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ODM 생산방식에서의 수요예측 및 생산계획에 관한 연구

        송정헌 한밭大學校 産業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업의 입장에서는 변화하는 고객의 수요에 적절히 대응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ODM(Original Development Manufacturing) 생산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생산 제조 기업에서는 시간에 따라 변화가 큰 고객의 요구량에 어떻게 대응하느냐가 기업 성패와 관련을 가질 정도의 핵심적인 문제라 할 수 있다. 따라서 ODM 생산 기업에서는 고객의 수요에 적절히 대응하면서 재고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최적 생산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당면 과제이며, 생산 계획을 최적화하기 위해서는 고객의 수요량을 정확히 예측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ODM 생산방식을 따르는 기업에 적합한 수요예측 방법과 이를 근거로 생산 능력 계획을 수립하는 방법을 사례기업의 경우를 통해 분석하고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ODM 생산방식의 특성을 반영하여 수요예측은 기본적으로 시계열 분석을 기반으로 하였고, 그 결과에 근거한 생산계획은 고객의 수요를 충족시키는 조건에서 불필요한 재고에 의한 비용, 재고 부족에 따르는 비용, 생산수준의 변동에 의해 유발되는 비용 등을 고려하였다. 연구 결과, 시계열 분석 기법에는 단순이동평균법으로부터 ARIMA(자기회귀통합) 모형까지 많은 기법들이 있으나, 예측 방법의 용이성, 예측결과의 정확성 등을 고려할 때, 적절한 가중치를 부여한 가중이동평균법, 상황에 따라 타당한 평활상수가 부여된 지수평활법, 추세가 조정된 지수평활법이 효과적인 수요예측 기법임을 보였다. 또한, 수요예측 결과를 근거로 수립되어야 하는 생산능력계획은 기본적으로 과잉생산에 의해 유발되는 재고 비용과 생산 수준의 변동에 의해 유발되는 생산수준 변동비용간의 trade-off에 의해 결정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생산 및 출하량이 고객의 수요에 종속적일 수밖에 없는 ODM 생산시스템에서 보다 정확한 고객 수요를 예측하고, 그에 근거하여 보다 효과적인 생산 계획을 수립하는데 기초적인 정보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s a business standpoint, it is very important to satisfy the customer demand which always vary with time. In particular, for many companies which have adopted the ODM(Original Development Manufacturing) production system, accurate forecasting the customer demand and optimal production capacity planning based on forecasting results are the key factors in business success. In this study we proposed the suitable method in demand forecast and capacity planning for ODM production system through the example model in case company A. In ODM system, the recommended models for demand forecast are basically driven from the time series analysis. Those models are weighted moving average method, exponential smoothing method and trend adjusted exponential smoothing method. And we suggest that production capacity planning should be established considering the trade-off between inventory cost resulted from surplus production and fluctuating cost resulted from production level variation. We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forecast the customer demand more accurately and establish the production level planning more effectively for the companies adopting the ODM production system.

      • KPP(FAR23급) 항공기의 주륜착륙장치 최적 설계 연구

        송정헌 경상대학교 산업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research, general overall design optimization process of main landing gear for FAR 23 class (General Aviation Class) has been treated. Main landing gears in general aviation class are simpler and easier for designing relatively than the larger aircraft classes. Most designs are based upon the very conventional guidelines and regulation. However, it is also true that design optimization process for the landing gear system affecting significantly to the overall aircraft performace and weight shall be treated if the aircraft aims to mass commercial sales. Representative landing gear types have been selected first by using qualitative methods as well as regarding marketing demands. Landing gears layout has been carefully investigated regarding C.G. locations, aircraft OML(Outer Mold Line), FAR23 regulations, and etc. External loads and the required parameters have been calculated based on FAR23 regulations and the design guide lines. RSM (Response Surface Method) is used for optimization tool finding the minimum main landing gear weight. It is the very general method to find the global optimum value within short time. ADAMS solution is used for landing gear dynamic analysis and simulation. It is able to predict the landing gear performances like as loads, deflections, velocities, and accelerations without actual drop tests and flight tests. For the objective function, main landing gear strut weight has been selected and constraint conditions are vertical, lateral, longitudinal loads, and vertical stroke on wheel center. The design variable is the root width of the main landing gear strut.

