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학교 3학년 영어교과서의 과업중심 듣기 활동 연구

        정은주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논문은 제 7차 중학교 영어과 교육과정의 3학년 영어교과서의 듣기과업을 과업중심듣기 측면에서 분석하고 과업중심 듣기활동이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해 다양한 유형으로 제시되고 있는지 알아본다. 그리고 수업 조직유형이 과업중심 듣기활동을 하기에 적절한지와 이 과업들의 화제가 다양하게 제시되었는지를 알아보고 그 문제점과 개선점을 제시하는 데 의의를 둔다. 이를 위하여 전국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중학교 3학년 영어교과서 5종을 대상으로 과업중심 듣기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Peterson(1991)의 과업 분류안을 기준으로 Ur(1996)과 Morley(1991)의 듣기유형을 보완하여 분석기준을 설정하였다. 첫째, 과업중심의 듣기과정 중 상향식 과정과 하향식 과정은 비슷한 수준의 고른 분포를 보인 반면에 상호작용식 과정은 11%로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상호작용식 과정은 학습자들이 듣기 자료의 내용을 자신의 경험과 관련시키거나 창의적으로 이해하여 응답하는 듣기 활동을 말한다. 과업중심 듣기로 비춰 볼 때 상호작용식 과정이 이를 가장 잘 반영하고 있다. 그러나 이 과정의 듣기유형이 가장 낮은 분포를 보임으로써 이를 보완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또한 전반적인 듣기 과업이 여러 과업유형 중 직·간접 추론, 주제요지 파악, 질문에 응답하기의 특정 유형에 치우쳐 다양한 듣기 활동이 적절히 제시되고 있지 않은 문제점을 지닌다. 둘째, 수업 조직 유형중 개별 활동이 전체 듣기과업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이는 학습자들에게 과업활동을 통해 다양하고 활발한 의사소통 기회를 많이 제공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전체 활동과 모둠 활동의 비율은 10% 미만에 그쳐 교과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수업 조직형태가 학습자들이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 하는데 한계를 지니고 있음을 보여준다. 셋째, 듣기활동 화제의 경우 개인생활, 학교생활, 시사·오락 등의 다양한 소재를 고루 반영하고 있어 실생활 관련 소재를 토대로 한 실질적인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문화에 관련된 소재와 문학·예술에 관한 소재는 상대적으로 반영비율이 빈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외국문화를 올바르게 수용해 우리 문화를 발전시키고 나아가 외국에 소개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문화에 대한 유용한 정보가 좀 더 제공될 필요가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또한 화제는 학습자들에게 듣기 활동의 동기를 부여하는데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학습자의 발달단계에 적합한 도전적이고 다양한 화제를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에 비추어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과업중심 듣기교수를 위해서는 학습자의 수준에 적합한 다양한 형태의 듣기 과업을 제시해 학습자가 흥미를 가지고 적극적으로 과업을 수행하도록 해야 한다. 여기에서 교사는 무엇보다 다양한 학습자의 수준과 흥미를 고려해 교과서의 듣기 활동을 재조직하여 학습자에게 적절히 제시해 주어야 할 것이다.

      • 都市小公園確保를 위한 潛在資源 發掘 및 開發方案에 關한 硏究

        정은주 동아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도시소공원 확보를 위한 용지확보 및 시설설치 차원에서 가장 손쉽게 확보할 수 있는 잠재자원들을 발굴하고, 그 활용가능성을 토지활용에 있어서의 비교우위성과 법제적 적합성을 비교 정리하여 유형별 개발방안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Ⅱ장에서 도시소공원의 개념을 설정하고 현재 도시소공원으로 성공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사례를 유형별로 검토하여 이론적 배경을 정리한 후, Ⅲ장에서는 도시소공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잠재자원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장에서는 도시소공원 잠재자원을 유형별로 도출하여 잠재공간을 유형별로 분류하고, 토지활용에 있어서의 비교우위성과 법제적 적합성을 비교 정리하여 유형별 개발방안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Ⅳ장에서는 적용사례연구로서 대상지인 부산진구에서 보유하고 있는 잠재자원의 현황을 파악하고 도시소공원으로의 확보가능성을 검토하였으며, 부산진구의 전체 공원녹지 체계하의 도시소공원의 위상을 정립하였다. V장에서는 결론의 장으로서 4장까지의 검토내용을 근거로 본 연구의 한계점을 명확히 하고, 종합적인 도시소공원의 확보에 대한 검토를 진행하였다. 현재 도시소공원은 규모가 작은 공원을 통칭하는 일반적인 명칭으로 사용되고 있을 뿐 실제적으로 대부분 녹지나 광장, 어린이공원들로 지정되어 있는 것이 현실이다. 도시소공원을 적극적으로 확보하기 위해서는 관련 법제도의 개선 등을 통하여 체계적이며 지속적으로 도시소공원을 확보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하도록 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도시소공원화가 가능한 잠재자원들은 상당수 발굴할 수 있으나 용지확보및 시설설치 차원에서 가장 손쉬운 자원들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도로공간, 공공시설용지, 미활용 소규모 국공유지, 공원, 녹지, 공공공지, 광장, 주차장, 공개공지 등을 들 수 있다. 도로공간·기존의 공원이냐 녹지는 도시공원법을 일부 개정하거나 융통적으로 운영하여 도시소공원으로 재 지정하거나 또는 도시소공원과 유사한 형태로 활용할 수 있는 자원들이다. 