. The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overall survival were T-stage, nodal stage and local response rate. Conclusion : Surgery and postoperative RT showed better survival rate than combination of chemotherapy and RT in terms of disease-free survival and locoregional control rate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disease-free survival and locoregional control rates between combined therapy with surgery and radiotherapy group and concurrent chemoradiation group. Concurrent chemoradiation therapy is an effective modality to achieve organ preservation without compromising the survival in locally advanced hypopharyngeal cancer. In multivariate analysis, T-stage, nodal stage and local response rat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목적 : 국소 진행된 하인두암에서 치료 결과 및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5년 10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에서 국소 진행된 하인두암으로 근치적 치료를 받은 121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방사선 단독치료는 14명, 항암화학요법과 병용치료는 94명, 그리고 수술과 수술후 방사선치료 시행은 13명이었다. 방사선치료는 정규분할조사법으로 1.8~2 Gy로 114명, 과분할조사는 1.1 Gy~1.2 Gy로 7명이 치료받았다. 방사선 단독군의 경우 총 방사선 선량은 59.0 Gy~88.2 Gy(중앙값 72.5 Gy)이다. 방사선 단독 치료군 14명을 제외한 107명의 환자에서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였고, 대부분 5-FU와 cisplatin을 병용했고 나머지 환자에서는 cisplatin을 기본으로 pepleomycin또는 vincristin 등을 병용 투여하였다. 이중 동시적 항암방사선요법은 15명에서 시행되었으며,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군은 모두 선행화학요법을 시행하였다. 추적관찰기간의 중앙값은 16개월이었다. 통계적 방법으로 생존율의 산출은 Kaplan-Meier 법을, 두군의 생존율간의 차이는 Log-rank test를, 그리고 다변량분석에는 Cox prportional hazard model을 각각 이용하였다. 결과 : 전체 121명 환자의 3년 및 5년 생존율은 각각 26%, 18%였다. 5년 무병생존율은 방사선치료 단독군이 7%, 방사선치료와 항암화학요법병용군이 22%, 수술 후 방사선치료군이 38%였다. 수술 후 방사선치료군이 방사선치료와 항암화학요법 병용군이나 방사선치료 단독군에 비해 생존율에서 우위를 나타내었다. 하지만 수술 후 방사선치료군과 동시적 항암화학방사선요법군을 비교시 생존율 및 국소종양제어율에서 차이가 없었다. 치료에 대한 반응은 방사선 단독치료 후 11명(79%)에서 부분관해 이상을 보였다. 선행항암화학요법 후 4명(5%)이 완전관해를 보였고, 부분관해는 23명(29%)으로 나타났다.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인자에 대한 다요인 분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는 요인은 T병기와 N병기, 국소 치료 후 완전관해 여부였다. 결론 : 수술 후 방사선치료군이 방사선치료와 항암화학요법 병용군보다 생존율 및 국소종양제어율에서 우위를 나타냈다. 수술 후 방사선치료군과 동시적 항암화학방사선요법군을 비교시 생존율 및 국소종양제어율에서 차이가 없었다. 동시적 항암화학방사선요법은 국소 진행된 하인두암에서 생존율 및 국소종양제어율의 감소 없이 후두를 보존할 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이다. 예후인자에 대한 다요인 분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는 요인은 T병기와 N병기, 국소 치료 후 완전관해 여부였다.

      • 선천성 심도청각장애 아동의 와우이식 후 말산출 능력의 예측변인 및 말산출 특성

        윤미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박사

        RANK : 247631

        Speech and language of prelingually deafened children are impaired owing to long period of auditory deprivation. Their speech are characterized by low speech intelligibility, inappropriate articulation, and deviated voice quality. Parents of hearing impaired children expect them to achieve better verbal communication skills after cochlear implantation. The appropriate verbal communication skills require not only speech perception ability but also speech production skills. Previous literatures have suggested several factors that may affect the speech production skills of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ation: age of implantation, residual hearing level before implantation, language ability before implantation, duration after implantation, children's chronological age, and educational setting etc. The aims of the present study were (1) to assess the effect of cochlear implantation on the overall verbal communication ability in prelingually deafened children, (2) to investigate the predicting variables of the post implant speech production ability, and (3) to analyze the pot-implant segmental and suprasegmental characteristics of speech. For these purposes, forty children aged from 5 to 12 years old participated as subjects. All subjects were using Nucleus multi-channel cochlear implant device. The sentence test was administered to the subjects to measure speech intelligibility and voice quality and the word test to assess the correct percentage of 15 Korean vowels and 19 Korean consonants articulation. The data concerning implant surgery and pre-implantation stage of all subjects were obtained from the record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he results were shown as follows: 1. Covariance analysis with repeated measures of verbal communication ability of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ation reveal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 implantation stage in the condition of excluding maturation effect. 