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신약성서에 나타난 성만찬에 대한 고찰

        조수정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성만찬에 관한 가장 초기의 기록은 고린도전서로서 고린도전서에서의 성만찬은 주의 만찬과 애찬이 결합된 것으로 보인다. 기독교 교회에 해당하는 헬라어 “ecclesia”(에클레시아)는 개인이 아니라 공동체를 지칭한다. 그것은 하나님으로부터 부름을 받은 개인이 아니라 “무리”요 “회중”이다. 예수가 선포한 복음의 핵인 “하나님 나라”(바실레이아) 역시 공동체적 성격을 지니고 있고, 기독교가 지향하는 구원은 개인의 차원을 넘어서 공동체적 차원을 지니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초대교회 기독교인들은 스스로를 “하나님의 백성”으로 또는 “새 이스라엘”로 이해하였던 것이다. 뿐만 아니라 교회로 하여금 그리스도 공동체 의식을 갖게 하고 그것을 강화시키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이 곧 애찬(愛餐)과 성만찬(聖晩餐) 예식이다. 성만찬의 신학적 의미를 보면 예수는 그가 십자가에 못 박히시기 전 바로 전에 성만찬을 제정하시고 이를 행하여 기념하라고 하여 계속 시행할 것을 명령하셨다. 이것이 성만찬에 있어서 기념으로서의 의미이다. 사도 바울은 성만찬의 잔은 그리스도의 피에 참예함이고 떡은 그리스도의 몸에 참예함이라고 말하며 성만찬을 통한 그리스도와의 연합을 강조했다. 그리고 성만찬을 통하여 참여자들은 도래할 하나님 나라에 대한 종말론적 소망을 가지게 된다. 예수께서 하나님 나라에서 신자들과 같이 마실 때까지 다시는 포도주를 마시지 않겠다고 약속하셨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성만찬을 통하여 찾는 진정한 의미는 희생과 헌신을 다짐하며 세상을 향한 그리스도인들의 책임을 다하여 예수의 마지막 부탁인 선교의 사명을 다하는 것이다.

      • 초등학교 방과후 오케스트라 교육 운영실태에 관한 연구 : - 대전·충남지역 중심으로 -

        조수정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전과 충남에 위치한 초등학교 방과후 오케스트라를 중심으로 운영실태와 개선점 및 발전방안을 조사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대전과 충남에 위치한 초등학교 6개교를 중심으로 지도교사 6명과 학생단원 20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설문조사는 지도교사와 학생들의 기초조사, 인식조사, 교육적 효과조사, 운영실태 조사, 합주실태조사, 문제점 및 개선점 조사로 이루어져있으며 수집된 설문조사는 문항별로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로 학생들은 공교육의 오케스트라 교육에 대해 흥미도, 음악에 대한 관심도, 중학교 진학 후 오케스트라 활동을 할 것인가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인식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음악과목 이해의 도움과 자신감 향상, 학교폭력 예방 및 감소, 취미와 적성계발에 도움 여부, 학업 스트레스 감소 여부, 악기실력 향상 여부, 사회성과 협동심 발달 여부에 대해서도 좋은 영향을 받은 것으로 알 수 있었다. 한편, 교사들은 오케스트라 지도 시 학생들의 인내심과 끈기 부족에 대해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오케스트라 활동을 위한 재정 지원을 가장 필요한 점으로 응답했다. 이러한 오케스트라 교육의 다양한 교육효과를 인식하여, 소외계층 학생들의 문화격차를 줄이기 위한 정부의 재정지원이 단기적인 지원이 아니라,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교육지원 사업으로 자리매김할 필요성이 보여 진다. This study deals with the survey results of operation condition, improvement points and development plan for the after elementary school orchestra in Daejeon and Chungnam province. Research method was direct survey for 6 instructor and 204 student orchestra members of 6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Daejeon and Chungnam area. Research survey mainly consists of 6 parts; basic information of instructors or students and the 5 questionnaires of awareness, educational effects, operation conditions, concerted music conditions and problems & improvement points. The collected surveys were analyzed by calculating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for each item. Survey results indicate that students have a positive perception to public education of orchestra with respect to fun, interests in the music and future plan to continue orchestra activity after they enter middle school. Also, it is turned out that students are beneficially influenced by orchestra activity in terms of understanding of music subject, enhancing confidence, preventing or reducing school violence, developing hobby and aptitude, relieving academic stress, improving musical instrument skill and developing sociality and cooperative. On the other hand, the instructors have a trouble with directing students who have less patience and less endurance. Also, they answered financial support as a priority of orchestra activity. As recognizing diverse educational effects of orchestra education, government needs to invest not only short-term financial supports but continuous and long-term educational support projects to reduce cultural gap of marginalized class students.

