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용성 녹차추출물에서 피부에 미치는 주요성분 분석 및 세포 독성과 NO 생성 억제 효과

        안수진 남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지용성 녹차추출물에서 피부에 미치는 주요성분 분석 및 세포 독성과 NO 생성 억제 효과 안수진 지도교수: 정숙희 남부대학교 일반대학원 향장미용학과 본 연구는 전라남도 보성군에서 자생하는 녹차 잎으로부터 초임계이산화탄소 추출법을 이용하여 지용성 녹차추출물의 생리 활성 물질인 폴리페놀, 카테킨, 그리고 지용성 비타민 관련 물질들의 추출 조건과 추출 성분에 대한 연구와 지용성 녹차 추출물의 세포 안전성과 염증 반응에 대한 효과를 과학적 입증을 하고자 하였다.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법을 이용한 녹차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을 분석한 결과 400bar/50℃ 조건에서 가장 높은 폴리페놀 함량이 추출 되었다. 또한 지용성 녹차 잎 초임계 추출물의 함유되어 있는 총 폴리페놀 함량은 2.47 mg/g으로 분석되었다. 지용성 녹차 잎 초임계 추출물의 지용성 비타민 함량은 비타민A는 검출되지 않았으나, 비타민A의 전구체인 베타카로틴이 4.131 mg/100 g이 검출되었으며, 항산화물질로 알려진 비타민 E는 537.9 mg/100 g 검출되었고, 비타민 K가 함유하고 있음을 나타냈다. 그리고 지용성 녹차 잎 추출물의 카테킨 함량은 모두 미량이지만 그중에 ECG가 가장 많은 양이 검출되었다. 그리고 녹차 초임계 추출 잔사물은 EGCG> EGC> Ca> ECG> PR B> TF순으로 분석되었다. 세포 안전성 및 NO 저해에서는 인간 피부세포유래인 HaCaT 세포와 RBL-2H3 비만세포에서의 지용성 녹차 잎 추출물 1%에서 세포 독성을 가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RAW 264.7 Cell에서는 5%에서 세포 독성을 가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RAW 264.7 Cell에서의 농도 의존적이고 농도 범위 내에서 모두 유의적으로 NO 생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법을 이용하여서 녹차 잎 성분의 추출에 있어서 온도와 압력에 따른 폴리페놀 추출 기준과 추출 성분을 제시하였으며, 화장품 분야에서 기능성 소재로 사용되고 있는 지용성 녹차 잎 추출물에 안전성과 항염 효과를 객관적으로 입증하였다.

      • 한국인 대학생 학습자의 영어 재귀대명사 해석 양상 : 통사적 결속 조건과 화용적 결속 조건을 중심으로

        안수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영어 재귀사의 통사적 결속 조건과 화용적 결속 조건과 관련하여 한국인 대학생 학습자들의 영어 재귀사 해석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먼저 재귀사의 선행사는 해당 재귀사가 포함된 시제문 안에 위치해야 하며 서로 성분통어 관계에 있어야 한다는 영어의 통사적 결속 조건과 관련하여, 학습자들이 영어의 결속영역 제약 조건과 성분통어 제약조건에 부합하는 명사를 재귀사의 선행사로 선택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재귀사와 선행사가 서로 다른 시제문 안에 위치할 경우 선행사가 지닌 인식자 조건에 따라 면제적 결속이 가능한 정도가 달라진다는 영어의 화용적 결속 조건과 관련하여, 인식자 조건이나 문맥 정보가 학습자들의 재귀사 해석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실험집단으로 67명의 대학생과 비교집단으로 12명의 영어 화자를 대상으로 선행사 판단 및 선행사 수용성 판단 과제와 이야기를 통한 진리값 판단 과제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본 논문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의 통사적 결속 조건과 관련하여 학습자와 영어 화자의 재귀사 해석 양상을 비교한 결과, 학습자들은 영어 화자들에 비해 영어의 결속영역과 성분통어 제약 조건을 위반하는 명사를 해당 재귀사의 선행사로 해석하는 경향이 있었다. 