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간경변증 환자에서 이차성 비기능항진증의 부분적 비장동맥색전술의 장기 치료 효과 : 비장적출술과의 비교

        이중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Liver cirrhosis causes secondary hypersplenism resulting in pancytopenia. Thrombocytopenia is somethimes clinically troublesome in these patients. Splenectomy(SPL) was thought to be the curative management for correction of thrombocytopenia. However, decompensated liver function prevents any surgical approach under general anesthesia due to high operative morbidity and mortality. Hence, partial splenic embolization(PSE), a less invasive procedure, became introduc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ccess the long-term therapeutic effects of PSE and to compare with those of SPL.Methods: This study was performed retrospectively in patients who underwent PSE or SPL from Jan. 1999 to Dec. 2003 at Yonsei University, Severance Hospital. The patients either had symptoms of bleeding tendency or needed to correct thrombocytopenia for further treatments of associated diseases. Laboratory data were examined to evaluate the therapeutic effects, and complications were assessed.Results: Forty and thirty five patients were enrolled in PSE and SPL group with mean age of 50.8 and 49.2, respectively. WBC, platelet and hemoglobin all significantly increased at 2 year follow-up in both groups. Child-Pugh sco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PSE group from 6.5 before treatment to 5.5 after treatment(p=0.004). Minor complications were easily controlled with supportive cares, and major complications occurred very rarely in both groups.Conclusion: PSE and SPL both proved to be effective measures with little serious complications for treating pancytopenia in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 Yet, considering improved liver function(prothrombin time) and Child-Pugh score after PSE, it may be more reasonable to initially recommend PSE in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 of secondary hypersplenism. 간경변증 환자에서 이차성 비기능항진증이 동반되어 범혈구감소증이 생기면서, 그중에서 특히 혈소판감소증이 임상적으로 문제가 되는 경우가 많다. 치료를 위해서는 과거에 비장적출술(splenectomy; SPL)을 시행하였는데 간기능 저하가 동반되어 있어서 수술 자체의 위험성이 많아 적응증이 안 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수술에 비하여 비침습적인 부분적 비장동맥색전술(partial splenic embolization; PSE)이 소개되고 있으며 결과가 양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간경변증으로 진단된 환자에서 PSE의 치료 효과에 대해서 고찰하고 SPL과의 치료 효과를 비교하고자 한다.대상 및 방법: 1999년 1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간경변증 환자 중 PSE 또는 SPL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차성 비기능항진증에 의한 혈소판감소증으로 출혈 증상이 있거나 혈소판감소증을 교정해야 할 목적으로 시행하였으며, 치료 전후의 혈액검사를 비교하였고 합병증의 유무를 확인하였다.결과: PSE 군이 총 40명, SPL 군이 35명이었고, 남녀 비가 각각 27:13, 23:12로 남자가 더 많았으며, 평균 연령은 각각 50.8, 49.2 세였다. 백혈구는 PSE 및 SPL 군에서 2년째에 4,450 및 5,560 ul 로서 치료 전에 비해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 혈소판도 양 군에서 2년째에 각각 144, 174 kul를 보여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혈색소도 마찬가지로 2년째에 각각 13.7, 12.8 gdl로서 치료 전에 비해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Child-Pugh score를 계산하면 PSE 군은 치료 전 6.5에서 치료 후 5.5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p=0.04), SPL 군은 6.5에서 5.9로서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 합병증은 양 군에서 경미하였고 사망, 출혈, 감염증의 심각한 합병증은 7.5% 이하에서 나타났으며 통계적 차이가 없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PSE는 간기능이 비교적 양호한 환자에서 이차성 비기능항진증으로 의한 혈구감소증에 좋은 치료 방법으로 생각되며, 심각한 합병증의 발생은 적고 일부 간기능의 호전을 기대할 수 있어서 간경변증 환자에서 시행해 볼 수 있는 비교적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생각된다.

