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피가로의 결혼》(Le Nozze di Figaro), K.492 중 2막 피날레 분석 연구 : 계몽주의 사상의 음악적 구현

        한유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opera buffa Le nozze di Figaro(1786), composed by Wolfgang Amadeus Mozart (1756-1791) in 18th century, contains classicism and Enlightenment ideas which greatly influenced the outbreak of French Revolution in 1789. From thereon, this opera has been continuously studied by the scholars from various viewpoints up to this time. This thesis, views on the Act II Finale of Le nozze di Figaro as realization of the Enlightenment ideas. Our analysis attempts to discover how its social background at the time affected Mozart’s opera. Existing, precedent researches on Le nozze di Figaro have been mainly focused on solo aria, lacking discussions on the chrous part as a research topic.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how Mozart represented the public opinions and minds in his opera through in-depth analysis of the chrous from the Act II Finale. The chrous of Act II Finale is the longest and the most notable part of Le nozze di Figaro; hence in order to understand Mozart's intention to support Enlightenment ideas in this opera, it is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on the chorus part as well. This study begins with the review of the social background projected on the opera by analyzing the Act II Finale which consists of four acts. The analysis observes characters, orchestra, and chorus in relation to Enlightenment ideas. The study specially investigates musical elements such as rhythm, melody, harmony, dynamics, articulation and orchestra that contribute to manifest Enlightenment and antisocial ideas that Mozart has put into the musical work. Regarding methodologies, this paper reviews the past and the current researches including both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and the scores (Klavierauszug version published by Bärenreiter, Orchestra version published by Ricordi). The analysis displays that Le nozze di Figaro comes up to the nonet in the last four acts which makes the splendid grand Finale after duet and trio; the chorus part depicts an equality in human relationships that transcends social class and represents the value of equality and freedom. In particular, Mozart, who was well acquainted with struggles and discrimination among social class which occurred before the French Revolution, advocated the ideas that the social reformation is required along with rational humanism of the Enlightenment. With such ideas in mind, he embodies the social consensus in the chrous part of Le nozze di Figaro by satiring the society and sharply criticizing the tyranny and immorality of the nobility. As a result of his attempt through common musical form such as the opera buffa, Le nozze di Figaro gained much popularity among the public, speading out the ideas of the opera, which became the important issue. 18세기의 작곡가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Wolfgang Amadeus Mozart, 1756-1791)의 오페라 부파 ⟪피가로의 결혼(Le Nozze di Figaro), 1786⟫은 고전주의 계몽사상을 담고 있으며, 1789년에 일어났던 프랑스 시민혁명에도 많은 영향을 미친 작품으로 여겨져 근래에도 이 작품에 대해 다양한 관점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흐름을 이어 본 논문은 작품 ‘피가로의 결혼’의 2막 Finale 를 계몽주의 사상의 음악적 구현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당시 사회적 배경이 작품에서는 작곡가에 의해 음악적으로 어떻게 연출되는가를 발견하고자 하였다. 작품 ‘피가로의 결혼’에 대한 국내연구는 주로 독창 아리아를 중점으로 이뤄져왔으나, 연구 주제로 잘 조명되지 않는 본 작품 2막 Finale의 다중창을 다룸으로써 동시다발적으로 이루어지는 대중들의 마음과 목소리를 한 음악 속에 담아내는 효과를 발견할 수 있다. 2막 Finale 다중창은 ‘파가로의 결혼’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작품 속에 계몽주의를 담았을 작가의 의도를 명확히 인지하기 위해서는 이 다중창 부분을 분석하는 연구가 작품의 전체적이고 균형적인 이해를 돕는데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총 4막으로 구성된 오페라의 제 2막 Finale를 분석할 때 음악에 투영된 사회적 배경을 이해하고, 극에 설정된 등장인물, 오케스트라, 다중창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작곡가가 드러내고자 했던 계몽주의적 사상을 발견하고자 한다. 특히 이 작품을 이루고 있는 음악적 요소들(리듬, 선율, 화성, 셈여림, 아티큘레이션, 오케스트라 등)을 살펴봄으로써 작곡가가 작품에 부여한 계몽주의적이고 반사회적인 사상들을 찾아 집중 연구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국내·외의 여러 문헌을 읽고 사용하였으며, 악보(Bärenreiter 출판사의 Klavierauszug 버전, Ricordi 출판사의 Orchestra 버전)들을 활용하여 본 논문의 예로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오페라 ⟪피가로의 결혼(Le Nozze di Figaro)⟫은 이중창, 삼중창에 이어 마지막 4막에서는 9중창까지 나오며 화려한 대미를 장식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다중창은 계급을 뛰어넘는 평등한 인간관계를 묘사하며 평등과 자유 환희의 감격을 나타내준다. 특히 시민혁명 이전의 계급차별 및 투쟁에 대해 잘 알고 있던 모차르트는 이를 혁파해야 한다는 계몽주의의 이성적 인본주의에 공감하며 본 작품의 다중창에도 그 공감대를 고스란히 담아내었으며, 귀족의 횡포와 부도덕함을 날카롭게 비판하고 사회를 풍자하는 등 당시 대중들에게 많은 인기를 얻으며 큰 이슈화가 되었다.