특히 학습자들을 영어 능숙도에 따라 세 집단으로 나누어 각 집단의 응답을 비교한 결과, 상위와 중위 학습자에 비하여 하위 학습자 집단에서 영어의 결속 조건을 위반하는 명사를 선행사로 해석하는 비율이 높았다. 둘째, 학습자들의 응답 중 영어의 결속 조건을 위반한 명사를 선행사로 파악하는 오류는 성분통어 제약조건보다 결속영역 제약조건과 관련한 문항에서 많이 나타났다. 그러나 성분통어 제약조건과 관련하여, 주어 명사구가 무정 명사인 문장에서는 하위 학습자뿐 아니라 상위와 중위 학습자들 대부분이 비성분통어 명사를 해당 재귀사의 선행사로 해석하는 오류를 보였다. 셋째, 영어의 화용적 결속 조건과 관련하여 중위와 상위 학습자들은 문맥 정보와 상관없이 영어의 통사적 결속 조건을 준수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하위 학습자들은 영어의 결속 조건보다는 문맥에 의존하여 재귀사의 선행사를 해석하는 경향이 있었다. 더불어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한국인 학습자들은 영어 재귀사 해석에 있어 인식자 조건에 따라 장거리 결속을 허용하는 정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상위와 중위 학습자들은 대체로 영어의 결속 조건을 준수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하위 학습자들은 실험 문장의 유형에 따라 영어의 결속 조건을 위반하는 명사를 선행사를 파악하는 오류를 보이기도 하였다. 특히 본 연구의 실험에서 사용한 sub-commanding 편향 문장은 비문법적인 문장임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학습자들이 비성분통어 명사를 해당 재귀사의 선행사로 해석하는 오류를 보였다. 이를 통해 보았을 때, 본 연구는 기존에 많이 연구되어 오던 결속영역 제약조건뿐 아니라 성분통어 제약조건과 관련하여 학습자들이 영어 재귀사를 해석할 때 빈번한 오류를 보이는 부분을 밝히어, 영어 재귀사와 관련한 학습자 지식에 대한 근거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데카르트 철학에 나타난 전인교육론 연구

        안수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의 목적은 데카르트 철학을 하나의 전인교육론으로 해석하고, 오늘날 전인교육과 관련해서 그 교육학적 함의를 드러내는 데에 있다. 데카르트는 방법적 회의를 토대로 자아를 근대 철학의 주체로 내세운 이성주의자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데카르트의 자아가 종래의 해석처럼 이성적 토대만을 두고 있는지는 의문이다. 사고의 이성적 측면과 감성적 측면이 조화를 이루며 발달하고 있을 가능성이 데카르트 철학 곳곳에서 발견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데카르트 철학에 대한 잘못된 관념을 걷어냄으로써 전인교육에 대한 오늘날의 잘못된 관념도 함께 교정될 수 있음을 가설로 세우고 이를 입증하고자 하였다. 만약 이 점이 확인되면, 데카르트 철학에 대한 재해석을 바탕으로 인간의 본성을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고, 이로부터 전인교육에 대한 교육적 시사 역시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데카르트 철학을 하나의 전인교육론으로 해석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데카르트 철학에 나타난 인간의 ‘본성’과 ‘발달’의 측면을 중심으로 탐색하고자 한다. 첫째, ‘인간의 본성’은 일반적으로 정신과 신체, 이성과 감성, 오성과 의지와 같이 상이한 측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데카르트 철학에서도 이러한 인간 본성의 상이한 측면이 모두 발견되는가를 확인하고, 이들이 궁극적으로 조화로운 인간의 본성을 이룰 가능성을 밝히겠다. 이것이 가능하려면, 인간 본성의 외적 다양성 이면에 있는 내적 동일성을 찾아야 한다. 데카르트의 정념은 인간 본성의 상이한 측면을 하나로 종합할 수 있는 개념이다. 