      • 화장관여도 요인에 따른 집단 분류별 유행선도력 및 화장품의 구매행동

        이중민 圓光大學校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화장품 구매 소비자들의 특성을 파악하는데 있어서 소비자들의 구매행동과 정보탐색 행위에 큰 영향을 끼치는 화장관여도와 새로운 스타일을 직접구매, 타 소비자의 채택을 자극시키는 유행선도자에 관해 연구해 봄으로써 화장품 판매 촉진 및 마케팅 수립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10-30대 젊은 여성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으며, 이들의 유행선도력과 관여도에 따른 소비자의 집단을 분류하고 각 집단에 따른 화장품 구매행동 및 구매 후 평가의 차이를 알아보며 화장품 구매행동이 구매 후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2010년 6월 20일부터 8월 20일까지 서울?경기 지역의 여성을 대상으로 배포된 총 700부의 설문지 중 650부가 회수되었으며, 이 중 응답이 불성실한 설문지 35부를 제외한 615부의 설문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그 결과. 첫째, 조사대상을 군집화한 결과 각 집단의 특성에 따라 집단 1은 무관심집단, 집단 2는 자기표현집단, 집단 3은 혁신집단, 집단 4는 관심집단으로 분류되었다. 화장관여도 집단별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을 한 결과는 연령, 결혼여부, 직업, 월수입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무관심집단(집단1)에 속하는 표본의 경우 연령이 높을수록 화장관여도에 무관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행선도력의 차원을 밝히고 세분집단에 따른 유행선도력의 차이를 알아 본 결과, 유행의견선도자요인과 유행혁신자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유행의견선도자 요인의 경우, 자기표현집단(집단2)과 혁신집단(집단3), 관심집단(집단4)에서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무관심집단(집단1)의 경우는 낮게 나타났다. 유행혁신자 요인의 경우, 혁신집단(집단3)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자기표현집단(집단2)과 관심집단(집단4), 무관심집단(집단1) 순으로 나타났다. 즉, 유행을 리드해나가는 혁신자의 경우일수록 화장관여도에 있어서 혁신, 자기표현, 관심집단 순으로 높게 나타나며 무관심집단의 경우가 낮게 나타남으로써 화장관여도와 유행선도력간의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셋째, 화장품 정보원의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보면 자기표현집단(집단2), 혁신집단(집단3), 관심집단(집단4)의 값이 비슷한 수준으로 주변사람의 의견을 많이 듣고,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화장관여도 집단별 구매 후 평가에서 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혁신집단(집단3)의 경우 제품 구입 후 만족도에서 평균값(M=4.00)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관심집단(집단4)의 경우 점포 재이용 의도(M=4.04)와 추천의도(M=3.74)에서 평균값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로써 화장관여도에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경우, 제품 구입 후에 만족도가 높으며, 점포를 재 이용하고자 하는 의사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화장관여도에 높은 집단과 유행혁신집단일수록 화장품 구매행동 및 구매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구매 후 만족 또한 높으며 재 구매 의사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화장품 소비자에서 다양한 화장품 광고 및 판매 서비스의 강화로 인한 구매 시의 즐거움을 증가하고 유행에 대한 지속적인 정보 제공으로 화장품에 대한 관심을 증가, 구매로 발생할 위험을 인지시켜 주는 것과 같이 관여를 높여주기 위한 다양한 마케팅 활동을 수행함으로써 구매 후 만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구매 후 만족은 내적정보로 활용되어 구전 활동에도 유리하게 작용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마케터는 소비자가 신중한 구매를 할 수 있도록 세심한 배려를 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화장관여도의 차원을 4가지로 한정, 측정하였으며, 유행선도력 집단을 유행혁신 및 유행의견선도자 집단 2가지로 한정되어 이에 따른 화장관여도 세분집단간의 차이를 보았으나 후속 연구는 더 다양한 차원을 포함하여 연구함으로써 세분화에 유용한 차원에 대한 탐색, 제시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연구대상이 서울, 수도권 지역의 젊은 여성으로 한정되어 있는데, 후속 연구는 다양한 지역과 연령대를 포함하여 조사한 후 본 연구결과와의 비교, 검토를 제시함으로써 객관적이고 일반화된 화장품 소비자 행동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find the patterns of cosmetic consumers by studying the degree of make-up involvement, direct purchase of new style and the trend leaders who has affect on the purchase choice of other consumers which has great affects on consumers purchase pattern and how they search for cosmetic related information to promote sales of cosmetics as well as to suggest marketing strategies. To achieve this goal of the research, a survey was conducted to young women consumers from teens to 30's. The consumers were classified by the degree of effect on leading trend and preference. The survey was to find the difference between each group's cosmetic purchase pattern and difference in the evaluation of the product after the purchase.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June 20th to August 20th, 2010 to women in Seoul and Kyung-gi area and total of 650 surveys were collected among 700 distributed. Out of 650 collected, 615 survey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disregarding the 35 surveys which were insufficient for use. Following is the brief summary of the result of this study. First, classification was done by consideration of traits of the surveyors. Group 1 as not interested, group 2 as self-expressive, group 3 as innovative and groups 4 as interested. Cross-tabulation was done to find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The result show that age, marital status, occupation and monthly