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諶容의「人到中年」硏究

        이지은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8 국내석사

        RANK : 1919

        諶容是新时期中国文壇上最执着於现实人生、也最为关心外在社会生活的一位女作家。在历史翻開新的一页时,新舊事物的矛盾必然会尖锐地在现实生活中表现出来。諶容的作品之所以能在社会上产生强烈反响,首先就在於作家正视现实,直面人生,以高度的锐敏性和巨大的分析力,对新的历史转折时期的生活,進行入手机理的解剖,及时揭示社会生活中的重大問題以及经历過文革的人們的深潜的心态等問題。作者在反思历史、批判现实的同时,也体现出了知識分子深刻的责任感、使命意識以及强烈的现实主义理性精神,表达了自己悲悯的和人文主义的真挚情懷。她的中、短篇小说在读者心目中有较大的反响,尤其是中篇小说《人到中年》,已被公認为近年来新文学成就的重要标志之一。諶容的《人到中年》在1980年《收獲》第1期上發表,后来又被改編成电影,产生了极大的社会影响。 本論文以諶容的成名作《人到中年》为对象,分主題意識、人物形象、創作手法等三個方面加以分析。 第一,諶容在《人到中年》中揭示出的主題意識可分为三部分,就是“官僚主义問題”、“知識分子問題”、“女性問題”。作者要求读者透過這些表面上的問題,進一步思考與此有关的另一些更具根本性和普遍性的問題:比如調整社会的价值和伦理体系,让人們重新認識什麽是真誠、什麽是虚伪、什麽是有意义的付出、什麽是無价值的浪费生命。 第二,諶容的小说創作以现实主义为主导,即以写实为主,在场面描写和細節描写的真实中,塑造典型的人物形象,如陸文婷为面临着可怕的“疲劳”和“断裂”的眼科大夫; 秦波則是趾高氣揚、目中無人、自私自利的“马列主义老太太”; 而姜亚芬夫婦却是不得不忍心去作“天涯孤客”的中年知識分子,他們都是當代中国文学画廊里具有典型意义的形象。 第三,諶容坚持開放的现实主义的態度,大膽借鉴和吸收西方现代手法而在藝術上不乏新颖独到之处。《人到中年》中諶容采用了时空颠倒、跳跃衔接的手法,以昏迷在病床上的陸文婷的意識流動展開全篇。同时,引用了匈牙利詩人裴多菲的一首爱情詩而营造了濃厚的抒情氣氛。 综观諶容創作,其文学道路和特點,大致可归纳为:第一,她始终如一地关注社会問題,竝使女性題材也具社会、文化意蕴。第二,她重视现代意識对創作的关照,能较好地将社会性與人性、悲劇性人生體验和崇高理想追求整合在一起。第三,她藝術上堅持现实主义創作原則,以塑造典型形象为審美理想,追求富個性化的悲喜劇藝術风格。

