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 효능감, 아버지 양육참여도의 관계 및 가족복지지원의 조절효과

        윤유정 경운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687

        본 연구는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의 관계를 검증하고, 이 과정에서 장애아동 어머니가 지각하는 아버지 양육참여도의 매개효과와 학교 및 정부차원에서 제공되는 가족복지지원체계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구 및 경북 지역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생활연령 만 7~12세 장애아동 어머니들을 표본으로 설문지를 배포하고 유효한 설문자료 370부에 대해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성과 타당성 검증, t-test 및 ANOVA,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과 3단계 매개회귀분석, 조절회귀분석 및 계층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장애아동 어머니들의 개인적 특성, 즉 자녀성별, 연령대, 주관적 경제수준, 자녀 장애유형에 따른 독립변수 양육스트레스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t-test와 ANOVA 및 사후검증을 활용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자녀성별에 따른 양육스트레스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모든 하위요인에서 남녀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가 없었다. 둘째, 어머니의 연령대에 따른 양육스트레스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심리사회적스트레스에서 30대이하가 40대이상보다 높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p<.05)가 있었다. 셋째, 가정의 주관적 경제수준에 따른 양육스트레스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신체적스트레스 요인에서 하위층이 중위층보다 높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p<.05)가 있었다. 넷째, 자녀의 장애유형에 따른 양육스트레스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신체적스트레스 요인에서 지체장애 > 중복장애 > 시청각장애 > 발달장애의 순으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p<.05)가 있었으며, 사후검증을 실시한 결과, 지체장애 집단이 발달장애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2) 장애아동 어머니가 지각하는 양육스트레스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양육스트레스가 양육효능감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델의 설명력은 61.8%로 나타났다. 양육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양육스트레스 요인으로는 신체적스트레스 > 심리사회적스트레스 > 교육적스트레스 > 경제적스트레스의 순으로 나타났다. 3)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의 관계에서 아버지 양육참여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3단계 매개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1단계에서는 교육적, 심리사회적, 신체적 스트레스가 아버지 양육참여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델 2단계에서는 교육적, 심리사회적, 신체적 스트레스가 양육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모델 3단계에서는 독립변인인 교육적, 심리사회적, 신체적 스트레스와 매개변인인 아버지 양육참여도를 함께 투입된 결과, 양육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중 교육적, 심리사회적, 신체적 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 간의 관계에 있어서 아버지의 양육참여도는 부분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4) 본 연구의 조절변수인 학교 가족복지지원 및 정부 가족복지지원 수준 지각에 따른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간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형 1에서 독립변수만이 회귀식에 투입되었을 때 설명력(R)이 .302이었으나, 모형 2에서 조절변수를 투입한 설명력(R)은 .318로 증가하였다. 그리고 모형 3에서 독립변수와 조절변수간의 상호작용항을 투입한 모델의 설명력(R)은 .506으로 증가하였다. 특히 모형 3에서, 아버지 양육참여도는 학교 가족복지지원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양육효능감과 유의한 정(+)의 관계를, 정부 가족복지지원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양육효능감과 유의한 정(+)의 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학교 가족복지지원 및 정부 가족복지지원은 아버지 양육참여도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간의 관계를 강화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결국 본 연구는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의 관계 및 이들 변인 사이에서 장애아동 아버지의 양육참여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고, 가족복지지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는데 학문적 의의가 있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상에 나타나는 취약성은 무엇인지, 장애아동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대한 필요성, 장애아동 가족복지 지원체계 내에서 보다 실효성 있는 지원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었다는데 실무적 의의가 있다.