2. The post implant speech production ability was measured by three indices, which were speech intelligibility, correct percentage of vowels and consonants articulation, and voice quality. The regression analysis of each index of speech production ability revealed that both the age of implantation and receptive verbal language level on pre implant stag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ing variables of speech intelligibility and the correct percentage of vowels and consonants articulation. The age of implantation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ing variable of voice quality. 3. The segmental and suprasegmental characteristics of speech of all participants were similar to those of deaf children reported in the literatures. However, speech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ho were implanted earlier, were found different with children who were implanted later. Especially, it was found that suprasegmental characteristics had strong correlation with the age of implant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prelingually deafened children's verbal communication ability could improve after cochlear implantation. Based on the regression study, we could predict the level of speech production ability of congenitally deafen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ation on the basis of age of implantation and the receptive verbal language level of pre implant stage. Finally, we might conclude that the speech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ation would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age of implantation. 선천성 청각장애 아동은 말로 의사소통을 하는 데에 많은 어려움을 보인다. 이들은 낮은 말명료도, 왜곡된 조음, 적절하지 못한 음성 등의 말 특성을 보이며, 이로 인해 구어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는다. 와우이식은 이들 선천성 청각장애 아동의 말지각 능력과 말산출 능력의 향상에 많은 도움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와우이식 후 아동들의 구어의사소통 능력의 변화와 말 특성을 살펴보고 와우이식 후의 말산출 능력을 예견할 수 있는 요인들을 검증하여, 선천성 청각장애 아동이 와우이식 후 보다 나은 구어의사소통 능력을 갖도록 하는 중재의 기초자료로 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른 연구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와우이식 전과 후, 말을 사용하는 구어의사소통 능력의 차이를 본다. 둘째, 와우이식 후의 말산출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말명료도, 조음정확도, 음성을 보았을 때, 이 세 가지 지표를 와우이식 시의 나이, 와우이식 시의 구어이해능력, 와우이식 후 경과기간의 세 가지 변인으로 예측할 수 있는 가를 검증한다. 셋째, 와우이식 후 아동의 말 특성을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와우이식을 받은 지 1년 이상이 경과한 현재 나이 5세에서 12세 사이의 선천성 심도청각장애 아동 40명을 대상으로 말명료도검사, 조음검사, 및 음성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선천성 심도청각장애 아동들의 와우이식 전과 후의 구어의사소통 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연구대상 아동들이 와우이식 전에 갖고 있던 말을 이용한 구어의사소통의 수준은 주요의사소통 수단이 말이기는 하나 익숙한 사람과의 대화 시에도 말로만 의사소통을 하기가 어려운 정도였다. 그러나 와우이식 후에는 익숙한 사람과의 의사소통은 말로 이루어지고 익숙하지 않은 사람과의 의사소통 시에만 어려움이 있는 정도였고, 이러한 변화는 단순히 생활연령이 증가했기 때문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말산출 능력의 첫 번째 지표인 말명료도의 경우, 와우이식 시의 나이와 와우이식 시의 구어이해능력이 유의한 예측변인이었다. 말산출 능력의 두 번째 지표인 조음정확도도 동일한 두 가지 변인, 즉 와우이식 시의 나이와 와우이식 시의 구어이해능력이 유의한 예측변인이었다. 말산출의 세 번째 지표인 음성은 와우이식 시의 나이만이 유의한 변인으로 나타났고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셋째, 와우이식 후 말 특성은 분절적인 면에서 모음정확도의 평균은 86.19 %, 자음정확도의 평균은 74.89 %이었으며, 모음 중에는 /아/ 모음, 자음 중에서는 어말 종성의 양순비음(/ㅁ/)을 가장 정확하게 발음하였다. 연구대상 아동들이 가장 부정확하게 발음을 한 음소는 모음에서 /위/, 자음에서는 어두 초성의 치경마찰음(/ㅅ,ㅆ/)이었다. 초분절적인 면에서는 음성의 음도가 높고, 거친소리, 바람새는 소리, 쥐어짜는 소리와 같은 후두와 관련된 음성 질의 이상과, 과대비성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특징은 선행연구에서 보고된 보청기를 사용하는 심도청각장애 아동이 보이는 일반적인 말 특성과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유사한 양상이었다. 이렇게 유사한 결과가 나온 가장 큰 이유는 본 연구대상 아동이 와우이식을 받은 나이의 평균이 6세 이상으로 말산출에 필요한 운동신경적인 성숙이 이미 이루어진 나이였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와우이식은 선천성 심도청각장애 아동의 말을 이용한 구어의사소통 능력 발전에 유의한 도움을 줄 수 있고, 와우이식 시의 나이와 와우이식 시의 언어능력으로 와우이식 후의 말명료도와 조음능력을 예측할 수 있으며, 음성의 질은 와우이식 시의 나이로 예측을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정한 나이가 지난 후 와우이식을 받았을 때는 청각적피드백이 부족한 상태에서 나타나는 청각장애 아동의 말 특성을 계속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선천성 심도청각장애 아동이 와우이식 후 정확한 발음과 의사전달 능력 뿐 아니라, 적절한 음도와 과대비성이 없는 자연스러운 음성을 갖기를 기대한다면 와우이식 시의 나이가 필수적인 요인임을 의미한다.