      • 조선 후기 深衣 肖像 연구

        경보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4 국내석사

        RANK : 1887

        Shimui Chosang (深衣肖像) is a portrait in outer clothing. It started to be drawn by Song Shiyul in the 17th century of Chosun Dynasty and had became popularized among Sadaebu (gentry) society until the modern period. Shimui (深衣) is one of Yabok (clothing worn by the commoners), which is compared with Kongbok (clothing worn by the bureaucrats), and became the representative garment of the Confucian scholars through "Yeki(禮記: scriptures of the proprieties)" and "Jujagarae(朱子家禮: Confucian ritualism)". Shimui (深衣: outer garment of the commoners) got diverse during Chosun Dynasty according to different interpretation of class manners. As a result, each of the schools designed different Shinui: "Jikryeong Shimui (直領深衣)" for Noron School and "Bangryeong Shimui (方領深衣)" for Giho Namin School. The significance of Shimui Chosang in Chosun Dynasty was established by Song Shiyul in the late 17th century. He tried to symbolize the scholastic mantle handed down to Chu Hsi from Confucius and routinize "Garye (家禮: the customary formalities of a family)" with Shimui Chosang. Later, he, who was the head of Sanlim (山林) and caused the politics to divide into Noron and Soron faction, was considered as the symbol of Noron. His icon and the icon in Shimui kept being drawn by posterityon the basis of the portraits and Youngcho that he handed down. In the early 18th century when political conflict continued between Noron and Soron faction, the writers in direct line of Song Shiyul deepened the significance of "Song Shiyul and Shimui" and began to pass down ‘icon in Shimui’. His writers such as Kwon Sangwha, Jong Ho, Yoon Bonggu created ‘portrait in Shimui’ to succeed to Song Shiyul’s scholastic mantle. Particularly during this time period, the relations between Noron faction and Jin Jaehae (father) and Jin Unghae (son) suggests that the logic of justification, which used to be applied only to political circle, stretched into the relations between Sadaebu(gentry) and art academy. Therefore, it shows the tendency of the art circle gradually going along with Sadaebu culture during the 18th and 19thcentury. In the late 18th century, the portraitof Song Shiyul was actively copied and passed down by influence of his enshrinement in the Munmyo(文廟) and worship during the periods of King Seijong and King Yungjo. Therefore, his portrait has both the drawing rules of face and body defined in the 17th century and painting style of his portrait in the early 18th century. On the other hand, his icon started to be divided over ideologicaldivision and the logic of justification after Song Shiyul passed away. One side of the faction asserted that the portraits of Horon and Nakron were legitimate succession of those of Songshiyul and Kwon Sangwah, respectively and wanted to follow the cases of Chu Hsi’s Garye (the book of Confucian ritualism) as they were while the other maintained that they had to expand the interpretation of the cases and adopt other cloth styles on other icons (portraits). Horon kept copying (Immo 臨摹] style of outlining an original portrait on transparent paper lying on it) the portrait of Han Wonjin during the 18th and 19thcentury. It suggests that the faction had tendency to make portraits, mainly, of ‘sages’. Especially the portrait of Han Wonjin after the late 18th century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drawing used for the portrait of Kwon Sangwha, which allows us to know that they were willing to establish the succession of scholastic mantle from Song Shiyul to Kwon Sangwha and to Han Wonjin. The key important families of Nakron faction had tendency to draw ‘portraits in Shimui’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Andong Kim family and Jeonju Lee family, which were the representative families of NakronSchool, wanted to pass down family’s scholastic mantle as well as Song Shiyul’s. The openness of Nakron, which was entering the center of power, transformed part of the icon within the limit of clothing rules while succeeding to Noron’s portraying style(portrait in Shimui) with nothing missed. Giho Naminplaced studying of the classic prior to anything else and established "Bangryeong Shimui (方領深衣)" as the icon of a portrait, based on its own interpretation of "Yeki(禮記: scriptures of the proprieties)". However, Shimui style went through a critical process and thus irregular and diverse ‘Bangryeong Shimui’ image was accepted to a portrait. This phenomenon became more apparent and established by Giho Namin of Iik and Irae after the 18th century. The portrait of Leesamwhan (1788) and that of Hur Jeon (1873) were drawn on the basis of individual logic of Shimui, so they were distinctive in details from each other except the common point in Bangryeong. It is because that Noron aimed to hand down icon in Shimui while Namin had purpose of studying historical evidences of Shimui system. Therefore, portrait in Shimui can be considered as a perspective of a portrait with periodic characteristics of changing icon according to the scholastic school and mantle of the late Chosun Dynasty.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trend of the tim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aspect of the times. 深衣肖像은 深衣를 입고 그린 초상으로 조선 17세기 말에 송시열에 의해 제작되기 시작한 이후, 근대기까지 사대부들 사이에서 널리 제작되었다. 심의는 公服과 대비되는 野服의 종류 중 하나로 『禮記』․『朱子家禮』를 통하여 유학자의 대표적인 복식되었다. 조선에서 심의는 古典의 해석에 따라 외형차이가 발생하였고, 각 학파별로 노론은 “直領深衣”를, 기호남인은 “方領深衣”을 제작하였다. 조선에서 ‘심의초상’의 의의는 17세기 후반에 宋時烈에 의해 정립되었다. 송시열은 심의초상을 통해 공자에서 주자로 이어지는 성리학의 학통을 상징하고, 「가례」의 일상화란 의의를 내보이고자 하였다. 이후, 당대 山林의 종정으로 송시열은 노론의 상징으로 여겨졌으며, 생전에 남긴 초상과 영초를 바탕으로 송시열像과 심의도상이 후대에 지속적으로 제작되었다. 노론과 소론의 정치적 갈등이 반복된 18세기 전반에는 송시열의 직계 문인들에 의해 ‘송시열과 심의’에 대한 의의가 심화되고, ‘심의도상’이 전승되기 시작하였다. 權尙夏․鄭澔․尹鳳九 등의 송시열의 문인들은 ‘심의초상’을 제작하여 송시열의 학통을 이어가고자 하였다. 특히 이 시기 노론 문인들과 秦再奚-秦應會 부자는 오랜 기간 교유하며 지속적으로 초상을 제작하였고, 빠르게 발전한 18세기의 초상화풍을 노론 문인들의 초상에 성공적으로 적용하였다. 또한 진재해는 경종년간 집권한 소론의 초상제작을 거부하여 사대부화된 화원의 모습을 보여준다. 이것은 사상․정치적 분야에 한정되있던 명분론이 사대부-화원의 관계로까지 확장되어 갔음을 알 수 있어 점차 사대부 문화에 함께 동조해간 18~19세기 화원의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18세기 후반에는 1756년(영조 32)의 송시열․송준길의 문묘종사와 정조년간의 송시열의 宋子 추숭의 영향으로 인하여 송시열 초상의 이모와 전승이 활발히 진행되었다. 송시열像은 17세기 말 이래로 규정된 안면과 신체에 대한 특징을 고수하면서도 18세기 전반에 제작된 송시열 초상들의 화풍도 이어받았다. 반면 노론 내에서는 송시열 이후 사상적 분화와 명분론의 계승을 둘러싸고 미묘한 도상의 분화가 일어나기 시작했다. 호론과 낙론의 문인 초상은 각각 송시열과 권상하의 적전이라 주장하며 『주자가례』의 범례를 고스란히 따르고자함과 朱子註 해석의 범례를 확장시켜 일부 의복에서 다른 도상을 채용한 것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호론은 18~19세기에 지속적으로 한원진의 초상을 임모하여 ‘先賢중심의 초상제작’ 양상을 보인다. 특히 18세기 후반 이후의 한원진 초상은 권상하 초상의 특징도 반영하여 ‘송시열-권상하-한원진’으로 이어지는 학통계승의 의지를 보여준다. 반면 낙론은 구성 주요 가문의 인물들이 대를 이어 심의초상을 제작하는 ‘가문중심의 초상제작’ 양상을 보인다. 낙론은 충청지역의 향사로 남은 호론과 달리, 정조년간 이후 대부분 경화사족화 되어 대를 이어 조정에 종사하면서 일부 가문의 경우는 외척․벌열이 되었다. 낙론의 심의초상은 당시 노론의 주도 가문이었던 안동김문과 전주이문을 중심으로 나타난다. 이들 낙론 초상들은 노론의 심의제도를 고스란히 따르면서도 주자의 服儀가 어긋나지 않는 선에서 도상의 일부를 변용하였다. 기호남인은 古典에 대한 고증을 우선하였고, 이에 따라 『예기』에 대한 독자적인 해석을 통해 ‘방령심의’를 초상의 도상으로 정착시켰다. 다만 심의론의 비판적 수용과정을 통해 일률적이지 않은 다양하고 개성적인 방령심의도상이 초상에 적용되었다. 이러한 양상은 18세기 이후 이익이래의 기호남인의 학통이 성립되면서 활발히 이루어졌다. 1788년에 그려진 李森煥의 초상과 1873년에 그려진 許傳의 초상은 각각 자신의 심의설을 바탕으로 초상을 제작하여 方領의 공통점 외에는 많은 세부적 표현을 달리하였다. 이것은 노론의 심의도상이 전승을 목적으로 한 것에 비해, 남인은 실질적 심의제도 고증이란 목표가 있었기 때문이다.