      • 재가노인복지서비스 운영실태 및 서비스 만족도에 관한 연구

        최유진 경운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687

        노인복지정책 및 서비스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노인복지서비스전달체계의 정비, 적합한 프로그램의 개발, 이를 시행해나가기 위한 재정의 확보, 노인복지서비스전문인력의 개발 등이 종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노인복지서비스 중 구미지역의 재가노인복지서비스에 대한 운영실태와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공급방안을 모색해보는데 있으며,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통해 실시되었다. 조사대상은 구미지역 65세 이상 남녀 200명을 무작위로 추출했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재가노인복지에 대한 인식도, 이용실태, 만족도 등에 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200부 중 연구에 유효한 113명의 설문지를 조사․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들의 일반적 상황을 살펴보면, 응답자의 다수가 일반적인 노인문제 즉, 소득감소에 따른 경제적 문제, 신체적 노화에 따른 건강상의 문제, 사회적 역할과 기능상실에서 오는 사회관계적인 문제, 고독과 소외문제 등을 가지고 있다고 답하였다. 노인들의 주거형태를 살펴보면, 노인 혼자 또는 노인부부만 살고 있는 노인단독가구가 54%로 나타났으며, 노인들의 경제적 상태에 대한 조사에서 응답자의 39.6%가 정부보조금에 의존하고 있었고, 응답자 중 8%만이 경제적으로 어려움이 없다고 응답하였으며, 경제적으로 부족하다는 응답이 58.4%로 높게 나타남으로써 노인들의 다수가 상대적으로 경제적 결핍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노인들의 건강상태에 관한 질문의 경우, 응답자의 7.1%만이 건강에 이상이 없다고 응답하였으며, 85.5%는 1년 이상 각종 질병을 앓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인식도에 관한 질문의 결과를 살펴보면, 응답자의 다수가 재가노인복지서비스에 대해 잘 알지 못함으로 재가노인복지서비스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재가노인복지서비스를 받고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서비스만족도 조사에서 응답자의 65.3%가 서비스전반에 관해 불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공받고 있는 재가노인복지서비스들은 “생활 및 가사서비스 중 집안청소”, “간병서비스 중 차량지원, 병원안내”, “정서적서비스 중에서는 말벗서비스”, “결연서비스 중에서는 후원금 및 후원품 지원”, “의료서비스 중에는 차량지원”, “자립지원서비스 중에서는 부업알선”, “주민교육서비스 중에는 한글교육”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개선점과 발전방안에 관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다양한 계층과 통로를 통해 재가노인복지서비스에 대한 홍보를 확대해야 할 것이다. 둘째, 재가노인복지시설을 확충하여야하고 서비스제공 전문인력을 확보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맞춤형 재가노인복지서비스를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넷째, 법적 재가노인복지서비스대상자 이외에도 많은 노인들이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사각지대에 놓여있다. 따라서 철저한 지역사회조사를 통해 급여사각지대에 놓여있는 노인들을 발굴하여 지원하여야 할 것이다. 다섯째, 서비스제공자의 전문훈련과정이 필요하며 서비스제공자에 대한 적절한 대우가 필요하다. 여섯째, 지역사회 내에 재가노인복지서비스사업을 조직화하여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의한 재가노인복지서비스뿐만 아니라 등외자를 위한 재가노인복지서비스를 확대하기 위해 정부의 재정이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of the Western Region of the elderly and welfare services for community care services for the operating status and service satisfaction survey. Analysis, based on this systematic and effective provision of community care services be considered for plan was, and literature Through research and investigation was conducted. Surveyed 200 women aged 65 and over in the West who were randomly selected, they target recognition for community care, Utilization, satisfaction surveys were conducted about including, of 200copies of questionnaires collected 113 valid survey questionnaire. analyzed.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based. First, subjects' general situation, look, the respondents of the many common problems of the aged that is, the reduction in income due to economic problems, physical aging due to health problems, social role and function loss that comes from social problems, loneliness and alienation answered and that you have. Second, look at the type of housing for the elderly, elderly living alone or elderly households 54%, respectively, on the economic status of the elderly in the survey that 39.6 percent of respondents were dependent on government subsidies, of respondents Only 8% responded that economic difficulties were the lack of economic response appears as high as 58.4% relative to the vast majority of seniors are feeling the economic deficiencies that have been investigated. In addition, questions about the health of the elderly cases, 7.1 percent of the respondents did not answer more than ten thousand and two were healthy, 85.5% more than 1 year were suffering from various diseases. Third, the recognition of community care services also look at the results of questions about, the majority of the respondents know about community care services, community care services for inability positive response was needed was publicity. Receiving community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conducted by the Service and that 65.3 percent of survey respondents about the services in general were dissatisfied. Fourth, the community care services are being provided, "Life and Lyrics of the house cleaning service", "care of the vehicle support services, hospital Information", "emotional service among the one to talk service," "relationship among the donations and how on pum support services" "Some vehicles support medical services," "self-support among the side placement," "educational services during the Hangul population education," and so vari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more community care services on the improvement and development plan is to follow these recommendations. First, the various layers and through the promotion of community care services should be expanded. Second, the expansion of community care facilities must provide the specialist services will be recruiting. Third, the development of tailored community care services should be. Fourth, the legal community care services in addition to the subjects of many elderly community care services lies in the blind spot. Therefore, a thorough investigation, local communities benefit lies in the blind spot for the elderly should be supported by excavations. Fifthy, service providers need specialized training for service providers, and appropriate treatment is necessary. Sixth, local community projects within the community care services should be organized. Finally, long-term care insurance for elderly community care services as well as by the irregular for him to expand community care services expanded the government's finances will be.

