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주거지 근린환경이 보행취약계층별 통행 만족도와 경로선택에 미치는 영향

        이소민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보행은 우리 삶에 있어 중요한 이동수단이며, 활동을 위한 기본 수단이다. 사람중심의 사람을 위한 도시계획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그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으며, 보행활동 증진과 보행자 안전을 위한 정책과 노력들이 다각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주거지 근린보행환경은 근린생활권의 구성원들이 생활하는 주요 공간이자 통행의 수단 외에도 일상의 활동이 활발하게 이뤄지는 곳으로서, 모든 이들이 공간적·사회적으로 차별 없이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공간조성의 마련이 중요하다. 보행활동은 근린의 도시 형태나 물리적 조직과 함께 공공시설환경, 보행환경의 질적 요인과 보행자 개별특성 및 경험적 인지요소 등 다양한 요소들의 복합적인 관계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된다. 이처럼 보행자의 보행활동에 있어 물리적 환경뿐만 아니라 보행자의 경험적·인지적 요인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생활가로의 물리적 환경요소에 대한 보행자의 인식이 전반적인 주거지 통행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어느 정도이며, 측정된 물리적 환경요소가 보행자의 보행활동과 보행경로선택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무엇인지를 다각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보행활동과 외부활동, 보행목적 등과 관련한 보행 만족도나 통행행태와 관련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일반보행자 또는 고령자나 초등학생 등 특정 집단에 한정하고 있으며, 물리적 요소나 주관적 측정변수에 한정되어 있는 경우가 다수이다. 일부의 경우 주관적·객관적 측정요소를 모두 다루고 있으나 보행자의 행태적 특성에 초점을 맞춘 것이 아닌 공간적 특성에 초점을 두고 있다. 보행자가 실제 보행한 가로를 기준으로 이동시점에 따라 평가한 것이 아닌, 조사지점을 기준으로 공간중심의 평가를 우선하고 있다. 실제로 이러한 조사지점은 대부분이 상업지역을 중심으로 하고 있으며, 주거지역의 경우 근린생활시설이 밀집하고 있는 공간을 중심으로 하고 있어 실제 근린보행환경 내 구성원들이 주로 이용하는 공간을 세밀하게 포함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고 판단되어 진다. 따라서 일반보행자보다 주변의 위험요소나 환경요소에 대한 노출빈도와 위험이 높은 보행취약계층을 중심으로 생애주기의 흐름에 따라 일상생활과 보행활동에 미치는 영향요인이 무엇인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시 생활권 내 근린보행환경을 대상으로 보행취약계층의 경험적·인지적요소와 가로세그먼트단위의 물리적 요소가 근린보행환경의 통행 만족도와 보행경로선택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실증분석을 통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조작적 정의를 통해 정의한 초등학생, 영유아 양육자, 고령자 등 보행취약계층의 거주비율이 높고, 서울의 주거형태를 대표할 수 있는 격자형 주거지역 중 본 연구에 부합하는 사례연구 대상지 3곳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설문조사와 GIS 자료 분석을 통해 보행취약계층의 이동경로를 기반으로 한 통행 만족도와 경로선택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통행 만족도를 종속변수로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으며, 보행취약계층의 통행 만족도 영향요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보행취약계층의 통행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공공편의시설의 접근성으로 확인되었으며, 통행이 가능한 유효보도 폭과 범죄·사회적 안전성(이하 범죄 안전성), 불법 주정차 등에 대한 만족도가 그 다음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범죄 안전성의 경우 외부활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며(박효숙·이경환, 2019), 범죄 안전성이 높을수록 근린에서 머무르는 시간과 보행활동이 증가하기 때문으로 이해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보행공간의 심미성과 다양성이 통행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는데, 이는 안전성이 확보되고 가로의 규모가 동일한 경우 다양성·흥미성과 관련된 요소에 의해 가로선택이 결정되는 것과 같은 맥락으로 이해할 수 있다(서한림, 2013). 쾌적성과 관련한 요인은 보행취약계층의 통행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가로의 쾌적성이 보행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라는 선행연구(박소현 외 3인, 2009; 변지혜 외 2인, 2010; 성현곤 외 2인, 2011; 이수기 외 2인, 2016)와는 다른 결과를 보였다. 일반보행자에게 근린보행환경의 질적 측면이 통행 만족도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반면, 보행취약계층의 경우 안전성과 관련된 요소가 가장 주요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심미성과 다양성도 통행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하지만, 안전성이 먼저 확보된다는 전제 하에 후순위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반보행자보다 상대적으로 위험 노출빈도가 높고, 보행 이동성이 낮기 때문에 안전성과 보행네트워크 접근성 요소가 통행 만족도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이해할 수 있다. 경로선택을 종속변수로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으며, 가로세그먼트단위의 물리적 환경요인과 보행취약계층의 통행행태 측정지표인 경로선택과의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보행자가 인지한 경로와 실제 경로선택을 비교해 본 결과, 비 최단경로를 선택한다고 인지하는 비율이 58.6%인데 반해, 실제로 비 최단경로를 선택한 비율은 24.82%로 인지와 실제가 현격한 차이를 보였다. 일반보행자가 최단경로를 선택했다고 인지하고 실제경로도 인지경로와 90% 가까이 일치한다는 선행연구 결과와는 큰 차이를 보였다(Gim and Ko, 2016). 보행취약계층은 이동거리가 증가할수록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는 경향이 있는데, 경로선택에 있어 이동거리와 경로의 연결수준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Borst et al., 2009; Ozbil et al., 2016). 이는 주거지역내 대부분의 도로가 보차혼용도로로 조성되어 있어 이런 경우 목적지까지 우회하더라도 안전한 경로를 선택하지만(Ozbil et al., 2016; Lee ana Lee, 2021), 도로위계가 높고 보도가 설치되어 있어 안전에 대한 기본요인이 충족되는 경우는 이러한 선택과 다른 결과를 보인다(Guo and Loo, 2017). 보행취약계층의 집단은 생애주기를 기준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주기별 특성에 따라 경로선택에 미치는 영향요인이 다음과 같이 변화하는 특성을 보였다. 첫 번째로, 시야가 좁고 활동성이 커 안전에 취약한 초등학생 집단은 경로선택 시 네트워크 저항요인보다는 물리적 여건요인에 의한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그중에서도 도로 폭이 넓어질수록 비 최단경로를 선택하는 경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실제로 초등학생의 경우 폭이 넓은 도로를 횡단할 때 사고의 위험이 증가한다는 선행연구결과(이세영·이제승, 2014)와 일치하였다. 두 번째로, 유모차를 동반한 외출 빈도가 높고 움직임이 자유롭지 못한 영유아 양육자 집단은 빠른 길보다는 안전한 길을 선호하는 비율이 높다. 이는 보행자가 위험에 직면했을 때를 제외하고 최단경로를 선택한다는 얀 겔(1971)의 이론을 대입해본다면, 영유아 양육자 집단은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고 인식하며, 이를 회피하기 위해 비 최단경로를 선택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들은 물리적 여건요인보다는 네트워크 저항요인에 의한 영향을 더 받았으며, 특히 주정차차량의 수와 노외주차 점유율, 공원까지의 거리, 횡단시설 이용횟수 등이 비 최단경로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네트워크 요인에 대한 만족도가 저하될수록 유모차를 동반한 외출에 심리적 부담을 갖는 것과 비슷한 결과로 이해할 수 있다(오성훈 외 2인, 2015; 구민지, 2017; 김묘정, 2017). 세 번째로, 다른 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보행활동 시간이 많고, 위험을 감수하지 않으려는 경향이 강한 고령자 집단은 보도 유무, 공공시설 인접여부, CCTV 수 등에 따라 우회경로를 선택하는 경향이 높게 나타났다(Weinstein Agrawal et al, 2008; Borst et al., 2009; Ozbil et al., 2016; Guo and Loo, 2017; Shatu et al., 2019). 이들은 상업시설, 병원, 관공서, 공공공간 등의 보도 연결성과 편의성이 좋은 경우 조금 돌아가더라도 우회경로를 선택하며(황금회, 2016; 박효숙, 2017; 박효숙, 2019), 교통사고나 범죄로부터의 안전, 범죄예방시설 등은 고령자의 보행활동과 통행빈도에 밀접한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이형숙, 2011; 박효숙, 2017; 박효숙, 2019; 박영은, 2019)와도 일치한 결과를 보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근린생활권 내에서 보행취약계층의 통행 만족도와 경로선택에 미치는 영향요인이 일반보행자와는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를 확인해보고, 집단별 특성에 따른 영향요인의 변화를 고찰함으로써, 보행취약계층의 이동성을 고려한 근린환경개선방안에 대해 고려해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안전에 가장 취약한 보행취약계층의 관점에서 실제 이동경로를 중심으로 근린생활권 내 통행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인지적 요인을 기준으로 측정하고, 일반보행자 선호요인과의 차이점이 무엇인지를 실증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특히 취약계층의 집단별로 통행 만족도에 미치는 요인의 차이를 다각적으로 검토해 근린생활권 내 보행활동 증진을 위한 방향성과 개선방안을 행태적 특성을 기초로 구체적으로 규명함으로써, 보행안전정책 및 관련 사업이 실제적으로 작동하고 이를 통해 근린보행환경의 질을 제고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Walking is considered an important means of transportation and a basic activity in one’s life. With growing interest in urban planning, the importance of walking has been increasingly emphasized. Various policies have been introduced, and efforts are being made to promote pedestrian activity and safety. The residential neighborhood environment is the prime space where members of the neighborhood live and actively perform daily activities in addition to the means of transportation.