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라마누잔 항등식에 관련된 대수적인 정수 : Algebraic Numbers for Ramanujan's Identities : 최영미

        최영미 전북대학교 2006 국내박사

        RANK : 247647

        국문요약 라마누잔 항등식에 관련된 대수적인 정수 최 영 미 라마누잔은 라는 일반적인 쎄타 함수를 정의 하였다. 특히, 라마누잔의 용어를 도입하여 다음과 같은 함수를 정의한다. , , . 가 복소수이면서, 계수가 정수인 다항식이 존재하여 그 방정식의 근이 될 때, 그 근 를 대수적인 수라 부른다. 복소수이면서, 대수적인 정수가 아닌 수를 우리는 초월수라 부른다. 대수적인 수 중에서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이 되는 방정식의 근이 될 때, 그 근 를 대수적인 정수라 부른다. 대수적인 정수이면 대수적인 수가 되는 것은 자명하고, 대수적인 정수는 환을 이루고 있으며, 대수적인 수는 체를 형성한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2장에서는 쎄타 함수와 무한승적의 대수적인 수를 생각하여 보았다. Berndt 교수는 참고문헌 [1]에 많은 일반적인 라마누잔 함수에 대한 성질들을 많이 찾아 놓았다. 우리는 그의 아이디어를 이용하여 정리 4.1인 대수적인 정수를 찾았다. 한편, 에서 (a,n,t)라는 다음 조건이 주어지면 이 무한승적 값은 대수적인 정수가 된다. 그리고 1950년경, Slater는 그녀의 박사학위 논문에 130개의 로저스-라마누잔 항등식을 찾았고, 그것을 이용하여 2003년에 Sills 은 그의 논문에 중복 무한승적의 항등식을 찾았는데, 우리는 이 항등식의 대수적인 수를 발견하였다.

      • 고기능 자폐장애 아동과 수용-표현성 언어장애 아동의 웩슬러지능검사를 통한 인지특성 비교

        최영미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실제 임상장면에서 비교적 양호한 기능 수준과 유사한 언어적 특성을 보이는 고기능 자폐장애 아동들과 수용-표현성 언어장애 아동들이 아동용 웩슬러 지능검사 프로파일에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두 집단의 전체 지능, 언어성 지능과 동작성 지능, 소검사 환산점수에 따른 세부 인지 기능 및 분산도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광주지역 소아정신과에서 정신과 전문의와 임상심리학자에 의해 고기능 자폐장애와 수용-표현성 언어장애로 진단된 아동 중 아동용 웩슬러 지능검사에서 전체 지능이 70이상인 만 5세에서 12세의 경우로 각각 27명과 22명을 선발하였다. 연구결과, 고기능 자폐장애 집단과 수용-표현성 언어장애 집단은 아동용 웩슬러 지능검사에서 언어성 지능이 동작성 지능에 비해 낮은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그리고 고기능 자폐장애 집단은 수용-표현성 언어장애 집단에 비해 언어성 지능 및 전체 지능에서 높은 수준을 보였고, 언어성 소검사에서 상식, 공통성, 어휘, 이해 및 숫자 과제에서 높은 수준을 보였다. 그러나 이 두 집단을 다시 경계선지능 집단과 평균지능 집단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경계선 집단에서는 이해 소검사에서 자폐장애 집단이 언어장애 집단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고, 평균 집단에서는 상식과 숫자 소검사에서 자폐장애 집단이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두 집단의 전체 소검사 분산도 분석에서 언어장애 집단이 고기능 자폐장애 집단보다 상식과 빠진곳 찾기 소검사에서 높은 수준의 분산을 보였다. 그러나 경계선 집단에서는 두 집단간 분산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평균 집단에서는 자폐장애 집단이 상식 소검사에서 언어장애 집단보다 유의미한 분산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웩슬러 지능검사를 통한 인지특성 비교에서 두 집단 간 다소 차이를 보이기는 하지만, 웩슬러 지능검사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고기능 자폐장애 아동과 수용-표현성 언어장애 아동의 변별 내지 감별 진단이 쉽지 않음을 시사하였다. 그리고 이들의 감별 진단을 위해 지능검사의 다른 측정 방법이 사용되거나 질적인 분석의 필요성, 고기능 자폐장애 아동에 대한 세부적 진단의 필요성, 자폐장애와 수용-표현성 언어장애와의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 Lithium Diisobutylisopropoxyaluminum Hydride (LDBIPA)를 이용한 3차 아마이드와 나이트릴의 부분환원

