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 효능감, 아버지 양육참여도의 관계 및 가족복지지원의 조절효과

        윤유정 경운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의 관계를 검증하고, 이 과정에서 장애아동 어머니가 지각하는 아버지 양육참여도의 매개효과와 학교 및 정부차원에서 제공되는 가족복지지원체계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구 및 경북 지역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생활연령 만 7~12세 장애아동 어머니들을 표본으로 설문지를 배포하고 유효한 설문자료 370부에 대해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성과 타당성 검증, t-test 및 ANOVA,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과 3단계 매개회귀분석, 조절회귀분석 및 계층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장애아동 어머니들의 개인적 특성, 즉 자녀성별, 연령대, 주관적 경제수준, 자녀 장애유형에 따른 독립변수 양육스트레스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t-test와 ANOVA 및 사후검증을 활용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자녀성별에 따른 양육스트레스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모든 하위요인에서 남녀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가 없었다. 둘째, 어머니의 연령대에 따른 양육스트레스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심리사회적스트레스에서 30대이하가 40대이상보다 높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p<.05)가 있었다. 셋째, 가정의 주관적 경제수준에 따른 양육스트레스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신체적스트레스 요인에서 하위층이 중위층보다 높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p<.05)가 있었다. 넷째, 자녀의 장애유형에 따른 양육스트레스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신체적스트레스 요인에서 지체장애 > 중복장애 > 시청각장애 > 발달장애의 순으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p<.05)가 있었으며, 사후검증을 실시한 결과, 지체장애 집단이 발달장애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2) 장애아동 어머니가 지각하는 양육스트레스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양육스트레스가 양육효능감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델의 설명력은 61.8%로 나타났다. 양육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양육스트레스 요인으로는 신체적스트레스 > 심리사회적스트레스 > 교육적스트레스 > 경제적스트레스의 순으로 나타났다. 3)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의 관계에서 아버지 양육참여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3단계 매개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1단계에서는 교육적, 심리사회적, 신체적 스트레스가 아버지 양육참여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델 2단계에서는 교육적, 심리사회적, 신체적 스트레스가 양육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모델 3단계에서는 독립변인인 교육적, 심리사회적, 신체적 스트레스와 매개변인인 아버지 양육참여도를 함께 투입된 결과, 양육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중 교육적, 심리사회적, 신체적 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 간의 관계에 있어서 아버지의 양육참여도는 부분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4) 본 연구의 조절변수인 학교 가족복지지원 및 정부 가족복지지원 수준 지각에 따른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간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형 1에서 독립변수만이 회귀식에 투입되었을 때 설명력(R)이 .302이었으나, 모형 2에서 조절변수를 투입한 설명력(R)은 .318로 증가하였다. 그리고 모형 3에서 독립변수와 조절변수간의 상호작용항을 투입한 모델의 설명력(R)은 .506으로 증가하였다. 특히 모형 3에서, 아버지 양육참여도는 학교 가족복지지원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양육효능감과 유의한 정(+)의 관계를, 정부 가족복지지원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양육효능감과 유의한 정(+)의 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학교 가족복지지원 및 정부 가족복지지원은 아버지 양육참여도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간의 관계를 강화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결국 본 연구는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의 관계 및 이들 변인 사이에서 장애아동 아버지의 양육참여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고, 가족복지지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는데 학문적 의의가 있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상에 나타나는 취약성은 무엇인지, 장애아동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대한 필요성, 장애아동 가족복지 지원체계 내에서 보다 실효성 있는 지원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었다는데 실무적 의의가 있다.

      • 음식 배달 라이더 주행 패턴에 따른 이륜차 대기오염 배출량 분석

        윤유정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음식 및 기타의 상품에 대한 배달을 중개하는 플랫폼이 등장하면서 국내 배달서비스 시장은 급성장하였으며 이에 따라 배달 업무에 주로 사용되는 내연기관 이륜차의 사용도 증가하였다. 이륜차는 사륜차에 비해 엔진구조가 소형화되어 배출가스의 총량은 비교적 적지만 대기오염 물질의 비중이 높고 인구밀집 지역 내에서 근접 운행하기 때문에 인체 위해성이 높다. 따라서 배달 이륜차의 대기오염 배출량 분석 및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배달 이륜차의 주행데이터를 활용하여 배달특성, 주행특성 및 대기오염 배출량을 분석하고자 한다. 기존에 배달 이륜차만을 대상으로 주행특성 분석 또는 배출량 분석을 수행한 사례가 거의 없어 본 연구에서는 배달과 관련된 용어를 정의하였다. 배달 이륜차 GPS 데이터를 활용하여 배달 이륜차의 근무시간, 배달건수 등 배달특성을 도출하고 배달특성별로 이동거리, 속도, 가속도, 감속도 등의 주행특성을 분석하였다. 배달특성 및 주행특성을 기반으로 대기오염 배출량을 분석하였다. 대기오염 배출량은 MOVES 모델의 운행특성 및 교통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OpMode approach를 통해 산정하였다. 배달특성, 주행특성 및 대기오염 배출량이 조건별로 차이가 존재하는 지 비교하기 위해 t-test 분석 및 ANOVA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단건배달이 묶음배달에 비해 평균 속도, 가속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대기오염 배출량을 분석한 결과 단건배달과 묶음배달의 배출량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행목적에 따라 주행특성 및 대기오염 배출량을 분석한 결과 업무 중의 감속도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CO2, CO 배출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업무 중에 전달을 위해 정차할 때 빠르게 감속하여 정지하는 경우가 존재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K-means 군집분석을 통해 대기오염 배출량 등급을 산정하여 배달특성에 따른 대기오염 배출량 패턴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속도, 가속도, 감속도, 이동거리가 작을수록 단위거리당 CO2, CO 배출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배달 이륜차 주행데이터를 통해 배달특성, 주행특성 및 대기오염 배출량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배달 이륜차 운행 행태 분석 등 배달 이륜차 연구의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1960년대 한국 코미디영화의 희극성과 그 의미