      •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차량용 주변조작 보조장치의 개발과 성능 평가 : 편마비 장애인 대상

        송정헌 대구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자가운전을 하고 있는 편마비 장애인이 스마트 디바이스로 개발된 주변조작 보조장치를 정차 및 도로 주행시 사용함으로써 기존 장치와 비교하여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온전한 주행이란 일차적 운전보조장치 작동뿐만 아니라 주변조작 보조장치도 함께 작동이 이루어져야 되는 것이다. 특히 주변조작 보조장치는 복잡한 도로환경에서 차량과 차량간의 의사소통에 해당하며, 이로 인해 외부적 요인으로 오는 위험을 예방할 수 있고, 운전자에게 쾌적한 운전환경을 제공한다. 하지만 비장애인의 주변조작 보조장치 사용을 분석해보면 장치에 대한 접근과 적응이 되어 있어 운전 중 사용에 문제가 되지 않지만, 장애인의 경우 신체적 기능 손상으로 인해 장치에 접근하고 작동하는데 불편함이 있다. 더욱이 운전 중 사용시 작동시간 증가로 인한 전방주시태만과 운전부하가 증가되어 운전수행능력에 저하가 올 수 있어 위험에 노출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 차량의 주변조작 보조장치와 개발한 스마트 디바이스(iPad2) 간의 사용시간 측정비교를 통해 기존 장치에 대한 접근성 및 작동방법을 보완하고, 사용시간을 단축하여 운전자의 안전성을 높이고자 한다. 시스템 구성은 기존의 주변조작 보조장치와 개발한 장치간의 성능비교를 위해 실차의 환경과 동일한 운전시뮬레이터를 사용하였으며, Apple社의 스마트 디바이스와 공유기, National Instruments Co의 입출력 시스템, 릴레이 스위치 등으로 하드웨어를 구축하였고, 운전 훈련프로그램 소프트웨어인 STISim Drive3와 Labview, Xcode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소프트웨어를 구축하였다. 정차시 기존 장치와 스마트 디바이스간 주변조작 보조장치 사용패턴 분석결과 비장애인 그룹은 두 장치를 사용함에 있어 불편함이 없었지만, 편마비 장애인 그룹의 경우 환측에 위치한 기존의 주변조작 보조장치의 경우 접근 및 작동에 있어서 불편함이 있었으나 스마트 디바이스를 사용시 불편함이 해소되었다. 작동시간 또한 기존 장치에 비해 1.8배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편마비 장애인의 경우 최대 62%의 작동시간 감소율을 보였다. 그리고 다변량 이원 분산 분석으로 대상자와 장치간 통계량을 검증한 결과 95% 신뢰수준에서 자동변속기와 경음기를 제외한 주변조작 보조장치에서 상호작용이 작동시간에 영향을 주었고(p<0.000), 대상자보다 장치에 더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로 주행시 성능평가 분석은 정차시 사용했던 방법에 주행평가와 차선유지분석을 추가하였다. 그 결과 정차시와 동일하게 스마트 디바이스의 사용이 접근시간 및 작동시간을 단축시켰으며, 기존 장치에 비해 작동시간이 1.6배 더 빨랐고, 주행평가시 스마트 디바이스가 기존 장치보다 더 안전하게 주행하였으며, 사고율도 69% 감소하였다. 그리고 차선유지 비교시 주행중 기존 장치를 사용할 때 전방주시가 힘들어 차선유지에 더 많은 영향을 주었고, 다변량 이원 분산 분석시 비상등과 경음기를 제외한 주변조작 보조장치에서 대상자와 장치의 상호작용이 작동시간에 영향을 주었고(p<0.000), 대상자보다 장치에 더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족도 조사에서 기존 장치의 사용만족도는 ‘보통’이었지만 스마트 디바이스 사용만족도는 ‘편안’으로 나와 실험에 참여한 모든 대상자가 스마트 디바이스 장치에 대해 더 만족감을 나타내었다. 이상 연구를 통해 편마비 장애인에게 적합한 주변조작 보조장치의 중요성과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한 성능 및 사용만족도를 확인하였다. 