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중학생에서 이중에너지 방사선 흡수법을 기준으로 InBody 720 및 신체계측치를 이용한 소아 비만 진단의 유용성

        조병기 建陽大學校 大學院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Background: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BIA) is frequently used to diagnose obesity in clinical setting, but the usefulness of BIA in children is not become known accurately. We analyzed the usefulness of BIA and anthropometric measurement compared with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DXA) as a diagnostic tool of childhood obesity. Methods: 205 volunteer primary and middle school children were recruited. We measured weight and height, and analyzed the body composition by BIA and DXA. By paired t-test and Bland-Altman plots, mean difference and limit of agreement were calculated between DXA and BIA according to sex and age groups. Sensitivity and specificity were displayed with the gold standard of PBF above 35% by DXA. Results: There was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DXA and BIA in fat mass(FM)(r=0.982, P<0.001), fat free mass(FFM)(r=0.990, P<0.001), and percent body fat(PBF)(r=0.956, P<0.001). Mean difference between DXA and BIA in FM, FFM, and PBF were -0.4±1.4 kg(P<0.001), -0.6±1.3 kg(P<0.001), and 0.5±2.8%(P=0.016), respectively. Limit of agreement in FM, FFM, and PBF were -0.4±2.7 kg, -0.6±2.5 kg, and 0.5±5.5%, respectively. the most sensitive method of diagnosis of obesity was Korean BMI standards for 85 percentile(94.7%) and IOTF BMI 25kg/m2(94.7%).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by BIA were 90.7% and 97.7%. Conclusions: BIA was not interchangeable with DXA. However because of higher diagnostic accuracy and correlation, it could be used to measure body composition as simple field method. We recommend Korean BMI standards for 85 percentile or IOTF BMI 25kg/m2 as the screening test for diagnosis of Korean childhood obesity.

      • 油壓 曲管路에 있어서 非 定常流의 壓力降下에 관한 硏究

        조병기 朝鮮大學校 産業大學院 198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ressure drops of coiled tubes are studied experimentally for Hydraulic oil Gulf Harmony 32 unsteady flows. In addition, friction factors are investigated as function of ratio (a/R), Reynolds number (Re), Dean number (Dn), and frequency Parameter (α). The three coils are used with curvature ratio (a/R) of 0.1, 0.04, and 0.02, and the total of coil is 11.3m, respectively. The Reynolds number(Re) is varied up 2200 in larminer flow. The experimental result are obtained as follows: 1. Pressure drops of straight tubes agree with Hagen-poiselle fomula. 2. Ratio of friction factors (fc/is) is more then 1, and increases with Reynolds number. 3. Friction factor is increases as curvature ratio (a/R) and number of coil are high. 4. Ratio of friction factor (fc/is) is high when frequency parameter α is of about 2~3.

      • 치쿤구냐 진단을 위한 신속 면역크로마토그라피법 개발 : Development of Rapid Lateral-flow Immunochromatographic Test for the Diagnosis of Chikungunya Virus Infection

