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신화의 제의적 서사 규약과 소통 원리 연구

        오세정 西江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고는 제의와의 관련 속에서 한국 신화의 서사 규약과 소통 원리를 연구하고자 한다. 다른 서사 장르와 달리 신화는 서사의 내용이 신성한 존재의 신이한 행적에 관한 이야기라는 점과, 전승과정에서 신화를 진실한 것으로 수용한다는 점을 그 특징으로 들 수 있다. 신화의 이러한 특징은 신화가 생성되고 소통되는 연행 맥락인 제의와의 관련 속에서 이해될 수 있다. 제의는 의미를 산출하고 소통하는 의사소통의 행위 중의 하나로 강력한 형식적 규칙을 가진다. 제의 연행은 특정한 메시지를 산출할 뿐 아니라, 제의 참여자들로 하여금 특정한 의사소통, 즉 의미작용을 강제한다. 제의 속에서 신화는 메시지가 되며, 이 제의 연행 속에서 신화는 신성한 이야기, 진실한 이야기로 소통·전승되는 것이다. 과거의 신화 연구는 신화를 제의와의 직접적인 관련 속에서 다루지 않았거나, 제의와 신화를 단순한 1:1의 대응관계로 다루었다. 무속신화에 관한 연구에서는, 무속제의 연행이 현재까지 전승되기에 제의에 관한 관심을 가진 것은 사실이지만 신화와 제의의 관련 양상 자체를 다룬 경우는 흔치 않다. 신화와 제의의 관계를 메시지와 의사소통의 장field내지 틀frame으로 파악함으로써 제의 연행 중에 소통되는 신성한 메시지인 신화의 성격을 보다 잘 규명할 수 있을 것이며, 신화가 가지는 장르적 성격을 보다 명확히 드러낼 수 있을 것이다. 신화는 제의라는 강력한 담론 생성 장치의 영향 아래에서 생성되기에 신화의 서사 구성원리와 소통원리는 당연히 제의의 성격에 의해서 규정될 것이다. 역으로 신화 메시지를 통해서 신화를 생성·소통하는 제의의 성격을 밝힐 수 있을 것이다. 신화에서 찾을 수 있는 제의적 서사규약은 형태론적인 구조와 의미론적 구조를 아우른다. 신화의 기본적인 형태, 즉 제의적 신화소를 찾고 그것들의 결합 원리를 밝힐 것이다. 제의적 신화소가 결합된 한 편의 서사가 재현하고 있는 세계상의 의미구조는 어떤 제의화의 의미작용의 원리를 따르는지를 밝힐 것이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신화 메시지가 전승집단의 문화체계 속에서 어떻게 인식·수용되며 전승되는지에 관해서도 밝힐 것이다. 본고에서는 한국의 건국신화와 무속신화를 비교·대조하면서 공통기반과 변별점을 논할 것이다. 건국신화와 무속신화에 대해서 보다 종합적인 시각으로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2. 신화의 형태적 서사규칙을 찾기 위해서 서사를 구성하고 있는 기본 단위로 신화소를 설정할 수 있다. 건국신화는 공통적으로 탄생(출현), 성장, 결혼, 즉위 등의 제의적 신화소ritual mytheme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의적 신화소들이 연결되어 한 편의 신화 서사를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제의적 신화소는 건국신화의 경우, 삶의 중요 국면에서 행해지는 제의life-crisis ritual들과 일치한다. 한 인간의 삶이나 사회나 자연의 사이클을 중요 분기점마다 행해지는 제의를 통해서 의미를 산출하고 강조하는 것이다. 건국신화의 제의적 신화소는 이야기에 따라 강조되거나 가감되기도 한다. 그러나 보편적으로 이들 제의적 신화소들은 시간적 원리에 따라 단선적이며 직선적으로 구성된다. 반면 무속신화에서 찾을 수 있는 제의적 신화소들은 재앙 제의ritual of affliction와 일치한다. 서사 속의 문제 상황이 제시되고,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제의가 치루어진다. 서사 속 상위 인물이나 집단의 대표격인 가장(家長)이 자식이나 아내의 희생으로 특정한 과업을 완수하거나 수혜자가 된다. 무속신화는 수혜자와 희생자의 제의가 중첩되며, 신으로 좌정되는 인물들의 공간이동이 부각된다. 무속신화의 제의적 신화소들은 공간적 원리에 따라 중층적이며 순환적으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신화 서사의 구성요소와 구성원리를 바탕으로 신화가 재현하고 있는 세계상의 의미론을 밝힐 수 있다. 건국신화가 재현하는 세계상은 신성과 인성(세속)의 대립 체계를 통해서 구성된다. 건국신화는 신성한 존재가 인간 세계에 출현해서 그 세계를 성화(聖化)시키는 내용이다. 각국의 신화마다 주어진 상황에 따라 차이가 존재하지만 기본적으로 건국신화에서는 이 성화 논리에 따라 문화 창조라는 기본 이념을 도출할 수 있다. 건국 주인공의 탄생과 행적으로 인간 세계는 새로운 국가를 세우고, 문화적으로 발전한다. <단군신화>와 <해모수신화>에서는 신성 존재의 출현으로 새로운 국가, 새로운 문화형의 인간 존재가 탄생하게 된다. <수로신화>와 <혁거세신화>에서는 신성한 존재들의 혼인을 통해서 보다 발전된 사회로의 변모를 꾀하며, <주몽신화>와 <탈해신화>는 영웅적 투쟁을 통해서 새로운 문화 창조를 이룩한다. 각 문화창조의 유형은 어떤 제의적 신화소가 강조되며, 어떻게 결합되는가 하는 논리에 따라 결정된다. 건국신화에서 나타나는 이와 같은 중심 이념은 정치적 제의화의 원리에 따른 것으로 신성한 존재의 강력한 힘으로 자연적인 것을 역사화하는 논리와 일치한다. 정치적 제의화는 공동체의 가치와 목적을 공유하게 하는 힘과 그 공유된 가치들을 우주적 보편질서로 외현화하는 힘인 것이다. 건국 주인공들의 신성의 현시와 그에 대한 수용을 통해서 공동의 가치체계를 수립한다. 무속신화가 재현하고 있는 세계상 역시 신성과 인성(세속)의 대립 체계 속에서 그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무속신화에서는 주어진 문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서 친교와 교환의 종교적 제의화를 통해 신성과 인성의 소통을 꾀한다. 이 과정에서 비신적(非神的) 존재가 신으로 좌정하게 되는데 희생과 성무식의 절차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무속신화에서 제시되는 공통적인 문제 상황은 가정의 해체로 요약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 상황을 해결하는 유형으로, 자식이 문제를 해결하고 희생하는 신화는 <바리데기>가 대표적이며, 아내가 문제를 해결하고 희생하는 신화로는 <성주풀이>와 <당금애기>를 들 수 있다. 아내와 자식의 희생이 모두 드러나는 경우로 <칠성풀이>, <이공본풀이>가 있다. 무속신화에서는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희생 과정에서 전승집단의 중심 가치관이나 이념이 강조된다. 가정을 국가나 사회로 확대시켜 보면, 주로 가부장 체제 속에서 희생당하는 존재들은 사회적 약자이며, 신화에서는 그들의 힘겨운 삶의 모습과 극복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신성과의 소통은, 인간적 존재들의 철저한 자기희생을 통해서만이 가능하고, 이 희생의 강도가 클수록 전승집단이 추구하는 가치가 강조되며 비성성의 존재가 신성한 존재로 재생할 수 있다. 3. 신화와 제의를 메시지와 소통의 관계를 중심으로 살핌으로써 신화가 어떻게 소통되고 전승되는지를 밝힐 수 있다. 제의 연행중 현장의 직접적인 상황과 관련 없이 고정적으로 전승되는 정전적 메시지canonical message와 상황에 의존하는 자기-지시적 메시지self-referential message로 나눌 수 있다. 