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강훈의 「오케스트라를 위한 ‘십자가 위의 일곱 말씀’」의 분석

        강훈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1871

        강훈의 「오케스트라를 위한 ‘십자가 위의 일곱 말씀’」은 예수가 십자가에 달렸을 때 남긴 일곱 말씀에 대한 연구자의 개인적인 느낌, 이미지 등을 표현한 표제적 작품이다. 이 작품에서 작곡자의 의도가 어떠한 방법에 의해 음악으로 표현되는지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그 결과를 정리하여 향후 연구자의 창작활동에 이론적 토대를 구축하는 것에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 작품의 효과적인 분석을 위해, 예수가 십자가 위에서 남긴 일곱 말씀을 알아보고, 작곡 배경, 작품의 개요와 그 구조를 정리하였다. 그리고 동기의 발전 과정과 표제를 표현한 여러 가지 방법들을 설명하였다. 「오케스트라를 위한 ‘십자가 위의 일곱 말씀’」은 2관 편성의 오케스트라와 2인의 타악기, 하프와 피아노를 포함하는 총 252마디의 단악장 작품이다. Introduction에는 이 곡의 전반에 걸쳐 다양한 방법으로 등장하는 〈동기 1(망치소리 동기)〉이 제시된다. 이 〈동기 1〉은 증 4도와 완전 4도에 의한 화음이 4번 반복되는 형태로 제시되고 이 곡의 전반에 걸쳐 변형되어 나타난다. Part I은 십자가 위의 일곱 말씀 중 제 1언, 제 2언, 제 3언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제 1언 “아버지여 저희를 사하여 주옵소서”를 표현하는 A부분에서는 관악기가 바람만 불어넣는 방법으로 내는 소리와 현악기의 sul ponticello, 하모닉스 주법에 의한 음색을 배경으로 하여 비브라폰의 선율이〈동기 1〉의 변형․발전에 의해 제시된다. 제 2언 “오늘 네가 나와 함께 낙원에 있으리라”라는 말씀을 표현하는 B부분에서는 E음을 중심으로 다른 몇 개의 음을 추가하여 점차 출현하는 음의 수가 많아지게 되고, 〈동기 1〉의 변형된 형태가 하프에 나타난다. 제 3언 “여자여 보소서 아들이니이다”의 내용을 표현하는 C부분에서는 두 개의 온음음계가 사용되는데 C#-D#-F-G-A-B로 된 음계는 호른에만 사용되고 나머지 악기군은 C-D-E-F#-G#-A#으로 구성된 선율로 진행한다. Part II는 제 4언 "엘리 엘리 라마 사박다니“라는 말씀과 그 상황을 묘사하는 내용으로 작곡되었는데 Part I에서와 달리 어떤 중심음이나 음계를 구성하지 않고 주로 단 2도와 장 2도, 완전 4도와 증 4도의 음정관계를 중심으로 진행한다. Part III는 제 5언 “내가 목마르다”의 말씀과 그 때의 예수의 심정을 표현하는 부분으로, 이 부분에서는 장3화음(D-F#-A)과 단3화음(D-F-A)이 같이 사용된 것이 특징적이며, 타악기의 음색이 제 5언의 분위기를 표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art IV는 제 6언 “다 이루었다”라는 내용을 표현한 부분으로 금관악기에서 새로운 형태의 〈동기 2〉를 제시하고 여러 악기군에서 대위적인 진행을 한다. Coda는 제 7언 “내 영혼을 아버지 손에 부탁 하나이다”를 표현한 부분으로 E음을 중심으로 한 선율과 화음이 주도적으로 나타나며 〈동기 1〉의 변형된 형태가 피아노와 하프에 사용되었다. 강훈은 표제적인 내용을 음악으로 표현하는데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작품을 작곡하고 있으며, 음악적인 내용에 있어서의 다양성과 통일성을 가지고 표제를 표현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오케스트라를 위한 '십자가 위의 일곱 말씀'」에서도 여러 개의 표제를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하면서 작품 전반에 걸쳐〈동기 1〉을 변화․발전시켜 통일성을 주고 있다. Hoon Kang's「'The Seven Words on the Cross' for Orchestra」is a programmatic piece illustrating the composer's personal feelings and images of the last seven words of Jesus Christ during his crucifixion. The major goal of this thesis is to establish a theoretical basis for the future composing works by objective analysis on the manner of composer’s musical expresses. For an effective analysis, this thesis details the background, overview, and musical structure of the piece, and lays out the seven words on the cross. This thesis also delves into the development of the motifs throughout the piece and various methods used to express the theme. The piece begins with Motive 1(the "Hammering" Motive), which is used in diverse ways throughout the piece. Motive 1 repeats the chord consisted with augmented fourth and perfect fourth four times. It appears throughout the piece in diverse alterations. Part I illustrates the first three words. Section A, depicting the first words, "Father forgive them, for they do not know what they do," is a transformation and development of Motive 1 played with a vibraphone while wind instruments add the sound of wind and the strings play sulponticello and harmonics as background. In section B, illustrating Jesus' second words, "Truly, I say to you, today you will be with me in paradise," the number of notes used gradually expands from note E. A transformation of Motive 1 is played by harp. Section C, narrating the third words, "Woman, be hold your son, " uses two diatonic scales ; C#-D#-F-G-A-B is played only by a horn, while all other instruments play C-D-E-F#-G#-A#. Part II illustrates the fourth words, "Eli Eli lama sabachthani?" and the surrounding circumstances at the time. Unlike Part I, Part II harbors no emphasis on any particular note or scale. Instead, it is developed mainly using minor second, major second, perfect fourth, and augmented fourth intervals. Part III describes the fifth words of Jesus, "I thirst," and the composer's interpretation of how Jesus would have felt at that moment. The use of both major third (D-F#-A) and minor third (D-F-A) in this part is distinctive. Percussion plays a key role in illustrating the mood of the fifth words. In part IV, where the sixth words of Jesus, "It is finished," is depicted, Motive 2 is introduced by brass instruments and developed in counterpart by various instruments. Coda, illustrating the last words, "Father, into your hands I commit my spirit," comprises of various melodies and chords emphasizing note E. A transformation of Motive 1 is played by piano and harp. In summary,「'The Seven Words on the Cross' for Orchestra」well exemplifies the composer’s music that expresses, develops, and transforms ideas adopted from the literatures and arts, and even from the Scriptures, using diverse compositional methods and playing techniques of instruments .

