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장치산업분야의 CALS/STEP 활용방안 및 제안을 위한 연구

        이순영 연세대학교 산업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장치산업분야의 관점에서 경쟁 우위확보 방안으로 부문간 기업간의 효율적인 정보교환 및 통합을 통한, 전체적인 생산성 향상과 경쟁력 강화를 위해 CALS/STEP의 효과적인 적용을 위한 접근방법으로 STEP(Standard for the Exchange of Product model data)의 활용은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겠다. STEP은 ISO 10303 으로 제정되어 있는 새로운 국제 표준으로, 제조업체에서 제품을 개발하고 생산할 때, 서로 다른 시스템간에 제품정보를 교환하는데 사용되는 공통의 언어 역할을 하는 인터페이스 기술이다. STEP을 응용하면 엔지니어링 데이터 베이스를 통해 생산 시스템을 통합하고, 인터넷을 통해 전자거래를 위한 제품 정보를 교환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제품 모델링 기술은 모든 제조업체와 플랜트/건설/토목 분야에서도 유효한 기술로, 제품의 개발정보와 생산 정보를 디지털 정보로 저장하고 공유하는데 사용되는 기술이므로, 제품과 관련된 모든 분야와 과정에 적용된다. 장치산업분야 기업의 STEP에 대한 시작은 실제 활용에 대한 것으로서 STEP의 활용을 위해서는 보다 구체적이고 올바른 이해가 우선되어야 하며, 현 상황과 파악은 그에 맞는 구현이 요구된다 하겠다. 또한 기업과 학계에서도 이제까지 전무하다 시피 한 장치산업 관련 플랜트 건설/토목 분야의 연구 방향에 있어서 기업에서 실제로 쓰일 수 있는 것을 제시하여야 하며, 이에 연구 방향 제시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장치산업 분야의 STEP 추진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STEP의 개요와 현 상황을 파악 소개하고, 장치산업 분야에서 정보통합과 활용의 가능성을 엔지니처링 분야의 환경분석을 통하여 향후 발전 방향을 고찰하고, 관련 시스템에서의 가능한 구현 방안 및 이에 필요한 연구의 방향과 구미 선진국의 사례연구를 통하여 구현절차 및 그 의의를 살펴보기로 한다. 이러한 연구의 고찰은 향후 21세기 글로벌 화 환경에서 장치산업 분야 산업의 방향성과 전망을 통하여 국내 기업이 안고 있는 비합리적 요인들을 다시 한번 생각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라고, 더불어 CALS/STEP의 효과적인 활용으로 인하여, 기술정보 통합과 공유 환경을 통해 각 시스템에서의 경쟁과 비 경쟁적 부문이 표준적으로 능숙하게 조화시켜 유연성이 크고 오픈화가 가능한 글로벌 화 환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을 것이다. In a viewpoint of the field of equipment industry, in order to improve total productivity and reinforce competitive power through efficient, information exchange and information integration between sectors and enterprises as a plan to secure a predominant position in that industry, it is considered that utilization of the STEP(Standard for the Exchange of Product Model Data) as an approach to effective application of CALS/STEP might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The STEP is a new, international standard legislated as ISO 10303, representing an interface-technique which plays a role of the Common Language which can be used in the exchange of product information between different systems when any of manufacturing companies develops and produces new products. With application of the STEP, production systems can be integrated through engineering data base and product-information exchange is available for electronic commercial transactions through the internet system. A product-modeling technique, being an effective one in all the manufacturing companies as well as in the field of plant/construction/civil engineering, is applicable to all the field and process related with products since that technique is one that can be used for the information of both the development and manufacture of products to be stored into digital information, thereby making possible of those pieces of information being shared with others. Since the most important in the startup of the STEP in the field of equipment industry is for is the actual utilization of it, and for the actual utilization of it, more concrete understanding of it must take precedence over anything else, and considering and grasping well of present situations, materialization suitable to the situations is required. Also in the direction of studies in the field of plant/construction/civil engineering related with equipment industry, which have been wholly lacking in enterprises and even in the learned circles, it is necessary that what can be practically utilized in enterprises should be suggested and the direction of studies be suggested as well. In this study, in order to understand the present state of the promotion of the STEP in the field of equipment industry, the STEP is reviewed in general and the present state of it is introduced; the possibility of information integration and its utilization in the field of equipment industry is examined in terms of future development through environmental analysis of the field of engineering; and finally, possible embodiment plans, study directions necessary to those plans, embodiment procedures and its significance is closely reviewed. Finall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provides an opportunity to once again consider the irrational factors held by some domestic enterprises through the direction and prospect of the business in the field of equipment industry in the environment of the 21st century's globalization; and additionally, this study devotes itself to providing the globalized environment in that both the competitive and non-competitive sectors are highly flexible and able to open or expose each other, being skillfully harmonized in standards through integration of technical information and through such an environment where technical information can be jointly shared, caused by effective utilization of CALS/STEP.

