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남북한 국어 정책 변천사 연구

        최용기 단국대학교 2001 국내박사

        RANK : 249695

        본고는 남북한의 국어 정책 변천사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국어 정책의 개념을 정리하면서 '국어에 관한 국가 정부의 계획 또는 기본 방책'이라고 하였고 남북한의 국어 정책 기관은 공히 연구 기관과 행정 기관이 분리되어 있는데 그 위상과 역사는 차이가 있다고 하였다. 남한의 국어 정책 변천사를 어문 규정의 변천, 국어 순화 정책의 변천, 국어사전 정책의 변천, 문자 정책의 변천, 국어과 교육 정책의 변천, 국어 정보화 정책의 변천, 한국어의 세계화 정책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어문 규정을 한글 맞춤법, 표준어 규정, 외래어 표기, 로마자 표기 등으로 다시 나누어 살펴보았는데 광복 후 각각 1 ~ 2 차례 정도만 바뀌었다고 하였다. 그동안 부분적인 개정이 있었지만 기본 방침은 달라지지 않았다고 하였다. 극어 순화 정책은 일제 강점기 이후 지금까지 계속 진행되는 사업이며 한민족의 정체성을 확인하는 정책이라고 하였다. 국어사전 편찬은 그동안 민간에서 추진하던 것을 지난 1999년에 국가에서 정책으로 채택하여 처음으로 『표준국어대사전』을 편찬하였다고 하였다. 문자 정책은 한글 전용과 국한문 혼용이 뒤바뀌면서 진행되었지만 정부의 방침은 '한글 전용 원칙과 한문 교육 병용'이라는 기본 틀은 계속 유지하고 있다고 하였다. 국어과 교육 정책은 지금까지 7차례 개정이 되었는데 비교적 국어과 교육이 지향해야 할 현실과 이상이 조화를 위해 발전적 노력을 해왔다고 하였다. 국어 정보화 정책은 '21세기 세종계획'이라는 중장기 계획을 발표하여 진행되고 있으며 한국어의 세계화는 우리나라의 국력 신장과 함께 날로 한국어가 세계로 뻗어간다고 하였다. 북한의 국어 정책 변천사를 어문 규정의 변천, 말다듬기 정책의 변천, 문자 정책의 변천, 국어사전 정책의 변천, 국어과 교육의 변천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어문 규정의 변천을 맞춤법 통일안의 준용, 조선어 철자법의 공표, 조선말 규범집의 공표, 문화어 운동의 정착, 조선말 규범집의 수정으로 다시 나누어 살펴보았다. 말다듬기 정책의 변천은 문화어운동과 병행하여 추진된 정책으로 의도적인 정책임을 알 수 있었다. 문자 정책의 변천은 한글 전용을 일관성 있게 추진하였지만 한문 교육은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고 하였다. 국어사전의 편찬 방법과 기술은 상당히 우수하다고 평가하였고 국어과 교육의 변천에서는 국어 교육이 매우 강조되어 있다고 하였다. 남북한 언어의 문제 중에 가장 쟁점으로 떠오르는 것은 언어에 대한 태도라고 하였다. 언어에 대한 태도가 근본적으로 다른 상황에서 남북한 언어를 통일하는 방안으로 몇 가지 대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언어 규범을 통일할 수 있는 남북한 범민족 기구를 두어야 한다고 하였는데 이 기구는 남북한 어문 규범 통일을 위해 수시로 모임을 갖도록 하고 가장 합리적인 방안을 만들어내야 한다고 하였다. 둘째, 우리말 순화 운동을 범민족적으로 벌여야 한다고 하였는데 남한의 국어 순화 운동이나 북한의 말다듬기 운동이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다고 하였다. 북한은 이미 1960년대 후반부터 일기 시작한 문화어운동을 계기로 하여 많은 한자어와 외래어를 우리말로 다듬었다고 하였고, 남한도 1970년대부터 정부 차원에서 순화 운동을 추진하고 있다고 하였다. 셋째, 언어 통일의 지름길은 우리말 교육을 강화하는 일이라고 하였다. 북한은 우리 말을 충실하게 교육하고 발전시키는 데 많은 성과를 거두었으며 우리말이 발전된 언어라는 강한 자부심을 지니고 있다고 하였다. 반면에 남한은 영어 공용어와 초등학교 영어 조기 교육을 부르짖고 있어 이것은 잘못이라고 지적하고 오히려 국어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고 하였다. 모국어를 충실하게 가르치는 일이야말로 남북한 언어 통일을 앞당기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하였다. This paper has taken a general view on the history of changes occurring in the nationl language policy carried out by South and North Korean government. First of all, the author has defined the concept of nationl language policy as 'a plan or a basic policy related to a national language established by the government'. (An institute of both governments, who takes charge of the language policy, has two departments separated from each other: a research branch and an administrative branch. Its status and history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chronicle of language policy of South Korea(Republic of Korea) has been review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ategories: the changes of linguistic norms, those of the refinement of the Korean language, those of the policy concerning Korean dictionary, those of the policy of writing system, those of the educational policy of the Korean language, those of the information-oriented policy of the Korean language, the globalization of the Korean language. As for linguistic norms, the author has reviewed the orthography of Hangeul, the norm oe standard Korean, the writing system of loan words, and the Romanization of Korean, respectively. It has been revealed that they all have changed their frameworks one or two times after the restoration of independence. In order words, the basic policy controlling them has not changed at all, even though partially changed in some areas. As for the refinement of the Korean language, the author has defined its character as the project to ascertain the identity of Korean nation. It has been being carried out since the compulsory occupation of Korea