      • 멸치액젓으로부터 항산화 물질의 분리 정제 및 특성

        윤미선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멸치액젓으로부터 항산화활성을 가지는 물질을 분리하기 위하여 용매추출법,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법, ion exchange chromatography법 및 TLC법 등을 이용하였다. 용매분획 모두 항산화활성이 있었으나 그중 chloroform층 및 물층이 항산화 활성이 높았으며 수율도 좋았다. 물층 획분을 한외여과기를 이용하여 분리한 결과 여과액 및 비여과액 모두 항산화활성을 가졌으나 비여과액을 투석하였을때는 항산화활성이 소실되었다. Methanol에 의한 침전물을 제거한 후 Sephadex G-50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법 및 DE 52 anion exchange chrography법에 의하여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획분을 얻었으며 silica gel TLC상에서 ninhydrin 분무시 7개 이상의 spot을 볼수 있었다. Bio-gel P2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법에 의하여 7개의 fraction으로 나누고 그 중 3번 및 4번 fraction을 합하여 silica gel TLC 법으로 분리하여 8개의 획분을 얻었으며 그중 3e 및 3g획분의 활성이 가장 놓았다. 3a, 3b, 3f및 3h 획분 역시 항산화 활성이 높았으며 모든 획분이 ninhydrin 양성물질이었다. TLC법으로 분리한 3e fraction을 C18 reverse column이 장착된 HPLC로 분석한 결과 214nm에서 10개 이상의 peak 들이 검출되었으나 254nm에서는 하나의 peak 만이 검출되었으며 모두 ninhydrin 양성물질들이었고 3번 peak와 4번 peak가 항산화 활성을 가지고 있었다. Peak 3은 10일간 저장후 항산화능이 감소하였으나, peak 4는 60℃에서 10일 이상 항산화능이 유지되었으며 Vitamin C, Vitamin E 및 BHA(1×10_(-2))보다도 항산화능이 높았다. 멸치젓으로부터 분리한 항산화 물질인 peak 4는 biuret test 및 ninhydrin test에서 양성이었으며 당을 함유하지 않았다. 아미노산 조성 및 peptide 서열 분석결과 methionine이 N-terminal에 amide 결합을 하고 있음이 밝혀졌으며 그 외에는 아미노산이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UV-VIS spectrum과 NMR spectrum분석 결과 aromatic group은 함유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항산화활성이 우수한 peak 4는 methionine이 함유된 분자량 1000이하의 발효산물로 추정된다. For the research of antioxidative substances in the fermented anchovy soup, solvent fractionation method,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 thin later chromatography and HPLC were used. All solvent fractions had antioxidative activity but chloroform layer and aqueous layer had higher activity than the others. The antioxidative substances which were isolated by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 and ion-exchange chromatography were separated to more than 7 spots on the silica gel coated TLC. Both the fraction above molecular weight 1000Da and below molecular weight 1000Da of aqueous layer separated by ultrafiltration had antioxidative effects against linoleic acid oxidation. But when infiltrate was dialyzed with dialysis tube(MWCO 1000Da) against water, undialyzed fraction lost almost antioxidative activities. Eight fractions (3a-3h) were obtained from silica gel TLC separation after Biogel P-2 gel filtration or DE-52 anion exchange chromatography and 3e and 3g fractions showed higher oxidative activities than others. When 3e fraction was analyzed on C18 reverse column equipped HPLC, more than 10 peaks were detected on 214nm UV detector. All fractions were positive with ninhydrin. Peak 4 purified from 3e fraction by HPLC had the highest antioxidative activity than other peaks. Antioxidative activity of peak 4 was maintained more than 10 days when it was incubated at 60℃. Purified antioxidant substance (peak 4) from fermented anchovy soup was confirmed to a substance with methionine on N-terminal residue but not to have anymore amino acids, aromatic groups and glycoconjugate by biuret test, ninhydrin test, phenol-sulfuric acid test, amino acid analysis, peptide sequence analysis, UV-VIS spectrum and ^(1)H-NMR spectrum. These results suggested antioxidant substance (peak 4) from fermented anchovy soup was a fermentation product which had methionine below molecular weight 1000Da.

      • 수학 교과의 협력적 문제해결 역량과 협력적 메타인지 특징 연구

        윤미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In conjunction with social diversification, in school mathematics, there is an emphasis on problem solving processes that can solve problems in various ways and come up with various answers, beyond formal problem solving. The process of discussing various problem solving methods through collaboration based on each student's various prior knowledge and experiences can lead to successful problem solving. The 2015 revised curriculum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core competencies to cultivate creative and convergent talents with core competencies. The importance of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tasks is being emphasized because collaborative learning and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tasks are specified in the direc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mathematics curriculum. In line with the direction of the curriculum, in recent years, prior research on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and research on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in mathematics subjects have been more actively conducted. In order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competencies and collaborative metacognition in the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of mathematics subjects, this study derives factors with uniqueness of mathematics subjects based on the classification of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competency in PISA 2015. In the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of mathematics subject, a specific method should be prepared to analyze which competencies affect the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process, describe and measure this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al thinking, and provide feedback to students. Based on the general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competency in PISA 2015, a detailed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competency