income had similar differences and in not interested(group1), the older the participants were, they showed more apathy to the degree of make-up involvement. Second, resulting from the measuring the degree of trend preferences and differences between trend preferences of three groups, it can be classified into factors of trend leader and trend innovator. Incase of trend opinion leader, self-expressive group(group2), innovative group(group3), interested group(group4) showed similar level and not interest group (group1) scored low. In case of trend innovative factor, innovative group(group3) scored highest followed by self-expressive group(group2), interested group (group4) and not interest group(group1) following the order. In other words, innovators who are the leaders of the trend, in case of cosmetic influence, showed that innovation as highest and self-expression, interested group consecutively and not interested group showed low score proving that there is close relation between make-up involvement and trend preferences. Third, in case of cosmetic information groups, self-expressive group (group2), innovative group(group3) and interested group(group4) showed similar level and they listen to other people's advices and consider them seriously. The result from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regarding the participant's degree of make-up involvement after purchase and its evaluation, innovative group(group3) showed highest scores in satisfaction by average means(M=4.00). Also the result showed that interest group(group4) scored highest in average means in intention to revisit the store(M=4.04) and intention to recommend(M=3.74). Therefore, it proved that if the participants consider make-up involvement positively, satisfaction after purchase was high and the intentions to visit the store was high as well. The group who scored high in make-up involvement and trend innovative had positive affect in the satisfaction after purchase and showed similar influence in repurchase intentions of the participants. Therefore, when there are various cosmetic advertisement and increase in sales service, consumers showed more pleasure when purchasing cosmetics. Also, by providing consistent information regarding new cosmetics causes increase in interest and by various marketing activities it provides the awareness of the dangers which might be caused by the purchase of the cosmetic to increase satisfaction. Considering that degree of satisfaction after purchase can be utilized as internal information to function as positive factors in word of mouth, marketer should pay careful consideration for the consumer's needs to incorporate considerable purchase. This research limited the make-up involvement level in to 4, limits to trend leading groups as trend innovative and trend opinion leader two groups. According to this, make-up involvement showed difference between three groups but the later research should include more various levels to study classified information which can be useful and suggest better results. Finally, the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is limited to young women in Seoul and Kyung-gi area but the later research should include various areas and age group. The study should be conducted in this respect and compared and considered to suggest more objective and generous patterns of cosmetic consumers.

      • 꾸란의 구술성 연구 : 수라 79를 중심으로

        이중민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서구 이슬람학자들이 제기했던, 꾸란의 편집적 특징과 관련된 문제를 구술 문화적 측면에서 설명한다. 종교학자인 스미스(Wilfred C. Smith)가 주장한 신앙인의 입장을 존중하는 연구 태도와, 초기 무슬림들에게 구술 문화가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그라함(William A. Graham)의 주장을 바탕으로, 초기 이슬람의 구술 문화적 특징이 꾸란 편집에도 고려되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주장한다. 마지막으로 영문학자인 옹(Walter J. Ong)의 구술성 이론을 수라 79에 적용해서 이 주장을 뒷받침한다. 17-18세기 계몽주의의 영향으로 유럽의 학자들은 '실제로 있었던 일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가지고 역사적 문헌에 대한 객관적인 고증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이슬람의 경전인 꾸란도 예외가 될 수 없었다. 서구 이슬람학자들은 꾸란에 기록된 단어의 어원이나 내용의 기원을 연구하면서 다른 문화와의 영향 관계를 밝히려고 했다. 특히, 이슬람학자들은 꾸란에서 발견되는 여러 문제를(화자의 인칭 변화, 계시의 배열 문제 등) 지적하면서, 꾸란은 인간의 불완전한 저작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서구학자들은 꾸란을 성스러운 경전이 아닌 역사적 텍스트로만 생각하고 연구했다. 물론 무슬림들도 꾸란이 텍스트로서의 역사적인 수집․ 편집 과정을 거쳤다고 믿는다. 하지만 종교 전통을 존중하는 스미스와 그라함의 주장처럼, 무슬림들에게 꾸란은 처음부터 오직 텍스트만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었다. 