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이선주의 졸업 작품 「Shape of water (부제 : 사랑의 모양)」 해설

        이선주 동덕여자대학교 미래전략융합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79

        본 소논문은 「Shape of water (부제 : 사랑의 모양)」 라는 주제를 토대로 만들어진 4곡의 졸업 작품을 해설한 것이다. 영화 “Shape of water”는 서로 다른 두 종의 생명체가 만나 사랑하는 방식을 물이라는 매개체를 통하여 그려낸 작품이다. 모든 사람들이 끔찍하다고 말하는 괴생명체를 보고 연민을 느끼며 사랑에 빠지는 주인공의 모습을 보면서, 과연 나는 나와 다른 타인을 어떠한 시각으로 바라보고 있으며 어떠한 태도로 접근해야 좋을지에 대해 깊이 생각해보게 되었다. 특히 인상 깊었던 장면들을 이 영화의 전개에 따라 음악으로 표현하였다. 1) 다른 행성에서 : 온 몸이 비늘로 덮인, 물고기도 인간도 아닌 끔찍하게 생긴 괴생명체를 보고 첫 눈에 이끌리는 인간여자. 이 둘은 한 공간에 있음에도 마치 다른 행성에 있는 듯한 착각을 불러일으킨다. 낯선 생명체를 마주했을 때, 두려움과 거부감이 아닌 호기심과 동질감으로 대하는 주인공의 태도가 인상 깊었고 그 느낌을 곡으로 표현해보았다. 2) 사랑이라는 마음이 무얼까 떠올렸을 때 : 영화의 주인공은 농아이다. 장애인이기 때문에 차별받고 소외됐던 자신의 모습을 물고기 형상을 한 괴생명체에게 투영시키며 친절을 베푼다. 주인공이 괴생명체에게 느끼는 감정이 단순히 연민과 동질감을 넘어 사랑이라는 것을 보여주는 장면들에서 나는 사랑의 진정한 의미는 무엇일까 다시 한번 생각해보게 되었다. 3) 사랑하면 누구나 다 : 현실적으로 말이 안 되고 기괴하리만치 아름답게 느껴지는 동화 같은 스토리지만 충분히 공감 할 수 있는 사랑 이야기였다. 사랑하면 누구나 동일하게 느낄 수 있는 감정을 개인적인 생각으로 표현한 곡이다. 4) F I N A L : 이 영화에는 말 못하는 농아, 흑인여성, 동성애자와 같은 소수자들에 대한 차별의 이야기를 다루는 장면들이 많이 나온다. 종을 넘어선 두 부류의 사랑이라는 설정도, 그리고 그 사랑을 응원하는 모든 사람들이 상대적으로 주류의 기준에서 벗어난 ‘아웃사이더’ 라는 점도 마음에 들었다. 그리고 그런 사회적 약자에 대비되는 캐릭터, 말하자면 악역이 등장하는데 이 인물은 자기주장이 강하고 소수자들에게 차별적 발언을 서슴없이 내뱉는 고집이 센 전형적인 60년대 남성주의 마초 캐릭터이다. 그가 세상을 판단하는 방식이 철저하게 선입견에 의해 지배되고 있었다는 것을 죽기 바로 직전에 가서야 깨닫는 장면을 보고 그는 단순히 특권을 누리는 가해자가 아닌 나약한 인간이었음을 느꼈고 그 느낌을 곡으로 표현하였다.