        윤유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39

        By focusing on comic sequences that appear as excesses in Korean comedy films of the 1960s, this study aims to reveal that comedy films of this period generate comedy from bodily responses to rigidity. While comedy films of this period are characterized as mass entertainment that blatantly reveal the desires of reality through narrative, they also mediate the perpetual imagination of the absence of reality through moments of laughter that protrude from the narrative. By defining such moments of laughter as the ‘excess’ of comedy films and establishing comic sequences as excess as a key concept to look at Korean comedy films of the 1960s, this study aims to shed light on the meaning of comedy found in comedy films of this period and the ways in which it was accepted by audiences. Comedy, along with melodrama, was the first genre to be differentiated in Korean cinema, with a steady production pattern from the mid-1950s to the 1960s, when the number of films produced increased dramatically. The comedies of the 1960s were richer in comedy than any other period in Korean cinema, but they have always occupied a peripheral posi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cinema. In existing narratives of Korean film history, comedy in the 1960s has been reduced to a unique phenomenon, and scenes that provoke audience laughter are criticized for their vulgarity and blamed for this reduction. However, the excesses of comic sequences that trigger audience laughter are worthy of attention because they allow us to read the possibility of an unreal world projected into the narrative. The comic sequence of excess in comedy films of this period is based on the comedian as a human being rather than an automaton, and seeks to actively generate laughter through the materiality of the body. The body in comedy films of this period, which constitutes the comic sequence of excess, actively responds to the discipline of the reality surrounding it and struggles to escape from the rigidity within itself. From the representation of ‘abnormality’ that tries to escape the order of reality, the audience can experience the moment of laughter as an eruption of emotions within a public space with the freedom to imagine the world outside of their own. In this way, this study examines comedy in Korean comedy films of the 1960s as a bodily response to rigidity, and points out the gap between what the audience perceived as reality and what they imagined beyond it through comic sequences of excess. First, the comedies of this period are characterized by the reactive movement of the male body, which reconstructs its identity according to the new social practices it encounters. The damaged bodies of men in comedy films of this period embody a masculinity that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reconstruction of hegemonic masculinity aimed at by the narrative, or go beyond the gaze of otherization that tries to define gender queerness as a pathological phenomenon. The comic sequences of the male body in Shim Wu-seob’s ‘Man Series’(<!-- Not Allowed Attribute Filtered ( Male Housekeeper) --><A>, <!-- Not Allowed Tag Filtered --><The Male Beauty Artist>, <!-- Not Allowed Attribute Filtered ( Man And a Gisaeng) --><A>) deviate from the narrative of reconstructing healthy masculinity and visualize the inherent cracks in the patriarchal society driven by hegemonic men. The practices of the marginalized men in the film are nothing more than performances of the stigmas placed on them, but they choose to remain marginalized by cheerfully displaying their failures. In addition, the possibility of solidarity between men based on sexual relationships found in the work imagines an order outside of hegemonic masculinity. In addition to these marginalized masculine performances and practices, there is also a gender queer representation in Korean comedy films of the 1960s, primarily represented by the presence of comedian Seo Young-choon. The damaged male body moves towards becoming ‘gender queer’ through new sexual relationships and practices, against a hyper-masculine society that defines his masculinity as subordinate and seeks to damage his body. The cross-dressing bodies of the male characters in <!