꾸란에서도 '꾸란'을 책과 같은 텍스트로만 한정하지 않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대신 하느님의 말씀 하나 하나, 구절 자체를 꾸란으로 생각하고 그것을 자신의 입을 통해 낭송하는데 더 큰 의미를 두었다고 할 수 있다. 낭송을 중시하는 초기 무슬림의 신앙이 꾸란의 편집에도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이 점을 확인하기 위해 옹이 제시한 구술성의 특징을 꾸란 텍스트에 적용해서 분석한다. 이 과정을 통해 꾸란 편집에 구술 문화적 성격이 반영되었을 수 있다는 점을 밝힌다. 이 점을 증명하기 위해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2장에서는 국내에는 잘 알려있지 않은 서구의 꾸란 연구 경향을 소개한다. 서구의 연구는 꾸란을 역사적 텍스트로 보고 '실제 있었던 사실'을 밝히는데 주력했다. 그리고 이런 연구의 보완으로서 신앙인의 믿음을 중시하는 스미스와 그라함의 연구 방법을 제시한다. 3장은 본 논문의 핵심으로서 꾸란의 편집적 특징을 다룬다. 먼저 꾸란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편집되었는지를 간략하게 살펴보고, 서구학자들이 제기하는 꾸란의 편집 문제를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그들의 견해와 달리, 꾸란이 구술 문화 속에서 책이 아닌 낭송을 위한 목적으로 편집되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설명한다. 그 예로 낭송을 강조한 무슬림 전통을 제시하고, 그와 관련해서 꾸란에 등장하는 주요 개념을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현재 무슬림의 삶 속에도 꾸란 낭송을 중시하는 전통이 계속 이어지고 있다는 점을 제시한다. 4장에서는 꾸란이 구술성의 토대 위에서 편집되었다는 점을 설명하기 위해 수라 79를 분석한다. 문학이론가인 옹의 구술성 이론을 적용한다. 이런 접근을 통해 서구학자들이 의문들-화자의 인칭 변화․ 특정 구절의 동어 반복․ 성서 내용의 무질서한 배치 등이 낭송 문화의 영향일 수 있다는 점을 설명한다. 결론에서는 본론에서 다룬 내용을 정리하고, 본 논문이 가지는 한계를 지적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plain how oral tradition of the early Islam is reflected in the Qur'ān. That is, I can clearly find the oral dimension in the written Qur'ān. To explain this, I will use the theory of Wilfred C. Smith and William A. Graham. Smith takes the position that, a student of religion should pay attention to what Muslims believe and say. Graham argues that oral culture could have strongly influenced early Muslims who took part in collecting the Qur'ānic text. By following these scholars, I will argue that oral tradition of early Islam could have affected even the editing the Qur'ān. Finally, I will explain the oral aspect of the Qur'ān by analyzing Sura 79 using the theory of Walter J. Ong. The Enlightenment influenced Western scholars of the Qur'ān. They ask the question; what is it that really happened in history? As a result, they do not recognize the Qur'ān as sacred text. For them, the Qur'ān is not different from other historical sources and should therefore be studied historically. Therefore, they use philology to research on the Qur'ānic text. Some of them question especially the incoherence of the Qur'ānic structure, e.g. the change of the implied speaker or the order of the verses in the Qur'ān. For these reasons, they conclude that the Qur'ān is not Word of God but the written text by a human being. Of course, Muslim tradition recognized that the Qur'ānic texts were collected and edited by early Muslims. However, as Smith and Graham say, for the early Muslims the Qur'ān was not the only written text as today. The Qur'ān itself says that the Qur'ān is not only the written text, but also each and every revelation of Allah. Therefore, Muslims have emphasized on the reciting of the Qur'ānic verses everyday. From the Muslim faith of the Qur'ān, we can presume that the oral tradition of early Islam influenced editing the Qur'ān. To support this hypothesis, I will apply Ong's theory on orality to Sura 79. By doing so, I will argue that the oral culture could have affected the editing the Qur'ān as well. This paper has been organized as follows. In Chapter II, I will introduce the Qur'ānic studies of the West, because the Western approach is hardly known in Korea. The Western approach can be divided into two parts. The first part is the Islamicist, who places emphasis on historical approach to Islam. The other side is that of a student of comparative religion, i.e. Smith and Graham who positively accept the sources of the faithful. This approach will expand the understanding of the Qur'ān because various sources will be considered in studying the Qur'ān. Chapter III focuses on the structure of the Qur'ān. Firstly, we are going to review the collecting process of the Qur'ān from the Muslim tradition. Then, we will present the Islamicist’s view that the structure of the Qur'ān is incoherent. Lastly, contrary to Islmicist’s view, I will argue that the oral culture was significantly involved in editing process of the Qur'ān. Chapter IV analyzes sura 97 using Ong's theory of orality to demonstrate the oral aspect of the Qur'ān. Ong's characteristics of orally based thought and expression will be presented. By this, I will try to answer the Islamicist' s question. Finally, the conclusion will be given in Chapter V.