      • 청소년의 애착수준과 애착유형에 따른 열등감과 분노표현

        이선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청소년의 애착수준과 애착유형에 따른 열등감과 분노표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인천에 소재하고 있는 고등학교 2개교의 1, 2학년 남녀 47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청소년의 애착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부모 및 또래 애착척도(IPPA-R), 애착유형을 측정하기 위해 애착유형척도, 열등감을 측정하기 위해 열등감 척도, 분노표현을 측정하기 위해 상태-특성 분노 표현 척도(STAXI-K)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애착수준에 따라 열등감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애착수준이 낮은 집단은 높은 집단에 비해 열등감의 모든 하위척도(신체적 열등감, 학업적 열등감, 가정적 열등감, 사회적 열등감)가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열등감은 학업적 열등감, 사회적 열등감, 신체적 열등감, 가정적 열등감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애착수준에 따라 분노표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애착수준이 낮은 집단은 높은 집단에 비해 분노억제, 분노표출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으나 분노조절은 애착수준 집단 간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셋째, 애착유형에 따른 열등감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애착유형의 네 가지 유형인 안정형, 무시형, 몰입형, 공포형에 따라 열등감의 하위유형인 신체적 열등감, 학업적 열등감, 가정적 열등감, 사회적 열등감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등감은 안정형, 무시형 애착유형에서 적게 느끼고 있고 공포형, 몰입형이 많이 느끼고 있는 것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넷째, 애착유형에 따른 분노표현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애착유형의 네 가지 유형인 안정형, 무시형, 몰입형, 공포형에 따라 분노표현의 하위유형인 분노억제, 분노표출, 분노조절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노억제는 안정형이 무시형, 몰입형, 공포형보다 덜하고, 분노조절은 안정형, 몰입형이 무시형, 공포형보다 덜하는 것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각기 나눠서 연구되어 오던 청소년의 애착수준과 애착유형에 따라 열등감과 분노표현에 차이가 있는지를 통합적으로 살펴본 연구이며, 아동상담에서 애착수준과 애착유형이 청소년의 열등감과 분노표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부모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 sense of inferiority and anger expression in the adolescence according to attachment level and attachment style. For this purpose, 474 male and female 10th and 11th grade students were selected for a survey from two high schools in Incheon.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IPPA-R) was used to measure their attachment level, Inventory of Attachment Style to measure their attachment style, Sense of Inferiority Inventory to measure their sense of inferiority, and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STAXI-K) to measure their anger expression. The following summariz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First, in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in students' sense of inferiority according to attachment level, it was found that the all subfactors of inferiority (physical inferiority, academic inferiority, family inferiority, and social inferiority)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group with weaker attachment level. The highest sense of inferiority was academic inferiority, followed by social inferiority, physical inferiority, and family inferiority. Second, in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in students' anger expression according to attachment level, it was found that the group with weaker attachment level has significantly higher anger-in and anger-out, but anger-control was similar for all groups. Third, in result of comparing the difference in students' sense of inferiority according to attachment style, it was found that the four styles of attachment - secure, dismissing, preoccupied, and fearful - have influence in the sub-factors of inferiority: physical inferiority, academic inferiority, family inferiority, and social inferiority. The sense of inferiority was experienced less in secure style and dismissing style and was experienced more in preoccupied style and fearful style Fourth, in result of comparing the difference in students' anger expression according to attachment style, it was found that the four styles of attachment - secure, dismissing, preoccupied, and fearful - have influence on the subfactors of anger expression: anger-in, anger-out, and anger-control. Anger-in was experienced more in fearful style, preoccupied style and dismissing style, and was experienced more in secure style. Anger-control was experienced less in secure style and preoccupied style and was experienced more in dismissing style and fearful style. This was an integrative study of the sense of inferiority and anger expression of the adolescence according to attachment level and attachment style and its significance is that it provides basic resources for parent counseling in terms of the influence of attachment level and attachment style on the sense of inferiority and anger expression of the adolescence.