향후 스마트 디바이스를 다양한 장애유형에 맞게 최적화하며 실제 차량에서의 평가가 보완되어진다면, 장애인에게 적합하고 안전한 운전환경을 제공하게 됨으로써 장애인의 삶의 질이 크게 향상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secondary controls using smart device for the people with hemiplegic disabilities when the vehicle in the driving software was in motion and stationary condition. Secondary controls are used to communicate with other drivers in the complex road environment, to reduce the safety risks and provide comfortable driving environment to the drivers. Non-disabled people do not have problems for accessing and operating the secondary controls. However, the persons with physical disabilities might have a problem for using the secondary controls and their use while driving might increase distraction and workload because of longer operating time.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performance of smart device system as secondary controls with driving evaluation of devices and questionnaire. The hardware of smart secondary control system was composed of iPad, wireless router, digital input/output module and relay switch. We used the STISim Drive3 software for driving simulation and Labview and Xcode for control the secondary devices. When the driver was in the stationary condition, analysis of usage patterns in non-disabled people showed not uncomfortable to use, but people with hemiplegic disability does uncomfortable because secondary controls of paralysis side. But smart device have made they comfortable to use. The average operating time was 1.8 times faster than existing devices and was up to 62% reduction in operating time of turn signal in people with left hemiplegic disability. To examine group differences of different variables, a two-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was performed. Result showed that interaction of devices and groups influenced to secondary controls, but devices influenced to secondary controls more than groups. When the driver was driving in the simulator, the average operating time was 1.6 times faster than existing devices, as well as groups were up to 69% reduction in traffic accidents. The Result of ANOVA was the same as the foregoing. From the lane-keeping analysis, existing devices have influenced to lane-keeping more than smart device. Result of satisfaction survey showed that use of the existing device is 'normal', but smart devices is 'comfortable' with all the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We conclude from these results that the smart device was effective for taking control of secondary controls and if it had been applied in a real vehicle, people with hemiplegic disability could drive, meaning their quality of life would improve.