정념은 인간의 정신과 신체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심신의 내적 동일성’ 기능과 이성적 사고와 감성적 사고의 이면에 모두 내재하고 있는 ‘사고의 내적 동일성’ 역할을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정념의 개념에 비추어 인간의 본성을 탐구함으로써, 인간의 본성이 본래적으로 조화를 이룰 가능성에 관한 철학적 토대를 마련하겠다. 둘째, ‘인간의 발달’은 데카르트 철학에 나타난 정념을 지닌 자아가 고정된 실체가 아니라,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하는 발달의 주체임을 검토함으로써 확인한다. 자아는 감성 중심의 ‘자연적 자아’, 이성 중심의 ‘이성적 자아’, 이성과 감성의 조화를 추구하는 ‘철학적 자아’ 순으로 발달한다. 자아가 주로 취하는 인식의 양상은 발달의 단계에 따라 다르지만, 자아의 모든 인식 활동 이면에는 언제나 인간 본성의 내적 동일성을 이루는 정념이 내재하고 있다. 자연적 자아, 이성적 자아, 철학적 자아는 별도의 자아가 아니며, 이들은 교육을 통해 발달의 도정을 거치고 있는 하나의 동일한 자아이다. 철학적 자아가 이 사실을 자각하고, 지금까지 받아 온 교육의 과정을 성찰하게 되면, 자아는 자신의 발달 과정을 하나로 종합하여 볼 수 있는 ‘전체로서의 인간’, 즉 전인으로 거듭난다. 정념은 인간의 이면에서 끊임없이 운동하고 있으며, 이러한 정념의 운동은 인간의 발달을 이끄는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정념의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궁극적인 원인은 바로 인간이 본래적으로 지니고 있는 본유관념인 자유에서 찾을 수 있다. 본유관념으로서의 자유는 ‘관념’이지만, 사실상 ‘정념’을 통해 인간에게 드러난다. 교육 받은 인간이자 전인은 자신이 본래적으로 지니고 있는 자유를 자각하고, ‘정념의 발현’이 곧 ‘자유의 표현’임을 깨닫게 된다. 전인은 풍부한 정념을 발현하는 일이 자신이 지닌 자유를 적극적으로 실현하는 일임과 동시에 인간의 완전성을 실현하는 일임을 파악하고, 자신이 지닌 자유를 바탕으로 정념을 주체적으로 발현하고자 한다. 인간이 본유관념으로서의 자유를 통해 자신의 본성에 부합하는 정념을 발현하게 되면, 인간은 정신과 신체가 공통적으로 느낄 수 있는 만족감, 즉 일종의 전율을 경험한다. 인간은 교육을 통해 얻게 되는 만족감으로부터, 최고의 행복을 누리게 된다. 이와 같은 내용을 종합하여, 데카르트 철학에 비추어 전인교육의 개념을 정의하면, 전인교육은 정념을 지닌 자아의 조화로운 발달을 목적으로 삼는 교육이다. 전인교육의 본질은 정념의 운동에서 찾을 수 있으며, 전인교육의 과정은 정념을 지닌 자아의 발달에서 찾을 수 있다. 주지하듯이, 정념의 운동은 인간이 지닌 최초이자 최고의 본유관념인 자유로부터 발생한다. 전인은 정념을 발현함으로써, 자신이 지닌 자유를 깨닫고 이를 적절하게 실현한다. 적극적 자유를 실현하는 전인은 인지적 측면에서는 ‘참됨’을 발견하여 이에 감탄하는 ‘관조적 성찰’을 하고, 도덕적 측면에서는 ‘좋음’을 발견하여 이를 실행하려는 ‘관대함 발현’을 하며, 심미적 측면에서는 ‘아름다움’을 발견하여 이와 닮아가려는 ‘교육적 몰입’을 한다. 데카르트 철학에 나타난 전인교육론 연구는 전인교육에 관한 오늘날의 잘못된 관념을 교정하는 데에 중요한 교육적 시사를 줄 수 있다. 특히, 전인교육은 이성 중심 교과교육과는 다른 새로운 내용과 방식의 교육이어야 한다는 통념을 재해석할 가능성을 제공한다. 전인교육을 이성 중심 교과교육의 대안으로 보려는 오늘날의 접근에 따르면, 인간의 본성을 이루는 이성과 감성은 사실상 분리될 수 있는 것으로 취급된다. 이에 따라 교육 현장에서는 ‘이성의 발달을 도모하는 교육 활동’과 ‘감성의 발달을 도모하는 교육 활동’을 나누어 실시하고, 추후에 이들을 인위적으로 통합하려는 양상을 보인다. 이는 인간의 본성과 발달에 대한 ‘파편화된 관점’이다. 그러나 인간은 교육의 사태에서 자신이 지닌 정념을 구심점으로 하여 이성과 감성의 조화로운 발달을 추구한다. 이는 인간의 본성과 발달에 대한 ‘총체적인 관점’이다. 전인교육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정념을 지닌 자아의 조화로운 발달’이라는 전인교육의 개념 자체를 총체적인 관점으로 볼 필요가 있다. 인간의 본성과 발달에 대한 총체적인 관점은 데카르트 철학에 나타난 통합성과 계열성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총체적인 관점을 바탕으로 데카르트 철학은 하나의 전인교육론으로 해석될 수 있다.