      • 사물인터넷(IoT) 지속사용의도의 영향 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 요식업계 프랜차이즈 가맹점을 중심으로

        이중민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세계는 제 4차 산업혁명으로 다양한 새로운 기술과 서비스로 사람들의 삶과 기업의 체계 등 많은 부분들이 급변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사회적 큰 파급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지속적인 경기 악화와 심각한 취업난으로 안정된 시스템과 지원이 가능한 프랜차이즈에 많은 구직자 및 창업자들이 눈을 돌리기 시작하였다. 그에 따라 프랜차이즈 업계는 점점 거대 시장이 되어 성장하였으며 특히, 그중 현대 한국사회의 생활패턴이 간단한 음식과 모임, 문화의 공간이 활성화 되면서 요식업계의 비중이 매우 커지게 되었다. 하지만 무분별한 브랜드 확산과 급격한 고도성장을 통해 지속적인 타브랜드들과의 경쟁이 불가피 해졌으며, 그에 따라 많은 브랜드들이 폐점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다양한 전략이 도입되고 있는데, 그 중 제 4차 산업혁명을 토대로 성장하고 있는 다양한 기술 중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것이 사물인터넷(IoT)이다. 사물인터넷(IoT)를 토대로 프랜차이즈 가맹점 내부 운영 방식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고객의 편의성을 제공함으로써 업무의 효율성과 고객 유치가 가능하게 되며, 이를 통해 매장의 경쟁력을 갖출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통해 소상공인의 대표적인 요식업계에서 가장 중심이 되고 있는 프랜차이즈 가맹점에 새로운 기술이 도임됨에 따라 유용성과 용이성을 바탕으로 지속사용의도의 연계성과 이를 바탕으로 매장성과에 대한 연구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사물인터넷(IoT) 기술이 도입됨에 따라 사용자의 경험이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유용성과 용이성의 매개효과에 대하여 아래와 같은 연구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은 첫째, Bhattacherjee의 PAM(Post Acceptance Model)모형을 중심으로 Morville의 사용경험을 선행연구를 통해 고찰 하였고, 이를 통해 프랜차이즈 가맹점에서 사물인터넷(IoT) 이용 경험이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끼치는 가능성에 대해서 이론적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둘째, 이론적 고찰을 통한 모형을 설문을 통하여 실증적 검토를 하고, 유용성과 용이성이 지속사용에 미치는 매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셋째, 이러한 설문 결과를 통해 프랜차이즈 매장에 새로운 기술의 도입과 지속사용의도에 대하여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2018년 9월부터 20월까지 프랜차이즈 가맹점이 집중되어 있는 백화점 식품관과 로드숍을 대상으로 직접 설문을 실시하였다. 위와 같은 목적으로 연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프랜차이즈 가맹점 뿐 아니라 가맹본부 경영자에게 새로운 프랜차이즈 매장 운영 방식을 위한 실무지침을 제공한 점이다. 둘째, 본 연구를 통해 제안한 모형을 바탕으로 분석해봄으로써 시스템 사용에 대한 지속사용의도를 판단하는 기준과 매개 효과를 제시 하였다는 점이다. 셋째, 프랜차이즈 가맹점에 사물인터넷 지속사용의도를 적용 및 분석해봄으로써 유사 정보시스템 도입할 때 상황을 진단하고, 추진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근거로 활용 가능하다는 점이다. 넷째, 실증된 사물인터넷(IoT) 기술이 사용자 경험인(접근성, 신뢰성, 보안성, 혁신성)과 자기효능감이 사용자가 인지된 유영성과 인지된 용이성을 매개효과로 하여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에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론적으로 구축된 프랜차이즈 매장에 사물인터넷(IoT) 도입에 따른 지속사용의도에 대한 측정항목 간 인과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새로운 기술의 도입의 지속사용의도을 위한 확고한 전략적 안목을 제시하였다는 점이다.