-- Not Allowed Tag Filtered --><Salsali>, You Didn't Know> raise the possibility of non-binary existence rather than becoming objects of voyeuristic desire for the audience. Furthermore, the queer male bodies in <!-- Not Allowed Tag Filtered --><Woman is Better> and <!-- Not Allowed Tag Filtered --><Mines are Better> are not bound by gendered identities, but rather disrupt the sex/gender binary. Meanwhile, the grotesque body images in Korean comedy films of the 1960s show the body’s inherent materiality, while at the same time imagining a body with an openness that goes beyond the disciplined body. In response to the surveillance gaze that has penetrated even their own inner worlds, the bodies in comedy films of this period show moments of openness, whether it is appropriating the gaze itself or opening themselves up to the world. The comic sequences of excess characteristic of comedy films of this period, such as ravenous eating and the intermingling of the living and the excreted, transform the surroundings into a space of temporary carnival. In the preliminary discussion, <!-- Not Allowed Tag Filtered --><An Upstart>, the rigid movement of the body that internalizes the capitalist order triggers comedy, while the possibility of a carnival full of free speech is found in the breaking away from such order. In the case of <!-- Not Allowed Tag Filtered --><Gentleman in His Only Suit> and <!-- Not Allowed Tag Filtered --><Sorry to Give You Trouble>, there is an excess of comic sequences at the end where multiple bodies intertwine and attack each other. These moments of attack have the character of degradation and destruction, but at the same time, they prepare for the creation of new ones and imagine a momentary carnival of uncontrollable laughter. In addition, comedy films during this period have a carnival character in that they contain positive implications for the creation of a downgrade of sex. <!-- Not Allowed Tag Filtered --><Horse-year Bride>, <!-- Not Allowed Tag Filtered --><Catching Tigers>, and <!-- Not Allowed Attribute Filtered ( Bride on the Second Floor) --><A> are full of the power of free production away from the body that had been operated in an orderly manner like a production machine. <!-- Not Allowed Tag Filtered --><Do As You Wish> designed to promote the birth control government policy. <!-- Not Allowed Tag Filtered --><Do As You Wish>’s comic sequence continues to escape the enlightening narrative and ridiculously captures a character obsessed with sexual behavior itself for creation. Such excess eroticism also opens the possibility of regeneration in that it expresses the desire for sexual union of the middle-aged generation. Driven by a repertoire of comic sequences comprising processes of suffering and recovery and the individual identities of the comedians, the body in Korean comedy films of the 1960s moves towards a dynamic emphasis on the figure of the 'human in the form of a machine'. Comedy films in this period were not free from the charge of vulgarity, but rather, they were consistently produced to attract audiences to the theater through vulgarity. The temporary sense of liberation through the audience's enduring imagination and laughter that could be triggered by this shows the "(de)mobilizing power" of moviegoers in this period. By erupting into laughter with their whole bodies, the audiences of comedy films in this period were able to escape the gaze of discipline imposed on them and reach a source of escape and laughter. Keywords : comedy film, comedy, comedic, comicality, laughter, excess, body, masculinity, gender queer, grotesque, carnival, eroticism, 1960s, Korean cinema 본 연구는 1960년대 한국 코미디영화에 과잉으로서 나타나는 코믹 시퀀스에 주목함으로써, 이 시기 코미디영화가 경직성에 대한 신체적 대응으로부터 희극성을 창출하고 있음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 시기 코미디영화는 서사를 통해 현실의 욕망을 노골적으로 드러내는 대중오락의 성격을 지니는 동시에, 서사에서 돌출된 웃음의 순간을 통해 현실에 부재하는 것에 대한 다기한 상상을 매개한다. 