      • 암환자의 심리사회 적응 구조모형

        이선주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Amid the recent increase of the cancer incidence, the survival rate of the cancer patients has been increased due to the developments of the science and medical technology. However, they experience the fear and the anxiety once they are diagnosed. Also, they suffer from psychological and social difficulties as well as physical pains during the treatment. The patients spend the painful time psychosocially on the repeated treatments and progressions for a long time during the treatment courses. It is necessary to accept the changed situation and to participate in the treatments actively together with continuous management of their health.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basic data to develop the nursing interventions for self-initiated healthy lives by adjustment to the psychological society. In this study, the structural model was described and validated to understand the degree of the cancer patients’ adjustment to the psychological society and to estimate the factors to affect the adjustment to the psychological society directly and indirectly based on Kim In Ja’s theory (1997) which combined with Roy’s adjustment theory and proposition of stress-evaluation-countermeasure by Lazarus and Folkman. The measurement variables consisted of three external ones including symptom experience,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and six internal ones including uncertainty, overcome, self-esteem, problem oriented countermeasure, emotional oriented countermeasure, and adjustment to the psychological society. The study subjects were the cancer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gastrointestinal cancer, breast cancer, pulmonological cancer, genitourinary cancer, and so on as the inpatients or outpatients in the general hospitals in D City. The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by self-reported survey form from November 20, 2016 to February 10, 2017, and 200 data were analyzed out of 220. Data analysis was performed with SPSS Win 23.0 by descriptive analysis per demography and study variables. Applicability of hypothesis model and its test were performed using Amos 23.0 program.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1. Upon the fit analysis of the hypothetical model, overall fit index of the model was = 300.52(p<.001), /df= 2.76, GFI .86, RMSEA .09, NFI .83, CFI .88, NNFI(TLI) .83, AGFI .86, PNFI .59, demonstrating the necessity of the amended model. 2. To enhance the fit level of the hypothetical model, the amended model supporting 11 paths as a whole was finalized by deleting the paths if the value between the measured errors is smaller by amended index measurement. 3. Upon the fit analysis validation of the amended model, the results showed with =121.07(p<.001), /df=2.24, GFI=.93, RMSEA .08, NFI .90, CFI .94, NNFI(TLI) .90, AGFI .86, PNFI .54 suggesting the better amended model than the hypothetical model. 4. According to the validation results of the amended model,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on the uncertainty of the cancer patients were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demonstrating 55.1% explanatory power of uncertainty to the cancer patients by these variables.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on overcome were social support, depression, and uncertainty, demonstrating 40.3% explanatory power of overcome to the cancer patients by these variables.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on self-esteem were social support, depression, and overcome, demonstrating 44.1% explanatory power of self-esteem to the cancer patients by these variables.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on problem oriented countermeasure were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demonstrating 32.2% explanatory power of problem oriented countermeasure to the cancer patients by these variables.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on adjustment to the psychological society were symptom experience and uncertainty, demonstrating 41.0% explanatory power of adjustment to the psychological society to the cancer patients by these variables. In conclusion, symptom experience and uncertainty were found to be the crucial factors to affect the cancer patients’ adjustment to the psychological society. Using these results, it should be prepared to develop symptom relieving programs, objective treatment directions, potential symptoms and nursing interventional program on the information to lower the experiences of symptoms. To lower the uncertainty, it should be prepared to develop the programs of adjustment to the psychological society by self-support meeting of the cancer patients who were in common to have counseling and treatments on the progression and treatment plans after diagnosis of their cancers.

