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3차원 원격 이미징을 위한 인코히런트 디지털 홀로그래피 연구

        이문섭 전북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1948년 영국의 물리학자 데니스 가버가 빛의 간섭을 이용한 홀로그래피의 기본원리를 발견한 이래 홀로그래피 기술은 발전을 거듭하여 왔다. 홀로그래피는 기준광과 물체광의 간섭을 통해 물체광의 크기와 위상을 기록하는 기술로 물체의 완전한 3차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필름 등에 기록 및 재생하는 아날로그 홀로그램은 이미 수십 전에 개발되어 산업 및 문화적으로 폭넓게 이용되고 있으나, 디지털 장치를 통해서 홀로그램을 기록하는 것은 아직 현미경이나 근접 장 단계에 머물러 있어 원격 3D 이미징등 장거리, 큰 피사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최근 정부에서는 3D 분야의 기술적 리더십을 확보하기 위해 홀로그램 발전전략을 수립하고 원격 홀로그래피 이미징, 홀로그래픽 카메라 등을 중요한 연구과제로 추진하고 있다. 디지털 홀로그래피는 전자광학적 소자, 예를 들어 전자광학센서(CCD, Charged Coupled Detector), 디지털 카메라, 포토다이오드 등을 통해 물체의 형상정보를 담고 있는 간섭광의 위상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가간섭성이 좋은 코히런트 광원(레이저 등)을 사용하여야 하지만 가간섭길이의 한계와 스펙클 잡음으로 인해 홀로그램 해상도와 화질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이를 위해 최근 인코히런트 특성을 가지는 광 스캐닝 홀로그래피와 LED 등 인코히런트 광원을 사용하는 인코히런트 디지털 홀로그래피가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포토다이오드를 사용하여 디지털 복소 홀로그램을 생성하는 광 스캐닝 홀로그래피를 기반으로 하여 푸리에 변환 및 위상천이를 이용한 헤테로다인 광 스캐닝 홀로그래피를 제안한다. 이는 본 기술을 3차원 원격 이미징에 적용하기 위해서 반사형으로 광학계를 구성하고, 기존의 연구와 달리 푸리에 변환 및 위상천이기법을 이용하여 헤테로다인 복조를 수행함으로써 복소 홀로그램을 획득하였다. 이는 헤테로다인 광이 인코히런트 특성을 가짐으로써 홀로그램에 스펙클현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그리고, 많은 복원시간이 필요한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에서 벗어나 광학적 방식으로 빠른 복원을 위한 자동초점기능에 대해서 실험과 이론을 통해 증명하였다. 또한, 광원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인코히런트 디지털 홀로그래피에서는 LED를 광원으로 사용하고 기존 연구와 달리 랜덤 스캐터링 미러를 적용한 새로운 광학적 설계와 홀로그램 획득 및 복원에 대해서 연구하고 이를 3차원 이미징에 적용하였다. 이를 통해 인코히런트 디지털 홀로그래피의 원격 3차원 이미징 기술에 대한 하나의 응용사례로서 국방분야에 활용이 가능한 위장물체 탐지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원격 3차원 이미징을 위한 홀로그래피 카메라나 로봇 3차원 이미징, 머신비전, 국방 감시 등에 활용할 수 있는 기반 기술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WiMAX 네트워크 상에서 TCP 혼잡제어 알고리즘 성능 분석

        이문섭 서울시립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무선 네트워크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기존의 유선 네트워크 영역이 무선으로 대체되고 있다. 차세대 무선 이동 통신 기술의 하나인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는 광대역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여 유선영역을 무선으로 대체하고, 고속의 이동상황에서도 고속의 데이터 전송률을 제공하여 최근 주목받고 있다. WiMAX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응용 계층들이 여전히 TCP/IP 계층을 사용하고 있으며, 기존의 TCP 전송기법들이 유선 네트워크를 주로 고려한 한계가 있으므로 전송 계층에서 WiMAX 성능 향상 연구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실제 WiMAX 네트워크 상에서 전송 계층이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국내 상용 WiMAX 네트워크 서비스인 WiBro(Wide Broadband) 망을 이용하여 TCP의 성능을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실험은 TCP 성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TCP 혼잡제어 알고리즘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TCP Reno, TCP Veno, TCP, Westwood, TCP Cubic 등 4개의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진 알고리즘을 선정하여 Payload와 소켓 버퍼 크기에 따른 성능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동 상황을 고려하여 핸드오프(Handoff)에 따른 영향에 따른 성능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TCP 연결의 MSS(Maximum Segment Size) 크기보다 큰 Payload를 사용할 경우 세그먼트 분리에 의한 전송 패킷량의 증가로 인해 알고리즘간의 성능 차이가 크게 발생하였으며, 소켓 버퍼 크기가 커질수록 재전송률이 낮아지며 처리율도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하위 계층의 HARQ(Hybrid Automatic Retransmission Query) 기법의 사용으로 인해 채널 수준의 패킷 손실이 TCP 계층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동 상황에서 발생하는 핸드오프는 TCP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며, 알고리즘간 대처 방안에 따라 성능차가 발생하였다.