      • 비전형적 급성관상동맥증후군 환자의 응급관리 초기 선별인자 분석

        심재란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1887

        본 연구는 급성관상동맥증후군의 비전형적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의 특성을 파악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진단 및 치료를 위한 초기사정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흉통을 호소하지 않는 비전형적 급성관상동맥증후군 환자의 초기 선별인자 도출을 위한 방법론적 연구로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쳤다.첫째, 문헌고찰을 통해 초기 선별인자를 도출하였다.둘째, 문헌에서 도출된 초기 선별인자를 확인하기 위하여 2006년 1월 1일부터 1 월 31일까지 A 병원 응급실을 내원한 100명의 비전형적 급성관상동맥증후 군 환자와 146명의 전형적 급성관상동맥증후군 환자의 임상기록지를 분 석하였다.셋째, 확정된 비전형적 급성관상동맥증후군의 초기 선별인자의 임상타당도를 검 증하기 위해 비전형적 급성관상동맥증후군환자의 주증상 중 가장 많은 부 분을 차지하는 것이 호흡곤란으로 판명되어 2007년 1월1일부터 1월 31일 까지 호흡곤란을 주호소로 A 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135명의 임상기록 지를 바탕으로 급성관상동맥증후군으로 진단받은 환자와 급성관상동맥증 후군으로 진단받지 않은 환자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이상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았다.1. 문헌고찰을 통해 도출한 비전형적 급성관상동맥증후군의 초기 선별인자는 성 별의 경우 여자, 연령은 65세 이상, 호소증상은 호흡곤란, 높은 수축기 혈압 과 빠른 맥박, 심질환의 과거력과 가족력이었다.2. 문헌고찰을 통해 확정된 비전형적 급성관상동맥증후군의 초기 선별인자를 중 심으로 임상기록지 분석을 통해 확인된 비전형적 급성관상동맥증후군의 초 기 선별인자는 호흡곤란의 주증상, 여성, 65세 이상, 빠른 호흡, 고혈압, 심장 질환의 과거력과 가족력이었다.3. 초기 선별인자의 임상 타당도 검증을 위해 주증상이 호흡곤란으로 내원한 환 자 중 급성관상동맥증후군으로 진단받은 환자의 임상기록지 분석을 통해 확 정된 초기 선별인자는 여성, 65세 이상, 고혈압의 기왕력, 심장질환의 과거력 과 가족력, 흡연력이었다.결론적으로 흉통 이외의 다른 증상을 주소로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들 중 호 흡곤란이 주호소이고 65세 이상 여성, 고혈압의 기왕력, 심질환의 과거력과 가족 력, 흡연력 같은 위험인자들이 있을 경우 급성관상동맥증후군 가능성이 높으므로 초기부터 이에 대한 응급실 간호사의 면밀한 사정이 필요하겠다.