by Japan without cessation. As for the compilation of Korean dictionary, the author has especilly laid an emphasis on that of 「The Standard Dictionary of Korean」which was adopted as a national project by a government institute in 1999. In fact the compilation of dictionary had been performed by civilian publishers before then. As for the policy of writing system the author has concluded that the government policy on it has continued its basic framework of 'a principle of the exclusive use of Hangeul and the simultaneous execution of the education of the Chinese characters', even though the above two basic trends having been performed in reverse order many times. As for the educational policy of the Korean language, it has undergone seven revisions towards the desirable harmony of reality and ideal of the education of the Korean language. As for the information-oriented policy of the Korean language, it has now been being performed under the mid · long term plan of 'The 21th Century Sejong Project'. As for the globalization of the Korean language, the author has taken an optimistic view on it that the Korean language is now extending to the whole world with the extension of our national power day by day. The chronicle of language policy of North Korea(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has been reviewed according to the same categories as those of South Korea, except the latter two. As for linguistic norms, the author has reviewed the observance of the unified plan on orthography of Hangeul, the official announcement of the orthography of Korean and a collection of Korean standard words, the settlement of a campaign of 'Cultural Words', and finally the revision of a collection of Korean standard words, respectively. As for the refinement of the Korean language, the author defined its character as an intentional policy driven together with a campaign of 'Cultural Words'. As for the compilation of Korean dictionary, the author has estimated its working methods and skills highly. As for the education of the Korean language, the author has paid special attention to its relative high weight in the whole educational subjects. As for the policy of writing system, the author has concluded that they have carried out the policy of the exclusive use of Hangeul so far, but they increasingly have strengthened the education of the Chinese characters. When it comes to the discussion of the language policy in South and North Korea, the most disputable issue is their basically different attitudes towards language itself. Under this condition, the author has proposed several alternative plans to unify the languages of South and North Korea. First, the necessity of a pan-Korean institute to manage the unification project of linguistic norms has been proposed. Those involved in this institute should hold meetings occasionally and derive the most reasonable conclusion for the unification of linguistic norms. Second, the necessity of a pan-Korean campaign of the refinement of Korean has been proposed. From this viewpoint, a campaign of the refinement of Korean in South Korea is never essential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Elaboration of Words' in North Korea. Third and last, the author has reached a conclusion that the shortcut to the unification of language is the enforcement of the education of the mother tongue, Korean. While North Korea has accomplished lots of successions in the substantial education of the national language and is proud of Korean, a highly advanced language, South Korea has made a false effort to settle the officialization of English and the premature education English in elementary school. The author wants to put a concluding remark that the substantial education of the native tongue, Korean is in itself will surely become a decisive momentum to move up the date of the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n language.