본 연구는 그러한 웃음의 순간을 코미디영화의 ‘과잉’으로 규 정하고, 과잉으로서의 코믹 시퀀스를 1960년대 한국 코미디영화를 바라보는 핵심 개념으로 설정함으로써 이 시기 코미디영화에서 발견되는 희극성의 의미와 그것이 관객에게 수용되었던 양상을 밝히고자 한다. 코미디는 멜로드라마와 더불어 한국영화사에서 가장 먼저 분화된 장르로, 1950년대 중반부터 영화 제작 편수의 비약적 증가를 맞은 1960년대에 이르기까지 꾸준히 제작되는 양상을 보인다. 1960년대 코미디영화는 한국영화계가 경험한 그 어떤 시기보다 풍부한 희극성을 보여주었으나 그간 한국영화사에서 주변적 위치를 점하고 있었다. 기존의 한국영화사 서술에서 1960년대의 코미디는 하나의 독특한 현상으로 축소되어 왔으며, 관객의 웃음을 유발하는 장면들은 저속성을 지적당하며 그러한 축소의 원인으로 지목되었다. 그러나 관객의 웃음을 유발하는 과잉의 코믹 시퀀스는 서사에 돌출된 비실재적인 세계의 가능성을 읽어낼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요한다. 이 시기 코미디영화의 과잉으로서의 코믹 시퀀스는 자동기계가 아닌 인간으로서의 코미디언을 토대로 하여, 신체가 지닌 물질성을 통해 적극적으로 웃음을 창출하고자 한다. 과잉의 코믹 시퀀스를 구성하는 이 시기 코미디영화의 신체는 자신을 둘러싼 현실의 훈육에 적극적으로 응수하며 자기 내부에 자리 잡은 경직성에서 탈출하기 위해 분투한다. 현실의 질서를 벗어나려는 ‘비정상성’의 표상들로부터, 관객은 자신이 속한 세계 바깥을 상상하는 자유와 함께 공적 공간 내에서 감정의 분출로서의 웃음의 순간을 경험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이 1960년대 한국 코미디영화의 희극성을 경직성에 대한 신체적 대응으로 바라보고, 극중 과잉의 코믹 시퀀스를 통해 당대의 관객 대중이 현실로서 지각했던 것과 그 너머로 상상했던 것 사이의 간극을 짚어 본다. 먼저 이 시기 코미디영화에는 자신이 겪는 새로운 사회적 실천 관계에 따라 스스로의 정체성을 재구축하는 대응적인 남성 신체의 움직임이 과잉으로서 두드러진다. 이 시기 코미디영화에 나타난 남성들의 손상된 몸은 서사가 겨냥하는 헤게모니적 남성성의 재구축과는 전혀 다른 남성성을 체현하거나, 젠더 퀴어를 병리적인 현상으로 규정하려는 타자화의 시선을 넘어선다. 심우섭 감독의 ‘남자 시리즈’(<남자식모>, <남자미용사>, <남자와 기생>)에서 과잉으로 존재하는 남성 신체의 코믹 시퀀스는 건전한 남성성을 재구축하려는 서사에서 일탈하며, 헤게모니적 남성들에 의해 견인되는 가부장적 사회에 균열점이 내재되어 있음을 시각화한다. 극중 주변화된 남성들의 실천은 자신에게 덧입혀진 낙인을 수행하는 퍼포먼스에 지나지 않으나, 이들은 유쾌하게 자신의 실패를 전시함으로써 주변화된 자리에 머무르고자 한다. 또한 작품에서 발견할 수 있는 성애적 관계를 기반으로 한 남성 간 연대의 가능성은 헤게모니적 남성성의 질서 바깥을 상상케 한다. 이와 같은 주변화된 남성의 수행과 실천 이외에, 1960년대 한국 코미디영화에는 주로 코미디언 서영춘의 존재로 대변되는 젠더 퀴어의 상이 존재한다. 손상 받은 남성 신체는 자신의 남성성을 종속적인 것으로 규정하고 자신의 신체를 손상시키려는 초남성적 사회에 대항하여, 새로운 성적 관계와 실천을 통해 스스로 ‘젠더 퀴어’가 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살사리 몰랐지>에서 여장을 거친 남성 인물의 신체는 관객에게 관음증적 욕망의 대상이 되기 보다는 논바이너리한 존재에 대한 가능성을 제기한다. 더하여 <여자가 더 좋아>와 <내것이 더 좋아>에 나타나는 퀴어한 남성 신체는 젠더화된 정체성에 구애받지 않고 섹스/젠더 이분법을 교란하는 양상을 보인다. 한편 1960년대 한국 코미디영화의 그로테스크한 신체 이미지들은 신체의 원천적인 물질성을 보여주는 동시에, 훈육된 신체 너머의 거리낌 없는 개방성을 가진 신체를 상상케 한다. 스스로의 내면에마저 틈입한 감시의 시선에 대응하며, 이 시기 코미디영화의 신체는 시선 자체를 전유하거나 자신의 몸 자체를 세계로 개방해버리는 등 찰나적으로나마 열림의 순간을 보여준다. 게걸스럽게 탐식하거나, 살아 있는 것과 배설된 것이 뒤엉키는 등 이 시기 코미디영화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과잉의 코믹 시퀀스는 주위를 일시적인 카니발의 공간으로 변모시킨다. 예비적 논의의 대상인 <구봉서의 벼락부자> 는 자본주의적 질서를 내재화한 신체의 경직된 움직임을 통해 희극성을 유발하는 한편으로, 그러한 질서로부터 벗어나 자유로운 발화로 가득한 카니발의 가능성이 발견된다. <단벌신사>와 <신세 좀 지자구요>의 경우 결말부에 여러 신체들이 뒤엉키며 서로를 공격하는 코믹시퀀스가 과잉으로서 존재한다. 이러한 공격의 순간은 격하와 파괴의 성격을 가지는 동시에, 새로운 생성을 예비하고 참을 수 없는 웃음이 터져 나오는 찰나의 카니발을 상상케 한다. 더하여 이 시기 코미디영화는 성에 대한 격하가 생성을 향한 긍정의 함의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카니발적 성격을 보인다. <말띠 신부>와 <산에 가야 범을 잡지>, <이층집 새댁>은 생산 기계와 같이 질서정연하게 조작되어 있었 던 신체를 벗어나 자유로운 생성의 힘으로 가득하다. 산아제한 정부시책을 홍보하기 위해 제작된 <마음대로 하세요>의 코믹 시퀀스는 계몽적인 서사를 계속해서 빠져나오며, 생성을 위한 성적 행위 자체에 사로잡힌 인물을 우스꽝스럽게 포착한다. 이와 같은 과잉의 에로티시즘은 중년 세대의 성적 결합 에 대한 열망을 함께 표출한다는 점에서 재생의 가능성을 열어두기도 한다. 고통과 회복의 과정으로 구성된 코믹 시퀀스의 레퍼토리와 코미디언의 개별적 정체성에 힘입어, 1960년대 한국 코미디영화의 신체는 ‘기계의 형태를 띠고 있는 인간’의 모습을 역동적으로 강조하는 방향으로 나아간다. 이 시기 코미디영화는 저속성의 혐의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으나, 오히려 그 저속성을 통해 관객을 극장으로 불러들이며 꾸준히 제작되는 양상을 보인다. 이로부터 촉발될 수 있었던 관객의 다기한 상상과 웃음을 통한 일시적 해방감은 이 시기 영화 관객의 ‘(탈)동원하는 힘’을 보여준다. 극장 공간을 찾은 이 시기 코미디영화의 관객은 온몸으로 웃음을 분출함으로써, 자신에게 가해지는 규율의 시선을 벗어나 탈출에 대한 페이소스와 웃음에 도달할 수 있었다. 주요어: 코미디영화, 코미디, 희극성, 웃음, 과잉, 신체, 남성성, 젠더 퀴어, 그로테스크, 카니발, 에로티시즘, 1960년대, 한국영화