      • 중장년층의 성공적 노화에 대한 요구분석

        이선주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A Study on Successful Aging Needs in the Middle-aged Class This study targets the middle-aged class, between the age of 40~65, to empirically verify their successful aging needs.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configured. [Research Problem 1] What are the needs per component factor for successful aging in the middle-aged class? [Research Problem 2] What are the needs per component factor question for successful aging in the middle-aged class? [Research Problem 3] What are the lifelong education needs for successful aging in the middle-aged class? A survey for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approximately a month, from January 15th to February 15th 2020. Convenience sampling was used for the selection of survey participants. The survey consists of 55 questions in total; 6 on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participant, 31 on successful aging, 18 on lifelong educations they want to learn for successful aging. 270 surveys were distributed of which 250 were retrieved (retrieval rate: 92.5%), and excluding 47 half-hearted surveys, 203 surveys (effective data rate: 81.0%) were used as the research material for this study analysis. Using the SPSS 21.0 program,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Borich’s Demand, LFF analysis was carried out on the collected data. Through this process, the following results were analyzed. First, the analysis of needs per component factor for successful aging showed orientation for self-perfection in the top priority group. Second, the analysis of needs per component factor question for successful aging showed no.7 & no.9 for autonomous life and no.29 & no.30 for acceptance of others in the top priority group. Autonomous life was no.7 ‘I try to correct habits that are destructive to my health’ and no.9 ‘I maintain the necessities of my life within my means’. Acceptance of others was no.29 ‘When something upsets me, I don’t dwell on it for long’ and no.30 ‘I can well accept the stance of younger generations’. Third, the analysis of needs per component factor question for successful aging showed no.14 & no.15 for self-perfection, no.16 for active participation in life, no.23 & no.25 for satisfaction with children, and no.26 for proprioception in the secondary priority group. The contents of each question was no.14 ‘I donate stuff for others when I get the chance’, no.15 ‘I consistently exercise to maintain my health’, no.16 ‘I take part in many social activities (leisure and religious activities)’, no.23 ‘My children have brotherly-sisterly compassion for one another’, no.25 ‘My children’s family is harmonious’, no.26 ‘I feel that I have value of existence in this world’. Fourth, the analysis of lifelong education needs for successful aging showed ‘health care’ and ‘language’ in the top priority group. ‘Hobbies and instruments’ ‘investment techniques and real estate’ was in the secondary priority group. Fifth, the reason for not participating in lifelong education showed ‘lack of education information’ in the top priority group, and ‘economical reasons’ ‘health reasons’ was in the secondary priority group.

      • 방과후학교의 사회계층별 만족도 및 요구 분석을 통한 효과적인 방과후학교 운영 방안 연구 : 대전광역시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이선주 公州敎育大學校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level satisfaction and demand by different social classes for elementary After-School Education in based on elementary After-School in Daejeon area and subsequently proposed a method to effectively operate the after-school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rents have the demand to set up various programs which will improve their children's ability and aptitude. Therefore the study suggested the need to understand the demand to operate the program. Second, the lower class had the highest demand for supplementary learning of basic English, Math etc.