        崔英美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최근, 본 연구실에서는 metal (Li, Na, K) t-butoxy를 DIBALH에 반응시켜 합성한 새로운 4가 알루미늄 환원제인 lithium diisobutyl-t-butoxy aluminumhydride (LDBBA), sodium diisobutyl-t-butoxyaluminum hydride (SDBBA), 그리고 potassium diisobutyl-t-butoxyaluminium hydride (PDBBA)를 다양한 카르본산 유도체에 적용하여 부분환원 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중에서 3차 아마이드와 나이트릴의 부분환원에 대해서는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였고, 이에 새로운 환원제인 lithium diisobutyl- methoxyaluminum hydride (LDBMA), lithium diiso butylethoxyaluminum hydride (LDBEA)와 lithium diisobutylisopropoxyaluminum hydride (LDBIPA)를 3차 아마이드와 나이트릴에 대한 부분환원에 적용해 본 결과, 이 중 LDBIPA가 3차 아마이드와 방향족 나이트릴을 대부분 90% 이상의 우수한 수율로 알데하이드로 환원시키는 우수한 부분환원 특성을 가지는 환원제임을 확인하였다. Recently, we have reported that a new class of reducing agents, metal diisobutyl-t-butoxyaluminum hydride such as lithium diisobutyl-t- butoxyaluminum hydride (LDBBA), sodium diisobutyl-t-butoxy- aluminum hydride (SDBBA) and potassium diisobutyl-t-butoxyaluminium hydride (PDBBA), t-butoxy derivatives of DIBALH, are new effective partial reducing agent which can reduce various carboxylic acid derivative to aldehydes in very good yields. However, in the case of partial reduction for tertiary amide and nitriles, we were not satisfied with yield. Accordingly, we decided to apply new reducing agents such as lithium diisobutylmethoxyaluminum hydride (LDBMA), lithium diisobutylethoxyaluminum hydride (LDBEA) and lithium diisobutylisopropoxyaluminum hydride (LDBIPA) to the partial reduction of tertiary amides and nitriles because partial reduction of tertiary amides and nitriles is an important in organic synthesis. Of these hydrides examined, we found that the LDBIPA was best effective partial reducing agent for synthesizing aldehydes from tertiary amides and aromatic nitriles in almost higher than 90% yield.

      • 읽기 텍스트를 활용한 한국어 쓰기 교육 방안 연구

        최영미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A study on Korean writing teaching methods utilizing reading texts Choi, Young mi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Majoring in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The Graduate School of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This study’s purpose was to consider reading texts utilizing writing teaching methods through integrated reading and writing educational study. More explicitly, the study’s purpose was to allow the learner to create new text by organizing, selecting and connecting through summarization and expansion on various reading texts. First, various and detailed discussions on recent writing teaching methods and research efforts on integrated reading and writing teaching methods were reviewed through previous research on Korean writing education. Based on this review, a need for further research on detailed study for integrated reading and writing teaching methods was identified and as a capacity improvement method on the learner's writing performance, writing strategy study by utilizing reading text as well as reading text applied writing teaching method have been intended to be suggested in this study. In Chapter 2, the recognition constructivism theory based writing model was reviewed as a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e study. Through this review, a need for research on a learning strategy that segmented the "planning" stage was identified due to the important function of idea formulation during the writing recognition procedure's "planning" stage for writing high-quality compositions. Chapter 3 investigated mutual relations by focusing on the writing procedure's "planning" stage idea formulation's method of meaning symbolization. Subsequently, by presuming the learner's identification of the writing frame structure and naturally identifying writing subject by reading text utilized genre analysis, a reading text utilizing writing strategy model was suggested. Writing strategies during the "writing subject identification" and "planning" stages among writing activities were suggested in detail with reading text selection among published teaching materials where reading text selection principle and basis has been suggested. In chapter 4, a writing education method was devised with reading text utilized writing strategies. A test was conducted by taking the abovementioned as test tools where the test result provided cohesive writing composition by the learners from writing strategy taught test group with confirmed writing capacity improvement. Subsequently, the hypothesis on effective writing activity by undertaking the writing subject through strategic writing after understanding the writing's frame and identifying the writing's compositional factors or method of organization was proven. In Chapter 5, reading a text utilizing writing teaching methods through integrated reading and writing teaching study was suggested. 「서강 한국어 4B」- 6“무릎 꿇은 나무”, 「한국어 4」- 2“단군이 조선을 세웠어요”, 「말이 트이는 한국어 Ⅲ」- 7“서울” This study’s purpose was to research a writing teaching method that would allow the learner to self generate text through text comprehension leading work stages by having a basic concept that in order to develop writing capacity, a learner must start from the text. Therefore, reading a text utilizing writing teaching methods through integrated reading and writing teaching study was suggested. More explicitly, a writing strategy with expanded activity constitution was established to allow the learner to create new text by organizing, selecting and connecting through summarization and expansion of various reading texts. In other words,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was that it established"writing subject identification" and "planning" stages as pre-writing activities to assist with "idea generation," which learners often identify as the most difficult part of writing activities. Furthermore, the study suggested that this writing teaching method could anticipate the learner's writing capacity development by teaching various writing strategies through text-utilized summary and expansion. The current practice of teaching writing education is generalized with result-oriented writing education's procedure-focused writing lessons through conversational level writing activities where strategy-centered writing lessons are administered. Such practice can give prominence to procedure-focused writing educational activities and therefore, teaching of writing strategies is required to let the learner formulate a cohesive writing composition in order to improve writing capacity through such activities. However, research on detailed activity methods is still greatly insufficient and therefore, this study's significance is the fact that it suggested detailed writing teaching methods by establishing detailed writing strategies. Lastly, this study had significance in investigating reading texts utilizing writing strategy's learner writing capacity development influence through actual writing composition data obtained from Korean language learners’ writing educational sites and then suggesting writing teaching methods based on subsequent research results.