      • 소비자의 구매 경험 확장을 위한 컨텐츠 플랫폼 제안 연구 : 홈 퍼니싱 시장을 중심으로

        한유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소비자들의 소비 트랜드가 점차 변화하고 있다. 패스트 패션에서 패스트 푸드 그리고 패스트 퍼니쳐까지 패스트 트랜드가 의, 식, 주 전반에 걸쳐 나타나는 것과 동시에 소비자들의 성향 또한 바꾸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국내에 1~2인 가구가 늘어나면서 홈 퍼니싱 시장의 규모가 성장하고 있다. 다양한 디자인과 합리적인 가격대로 공간의 분위기를 쉽게 바꿀 수 있는 라이프스타일 시장이 점차 성장하고 있는 추세이며 정보통신의 발달은 이커머스 시장의 성장세를 유지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기존의 온라인 쇼핑몰들은 고객의 쇼핑 경험에 따라 차별화를 두기위해 경쟁 구도에서 다각화되어 소비자들의 구매 유형에 따른 마케팅을 제안하고 구매 욕구를 자극시키려는 전략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패스트 트랜드에 따른 홈 퍼니싱 시장의 사용자 컨텐츠 플랫폼을 제안하기 위해 진행된 연구로 홈 퍼니싱 제품을 구매하는 소비자들의 정보 습득 경로 및 구매 성향을 파악하여 소비자들의 니즈를 분석하고 구매 경로에 따른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은 온, 오프라인을 통해 홈 퍼니싱 제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20~40대 이상 소비자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104부의 응답이 선정되었으며, 자료 분석을 통해 결과 값을 도출하였다. 구매 성향 분석을 통해 소비자들은 한 가지의 채널을 통해 제품을 구매하는 것이 아닌 복합 채널 곧 크로스 채널을 추구하여 정보를 습득하고 이후 구매의 과정으로 넘어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구 결과로는 첫째, 홈 퍼니싱 제품 구매 경혐 유형이 확인되었다. 소비자들의 홈 퍼니싱 제품 구매 및 정보 취득 경로는 온라인에서 구매하는 응답자가 가장 많았지만 한 가지의 채널만 사용하는 것이 아닌 온, 오프라인을 통해 정보를 얻고 구매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는 정보 취득 경로에 따라 구매 채널이 달라지고 구매 경험 또한 달라진다는 것을 뜻한다. 둘째, 홈 퍼니싱 제품 구매 성향 유형을 파악한 결과 대다수의 소비자들은 온라인 채널을 통해 생활용품(소품, 가드닝)을 구매하며 구매 결정 요소에는 실용성이 가장 많은 비율로 차지했다. 온라인 채널의 발달로 인해 일일 배송이 가능하고, 저렴한 금액으로 제품을 쉽고 빠르게 구입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온라인을 통해 소비자들은 소모품으로 사용되기 쉬운 생활용품을 구매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패스트 트랜드를 반영한 홈 퍼니싱 시장은 소비자들의 트랜드 동향에 따른 제품을 선보임으로써 소비자들의 구매 욕구를 자극시킬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한 학문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홈 퍼니싱 분야에 잘 다루어지지 않았던 SNS기반 해시태그를 활용하여 홈퍼니싱 시장에 중점을 둔 사용자 컨텐츠 플랫폼의 해시태그 효과를 살펴본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에서 제안한 홈 퍼니싱의 사용자 컨텐츠 플랫폼을 통해 소비자들의 구매 경혐 유형과 성향을 파악하여 추후 서비스에 반영한다면 소비자들의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 낼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과 웹진의 장점을 이끌어낸 샵진을 제안함으로 소비자들에게는 쇼퍼테인먼트의 새로운 마케팅의 전략이 극대화 될 수 있을 것이다. 추후 연구에서는 사용성 평가에 따른 명확한 기준을 세워 소비자들의 니즈를 분석하고 그에 맞는 사용자 컨텐츠 플랫폼 서비스의 검증을 요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홈퍼니싱의 사용자 컨텐츠 플랫폼에 대한 연구는 선행 연구가 미비하며, 패스트 트렌드에 따른 홈퍼니싱 시장의 사용자 컨텐츠 플랫폼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진 바가 없으므로, 이를 통해 홈퍼니싱의 제품을 구매하는 사용자들에게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oday, consumers’ consumption trend gradually changes. The ‘fast’ trend appears across food, clothing, and shelter, including fast fashion, fast food, and fast furniture and at the same times changes consumers' propensity. Accordingly, as recently, in South Korea, families of one or two people have increased, the size of the home furnishing market is growing. The lifestyle market in which people can easily change the atmosphere of space with various designs and reasonable prices tends to gradually grow, and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tributes the maintenance of the growth of the e-commerce market. The existing on-line shopping malls propose marketing by consumers' purchase type and show a strategy to stimulate purchase desire through diversification in the competitive structure for differentiation according to customers' shopping experience.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user content platform in the home furnishing market, according to fast trend. This study analyzed consumers' needs, assessing the information acquisition path and purchase propensity of consumers who purchase home furnishing products and conducted research according to the purchase path. As subject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with consumers in the 20s to 40s, who had an experience of purchasing home furnishing products online or offline, selected a total of 104 copies of responses, and drew result values through a data analysis. Through analyzing purchase propensity, it was noted that consumers do not purchase products through a single channel, but obtain information, pursuing complex channels, that is, cross channels and proceed to the following process of purchase.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types of experience of purchasing home furnishing products were identified. Concerning consumers' home furnishing product purchase and information acquisition path, it was found that most respondents responded that they purchase home furnishing products on-line, but they did not use only one channel, but purchase the products obtaining information on/offline. This means that their purchase channel changes depending on the information acquisition path, and their purchase experience, too, differs. Second, as a result of assessing the types of the propensity of purchasing home furnishing products, it turned out that most consumers purchased household items (Props and gardening) through online channels) and of the factors determining the purchase, practicality took up the highest percentage. With the development of online channels, one-day delivery became possible, and it was found that, through online channels that have a merit that consumers can purchase products easily at low prices and fast, they purchase household items that can easily be used as consumables. In conclusion, the home furnishing market that reflects the fast trend needs a strategy that can stimulate consumers’ purchase desire by showing products according to the tendency of their trend. Academic implication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that it investigated the effect of hashtags of the user content platform that focuses on the home furnishing market, utilizing SNS-based hashtags that have not been dealt in the field of home furnishing market. It is expected that assessing the type of consumers' purchase experience and their propensity and reflecting them to services in the future through the user content platform of home furnishing proposed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draw their positive reactions, and proposing a “shopzine” that has merits of an application and webzine, the strategy of new marketing for “shopper-tainment” for consumers can be maximized. In the subsequent studies, it would be necessary to analyze consumers’ needs, establishing clear criteria according to the evaluation of usability and to verify the user content platform services. It is expected that, since there are few preceding studies of the user content platform of home furnishing, and there is no study of the user content platform in the home furnishing market, according to fast trend, this study can provide various implications for the users who purchase home furnishing products through that.