광장이나 공공시설의 부속공간, 주차장 등의 공공용지는 도시소공원으로 용도전환 하는 것에는 어려움이 있으나 기존의 용도에 더해 도시소공원으로 중복 이용할 수 있도록 관련법규의 조항을 조정하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사유지 중에서 공개공지나 이전적지 등은 건축법의 재정을 통하여 공개공지를 양적으로 충분히 확보하고 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기타 개발사업시 발생하는 소규모 용지의 경우는 관련법제의 개선을 통해 도시개발사업에 따른 공원녹지의 조성을 규정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e demand for smallurban park is graduslly increasing as green a r m s are elatively insufficient to the urbanized areas. Small urban parks are the ones that the citizens can easily experience in their everyday life and play an important role to create amenity in the enviroment. However, it is difficult to provide role parks due to high cost land values. It resulted in the needs for development of potential existing resour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reviewing the possibility of snall urban park development by surveying the potential existing resoures such as vacant city land & recompensated land, open spaces of public facilities and private land, establishing the methods for developing the small urban parks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 In order to develop the small urban park systematically, following three implementary strategies have been suggested. First, it is necessary to amend the legislations including the urban park act, town planning act, architect act, and act ... The urban park act must be amended to including the definition of small urban parks and town planning act must be improved the concerning provision to transfer the part of the public open spaces to rcreational use(small parks). Second.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financisl programs to develop the more small urban parks. 210 ~ 230 billion won are needed to develop the 120 ~ 130 site of public land to small urban parks. Also the locl poverment of Pusan must be expanded the estimates needed tp develop the parks independently by projecting the concerning works such as strret improvement plan, housing improvement plan, landscape improvement plan, and etc.. Futhermore,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the participation of private sector to syccessfully tided over financisl difficulties. Third, iais needed to plan the action programs to execute the park development actually. Undergoing projects concerning the small scal park developmeent must be complemented by reflecing the research result, which include suitsble sites to park development, actusl plans.

      • Co(II)-와 Zn(II)-carboxylate 착물의 합성과 결정구조

        정은주 대구가톨릭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Abstract) Two new cobalt(II) and zinc(II) coordination polymers, {[Co(2,5-pydc) (H2O)2]?H2O}n (1) (2,5-pydc = 2,5-pyridinedicarboxylate) and {[Zn2(salH)4(4,4' -bpe)2][Zn(salH)2(4,4'-bpe)(DMF)(H2O)]․CH3OH}n (salH= salicylate and 4,4'-bpe = trans-1,2-bis(4-pyridyl)ethylene) (2) have been synthesized by hydrothermal and conventional methods, respectively. The compounds were characterized by elemental analysis, infrared spectroscopy, thermogravimetric analysis, and single crystal X-ray diffraction. The crystal structure of 1 consists of Co(II) centers linked via 2,5-pydc ligands and water molecules, in which every 2,5-pydc ligand adopts the coordination form in quadridentate NOOO' mode. The structure is 2-D networks, and neighboring layers are further extended into a 3-D supramolecular architecture through hydrogen-bonding interactions between water molecules and carboxyl oxygen atoms. Compound 2 consists of two independent 1-D linear chains, [Zn2(salH)4(4,4'-bpe)2] and [Zn(salH)2(4,4'-bpe)(DMF)(H2O)], and non- coordinated CH3OH molecule. All Zn centers are octahedrally coordinated by N2O4 system. The 4,4'-bpe ligand bridges Zn(II) atoms to form 1-D chain. The sal ligands show two coordination modes, which act as chelate for [Zn2(salH)4(4,4'-bpe)2] and unidenate for [Zn(salH)2(4,4'-bpe)(DMF)(H2O)], respectively. Two 1-D chain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hydrogen bonding between non-coordinated methanol and coordinated water molecule or salicylate ligand to form 2-D network.