      • CRISPR/Cas9 mediated genome-editing of the eIF4E gene in tomato

        윤유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CRISPR/Cas9 (Clustered Regularly Interspaced Short Palindromic Repeats) 기술의 개발로 거의 모든 유기체에서 유전체 편집을 가능하게 되었다. Eukaryotic translation initiation factor 4E (eIF4E)는 식물의 열성 바이러스 저항성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된 단백질이다. 본 연구에서는 토마토 (Solanum lycopersicum cv. Miro-Tom) 에서 유전자교정 (GE)의 대상으로 eIF4E 유전자를 선정하였다. phytoene desaturase (PDS) 또는 eIF4E 유전자를 목표로 하는 gRNA와 Cas9 유전자가 아그로박테리움 매개 방법으로 Miro-Tom에 형질전환하였으며, Cas9과 gRNA가 삽입된 토마토 형질전환체를 얻었다. 전체 113개 중 4개에서 알비노 표현형을 나타내는 유전자교정 식물체를 T0세대에서 얻을 수 있었다. eIF4E 유전자교정 토마토를 얻기 위해, eIF4E 형질전환체의 염기서열 분석을 실시하였다. 총 16개의 형질전환체 중 11개에서 43 베이스페어의 범위의 다양한 결실을 가지는 E0 식물체를 얻었다. E0 식물체들은 자가수분을 하였으며, 5개 eIF4E1 돌연변이체를 얻었다. E2 세대에 Tobacco etch virus (TEV) 접종을 실시하였다. eIF4E1 돌연변이체에서 TEV에 저항성을 보이지 않았으며, 이는 토마토 eIF4E 유전자에 존재하는 유전자중복에 따른 결과로 예상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CRISPR/Cas9 기술은 목표하고자 하는 유전자에 돌연변이를 일으키는 유용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e development of Clustered Regularly Interspaced Short Palindromic Repeats (CRISPR)/Cas9 technology has made targeted mutations possible in virtually any organisms. Eukaryotic translation initiation factor 4E (eIF4E) is the protein encoded by recessive virus resistance genes in plants. In this study, the eIF4E gene was chosen as a target for genome editing (GE) in Solanum lycopersicum cv. Micro-Tom. The Cas9 gene together with gRNA for phytoene desaturase (PDS) or eIF4E genes were delivered to Micro-Tom via Agrobacterium-mediated method and transgenic tomato plants carrying Cas9 and gRNA were obtained. The photo bleaching phenotype was observed in four out of 113 explants targeted for PDS demonstrating homozygous GE plants can be obtained in T0 generation. To obtain the eIF4E edited tomato plants, transgenic plants were analyzed by sequencing the eIF4E gene of transgenic plants. A total of 16 eIF4E edited E0 plants containing various sizes of deletion ranging from 11 to 43 bp in eIF4E1 were obtained. E0 plants were self-pollinated and five homozygous E1 mutant lines for eIF4E1 were obtained. Tobacco etch virus (TEV) was inoculated to E2 progeny. No resistance to TEV was observed in two eIF4E1 mutants, which may be due to the redundancy of the eIF4E gene.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CRISPR/Cas9 technology can be used as a useful tool for mutating to desired targets.

      • 음주운전 적발횟수 및 알코올에 따른 심리성격특성의 차이 검증 : 음주운전자와 일반운전자를 대상으로

        윤유정 아주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국문초록 본 연구는 일반운전자와 1회 적발 음주운전자, 2회 이상 적발 음주운전 자 집단 간의 심리성격특성에 대한 차이 및 음주운전 의도에 영향을 미치 는 요인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주운전 적발횟수에 따른 일반운전자, 1회 적발 음주운전자, 2회 이상 적발 음주운전자 집단 간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어떠한 차이가 있 는가? 둘째, 음주운전 적발횟수에 따른 일반운전자, 1회 적발 음주운전자, 2회 이상 적발 음주운전자 집단 간의 심리성격특성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 가? 셋째, 알코올 중독이 아닌 음주운전자와 알코올 중독 음주운전자 간 의 심리성격특성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넷째, 음주운전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성격특성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도로교통공단의 특별교통안전교육 생 음주운전적발 1회반, 2회반, 3회반의 음주운전자들과 만 20세 이상 운 전면허소지자의 일반운전자를 대상으로 하여 총 939부의 결과를 분석하였 다. 측정도구는 한국어판 알코올 사용장애 선별검사(AUDIT-K), 음주동 기 질문지, 음주음전 의도 질문지, 음주거부 자기효능감 질문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질문지, 한국판 성격평가 질문지(PAI), 한국판 Barat 충동 성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자료의 분석은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 그리고 상관분석으로 Pearson 상관계수를 산출 하였고 교차분석과 일원변량분석, 공변량 분석, 위계적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의 차이를 살펴보면 성별은 남성 이 2회 이상 적발 음주운전자(95.8%)가 가장 많았으며, 학력은 일반운전 자는 대졸(41.5%)이 많았고, 1회 적발(39.6%)과 2회 이상(43.2%) 적발 음 주운전자는 고졸이 가장 많았다. 월평균 소득수준은 일반운전자(40.8%)와 2회 이상 적발 음주운전자(34.7%)는 50만원 이상이 많았으며, 1회 적발 음주운전자(31.2%)는 20-30만원으로 나타났다. 운전경력은 일반운전자 는 20-25년 미만(27.4%)이 많았으나, 1회 적발 및 2회 이상 적발 음주운 전자는 고루분포 되어 있었다. 연령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일반음주운전자와 1회 적발 음주운전자, 2회 이상 적발 음주운전자 집단 간에 심리성격특성의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음주운전자 집단에서 1 회 적발 음주운전자 집단과 2회 이상 적발 음주운전자 집단 간에 문제음 주와 반사회적 성격특성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알코올 중독이 아닌 음주운전자 집단과 알코올 중독 음주운전자 집단의 심리성격특성 차이는 모든 연구변인에서 알코올 중독 음주운전자 집단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음주운전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중 반사회적 성격특성이 음주운전 의도에 대한 가장 강력한 예언변인이었으며 그 밖에도 성별, 과 거 음주운전 경험, 동조동기, 문제음주,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충동 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일반음주운전자와 1회 적발 음주운전자, 2회 이상 적발 음주 운전자 집단 간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심리성격특성의 차이와 음주운전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확인하였다. 또한 음주운전자와 일반 운전자들을 대상으로 음주운전 적발횟수에 따른 심리성격특성의 차이를 검증하고, 음주운전자 내에서도 알코올중독 여부에 따른 심리성격특성 차 이와 음주운전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성격특성을 검증함으로써 음주 운전자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 및 상담을 위한 개입의 기초자료가 되었다 는 것에 의의가 있다.