      • 여말선초 理學의 분화양상과 道統論

        예인 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 2017 국내석사

        RANK : 1871

        Chosŏn was a state established by taking the "learning of principle" (K. ihak 理學 C. lixue) as its ruling ideology. Scholars have named the Confucianism of the late Koryŏ and early Chosŏn mostly the “learning of nature and principle of Master Zhu” (K. Chujasŏngnihak 朱子性理學 C. Zhuzixinglixue), but there are some aspects which make it difficult to consider the Confucianism, coming from Yuan dynasty, as the learning of nature and principle of Master Zhu. It is because there were constant tendencies among the Confucian scholars of Koryŏ to subsume Lu Jiu-yuan's “the learning of the heart-mind” (K. simhak 心學 C. xinxue) as well as Zhu Xi's learning of principle, or learning of nature and principle. Furthermore, the argument that the Confucianism at that time should be called the learning of principle rather than the learning of nature and principle is supported by the fact that the name of an agency for propagating in earnest the Confucianism was the Directorate for Learning of Principle 理學都監. The learning of principle was also called the "learning of the Way" (K. Tohak 道學 C. daoxue). While the learning of principle is a value neutral concept used to explain all things by the principle, the learning of the Way is a concept that contains the logic of regarding Buddhism and Taoism as heterodox teachings along with the strong sense of the lineage of the Way. Accordingly, in order to clarify the orthodox line of transmission of the Way,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arning of the Way should be investigated. The learning of the Way of Chosŏn has been mostly used as a term merely referring to the learning and thoughts of the Confucian scholars, including Kim Gwing-pil and Cho Kwang-jo, in the sixteenth century. As the learning of the Way, however, was introduced during the late Koryŏ period, the usages of the term were found and moreover, its characteristics changed over a period of time. In the late fourteenth century the learning of the Way was used as a term indicating Cheng-Zhu learning from the Yuan dynasty or the learning of the principle itself. In the fifteenth century, the usage of the learning of the Way appeared as a concept mainly indicating the explication of the classics in contrast to the literary composition. The learning of the Way based on classical studies played a role as statecraft learning or ideology for rulers as well as literati. However, as hegemonic rulers like King Sejo or Prince Yŏnsan and corrupt political forces like old meritorious elites emerged, it came to be difficult to rectify the society only with the learning of the Way valuing the classical studies based on the explication of the classics. So, from the late fifteenth century, the learning of the Way related to meanings and principles (ŭiri 義理), focusing on practicality, was advocated while the learning attitudes of cultivating one's person, such as controlling the mind, nourishing inner nature, and abiding in reverence, were greatly encouraged. In the sixteenth century the learning of the Way went beyond the practical "study of meanings and principles" (ŭirihak 義理學) and was extended to the learning of the heart-mind (K. simhak 心學 C. xinxue), which was concerned with the cultivation of mind. Except for the break due to the different political stance, the master-disciple relationship in the learning of the principle continued until the early Chosŏn period from the late Koryŏ period, which became the foundation of the lineage of the Way. So far, according to the moral purist viewpoint of the lineage of the Way in the sixteenth century, the learning of the principle of Chosŏn has been understood through the lineage of scholars from Chŏng Mong-ju, Kil Jae, Kim Suk-ja, Kim Jong-jik, Kim Gwing-pil, and to Cho Kwang-jo. But the viewpoint of the orthodox lineage of the Way in the sixteenth century was a political product made by rural Neo-Confucian school, which might have had a problem of oversimplifying the diversity of the learning of the principle. Indeed, the prominent Confucian scholars of the time, such as Chŏng Mong-ju, Chŏng To-jŏn, Yi Sung-in, and Kwŏn Kŭn, who led the learning of the principle in the late Koryŏ and early Chosŏn, were Yi Saek's disciples. Therefore, Yi Saek cannot be removed from the lineage of the learning of the principle. Kwŏn Kŭn, a student of Yi Saek, also fostered a host of disciples pursuing the learning of the principle by means of marriage ties with the prestigious families of the time. Kwŏn Kŭn's scholarship was consecutively transmitted to Yu Pang-sŏn, Sŏ Kŏ-jŏng, Cho Wi, and Pyo Yŏ-mal on the one hand, and it was also passed down to Kim Pan, Yi Kwan-ŭi, and Chŏng Yŏ-chang on the other hand. Here at this point it is evident that Kim Jong-jik's disciples, such as Cho Wi, Pyo Yŏ-mal, and Chŏng Yŏ-chang, were also academically influenced by Kwŏn Kŭn. Likewise, the transmission of the learning of principle in the late Koryŏ and early Chosŏn was continued through the master-disciple relationship among the men from both the so-called "government-operated" school and the rural Neo-Confucian school. Among the scholars pursuing the learning of the principle in the late Koryŏ and early Chosŏn it was Yi Saek who was aware of the orthodox lineage of the Way. Yi Saek put an emphasis on the transmission of the Way from China to Koryŏ by tracing the orthodox line of the Way from Xu Heng to himself. Since Yi Saek, no attempt has been made to build the lineage of the