      • 한불ㅈ뎐의 사전학적 연구

        이지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63

        This study is an lexicographical investigation of macro-structure and micro structure of <한불ㅈ뎐>complied by French missionaries Daveluy, Ridel and so on. It has an important value not only in the point that it made a great progress in history of lexicography but also it includes an extensive vocablary in New Era. In macroscopic standpoint, there are great different rules of basic pattern for dictionary between <한불ㅈ뎐> and Modern Korean-French Dictionary due to different lexicographers and users of dictionaries. First, it is interesting that the order of constant and vowel in <한불ㅈ뎐> is different from that of modern pattern. Korean consonants and vowel are arranged in alphabetical order so that French can use it with convenience. spelling of stressed consonants are listed with ㄱ, ㅂ, ㅅ, ㄷ, ㅈ together. Second, the order of head are also different from that of merdern pattern. The order of consonants and vowels of headwords are chosen to divide into syllables. It shows lexicographers consideration for users convenience, in the time of confusion that there was no set pattern of dictionary. In microscopic standpoint, <한불ㅈ뎐> has a similar forms to modern dictionary system. First, the form of mentioning headword is basically head - phonetic symbol - Chinese letter - meaning interpretation order. A headword is categorized to main headword and sub headword. The extent of headwords are due to meaning. Markers, phases, idioms, even proverbs could be headwords. <한불ㅈ뎐> includes homonyms and polysems. When a headword is meaningfully realated to its homonym, it is indicated to ∥, and when theres no meaningful relation between aheadword and homonym, it is indicated to ;. Sub-headword is indicated to =, it includes derivatives, compound-nouns, and collocations. Derivatives with suffixes -스럽다, -거리다, -되다, -하다 is found in the sub-headwords. A suffix -하다 is most frequent. It is interesting that compound-nouns are found in the sub-headwords. Collocation also could be sub-headwords. Synonyms, antonyms, bibilographies are included for headwords. Second, phoenic symbols of <한불ㅈ뎐> has many function differently from modern dictionary. Phoenic symbols shows combination of subject marker so that it tells the substantives can be subject or not. Third, the presentation of length of a phoneme is the way of indicating core-vowel, usually first syllable, occationally second syllables. Fourth, <한불ㅈ뎐> can be an important data for Korean notation phases in New Era. <한불ㅈ뎐> cocfirms generalization of seperated spelling based notation of the substantives and a word with declined or conjugated endings. The substantives with final consonant ㄷ which has been changed to ㅅ appears to seperated spelling based natation. The notation of stressed sound