      • 흉추가동성 운동이 아마추어 수영선수의 경기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이강훈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855

        This research was conducted by dividing 19 students in 20s studying in N university of C city in Chung-Chyoung-Nam-Do Province into 2 groups; thoracic mobility excercise group and control group. This research was to study about effects of an application of exercising program to freestyle swimming records, functional mobility and spine morphology. The freestyle records were measured using HS-3v stopwatch, and it measured records of 20m of crawl stroke. The functional mobility evaluation was done using FMS method to measure scores of deep squat, In-line lunge, shoulder mobility and rotary stability. The spine morphology was evaluated by using Formetric 4D. This measured trunk length, sagittal imbalance, coronal imbalance, kyphotic angle, lodortic angle and vertebral rotation. The measured each variables were gone through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matching sample in time series t-test for each group respectively in order to verify an average difference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for each group. A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for the hypothesis testing was set as α=.05. The summary of this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From the 25m crawl stroke records during 4 weeks of thoracic mobility exercise program, the records for the thoracic mobility exercise group was shortened from 20.88±1.99(sec) to 18.81±2.06(sec).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is. The FMS scores were all changed in the thoracic mobility exercise group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deep squat was changed from 1.70±0.82(score) to 2.40±0.52(score), in-line lunge was changed from 1.50±0.53(score) to 2.20±0.63(score), shoulder mobility was changed from 1.20±1.22(score) to 2.10±1.10(score and finally the rotary stability was also changed from 1.40±0.51(score) to 2.20±0.63(score). These changes show that scores in all variables were improved, showing statistical significance(p<.05). However, in the spine morphology, trunk length was increased from 464.40±18.06(㎜) to 468.40±29.55(㎜). The measured degree for Sagittal imbalance was increased from 6.10±11.24(°) to 12.60±6.15(°), and the one for Coronal imbalance was also increased from 12.70±5.18(°) to 13.50±7.48(°). On the other hand, the measure degree for Lordotic angle was decreased from 36.50±7.67(°) to 36.40±8.14(°), and the one for Vertebral rotation was also decreased from 36.50±7.67(°) to 36.40±8.14(°). In this case,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in all variables was not shown.