신화의 전승본들을 비교함으로써 고정적인 메시지와 가변적인 메시지를 찾을 수 있고, 이 메시지들을 분석함으로써 메시지를 생성하고 소통하는 의사소통으로서의 제의가 어떤 소통 유형인지를 알 수 있으며, 이 메시지와 의사소통의 여러 요소들과의 관계를 통해서 의사소통으로서 제의의 성격을 조명할 수 있다. 건국신화의 경우, <단군신화>나 <주몽신화>는 많은 문헌에서 전하고 있다. 기록되는 시기도 차이가 나며, 기록자의 세계관에 따라 변개되는 내용도 있기 마련이다. 한국의 건국신화는 고려시대 문헌에서 정착이 되며, 이후 편자들의 세계관에 따라 합리성이 강조되기도 하며, 신이성이 더 강조되기도 한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정전적인 메시지는 훼손되지 않고 전승됨을 알 수 있다. 건국신화의 전승본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상황에 의존적인 자기-지시적 메시지는 정치적·역사적 맥락 속에서 구성적 인덱스에 의존하기 때문에 인과성을 벗어나지 않는다. 반면에 무속신화는 연행현장의 상황에 따라 메시지의 내용이 많이 변화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전국적으로 전승되는 <바리데기>와 <당금애기>의 경우, 지역별 전승본을 비교하면 많은 차이를 찾을 수 있다. 심지어 바리데기와 당금애기가 신으로 좌정되는 내용이 빠진 전승본도 있는데, 이는 무속신화의 경우, 정전적 메시지조차 훼손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건국신화의 메시지가 정전적인 메시지가 훼손되지 않는 선에서 기록자와 당대의 세계관의 영향으로 약간씩 개정되는 자기-지시적 메시지가 존재하는 것과는 달리 무속신화는 연행상황 자체에 의존하는 성격이 강하며, 그러기에 자기-지시적 메시지가 전체 메시지의 성격을 변화시키거나 결정한다. 무속신화의 자기-지시적 메시지는 전승자(제의 참여자)들의 존재론적 상황의 공유된 맥락 속에서 자연적 인덱스에 의존하기에 더욱 그러하다. 건국신화와 무속신화의 메시지에서 볼 수 있는 이 같은 차이점은 건국신화가 소통되는 제의와 무속신화가 소통되는 제의의 성격의 차이에서 기인한다. 건국신화의 제의는, 국가를 기반으로 하며 신성한 존재가 인간 세계의 성화논리에 따라, 새로운 문화 창조를 보편적 의미로 수용하게 한다. 이 같은 정치적 제의는 자연적인 것의 역사화를 통해서 건국신화의 메시지를 신성한 기원에 대한 역사로 만들며, 이때 신화는 강력한 존재자(神이나 王)가 발신자가 되어서 전하는 메시지가 된다. 정치적 제의 속에서 소통되는 메시지는 발신자에서 수신자로 향하는 일방적인 소통 유형이며, 이 메시지는 신성한 기원의 역사 그 자체가 된다. 건국신화의 제의는 이와 같이 메시지 중심의 의사소통 유형인 것이다. 무속신화의 제의는 친교와 교환을 위한 종교적 제의로서 인간 세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신성한 존재와 소통하기를 원한다. 무속신화에서 제시된 문제 상황 역시 모두 인간적인 것으로, 인간 사회에서 가장 핵심적이고 보편적인 가정에 관한 것으로 압축되어 있다. 이를 위해 인간은 신에게 희생하고 헌신함으로써 신과 인간이 상호 소통하는 유형이다. 또한 무속제의의 메시지, 즉 신들의 이야기를 현재 인간세계의 인간존재의 상황과 동일시함으로써 제의 참여자들은 신성과의 동일시를 경험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동일시는 무속제의의 매체의 특성과 관련되며, 이 동일시를 획득하기 위해서 매체 중심의 연행 자체가 강조되어야 한다. 무속제의는 매체 중심의 의사소통 유형이다. 건국신화가 기록화되어 전승되고, 무속신화는 여전히 연행 현장 속에서 전승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4. 신화는 인간적 경험에 의해 수용되고 인식되는 세계 질서와 뚜렷이 구별되는 내용의 서사이다. 그러나 이러한 신화는 역사서에 기록되어 전승되며, 전승집단의 신성한 기원으로 수용된다. 또한 신화는 오늘날까지 여전히 연행되며, 민간 종교의 신성한 메시지로 전승되고 있다. 신화는 문학적 담론의 성격뿐 아니라, 정치·역사적 담론의 성격과 종교적 담론의 성격을 모두 지닌 복합적인 것이다. 이와 같은 신화의 성격은 이야기를 통해 신성성을 생성하고, 이 이야기의 신성성을 수용하게끔 하는 제의 연행의 담론적 효과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것이다. This work is a research into the narrative convention and communication principles of Korean myths in relation to the ritual. Compared with other narrative genres, the myth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its contents are the stories about the marvelous achievements of a divine existence and that it is accepted as a true story through the process of its transmission.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myth can be understood in the relation with the ritual which is a system of performance of creation and communication of a myth. The ritual, one of the communicative actions to bring forth and communicate the meaning, has the strong formal rules. The ritual performance not only does create a specific message, but also forces the its participants into the specific communication, that is, semiosis as well. In the ritual, a myth becomes the message in this ritual performance, a myth is communicated and transmitted as a divine story or a true story. Preceding researchers of myths either did not deal with the myths in the direct relationship with the ritual or dealt with them excessively one-to-one correspondence. Although in the research into the shaman myth, the interest in the ritual is shown because shaman performance is transmitted until now, it is rare to deal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yth and the ritual. Grasp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yth and the ritual as a field or a frame of messages and communication can help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myth which is the divine message communicated during the ritual performance and reveal the characteristic genre of the myth. The principle of the narrative construction