      • 특수학교 고등부 장애학생 부모의 특수교육 교사와의 협력에 대한 만족도, 사회적 지지 인식, 가족 기능 인식 간의 상관관계

        조수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Since the concept of family come into the special education arena, partnership, or collaboration, social support, and family function in a sense of empowerment has been the focus of special education services. Also transition is one of the most critical period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ir families. In contrast to the importance of these concept of collaboration, social support, family function and transition, few studies compared the relationship of these factors.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among parents' perception of satisfaction with family-professional partnership, social support, and self-report family functioning. One hundred eleven parents of transition aged young adul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results revealed the effect of collaboration on family functioning. In general, parents' satisfaction with family variables of collaboration had higher levels of correlations with family functioning. Regarding social supportive behavior, however, not much correlation has been identified. This result is not in accordance with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family functioning in the past study.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Parents' satisfaction both on collaboration and family function was higher than on social support. 2. Parents' satisfaction on collaboration has a correlation with family functioning. These result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meeting parents' needs and supporting families of young adults especially at transition period and more practical social support is needed. 전환 시기는 청소년이 의무교육을 넘어서 인생을 준비하는 시기로, 특히 장애를 가진 학생의 성공적인 전환을 위해서는 가족의 참여, 기관 간 협력, 기타 사회적 자원과 지지의 활용이 꼭 필요하다. 자녀가 받는 서비스와 전문가와의 관계에서 부모의 만족은 부모가 자녀의 교육에 참여 하는데 있어 중요한 요소이고 부모의 만족은 서비스를 평가하는 한 요소이다. 또한, 가족의 기능은 아동에게 많은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 지지를 포함한 가족내외의 자원은 가족의 기능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특수학교 고등부 장애학생 가족을 대상으로 특수교육 교사와의 협력 만족도, 사회적 지지, 가족 기능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전국의 특수학교의 고등부 학생의 부모 24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그 중 111명으로부터 응답을 받았다. 자기 보고식 가족 기능 목록(Beavers, 1990), 사회적 지지 행동목록(McCubbin, 1982), 가족 전문가 협력 측정(Summers, 2005)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분석 및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특수학교 고등부 학생 부모의 특수교육 교사와의 협력에 대한 만족도에서 협력 만족도는 5점 척도에서 평균 3.74로 만족하는 편이다. 2. 특수학교 고등부 학생 부모의 사회적 지지 인식에서 사회적 지지는 5점 척도에서 평균 2.23으로 매우 낮은 편이다. 3. 특수학교 고등부 학생 부모의 가족 기능 인식에서 가족기능은 5점 척도에서 평균 3.45로 가족기능을 비교적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특수학교 고등부 학생 부모의 특수교육 교사와의 협력에 대한 만족도, 사회적 지지 인식, 가족 기능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특수교육 교사와의 만족과 가족 기능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사회적 지지와 가족 기능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발견되지 않았다. 특수교사와의 협력에 대한 만족도 측정 하위영역에서 가족중심 영역이 아동중심 영역 보다 가족 기능에 영향을 더 많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족 기능 영역에서 특수교육 교사와의 협력에 만족할수록 가족 기능도 높게 인식한다고 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고등부 졸업예정 학생 부모의 특수교육 교사와의 협력 만족도가 가족 기능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사회적 지지는 전환 시기에 꼭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지지를 받지 않는 것으로 인식해 사회적 지지가 낮은 이유가 무엇인지 세밀하고 폭넓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공(空)’에 대한 다양한 관점과 여백의 분배를 통한 독창성 연구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조수정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연구자가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제작한 작품들을 중심으로 연구한다. 본인이 제작한 작품과 작품 활동을 분석하여 작품의 창작 배경과 동기, 작품의 의미와 조형적 특징, 표현 기법을 주된 목적으로 논의했다. 여백은 동양회화에서 단순히 공(空)으로써 존재하는 무기적인 공간이 아니라 그리고자 한 주제를 잘 드러내기 위한 유기적인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여백의 활용은 시대에 따라 다양해지고 있으며, 조형적인 특징으로써 작가가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여백을 표현하기도 하고, 감상자가 상상할 수 있는 공간으로써 존재하기도 한다. 여백을 설명함에 있어 기존 동양화와 관련된 전통적 개념에 국한하지 않고, 다양한 맥락에서의 의미를 함께 고찰한다. 여러 작품들을 분석하고, 여백의 다양한 관점을 살펴봄으로써 여백이 가지는 의미를 국소적으로 알아보지 않고 포괄적으로 알아보았다. 연구를 통해 여백의 정의는 무엇이며, 동양화에서는 어떤 의미가 있고, 어떠한 효과를 전달하는가? 여백을 공(空)으로써 다른 방면에서는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가? 