      • 남·북한 전력사업 협력방안에 관한 연구

        김순재 연세대학교 산업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9647

        90년 이후 연속적인 마이너스 성장을 하고 있는 북한의 경제사정과 남·북한 경제협력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해 볼 때 통일은 반드시 이루어 질 것이다. 특히, 북한이 직면한 가장 큰 문제는 식량과 전력문제이다. 식량문제가 경제성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면, 경제성장에 장기적이고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전력문제일 것이다. 본 연구에서 북한의 전력상황을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북한의 전력산업 체계의 문제점과 전력 난을 인지 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력경제 차원에서 북한과 전력산업을 함께 할 수 있는 방안에 중점을 두었고 통일 후 전력산업 정상화에 소요되는 예산을 산출함으로써 전력경제 통일에 대한 예산을 추정 할 수 있었다. 연구방법은 경영관련의 각종서적과 한국전력공사, 북한 관련 연구소, 국방부, 통일원, 국정원 등의 자료를 분석함으로써 현실적이고 실행 가능한 대한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의 전력산업은 공급력이 부족하여 대부분의 공장의 가동률은 20∼30 % 수준에 머물고, 가로등과 가정용 전등까지 소등을 의무화하는 등 전력부족 상태가 심각하고 주파수 저하와 전압강하, 송·배전 설비의 노후와, 경수로 원자력발전의 운용능력확충등 기본사항의 문제해결이 심각하다. 둘째, 우리와 유사한 전력환경 하에서 통일된 독일도 정치적 통일 후 전력통합은 통일 후 3년이 지나서야 이루어졌다. 따라서 통일시 남·북한 전력통합 시간을 최대한 단축하고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단계적 전력통합을 추진하고 전력통합에 대한 예산도 비축해야 한다. 셋째, 남·북한간의 피크타임을 고려해 발전소를 북한에 건설하여 송전하는 방식으로 남한은 발전소 입지문제와 피크타임의 문제해결과 북한의 전력부족에 따른 공급을 동시에 만족 할 수 있고 북상조류 송전선 과부하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다. 넷째, 북한의 발전소, 송·배전선등의 복구와 신설 예산을 산출함으로써 통일 후 전력 통합에 따른 비용을 비축하고 지금부터 단계적으로 추진해야 한다. 다섯째, 남·북한간 전력수요와 공급구조가 극단적인 차이를 보이고 있는 상황에서 통일한국을 이룩하기 위하여 중·장기적인 계획에 기초하여 남·북한간 전력계통의 연계를 통해서 단기적으로는 남한의 전력을 북한에 송전하고 장기적으로는 다자간의 협력을 통해서 북한, 러시아, 중국 등 대륙으로 이어지는 전력무대로 진출하는 한반도 전력사업의 성장 한계를 극복해야 한다. 결국 통일을 대비한 전력협력을 계획대로 추진되기 위해서는 현재 추진중에 있는 KEDO 사업에 대한 검토와 남·북한 전력산업 교류협력 및 전력계통연계에 대한 구체적인 실행계획과 예산을 확보하여야 한다.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North Korea has continued to record a minus economic growth since 1990 and that two Koreas are pursuing mutual economic cooperation, the time when the Korean peninsula is reunified does not seem to be far away. In particular, North Korea suffers most seriously from shortages of food and electricity. While the shortage of food serves to shrink their economy directly, the shortage of electricity will affect their economy indirectly and in a longer term. With such basic conceptions in mind, this study was aimed at reviewing the conditions of North Korea's electric industry and thereby, addressing the problems and suggesting their solu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reasonable way to share the electricity with North Korea in the view of the South- North economic cooperation. In the same vein, the budget required to normalize the electric industry for our unified peninsula was estimated. To this end, relevant management literature and various data published by pertinent authorities - KEPCO, Institutes of North Korean Studies, Ministry of Defense, Ministry of Unification, National Intelligence Agency, etc - were reviewed to suggest realistic and feasible alternativ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due to the shortage of electricity, the operation ratio of the factories in North Korea remains at 20 - 30% while street-side lamps and even home bulbs cannot but be turned off. Another problems are lowering of frequencies, voltage drops, obsolete power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facilities, poor capability of light-water nuclear power plant operation, etc. In case of Germany who unified themselves under the similiar conditions as far as electric power conditions are concerned, it took almost 3 years to integrate the electric power for the unified territory. In our cases, in order to minimize the time required to integrate the electric power for the unified peninsula and ease the negative impact thereof, we need to integrate the electric power systems for two Koreas gradually, while earmarking a considerable sum of budget for the total integration of the electric power when we are unified. Third, it is deemed necessary to take into consideration the peak electmic consumption time, and thereby, help North Korea build their power plants; some of the idle electric power off the peak time in North Korea shall be transmitted to South Korea. Then, the problem of shortage of the power plant sites in South Korea and shortage of electric power in North Korea can be solved simultaneously. Besides, the problem of the current overload due to the power transmission from South to North will be resolved. Fourth, it is necessary to estimate the cost for constructing the power plants in North Korea, recovering the power transmission/ distribution lines and ultimately, integrating the electric power system, and thereby, deposit the budget phasely from now on. Fifth, since the supply and demand structure of electric power differs extremely between two Koreas, we need to design a mid- and long-term plan to integrate the electric power production/ distribution system for the unified peninsula; in a shorter term, the idle power may be transmitted to North Korea through linkage of the distribution lines, and in a longer term, our unified land's electric power programs will cover not only North Korea but also eastern Russia and China. After all, in order to pursue South-North electric power cooperation phasedly, it is deemed necessary to review the current KEDO project and find the ways to promote South-North electric power cooperation, while securing the necessary budget or fund to integrate the electric power systems for the unified Korea.

