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의사소통의 문제를 지닌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한 스크립트 언어중재 연구의 메타분석

        정선태 창원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compared many domestic studies on scripting language teaching which were performed since 1991. The goal is providing directions for subsequent studies through understanding research trends so far. To reach the goal, comparative analyses of intervention traits were performed. Also, there was an attempt to compare some differences between the effects according to the chronological age, language development age and the types of dependent variable by using the scale 'Percentage of Non-overlapping Data(PND)'. As a result, firstly, there were studies on improving communication the most. Also, most of them indicated the results that showed high mediation effects and were researches of people that targe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infants. Also there were studies on intellectual disability and autism with communication problems the most. Most of them were performed at special schools and daytime protection room such as child center etc. Therefore, other studies will be needed what are conducted at familiar places like home or inclusive class and conducted by many other intercessor such as parents and peers. Secondly, In case of measuring instrument features of dependent variables, most of them were the studies that use observation and self-production instrument. on the other hands there was only one study which use standardized instrument. So, other studies will be needed what use standardized instrument more. For the language impairment, there were better effects when people had one or three-year-old language development age. In addition, there were studies which had short periods, times and terms of experiment. most of them also refer to that they have limits which haven't enough mediation periods. Thus, It should be needed to do various and long-term periods experiment for the more objective results.

      • 호텔 경영 형태별 브랜드 자산 구성요소의 인과관계 비교 : 브랜드개성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정선태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호텔 경영 형태별 브랜드 자산 구성요소의 인과관계 비교 - 브랜드개성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 자산의 개별 구성요소의 전체적인 파악과 이를 통해 브랜드 자산의 관리와 강화 방법을 제공하고 브랜드 자산 구성요소의 인과관계를 규명, 확인함으로써 다양하고 의미 있는 브랜드관련 마케팅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즉, 브랜드 자산의 구성 요소인 브랜드 인지, 브랜드 연상, 브랜드 이미지, 지각된 품질, 브랜드 개성, 충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호텔 경영 형태에 따른 독립 경영 호텔과 체인 경영 호텔을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브랜드 자산의 구성요소 중 브랜드 개성(진실성, 흥미성, 유능함, 세련됨, 강인함)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연구에 임하였다. 연구는 선행연구의 검토와 이를 통해 도출된 변수를 바탕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를 실증분석 하였다. 실증분석에 사용된 통계기법은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요인분석, 구조모형을 바탕으로 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의 수행을 위하여 SPSS 15.0과 AMOS 7.0을 이용하였다. 표본 집단은 서울시내 특1급 호텔 이용고객 540명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들 두 집단을 가지고 연구모형을 제시하여 구조모형을 바탕으로 하는 경로분석(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수행하여 두 집단 간의 시사점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호텔 경영 형태에 따른 독립 경영 호텔과 체인 경영 호텔 브랜드 인지가 브랜드 개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결과, 독립 경영 호텔, 체인 경영 호텔이 브랜드 개성 5개 요인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거의 비용이 수반되지 않거나 적은 비용으로 노출을 보다 많이 진행하는 것이 호텔에 유리하며 이를 위해서 매스컴, TV, 영화 등의 미디어에 장소의 제공을 통한 노출을 기회 확보와 VIP 고객의 유치를 통한 노출, 대규모 행사의 유치를 통한 기사화 및 사회봉사를 통한 언론매체의 홍보 기사를 통해 다양한 방법의 적용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호텔 경영 측 에서는 호텔 브랜드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타 호텔과의 차별적인 브랜드 자산을 형성하는데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호텔 경영 형태에 따른 독립 경영 호텔과 체인 경영 호텔의 브랜드 연상이 브랜드 개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결과, 독립 경영 호텔의 경우, 브랜드 개성의 ‘진실성’, ‘유능함’ 요인이 브랜드 연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독립 경영 호텔의 경우, 고객에게 ‘흥미성’을 줄 수 있는 이벤트 행사 및 젊은 고객을 대상으로 한 콘서트 등을 다양화하여 브랜드 연상을 높여나가야 될 것이다. 