      • '得'자 상태보어구문의 문법화 연구

        윤유정 延世大學校 大學院 2009 국내박사

        RANK : 248639

        ‘得’자를 수반한 상태보어문의 통사구조와 문법 의미는 매우 복잡하고 다양하다. 본 논문은 주로 문법화 이론을 이용하여 ‘得’자 상태보어문의 통사형식과 문법 의미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得’자의 문법화 현상을 통시측면과 공시측면에서 살펴보고 ‘得’자가 동사, 능원동사, 구조조사, 형태소 등의 기능을 갖고, ‘得’자 구문이 획득, 완성, 허가, 의무, 능력, 가능, 정도, 상태, 결과, 초래 등의 의미를 나타내게 된 원인을 분석한다. 둘째, ‘得’자를 수반한 세 가지 보어 중 가능보어를 제외하고 정도보어와 상태보어를 서로 분리할 것을 주장하고, 분리의 필요성과 상태보어의 정의 및 범위를 규정한다. 셋째, ‘得’자 상태보어의 통사 유형을 크게 세 가지 즉 AP/VP, NP+VP, NP로 구분하고 각각의 통사형식과 문법 의미의 관계를 문법화를 이용하여 살펴보고 각 구성성분의 문법화 현상에 대해서도 살펴본다. 본 논문의 제1장 서론 부분에서는 연구 목적과 동기, 선행 연구 성과, 문법화 이론 등을 소개한다. 제2장에서는 고대·근대중국어와 현대중국어에서 ‘得’의 용법과 의미를 살펴보고, ‘得’의 통사 변화와 의미 변화를 문법화를 이용하여 해석한다. ‘得’는 통사상 본래 동사이던 것이 능원동사, 구조조사, 형태소 등의 용법으로도 쓰이고 있다. 또한 의미상 본래 [+획득]을 나타내던 것이 [+완성, 실현], [+허가], [+가능], [+능력], [+정도], [+결과], [+상태], [+초래] 등의 의미를 나타낸다. ‘得’자의 통사 변화는 통시측면에서의 문법화 과정을 통해 살펴보고, 이를 근거로 하여 공시측면에서 ‘得’자의 문법화 정도를 판단한다. ‘得’자 구문의 의미 변화는 근원영역에서 목표영역으로 사상되면서 발생하는 것으로 볼 수 있는데, 사상의 과정에는 은유가 사용된다. 그러므로 은유 기제를 이용하여 의미 변화를 분석한다. 제3장에서는 상태보어와 정도보어를 구분할 것을 주장하며 그 원인을 제시하고, 상태보어문의 정의와 범위를 규정한다. 또한 상태보어문이 나타내는 문법 의미를 정의한다. 현대중국어에서 ‘得’자를 표지로 갖는 보어는 가능보어, 정도보어, 상태보어의 세 가지가 있는데, 이 중 가능보어는 연구 범위에서 제외한다. 기존 문법서의 보어 체계를 살펴본 후 본고는 정도보어와 상태보어를 분리할 것을 주장하는데, 이를 위해 분리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또한 ‘得’자 상태보어문의 정의 및 범위 그리고 상태보어문이 나타내는 문법 의미를 규정한다. 제4장에서는 ‘(S)+V/A+得+AP/VP’ 구조를 4가지로 하위분류하여 각각의 문법 의미를 분석한다. 보어의 의미지향에 근거할 때 ‘(S)+V/A+得+AP/VP’ 구조가 나타내는 문법 의미는 [+상태], [+결과], [+정도]의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V+得+AP’ 구조에서 보어가 행위자나 대상을 의미지향할 경우 [+결과, 정도]를 나타내며, ‘V+得+VP’ 구조에서 보어가 행위자나 대상을 의미지향할 경우 [+결과, 정도]를 나타낸다. 그리고 ‘A+得+AP’ 구조에서 보어가 A를 지향하고 술어와 보어가 의미상 직접적인 관련이 있을 경우 [+정도]를 나타내며, 보어가 행위자나 대상을 지향할 경우 [+결과, 정도]를 나타낸다. 또한 ‘A+得+VP’ 구조에서 보어가 A를 의미지향할 경우 [+정도]를 나타내며, 보어가 행위자나 대상을 의미지향할 경우 [+결과, 정도]를 나타낸다. 이 문형에 빈어가 출현할 경우 세 가지 문형으로 나타낼 수 있는데, 생성 시기의 선후에 근거하여 배열하면 ‘S1+S2+V+得+C’(주어서술어서술어문), ‘S+把+O+V+得+C’(‘把’자문), ‘S+V+O+V+得+C’(동사복사문)의 순서이다. 그러므로 일반 문법서에서 상태보어와 빈어가 동시에 출현할 경우 동사복사문을 먼저 소개하고 난 후 주어서술어서술어문과 ‘把’자문은 동사복사문에서 빈어를 술어 동사 앞으로 전치시켜 생성된 문장이라고 설명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주어서술어서술어문과 ‘把’자문은 기존 통사구조가 확장되면서 문법화한 것이고, 동사복사문은 기존 담화조직이 축약되면서 통사구조로 문법화한 것이다. 주어서술어서술어문은 문두 성분을 주제화시키는 기능이 있고, ‘把’자문은 ‘처리’와 ‘초래’ 의미를 두드러지게 할 수 있으며, 동사복사문은 동사를 두 번 중복함으로써 동작행위를 강조하고 이러한 동작행위를 통해 발생한 결과나 상태를 강조하는 기능이 있다. 제5장에서는 ‘S+V+得+NP+VP’ 문형을 분석한다. 본고는 이 문형을 통사상 주어서술어구조가 ‘得’자 뒤에서 상태보어로 쓰인 것으로 간주하고, 그 문법 구조와 문법 의미를 분석한다. 첫째, NP와 S가 종속관계를 갖는다면 보어는 [+상태]를 나타낸다. 둘째, NP가 V의 행위자라면 보어는 [+결과]를 나타낸다. 셋째, NP가 V의 대상인 동시에 VP의 행위자라면 보어는 [+결과, 초래]를 나타낸다. 넷째, NP가 V의 대상이고, VP가 V를 의미지향 한다면 보어는 [+정도]를 나타낸다. 다섯째, NP와 V가 의미상 관계가 없고 또한 NP가 VP의 행위자라면 보어는 [+결과, 초래]를 나타낸다. 여섯째, NP와 V가 의미상 관계가 없고 또한 VP가 S를 지향한다면 보어는 [+정도]를 나타낸다. 제6장에서는 체언성 성분이 보어로 쓰인 ‘(S)+V+得+NP’ 문형을 분석한다. 이 문형은 다시 ‘(S)+V+得+一/滿+차용양사+N’과 ‘V+得+대사’로 하위분류할 수 있다. 본고는 통사, 의미, 화용의 측면에서 이 두 문형을 분석하고, 또한 ‘一’와 ‘차용양사’의 문법화 현상을 분석한다.

