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과 중국의 교육대학 음악과 교육과정 비교분석 : 서울교육대학교와 하남사범대학교를 중심으로

        양사청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95

        논 문 요 약 한국과 중국의 교육대학 음악교육과정 비교 분석: 서울교육대학교와 하남사범대학교를 중심으로 양 사 청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 (지도교수 장기범)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한국 서울교육대학교와 중국 하남사범대학교의 음악교육과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양국 교육 현황을 파악하여 그 교육과정을 비교함으로써 양국이 서로 참고할 만한 부분을 찾는데 있다. 이 연구는 한중 양국의 음악 교육과정 중에서 각 과목의 교육 목적을 비교 분석하여 그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양국 교과교육의 교류와 협력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두 학교 교육과정과 관련된 선행 연구, 문헌자료, 관련 서적, 인터넷 조사 등의 문헌 조사를 통해서 교육대학교 음악교육학과의 설립배경과 발전 과정, 대학교의 기능 및 교과과정 운영의 기본 방향을 알아본다. 둘째, 중국 대학교의 음악과 교육과정을 한국 대학교의 음악과 교육과정에 맞추어 동일한 틀에 넣고 분석한다. 셋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두 학교 교육과정 설치, 교과목 학점 수, 교육과정 해설 및 심화과정은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으로 분류해서 비교하여 분석한다. 서울교육대학교와 하남사범대학교 음악교육과정, 학점 수, 교육과정 해설, 실습배치 등의 비교분석을 통해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중국의 교육실습 제도가 다르다. 한국은 2학년부터 학기마다 교육실습을 실행하는 데 반에 중국은 4학년 2학기 때만 8주간에 교육실습을 실행한다. 하지만 중국은 수습 기간을 필수로 하며 한국은 교육실습을 대체로 한다. 이러한 점은 양국 서로 참고할 가치가 있다. 둘째, 한국과 중국의 음악 교육과정을 비교할 때 가장 두드러지는 차이점은 전통음악에 관한 과정을 중시하는 정도이다. 한국 대학교는 국악과정의 설치가 교육과정에서 서양 음악과 대등한 비중을 차지하는 반면 중국 대학교의 전통음악에 관한 과정을 차지하는 비중은 아주 적었다. 이와 비교할 때 중국 사범대학교의 민족 음악 교육과정의 체계는 아직까지 미흡한 상황이다. 주요어: 교육대학교, 음악 교육 과정, 비교, 분석 *본 논문은 2018년 8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논문임.