learning of the Way by the same means that he introduced the orthodox line of the Way from China. The arguments on the orthodox lineage of the Way in Chosŏn a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the argument on the shrine service to Chinese Confucian scholars, on the shrine service to Korean Confucian scholars, and on the Confucian scholars who were not served in the shrines. There is something remarkable in these arguments about the orthodox lineage of the Way, which is the fact that opinions on the orthodox lineage of the Way were swayed by the social value of the time, and so spirit tablets in shrines were incessantly replaced over and over. There is something remarkable in these arguments about the orthodox lineage of the Way. The fact that opinions on the orthodox lineage of the Way were swayed by the social value of the time resulted in the incessant replacement of spirit tablets in the shrines. Arguments on the lineage of the Way in the late Koryŏ and early Chosŏn are characterized by the argument on the orthodox lineage of rulers and that of Confucian scholars. The argument on the orthodox lineage of rulers was an attempt to reestablish the royal lineage by the kings of Chosŏn, which was a state of the learning of the Way. This royal lineage was considered to have ceased since Emperor Wu of the Zhou dynasty. This is quite noticeable in the idea proposed by Chŏng To-jŏn who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establishment of the Chosŏn dynasty. The argument on the orthodox lineage of Confucian scholars was the assertion that, after Confucius, the Way passed down to the Chinese literati was again transmitted to the Confucian scholars of Chosŏn. The argument is subdivided into the officially recognized form of shrine service and the form of the orthodox lineage of the Way approved by the Confucian scholars. The orthodox lineage from Yi Che-hyŏn through Yi Saek to Kwŏn Kŭn was mainly accepted by the literati up to the fifteenth century. All of them, however, were removed from the orthodox lineage after the sixteenth century by reason of either inclination to Buddhism or lack of fidelity. In reality, in the late Koryŏ and early Chosŏn there were various arguments about the orthodox lineage based on transmission of scholarship. The first of them was the lineage of the Way from Yi Che-hyŏn through Yi Saek to Kwŏn Kŭn. The second was the lineage from Yi Saek through Chŏng To-jŏn to Kwŏn Kŭn. The third was the lineage from Yi Saek through Kwŏn Kŭn to Kil Jae. The fourth was the lineage from Chŏng Mong-ju, Cho Yong, Yun Sang, Kim Suk-ja, to Kim Jong-jik. The last was the lineage from Chŏng Mong-ju, Kil Jae, Kim Suk-ja, Kim Jong-jik, Kim Gwing-pil, Chŏng Pung to Pak Yŏng. In conclusion, as for the argument on the orthodox lineage in the late Koryŏ and early Chosŏn, there were various lineages of the Way, regardless of the orthodox lineage made by rural Neo-Confucian literati after the middle of the sixteenth century. 조선은 理學을 지배이념으로 하여 성립된 나라이다. 그동안 연구자들은 여말선초의 유학을 주로 ‘朱子性理學’이라고 명명해 왔지만, 고려 말 元에서 도입된 유학은 실제로 朱子性理學이라고만 말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朱熹의 理學(性理學)뿐만 아니라 陸九淵의 心學을 아우른 理學의 경향이 고려의 유학자들 사이에 일정하게 존재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더욱이 공민왕 때 유학을 본격적으로 보급하기 위해 설치한 기구의 명칭이 理學都監이었던 사실도 그 당시의 유학을 성리학이라고 하기 보다 이학이라 부르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는 점을 뒷받침한다. 이학은 道學으로도 불렸다. 이학이 만물을 理로 설명하는 가치중립적인 개념이라면, 도학은 강력한 道統의식과 함께 불교·도교에 대한 闢異端의 논리를 내재한 개념이다. 따라서 도통을 밝히기 위해서는 도학의 성격이 규명되어야 한다. 그동안 조선의 도학은 주로 김굉필과 조광조를 비롯한 유학자들의 학문과 사상을 지칭하는 용어로만 강조되어 왔다. 하지만 도학은 이미 고려 말 이학이 도입되면서부터 그 용례가 발견될 뿐 아니라 시기별로 그 성격을 조금씩 달리하였다. 14세기 말 도학은 당시 원나라에서 도입된 程朱學 내지 이학 자체를 뜻하는 용어로 쓰였다. 15세기 도학의 용례는 주로 詞章에 대비된 講經을 뜻하는 개념으로 등장한다. 經學에 기초한 도학은 사대부뿐만 아니라 군주를 위한 학문과 사상으로서 治道學 내지 經世學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그런데 세조나 연산군과 같은 覇道的 군주와 부패한 정치세력이 부상하자, 강경을 통한 경학을 강조하는 도학만으로는 사회를 바로 잡기 어려워졌다. 이에 15세기 말부터 실천을 강조하는 義理的 도학이 주장되는가 하면, 治心·養性·居敬과 같은 수신의 학문 태도가 크게 권장되었다. 16세기 도학이 실천적 義理學을 넘어 마음을 닦는 心學으로 확대된 것이다. 도통의 근간이 된 이학의 사승관계는 정치적 입장의 차이로 갈라선 것을 제외하면, 고려 말 이후 조선 초기까지 거의 그대로 이어졌다. 그동안 조선의 이학은 16세기 節義的 도통론의 관점에 따라 鄭夢周-吉再-金叔滋-金宗直-金宏弼-趙光祖로 이어지는 계보로 파악되어 왔다. 하지만 16세기 도통론은 士林派에 의해 정리된 정치적 결과물로서 이 시기 이학 계보의 다양성을 지나치게 단순화시킬 우려가 있다. 실제로 여말선초 이학을 주도한 鄭夢周, 鄭道傳, 李崇仁, 權近과 같은 당대 巨儒들은 李穡의 문하에서 배출되었다. 따라서 이색을 여말선초 이학의 계보에서 빼놓을 수 없다. 이색의 문인인 권근 역시 당대 명문가와 혼인관계를 맺어 수많은 이학자들을 길러냈다. 권근의 학문은 柳方善-徐居正-曺偉·表沿沫로 이어지는가 하면, 金泮-李寬義-鄭汝昌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여기서 김종직의 문인인 조위, 표연말, 정여창 등이 모두 권근에게 학문적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여말선초 이학의 수수과정은 소위 官學派와 사림파 인물들의 사승관계를 통해 꾸준히 지속되어 왔다. 여말선초 이학자 가운데 가장 먼저 도통의식을 지녔던 인물은 이색이다. 이색은 원나라 許衡에서 자기에게로 이어지는 도통을 정리함으로써, 중국의 도통이 고려로 이어지고 있음을 강조하였다. 하지만 이색 이후 중국의 도통을 끌어와 도학의 계보를 연결하는 모습은 나타나지 않는다. 조선의 도통론은 크게 세 가지로 분류된다. 첫째, 중국의 선유들에 대한 文廟從祀 논의, 둘째, 조선 유자들에 대한 문묘종사 논의, 셋째, 문묘에 종사되지 않은 유자들의 도통 논의가 그것이다. 이러한 도통론에서 두드러진 점은 당대 사회의 가치에 따라 도통론이 좌우되어 문묘 종사의 대상들이 끊임없이 入享과 黜享을 거듭했다는 사실이다. 여말선초의 도통론은 君主道統論과 儒者道統論으로 특징지어진다. 군주도통론은 周나라 武王 이후 끊어졌던 王統을 이학의 나라인 조선의 국왕에 의해 다시 세우고자 한 도통론이다. 이는 조선 건국을 주도한 정도전에게 뚜렷이 나타난다. 유자도통론은 공자 이후 사대부의 영역으로 내려온 도학의 전수가 조선의 유자들에 의해 이어지는 도통론이다. 유자도통론은 문묘종사를 통해 공인되는 형태와 유자들 사이에 존재한 도통의식의 형태로 구분된다. 15세기까지 유자도통론은 이제현에서 이색을 거쳐 권근으로 이어지는 도통론이 주류를 이루었다. 그러나 불교에 기울거나 절의에 문제가 있다는 이유로 이들은 16세기 이후에는 모두 도통에서 제외되었다. 실제로 여말선초에는 학문의 전수를 바탕으로 한 다양한 도통론이 존재하였다. 첫째, 이제현-이색-권근으로 이어지는 도통이다. 둘째, 이색-정도전-권근으로 이어지는 도통이다. 셋째, 이색-권근-길재로 이어지는 도통이다. 넷째, 정몽주-조용-윤상-김숙자-김종직으로 이어지는 도통이다. 다섯째, 정몽주-길재-김숙자-김종직-김굉필-정붕-박영으로 이어지는 도통이다. 결국 여말선초 도통론은 16세기 중반 이후 士林勢力에 의해 정해진 도통과는 별개로 다양한 도통의 계보가 존재했다.