in <한불ㅈ뎐> only appear in ㅅ party, but the phoenic symbols of these ㅅ party show that they are same with same constants, spelling of stressed constants. The notation of final constants was in forn of seven final constants and doubled final constants are used - these show the phase of generalized rule of final constants New Era. The characteristics of <한불ㅈ뎐> is much related to its compilers and phases of the time. Vocabulary of Headwords show characteristic of <한불ㅈ뎐>. Words like 문명, 문호, 정치하다, 인민 show its phases of the time, and 전긔보, 화륜거 are related to culture and civilization of that time. The prominent feature of <한불ㅈ뎐> is tha there appear an extensive vocablary related to Christianity, Catholicism. 본 논문은 개화기의 자료인 <한불ㅈ뎐>에 대하여 사전학에 기본을 두고 거시구조와 미시구조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한불ㅈ뎐>은 프랑스 외방 선교사 다블뤼, 리델 등에 의해 만들어진 대역사전이다. <한불ㅈ뎐>은 사전의 역사에 큰 획을 그었고, 당시의 어휘가 상당수 수록되어 있어 국어학적 가치가 매우 크다. 먼저 거시구조에서 <한불ㅈ뎐> 기본 구조의 규칙이 현대와 모든 면에서 차이를 보인다는 것이 발견된다. 그 차이가 나타나는 이유는 편찬자와 사용자가 현대와 다르기 때문이다. 첫째, 자모의 순서가 전형적인 규칙과 달라서 흥미롭다. 사전의 전체적인 구조는 사전의 사용자인 프랑스인이 표제어를 찾아보기에 편리하도록 만들어졌다. 이에 따라 사전을 찾아보는 순서가 되는 자모의 순서는 알파벳 순으로 되어 있다. 항목에 따로 표시되지 않은 경음들(ㅺ, ㅽ, ㅆ, ㅼ, ㅾ)은 ㄱ, ㅂ, ㅅ, ㄷ, ㅈ 부분에 함께 수록된다. 둘째, 표제어의 배열 형식 역시 현대의 국어 사전과 다른 규칙이 적용되었다. 음절을 풀어쓰기로 해석한 자모별 배열을 택한 것이다. 여기에서 편찬자의 문법의식이 나름대로 반영되는데, 제정된 표기법이 없고 혼란한 표기 양상을 보였던 시기였기 때문에 사전의 편찬 목적와 사용자의 편리에 초점을 맞추어 정한 것이다. 거시구조 다음으로 미시구조를 살펴보았는데, 미시구조는 거시구조와 같이 현대 사전의 체제와 다른 점도 발견되지만 현대적 관점의 큰 틀을 벗어나지는 않는다. 첫째, 표제어를 수록하는 형식은 기본적으로 표제어-발음기호-한자-뜻풀이로 되어 있다. 표제어는 주표제어와 주표제어의 하위 항목으로 수록되는 부표제어가 있다. 주표제어 제시 방법에서 표제어의 단위의 기준은 범위가 매우 넓다. 기준은 의미가 된다. 조사부터 구(句), 관용어, 속담까지 표제어로 등재되었다. 이것은 어휘소의 개념과도 일치한다. 현대의 사전 역시 어휘소가 표제어가 되는 자격을 갖는다. 또한 동음이의어와 다의어를 표시하여 의미를 이해하는 데 용이하도록 하였다. <한불ㅈ뎐>에서는 한 단어의 의미에 상관 관계가 없는 동음이의어는 ∥로 표시하고, 상관 관계가 있는 다의어는 ;로 표시하였다. 다음으로 부표제어는 =로 표시하는데 파생어와 합성명사, 연어를 의미한다. 파생어는 파생 접미사 -스럽다, -거리다, -되다 -?다와 결합한 파생어가 부표제어로 나타난다. -?다와의 결합이 가장 빈도수가 높다. 합성동사는 모두 주표제어로 나타나는데, 합성명사가 부표제어로 나타나는 점이 매우 특이하다. 연어도 부표제어로 제시된다. 주표제어와 부표제어 외에도 유의어, 반의어, 참고어 등이 관련어로 표시되어 있다. 둘째, <한불ㅈ뎐>은 현대의 국어사전과 달리 발음기호가 여러 가지 기능을 한다. 발음기호가 주격조사와의 결합을 보여주어 주어가 가능한 체언을 알려 주며 용언은 활용 어미까지 제시하고 있다. 셋째, <한불ㅈ뎐>에서의 음장의 표시는 핵모음에 표시하는 방식으로 1음절에서 주로 나타나지만 2음절 이하에서도 나타난다. 넷째, <한불ㅈ뎐>은 개화기의 국어 표기 현상에도 중요한 자료가 된다. 미시구조 분석에서 표기법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한불ㅈ뎐>에서는 개화기의 보편적 표기 방식과 같이 체언과 용언에서 분철이 보편화되었음을 확인하였다. ㄷ종성 체언이 ㅅ으로 바뀌어 표기된 것도 분철되었다. 그러나 당시의 표기법은 제정된 법이 없었으므로 매우 혼란하여 연철과 중철 현상도 적지 않게 발견되었다. <한불ㅈ뎐>의 된소리 표기는 ㅅ계만 나타나는데, 발음 기호를 통해 이것의 음가가 모두 각자병서와 동일하다는 것이 확인된다. 종성표기는 7종성법에 따랐고, 겹받침이 사용되어 개화기의 일반적인 양상이 보인다. <한불ㅈ뎐>의 특징은 시대상과 편찬자에 관한 것이 가장 크다. 따라서 표제어에는 특징적인 의미의 어휘들이 수록되어 있다. 문명(文明), 문호(門戶), 졍치(政治)?다, 인민(人民) 등 시대상을 반영하는 어휘들과 젼긔보(전화), 화륜거(자동차) 등 새로운 문물이나 문명에 관련된 어휘들이 많이 발견된다. 더 두드러지는 특징은 기독교, 천주교 관련 어휘가 상당수 수록되었다는 점이다. 대부분이 현대까지 생명력을 유지하고 있는 것들이 많고, 집ㅅ와 같이 의미가 축소되거나 이단과 같이 전이된 예도 나타난다.