      • 獨居老人의 生活實態 및 福祉서비스慾求에 관한 調査硏究 : 龜尾地域 中心으로

        유종호 慶雲大學校 社會福祉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50687

        Gumi city, in which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have inhabited, has gone though rapid industrial development as a national industrial complex began to be established there in the 1970s. Now, it has become a city containing both urban and rural features. The living conditions of elderly people living alone in Gumi city is different from those of typical urban or rural elderly people living alone. Therefore, this research aimed at providing fundamental material for the establishment of reasonable welfare policies and services for elderly people living alone in Gumi city by explicitly examining and analyzing the features and environment of the district and elderly people's individual features, living conditions and desires for welfare services. In order to achieve such aim, the research examined and analyzed the following four areas of the subjects of this study: first, the subjects' general features; second, the subjects' family relations, housing conditions, economic life, health and medical service conditions and leisure activities; third, the subjects' desires for social welfare services; fourth, differences among the subjects' living conditions and desires for elderly welfare services according to their general featur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184 elderly people aged 65 or older living alone in Gumi. A survey and interviews involving the subjects were conducted.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 examination into the subjects' general features, women accounted for more than half of the subjects. The elderly aged between 75 and 79 accounted for larger proportion of the subjects than any other age group. As for the subjects' academic level, those who completed elementary education course or lower made up the highest proportion of the subjects. Second, an examination into the subjects' living conditions found that the highest proportion of the subjects got to live alone due to a spouse's death. Their' relationship with children turned out to be good, but hardly met or exchanged phone calls with their children. In addition, they turned out to have severe financial difficulty. With regard to the housing conditions of elderly people living alone, many of those surveyed owned their own detached house, but a very small proportion of them were financially independent. They were especially dependent on their children financially. Housing costs and medical costs account for a significant portion of living costs. An examination into health and medical services found that the elderly people had difficulty in taking a bus by themselves and that most of them were not healthy, and that they felt a big burden of paying medical expenses With regard to the use of leisure time, most of respondents spend their time watching TV, listening to radio or talking with their friends and neighbors. Many of them do not want to participate in special social activities. Third, an examination into elderly people's desires for social welfare services found the elderly people had higher desires for someone who looks after them when they become seek, movement services and domestic help services. Although they largely visited a hall for the elderly and a health center (medical check up, visiting nursing service), they are not satisfied. That is because they felt uncomfortable about using facilities. It was found that many of those surveyed demanded specialized services to resolve their living problems. Fourth, as for living conditions according to general features, elderly women have better family relationships than elderly men have. Compared with women, men have more financial problems. Women have worse health status than men have, but have more satisfaction with leisure activities. As for