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balance between variations in the levels of demand for after-school education. Third, the upper class had lower demand for mathematics and basic English related after-school education as opposed to a higher demand for science, logic and creativity related program. This means into the dependence of their children's English and mathematics learning by private or extra education, and their demand to take advantage of after-school education when it comes to miscellaneous learning. But, the lower class have a desire to make use of after-school education for the learning of major subjects. Last, the upper and lower class highly favors various performance or exhibition as a means of evaluating after-school education. They all want to confirm their children's abilities and talents. But the lower class don't have enough time to pretend the performance or exhibition. For this reason, teachers have the need to promptly notify what is going on with the programs in the interest of the lower class and working parents and the use of private consultation, presentations and open lessons must also be well balanced. As the outcomes may differ between schools, further studies in relation to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after-school Education programs that reflects the demands made by parents are required. With further studies to be done in the near future, we can expect to see improvements in post-school programs in terms of quality and thus active participation by different social classes. 이 연구는 사회계층에 따른 방과후학교에 대한 만족도와 요구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규명하여 방과후학교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의 사회계층에 따라 방과후학교 활동에 대한 학부모의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가정의 사회계층에 따라 방과후학교 특기․적성 프로그램에 대한 학부모의 요구에는 차이가 있는가? 셋째, 가정의 사회계층에 따라 방과후학교 보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부모의 요구에는 차이가 있는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병행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하여 방과후학교 개념, 방과후학교의 추진과정, 방과후학교의 목적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러한 문헌연구를 토대로 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조사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연구는 대전광역시 교육청 산하 2개의 각 지역교육지원청에서 각 3개의 초등학교를 선정하여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을 수강한 경험이 있는 학생의 학부모 3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총 30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배부하였는데 262부가 회수되었으며 유효 설문지 212부를 최종자료로 활용하였다. 사용된 측정 도구는 방과후학교에 대한 사회계층별 만족도와 요구 분석에 관한 질문지이다. 가정의 사회계층을 측정, 방과후학교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부모 만족도와 요구 분석을 위한 질문지는 이언정(2008)이 사용한 초등학교 <방과후학교>에 관한 만족도․ 요구 조사를 위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회수된 질문지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분석 하였다. 먼저 사회계층을 측정하기 위해 먼저 사회계층을 결정하는 연구대상의 인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통해 빈도수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사회계층별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의 만족도 차이 검증을 위하여 분산분석을 이용하였으며, 교차분석을 이용하여 x2(Chi-square)값을 구하였다. 그리고 사회계층별 방과후학교 교육 프로그램의 요구에 대한 차이 검증을 위해서도 교차분석을 이용하여 x2(Chi-square)값을 구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얻어진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방과후학교에 대한 사회계층별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프로그램운영, 수업내용, 지도교사, 시설환경, 평가효과에 대해서 사회계층에 관계없이 전반적으로 학부모가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평가효과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만족 정도의 차이는 하위계층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중위계층, 상위계층 순이었다. 둘째, 특기․적성 프로그램에 대한 사회계층별 요구를 분석한 결과 상위계층은 논리·창의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놀이 프로그램, 중위계층은 취미․소질 발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하위계층은 부족한 과목을 보충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교과 교육 관련 특기․적성 프로그램에 대한 사회계층별 요구를 분석한 결과 상위계층은 과학 관련 프로그램, 중위계층과 하위계층의 경우 수학 관련 프로그램이 가장 높게 나왔다. 