      • 서울지역 초등학교 합창부 운영 실태 분석

        임현정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79

        A B S T R A C T An Analysis on the Current Condition of Elementary School Choirs in Seoul by Lim, Hyun Jeong Major in Elementary Music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upervised by Professor : Bang. Keum Ju It has been suggested by many studies that chorus activity has a positive impact on children's personalities and emotions, as well as provides them with an opportunity to develop their musical capabilities. Nonetheless, schools tend to emphasize other subjects, such as mathematics and science. The resulting workload prevents schools from being able to properly run chorus programs. In this respect, the present study carried out an actual status survey regarding the chorus teachers, the organization and activities of chorus, and the operational condition of chorus at elementary schools in Seoul, in an attempt to identify the problems and propose ways to activate successful chorus programs. To accomplish the objective of successfully initiating chorus activity in schools,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based survey and an interview component.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in April through July of 2013 by 21 chorus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34th Merry and Pure Singing Contest and also by the 40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a chorus teaching method seminar from 11 local offices of education. For the interview component, a semi-structured interview was given in July to August of 2013 to 5 chorus teachers and to 2 school principals. The data collected from the two research methods revealed the following problems. First, most chorus teachers were burdened with an excessive workload, which did not allow them to teach chorus consistently and they had inadequate experience such as music interpretation. Second, it has become increasingly difficult to start and recruit members to fully participate in chorus. Third, chorus contests are declining and managers and parents who care only on the outcome of these contests was another problem. Fourth, chorus programs lacked assistance from an outside lecturer with chorus expertise. Fifth, a fundamental facility and equipment or instruments for chorus is currently insufficient. Sixth, it is difficult to choose the appropriate chorus music for the children. Based on the findings above, the present study makes the following proposal to activate the choirs of elementary schools in the Seoul area. First, to secure professional chorus teachers, a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that provides chorus teachers with an opportunity to earn additional points (to career) and to develop further professional knowledge in chorus. Second, schools need a system to organize, and to operate and their chorus. Third, an environment should be established where children can gain experience and opportunity of performing in a chorus. Fourth, ways to get more consulting scholarships, and in gaining talent donors with professional backgrounds should be expanded on. Fifth, a basic educational facility should be prepared for chorus activities. Sixth, there should be more chorus music that children could relate to and have more fun singing. Seventh, teachers and parents need to have more of a positive perception of chorus. Keywords : chorus education * A thesis submitted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논 문 요 약 서울지역 초등학교 합창부 운영 실태 분석 임 현 정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 ( 지도교수 방 금 주 ) 합창활동이 어린이들에게 음악적으로 한층 더 발전할 수 있는 기회가 되는 동시에 인성과 정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점은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연구되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교현장에서는 주지교과를 중시하는 분위기, 교사의 과중한 업무 등 여러 요인으로 합창활동을 제대로 운영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울지역 초등학교 합창부 지도교사 관련사항, 합창부 조직과 활동, 합창부 운영 및 제반여건 등 합창부 운영 전반에 대한 실태조사를 통해 문제점이 무엇인지 분석하고 앞으로 합창부의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을 모색하여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설문조사와 면담의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설문조사는 2013년 4월부터 7월까지 제 34 회 밝고맑은노래부르기 대회에 참가한 합창부 지도교사 21명과 합창지도법 세미나에 참석한 지도교사 40명으로 총61명의 지도교사를 대상으로 11개 지역교육청이 모두 조사될 수 있도록 고려하여 실시하였다. 면담은 2013년 7월부터 10월까지 지도교사 5명과 교장 2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 면담 형식으로 진행하였다. 이렇게 조사한 내용을 통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첫째, 대부분의 교사들이 합창지도의 업무가 과중하여 지속적으로 하지 못하며 발성, 곡 해석 등 전문적인 부분의 개선을 위한 연수가 부족한 실정이다. 둘째, 합창부 구성 및 합창부 활동에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어렵다. 셋째, 합창대회가 점차 폐지되는 현실과 대회 결과만 중요시 하는 관리자 및 학부모의 인식이 문제이다. 넷째, 합창지도의 전문성을 보완하기 위해 외부강사의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이 부족한 현실이다. 다섯째, 합창활동을 하기 위한 교실 및 기자재가 부족한 실정이다. 여섯째, 학교 합창부 아이들에게 맞는 곡을 선정하기가 어렵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서울지역 초등학교 합창부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전문적인 합창지도교사를 확보를 위해 가산점과 같은 보상책과 전문적인 연수가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많은 학교에서 합창부를 조직, 운영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제도가 필요하다. 셋째, 아이들에게 합창을 발표할 수 있는 장이 마련되어 소중한 경험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주어야 한다. 넷째, 컨설팅 장학, 지역사회 재능기부자와 같은 전문적인 외부강사의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길을 더 확대 운영해야 한다. 다섯째, 합창활동을 하기 위한 기초 교육시설이 정비되어야 한다. 여섯째, 아이들이 재미있고 즐겁게 부를 수 있는 어린이 합창곡이 많이 만들어져야 한다. 다섯째, 교사와 학부모들의 합창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개선되어야 한다. 주요어 : 합창교육 * 본 논문은 2014년 2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교육대학교 영어심화반 교육과정 비교연구 : 문화교육수업을 중심으로