difficulties the elderly experiences according to their age, it was found that the elderly people got older, they have more physical difficulty attributed to natural aging, and enjoy leisure activities more that do not require much movement. With regard to in-home services, the elderly people turned out to have more desire for in-home services. Moreover, it was found that elderly women have more experiences of in-home services than elderly men have. and that the elderly in rural areas have more experiences of in-home services than their urban counterparts, and that elderly people aged more had more experience of in-home services. In conclusion, most of elderly people living alone in Gumi city, which have both rural and urban features, suffered financial difficulty, have bad health status and enjoy leisure activities less. Furthermore, they have higher desire for elderly welfare services though they fail to receive much welfare benefit.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In order to resolve the financial difficulty of elderly people living alone, criteria for the beneficiary of public assistance should be changed to include more elderly people. Besides medical institutions should be easily accessible to help the elderly to prevent diseases and manage their health conditions. Moreover, social programs the elderly can easily participate in should be developed to improve their leisure and social life. Furthermore, there are also needs to establish an in-home service system that takes into account individual differences. 본 연구의 대상자가 거주하고 있는 구미시는 1970년대 이후 국가산업단지가 들어서면서 급격하게 산업화가 진행된 도․농 복합도시이다. 따라서 독거노인의 생활실태도 전형적인 도시나 농촌의 독거노인과는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적 특성과 환경, 개인의 특성과 생활실태 및 복지서비스 욕구 등을 명확하게 파악, 조사․분석하여 구미시에 거주하고 있는 독거노인들에 대한 합리적인 노인복지정책 및 복지서비스 수립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둘째, 조사대상자의 가족 관계, 주거실태, 경제생활 실태, 건강 및 의료서비스 실태, 여가 생활 및 사회 활동 실태, 셋째, 조사대상자의 노인복지서비스 욕구 실태, 넷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생활 실태 및 노인복지서비스 욕구의 차이 등에 대해 조사․분석하였으며, 이를 위해 경상북도 구미시에 거주하고 있는 65세 이상 독거노인 18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은 남성보다 여성이 높게 나타났고, 연령은 75~79세, 최종학력은 초졸 이하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생활실태조사에서 혼자된 이유로는 ‘배우자 사별’이 높게 나타났고, 가족과의 관계는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관계가 좋은 독거노인의 경우, 자녀와의 만남이나 전화통화가 거의 없었고 경제적으로도 매우 어려운 것으로 밝혀졌다. 독거노인들의 주거실태는 본인소유의 단독주택이 많았고, 경제적 자립도는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제적으로 자녀에게 의존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생활비의 사용도로는 주거비 및 의료비가 주를 이루었다. 건강 및 의료서비스 실태를 살펴보면, 일상 생활시 혼자 버스를 타는 것이 어려움으로 나타났고, 대부분의 독거노인의 건강상태는 좋지 않았으며, 의료비지출에 많은 부담감을 느끼고 있었다. 여가 시간의 활용 상태를 살펴보면, 라디오를 청취하거나 TV 시청, 친구 및 이웃과의 담소나누기가 대부분이었으며, 다수가 특별한 사회활동에 참여하는 것을 원하지 않았다. 셋째, 사회복지서비스 욕구를 살펴보면, 몸이 아플 때 보살펴 줄 사람에 대한 욕구, 이동서비스에 대한 욕구, 가사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높게 나타났으며, 주로 노인정(경로당) 및 보건소(건강진단, 방문간호)를 이용하였으나 만족도는 높지 않았다. 불만족 이유로는 시설을 이용하는 것이 불편하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다수의 독거노인들이 자신들의 생활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문적인 서비스를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생활 실태에 있어서 가족관계는 남성보다 여성이 좋았으며, 경제적 상태는 여성보다 남성이 더 많은 어려움을 가지고 있었고, 건강상태는 남성보다 여성이 나쁘며, 여가생활은 여성노인들의 만족도가 높았다. 연령에 따른 일상생활의 어려움은 연령이 높을수록 자연적인 노화현상에 의해 육체적 어려움을 겪고 있음이 나타났으며, 여가생활 활용은 연령이 높을수록 정적인 여가 생활을 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재가서비스 있어서는 연령이 높을수록 욕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가서비스를 받아 본 경험은 여성보다는 남성이, 농촌보다는 도시가, 연령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연구를 요약하면, 도․농 복합지역으로서의 구미시에 거주하고 있는 독거노인들의 대다수가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으며, 건강상태는 좋지 않았고, 여가 활동정도가 낮았으며, 노인복지서비스에 대한 욕구는 높은 반면, 실질적인 혜택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해결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독거노인의 경제적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공적 부조의 지급기준을 확대하여야 하고, 건강 예방 및 관리를 위해 치료기관으로의 접근성을 용이하게 하도록 해야 하며, 여가 및 사회생활 향상을 위한 사회적 프로그램을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발하여야 하며, 개인 특성과 차이를 고려한 재가복지서비스 시스템을 재구축할 필요성이 있을 것이다