      • Sol-Gel 법으로 제조된 ZnO/Nafion 복합막을 이용한 페놀 바이오센서

        이중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Phenol은 방향족 화합물로서 벤젠 고리를 가지는 구조적 특징 때문에 생체에 독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수질 오염의 주요인이 되는 물질로 대두되고 있다. 이런 페놀류 화합물을 검출하는 것은 환경 오염도와 화학 제조과정의 오염물 배출을 감지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페놀류 화합물의 검출은 분석 샘플이 복잡하고 분석 물질의 낮은 농도 때문에 기질효과를 피하기 위해서는 선택성과 감도가 좋은 검출기가 필요하다. 이러한 까닭으로 최근에는 간단하면서 효과적으로 페놀류 화합물을 검출할 수 있는 전류법 바이오센서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Phenol의 전기 화학적 산화는 과전위를 필요로 한다. 보통 염기성이나 산성 조건에서는 500 mV ~ 1000 mV(vs Ag/AgCl) 의 전위가 필요하다. 페놀류의 직접적인 산화는 비가역적이고 복잡해서 전기 화학적 감지가 이루어지는 전극 표면을 오염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전위가 과전위기 때문에 많은 유기 물질들이 산화 반응을 일으켜서 방해물질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결점을 피하기 위해서는 효소를 이용해서 전극을 생화학적으로 검출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Quinone은 물속에서 매우 불안정하여 다중 방향족 화합물로 중합되고 이 화합물은 효소에 비활성이다. 그래서 phenol의 정량 분석을 위해 tyrosinase를 입힌 전극으로 quinone의 전기 화학적 환원 반응을 검출하면 전극 오염을 줄일 수 있고, 작업 전위가 낮아서 방해물질의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유리 탄소 전극 위에 sol-gel 법으로 유도된 ZnO/Nafion 복합막에 Tyrosinase효소를 고정시켜 환경 오염 물질인 페놀류 화합물을 산소 분자의 수산화기 반응을 통해 phenol을 catechol과 quinone으로 바꾸는 산화 반응의 촉매 역할을 하도록 하여 검출하는 전류법 바이오센서를 개발하였다. sol-gel 방법은 효소를 고정시키는 좋은 방법으로, 효소는 막 내의 기공에 원래의 성질과 반응성을 유지한 채 포획되어 있다.본 연구에서는 ZnO sol에 생체 적합성을 가지는 Nafion 고분자를 혼합해 순수한 sol-gel 유도체의 단점을 보완하였으며, 최적 조건을 바탕으로 검정 곡선을 그려보았을 때 ZnO/Nafion 복합막에 대한 catechol의 LOD(Limit Of Detection)은 2.99 nM 이었으며, 감도는 1128.36 mA/M 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센서는 기존의 sol-gel 법을 이용한 페놀 센서들에 비해 높은 감도와 낮은 LOD 값을 보였다. 바이오센서의 재현성은 상대 표준편차 6.78%(n=7)의 결과를 얻었다.