      • 개발사업을 위한 프로젝트관리 적용에 관한 연구 : 첨단산업단지 개발사업 중심으로

        문영모 연세대학교 산업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9647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지구화 된 경제체제 속에서 지식 기반의 첨단산업을 바탕으로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무한경쟁을 벌이고 있으며, 첨단산업이 사회, 경제발전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대두되고 점차 약화되고 있는 국가단위 발전전략의 대안으로서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와 같은 배경 하에 국제적인 첨단산업 단지를 개발하여 21세기 새로운 도시상의 제시와 첨단산업 분야의 기업이 첨단산업 도시 조성을 통해 국가경쟁력을 제고하고 세계화 시대에 부응하기 위해 선진 첨단산업 단지 개발 방식을 분석하여 국내 첨단 산업단지에 사업관리 시스템(Project Management Systme)의 process를 적용 개발사업의 기획(program management plan)부터 마케팅 전략 사업의 완료(Porject close out)까지 이론적 분석을 통해 적합한 개발 방향과 기본 틀을 설정하고 프로젝트가 성공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진행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개발 사업의 선별적 추진 개발사업을 선별적으로 추진함으로써 지역특성 및 상위 계획에 따라 개발의 유보 및 업종전환, 또는 외국인 전용 공단 등으로 변경하므로 입지가 용이한 지역에 차별화 된 첨단산업단지를 육성시킬 수 있다고 생각된다. 2. 수요자 위주의 개발 공급자 위주의 개발은 지양하고 실수요자인 기업들의 입지적 성향과 투자 및 연구능력 동향을 사전에 파악 이들 의견을 수렴하는 형태로 전환하여 미분양에 따른 부담을 줄이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 될 것이다. 3. 차별적 인센티브 운용 개발사업에 대한 인센티브 제도를 차별적으로 운용할 필요가 있다. 인센티브 범위를 확대시켜 위축된 기업들의 투자 의욕을 제고시키고 정부 재정한계를 고려하여 첨단 산업 육성이 용이한 지역을 선택하여 지원을 강화하는 차별적 인센티브 전략이 필요하다. 4. 특별법 제정 첨단산업 단지 개발 관련 법규가 중복되어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 일본의 테크노 폴리스법 이나 두뇌 입지법과 같은 특별법을 제정하여 단지 구성이나 지원혜택 등을 일괄처리 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On the threshold of the 21st century, every nation or territory is competing endlessly with each other in this globalized economy in order to lead the knowledge-based high-end industry producing new added values. In other words, the high-end industry serve to create a new paradigm for the socio-economic development, replacing the conventional government-led development strategies. With such a conception in mind, this study was aimed at suggesting a new image of city in the 21st century with an international high-end industrial complex developed and thereby, helping improve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respond to the age of globalization. To this end, foreign cases were analyzed to review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project management system"to domestic high-end industrial complex development process ranging from program management planning to project closing-out. Based on such a theoretical analysis, an optimal goals and framework of development were sugges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Selective pursuit of the development projects The development projects need to be selected first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as well as under the comprehensive urban planning; since some sites may be reserved for a special industrial type or foreign investors only, it would be possible to develop the high-end industrial complexes differentially. 2. Development for Users The conventional project development model for suppliers should be replaced by that for users or resident companies. So, it would be necessary to analyze their preferences of site and their capacity of investment or research in order to help every site of the complex owned fully by the companies. 3. Operation of differential incentives The incentive system needs to be operated in a differential manner. First of all, the scope of the incentives should be expanded to encourage businessmen, and in consideration of the government's limited budget, the sites ideal for high-end industrial complexes need to be chosen to be subject to concentrated supports. 4. Promulgation of a special code The current codes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high-end industrial complex are redundant and confusing. A"Technopolice"or"Brain Complex"code should be promulgated to support the development project in a way of convenient package incentives.