      • 심층 강화학습 기반의 인공지능 화가 설계

        이강훈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855

        드로잉은 미적 감각과 심사숙고 능력을 동원한 인간 고유의 예술적 표현 방법이다. 그동안 컴퓨터 그래픽을 활용한 규칙기반의 여러 자동 드로잉 기법이 개발되었지만 다양한 드로잉 기법을 묘사하는 데에서 그 정교함과 예술성에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딥러닝 기술이 드로잉에 응용되면서 이전의 간극을 채우기 시작하였고, 예술 영역에서 인간과 인공지능의 경계가 빠르게 무너지고 있다. Stroke-based rendering (SBR)은 컴퓨터를 이용해서 스트로크라고 불리우는 붓터치와 같은 드로잉 요소의 위치나 색감 등을 고려해 가며 순차적으로 그림을 완성하는 문제이다. 본 학위논문에서는 주어진 목표 이미지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SBR을 수행할 수 있도록 에이전트를 강화학습하는 내용을 다룬다. 그림의 표현 기법은 예술적 의도에 따라 다양하기 때문에, 각 기법에 강화학습이 적용되는 양태 또한 다양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4가지의 드로잉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각 시나리오에 맞춰 강화학습을 적용한다. 제시되는 SBR 시나리오는 크게 펜 드로잉과 고급 드로잉 기법으로 나누어진다. 펜 드로잉에서는 단색의 펜을 활용하여 그리는 기법을 다루며, 행동의 단순성을 이용해 실제 로봇을 이용한 드로잉으로 확장시켰다. 고급 드로잉 기법에서는 여러 스트로크에 대하여 일반화된 스트로크-조건부 페인팅 및 여러 재료를 모아 그림을 완성하는 콜라주 기법을 다룬다. 제시된 방법을 참고하면 드로잉과 관련한 인공지능 에이전트를 설계하고자 할 때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은 드로잉 소프트웨어, 영화, 애니메이션, 장난감, 공연 및 전시 등의 다양한 예술 산업에 활용될 수 있다. People easily draw to express their thoughts, while drawing requires some level of aesthetic sense or even pondering ability. We can find drawing is a high-intellectual behavior when we recall the fact that drawing is common in people but not in animals. For that reason, hand-crafted algorithms devised for automated drawing have limitations representing the subtle pattern of diverse drawing styles. However, several recent artworks have engaged deep learning techniques, filling the gap between computational automation and aesthetic sense. Stroke-based rendering (SBR), one of the computer graphics-based drawing tasks, is a task placing ``stroke" such as brush touches and stipples on the digital canvas to complete target drawings. In this article, total 4 kinds of reinforcement learning algorithms for each style of SBR scenarios are presented. Those scenarios are divided into pen drawings and high-level drawings: pen drawing denotes doodle-like drawings drawn with single-colored pen, while high-level drawing denotes painting-like drawings drawn with diverse realistic strokes or some parts of magazines. This article can be a useful reference to artificial drawing agents using deep reinforcement learning, and the proposed methods can be utilized to various art industries such as drawing software, movies, animations, toys, shows, exhibitions, and so on.

      • 안전과 보안기능 중심의 사용자 친화적 지능형 홈 로봇 개발

        이강훈 인제대학교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1855

        현재 U-City라고 불리는 첨단그린도시를 지향하는 정부차원의 계획도시에 대한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더불어 가정자동화에 대한 관심 또한 증가되고 있다. 기존의 가정자동화 시스템은 고정된 위치의 센서 및 기기를 활용한 시스템이 일반적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시스템의 제한적인 정보 수집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기존 시스템에 이동로봇을 적용하여 다양한 환경 정보를 수집하며 사용자가 가정에 없을 경우 로봇은 안전과 보안의 기능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사용자가 간단한 게임을 즐길 수 있는 놀이 도구로 활용된다. 본 연구로 개발된 홈로봇은 상용의 청소로봇과 비슷한 크기를 가지고 있으며 실시간 운영체제(MicroC/OS-II)에 의해 동작하며 실내를 자율 주행한다. 로봇에 부착된 가스센서, 인체감지센서 등으로 환경정보를 수집하고 RFID 태그 인식을 통해 위치인식을 한다. 그리고 Wi-Fi(WLAN) 통신을 이용해 홈서버에 환경 정보를 전송하고 로봇에 부착된 스위치와 대형 LCD를 이용해 간단한 게임을 즐길 수 있는 엔터테인먼트 기능을 구현하였다. 이런 결과로서 활용도가 높은 홈로봇이 구현되었다. Recently, the government's U-City projects are underway. Accordingly, interests in home automation are increasing. However generally, sensors and devices of the home automation system are equipped and used in a fixed position. In this paper, a mobile robot for collect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is applied to home automation. This system has complementary for the existing system that has the limitation of collecting information. The robot has two kinds of main features. First, when the user is not in the house, the robot performs a safety and security feature. Second, when the user is in the house, the user manipulates the robot and plays a simple game. The robot uses Wi-Fi to communicate with the home server. Furthermore, The robot have the ability to recognize the location. Therefore, we have developed a high-utilization of home robo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