      •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목회상담자의 전문화 방안 연구

        한유경 선학UP대학원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세계는 기술의 발달로 인간의 두뇌의 역할을 AI가 대신하고 인간의 신체의 역할을 로봇이 대신할 수 있는 시대가 되었다. AI나 로봇이 인간이 수행해야 할 능력을 더 잘 수행해내는 것이다. 이러한 시대에 우리는 인간답게 사는 것이 무엇인지 이해하기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 그로 인해 사람들은 지쳐가며 어려움을 겪고 있어 목회적 돌봄이 더욱 필요해지고 있다. 목회적 돌봄의 일환으로 목회상담은 좋은 수단이 된다. 본 논문에서 가장 해결하고 싶은 연구 문제는 “어떻게 가정연합 목회상담자의 전문성을 키울 수 있을까?”이다.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가정연합 목회상담자의 전문화 방안을 제언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문제 및 목적에 따라 다음 세 가지 측면의 연구 주제를 설정하였다. 가정연합을 전제로 첫째, 목회상담의 전문화가 왜 필요한지, 둘째, 목회상담의 전문화에 필요한 역량은 무엇인지, 셋째, 목회상담자의 전문화 향상을 위한 방안은 무엇인지다. 본 논문의 연구방법은 문헌연구로 진행하였다. 단행본과 학술지 및 학위 논문 등을 중심으로 목회상담과 전문화에 대한 개념을 연구하였다. 가정연합의 목회상담 전문화 구성요소를 분석하고 방안을 제언하기 위해서는 문선명 선생의 말씀을 주로 연구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가정연합의 목회상담 전문화 방안을 제언하였다. 가정연합 목회상담의 전문화 요소는 목회상담자의 전문지식, 경험, 문제해결능력, 교회의 체계적 지원이 있다. 전문가가 되기 위해서는 스스로 전문성을 역동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이를 키우기 위해 목회상담자는 전문지식을 갖춰야 하고, 목회상담자로서 경험을 쌓고, 문제해결능력을 키워야 한다. 교회에서도 목회상담자를 위해 상담전문교육 프로그램, 목회상담자 네트워크, 재정적 지원과 전임전문사역자 양성 등의 체계적인 지원을 해야 한다. 목회상담자가 문제해결능력을 위해 갖춰야 할 기준은 목회상담자의 소명의식, 영성 계발, 자세다. 목회상담자는 소명의식을 가지고 대신자, 대사자, 대역자의 역할을 해야 한다. 목회상담자는 기도 정성과 영계의 협조를 받음으로써 영성을 계발해야 한다. 목회상담자의 자세는 위하는 마음, 사랑하는 마음, 모시는 마음으로 임해야 한다. 연구결과를 통해 목회상담 관련자에게 목회상담 전문화의 필요성을 이해시킬 수 있다. 목회상담 전문화의 구성요소와 방안도 제시한다. 제시된 가정연합의 목회상담 전문화 방안은 하나님을 중심으로 목회자와 내담자가 관계를 맺어 영성을 키울 수 있도록 한다. 결론적으로 목회상담의 전문화 과정은 내담자의 문제해결의 효율성을 높인다. Thanks to technological advances in today’s world, AI is replacing the brain’s cognitive abilities and robots can replace manual labor, often better than human beings. In these circumstances, it is becoming more challenging for human beings to understand what the meaning of a fulfilling, moral life is. These pressures on human existence can be exhausting and pastoral care plays an important role in providing care for people. Pastoral counseling as part of pastoral care is a good means of achieving adequate care. This paper wishes to address a crucial question, “How can Family Federation for World Peace and Unification raise experts in pastoral counseling?” To answer this question, this paper aims to propose ways of developing professional pastoral counseling. Three major research themes were selected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and issues dealt with by this research paper, all within the framework of Family Federation for World Peace and Unification: First, why is professional pastoral counseling necessary? Second, what elements are necessary to developing professional pastoral counseling? Third, what measures are necessary to improve professional pastoral counseling? The research material for this paper was literary. Various sources such a research papers, academic journals and published articles were researched on the concept of pastoral care. Furthermore, to analyze the elements of professional pastoral counseling within the scope of Family Federation for World Peace and Unification and suggest ways of improving it, the words of Rev. Sun Myung Moon were primarily researched. An outcome of this paper has been to propose ways for Family Federation to specialize in pastoral counseling. Elements related to specialization in Family Federation for World and Unification include the counselor’s professional expertise, experience, problem-solving competence, and the systematic support from the church. Becoming an expert requires an ability to dynamically improve one’s competency. Doing so requires that the counselor develops relevant expertise, professional knowledge as well as the ability to empathize and solve problems. At the church level, systematic support such as professional programs aimed at raising pastoral counselors, establishing counselors’ networks, providing financial support, and raising qualified and talented counselors are necessary.