      • 도시특성이 주차장면적에 미치는 영향분석

        이상배 연세대학교 산업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의 목적은 전국의 72개 시급 이상의 도시특성인자와 건축물부설 주차장면적과의 관계분석을 통한 모형을 도출하는데 있다. 도시특성을 결정하는 인자로서는 교통특성인 각 도시의 자동차등록대수 및 도로면적, 토지이용특성인 각 도시의 주거면적, 상업면적 및 공업면적, 산업특성인 각 도시의 1차산업입지상, 2차산업입지상과 3차산업입지상 그리고 도시인구 등 각 도시의 대표적인 특성 및 지표를 발췌하여 사용하였다. 이러한 자료 및 결정요인들을 바탕으로 전국 72개시를 전체적으로 분석하고 그 다음으로 서울, 경기, 충청을 포함한 중부권과 강원도를 포함한 전라, 경상 및 제주지방의 남부권으로 나누어서 권역별로 분석하여 각각의 모형식을 도출하였다. 또한 도시특성 중 1차산업입지상, 2차산업입지상, 3차산업입지상을 각 도시별 산업특성으로 분류하는 기준으로 활용하여 전국 72개 시급이상의 도시를 1차산업 특화도시, 2차산업 특화도시, 3차산업 특화도시로 나누었다. 이러한 분류에 따라 나눠진 각 도시별로 도시특성과 건축물부설 주차장면적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각각의 모형식을 도출하였다. 권역별로 분류한 각 자료 중 전국 및 중부권에서 도출된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긍정적인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남부권 자료에 대한 회귀모형의 설명력이 상대적으로 부족하게 나타난 이유는 관광산업과 1차산업이 주로 발달된 지역인 강원도, 제주도의 자료가 별도로 분석되지 않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산업특성별로 분류하여 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2차산업, 3차산업 특화도시의 자료에 대한 결과는 매우 긍정적이었으나, 1차산업 특화 도시의 자료에 대한 결과의 유의도는 비교적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2차산업, 3차산업이 주로 발달한 도시에는 업무시설위주의 건축물이 많이 생겨나면서 부설 주차장의 면적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반면에 주로 농지나 산림 등이 대부분인 1차산업 특화 도시의 주차시설이 2·3차산업 특화 도시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전체적으로 건축물부설 주차장면적에 자동차등록대수가 설명력이 가장 높은 인자로 나타났으며, 상업지역면적도 비교적 유의성있는 인자로 분석되었다. 반면에 산업특성인 입지상은 영향이 클 것이라는 예상과는 달리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a model on the effects of urban characteristics on the space occupied by the attached parking areas in 72 cities in Korea. The urban characteristics considered in the study are Traffic pattern, Land use, Industry types, and Population. The traffic pattern considered number of registered vehicles, road area. Land use considered the areas of residential, commercial, and industrial zones. And finally, the industry types included Location of Quotient of primary, secondary, and tertiary industries.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ethod was used to derive a model based on the studies depicted. The datum resources were provided by 1) Ministry of Home Affairs, 1993, Municipal Yearbook of Korea. 2) The Korean Statistical Association, 1991, Establishment Census Report, Volume 1 Region. 3) The Korean statistical Association, 1992,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Report. Each model of all 72 cities, mid 30 cities and southern 42 cities derived from comparing relationships between main characteristics and the attached parking area. Identifying the existence of Primary, Secondary, and Tertiary industries derived Location Quotient of each city. Hence each city was labeled Primary, Secondary and Tertiary Industry City. Each model of Primary, Secondary, and Tertiary Industry City derived from comparing relationships between main characteristics and the attached parking area. The R-square of both all 72 cities and mid 30 cities were estimated positively in classification by region category, but the rest of 42 cities, which are all southern cities, were less than positive. This is due to tourist areas such as Kangwon province and Cheju Island did not categorized tourism from their primary industries. The R-square of both Secondary and Tertiary Industry City were estimated positively in classification by Location Quotient category, but Primary Industry City were less than positive. This is due to commercial buildings being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attached parking area have been more built than Primary Industry. In conclusion the attached parking area is most effected by number of registered vehicles and much effected by area of commercial zone. but the attached parking area is not much effected by Location Quotient against expectation.

      • 원자력 연구개발 품질보증시스템 수립을 위한 품질보증요건조사 및 비교 분석 연구

        김관현 연세대학교 산업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9647