여백은 현대적인 맥락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가? 본인 작품에서 여백을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전통성, 독창성을 무엇이 있는가? 등의 해답을 찾고자 했다. 여백을 연구자 작품의 형식 내용과 조형적인 효과, 작품 활동을 통하여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자는 본인의 경험과 생각을 바탕으로 먹을 사용하여 대상의 역사적, 본래적 의미를 궐과 분재를 통해 표현한다. 연구자는 작품을 통해 단순히 대상을 재현하는 것이 아닌 대상을 바라보면서 느낀 감정을 드러내고자 했다. 본인의 감정을 그려진 부분과 그려지지 않은 부분에 내포하여 해소하고자 하였다. 연구자의 작품에서 먹은 색(色)으로써 백(白)과 대비되어 여백을 효과적으로 나타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과정에서 연구자가 사용했던 기법을 분석하고 그 조형적인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본 논문은 도시에 살면서 보고 느끼는 감정을 토대로 작품을 연구하고, 감정과 심리를 작품으로 표현함으로써 연구자의 경험과 생각을 공유한다. 작품 속의 ‘허(虛)’ 공간을 통해 ‘실(實)’을 표현 함으로써 부정적 인식과 내면의 자아를 표출하고, 현재 상황을 회복하는 함으로써, 앞으로 나아갈 작업의 방향에 대한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 플라스틱 성형 제조업의 근골격계질환 유해요인 조사 연구 : W사 사례

        조수정 한국기술교육대학교 IT융합과학경영산업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2020년에 고용노동부에서 발표한 업무상질병 발생현황에 의하면 세부질병 중에 신체적 부담작업이 57.9% 발생되고, 비사고성 요통이 18.4%, 수근관증후군이 1.8% 발생되어 근골격계질환을 호소하는 작업자들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줄어들지 않고 증가세를 보이며 사회적 관심도 높아짐에 따라 플라스틱을 이용한 성형을 하는 작업자들의 근골격계질환 발생이 우려가 되고 있으므로 근골격계질환 증상조사표를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평가하여 작업자들의 근골격계부담을 줄일 수 있는 근거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설문조사 내용 중 작업자의 평균나이가 38세지만 경력이 많은 작업자도 존재함에 따라 플라스틱 성형 작업에 부담을 느끼는 정도가 심하고 작업 자의 근력 및 기초체력이 상대적으로 부족하여 육체적 부담을 느끼고 있어 향후에 산업재해로 발생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조사 내용 중 관리대상자에 해당되는 작업자는 18%와 통증호소자는 5.6%로 조사되고 신체 부위는 목과어깨, 팔/팔꿈치와 손/손목/손가락, 허리와다리 등에 여러 신체부위에 통증을 호소하는 작업자가 있었으며 생산 공정별 차이는 있으나 작업에 대한 부담과 그에 따른 통증을 느끼는 작업 자들이 발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작업자들의 근골격계부담을 줄일 수 있는 자동화 설비 적용의 확대와 작업표준을 변경하고 작업환경의 공학적 개선을 통해 위험요인이 되는 반복, 힘, 자세, 진동등을 줄이는 관리적 개선과 작업자의 행동적 개선이 필요하고 작업자의 기초체력 및 근력을 향상시키는 꾸준한 운동을 하며 궁극적으로는 플라스틱 성형 공정의 특성에 맞는 근골격계질환 예방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하여 일시적 관리가 아닌 지속적 관리를 통해 근골격 계질환 예방 활동을 실시하여 산업재해가 발생 되지 않도록 관리되어야할 것을 제안한다. According to the incidence of work-related illnesses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in 2020, 57.9% of detailed illnesses occurred in physically burdensome work, 18.4% in non-accidental back pain, and 1.8% in carpal tunnel syndrome. Over time, workers complain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As social concern increases, there is concern about the occurrence of musculoskeletal diseases in workers who use plastic molding. A questionnaire survey can be conducted and evaluated to reduce the burden on the musculoskeletal system of workers. I want to use it as a reference material. Among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the average age of workers is 38 years old, but since there are workers with many careers, the extent to which they feel the burden of plastic molding work is severe, and the workers' muscular strength and basic physical strength are relatively insufficient. I feel a physical burden on myself,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n industrial accident will occur in the future. Among the survey contents, 18% of workers were managed and 5.6% were breathing pain, and the body parts were neck, shoulder, arm/elbow, hand/wrist/finger, waist, leg, etc. Some workers complained of pain in multiple parts of the body, and while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production processes, it was found that some workers felt the burden of work and the pain that accompanies it. Expanding the application of automation equipment that can reduce the burden on the musculoskeletal system of workers, changing work standards, and improving management and work to reduce repetition, force, posture, vibration, etc., which are dangerous factors through engineering improvements in the work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behavior of workers. We will steadily exercise to improve the basic physical strength and muscle strength of workers, and ultimately develop and operate a musculoskeletal disease prevention program that match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stic molding process We propose that musculoskeletal disease prevention activities should be carried out through continuous management rather than management, and management should be carried out so that industrial accidents do not occur.