        조병기 아주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31

        연구배경 및 목적: 치쿤구냐 바이러스는 모기에 의해 전파되는 알파바이러스 로서 주로 아프리카, 인도, 동남아시아 및 유럽 남부 등에 분포한다. 치쿤구냐는 고 열, 극심한 관절통, 발진, 근육통, 두통, 구토 등의 임상적 증상을 보이는데 이는 뎅 기 바이러스 감염시의 임상증상과 유사하다. 치쿤구냐 바이러스 및 뎅기 바이러스 는 동일한 모기에 의해 사람에서 사람으로 전파되고 발병지역도 동일하여 감별진단 이 중요시되고 있다. 현재까지 치쿤구냐 바이러스 진단은 혈구응집억제반응, IgM 항체 검출을 위한 효소면역측정법, 분자진단학적인 방법, 바이러스 분리 등과 같은 실험실적인 진단방법에 의존하고 있다. 이들 검사 방법은 진단 정확성에도 불구하고 검사 시간이 길고, 비용이 많이 들며 숙련된 검사자와 검사 장비 등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치쿤구냐 진단을 위해 현장검사용으로 유용한 신속 면역크로마토 그라피법을 확립하는 것이었다. 연구 방법: 세 종류의 주요 치쿤구냐 바이러스 구조적 단백질인 capsid, E1 및 E2 단백질을 배큘로바이러스 발현 시스템에서 발현하였다. 이 단백질들을 이용하여 치쿤구냐 바이러스에 대한 IgM 항체를 검출하는 신속 면역크로마토그라피법 및 간 접효소면역측정법을 확립하였다. 치쿤구냐 바이러스 IgM 항체에 대한 양성 및 음성 혈청, 뎅기바이러스 IgM 항체에 대한 양성 혈청 판넬을 이용하여 신속 면역크로마 토그라피법 및 간접효소면역측정법의 효능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E2 단백질을 이용한 간접효소면역측정법은 90.0%의 민감도, 100% 특이도, 100% 양성예측율 및 93.8%의 음성예측율을 나타내었다. E1 단백 질을 이용한 간접효소면역측정법은 77.5%의 민감도, 100% 특이도, 100% 양성예 측율 및 87.0%의 음성예측율을 나타내었고 capsid를 이용한 간접효소면역측율은 87.5%의 민감도, 100% 특이도, 100% 양성예측율 및 92.3%의 음성예측율을 나타 내었다. E2 단백질을 이용한 신속 면역크로마토그라피법은 92.5%의 민감도, 100% 특이도, 100% 양성예측율 및 95.2%의 음성예측율을 나타내었다. E1 단백질을 이 용한 신속 면역크로마토그라피법은 82.5%의 민감도, 100% 특이도, 100% 양성예 측율 및 89.6%의 음성예측율을 나타내었고 capsid를 이용한 신속 면역크로마토그 라피법은 87.5%의 민감도, 100% 특이도, 100% 양성예측율 및 92.3%의 음성예측 율을 나타내었다. 신속 면역크로마토그라피법 및 간접 효소면역측정법 모두 뎅기바이러스 IgM 양성 혈청 판넬과는 교차반응을 나타내지 않았다. 연구 결론: 신속 면역크로마토그라피법 및 간접 효소면역측정법은 사용된 항 원 종류에 관계없이 모두 100%의 특이도 및 양성예측율을 나타내었다. 캡시드 단 백질을 이용한 신속 면역크로마토그라피법 및 간접효소면역측정법은 동일한 진단 효능을 나타냈지만, E1 및 E2 단백질을 이용한 신속 면역크로마토그라피법은 E1 및 E2 단백질을 이용한 간접효소면역측정법보다 우수한 민감도 및 음성예측율은 나 타내었다. 세가지 종류의 단백질중 E2 당단백질이 E1 당단백질 및 캡시드 단백질보 다 우수한 면역 반응성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E2 단백질을 이용한 신속 면역크로마토그라피법은 치쿤구냐의 조기 진단 및 임상적으로 유사한 뎅기 바이러스 감염과의 감별 진단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Aims: Chikungunya (CHIK) virus is a mosquito-transmitted Alphavirus belonging to family Togaviridae that causes a number of outbreaks in Africa, India, and Southeast Asia with high morbidity. The major clinical symptoms resulting from CHIK virus infection are high fever, arthralgia, myalgia, headache and rash, which are similarly manifested in dengue virus infection. Both CHIK virus and dengue virus are transmitted from human to human mainly by Aedes aegypti. Hence, the differentiation of CHIK virus infection from dengue virus infection is required. Presently, the diagnosis of CHIK virus infection is based on laboratory methods such as hemagglutination inhibition (HI) test, IgM capture ELISA, RT-PCR, and on rare occasions on virus isolation. These tests are all time-consuming, labor intensive, and costly, and require trained staffs and equipments regardless of their accurac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a lateral-flow immunochromatographic test (LF-ICT) ideal for applications as rapid point-of-care test for the diagnosis of acute CHIK virus infection. Methods: Three CHIK virus structural recombinant proteins, capsid protein and, E1 and E2 envelope glycoproteins, were produced in the baculovirus expression system. Using these recombinant proteins, indirect ELISA and LF-ICT were established for detection of IgM against CHIK virus capsid protein, E1 and E2, respectively. The performance of LF-ICT was then compared with that of indirect ELISA using CHIK virus IgM positive and negative serum samples as well as using dengue virus IgM positive serum samples. Results: The E2 ELISA showed 90.0% sensitivity, 100% specificity, 100% PPV (positive predictive value) and 93.8% NPV (negative predictive value). The E1 ELISA showed 77.5% sensitivity, 100% specificity, 100% PPV and 87.0% NPV and the capsid ELISA showed 87.5% sensitivity, 100% specificity, 100% PPV and 92.3% NPV. The E2 LF-ICT showed 92.5% sensitivity, 100% specificity, 100% PPV and 95.2% NPV. The E1 LF-ICT showed 82.5% sensitivity, 100% specificity, 100% PPV and 89.6% NPV, and the capsid LF-ICT showed 87.5% sensitivity, 100% specificity, 100% PPV and 92.3% NPV. Both LF-ICT and indirect ELISA showed no cross-reactivity with DENV IgM positive sera samples. Conclusions: Both LF-ICT and indirect ELISA showed 100% specificities and 100% PPV regardless of the applied antigens. Although the performance of capsid LF-ICT was same to that of capsid ELISA, the sensitivity as well as NPV of LF-ICT for detection of IgM against CHIK virus E1 or E2 was superior to that of indirect ELISA. Among the three proteins, E2 showed better performance of immuno-reactivity than E1 or capsid. Thus, the LF-ICT using E2 could be a useful tool for rapid, and differential diagnosis of acute CHIK virus infection from a clinically similar disease like dengue virus.