factors, collaborative meta cognition factors, and instructional guidelines to guide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are derived, uti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s subject through Delphi survey. And through case studies, the characteristic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factor were examined about what factors appear in the process of successful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effects of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by looking at the process of deriving a successful solution to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using these factor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earch questions set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factors of the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in mathematics subjects? 2.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competencies and collaborative metacognition in the process of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in mathematics subjects? 3.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competencies and collaborative metacognition in the process of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in mathematics subjects?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Delphi survey were used as a framework to analyze the students'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Classes were designed by reflecting the instructional guidelines derived from the Delphi survey, and ill-structured tasks suitable for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were developed, and the process and output that were actually applied to 12 first-year high school students were analyzed as a case study metho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actors of the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competencies is a concrete representation of what is the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competencies in the process of solving mathematics problems, such as understanding the conditions of a problem in terms of mathematics subjects, searching for various solutions, reasoning and justifying mathematical solutions. The general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competency presented in PISA 2015 were applied to the mathematics subject, which was further subdivid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hematics subject were also emphasized. For collaborative metacognition, In the mathematics subjects derived from the study, collaborative metacognition is metacognition that can be identified as a result of contributing to or participating in collaborative activities. These factors can influence the expression of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competencies and help lead to successful problem solving by encouraging mathematical activities to collaborate when working as a team in the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The instructional guidelines derived from the Delphi survey were more specific than Nelson's general instructor implementation method and consisted of instructional guideline element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s subjects. As a result of the case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competencies and collaborative metacognition in actual classes are as follows. The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competencies served as a scaffolding between students, allowing them to explore each other and discover mathematical methods and strategies. It is possible to have sufficient thinking necessary for solving mathematical problems and to be able to access problem solving while raising and answering mathematical questions about the problems. In order to understand the problem, it not only establishes a shared understanding of the problem, but also expands the mathematical concept of the team members by confirming each other's prior knowledge and related concepts and recalling similar problems. The factor of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competencies in mathematics subjects helped to derive solutions in the process of solving mathematical problems and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team members' mathematical understanding, mathematical thinking, and attitude. In the mathematics subjects, collaborative metacognition influenced the ability to collaborate with peers in mathematical activities when working as a team in the process of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Students recognized different prior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problems to help connect, and explained and criticized problem solving methods to reason and justify. In addition, it was possible to develop a solution through checking and verifying the solution process and understanding of team members. This collaborative metacognition has an effect on the expression of mathematical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competencies, and has also directly helped solve mathematical problem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llaborative metacognition that leads to successful problem solving in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and the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competencies that influences the collaborative metacognition at each stage of problem solving is as follows. Although collaborative metacognition is expressed less than the number of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competencies, it has been spread to a wider variety of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competencies by interacting with the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competencies. Collaborative metacognition and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competencie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problem solving process while being influenced by each other and helped to derive a high-quality solution. In addition, the creation of an integrated VEE Diagram enabled the expression of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competencies and collaborative metacognition, leading to highly complete problem solving.