      • 시선추적을 활용한 실어증 환자의 어휘 점화 유형 및 어순 전형성에 따른 문장 구조 산출 분석

        조수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if the lexical priming effect is valid in persons with aphasia(PWA). It is known that health adults(HA) can use both word-level and structure-level strategy as they make up sentences to ease the cognitive process. In PWA, structural priming is more likely to facilitates the mapping between message and structure. However it is not clear if word-level information is used and works as a sentence production strategy to PWA. In this study, lexical priming task was conducted to PWA and healthy adults(HA) and the priming effect was calculated through both off-line(syntactic production) and real-time(via eye tracking) production. Priming effect of off-line production was analyzed in terms of priming type and word order canonicity, and the on-line analyses was conducted according to priming type and five speech regions. Twelve individuals with aphasia and twelve healthy adul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PWA did no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duction of passive sentences in the theme prime condition compared to HA, but they show increased production of passive sentences. Overall, the proportion of passiv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me primed condition versus agent primed condition and in canonical word order versus non-canonical word order. The passive proportion was statistically higher on theme primed canonical word order sentences. 2) PWA showed lower fixation ratio to theme AOI compared to HA and they showed evenly distributed fixations to both agent and theme AOIs. Unlike HA, PWA did not show any difference in five speech regions. In conclusion, in off-line passive production, PWA used word-driven information as a strategy of sentence production like HA did. However they did not show significant prime effect on eye fixation. PWA did not show theme advantage in theme AOI. The non-preferential fixation towards theme AOI did not occur as well in both groups. The current study has identified that PWA has relatively intact ability to use word-level cues on syntactic production during off-line sentence produ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실어증 환자와 정상 성인 집단 간 어휘 점화 과제 시 점화어 유형과 어순 전형성에 따른 점화 효과를 확인하는 데 있다. 어휘 점화(Lexical priming paradigm)란 화자가 최근에 이해했거나 산출한 어휘의 구조를 반복하거나 더 빠르게 처리하는 경향을 의미한다(Corley & Scheepers, 2002). 즉 점화 어휘를 듣고 이를 반복하여 목표 문장을 산출하는 것을 말한다. 문장 산출 시 구문 점화를(structural priming) 통하여 이전에 접하였던 메시지-구조 맵핑(mapping) 과정을 그 다음 문장 산출 순서에서 번복하는 양상을 보이며 정보 처리 과정을 촉진하는 암묵적 학습 효과가 일어났음이 확인되어 왔다(Bock & Griffin, 2000; Branigan & McLean, 2016; Chang, Bock, & Dell, 2006; Jaeger & Snider, 2013; Pickering & Garrod, 2004; Pickering & Ferreira, 2008; Lee. 2020). 예를 들어, 대화 상대자가 피동형 문장을 사용하여 말하는 것을 듣고 난 뒤, 화자는 비슷한 메시지를 전달할 때 능동형이 아닌 피동 문장을 산출할 가능성이 높다. 즉, 행위자(agent) 'dog' 보다 대상(theme) 'man'이 더 먼저 산출될 때 화자는 능동문("the dog is chasing the man")이 아닌 피동문("the man is chased by the dog")을 산출하게 된다. 그러나 실어증 환자와 같이 문법적 부호화 과정의 결함이 있는 집단에서도 이러한 인지적인 효율성이 나타나는지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가 적다(Grace et al., 2019). 실어증 환자들의 문장을 산출(unfold)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메시지와 문장 구조 간 맵핑(mapping)에 대한 점화 효과(priming effect)가 연구되어왔다. 특히, 실어증 환자의 메시지-구조 간 통합을 촉진시키는 데 단어 수준에 기초한(word-driven) 정보 또는 구조에 기초한(structural-driven) 정보가 기여하는지에 대하여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Lee(2020)는 오프라인과 온라인(eye-tracking)으로 의미 점화 과제를 동시에 실시하여 실어증 환자들의 능동 및 피동문 산출 양상 및 시선 고정 시간을 살펴보았다. 결과적으로 실어증 환자들의 피동 문장 산출 정반응률이 정상 성인 집단에 비하여 낮았으며 다양한 오류 형태가 관찰되었다. 