      • 인성관련동화를 활용한 협동활동이 유아의 리더십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정은주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인성관련동화를 활용한 협동 활동이 유아의 리더십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정은주 유아교육과 유아교육전공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본 연구에서는 만5세 유아를 대상으로 인성관련동화를 활용한 협동 활동이 유아의 리더십과 정서지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유아의 리더십과 정서지능을 향상시키는데 협동 활동이 유익하다는 것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인성관련동화를 활용한 협동 활동이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인성관련동화를 활용한 협동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를 위해 만5세 유아 31명으로 실험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의 평균월령을 보면 실험집단은 75.63개월이고 비교집단은 75.40개월이었다. 실험은 인성관련동화를 활용한 협동 활동을 진행한 실험집단과 인성관련 동화를 듣고 누리과정대로 일과가 진행된 비교집단으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연구는 문헌고찰 및 이론적 배경의 기초구성, 인성관련 동화선정 및 계획안 작성, 예비검사 및 예비실험, 검사자 훈련,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 자료 분석 순으로 진행되었다. 유아리더십과 정서지능은 담임교사가 사전과 사후에 평정하여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통계프로그램 SPSS 22.0을 이용하여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실험 처치는 2016년 12월 5일부터 2017년 1월 27일까지 8주간 주 1회를 실시하였다. 실험 집단의 유아는 인성관련동화를 듣고 난 후에 협동 활동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의 유아는 인성관련 동화를 듣고 누리 과정대로 일과가 진행되었다. 총 8차시에 걸쳐 실험처치를 한 후에 인성관련 동화를 활용한 협동 활동이 유아리더십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사후 검사는 2017년 2월 6일부터 2월 8일 까지 진행하였으며 사전검사와 동일한 유아 리더십 검사와 정서지능을 평가하였다. 이때 실험 집단과 비교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통계프로그램 SPSS 22.0을 이용하여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고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인성관련동화를 활용한 협동 활동은 유아의 리더십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이고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인다. 인성관련 동화를 활용한 협동 활동을 진행한 후 실시한 사후검사 결과를 보면 유아리더십의 하위요인 가운데 타인 존중을 제외한 세가지 요인인 도전과 자신감, 자기행동관리, 문제 해결력에서 효과를 미치는 것을 볼 수 있다. 둘째, 인성관련 동화를 활용한 협동 활동은 정서지능을 증진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인다. 인성관련동화를 듣고 누리과정을 진행한 비교집단의 유아에 비해 인성관련동화를 듣고 다양한 협동 활동을 진행한 유아들의 정서가 사후결과에서 정서지능의 하위요인가운데 타인정서인식, 타인정서조절을 제외하고 자기정서인식, 자기정서조절요인을 증진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Chitosan과 천연 항균 소재의 살균소독 및 식품 보존 효과에 관한 연구

        정은주 대구가톨릭대학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식품 제조환경의 위생적 안전성 및 식품의 보존성 증진에 필요한 살균소독제 및 식품 보존제를 개발하기 위해 chitosan 및 천연 항균 소재의 활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1. Chitosan의 항균활성 병원성균 총 15균주에 대한 chitosan의 항균활성은 수용성 chitosan의 경우, S-12, 불용성 chitosan의 경우는 NS-8이 넓은 항균 spectrum을 보였다. 공시균주에 대해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Chitosan의 항균활성은 수용성 chitosan보다 불용성 chitosan이 더 높았다. Chitosan의 MIC는 gram 음성균 보다 gram 양성균에 대해 더 낮았다. 공시균주에 대한 항균력은 NS-8(DA 98.79%, viscosity 17.93 cP)이 가장 높았다. 2. 식품의 chitosan 처리효과 Vibro parahaemolyticus, V. vulnificus에 대한 chitosan의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chitosan 60분 처리 후 V. parahaemolyticus, V. vulnificus는 초기 7.05, 7.11 log CFU/mL에 비해 각각 약 4.5, 4.0 log cycle 감소하여 Vibrio sp.에 대해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생선회의 표면에 chitosan을 처리한 결과, 30분 이후 미생물수는 약 2 log cycle 감소하였다. Chitosan을 첨가한 와사비장에서 Vibrio sp.는 급격히 감소하여, 10분 후 2 log cycle이상 감소하였다. 새싹채소의 chitosan 활용을 검토하기 위하여 새싹 채소를 0.1%, 0.3% chitosan 용액에 1시간 침지 처리한 결과, chitosan 처리구는 총균수와 대장균군수 모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침지 12시간 후의 대조구, acetic acid 처리구와 chitosan 처리구의 총균수는 각각 약 0.6, 0.8, 1.4 log cycle 감소하였으며, chitosan 처리구 침지액의 탁도는 다른 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 관능검사 결과, chitosan 처리구가 색상, 신선도, 종합적 기호도에서 양호하였다. 새싹 채소를 6시간 침지처리 한 후 4℃와 20℃에 저장하는 동안 4℃ 총균수의 경우, 대조구는 유의적으로 증가한 반면, acetic acid 처리구와 chitosan 처리구는 감소하였다. pH는 모든 처리구에서 뚜렷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20℃의 경우, 저장 3일째 대조구는 8.71 log CFU/g인데 비해 chitosan 처리구 5.07 log CFU/g으로 나타나 chitosan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총균수를 나타내었다. 쌀밥의 chitosan 활용을 검토하기 위하여 chitosan을 0.05%, 0.1%, 0.15% 첨가하여 취반한 밥의 관능검사 결과, 맛과 풍미의 경우 0.05% chitosan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색, 조직감, 외관과 종합적 기호도는 대조구가 0.05% chitosan 처리구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Bacillus sp.