      • 아스팔트 혼합물의 용적 및 강도 특성에 근거한 적정 다짐온도의 결정 연구

        이문섭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In order to determine the optimum compaction temperature range based on volumetric and strength properties of asphalt mixtures, this 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using Marshall compactor and Superpave gyratory compactor. Two dense-graded aggregates with maximum size of 13mm and 19mm for surface course asphalt mixtures, which is most widely in use in Korea, were used in this study. Two hot mix asphalt (HMA) mixtures and a warm mix asphalt (WMA) mixture were prepared. The binder for HMA mixtures were a PG64-22 normal asphalt and a PG76-22 polymer modified asphalt (PMA), and the binder for a WMA mixture was a PG70-22 asphalt. The bulk density (Gmb), air-void ratio, voids in mineral aggregates (VMA), void filled with asphalt (VFA), and deformation strength as strength property were used as variables for analyses of the effect of compaction temperature. The compaction temperatures used for evaluation of WMA were 75, 95, 115 and 135oC, those of HMA were 115, 135, 155, and 175oC.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is experimental study are as follows: 1. The method of determining compaction temperature using viscosity, which was originally used for determination of compaction temperature, was found to be only appropriate for normal (non-modified) asphalt binder. When it was applied to polymer-modified asphalt (PMA) and WMA binder, the temperature determined thereby were too high to use practically. Because of too high temperature level, if the temperature is used, the asphalt may be damaged, which is a similar result to the previous foreign study. 2. When determining compaction temperature using volumetric and strength properties, the compaction temperatures of HMA with Marshall compactor and Superpave gyratory compactor showed, in general, no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wo compactors, even though there were somewhat minor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binder grade. From the study results, the suggested compaction temperatures which were adjusted for practically usage for HMA are 130~155℃ for PG64-22 and 135~160℃ for PG76-22. Those are as much as 40℃ lower than what was obtained by the viscosity method. 3. The WMA mixture was less influenced by compactor and aggregate grain size because its compaction was possible even at 95℃, but the optimal temperature was found to be 115∼140℃. By virtue of the WMA additive used for reducing viscosity of binder and workable temperature, it showed almost the same compaction work as for HMA at those lower temperature ranges. 4. In case of 13㎜ HMA, the gyratory compaction was possible at a temperature approximately 20℃ lower than the Marshall compaction. This mean the former provided more efficient compac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19㎜ HMA, the temperature was found to be almost the same for the two compactors, showing that there is some influence of compaction temperature due to aggregate size. 5. Analyses of compaction properties of gyratory compactor and marshall compactor found out that 21 out of 24 mixtures showed Air-void differences within 1%. This shows that the gyratory compaction level has the same compaction amount as the Marshall level. Therefore, the gyratory compaction level in the 2009 Guide by Ministry of Land, Transportation and Maritime Affairs was proved to be a reasonable value. 6. Analyses of compaction temperature based on the deformation strength (SD) by Kim Test indicated that the gyratory compactor had similar compaction work at the temperature almost 20℃ lower than the Marshall compactor. Also, in case of Marshall compaction of WMA mixture, some SD values was fallen below standard limit at some temperatures, but the gyratory compactor showed similar results as those of HMA, demonstrating gyratory compactor more efficiency for WMA. 7. Based on above study results, a method for preliminary determination of an optimum compaction temperature was suggested using an estimated asphalt content and the compaction temperature for binder and compactor given in Table 4-15. After preliminary determining an optimum temperature, it can be used for mix design of the same mixture. Following the determination of OAC, the determined temperature can be provided to the plant to control the manufacturing temperature so that the issue of discrepancy of mix-design results between the lab and the plant may be resolved. From the above results, the method developed in this study for determining an optimum compaction temperature may be applied to newly developed asphalt binders or existing asphalt binders and mixtures as the most effective way for compaction temperature determination.