시선 고정 시간에서는 정상 성인 집단이 대상 점화 시 대상 관심영역(theme AOI)에 대한 고정 시간이 길며 점화 효과가 나타난 반면, 실어증 환자 집단에서는 점화 유형과 상관없이 시선 고정에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실어증 환자 또한 행위자 점화 조건에서 문장 계획 단계(apprehension stage)의 후반부에(400-800ms) 행위자 그림에 대한 시선 고정시간이 증가하며 점화 효과가 확인되어 이로 인한 문장 구조 간 맵핑(mapping) 능력이 향상되었음이 확인되었다. 이처럼 최근 실어증 환자를 대상으로 피동 문장 산출 비율을 통해 의미 점화 효과가 보고되고 있으나, 시선추적 기법과 같이 실시간으로 언어 처리력을 확인할 수 있는 온라인 문장 산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Lee, 2020).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의미 점화 과제(lexical priming task)를 실시하여 대상(agent) 및 행위자(theme) 점화어 유형별 피동 문장 산출 분석을 통해 실어증 환자들의 구문 산출 시 의미 점화가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비교적 문장 어순이 자유로운 자유어순언어(free word-order language)인 한국어의 특성을 고려하여 산출된 문장을 문장 유형(능동, 피동) 및 어순 전형성(전형적, 비전형적)에 따라 분류하여 오프라인 분석(피동 문장 산출 비율)을 실시하였다. 온라인 분석을 위하여 점화 유형에 따른 발화 구간별 대상(theme) 관심영역 시선고정 비율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문장 산출 시 실어증 환자들 또한 정상 성인과 같이 단어 수준에 근거한(word-driven) 문장 산출 전략을 사용하여 화어에 따라 피동 문장을 산출할 수 있었으나, 시선고정 측면에서는 대상(theme)에 대한 유의한 시선고정을 보이지 않았다. 오히려 문장 산출 초기 단계인 400ms 이내의 발화 구간과 이후 구간에 대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다고 보고되는 구조 수준에 근거한(structural-driven) 전략을 사용할 때와 같은 시선고정 양상을 보였다. 이는 어휘적인 개념에 대한 사전의 활성화가 이들로 하여금 어휘 인출 시의 부하를 완화시켜 구조적인 문장 계획 전략이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Lee et al., 2015; Mack et al., 2017; Lee, 2020). 현재 국내에서도 실어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점화 과제를 사용한 연구들이 진행되는 추세이지만, 이를 문장 산출의 측면과 시선 추적 과정을 통해 면밀히 살펴본 연구 결과는 제한적이다. 또한 실어증 환자들의 문장 산출 시 실시간의 처리 과정을 통해 객관적으로 살핀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 실어증 환자들의 대상(theme) 점화 조건 시 피동 문장 산출 비율 증가를 통해 어휘 점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최근 실어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구문 점화를 활용한 언어 중재 이후 문장 계획 단계(apprehension)에서 점화 구문에 대한 선호적인 시선고정이 보고되고 있다(Mack et al., 2017).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실어증 환자의 비문법성(agrammatism), 특히 능동문과 피동문에 대한 문장 구조 전환의 결함에 대한 어휘 점화 언어 중재 프로토콜의 개발을 위한 예비 연구로써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현대인의 이중적 욕망과 타자(他者)의 갈등 관계’에 따른 자아표현 연구

        조수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요 약 제 목 : ‘현대인의 이중적 욕망과 타자(他者)의 갈등 관계’ 에 따른 자아표현 연구 본 논문은 자아가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서로를 의식하고 인식하는 과정을 통해 현대인들의 이중적인 욕망의 모습을 탐구하는 과정이다. 그리고 물질적인 풍요로움 속에서도 자신의 삶을 만족 하지 못하고 공허함을 느끼는 이유가 무엇인지에 관한 의문의 시작이기도하다. 연구자는 이론적 고찰을 통해 자신이 갖지 못한 것에 대한 갈망이 곧 욕구 결핍의 증상이며 환경과 상황에 따라 변해가는 인간의 모습 속에서 교묘한 이중성을 지니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 연구자의 오브제들은 인간의 양면성과 이중적임을 강조하였고 사과, 총과 거울, 렌즈와 같은 상징적 매개체를 사용하였다. 이들을 나열, 조합, 분해하여 극단적인 상황, 그리고 서로의 외적, 내적 갈등을 표현함으로써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그 의미가 상이할 수 있으며, 연구자의 작품을 감상하면서 자신의 욕망의 깊이에 대해 반성의 기회까지 제공하길 의도하였다. 욕망은 때때로 현대인들의 불만족스러운 욕구를 해소시켜주고 그에 따른 욕구 충족으로 일시적인 자기 만족감까지 전달한다. 하지만 때로는 탐욕과 탐닉으로 더없는 상실감을 안겨주기도 한다. 이렇게 욕망하는 과정들은 인간에게 윤택한 삶과 활력을 제공하는 긍정의 욕망인지, 탐욕과 탐닉을 통한 욕망의 어두운 그림자인지를 판단하게 만든다. 또‘선’(善)과‘악’(惡)의 우위를 따지며 인간의 본성에 대한 질문과 함께 끊임없이 고민하게 된다. 그래서 인간의 본성과 욕망을 바라보는 시점을 명확하게 분석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이에 연구자는 작품을 통해 올바르지도 그르지도 않다고 판단되는 욕망을 선택의 바로 직전의 상황으로 가정하여 극단적인 이중적임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이것은 욕망에 대한 가상 상황을 만들어주고 이것을 관람자가 선택하고 해석하는 방법으로 풀어나가고 싶었기 때문이다. 연구자는 인간의 본성의 욕망, 자아가 타인을 대하는 태도, 그들의 관계 안에서 펼쳐지는 빛, 어둠, 선, 악과 같은 모든 물질에 이중적인 성질이 존재한다고 믿는다. 이와 동시에‘현대인들은 모든 물질에 이중성을 느끼고 언제나 이중적인 탈을 쓴 존재로 나를 대면하는 것이 아닐까?’, 그것이 아니라면‘인간을 둘러싼 복잡한 사회가 낳은 또 다른 이중성이 우리를 조정하는 것이 아닌가?’에 대한 의문을 가진다. 이러한 의문과 함께 어떤 것이 우선이고 올바른 것인지에 대해 명확하게 결론지을 수 없는 모호한 경계 속에서 나와 타자(他者)는‘관계(關係)’를 맺게 된다. 