의 영양세포와 포자에 대한 0.05% chitosan의 항균활성을 검토한 결과, B. cereus의 경우, 배양 24시간째 0.05% chitosan은 영양세포와 포자에 대해 각각 7, 5 log cycle 감소시켰다. 0.05% chitosan을 첨가하여 취반한 쌀밥에 Bacillus sp.의 포자를 인위적으로 접종한 후 미생물 수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대조구는 저장 1일 째, chitosan 처리구는 저장 3일째 107 CFU/g에 도달하여 chitosan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저장 기간이 약 2일정도 연장되었다. 3. Chitosan과 천연 항균 소재의 살균소독 효과 소독표준균주(S. aureus ATCC 6538과 E. coli ATCC 10536)에 대해 0.1% chitosan은 1.03, 0.70 log cycle, 100 ppm 자몽종자추출물은 1.38, 1.87 log cycle, 30% 알코올은 1.76, 4.72 log cycle을 감소시켰으며, chitosan과 알코올의 혼합사용 시 농도에 상관없이 소독표준균주는 약 4 log cycle 감소되었다. 0.1% chitosan, 40% alcohol, 100 ppm 자몽종자추출물의 혼합용액(sanitizer A) 처리에 의해 소독표준균주는 약 5 log cycle 이상 감소되었다. 알코올 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한 0.2% adipic acid는 소독표준균주를 약 2 log cycle 감소시켰으며, 30% alcohol, 100 ppm 자몽종자추출물, 0.2% adipic acid 혼합용액(sanitizer B)에 의해 소독표준균주는 약 5 log cycle 이상 감소되었다. Sanitizer A와 B 용액을 각각 3분 처리 후 소독표준균주는 검출되지 않았다. 칼, 도마, 손에 대한 살균소독제의 소독력을 측정한 결과, 소독제를 처리 후 총균수와 대장균군수 모두 약 3 log cycle 감소하였다. Sanitizer B 80% 농도에서 5분 처리 후 소독표준균주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병원성 및 식품부패 미생물은 30% 농도에서 5분 처리 후 검출되지 않았다. 4. Chitosan과 천연 항균 소재를 이용한 식품 보존제 효과 천연 식물 소재로써 식용이 가능하고, 항균활성이 있는 추출물을 선발하기 위해 광곽향, 구절초, 금전초, 비수리, 속단, 황벽나무, 향유, 계피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공시균주에 대한 추출물의 항균활성은 금전초와 계피가 높았으며, 항균 spectrum의 범위가 넓게 나타나, sanitizer B에서 알코올 대체 소재로 금전초와 계피를 사용하였다. 알코올을 제외한 sanitizer B 용액에 금전초와 계피의 농도를 달리하여 첨가한 후 소독표준균주에 대한 항균 활성을 측정한 결과, 0.1% 이상의 농도에서 5 log cycle 감소하였다. 계피를 이용한 보존제(PⅠ; 0.1% chitosan + 100 ppm grapefruit seed extract + 0.2% adipic acid + 0.1% Cinnamomum)과 금전초를 이용한 보존제(PⅡ; 0.1% chitosan + 100 ppm grapefruit seed extract + 0.2% adipic acid + 0.1% Lysimachia christinae Hance)를 제조하였다. PⅠ과 PⅡ의 식품 보존제로써의 효과를 검토하기 위해 백설기, 햄버거 패티, 쌀밥의 제조 및 저장 효과를 검토하였다. PⅠ과 PⅡ를 각각 0.5%, 1.0%, 1.5%를 첨가하여 제조한 백설기의 관능검사를 측정한 결과, 맛, 풍미와 종합적 기호도에서 0.5% PⅠ 첨가구가 가장 양호하였으며, 색도, 외관과 조직감은 모든 처리구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pH의 경우, 대조구와 0.5% PⅠ 첨가구는 저장 4일 이후 감소하였고, 0.5% PⅡ 첨가구는 뚜렷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총균수와 대장균군수는 보존제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고, 효모와 곰팡이의 경우, 대조구는 저장 2일째, 0.5% PⅠ 첨가구는 4일째, 0.5% PⅡ 첨가구는 6일 이후부터 검출되었다. 수분함량은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대조구와 처리구간의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PⅠ과 PⅡ를 1%, 3%, 5% 첨가하여 제조한 햄버거 패티의 관능검사 결과, 맛과 색의 경우 1% PⅡ 첨가구가 대조구보다 높았고, 종합적 기호도는 1% PⅠ 첨가구, 1% PⅡ 첨가구가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총균수는 저장 10일째 1% PⅠ 첨가구는 104 CFU/g으로 대조구보다 약 1 log cycle 낮았으며, 대장균군수는 저장 10일째 PⅠ 첨가구가 2.28 log CFU/g으로 대조구, PⅡ 첨가구가 대조구보다 낮았다. 가열감량은 PⅠ 첨가구와 PⅡ 첨가구가 대조구보다 낮았고,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보수력은 1% PⅠ 첨가구가 65.84%로 가장 높았으며, 저장기간 동안 대조구보다 높은 값을 유지하였다. 전자 소거능은 대조구, 1% PⅠ 첨가구, 1% PⅡ 첨가구가 각각 13.54%, 21.78%, 14.07%로 첨가구가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 휘발성 염기태 질소는 대조구가 5일째까지, 보존제 첨가구는 10일째까지 가식권의 한계치 이하로 나타났다. L 값은 저장기간 동안 뚜렷한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고, a 값은 저장 5일째 처리구 공히 급격히 낮았으며, b 값은 저장 기간 동안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밥을 취반할 시 첨가한 물의 양에 대해 PⅠ과 PⅡ를 5%, 10%, 15% 첨가하여 취반한 밥의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맛, 색도와 풍미의 경우 5% PⅠ 첨가구가 다른 첨가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종합적 기호도는 5% PⅠ 첨가구와 5% PⅡ 첨가구가 대조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5% PⅠ과 5% PⅡ를 첨가하여 취반한 후 인위적으로 B. subtilis를 오염시킨 쌀밥의 경우, 저장 1일 째 대조구, PⅠ 첨가구와 PⅡ 첨가구는 각각 6.42, 5.16, 5.24 log CFU/g으로 PⅠ 첨가구와 PⅡ 첨가구가 대조구보다 약 1 log cycle 정도 억제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색도의 경우, L 값과 a 값은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감소하였고, b 값은 모든 첨가구에서 증가하였다. 5% PⅠ과 PⅡ를 첨가하여 취반한 쌀밥을 이용하여 제조한 충무 김밥은 25℃에서 저장한 경우, 저장 9시간째 총균수는 대조구, PⅠ 첨가구와 PⅡ 첨가구는 각각 7.06, 5.59, 5.65 log CFU/g으로 나타났다. 충무 김밥의 대장균군수는 저장 12시간 이후 대조구, PⅠ 첨가구와 PⅡ 첨가구는 각각 3.31, 0.95, 1.21로 나타나 PⅠ 첨가구와 PⅡ 첨가구가 대조구보다 5 ~ 6 시간정도 저장기간이 연장되었다. 