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노인여가 활성화와 복지정책의 발전방안

        임원숙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35423

        우리나라 대부분 노인들의 여가에 대한 인식은 즐겁고 창조적이라 여기기보다는 그저 시간을 보낸다는 인식을 갖고 있으며 특히 지금의 노인들은 사회적 역사적으로 볼 때 기본 생계에만 매달리며 살아왔던 세대이기 때문에 더더욱 여가에 대한 인식이 제한적이라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여가에 대한 경험 및 인식부족과 경제적 어려움이나 건강상의 이유로 인하여 여가시간을 활용하는데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기에 사회적으로 소외 되어있는 노년생활을 보다 탄력적인 삶으로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집단 활동 등의 여가 활동이 올바르고 건전하게 제시되어 규칙적이고 조직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함으로써 노인들이 보다 즐겁고 보람 있게 보낼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의 노인여가활동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주요 선진국의 노인여가 복지정책과 노인들의 여가생활을 위한 국내외 노인복지정책을 비교 고찰하여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들이 삶의 가치와 생의 의욕을 갖고 보다 바람직하고 만족스러운 여가생활을 통해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노인여가활동의 활성화와 복지정책의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문헌연구고찰을 위주로 하였으며, 국내외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논문, 각종 통계자료 보건가족복지부, 정부기록물자료, 인터넷사이트 등을 통한 노인여가활동의 현황 등을 파악하였으며, 전문가 의견 등을 참고하여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고, 노인들을 위한 지속적인 노후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 노인여가 발전방안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우리나라 노인 여가생활의 문제점으로는 뚜렷한 정책부재, 여가 프로그램의 단순화, 여가생활에 대한 사회의 인식부족, 노인 자신이 노후여가에 대한 계획부재, 노인을 위한 여가시설 미비 등을 들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자신의 여가활동에 대한 주체성이 결여되어 있다는 것이다. 둘째, 노인을 위한 여가 프로그램의 개발이 미진하다는 것이다. 셋째, 노인여가에 대한 정부의 정책적 노력이 미비한 상태인데 이는 노인들의 여가활용을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보조하는 시책과 맞춤 서비스가 부족하다는 것이다. 넷째, 노인여가 시설의 미비로 시설에 대한 시간적. 공간적 접근이 용이하지 못하다는 점이 있는데, 이는 정부의 정책 지원의 뒷받침이 부족하여 노인 여가 시설이 부족하고 더불어 시설의 노후화 등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다섯째, 여가문화에 대한 우리나라 사회문화의 절대적인 인식부족으로 노인이 여가활동을 하는데 있어서는 가족구성원의 배려와 지역사회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한데 노인에 대한 배려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노인여가 정책은 고령화 사회의 노인문제를 해결하고 노인들의 평생여가 정책 일환으로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재정, 시설, 프로그램 및 지도자를 배치하여 노인의 여가생활을 통한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해 가는 방향으로 전개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노인 여가정책과 관련하여 가장 시급한 것은 노인 종합정보센터의 구축이라고 할 수 있다. 노인들을 위한 지속적인 노후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 여가프로그램의 참여기회를 증진시키고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가프로그램 참여기회 증진 방안으로 먼저, 중앙 및 지방정부가 지속적인 고객관리 차원으로 노인에 대한 복지수준 특히 직접 참여하는 프로그램의 수준을 향상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노인 종합정보센터 구축을 통한 여가활동 유도로 노인 관련 지역시설과 프로그램, 교육관련 정보, 노인관련 상담 및 의료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는 노인 종합정보센터의 구축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겠으며, 노인여가 정책의 통합적인 운영이 필요 하다. 둘째, 프로그램의 개발 및 보급이다. 특히 노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여가프로그램을 개발함에 있어서는 해당노인의 연령, 성별, 생활수준, 교육정도, 건강상태, 취미의 성향에 따라 각기 다르다는 점을 유의하여 가급적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노력이 있어야 한다. 셋째, 노인여가 활동 환경조성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먼저, 경로우대 제도의 확충을 들 수 있겠다. 노인의 여가 생활을 지원하기 위해 소득, 건강 지원 노력과 함께 경로 우대 제도의 활성화가 모색되어야 한다. 다음은 자원봉사활동 참여의 활성화이다. 노인의 자원봉사 참여는 노년기의 생활을 더욱 풍요하게 하며 생의 만족감을 높이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므로 “새로운 일을 위해서 퇴직했다.”는 자세로 자아실현과 사회발전에 참여하는 자세를 길러주어야 한다. 그리고 노인들이 자유롭고 적극적으로 노인여가복지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가족들의 협조와 노력이 중요하다. 넷째, 전문가의 양성이다. 노인여가 프로그램을 개발, 진행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을 적극 양성해야 한다. 특히 특정 분야의 경험과 지식을 가진 노인들을 발굴하여 교육함으로써 노인 여가 지도자로서 활용하는 방법도 적극적으로 모색되어야 한다. 다섯째, 여가 활동기회의 평준화이다. 노인들은 경제적, 사회적, 심리적 이유 등으로 여가복지 서비스에 대한 참여 기회가 차등화 되고 있다. 국가와 지방자치 단체와 사회복지단체들은 여가서비스 기회를 평준화 할 수 있도록 각별히 신경을 써서 지원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현재와 미래의 우리나라 노인여가 활동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노인들의 여가 중요성 인식을 제고하고 여가활동에 필요한 기술 등을 제공하는 노인여가 교육의 확대실시, 또한 노인의 욕구에 부합되는 현실적인 노인시설의 확보와 개선 및 그들의 요구와 흥미를 반영하는 다양한 여가 프로그램의 개발 및 보급이 매우 긴요한 실정임을 감안할 때 과감히 사회 자본을 확대해 가는 결단이 이 있어야 할 것으로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nditions of elderly people's leisure activities and address their problems and thereupon, compare our elderly welfare policies with advanced nations' ones and thereby, explore the ways to activate elderly people's leisure activities and develop the welfare policies for them in order to help them improve their life quality through more desirable and satisfactory leisure activities with enhanced life value and volition in the aging society.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reviewed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dissertations, various statistics, data published by Ministry of Health, Family and Welfare, government records, Internet site data, etc., to examine the conditions of elderly people's leisure activities, while polling experts' opin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particularly in terms of activation of elderly people's leisure activities for sustained improvement of their life quality; First of all, the problems of our welfare policies for elderly people's leisure activities are lack of clear policies, simple leisure programs, lack of societal awareness of elderly people's leisure activities, elderly people's poor leisure plan, shortage of the facilities for elderly people's leisure activities, etc. The methods of increasing elderly people's participation in the leisure programs and activating their leisure activities for sustained improvement of their life quality can be put forwards as follows; First, it is urgent to construct and operate a general elderly information center to encourage them to participate in leisure activities and provide them with regional facilities and programs, information about eduction, counseling and medical services, while integrating the polices for elderly people's leisure activities.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distribute the leisure programs. Third, it is essential to create an environment for activation of elderly people's leisure activities, focusing on expansion of the preferential system for the elderly people. Fourth, it is necessary to bring up the professionals. Namely, the professional manpower who can develop and operate the elderly people's leisure programs should be fostered. Fifth, it is necessary to make equal the opportunities for leisure activities. Since the elderly people are differentiated in terms of leisure welfare services due to financial, social or psychological reasons,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as well as social welfare groups are obliged to arrange the welfare policies and programs in consideration of the equal opportunities for leisure activities. In order to activate elderly people's leisure activities currently and in the future, it is required to be aware of importance of elderly people's leisure activities, expand the education programs for essential leisure skills, increase and improve the elderly facilities meeting their needs, develop and distribute a variety of leisure programs reflecting their needs and interests. To this end, it is deemed necessary to make a bold decision on expansion of the social capital.