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reate a space where individuals can lead their daily lives without spatial and social discrimination. Pedestrian activity is influenc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public facility environment, qualitative factors of the pedestrian environment, and characteristics of pedestrians, along with the urban form and physical organization of the neighborhood. Therefore, not only the physical environment but also the experiential and cognitive factors of pedestrians are considered important for walking activities. It is imperative to examine the extent to which pedestrians' perceptions of the residential neighborhood environment influence overall residential travel satisfaction and how measured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s affect pedestrians' walking activities and walking path selection.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walking satisfaction and travel behavior related to walking activities, outdoor activities, and the purpose of walking. However, they are limited to specific groups, such as pedestrians, the elderly, 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in many cases, they focus only on physical or cognitive factors. In some cases, all of these are covered, but the focus is on spatial characteristics rather than pedestrian behavior. Space-centered evaluation is prioritized according to the survey point rather than the street on which the pedestrian actually selected the route. Most of these survey points are centered on commercial areas, and in the case of residential areas, they are confined to spaces where neighborhood living facilities are concentrated. It is considered difficult to include the space mainly used by members of the actual neighborhood environment in detail.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daily life and walking activities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life cycle, focusing on pedestrian vulnerable groups, which have higher exposure frequency to surrounding risk or environmental factors than pedestrian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experiential and cognitive experiences of pedestrian vulnerable groups and the physical factors of horizontal street segment units on pedestrian satisfaction and walking path selection in the neighborhood environment through an empirical analysis targeting the neighborhood environment in the Seoul living area. Three grid-type residential areas that represent the residential type of Seoul with a high proportion of pedestrian vulnerable groups, such as children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regivers of infants, and the elderly, determined through the operational definition, were selected. Through surveys and GIS data analysis, the factors influencing travel satisfaction and route selection, based on the movement route of the pedestrian vulnerable groups, were analyzed. The findings showed that accessibility to public convenience facilities was identified as the primary factor that influenced the travel satisfaction of pedestrian vulnerable groups. Satisfaction with effective sidewalk width, crime and social safety, and illegal parking were identified as the next most influential factors. This is understandable given that outdoor activities could expose people to crime, and when safety is ensured, people tend to spend more time in the neighborhood and walking activity increases. Finally, the aesthetics and diversity of the walking space were identified as factors that affected satisfaction with the passage. For general pedestrians, the quality of the walking environment has a major influence on satisfaction with travel, whereas in the case of pedestrian vulnerable groups, safety was identifi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Given that the risk exposure frequency is relatively high and gait mobility is low, safety and walking network accessibility can be understood as factors that have a major influence on the travel satisfaction of pedestrian vulnerable groups. When the path perceived by pedestrians was compared with the actual path selection, the proportion of pedestrians who recognized that they chose the non-shortest path was 58.6%. However, the percentage of participants who actually chose the non-shortest path was 24.82%, showing a difference between the perceived and actual values. This i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showing that general pedestrians recognized they had chosen the shortest path and that the actual path also coincided with the perceived path by 90%. pedestrian vulnerable groups tend to consider various factors as the moving distance increases, since the moving distance and the level of connection between the paths serve as important factors in path selection. Most of the roads in residential areas are on mixed traffic streets; thus, a safe route is selected even if it is a detour to the destination. The pedestrian vulnerable groups are classified on the basis of the life cycle, according to which the influencing factors on path selection change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elementary school group, which was vulnerable to safety owing to its narrow field of view and high activity, was more affected by physical factors than by network resistance factors when choosing a route. In particular, as the width of the road expands, the tendency to choose the non-shortest route increases,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a previous study in which the risk of accidents actually increases when crossing a wide road in the cas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the group of caregivers of infants and toddlers who frequently go out with a stroller and do not have freedom of movement demonstrated a greater preference for the safe route than for the fast route. The infant caregiver group perceives that they are exposed to risk, and it is judged that they tend to choose the non-shortest route to avoid it. They were more affected by network resistance factors than by physical condition factors. Specifically, it was confirmed that the number of parked vehicles, the share of off-street parking, the distance to the park, and the frequency of use of crossing facilities had an effect on the selection of the non-shortest route. This can be understood as being similar to having the psychological burden of going out with a stroller as satisfaction with network factors decreases. Third, the elderly group, which had relatively more walking time compared with other groups, and a strong tendency to not take risks, chose the detour route on the basis of the presence of sidewalks, proximity to public facilities, and number of CCTVs. They chose the detour route when pedestrian connectivity and access to commercial facilities, government offices, and public spaces were satisfactory. In addition, safety from traffic accidents and crimes, and crime prevention facilities, showed a close association with walking activity and the frequency of passage of the elderly. This study verified how pedestrian vulnerable groups differed from general pedestrians in the factors affecting the passage satisfaction and route selection within the neighborhood. By examining the change in the influencing factor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it was possible to consider a neighborhood environment improvement plan considering the mobility of the pedestrian vulnerable groups.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measures the factors affecting travel satisfaction in the neighborhood, based on the actual movement route from the perspective of pedestrian vulnerable groups, which are most vulnerable to safety, and verified the difference with pedestrian preference factors through empirical analysis. In particular, factors affecting travel satisfaction and route selection for each group of the underprivileged were reviewed from various angles, and improvement plans were specifically identified to enhance the walking activities of pedestrians in the neighborhoo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practical operation of pedestrian safety policies and related projects,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neighborhood environment