      • 국악공연의 마케팅믹스요인이 관람객 만족도와 재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 국립국악원을 중심으로

        윤유정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국악공연 시장은 2011년을 정점으로 공연 건수와 횟수는 감소하고 있지만 공연 1건 당 공연 횟수는 2011년을 거점으로 점차 증가하고 있는 현상을 보인다. 전반적인 공연 총량은 감소하는데 공연 1건 당 공연 횟수가 높아지고 있다는 것은 상설공연, 장기공연이 많아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더 나아가 이는 전반적인 국악 분야의 다양성과 역동성이 감소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문화예술 향유를 위한 다양한 관객들의 수요를 상대로 국악공연 예술에 있어 관람객의 소비형태를 연구하고 공연예술을 소비하고 수용하는 측면에서 어떠한 요인에 따라 국악공연을 선택하는지 다각도의 마케팅 관점에서 살펴 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악공연 시장에서 국립국악원의 국악공연을 관람하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마케팅믹스요인이 관람객의 만족도 및 재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관람객들의 새로운 소비트렌드와 접근방법을 모색할 수 있는 마케팅 방안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문헌고찰과 실증분석으로 나누어 진행하였고 국립국악원 공연 관람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실증분석 결과, 국악공연의 마케팅믹스요인은 관람객 만족도와 재관람의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국악공연 관람객의 설문분석결과 여자(40.8%)보다 남자(59.2%)가 조금 더 이용률이 높았고, 연령대별로는 40대가 많이 이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관람특성으로는 년 1~2회(67.5%)정도 국악공연을 관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체적으로 인터넷(39.5%)을 통해 국악공연 관람에 대한 정보를 얻었으며 인터넷 예매(40.4%)를 통해 티켓을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국악공연의 마케팅믹스요인에 있어 관람객 만족도에 64% 이상의 영향을 미쳤고 하위요인별로는 공연작품, 장소·유통, 공연관계자, 프로모션, 물리적 환경 순으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넷째, 국악공연의 마케팅믹스요인은 재관람의도에 50% 정도의 영향을 미쳤으며 공연작품, 공연관계자, 프로모션, 진행과정이 재관람의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그 동안 국악공연 시장의 추이와 변화를 충분히 담고 있지 못한 상황에서 체계적인 마케팅믹스 7P 요인을 접목하여 관람객 만족도 및 재관람의도의 영향관계를 분석했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다. 향후 관련 분야에 있어 실무적으로 유의미한 기초 자료로 활용 가능 할 것이며 국악공연 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학술적인 논의가 진전되고 체계적인 마케팅 수립 방안과 객관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otal number of performances for Gukak reached its peak in 2011 and has been decreased since. in contrary, number of shows for respective performance has been increased. This phenomenon substantially reflects the fact that permanent and regular basis performances tend to increase implying lack of variety and dynamic in Gukak industry nowadays. To study the tendency of audience and their consumption patterns, it seems quite necessary to observe, in the various perspectives of marketing, depending on what factors or determinants the audience of Gukak performance chooses a performance. This study, therefor, is to conduct an analysis on how the factors of marketing mix influence over audience satisfactory and intention to revisit specifically targeting audience of a Gukak performance at National Gukak Center and to suggest new marketing measures embracing consumers' propensity based upon the results. Documentary research, empirical analysis, and poll questions for audience of National Gukak Center were carried out for the study. It is resulted that the marketing mix factors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audience's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visit. The consequences for the sub theorie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survey, there are more male(59.2%) than female (40.8%) in the audience group. In terms of age group, The majority were for those who are in their 40s. Second, result indicates that the audience see average of 1~2 Gukak performances per year. Gukak performance related information are mostly retrieved from the Internet (39.5%). Most of the tickets are purchased through Internet as well (40.4%). Third, marketing mix factors of Gukak influence on audience satisfaction at the rate of 64% or above. The sub factors positively affected their satisfaction in order of the performance, place and distribution, personnel, promotion, and physical environment. Forth, marketing mix factors influence on audience intention to revisit at the rate of 50%. The sub factors that positively affected their intention are the performance, personnel, promotion, and procedure. This study is academically significant due to the analysis on the interaction between audience's satisfaction and their intention to revisit through the 7P factors of marketing mix while there's insufficient study over fluctuation and trend of Gukak performance industry. The author hopes that this study can be a reference for practical use and that the study leads to subsequent studies for systematic marketing measures and stimulation of the industry.