      • 텍스트 자동화 분석을 통한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기록관리 대상선정 유형구분 개선 방안 연구

        김수영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631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기록관리에 관련된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이 개정(2020.3.31.)됨에 따라 2000개 공공기관에서 16,000개 이상의 행정정보시스템이 보유하고 있는 행정정보 데이터세트의 기록관리가 시급한 상황에 이르렀다. 이에 발맞추어 국가기록원에서는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기록관리 지침을 마련(2020.8.)하였고 그에 따라 각 기관에서 보유하고 있는 행정정보 데이터세트에 대한 기록관리 절차를 바로 실행하여야 하는 것이 의무사항이 되었다. 본 연구는 그 단계별 절차 중 기관에서 가장 까다로운 부분이며 기관의 기록관 한명이 할 수 있는 영역이 아닌 여러 유관부서에서 공동으로 작업해야하는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기록관리 유형구분을 자동화하는 방안에 대해 제시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한 방법으로 실제 각 기관에서 운영 중인 행정정보 데이터세트에 대한 유형구분 문서를 대상 자료로 삼아 텍스트 분석을 통한 핵심어 추출 기법을 적용하였다. 핵심어 추출 연구는 자연어 처리 기법 중 하나로 문서에 포함된 텍스트 데이터를 분석하여 잠재되어 있는 핵심어를 추출하고 그 속에 내포된 의미를 찾아내는 방법이다. 현재까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방법이 단어의 출현 빈도를 분석하는 TF 기법과, 특정 단어가 해당 텍스트에서 자주 사용되지만 다른 주제의 텍스트 집합에서는 나타나는 횟수가 낮은 값을 표현하는 TF-IDF 기법으로 텍스트에서 단어의 핵심도를 평가하는데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기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형구분에 관련된 특정 단어에 대한 빈도 분석에 TF기법을, 가중치 분석에 TF-IDF기법을 적용하여 성능을 비교한다. 나아가 기존의 유형구분의 단점을 보완한 유형구분 개선방안을 제안한다. 아울러 본 연구의 자동화 방안과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제안하는 연구의 검증을 위해 기존의 연구에서는 적용되지 않았던 중앙행정기관 및 정부 산하 공공기관의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기록관리 대상 유형구분 양식 문서 160개를 수집하였다. 둘째, 핵심어 추출을 위해 특정 단어에 빈도 및 가중치를 분석한 TF, TF-IDF기법을 적용하였다. 셋째, 핵심어 추출을 통한 학습데이터세트를 구축하고 이를 바탕으로 비연속성 자료처리의 대표적인 기법인 의사결정나무, 통계기법의 대표적 방법인 나이브베이즈 그리고 인공신경망의 대표기법인 딥러닝 모델링을 통해 기록관리 대상선정 유형을 예측하였다. 넷째, 각각의 예측 모델링을 통한 결과 데이터세트에 대해 교차검증을 측정하여 기록관리 유형 선정에 적합한 모델링 기법들을 도출하였다. 다섯째, 연구에서 구축한 학습데이터세트를 통한 교차검증에서 쓰이지 않은 신규 행정정보 데이터세트에 대한 유형구분을 적용하여 그 결과를 측정하고 또한 이 신규 행정정보 데이터세트를 실제 현장에서 기록관리를 담당하는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수동으로 구분한 결과와 비교를 수행하였다. 여섯째, 이 과정을 기존유형구분에 대한 것과 논문에서 제안하고 있는 개선 유형구분 2가지 방안에 대한 것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개선유형 방안에 대한 실효성을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의 기여도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제안하는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기록관리 대상 유형구분 자동화 방안은 현재까지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기록관리의 절차를 실행하지 못한 많은 공공기관에서 법령에 위배되지 않게 기록관리 실행을 시작할 수 있도록 하는 첫 단계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행정정보 데이터세트의 패턴을 파악하여 실무에 바로 적용 가능한 실효성이 확인된 예측 모델링 기법을 제안할 수 있다. 셋째, 기존유형구분 방식의 단점을 보완한 개선 유형구분 방식의 제안과 텍스트 분석을 통한 자동화 실행은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기록관리뿐만 아니라 웹기록, SNS기록관리 등과 같은 아직 실제적인 실행방안을 마련하지 못한 다른 기록물 유형에도 확장 및 적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 것이다.