      • 태양광 모듈의 온도와 오염증가에 의한 복합효율감소에 관한 연구

        송정헌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thesis, studied about the effect of complex power output reduction by increasing temperature and pollutant through various experiments, so that could analyze the main reasons of power output reduction in operating photovoltaic system for improving efficiency. Four different experiments were performed, seems as mentioned below. First, checked power output changes by increasing temperature and pollutants of PV module through each experiment. And figured out complex power output changes by increasing temperature and pollutant together of PV module. Finally, verified attached pollutant characteristic as stacking on PV module surface using a scanning electon microscope. As a result of all experiments, first, power output decreased due to decreasing current as increasing pollutions, and then power output decreased due to decreasing voltage as increasing temperature of polluted PV module. Power output reduction due to the temperature and the pollutant is to act in combination, after the initial power output reduction by pollutants since there was confirmed that the temperature-dependent. Therefore, it seems to be desirable that spray water regularly to currently operating photovoltaic system for cleaning and cooling. Furthermore considering seasonal temperature and pollution characteristics, it is expected to pay more attention to avoid pollution in the spring and fall, and to prevent increasing temperature of PV module in summer. 전 세계적으로 화석연료 사용에 따른 환경오염 등으로 인한 지구온난화를 예방하기 위해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확대하고 있다. 특히, 태양이라는 무한한 재생에너지원을 활용하는 태양광발전은 관련기술 발달과 더불어 각국 정부의 보조를 통해 보급 확산이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우리나라도 2001년도부터 2011년도까지 497 ㎿ 규모의 태양광발전소가 설치되었으며, 2012년∼2013년 2년 동안 기존 10년 동안 설치된 용량보다 많은 572 ㎿ 규모의 태양광이 설치되는 등 보급 확산 속도가 급격히 빨라지고 있다. 태양광은 설치장소에 제한이 적으며 운영과 유지보수가 간편한 장점이 있으나, 타 신재생에너지원 대비 발전효율이 낮은 편으로 운영 중 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국내에 운영 중인 태양광발전소의 대부분은 결정질 실리콘 태양광 모듈을 사용하고 있으며, 실리콘 태양전지 특성 상 온도에 민감한 영향을 받는다. 보통 태양광 모듈 온도가 1℃ 상승 할 경우 0.5%의 출력 저하가 나타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또한, 태양광 모듈 표면의 오염에 의한 출력저하도 빈번히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태양광 모듈의 출력저하 원인을 면밀히 분석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태양광 모듈의 출력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실험을 통한 태양광 모듈의 온도와 오염에 의한 복합적인 출력저하 원인에 대해 고찰하였다.

      • 소상공인의 사업지속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사업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송정헌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Many studies about entrepreneurs have already been done from the perspecitve of the individual’s characteristics or competency, but not many studies have studied it from the market environment or business stress relationship perspective. Furthermore, business efficiency was the belief in one’s capabilities to achieve a certain level or outcome. In the context of entrepreneurship, business efficiency can be applied to business start-ups and business-growt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CEO's competency, market environment, and business stress on the business continuity intention, an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business efficiency. For this study, data was collected from 294 CEO by using questionnaires. The statistics analysis SPSS 24.0 was used, it is a factor analysis, reliability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hypothesis verification.