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competencies, collaborative metacognition, and output in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are as follows. The more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competencies and collaborative metacognition activities were, the better the team output was. In addition, it led to a successful solution when the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competencies and collaborative metacognition were uniformly distributed throughout all four stages of problem solving. This study was able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by using factors that emerge from the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in mathematics subjects.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in mathematics subjects and to understand the important role of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competencies and collaborative metacognition in the process.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that the factors that serve as the criteria for analyzing, describing, and giving feedback on collaborative activities in the process of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are specified. The author expects that this study will help practically for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classes in the school field and help develop individual competencies for students. 사회 다변화와 맞물려 학교 수학에도 정형적인 문제 풀이를 넘어서 다양한 해결 방법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답이 나올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이 강조되고 있다. 각 학생의 다양한 사전 지식과 경험들을 기반으로 협력을 통해 다양한 문제해결 방법을 협의하는 과정은 문제해결을 성공적으로 이끌 수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핵심역량을 갖춘 창의·융합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핵심역량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그 중 공동체 역량은 지역∙국가∙지구촌의 구성원으로서 요구되는 가치와 태도를 수용하고 실천하는 능력, 지역적∙국가적∙세계적 차원의 다양한 문제해결에 책임감을 갖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능력, 다양한 사람들과 원만한 관계를 가지고 협업하고 상호작용하는 능력, 다른 사람들을 배려하며 함께 살아갈 수 있는 능력 등을 의미한다(교육부, 2015). 수학과 교육과정의 교수∙학습 방향에서도 협력 학습과 협력적 문제해결 과제를 명시하고 있어 협력적 문제해결 과제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와 같이 교육과정의 방향에 맞물려 최근 들어 협력적 문제해결에 대한 선행연구와 수학 교과에서의 협력적 문제해결에 대한 연구들이 더욱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수학 교과의 협력적 문제해결 과정에서 협력적 문제해결 역량과 협력적 메타인지 특징을 분석하기 위해 PISA 2015의 협력적 문제해결력 분류를 틀로 하여 수학 교과의 고유성을 갖는 요소를 도출하였다. 수학 교과의 협력적 문제해결 과정에서 어떤 역량이 수학적 문제해결에 영향을 주는지 수학적 문제해결 역량이나 수학적 사고의 특성을 기술하고 측정, 학생들에게 피드백 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이 마련될 필요성이 있다. PISA 2015의 일반적인 협력적 문제해결력을 기반으로 수학 교과의 특성을 살린 구체화된 협력적 문제해결 역량 요소, 협력적 메타인지 요소, 협력적 문제해결을 지도하기 위한 교수적 지침을 델파이 조사를 통해 도출하였고, 사례 연구를 통해 협력적 문제해결의 성공적인 해결을 위한 과정에서 어떤 요소가 나타나는지, 그 특징과 각 요소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요소를 사용하여 협력적 문제해결의 성공적인 해결안을 도출하는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협력적 문제해결 과정과 그 특징을 구체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수학 교과의 협력적 문제해결 과정을 구성하는 요소는 무엇인가? 2. 수학 교과의 협력적 문제해결 과정에서 나타난 협력적 문제해결 역량과 협력적 메타인지 특징은 무엇인가? 3. 수학 교과의 협력적 문제해결 과정에서 나타난 협력적 문제해결 역량과 협력적 메타인지의 관계는 어떠한가? 델파이 설문조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학생들의 협력적 문제해결 과정을 분석하는 틀로 사용되었다. 델파이 조사 결과 도출된 협력적 문제해결 과정에서 교수적 지침을 반영하여 수업을 설계하였고, 협력적 문제해결에 적합한 비구조화된 과제를 개발하여 고등학교 1학년 12명의 학생들에게 적용한 과정과 산출을 사례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델파이 조사에서는 수학 교과 협력적 문제해결 역량은 탐색과 이해 단계에서 6개, 표현과 형식화 단계에서 6개, 계획 수립과 실행 단계에서 9개, 모니터링과 반성 단계에서는 9개로 총 30개 요소가 수학 교과 협력적 문제해결 역량으로 도출되었다. 연구에서 도출한 협력적 문제해결 역량 요소는 수학 교과 측면에서 문제의 조건을 이해하고 다양한 해결 방안을 탐색, 수학적 해결안을 추론, 정당화하는 등 수학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협력적 문제해결 역량이 무엇인지 구체화하여 보여준다. PISA 2015에서 제시한 일반적인 협력적 문제해결의 역량이 수학 교과에 적용되어 더욱 구체적이고 세분화되어 구성되었고, 수학 교과의 특성이 강조되었다. 협력적 메타인지는 탐색과 이해 단계에서 3개, 표현과 형식화 단계에서 4개, 계획 수립과 실행 단계에서 8개, 모니터링과 반성 단계에서 7개의 세부 요소로 총 22개 요소가 도출되었다. 연구에서 도출된 수학 교과에서 협력적 메타인지는 협력적 활동에 기여하거나 협력적 활동에 참여한 결과로 나타나는 것으로 식별될 수 있는 메타인지이다. 이러한 요소들은 협력적 문제해결 과정에서 팀 활동을 할 때, 수학적 활동을 협력할 수 있게 장려할 수 있어서 협력적 문제해결 역량의 발현에 영향을 주고, 성공적인 문제해결을 도출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학생 간에 서로 다른 사전 지식과 문제에 대한 이해를 인식하여 연결을 돕고, 문제해결 방안에 대한 추론, 정당화 과정을 설명, 비판, 정교화하고 조절할 수 있게 한다. 또한, 검증과 평가를 통해 해결안을 발전시킬 수 있게 하는 요소들로 구성되었다. 협력적 문제해결에서 교수적 지침은 탐색과 이해 단계에서 9개, 표현과 형식화 단계에서 10개, 계획 수립과 실행 단계에서 7개, 모니터링과 반성 단계에서 6개의 세부 요소로 총 32개 요소가 도출되었다. 델파이 조사 결과 도출된 교수적 지침은 Nelson의 일반적인 교수자 실행 방법보다 구체적이고 수학 교과 특성이 반영된 교수 지침 요소로 구성되었다. 사례연구 결과, 실제 수업에서 나타난 협력적 문제해결 역량과 협력적 메타인지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협력적 문제해결 역량은 서로 탐색하고 수학적 방법, 전략을 발견할 수 있게 팀원 간 비계 역할을 하여 수학 문제해결에 필요한 사고를 충분히 하고 문제에 대한 수학적 의문을 제기하고 답변하면서 문제해결에 접근할 수 있게 하였다. 문제를 이해하기 위해 사전 지식 및 관련 개념을 서로 확인하고 유사문제를 상기시킴으로써 문제에 대한 공유된 이해를 수립할 뿐 아니라 팀원들의 수학적 개념도 확장시켰다. 