        우리나라는 다른 아시아국가에 비해 빠른 원자력도입으로 전력에너지수급을 위한 발전관련 원자력산업은 성장을 거듭해 왔다. 원전도입과 함께 시작된 원전품질보증은 우리나라 여러 관련산업에 기초를 제공할 만큼 널리 활용되었다. 그러나 원전관련부문의 성장에 비해 원자력 기초연구와 응용연구 등 연구 개발부문은 상대적으로 투자가 미약하고 원자력연구개발환경도 뒤처져 있는 등 낙후되어 있었다. 어떤 분야든 기초연구 및 개발이 뒷받침해 주지 않는 산업은 한계가 있기 마련이다. 이러한 점에서 정부는 원자력 연구개발부문 성장의 중요성을 깨닫고 원자력중장기계획의 확정 등 국가적 견지에서 원자력기초연구에 새로운 마인드로 접근하여 예전에 비해 많은 투자가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그 동안 개발되지 않았지만 향후 수립되어야 할 원자력 연구개발부문 품질보증시스템에 제시 할 수 있는 품질보증요건을 알아보고 어느 부문에 어떤 방식으로 품질보증과 품질확보에 주력할 것인가를 찾기 위한 목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품질의 의미가 사용자와 공급자의 관점, 용도와 요구내용에 따라 각각 다른 의미로 정의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원자력 연구개발에서 품질의 의미는 무엇인지, 또 그 품질을 달성하기 위해서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지를 알아 보았다. 다음으로 원자력 연구개발의 구체적 환경과 적용범위를 알아보고 적합한 품질요건을 찾기위해 각 원자력산업 및 일반산업 품질요건과 규격을 비교분석하고 원자력연구부문에서 이미 품질요건적용이 선행되고 있는 선진연구기관의 적용사례를 조사하였다. 또한 원자력 연구개발에 종사하고 있는 연구원들을 대상으로 연구개발수행에 효과적인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타당한 품질요건을 찾기 위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연구분야를 4개의 집단으로 분류하여 연구분야별 요건에 대한 심층분석을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원자력 연구개발부문의 품질요건은 시스템구성상 기본적인 요소인 조직과 프로그램 및 문서관리와 설계관리부문에 높은 적용요구도가 나타났다. 조직과 품질보증프로그램 수립은 시스템의 기본요소이므로 실제적인 요건은 문서관련부문 즉, 문서관리와 설계관리 부문 및 품질보증기록 부문에 집중적인 관리 및 요건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분석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심층적으로 적용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된 요건을 기준으로 크게 몇 개의 큰 카테고리(프로그램분야, 설계분야, 문서분야, 시험분야)로 나누고 그 안에 2-3개 요건을 설정하여 품질보증시스템을 수립하는 것이 타당한 수립방향으로 보인다. 셋째, 가장 바람직한 원자력연구개발 품질보증시스템 수립을 위해서는 원자력산업 품질요건을 선별적용하기보다는 연구개발을 위한 연구개발품질요건을 별도로 개발 또는 수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외에도 원자력연구개발 품질요건은 연구위탁자의 요구사항에 따른 품질요건의 개발이 요구되는 것 등 원자력연구개발 품질보증활동에서 주력해야 할 부문과 요건 및 방향을 제시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원자력 연구개발 품질요건설정 또는 선정을 위한 선행연구가 없는 상태에서 원자력연구활동과 개발업무의 목적에 부응할 수 있는 원자력 연구개발 품질보증요건의 설정방향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법적 요건으로도 요구될 원자력연구개발 품질보증시스템수립에 크게 이바지하게 될 것이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seek what areas and by which methods we should focus the development of QA and QC by looking into the QA requirements to be recommended in a nuclear R&D QA system, which needs to be set up in the future. After conducting these surveys and studies, we can draw some conclusions that the quality requirements currently used in general industries and in the area of nuclear power related QA in Korea are not appropriate QA requirements which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the nuclear R&D area. To overcome this weakness, a questionnaire targeted to researchers working in the area of nuclear R&D was launched to find out appropriate requirements to ensure the achievement of effective quality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R&D. After categorizing the research areas into 4 groups and conducting an in-depth analysis of the research sectoral requirements, the following conclusions have been drawn. Firstly, as for QA requirements in the nuclear R&D area are greatly needed in the area of Organization, QA program, Document Control and Design Control, which are the basic elements for system configuration. As the establishment of a Organization and QA program are basic elements for the system configuration, it is judged that in terns of practical requirements, concentrated management and development of their requirements are needed in areas related to Document Control, including Design Control, QA record, etc. Secondly, it seems desirable to establish a QA system by dividing the requirements analyzed. There is a necessity for in-depth applications and describing the analysis into a few large categories (sectors of QA programs, design control , document control and test control) and setting up the requirements with them. Thirdly,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most desirable nuclear R&D QA system, it is necessary that the R&D quality requirements be separately developed and established, rather than selectively applying the quality requirements of the nuclear industry. This study is certain to greatly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a nuclear R&D QA system, which will be needed as a legal requirement in the future and provides the direction for establishing nuclear R&D QA requirements which can answer the purpose of nuclear R&D activities.

