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Korea's aid for trade policy : with reference to the "project for capacity building in the trade in goods and services for Cambodia"

        허경은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55

        Aid for Trade (AfT) is not a new category of aid, but rather a part of the overall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According to the World Trade Organization (WTO), AfT is about “helping developing countries, in particular the least developed, to build the trade capacity and infrastructure they need to benefit from trade opening.”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trade for the economic development of developing nations, the global AfT Initiative was adopted in 2005 at the WTO Hong Kong Ministerial Conference. Expansion of support for the AfT was also included as one of the sub-goals of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The Korean government also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he AfT and conducted research over the past few years, but still not enough study has been carried out on this subject matter. Furthermore, the literature review led us to the conclusion that Korea’s AfT is mostly incoherent and unstructured, which stems from the fact that no national guidelines for the AfT have yet to be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OECD and WTO, there are four components to the AfT: trade policy and regulation, economic infrastructure, productive capacity building and adjustment assistance. After the literature review, it was found that for low-income countries, AfT in the form of economic infrastructure and productive capacity building (i.e. “hard aid”) proved not to be conducive to the export promotion of the aid recipient countries. In contrast, AfT in the form of trade policy and regulation and adjustment assistance (i.e. “soft aid”) proved to be highly effective in promoting the export and trade of the said countries. Contrary to such findings, however, the majority of Korea’s AfT was found to be centered around “hard aid,” whereas AfT in the form of “soft aid” – which actually proved to be effective – accounted for a very small fraction of its entire AfT. Based on such observations, this study attempts to shed light on why such imbalance occurs by conducting a case study on one of the AfT projects on “soft aid” carried out by the Korean government. To this end, the study focused on the governance structure of this particular project and analyzed it by using a two-fold framework of policy implementation process. The first framework consists of the policy environment and context, the policy content, and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of policy, through which the specifics of the project as well as its governance structure can be identified and evaluated. By analyzing the project using the first framework, it was found that the policy content mostly revolved around lectures and learning by rote which did not translate into policy recommendations. As regards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of policy, it was observed that the governance structure of the project was fragmented in nature, with KOICA being the policy decision-makers and KIEP being the policy practitioners. The second framework is about how the discrepancy between the policy objective and policy instruments affects the actors involved in the policy implementation process. By analyzing the project using the second framework, it was found that KOICA, the policy decision-makers, set the official policy objective as “contribute to the trade capacity building of Cambodia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national trade policy, provision of policy recommendations, strengthening of institutions and human resources to adapt to the free trade system, etc.” so that the actual policy objective is not exposed and the project stays legitimate and valid. In reality, however, “contribute to the trade capacity building of Cambodia through the provision of mechanical and theoretical lectures” was set as an actual policy objective so that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ject becomes less complex. In this case, KIEP, the policy practitioners, recognized the official policy objective to be the actual policy objective, but because there existed an actual policy objective hidden behind the official objective, policy instruments were designed based on that. In other words, “the provision of mechanical and theoretical lectures” was set as a policy instrument. This can be inferred from the fact that no follow-up consultation or exchange of ideas took place after the termination of the project, and also from the fact that there were many instances where the emails from the Cambodian officials were never answered by the Korean counterparts. Policy practitioners expect policy instruments to align with the official policy objective, but soon realize that the actual policy instruments that they are faced with are not what they initially expected. Eventually, the policy practitioners experience the discrepancy between their perception of actual policy instruments and their expected policy instruments, which in turn make them realize that their perceived policy objective is quite different from the expected policy objective. This might cause confusion and conflict during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the project, which may potentially lead to policy failure in the end. From these findings, we can infer that there occurred some form of “policy discrepancy” in this project. That is to say, the policy practitioners might have experienced confusion after being faced with policy instruments that bear little consistency with their perceived version of policy objective. This can often lead to policy actors having different levels of expectation of their behaviors and roles, which may escalate into a conflict. For the “soft” AfT – especially when policy decision-makers and policy practitioners are separate entities as seen in this case – the possibility of “policy discrepancy” increases, which in turn could hinder the smooth implementation of the project. This is because perfectly organic communication between the policy decision-makers and policy practitioners is impossible. After all, this can be one of the many reasons as to why AfT is mostly skewed towards “hard” AfT instead of “soft” AfT. Therefore, in order for the implementation of AfT projects to be successful, Korea’s AfT projects should be designed in a way that overcomes the discrepancy between the policy objective and policy instruments. First, in the case of “soft” AfT projects, “provision of practical policy recommendations conducive to the establishment of national trade policy of aid recipient countries” should be set as an actual policy objective, and policy instruments should be designed accordingly so that policy practitioners do not experience any confusion during the policy implementation process. Second, to this end, conscious effort into making sure follow-up consultations and exchange of ideas take place should be made. Finally, policy advice should not merely end up being theoretical, but instead should be designed in a way that can lead to the establishment of trade policy that reflects the need of the recipient countries. In order for such things to happen, more effort should be put into overcoming the fragmented relationship between the policy decision-makers and policy practitioners.