        김나연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79

        정보와 통신의 발달로 세계는 서로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국제적으로 협력하거나 때로는 경쟁하며 살아가고 있다. 21세기를 넘어 앞으로 더욱 발달된 사회에서 살아가야 할 우리의 학습자들은 영어뿐만 아니라 대화 상대의 문화적 배경도 함께 이해하여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지녀야 한다. 이에 여러 영어교육학자들은 영어교육에 있어 중요한 부분이 문화교육이라 지적하였고, 영어교사의 자질로서 필수 요소 중의 하나가 문화에 대한 지식과 문화를 잘 가르칠 수 있는 교수능력이라 하였다. 우리나라에서도 1997년 영어를 초등학교에서 처음 도입한 이래 여러 교육과정 개정을 거쳐 현재에 이르기까지 교육과정 내의 문화교육의 입지를 넓히고 다져왔다. 그러나 교육현장에서는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문화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영어교육 현장에서의 제대로 된 문화교육 실시를 위해서는 영어교사에게 문화교육에 대한 지식과 교수방법에 대한 경험 제공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초등영어교사에게 문화교육에 대한 경험을 처음으로 제공하는 곳이 교원양성기관인 교육대학교이므로, 이곳에서 실시되는 영어심화반 교육과정을 통해 앞에서 제시한 문제점의 해결방향을 찾아보았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국 11개 교육대학교에서 실시되는 영어심화반 교육과정 중 문화교육관련 과목의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문화수업에 대한 인식과 요구사안은 무엇인가? 셋째, 교육대학교의 영어심화반 문화교육관련 교육과정 구성의 개선방안은 무엇인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문헌조사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문헌조사 대상은 전국 11개 교육대학교 영어심화반 교육과정이다. 설문조사는 현직교사 50명, 예비교사 138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설문결과는 SPSS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11개 교육대학교육과정 분석과 2집단의 설문조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국 11개 교육대학교 중 7개의 교대에서 문화교육과목이 개설되어 있었다. 이는 예전 연구에 비해 개설 교대가 늘어난 상황이나, 시간에 흐름에 비해 변화하는 시대적 요구에 대해 발맞추지 못했다는 점에서 아쉬운 결과라 볼 수 있다. 둘째, 대부분의 교대에서 문화교육과 다른 과목과 혼합한 형태로 구성하고 있고 그 중, 3곳의 경우만 문화교육만을 단독으로 다루고 있었다. 셋째, 영어심화반 교육과정 내에 문화교육과목을 필수로 개설한 교대는 4곳에 불과했으며, 3곳의 교대에서는 10%에서 20%의 비율로 선택과목으로 개설하고 있었다. 넷째, 92.0%의 교사와 87.7%의 예비교사가 초등영어교육에서 문화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문화교육의 필요성에 비해 실제로 문화교육이 실행되는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초등영어교사가 문화교육 실시에 있어 교수․학습 방법 인식 부족과 제공되는 자료가 부족 등의 이유로 인해 지도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응답하였다. 여섯째, 문화교육관련 연수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높은 편이나 연수에 대한 경험은 적어, 지도서 내의 내용확충과 온․오프라인에서의 문화교육관련 연수 기회의 확대를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예비교사와 교사 두 집단 모두 교육대학교 영어과 교육과정에서 문화교육관련 교과목이 개설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여덟째, 두 집단 모두 문화교육관련 교과목을 필수 또는 선택의 형태로 심화반에 상관없이 제공하여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주요 결과에 따른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영어 예비교사를 양성하는 교육대학교의 영어심화반 교육과정이 재조정되어야 한다. 현행 교육과정을 살펴보면 여전히 문화교육관련 과목이 없거나 선택교과로 취급되고 있다. 2015개정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방향대로 문화교육의 장을 넓히려면 교원양성대학에서부터 문화교육의 기회가 확장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교원양성대학이 현장과 밀착된 교육과정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영어심화반 학생과 일선 교사의 요구를 끊임없이 수용하여야 할 것이다. 대학에서는 학생들과 일선 교사들의 요구를 수용하는 통로를 마련하여야 한다. 초등영어교육에서 문화교육은 떼어내어 생각할 수 없는 중요한 부분이며, 영어교육 속에 자연스럽게 스며들어 이루어져야 한다. 학습자는 영어의 기능적 습득 뿐 아니라 사회적 배경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진정한 문화간 화자로 거듭날 수 있는 문화교육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가 초등영어 학습자들을 위한 교원양성 교육과정 개선의 밑거름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4학년 지역화 교과서 내용 및 구성에 대한 만족 실태