      • 전력Pool시장에서 발전경쟁을 위한 가격결정 및 적정제도에 관한 연구

        김성선 연세대학교 산업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9647

        이 연구는 세계전력산업의 변화에 부응하여 우리 나라에서도 시행 중인 전력산업의 구조 개편에 관한 사항 중 전력Pool시장에서의 발전경쟁을 위한 가격결정과 제도에 관한 내용이다. 우리 나라의 전력산업은 현재 국영기업인 한국전력이 운영하고 있으며, 그 동안 각 계에서 전력산업을 운영하는 한국전력이 비대해져 비효율적이라는 비난을 받고 있던 중, 세계적으로 진행되는 전력산업의 구조조정 및 민영화에 힘입어 영국전력산업을 기본모델로 구조조정을 위한 제도를 검토하여 완료하고 관련법이 국회를 통과하기를 기다리고 있는 중이다. 전력산업 중 발전분야의 구조개편을 하여 민영화를 도입하는 목적은 민간발전사업자를 참여시켜 경쟁을 유도함으로써 발전사업자들의 경쟁을 유발시키고, 이로 인한 발전비용의 저감은 전력요금의 인하로 이어지게 하며, 아울러 향후 전력수요증가에 따르는 발전설비 확충을 민간발전사업에게 이양시키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그러나 우리 나라 발전분야를 통괄할 전력시장운영규칙 중 계통한계가격 결정절차와 정산절차는 민영화의 기본목적을 이루기에는 미비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은 그 동안 영국에서 진행되었던 전력Pool시장 운영모델을 그대로 도입해서 적용한 결과로 보여지며, 이러한 입찰가 구성과 획일적인 제도하에서의 발전시장은 건전한 경쟁이 유발되지도 못할 뿐 아니라 일부 설비들은 퇴출 할 수밖에 상황이 발생할 수 도 있어 이에 대한 개선책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전력시장을 통괄한 전력시장운영규칙 초안이 완료되어 공시 중인 규칙의 내용 중, 발전사업자가 적정한 생산비로 입찰하였다 하더라도 계통한계가격(SMP)을 적용시켜 동일하게 발전비용을 지급함으로써 경쟁논리가 전혀 뒷받침되지 못한 문제점 및 입찰가에 구성에 미비점을 분석하여 경쟁력 있는 입찰가격과 제도로서 발전분야에 건전한 경쟁이 도입되도록 연구하였으며,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로, 발전분야의 각 발전기는 입찰을 통해서 발전을 제의하는 것은 기존의 방법과 동일하나 입찰가격을 구성하는 것은 기존의 순 연료비만을 반영하는 것을 지향하고 한계생산비를 기초로 작성한다. 둘째로, 발전을 하여 계통에 전력을 공급한 후 발전비용을 지급 받는 방법은 기존의 계통한계가격(SMP)에 의하여 동일한 가격을 지급한 것을 입찰가에 따라 발전비용을 지급하는 차등 지급방식(Pas-as-Bid)을 택한다. 셋째로, 경쟁에는 실적과 보상의 원칙이 전제되어야한다는 원칙에 따라 실적에는 한계생산비 즉 입찰가로 하고, 보상에는 입찰가의 대소로 평가하여 계통에 우선 투입하여 발전하게 한다. 넷째, 다양한 특징의 발전분야의 설비를 공정한 경쟁이 되기 위하여 유사한 특징의 발전기 즉, 연료 별 설비 군으로 나누어 설비 군간에 경쟁하게 하고, 각 발전기는 해당 연료설비군내에서 발전기간에 경쟁하게 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민영화를 도입하는 목적이 경쟁을 위한 것이며, 경쟁은 실적에 따라 보상이 차등 지급되어야 한다는 합리성에 근거한 것이다. 또한 입찰가 구성이 한계비용을 중심으로 계산되고 시장가격이 형성되어야 자원배분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는 사회후생이론에 근거를 둔 것이다. 그리고 발전분야는 다양한 특성의 설비들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공정한 경쟁을 위해서는 설비를 유사한 특성의 설비 군으로 나누어 설비 군간에 경쟁이 되게 하고 또한 각 발전기는 해당 설비 군에서 경쟁이 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경쟁을 위한 기본과 근간만 논의하였을 뿐 자세한 제약조건들은 생략하였다. 또한 이 논문은 전력분야 운영기본체제 중 Model 2(단일 전력구입회사 존재 및 발전경쟁)체제에 기본을 두어 발전가격을 위하여 에너지 비용만을 다루고, 송전비용, 전력의 유용성 비용이나 기타 부가비용 및 전력공급의 안정성 문제 등은 이 연구에서 제외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부분의 연구는 계속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on the bid price structure and proper systems for competition in generation sector of the electric pool market. The domestic electric industry managed by government has being blamed for poor results from inefficient and irrational management and resulted in privatizing electricity sector through restructuring to induce competition environment, which is taken after model of England's electric market. So Bills of restructuring for domestic electric sectors is poling on the table of national assembly. The purpose of the privatizing of domestic electricity sector is to induct competition system so as to get to lowing of the generation cost through sincere generation competition among all generators and reduce electricity price, and also turn over the responsibility of building electric generation facilities keeping pace with electricity demand in future. This thesis focused on inappropriate rules among the procedures prepared by government for managing the electric market in generation. The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 ● Making bid Price should be based on the marginal productive costs, away from former bid price composed of only fuel cost for start up, no load and incremental load. ● Matters of adapting pricing model of Pay-as-bid for cost pay in stead of method of paying same price according to System marginal price (SMP). ● Bid price which is composed of marginal price for energy should be adapted as performance index of competition while permitting ahead the generation in grid is considered as reward, according to principle of what performance should be introduced for competition. ● The existing electric generation facilities is classified with several group firing same fuel, so that each fuel groups are allowed to compete each other and each generators can compete in self involved fuel group. This study based on rational thoughts from what compensation must be paid differently according to merit index for success in competition system, that's why the purpose of this restructuring of electricity sector is to arise the competition among the electricity generators, and also theory that market price based on bid price which is composed of marginal productive cost carry on resource distribution efficiency and social welfare. Electricity generation sector is composed of many characteristic facilities, so in other to give all generator nearly same opportunity. Small groups, which are categorized by same fuel firing facility, are made to have each group competed, and also to have each generators competed in each groups. But this thesis contained only basic idea for fare competition cutting off detail constrained conditions, so such constrained subject must be studied more to give whole generation sector fare competitive environment.