      • 지역밀착형 노인복지체계에 관한 연구 : 재가노인복지를 중심으로

        조선혜 고려대학교 인문정보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35423

        고령화·고령사회에서 노인복지의 최대관심은 신체적 의존성이 있는 노인을 일상생활에서 보통사람의 생활에 접근시키는 노말라이제이션의 실현, 즉 잔존기능을 유지하면서 요수발중심의 수발서비스의 제공이다. 노인에 대한 수발서비스의 제공은 연구자에 따라 다양하나, 재가형 보호에 있어서의 서비스제공 방식은 지역밀착형이 점차 일반화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빠른 속도의 고령화와 노인단독가구의 증가, 여성의 사회진출확대, 그리고 노인에 대한 부양의식의 저하 등의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노인복지제도의 일환으로써 중요한 한 축으로 차지하고 있는 것이 지역밀착형 재가노인복지사업이다. 지역밀착형 재가노인복지사업은 여러 가지 이유로 일상생활을 혼자서 수행하기 곤란한 노인 및 가정에 대하여 필요한 각종 서비스를 제공함으로 노인이 안정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고, 가족의 수발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사회복지사업이다. 현재 재가노인복지사업은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한 지역사회복지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지역사회중심의 노인수발서비스와 재가 노인복지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이 필요하다. 첫째, 지역밀착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수발을 원활히 할 수 있는 인적·물적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 한정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수발서비스 제공이 용이한 환경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둘째, 재가형 밀착서비스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지역주민참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유인체계가 필요하다. 주민참가는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들에 대한 수발은 주민에 의해 해결한다는 의식의 확산과 복지활동에 참여를 통해 자아존중감 내지는 자긍심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셋째, 지역밀착형 복지서비스의 효과성·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케어 매니지먼트 기법의 활용이 절대적이다. 케어 매니지먼트는 다양하고 복합적인 욕구를 가진 노인들에 대해 각각의 상황에 따른 개별적인 원조 계획을 세워 노인들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하게 함에 유용한 방안일 수 있다는 점, 그리고 이들의 사회적 기능과 복지제고를 위해 노인들의 자원인 가족, 친구, 이웃 등의 비공식적인 자원과의 활동을 연계하여 대응케 함으로써 서비스 제공의 효과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 기법에 대한 연구와 인력양성이 필요하다. 넷째, 지방분권화 시대를 맞아 지방자치단체는 중앙정부의 복지정책 방향에 입각하여 사회복지정책을 지역적인 특성과 주민의 욕구 수요에 부응하도록 실시하는 것, 그리고 지역적 특수상황을 고려하여 지방자치단체가 독자적으로 복지사업을 계획하고 시행한다는 점에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이 중요하다. 지방자치단체 중심의 복지에 대한 문제점은 재정확보를 들 수 있으나, 그 지역의 사회적 자원을 적절히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지방자치단체의 노력과 복지에 대한 열정이 필요하다. 즉, 지방자치단체가 사회복지사업을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추진해 나가기 위해서는 해당 자치단체의 복지욕구와 자원 및 실태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장차 자치단체의 사회복지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명확한 견해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재정문제만을 부각하면, 지방정부가 할 수 있는 능력은 존재하지 않게 된다. 특히 도시에 비하여 지방의 인구고령화가 보다 심화되고 있기 때문에 사회적 수발서비스의 제공은 피해갈 수 없는 현실이 되었다. 2005년 7월에 모든 기초자치단체에는 지역사회복지협의체가 구성되어 있어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지역사회 내에서 일어나고 있는 기관과 시설들의 갈등문제, 자원의 조정문제, 관과의 협력문제, 지역주민과 사회복지인력에 대한 교육훈련사업, 연합모금 등의 사업을 실시함으로서 민관 파트너쉽(partnership)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기능이 될 것이다. 본 연구를 토대로 앞으로 지역밀착형 재가노인복지에 보다 실증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즉, 선진국의 지역밀착형 재가복지와 현재 우리나라의 재가노인복지와의 구체적인 비교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복지서비스의 수요자인 클라이언트 입정에서 그리고 복지제공자인 공공 혹은 민간기관의 입장에서의 서비스 효과성과 효율성을 상세하게 분석하는 연구를 통해 한국의 노인복지가 한층 성숙해지는 계기가 필요하다.

      • 노인전문사회복지사제도의 필요성과 도입방안 :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와 관련하여