      • 한국어와 중국어의 의무양태ㆍ증거양태에 대한 비교 연구

        유나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31

        The essay's purpose is to reveal the Grammatical attributes which appear in the [Obligation] and [Evidential] of Modality in Korean and Chinese expression. The essay's purpose is to reveal the Grammatical attributes of Obligation Modality and Evidential Modality with the grammar constraints. In other words, with revealing the difference for the aspect of grammar between Obligation Modality and Evidential Modality, to comparison the expression element of Obligation Modality and Evidential Modality, then to consideration the common and difference. Obligation Modality in Korean divides into ‘-아/어/여야 하-’ Speaker-oriented Modality and ‘-아/어/여야 되-’ The Center Modality. Corresponding the Chinese Obligation Modality, the expression divide into '应该,该,应,应当’and ‘要,得’. The former is Speaker-oriented 用言,the latter is the Center Modality用言。Besides, There's no great difference in semantic between Chinese Obligation Modality ‘应该,该,应,应当’ . Speaker's mental attitude or opinion will appear directly(about propositional). In the same time Speakers are required to do the specific behaviour to the listener (order, invite, recommend, prohibition). There's expecting and indication in semantic. The ending lexeme(终结语尾)expression of Evidential Modality in Korean ‘-더’ is similar with Chinese modality particles(语气助词)that can correspond with each other. The ending lexeme of Evidential Modality in Korean ‘-네’ correspond with Chinese ‘-呀’。 Evidential Modality in Korean ‘-(으)나가/았나/나 보-’ correspond with Chinese 看来’,‘看起来’,‘看上去’. Evidential Modality in Korean ‘-(으)느/는/(으)ㄹ 모양이-‘ correspond with Chinese ‘看样子’. However, in this essay, the ending lexeme of Evidential Modality expression in Korean ‘-겠’ can't find a corresponding in Chinese. And the 连结语尾‘-길래’ is exist in Evidential Modality expression in Korean, but as a 连结语尾, it isn't exist in Chinese. 본고의 목적은 한국어와 중국어의 양태 표현 가운데 [의무]와 [증거]를 나타내는 양태 표현들의 문법적 특성을 밝히는 것이다. 본고는 한·중 의무양태와 증거양태의 문법적 특징을 밝히는 것이 목적이므로 문법적 제약을 통해서 한·중 의무양태와 증거양태의 문법적 특징을 밝히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한·중 의무양태 및 증거양태 표현들의 문법적 차이를 밝혀 양 언어의 양태 표현요소들을 비교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고찰하려는 것이다. 한국어 의무양태 표현은 ‘-아/어/여야 하-’는 화자 중심 양태이고, ‘-아/어/여야 되다’는 주어 중심 양태로 구분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는 중국어 의무양태 표현은 ‘应该,该,应,应当’와 ‘要,得’로 나눌 수 있다. 전자는 화자 중심 양태용언이고 후자는 주어 중심 양태용언이다. 그리고 중국어 의무양태 ‘应该,该,应,应当’는 의미적으로 큰 차이가 없고 명제에 대한 화자의 심리적인 태도나 견해를 직접적으로 나타낸다. 화자는 이와 동시에 청자에게 특정한 행동이나 행위(명령, 권유, 권장, 금지)를 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의미적으로는 [바람]과 [지시]로 볼 수 있는 것들이다. 한국어 증거양태 표현 종결어미 ‘-더’는 중국어 어기조사 ‘-来着'와 같은 기능을 가지고 있어서 대응할 수 있다. 한국어 증거양태 표현 종결어미 ‘-네’는 마찬가지로 중국어 어기조사 ‘-呀’에 대응할 수 있고 한국어 증거양태 표현 종결어미 ‘-구나’는 중국어 어기조사 ‘-啊'에 대응할 수 있다. 한국어 증거양태 표현 ‘-(으)나가/았나/나 보-’의 대응하는 중국어 증거양태는 ‘看来’, ‘看起来’, ‘看上去’ 등이 있다. 한국어 증거양태 표현 ‘-(으)느/는/(으)ㄹ 모양이-’는 중국어 증거양태 ‘看样子’와 대응할 수 있다. 하지만, 본고에서는 한국어 증거양태 표현 종결어미 ‘-겠’과 대응하는 중국어 증거양태 표현을 찾지 못하였다. 또한 한국어 증거양태 표현으로 연결어미 ‘-길래’가 존재하지만 중국어에서는 연결어미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연결어미로 쓰이는 중국어 증거양태 표현은 존재하지 않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