and that of the communication of the myth will be naturally determin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ritual because the myth is brought forth under the effect of the ritual which is a strong discourse formation contrivance. Converse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ritual which brings forth and communicates the myth will be clarified by the message of the myth. The narrative convention of the ritual in the myth contains both the morphologic and semantic construction. The ritual mytheme, the basic form of the myth, will be found, and the principle of their connection will be clarified. Furthermore, it will be discussed which ritual meaning principle the semantic construction of the world reproduced by a narrative, connected with the ritual mythemes, follows. In addition,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e way how the message of the myth is recognized, accepted and transmitted in the cultural system of the transmitting group will be explained. Finally, in this work, similarity and difference between the Korean foundation myths and shaman myths will be compared and contrasted. Thus, it will be possible to approach the problem of the foundation myths and shaman myths more synthetically. 2. To search for the formative narrative convention of a myth, a mytheme can be established as a fundamental unit of a narrative. A foundation myth commonly consists of ritual mythemes like birth, growth, marriage, and enthronement. These mythemes are connected to become a mythical narrative. In case of a foundation myth, these mythemes accord with life-crisis rituals. The meaning of a human life, a society, and the nature is created and emphasized by the rituals performed at their turning point. The ritual mythemes of the foundation myth might be emphasized, increased, or decreased according to the story. However, these ritual mythemes are generally composed of the single and straight lined time-rule. On the other hand, the ritual mythemes of the shaman myth correspond to the ritual of affliction. Here is a problematic situation in the narrative presented, and a ritual is performed to solve the problem. A high ranking person in the narrative or a patriarch who is the head of a group accomplishes a specific task or benefits by the sacrifice of his children or wife. In the shaman myth, the ritual of a benefitted and a victim are doubled, and the space-transfer of the divine person is highlighted. It is clarified that the ritual mythemes of the shaman myth are composed of the double layered and circulated space-rule. Base on component parts and principles of the myth narrative, semantics of the world reproduced by the myth will be clarified. The world reproduced by a foundation myth consists of the opposing system of the profane and the sacred. The story of a foundation myth is the sacred's appearing in human world and sanctifying it. In a foundation myth, the basic ideology of culture creation will be derived from this sanctification rule, even though myths of each country have differences under the given situation. In human world, a country is established newly and develops culturally by the birth and achievement of a foundation hero. <Tankun-myth(檀君神話)> and <Haemosu-myth(解慕漱神話)> are the stories about the birth of a new country and new cultural human beings due to the advent of a sacred being. <Suro-myth(首露神話)> and <Hyukgeose-myth(赫居世神話)> are about the attempts to transform to a more civilized society through the marriage of sacred beings. <Chumong-myth(朱蒙神話)> and <Talhae-myth(脫解神話)> establish a new culture creation by the heroic struggle. The type of a culture creation is determined by the logic of which ritual mythemes would be stressed and how they would be connected. The main ideology in a foundation myth follows the principle of the political ritualizing and accords with the logic that a sacred being transforms the nature into a history with his strong power. The