      • 지역아동센터 실무자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 대구·경북중심으로

        이중민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are currently responsible for providing care, learning guidance and sound cultural activities to children from the low-income class. Since the child welfare act was amended in April 2004, those centers have made a rapid quantitative growth. Such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the centers is viewed positively on the ground that more extensive service could be provided to children from the low- income class. On the other hand, it's pointed out that a shortage of professionals who could address increasing client needs might result in detracting from the quality of service. In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working-level people assume the responsibility to render service to beleaguered needy children and their families in daily routine life. The quality of service offered by them determines the satisfaction level of clients, and that is eventually the key element to the management of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To ensure the efficient performance of the centers, what matters above all is boosting the quality of service provided, which largely hinges on the job satisfaction of working-level employe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four selected characteristics of working-level people, involving personal, job, organizational and role characteristics, on their job satisfac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36 working-level employees at 224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in the regions of Daegu and North Gyeongsang Province. After a survey was implemented by mail, the answer sheets from 275 respondents(82%) were gathered, and 242 answer sheets(72%) were analyzed. An SPSS 12.0 program was utilized, an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employed to get statistical data on frequency and percentage. Besides,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procedures were carried out.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overall job satisfaction of the working-level employees at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in Daegu and North Gyeongsang Province was above the average. As for variables linked to job satisfaction, that was under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f academic credential, whether to be certified or not and the current form of employment. Concerning connections of job, organizational and role characteristics to job satisfaction, job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to that, and role characteristics was negatively correlated. In regard to the influences of the subfactors, job satisfaction was affected by job challenge, job fitness, compensation equity, job security, organizational reputation, participation value, relationship with supervisors, role conflicts and role ambiguity. Specifically, the compensation equity variable had the greatest impact on that. The findings of the study had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the meaning of this study lies in the fact that it tried to grasp the relationship among job characteristics,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role characteristics affecting the job satisfaction of working-level employees at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in order to acquire fundamental information on that. econd, this study found that job challenge and job fitness could serve to bolster job satisfaction, and it is thereby possible to lend credibility to Herzberg's motivation-hygiene theory. Third, the findings of the study lend credibility to (discrepancy theory) that backed up a hypothesis that better compensation equity, one of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leads to higher job satisfaction. Given the findings, there are some suggestions on this matter. Although many of the respondents were well educated, receiving four- year-course university or higher education, they were actually underpaid. It should be kept in mind that insufficient pay is likely to be the most integral cause of job dissatisfaction, and the government should take required institutional measures to fund every corporation. Besides, in-depth and diverse research efforts should be made in association with the job satisfaction of employees at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현재 저소득층의 아동을 보호하고 학습지도 및 건전한 문화 활동을 담당하는 지역아동센터는 ‘공부방’에서 출발하여 2004년 4월 아동복지법의 개정 이후 급격한 양적팽창을 보였다. 이러한 시설수의 증가는 지역사회 저소득층 아동에 대한 서비스의 폭이 확대되었다는 긍정적인 해석과 함께 클라이언트 수효의 증가에 대응할 전문 인력의 부족으로 서비스의 질이 저하된다는 지적이 있다. 지역아동센터의 실무자 역할은 다중의 문제에 놓여 있는 빈곤아동과 그들의 가족에 대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대부분 일상의 관계에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과정에서 실무자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질은 클라이언트의 만족과 직결되고 결국 지역아동센터의 운영에 있어 핵심이 된다. 