      • 경기도 일개 지역의 여성 성폭력 피해자에 대한 분석

        허경은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55

        연구 배경: 본 논문은 경기도 일개 지역에서 발생한 여성 성폭력 관련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 2007년 6월부터 2016년 10월까지 성폭력으로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응급실을 내원해 산부인과 진료를 받은 여성 332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성폭력 피해자는 20대가 가장 많았다. 전체 피해자 중 79.5%가 이전 성경험이 있었으며 13세 이상 20세 미만의 피해자에서도 65.2%가 이전 성경험이 있었다. 전체 사건 중 52.1%가 음주 상태에서 발생했고, 피해자들의 B형 간염 항체 보유율은 50.6%였다. 피해자가 13세 이상인 경우 성폭력 사건은 6월과 8월 사이, 0시-6시 사이에 비면식범에 의해 숙박업소에서 호발했다. 13세 미만에서는 9월과 11월 사이, 12시-18시 사이에 외부 장소에서 면식범에 의한 경우가 많았다. 진료 후 추적 관찰률은 40.1%였다. 고찰: 본 연구에서는 소아를 대상으로 한 성폭력은 전반적인 성폭력 사건의 특성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폭력 피해자의 B형 간염 항체 보유율이 낮아 추적 관찰 및 예방접종이 중요한 것으로 확인 되었으며, 통계적 유의성을 위해 추가적 연구가 필요하겠다.

      • 프로젝트형 수학 수업이 의사소통 능력과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허경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839

        프로젝트형 수학 수업이 의사소통 능력과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허 경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수학영재교육전공 (지도교수 김 성 준)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프로젝트형 수학 수업을 진행하였을 때 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과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본 연구의 목 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가. 6학년 수학교육과정에서 프로젝트 학습을 활용할 수 있는 학습 내용을 재구 성하여 적용하고 관찰한다. 나. 프로젝트형 수학 수업이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다. 프로젝트형 수학 수업이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 향을 분석한다. 위의 연구문제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부산시 기장군 J 초등학교 6학년 2개 반을 대상으로 12차시의 수업을 진행하였다. 실험반은 프로젝트형 수학 수업을 통해 프로젝트 문제의 해결방법을 다양하게 모색하고 토의를 하여 생각을 공유하고 이를 발표하는 학습을 하였다. 비교반은 교과서 내용에 따른 교사의 설명을 듣 는 일반적인 수업을 진행하였다. 이 연구는 혼합 연구로서 양적 분석자료로 의사 소통능력 검사지와 수학적 태도 검사지를 활용하였고 질적 분석자료로는 학생들 의 수업 소감문과 학습지의 결과물을 종합적으로 활용하였다. 사전 및 사후 검사 결과는 리커트 척도에 따라 하위요인별 점수를 산출하고 독립표본 t-검정하였고, 의사소통능력의 하위요인 7개, 수학적 태도의 7개 하위요인별 결과 중심으로 분 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2차시의 프로젝트형 수학수 업을 하면서 학생들은 능동적으로 사고하고 타인과 상호작용하면서 의사소통 능 력을 기르고 수학에 대한 즐거움을 경험하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둘째, 프로젝트 형 수학 수업은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의사소통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 며, 특히 하위요인인 정보수집, 경청, 창의적 의사소통, 자기드러내기, 주도적 의 사소통, 타인관점 이해 영역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셋째, 프로젝트형 수학 수업은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수학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하위요인 중 수학흥미, 수학 학습태도, 가치, 동기, 효능감 영역에서 특히 유의미한 효과가 있 었다. 따라서 프로젝트형 수학수업은 6학년 학생들의 의사소통능력과 수학적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므로, 이를 바탕으로 초등교육 현장에서 프로젝트형 수학수업 을 활용한 다양한 교육방법이 개발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다. * 키워드 : 프로젝트 학습, 의사소통 능력, 수학적 태도 * 본 논문은 2024년 2월 부산교육대학교 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 학위 논문임.