      • 장애아동 가족들의 복지욕구 조사

        유춘호 경운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장애아동 가족들이 장애아동의 전반적인 삶에 미치는 영향을 인식하고, 장애아동에 대한 가족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서비스 및 지원체제가 어떠한가를 알아보며, 그들에게 필요한 서비스 및 지원체제를 확충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아동 가족들이 가장 필요로 하는 복지욕구는 무엇인가? 둘째, 장애아동 가족들의 특성에 따른 복지욕구는 무엇인가?? 셋째, 장애아동의 특성에 따른 복지욕구는 무엇인가? 셋째, 장애아동 가족들이 서술한 복지욕구는 무엇인가? 본 연구는 경상북도 구미시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의 가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연구도구는 한현정(2002)의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를 주 도구로 하고, 기타 여러 문헌들과 현 정책을 참고하여,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ㆍ보완하여 예비조사를 실시 한 후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서는 SPSS/WIN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아동 가족들의 전반적인 복지욕구는 사회적 지원, 정보지원, 가족지원, 경제적 지원 순으로 필요성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장애아동 가족들의 특성에 따른 복지욕구 조사에서는 부모의 연령과 수입에 대해서는 가족지원, 경제적 지원, 사회적 지원, 정보지원의 필요성에 대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부모의 학력에 따른 사회적 지원에서 고졸이거나 대졸인 부모들이 중졸 인 부모들에 비해 더 높은 필요성을 요구하였다. 셋째, 장애아동 특성에 따른 복지욕구 조사에서는 아동의 성별과 교육과정에 대해서는 가족지원, 경제적 지원, 사회적 지원, 정보지원의 필요성에 대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아동의 연령에 따른 경제적 지원과 사회적 지원에서는 14~16세 집단의 아동들이 17세 이상 집단의 아동들에 비해 더 높은 필요성을 요구하였다. 끝으로, 장애아동 가족들이 서술한 복지욕구 조사에서는 장애아동의 사회성 증대와 여가(놀이공원, 영화관람 등)를 위한 자원봉사자 및 돌봄서비스, 현재 물가에 맞는 교통비와 유류비에 대한 지원, 복지관 및 주ㆍ단기보호시설의 확충 및 증설, 아동의 문제행동에 대한 대처방법에 대한 정보의 필요성을 요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ceive how the family members have an effect on their disabled children's life, to investigate services and systems which are necessary for their family to play full roles for their children and finally to use the study results for the expansion of assistance services program toward disabled children. The focu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most necessary welfare desire of the family who has disabled children? Second, what is welfare desire of family who has disabled children bycharacteristic? Third, what is welfare desire of the disabled children by characteristic? Fourth, what is welfare desire of families who have disabled children described? This study is based on the survey carried out to the families who have disabled elementary, middle school or high school student at Gu-mi in North Kyungsang Province. In this study, the same tool of Hyun Jung Han's study (2002) was primarily used and additionally other books and current policies were also reviewed. All the documents were modified and supplemented following the objective of this study after preliminary review. The computer program SPSS/WIN 18.0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general welfare desire of the family who have disabled children, the necessity ranked most highly in the field of social support and information support, family support and economic support placed in order. Second, as for the welfare desire of family who have disabled children by characteristic, the more parents have higher level of education the more they requested higher necessity of social support. Third, as for the welfare desire of the disabled children by characteristic, there was no difference of necessity by gender of children. However, the desire is higher in the group of children aged 14-16 rather than over 17 by age. Finally, in the field of the welfare desire families who have disabled children described, the increase of social relationship, volunteer for leisure activity such as amusement park and cinema, care service, the support of oil and transportation expense appropriate to current price, expansion of welfare center and care facilities and etc. were requested.