음악 관련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조사 결과 상위계층은 플롯고, 중위계층은 바이올린, 하위계층은 오카리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미술, 컴퓨터, 국어․논리․창의력, 취미 관련 프로그램에 대한 사회계층별 요구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관련 프로그램에 대한 사회계층별 요구 분석 결과는 상위계층은 검도와 발레, 중위계층은 검도, 하위계층은 축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특기․적성 프로그램의 교재에 대한 사회계층별 요구는 계층별 요구의 정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만 전체적으로 지도교사가 만든 교재에 대한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평가 방법에 대한 사회계층별 요구는 전체적으로 발표회 및 전시회, 공개수업, 아동․학부모 개별상담과 가정통신문 순으로 발표회 및 전시회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대부분의 학부모가 발표회 및 전시회에 대해 높은 요구를 보이고 있지만 상위계층일수록 발표회 및 전시회 형태의 평가 방법을 더 많이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 프로그램에 대한 사회계층별 요구를 분석한 결과 사회계층에 따른 학교 내 보육 프로그램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여부는 대부분의 학부모가 필요하다는 인식하고 있었다. 보육 프로그램의 중점 기능에 대한 사회계층별 요구는 전체적으로 부모를 대신하는 활동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아동의 욕구․흥미를 위한 활동, 공동체 의식 함양 순으로 나타났다. 놀이 및 예체능 관련 보육 프로그램에 대한 사회계층별 요구 분석 결과 상위계층은 플롯, 중위계층은 한글서예, 하위계층은 종이접기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사회계층별에 따른 놀이 및 예체능, 체험활동에 대한 요구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어 관련 보육 프로그램에 대한 사회계층별 요구는 상위계층은 영어회화 심화반, 중위계층과 하위계층은 영어회화 기초반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보육 프로그램의 교재

      • 주관적 집단역학의 발달적 모형에 기초한 유아의 차별적 판단능력 분석

        이선주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주관적 집단역학의 발달적 모형을 바탕으로 완전한 최소집단 패러다임에 기초한다. 본 연구는 집단 충실성과 도덕성을 차별적 판단기준으로 할 때 경쟁적 상황과 협력적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집단과 집단 구성원에 대한 차별적 판단능력을 비교하고, 차별적 판단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쟁적 상황과 협력적 상황의 집단과 집단구성원에 대한 차별적 판단에는 차이가 있었다. 둘째, 경쟁적 상황에서 집단과 집단구성원에 대한 차별적 판단은 차이가 있었다. 셋째, 경쟁적 상황과 달리 협력적 상황에서 집단과 집단구성원에 대한 차별적 판단능력 간 관련성은 없었다. 넷째, 경쟁적 상황과 협력적 상황의 집단 기반 차별적 판단과 도덕성 기반 차별적 판단은 차이가 있었다. 다섯째, 경쟁적 상황의 집단 기반 차별적 판단과 도덕성 기반 차별적 판단은 차이가 있었다. 여섯째, 협력적 상황에서 집단기반 차별적 판단과 도덕적 기반 차별적 판단은 차이가 있었으나, 차별적 판단능력 간 관련성은 없었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경쟁적 상황에서는 내집단과 내집단 지지구성원에 대한 긍정적인 판단을 했다. 협력적 상황보다 경쟁적 상황일 때 내집단 지지구성원에게 많은 분배를 많이 했다. 둘째, 경쟁적 상황에서는 비충실한 내집단구성원보다 충실한 내집단구성원을 긍정적으로 판단했고, 충실한 외집단구성원보다 비충실한 외집단구성원이 충실한 내집단구성원에 대한 긍정적인 판단을 했다. 셋째, 경쟁적 상황과 달리 협력적 상황에서는 집단간 편향과 차별적 포함과 차별적 평가, 차별적 분배의 교호작용 효과는 없었다. 넷째, 협력적 상황에서 집단간 편향과 도덕적 기반 차별적 포함은 도덕적 기반 차별적 평가에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경쟁적 상황에서 도덕적 내집단구성원이 비도덕적 내집단구성원보다 도덕적 내집단 구성원과 도덕적 외집단구성원에게 긍정적인 판단을 했고, 도덕적 외집단 구성원이 비도덕적 외집단구성원보다 도덕적 내집단구성원과 외집단구성원에게 긍정적인 판단을 했다. 여섯째, 협력적 상황에서 집단기반 차별적 평가에 집단간 편향과 집단기반 차별적 포함은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았다. 본 연구의 교육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사회적 포함과 배제가 차별적 판단에 근거하여 발생하므로 유아의 차별적 판단에 대한 이해가 필요할 것이다. 둘째, 유아기의 경우 발달적 특성상 구체물을 통한 분배과제를 사용하여 차별적 판단능력을 분석하는 것이 적합할 것이다. 셋째, 유아의 발달적 특성에 따른 차별적 판단능력을 고려하여 집단활동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 영아의 보육시설 초기 적응프로그램 실태 및 교사의 인식

        이선주 배재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actual condition and teacher's recognition of the infant early adjustment program in infant day care centers. To achieve this purpos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re determined as followings: 1. How is the actual condition of the infant early adjustment program in day care centers? 2. How do teachers implement the infant early adjustment program in day care centers? 3. How is teacher's recognition of the infant early adjustment program in day care cent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0 teachers who had experience of infant class. Samples were collecㄹted from public, corporate body, private, house, and work place day cares (70 from only-infant day care centers and 130 from general day care center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28 items in total (8 for background of respondent, 7 for actual condition of the infant early adjustment program, 3 for teacher's implementation methods of the program, and 10 for teacher's recognition of the program). The data was analyzed with SPSSWIN 12.0 and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each item were calculated.