      • 아른하임의 시지각 이론으로 본 아동미술표현 연구 : 5세∼8세를 중심으로

        한유경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Study on the Artistic Expression of Children based on Visual Perception Theory by Arnheim Focusing on the Drawings of Children Aged 5 through 8 by Han, You-kyung Major in Art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Ahn, Hyeri) The artistic expression of children is a measure of the creative communication of children to freely express themselves. However, it is not easy to correctly interpret and understand these artistic expressions. Many art educators, philosophers, and psychologists have been studying and interpreting them from various perspectives, including chronological analyses. One of the famous art education scholars, Lowenfeld, interpreted these expressions from the perspective of seeing them as expressions of experience from the notion of self-identification. However, it is not sufficient to explain these expressions from this perspective alone. The psychologist Arnheim interpreted them from a cognitive perspective by seeing them through his ‘visual perception theory.’ Arnheim's theory of visual perception is helpful in looking at children's artistic expressions from various perspectives and understanding them by interpreting the cognitive developmental aspect of children. However, domestic studies on children's art that applied Arnheim's visual perceptive theory have been mainly focused on analysis of literature.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studies that apply Arnheim's visual perception theory in the analysis of children's artistic expression in our country. The position of the perception of Arnheim's visual perception theory is based on Gestalt psychology. In Gestalt psychology, an object is perceived as a simple structure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the entirety and parts when visually perceiving the object, and the entirety is more than the sum of parts. According to Arnheim, seeing is not simply recording an object but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its entire structure, and thinking comes into effect during this process. Accordingly, perception cannot be separated from thinking and visual perception is 'visual thinking'. There are five main characteristics of visual perception, which are: (1) active and selective, (2) the principle of simplification comes into effect, (3) time is consumed, (4) completes incompletion, and (5) identifies constancy. In addition, visual perception is affected by memory and mental imagery. Children reproduce this perception concept obtained through such visual perception experience as representational concepts through a medium. Accordingly, the developmental processes of children’s visual perception can be seen through the shape differentiation shown in artistic expression. In this study, Korean children's actual artworks were selected. These were drawn by children aged five through eight, between June 2011 and May 2013 (one year and 11 months) to review and assess them via Arnheim's visual perception theory and analyzed for ‘process of shape differentiation’ where the visual thinking can be harmonized in children's artistic expres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shape in children's artistic expression undergoes a series of shape differentiation processes where shape is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visual perception.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shape differentiation when understanding and instructing children's artistic expression. In addition, it is also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children's visual perception development and the rhythm of shape differentiation to give a sufficient amount of time for them to become familiar with shape, while instructing them according to their visual perception developmental process for the advancement of their artistic expression. Second, the shape differentiation occurs actively in children aged five through eight during the development of artistic expression. and it occurs more significantly aged five through seven than aged six through eight. Accordingly, children at age five should be allowed to begin their art activities, as this is the period in which shape differentiation begins. In addition, consistent art activities - where visual perception activities accompany visual thinking - activates and advances shape differentiation. Accordingly, consistent art activities of children aged five through eight are crucially important in their developmental process. Third, in these children’s artwork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irls and boys, as well as individuals, when choosing their favorite objects and themes. That's why differentiation of shape occurs more actively in the expression of their objects of interest. Accordingly, it would be necessary to use varying themes of interest depending on individuals, instead of standardized themes. it allow them to develop their artistic progress. so that it should also expand into other objects and themes which would aid the children’s development. In this work, seen through Arnheim's visual perception theory, it was possible to see the processes of their visual perception development through their shape differentiation. The artistic expression of children has unique characteristic shapes. In the shapes of their expression, there were clear shapes of what children intended to portray that have certain meanings. Meanwhile, Arnheim did not emphasize the differentiation process of shape according to age, since children's artistic expressions through visual perception development are shown differently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is study, however, in the artistic expressions of children aged five through eight, differentiation process of shape where the visual thinking can be harmonized which was advanced during the development of despite individual differences within the children, an 국문초록 아동 미술표현은 자유롭게 자신을 표현한 것으로 아동의 창의적인 소통 수단이다. 그런데 이러한 아동 미술표현을 해석하고 바르게 이해하는 것은 쉽지가 않다. 많은 미술교육자, 철학자, 심리학자들은 시대에 따라 다양한 시각으로 아동의 미술표현을 연구하고 해석해왔다. 대표적인 미술교육 학자인 로웬펠드는 아동 미술표현을 자아동일화에 의한 경험의 표현으로 보는 관점에서 해석하였다. 하지만 이것만으로 아동 미술표현을 이해하기에는 설명이 충분하지가 않다. 심리학자인 아른하임은 아동 미술표현을 그의 시지각 이론으로 바라보고 인지적 관점으로 해석하였다. 이러한 아른하임의 시지각 이론은 아동 미술표현에서 아동의 인지 발달적 측면을 해석함으로써 아동 미술표현을 다양한 관점에서 바라보고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그런데 현재 우리나라에서 아동미술과 관련하여 아른하임의 시지각 이론을 적용한 연구는 주로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따라서 아른하임의 시지각 이론을 우리나라 아동의 미술표현 분석에 적용한 연구가 요구된다. 