political ritualizing is the power of holding the value and goal of a community in common and of manifesting those common values as the universal order. Common value system is accomplished by the revelation of the foundation hero's divinity and the acceptance of it. The world reproduced by the shaman myth is also understood in the opposing system of the profane and the sacred. In the shaman myth,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profane and the sacred is attempted by the religious ritualizing of friendship and interchange to solve the given problematic situation. Through this process, a ceremony of the sacrifice and holy task is required in order that a non-divine being may become a divine being. The common problematic situation in shaman myths can be summarized as dissolution of a family. Among the types of solving problems, <Bari-princess(바리공주)> is a good example in which children solve the problems and sacrifice themselves ,and in <Seongjupuree(성주풀이)> and <Tangkumaegi(당금애기)> the wives are ones who solve the problems and sacrifice themselves. The myths in which both the children and wives sacrifice themselves are <Chilseongpuree(칠성본풀이)> and <Yigongbonpuree(이공본풀이)>. In the shaman myths, main values and ideology of the transmission group are emphasized in the process of the sacrifice to solve the problem. When a family is compared to a country or a society, those who are sacrificed in the patriarchal system are the weak of a society. Also, the myths present their weary lives and ways to overcome them. The communication with a divine is possible when human beings sacrifice themselves thoroughly. The bigger the sacrifice of a transmission group is, the more important is the value it strives for, and the rebirth of a non-divine being into a divine being becomes possible. 3. The way how a myth is communicated and transmitted can be manifested by the research into the myth and the ritual compared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message and communication. There are canonical message independent of the direct situation in the ritual performance, and self-referential message dependent on a situation. Comparing the transmitted versions of a myth enables seeking for fixed messages and variable messages. Analyzing these messages makes the type of communication of the ritual which is the communication making message clear. More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ssage and the many parts of communication enlighten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itual as communication. For the foundation myths, such as <Tankun-myth> or <Jumong-myth>, there are a lot of transmitted versions. Howev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time of recording and the changes of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world view of the recorders. The foundation myths of Korea were fixed in the literatures of the Koryo(高麗) Dynasty. Sometimes rationality is emphasized, sometimes marvelousness, according to the editors. However, in basic, the canonical message is transmitted without damage. A self-referential message which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versions stays within causality because it depends on the constructive index in the interconnections of the politics and history. In contrast, the message of the shaman myth has been changed a lot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e performance place. <Bari-princess> and <Tangkumaegi> which are transmitted in the whole country have many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regional versions. There are some versions even without the story in which <Bari-princess> and <Tangkumaegi> are seated as a god. It shows that even the canonical message can be damaged in case of the shaman myth. In contrary to the foundation myth in which there are the fixed canonical message and the variable self-referential message affected by the recorders and the world