수학 교과의 협력적 문제해결 역량 요소는 수학 문제해결 과정에서 해결안 도출에 도움을 주고 팀원들의 수학적 이해를 높이고 수학적 사고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수학 교과에서 협력적 메타인지는 협력적 문제해결 과정에서 팀 활동을 할 때 협력할 수 있게 영향을 주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서로 다른 사전 지식과 문제에 대한 이해를 인식하여 연결하였고, 문제해결 방안에 대해 추론, 정당화하기 위해 설명, 비판하였다. 또한, 해결 과정 및 팀원들의 이해도 점검과 검증을 통해 해결안을 발전시킬 수 있었다. 이러한 협력적 메타인지는 수학 협력적 문제해결 역량의 발현에 영향을 주고, 수학 문제해결에도 직접적인 도움을 주었다. 협력적인 문제해결에서 성공적인 문제해결을 이끄는 협력적 메타인지와 문제해결 단계별로 협력적 메타인지에 영향을 주고받는 협력적 문제해결 역량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협력적 메타인지는 협력적 문제해결 역량 발현 수보다는 적게 발현되지만 협력적 문제해결 역량과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더 다양한 협력적 문제해결 역량으로 확산시켰다. 협력적 메타인지와 협력적 문제해결 역량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문제해결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완성도 높은 해결안을 도출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또한, 통합 VEE Diagram을 작성을 통해 협력적 문제해결 역량과 협력적 메타인지의 발현을 활성화시켰고 완성도 높은 문제해결로 이끌었다. 협력적 문제해결에서 협력적 문제해결 역량, 협력적 메타인지, 산출물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협력적 문제해결 역량과 협력적 메타인지 활동이 많을수록 팀 산출물의 결과는 우수했다. 또한, 문제해결 4단계의 모든 단계에 걸쳐 협력적 문제해결 역량, 협력적 메타인지가 빠짐없이 골고루 나타났을 때 성공적인 해결안을 이끌었다. 본 연구는 수학 교과의 협력적 문제해결 과정에서 발현되는 요소를 사용하여 협력적 문제해결 과정의 특징을 구체화하여 살펴볼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수학 교과 협력적 문제해결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그 과정에서 협력적 문제해결 역량과 협력적 메타인지의 중요한 역할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협력적 문제해결 과정에서 협력적 활동을 분석, 기술하고 피드백할 수 있는 기준이 되는 요소를 구체화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수학 교사들에게 수학 교과에서 협력적 문제해결 수업에 대한 시사점을 주었을 것이라고 생각하며 앞으로 수학 교과에서 협력적 문제해결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이를 통해 학교 현장에서 협력적 문제해결 수업에 실제적인 도움을 주고, 학생들 개인의 역량 계발에도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 남녀 대학생의 부·모와의 관계 및 성격특성이 친구관계에 미치는 영향 : 성격특성의 중재역할

        윤미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relationship with parents, personality trait and friendship. A total of 373 college students (mean age=20.45, 53.6% girls) participated in this study. College students filled out a set of questionnaires, including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Revised Version (Raja, McGee & Stanton, 1992) and International Personality Item Pool (Goldberg, 1999).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with parents, friendships, neuroticism, agreeableness and conscientiousness as a function of sex of college students. Female college students obtained higher scores on the relationship with parents, friendship, neuroticism and agreeableness; whereas, male college students perceived higher conscientiousness. However, there were no sex differences of college students in openness to experience and extroversion. Second, the relationship with parent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friendship. This study shows that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are equal in terms of having a positive experience with parents resulting in a positive experience with friends. Third, in case of male college students, extroversion, openness to experience, agreeableness and conscientiousnes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friendship. However, when it comes to female college students, extroversion and agreeablenes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friendship; whereas, neuroticism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friendship. Finally, the moderating effect of conscientiousness of male college students was found in the link between the relationship with parents and friendship. As far as female college students are concerned, the moderating effect of extroversion was found in the link between the relationship with mother and with friends. The current study confirms the importance of the relationship with parents and personality trait for college students' friendships. The findings also suggest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 serves an important role in childhood as well as throughout college. 본 연구의 목적은 남녀 대학생의 부모와의 관계 및 성격특성과 친구관계 간의 관계를 탐색하고, 부모와의 관계와 친구관계 간의 관계에서 성격특성이 중재역할을 하는지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위치한 대학교 1, 2학년에 재학 중인 373명의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부모와의 관계, 친구관계 및 성격특성에 관한 자기 보고용 질문지를 배부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대학생의 부모와의 관계와 친구관계는 Armsden과 Greenberg(1987)가 제작한 부모 및 또래 애착 척도(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IPPA)를 Raja, McGee와 Stanton(1992)이 수정한 개정본(IPPA-R)을 옥정(1998)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대학생의 성격특성은 IPIP(International Personality Item Pool)(Goldberg, 1999)를 유태용, 이기범, Ashton(2004)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문제 분석을 위해서는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녀 대학생의 부모와의 관계와 친구관계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남녀 대학생 모두 부모와의 관계와 친구관계는 정적상관으로 아버지와의 관계 및 어머니와의 관계가 친밀할수록 친구관계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녀 대학생의 성격특성과 친구관계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남자 대학생의 경우, 성격특성 중 외향성, 친화성, 개방성, 성실성은 친구관계와 정적상관으로 외향성, 친화성, 개방성, 성실성이 높을수록 친구관계가 친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자 대학생의 경우, 성격특성 중 외향성과 친화성은 친구관계와 정적인 관련성이 있으며, 신경증과는 부적인 관련성이 나타났다. 즉, 외향성 및 친화성이 높을수록 친구관계는 좋은 반면, 신경증이 높을수록 친구관계는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와의 관계와 친구관계에 있어서 성격특성의 중재역할을 살펴본 결과, 남자 대학생의 경우, 아버지와의 관계 및 어머니와의 관계와 친구관계에서 성실성이 중재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아버지와의 관계 및 어머니와의 관계가 친밀한 경우에는 성실성이 높을 때 친구관계가 좋았으며, 아버지와의 관계 및 어머니와의 관계가 좋지 않을 경우, 성실성이 낮을 때 친구관계가 좋았다. 한편, 여자 대학생의 경우, 어머니와의 관계와 친구관계에서 외향성이 중재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어머니와의 관계가 친밀한 경우에는 외향성의 높고 낮음에 따라 친구관계의 친밀도에 차이가 없으나, 어머니와의 관계가 좋지 않을 경우, 외향성이 높으면 친구관계는 좋은 반면, 외향성이 낮으면 친구관계는 좋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아버지와의 관계 및 어머니와의 관계는 남녀 대학생 모두의 친구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격특성 중 외향성, 친화성, 개방성, 성실성은 남자 대학생의 친구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한편, 외향성, 친화성, 신경증은 여자 대학생의 친구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자 대학생의 경우, 아버지와의 관계 및 어머니와의 관계에서 성실성이 중재역할을 하며, 여자 대학생의 경우, 어머니와의 관계와 친구관계에서 외향성이 중재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부모와의 관계와 성격특성이 대학생의 친구관계를 예측하는 주요변인임을 확인하고, 성격특성의 하위요인 중 성실성과 외향성이 부모와의 관계와 친구관계 간의 관계에서 중재역할을 한다는 것을 규명하는 한편, 부모-자녀 관계가 유아기나 아동기 및 청소년기뿐만 아니라 청년기인 대학생 시기에도 중요함을 재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관상동맥질환자의 퇴원교육 내용 개발