아른하임의 시지각 이론의 지각에 대한 견해는 형태심리학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형태심리학은 시각을 통해 대상을 지각할 때 전체와 부분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단순한 구조로 인식하는데 전체는 부분들의 합 이상이다. 아른하임에 따르면 본다는 것은 단순히 대상을 기록하는 것이 아니라 대상의 전체적 구조의 특징을 파악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에서 사고가 작용한다. 따라서 지각은 사고와 분리될 수 없으며, 시지각은 ‘시각적 사고’ 이다. 시지각은 크게 다섯 가지 큰 특징이 있는데 첫째, 능동적이며 선택적이다. 둘째, 단순화의 원리가 작용한다. 셋째, 시간이 소요된다. 넷째, 미완성을 완성시킨다. 다섯째, 항등성을 파악한다. 또한, 시지각은 기억과 심상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 아동은 이러한 시지각 경험을 통해 얻어진 지각개념을 매체를 통해 표상개념들로 재현한다. 따라서 미술표현에 나타난 형태 분화과정을 통해 아동의 시지각 발달 과정을 볼 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5세부터 8세 아동이 지난 2011년 6월부터 2013년 5월까지 1년 11개월 동안 그린 우리나라 아동의 실제 작품을 선정하여 아른하임의 시지각 이론을 통해 살펴보고 아동 미술표현의 시각적 사고가 융화된 형태 분화과정을 분석하였다. 그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아동 미술표현에서 형태는 아동의 시지각 발달에 따라 형태가 분화되는 일련의 형태 분화과정을 거친다. 따라서 아동 미술표현을 이해하고 지도할 때 형태분화의 과정을 알아야 한다. 그리고 아동의 시지각 발달과 형태분화의 리듬을 주시하여 형태가 숙달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주면서 아동의 시지각 발달 과정에 맞게 미술표현이 발전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둘째, 5세~8세 아동 미술표현에서의 형태분화는 나이가 많아짐에 따라 분화가 잘 이루어진다. 그리고 그것은 6세에서 8세로 가는 과정보다 5세에서 7세로 가는 과정에서 더욱 크게 일어난다. 따라서 특히 5세는 형태분화가 시작되는 시기로 이 시기에 미술 활동을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시지각 활동이 수반되는 꾸준한 미술 활동은 시각적 사고를 활발하게 하고 형태분화를 발달시킨다. 따라서 발달 과정에 있는 5세~8세 아동의 꾸준한 미술 활동은 매우 중요하다. 셋째, 아동 미술표현에서 아동마다 즐겨 그리는 대상과 주제는 여아와 남아 그리고 개인적으로도 차이가 있다. 그래서 형태의 분화가 자신의 관심대상 표현에서 더욱 활발히 일어난다. 따라서 획일적인 똑같은 주제보다는 개인에 따른 관심 주제를 통해 미술표현을 발전시킨다. 그리고 이것을 다른 대상으로 확장시켜 나가면서 아동의 미술표현이 발전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아른하임의 시지각 이론으로 본 아동 미술표현에서는 형태 분화과정과 이를 통한 시지각 발달 과정을 볼 수 있었다. 아동 미술표현은 아동만의 특징적인 형태를 보이고 있다. 그리고 그 표현에서의 형태는 자신이 표현하고자 하는 분명한 것이 있고 또 그것은 특정한 의미가 있다. 한편 아른하임은 아동의 시지각 발달에 의한 미술표현이 아동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나이에 따른 형태의 분화과정을 중요시하지 않았다. 그러나 본 연구에 따르면 아동에 따라 개인적인 차이는 있지만 5세∼8세 아동의 미술표현에서 시각적 사고가 융화된 형태의 분화과정은 나이가 많아짐에 따라 발전되었고 나이에 따른 분화과정의 큰 특징을 볼 수 있었다. 요컨대 시각적 사고가 융화된 형태 분화과정은 넓은 범위에서 나이에 따라 발달되는 큰 특징이 있다. 아른하임의 시지각 이론으로 아동 미술표현을 분석하는 것은 아동 미술표현의 인지적인 측면을 해석해 주고 있다. 따라서 아동 미술표현의 이해를 위해 아동 개인의 미술표현에 대한 동기와 표현적인 해석과 더불어 인지적인 해석을 함께 적용함으로써 아동 미술표현을 좀 더 다양한 각도에서 폭넓게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하지만 아른하임의 시지각 이론을 통한

      • 대학생의 성인애착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반추와 정서표현억제의 매개효과

        한유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relations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adult attachment, rumination, suppression of emotional expression, and depression. In addition, mediating effects of rumination and suppression of emotional ex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depression were explored. A total of 274 undergraduate students (92 males and 182 femal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completed a questionnaire regarding their attachment, rumination, suppression of emotional expression and depression.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program 21.0 and SPSS Process Macro v2.16.3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undergraduate students’ adult attachment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suppression of emotional expression. Students who had higher levels of attachment-related anxiety and avoidance experienced more depression. Attachment anxiety had a higher influence on depression than attachment avoidance. Second, rumina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 between adult attachment-related anxiety and avoidance and depression and mediating effects were significant. Students who had higher levels of attachment-related anxiety and avoidance used more rumination and the more they used rumination, the higher levels of depression was. Lastly, suppression of emotional expression did not mediate the relations between adult attachment-related anxiety and avoidance and depression. This study confirmed the relations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depression among undergraduate student and found the relative influences of attachment-related anxiety and avoidance. These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rogram development aimed at identifying specific strategies for undergraduate students who experience high levels of depression,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성인애착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 과정에서 반추와 정서표현억제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남녀 대학생 274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대학생의 성인애착은 Brennan, Clark과 Shaver(1998)가 개발한 ‘친밀한 관계에서의 경험(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s Questionnaire [ECR])’을 Fraley, Waller와 Brennan(2000)이 개정한 ‘친밀한 관계에서의 경험-개정판(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s Questionnaire-Revised [ECR-R])을 김성현(2004)이 번역하여 타당화한 척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반추는 Nolen-Hoeksema와 Morrow(1991)가 개발한 반응양식 척도 중 반추에 관한 부분을 김소정, 김지혜와 윤세창(2010)이 국내에서 타당화한 ‘반추적 반응양식’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정서표현억제는 Joseph 등(1994)이 개발한 ‘정서표현에 대한 태도(Attitude Toward Emotional Expression Scale [ATEES])’를 홍창희(2003)가 번안하고 김희경(2004)이 수정한 것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우울은 Radloff(1977)가 고안한 우울척도(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를 전겸구, 최상진과 양병창(2001)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여 측정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독립표본 t-test와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SPSS RROCESS Macro v.2.16.3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중매개모형(multiple mediator model)을 분석하였다. 간접효과의 유의성은 부트스트랩핑 방법을 이용하여 95% 신뢰구간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애착의 두 차원인 애착 불안과 애착 회피 모두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미쳐, 애착 불안과 애착 회피 수준이 높을수록 대학생은 더 많은 우울을 경험하였다. 또한 우울에 미치는 영향력은 애착 회피보다 애착 불안이 상대적으로 더 크게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성인애착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반추의 매개적 역할을 살펴본 결과 유의한 매개효과가 나타나, 애착 불안과 애착 회피 수준이 높을수록 대학생들은 반추를 더 많이 사용하였으며, 반추를 더 사용할수록 우울은 더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대학생의 성인애착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이 정서표현억제에 의해 매개되는지 살펴본 결과, 정서표현억제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즉, 애착 불안과 애착 회피가 높을수록 정서표현억제를 더 보였으며, 애착 회피가 정서표현억제와 더 높은 관련성을 보였지만, 정서표현억제는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인애착이 반추를 통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으며, 애착 불안과 애착 회피가 반추 및 정서표현억제 전략과 우울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이 차이가 있음을 밝혔다. 즉, 성인애착의 두 차원인 애착 불안과 애착 회피의 특징에 따라 대학생이 사용하는 정서조절 전략이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애착 불안이나 애착 회피와 같은 불안정 애착으로 우울을 경험하고 있는 성인진입기 대학생들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적응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각 특징에 맞는 상담 및 인지적 개입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재한 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몽골 유학생을 중심으로