view of that time, the shaman myth is likely to depend on the performance itself, so that the self-referential messag changes or deter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whole message. Such is the self-referential message of the shaman myth because it depends on the natural index under the common interconnection of the ritual participants' existential situations. The difference between the foundation myth and the shaman myth is caused by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the respective rituals in which they are communicated. The ritual of a foundation myth is based on a country, and the sacred accepts the new culture creation as a general meaning according to the theory of sanctifying the human world. Such a political ritual transforms the message of a foundation myth into the history about the holy origin by historizing the nature. Here does the myth become a message sent by the addresser who is a strong existence itself(a god or a king). A message communicated in the political ritual is one-way communication from the addressers to the addressee and becomes the history the holy origin itself. Thus, the ritual of a foundation myth is a type of the communicatins focused on message. The ritual of the shaman myth is the religious ritual for friendship and interchange. It wants to communicate with a divine existenc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human world. The situations in the shaman myth are also human problems like those of a family which is most essential and general thing in the human world. This is a type of two-way communication between a god and humans by human sacrifice and devotion to the god. The ritual participants experience identifying with a god by relating the message of the shaman ritual, that is, the story of gods in the context of the human situations. This identification is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a medium for the shaman ritual, and the performance focusing on a medium should be emphasized in order to acquire this identification, for the shaman ritual is a type of communication focused on a medium. Here is the reason why the foundation myth is transmitted on the record, while the shaman myth is still transmitted in its performance place. 4. A myth is a narrative discriminated vividly from the world order which is accepted and recognized by human experiences. However, this myth is transmitted by recording in histories and accepted as the divine origin of a transmission group. Furthermore, a myth is performed until now and transmitted as the divine message of a folk religion. A myth has synthetic characteristics not only of literary discourse but also those of political, historical, and religious discourses.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myth are created by the discourse effect of ritual performance which forms the divinity through the story and compels to accept the divinity of this story.

      • 상용여행객이 지각한 여행사 선택속성 중요도-만족도가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오세정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여행 산업에서 고객이 구매하고 경험하는 서비스는 다른 상품 구매하는 것과는 다르게 무형성의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특징이 있는 서비스를 경험하기 위해 여행사의 선택단계에서 중요도와 만족도의 차이에 따라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중요하다. 서비스 산업에서의 여행사의 만족도와 중요도 차이를 통하여 유형적 단서를 고객에 제공함으로써 상용 여행객이 여행사를 선택하는 결정적인 요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용 여행객의 재이용 의사는 중요도 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의 결과들을 통하여 고객이 경험한 서비스와 이용하였던 여행사의 만족도와 중요도 차이의 평가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게 하여 재이용의도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기존 상용 고객의 유지를 통한 충성고객의 확보는 신규 고객의 유치를 위한 마케팅 활동에서 소비되는 지출을 절감할 뿐만 아니라, 고객들에게 만족도 높은 결과는 구전효과와 추천의도를 발생시켜 신규 고객 유치 또한 이루어내는 기업 경영의 긍정적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용 여행객의 기존고객 유지와 충성고객의 확보를 위하여 상용 출장시 여행사의 명성, 긴급대처 능력, 비자발급, 전담직원, 항공처리능력, 호텔처리능력, 예약시스템, 시스템 가격정보 등의 22가지 항목을 조사하여 여행사의 만족도와 중요도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고 그 결과로 재이용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연구를 바탕으로 정의하고자 하고, 본 연구에서 실증분석을 위한 연구 표본은 1년 이내 해외출장을 2회 이상 경험한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설문지 350부를 배포하여 그중 300부가 최종 통계분석에 사용되었다. 