        김가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는 사회과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지역사회의 학습을 통하여 사회과가 의도하는 궁극적 목적을 기르기 위하여 개발된 지역화 교과서의 내용과 체제에 대하여 알아보고, 교육현장에서 지도교사와 학생들이 느끼는 지역화 교과서의 만족 실태를 파악함으로써 지역화 교과서의 지향점을 제안하고자 함이다. 이전의 사회과 교육이 지역 사회의 현실과 괴리되었다는 비판이 제기됨에 따라 제5차 교육과정부터 지역화 학습이 도입되게 되었으며, 현재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인 노력으로 지역화 교과서가 개발되기에 이르렀다. 지역화 교과서가 개발된 당초 취지는 지역화 학습을 위한 교육과정의 재구성에 대한 노력과 부담을 해결하고, 교육현장에서 교육과정 지역화를 실질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데 커다란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교육현장의 교사와 학생들은 대체로 지역화교과서가 보조교과서로서의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며 보완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어, 지역화 교과서가 현장에서 제대로 활용될 수 있도록 연구를 통해 내용과 구성을 다시 편성할 필요성이 지적되어왔다. 이에 본 논문은 6차와 7차 사회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목표와 내용체계를 분석하고, 7차 교육과정의 『서울의 생활』을 활용하고 있는 교사들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과서 만족 실태를 설문 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화 교과서의 개선점과 4학년 지역화 교과서의 개선 방향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지역화 교과서 『서울의 생활』이 보완되고 지향해야 할 바는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학습 방법면에서 소집단 개별 학습 및 문제 해결·조사 탐구 학습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지역화 수업에 많이 활용되는 탐구 학습, 학습문제 해결 등을 통한 지적 호기심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교과서 내용이나 구성 자체가 학생들이 이해하기 쉬워야 한다. 둘째, 학습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학습량을 줄여야 할 것이다. 주요 학습 요소를 충분히 포함하면서도 간단한 교과서 구성으로 학습의 부담을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학생들의 발달단계에 맞게 구성되어야 한다. 사회과라는 교과 특성에 맞게 문장 서술 방식이 개념이나 원리를 중심으로 서술하면서도 학생들의 이해와 활용을 위해 쉬우면서도 부드러워야 하며 교과서 구성 또한 흥미를 끌 수 있어야 한다. 넷째, 단원명이나 주제·제재명이 학습 동기를 유발할 수 있어야 한다. 주제명과 제재명이 자료를 찾기에 쉽게 구성하여 활용자로 하여금 교과서를 보고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내용을 찾아내도록 유도하고 학생들로 하여금 탐구하고자 하는 욕구를 자극시킬 수 있어야 한다. 다섯째, 문장 서술방식에서도 문장들이 원리나 법칙을 발견할 수 있도록 주요 개념을 다루고 있어야 하며, 편지나 일기 같은 다양한 형식의 문장표현방식을 사용하여 학생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흥미를 이끌어낼 수도 있어야 한다. 여섯째, 『서울의 생활』은 다양한 소재의 자료 개발이 필요하다. 지역의 다양한 자료를 직접 체험하는 것이 학생들로 하여금 지역을 잘 이해하고 더불어 사회 현상을 파악하게 하는 방법이다. 사고력과 탐구력을 기르는 주요한 역할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볼 때 사진이나 도표, 삽화, 통계자료 등을 다양한 방법으로 소개하고 캐릭터나 만화 형식 같은 학생들의 흥미를 이끌어 내는 자료를 개발해야 할 것이다. 더불어, 지역화 교과서 개발 후 충분한 현장연수가 이루어져야 한다. 현장에서 교과서의 개발취지를 이해하게 하기 위하여 교육과정을 실시하기 전에 충분한 연수를 실시하여야 하며, 또한 교과서 활용 지침서를 구체화하여 교사들이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현장에서도 교과서에 대한 인식전환을 할 필요가 있다. 교과서에 있는 내용을 모두 가르쳐야 하고 평가해야 한다는 교과서에 대한 인식에서 벗어나 학습자료로서의 구실을 하는 교과서로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contents and structure of the local textbook and propose the new conception of the local textbook through the survey of the teacher and students' satisfaction degree on the local textbook. As the criticism that social education is isolated from the real situation of local community appears, the localization study is introduced since the 5th National Curriculum and the local textbook has been written so far. The goal of local textbook development is to be a big help to run the localized curriculum actually through solving the problems and handling burden for the curriculum restructure of local studies. Students and teachers, however, felt that the local textbook is not enough to do its work as a supplementary book , and the textbook has been told to reorganize its contents and structures. Thus, this study analyzed the goals and contents of the 6th and 7th social studies education and surveyed teachers and students' satisfaction degree over the local textbook " the life of Seoul ". According to this analysis and survey, this study proposes the improvement points of local textbook and the upgrade of 4th grade local textbook. The enhancement points of local textbook " the life of Seoul " would be organized as followings: First, as far as study skills are concerned, group work, problem solving and project study should be used when students do their work. The contents and formation of textbook should be easy for students to understand easily when they do project and problem solving study. Second, the amount of study should be lessened. It is necessary to make the formation simple and the major study point should be included enough as well. Third, the textbook should be compatible with the development steps of students. The textbook should be easy and attractive and its explanation should be focused on the concept and basic rules. Fourth, the titles of lessons and subjects should be motivation-oriented. Those titles should be designed to wake the students up and make them to find their material easily as well as voluntarily. Fifth, in the ways of the description the explanation of textbook should include the principles and laws , dealing with the major concepts. Also, a lot of reporting method like letters and diary would be used to bring about the students' interest. Sixth, the life of Seoul requires the development of source in various ways. Students could understand the local community and social phenomena very well by going through the various event of their community. Photos, graph, picture and statistical analysis should be introduced in several ways for growing up students' thinking power . Also, attractive materials like character and cartoon should be invented. Furthermore, the sufficient field training should be followed after the development of local textbook.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viewpoint of textbook in the field. Therefore the textbook isn't the bible of learning ,but the one of the study material. * A these submitted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dn.