체인 호텔 경영의 경우, 브랜드 개성 요인 중 ‘흥미성’이 브랜드 연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독립 경영 호텔의 경우, 브랜드 연상이 ‘진실성’, ‘유능함’의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고 해석될 수 있고, 체인 경영 호텔의 경우, 브랜드 연상이 ‘흥미성’에 가장 큰 영향의 요인이라 해석될 수 있다. 체인 경영 호텔은 가족 중심적인 행사를 다양화하여 ‘진실성’을 높일 것으로 판단된다. 호텔 경영 형태에 따른 독립 경영 호텔과 체인 경영 호텔의 브랜드 이미지가 브랜드개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결과, 독립 경영 호텔의 경우 ‘흥미성’, ‘유능함’, ‘세련됨’, ‘강인함’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체인 경영 호텔 모두가 브랜드 개성 요인 ‘진실성’, ‘흥미성’, ‘유능함’, ‘세련됨’, ‘강인함’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독립 경영 호텔의 경우 가족행사를 활성화 하여 ‘진실성’을 높여야 할 것이다. 이는 고객의 마음속에 호의적이고 강력하면서 독특한 이미지를 심을 때 비로서 강력한 브랜드 자산이 형성된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호텔기업의 마케터들은 자사의 이미지에 대한 포지셔닝이 중요하다는 점을 인식하고, 고객의 특성을 면밀히 파악하여 고객의 니즈(needs)를 사전에 충족해 줄 수 있는 서비스 제공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고객에 대한 개인적인 정보를 DB화하여 적절한 시점에 적절한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맞춤 서비스 실현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호텔 경영 형태에 따른 독립 경영 호텔과 체인 경영 호텔의 지각된 품질이 브랜드 개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결과, 독립 경영 호텔과 체인 경영 호텔 모두가 ‘진실성’, ‘흥미성’, ‘유능함’, ‘세련됨’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 경영 호텔과 체인 경영 호텔 모두 연예인 결혼식, 가족모임, 명품행사, 국제행사 등을 강화하여 가치를 높여 ‘진실성’, ‘흥미성’, ‘유능함’, ‘세련됨’ 요인을 키워가야 할 것으로 판단 된다 . 호텔 경영 형태에 따른 독립 경영 호텔과 체인 경영 호텔의 브랜드 개성이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결과, 독립 경영 호텔의 브랜드 개성 요인 중 ‘진실성’, ‘유능함’, ‘세련됨’ 요인이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인 경영 호텔의 브랜드 개성이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은 ‘진실성’, ‘흥미성’, ‘유능함’, ‘세련됨’요인이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호텔 상품의 전반적인 우수성에 대한 고객의 판단이 높을수록 충성도가 높다고 판단되며, 고객의 호텔 이용에 대한 좋은 감정의 유지와 고객의 기대 충족을 강조하는 것이 호텔기업의 브랜드 자산의 강화에 중요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호텔기업이 브랜드의 강화를 위해서 가장 필요한 것은 고객에게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하여 고객의 만족을 최우선으로 하는 호텔 본연의 자세에 충실해야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결과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겠다. 또한 충성도의 강화를 통하여 호텔 상품의 안정적 판매와 미래 판매 예측을 할 수 있을 뿐만이 아니라 고객의 충성도가 호텔 기업의 브랜드를 강화하는 방법으로 중요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한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설문 대상은 서울 소재 14개 특1급 호텔 이용고객을 대상으로 하여 이 표본이 서울지역의 일부호텔이라는 점에서 우리나라 전체 호텔이용고객에 대한 결과가 아닌 일부 특1급 호텔 이용고객들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호텔 경영 형태별 브랜드 자산 구성요소의 인과관계 비교를 대표한다고 할 수 없다는 것이다. 둘째, 호텔 경영 형태별 설문지 배포수가 독립 경영 호텔이 상대적으로 적어 신빙성 있는 비교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셋째, 호텔 경영 형태에 따라 체인 경영 호텔과 독립 경영 호텔로 구분하였으나, 다른 형태의 분류도 필요할 것으로 본다. 넷째, 설문 문항 중 브랜드 개성 요인에 대한 문항수가 적어서 보다 타당한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의 한계에 따른 향후 연구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호텔의 주 이용객인 외국인 이용객을 대상으로 한 연구도 의미 있는 연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다양한 호텔의 특성 중 호텔 등급이나 호텔 경영 형태에 따라 적용이 가능한 호텔 브랜드 자산의 강화 방법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ITSM의 성공적 도입을 위한 경쟁력 강화 방안 연구