      • ERP시스템과 생산기간시스템 연계를 위한 설계 및 구현에 관한 연구 : 프로세스산업계 중심으로

        김승욱 연세대학교 산업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논문에서 제시된 ERP시스템과 생산기간시스템 연계를 위한 설계 및 구현에 관한 연구는 우리나라의 프로세스산업계에서 ERP시스템 구축 시 중요한 해결 과제인 ERP의 핵심프로세스와 생산계획 및 공장의 물류 프로세스와의 효과적인 통합을 위한 문제해결과정을 실 구축사례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90년대 중반부터 국내의 대기업에서 도입하기 시작한 ERP 시스템은 전문인력 부족, 고비용의 투자, 기존의 정보시스템과의 차이에 대한 이해부족 그리고 산업별 적용방안부족 등으로 인하여 국내에서는 기대효과가 충분히 나타나지 않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앞으로 많은 연구와 Niche Solution들이 개발되고 한국의 기업문화와 접목되어 경영층, 관리자 및 현장에서도 성공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발전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프로세스 산업계인 정유·석유화학업종에서 ERP시스템 구축시 반드시 해결되어야 할 과제로 인식되고 있는 ERP의 Bu siness Process Solution과 계획시스템과의 연계를 통해서 ERP의 활용도를 높이고, 생산 및 수급계획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Process Modeling에 대한 방법론을 제시하며 업무프로세스 및 Data Modeling에 대한 해법을 제시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정유·석유화학 업계에서도 연속 생산공정(Continuou sProcess)의 계획에서 적용하는 선형계획(Simplex Method Simulation) 기법과 원부자재 소요량계산을 위주로 한 MRP(Material Requirement Planning)와의 구조적인 차이에 의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계획지원용 모니터링 시스템 및 원가관리 모델구축, 기간 생산관리시스템과의 프로세스 정립 및 시스템간의 인터페이스에 설계 그리고 실제 시스템구현에 초점을 맞추었다. 프로세스 산업계에서도 포장단위로 제품생산이 이루어지는 석유화학공정에는 MRP를 부분적으로 활용하여 단일의 ERP시스템 만으로 생산계획 및 업무프로세스를 개선할 수 있다. 그러나 연속공정에 의해 제품이 생산되는 경우는 제품의 재고 및 수율관리 그리고 원가관리를 위한 성과측정모니터링 시스템을 별도로 구축한 후 ERP와 단계별로 통합하여야 한다. 특히 생산계획프로세스는 LP(Linear Program)를 활용하여야 하고 생산기간시스템에서는 실시간 실적정보를 생산계획에 제공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야 하며, 이 때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기간시스템과의 다양한 인터페이스가 개발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방식으로 기간 업무시스템이 통합되어 일별 원가관리체제가 구축되고 계획과 실적 분석차이에 의해 생산계획프로세스가 개선되면 계획의 정확도 제고에 따른 재고 가용성이 증가할 것이다. 또한 공장의 일별 원가분석지원에 따른 제조 원가비용이 감소되며 핵심업무 프로세스의 처리시간 단축 및 인력효율화가 이루어 지고 ERP시스템에 의한 전체 업무프로세스 개선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향후 e- Biz, SCM 등과의 통합을 위한 최신의 프로세스 지원효과가 기대된다. This thesis which title is A Design and Implementation Study on Integration with ERP and Refinery Information System mainly would be focused on analysis and design consideration to adopt the characteristics of process industry in implementing the traditional ERP system such as SAP R/3. Over the past several years many larger, global chemical have begun implementing ERP systems from the top down in their organizations. They have begun with areas of functionality such as the financial and treasury areas that do not require software specific for the process indu stries. The implementations in these non^-industry specific areas have been successful and these companies want to continue their implementations down through other layers of their organizations with the goal of reaching the factory floor. The closer on gets to the manufacturing environment the more industry specific functionality is required. These companies are implementing operations^-centric software in their manufacturing sites that meets these process requirements and integrating these applications to their enterprise corporate systems. There are distinct advantages to this co^-existence strategy that far outweigh the dual^-system support requirements placed on the information system structure in refinery and petrochemical industry. In some respects, the chemical industry processes are the opposite of a discrete manufacturer assembly business. Chemicals are of the recomposed for many chemical process and the result is multiple outputs. Discrete manufacturing accumulates parts into assemblies and assemblies into a single part in what resembles an shaped structure. Chemical manufacturing requires a divergent process model that supports multiple outputs at any stage of the process to support by^-products, co^-products, recycles, and waste streams. Materials Requirements Planning (MRP) to those that included more business processes known as Manufacturing Resource Planning (MRPII) systems. These systems evolved into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 systems which suggests that all information systems required for the management of a manufacturing enterprise are part of the solution. These core areas feed the remaining portions of the ERP application : planning, scheduling, product costing, yield accounting and performance analysis. All of these areas work in harmony to satisfy the unique requirements of the process industries. In this study, the main topics for integration with ERP and IRIS(Integrated Refinery Information System) which supports all business and process in oil refinery and petrochemical plant are the essential and critical part of implementation during ERP project. This thesis was described in view point of process modeling for the integration with several legacy applications and SAP R/3, especially including interface technology implemented during L^-companys ERP project and the blue point for integration with BW(Business Warehouse), KM(Knowledge Management),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and APO(Advanced Planning & Optimizer) for future step .

      • 폐자동차 재활용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이찬희 연세대학교 산업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9647

        최근 지구 온난화에 따른 지구환경의 파괴가 가속화됨에 따라 인간의 생활 및 산업활동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해 온 자동차가 점차 환경오염의 주범으로 대두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경향에 맞추어 유럽연합을 중심으로 한 폐차관련 법규가 시행되고 있으며 향후 국내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자동차를 중심으로 대두되고 있는 각종 정책 및 자동차 메이커의 최근 동향을 조사하여 국내 자동차 메이커의 대응 전략을 제시해 보았다. 또한, 선진국에 비해 재활용 기반이 취약한 국내에서의 재활용 산업의 활성화 방안을 선진국의 경험과 사례를 토대로 연구하였다. 폐자동차 재활용의 기본 방향으로 중장기 재활용정책 방향의 제시, 자발적 참여 유도, 해외 무역규제에 대한 대응, 산업계의 상생 방안 등을 검토하였다. 기존 정부 주도의 환경 정책들은 단기적인 효과에도 불구하고 실제 현장에서 효율성이 떨어지고 여러 문제점을 유발하는 사례가 있기 때문에 향후 폐차 재활용 정책은 정부와 산업계의 경제 구조를 고려한 재활용 실천계획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선진국의 사례를 통하여 국내의 폐차 재활용 활성화를 위해서는 정부와 산업계가 재활용의 중요성을 인식해야 하며, 정부는 정책 입안 및 산업계 활동을 지원하고 산업계는 재활용의 기반 산업인 해체산업과 체계적인 시스템을 구축해야만 지속적이고 실용적인 폐차 재활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Recently the environmental problems due to global warming become serious, and the vehicle having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human lives and industrial activities becomes a major source of environmental pollution. Accordingly, it is expected that the laws for the treatment of End-of-Life-Vehicle (ELV), which is being practiced in the European Union, will affect the domestic market soon. In this study, the policies related with ELV and the recent tendency of vehicle's manufacturer are reviewed, and the corresponding strategies have been presented. Also, the activation plans for recycling ELV were investigated based on the experiences and case studies of the developed countries. Four types of policies have been established. They are the establishment of long-term recycling programs, the inducement of voluntary participation, the correspondence to foreign trade regulations, and the drawing up of a win-win strategy for car manufacturers and recycling industry. The previous environmental policies by the government have been proved inefficient albeit their short-term effects. Therefore, the future ELV recycling policies must be designed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in dustrial circles and economical structure seprately. Finally, it was concluded that the government and the industrial circles should recognize the necessities of ELV recycling to promote the recycling activities in domestic situation. The government must establish ELV recycling policies, and support the activities of the industrial circles. The industrial circles should establish the systematic recycling infrastructure to main tain recycling activities.