충무 김밥의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맛, 색과 풍미의 경우, PⅠ 첨가구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첨가구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 종합적 기호도는 대조구, PⅠ 첨가구와 PⅡ 첨가구는 3.28, 3.69, 3.38로 PⅠ 첨가구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This studies were carried out to develop alternative food sanitizer and preservative, the chitosan. Chitosan, alcohol and natural resources were tested on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for various foods. Antibacterial activity of twelve water-soluble chitosan and eight acid-soluble chitosan against fifteen different bacteria was assayed. In the water-soluble chitosan of S-12 and acid-soluble chitosan of NS-8 showed a wide spectrum of antimicrobial activities and showed the highest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fifteen strains of pathogen. Chitosan antimicrobial activity of water-soluble chitosan was higher than the acid-soluble chitosan.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MIC) of acid-soluble chitosans were much lower than those of water-soluble chitosans. Among the tested twenty different kinds of chitosans, the chitosan NS-8 (DA 98.79%, viscosity 17.93 cP) showed the strongest antimicrobial activity for microorganisms tested in this study. After 60 minutes of chitosan treatment, the growth of V. parahaemolyticus and V. vulnificus were inhibited approximately 4.5 and 4.0 log cycle, respectively. When the chitosan(NS-8) solution was applied to the surface of raw fish meat and the soybean sauce-horseradish, artificially inoculated Vibrio sp.(104 CFU/mL) of the surface of raw fish meat and the soybean sauce-horseradish treated chitosan was decreased 2 log cycle after 30 minutes and 10 minutes, respectively. The sprouts dipped in the solution of 0.1% and 0.3% chitosan for 1 hour, chitosan-treated group showed significantly decreased both the count of total bacteria and coliform bacteria. After 12 hours of dipping in the solution, total bacteria of control, acetic acid-treated group and chitosan-treated group decreased about 0.6, 0.8, 1.4 log cycle, respectively. The turbidity of chitosan-treated group immersion solution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other groups. There are not any significant changes in sensory quality such as color, freshness, overall acceptability of sprouts after dipping to chitosan solution. Sprouts immersed in chitosan solution for 6 hour were storage at 4 and 20℃. The quality changes of immersed sprouts were investigated. pH in all treatments did not show significantly changes. The number of viable cell of control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storage at 4℃, whereas sprout with acetic acid-treated and chitosan-treated were decreased. The number of viable cell of sprouts with treated chitosan(5.07 log CFU/g) was lower than that of control(8.71 log CFU/g) after 3 days storage at 20℃. Sensory quality of cooked rice added with 0.05%, 0.1% and 0.15% chitosan solution was investigated. Taste and flavor of cooked rice with 0.05% chitosan solution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Color, texture, apparence and overall acceptability of control ware higher than that of 0.05% chitosan solution, but there are not any significant changes.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0.05% chitosan investigated against vegetable cell and spore of Bacillus sp. The count of vegetable cell and spore of B. cereus in the TSB added 0.05% chitosan solution were reduced 7 and 5 log cycle reduction for 24 hour at 37℃, respectively. To examine the effect of chitosan(0.05%) on viable cell of the cooked rice inoculated with Bacillus sp. spore. The viable cell of control and 0.05% chiotsan-treated group were reached 107 CFU/g during storage 1 and 3 days, respectively. The storage of 0.05% chitosan-treated group was extended about 2 days than control group. Using a mixture of chitosan(0.05% or 0.1%) and ethyl alcohol(30% or 40% or 50%), the disinfection standard strains were decreased approximately 4 log cycle.