      • 저작능력이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울매개효과

        이소민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correlation between depression and cognitive function due to chewing ability in Koreans who have entered an aging society. Problems with chewing ability lead to a negative psychological state, and if it persists for a long time, it can lead to depression, and furthermore, it can be expected to affect cognitive decline. In this longitudinal study, the effect of chewing ability on the cognitive function level is to be confirmed and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is to be verified. Methods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n Aging (KLoSA) is a cohort data representing the middle-aged and elderly, and in this study, data of number 5, 6, 7 were used. When this study was performed, depressive disorder, cognitive impairment, brain lesion disorder, mental retardation disorder, and non-response subjects were excluded in order to control conditions that could affect the main variables at the investigation point. 4,136 subjects who completed depressive disorder in 2016 and cognitive function follow-up test in 2017 were the final study subjects.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chewing ability and depression and cognitive function, chewing ability and confounder variable were measured during the investigation. Depression as a parameter was analyzed at two years after investigation, and cognitive function as a dependent variable at four years after investigation was analyzed. The chewing ability was measured using a self-reported five-point Likert scale, CES-D10 for depression test, and K-MMSE tool for cognitive function test. For depression, a score of four or higher using the CES-D10 indicates a depressive disorder, and the higher the score, the more severe the depression. Cognitive function was confirmed to have cognitive impairment when the K-MMSE score was less than 24. In the study, the results of the measured tools were used as continuous variables. According to the Barron & Kenny method(1986), after adjusting the gender, age, education level, income quartile, residence area, spouse status, living alone, basic old-age pension,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stratum consciousness, cerebrovascular disease, hypertension, diabetes, obesity, heart disease, dependence on physical function(ADL,IADL), smoking, drinking, and exercise, the effect of chewing ability through mediated function of depression on cognitive impairment was verified using a multivariate regression. After that, we evaluated the indirect effect of the mediator using the Sobel test. Results In this paper, a mediating analysis of depression was perform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chewing ability and cognitive function for four years.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correlation of the three variables in order to confirm the prerequisites of the mediating variable,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As a result of indirectly measuring the meaning of the step-by-step verification of Baron & Kenny (1986) analysis through the regression coefficient valu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hewing ability and cognitive function after adjusting for depression was found (B=0.277). It was found to be decreased (P<.001) compared to the case before depression adjusted(B=0.255). Therefore, it was found that mediating depression contributed to a mediating role of about 10.6% in influencing the degree of cognitive function due to chewing ability. Additionally, the direct significance of the mediator variable depression was verified through the Sobel test, and it was found to b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 Conclu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depression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other words, it not only affects the degree of cognitive function due to chewing ability, but also mediates depression to affect cognitive function.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prevent depression at an early stage in order to improve oral health and delay cognitive decline in the middle aged and elderly adults in Korea. Medical workers for the healthcare, including dentists and dental hygienists, have to check the masticating function of the target person. Additionally, they should conduct systematic oral prevention educat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and strive to improve oral function accordingly. 서론 이 논문은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우리나라 장노년층에서 저작능력으로 인한 우울과 인지기능의 연관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저작기능과 인지기능이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연구인 Hirano Y(2013,2015)등에 의하면 20-34세의 대상자는 저작행위를 하는 동안 뇌의 전두엽 활동량 증가로 주의력과 인지기능 향상을 유도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분 향상 및 스트레스 해소가 나타나 우울과 같은 기분변화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50세 이상의 대규모 인구집단 표본을 이용한 연구에 따르면 저작능력이 양호한 대상자들이 열악한 집단보다 단어 기억력과 학습, 언어의 유창성 등이 높은 것으로 보고하였다(Listl S,2014). 또한 노년기의 우울과 인지기능은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으로 상호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 우울증이 지속될 경우 인지기능저하 및 치매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노화로 인해 신체적 기능 저하, 은퇴, 인지기능 감퇴, 치아상실로 인한 안모 변화 등 심리적 요인이 지속 되면 정신적인 위축과 자신감 상실로 우울증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다. 저작능력 문제는 부정적인 심리 상태로 이어져 장기간 지속될 경우 우울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나아가 인지기능 저하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저작능력으로 인해 인지기능정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고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고령화연구패널자료(KLoSA)는 우리나라 장노년층 대상으로 2006년 1차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자료는 1차 조사 이후 2년에 한 번씩 동일한 대상자로 기초조사가 이루어졌고 2018년 7차 조사까지 완료된 코호트 자료이다. 이 연구에서는 5차(2014년), 6차(2016년), 7차(2018년) 자료를 이용하였다. 연구 조사시점에서 주요변수에 영향을 미칠 만한 조건들을 통제하기 위하여 우울장애와 인지기능 장애, 뇌병변장애, 정신지체장애, 무응답 대상자는 제외하였으며 2016년도(6차) 우울장애 및 2017년도(7차) 인지기능 추적검사를 완료 한 4,136명을 최종 연구대상자로 하였다. 저작능력, 우울, 인지기능의 선후관계를 확인하고자 K차 조사시점에서 저작능력과 보정요인을 측정하였고 매개변수인 우울은 K+1차(2년후) 조사시점, 종속변수인 인지기능은 K+2차(4년후) 조사시점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인지기능과 저작능력, 우울은 자기보고식으로 측정하였다. 인구 사회경제적 요인, 건강요인, 주관적.