      • 수소 충전소용 차단밸브의 감성품질 핵심요인에 관한 연구

        안수진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 국제적으로 대기오염 물질 배출 규제가 강화됨에 따라서 내연기관 자동차 생산을 줄이고 친환경 자동차로 전환이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 추세이다. 정부의 수소에너지산업 활성화 정책에 따라 수소충전인프라 구축, 충전설비 핵심부품의 국산화 개발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관련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소 충전소용 차단밸브 사용자들의 심리적인 안정감을 주고 선호도가 높은 제품 개발을 위해서 차단밸브 사용자의 니즈를 인터뷰를 통해 조사하고, 감성품질과 관련된 요구사항 9가지를 파악하였다. 차단밸브 제조관련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브레인스토밍을 통해서 차단밸브의 품질구성요소 32가지를 파악하였다. QFD를 기반으로 고객 니즈와 관련된 설계요인 19가지를 도출하였고, Kano 모델에 따라 부정적 질문과 긍정적 질문을 동시에 설문하여 일원적 품질요소, 매력적 품질요소, 당연적 품질요소를 규명하였다. Kano 모델 및 Timko 고객만족계수를 활용한 결과 “밸브 개방토크”, “차단 토크”, “핸들의 크기”, “핸들의 두께와 형상”, “그립감” 등 매력적 품질 요소 9가지를 확정하고, 국산 차단밸브의 차별화 전략으로 제시하였다. 제품의 품질이 평준화되고 기능의 차별화가 어려운 상황에서 제품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핵심전략으로써 감성품질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차별화가 필요한 매력적 품질 요소와 반드시 필요한 일원적 품질 요소를 고려하여 개발과정에서 디자인 방향을 결정한다면 국산 차단밸브의 고객 선호도를 높이고 효과적인 마케팅으로 연결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호텔 온라인 정보 채널 및 스마트 기기 이용과 충족에 관한 연구

        안수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오늘날 서비스산업 분야에서 정보통신기술은 스마트 폰 활용, RFID/USN, 웹사이트, 소셜 미디어 등과 같은 다양한 모습으로 활용되며 성장하고 있다. 이러한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은 사람의 질을 향상시키는 필수불가결한 요소가 되며 소비자의 행동에도 영향을 미쳤다. 온라인 소셜 네트워크 기술은 채널 및 공급자로써 환대 산업 기업의 경쟁 우위를 점할 수 있는 전략적 도구가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광객의 차별화된 경험에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미국 마케팅 정보업체 JD파워의 보고서에 따르면 2014년 북미지역 호텔의 경우 모바일기기, 정보기술 및 네트워크를 활용한 정보통신기술(ICT) 융복합 숙박 서비스를 제공하여 고객만족도를 포함한 고객 충성도를 확보하여 수익성 창출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된 바 있다. 이처럼 해외에서는 이미 보편화가 된 정보통신기술(ICT)이 활용된 호텔 서비스는 센서, 보안, 로봇의 활용도를 높이고 개인맞춤형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였다. 최근 호텔업계에 불고 있는 정보통신기술(ICT)은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기술과 소프트웨어(SW) 기술을 사용한 융복합 서비스로 호텔 이용 고객으로 하여금 보다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하지만 정보통신기술이 경쟁우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논란은 특히 호텔 산업에 있어 관련 연구의 많은 문제점 중 한 부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호텔은 투숙객이 다양한 정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의사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새로운 마케팅 채널의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실제로 온라인 사이트에서 제공한 호텔 성능에 대한 소비자 평가 점수는 호텔을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의 구매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고객의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호텔 인프라에 정보통신기술이 접목된 최첨단 호텔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혁신기술을 수용하는 수용자들에게 해당 기술이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과거 다양한 연구에서 진행되어 왔다. 문제는 일방적으로 수용자들에게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가에 대해 연구해왔다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호텔산업에 적용된 사례로 드문 호텔의 정보통신기술과 호텔 투숙객 측면에서의 기술 이용에 관한 연구를 이용 충족 이론을 통해 관계를 규명하였다. 그 과정에서 스마트한 환대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호텔 서비스의 기본 매커니즘을 이해하고 예약에서부터 숙박까지 고객의 스마트 호텔 이용과 욕구의 충족으로 이어지는 호텔 이용의 전 과정의 영향관계에 대한 이해를 높여 보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는 국내 사례로 규명되지 않은 측면에서 기존 연구와 차별화 되어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 째, 호텔 온라인 정보 채널 속성은 스마트 호텔 인게이지먼트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응용프로그램인 호텔 온라인 정보 채널은 스마트 호텔 서비스 이용 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고객의 열정, 주목, 몰입과 같은 고객 인게이지먼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 째, 호텔 온라인 정보 채널 속성은 스마트 기술사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호텔 디지털 마케팅은 보통 호텔 숙박 이용을 위한 계획 