      • 고등학생의 사회적지지가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박미숙 경운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계 고등학생들이 학교생활에 더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사회적 지지가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했다. 성별, 학년, 출생순위, 종교, 부⦁모의 연령, 부모학력, 생활수준, 본인성적, 행복정도, 부모직업을 통제변수로 하여 부모의 지지, 교사의 지지, 친구의 지지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서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조사대상사자는 대구광역시 전문계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로 280명 중 261명을 분석하였다. 이 가운데 출생순위는 장남․장녀가 39.3%, 둘째가 32.7%였다. 둘째, 전문계 고등학생의 성별에 따른 사회적 지지 가운데 친구지지가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이 있었고, 생활수준에 따른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이 있었다. 학업성취도에 따른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의 학교수업에 영향이 나타났고, 행복감은 사회적 지지와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이 있었다. 셋째, 전문계 고등학생들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높은 학생들은 학교생활적응도가 더 높으며, 4가지 하위 영역 모두에 사회적 지지가 높은 영향을 준다. 또한 부모의 지지, 교사의 지지, 친구의 지지 모두를 더 많이 지각하고 있었는데, 이것은 사회적 지지와 학교생활적응이 예전과 달리 생활수준이나 부의 학력, 모의 학력과 관계가 깊을 수도 있음을 단편적으로 보여준 것이라 하겠다. 넷째, 사회적 지지 중 교사의 지지는 교우관계, 교사와의 관계, 학교교칙수행정도, 학업성취도 등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을 통한 결과가 학교생활적응의 제고에 주는 실천적 함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부모의 지지, 교사의 지지, 친구의 지지는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임이 밝혀졌다. 전문계 고등학생들에게는 부모의 지지 보다 친구와 교사의 지지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결과로 볼 수 있다. 이것은 학생들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 정도가 교사의 지지와 친구의 지지수준에 따라 좌우될 수도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전문계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을 위해서는 교사의 지지, 친구의 지지가 향상되어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친구와 관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자기주장훈련프로그램, 또래 상담, 캠프 등)을 실시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교사의 지지가 상대적으로 가장 중요하므로 학생들과 교사가 조금 더 가까워질 수 있는 프로그램(상담프로그램, 코칭훈련프로그램, 교사⦁학생이 함께 하는 캠프 등)들이 자연스럽게 적용되는 것이 요구된다고 볼 수 있다. 실업계 학생들은 학업 외의 부분(이성⦁동성친구와의 문제, 가정문제, 진로문제 등)에서도 교사들의 도움을 자주 필요로 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보면 전문계 고등학교에서도 대부분의 교사들이 진학을 위한 학업성취만을 목적으로 학생들에게 개입 할 수 있다. 전반적인 학교생활 등에 더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학업성취 뿐만 아니라 교사들과 학생들의 관계가 더 향상될 수 있도록 학교사회복지 실천 수준에서 실시되어야 할 프로그램들을 개발하여 학생들이 좀 더 긍정적이고 향상된 수준으로 자아존중감을 높이고 학교생활에도 적응을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나 학교현실을 살펴보면 일반계 고교뿐만 아니라 전문계 고교에서도 학생들의 생활지도보다는 진학을 위한 학습지도에 치중하고 있다. 이는 신체적, 심리적으로 변화무쌍한 시기에 놓여있는 청소년들의 실질적인 문제들, 예컨대, 이성⦁동성친구와의 문제, 가정문제, 개인적인 고민 등의 갈등상황을 도외시하는 처사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청소년기의 중심에 놓여있는 고교생들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고, 학교생활적응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교사들로부터의 사회적 지지와 친구상호 간의 사회적 지지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노력들을 개발하고 도입하는 것이 교육적, 학교사회복지적인 실천과제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self-esteem and school life in order that special high school students can adapt themselves to school life. Gender, grade, sequence of date of birth, religion, age of parents, education level of parents, the standard of life, school credits, level of happiness and parents' job were selected as control variables to review the effect of support of parents, teachers and friends on school life. Results of techn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as follows. First, the target of the study was 262 of 280 students of special high schools located in Daegu. Of those, the sequence of their date of birth was the eldest sons and daughters were 39.3% and the second sons and daughters were 32.7%. Second, friends' support of social support according to gender of special high school students had effect on self-esteem and school life and the standard of life had effect on school life. Academic achievement affected self-esteem and classes while happiness affected social support and school life. Third, those who showed high social support that special high school students recognized had better school life, and social support had a high effect on each of the four lower sectors. Also, they recognized more support from parents, teachers and friends, which showed simply that social support and school life could have rather closer relation with the standard of life or parents' education level than before. Fourth, it was shown that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ir self-esteem and school life and that of parents' support on academic achievement were positive while teachers'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relation with friends, teachers, school rules and classes. Practical implications that results through analysis were provided to improvement of school life were as follows. Support of parents, teachers and friends showed a positive effect on self-esteem and school life. It is regarded as a result that they showed more sensitive reaction to support of friends and teachers than that of parents, which shows that their self-esteem and school life could depend on support of teachers and friends. Such results show that support of teachers and friends is required to be improved for their self-esteem and better school life. Therefore, programs that allow them to improve friendship should be implemented. Especially, since support of teachers is the most important relatively, such programs as counseling programs, coaching training programs, camps where teachers and students participate in together are required to be naturally applied. Meanwhile, vocational school students require teachers' assistant in other matters than classes such relationships, problems with friends, home problems, career path, etc). However, most teachers even in vocational high schools can underline to students only for the purpose of academic achievement for entering university. For their better school life, it is required to develop programs which are implemented at social welfare not only for better academic achievement but also for better rela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so that they can improve their self-esteem and adapt better to school life. Since special high school students spend shorter time at school relatively than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but study rather a long time at school, they have difficulties in adapting to school life, which shows a considerable implication from the aspect of education and social welfare. Parents or teachers are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have a positive relation with special high school students and lead them to better school life with much interest and affection.