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mixture solution(sanitizer A) consisted with 0.1% chitosan, 40% ethyl alcohol and 100 ppm of the extract of grapefruit seed was decreased more than approximately 5 log cycle against disinfection standard strains. Sanitizer B including 30% ethyl alcohol, 100 ppm extract of grapefruit seed and 0.2% adipic acid was decreased more than 5 log cycle against disinfection standard strains. The disinfection standard strains were not detected after treatment of sanitizer A and B for 3 minutes, respectively. To investigated of the effects of sanitizer A and B, sanitizer A and B were treated on the knife, cutting board and hands. After treatment of sanitizer A and B, the count of total bacteria and coliform bacteria on the knife, cutting board and hands were decreased approximately 3 log cycle. The disinfection standard strains were not detected after 5 minutes of 80% concentration of sanitizer B. The pathogen and putrefactive microorganisms were not detected after 5 minutes of 30% concentration of the sanitizer B. To investigate the alternative materials of ethyl alcohol in the sanitize B, the extracts from various plant such as Pogostermon cablin, Bentham, Chrysanthemum zawadskii, Lysimachia christinae Hance, Lespdeza cuneata G. Don, Phlomis umbrosa Turcz, Phellodendron amurense Ruprecht, Elshotzia ciliate Hylander, Cinnamomum zeylanicum were examined antimicrobial activity. As a result, the extracts form Cinnamomum zeylanicum and Lysimachia christinae Hance were selected due to their significant antimicrobial activity and wide spectrum of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the tested bacteria. On the basis of the components of sanitizer B, preservative Ⅰ and Ⅱ included the extracts from Cinnamomum zeylanicum and Lysimachia christinae Hance instead of ethyl alcohol, respectively. Sanitizer B added above 0.1% concentration of Lysimachia christinae Hance or Cinnamomum zeylanicum were decreased 5 log cycle against disinfection standard strains. Preservative with Cinnamomum zeylanicum(PⅠ; 0.1% chitosan + 100 ppm grapefruit seed extract + 0.2% adipic acid + 0.1% Cinnamomum) and Preservative with Lysimachia christinae Hance(PⅡ; 0.1% chitosan + 100 ppm grapefruit seed extract + 0.2% adipic acid + 0.1% Lysimachia christinae Hance) were prepared. Effect of preservative Ⅰ and preservative Ⅱ on shelf life of paeksulgi, patty, cooked rice were investigated. Sensory evaluation of paeksulgi added to 0.5%, 1.0%, 1.5% concentration of PⅠ and PⅡ were investigated. Taste, Flavor and overall acceptability of 0.5% PⅠ group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group. Color, apparence and texture of all treated group were not any significant difference. pH of control and 0.5% PⅠ treated group were decreased after 4 days. pH of 0.5% PⅡ treated group was not any significant changes. Preservative Ⅰ and preservative Ⅱ treated group could lower the growth of total bacteria and coliform bacteria. The growth of yeast and mold of control, 0.5% preservative Ⅰ and preservative Ⅱ were begun after 2, 4 and 6 days, respectively. Moisture contents decreased during storage paeksulgi, was not any significant changes. Sensory evaluation of patty added to 1%, 3%, 5% concentration of PⅠ and PⅡ were investigated. Taste and color of 1% PⅡ treated group were higher than that of control. Overall accepatbiliy of 1% PⅠ and 1% PⅡ treated group were higher than that of control. The growth of total bacteria of 1% PⅠ treated group was lower about 1 log cycle than that of control. The growth of coliform bacteria of PⅠ treated group showed 2.28 log CFU/g during storage for 10 days. The growth of coliform bacteria of PⅠ treated group was lower than that of control. Cooking loss of PⅠ and PⅡ treated groups were lower than that of control. Water holding capacity of 1% PⅠ treated group was 65.84%, it was maintained higher than control over the storage period. DPPH radical scavenging of control, 1% PⅠ, 1% PⅡ treated group were 13.54%, 21.78%, 