        윤미선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관상동맥질환자의 질병 및 치료에 대한 이해와 퇴원 후 건강유지, 합병증 예방 및 재발 위험요인 등의 교육 요구도를 만족시키고 생활습관 개선으로 합병증 예방 및 재발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구조화된 퇴원교육 내용을 소책자로 개발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본 연구는 관상동맥질환 관련한 문헌고찰을 통해 파악된 26개의 교육 요구 항목을 기초로 2006년 4월 19일부터 6월 14일까지 경기도 일산 소재의 1개 종합병원의 심장혈관계집중치료실에 관상동맥질환으로 입원한 8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퇴원 전에 어떤 내용을 교육받기 원하는지에 대한 퇴원교육 요구도를 조사하여 교육 요구도가 80%이상인 항목을 퇴원교육 내용 개발 항목으로 선정하였다.선정된 항목에 대한 학습목표 설정과 예비 교육내용을 작성하여 각 항목에 대한 4명의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내용 타당도를 파악하였고 4명의 관상동맥질환자를 대상으로 교육 내용의 내용 난이도를 파악한 결과 전체 항목에 대해 80% 이상이 퇴원교육 내용으로 타당하다고 응답한 내용을 선정하였고, 부분적 수정이 필요한 항목과 추가 항목에 대한 어휘 및 내용을 수정 및 보완하여 최종 완성하였다.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1. 관상동맥질환과 관련된 문헌고찰을 통한 교육 요구 항목은 해부, 생리, 진단, 질병정의, 원인, 증상, 응급대처, 치료방법, 합병증과 예방법, 진행과정 및 예후, 위험인자, 스트레스, 금연, 음주, 투약, 식이, 활동, 운동, 심장 재활 프로그램 참여, 휴식, 생활양식의 변화, 성생활, 직장복귀, 정기적인 병원방문, 추후관리, 지지체계 관련 내용으로 파악되어 이를 기반으로 대상자의 퇴원교육 요구도 조사 설문지를 개발하였다.2. 관상동맥질환자의 퇴원교육 요구도를 조사한 대상자는 평균 연령이 66세로 직업이 없는 사람이 더 많았으며, 협심증이나 심근경색증으로 입원한 횟수는 1회가 가장 많았다.총 32항목 중 이들 대상자의 교육 요구도가 80% 이상인 항목은 질병의 특성 영역의 심장의 모양과 기능, 정확한 진단명, 질병의 원인, 증상, 진행과정과 예후, 위험요인 및 관리 영역의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합병증 예방 영역의 합병증 및 예방법, 치료 영역의 치료방법, 약물요법 영역의 약의 사용목적 및 복용방법, 약의 부작용과 올바른 대처법, 식이요법 영역의 식이조절이 필요한 이유, 제한해야하는 식이와 그 이유, 운동 및 일상생활 영역의 도움이 되는 운동과 금해야 되는 운동, 추후관리 영역의 재발 가능성, 즉시 보고해야 하거나 병원에 방문해야 하는 위험한 증상 및 대처방법, 정기적인 병원 방문에 대한 항목이었다.3. 위험요인 및 관리 영역의 흡연은 51%로 요구도가 낮았으나 관상동맥질환을 일으키는 4대 주요 위험요인 중의 하나로 포함하여 퇴원교육 내용을 개발한 후 전문가 집단의 평가를 통해 수정보완 하였고 대상자의 난이도 검증을 하였다.4. 최종 퇴원교육 내용은 8개 영역의 30개 항목으로 다음과 같았다.심장의 구조와 기능 영역은 정상적인 심장의 모양과 위치, 심장의 내부 구조, 심장의 기능, 관상동맥에 대하여, 질환의 특성 영역은 관상동맥질환의 정의, 예후, 원인, 진행과정, 분류, 증상에 대하여, 위험요인 및 관리 영역은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흡연에 대하여, 합병증 예방 영역은 흔한 합병증과 합병증 예방법에 대하여, 치료방법 영역은 약물요법, 관상동맥 중재 시술, 수술요법에 대하여, 식이요법 영역은 식이조절의 필요성, 식이요법의 기본수칙, 식단 계획 시 식이조절을 위한 식품 선택에 대하여, 운동요법 영역은 운동의 심장에 대한 효과, 운동량 결정을 위한 5가지 요소, 성공적인 운동을 하기 위한 요령, 맥박 측정 방법, 목표 맥박 수를 이용한 운동 강도 측정법에 대하여, 추후관리 영역은 재발 가능성, 위험한 증상과 대처방법, 정기검진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하였다.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퇴원교육 내용은 관상동맥질환자의 질병, 위험요인 관리 및 추후관리의 이해를 증진시키는데 큰 도움이 되어 생활습관 개선을 통한 합병증, 재발률 및 사망률의 감소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음악대학 국악과 거문고 전공실기 교육과정 실태조사 분석

        윤미선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an actual state of a Geomungo performance curriculum in the departmen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t music colleges and to find out both organized and efficient ways to grow Geomungo performers.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the convenience sampling was adopted and a total of five colleges out of 24 music schools of Geomungo department were selected to be a research object. The Geomungo curriculums of those five colleges were compared and anlayzed while a survey to learn activities of 100 professional Geomungo performers in concert parties, schools and other private organizations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the five different Geomungo performance curriculums, it was found out that those curriculums are supposed to be divided into three fields as the classical music, the solo and the creative music. In addition, for a graduation concert, those Geomungo majors at the five colleges would pick three pieces (one from the classical music, one from the solo and one from the creative music) and master the pieces until the graduation. Each college, however, appeared to have a different educational weight (educational contents) on those three music fields in the curriculum. Add to that, in order to keep up with the demands from the 21st global age, all the colleges in the study greatly increased the importance of the creative music in the current Geomungo performance curriculum. For the survey on the actual state of the Geomungo performance curriculum in the departmen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t music colleges, a total of three main topics as the curriculum satisfaction, performance curriculum contents and practical subjects contents of Geomungo an lastly, expertise and real conditions of Geomungo performers were discussed. 