        정선태 경남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Ever since ITSM began to attract public attention across the country in 2003 since its introduction in 2000, it has been expanded to the point of creating a trend adopted by numerous businesses in no longer than 4 - 5 years of introduction. Many of the existing studies maintain that for information technology to be properly established and expanded in an organization it is important for information technology to be incorporated into day-to-day living and internalized to a high level and that once in-house information technology has positively been utilized through its incorporation into day-to-day living and internalization, effects of performance of the organization being improved as well as enhanced individual performance and productivity are supposed to result. In order to realize actual successful results such as enhancing the level of customer service and curtailing costs of providing services through ITSM, it is not enough simply to define IT operational processes and introduce supportive solutions, but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a corporate culture where businesses work for the customer. That is, in order to realize genuine effects through ITSM, it is not enough simply to introduce ITSM but it is necessary to incorporate it into the corporate culture. For ITSM to be rooted into the corporate culture, continuous and effective management of changes should follow. This paper analyzes various factors for successful introduction and incorporation of ITSM into the corporate culture, and explores validity and specific measures applicable to the incorporation of ITSM, and comes up with directions in which their applications to move. Factors leading to successful introduction of ITSM on a comprehensive level include 8 points that follow: First, the top management's attention and support, firm willpower to change, and strong leadership are essential. Without a vivid vision with which to realize ITSM, strong support by, and leadership of, the top management, successful introduction of ITSM is not likely to result. Second, the project team should be made up of elite staff members. The TFT team on the jobsite should be well aware of cooperative departments and their duties, design and develop first hand the information system, and play the role of improving operations and systems of his or her own field, and inducing cooperation from the jobsite. Third, the willpower to attain the goal develops when the goal has been clearly defined. In ITSM as well goals are defined at the very initial stage of analyzing. Goals that have been established and implemented quantitatively are more effective. Profit goals such as cost curtailment, productivity enhancement, service quality improvement should be digitized and implemented consistently. Fourth, job processes should be redesigned. The most important reason for introducing ITSM is innovating corporate jobs and organization through the realization of advanced processes inherent in the ITSM package, thereby enhancing corporate competitiveness. Job processes should be revised and altered as requested by ITSM. Fifth, customizing should be minimized. The customizing range growing wider is no other than give up on the opportunity of drastically improving their processes according to their best practice. Sixth, the project should be thoroughly prepared, planned and implemented since numerous portions such as understanding of BPR and ITSM functions for changes in job processes through systematic