삶의 질 요인에 따라 저작능력, 우울, 인지기능의 차이는 독립표본 t검정과 One-way ANOVA 검정을 이용하였으며 매개 분석의 전제조건인 세 변수 간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Pearson 상관분석을 시행하였다. 매개 효과 검증을 위해 선형회귀분석을 이용한 Baron & Kenny(1986)의 3 단계를 시행하였으며 성별, 연령, 교육수준, 연가구균등화소득, 거주 지역, 배우자, 독거, 경제활동, 기초노령연금여부, 사회활동참여여부, 주관적 계층의식, 고혈압, 비만, 당뇨, 뇌혈관질환, 심장질환여부, 흡연, 운동, 음주여부, 신체기능 의존여부, 주관적 건강상태, 삶의 질 만족도 변수를 분석에 포함하여 보정하였다. 결과 이 논문에서는 저작능력과 4년 동안에 대한 인지기능정도의 연관성 사이에서 우울에 대한 매개 분석을 진행하였다. 매개변수의 전제 조건을 확인하기 위하여 세 변수들의 연관성을 확인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 분석의 단계적 검증을 회귀계수 수치를 통해 간접적으로 유의성을 측정하였을 때 마지막 3단계에서 독립변수인 저작능력이(B=0.227) 2단계(B=0.255)에서의 영향력보다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p<.001). 따라서 저작능력으로 인해 인지기능정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매개변수인 우울은 10.6% 정도의 매개역할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Sobel test를 통해 매개변수 우울의 직접적인 유의성 여부를 검증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로 나타났다(p<.01). 결론 고령화연구패널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Baron & Kenny(1986) 3단계 방법으로 저작능력, 우울정도, 인지기능정도의 연관성에 대해 종단적으로 분석하였다. 반복측정 자료의 특성을 이용하여 각 요인의 시점을 다르게 두어 분석하였기 때문에 장노년층의 인구집단에서 저작능력과 우울, 인지기능의 선후관계를 확인한 것에 의미가 있다. 연구결과에 따라 우울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즉, 저작능력으로 인해 인지기능정도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우울을 매개하여 인지기능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나라 장노년층 인구의 구강건강증진과 인지기능저하를 늦추기 위해서는 우울증을 초기에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치과의사와 치과위생사를 포함한 보건의료인은 대상자의 저작기능을 확인하고 그 특성을 고려한 체계적인 구강예방교육을 실시해야하며 그에 따른 구강기능의 향상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 외식소비가 소비감정에 미치는 영향

        이소민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가 먹는 음식이 감정 결정에 영향을 주고, 감정이 우리가 먹는 것을 결정한다는 관점이 관심을 받기 시작하면서 감정과 음식 간의 관계에 대해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현대의 음식 소비는 소비자의 감정을 표현하는 방식으로 활용되며 감정적인 요인이 소비 결정하는 요인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우리의 사회가 다양하게 변화되면서 사람들은 식생활문화에 있어서 단지 배를 불리고 살기 위해서 먹는 것이 아니라 그 이상의 것을 추구하고 있으며, 더욱 다양하고 특별한 경험을 찾고자 하는 욕구가 증가하게 되었다. 이러한 외식시장이 변화하고 발전함에 따라 소비자의 욕구는 더욱 다양화, 차별화, 세분화, 구체화 되어 가고 있으며 맛과 영양을 생각할 뿐만 아니라 그 이상의 것을 원하며 찾고 있다. 특히나 직장인들은 여러 가지 이유로 외식의 빈도수가 많은 집단으로 외식분야가 산업화되기까지 주된 역할을 한 소비 대상들이다. 그러나 식생활에 대한 높은 관심도와 외식산업시장의 빠른 성장 속도에도 불구하고 직장인들의 외식소비트렌드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상태이다. 우리나라의 직장인들이 가지는 점심식사시간을 새로운 외식 사업의 틈새시장으로써 경쟁력을 지니고 있으며, 개척할만한 가치가 있는 시장이라 판단된다. 따라서 본 논문의 목적은 외식소비가 소비감정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조사한 내용을 바탕으로 직장인이 외식소비 전 지각된 감정을 가지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식사시간을 가져 외식소비 중 어떠한 요소들이 감정변화에 영향을 주었는지, 외식 소비 후 어떠한 감정을 지니는지 알고자 하였으며 이러한 감정과 레스토랑 선택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직장인들의 외식소비가 소비감정에 미치는 영향과 그에 따른 소비감정과 레스토랑 선택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문헌적 연구(Documentary research)와 질적 연구(Qualitative research)를 활용하였으며, 사전 설문지를 위하여 양적 연구(Quantitative research)를 하였다. 조사 결과 사전 설문지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ety System)20.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을 하였고, 사전 설문지를 바탕으로 Spradley가 제시한 기준을 바탕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인들은 일반적으로 기분전환 또는 감정 변화를 위한 목적으로 제품이나 서비스를 소비를 한다. 하지만 소비를 하는 과정에서는 모두 긍정적인 감정을 지니고 있지만 소비 후에는 긍정적, 부정적 감정으로 나눠지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둘째, 직장인들의 근무 시간 내 점심시간과 그 외의 외식소비 감정변화는 다르게 나타났다. 근무 시간 내 점심시간은 인터뷰 참여자 10명 중 3명이 긍정적 소비감정변화를 느꼈으며, 나머지 7명은 부정적 소비 감정변화를 느꼈다. 근무 시간 내 점심시간과 그 외 식사를 위한 외식 소비의 감정 변화가 다른 요인으로는 시간적 제약, 메뉴 선택의 제약이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셋째, 직장인들의 레스토랑 선택에는 맛, 접근성, 가격 순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결과가 도출되었다. 최근 주 52시간 근무제로 인하여 근무 시간은 줄고 주어진 시간 내에 업무를 압축적으로 하기 위해 점심시간을 아끼려는 직장인들이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회사 근처 접근성이 높은 음식점이나 구내식당의 이용 빈도수가 높아지고 있다. 식당 앞에 긴 줄을 서서 시간을 낭비하는 것보다 빠르고 간편하게 식사를 해결하기 위해 식사 대용 푸드, 편의점 도시락, take out 형태의 푸드 이용률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물가 상승으로 돈을 아끼기 위해 구내식당, 편의점 이용률 또한 높아지는 추세이다. 넷째, 직장인들은 즐겁지 않은 점심시간을 가진다. 짧은 점심식사시간으로 인해 언제나 허겁지겁 먹어야하며 동료들과 함께하는 식사자리로 인해서 업무의 연장인 느낌을 받으며 메뉴 선택의 결정이 직장인들에게 스트레스 요인으로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상사와 함께하거나 같이 식사를 동행하는 사람을 선택 할 수 없는 점이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하였다. 다섯째, 직장인들에게 점심식사 시간은 식사로써의 중요성이 배제되고 있다. 식사시간. 메뉴 선택, 식사의 동행자 등의 이유로 점심식사시간은 스트레스의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들 요인을 피하기 위해 혼자 휴식을 취하거나 단지 배고픔을 달래주는 작용밖에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식소비가 감정변화에 긍정적인 작용을 한다는 조사 결과에도 불구하고 직장인들에게는 적용되지 않는 부분인 것이다. 연구 결과로 인한 학문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감정을 긍정과 부정이라는 단순히 두 가지 분류의 한계를 설정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지만 세분화하여 작용하는 감정에 따라서 외식소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미비상태이다. 따라서 감정을 여러 가지 분류로 설정하여 이러한 감정들이 영향에 대해서 보다 깊이 있는 논의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둘째, 소비감정에 관한 주제는 주로 긍정, 부정의 설정, 만족도, 제품 구매에 관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그에 반해 직장인들의 외식에 관한 소비 감정에 대한 연구는 인식을 심도 있게 하지 못하였기에 보다 많은 관심과 활발한 연구의 필요성을 느낀다. 셋째, 본 연구는 표본 수가 작은 심층면접을 통하여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외식소비가 감정 변화에 미치는 영향이 있음을 알게 되었고 더욱 구체적으로 직장인들의 외식 소비 감정변화와 일반적인 외식 소비 감정변화가 다르게 인식됨을 알 수 있었지만 보다 과학적이고 실험적인 연구의 방법으로 감정 변화의 영향을 주는 요인들과 감정 변화에 대하여 개인차를 단계별로 측정하여 보다 일반적이고 체계적으로 논의가 이루어 져야한다. 본 연구의 실용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인들의 업무성과를 높이기 위해 업무 능력도 중요하지만 직원들의 기분 변화 역시 업무 성과를 높이는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따라서 점심식사시간을 조금 더 여유롭고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즐길 수 있도록 구내식당이나 음식점 분위기를 조성 할 필요성을 느낀다. 둘째, 주 52시간 근로제로 바뀌므로 인해 직장인들의 점심시간 풍경이 변화하고 있다. 사무실 밀집 지역 인근 편의점 매출과 커피전문점 매출이 증가하고 있는 시점이다. 따라서 간편식, 식사 대용 푸드 판매량이 증가함에 따라 외식 기업들도 이러한 현상에 걸 맞는 상품을 개발하도록 노력해야한다. 셋째, 위와 같은 이유들로 회사 외부 음식점 이용률이 줄어들 것을 대비하여 회사 인근 음식점들은 직장인들의 점심식사시간에 가장 영향을 주는 식사시간을 고려하여 take out이나 배달 등 음식 판매 형태 변화, 직장인들의 식사 대기 시간, 음식 나오는 시간 등을 절감시켜줄 수 있는 해결책을 모색해야한다.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s and food is being studied as the view that the food we eat affects our emotional decisions and that emotions determine what we eat is. Therefore, modern food consumption is used as a way of expressing consumers' feelings, and emotional factors influence the factors that determine their consumption. As our society changes in various ways, people are pursuing more than just eating to live on a full stomach, and the desire to find more diverse and special experiences has increased. As the restaurant market changes and evolves, consumers' desires are becoming more diverse, differentiated, sub-segmented and specific, and they want more than just to think about taste and nutrition. In particular, salaried workers are a group of people who frequently eat out for various reasons, mainly playing a major role in the dining out sector until it became industrial. However, despite the high interest in eating out and the fast-growing speed of the dining-out market, Research on the employee's eating out trend is incomplete. The lunch hour of the nation's employees is considered to be a market that is competitive and worth exploring as a niche for the new restaurant