실증분석 방법으로는 예비분석방법으로 인구 통계적 특성을 위한 분석, 재이용의도의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을 위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가설검증을 위한 분석방법으로서 여행사 선택속성의 중요도-만족도 차이검증을 위한 대응일치 차이분석을, 중요도-만족도 차이가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양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다중회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상용여행객의 여행사선택속성 중 중요도보다 만족도가 높은 고객만족 항목으로는 명성(0.167), 긴급대처능력(0.560), 비자발급(0.300), 전담직원(0.300), 항공처리능력(0.400), 호텔처리능력(0.293), 예약시스템(0.133), 시스템가격정보(0.340) 등 8개 항목이 나타났다. 둘째, 상용여행객의 여행사선택속성 중 중요도보다 만족도가 낮은 고객불만족 항목은 전문성(-0.113), 글로벌네트워크(-0.620), 24시간상담(-0.380), 친절성(-0.307), 고객사이해도(-0.133), 호텔접근성(-0.647), 시스템실시간예약(-0.300) 등 7개 항목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용여행객의 여행사선택속성 만족도-중요도 차이가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는 규모불만족(0.127), 긴급 대처능력 만족(0.123), 친절성불만족(0.130), 호텔등급불만족(0.167), 예약시스템만족(0.208), 실시간시스템예약불만족(0.150) 등 6개 항목이 재이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년 증가하고 있는 상용여행객을 위한 여행사의 상용서비스를 연구한 결과, 여행사 선택속성의 중요도-만족도는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행사의 만족 항목과 불만족 항목을 중심으로 고객사를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상용 여행객을 위해 적극적으로 차별화된 상용 서비스를 제공하여 재이용에 의도를 유도함으로 우리나라의 상용여행시장은 더 발전하고 앞서나가길 바란다.

      • 틈 내 전위 측정을 통한 Ni기지 합금의 미세 틈부식 거동과 재부동태 속도 및 부동태 피막의 반도체적 성질 간의 상관관계 연구

        오세정 國民大學校 大學院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원자력 재료로 사용되는 Alloy 600 및 Alloy 690 Ni 기지 합금의 틈부식 거동에 대한 연구는 안정성의 관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순수한 Ni, Ni-(15, 30%)Cr 및 Ni기지 상용합금인 Alloy 600과 Alloy 690을 미세 모세관을 사용한 틈내 전위의 측정을 통하여 틈부식 거동을 관찰하고 마멸전극 시험을 실시하여 틈내 전위분포와 피막이 파괴된 후 복원되는 재부동태 능력을 평가하였다. 마멸시험 전후의 합금의 impedance 측정을 실시하여 복원된 피막의 특성을 비교하고 Ni기지 합금의 틈부식 거동과 부동태 피막특성 및 피막 복원성 간의 상호 관계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시험 결과, 틈부식 시험이 끝난 후 시편표면을 관찰하여 측정한 X_(pass)와 동전위 분극곡선에서 얻은 E_(pass)로부터 측정한 X_(pass)가 잘 일치하여 E_(pass)값으로부터 X_(pass)의 값을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침지시간에 따른 X_(pass)의 변화는 logarithmic film growth rate law에 따른 x = A + B log t 와 일치하여 틈부식과 부동태피막의 파괴와 성장 간에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재료의 재부동태 특성을 알 수 있는 마멸전극 시험의 결과 합금원소 Cr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재부동태 속도지수 n1과 n2 값은 증가하여 Cr이 재부동태 피막의 복원 및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염소이온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n1과 n2값은 감소하여 재부동태 피막의 파괴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재부동태 속도지수 n1, n2를 통하여 틈부식 발생 가능성을 조사한 결과, Ni기지 합금의 경우 n1값이 0.6, n2가 0.5이하이면 틈부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재부동태 속도 파라미터 n 값을 통하여 틈부식 발생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Crevice corrosion is the accelerated attack occurred in the occluded cell under a crevice on the metal surface. Crevice corrosion behaviors of nickel-based alloys were investigated in acidic solution with different chloride ion concentrations. Tests were carried out using the specially designed crevice cell with a very narrow Luggin capillary assembly to measure the potential inside the crevice. It is believed that crevice corrosion in active/passive system like nickel-based alloys has much to do with the properties of passive film and its repassivation characteristics, investigated by the capacitance measurement and by the abrading electrode technique, respectively. An attempt was made to elucid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revice corrosion behaviors, properties of passive film and its repassivation kinetics. Results showed that repassivation rate parameter n1≤0.6 and/or n2≤0.5 indicated the possible occurrence of crevice corrosion.