단계에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 사용 강도의 빈도나, 사용 시간, 그리고 다양성에 있어서 호텔 이용객에게 내부적 요소의 자극 여부에 대한 사용의 태도까지는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 째, 호텔 스마트 기기 속성은 스마트 호텔 인게이지먼트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키리스시스템(keyless system), 자동화된 주문 시스템, 음성인식 명령 시스템, 객실 내 엔터테인먼트 보조 시스템 등 혁신기술이 활용된 호텔 내 모든 기기를 이르는 호텔 스마트 기기 속성은 호텔 이용객의 총체적 경험인 고객 인게이지먼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넷 째, 호텔 스마트 기기 속성은 스마트 기술사용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호텔 스마트 기기의 사용은 호텔 이용객의 사용 행태에 직접적이며 혁신기술에 따른 기기 사용이라는 새로운 활동에 대한 체감의 정도가 강하여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다섯 째, 스마트 호텔 인게이지먼트는 스마트 기술이용 충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호텔 온라인 정보 채널과 호텔 스마트 기기 사용을 통해 호텔 이용객의 정보 수집과 획득, 그리도 호텔의 콘텐츠를 사용한 총체적인 경험이라고 할 수 있는 호텔 인게이지먼트가 호텔의 참신하고 비전통적인 방식을 통해 제공된 호텔의 스마트 서비스 이용 경험을 통한 충족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정보통신기술(ICT)이 활용된 호텔 이용객의 이용과 충족을 설명할 때 그 중요성을 모호하게 강조하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분류를 통해 명료하게 호텔 투숙 전에 사용되는 혁신 기술과 호텔 투숙 중에 사용되는 혁신 기술이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또한 시시각각 변화하는 스마트한 환경에서, 이용과 충족 이론은 호텔 이용객 입장에서 새롭게 등장한 형태의 정보통신기술(ICT)이 활용된 호텔 이용 과정에서의 참여 양상을 설명해줌으로써 독립변수인 호텔 온라인 정보 채널과 호텔 스마트 기기가 해당 호텔을 이용 하도록 사람들에게 동기부여가 될 수 있음을 실증분석을 통한 결과를 제공하였다. 검증 결과에서도 제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호텔 서비스의 전체적인 경험에 대한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데 정보통신기술(ICT)이 활용된 호텔의 이용 경험은 기술의 사용 강도가 강할수록 전체 호텔 이용이 더 나은 경험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것을 인지시키는데 매우 유용하기도 하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혁신 기술이 제공하는 기술적 속성에 대해 호텔 이용자는 호텔 이용 시 받을 수 있는 충족을 기대하며 이를 추구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되도록 호텔 입장에서는 정보통신기술(ICT)이 접목된 다양한 기술사용을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Over the last decad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ICT) is being utilized in various forms such as smartphone usage, RFID / USN, websites, and social media. The development of ICT has become a key factors of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as well as affecting consumers’ behavior in service industry. Specially in hotel business, ICT related service such as sensors, security and robots become popular to secure competitiveness in the market. According to the report by JD Power in 2014, an American marketing intelligence firm, integrated accommodation service (e.g., mobile devices, information technology, network) is a main factor to improve profitability and gain customer loyalty in the case of hotels in North America. Although many hotels in Korea too are aware of important role of ICT based service and products as a marketing channel to meet customers’ needs but they very conservative to place the resource on relevant departments. Research on the effect of technology on the accepters of such innovations has been conducted in various studies in the past. The problem is that it has been studied unilaterally to what effect it has on accepters. Also there is no empirical study in a case of hotels in Korea. This study explains the relation between the ICT of rare hotel and the technology utilization in the aspect of the hotel guest is explained through the uses and gratification theory. In smart environment that changes every moment, the use and gratification theory explains the aspect of participating in the hotel use process in which ICT emerged from the viewpoint of hotel users. In the process, we will understand the basic mechanism of smart hotel service that utilizes smart hospitality technology and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influence relationship of hotel use from the reservation