      • 高句麗古墳壁畵의 來世觀表現에 관한 硏究

        조병기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studies of Koguryo tumulus mural have been exhausted to the point of Believing in the future existence. The Koguryo tumulus mural are showing the beginning in our art history, expecially the general phases of that times' society and culture. The Koguryo tumulus mural were made from 4th century to the mille of 7th century. Passing by the growing period of the 5th and 6th century. The tumulus mural was drawn with doctrine of the immortality of the soul which reflected the thought that a man would live after his death the same way as in his life time. The motif of painting consists of the portrait of tomb master, his wife's portrait procession of solder, hunting, dancing, wrestling, living image regarding fighting and the like, and vividly describing the space of life such as kitchen, well, garage, cow-house, room and etc. The second chapter examines the paintings of mountain wizards, fairy, herdsman, a weaving woman, monstrous beasts, and birds, and the hunting scene on the front chamber's ceiling are gods from chinese traditional faith. They hoped that monstrous beasts and birds protected the tomb. When the tomb was safe-guarded, they thought the buried man's future life after death and his descendants would be happy. By the way the source of some monstrous beasts and birds have not been indicated yet. We can estimate the times when made, and we can see the development in materials and techniques of mural paintings - from the early ones of figure to the latter ones of the four god of death. They were began by the influence of China and they grew uniquely digesting the mural paintings which started in Han mode. In culture Koguryo had been influenced by China, and had touched the culture of Han and Nak-lang and had been accepting the religions like confucianism, taoism, buddhism from Buk-jo, Nam-jo. They were native ruling class of other regions and refugees from China. Therefore, the protagonist portraits in Pyongyang area had affected from China and other regions. Since then they had been koreanized as if they were the murals of Koguryo. It was reflected in portrait that the power of native ruling class was weaken and the government of koguryo had centralized power. After, we could see the change on the Four demons picture that the image of bird's feathers and feathers are described densely on the figure's shoulders and legs with a fine brush. The thematic change in the Koguryo tumulus mural show us the view of the next world as above mentioned. We can find the process of cultural and art development in early times, through the continuous study about them.

      • PBD 공법에 의한 연약지반의 개량사례 연구

        조병기 漢陽大學校 産業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연약지반에서의 구조물 축조시 발생하는 문제점은 지반의 침하량이 크고 또한 장기간에 걸쳐 침하가 발생한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연약지반의 공학적인 특성 및 적용되는 공법에 의한 지반개량 과정의 정확한 이해 및 합리적인 예측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우리나라의 경우 연약지반 개량의 시공사례가 풍부하지 않으며 특히 선진 외국에서는 이미 활발히 적용되고 있는 새로운 공법의 도입이 비교적 빠르지 않기 때문에 연약지반 개량공법의 선정 및 설계․해석 과정에서 실무자들은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된다. 본 연구는 군산 ○○지구 대지조성 및 도시기반시설 공사에 연직배수공법의 일환으로 시공된 PBD 공법에 의한 지반개량효과를 분석한 것으로서 공법의 설계이론 및 사례와 계측결과에 의한 개량효과의 분석결과를 제시하였다. PBD공법의 적용 분석결과 본 공법이 연구대상 연약지반의 압밀촉진에 크게 역할을 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로 인해 공사기간 단축 및 공사비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본 공법이 연약지반 개량에 효과적 이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향후 연약지반 개량공사의 수행시 적용공법의 선정과정 및 침하관리, PBD 공법의 설계 및 해석, 개량효과 분석에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Characterization of nanoliposome composed of ceramide and its cosmetic application