        김윤경 경희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35423

        The aging speed of our country which has entered the aged society as the population of 65 year old senior citizens has exceeded 7% in 2000 is progressing by an unprecedented quick speed throughout the world. While the interest toward the aged is growing rapidly in gear with this trend and the problem of the aged followed by increase of aged population, the interest toward elderly welfare is getting increased. The Ministry of Welfare is trying to expand the elderly sanitarium facility or home welfare services and enforce a system called 'health caretaker' by introducing the「Elderly Long Term Care Insurance」and preparing a comprehensive countermeasure for the aged to cope with such problems. As the opinion that elderly specialists are needed is increasing out of necessity to enforce this law, the caretakers and elderly social workers have been trained by non-official qualifications centered on field workers or university professors, the reality is that such education is lacking in organization or education and qualification management while similar organizations are scattered in random because such training is provided by private organizations. At a point of facing the enforcement of Elderly Long Term Care Insurance, the situation is that workers who are only in charge of professional nursing and caring are needed in reality for the aged people who are in need of protection. Moreover, because the reality is that government would even systematize the 'health caretaker' in addition giving a government authorized qualification if the education time of certain period has been completed, the fact that related professional workers are necessary is recognized by everyone. In case of elderly welfare services, it is hard to expect satisfactory results if the professional workers are not ensured qualitatively or quantitatively even if the excellent facility or services are expanded and the method of raising expenses such as public or private care insurance policy, etc have been adopted. But just by looking at the fact that our country is trying to import the system called 'health caretaker', the reality is that the awareness toward necessity of professional workers on the field of aged people is still lacking and because the service is remaining at a beginner stage as it is lacking compared to the desire and demand of the elderly as the lower structure for providing services is insufficient, we must diversify the facilities providing elderly welfare while systematizing professional workers providing elderly welfare as government authorized license and raising them systematically by going through a certain curriculum and evaluation process by raising the awareness toward the necessity of elderly welfare for it to provide a diverse and professional services for feeble and handicapped old people. Therefore, this thesis has examined the system of providing services for healthy aged people as well as the aged people who are in need of protection, the system of elderly welfare related providers that are scattered at random and also examined the necessity and introduction plan of elderly professional social worker system. The introduction plan of elderly professional social worker system presented through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lthough the professional social workers have been imported as national qualification system through the amendment of social welfare business law, because the professional social workers couldn't be adopted by each field and area followed by the system, the elderly professional social worker system must be legislated by elderly welfare practice which is the method to provide the services of professionally and continuously satisfying various demands of aged people who are able to live ordinary life as well as the aged people who are in need of protection. Second, because the reality is that the conditions of social welfare job sites are unable to guarantee an environment to perform the job which sums up to the corresponding qualifications although the professionalism of social workers is being aimed at, I'd say that it is necessary to build an infrastructure for the field of social welfare. The elderly professional social workers would provide a specialized and professional service for the elderly and this would contribute to raising the quality of long term care insurance policy while contributing to the promotion of national welfare at the same time. Therefore, the elderly professional social workers are expected to make the standard of elderly welfare one step higher by protecting the interests of elderly and subjects of long term chronic diseases through professionalism and by coping actively with the changing environment and welfare demands. 2000년에 65세 노인인구가 7%를 넘음으로 고령화 사회로 진입한 우리나라의 고령화 속도는 세계적으로 유래없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이와 맞물려 노인에 대한 관심도 급속도로 높아지고 있고, 노인 인구 증가에 따른 고령자 문제도 사회적 관심을 불러 일으키고 있는 가운데 노인복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복지부에서는 이러한 문제에 대응하여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를 도입하여 노인에 대한 종합적인 대책방안을 마련하여 노인 요양시설이나 재가복지 서비스의 확충과 ??요양보호사??라는 제도를 실시하고자 하고 있다. 이 법 실행의 필요성으로 노인전문가가 필요하다는 의견들이 증가하면서 노인케어에 관심이 있는 현장의 실무자나 대학교수들을 중심으로 민간 자격으로 케어복지사와 노인복지사를 양성하였으나, 이러한 교육은 민간단체에 의해 양성되고 있어 체계성이나 교육 및 자격관리 면에서 미숙하고, 유사한 단체들도 난립하고 있는 실정이다.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시행을 앞두고 있는 시점에서 요보호를 필요로 하는 노인들에게 전문적으로 간병하고 수발만 담당하는 인력은 현실적으로 필요한 실정이며, 거기에 정부도 일정기간의 교육시간만 이수하면 국가공인자격을 주는 ??요양보호사??까지 추가적으로 제도화하겠다는 실정이므로, 이와 관련한 전문인력이 필요하다는 것은 모두가 인정하는 사실이다. 노인복지서비스는 아무리 좋은 시설과 서비스가 확충되고 공적 혹은 민간 요양보험제도 등의 비용조달의 방법이 강구된다 하더라도, 서비스를 직접 실천하는 전문 인력이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확보되지 않는다면 그 성과는 기대하기 어렵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노인복지는 ??요양보호사??라는 제도를 도입하고자 하는 것을 보더라도 노인 분야에 대한 전문가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아직도 부족한 실정이며, 서비스 제공을 위한 하부구조가 미비하여 노인들의 욕구와 수요에 비하여 서비스가 대단히 부족한 실정으로 초보적인 단계에 머무르고 있어 노인복지가 허약·장애 노인에게 다양하고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노인복지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제고시켜, 노인복지를 제공하는 시설을 다양화하고, 노인복지를 제공하는 전문 인력을 일정한 교육과정과 평가과정을 거쳐 국가공인자격증으로 제도화하고 체계적으로 양성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요보호 노인 뿐 아니라 건강한 노인에게 노인의 노인에 노인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난립해 있는 노인복지 관련 제공자 제도를 살펴보고 노인전문사회복지사 제도의 필요성과 도입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 저소득층 독거노인의 사회복지서비스 수요에 대한 연구 : 화성시 저소득층 독거노인을 중심으로