to accommodation to the use of smart hotel and gratification of customer's desire. The results show as following: First, Hotel online information channel attributes have a positive effect on smart hotel engagement. The online hotel information channel, which is an online applic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customer's enthusiasm, attention, and commitment, which can affect the process of using smart hotel services. Second, Hotel online information channel attribute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mart technology use. Hotel digital marketing is often used at the planning stage for hotel accommodation, and it is found that the attitude of the use of the internal factor is not satisfied with the frequency of use intensity, usage time, and diversity. Third, Hotel smart device attributes have positive influence on smart hotel engagement. keyless system. The hotel's smart device attribute, which includes all the devices in the hotel that utilize innovative technology such as automated ordering system, voice recognition command system, in-room entertainment assist system etc.,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customer's overall experience. Fourth, Hotel smart device attributes have positive influence on smart technology use. The use of hotel smart devices is directly related to the usage patterns of hotel guests, and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degree of feeling of new activities such as the use of devices in accordance with the innovation technology is strong. Fifth, Smart hotel engagement has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with smart technology use. These results show that hotel users tend to pursue the technological attributes provided by the innovative technology and that the hotel users are satisfied with the use of the hotel. Therefore, in the case of hotels, it is necessary to provide various ICT based services and products which is non-traditional methods.

      • 청소년기 해외 유학 경험을 가진 귀국성인의 자아정체감 및 직장적응에 관한 연구

        안수진 백석대학교 상담전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해외 귀국 성인과 일반 성인의 자아 정체감의 차이와 직장 적응에는 어떤 차이가 있으며, 해외 귀국 성인과 일반 성인의 일반적 특성 (성별, 나이)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 성인의 자아 정체감이 직장 적응에는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또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해외 귀국 성인의 추후 연구에 도움이 되는 연구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거주하는 20대 후반에서 30대의 1년 이상 직장생활을 하고 있는 전문대졸 이상의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일반 성인(33명)과 해외 경험 성인(33명)으로 나누어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동일회사에서 일반 성인과 해외경험 성인을 짝을 이루어 표집 하도록 노력하였다. 측정도구는 자아 정체감 측정을 위해 박아청(1996)이 개발한 ‘한국형 자아정체감 검사’를 이현주(2009)가 수정, 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또 직장 적응의 수준을 측정하기위해 직업적응이론 (The theory of work adjustment)에 의거하여 두 가지 도구를 사용하였는데, 하나는 직업환경에 대한 개인의 욕구를 측정하기 위해 MIQ (Minnesota Importance Questionnaire) 질문지를 수정 보안한 이요행(2002)의 직업 환경 욕구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다른 하나는 이요행(2002)이 MSQ (Minnesota Satisfaction Questionnaire)를 수정 보안한 직무만족 질문지 단축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해외 귀국 성인과 일반 성인의 자아 정체감 전체 및 하위 변인 6가지를 조사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또한, 둘 다 일반 규준집단 보다 비교적 높은 자아정체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해외 귀국 성인과 일반 성인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아 정체감 차이에서는, 먼저 성별에 따른 자아 정체감의 하위 변인에서 해외 귀국 여성이 미래 확신성에서 가장 낮은 점수가 나온 반 면, 일반 성인 여성은 친밀성에서 가장 낮은 점수가 나왔다. 특히 해외 귀국 남성에 비해서도 큰 차이를 보여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 전체 점수에서는 해외 귀국 남성이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가장 낮은 집단은 일반 성인 여성 이었다. 