      • 요양보호사가 노인으로부터 경험하는 고충에 관한 연구 : 서울 중구 노인장기요양 주야간보호센터 중심으로

        윤유정 동국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are care-workers who are working at the Seoul Jung-gu Day Care Center for Seniors. In this research, we will look into their difficulties in their work place through qualified surveys and suggest solutions. Before the actual survey, we studied precedent researches about emotional labors and physical labors and their solutions. Our research was proceeded at the Seoul Jung-gu Day Care Center for Seniors. We had deeply interviewed care workers for eight weeks. This is the summary of our research. Their difficulties: First, low social understandings of a care-worker as a professional job in Korean society and low social-confidence that actual care-workers have themselves. Even though, care-workers carry professional licenses, they do think that their job is under-valued in society. Therefore, their dignity about their career is very low. Secondly, care-workers are required to sacrifice their emotions and physical energy. Care-workers think people in Korean society ask them to sacrifice more than what they need to for their career. They complain that excessive emotional and physical labors actually harm them physically and also mentally. Thirdly, even if you are a well-prepared professional care-worker, you will have difficulties upon consistent insults and violations. It is urgent that there should be a solution. Frequently, there are seniors who have Alzheimer’s have sexual desires. It is definite that a female care-worker could be embarrassed if a male Alzheimer’s senior sexually harasses her. Of course, the center should consistently offer education sessions about sexual violations. But that cannot fully protect our social-workers. Fourthly, there are guardians who bother and mentally harass care-workers. Even the center cannot offer an individual care for a senior, some guardians require more than what care-workers can officially do to their seniors. And consistent requirements from guardians could be a big stress for a care-worker. Fifthly, care-workers think they deserve more than what they get in their payment. They have already been struggled through excessive emotional and physical labors. Also, their profession is undervalued in Korean society. Care-workers do think that it is unfair to get low payments when they think about all those negativities upon their job. The Study have a solutions as following: First, there should be improvements about social perceptions of a care-worker as a professional job. A care-worker is not just assisting an individual senior, but seniors in society who will be also our future. Also, a care-worker should be accepted as a professional job in society which requires a license. Secondly, there should be a reward for excessive emotional labors. People in society automatically require sacrifice to care-workers. However, that is a wrong thinking. A care-worker is the same human being and also should be protected. Many care-workers fall into a dilemma between their rights and sacrifice to seniors they assist. In reality, emotional labors exist in their works, but they should not be forcefully required to sacrifice. Even though care-workers work under excessive emotional and physical labors, their payments are still low. Every year, their wages grow, but it is a tiny bit. Since the wages are the most issued among care-workers, this problem should be improved abruptly. Thirdly, there should be solutions against seniors’ insults and sexual harassments. Many care-workers feel undervalued and mentally devastated when Alzheimer’s seniors attack them verbally and sexually. In order to improve, there should be a program that manages care-workers’ mental devastations. Also, male care-workers should be encouraged since they are more physically prepared to Alzheimer’s seniors. Fourthly, it is significant to build rapport between care-workers and guardians. There are guardians who give a lot of stress to care-workers. It is an important issue, because care-workers have already been through excessive emotional and physical labors. In order to avoid conflicts and mental devastations, care-workers should build rapport with the guardians at the beginning. Fifthly, an increase in a wage is definitely needed. Most of care-workers think they are undervalued in society and their low payments reflect that. An increased wage could be a reward to care-workers who work diligently though excessive emotional and physical labors.

      • Three dimensional path planning and guidance for aerial refueling of unmanned aerial vehicle

        윤유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In this thesis, a rendezvous path planning is considered for a UAV (Un-manned Aerial Vehicle). The objective of the path planning is to make the tanker and the UAV perform rendezvous at a pre-planned point, and then the UAV should maintain the same speed with the tanker to accomplish aerial refueling mission. Since the aerial refueling mission is generally per-formed between one tanker and multiple aircraft, setting the pre-planned point for the rendezvous will be efficient in the operation management level. In this study, rendezvous path planning and guidance law are pro-posed such that the UAV can be prevented from turning sharply while minimizing an energy consumption. Numerical simulations are performed for rendezvous and aerial refueling mission to demonstr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path planning and guidance la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