      • 대학 평생교육원 성인학습자의 교육기관 경험이 교육만족도 및 참여지속에 미치는 영향

        오세정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Lifelong learning institutions in universities and colleges has been encountered with the difficulties in recruiting adult learners. This problem is important to lifelong learning institutions in universities and colleges because these institutions in Korea maintain their bottom line based on adult learners' voluntary participation. By reason of that, the main duty of lifelong learning institutions in universities and colleges is to satisfy adult learners' needs and make high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persistence. And to satisfy adult learners lifelong learning institutions in universities and colleges need to supply adult learners with affective experiences. Based on these situation and cognition, researcher tried to examine the relations among experiences in the lifelong learning institutions,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persist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ositively the relations between experiences in the lifelong learning institutions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experiences in the lifelong learning institutions and persistence. Based on theoretical reviews, researcher defined and consisted main variables and hypothesized that experiences in the lifelong learning institutions may positively influence on adult learners'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persistence. Experiences in the lifelong learning institutions consisted with 3 sub-variables(community-based experiences, academy-based experiences, and society-based experiences). To investigate these relations researcher use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ology. Quantitative data collected from 247 adult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educational courses of 8 lifelong learning institutions in universities and colleges. Researcher analyzed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18.0 Korean Version. The findings were as followings: First, 3 sub-variables(community-based experiences, academy-based experiences, and society-based experiences) of experiences in the lifelong learning institution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adult learners'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persistence at α=.01. Second, 2 sub- variables(academy-based experiences, and society-based experiences) of experiences in the lifelong learning institutions might make influences on adult learners' educational satisfaction. R2 was .605. Third, 2 sub-variables(community-based experiences and academy-based experiences) of experiences in the lifelong learning institutions might make influences on adult learners' persistence. R2 was .320. Based on the results, some implications were suggested as followings: First, adult learners' academy-based experiences in lifelong learning institutions of universities and colleges might make an important role in making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persistence high. Second, adult learners' society-based experiences in lifelong learning institutions of universities and colleges could make an positive influence in educational satisfaction. Third, adult learners' community-based experiences in lifelong learning institutions of universities and colleges might make an positive effect on educational persistence.

      • 병동간호사의 폭력경험 후 개인반응과 간호업무수행 장애의 관련성

        오세정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병동 간호사의 폭력경험 후 개인반응과 간호업무수행 장애의 관련성 목적: 간호사가 경험하는 폭력 현황 및 폭력경험 후 개인 반응과 간호업무수행 장애 정도를 파악하고, 폭력 상황 시 대처현황 및 대처 후 간호사의 만족도를 파악하여, 폭력 대처의 필요성 및 개선을 위한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는 자기기입식 설문지에 의한 단면조사연구이다. 부산광역시 4곳의 종합병원 병동에 근무하는 2년차 이상의 경력을 가진 386명 병동간호사를 대상으로 자료는 2015년 1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설문지를 배부, 회수하였고 주요변수의 미 응답이 많은 2부를 제외한 301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결과: 최근 1년간 한번이라도 폭력을 경험한 간호사의 폭력 경험율은 98%로 나타났고, 폭력유형별 경험율은 언어폭력은 97.7%, 신체위협은 84.4%, 신체폭력은 70.8%, 성희롱은 29.6%로 나타났다. 최근 1년간 경험한 가장 심각한 폭력경험에 대한 개인반응은 간호업무수행 장애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폭력경험 후 개인반응 중 정서적 반응이 있을 때는 4.2배, 신체적 반응이 있을 때는 2.8배, 사회적 반응이 있을 때는 3.2배 정도 간호업무 수행시 장애가 있었다. 폭력 경험에 대한 대처는 자가 대처는 89.5%, 즉시보고대처는 60.3%, 사건 후 보고 대처는 72.2%로 나타났으며, 대처 후의 만족정도는 자가 대처는 35.6%, 즉시보고 대처는 60.3%, 사건 후 보고 대처는 69.0%로 나타났다. 결론: 간호업무 중 폭력을 경험한 간호사의 개인반응이 있는 경우 간호업무수행 장애에 영향을 미치므로 환자간호의 질 향상을 위해서 폭력에 대한 적극적 대처가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폭력을 경험한 개인 스스로가 대처하는 것보다 병원 조직에 의해 대처하는 것이 만족도가 높았으나, 병원의 조직적 대처가 미흡했다. 폭력경험 후 부정적 개인반응과 간호업무수행 장애를 줄이기 위해 폭력상황에서 병원 조직에 의한 대처를 적극적으로 할 수 있도록 교육이 요구되며, 병원차원의 지속적인 접근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요양보호사 제도의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오세정 원광대학교 행정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의 고령화 속도는 여타 다른 나라와 다르게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빠른 고령화 속도는 사회적으로 많은 문제를 야기하게 되었고, 정부는 이런 고령화 문제에 적극 대응하기 위하여 2008년 7월에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를 실시하였다. 