연구자의 작품에서 가장 중요한 의미는 내면의 자아에 대한 끊임없는 자아 탐구를 연구자의 입장에서 해석한 작품으로 표현하여‘사랑과 질투’,‘복수와 용서’,‘아름다움과 흉물스러운 것’들의 결과물로서 이중적 갈등을 이야기하고자 한다. 이것들은 인간의 본성에 따른 자아의 정체성 혼란인 동시에 현대인들이 지향하게 되는 목표와 기대치의 혼란을 대변하기도 하다. 이에 본 논문은 자신의 자아표현과 함께 타자와의 갈등을 인간의 이중적 본성과 그에 따른 욕망을 키워드로 예술로서 내포된 의미와 오브제 표현으로 조형성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를 통한 본인의 작업의 방식이 다양한 풀이방법과 재미가 공존하여 관객과 내면의 소통을 할 수 있는 작가로 성장하는 밑거름이 되었으면 한다. Abstract The Study on Ego Expression According to Conflict Relation between Dual Desire of Modern People and Others. Cho, Su Jung Supervisor Shin, Jae Hyup Dept. of Metal Art The Graduate School of Industry and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This thesis is the process that ego explores aspects of dual desire of modern people through the process to recognize each other in relation with others. Also it is the start point of question about why we feel empty as not satisfying our life even in material wealth. Research could decide that longing for what someone does not have is the symptom of lack of desire and has subtle duplicity in changing human form according to environment and situation. Objets of researcher in this thesis emphasize on duplicity of human begin and used symbolic medium and materials such as apple, gun, mirror and lens. As expressing extreme situation and internal, external conflict of each other by listing, combining and disassembling these, the meaning could be difficult according to views. And also offering opportunity to regret their depth of desire through appreciating researcher’s work was intended. Desire sometimes solves the unsatisfied appetite of modern people and delivers temporary self-satisfaction through satisfying desire according to it. However, sometimes it gives us extreme sense of loss with greed and indulgence. These processes of desire make us judge whether it is positive desire to provide comfortable life and energy to human or it is dark shadow of desire through greed and indulgence. Also, it let us discuss advantage between good and evil and worry continually with question about human nature. Analyzing the view to look human nature and desire apparently is not that easy. Thus, through researcher’s work, I would like to express extreme duplicity as supposing desire that is judged as not right or wrong to the just before situation for selection. So it makes internal virtual situation for desire that audiences can select and interpret it. Researcher believes that dual characteristic are exists in all the materials such as desire of human nature, attitude that ego treats others, light and darkness spread in their relation and good and evil. At the same time, there have questions about ‘does modern people face me as a existence which wears twofold mask at all time with feeling of duplicity on all the materials?’or‘does another duplicity caused by complicated society surrounding human adjust us? With these questions, relation between me and others is built in ambiguous boundary that cannot be concluded apparently about which is first or right. The most significance meaning of researcher’s work is that so continuous self-exploration for internal ego is expressed as the work interpreted in view of researcher that to the work tells the story of twofold conflict as a result of‘love and jealous’, ‘revenge and forgiveness’, ‘beauty and ugliness’. These are identity confusion of ego according to human nature as well as representing confusion of objective and expectation that modern people aim. Thus, this thesis expresses ego expression and conflict with others as making keywords which are dual nature of human and desire according to it. And also it emphasized on formativeness by implicit meaning and objet expression as an art with those keywords. And through this research, I expect to communicate with audience internally with work method in the future and various solution ways.