        나기현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35423

        본 논문은 경기도 화성시를 중심으로 저소득층 독거노인의 사회복지서비스 수요에 대한 연구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여기서 사회복지서비스란 도움을 필요로 하는 모든 국민에게 상담·재활·직업 소개 및 지도, 사회복지시설의 이용 등을 제공하여 정상적인 사회생활이 가능하도록 제도적으로 지원하는 것이며, 또한 사회서비스 중 사회복지서비스만을 특화하여 “국가·지방자치단체 및 민간부문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모든 국민에게 상담·재활·직업소개 및 지도·사회복지시설이용 등을 제공하여 정상적인 사회생활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제도”로 정의하기도 한다. 본 논문에서는 노인에게 주어지는 사회복지서비스를 재가복지센터나 복지관 서비스에 한정하지 않고 노인이 가정에서 일상생활의 의․식․주 문제와 정신적, 신체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모든 서비스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연구 분석틀은 다음과 같다. 종속변수에 해당하는 저소득층 독거노인의 사회복지서비스 수요가 선정되었고 통제변수로는 성별, 연령, 학력, 직업, 월 소득, 결혼여부, 종교, 자녀수, 독거여부, 건강상태, 경제적지원서비스 여부와 같은 인구사회학적 변수를 포함시켜 선정되었으며 독립변수인 욕구위계별 충족도가 선정되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화성시에 거주하고 계시는 2,911명의 저소득층 독거노인들이며 동탄 신도시,병점동, 안녕동, 화산동과 화성시청을 중심으로 남양동, 봉담읍, 향남읍, 우정읍, 송산면 등 독거노인 300명을 실시하여 285명이 수집되었는데 51명은 설문에 응했지만 설문내용중 혼자 산다고 해놓고 가족과 함께 산다는 다른 설문 내용의 답변 오류 등 51명을 제외하고 234명만 채택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Maslow의 욕구충족도와 사회복지서비스 수요 분석은 Maslow의 위계별 욕구충족 정도를 하위항목별로 분석한 결과 소속과 사랑의 욕구충족도가 평균 2.7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자존감의 욕구충족도가 2.71, 자아실현의 욕구 충족도가 2.69 순으로 높게 조사되었다. 반대로 욕구충족도가 가장 낮은 항목은 경제적 욕구 충족도로 평균값이 2.14로 매우 낮게 조사되어 욕구충족이 가장 낮은 단계로 경제적 욕구에 대한 불충족을 들 수 있었다. 이는 연구대상 집단이 저소득 독거노인으로 신체적 문제 등으로 인한 의료적 서비스 욕구가 상대적으로 높다는 것을 나타내는 결과라 하겠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사회복지서비스 수요 분석은 연령에 따른 사회복지서비스 수요의 차이의 경우 75~80세 연령의 독거노인이 상대적으로 사회복지서비스 수요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81세 이상이 높았으며 75세 이하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직업유무에 따른 사회복지서비스 수요의 경우 직업이 있는 경우는 평균 3.35인 반면 직업이 없는 경우는 3.88로 더 높게 나타났다. 이는 직업이 없을 경우 상대적으로 사회복지서비스 수요가 더 높게 나타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50만원 미만의 집단이 사회복지서비스 수요 평균이 4.17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소득이 50만원 이상이면 욕구는 감소하고 50만원보다 적으면 상대적으로 높아졌으며 대체로 소득과 사회복지서비스 수요 사이에는 반비례하다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로 밝혀졌다. 욕구충족 정도와 사회복지서비스 수요 관계 분석은 경제적 욕구 충족도와 하위 욕구 총족도 간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성립하였으나 사회복지서비스 수요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특히 경제적 및 일자리 서비스 수요와는 -.360(p<0.01)의 관계를 나타냈다. 이는 경제적 욕구가 어느 정도 충족되고 나면 1차적인 사회복지서비스 수요인 경제 및 일자리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감소한다는 결과를 드러내는 결과라 하겠다. 이상과 같이 욕구충족정도와 사회복지서비스 수요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욕구충족 정도가 사회복지서비스 수요에 미치는 영향 분석은 사회복지서비스 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실질적인 변수를 보면 경제적인 욕구충족, 안전의 욕구충족, 소속과 사랑의 욕구충족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하지만 자존감의 욕구충족, 자아실현의 욕구충족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독립변수에 욕구충족정도와 함께 인구사회학적 변수를 함께 넣고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보았으며 최적화될 모델을 산출한 결과 월소득을 포함한 6개 변수가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분석결과를 기초로 화성시 저소득층 독거노인의 사회복지서비스 수요를 위한 정책적 함의와 정책 제안 그리고 경제적으로 어려운 요즈음 화성시에서 독거노인들을 위한 사회복지 서비스정책설정에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Study goal of this thesis is to analyse the demands of the social welfare services of the poor aged who are living alone of Hwaseong city, Gyeonggi province. Hereby, Social welfare means helping all the citizens in terms of providing counseling, rehabilitation, job introduction and direction, and social welfare facilities that will aid them in leading a quality social life, moreover among social services, social welfare services can be specified as system that provides the consultation, job introduction and guidance, and social welfare facilities to make possible the normal social life of all citizens who seek help from national regional organizations or private sectors.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social welfare services given to the senior citizens are not limited only to the welfare center or the welfare home services. It covers whole supports that should be provided to elderly people to solve lodging, feeding, mental, and physical problems of daily life in the family. In a concrete way, the study analysis tools are as follows; demands, covered under the social welfare services of the poor aged who are living alone, were chosen as the dependent variables. Controlled variables include gender, age, academic qualification, occupation, monthly income, marital status, religion, number of children, singleness, health condition, and economic support services. Degree of fulfillment of the different desires were selected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The study targeted 2,911 the poor aged who are living alone residing in Hwaseong city of Gyeong'gi province. Out of the 300 aged who are living alone, selected from the new city of Dongtan, Byoungjoum village, annyong village, Hwasang village and regions around Hwasoung city hall such as Namyang village, Bongdam, Hyangnam, and Ujoung disctricts, 285 responses were gathered. Among them 51 persons living alone, did not complete the questionnaire related to the family experiences. To minimize such errors these responses were excluded. Therefore, 234 low income level senior citizens were chosen for the survey analysis. Result of the analysis of social welfare service demand by using Maslow's hierarchy of needs showed highest degree of fulfillment of the desire of love and attachment with average 2.76 followed by the degree of fulfillment of self esteems and self actualization ranked as 2.71 and 2.69 respectively. Contrarily, degree of fulfillment of economic desire was observed as the lowest level of satisfaction item, which averaged 2.14. Hence the lowest level of desire fulfillment among the poor aged who are living alone could be taken as the economic desire. This is viewed as the relatively higher demand of medical services as consequence of the physical problems, by the low economic level target single senior citizens. Analysis of demands of social welfare service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revealed that the poor aged who are living alone aged between 75~80 years, appeared to have a high demand for social welfare services, followed by the age group more than 81, ranked in second position. Whereas, those aged below 75 years, appeared to have relatively lower demand. Analysis according to career existence, showed lower demand by those who have, scored an average of 3.35. While those without job, scored little higher 3.88. This clearly shows that the absence of job opportunities raises the demand for social welfare services. The average demand of social welfare services in groups having income less than 500,000 won was 4.17, the highest. Next, the demand for social welfare services increased if income less than 500,000 won and decreased if income exceeded. This has led to a rough conclusion that income and the demand for social welfare services proportionate inversely, indicating the meaningful statistical difference. The analysis of the relation between degree of desire fulfillment and the demand of social welfare services is composed of the both side correlation between economic demand fulfillment level and fulfillment of the lower demands level. The demands of social services has a sound correlation specially, economic and job demand showed the correlation of-.360(p<0.01). This conclude that the fulfillment of the economic demand in some what extent, reduces primary demands such as economic and job. Unusually. it is revealed that there exists correlation between degree of desire fulfillment and the demand of social welfare services. While observing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level of desire fulfillment on the social service demand, the essential variables that have meaningful effect on the demand of social services are appeared as fulfillment of the economic desire, fulfillment of the security desire and fulfillment of the desire of love and attachment. However fulfillment of the desire of self respect and self actualization showed no meaningful effect on demand of social services. The independent variables included level of desire fulfillment along with socio-demographic variables to implement the regression analysis. The best fitted model thus made showed that the 6 variables including monthly income have meaningful effect, as a resul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suggestions for the theme and policy regarding the demands of the poor aged who are living alone and the right direc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social service policy for aged who are living alone of recent Hwaseong city having economic difficulties, are presented.

      • 사회복지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조직 환경이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전국 노인복지회관 사회복지사를 중심으로