      • 의료폐기물 관리정책에 관한 연구

        이문섭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2008년 1월부터 시행된 의료폐기물의 분류체계 등 관리정책의 변화과정과 의료종사자들의 관리정책에 대한 인식정도와 의료폐기물에 의한 상해 및 감염사례 그리고 상해 후 대처방법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의료폐기물 관리정책의 변화는 그동안 종류, 성상별 분류체계에서 위해성 위주로 개선되어 폐기물에 의한 감염사고 예방에 중점을 두었으며 보관기간 또한 개선 전에 대규모 의료기관의 경우 10일 소규모 병원의 경우 15일로 하던 것을 7일에서 30일까지 보관이 가능하도록 연장하였으며 보관온도 또한 0℃이하에서 4℃이하로 조정하였다. 배출용기는 합성수지 용기의 사용을 늘려 폐기물의 수집 이동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위해성을 차단하였다. 그리고 2008년 8월부터는 의료폐기물의 발생단계에서 부터 최종처리단계까지 전산화 되어 폐기물의 이동 및 발생량 집계가 가능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정책의 변화와 의료업종사자들의 의료폐기물 관리정책에 대한 인식정도를 알아보기 위한 설문조사에서는 응답자의 63%인 65명이 알고 있다는 대답을 하였고 32명은 모른다고 응답하였다. 그중 외주용역을 실시하고 있는 미화원의 경우 전체 설문지 응답자중 38명 모두가 알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의료폐기물에 의한 상해건수 중 51명인 49.4%가 상해를 경험한 경우가 있었다. 그중 55건이 주사바늘 등 날카로운 기구에 의한 상해였으며 그 다음이 혈액, 체액, 분비물 등에 노출된 경우가 32건이었다. 상해 후 대처방법으로는 58건이 감염관리실로 연락 후 지시를 받았으며 소독 및 지혈 그리고 자가 치료가 각각 45건과 10건인 것으로 응답하였다. 또한 환경부에 문의한 세부 분류사항에 관한 질문 중 조회 수가 높은 순서대로 작성한 질문 문항 중에서 정답 응답률은 약50% 정도였다. 의료폐기물의 분류체계 개선 후 상당한 시일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의료업종사자들의 의료폐기물 관리정책에 대한 인식정도는 외주 용역업체인 미화원을 제외하면 정답 응답률은 약 40%정도로 미흡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와 같은 결과는 의료폐기물 분류체계의 세분화로 인한 문제도 있지만, 분류체계에 대한 교육이 의무사항이 아닌 자체적으로 실시하는 교육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의료폐기물의 발생특성상 감염의 위험이 항상 존재하므로 발생과정부터 처리과정까지 안전하게 취급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일이며, 발생된 의료폐기물을 다른 곳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는 것과 사전에 멸균 처리하여 위해성을 사전에 차단하는 조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의료폐기물의 처리비용은 일반폐기물에 비해 5배 이상 고가 이므로 발생단계에서부터 철저하게 분리하여 폐기물의 발생량을 줄이는 정책이 뒤따라야 하겠다.