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 it was found that almost all day care centers (94.5%) implemented the infant early adjustment program. Respondents who did not have the infant early adjustment program implied that there was a need for developing a program with appropriate and detailed methods and a program which can be implemented with little manpower and time of teachers. Second, it was found that 'things that infants are attachment' and 'care room atmosphere' were chosen as practical methods which teachers used for the infant early adjustment program. Things that infants are attachment were provided for making infants feel comfortable in the course of adjustment and care room atmosphere was also for comfortable and relaxed feeling. This means that teachers focused to making environment of day care centers similar to home as comfortable as possible. Third, it was found that teachers recognition that the infant early adjustment program is very important(98.8%). Teachers are early adjustment program helped infant adapt to day care step by step. It is needed that teachers should observe how infants adapt to day care with systematic way and should develop more objective material for evaluation of their adjustment. 본 연구는 영아전담보육시설과 일반보육시설로 나누어 영아의 초기적응프로그램 실태 및 교사의 인식에 대해 알아보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영아의 보육시설 초기적응 프로그램의 실태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영아 보육시설에서 실시하고 있는 초기적응프로그램을 위한 교사의 실행방법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영아 보육시설에서 초기적응프로그램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대전에 위치한 영아전담 보육시설과 일반보육시설의 공립·법인·민간·가정·직장 보육시설(영아전담보육시설 70부, 일반보육시설 130부)에서 영아반 경험이 있는 200명의 보육교사이다. 설문지는 개인적 변인(8문항), 영아의 보육시설 초기적응프로그램에 대한 실태(7문항), 초기적응프로그램을 위해 교사가 실시하고 있는 방법(3문항), 초기적응프로그램에 대한 교사 인식(10문항) 등을 포함한 총28문항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WIN 1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문항에 대한 응답을 빈도와 백분율로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아의 보육시설 초기적응프로그램은 영아 보육시설(94.5%)에서 초기적응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실시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이는 대부분의 영아 보육시설에서 초기적응프로그램을 활용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영아 보육시설에서 영아의 보육시설 초기적응을 돕기 위한 교사의 실행방법을 살펴보면, 영아가 보육시설에 적응을 할 때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영아의 애착 물건’들을 환경으로 제공하고 있으며, 영아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보육실 분위기’제공으로 영아가 보육시설에 적응할 때 안정감을 가질 수 있도록 돕는 방법을 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영아 보육시설의 교사들은 영아의 초기적응을 위한 환경구성으로‘가정과 유사한 안락한 공간 마련’에 가장 역점을 두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영아 보육시설의 교사들은 영아의 보육시설 초기적응프로그램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98.8%로 매우 높음을 알 수 있으며, 점진적인 단계로 적응을 돕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므로 영아 보육시설의 교사들은 영아가 보육시설에 잘 적응 할 수 있도록 민감하고 체계적인 관찰을 통해 영아의 보육시설 초기적응여부를 파악하고, 관찰이외의 좀 더 객관적인 자료를 개발하여 적절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 BGT를 통한 아동의 공격성 연구

        이선주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BGT(Bender Gestalt Test)를 아동에게 실시하여 Koppitz의 정서지표 10가지에 의하여 채점하였을 때 각 기준에 반응한 아동과 반응하지 않은 아동간에 공격성 정도는 차이가 있는지를 초등학교 3, 4학년 남녀아동 253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자료수집은 연구자가 초등학교 4개교 3, 4학년 각각 2학급을 직접 BGT와 공격성 검사를 실시하였고, 자료결과는 가설별로 t-검증하였으며 집단간의 평균차이 검증은 5%의 유의수준으로 하였다. 연구결과와 논의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아동의 공격성은 4학년이 3학년보다 높다. 그러므로 4학년 아동의 공격성 감소지도가 더욱 필요하다. 2. 아동의 공격성은 성별차이가 없었다. 여자 아동의 공격성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3. BGT의 배치곤란 반응에서 유반응을 보인 아동이 무반응을 보인 아동의 공격성 보다 높다. 그러므로 BGT 배치곤란은 아동의 공격성 측정에 유용하다. 4. BGT의 파선 반응에서 유반응을 보인 아동이 무반응을 보인 아동의 공격성 보다 높다. 그러므로 BGT 파선은 아동의 공격성 측정에 유용하다. 5. BGT의 원 대신 대시 반응에서 유반응을 보인 아동이 무반응을 보인 아동의 공격성 보다 높다. 그러므로 BGT 원 대신 대시는 아동의 공격성 측정에 유용하다. 6. BGT의 점진적 크기 반응에서 유반응을 보인 아동이 무반응을 보인 아동의 공격성은 차이가 없다. 그러므로 BGT 점진적 크기는 아동의 공격성 측정에 유용하지 못하다. 7. BGT의 과대묘사 반응에서 유반응을 보인 아동이 무반응을 보인 아동의 공격성 보다 높다. 그러므로 BGT 과대묘사는 아동의 공격성 측정에 유용하다. 8. BGT의 과소묘사 반응은 3학년 아동에서만 유반응을 보인 아동이 무반응을 보인 아동의 공격성 보다 높다. 그러므로 BGT 과소묘사는 아동의 공격성 측정에 대체로 유용하다. 9. BGT의 약한 선 반응에서 유반응을 보인 아동이 무반응을 보인 아동의 공격성은 차이가 없다. 