      • 초등학교 시설의 안전사고 실태 및 개선사항

        허경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에서 학교시설로 인한 안전사고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학교에서 생활하면서 경험한 시설물에 의한 안전사고실태 및 학교시설에 대한 안전도 인식실태를 조사ㆍ분석하여 학교시설의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개선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사고 경험 중 학교시설 및 설비의 원인으로 인한 사고비율(9.0%)이 학교안전공제회 보상통계의 시설관리의 흠 사고비율(0.12%)보다 월등히 높게 사고를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학교시설물에 의한 안전사고의 보다 정확한 분석과 효율적인 학교시설물 안전대책을 수립하기 위한 안전사고 통계는 보상된 사고에 의한 안전사고 통계만을 활용하고 있으나, 보상 이외의 사고 내용도 포함하여 확대된 통계자료로 만들어야 하며, 사고 예방에 필요한 정책 분석 시 시설물에 의한 간접적 원인으로 발생된 안전사고를 포함하여 분석하여야 한다. 둘째, 학생들의 사고 발생경험이 가장 높은 시간대는 움직임이 많고 장난이 심한 휴식시간으로 조사되었고 사고 발생경험이 가장 높은 시설은 초등학생들이 가장 많이 머무는 일반교실로 조사되었다. 이에 대한 시설안전 대책으로 바닥은 턱을 두지 않고 미끄럽지 않게 하며 넘어졌을 때 충격이 완화될 수 있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하며, 책·걸상과 사물함의 모서리는 둥글게 하거나 부딪혔을 때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재질로 할 것 등이 필요하다. 셋째, 교실·다목적강당·식당, 복도, 화장실 시설에서 학생들의 사고경험은 바닥에 의해서 가장 높게 조사되었으며, 바닥에 대한 시설안전 대책으로 실내바닥 및 복도바닥에 턱을 두지 아니하고 미끄럽지 않은 재질로 시설하며, 특히 외부 출입구 주위와 화장실의 바닥은 물기가 있어도 미끄러지지 않는 재질로 시설할 것 등이 필요하다. 넷째, 학생들이 시설물을 이용하기 위해 이동할 때 학교 내에서 대체로 뛴 경험이 있었으며, 학생들은 뛰어가는 도중 주로 바닥에 위험을 많이 느끼고 있으며, 사고경험은 계단에서 첫 계단을 인지하지 못해 걸리거나 헛디뎌서가 가장 높게 조사되어 이에 대한 시설안전 대책으로 미끄럽지 않은 바닥재 시설은 필수이며 바닥을 관리할 때 미끄러움을 유발하는 왁스 바르기 등은 안전을 위해 자제하고, 현관 등 많은 인원이 출입하는 공간에서는 대형 사고가 우려됨으로 계단 계획에 신중하여야 하며 경사로를 설치하는 등 걸림 턱을 없애 이동할 때 위험을 줄여 주여야 할 것 등이 필요하다. 다섯째, 학생들이 교내활동을 위해 이동 중 시설물 인지 부족으로 부딪힌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 내 옥외 공간에서 학생이 빨리 이동하기 위해 길 아닌 곳으로 다닌 경험들이 있어 이에 대한 시설안전 대책으로 이동 통로 내 통행에 장애가 되는 시설물은 이동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벽체 내로 정비하고 시설물 인지성을 높이기 위한 색채 구분 등을 활용하여 학생들이 빠른 이동 시에도 쉽게 인지되게 하거나 장애 요인을 제거하도록 하며, 교내 길이 아닌 곳은 학생 안전을 위한 관리가 안 되는 사고 위험 요소가 있는 곳으로 학생들의 출입을 방지할 수 있는 차단시설 설치 또는 자연스럽게 조성된 교내 길이 이용되도록 선형 개선을 할 것 등이 필요하다. 여섯째, 학교시설 중 위험을 가장 많게 느끼는 시설공간은 계단실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안전사고가 많이 발생할 것 같은 시설부위로는 계단난간과 계단바닥이 높게 나타났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첫 단을 인식하지 못해 헛디딤을 방지하기 위해 수평바닥과 계단에 대하여 재료 또는 색채를 이용하여 확연히 구별되게 하여 사용자가 잘 인지할 수 있게 하고 헛디뎠을 때와 뒤로부터 밀렸을 때 잡을 수 있는 난간 손스침을 계단 양쪽에 설치할 것 등이 필요하다. 일곱째, 시설물의 모서리 중 가장 위험하다고 느끼는 부위에 대하여 책상모서리와 계단모서리가 높게 나타났다. 이에 대한 안전 대책방안으로 초등학생들은 학교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교실에서 생활하면서 때로는 놀이도 하고 장난도 치기 때문에 가장 많이 접촉되는 책상모서리는 안전사고의 최소화를 위해 원형으로 처리하거나 충격완화 몰딩을 설치한다. 또한 학생들은 등·하교를 비롯하여 수업활동을 위해 수시로 계단을 이용하게 되는데 계단에서 헛디뎌 넘어지는 사고가 발생하므로 이에 사고발생을 줄이기 위해 기존 계단의 황동제 논스맆 또는 돌(화강석) 모서리는 계단에서 넘어졌을 때 크게 다칠 수 있는 구조이므로 넘어졌을 때 사고와 위험을 줄여주기 위해서는 계단모서리는 탄력성이 있는 재질로 하며 그렇지 못할 경우 최소한 계단코를 둥글게 시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resent research aimed to survey and analyze the actual situation of safety accidents by facilities experienced while working at a school and the actual situation of safety recognition on school facilities to deduce a method that minimizes safety accidents due to school facilities at an elementary school and to suggest it as improvement material for prevention of safety accidents of school facilities. Its summary is as follows. First, it was surveyed that as the accident ratio(9.0%) due to the reason of school facilities and equipment among school accident experiences is much higher than the accident ratio(0.12%) due to flaws of facilities management in compensation statistics of the school safety mutual aid association, the school accidents occurs much more. Accordingly, the safety accident statistics for more accurate analysis of safety accidents due to school facilities and establishment of efficient school facilities' safety measures utilize only safety accident statistics according to compensated accidents. But it should be made as expanded statistics including accidents content except compensation, and should include safety accidents occurred due to an indirect reason by facilities in case of analyzing a policy necessary for accident prevention. Second, the time zone that students experience the most high accident occurrence was surveyed as a break that there are much student's motions and plays, and the facilities that students experience the most high accident occurrence was surveyed as