busines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how eating out affects consumer sentiment, to find out how the employee's perception of how eating out affects his or her mood and we want to find out the connection between emotion and restaurant choice. In this study, we used literature and qualitative studies to find out the impact of employee eating out and how consumption affects consumption and restaurant choices. Quantitative research was done for the advance questionnaire. As a result of the survey, advance questionnaires analyzed frequency using SPSS 20.0 and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based on the criteria presented by Spradley based on the advance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orkers typically consume products or services for the purpose of diversifying or changing their moods. However, while the process of spending has all had positive feelings, the result was divided into positive and negative feelings after consumption. Second, the changes in employees' feelings about eating out during lunchtime were different. Three out of 10 interviewees felt positive consumption changes while the other seven felt negative consumption changes during lunch break. Time constraint and menu selection constraint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e change of emotional change of meal consumption for lunchtime and other meals during working hours. Third, employees' choice of restaurant is influenced by taste, accessibility, and price. Recently, the 52-hour workweek has resulted in fewer working hours and more workers trying to save lunch time to compress their jobs within a given time frame. Therefore, the frequency of use of restaurants and cafeterias with high accessibility near the company is increasing. There is a tendency to use more food as substitute food, convenience store lunch, and take out to solve meals faster and more easily than to waste time standing in front of restaurants. Fourth, office workers have an unpleasant lunch time. A short lunch time made them feel rushed to eat, and when they ate with their colleagues, they felt they were an extension of their work, and the menu selection decision was a stressor for workers. Also, the stressor was the inability to choose the person with the boss or accompanied by the meal. Fifth, for lunchtime, the importance of lunchtime to meals is excluded. Lunch time is a cause of stress because of meal time, menu selection, and accompanying person. To avoid these factors, It has been shown that it only acts to rest on its own, or only to ease hunger. Despite the survey results, eating out has a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change, it is not an area that applies to workers. The academic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lthough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by simply establishing the limits of two categories of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studies on the impact of eating out according to the feelings that work in segmentation are not yet available. Therefore, I think that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effect of these emotions in more depth by setting emotions to various categories. Second, the subject of consumption emotion has been actively researched about positively, negatively setting, satisfaction, and product purchase. On the other hand, however, the study of workers' feelings of spending on eating out has failed to deepen awareness, and feels the need for more attention and active research. Third, this study elicited the results of the study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a small number of samples. We found out that eating out consumption had an effect on emotional change. More specifically, it was found that changes in eating out consumption and general eating out consumption perception were perceived differently by workers. However, In addition, it should be discussed more generally and systematically by measuring individual differences in stages and emotional changes step by step.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though work ability is important to improve work performance of employees, change in employees' mood is also an important factor in improving work performance. Therefore, I feel the need to create a cafeteria or restaurant atmosphere so that I can enjoy my lunch time in a more relaxed and free atmosphere. Second, because of the 52-hour workweek, the landscape of the workers' lunchtime is changing. Sales at nearby convenience stores and coffee shops are on the rise in many areas of the office. Therefore, with the increase in the sales of simple food and substitute food, it is necessary for the foodservice companies to try to develop products suitable for this phenomenon. Third, for these reasons, restaurants near the company must find a solution to change the type of food sales, such as take out or delivery, and reduce the waiting time for food.

      • 日帝强占期 ‘國民健康增進運動’과 그 性格

        이소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일제가 조선에 이식한 보건의료체제의 이면에는 조선인의 건강이나 생명 보호보다는 그들의 지배를 정당화하기 위해 조선인의 건강을 이용한 일제의 의도가 숨겨져 있다. 즉 조선인의 신체와 건강관리를 위해 일제가 시행한 정책은 일제강점기 동안 조선에 확립된 식민지배체제의 수탈적 성격을 드러낸다. 하지만 일부 학자들은 일제에 의해 마련된 보건의료시설의 양적 증가와 서양 의료 기술의 도입에만 주목하여 일제가 조선의 근대적인 보건의료체제 마련에 기여하였다고 주장한다. 이 글은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일제강점기 조선인의 건강 문제와 관련하여 추진된 정책을 통해 일제식민지배체제의 실상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일제의 조선 강점 이후, 조선인의 건강 문제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추진된 보건의료정책과 국민체위향상정책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중일전쟁 이후 전시동원체제 확립을 위해 시행된 ‘국민건강증진운동’에 주목하였다. 일제는 식민지배체제 확립하기 위해 시행한 방역 사업 부분에서 강압적인 방식을 동원하여 정책을 시행하였다. 그러나 일제는 조선인의 건강, 생명과 밀접한 관련을 가진 의료시설 마련에는 소극적인 태도를 보인다. 방역 사업 부분 중에서도 식민지배체제 확립과 관련성이 떨어지는 부분에서는 조선인 개개인의 건강이나 생명은 보호의 대상이 되지 않았다. 이러한 정책 방향은 중일전쟁 이후 전시동원체제 확립을 위한 국민체위향상정책의 시행으로 이어졌다. 일제는 전쟁 수행에 필요한 인적자원을 확보하기 위해 조선인의 건강을 증진시켜야했다. 이에 따라 일제는 전쟁에 동원해야하는 청년층에 대한 체위향상정책을 시행하였다. 국민체위향상정책의 방향도 조선 청년들의 전투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집중되었다. 중일전쟁 이후 시행된 ‘국민건강증진운동’도 전시동원체제 확립을 위한 국민정신총동원운동의 일환으로 추진되었다. 조선인의 정신을 전쟁에 적합하게 개조하기 위해 시행된 운동인 만큼 운동의 시행 과정에서 조선인의 위생 의식 향상, 생활 습관 개선, 그리고 전염병 예방을 위한 다양한 선전 활동이 시행되었다. 특히 1941년 아시아·태평양전쟁의 발발 이후 ‘국민건강증진운동’은 전시에 필요한 의식을 선전하기 위한 운동으로서의 성격이 더욱 강화되었다. 이에 따라 국가 총력 강화를 위해 ‘국민건강증진운동’과 유사한 운동들이 통합되었으며, 운동의 내용도 전시 생활 습관 강화와 內鮮一體와 皇國臣民化를 강화시키기 위한 방향에서 제시되었다. 이러한 '국민건강증진운동'의 취지와 실천 사항을 선전하여 조선인의 의식을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선전방법이 이용되었다. 특히 일제는 『매일신보』를 통해 '국민건강증진운동'의 취지를 선전하였으며 일제의 전시동원체제를 합리화하였다. 이처럼 일제강점기에 실시된 '국민건강증진운동'은 중일전쟁의 장기화와 전시동원체제 확립이라는 시대적 상황 속에서 조선인의 신체와 정신을 전쟁 동원에 적합하게 만들기 위해 시행된 운동이었다. 