지역아동센터를 효율적으로 운영함에 있어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서비스 전달자의 서비스 질을 높이는 것인데 그것은 실무자의 직무만족도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실무자의 직무만족의 정도를 개인적 특성, 직무특성, 조직특성, 역할특성으로 나누어 각각의 요인이 직무만족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대구·경북지역의 지역아동센터 224개소에서 근무하는 실무자 336명을 대상으로 우편조사를 실시한 결과 총 275부(82%)가 회수되고, 최종분석에 사용된 설문지는 242부(72%)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백분율과 같은 기술통계방법과 ANOVA 및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대구·경북지역의 지역아동센터 실무자의 전반적인 직무만족도는 중간 값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직무만족도와 관계있는 변수들은 학력과 자격증 소지유무, 현재기관 근무환경에서의 고용형태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직무특성, 조직특성, 역할특성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직무특성과 조직특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역할특성은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지역아동센터 실무자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인 요인은 직무도전성, 직무적합성, 보상공정성, 고용보장성, 조직명성, 참여가치, 상사와의 관계, 역할갈등, 역할모호성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중에서도 보상 공정성의 변수가 직무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갖는다. 첫째,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실무자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직무특성, 조직특성, 역할특성 요인에 대해서 그 관계를 파악하여 이의 기초적 지식을 마련하였다는데서 의미를 가진다. 둘째, 본 연구는 직무도전성과 직무적합성에 따라 직무만족도가 높아진다는 결과로 허즈버그가 주장한 동기요인과 위생요인 욕구이론을 지지 할 수 있다. 셋째, 본 연구결과는 조직특성 중 보상공정성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 높아진다는 가설을 뒷받침했던 성과차이 이론에 대해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통해 제언을 하면 설문 응답자 상당수가 4년제 이상의 높은 학력 수준임에도 불구하고 이에 상응하는 임금 수준이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낮은 임금은 직무불만족의 가장 핵심적인 원인이 될 수 있음을 인지하여 정부의 제도적 마련과 법인의 인건비에 대한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지역아동센터의 직무만족에 대한 다각적이고 보다 심층적인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THE´RE`SE DESQUEYROUX에 나타난 배경의 의미 : 자연을 중심으로

        이중민 단국대학교 대학원 1986 국내석사

        RANK : 247631

        Francois Mauriac의 The´re、se Desqueyroux에서 우리는 수많은 자연의 영상을 발견할 수 있다. 비, 나무들, 침묵, 어두움, 물, 향기 등의 영상은 Argelouse의 풍경을 나타내주는 자연배경으로만 머물러 있지 않고 등장인물의 심리상태 즉 비극적인 혹은 희망적인 감정을 상징적으로 암시하고 있는 것이다. F.Mauriac은 특유의 자연의 의인화 혹은 자연과 작중인물의 감정이입을 독자들에게 보여주어 등장인물의 내적세계와 외부세계인 자연과의 일치를 특히 여주인공인 The´re、se의 회상장면을 통해 그려내는 것이다. The´re、se가 질식상태에 감금되었을 때는 자연배경이 포로상태의 그녀를 더욱 억압하며 자유를 향한 그녀의 탈출을 감시하고 방해하는 비극적인 image를 가진다. 고통 당하여 절망상태에 놓여진 그녀를 죽음 직전에까지 이르게 하고 Se´questration의 영상을 띄는 것이다. 그러나 The´re、se가 공소기각을 선고받았을 때와 가정의 속박으로부터 벗어나려는 자유의지가 싹트기 시작할 때의 자연은 더없이 친근하고 우호적인 영상으로 그녀에게 나타나는 것이다. The´re、se가 자유스럽게 될 때의 자연은 그녀의 탈출을 같이 모의하고 그녀에게 나무가지들이 길을 열어주는 모습으로 그려지고 있다. 그때의 자연은 당연히 그녀에게 Libe´ration의 영상을 가져다주는 것이다. 작중인물들의 내면적인 삶과 그들을 둘러싸고 있는 자연사이에 자리잡고 있는 밀접하고도 끊임없는 대응을 소설 The´re、se Desqueyroux에서 찾아 보고자 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여주인공인 The´re、se의 특별한 경우를 살펴봄으로써 등장인물의 정신상태와 자연에서 빌어온 비극적인 image 사이에서의 심원한 일치를 찾아볼 것이다. La nature joue un ro^le important dans l'univers romanesque mauriacien. Nous pouvons trouver beaucoup d'e´le´ments de la nature dans le The´re`rse Desqueyroux. Par exemple, il y a la pluie , les arbres , l'ombre, l'eau et l'odeur. Le roman de The´re`se Desqueyroux nous presente la relation intime entre la psychologie de ses personnages et le paysage. I1 est impossible de se´parer l'existence de ses personnages de l'atmosphere du paysage. Le paysage n'est pas seulement le de´cor, plus pre´cisement, ce paysage participe a`1'atmosphere de ses personnages. Alors la nature mauriacienne a un prix me´taphorique. Par la souvenir de The´re`se Desqueyroux, Mauriac nous fournit la correspondance de la nature avec le coeur de cette he´rolne. Quand The´re`se Desqueyroux a e´te´ en train de l se´questralation par la famille , les e´le´ments de la nature l'a reduit a` la mort. En cette situation , la nature fait plonger cette he´roine dans la solitude et dans l'incommunicabilite. Au contraire , quand Bernard a annonce´ la 1ibe´ration de Paris , le paysage de la nature a offre´ a` son he´roine la parfum de la vie. A cet instant , au seuil de sa libe´ration , The´re`se Desqueyroux a decouvre´ que la souffrance d'Argelouse n'existe pas. Mauriac a de la sympathie pour son he´roine incomprise et criminelle. La pense´e de Mauriac est le secours de Dieu. Sans doute, dans la fin de Therese Desqueyroux, Mauriac nous a designe qu'elle rechercher la lumie`re de Dieu. En de´finitivement, le paysage fait partie de l'ame de The´re`se Desqueyroux. Dans le roman de The´re`se desqueyroux, il y a un accord profond du paysage et de ses personnages. Finalement, j 'ai fait des efforts pour e´clairer la correspondance intime entre les images de la nature et 1'e´tat d'a^me de The´re`se Desqueyroux.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