        조병기 慶南大學校 2005 국내박사

        RANK : 247631

        Ceramides are the major structural components of the epidermal permeability barrier which is known to play an essential role in human physiology by not only preventing the water loss from the body but also protecting the body from external physical, chemical, and microbial attacks. For this reason, topical treatment with ceramides has been comprehensively used for skin disorders such as psoriasis, itching, atopic dermatitis, irritant contact dermatitis, allergic contact dermatitis, and so on. However, we have a lot of difficulties in applying ceramides in topical treatments or cosmetics due to their poor solubility and instability. From this view point, we prepared nanoliposome composed of ceramide in order to improve solubility and stability of ceramide and found that the poor-soluble ingredient in nanoliposome showed better stability in this study. The formulas not containing ceramide and containing nanoliposome composed of ceramide were not observed any recystallization after cycling and freeze/thaw conditions. But the formula containing dispersed ceramide showed recrysallization at the interface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phase after cycling and freeze/thaw conditions. To investigate the potency of nanoliposome composed of ceramide for reinforcement of skin barrier function, we examined the recovery rate of transepidermal water loss (TEWL) after tape stripping, moisturizing effect and the inhibitory effect of flush induced by methyl nicotinate. Subsequently, clinical studies such as human patch test and stinging potential test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anti-irritation effects of nanoliposome composed of ceramide using lactic acid as a chemical irritant. According to the results, nanoliposome composed of ceramide showed certainly better effects on reinforcement of skin barrier function and anti-irritation than dispersed ceramide. And then, we performed in vitro skin penetration test using horizontal Franz diffusion cells equipped with skin membrane prepared from hairless mouse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nanoliposome composed of ceramide on the skin penetration of lactic acid in formulations. From the results, we found that the anti-irritation effects of nanoliposome composed of ceramide were due to the reduced penetration rate of irritan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WL reduction and hydration effects among the formulas containing nanoliposome composed of ceramide with a variety of different mean particle sizes, but we could confirm that the smaller mean particle size of nanoliposome composed of ceramide was, the higher anti-irritaion effect was. Natural ceramides showed slightly better anti-irritation effects than pseudoceramides, and nanoliposome composed of ceramide and hydrophilic actives together results in synergistic anti-irritation effects by means of various anti-irritation mechanisms with the ability in modulation of either activation or damage of keratinocytes, and release of inflammation mediators. Another ultimat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osmetic products for the treatment of atopic dermatitis. The overproduction of the inflammation- mediating cytokines such as interleukin-8 (IL-8) and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is also observed in atopic dermatitis due to the ceramide deficiency. And it has been known that elastase is released from the skin surface after skin irritation caused by UV-exposure or environmental stress as well as dry skin conditions on atopic dermatitis. We screened some cosmetic ingredients which have excellent inhibitory effects