      • 效果的인 犯罪豫防을 위한 市民參與 活性化 方案에 관한 硏究

        이문섭 원광대학교 행정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Until the present day, our society pass through so many social changes. In company with these social changes, paradigms which affect on each generation have so many changes too. Public security operations by police are no exception from these social changes. One of today's main paradigms is policing for prevention. Another is the argument that policing for prevention is not achieved by police operation only without backup and cooperation of local residents in community. On the basis of these discussions, this study's main purpose set up deduction and suggestion that revitalization plans of citizen participation for effective crime prevention. Because, successful crime prevention essentially premise the needs what to participate at high level for crime prevention policing whom community citizens. Based on consequence of research, primarily suggests following schemes for activation of citizen participation. The first is the improvement of citizen participation programs associated with crime prevention which now running. In the programs which are associated with police, session of public security and self-control crime prevention by community residents has direct association of citizen participation. Both sides of police's internal and external, controversial problems are revealed as yet. From now on, these problems improve more desirable direction. The second is making practical application of various politic measures. For revitalization of citizen participation, we need to construction of networks which strengthen collaboration between citizen group and administrative organs besides police. Furthermore, for the publicity of crime prevention information and citizen participation programs, communication systems facilitate that. The third is enlargement of police's role to enhance connectedness between community residents. According to empirical studies, social relationship is one of condition to pave the way for voluntary crime prevention. Reverse side of that conclusion, citizen participation programs affect on the promotion of friendship between community citizens. Therefore, the roles of police in community are more important. On this wise, through these plans that improvement of existing citizen participation programs, use of various politic measures and enhancement of connectedness in community, citizen participation is more revitalizing. Ultimately, these are essential parts at this point in time when emphasizes community policing. 현대에 이르기까지 우리 사회는 많은 변화를 겪어왔으며 이러한 변화와 함께 각 시대에 지배적인 영향을 미치는 패러다임 또한 다양한 변화가 있었다. 이러한 변화의 물결에는 경찰의 치안활동도 예외가 아니었다. 현재의 주된 패러다임이라 할 수 있는 내용은 경찰활동의 본질적 과제이며 전통적 경찰활동이라 할 수 있는 사후 대응적 경찰활동의 한계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이 한계를 사전 예방적 경찰활동으로 극복하고자 하는 것과 경찰의 역할만으로는 사전 예방적 경찰활동의 본질인 범죄예방을 원활하게 이루기 어렵다는 점이다. 이러한 패러다임의 논의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경찰의 치안활동에 있어 범죄예방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효과적인 범죄예방이 이루어지려면 시민의 참여가 핵심적인 요건이라는 가정 하에 범죄예방과 관련된 시민의 참여를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의 제시를 목표로 하여 진행하였으며 논의의 결과 다음과 같은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현재 운영 중인 범죄예방관련 시민참여 프로그램의 개선이다. 범죄예방에 있어 주된 역할을 맡고 있는 경찰과 관련된 프로그램 중 생활치안 간담회와 자율방범대의 운영이 범죄예방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경찰 내외부적인 원인들에 의해 운영상의 문제점이 드러났다. 종래의 경찰협력단체가 부정적인 측면이 부각되어 대부분 자율화되는 과정을 거쳤으며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었으며 현재도 바람직한 방향으로 개선되어가는 과정에 있다. 둘째, 다양한 정책적 수단의 활용이다. 경찰과 연관된 시민참여 프로그램 외에도 다양한 정책적 수단을 동원할 필요성이 있다. 관련 시민단체나 경찰 이외의 행정기관 등과 협력체계를 구축하는 방법으로 연대를 강화하고 이를 통해 범죄예방을 꾀하는 방안은 물론 지역사회의 통신망이나 지역방송국 등 기존에 구축되어있는 네트워크를 이용한다면 범죄예방관련 정보의 제공과 함께 시민참여 프로그램의 홍보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지역사회 주민들의 유대감을 높이기 위한 경찰의 역할 확대이다. 사회적 유대는 지역주민의 자발적인 범죄예방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의 조건이기도 하며 실제로 행해진 경험적 연구에서도 지역사회에 대한 유대가 범죄예방활동 참여와 관련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반대로 위와 같은 경찰활동에 대한 시민참여 프로그램은 사회적 유대를 증진시켜주는 기능 또한 지니고 있다. 즉, 범죄예방 프로그램이 이웃 간의 우호증진에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오기도 한다는 것이다. 일례로, 자율방범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지역들의 경우 주민들 간의 유대감이 더 강하다는 연구결과가 이를 반증한다. 이와 같이 기존에 운영되고 있는 다양한 시민참여 프로그램들을 개선함은 물론 지역사회에 적합한 정책의 형성과 적용 그리고 지역사회의 유대감 조성 등의 방안을 통해 시민참여를 보다 더 활성화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결국 자치경찰제 전면시행을 앞둔 현재 지역사회 경찰활동이 강조되는 시점에 더욱 필요한 요소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