      • 근감소형 비만과 심혈관계 질환 위험인자들과의 연관성

        희원 부산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1871

        연구 배경: 근감소형 비만이란 체지방의 증가와 근육량의 감소가 함께 동반된 체구성의 변화를 말한다. 하지만 아직 권고되는 근감소형 비만의 표준 진단방법이 없고 근감소형 비만의 진단 기준에 따라 심혈관계 질환 발생에 대해 각기 다른 연구결과를 나타내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저자는 근감소형 비만의 임상적인 정의방법 몇 가지를 통해, 노인의 삶의 질과 사망률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심혈관계 질환의 발생위험을 높이는 관련인자들과의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 2007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부산의 일개 대학병원 건강검진센터를 방문한 수진자 중 공복혈당이 99mg/dl 이하인 1009명을 최종 연구대상자로 하였다. 근감소형 비만은 Janssen et al.과 Stephen등이 제시한 방법들 중 4가지를 사용하여 근감소형 비만의 유무를 분석하고 각각 대사적 위험인자들과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결 과: 대사적 위험요소와 연관이 있는 나이와 성별, 생활습관인자를 보정한 후근감소형 비만1,2 와 4에서 성별, 나이, 흡연상태, 음주량, 운동량을 보정하고 logistic regression으로 분석한 결과 수축기혈압, 이완기 혈압, 인슐린 저항성에 대한 근감소형 비만의 odds ratio (95% CI, p-value)가 2배 이상이었다. hs-CRP는 수치를 사분위로 나누어 보았을 때 hs-CRP가 높아짐에 따라 근감소형 비만1과 3의 odds ratio (95% CI, p-value)가 증가하였다. 결 론: 본 연구의 결과 근감소형 비만은 대사적 위험요소들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근감소형 비만의 분류방법에 따라 다양한 연관성을 보였다.

      • 헤파린 처리된 개에서 급성 폐동맥 고혈압이 프로타민의 혈압하강작용에 미치는 영향

        승진 전남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1855

        연구배경: 프로타민은 헤파린의 항 응고효과를 중화시키기 위하여 임상에서 흔히 사용되는 약제이나 정맥 주사시 때로 심한 저혈압을 동반하게 된다. 그 원인은 확실히 밝혀진 바 없지만 많은 연구 (양/ 돼지)에서 헤파린-프로타민 상호작용으로 유리된 prostanoids의 폐혈관 수축 (폐동맥 고혈압) 효과에 의한 순환부전일 것으로 제안된 바 있다. 저자는 개의 개흉모델을 이용하여 헤파린의 항 응고목적으로 투여된 프로타민의 혈역학 효과를 관찰하고, 폐동맥압 증가가 프로타민의 혈압하강과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개 19마리를 할로탄 마취하에 개흉하여 실험에 필요한 기구를 삽입하였다. 모든 실험동물은 헤파린 300 IU·kg^-1 정주 5분후 프로타민 3 mg·kg^-1을 30초 내에 우심방으로 투여하여 후향적으로 최대 폐동맥압 상승이 6 mmHg 이상인군 (폐동맥 고혈압군)과 미만인군 (대조군)으로 나누어 혈역학적 변화를 비교 관찰하였다. 이때 측정되는 혈역학변수는 심박출량, 평균 동맥압, 평균폐동맥압, 좌심실압 (이완기말압), 심박수 및 좌회선관동맥 혈류량으로 20 분간 시행하였다. 이들로부터 심장지수, 전신 및 폐혈관저항지수 및 좌심실압 상승률을 산출하였다. 결과: 프로타민 급속 투여 후 평균폐동맥압과 폐혈관 저항지수 증가는 폐동맥 고혈압군에서 현저히 높았다. 그러나 프로타민은 양군 모두에서 유사한 정도의 즉각적이고 일시적인 평균동맥압 (-40∼46%), 심장지수 (-59∼60%), 좌심실 이완기말압 (-47∼53%) 및 좌심실 압상승률 (-20∼25%)의 감소를 가져왔다. 전신혈관 저항지수는 양군 모두에서 프로타민 투여직후 일시적으로 감소된 후 증가하였으나 폐동맥 고혈압군에서 그 증가정도가 높았으며, 심박수는 변화가 없었다. 프로타민 투여 후 폐동맥압 상승정도와 평균동맥압 하강과는 각각의 반응이 최대일 때 서로 무관하였다. 아울러 양군모두에서 관동맥 혈류량은 프로타민 투여 직후 (40-90초) 현저히 증가하였으나 폐동맥 고혈압군에서 높았다 (183 vs. 238%). 결론: 이상의 실험성적은 개 모형에서 헤파린 투여 후 빠른속도의 프로타민 투여는 현저한 혈역학 억제작용을 일으키나 모든 실험동물에서 폐동맥압 상승을 일으키지는 않으며, 이때 동반된 폐동맥압 상승은 프로타민에 의한 혈압하강과 무관함을 시사하였다. Introduction: It has been suggested that protamine administration produces systemic hypotension secondary to acute pulmonary vasoconstriction and subsequent right heart failure. The present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hemodynamic effects ofs protamine and to determine whether the increases of pulmonary arterial pressure after protamine is related to development of systemic hypotension in heparinized dogs. Methods: After approval by the Animal Welfare Committee, nineteen mongrel dogs were acutely instrumented during 1.5% halothane anesthesia. All dogs were then received protamine 3mg·kg^-1 over a period of 30 s given through right atrium 5 minutes after heparin (300 IU·kg^-1, iv). Mean arterial pressure (MAP), mean pulmonary arterial pressure (MPAP), left ventricular end-diastolic pressure (LVEDP), heart rate (HR), and cardiac output and left circumflex coronary flow (LCX flow) via Doppler flowmeter were continuously recorded in baseline conditions and up to 20 minutes. Calculated parameters included cardiac index (CI), systemic and pulmonary vascular resistance indices (SVRI and PVRI), and LVdP/dt. Animals were retrospectively assigned into two groups, control (<6 mmHg, n=9) and pulmonary hypertensive (PHT, ≥6 mmHg, n=10) groups according to the degree of elevation of MPAP. Changes in MPAP were related to changes in MAP using standard regression analysis. Results: MPAP and PVRI increased more markedly immediately after protamine administration in PHT group than in control group. However, protamine caused similar reductions of MAP, CI, LVdP/dt, and LVEDP in both groups. SVRI decreased initially but increased thereafter in both groups, although it increased higher in PHT group than in control group. No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magnitude of increase of MPAP and decrease of MAP in both groups. LCX flow increased significantly (183-238%) immediately after protamine in both groups.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heparinized dogs, protamine produces transient severe hypotension but does not consistently elevate pulmonary arterial pressure and, that acute pulmonary vasoconstriction does not play a major role in protamine-induced hypotension.