      • 류마티스 관절염 마우스 모델에서 Soluble Tie2 Receptor-Fc 융합 단백질의 치료효과

        최영미 경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Background: Tyrosine kinase with immunoglobulin and epidermal growth factor homology domains 2 receptor (Tie2) plays a critical role in pathologic angiogenesis and disease development. Several studies have demonstrated the presence of both Tie2 and its ligands, angiopoietin 1 (Ang1) and Ang2, in the synovium of rheumatoid arthritis (RA). Recently, it was reported that gene therapy targeting the Tie2 function ameliorates collagen-induced arthritis (CIA). However, soluble Tie2 Receptor-Fc fusion protein (sTie2), a composite decoy receptor based on Tie2 fused to an Fc segment of IgG1, has not been investigated as a treatment modality of RA. Objective: The current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sTie2 could suppress disease activity and joint destruction in CIA mouse model. Methods: CIA mouse model was used to study the outcome of treatment with sTie2 or a control Fc- protein. The incidence, severity of arthritis, and paw thickness were quantified. ELISA for detection of serum IL-1β and MMP-3 was performed. The joint destruction was analyzed on plain radiographs using modified mammographic imaging. Hematoxilin-eosin and safranin-O staining an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CD31 were performed. Results: Significant reductions in the incidence, severity of arthritis (p<0.05) and paw thickness (p<0.01) were observed in CIA mice treated with sTie2 compared with Fc-protein. The concentrations of IL-1β and MMP-3 in the sera were reduced by treatment with sTie2. In addition,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radiographic score was observed in group treated with sTie2 compared with PBS (p<0.05). Furthermore, sTie2 treatment ameliorated the histologic scores and reduced vessel density. Conclusion: The sTie2 treatment inhibited angiogenesis and suppressed arthritis and bone destruction in CIA mic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Tie2 can be an effective strategy in the treatment of RA. 저자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대표적인 동물모델인 CIA 마우스에서 재조합 단백질 제제인 sTie2 의 전신적인 투여가 관절염의 발생빈도, 위중도, 방사선학적인 뼈의파괴, 혈중 IL-1β 와 MMP-3 의 발현, 현미경적인 소견에서 염증, 판누스 형성, 연골 손상, 골미란 등의 소견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혈관 내피세포의 특이적 표지자인 CD31 의 면역화학염색에서 sTie2 의 치료가 관절의 활막조직에서 혈관생성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여, sTie2 가 Ang/Tie2 의 경로를 차단하여 병적인 혈관형성의 증가를 억제함으로써 류마티스 관절염의 중요한 치료제로 사용 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 관세행정서비스 만족도 향상방안에 관한 실증 연구 : 부산세관 통관행정서비스를 중심으로