on the production of IL-8 and TNF-α, and on the activity of elastase, and prepared nanoliposome composed of ceramide and the selected cosmetic ingredients together to improve stability, penetration and efficacy at usage levels. Finally, we manufactured a cosmetic product for the treatment of atopic dermatitis and evaluated the efficacy of a cosmetic product with atopic dermatitis patients. The cosmetic product containing nanoliposome composed of ceramide and selected actives was very safe and exhibited very excellent hydration effect and TEWL reduction effect compared to those of placebo and two comercialized atopy care creams. The topical application of the product also showed remarkable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atopy skin. Conclusively, we could characterize nanoliposome composed of ceramide in detail and apply this new system to develop the final cosmetic products successfully. 세라마이드는 인체로부터 수분 손실을 막고, 외부의 물리적, 화학적 손상 및 미생물에 의한 감염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함으로써 인간의 생리작용에 중요한 부분을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진 표피 투과 장벽의 주요한 구조적 구성 성분이다. 따라서, 건선, 아토피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알러지성 피부염 등의 다양한 피부 질환의 국소치료제로서 세라마이드는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세라마이드의 낮은 용해도와 안정도로 인해 세라마이드를 국소치료제 및 화장품에 적용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세라마이드의 용해도 및 안정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세라마이드를 구성성분으로 하는 나노리포좀을 제조하였으며, 나노리포좀을 이용하여 안정화시킨 난용해성 성분이 제형 내에서 뛰어난 안정도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안정도 실험 결과, 세라마이드를 구성성분으로 하는 나노리포좀을 함유하는 제형의 경우, 극한 온도 조건 하에서도 재결정이 관찰되지 않은 반면, 단순히 세라마이드만을 함유한 제형에서는 극한 온도 조건 하에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상과 수상 사이에서 재결정이 관찰되었다. 세라마이드를 구성성분으로 하는 나노리포좀의 피부장벽 기능 강화에 대한 잠재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테입 스트리핑 후에 증가한 경표피수분손실량에 대한 회복 효과, 보습 효과 및 염증 유발 물질인 methyl nicotinate에 의해 유발되는 홍반 억제 효과를 평가하여 보았다. 또한, 인체 첩포시험, 자극감시험과 같은 임상 연구를 통하여 락틱산과 같은 화학적 자극원에 대한 자극완화 효과를 평가하여 보았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피부 장벽 기능 강화와 자극완화 효과가 제형 내에 단순히 분산된 세라마이드보다 세라마이드를 구성성분으로 하는 나노리포좀을 함유하는 경우 보다 우수하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자극원으로서 제형 내 함유되어 있는 락틱산의 피부 투과도에 있어서 세라마이드를 구성성분으로 하는 나노리포좀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무모 생쥐에서 얻어낸 피부막으로 horizontal Franz diffusion cells을 이용한 in vitro 피부 투과 시험을 수행해 본 결과, 세라마이드로 구성된 나노리포좀의 자극완화 효과가 자극원의 피부 투과도를 감소시키는데서 기인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라마이드를 구성성분으로 하는 나노리포좀의 평균 입자 크기에 따른 경표피수분손실 감소 및 보습 효과에는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은 반면, 평균 입자 크기가 감소할수록 자극원에 대한 자극완화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으며, 천연 세라마이드가 유사 세라마이드보다 우수한 자극완화 효과를 나타었다. 또한, 다양한 자극 메커니즘에 효과가 우수한 자극완화 복합소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표피세포의 활성 및 손상, 염증 매개 물질의 분비를 조절해주는 것으로 알려진 친수성 유효성분을 세라마이드를 구성성분으로 하는 나노리포좀에 포접하여 안정화시킨 경우, 자극완화 효과의 상호 보완 및 상승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또 다른 목적은 아토피성 피부염을 위한 화장품 개발에 있다. 세라마이드 결핍과 더불어, IL-8과 TNF-α와 같은 염증 매개 사이토카인들의 과생성이 아토피성 피부염에서 관찰되어지며, 자외선 노출, 환경적 스트레스, 아토피성 피부염의 건조한 피부, 피부 자극 등에 의해 엘라스타아제가 피부 표면으로 분비되어진다고 알려진 바 있다. 따라서, IL-8과 TNF-α의 생성, 엘라스타아제 활성 저해 효과가 우수한 유효성분을 탐색하였으며, 선정된 유효성분의 안정도, 피부 투과도 및 효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세라마이드를 구성성분으로 하는 나노리포좀에 포접하여 안정화시켰다. 또한 이를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을 위한 화장료를 제조하였으며, 아토피성 피부염 질환자들을 대상으로 유효성을 평가하여 보았다. 실험 결과, 본 아토피성 피부염을 위한 화장품은 안전성 측면에서 매우 우수한 것으로 판정되었으며, 경표피수분손실량 회복 및 보습 효과가 매우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아토피성 피부염을 개선하는데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세라마이드로 구성된 나노리포좀의 특성을 규명하고, 이 새로운 시스템을 화장품에 성공적으로 응용할 수 있었다.