      • 재가요양보호대상노인의 사회적지지망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영숙 경운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논문은 노인장기요양보험수급자 중 재가요양보호서비스대상노인의 사회적지지망과 생활만족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첫째, 재가요양보호서비스대상노인의 일반적 특성, 경제적 특성, 사회적지지와 생활만족도의 수준을 알아보았고 둘째, 일반적 특성과 경제적 특성이 사회적지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연구하였으며 셋째, 일반적 특성, 경제적 특성, 사회적지지 등 세 가지 요소가 생활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재가요양보호서비스대상노인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녀와의 접촉횟수는 자녀수가 많을수록 그리고 요양기간이 길면 길수록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반면 건강상태가 양호할수록 접촉 횟수가 많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성별, 연령, 학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둘째,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 지지망은 자녀로부터의 소득지원이 많을수록 접촉 횟수가 높았으며, 반면 노인 본인의 월 소득과 생활비가 많을수록 접촉 횟수가 낮은 경향을 보였다. 셋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생활만족도는 건강상태가 양호할수록 생활만족도 또한 높은 경향을 보였는데, 성별, 연령, 학력, 자녀수, 요양기간 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넷째,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생활만족도는 국민기초생활보장급여, 국민연금, 군인연금, 사학연금 및 공무원연금 급여, 자녀로부터의 소득지원이 많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은 경향을 보인 반면 월 생활비의 고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다섯째, 가족을 비롯한 사람들과의 접촉 횟수가 많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연구결과 사회적지지 정도는 노인들의 삶의 만족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재가요양보호서비스대상노인들을 위한 방문요양서비스가 성공적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요양보호의 차원을 넘어 다양한 사회적지지망을 구축해 주는 역할과 프로그램의 제공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 교육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하성렬 경운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교육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며, 그 결과를 통해 직무스트레스의 완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대구시에 소재한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시행학교의 교육복지사 총 116명(2012년 현재) 중 90명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 수준과 직무만족과의 관계를 설문조사하고, 그 결과를 연구․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빈도분석, 타당도분석, T-test와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사항을 살펴보면 여성이 남성보다 월등히 많았으며, 연령별로는 20대의 교육복지사가 가장 많았고, 사회복지영역에서의 경력은 1년-3년 미만이 가장 많았으며, 교육복지사의 경력은 1년 이상-2년 미만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교육복지사들의 전반적인 직무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요인별 중 동료관계에 대한 만족도는 보통수준인 반면, 보수는 낮은 편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감독 및 동료관계와 관련된 직무만족도에서는 남자가 여자보다 높게 나타났고, 연령이 높을수록 동료관계에 대한 만족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학교에서 활동한 경력에 따른 직무만족도 차이를 살펴보면, 교육복지사로 근무한 경력이 길어질수록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다섯째, 학교의 학급수와 관련한 직무만족도를 살펴보면, 학급수가 적은 학교에서 활동하는 교육복지사들의 경우에서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교육복지사들의 직무스트레스의 주요요인은 학교조직 내에서 관계갈등, 신분의 불안정, 보상의 부적절, 직무자율성 결여, 진급과 같은 보상체계의 결여나 전문가로 대우 받지 못한다는 점 등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교육복지사들의 직무스트레스를 경감시키고 직무 몰입도를 높여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을 성공적으로 이끌어가기 위해서는 위의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들과 더불어 주변 동료들의 도움이나 스트레스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적절한 심리적 지원의 필요하며, 교육복지사들의 전문성을 강화하고, 업무의 전문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2003년 처음 실시되었던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이 10년을 경과하고 있다. 그러나 사업대상학생들에게 제공되는 프로그램과 서비스의 질, 사업의 운영방법이나 인적 관리 등에서 해결되어야 할 많은 과제들이 있다. 특히, 사업을 이끌어가고 있는 핵심인력으로서의 교육복지사들의 직무에 대한 정체성과 만족도는 기대수준을 벗어나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이 그 본래의 목적인 ‘가족기능의 회복’, ‘가정의 가치 강화’, ‘저소득층 아동을 위한 지역차원의 생활ㆍ교육환경 변화의 추구’, ‘학교중심의 지역사회 교육공동체 구축’ 및 ‘저소득층 학생들의 교육기회불평등 및 교육소외문제 해결’ 등을 실현하려면 현장에서 활동 중인 교육복지사들의 직무에 대한 정체성과 만족도를 향상시켜야 할 필요성이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교육복지사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들 예컨대, 학교 내에서의 관계갈등, 직무의 불안정, 보상의 부적절, 직무자율성 결여 등이 우선적으로 해결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job stress on the job satisfaction, and also find ways to release job stress. A survey was conducted based on questionnaires and the sample consisted of 90 school social worker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operating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programs, working all over the city, Daegu. The data was analyzed by the SPSS 15.0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through frequency analysis, validit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survey showed that majority of those questioned were the 20 age band and women. It is found that the number of people, who has the career experience more than a year and less than 3years in the