제도의 실시에 따라 급여를 받는 수급자와 그 가정에서는 제도의 효과성에 대해 만족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 하지만 그런 만족도 속에서 급여의 제공 측면에서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어 그에 대한 대책이 시급하다. 그 중에서도 노인장기요양보험의 핵심인 요양보호사와 관련된 문제들이 심각성을 드러내고 있다. 요양보호사와 관련된 제도적 문제점으로 요양보호사의 공급 및 사회적 인식, 요양보호사의 자격 및 교육, 근무조건과 처우 부분에 있어 문제가 심각하다. 본 고 에서는 노인장기요양보험의 핵심인 요양보호사들의 질적 수준이 장기요양보험과 그에 따른 서비스 질의 고저를 결정짓는다는 인식하에 요양보호사와 관련되어 제기되고 있는 문제점 들을 검토하고 개선방안을 찾고자한다.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장기요양보험과 요양보호사의 제도의 개요, 주요내용, 핵심 문제 등을 연구하고 그 결과 도출된 요양보호사 제도의 개선방안에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요양보호사 공급에 있어 기관과 보호사에 대한 관리감독을 강화하여야 하고, 요양보호사에 대한 부정적 사회적 인식의 개선을 위해 언론과 교육을 통한 홍보가 필요하다. 둘째, 요양보호사의 자격에 대한 기준을 높이고, 교육에 있어 전문직으로 발돋움 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의 심화가 필요하다. 셋째, 요양보호사의 보호규정을 신설하여 요양보호사들이 처해있는 열악한 근무조건과 처우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현재 드러나 있는 요양보호사 제도의 제반 문제점을 충분히 검토, 분석 후 제도의 현 상황을 개선하였을 때, 장기적인 관점으로 요양보호 노인과 가족들의 종합적 욕구와 요양보호사 모두 충분히 만족 시킬 수 있는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요양보호사 제도의 효과적인 개선을 위해 많은 운동과 노력이 필요하다. Unlike other countries, the speed of aging in Korea is quite fast. This causes a number of social problems and in July 2008 the government adopted the Long-term Care system in order to actively tackle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aging. As the system has been implemented, there are a growing number of people who are satisfied with the system, especially those who are recipients and their families. However, a problem concerning the supply of the allowance has emerged which begs for urgent steps. In particular, a problem related to care givers, a key to Long-term Care, is most salient. The issues that demand our instant attention reside in institutional matters concerning the supply of care givers, the social perception of them, qualifications and training, working conditions and treatment. With the acknowledgement that the quality of care givers, key to Long-term Care, determines the quality of the Long-term Care and services provided, this work attempted to review the alleged problems of care givers and to seek measures for improvement.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Long-term Care, I would like to study the overview of the Long-term Care System and care giver system, key details, and core problems and to give advice on how to improve the care giver system based on the outcomes. First,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management of the relevant organizations and care givers in regard to the provision of care givers and to carry out promotion by media and education with a view to improve the negative social view of care givers. Second, it is required to adopt more competitive standards on the qualifications of care givers and to provide more in-depth training courses to help the occupation earn professional status. Third, it is necessary to make regulations to protect care givers to enhance their poor working conditions and treatment. It is possible to create a synergistic effect to fully satisfy comprehensive needs of the elderly under care and their families as well as care givers if we improve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system after thorough review and analysis of the current problems on the care giver system. To ensure effective improvement of the care giver system, we need a lot of movement and effort.

      • 기업의 문화마케팅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연구

        오세정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Consumer's Perception of the Culture Marketing Oh, Se Jung Department of Mass Communi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Consumers in modern society tend to choose the products and services that express their culture and values. Therefore, marketers consider the cultural wants and expectations when they execute marketing strategies. Marketing using culture naturally or unconsciously permeates into its consumers and tightens the emotional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and corporate rather than a specific product or a service by providing direct contacts through culture sponsorship and various cultural experiences. This study finally selected 29 structured Q samples composing of main culture marketing method conducted during the past few years in Korea: sponsorship, sales, synthesis, and style. The analysis identified 3 distinct Q factors: (1) The Tangible Benefit, (2) The Culture Support, and (3) The Creative Personality. The Tangible Benefit seekers prefer any cultural events allowing easily accessible and direct experience targeted to broader range of consumer stratum, while reject more selling-oriented events. The second factor, the Culture Support people enjoy the superior feeling when he participates a cultural event. Unlike the first factor, cultural synthesis accumulating a cultural image to a product or service was strongly rejected. The last factor, the Creative Personality people are interested in creative performance supporting more creative forms of culture. They rejected old-fashioned, banal, and blatant marketing tools under the name of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