14.07%, respectively. Sensory evaluation of cooked rice added to 5%, 10%, 15% concentration of PⅠ and PⅡ were investigated. Taste, color and flavor of PⅠ and PⅡ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Overall acceptability of 5% PⅠ and 5% PⅡ treated group were higher than that of control. The viable cell number of control, PⅠ and PⅡ treated group were 6.42, 5.16, 5.24 log CFU/g during storage one day, respectively. To examine the effect of chitosan on viable cell number of the cooked rice inoculated with Bacillus sp. spore, chitosan was added at 0.05% concentration. The viable cell number of control and chiotsan-treated group were reached 107 CFU/g during storage 1 and 3 days, respectively. The viable cell number of kimbab with cooked rice treated by control, 5% preservative Ⅰ and 5% preservative Ⅱ were 7.06, 5.59, 5.65 log CFU/g during storage 9 hours at 25℃. The coliform bacteria of kimbab with cooked rice treated by control, 5% preservative Ⅰ and 5% preservative Ⅱ were 3.31, 0.95, 1.21 log CFU/g during storage 12 hours at 25℃. The cooked kimbab with cooked rice treated by preservative Ⅰ and preservative Ⅱ was also improved its preservability for approximately 5 ~ 6 hours. Sensory evaluation of kimbab with cooked rice added to 5% PⅠ and 5% PⅡ were investigated. Taste, color and flavor were PⅠ treated group showed the highest value. Overall acceptability of control, 5% PⅠ and 5% PⅡ treated group were 3.28, 3.69, 3.38, respectively. Overall acceptability of PⅠ treated group was the highest value.

      • 메타분석을 통한 역기능 가정이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은주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on related factors of how dysfunctional families have influences on their children by utilizing a meta-analysis. It is also meant to suggest a basic framework for the further study on this subject. The proposed research issues to achieve this objective are as follows; First of all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papers on the influence of dysfunctional families on their children ? Second, what is the intensity of the impact of dysfunctional families on their children? Research datawere collected from the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This study searched for Master's and Doctoral Dissertations by a ' dysfunctionalfamily' , ' problematic family' as a keyword.A 60-effect size was extracted from these 25 selected papers by utilizing the Microsoft Excel201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25 selected papersare classified by year, types of dysfunctional families, and the impact of the dysfunctional families on their children. Communication problems appear most frequently. It is also found that some influences are shared among dysfunctional families in different types. The impact of dysfunctional families on children is largely classified into cognitive, emotional and functional aspects.Children are most significantly affected byCognitive aspects. Moreover, there can be various problems as well. Secondly, the impact of dysfunctional families on children yielded 60 effect sizes, 29 positive effect sizeand 31 negative effect size. In terms of the classification above, 34 effect sizeby cognitive aspect, 14effect sizeby emotional aspect, and 12effect sizeby functional aspect were produced respectively. Children in dysfunctional families greatly suffer from a sense of inferiority(ES=1.48)followed by stress(ES=1.234, 1.218) and social adaptation(ES=-1.094). In terms of effect intensity presented by Cohen, 60 possible effects exhibit more than medium-sized effectsexcept for one category. As a result, children in dysfunctional families feel an inferiority complex and are vulnerable to stress. They also go through various problems including social adaptation difficulty, self-efficacy, helplessness, self-deprecation, depression as well as delinquent behaviors. In this study, I hope to identify a variety of problems about dysfunctional families’ influence on their children and help them resolve various issues caused by these conditions.