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the CEO competency on business continuity intention, it was found that among the competency factors, job competency and digital competency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 effect on business continuity intention.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market environment on business continuity intention, it was found that among the market environment factors, market attractive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 effect on business continuity intention.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business stress on business continuity intention, it was found that compensation dissatisfaction and job stress among business stress had a significant negative (-) effect on business continuity intention. Fourth, the mediating effect of business efficienc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ket attractiveness → business efficiency → business continuation intention, dissatisfaction with compensation → business efficiency → business continuation inten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digital competency of small business owners is a necessary part in various areas such as product management, customer management, and inventory management. Therefore, the government needs education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industry by diagnosing the areas that digital competency is required for each business field of small business owners. In addition, business stress caused by dissatisfaction with compensation is directly related to the problem of actual survival as well as business continuity. The government is subsidizing the cost of living. From a long-term perspective, current support methods are limit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small business and to provide customized support for each life cycle. 소상공인은 국내에서 가장 많은 노동력을 흡수하는 기업 형태이며, 국가 경제에서 소상공인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크기 때문에 영세 기업의 위치는 중요하며, 전략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사업가에 대한 연구는 이미 개인의 특성이나 역량의 관점에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지만, 시장 환경 또는 사업스트레스 관점에서 사업가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많지 않다. 한편, 사업효능감은 원하는 특정 수준이나 결과를 달성할 수 있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으로 기업가정신의 관점에서 사업효능감은 창업과 비즈니스 성장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CEO의 역량, 시장 환경, 사업스트레스가 사업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며, 사업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294명의 소상공인으로부터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통계분석방법은 SPSS 24.0을 사용하였으며, 본 연구의 가설검증을 위한 요인분석, 신뢰도 검정 및 다중회귀분석, 소벨테스트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상공인의 역량이 사업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역량 요인 중 직무 역량과 디지털 역량이 사업지속의도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장 환경이 사업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시장 환경 중 시장매력도가 사업지속의도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업스트레스가 사업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사업스트레스 중 보상불만족과 직무스트레스가 사업지속의도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소상공인의 역량, 시장 환경, 사업스트레스와 사업지속의도와의 관계에서 사업효능감의 매개효과의 분석결과는 시장매력도 → 사업효능감 → 사업지속의도, 보상불만족 → 사업효능감 → 사업지속의도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소상공인의 디지털 역량은 제품관리, 고객관리, 재고관리 등 다양한 영역에서 필요한 부분이다. 그러므로 소상공인의 사업 분야별로 디지털 역량이 필요로 하는 분야를 진단하여 정부는 업종별 특성에 맞는 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보상불만족에 대한 사업스트레스는 사업지속유지뿐만 아니라 실질적인 생존의 문제와 직결된다. 정부는 생계비 지원을 하고 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현재의 지원 방식은 제한적이다. 그러므로 소상공인 업종별 특성을 파악하여 생애주기별 맞춤형 지원이 필요하다.