이 운동을 통해 일제는 조선인의 위생 의식과 생활 습관을 개선하고 나아가 조선인에 대한 황국신민화를 강화하여 조선인을 전시 동원에 적합한 국민으로 양성하고자 하였다. Imperial Japan's behind the veil of the transplanted health care system intends to justify their possession and not working for Chosun people's health care and life conservation. In other words, the policy for Chosun people's health maintenance reveals plundering character of colonization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However, Some scholars insist that Imperial Japan had been formulated to modernization of the health care system based on an increase health care facilities and an introduction of western health care skills. This paper mainly based on described a grasp of details of colonial policies for the related Chosun people health care in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First of all, this paper studied the policies of improvement of physical condition and health care system which are closely related Chosun people's health after the period of Japanese rules. And 'The National Health Promotion Campaign' for building up the mobilization system in war time after the Sino-Japanese War is finally researched. Japanese had strongly carried out a prevention of epidemics to concrete colonization. However, they had taken up a negative attitude of not only health care facilities which are closely related Chosun people's health but also, the policies which are irrelevant to build up colonization among the prevention of epidemics policies. This policy direction was connected to establish the policy for improvement of physical condition for the mobilization system in war time after the Sino-Japanese War. Because they had to improve Chosun people's health for obtaining human resources of combat strength so, they had operated to improve of physical condition policy to Korean youth. Therefore, the policy for improvement of physical condition concentrated on increasing Korean youth's combat efficiency. 'The National Health Promotion Campaign' after the Sino-Japanese War also operated one part of the General Mobilization of National Spirit Campaign for building up the mobilization system in war time. This campaign's purpose was for remodeling Chosun People's mentality to suit war so, they had diverse propaganda for Chosun People's preservation of health, improvement of living condition and prevention of epidemics. On 1941, after the outbreak of Asia-Pacific War, this campaign's character enhanced a propaganda for Korean's awareness of war. So, 'The National Health Promotion Campaign' and similar programs were integrated for enhanced aggregate national efficiency and campaign's character was also strengthen wartime living customs and the Imperial Subject Policy. Diverse propaganda for 'The National Health Promotion Campaign' had advertised purposes of program and conduct codes by 『Mae Il Shin Bo』 and justify their the mobilization policy in war time. Accordingly, 'The National Health Promotion Campaign' by Japanese Rules was a policy which for Korean's mentality and health changes to suit war in building up the mobilization and prolonged the Sino-Japanese War. Through this campaign, Japanese had been improved Chosun people's health preservation and life style and moreover, this campaign systemized whole Chosun people into the organized system unified with the administrative structure for mobilizing Chosun people by operation of recreating the imperial subject out of people.

      • 소셜 기부 참여동기 특성이 참여의향 및 기업과의 연결감에 미치는 영향

        이소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which are completed by the participation of consumers in social media, have emerged as a new type of 'social contribution' and have had a great social impact. As companies are expected to achieve positive results,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motivational reasoning and the achievement of the consum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of companies use social media to examine how motivations of consumers participating in social donations, which are different from the past, affect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Seco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intention of participation on the sense of connection with the company and to lead to the achievement of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Third, CSR participation motivation, intention to participate, and sense of social connection with company will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brand image and self-image correspondence of company doing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CSR participation motivation, intention to participate, and sense of social connection with companies will differ depending on the authenticity of the company that conducts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To test the hypothesis, we surveyed 423 men and women in their 20s and 60s. The study used SPSS and Amos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consumers'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social contribution affects intention to participate in social contribution. Brand familiarity, self - improvement, pleasure, and external motivation were significant factors of SNS friend invitation and social reward. Second, the consistency of brand image and self - image affects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social contribution. As a result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with high agreement and low group, it was found that consumers who recognized high agreement had a positive inclination to participate in social contribution. Third, authenticity was found to affect consumers' intention to participate in social contribution.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i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with high authenticity and low group, Consumers who perceive that companies are highly sincere have a positive attitude toward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s because they perceive that they have low commercial intentions. And the practical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for companies considering CSR activities when using social media. Second, it can be seen that activities that have high relevance level of brand image and self imag1e lead consumers' participation in social contribution. Third, it can be seen that when the level of authenticity is high in conducting social contributions, it leads to the participation of consumer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se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will be more effective CSR activities for the company.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과거에 비해 심화됨에 따라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은 점차 다양한 형태로 진화하며 소비자들의 참여를 유도하고 있다. 기업들은 사회 공헌활동을 진행하는 과정 중 소셜 미디어를 소비자들과 소통하는 도구로 이용하여 소비자들과 직접적으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해 졌다. 소셜 미디어 내에서 소비자의 참여로 완성되는 사회 공헌활동은 새로운 유형인 ‘소셜 기부’로 나타나 기업들은 긍정적인 성과를 기대하고 있으며 이러한 소셜 미디어 내에서 참여하는 기부 방식의 소셜 기부에 참여하는 소비자들에 대한 동기 추론과 얻을 수 있는 성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이 기업의 사회 공헌활동을 소셜 미디어를 활용해 소셜 기부에 참여하는 참여 동기에 대해 알아보고, 그 동기가 참여 의향과 기업과의 연결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소셜 미디어 내에서 기부에 참여하는 소비자들의 동기는 내적 동기와 외적 동기가 있다고 예측하였으며 내적 동기의 하위 요인은 브랜드 친숙도, 자기향상감, 즐거움이 있으며 외적 동기의 하위 요인은 SNS친구 권유, 사회적 보상, 물질적 보상이었다. 