area of social welfare, is the most. In addition, working years more than 1 year and less than 2years is dominant for the school social worker. It is concluded that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is low, due to certain social factors such as the intermediate level of satisfaction about comradeship and a low income rate. It appears that the level job satisfaction of women is higher than men and the level of comradeship gets higher as the as the age is higher. If we look at the job satisfaction with the work experience, the longer work experience, the lower job satisfaction of school social workers. Also, if we look at the job satisfaction about the number of class in schools, the fewer classes in schools, the higher job satisfaction of school social workers. 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majority of school social workers have suffered interpersonal conflicts in school organization, job insecurity, inappropriate compensation and lack of job autonomy. Ten years have passed since the first initiative of the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programs. However, there are many problems that should be resolved in respect of the quality of the program and service, the method of project operation and human management. In particular, professional identity and job satisfaction of school social workers as core personnel leading the industries do not come up to the scratch.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professional identity and job satisfaction of school social workers working for school to realize the original goal of the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programs, e.g., restoration of family function, value reinforcement of family, school-oriented construction of local social education community and settlement of in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or educational alienation problem of low-income students etc. It is suggested that future researchers will seek ways of resolving problems that are now being faced by school social workers such as the interpersonal conflict in school, job insecurity, inappropriate compensation and lack of job autonomy.

      • 사회비교 경향성이 열등감과 자기비난에 미치는 영향 : 상향비교와 하향비교를 중심으로

        최은현 경운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67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mparison tendency and inferiority, social comparison tendency and self-criticism,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upward comparison and downward comparis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mparison tendency and inferiority, social comparison tendency and self-criticism. There is. For this study,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administered to 133 adults aged 19 or older but younger than 65. As a result,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ocial comparison tendency and feelings of inferiority. Second, upward comparison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mparison tendency and inferiority complex. In other words, although the increase in social comparison tendency directly affects feelings of inferiority, upward comparison has an indirect effect on feelings of inferiority. Third, downward comparison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mparison tendency and inferiority complex. In other words, although the increase in social comparison tendency directly affects feelings of inferiority, downward comparison also has an indirect effect on feelings of inferiority.Fourth,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ocial comparison tendency and self-criticism. Fifth, upward comparison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mparison tendency and self-criticism. In other words, although the increase in social comparison tendency directly affects feelings of inferiority, upward comparison has an indirect effect on self-criticism. Sixth, downward comparison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mparison tendency and self-criticism. In other words, although the increase in social comparison tendency may directly affect self-criticism, it also means that downward comparison has an indirect effect on feelings of inferior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upward comparison and downward comparison' are important cognitive factors that promote feelings of inferiority and self-criticism in adults with a tendency to social comparison, and that upward comparison and downward comparison are used in counseling to reduce feelings of inferiority and self-criticism. This suggests that support interventions that reduce comparisons will be effec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