        박진희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35423

        본 연구에서는 노인복지회관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조직 환경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노인복지회관의 조직 환경 및 사회복지사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하였다. 모집단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연구보고서(2002), "노인복지회관 관리운영실태 및 개선방안"을 참조하여 우리나라에 분포하고 있는 전국 114개소의 노인복지회관 평균직원 수 12.7명, 사회복지사자격증(1급~3급)을 소유하고 있는 비율 42.3%에 따라 {(114개소*12.7명)*42.3%}-114(관장제외)계산에 의하여 498명의 노인복지회관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전수조사 하였다. 연구 결과 전체 응답자 166명 중 남자와 여자의 직무만족 수준은 3.52점(유의수준 0.877)의 수준으로 무의미하였고, 50대 이상이 4.25점(유의수준 0.000)에서 유의하였다. 학력에서는 고졸이 4.0점(유의수준 3.333)로 무의미하였으며, 기혼이 3.65점(유의수준 0.032), 3년 이하 근무경력이 3.40점으로 (유의수준 0.016)로 유의하였다. 이로써 개인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 차이는 50대의, 고졸의, 기혼의 그리고 3년 미만의 경력자가 직무만족수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직의도 수준은 성별에 있어 여성은 2.69점 남성은 2.58점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높았으나 (유의수준 0.517)로 무의미하며, 20대가 2.81점(유의수준 0.001)으로 유의미하였다. 대졸 이상이 3.44점(유의수준 0.087), 미혼이 2.79점(유의수준 0.011), 근무기간은 5년 이내 경력자가 2.75점(유의수준 0.158)으로 유의미하였다. 조사대상자들이 근무하고 있는 노인복지회관의 객관적 환경에 대한 응답결과는 지리적 위치를 묻는 응답에 중소도시 74개소(44.6%)와 서울특별시 45개소 (27.1%), 시설의 규모는 1,500㎡ 이상이 96개소(57.8%), 직원 수는 20명 이상 시설이 86개소(51.8%), 운영주체는 사회복지법인이 81개소(48.8%)과 종교법인이 26개소(15.7%)를 보임으로써 주로 도시지역이상의 "나"형 이상의 크기에서 사회복지법인과 종교법인이 운영하는 기관이 높은 직무만족수준을 나타냈으나 통계적으로 무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주관적 조직 환경과 직무만족간에는 0.605 (유의수준 0.001)으로 정(+)적인 관계가 있음을 나타냈으며 주관적 조직 환경과 이직의도간에는 -0.607(유의수준 0.001)로 부(-)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만족과 이직의도간에는 -0.445(유의수준 0.001)로 나타나 주관적 조직 환경은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와 상관관계에 있으며 직무만족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낮아지는 역관계에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조직 환경 요인 중에서 어느 요인이 노인복지회관 근무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도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살펴본 다중회귀분석에서는 '보상' 0.420 (p<0.001), '운영구조' 0.161 (p<0.1) '더미성별여자' 변인 0.151(p<0.1)순으로 나타났다. 이직의도 영향요인으로는 '보상' -0.367 (유의수준 p<0.001), '감독자의 배려' -0.197 (유의수준 p<0.05), '운영구조' -0.171 (유의수준 p<0.05)의 순으로 나타났다. 객관적 환경요인은 통계적으로 무의미하였으며,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는 '연령' -0.250 (유의수준 p<0.05), 더미 최종학력 3 (대졸) -0.209 (유의수준 p<0.05), 더미성별 (여자) 0.195 (유의수준 p<0.05)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결과에서 특히 주목할만한 것은 주관적 조직 환경 요인 중 '보상'에 대한 부분이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것은 곧 사회복지사들이 자신의 직무에 대한 보상을 제대로 받을 때 직무만족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하며, 직무만족수준이 낮아질 때 이직하려는 이직의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를 통해 노인복지회관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보상', '운영구조', '여성' 이직의도에서 '보상', '감독자 배려', '대졸학력', '연령' 요인의 영향력을 증가시키려는 노력이 요구된다. 특히 보상체계에 있어 만족할 만한 수준의 지원체계가 마련되고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고령화 사회에 접어들면서 노인복지시설의 급속한 증가는 대부분이 국민기초생활대상자를 중심으로 한 생활시설 위주의 시설 확충이었는데 이제 일반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각종의 노인여가프로그램 및 사회교육 그리고 재가사업을 병행함으로써 지역 노인복지센터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노인복지회관에 대한 관심과 지원의 현실화가 요구된다. This study researches what factors influence at job satisfaction and unemployment intention of an organizing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basic data for improvement of an organizing environment and upgrade life satisfaction of social workers'. This study distributed questionnaires and collected the questionnaires from 498 social worker and they work in the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from all over the country then analyzed the data by using SPSS Win 10.0. This study used frequency analysi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o grasp general characteristic and an organizing environment of the subject. This study executed t-test and ANOVA analysi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to grasp job satisfaction and the unemployment intention by general characteristic and to found out factors influence an organizing environme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Job satisfaction and unemployment intention by general characteristic of social workers'. Higher job satisfaction appeared was the age bracket of 50-59, high school graduates in case of educational standard, married status and less than 3 years career. Higher unemployment intention was female, the unmarried status and less than 5 years career. Second, In case of the objective surroundings appeared geographical position appeared 44.6% the medium and small town, scale 1,500㎡ of 57.8%, staff member 20 of 51.8%, the administrative structure corporation for social welfare. Third, on the factors to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the unemployment intention of an organizing environment. 1) On the factors to effect on job satisfaction show that compensation and operating structure and dummy female is the better, job satisfaction is the higher. 2) On the factors to effect on unemployment intention show that compensation, the kindhearted help of their boss and operating structure is the better, job satisfaction is the higher. Exactly, compensation condition have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us, organizing environment developed in order to satisfy social worker's needs and because compensation, the kindhearted help of their boss, operating structure showed high correlation with satisfaction degree and unemployment intention, a strategical aid for them is required.