      • 직장인 성인학습자의 교육대학원 실시간 비대면 수업 경험 탐색 - COVID-19로 인한 수업방식과 공간 변화를 중심으로 -

        이소희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는 COVID-19로 실시간 비대면 수업을 경험한 직장인 성인학습자의 교육대학원 수업방식과 공간 변화에 따른 수업 경험을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자는 직장인 교육대학생의 실시간 비대면 수업에서 두 가지 측면의 특이성을 발견하였다. 첫째, 개별 공간에서 진행되는 비대면 수업으로 학습자 간 단절을 경험하고, 이로 인해 수업의 적극적인 참여가 제한되고 있었다. 둘째, 직장인 성인학습자로서 학생 역할에 대한 중심 공간인 학교라는 물리적 공간이 사라졌고, 이 때문에 각자 공간을 확보하여 수업에 참여해야 했다. 학교 외 공간에서의 수업은 접근성의 확대로 직장인 성인학습자의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데 용이함을 주었지만, 학생으로서 수업의 몰입을 어렵게 했고 대학원생이라는 인식도 옅어지게 했다. 이에 본 연구는 갑작스럽게 도입된 교육대학원의 실시간 비대면 수업에 대한 직장인 성인학습자의 경험을 드러내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이를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인 성인학습자는 교육대학원의 실시간 비대면 수업방식에 어떻게 적응하고 있는가? 둘째, 직장인 성인학습자는 교육대학원의 실시간 비대면 수업으로 인한 물리적 공간 변화를 어떻게 경험하고 있는가? 이를 위해 COVID-19의 상황으로 비대면 수업을 경험한 직장인 교육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 인터뷰 및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한 질적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OVID-19로 실행된 교육대학원의 실시간 비대면 수업은 학습자 간 분리된 공간에서 수업 참여가 이루어졌다. 이로 인해 학습 커뮤니티 형성이 어려워졌고, 발표와 토론이 많은 수업에 대한 참여의 비적극성이 나타났다. 또한 새로운 수업방식에 각자 적응하는 시간이 필요했으며, 수업의 집중이 떨어졌다. 둘째, 학교 공간은 수업을 진행하는 장소라는 의미 이상의 학생이라는 역할 인식과 몰입에 영향을 주는 요소이다. 직장인 성인학습자에게 대면 수업의 학교 공간은 직장과 가정에서 분리되어 학생 역할에 집중할 수 있는 장소였다. 구성원과 공간을 공유함으로써 학교와 관련된 대화를 나누고, 정보를 교환하며 자연스럽게 학생으로서 역할 전환을 경험했다. 하지만 비대면 수업은 불안정한 공간에서 수업에 참여함으로써 직장인 성인학습자로서 학생에 대한 인식을 어렵게 했다. 본 연구는 그동안 주목하지 않았던 수업공간 변화를 중심으로 비대면 수업 경험을 탐색함으로써 다중역할을 수행하는 성인학습자의 수업방식과 수업공간이 주는 의미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다만, 개인의 특성에 따른 차이와 일반화의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원격 수업이 아닌 COVID-19로 인한 실시간 비대면 수업에 관한 연구임을 밝혀둔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보완하기 위한 후속 연구를 제언하면 첫째, 연구대상과 범위를 확대하여 직장인 성인학습자의 다양한 수업 경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수업공간과 학습에 관한 심도 있는 탐색과 실시간 비대면 수업에 적합한 수업공간을 고찰하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lassroom experienc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teaching  method  and  space  of  worker  adult  learners  who experienced  real-time  non-face-to-face  classes  due  to  COVID-19. The researcher discovered the peculiarities of two aspects in the real-time non-face-to-face class of workers, graduate students of education. First, students experienced disconnection between learners due to non-face-to-face classes conducted in individual spaces, which limited their active participation in classes. Second, the physical classroom space, the school, which is the central space for the student's role as a worker adult learner, disappeared, and for this reason, they had to participate in the class in their own space. Classes  outside  of  school  provided  ease  of  access  to  the various  roles  of worker  adult  learners,  but  made  it  difficult  for  students  to  immerse  themselves  in  the  class  and  diminished  the perception  of  being  a  graduate  student. This study focused on revealing the experiences of worker  adult  learners in real-time non-face-to-face classes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ich was suddenly introduced.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are as follows. First, how are worker  adult learners adapting to the real-time non-face-to-face class method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cond, how do adult learners of workers experiences changes in the classroom space due to real-time non-face-to-face classes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o  this  end,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and  focus  group  interviews  for  workers  graduate  students  of  education  that  experienced  non-face-to-face  classes  due  to  the  COVID-19  situation,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al-time  non-face-to-face  class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ich  was  implemented  due  to  COVID-19,  was  made  in  a  class  participation  method  in  a  space  separated  between  learners. This made it difficult to form a learning community, and the inactivity of participation in classes of many presentations and discussions appeared. In addition, it took time for each to adjust to the new teaching method, and the concentration of class was reduced. Second, the school space was a factor that affected students' role recognition and immersion beyond the meaning of a place where classes were conducted. For adult learners, the school's face-to-face classroom space was a place where they could focus on student roles, separated from work and home. By sharing a space with members, they had conversations related to the school, exchanged information, and naturally experienced a role changes as a student. However,  made  it  difficult  for  students  to  recognize  workers  adult  learners  as  students  by  participating  in  classes  of  an  unstable  space  with  real-time  non-face-to-face classes. This study can help adult learners who play multiple role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class space and class methods by exploring the non-face-to-face class experience focusing on changes in class space that have not been noticed until now. However, differences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there may be limitations on generalization. Also, let me clarify that this is a study on real-time non-face-to-face classes due to COVID-19, not general remote classes. Finally,  if  we  suggest  a  follow-up  study  to  supplement  this  study,  first,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of  research  students  and  study  the  various  class  experiences  of  worker  adult  learner. Second, it would be meaningful to consider a class space suitable for in-depth exploration of class space and learning and real-time non-face-to-face classes.