      • 기능성 모노머 첨가에 의한 폴리프로필렌의 고 용융 강도 개선에 관한 연구

        조병기 嶺南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전자빔은 가교, 그래프팅, 분해에 의해 고분자 물질을 개선하는데 아주 편리하다. 고분자 가교는 전자빔 조사에 의해 고분자 물질에 생성된 라디칼에 의해 망상구조가 형성된다. 이 기술은 고분자의 열 안정성을 증대시키기 때문에 절연 케이블의 가교에 적용되어 왔고, 현재 자원보존을 위한 폐 고분자의 재활용에도 적용되고 있다. 또한 전자빔 조사로 인한 불완전한 가교로 고분자의 용융 강도 증대는 고온에서 폼 형성동안 용융 흐름을 방지한다. 하지만 완전 가교 고분자는 용융이 되지 않기 때문에 열성형 제품의 재활용으로는 어렵다. 기존 논문에 의하면 고 용융 강도 폴리프로필렌은 전자빔으로 다기능성 모노머 존재하에 가능했다. 선형 폴리프로필렌은 상업적으로 많이 응용되어 왔고, 고강도와 내화학성과 같은 우수한 성질 때문에 PVC, PU, PE 대체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더구나 조사에 의해 기능화된 폴리프로필렌은 화학오염이 없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고온에서 낮은 용융 강도와 신장강도를 가지고 있다. 그래서 용융 강도를 개선하기 위해 많은 시도가 있었는데, 이는 특정 분야 외에는 효과적이지 못했다. 그래서 최근에 고 용융 강도 폴리프로필렌을 제조할 수 있는 기술 1) 지글러-나타 촉매를 사용해 코모노머 첨가로 제조, 2) 과산화물에 의해 가교제와 모노머의 가교와 그래프팅 반응을 통한 제조, 3) 전자빔 조사로 라디칼 반응으로부터 제조, 등이 개발되었다. 이중 전자빔에 의한 방법은 딱딱하고 선형인 폴리프로필렌을 질소 분위기하에서 전자빔을 조사하여 사슬 절단과 가교를 동시에 일으켜 제조하는 공정이다. 가지사슬을 가진 고분자가 고온에서 용융된다면 그 고분자는 재 용융시켜 재활용 될 수 있다. 본 논문은 HDDA, BDDA, EGDMA등과 같은 이 기능성 모노머의 첨가와 폴리프로필렌의 용융 지수 변화로 조사에 의해 폴리프로필렌의 용융 강도 개선에 관한 연구이다. 3기능성 모노머는 높은 반응성으로 인한 가교 때문에 사용되지 않았고 1기능성 모노머는 낮은 반응성 때문에 사용되지 않았다. 조사된 폴리프로필렌의 물성은 고유점도, 젤%, FT-IR, DSC, ARES 등을 통해 연구되었다. 결과에 따르면, 높은 M.I.의 호모PP가 사슬절단이 쉽게 일어났고 상대적으로 낮은 M.I.의 호모PP와 RTPP가 방사안정성이 높았다. 2기능성 모노머가 첨가되었을 때 PP의 분해반응이 억제되었고, 특히 낮은 M.I.의 PP에서 억제현상이 뚜렷했다. 모노머의 반응성은 1)그래프팅에 의해 주사슬에 가지구조를 생성하기 위해 2)호모중합이 일어나지 않기 위해, 적절하여야 한다. ARES결과에 따르면 HDDA가 첨가된 낮은 M.I.의 PP와 RTPP의 G'&η*가 각각 1kGy, 5kGy에서 높은 증가를 보였다. 특히 HDDA가 첨가된 호모PP가 가장 높은 값은 나타냈다. 이는 상업화된 몬텔과 치소사보다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전자빔을 이용한 고 용융 강도 폴리프로필렌의 제조는 낮은 용융지수, 낮은 조사선량 및 적절한 2 기능성 모노머의 첨가 등이 요구된다고 본다. Electron beam generated from an accelerator are very convenient for improving polymer materials by crosslinking, grafting, and degradation. The crosslinking is due to formation of network structure by recombination of radicals formed polymer materials by irradiation. This technology has been applied for crosslinking of insulation cables to improve heat stability. Currently, there is a growing technology toward recycling of waste polymer for conservation of resources. In this technology, to prevent melt flow during foaming at high temperature, High Melt Strength(HMS) property of polymer is led by crosslinking during irradiation. But the crosslinked polymer are difficult to recycle for heat molding material because they cannot melt for crosslinking. In previous papers, HMS Polypropylene(PP) was achieved with irradiation by electron beam generated from an accelerator in the presence of Polyfunctional monomer(PFM). It is known that linear PP has been developed for commercial application and it is being used to substitute Polyvinylchloride(PVC), Polyurethane(PU), Polyethylene(PE) since it has a good property such as high hardness and chemical resistance. Moreover, functionalizing PP under the irradiation has the advantage of having no chemical pollution. But PP has a low melt strength(MS) and tensile strength at high temperature. Therefore, much efforts had been applied to improve MS, but it was effective on a specific part. Hence, we need to develop HMS-PP having a excellent property under melting. So, most recently the technologies to be able to modify the HMS property of PP could be developed ; such as 1)Manufacture with comonomer by using Zigler-Natta catalyst 2)Manufacture through crosslinking and grafting reaction with addition of crosslinking agent and monomer by peroxide. 3)Manufacture from the radical reaction with Electron Beam(EB) radiation. Among others, EB radiation method is a process for making the HMS-PP by EB radiation of a solid, linear, PP in N2 environment for a time, and then chain scissor and crosslinking occur simultaneously. Therefore, it has a long chain branch to introduce radical and monomer at the end of main chain. If the polymer having branch chain melts at high temperature, the polymer can be recycled by remelting. The study on improvement of melt-strength for PP by irradiation in the presence of bifunctional monomer such as 1,6-Hexanediol Diacrlate(HDDA), 1,2-Butanediol Diacrylate(BDDA) and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EGDMA) and Melt Index(MI) changings is presenting in this paper. Trifunctional monomers and monofunctional monomers were not used because of crosslinking and low activity, respectively. Irradiated-PP are studied by means of Intrinsic viscosity, Gel %, FT-IR,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DSC), Advanced Rheometric Expansion System(ARES). As the result, chain scissor easily occurred in high MI homo-PP, but in low MI homo-PP and Random ter-PP(RTPP) had relatively high radiation resistance. When the bifunctional monomer was added, PP degradation reaction was restrained. Especially the restraint was obviously appeared in low MI PP. It was found that reactivity of monomer must be suitable 1)to modify branched structure on main chain by grafting and 2)to avoid homo polymerization. From the result of ARES, G' and η* increase arose from PP with addition of bifunctional monomer. G' and η* in low MI homo-PP and RTPP with addition of HDDA showed highest increase at 1kGy and 5kGy, respectively. In particular, homo-PP with addition of HDDA had highest G' and η* value. In this case, G' and η* were over the commercial HMS-PP such as Montell co. and Chisso co.. On the basis of the these investigations, the study on improvement of HMS of the PP have to be carried out in low MI, low radiation energy, and a suitable bifunctional monomer.