implementation of projects, definition of new process operations, data preparation, development of additional systems, redefinition of the organization and job duties, change management, and introduction and management of new information technology are going on simultaneously. Seventh, participation by users who use the system first hand should be induced through user educational programs, so that they accept the system without hesitation and introduce more effective systems. Eighth, it is most important to select the right package and consultant appropriate for the company, by taking into account the corporate culture, management style or the processes they are going to improve and so forth. 2000년부터 도입되어 2003년 정도 국내에서 관심을 보이기 시작 후 ITSM은 불과 4~5년 만에 수많은 기업에서 도입하는 하나의 트렌드로 널리 확대 되어 나갔다. 기존 많은 연구들에서 정보기술이 조직에 제대로 정착되고 확산되기 위해 정보기술에 대한 일상화와 내재화가 높은 수준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하고, 일상화와 내재화를 통해 조직 내 정보기술이 적극적으로 활용되면 개인성과와 생산성 향상은 물론 조직의 성과가 개선되는 효과도 발생된다. ITSM을 통해서 고객에 대한 서비스 수준을 제고하고, 서비스 제공 비용을 절감하는 등의 실질적인 성과를 얻기 위해서는 IT 업무 프로세스를 정의하고, 지원하는 솔루션만 도입하면 끝나는 일이 아니라, 고객을 위해 일하는 기업문화로 정착시키는 것이 필수적이다. 즉, ITSM을 통해서 진정한 효과를 실현하기 위해서 ITSM 체계를 단순히 도입한다고 해결될 일이 아니라 조직의 문화로 정착시키는 일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화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지속적이고 효과적인 변화 관리가 반드시 수반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ITSM의 성공적인 도입과 정착을 위한 여러 요인들을 분석하여, ITSM의 정착에 활용할 수 있는 타당성과 구체적인 적용 방안을 모색해 봄으로써, 실천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ITSM을 포괄적인 차원에서 도입 성공 요인으로 다음 8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최고 경영자의 관심과 지원, 그리고 변화에 대한 강한 의지, 강력한 리더십이 필요하다. 대기업, 중소기업을 막론하고 최고 경영자의 ITSM 구현에 대한 확실한 비전과 지원 그리고 강력한 리더십이 없다면 ITSM 도입에 성공할 수 없다. 둘째, 엘리트 사원으로 프로젝트 팀을 구성한다. 현업 TFT팀은 협업 부서와 업무를 가장 잘 알고 있는 인력으로 직접 정보 시스템을 입안하고 설계하고 개발하는 일과 자기 분야의 업무 개선과 시스템 개량, 현업의 협조를 이끌어 내는 역할을 한다. 셋째, 목표를 명확하게 설정해야 목표 달성을 위한 의지가 생긴다. ITSM 프로젝트 역시 프로젝트 초기인 분석 단계에서 목표를 수립하게 된다. 목표 수립은 정량적으로 설정, 추진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비용절감, 생산성 향상, 서비스 품질 개선 등 이익 목표를 수치화 하여 일관되게 추진한다. 넷째, 업무 프로세스를 재설계한다. ITSM을 도입하는 이유 중 가장 큰 이유는 ITSM 패키지가 가지고 있는 선진 프로세스 구현을 통해 기업의 업무 및 조직을 혁신하여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 시키는 것이다. ITSM 패키지가 요구하는 되로 업무 프로세스를 수정, 변경해야 한다. 다섯째, 커스터마이징의 최소화이다. 커스터마이징의 범위가 클수록 자신들의 프로세스를 베스트프랙티스에 따라 획기적으로 개선할 기회를 포기하는 것과 같다. 여섯째, 체계적인 프로젝트 진행으로 업무 프로세스의 변경을 위한 BPR, ITSM 기능 이해, 신규 프로세스의 수행 방법 정의, 데이터 준비, 추가 시스템 개발, 조직 및 업무의 재정의, 변화관리, 새로운 정보기술의 도입 및 활용 등 많은 부분들이 동시에 진행 되므로 철저한 준비 및 계획 아래 프로젝트를 추진해야 한다. 일곱째, 사용자 참여와 교육으로 시스템을 직접 사용하는 사용자의 참여를 유도하여 거부감 없이 시스템을 받아들일 수 있게 하며, 보다 효과적인 시스템을 도입 할 수 있다. 여덟째, 적절한 패키지와 컨설턴트 선정으로 기업 문화나 경영방식, 개선하고자 하는 프로세스 등을 고려하여 기업에 맞는 적절한 패키지를 고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 쇼핑가치측정모형의 개발과 쇼핑가치가 고객만족과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백화점 쇼핑을 중심으로

        정선태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31

        Customer value creation is widely discussed in the practitioner literature and is often a part of organizations' mission statements and objectives. It is seen by many commentators as the key to long-term success, with Albert arguing that "the only thing that matters in the new world of quality is delivering customer value." Despite this emphasis, little research has addressed the value construct itself and there is on well-accepted value measure, even in the retail environment in which customers evaluate products before purchase. The component of shopping value has been identifi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measures for gaining