100 professional Geomungo performe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Geomungo performance curriculum satisfaction, 55% of the professional Geomungo performers answered 'average' while they responded that this performance curriculum is the most important subject of all the other Geomungo relevant subjects for it would have students experience and learn the instrument as much personally as possible. Second, according to the professional Geomungo performers, sessions for the performance and teaching should be increased even more than now in order to raise professional Geomungo performers. As the most popular Geomungo performance textbooks,『Three Geomungo Solo Backgrounds』,『Surijae, Geomungo Solo Collection』and『Classical Geomungo Music』were picked while the students would also refer to other pieces or textbooks recommended by a professor including『Classical String Music』. Regarding topics that would be emphasized the most in the performance class, the performers came up with the five ones as the tone-creating, the fingering, techniques, playing postures and dynamic. 38% of the professional performers added that the Geomungo performance curriculum should have a new educational objective, which is to 'expand activity area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majors.' Third, the professional Geomungo performers answered that the competent performing techniques should be the most important qualification for a Geomungo performer. 49% of those professional Geomungo performers in the study believed that Geomungo performers should work harder than now to improve their techniques. For a question for why they would have a relatively little confidence in a certain field, 35%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it was because their lack of ability. In addition, the respondents also said that a performer's qualification is built up based on a solid support from a college, the performer's performing experience and the performer's own hard work as well. Those professional Geomungo performers believed that a Geomungo performer should do one's best with the performance class if one wants to be good at playing the Geomungo. In order to develop a choice and performing ability of Geomungo performers, the respondents said that first, the sessions of the performance class should be increased and second, the students should get an individual, systematic and efficient performing education via any subspecialized performance classes. Not only that, the professional Geomungo performers in the study emphasized that those Geomungo majors should understand the spirit of Geomungo, the importance of Geomungo music and Geomungo theoretical knowledge while they are given a chance to take a Geomungo performance and theory curriculum that would be specialized and globaliz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above, the study suggests not only that the students should receive a more profound performance education with more time given for each piece but also that the music schools should increase performance class and the teaching class sessions. In addition, in order to keep up with flows of the 21st global age, any following studies in the future should focus on how to expand Geomungo performers' musical experience as those studies discuss developments of Geomungo teaching methods and Geomungo education systems. That way, a new special performance curriculum made of various performances and theories would be built with new textbooks and new teaching methods proper for a new Geomungo special course developed. In the following studies in the future, efficient ways to deliver Geomungo knowledge to the students will be also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대학 국악과 거문고 전공실기 교육과정에 대한 실태를 조사하여 이를 분석함으로써 거문고 연주가 양성에 있어서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교육과정의 보완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편의표집(convenience sampling) 방법으로 우리나라 음악대학 국악과 24개교 중 거문고 전공을 운영하고 있는 5개 대학교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5개교의 거문고 전공실기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고 거문고를 전공으로 대학을 졸업한 후 현재 각 연주단체 교직 개인활동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는 거문고 전문인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5개 대학교의 거문고 전공실기 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 기본적으로 정악· 산조·창작곡 분야로 나누어 운영 되었다. 그리고 졸업연주회 준비를 위해 개별적으로 3곡(정악 1곡·산조 1곡·창작곡 1곡)을 선정하여 이수할 수 있도록 계획되어 있었으며 각 대학별로 비중 있게 다루는 음악 분야와 교육과정(이수내용)의 양이 차이를 보였다. 또한 21세기 글로벌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현재의 거문고 전공실기 교육과정의 창작곡 구성 비율이 상당히 증가하였다. 음악대학 국악과 거문고 전공실기 교육과정의 실태조사를 위한 설문은 거문고 전공실기 교육과정의 만족도, 거문고 전공실기 및 실습교과 내용, 거문고 연주가들의 전문성 및 실태 세 부분으로 구성되었고 100명의 거문고 전문인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거문고 전문인들은 거문고 전공실기 교육과정의 만족도에 대해서 55%의 ‘보통이다’라는 응답을 보였으며 음악대학 국악과 교육과정 중 가장 많은 경험과 학습이 이루어지고 교육과정에 개설된 교과 중 가장 중요한 교과목으로 전공실기 수업이라고 응답하였다. 둘째, 거문고 전문인들은 전문적인 거문고 연주가 양성을 위해 거문고 전공실기 이수시간과 지도시간의 배정을 현재보다 더 늘려야 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거문고 전공실기 수업의 교재로 『거문고 산조 세바탕』,『거문고 독주곡집 수리재』,『정악 거문고보』, 교수가 선택한 작품이나 교재,『현금정악』을 선택하였고 거문고 전공실기 수업시간 가장 중점을 두는 지도 방법의 종류로는 음색 만들기, 운지법, 테크닉, 연주 자세, 다이나믹 이라고 응답하였다. 그리고 앞으로 거문고 전공실기 교육과정이 지향해야 할 교육목표로 ‘국악 전공자의 활동영역 확대’라고 38%의 거문고 전문인들이 응답하였다. 셋째, 거문고 전문인들은 거문고 연주가의 전문적인 연주 능력을 가장 중요하게 보았으며, 49%의 거문고 전문인들이 자신의 연주력에 대해 때에 따라 한계가 있거나 대체로 부족하다고 생각하였다. 자신 없는 분야에 대한 이유로는 자신의 능력 부족 때문이라고 35%가 응답하였다. 그리고 대학에서의 충분한 바탕 마련과 연주 경험, 연주가 자신의 노력을 통해 연주가의 자질 향상이 이루어지며 거문고 전문 연주가 자질의 증진을 위해 중요한 과목이 전공실기라고 답했다. 또한 거문고 연주가들의 선택의 폭 내지는 연주 능력 증대를 위해 전공실기 교육의 시수 확대와 더불어 세분화된 전공실기를 통해 전통과 창작의 각 음악분야에 맞는 차별적·체계적·효과적인 연주 교육, 거문고의 정신과 거문고 음악의 중요성 및 이론적 지식 교육, 전문화 · 세계화 된 실기 및 이론의 교육과정 등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각 악곡마다 충분한 시간을 갖고 보다 심화된 실기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전공실기 이수시간 및 지도시간의 배정을 늘릴 것을 제안한다. 그리고 21세기 글로벌 시대적 흐름에 맞추어 음악적 경험의 폭을 넓힐 수 있도록 다양한 실기와 이론적 분야가 통합된 전공실기 교육과정에 적합한 교재 및 교수법 개발, 거문고에 대한 효율적 지식을 전달하는 학습과정의 거문고 전문 교육자 과정으로서 거문고 교수법 개발, 교육 시스템 개발 등의 후속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