      • 임금피크제 적용범위에 관한 연구

        조병기 고려대학교 노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2016. 1. 1. 정년을 법정화를 통한 60세 정년연장에 따른 임금체계 개편 일환으로 임금피크제가 도입되었다. 임금피크제에 대하여 대법원이 2019. 11. 집단적 동의를 받고 도입하였더라고 보다 유리한 내용의 개별 근로계약이 우선 적용되어야 한다는 취지로 선고한 이후, 2022. 5. 정년유지형 임금피크제가 합리적인 이유 없이 연령을 이유로 근로자를 차별하고 있음을 이유로 고령자고용법 제4조의4 제1항에 반하여 무효임을 선고함에 따라, 노동계와 기업들이 이에 대하여 향후 유사소송 및 노사협상을 대비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임금피크제에 대한 관련 판결을 비교 및 분석하여 향후 사법부의 판단을 예측해 보고, 추가적인 정년연장 요구가 있는 상황에서 임금피크제의 안정적 운영방안을 검토해보고자 한다. 제3장을 통해 임금피크제 도입과정상 절차적인 요건인 취업규칙 불이익 변경 절차에 대하여 검토하면서, 집단적 동의절차 흠결시 적용된다는 판례의 사회통념상 합리성론 및 임금피크제에 대한 노사합의가 노동조합의 조합원이 아닌 근로자들에 대하여 적용 가능한지 살펴보고자 한다. 제4장을 통해 공공기관인 K기관의 정년보장형 임금피크제에 대한 서울고등법원의 첫 판결 서울고등법원 2021. 11. 19. 선고 2020나2028045 판결. 이하 ‘대상판결’이라 한다. 을 중심으로 그 임금피크제도 유효성을 검토하고, 다른 회사의 임금피크제 판결 특히 임금피크제 무효를 선고한 판결과 비교하여, 일명 개별약정 우선적용원칙의 적용문제, 임금피크제 내용통제로서 고령자고용법상 연령상 차별이 합리적인 이유로 제한되는 경우에 해당하는지 여부 등에 대한 사법부의 판단기준을 검토하고자 한다. 더불어 제5장에서는 피크임금 소급 재산정 논의와 관련하여 임금피크제에 대한 노사합의 내용 및 임금피크제의 도입 취지 등을 고려하여 종합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대부분의 경우 노사합의만으로 임금피크제를 시행하는 것이 아니라 취업규칙의 불이익 변경을 통해 시행하고 있다. 취업규칙 불이익 변경에 대한 집단적 동의방법은 근로자 과반수로 조직된 노동조합이 있는 경우에는 그 노동조합의 동의가 있으면 되고, 이때의 동의는 단체협약의 체결을 통해서도 가능하다. 즉 ‘과반수 노동조합의 동의’를 노사합의라는 단체협약의 형식으로 받았다면 그 자체로 절차적 요건을 충족한다. 취업규칙 불이익 변경 여부는 개별 근로자의 주관적 기준이 아닌 사측에 의하여 객관적 기준에 의하여 판단되므로, 도입된 임금피크제의 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분쟁의 방지를 위하고 근로자의 알권리를 보장하기 위하여 전체적으로 불이익 변경으로 보아 취업규칙 불이익 변경 절차를 거치도록 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또한 취업규칙 불이익 변경 법리와 고령자고용법상 연령차별금지 법리는 각자 독립된 것으로, 임금피크제 도입 및 변경에 대하여 각자 검토되어야 한다. 즉, 임금피크제 운영 도중 취업규칙 불이익 변경의 절차를 거쳤다고 곧바로 적법‧유효한 것은 아니며, 해당 근로자의 임금삭감의 합리적인 수준으로서 그 차별 처우에 합리적인 이유도 있어야 한다. 2017년 우리나라는 고령사회에 도달하였고 기대수명은 2020년 기준 83.5세가 됨에 따라, 정년 연장을 통한 고령자의 고용유지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그에 대한 근로자들의 요구가 지속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2016. 1. 1.부터 기획재정부와 고용노동부의 권고안 등에 따라 정부의 권고 때 도입되어 7년째 운영되고 있는 임금피크제가, 추가적인 정년 연장과 함께 여전히 유효한 임금체계라고 볼 수 있다. 다만 대법원이 임금피크제의 효력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을 제시하였기 때문에, 임금피크제를 시행하고 있는 회사들은 노사 합의를 통해 근무시간 단축, 적정한 업무 부여 등 임금 삭감에 대한 적정한 보상조치를 부여하는 등으로 대법원의 기준에 맞게 임금피크제의 내용을 보완하여야 할 것이다.