      • 시대변화에 따른 실버타운 개선 및 활성화 방안 연구

        오주현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5423

        우리나라는 의학발달과 경제적 발달로 인한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빠르게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다. 특히 급속하게 진행되는 도시화와 산업화에 따라 시대가 변하면서 다양한 수요 욕구가 급증하고 있고 욕구를 지닌 사회복지 대상자도 다양하게 등장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노인 주거복지 욕구가 다양한 유형으로 다양한 대상자에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고령화 사회로 앞으로 우리사회 에서는 인간의 생활패턴이 많이 달라질 것이다. 인간의 수명이 연장되는 고령화 사회에서는 정년퇴직 이후의 노후생활 기간이 대체로 20년 이상 예상되며 평균수명도 더 늘어날 전망이다. 따라서 노인인구의 증가는 경제, 의료, 사회 심리적 측면 등에서 많은 노인문제들을 야기하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노인주거 문제가 가장 시급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더욱 심각해 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경우는 노인복지 정책은 취약계층 노인들만을 위한 복지정책위주로 이루어져 왔다. 복지서비스는 정부 또는 지방단체 등 공공부분 으로 주된 책임을 지고 수행하는 것이 옳다는 보편적인 생각이었지만 현대사회에서 다양하게 요구되는 복지욕구를 위해서는 공공부분에서만 해결 할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앞으로 국민의 생활수준 향상에 따른 다양한 복지수요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복지공급이 정부만이 아니라 민간복지 사업으로 비영리민간부문, 영리 민간부문이 동시에 발전되어져야 하며 종교단체의 핵심인 사랑의 실천의 다양한 사회복지시설과도 함께 발전해야 한다고 본다. 현 실정은 실버타운이 다양한 유형으로 발전 확대되고 있지만 미래의 기대는 아직 그리 밝지 못하다. 특히 실버타운의 발달은 특정 한 기관에서만 이루어 질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국민, 기업, 정부가 함께 노력함으로서 이룰 수 있는 국가적 과업이고 우리의 과업이다. 따라서 세 가지 측면에서 다음과 같이 제안 하고자 한다. 첫째, 정부는 가족, 기업, 지역사회 등 노인의 전반적인 환경을 안락하고 편안하게 제공 한다는 근본적인 원칙으로 이런 환경들을 적절하게 분담, 조절함으로서 서로가 협력하여 좋은 복지국가로 성장해야 한다. 노령화 사회로 진입하므로 국가나 사회적 관심은 집중되고 있으나 아직은 모든 복지정책에 있어서 많이 부족한 단계이다. 실버타운은 노령화 사회에 대한 대비책이며 모든 노인이 체계적인 제도 안에서 노년생활을 잘 한다면 앞으로 노인부양을 해야 하는 차세대나 국가차원에서도 매우 건강하고 바람직한 사회가 될 것이다. 둘째, 실버타운 시설에 대해 편견을 갖고 본다거나 노인을 대상으로 이윤을 추구하는 사업 이라는 부정적인 인식을 버리는 국민의식이 전환되어야 하겠다. 또한 실버타운에 입소하는 당사자인 노인자신도 부정적인 인식 변화가 필요하다. 실버타운 입소가 사회에서 불필요한 존재가 되었다는 피해의식 속에 자존감 상실보다는 실버타운 입소는 자율적이고 지혜로운 선택을 하여 더 좋은 삶에 질을 만들어간다는 건강한 인식 변화가 필요하다. 셋째, 민간기업은 사회발전과 국민복지 를 공공적인사업으로 기업이 책임진다는 정신으로 막중함의 사명을 갖고 기업자체의 이득이나 확장한다는 사업성으로 접근 하지 말고 소비자로부터 얻은 이윤을 사회에 환원하고 재분배 한다는 정신으로 노인복지 주거사업에 참여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우리나라 에서도 선진국에서처럼 실버타운의 접근을 복지공급의 다원주의에 입각하여 경제력이 없는 노인을 위한 공공부문, 비영리부문, 영리민간부문이 동시에 발전되고 경제력 있는 노인들을 위한 민간부문에 의한 실버타운의 발전을 통해 다양한 노인복지가 충족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주거와 관련된 사업의 특수성으로 연계해서 시설의 유지관리 등 입주자들의 일상생활을 보살펴주는 단일화 주거 서비스보다는 다양한 서비스 및 심리적 안정을 위한 복합적 시설을 제공 하도록 제안 해보았다. 수요의 지속성과 욕구의 다양화 고도화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실버타운사업이 자유 시장원리에 입각하여 운영되는 편이 더욱 효과적일 것이다. 민간기업이 실버타운 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할수 있도록 관련법규가 정비되고 개선되어야 하며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부담하여 지원해야 할 분야는 인간이 노후생활을 해나감에 있어서 필요로 하는 최소한의 기초적. 기본적 욕구를 충족시켜 주어야 한다. 실버사업은 국가가 국민의 공통적인 욕구 중 일부를 재정능력의 한계로 충족해 줄수 없기 때문에 이를 사회의 민간단체들이 비용을 받고 해결해 주는 것이다. 최근까지 정부가 민간부문을 노인복지에 적극적으로 유도할수 없었던 이유 중의 하나는 민간부문의 참여로 전통적인 가족부양기능의 붕괴가 촉진될 것이라는 사회 일각에서의 우려 때문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사실 자녀들이 고령인 부모와 동거 하면서 노인의 경제적인 측면과 다른 여러 가지 도움을 충족시켜 주었던 전통적 가족제도의 변화는 선진국의 사례에서 보듯 가족들에게만 노인문제를 전가하기 어렵기 때문에 대응책으로 여러 각도의 도움을 주는 방향과 또 다른 2차 대책으로 노인복지 유형을 모색하고 있다. 하지만 사회의 고령화와 사회 경제적 여건이 변화되면서 노인복지제도도 새로운 경향이 나타나기 시작 했는데 이는 노인복지에 있어서 기본적인 최저국민수준은 국가가 책임지고 그 외의 능력 있는 노인에게는 민간자본을 동원하여 해결하려는 움직임으로 이것이 실버타운 등장 이라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의 실버타운은 아직 초보수준이지만 고령화 사회로의 진행속도가 빠르게 진입하는 만큼 신속하고 실패가 없는 여러 국가 들의 성공적 사례를 기초로 여러 유형의 실버타운을 추진하고 운영하여 많은 노인들이 이용하도록 해야겠다. 하지만 실버타운 설치는 단기적으로 빠른 결과를 기대 하기보다는 장기적인 계획으로 우리나라에 맞는 실버타운을 발전 시켜야 한다. 또한 미래사회에는 사전에 노후준비를 해두거나 연금 등에 의해서 노후생활을 준비하는 노인의 비율이 증가 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노인들이 질 높은 욕구충족을 한다면 실버타운의 입소율 은 높아 질것으로 예상된다. 앞으로 이러한 상황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 현재의 공적부조 서비스만을 위주로 하는 노인복지정책을 지양하되 실버타운의 육성을 통하여 민간단체, 민간기업 등이 적극 참여 할수 있는 문호를 개방하여 여러 가지 측면의 다양한 실버타운 건립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있어야 할 것이다. Korea is now advancing into an aging society on a full scale. Rapidly growing urbanization, industrialization manifest a variety of needs to cope with change in the times. The pursuit of quality life requires an increasing number of social welfare needs. In particular, an aging society shows different modes of living. In an aging society in which the average span of human life is extended, the aged for the most part wilol spend more than 20 years in their old-age life, which leads the average span of life to be extended. An increase in the old-age population raises diversfied social issues, mostly the problem of old-age housing is presumed to be more serious in the future. Welfare policy for the aged has been thus far carried out with emphasis on underprivileged old people. It is a generalized notion that welfare service should be implemented principally by the government, local self-government entities or other public facilities. However, comtemporary society does not depend upon the public sector alone in welfare service to fulfill multangular welfare needs. Thereupon, Korea is required to diversify its welfare service - 168 - on the basis of pluralism to meet a variety of welfare needs and well-balanced with the enhancement of the standard of living of the people, along with simultaneous development of the government sector, the nonprofit private sector, and the profit-making private sector. The silver town is now being expended in every type of life but it seems that its expect of future is not bright. The development of the silver town is not such a kind of problem as can be successfully realized in a particular institution alone. That is to say, it is a nationwide mission that can only be achieved by joint effects of the government, enterprises, and the people. In the light of this, recommendations were suggested from three different perspectives, as follows: First of all, the way of the people should covert by sublating the negative seeing of old-age collective dwelling facilities and pursuit of profit from the aged. Concomitantly with this, the aged should make efforts for enhancing their quality of life in an autonomous and wise way. Second, enterprises should be aware of the importance of their liabilities for social development and national welfare. On top of their own profit and its extension, enterprises should take part in the silver industry with the spirit to return and redistribute the profit from consumers to society. Finally, the government should play such a role as can support old people's external environment factors in families, enterprises, and communities, especially by adjusting the factors properly and in an orgarnic way. Furthermore, balanced cooperation should be maintained among government departments in order to set up a substantial cooperation system in authorizion, permission, regulations and so forth, for the promotion of the silver industry within the government.