      • 서울 지역 초등학생 대상 음악영재교육 실태 조사

        박성은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79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opens up its possibilities at the national level after that the First Article of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Promotion Acts was announced in public. It clearly states that Gifted and Talented young students should be given opportunity from their early stages to develop their potential ability with a view to achieving of self-realization and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a society. Now after the acts educations for the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is being implemented in a wide range of subjects. This thesis surveys the present state of the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introduced into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it also presents a guidance which enables improvements of present state of education for the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in music. In the first part of main chapters, general concept of giftedness is defined and the typical character of the gifted students is explained. The definition of giftedness is described differently by scholars and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needs and the attitude for value societies have been pursuing. The traditional concept referring the one having high intelligence and outstanding academical achievement has been varied and broadened as the development of societies which began to accept individual diversities. However, the giftedness has special qualities compared with the general ones in terms of intellectual capacity and affective domain. The second part deals the concept, the quality and the necessity of music education for talented with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the content and the process of promoting music education for talented. A musical prodigy called ‘the one who has a gift for music and needs the special education for developing acquired potential’ has common traits to strike a balance between instrumental aspect and motivational aspect which include the concept of music and general gift. In order to develop this giftedness, it is very important to support the music educational policies for talented and set up the educational facilities. Therefore, a study of the actual condition of music education for talented in elementary school has to be preceded for the improvement of music education for talented. Music education for the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for elementary school are being held by various educational institutes. Some of them are initiated by governmental body such as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and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ffiliated institutions, while others, private institutions.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affiliated music educational institution for the gifted and talented children includes Konkuk University, the National High School of Traditional Arts and elementary schools such as the Jamjeon, the Sangbong, and the Sinyoungsan elementary schools. The Institut for the Art Gifted and Talented, as affiliated institution to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is another important one supported finantially by the Government. Others are Music Education Centers for the Gifted and Talented organised and promoted by private academes and institutions. During this study, some problems are found as follows; the number of music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the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talented in Seoul is not sufficient; the distance between home and music institutions is not close for children who talented. From a financial point of view, there are not enough experts and financial supports of music education for talented. To conclude, i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Expansion of number of music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the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are required; needs of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also requested; due to the fact that after-school music class for talented is currently run by the education office in-local which is deficient in accumulated facilities and skilled educators, it is hard to expect music education for talented be properly carried on. Therefore, this thesis suggests substantial and realistic measures that higher music educational institutions operate music education programs for talented and educational authorities introduce the itinerant teacher system. 영재교육 진흥법은 제1조 목적에 “재능이 뛰어난 사람을 조기에 발굴하여 타고난 잠재력을 계발할 수 있도록 능력과 소질에 맞는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개인의 자아실현을 도모하고 국가사회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고 명시함으로써 국가적인 차원에서 영재교육의 지원 가능성을 열었다. 이러한 국가적 차원의 교육시책에 의해 다양한 분야에서 영재교육이 시행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음악영재교육에 대한 연구로 서울 지역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음악영재교육의 실태를 조사하고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발전 방향을 다루었다. 먼저 영재에 대한 이해를 위해 영재성의 정의와 영재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영재성의 정의는 그 사회가 추구하는 가치에 따라 달라지고 연구자마다 각기 다양한 의미로 해석하고 있다. 즉 지능이 높거나 학문적 적성이 우수한 아동을 의미하였던 전통적 영재의 개념은 지능이나 학력 중심의 사회에서 개인의 다양성을 인정하는 형태로 사회가 변화됨에 따라 다양화되었다. 그러나 영재에게는 지적, 정의적으로 일반과는 다른 특성이 있다. 다음으로 음악영재 교육의 내용과 추진과정을 이해하기 위하여 먼저 음악영재의 개념, 음악영재의 특성, 음악영재교육의 필요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음악영재란 ‘음악적 재능이 뛰어난 사람으로서 타고난 잠재력을 계발하기 위해 특별한 교육을 필요로 하는 자’로서 음악적 재능과 일반적 재능을 포함한 도구적 측면과 동기적 측면의 하위 재능간의 조화를 이루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들의 영재성을 계발하기 위하여 음악영재 지원정책의 확립 및 기관의 설치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음악영재교육의 발전을 위하여 초등학생 대상 음악영재교육 실태를 파악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서울 지역 초등학생 대상 음악영재교육은 크게 서울시교육청 산하 음악영재교육원 및 음악영재학급, 문화체육관광부 소속 기관, 민간 기관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서울시 교육청 산하 음악영재교육원으로는 건국대학교음악영재교육원, 음악영재학급으로는 서울특별시교육청 지정 전통예술고등학교 예능영재학급, 강동교육지원청 지역공동 잠전초 방과후 음악영재학급, 서울상봉초 방과후영재학급, 서울신용산초 음악영재학급이 있다. 문화체육관광부 소속 기관으로는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영재교육원이 있고, 민간 기관으로는 예술의 전당 음악영재 아카데미가 있다. 이 연구의 결과로 서울 지역 초등학생 대상 음악영재교육의 문제점으로는 음악영재교육 시행 기관이 매우 적게 파악되었다. 또한 거주지와 영재교육기관과의 거리가 너무 멀어 효율적인 운영에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재정적인 면에 있어서 필요한 예산의 확보에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음악영재교육을 위한 전문 인력의 부족이 장애요인으로 파악되었다. 결론적으로 음악영재교육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하여 요구되는 사항은 음악영재교육기관의 확대, 음악영재 교육을 위한 전문 인력의 확보, 음악영재교육을 위한 행․재정적 지원 등으로 요약된다. 특히 우리나라에서 현재 운영되고 있는 방과후 음악영재학급의 경우 교육청의 주도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축적된 시설 및 인력이 부족하거나 전무하여 환경적으로 음악영재교육이 적절하게 이루어지는 것은 기대하기 힘들다. 따라서 서울 소재의 고등음악교육기관에서 음악영재 프로그램을 관리하거나 확대하고, 순회교사제를 도입하는 등의 활성화 방안을 위한 연구 등을 제언하고자 한다.