소비자들의 기부 참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으로 브랜드 이미지와 자아 이미지의 일치성과 진정성이라고 예측하였으며 총 4가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20대~60대의 남성과 여성 42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통계적 분석을 위해 SPSS와 AMOS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들의 소셜 기부 참여동기는 소셜 기부 참여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내적 동기의 브랜드 친숙도, 자기향상감, 즐거움과 외적 동기의 SNS 친구 권유와 사회적 보상의 요인이 소셜 기부 참여의향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브랜드 이미지와 자아 이미지 일치성에 따라 소셜 기부 참여동기, 참여 의향 및 기업과의 연결감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일치성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구분하여 각각 집단의 평균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일치성을 높게 인식하는 소비자들이 높은 참여 동기와 참여 의향을 지녔고, 기업과의 연결감에 있어서도 높게 지각하였다. 셋째, 진정성 인식에 따른 차이도 검증되었는데, 진정성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구분하여 각각 집단의 평균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기업의 진정성이 높다고 인식하는 소비자들은 진정성이 낮다고 인식하는 소비자들에 비해 소셜 기부 참여 동기, 참여 의향, 기업과의 연결감에 모두 높은 점수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가진다. 첫째, 본 연구는 기업의 새로운 유형의 기부 형태인 소셜 기부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였다. 많은 기업들이 기업의 CSR 활동을 소셜 미디어를 통해 소비자들의 참여를 통해 수행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연구들은 소비자들의 입장에 초점을 맞추기 보다는 기업의 입장으로 해석해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맥락에서 새로운 유형의 기부인 소셜 기부의 소비자들의 참여에 대한 전반적인 개념과 특성, 그리고 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점이 의의가 있다. 둘째, 소비자들이 기업의 브랜드 이미지와 자아 이미지의 일치성이 높다고 판단하면 그 기업의 소셜 기부 활동에 대한 참여 동기와 참여 의향이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기업들이 소셜 기부 활동을 진행할 때 기업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소셜 기부 프로그램을 진행한다면 소비자들의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소셜 기부를 진행함에 있어서 그 기업의 진정성이 높다고 느낀다면 소셜 기부 활동에 대한 참여동기와 참여 의향이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했다. 따라서 기업들은 소셜 기부 활동을 수행할 때 소비자들이 느끼기에 기업의 상업적 의도보다 기부 대상자에 대한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진정한 의미의 기부의도로 진행한다면 참여의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High inorganic phosphate may facilitate lung tumorigenesis at an early stage in K-rasLA1 mice

        이소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Inorganic phosphate (Pi) is necessary for all living organisms because it affects the development of organs such as the bones, muscles, brains, and lungs by controlling several pivotal genes and regulating signal transduc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utilize a high phosphate diet (HPD) to determine, the concentration effects Pi-mediated signaling at different time intervals, in an in vivo system. Experiments were performed with K-rasLA1 lung cancer model mice. Mice were fed a normal diet (ND) containing 0.3% Pi and a high phosphate diet (HPD) containing 1% Pi for 1, 2 and 4 months.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all mice were sacrificed and were subjected to ICP-MS/OES, LA-ICP-MS analyses, Western blot,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immunohistochemistry (IHC), and immunofluorescence (IF) labeling. Results indicated that HPD accelerated tumorigenesis, and adenoma and adenocarcinoma incidence and tumor size increased significantly. However, at 4 months into the HPD using the K-ras LA1 lung cancer model, we observed suspended proliferation, massive ion level changes in the liver and lungs, energy generation via the tri-carboxylic acid (TCA) cycle in the liver, increased autophagy, and decreased angiogenesis and apoptosi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HPD facilitates lung cancer promotion at an early stage of cancer development but after 4 months of HPD, tumorigenesis appears to slow down due to metabolic adaptation resulting in quiescence, which can cause severe cancer promotion in later stages. Therefore, carefully regulated Pi consumption might a critical role in lung cancer prevention.

      • NO 플라즈마의 화장품 가능성 평가

        이소민 아주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플라즈마는 이온화된 기체로, 고체, 액체, 기체에 이은 4 번째 상의 물질이다. 주로 용접과 네온 사인, 반도체 산업에 응용 및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 암 치료 등 의료 분야에도 적용되고 있으며 피부에서는 콜라겐 생성 촉진, 피부 톤 개선, 피부 유해균 사멸 등의 다양한 효과가 보고되고 있어 활용 분야는 계속해서 확대될 전망이다. 본 연구는 대기의 주성분인 질소를 활용한 화장품 제조용 플라즈마 기기를 통해 플라즈마 활성종 중, 추적 평가가 용이한 nitric oxide (NO)의 양을 측정하여 플라즈마의 양적/질적 평가를 진행하였다. 효율적인 플라즈마 처리를 위해 sinking과 non sinking 법을 활용한 처리 방법을 시도한 결과, non sinking 법을 활용한 처리 방법이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토너와 앰플을 화장품 제형으로 선택하여 NO 플라즈마 주입 후 제형의 성상 및 주입한 플라즈마의 상태 변화를 관찰하였다. 두 제형에서 NO 플라즈마의 주입 성공량은 토너가 앰플보다 약 2 배 가량 높았으며, 시간에 따라 점진적으로 감소하여 일주일 후, 소실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사용된 NO 플라즈마는 저온(4 ℃), 실온(25 ℃), 고온(37 ℃, 50 ℃) 조건에서 토너와 앰플 제형의 안정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는 NO 플라즈마의 화장품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으며 주입된 플라즈마의 안정성 확보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 Vitexicarpin의 혈관내피세포에서 TNF-α 유도 혈관염증반응 억제효과

        이소민 원광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혈관내피세포에서의 염증은 죽상경화증의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죽상경화증 (atherosclerosis)은 혈관의 안쪽 내막에 콜레스테롤이 침착하여 내피세포의 증식이 일어나 죽종 (atheroma)이 형성되는 혈관질환이다. 혈관 죽상경화를 일으키는 요소로 고혈압, 고지혈증 등을 들 수 있으며, 그 외 과도한 스트레스와 운동부족, 당뇨병 등도 위험인자로 들 수 있다. 본 연구는 예로부터 항산화, 고혈압, 감기로 인한 두통 등의 치료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던 마편초과에 속한 순비기나무 열매 (蔓荊子)의 함유성분인 vitexicarpin이 혈관 내피 세포에서 TNF- 유도시 혈관 염증 반응에 미치는 효과 및 기전을 알아 보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TNF-에 의해 유도된 HL-60 단핵구 부착의 증가를 현저히 감소시켰으며, TNF-에 의해 유도된 intracellular adhesion molecule-1 (ICAM-1), vascular cell adhesion molecule-1 (VCAM-1) 그리고 endothelial cell-selectin (E-selectin)의 발현을 현저히 감소시켰다. 또한 TNF-로 인한 활성 산소종 (ROS) 생성을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며, inhibitor kappaB-alpha (IB-) 인산화 억제에 의한 NF-B의 핵 내로의 이동 및 활성을 현저히 감소시켰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vitexicarpin은 혈관 내피 세포에서 세포 부착 인자의 발현을 억제하여 항 염증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이며, 이는 ROS 생성 억제 및 전사인자인 NF-B의 활성 억제와 관련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Pro-inflammatory cytokines induce the injury of endothelial cells caused by increases of adhesion molecules, leading to vascular inflammation and the development of atherosclerosis. Recent pharmacological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vitexicarpin, flavonoid isolated from Vitex rotundifolia, was found to show potent inhibitory effect against lymphocyte vascular inflammation process. In this study, I investigated whether vitexicarpin prevents on TNF--induced vascular inflammation process in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HUVEC). Pretreatment with vitexicarpin significantly decreased TNF--induced vascular cell adhesion molecule-1 (VCAM-1), 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1 (ICAM-1), and endothelial-selectin (E-selectin) as well as matrix metalloproteinase (MMP)-2/-9 expression in HUVEC. In addition, preincubation with vitexicarpin also dose-dependently inhibited TNF--induced adhesion of HL-60 monocytic cells. Vitexicarpin significantly decreased TNF--induced intracellular ROS production. Furthermore, vitexicarpin suppressed NF-κB nuclear translocation and transcriptional activities induced by TNF- treatment. In conclusion, vitexicarpin may reduced vascular inflammation through inhibition of ROS/NF-B pathway in HUVEC.