      • 심부전 환자의 자가간호 증진을 위한 심장일지의 개발 및 효과

        심재란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1855

        Heart failure is a disease that is increasing in prevalence and has a high rate of hospital readmission and mortality; therefore, the requirement of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s is critical. This includes the necessity to emphasize patients’active participation as a continuous behavior. This study developed a heart health diary that enhanced patients’ ability to utilize self-care, using a randomized control-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o validate its effect. The participants were observed as follow-up outpatients. A survey used by previous studies, a literature review, and an assessment of the patients’ needs made up the contents of the heart health diary used in this study. The diary was modified through the content and face validity verification process of experts of heart failure. After the preliminary investigation stage of the application with 3 patients, we developed a final heart diary. Patients were instructed to set goals every two weeks in their diaries and they stated whether they achieved each goal voluntarily. The experimental group comprised 28 participants and the control group comprised 33 participants from February 2016 in 4 randomly assigned blocks.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provided with the heart health diary and individualized education about heart failure for approximately 30 minutes. In addition, participants were instructed to use a mobile phone to create a heart health diary every two weeks to analyze the log to be sent to researchers. The control group received individualized education using a leaflet furnished in hospital outpatient departments. Before intervention, exercise and diet-related self-efficacy, self-care adherence, and physical function were measured. The effects of the heart health diary were measured 8-weeks after the intervention.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WIN 21.0 program. Participants’ socio-demographic and disease-related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a homogeneity test. A hypothesis verification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as analyzed by a chi-square test and a t-test. High-fidelity recording items revealed that ankle swelling (98.3%), taking medication (96.8%), and weight measurement (96.0%) were areas of concern. Items that showed the lowest degree of execution were regular exercise and a low-salt diet. Eight weeks after the nursing intervention, exercise-related self-efficacy(t=-3.44, p=.001) and self-care adherence(t=-2.48, p=.016)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patients’self-care. The application of a patient-directed heart health diary was confirmed as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improving heart failure patients’ self-efficacy and self-care adherence. Therefore, this study’s results should be utilized as part of the intervention towards symptom recognition and self-care promotion of heart failure patients in clinical practice. In the future, long-term follow-up observations are needed to determine the clinical outcome of such an objective measure of physiological indicators, mortality, and readmission. Key words:heart failure, heart health diary, self-care efficacy, self-care.