      • 전시해설의 역사교육적 방법과 제안 : 서울역사박물관 중심으로

        최소심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논문에서는 서울역사박물관의 전시를 심도 있게 해설하는 방안을 연구해 보았다. 2002년 5월 21일 개관한 서울역사박물관은 현재 본관 외에 12개의 분관을 운영하는 도시역사박물관으로 성장하였다. 박물관 전시해설의 연구에서 많은 연구자들이 지적했던 것처럼 전시해설은 일방적인 지식의 전달을 넘어 관람객과 소통의 장소가 되어야 한다. 박물관의 교육적인 기능을 생각하면 박물관 교육보다 먼저 발달한 학교의 교육도 수용되어야 하지만 박물관에서는 학교 교육의 과거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것의 예로 전시해설이 일방적인 지식 전달만을 위주로 한다는 것이다. 새로운 전시해설의 기법을 위해서는 학교에서 연구하는 교수기법도 살펴보아야 한다. 우선 효과적인 전시해설을 위해 서울역사박물관의 전시해설 운영과 전시해설 교육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개선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전시해설 교육의 문제점으로는 전시해설 기법 교육이 부재한다는 것이 있었다. 그리고 전시해설을 소통하는 방법으로 실현하기 위해 학교 교육을 살펴보고 역사교육적 방법으로 제안하겠다. 전시해설자가 전시관에서 박물관 사회자로서의 역할을 할 때 소통은 더 수월해질 것이다. 유물에 대한 정보를 설명하고 질문을 통하여 관람객과의 대화를 주도하면서 소통의 장을 마련할 수 있다. 소통하기 위한 전시해설을 위해 서울역사박물관의 전시물을 중심으로 전시해설을 제안 하겠다. 바람직한 전시해설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많은 전시해설들이 일방적인 지식 전달 위주로 진행되고 있음을 주목하여 새로운 전시해설의 방법으로 역사교육적인 방법을 연구하였다. 역사교육에서 연구되고 있는 다원성과 비판적 시각, 인권을 적용하여 유물을 분석해 보았고, ‘4존 대한민국 수도 서울’ 전시관에서는 통일을 위한 역사교육이란 시각에서의 해설을 제안하였다. 역사교육적인 전시해설 방법을 통해 관람객과 소통하는 데도 새로운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paper, a method of in-depth explanation of the exhibitions of the Seoul Museum of History was studied. Opened on May 21, 2002, the Seoul Museum of History has grown into a city history museum that currently operates 12 annexes in addition to the main building. As many researchers have pointed out in the study of museum exhibition commentary, exhibition explanation should go beyond the unilateral transfer of knowledge and become a place of communication with visitors Considering the educational function of museums, school education, which developed earlier than museum education, should be accepted, but museums are showing the past of school education. An example of this is that the exhibition commentary focuses only on one-sided knowledge transfer For new techniques of exhibition explanation, it is necessary to look at the teaching techniques studied in schools. First of all, in order to effectively explain the exhibition, I would like to examine the problems of the operation and the education of exhibition commentary at the Seoul Museum of History, and suggest improvements. One of the problems with exhibition commentary education was the absence of training in exhibition commentary techniques. In addition, in order to apply a communicative method in the exhibition commentary, I will look at the school education and propose it as a historical education method. Communication will be easier when the exhibition commentator acts as a museum moderator in the exhibition hall. You can provide a place for communication by explaining information on relics and leading conversations with visitors through questions. I will propose an exhibition commentary as a way of communication, focusing on the exhibits of the Seoul Museum of History To present a desirable exhibition commentary method, I have studied the methods of history education as a new way of exhibition explanation, paying attention to the fact that many exhibition commentaries are centered on one-sided knowledge transfer. I analyzed the artifacts by applying pluralism, critical perspectives, and human rights that are being studied in history education, and proposed an explan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y education for reunification in the exhibition hall of Seoul, the capital of the Republic of Korea in Zone 4. Through the historical education approach in the exhibition explanation, new possibilities have been identified in communicating with audience.