그러므로 BGT 약한 선은 아동의 공격성 측정에 유용하지 못하다. 10. BGT의 가중묘사/강한 선 반응에서 유반응을 보인 아동이 무반응을 보인 아동의 공격성 보다 높다. 그러므로 BGT 과대묘사는 아동의 공격성 측정에 유용하다. 11. BGT의 반복시행 반응에서는 전체 아동에서만 유반응을 보인 아동이 무반응을 보인 아동의 공격성 보다 높다. 그러므로 BGT 과대묘사는 아동의 공격성 측정에 대체로 유용하다. 12. BGT의 확산 반응에서 유반응을 보인 아동이 무반응을 보인 아동의 공격성은 차이가 없다. 그러므로 BGT 점진적 크기는 아동의 공격성 측정에 유용하지 못하다. 특히 BGT 도형의 파선 반응과 원 대신 대시 반응은 남자 아동보다 여자 아동에서 많이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scores of the BGT(Bender Gestalt Test) scored using Koppitz' ten criteria of emotion can explain the degree of children's aggression or not based on means differences of students' responses in BGT by their degrees of aggression, grade, and gender, Two hundred fifty three students, who are third or fourth grade students from four elementary schools in Busan, have been selected for this study. They responded the Self-Evaluation Aggression Scale, and traced out a copy from the original BGT cards. The t-test was conducted to test all of the hypotheses at .5 level of significance using the SPSS program. Conclusions from results and discuss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Students who are fourth grade had higher degrees of aggression than students who are third grade, so that it is necessary to guide how to reduce their aggression for the third grade students. 2. There is no difference of aggression between male and female. However, the degree of aggression for female students is increased by grade. 3. The children who show the response in confused order of the BGT have higher degree of aggression than children who do not show it. So that the confused order of the BGT can be used to measure children's aggression. 4. The children who show the existence of response in wavy line of the BGT have higher degree of aggression than children who do not show it. So that the wavy line of the BGT can be used to measure children's aggression. 5. The children who show the existence of response in dashes substituted for circles of the BGT have higher degree of aggression than children who do not show it. So that the dashes substituted for circles of the BGT can be used to measure children's aggression. 6.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degree of aggression between children who show the existence of response in increasing size of the BGT and children who do not show it. So that the increasing size of the BGT can not be used to measure children's aggression. 7. The children who show the existence of response in large size of the BGT have higher degree of aggression than children who do not show it. So that the large size of the BGT can be used to measure children's aggression. 8. The children who show the existence of response in small size of the BGT have higher degree of aggression than children who do not show it. So that the small size of the BGT can be used to measure children's aggression. 9.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degree of aggression between children who show the existence of response in fine line of the BGT and children who do not show it. So that the fine line of the BGT can not be used to measure children's aggression. 10. The children who show the existence of response in careless overwork or heavily reinforced line of the BGT have higher degree of aggression than children who do not show it. So that the careless overwork or heavily reinforced line of the BGT can be used to measure children's aggression. 11. The children who show the existence of response in second attempt of the BGT have higher degree of aggression than children who do not show it. So that the second attempt of the BGT can be used to measure children's aggression. 12.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degree of aggression between children who show the existence of response in expansion of the BGT and children who do not show it. So that the expansion of the BGT can not be used to measure children's aggression. Especially, the responses of wavy line and dashes substituted for circles were found more in female students than male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