        최영미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행정패러다임이 공급자 중심에서 수요자중심으로 전환되고 동시다발적인 FTA가 체결되는 등 급변하는 환경변화에 대응하기위하여 관세청은 고객중심, 국민관점에서의 관세행정역량에 집중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진행해왔다. 이러한 노력들이 수요자입장에서 어느정도 인식되고 받아들여지고 있는지 연구하기 위하여 관세행정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부산세관을 이용하여 통관하는 수출입 무역업체 종사자, 관세사 및 통관대행업체, 보세화물관리 실무자를 대상으로 부산세관 통관서비스 만족도향상에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실증 분석하여 문제점을 탐색하고 대응방안을 제시하였다.

      •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메타언어능력

        최영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Meta-linguistic ability is the ability to treat language itself as an object of thought and closely related with schooler’s learning ability. Although language ability in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CI) has been developed effectively, language-related problems still remain. Moreover, Children with CI have been shown academic troubles, such as reading and writing.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ta-linguistic ability in children with CI by using meta-linguistic judgment and correction task.Subjects were 30 children whose language age(LA) ranged 4 to 7 years and 30 normal hearing children who matched children with CI in sex and LA. Meta-linguistic judgment and correction task were forty sentences containing selectional restriction. Every sentence consisted of an argument and a predicate. Meta-linguistic ability was measured by asking children to judge the grammaticality of sentences and correct those sentences which they consider to be incorrect in two presentation conditions, auditory-only(AO) and auditory-visual(AV). The performance of meta-linguistic judgment and correction task between two groups was analyzed by independent t-test. Multiple linear regression method was used to predict significant variables of meta-linguistic ability of children with CI in AO condition.The results were as follows:First, meta-linguistic ability in children with CI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LA matched normal hearing children in AO condition but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AV condition. Second, meta-linguistic ability in children with CI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hearing age(HA) matched normal hearing children in AO condition. Third, the age at implantation and HA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ing variables of meta-linguistic ability in children with CI in AO condition.In conclusion, the younger the age at implantation and the longer the duration of CI use, children with CI had better meta-linguistic ability. Therefore, children with CI should receive early implantation so as to reduce discrepancy among chronological age, HA and LA. Then, they could catch up the normal hearing children’s meta-linguistic ability. 메타언어능력은 언어를 사고의 대상으로 다룰 수 있는 능력을 말하는 것으로, 학령기 아동의 학습능력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경우에는 보상된 청각을 통해 효과적인 언어발달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극복되지 못하는 언어관련 문제들이 있다. 또한, 읽기 및 쓰기 등의 학습에도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메타언어 판단 및 수정 과제를 통해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메타언어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본 연구의 대상은 언어연령이 4~7세 사이에 속하는 30명의 인공와우이식 아동들로 하였고, 대조군은 성별과 언어연령이 동일한 정상청력 아동이었다. 메타언어 판단 및 수정과제는 총 40문항으로 선택제약에 관련된 문장들이다. 모든 문장은 명사논항과 서술어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고, 아동에게 제시된 문장의 문법성을 판단하게 하고, 틀렸다고 판단한 문장을 수정하게 하여 메타언어능력을 측정하였다. 인공와우이식 아동군과 동일 언어연령 및 동일 듣기연령 정상청력 아동군의 메타언어능력은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을 실시하여 비교하였고, 인공와우이식 아동군의 청각적 메타언어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변인은 다중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실시하여 알아보았다.이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청각 자극만 제시했을 때 인공와우이식 아동군의 청각적 메타언어 판단 및 수정 과제 수행력은 동일 언어연령 정상청력 아동군의 수행력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지만, 청각 및 시각 자극을 동시에 제시했을 때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청각 자극만 제시했을 때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메타언어 판단 및 수정 과제 수행력은 동일 듣기연령 정상청력 아동군의 수행력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인공와우이식 아동군에서 수술연령과 듣기연령은 청각적 메타언어능력의 유의한 예측변인이었다.결론적으로, 인공와우이식 아동군의 청각적 메타언어능력은 수술연령이 어릴수록, 듣기연령이 높아질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조기 수술로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듣기연령과 생활연령 및 언어연령 간 차이를 최소화한다면,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메타언어능력도 정상청력 아동에 근접해질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