competitive edge, and has been argued to be the most important indicator of repurchase intentions, Thus, the measurement of shopping value may have far reaching implications for the department store fields. While recent multidimensional scales have been created for measuring the shopping value of tangible products, a multi-dimensional scale for the measurement of shopping value of intangible services does not exist, Thus,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develop a multi-dimensional scale for the measurement of shopping value of service. Shopping value was a prior conceptualized as a multi-dimensional construct, including the dimensions of product quality, service quality, hedonic benefit, monetary cost, non-monetary cost. Quality was defined as a consumer's judgment about a product or service's overall excellence or superiority. hedonic benefit was defined as a descriptive judgment regarding the pleasure that a product or service give the purchaser. Monetary cost was the cost of a service as encoded by the consumer. Non-monetary cost was defined as the cost of obtaining a service, which included the time and effort, used to search for the service. Specific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heoretically develop the concept of customer value, customer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to test a theoretical framework that attempts to explain how the shopping value and strength of market competition influence customer satisfaction and purchase behavior. The proposed model was tested for the department store service industry using SPSS 15.0 version and AMOS(Analysis of Moment Structure) 7.0. Finding from testing the theoretical model support all a priori hypotheses. They provide the evidence that: H1: The shopping value is positive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H1-1: The product quality is positive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1-2: The service quality is positive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H1-3: The hedonic benefit is positive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H1-4: The monetary cost is negative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H1-5: The non-monetary cost is negative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H2: The customer satisfaction is positive effect on repurchase intentions. H3: The repurchase intentions is positive effect on purchase behavior. H3-1: The repurchase intentions is positive effect on purchase frequency. H3-2: The repurchase intentions is positive effect on amount of purchase money. The finding that shopping value was an important contributor to customer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has two important implications. Department store service managers, shopping value needs to be considered in conjunction with quality, hedonic benefit, non-monetary cost, monetary cost when designing and delivering the service offering. For researcher, shopping value should be incorporated into models designed to understand the determinants of customer satisfaction and response. 본 연구의 첫 번째 목적은 백화점 고객들이 쇼핑과정에서 추구하는 가치를 다양한 방법으로 측정하여 고객만족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갖는 쇼핑가치측정모형을 찾아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사회과학과 마케팅에서 이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가치에 대한 의미를 정리하였고 이를 근거로 쇼핑가치측정모형들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쇼핑가치를 주관적 총 편익에서 주관적 총 비용을 차감한 것으로 정의를 내리고(Zeithaml 1988), 조작적 과정에서 편익부분에 실용적 편익과 쾌락적 편익을 반영한 항목들이 포함되었다. 비용부분에서는 금전적 비용과 쇼핑과정에서 고객이 느끼는 다양한 위생요인들을 반영하였다. 