      •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관점에서 바라본 <갈매기>의 뜨레쁠레프와 뜨리고린의 대립적 행동에 관한 연구

        조병기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연극 평론가들은 연극 관람 후 공연에 관한 비평을 할 때, 사상적이고 철학적인 단어를 다양하게 사용한다. 그러나 무대 위에서 연기하는 배우들은 비평가들이 표현하는 사상적이고 철학적인 단어의 의미를 인지하고 연기하지 않는다. 배우는 작가가 쓴 작품 속의 인물들의 진실을 찾고, 관계를 정립하고, 무대 위에서 그 배역들의 삶을 살고 있을 뿐이다. 다시 말해, 어떤 목적과 형태를 향해서 무대 위에서 시간을 보내는 것이 아닌 자신이 맡은 배역의 빙의와도 같은 것이다. 배우의 배역에 대한 이해와 공감 없이 무대 위에서 행하는 행동은, 그것이 아무리 위대한 극작가의 작품이건, 연출가의 연출이건 관객에게는 아무런 의미가 없다. 극장을 찾은 관객들은 무대 위에서 읽어주는 희곡을 경청하러 오는 것이 아닌 자신과는 다른 다양한 삶의 단편들을 진실로 만끽하고자 하기 때문이다. 스타니슬랍스키가 주장하는 “배우예술”은 배우 스스로가 극작을 하거나 거시적 안목으로 연출을 하라는 것이 아닌, 극작가와 연출가의 작가의 의도나 연출의 의도를 자신의 것으로 소화하고 확신하여 무대에서 재현하는 예술 행위를 뜻한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스타니슬랍스키와 동시대를 살았고, 커다란 사건이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평범할 수 있는 일상 속에서 자신의 사상을 전달하고 있는 안톤 체홉의 ≪갈매기≫에 등장하는 주요 인물들, ‘뜨레쁠레프’와 ‘뜨리고린’에게서 나타나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살펴보고, 작품에 나타나는 사상과 의미가 배우의 어떠한 행동으로 인해 관객에게 전달될 수 있는지를 국내에서 공연된 자료와 비평서를 중심으로 알아보기로 하겠다.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는 수세기에 걸쳐 학문으로 논의 되며, 인간의 삶에 있어 정신세계의 분야를 탐구하는 데에 거론되고 있다. 또한 의학과 예술 분야는 물론이고 수많은 분야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탐구되어 오고 있다. 특히 인간의 삶을 미학적으로 무대 위에 옮겨놓는 연극 예술 분야에 다양한 형태로 등장하고 있다. 그리스 비극 ≪오이디푸스 왕≫에서 비롯되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는 많은 작품들을 통해 그 의미와 상징들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모자 관계를 언급하는 부분에서 부각되고 있는데, 그 대표적인 작품 중 하나가 바로 ≪햄릿≫이다. 이와 맥락을 같이하여 송현옥 교수는 연극학회지를 통해 ‘햄릿’과 맥락을 같이 하여, 유사한 인물인 ≪갈매기≫의 ‘뜨레쁠레프’를 아버지의 부재를 소재로 비교한 논문을 발표하였다. 본 연구자는 이처럼 여러 세기의 작품에 등장하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가 무엇인가에 대한 의문을 갖게 되었고, 연극 및 연기에 관한 연구의 한 방법으로써 ‘오이디푸스 콤플렉스’가 실질적인 작품에서 어떠한 성격과 방식으로 나타나는지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따라서 인간의 삶을 가장 유사하게 무대 위에 재현하였다고 생각되는 19세기 사실주의 극들을 둘러보던 가운데 앞서 논의되었던 안톤 체홉의 ≪갈매기≫에 등장하는 ‘뜨레쁠레프’와 ‘뜨리고린’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에 대해 알아보고, 그 의미가 나타나는 장면들의 행동들을 분석하기로 한다. 나아가 ‘뜨레쁠레프’와 대립구도에 놓인 ‘뜨리고린’이 연상녀와 나이어린 처녀 사이에서 갈등하는 부분 역시 동일 맥락으로 판단하여, ‘뜨레쁠레프’와 ‘뜨리고린’의 행동들을 비교 분석해보기로 한다. 본 연구자는 작품에서 나타나는 사상과 의미가 배우의 행동양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배우 자신이 작품을 파악하고, 그것을 행동으로 만들어내는 자발적인 연기를 위해 본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