        한유경 숭실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재한 몽골 유학생의 일반적인 특성, 문화적응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대학생활 적응 수준을 밝히고 재한 몽골 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최근 우리나라에서 급격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재한 몽골 유학생을 새로운 서비스 대상으로 인식하고 재한 몽골 유학생의 대학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봄으로써 이들의 대학생활 적응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와 함께 재한 몽골 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도움을 될 서비스 제공을 위한 사회복지적 함의를 이끌어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 재한 몽골 유학생이 재학 중인 대학교의 서비스 이용경험으로 나누어 재한 몽골 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내 11개 대학에 재학 중인 재한 몽골 유학생 10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통계처리는 SPSS WIN 12.0을 이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대해 살펴보면 한국 문화와 몽골 문화의 차이에서 오는 문화충격으로 인한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차이를 살펴보면, 여성이 남성보다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혼인에 따른 문화적응 스트레스 간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성별에 따른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차이를 살펴보면 여성이 남성보다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적게 받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기숙사에 생활하는 재한 몽골 유학생의 경우 하숙을 하는 학생들에 비해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재한 몽골 유학생들이 기숙사에서 생활하는 것이 같은 어려움을 겪는 재한 외국인 유학생들과 함께 생활하는 기회를 가짐으로써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낮출 수 있는 공간이 됨을 알 수 있었다. 종교를 갖고 있지 않는 재한 몽골 유학생이 종교를 갖고 있는 재한 몽골 유학생에 비해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몽골의 경우 1990년 이전에는 사회주의 체제였으므로, 대다수 재한 몽골 유학생이 오랜 기간 동안 무신론 영향에 사회 분위기에서 성장하였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한국에 유학 온 이후, 대다수 몽골 유학생들은 종교를 통한 친목 및 심리적 안정을 위하여 종교를 갖기 시작하였으나, 아직은 종교가 재한 몽골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낮추는데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여겨진다. 그 밖에 혼인여부, 연령, 체류기간, 한국어 수준에 따른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지에 대해 살펴보면, 교수, 종교인, 대학지원시설로부터 받는 사회적 지지보다는 몽골 친구들로부터 받는 지지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한국인 선·후배로부터 받는 사회적 지지를 가장 낮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어 수준에 따른 사회적 지지를 살펴보면, 학업을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재한 몽골 유학생이 그렇지 못한 학생들에 비해 사회적 지지 수준이 높다고 지각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종교에 따른 사회적 지지를 살펴보면 기독교를 믿는 재한 몽골 유학생이 불교를 믿는 재한 몽골 유학생보다 종교를 통한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고 있다고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몽골의 경우 1990년 이전에는 사회주의 체제였으므로, 한국에 유학 온 이후, 대다수 재한 몽골 유학생들은 심리적 안정을 위하여 종교생활을 시작하였으리라 짐작할 수 있다. 그 중 기독교가 높은 사회적 지지 원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기독교가 교회를 통하여 재한 몽골 유학생들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제공에 따른 결과로 여겨진다. 그 밖에 성별, 혼인여부, 거주형태, 체류기간에 따른 사회적 지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활 적응에 대해 살펴보면 대학환경 적응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개인의 정서적 적응수준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수준의 차이를 살펴보면, 기혼인 재한 몽골 유학생이 미혼인 학생보다 대학생활 적응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기숙사에서 생활하는 재한 몽골 유학생이 다른 곳에서 생활하는 유학생들보다 대학생활 적응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재한 몽골 유학생이 재학 중인 대학교의 서비스 이용경험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수준의 차이를 살펴보면, 조력프로그램(한국인 친구 사귀기, 학습 도우미 등) 경험이 대학생활 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한 몽골 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을 위하여 한국인 친구 사귀기 또는 학습 도우미 등과 같은 조력프로그램들이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재한 몽골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에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낮고 기숙사에 거주하는 재한 몽골 유학생이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장혁심(2005)의 서울지역 중국인 유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관한 선행 연구결과는 성별, 연령, 혼인여부, 거주환경, 한국어 수준, 한국 체류기간에 의한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나임순(2006)의 대전 지역 3개 대학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생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에서는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는 성별, 혼인여부, 한국어 수준, 한국 체류기간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한국어 수준이 가장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유학생의 출신국가별로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다름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살펴보면 거주형태, 문화적응 스트레스, 조력프로그램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낮은 재한 몽골 유학생이 대학생활 적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숙사에서 거주하는 재한 몽골 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수준이 다른 곳에서 거주하는 재한 몽골 유학생들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조력 프로그램의 이용 경험이 있는 재한 몽골 유학생들이 대학생활 적응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들이 사회복지 실천에 주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한 몽골 유학생들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낮추는 것이 대학생활 적응에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사회적 지지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으므로, 재한 몽골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낮추고 대학생활 적응을 돕기 위한 구체적인 사회적 지지 체계가 필요하다. 재한 몽골 유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으로 조력 프로그램(한국인 친구 사귀기, 학습 도우미)과 같은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사회복지 실천 영역의 다양한 지원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재한 몽골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낮추고 대학생활 적응을 돕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 중 하나인 한국인 친구 사귀기 및 학습 도우미 같은 프로그램은 재한 몽골 유학생뿐만 아니라 한국 대학생들에게도 다른 문화를 체험을 통하여 대학생들 간에 상대국가의 서로 다른 문화를 이해하고 수용하는 긍정적인 자세를 배울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을 통하여 한국인 동기 및 한국인 선 ·후배들 간의 만남의 기회를 통한 유대감을 형성할 수 있는 기회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재한 몽골 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 수준 향상에 거주형태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므로, 보다 많은 몽골 유학생들이 기숙사나 기숙사와 유사한 형태의 공동 주거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유학생들의 출신 국가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을 위한 체계적인 접근방법의 필요성이다. 우리나라 정부는 STUDY KOREA 프로젝트를 구상하면서 중·장기적으로 유학생 유치에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 유학생의 출신국가별 선행연구에 미비한 현 상황에서 같은 아시아권이면서 우리나라에 비교적 근접하며 유사한 문화권인 재한 중국 유학생(장혁심, 2002)에 관한 연구 그리고 대전 지역 3개 대학에 재학 중인 재한 외국인 유학생(나임순, 2006)에 대한 선행 연구와 재한 몽골 유학생간의 연구 결과를 비교한 결과, 출신국가에 따라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 다름을 알 수 있었다. 