      • 전시장 건축의 계획적 요소에 관한연구 : 국내외 전시 산업현황과 전시장건립사례를 중심으로

        윤성선 연세대학교 산업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전시장(산업)에 대한 문헌을 중심으로 고찰한 전시장(산업)의 이론적 고찰과 국내외 대표적인 전시장을 비교분석 함으로써 향후 전시장 건축에 있어 중요하게 검토되어야 할 사항을 제안하였다. 전시장 분야의 하드웨어 부분인 전시장 건립에 관한 주요 요소를 정리하는 작업은 소프트웨어인 운영부분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개선 발전시켜서 환류(Feed Bock)함으로써 건설과 운영이 동시에 발전한다. 수익성 있는 전시장 운영을 염두에 두고 하드웨어적인 전시장 건축에 있어서 고려되어야 할 건축계획적 요소에 대한 사항에 대한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전시장 접근성 접근성은 전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갖추어야할 항목으로 최대한 대중교통(버스, 전철, 경전철)과 접근이 용이 해야하며, 장기적으로 전시장 발전성을 고려할 때 철도와 해상로가 연결이 가능토록 계획하고 교통집중을 고려하여 전용 IC을 설치한다. 2. 전시장의 특화 전시목적물이 경량물위주인 경우는 복층형태도 가능하나 단층형태 전시장의 경우 중량물 전시도 가능하고 관람자의 이용성이 좋으므로 단층구조가 유리하다. 3 인근 지역 개발과 연계성 전시장 입지는 도시계획적 차원에서 접근하여 전시장을 그 도시의 중심산업으로 계획함으로써 기반시설(국제공항연계, 도로, 상하수도, 통신 등)이 확보되도록 전시장 건축계획 단계부터 고려되어야 한다. 4. 전시장의 확장성 산업의 발전과 함께 전시장도 확장이 가능토록 확장성을 고려한 부지확보가 필요하며 최대한 옥외주차, 조경시설을 확보하여 전시장 증설시 전시장 건립부지로 제공한다. 5. 전시장 기능 전시장 기능이 산업전시 위주의 기능인 경우 중소 규모의 회의시설을 다양하게 배치하고 컨벤션 시설의 설치는 초기 투자비가 과대하게 소요되므로 전시장 발전추세를 고려하여 건축토록 하며, 가급적 이벤트 HALL, 연예시설(Entertainment)은 동시에 건축한다. 옥외 전시기능이 확대되는 추세이므로 일부는 주차장부지와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충분히 고려하고 녹지, 공원시설은 테마를 부여하여 설치한다. 6. 전시장의 동선 관람객 동선과 직원, 화물, Catering 동선은 원칙적으로 분리시키며 차량은 One way 방식을 채택하여 차량동선의 중복을 피한다. 화물 및 서비스 차량은 가급적 출입구를 일반차량 출입구와 구분하여 별도로 설치하며 주차장은 전시장면적 대비 3.3㎡(평)당 0.2∼0.25대 이상 확보한다. 7. 기타 시설 최근 전시장이 Hi-Teck화 하고 있어 전시장내 IBS 적용 및 초고속정보통신망을 설치하여 전시기능을 제고시킨다. By theoretically reviewing the exhibition based on the literature and relevant thesis on the exhibition(industry), and comparing the most representative exhibition center this thesis presented some important factors to be reviewed when constructing the exhibition center in the future. The process of summarizing some key elements on the construction of exhibition center, the hardware part of exhibition, should be developed in terms of construction and operation at the same time with feedback by improving and developing the problems to be generated in the fields of operation, which is the software part. Followings are some core elements to be considered in construction of exhibition center, focusing on the operation of profitable exhibition. 1. Access of exhibition site. The easy access is the essential element for activating the exhibition. It should be easily accessed by the pubic transportation(bus, subway, monorail). Considering the development phases of exhibition in long-team base, it should be planned to enable the connection between railway and sea road. Exclusive IC should be installed given the traffic congestion. 2. Specialization of Exhibition center If the exhibition center exhibits light-weight goods only, multi-story structure is also available. But as for one story exhibition center, it can exhibit heavy-weight goods as well and provide visiter with easy of access. In conclusion, one-story structure exhibition center, is advantegous in many aspects. 3. Development of neighboring areas and connectivity A site of exhibition should be determined by planning the exhibition as the central industry of the city from the aspect of city planning, and should be planned from the design stage to secure the key facilities(connectivity to international airport, road, water supply and drainage system, and communication. 4. Expandability of Exhibition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site given the expandability of exhibition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industry. When expanding the exhibition, the outdoor parking and landscaping facility should be obtained as much as possible. 5. Function of Exhibition If the function of exhibition is mainly for industrial exhibition, small and medium sized meeting facilities should be arranged. Since it requires excessive investment in installation of convention facility, it should consider the trend in development of exhibition, and event hall and entertainment facility should be constructed at the same time as much as possible. Since the outdoor exhibition is on the increase, it should be designed to utilize as a parking lot some time. Green areas and park should be Installed with specific theme. 6. Flow Line of Exhibition Moving line of visiter, employee, cargo and catering should be separated in principle. One way method should be adopted for vehicles, and the overlap of vehicle flowing line should be avoided. Entrance for freight and service vehicles should be Installed separately from the entrance of general vehicles. Parking lot should be secured over 0.2 to 0.25 car spaces per 3.3㎡(Pyung) compared with the areas of exhibition. 7. Other Facilities Since the exhibition recently uses high technologies, apply IBS inside the exhibition and install the high-speed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to improve the exhibition fun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