      • 실버산업의 발전방안 연구

        강문식 호서대학교 행정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35423

        우리 사회의 핵가족화와 이농현상, 과학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급속한 경제성장은 인간의 평균수명의 연장과 건강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있으며,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면서 노인들의 의식변화와 교육수준의 향상으로 노후의 생활을 자녀의존에서 자유롭고 독립적인 노후생활을 원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단순히 의식주를 해결하는데 그치지 않고 의료기술의 발달로 노인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질적으로 높은 수준의 삶을 요구하게 되었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와 노인에 대한 의식의 변화는 노인의 삶에 대하여 정책적 접근과 관심을 이끌어내고 있으며 노인인구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실버산업의 등장은 불가피하다고 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령화 사회로 인하여 노인복지 정책 중 실버산업에 대한 수요 및 의식조사를 통해 실버산업의 발전방안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를 하고자 하였으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법적·제도적 문제로 노인복지서비스의 전달체계가 행정적으로 통합되고 전문화되어 있지 못함으로 인하여 효율적인 운영을 저해하고 지원도 합리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개선이 시급하다. 둘째 유료양로시설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여 민간참여와 유료양로시설을 활성화 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노인시설이 노인들의 욕구에 맞는 시설과 복지를 제공할 수 있는 시장성을 기본으로 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영리를 추구하는 복지재단업자들에 대한 지도감독이 제대로 이루어짐으로써 운영 부실을 막고 노인들의 삶의 터전인 노인복지시설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넷째 주거공간으로서의 실버타운이 노인들로 하여금 다른 사람들과의관계를 원만하게 이루고 정서적 만족감을 진작시킬 수 있도록 구조적 결함을 최소화해야할 것이다. 다섯째 노인들의 욕구를 충족할 수 있도록 개별적 서비스가 가능하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노인들이 심리적, 정신적, 육체적인 건강관리를 지속할 수 있는 운영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이제는 노인계층의 확대가 가져오는 사회적·경제적·심리적 문제는 노인계층만의 문제가 아니라 노인을 부양해야하는 가족과 자녀들의 몫이며, 이는 온 사회의 문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정부의 노력은 경제적으로 어려운 극빈층이나 차상위계층만을 위해서가 아니라 모든 계층의 노인에게 이루어져야 하며, 일자리창출을 통해 노인들에게 경제적으로만이 아니라 심리적인 도움 또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실버산업은 노인복지서비스의 일환으로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을 통해서만 이루어지는 복지서비스가 아니라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자녀와 별거하여 노후의 또 다른 인생을 설계하려는 노인들에 주택의 공급은 정부 및 민간을 통해 노인들의 욕구를 고려하여 제공되어야 하며, 이는 사회의 의료 및 여가서비스 등을 연계하여 다양하고 질높은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하여 모든 계층이 더불어 살아가는 사회를 준비하고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실버산업의 복지서비스 제공이 이루어지도록 노력하여 지역복지의 향상과 지역경제의 발전을 가져올 수 있는 실버산업의 발전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Radical economic growth along with the technology development in science, the nuclear family, the flow of people moving from the country to the cities in Korean society, lead Koreans to have more interest in longer life expectancy and healthy life and, as entering the aging society, we are having attention in not only longer life expectancy but also the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life. Observing the distribution of the population of elderly people, above 65 year old, it reaches 5,9% in 1995, 7.1% in 2000, and 8.7% in 2004 fundamentally entering the aging society. From the distribution it is expected to reach 10.7% in 2010 and extend to 15.1% in 2020 which is leading us to the highly aging society (National Statistic Office, 2001). On the other hand, it takes 19 years from 7% of elderly people to 14% of aging society and only 7 years from 14% to 20% of exceed aging society. It is expected that our society is more speedily going to face the aging society than other countries of aging society and it is likely that the matter of the elder in our country is going to become a big problem in the society. The following is objectives of this study. First, the direction of the welfare service for the elderly which in the past has usually focused on the basic need in the social recognition that the family has to take care of elderly people, has to be established because of the change in the social recognition and value on care for the elderly by the increased population of the elderly and the nuclear family. The research on the elderly must be preceded. Second, the aging society caused by the population increase is placed at the point of extending the interest in satisfying them from their basic need to the various needs to meet the demand of the wealthy elderly pursuing for higher standard of living and comfortable life during their old age besides a basic matter of food, clothing, and shelter. Therefore, the study on their various needs would present the problems of the welfare for old people and suggest a variety of directions to solve the matters. Third, concerning these various desires of the elderly, it is hardly expected the entire support from the family or government in the light of changes of the government budget for social welfare and current family and society environment. Before the revision of the law on the welfare for the aged on February 1999, there had been a huge financial pressure to ensure all expenses for facility installation and yearly costs to maintain the facility with their own fund. The abolishment of the law has been a basis of activating the establishment of the facilities. In spite of the governmental effort, it is likely that the silver business such as the paid institution for the aged is not active, due to insufficient preparation of the aged consumer, financial limit of nation and local self-governing body and systematic deficiency, and the insufficient investigation of marketing strategies and so on. However, it seems that the silver industry soon will be an important factor in the welfare for the aged by looking at the fact that Silver business among civil industries is recently recognized as a market with high growth potential in a long term and the government hastes the preparation of the legal device. Especially, in terms of the demand of silver industry, the accurate grasp of potential users to utilize silver industry and their awareness on the business will give significant information to civil industries and government related to silver industry. In this connection, the study will show the demand and awareness on silver industry regarding the citizen who dwell in Cheonan where has both features of rural and urban with the biggest population of the aged nationwide and based on this, it is going to present the activation plan for the future silver industry.

      •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복지사 이미지가 전공만족도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홍보람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5423

        사회복지서비스 분야에서 사회복지사의 역할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이 직면하는 열악한 근로환경은 그들의 소진 및 이직률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조직의 안정적 운영과 서비스 전달과정에서 부정적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그렇기에 사회복지사가 실천환경에서 직업만족도와 이직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자 사회복지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전공만족도와 직업준비를 위해 노력하는 진로준비행동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복지 전공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사회복지사의 이미지가 그들의 전공만족도 및 진로준비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는 사회복지 전공 대학생들에게 보다 효과적인 진로 상담 및 교육을 제공함으로써 진로준비행동을 강화하는 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2023년 7월 20일부터 8월 30일까지 서울 및 경기권에 위치한 대학에서 사회복지학을 전공하는 재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364부의 설문 응답 중, 연구 대상 범위에 부합하지 않거나 동질성 문제가 있는 응답을 제외한 185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버전 2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차이검증(t-test)과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사회복지 전공 대학생들은 사회복지사의 이미지를 4점 만점 척도에서 평균적으로 2.79로 평가하였으며, 이 중 전문성에 대한 인식이 가장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전공에 대한 만족도는 5점 만점 척도에서 평균 3.66으로 측정되었으며, 이 중 교과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또한, 진로준비행동은 4점 만점 척도에서 평균 2.79로 측정되었으며, 정보수집행동이 가장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사회복지사의 이미지, 전공만족도, 진로준비행동 간에 모두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는 사회복지사의 긍정적 이미지가 전공에 대한 만족도와 진로준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러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사회복지사 이미지, 전공만족도, 진로준비행동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다양한 인구사회학적 배경을 가진 대학생들 간에 사회복지에 대한 인식과 태도가 일관적임을 나타낸다. 또한,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사회복지사의 이미지는 전공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사회복지사의 이미지는 진로준비행동에도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복지 전공 대학생들의 교육과 진로 지도를 위한 프로그램 및 정책 개발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특히, 사회복지사의 긍정적 이미지 형성과 전공만족도 향상이 학생들의 진로준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 실천에 관한 함의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사에 대한 이미지를 구성하는 요소들을 명확히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긍정적인 이미지 형성을 위한 전략적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이는 학생들이 사회복지사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 다. 둘째, 학생들이 입학 전과 전공 과정을 통해 형성한 사회복지사에 대한 이미지 간의 차이를 최소화하고, 이를 긍정적으로 유도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사회복지 현장 실습은 학생들이 사회복지사의 역할을 직접 경험하고, 진로에 대한 탐색 기회를 제공한다. 따라서 고품질의 현장 실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과 자원의 제공이 필요하다. 셋째, 학생들이 사회복지사라는 직업에 대한 자부 심과 자긍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중요하다. 이와 더불어, 사회복지사는 전문적인 활동에 다양하게 참여하고 일반 대중에 대한 교육 및 대중매체를 활용하여 사회복지사의 전문성과 긍정적인 이미지를 적극적으로 홍보하는 다각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넷째, 사회복지 전공 대학생들이 자신의 흥미와 적성을 탐색하고, 목표를 설정하며, 이를 달성하기 위한 합리적인 계획과 준비, 행동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체계적인 진로 상담 및 실제적인 지도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다섯째, 진로상담은 학생 개인의 특성에 맞춰 적절한 개입을 제공해야 한다. 이는 학생 개개인의 요구와 상황을 고려하는 맞춤형 접근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여섯째, 학생들의 진로준비행동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학교 측에서는 다채로운 교육 컨텐츠의 개발에 주력해야 한다. 또한, 이러한 컨텐츠를 학생들에게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지원하는 체계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사회복지사의 이미지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그들의 객관적인 이미지를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대안적 노력의 방향을 제시하는 연구가 계속되어야 한다. 이러한 연구는 사회복지 분야의 발전과 사회복지사의 역할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노인복지관 이용자 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시립중랑노인복지관을 중심으로