연령대 차이에서는, 해외 귀국 성인은 주체성에서 20대 성인과 30대 성인간의 차이가 가장 높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일반 성인에서 20대, 30대 간 가장 큰 차이를 보인 것은 친밀성이었다. 그러나 해외 귀국 성인의 경우 20대, 30대 간 친밀성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셋째, 직장 환경 욕구 질문지를 사용하여 순위별 채점 결과, 해외 귀국 성인과 일반 성인 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해외 귀국 성인은 개인의 성취감과 친밀성에 대한 욕구가 높은 반면, 일반 성인은 직무의 성취감과 안정감에 대한 욕구가 높음을 나타냈다. 직무 만족도에서는 두 집단 모두 평균 이상의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통계상 유의미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따라서 두 집단 모두 일반 규준 집단보다 직장 적응에 있어서 높은 적응도를 보였으나, 서로의 집단이 직장에 대한 욕구는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성인의 자아정체감이 직무 만족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조사한 결과, 성인의 자아 정체감중 주체성이 직무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인은 자아정체감 외에도 일반적 특성 중 학력, 근속연수의 순으로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고 있다고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해외 귀국 성인과 일반 성인은 자아 정체감의 차이는 없었으나, 직장 적응에 있어 서로 다른 모습을 나타냈다. 따라서 서로의 다른 욕구를 파악하고, 직장 적응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서로 다른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논의가 필요할 것이다.

      • 마르코프 체인 모델에서의 데이터 기반 잠재 상태 추론 연구

        안수진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네트워크 과학 분야에서 전파 현상은 쉽게 관측 가능한 현상이다. 행위자(agent)와 네트워크의 종류에 따라 전염병, 루머, 바이러스 등 다양한 전파 현상을 표현해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대표적 전파 현상인 코로나바이러스(SARS-CoV-2; COVID-19)와 같은 감염병의 전파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 수학적 모델링을 활용하여 감염병의 진행 양상을 파악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discrete-time Markov chain을 활용하고, 백신 접종 상태, 격리 상태를 추가하여 현실 정책을 잘 반영하는 감염병 모델을 제안하였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숨은 감염자 수가 유발하는 2차 감염자 수를 평가하는 지표인 감염 재생산 계수(Reproduction factor)를 새롭게 제안하였다. 이는 기존 감염 재생산 지수와 달리, 면역성이 없는 상태인 감수성자 상태의 비율을 고려하여 격리되지 않은 숨은 감염자 수가 유발하는 실시간 전파 감염도를 평가한 지표이다. 제안한 감염 재생산 계수 기반의 모델은 잠복기 상태의 인구수, 병에 감염되었지만 격리되지 않아 병을 전파시키는 숨은 감염자 수와 같이 공식적으로 집계될 수 없지만 전파 양상 파악에 중요한 잠재 상태(latent state)의 인구수를 추정할 수 있다. 한국, 이탈리아, 독일, 캘리포니아 COVID-19 데이터를 적용하여 모델의 결과를 확인하였고, 최신 모델들과 비교를 하여 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제안된 모델과 감염병 재생산 지수가 확진자 수의 급증의 흐름을 잘 반영하는 등 COVID-19 데이터를 잘 설명함을 알 수 있다. The mathematical modeling of infectious diseases aims to evaluate the transmissibility of the on-going spread of disease and guide the government’s control strategies and interventions. In this thesis, a novel transmissibility indicator, reproduction factor, which evaluates the number of secondary infections from a single nonisolated infectious individual is proposed. In contrast to classic reproduction numbers, the reproduction factor explicitly considers the fraction of susceptible individuals (who are not immune to disease naturally or through vaccination) and the nonisolated population to evaluate near real-time transmissibility. Thus, it can be an effective indicator when the spread of disease has progressed and control strategies have been implemented. Other merits of the proposed reproduction factor include data-driven inference based on a Markov chain, which enables the inference of latent information, such as the number of nondetected infectious individuals and the number of daily new infections. An extensive simulation is performed using the COVID- 19 datasets of Germany, Italy, South Korea, and California to verify our model. Further the results are compared with other transmissibility measures, including reproduction numbers, and the results of state-of-the-art epidemic models. Through the results, it is confirmed that the proposed reproduction factor and corresponding inference model explained the COVID-19 datase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