general classrooms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stay for the longest time. As the facility safety measures, the floor shouldn't include ridges, is not slippery, and should be covered with elastic material that can reduce shock, and it is necessary to make the corners of books·chairs and lockers round or to use damping material for the corners. Third, it was surveyed that the accident experience of students in classroom·multipurpose hall·dining hall, corridor, rest room facilities was mainly caused by the floor, and as the facility safety measures on the floor, the floor shouldn't include ridges and should be installed with non-slippery material, and especially, it is necessary to install material not slippery in spite of being moist to external doors and the floor of a rest room. Fourth, students generally had experience inside the school when moving to use facilities, and students are mainly feeling danger about the floor during running, so it was most highly surveyed that the accident experience occurs when they are caught by the step or miss one's step because they don't recognize the first step, and thus it is essential to install non-slippery material as the facility safety measures on the floor. It is necessary that when the floor is maintained, the wax coating, etc. causing sliding is inhibited for safety, and as large accidents may occur in the space like the entrance, etc., where many person are coming and going, the school should be prudent in the step plan and reduce the danger of when students move by installing a slope way and removing locking ridges. Fifth, it appeared that students had experience that collides facilities during moving for campus activities because of insufficiency of facilities recognition, and they had experience that goes and comes to another place instead of a path to rapidly move in the outdoor space inside the school. As the facility safety measures on this, the school should maintain the facilities becoming an obstacle in passage inside a path inside a wall so that it doesn't become a hindrance in passing, and the school should easily recognize students even in case of their quick movement or remove the hinderance factor by utilizing color division, etc. for enhancing recognition of facilities. It is necessary that as a place that is not a path inside the school includes an accident danger factor that is not managed for students safety, the interception facilities that can prevent coming and going of students are installed, and that the linear improvement, etc. is carried out so that the naturally formed path inside the school. Sixth, it appeared that the facilities space that students most feel danger among school facilities are a stair hall, and the staircase railing and staircase floor appeared highly as a facilities part that seems to most generate safety accidents. The measures on this make users well recognize the horizontal floor and staircase clearly by using material or color to prevent missing one's step due to recognition failure of the first step, and it is necessary that the handrail that students can catch in case of missing one's step or being pushed from the rear is installed in both sides of the staircase. Seventh, the corners of a desk and a staircase appeared highly as a part that students feel most dangerous among corners of facilities. The safety measures on this is to make the most touched corners of the desk become a circular type for minimization of safety accidents or install impact-damping molding becaus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pend most time in a classroom and play at the school sometimes. Also, as students frequently get to use a staircase for going to the school & going home and class activity, the accident that students fall down because of missing one's step in the staircase, and as the conners of brass non-slip or stone(granite) of the existing staircase have structure that students get injured seriously when they fell down in the stairway, it is desirable that the corners of the staircase should be made by elastic material and otherwise, the nosing of a staircase should be made to be round to reduce accidents occurr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