        문혜선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35407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복지관 이용자 만족도를 실증적으로 조사하여 이용자 만족도에 차이를 가져오게 하는 영향요인들을 파악하고, 노인복지관의 운영과 프로그램·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도모함으로써 노인복지관 이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키며, 나아가 복지관 이용자 만족도에 관한 이론적 개념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조사도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기본변수로는 사회 인구학적 특성과 복지관 이용관련 특성을, 독립변수로는 서비스 질(SERVQUAL)속성을 이용하여 크게 프로그램 영역·시설 및 환경 영역·직원 및 서비스 영역을, 종속변인으로는 노인복지관 이용자 만족도를 중심으로 연구모형을 작성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2007년 4월 16일부터 4월 30일까지 15일간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표본은 서울시립 중랑노인종합복지관의 기본사업을 규칙적·지속적으로 이용하고 있는 60세 이상의 남·여 노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된 설문지 250부 중에 최종 243부를 연구 자료로 선정하였고 SPSS for win 12.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분산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분석결과는 첫째, 사회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프로그램 만족도는 학력, 수급여부, 가구형태, 경제적 상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대체로 무학노인과 수급노인, 독거노인, 경제적 상태가 매우 나쁜 편이라 응답한 노인의 이용자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사회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시설 및 환경 만족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직원 및 서비스 만족도는 종교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복지관 이용관련 특성에 따른 프로그램 만족도는 복지관 이용기간, 이용 복지관 수, 이용이유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이용기간이 1~2년 되는 노인, 1개의 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 복지관 이용이유가 점심을 제공받을 수 있어서라고 응답한 노인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복지관 이용관련 특성에 따른 시설 및 환경만족도는 평균 이용 프로그램 수, 이용복지관 수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평균 4~5개의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노인, 1개의 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원 및 서비스 만족도는 복지관 이용기간, 이용 복지관 수, 이용경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복지관 이용기간이 1년 미만인 노인, 1개의 복지관 이용노인, 복지관·구·동 직원의 소개로 복지관을 이용하게 된 노인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복지관 이용자 만족도 요인에 대해 평가영역별로 회귀 분석한 결과, 프로그램 영역·시설 및 환경 영역·직원 및 서비스 영역 순으로 이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ERVQUAL 요인들이 이들 영역에 미친 주 영향요인을 살펴보면, 프로그램 만족도 영역의 경우 가치성·참신성·다양성 순으로, 시설 및 환경 만족도 영역의 경우 접근성·적절성·매력성 순으로, 직원 및 서비스 만족도 영역의 경우 참여성·충족성·용이성 순으로 이용자 만족도 제고를 위한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인복지관 이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노인복지관 발전방안에 관한 몇 가지 제언은 다음과 같다. 노인복지관은 그 지역의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특성과 다양한 노인층의 욕구에 맞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교육의 결과도 사회에 기여하도록 가치성 측면을 고려해야 하고, 각 기관에서 이용자들의 시설 및 환경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기관접근성 증대와 이용인원을 고려한 프로그램실 크기의 적절성·층별배치에 대한 대책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어르신고문단을 구성하여 이용주체인 노인들의 의견을 최대한 반영하고, 노인복지관들은 필요한 정보공유 및 연계 프로그램을 기획하는 등 공동의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특화된 복지관 설치와 고객만족에 대한 적용 및 성과에 대한 지속적인 검토를 위해 이용자 만족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or offering the theory concept about user satisfaction of senior welfare center by evaluating of running and program service of senior welfare center with positive research for the factor which brings the difference of user satisfaction of senior welfare center. For the study, a questionnaire was used and studied using "SERVQUAL(Service Quality)" treat as follows: Basic variables are social demographic treat and senior welfare center using treat; Independent variables are program area, facility and circumstance area, staff and service area; A dependent variable is user satisfaction of senior welfare center. The material of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April 16th to April 30th, 2007 and the objective were the aged above 60 years old who have used Jungnang Senior Welfare Center in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regularly; selected 243 sample out of the distributed 250 sample and studied frequency analysis, analysis of variance,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rough SPSS for win 12.0. The summary of results from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program satisfaction with social demographic treat is different statistically in accordance with educational background, income and outgo, household form, economic status; mostly high satisfaction is on the aged who has no education, no income, the single aged, low economic status. Facility and circumstance satisfaction has no difference statistically: staff and service satisfaction has difference according to religion. Secondly, program satisfaction with senior welfare center using treat is different statistically in accordance with using welfare center term, using number of senior welfare center, using reason; high satisfaction is shown on the aged who have used senior welfare center for 1 year to 2 years, only one senior welfare center, for being offered lunch. Facility and circumstance satisfaction with senior welfare center using treat has difference statistically in accordance with average frequency of using program, using number of senior welfare center; high satisfaction is on the aged who have 4 to 5 programs and only one senior welfare center. staff and service satisfaction has difference in accordance with using welfare center term, using number of senior welfare center, the channel of knowing the welfare center statistically; high satisfaction is shown on the aged who have used 1 year below, only one senior welfare center and known by welfare stuff, town staff or district staff. Third,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user satisfaction was affected greatly in order as followings: program area, facility and circumstance area, staff and service area. SERVQUAL treat was shown important treat orderly as followings: in case of program satisfaction area; value, freshness, diversity : facility and circumstance area; approach, property, charming: staff and service area; participation, sufficiency, easiness. I proposed, based on the study, to evaluate, to elevate the satisfaction of senior welfare center user as follows: Senior welfare center should create proper programs to fulfill senior's desire according th the lo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e feature and consider the value of education to contribute to society. Also the easiness to approach to the property of running program room such as size and location in a building for the capacity should be done by the relevant institute. The relevant institute should take senior's opinion through senior advisory group: each senior welfare center need to share information and link to program. We need to research for the applying and achievement of user satisfaction and building specialized senior welfare cen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