      • 학교 주 5일제 실시에 따른 고등학생들의 여가활동 실태와 활용방안 : 경기도 부천시 인문계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수정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A Study on How High School Students Can Employ and Plan Their Free Time as 5 School-days-a-Week System Begins - Focusing on the Students of Academic High school in Bucheon - Cho, Su Jung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rea University For a beneficial employment of free time once the 5 school-days-a-week system begins, high school students need to acquire the ability to learn independently. They also need more opportunities to increase experiencing value time with their families and neighbors. This study surveys how high school students are currently spending their free hours and what they feel should be done about it. It also addresses their thinking on the way they should spend the free time that will have become available once the 5 days-a-week system begins. An appropriate diagnosis of the current situation and analysis of problems should help establish a desirable educational policy on how students can spend their leisure time. Upon setting methodological plans and theoretical background, this study surveys and analyses data, focusing on the students at Bucheon high school students of the Gyeonggi-do. The result of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order for students to enjoy productive recreational activities, they need to increase their knowledge in relation to how to spend their free time, with more choices in the kinds and places of recreational activities available. Second, students need to work on enriching the quality of their lives, in order for a good recreation to benefit development of their personal character and spiritual maturity. Third, students need to be educated on how to enjoy sound recreation hours, which requires knowledge on a variety of recreational programs and revitalization of special skill education. Fourth, financial aid for destitute students needs to be provided so that they need not be isolated from the activities. A systematic aid that allows all teenagers, that is, not only high school students but also working teenagers, to freely participate in recreational activities should be procured. Fifth, operation of 5-days-a-week system looses meaning if conditions and facilities for sound recreational activities for teenagers are not available. Therefore in preparation for the system''s execution, government officials and local societies should focus on investing on ample cultural space and facilities for the teenagers to utilize. Sixth, students'' parents, as well as the students, should be educated on how to spend their leisure time. Parents are obvious setting a bad example, if they spend their free time drinking, smoking, or just watching TV. Therefore a program that teaches them to spend their free hours more productively should be helpful. From the results listed above, it is evident that a place and time for teenagers to spend their free hours productively and creatively is required in order to teach them sound recreational activities. More importantly, educational programs on the methods of recreation that can be employed at school need to be revitaliz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