      • 공간디자인에서 디지털 스토리텔링 연구

        심재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1855

        컴퓨터와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과 인터넷의 확산속도 증가로 인한 정보혁명은 우리 사회의 거의 모든 방면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왔다. 또한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발전으로 기존의 추상적인 것들이 구체적으로 체험 가능한 것으로 변화하고 이를 통해 인간의 경험의 폭이 확장되고 있다. 공간디자인에 있어서도 정보화 사회의 등장은 무시할 수 없는 현상으로 본 연구는 글쓰기라고 하는 창작 작업의 변화가 공간디자인 작업에도 유사하게 나타난다는 전제를 바탕으로 정보화 시대에 부합하는 공간디자인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인문학과의 연결 관계 내에서 발견하는 것을 목적으로 다음과 같은 세부적인 목표를 달성하고자 한다. 첫째, 인문학적인 관점에서 글쓰기의 발전과정을 고찰하고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등장 배경에 대해 살펴본다. 둘째, 공간디자인 분야에서 정보화 사회의 특징이 반영된 제반 디자인 경향을 수집하고 이들의 공간디자인 특성을 추출하여 그 변화 양상을 분석한다. 셋째, 위에서 추출된 공간디자인 변화양상 및 디자인 특성을 스토리텔링의 특징과 비교하여 분석한다. 먼저 인문학적 문헌고찰을 통해 스토리텔링의 속성을 도출하여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정보화 사회의 특징과 연관지어 비교하는 작업을 하였는데 스토리텔링은 풍부한 표현 수단, 비선형성, 상호작용성의 세 가지 속성을 갖는다. 이를 바탕으로 정보화 시대 공간디자인을 디지털 도구를 이용한 공간 형태 탐구, 디지털 도구를 이용한 협업설계, 지능화된 공간 디자인, 상호작용적인 공간 디자인, 가상공간 디자인, 정보 공간 디자인, 풍요롭고 개인화된 공간 디자인의 7가지 경향으로 분류하여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관점에서 분석한 결과 디자인 형태적 특성과 개념적 특성 모두에서 디지털 스토리텔링과의 연관성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분석 과정을 통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인문학적인 문헌고찰을 인간의 사고과정을 표현하고 지식을 저장 및 전달하는 미디어로써 글쓰기가 보다 자유롭고 비선형적인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고 이는 정보화 시대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가속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스토리텔링을 최근의 문화적 주류 현상으로 파악하고 여기에 정보화 사회의 속성과 결합시켜 디지털 스토리텔링으로 재정의하고 인문학과 공간디자인 분야에서 면면히 흐르는 맥이 상이한 것이 아님을 밝힘으로써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셋째, 정보화 사회의 공간디자인 사례를 수집하고 그 변화 양상을 7가지 특성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이는 기존의 연구가 공간의 형태적인 특성에 머무른 것과는 달리 기술력이 도입된 사례에서부터 가상환경이라는 미디어에 의한 가상공간, 공간디자인 이론 및 패러다임의 변화에 이르기까지 총체적인 공간디자인의 변화를 정리함으로써 향후 발전방향을 예측하는 기초 자료로써 가치를 가진다. 넷째, 공간디자인 변화 양상을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특성과 연결시켜 분석함으로써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정보화 사회 공간디자인 패러다임으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작업은 기존의 연구와는 새로운 시각으로써 공간디자인의 이론적 토대를 넓히는 출발점이 될 것이다. 그러나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는 정보화 시대에서 디지털 스토리텔링이 공간 디자인 패러다임으로 확립되기 위해서는 꾸준한 사례수집과 분석을 통한 검증작업이 수반되어야 하며 이러한 연구가 이론에서 그치지 않고 향후 실제 디자이너의 작업에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Information-revolution, inspired by the advance in computer-communication technology and rapid distribution of Internet has brought about significant changes in various aspects of our society. The advance in digital technology has also made what was much more abstract in the past to something that can be specifically experienced and therefore has expanded the scope of human experience. The advent of an information oriented society has also brought about significant changes in spatial designs. Under the assumption that changes observed in creative work such as the process of writing can also be observed in the works of spatial design, this study intends to discover a new paradigm of spatial design in relation to humane studies, which is suitable for the emerging information oriented society. The specific goal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o review the developmental stages of writing from the view point of humane studies and to examine the background behind the advent of digital storytelling. Second, to collect various design trend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an information oriented society in the field of spatial design and to analyze the trend of alternations by extract their features. Finally, to compare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design's change of trends and designs to that of storytelling. First of all, the features of storytelling were extracted under the view point of humane studies and were compared with the features of information oriented society which were already presented by preceding studies. Storytelling had three basic characteristics; various methods of expression, nonlinear qualities and interactive qualities. Based on these results, the spatial designs of an information oriented society were classified in to 7 trends; spatial configuration designs using digital tools, collaborative designs based on digital tools, smart space designs, interactive space designs, virtual designs, information space designs and affluent and individualized space designs. By analyzing these 7 trends from the standing point of digital storytelling, a certain relationship between the configurative features and conceptual features of designs and digital storytelling was observed. With these analyzing processes the following have been concluded. First, by examining literatures on humane studies, it has been confirmed that writing as a media of storing and conveying human's process of thinking is developing freely in a nonlinear manner and this trend is accelerating with the advent of information oriented society's technology. Secondly, by understanding storytelling as a recent cultural mainstream, by bonding the traits of storytelling with that of an information oriented society to redefine the term as digital storytelling and by acknowledging the fact that there are numerous similarities between humanities and spatial design the potentials of digital storytelling have been ascertained. Thirdly, by collecting examples of spatial designs in the information oriented society and classifying the trends of changes in to 7 characteristics, the study may have a potential use of predicting the future trends of spatial designs. Whereas preceding studies were limited only to the configurational traits of space, this study has sorted various examples, ranging from examples where technology has been introduced, examples where virtual environment has been used as a media for virtual space, to examples that show changes of theory's in spatial designs and paradigm. With the classification of these overall changes in spacial design, this study may be used as a basic data for predicting future trends of spatial design. Lastly, by analyzing the trends of changes in spatial design in association with digital storytelling, the potentials of digital storytelling as a paradigm of information oriented society's spatial design has been proposed. This effort has started off by taking a different point of view from the other preceding studies, and therefore may serve as an opening of attempts to expand the theoretical groundworks of spatial design. However, to securely establish digital storytelling as a paradigm of spatial design in the rapidly changing information oriented society, endeavoring efforts in collecting examples and analytic verification works are essential for such studies to have them not end as a mere theory but as a practical field of application for a design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