쇼핑가치를 측정하는 방법에는 주관적 총 편익에서 주관적 총 비용을 차감한 것으로 정의한 ΣBi - ΣCi(value 1) 모형 외에도 차원별 항목수가 다름에 따라 차이가 날 것을 고려하여 편익차원 평균의 총합에서 비용차원 평균의 총합을 차감한 ΣABj - ΣACj(value 2) 모형, 차감식으로 계산하되 각 항목별로 중요도를 반영한 가중치 쇼핑가치측정법으로 ΣBi×Wi - ΣCi×Wi(value 3) 모형, ΣABj×Wj - ΣACj×Wj(value 4) 모형, 비율식 쇼핑가치 측정법으로는 비용차원의 총합점수에 대한 편익차원의 총합점수를 비율화한 ΣBi/ΣCi(value 5) 모형, 차원별 항목수가 다름에 따라 차이가 날 것을 감안하여 비용차원 평균의 총합점수에 대한 편익차원 평균의 총합점수를 비율로 계산한 ΣABj/ΣACj(value 6) 모형, 비율식으로 계산하되 각 항목별로 중요도를 반영한 가중치 쇼핑가치측정법으로 ΣBi×Wi/ΣCi×Wi(value 7) 모형, ΣABj×Wj/ΣACj×Wj(value 8) 모형 그리고 마지막으로 ‘가격이 비싸더라도 제품 품질과 서비스를 고려하면 구입할 만하다’라는 단일항목을 이용하여 쇼핑가치를 측정(value 9)한 모형 이상 총 9가지 모형으로 쇼핑가치를 측정하여 보았다. 본 연구의 두 번째 목적은 첫 번째 연구과제에서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가진 것으로 밝혀진 ΣBi - ΣCi(value 1) 쇼핑가치측정모형이 고객만족, 재방문의도 및 실제 구매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또한 쇼핑가치의 하위가치인 각 차원이 고객만족과 어떠한 상관관계를 갖는지를 밝힐 것이다. 이러한 실증분석을 실시하기 위하여 서울 강남지역에 거주하는 20~50대 여성고객들을 조사대상으로 온라인상에서 설문을 통한 실증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쇼핑가치 측정변수들의 유의성을 검정하기 위해 확인적요인분석을 통해 타당성을 검토하고 Cronbach’s α를 이용하여 신뢰성을 확인한 결과 모형에 반영된 측정변수들이 쇼핑가치를 의미있게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존 연구들에서 제시된 쇼핑가치와 고객만족 간의 긍정적인 관계를 확인한 결과 다항목으로 측정한 후 총 편익에서 총 비용을 차감하여 계산한 ΣBi - ΣCi(value 1) 모형이 고객만족에 가장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유의하게 높은 상관관계를 갖는 모형은 차원별 항목수가 다름에 따라 차이가 날 것을 고려하여 편익차원 평균의 총합에서 비용차원 평균의 총합을 차감한 ΣABj - ΣACj(value 2) 모형으로 나타났다. 중요도를 반영한 가중치 쇼핑가치측정모형의 유의성은 중요도를 반영하지 않은 쇼핑가치측정모형의 유의성보다 미미하지만 오히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쇼핑가치에 대한 많은 연구들에서 지적된 대로 실용적 편익과 함께 쾌락적 편익이 만족도 수준과 실제 백화점에서의 구매행동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해 쇼핑가치의 구성요인인 5가지 하위가치차원이 고객만족에 대해 미치는 영향력을 비교분석한 결과, 쾌락적 편익은 제품 품질 및 서비스 품질과 유사한 수준의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금전적 비용과 비금전적 비용은 쇼핑가치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유의하지도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지역 3개의 주요 백화점들에 있어 총 편익과 총 비용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지를 분산분석을 통해 검정한 결과, 편익부분에서는 백화점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비용면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쇼핑가치와 고객만족과의 직접적인 상관관계 분석에 이어 쇼핑가치의 하위가치인 각 차원(제품 품질, 서비스 품질, 쾌락적 편익, 금전적 비용, 비금전적 비용)이 고객만족과 재방문의도, 실제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구조방정식모형을 적용한 결과 가설 1-1〔H1-1〕 ‘제품 품질 수준이 높을수록 고객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1-2〔H1-2〕 ‘서비스 품질 수준이 높을수록 고객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1-3〔H1-3〕 ‘쾌락적 편익 수준이 높을수록 고객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모두 유의하게 지지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설 1-4〔H1-4〕 ‘금전적 비용이 증가할수록 고객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와 가설 1-5〔H1-5〕 ‘비금전적 비용이 증가할수록 고객만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기각되었다. 또한 고객만족이 높을수록 백화점 재방문의도에 긍정적인 관계를 보일 것이라고 예상했던 가설 2〔H2〕와 재방문의도가 높을수록 실제 구매횟수와 구매금액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일 것으로 예상했던 가설 3-1〔H3-1〕과 가설 3-2〔H3-2〕는 모두 유의하게 지지되어 채택되었다. 다섯째, 쇼핑가치의 구성을 보면 기존 고객만족조사의 중심이 되는 실용적 편익 외에 쾌락적 편익의 중요성이 실증적으로 나타났다. 먼저, 백화점 고객들이 원하는 쇼핑가치에서 비용측면에 해당되는 요인의 가치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그동안 많은 연구들에서 지적되었던 쾌락적 편익의 비중은 접점관리 부분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서비스의 비중과 유사하게 높게 나타났다. 또 많은 비용을 지불하고 고급매장인 백화점을 찾는 고객들의 입장에서 제품 품질에 대해서는 당연히 높은 품질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접점에서의 서비스 개선은 앞서 언급한 위생적 요인들과 함께 기존 고객만족경영의 중심이 되어왔지만 현재까지도 고객들이 느끼는 서비스의 수준은 고객별로 많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의 결론에는 연구의 이론적 공헌 및 실무적 공헌, 한계점을 논의하였으며 미래 연구를 위한 여러 가지 제언을 하였다.