      • 가상현실(VR)을 활용한 미술 감상수업이 학습자의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교 1-2학년을 중심으로

        이소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today's students receive information through video and visual media rather than print media, the demand for art education using digital media has increased. As can be seen in the 2015 revised Art curriculum, which emphasized ‘aesthetic sensibility' and ’visual communication ability' as learner's competence, in art education, appreciation education that emphasizes visual culture and sensibility is emphasized and shares its context.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considering the lessons that enhance each learner's interest and achievement,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 curriculum that is helpful in learning, and adolescence is an important time to create one's own world. Therefore, in this study,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effect of applying Virtual Reality(VR) to the art appreciation class as a future-oriented learning experience for high school students in grades 10-11 on the significant changes in learner's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procedures and methods were implemented. We reviewed the concept of art appreciation and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appreciation as a theoretical background, and explored the process in which art appreciation education has been developed to closely examine the methodic aspects of appreciation education to find a theoretical background for developing appreciation classes. Based on this, after analyzing the area of ​​art and appreciation of the current curriculum,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concept and education of virtual reality were examine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using virtual reality in art appreciation. Based on this theoretical background, the art appreciation area was set as the subject of the unit, and a teaching-learning program using virtual reality was designed. As the theme for this class, I started with the history of modern art, and the impression of the impressionism(James H. Rubin, 2013/2017), the first art thought to draw a modern life and environment with a variety of themes and techniques, as a theme of the appreciation class Selected and conducted research classes. A total of 14 engineering club girls from grades 10-11 of S High School in Incheon were selected for the study, and virtual reality was utilized as an art appreciation class for 8 classes during October 2019. As a method of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the designed virtual reality appreciation class, pre- and post-tests were conducted for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which were verified as reliability as a measurement tool.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pre-test results,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sponding sample t-test were processed by statistical statistics with the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SPSS) Ver 21.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In addition, qualitative analysis of learner class results, student interviews, and researcher observation logs led to verification of research effectiveness and educational results. The conclusions based o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art appreciation teaching-learning plan using virtual rea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motivation for learning in grades 10-11 high school students. The degree of improvement of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was analyzed by analyzing the data of the pre- and post-tests. Learning motivation increased by 0.79 points, show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qualitative analysi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changed in both the student interview and researcher observation journals and learning motivation sub-areas. In particular, the rate of increase in the areas of ‘exploration and curiosity, relevance, satisfaction, motivation' was relatively high and uniform.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that conducted the art appreciation class using virtual reality showed higher achievement than the pre-test in the post-test on the academic achievement evaluation test paper. In terms of academic achievement, there was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as the academic achievement increased by 2.07 points through pre- and post-tests. Third, as a result of qualitative evaluation of the practical results of the class, student interviews, and the researcher's observation log, it was found that the post-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mproved. In particular, when the sub-area of ​​motivation for learning was analyzed in connection with the student testimony interview, it was confirmed that the students' interest and achievement in art appreciation learning increas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art appreciation class using virtual rea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he first and second grades of high school, and that it had educational effectiveness within the educational field. This study conducted an art appreciation class using virtual reality and derived positive effects on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he first grade of high school. The design of the virtual reality art appreciation class has significance in that it sought a new teaching-learning method and verified the motivation for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with its effectiveness. It is hoped that the teaching-learning method of this study will not onl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and teaching-learning development of art subjects based on virtual reality as a digital media, but also contribute to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learners and various developments in art education. 오늘날의 학생들이 인쇄 매체보다는 영상과 시각 매체를 통해 정보를 받아들이고 있는 만큼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미술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였다. ‘미적 감수성’, ‘시각적 소통 능력’을 학습자 역량으로 강조한 2015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미술교육에서는 시각문화와 감수성을 강조하는 감상교육이 중시되며 그 맥락을 같이한다. 교육 환경에서는 학습자 각자의 흥미와 성취를 높여주는 수업을 고려하여 학습에 있어서도 도움이 되는 교육과정을 구성해야 하며 청소년기는 자신의 세계를 만들어 가는 중요한 시기로 이 시기의 학생들에게는 미래지향적인 다양한 학습경험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1-2학년 학습자들에게 미래지향적인 학습경험으로 가상현실을 미술 감상수업에 적용하여 학습자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의 유의미한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 목적으로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절차 및 방법을 시행하였다. 이론적 배경으로 미술 감상의 개념과 감상의 교육적 의의에 대해 고찰하고, 미술 감상교육이 현재까지 발전해온 과정을 탐색하여 감상교육의 방법적 측면을 면밀히 살펴 감상 수업을 개발하기 위한 이론적 배경을 모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현재의 교육과정인 2015개정 교육과정의 미술과 감상 영역을 분석한 뒤, 가상현실의 개념과 교육을 고찰하여 미술 감상에서의 가상현실의 활용 가능성에 대해 모색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기반으로 하여 미술 감상영역을 단원의 주제로 설정하였고, 가상현실을 활용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본 수업을 위한 주제로 근대의 미술사를 시작하여 다양한 주제와 기법이 있는 근대의 삶과 환경을 그리고자 한 최초의 미술 사조인 인상주의 사조(James H. Rubin, 2013/2017)를 감상수업의 주제로 선정하여 연구 수업을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으로 인천에 소재한 S 고등학교의 1-2학년으로 구성된 공학 동아리 여학생 총 14명을 선정하여 2019년 10월동안 총 8차시의 미술 감상수업으로 가상현실을 활용하여 실시하였다. 설계한 가상현실 감상수업의 효과를 검증하는 방법으로 측정도구인 신뢰도가 검증된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도 사전사후 검사결과, 신뢰도분석과 대응표본 t-test는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SPSS) Ver 21.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으로 전산통계 처리하였다. 또한 학습자 수업 결과물, 학생 인터뷰 그리고 연구자 관찰일지를 질적 분석하여 연구 효과성 검증과 교육적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토대로 정리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상현실을 활용한 미술 감상 교수-학습지도안이 고등학교 1-2학년 학생의 학습동기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학습동기 향상 정도는 사전·사후 검사의 자료의 분석하여 알아보았다. 학습동기가 0.79점 증가하여 유의미한 차이의 통계가 나타났다. 또한, 질적 분석인 학생 인터뷰 및 연구자 관찰일지와 학습동기의 하위영역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변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탐구 및 호기심, 관련성, 만족감, 동기지속’영역의 증가율이 비교적 높고 균일하게 드러났다. 둘째, 가상현실을 적용한 미술 감상 수업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학업성취도 평가 검사지에서 사후검사에서 사전검사보다 높은 성취도를 보였다. 학업성취도에 있어서는 사전·사후검사를 통해 학업성취도가 2.07점 증가하여 유의미한 통계적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수업의 실기 결과물, 학생 인터뷰, 교육전문가 인터뷰 및 연구자의 관찰일지 등을 질적 평가한 결과로 사후의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도의 향상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학습동기 하위영역을 학생 소감 인터뷰와 연관 지어 분석하였을 때 학생들의 미술 감상 학습에 대한 흥미도와 성취도가 상승한 것을 확인하였다. 더 나아가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가상현실을 활용한 미술 감상수업이 변화하는 교육패러다임과 동기유발과 수업 몰입에 있어 적합한 방법으로 학교현장에서 새로운 매체 도입의 필요성과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가상현실을 활용한 미술 감상수업이 고등학교 1-2학년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교육현장 안에서의 교육적 실효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가상현실을 활용한 미술 감상수업을 진행하여 고등학교 1학년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결과로 도출하였다. 가상현실 미술 감상 수업 설계는 새로운 교수-학습방법을 모색하여 그 효과성으로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 신장을 검증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교수-학습방법이 앞으로 디지털 매체인 가상현실을 바탕으로 한 미술교과 교수-학습 개발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성장과 발달, 미술교육의 다양한 발전에 보탬이 되기를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