      • 장애인용 운전보조장치의 운전성능평가를 위한 DRSim(Driving Rehabilitation virtual reality Simulator)개발 및 적용

        송정헌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right to mobility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represents personal autonomy and independence. In particular, self-driving can lead to the right to pursue one’s happiness and self-determination. However, disabled driver's license currently holds only 0.46% of the total driver’s licenses, and the licensing rate is decreasing each year. The main cause of this phenomenon is the lack of driving-assistive devices and the difficulty of adapting the device to the disabilities indicated for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nd analyze the products(right-hand control, four types of left-hand control, and four types of steering-assistive devices) installed in the virtual reality driving simulator. In addition, on the basis of prior studies, DRSim ver.1 was developed for persons with upper extremity disabilities. The foot-steering device system (pedal and circular types) was developed in DRSim ver.1 and was evaluated. Finally, on the basis of DRSim ver.1, DRSim ver.2 for people with severe physical disabilities was developed. A mini-wheel steering system was developed as a driving assistive device, and its performance was evaluat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e driving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right-hand control and four types of left-hand controls were found to be dependent on the function of the subject’s upper extremity muscles, the braking reaction time, and the time for reaching target speed. In addition, if four types of steering-assistive devices could be applied according to the function of the hand, driving performance would confirm that driving training was more important. We compared the driving performance of the conventional steering wheel and foot-steering device (pedal and circular types) of DRSim ver.1. As a result, driving performance was significantly lower with the pedal-type foot steering and conventional steering wheel than with the circular-type foot steering. However, when the steering ratio of the mini-wheel steering system was further reduced, the operation stability decreased. Finally, we compared the driving performance of three steering ratios of the mini-wheel steering system in DRSim ver.2. As a result, we confirmed that 1:1 is the best steering wheel ratio by reducing the steering ratio of the mini wheel steering system. However, when the steering ratio of the mini-wheel steering system was further reduced, the operation stability decreased.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evaluation and analysis of the driving performance of driving assistive devices such as the steering and acceleration/deceleration allowed the target person with various physical disabilities to receive driving service with improv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levels. It will play a key role in enhancing the quality of life by improving the rate of obtaining a driver’s license and securing safe mobility in the community. 장애인에게 있어 이동권이란 자율성과 독립성을 상징할 수 있다고 말할 수 있으며, 특히 자가운전은 행복추구권과 자기결정권으로 이어질 수 있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 장애인 운전면허 보유율은 전체 운전면허 소지자의 0.46%만 면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배출률도 매년 감소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문제의 가장 큰 원인은 운전면허시험장을 비롯한 교육기관에 다양한 운전보조장치가 부족하며, 대상자의 장애 특성에 맞는 장치의 전문적인 적용과 교육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기존에 판매 및 사용되고 있는 하지 장애인을 위한 운전보조장치(우측핸드컨트롤, 좌측핸드컨트롤 4종류, 선회보조장치 4종류)를 VR 드라이빙 시뮬레이터에 설치하여 장치를 작동할 때 대상자의 특성과 장치의 운전성능을 평가 및 분석하였다. 그리고 선행된 연구를 기반으로 양상지 장애인을 위한 DRSim ver.1을 개발하였고, 이 시스템 안에 족동 조향장치(페달형, 원판형)를 개발 및 설치하여 운전성능평가 및 분석을 진행하였다. 또한 DRSim ver.1을 기반으로 하여 중증 장애인을 위한 DRSim ver.2를 추가적으로 개발하였고, 중증 장애인이 사용할 수 있는 미니 휠 조향장치도 함께 개발 및 설치하여 운전성능평가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하지 장애인을 위한 좌측 및 우측핸드컨트롤의 운전성능평가와 좌측핸드컨트롤 4종류의 운전성능평가를 실험한 결과 대상자의 상지근육의 작용에 따른 장치간 차이가 나타났으며, 제동반응시간 및 지정속도 도달시간에도 장치간 성능차이가 나타나 대상자 근육의 작용과 장치의 운전성능에 따라 적합한 운전보조장치를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선회보조장치 4종류의 운전성능평가 결과 대상자 손의 기능에 맞는 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면, 운전 숙련도에 따라 조향성능에 차이가 나타나 장치간의 차이보다 장치를 적용한 대상자의 조향과 관련된 운전훈련이 더 중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양상지 장애인을 위해 개발한 DRSim ver.1의 운전보조장치인 족동 조향장치 2종류의 조향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기존의 핸들과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페달형 족동 조향장치는 기존 핸들의 조향성능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페달형 족동 조향장치와 기존 핸들이 원판형 족동 조향장치보다 조향성능이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중증 장애인을 위해 개발한 DRSim ver.2의 운전보조장치인 미니 휠 조향장치의 운전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3가지 조향비를 개발하여 조향비에 따른 운전성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기존의 조향비보다 미니 휠 조향장치의 조향비를 줄여 개발한 미니 휠 조향 1바퀴 대 기존 핸들 1바퀴 비율의 조향성능이 가장 좋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추가적으로 미니 휠 조향장치의 조향비를 더 낮출 경우 운전의 안정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에 판매되는 제품과 개발한 DRSim ver.1과 DRSim ver.2를 작동할 때 대상자의 작동 특성과 운전보조장치의 운전성능평가를 분석한 연구로, 대상자 장애 특성에 따른 운전보조장치 개발과 적용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추후 조향과 가감속의 상호작용 등의 운전성능을 평가하고 분석을 한다면 다양한 장애특성을 가진 대상자가 양적, 질적 수준이 향상된 운전 서비스를 받을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서비스를 통해 장애인의 운전면허 취득률 향상 및 지역사회에서 안전한 이동권 확보로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이다.