      • 體格과 體力이 스포오츠에 미치는 要因分析에 관한 硏究 : 慶南地域 女高生의 球技種目選手를 中心으로

        정선태 東亞大學校 大學院 1978 국내석사

        RANK : 247631

        Ⅰ. An object of study. In this study I have collected by the purposive selection the objects of collection 80 female best ball players of the year 1978 from best ball players in the girls' high schools in Kyung Nam District, including 20 volleyball players in J. and H.girls' high schools, and 20 basketball players in M. and J.girls' high schools, and 20 handball players in W.girls' commercial high school and 20 tennis players in S. girls' commercial high school. Ⅱ. A summery of conclusion. 1) I found that the average body heights of best volleyball players in girls' high schools located in Kyung Nam distict are superior to those Japan's national represetative female volleyball players of the 1972, and that the body weights of ours are inferior to those of Japan's, and that, of the various ball players, volleyball players have the most excellent. 2) Hand Ball players in the girls' high schools in Kyung Nam District have the most excellent physical fitness, But basket ball players and ones of tennis are necessary to improve in physical fitness. 3) Tennis players are much concerned with 100 meter sprint and 800 meter distance run, vertical Jump; therefore it secrs to me that the tennis ball players are required to have indiscriminately endurance, agility, and speed and power. 4) Volleyball players have interrelation with 100 meter sprint and 800 meter distance run, maze-run and vertical jump, and standing, trunk-flexion; volleyball players also need speed and endurance, agility and players, I think. 5) Handball players have correlation with 100 meter sprint and 800 meter distance; therefore the players should have endurance, speed and agility, the training of power, I insist. 6) Basket ball players are so much concerned with 800 meter distance and maze run. It seems to me that the players demand the training of power. 7) As ball players seem to me to demand speed and endurance, agility, they are concerned with power and flexibility; therefore I think they need the verified physical fitness factor. 8) As all kinds of sports are suggested to have an impotant correlation in physique, I testified Cureton's principle, so I insist that in scouting new ball players Cureton's principle should be ruquired. 9) The bigger are body heights, the more excellent are power and agility, and, according as sitting height is tall, speed is superior. When chest girth is large, power and agility are more excellent. Physique and standing-trunk-flexion have correlation with power and agility, I think. Ⅲ. Suggestion 1) I suggest that the training of basic physical fitness should be taken effect in practice. 2) A comparative and various study on physique and physical fitness of ball players in boys' high schools is taken into consideration. 3) A study is considered that has to testify what an effect the ractor of physique in proportion to the career of athletics has on basic physique and professional physique. 4) By the effect of the study mentioned above in order to select ball players efficienty a study to select the standard of physique and basic physical fitness and that of professional physical fitness is in the future demanded.

      • 자기불일치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 자존감 유형의 조절효과 연구

        정선태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자기불일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존감 유형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서울, 경기 지역 소재의 4년제 대학생 353명(남 135명, 여 218명)의 연구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측정 도구로는 자기불일치, 자존감, 자존감 안정성, 사회불안 척도가 사용되었고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각 척도의 신뢰도와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Hair와 Black(2000)의 군집분석 방법을 이용해 군집을 나누어 분류하고, 조절효과를 살펴보기 위해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제-이상 자기불일치, 실제-의무 자기불일치는 사회불안과는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자존감과 자존감 안정성과의 관계에서는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나타내었다. 둘째, 대학생의 자존감과 자존감 안정성을 기준으로 표본을 군집으로 나누어 분류한 결과 대학생의 자존감 유형은 총 4개의 군집으로 나뉘어졌다. 각각의 군집들은 그 특성을 기초로 하여 ‘안정적인 자존감’, ‘혼란스러운 자존감’, ‘깨어지기 쉬운 자존감’, ‘스스로 고립된 자존감’으로 각각 명명하였다. 셋째, 자기불일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존감 유형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자존감 유형은 각각의 자기불일치에서 전부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를 통해 자기불일치와 사회불안과의 관계에서 자존감 유형이 중요한 조절변인이었음을 밝혔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이를 토대로 하여 본 연구의 시사점 및 제한점에 대해서 논의하고 후속 연구에 관하여 제언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 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discrepancy and social anxiety.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591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do and 353 of them(males, 135, females, 218) were used for the analysis. Measurments such as self discrepancy, social anxiety, self esteem, self esteem stability scales were used and analyzed using SPSS program. The reliability and correlation of each scale were analyzed and cluster analysis methods by Hair and Black(2000) was conducted to classify clusters into the group. Moreover, this study examined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moderating effect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reality-ideal self-discrepancy, reality-duty self-discrepancy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social anxiety and ha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self esteem and self esteem stability. Secondly, as a result of classifying samples into groups, samples were divided into four cluster based on self esteem and self esteem stability. Each groups was named on the basis of the respective characteristics as 'stable self esteem', 'chaotic self esteem', 'fragile self esteem," " isolated self esteem by itself'. Thirdly, the result of Moderating effect analysis on self esteem between self-discrepancy, social anxiety shows that types of self esteem have an moderating effect on each of the self-discrepancies. The implication of the study is that this study found that types of self esteem were the significant and important factors between self discrepancy and social anxiety. Finally,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