이에 가까운 장래에 다양한 국가에서 우리나라로 유입될 유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을 돕기 위하여 출신국가 별로 체계적인 접근 방법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the factors affecting school adjustment of Mongol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n universities. Through this, it tried to suggest the fundamental data for intervention strategies which can provide the integrated services of various levels by studying the internal resources of Mogol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This study tried to figure out the factors influencing school adjustment in acculturate stress, social-support, and their experience in using school services. To do this, 107 Mogol international students, who have been studied in 11 Korean Universities in Seoul, participated in this survey that asked which factors affected their adjustment in Korean universities. The statistical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Window v. 12.0. The major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ngol international students indicated to perceive cultural shock as the highest level in differences between Mongol and Korean culture. The differences of acculturate stress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The female showed lower acculturate stress than male and the married students or the single students were similar in acculturate stress. Mongol international students who have lived in a dormitory or a boarding space showed lower acculturate stress than the students cooking themselves or and so on. When Mongol international students have been lived in the same dormitory with the other country's students, they could make a chance to share the similar problems with the other international friends, the dormitory may be a space to lower the acculturate stress for them. Even though local students who generally have lived in the boarding space, have similar troubles to adjust in new town(Seoul), the boarding space could be lowered acculturate stress that is the common difficulties among Mongol international students and local students. Second, as social-support, Mongol international students were perceived the highest support by Mongol friends, and the lowest support by Korean university friends than professor, a paster, a monk and university supporting facilities. The differences of social-support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Mongol international students perceived the highest support by Christian and atheism, Buddhism, Roman Catholicism respectally in this order. Before 1990, Mongol was in socialism. So the most Mongol international students might be atheists. After they have been studying abroad, we guess they may have religion for psychological stability. Through Christian's various programs for Mongol international students, Christian could take their social-supporter's role. Third, for university-adjustment, Mongol international students perceived the highest adjustment to university environment adjustment and the lowest to emotional adjustment. The differences of university adjustment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The married student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adjustment than single students. Mongol international students who have lived in a dormitory reported higher adjustment than students in the other places. Fourth, The experience using university services seemed to make the differences in adjustment among them. The supporting programs -making a Korean friends, supporting for studying and so on- were showed to be useful for university adjustment for the Mongol international students. Fifth, this study's results on university adjustment of Mongol international students indicated that the female felt lower acculturate stress than the male and those who have been living at a dormitory had lower acculturate stress than students in the other places. However, according to a study by Jang, Hyeak-Shim(2005) on -Social-support and acculturate stress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 Seoul-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y gender, age, marriage, residence state, a level of Korean, duration of Korea. The study of Nah, Ihm-Shoon(2006) on Acculturate stress and life stress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Daejeon- found that gender, marriage, duration of Korea, especially a level of Korean affected acculturate stress. Their native countries seemed to make differences in acculturate stress. Sixth, factors affecting university adjustment of Mongol international students related to the dormitory and acculturate stress. It is showed Mongol international students who have lived in the dormitory felt the lower acculturate stress. The implication of result mentioned above concerning the practice of social welfare are as follow. First, For international students, it needs to be systematic role for international students. A positive intervention is necessary to admit and to help students between Mongol and Korean culture. In social welfare practices it is necessary to develope supporting-programs(making Korean friends or supporting for studying) for Mongol international students to low acculturate stress and high university adjustment. It is not only opportunity for between Mongol students and Korean colleague to make a relationship but also understanding and learning positive aspect of different countries. Second, since a residence type is important for university adjustment of Mongol international students, it must be tried to supply community residence type similar to dormitory. Administration for international students may take systematic role for international students and provide positive intervention for admission and understanding the difference between Mongol and Korean culture. Third, For university adjustment according to a various nationality of International students, it is necessary to use systematic approach. Through a “STUDY KOREA PROJECT", Korean government is showed positive to invite international students in a middle or long term. Even though pre-study of international students from their native country were rare, the study results of Mongol international students were compared with the other paper for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who have similar culture and near place to Korea and the study results of international students by Nah, Ihm-Shoon(2006), Acculturate stress and life stress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Daejeon. I found that they had the difference problems according to their native country. So in the future the systematic approach is necessary to help for international students who are planning to come to Korea from various countries.