      • 陶淵明與李穡詩之比較硏究 : 以隱逸思想爲中心

        송정헌 國立臺灣師範大學 國文硏究所 1985 해외박사

        RANK : 247631

        고려말 사대부들의 귀전은일사상의 연원을 탐색한 결과 은일문학의 비조인 진( )의 도연명의 영향이 지대하였다. 특히 이색의 시는 도연명과 깊은 관계가 있음이 밝혀져 비교문학적 연구방법을 원용하여 본 논제를 고구하였다. 그 결과는 자연 영향의 수수 관계가 핵심이 될 수 밖에 없다. 즉 한국 한문학을 중국문학의 영향을 받은 것은 주지 의 사실이나, 특히 이색이 도연명의 인격, 사상 내지는 제재방면에서 어떠한 영향을 받았는가를 구명코자 하였다. 논지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도연명 시문의 전입시 대 및 과정 도시의 전입년대는 7C이전의 일로 사료되며, 전입과정을 사신, 승려, 유학 생 등에 의해 "도시집"의 전입, "문선"에 실린 도시의 접촉, 당송대 시문을 통한 간접 접촉의 과정이 고증되었다. 2. 도연명과 이색의 생애, 사상 및 개성 도연명과 이색의 생존연대는 근 천년을 격해 있으나,시대배경은 유사한 왕조교체기에 처했었다. 불의와 혼란의 시대에 지조를 버리지 않은채 호학정신, 용세지리, 충절 강직성, 달관한 인생 관 등을 보인 것은 생애나 개성상 같은 점이다. 자연애를 통한 개성은 도연명이 체험 적, 서민적이라면 이색은 방관적, 귀족적이라 하겠다. 다시 말해서 도연명이 천성적으 로 자연을 동경하고 동화한 시인이라면 이색은 유가적 처세술의 일환으로 귀전을 노래 했다. 사상적으로는 도연명이 유. 불. 도. 묵가의 사상을 지닌 반면, 이색은 유불사상을 겸유한 인물이었으나 불가 사상의 작품은 거의 없다. 3. 작품의 비교 1) 형식상의 대 비-생략 2) 내용상의 대비-자연과 귀전의 일을 대상으로 한 은일시문은 두분다 독자를 공감케 하는 바 크나 도시가 더 감동적이다. 그 이유는 도연명은 체험적 자연의 고락 을 농부와 은사적 특성을 노래한 반면, 이색은 농부로서의 체험적 진취를 느끼지 못한 채, 단지 자연을 완상하며 국망지제의 고관으로서 현실 도피적 심경을 노래했기 때문 이다. 3) 풍격상의 대비-도연명 시는 은일성이 강하고 이색시는 유가적 기풍과 관리로 서의 특징이 강하다. 풍격의 상동점은 호환, 광원, 충담하다는 점이요, 차이점은 도연 명이 자연, 진후, 질야한다면 이색은 웅호 아건한 점이다. 4. 이색시에 미친 영향 도 연명의 염정풍범한 인격, 귀전은일사상, 사류운용상의 특징등은 이색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으니, 도시의 어휘나 문구이 인용이나 도연명의 이름,작품, 관직명을 원용하여 시상을 전개한 작품이 부지기수인 점으로 보아 영향관계를 알 수 있다. 이러한 경향은 이색만이 아니라 고려말 문인들의 보편적 경향이라 해도 과언은 아니다. 자료가 많아 생략한다. 종합적으로 말하면, 도연명은 인격과 사상이 고매하여 이색에게 또는 한. 중. 일의 문인에게 문학작품을 통하여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특히 관인으로서의 귀전 은일문학은 약간 곡용되어 수용되었다.

      • 농업경영인의 심리적 특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정부지원정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송정헌 호서대학교 글로벌창업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농업경영인의 심리적 특성요인과 농업경영 성과 간에 정부지원정책이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 농업경영성과에 대한 정부지원정책의 유용성을 탐색하고자 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가설을 설정하여 농업경영인의 심리적 특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농업경영인 및 농업경영체의 임직원 20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는 SPSS 20.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타당성분석 및 신뢰성분석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이를 회귀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농업경영인의 심리적인 특성요인인 성취욕구와 혁신성이 농업경영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었으며 통제변수인 업종도 농업경영성과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부지원정책 중 농업지원금이 농업경영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농업경영인의 심리적 특성요인과 농업경영성과 간에 정부지원정책 중 농업지원금이 매개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농업경영인의 심리적 특성요인중 성취욕구와 혁신성이 농업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정부지원 정책 중 정부지원금이 농업경영성과에 더 기여하고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그중에서도 농업경영인과 농업경영 성과 간에 농업지원금이 매개효과가 있다는 사실은 농업경영컨설팅의 효과성이나 홍보부족의 문제를 확인하여 실질적인 농업경영컨설팅 지원정책 수립 시행이 필요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