      • 무용예술 단체의 경영 실태조사 연구

        정은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무용예술단체의 경영에 있어 소득 증대와 함께 그 동안 관객이 꾸준히 늘어왔음에도 불구하고 수익을 내지 못하고 지속되는 재정 부족에 따라 다양한 기획공연을 갖지 못하는 구조적 모순을 밝히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발전적 대안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무용단체 종사자를 대상으로 경영관리 측면에서 경영환경 요인, 마케팅 요인, 무용계 내부적 요인에 대한 경영 수준과 실태를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그 대안을 모색해 보았다. 그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이 요약되어 질 수 있다. 첫째, 무용단체의 경영환경 분석에서 현재 무용단체들의 경영상태는 전반적으로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국무용과 발레의 경우 현대무용에 비하여 경영상태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스폰서의 지원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합리적으로 운영되지 못한 것으로부터 기인한 것으로 보여진다. 둘째, 무용단체의 마케팅 요인에 대한 분석 결과, 상품측면에서는 "관객기준에 맞는 주제 및 소재 발굴개발의 적절성"과 "대본의 적절성"에서 부적절한 측면이 현저한 것으로 나타났고, 가격측면에서는 "티켓가격의 적절성"과 "무료티켓 발행의 적절성"이 부적절한 것으로 분석되어졌다. 셋째, 무용단체 경영의 개선 필요성 여부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필요하다는 응답이 불필요하다는 응답보다 높아 무용단체 경영 발전을 위한 개선이 필요함을 모두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무용단체의 경영실태에 대한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국내 무용단체들의 경영실태는 매우 열악한 상태이며 이러한 열악한 경영상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상품, 가격, 유통, 촉진측면에서 보다 적극적인 타개책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관객기준에 맞는 주제/소재를 개발하여 대본을 작성하고, 티켓가격을 보다 다양한 방법으로 개선하여 많은 고객이 참여하는 다변화 마케팅으로의 전환이 요구된다. 작품 또한 마당놀이 등과 같이 대중적이며 기획성있는 작품을 보다 많이 올려 경영수익성을 높여야 하며, 이와 함께 다양한 고객수준에 따른 차별적인 우수고객 할인제도의 도입도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공연장 섭외에서도 관객의 접근성을 고려한 공연장 섭외와 무용공연의 성공을 위한 보다 쉽게 접할 수 있는 홍보전략도 요구된다. 이와 함께 무용공연단체의 경영환경 극복을 위해 정부의 정책적/제도적 지원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structural contradiction in the management of dance arts corps of our country that various planned performances has not been conducted due to financial difficulty without making profits although audience has increased steadily accompanied by the increase in income and try to find measures for development to overcome this condition. For this,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termine the level of management and actual conditions of respective factors of managemental environment and marketing and internal factors of the dance world in the aspect of management among employees in dance corps, and based upon it, to try to find countermeasures for it. A summary of the results follows: First, from the analysis on the management environment of corps of dancers, the current managemental conditions of them showed not good as a whole, especially Korean dance and ballet compared with modern dance. This was because sponsors did not support them actively and they were not operated reasonably. Second, in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marketing factors of the corps, "appropriateness of the creativeness and development of subjects and subject matters to meet the standard of audience" and "suitability of a script" appeared inadequate remarkably in terms of goods, while "appropriateness of the price of tickets" and "that of the issue of free tickets" were not well in the aspect of price. Third, when respondents were asked whether the management of the corps needs to be improved, overall the respondence that it was necessary was higher than it was unnecessary. Thus it was shown that most of them perceived that their management was required to be improved. To put these results of studying the real conditions of corps of dancers together, what is suggested that their conditions are very poor and to overcome these states it is more necessary to make positive countermeasures in terms of goods, price, distribution, and promotion. For this, it is necessary to change into diversified marketing as scripts may be made out through developing subjects and subject matters corresponding to the level of audience, and lots of customers can participate in this by the improvement of the ticket price in more various ways. In even works, management profitability should be higher by producing many works on stages such as Madangnori―singing and dancing, that is, this performance is similar to the western-style musical―which is popular and planned, and at the same time the introduction of the discount system for good customers differentiated by the level of various customers should be implemented. Also, the advertising strategy of the negotiation of the place of performance in order to negotiate considering the accessibility of audience and succeed dance performances more easily is needed. Besides, the government's political and institutional supports should be made to deal successfully with the management environment of performance corps of danc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