      • 어머니가 지각하는 경제적 스트레스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의 우울, 부부갈등 및 양육행동의 매개효과

        한유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based on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the family stress model(Conger et al., 2010).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 direct effect of maternal economic stress on problem behaviors of preschoolers and indirect effects through maternal depression, marital conflict, maternal parenting. A total of 491 mothers of 3 and 4 and 5 year-old preschoolers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mother’s report. Maternal economic stress was assessed through the Economic Stress(Shin, 2013), and maternal depression was assessed by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CES-D), marital conflict was assessed through the marital conflict(Lee, 1997), maternal parenting behavior was assessed by mothers’parenting behaviors(Park, 2001). Finally, problem behaviors of preschoolers were assessed using the Child Behavior Checklist(CBCL). Data were analyzed by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multiple-group analysis using SPSS 21.0 and AMOS 23.0.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aternal economic stress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problem behaviors of preschoolers. Second, the maternal economic stress had indirect effects on problem behaviors of preschoolers through the maternal depression. Third the maternal economic stress had indirect effects on problem behaviors of preschoolers through the maternal depression, and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Fourth, the maternal economic stress had indirect effects on problem behaviors of preschoolers through the marital conflict, and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Finally, the maternal economic stress had indirect effects on problem behaviors of preschoolers through the maternal depression, the marital conflict and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In sum, mothers who perceived higher levels of the economic stress reasulted in more maternal depression and more marital conflict and showed negative parenting towards their preschoolers, and they experienced higher levels of problem behavi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hich examined between the maternal economic stress and preschooler’s adjusment in the family context, emphasizes the variables related to home environment. In addition, the importance of the maternal depression was confirmed by clarifying the mediating role of maternal de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ternal economic stress and problem behaviors of preschoolers.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studies for the preschoolers adjustment and developing programs to prevent problematic behavior in preschoolers. 본 연구는 Conger 등(2010)의 가족 스트레스 모델을 이론적 틀로, 어머니가 지각하는 경제적 스트레스가 어머니의 개인변인과 가정환경적 변인을 통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만 3~5세 유아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어머니의 경제적 스트레스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어머니의 우울과 부부갈등 및 양육행동 각각이, 그리고 순차적으로 매개하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만 3~5세 유아 491명과 이들의 어머니로, 어머니 보고를 통해 자료가 수집되었다. 어머니의 경제적 스트레스는 이경옥(2000), 홍향숙(1999), 황덕순(1995)의 연구를 토대로 유을용(2002)이 구성한 재무스트레스 척도를 신효연(2013)이 수정, 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우울은 Radloff(1977)가 제안한 우울척도(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를 전겸구, 최상진과 양병창(2001)이 타당화한 한국판 우울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부부갈등은 최규련(1995)이 개발한 척도를 이경희(1998)가 재구성한 척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이원영(1984)이 번안한 Shaefer 등(1959)의 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 [MBRI], 김정아(1990)가 번안한 Crase 등(1978)의 Iowa Parent Behavior Inventory-Mother Form [IPBI], 그리고 박영애(1995)를 바탕으로 구성된 박주희(2001)가 제작한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문제행동은 Achenbach와 Rescorla(2000)가 개발한 유아용 행동평가척도(Child Behavior Checklist [CBCL]) 1.5-5를 한국 아동을 대상으로 표준화한 한국판 유아 행동평가 척도 부모용(김영아 등, 2009)중 내재화 문제행동 36문항과 외현화 문제행동 24문항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과 AMO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독립표본 t 검정, 일원분산분석, Pearson의 적률상관계분석 및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였다. 또한 소득을 집단별로 나누어 구조모형 경로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 다중집단분석을 추가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경제적 스트레스는 유아의 문제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간접적인 영향의 경우, 어머니의 경제적인 스트레스가 우울을 통해 유아의 문제행동에 이르는 경로, 우울과 양육행동을 통해 유아의 문제행동에 이르는 경로, 부부갈등과 양육행동을 통해 유아의 문제행동에 이르는 경로, 어머니의 경제적인 스트레스가 우울, 부부갈등 및 양육행동을 통해 유아의 문제행동에 이르는 경로가 유의하였다. 즉, 어머니가 지각하는 경제적 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우울을 더 경험했고 자녀가 문제행동을 더 보였으며, 어머니가 경제적 스트레스를 높게 지각할수록 어머니의 우울수준이 높았으며, 부정적인 양육행동을 많이 보였고 유아는 더 많은 문제행동을 보였다. 또한 어머니가 지각하는 경제적 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더 많은 부부갈등이 나타났고, 긍정적인 양육행동을 덜 보였으며, 자녀의 문제행동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어머니가 높은 수준의 경제적 스트레스를 받을수록 우울수준은 높았으며, 부부갈등을 더 많이 경험했고 이는 더 많은 부정적인 양육행동으로 이어져 유아는 더 많은 문제행동을 보였다. 하지만 어머니의 경제적인 스트레스가 부부갈등과 양육행동 각각을 통해 유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주는 경로와 우울과 부부갈등을 통해 유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주는 경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가족스트레스모델이 빈곤집단과 비빈곤집단 모두에 적용되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욕구소득비를 산출하여 집단을 구분한 후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한 결과, 부부갈등에서 양육행동으로의 경로에서 두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다. 부부갈등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비빈곤집단에서 더 강하게 나타났다. 종합해보면, 어머니가 지각하는 경제적인 스트레스는 부부갈등과 양육행동을 통해 유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주었고, 또한 어머니의 경제적 스트레스가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대부분 어머니의 우울을 통해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경제적 스트레스를 경험할 경우 스트레스로 인해 우울 수준이 높아지는 것을 차단할 필요성을 강조하는 결과로, 유아기 문제행동의 예방 혹은 감소를 위해 부부관계 및 양육행동을 포함한 가정환경적인 변인도 중요하지만 어머니의 우울을 예방하고 줄이기 위한 사회적 지지가 필요함을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