      • 몰입을 위한 버추얼 미술관 전시 관람 프로그램 개발 : 사비나 미술관을 중심으로

        강다빈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79

        Development of Virtual Art Museum Exhibition Program for Flow -A focus on Savina museum- Kang, Da Vin Major in Museum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upervised by Professor : Ryu. Jaman After COVID-19, many art galleries and museums developed exhibition experience programs using online spaces as a countermeasure against non-face-to-face situations. In that exhibitions can be enjoyed without time and space constraints, online exhibition programs were used as a way to replace the existing exhibition methods. The online exhibition space drew attention for being able to provide the same experience as what you actually saw without visiting the actual space, being able to view anytime, anywhere, and being able to communicate with other visitors in real time. However, the online exhibition space was criticized for not sufficiently inducing visitors to immerse themselves in that there was a limit to feeling the aura and atmosphere of the field given by exhibits in the actual exhibition space. In addition, depending on age and individual ability, they may not fully enjoy online exhibition spaces due to differences in their ability to manipulate smart devices.Since the online space is a virtual space, the fact that you can easily feel tired if you watch it for a long time is also a factor that hinders the flow of visitors and has limitations. Therefore, this study developed an online virtual art museum exhibition viewing program by applying Csikszentmihalyi's flow theory to overcome such limitations of flow. In the flow theory organized by Csikszentmihalyi, a program that applies this was conceived by paying attention to the three prerequisites necessary for flow: clear goal, immediate feedback, and challenge-skill balance. The developed program was applied to 4th graders of W Elementary School to check whether they experienced flow through flow scale tests, personal interview records, class recordings, and exhibition viewing appreciation.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whether learners could fully flow themselves in the online exhibition space to watch the exhibition, and what elements of the online exhibition viewing program helped flow. The research results according to this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construct an exhibition viewing program for flow, three prerequisites for flow must be included: "clear goal," "immediate feedback," and "challenge-skill balance." The students said that the pre-learning of exhibition viewing based on three elements was very positive for the exhibition viewing. Giving clear goals every hour and setting individual exhibition viewing goals helped them to recognize what they had to do in their activities, which naturally helped them to flow themselves in their activities. In addition, students were able to check whether they were following the activities well with immediate feedback from teachers and questions within the activity sheet that they could look back on themselves while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contents of forming prior knowledge necessary for viewing the exhibition and learning how to manipulate the online virtual art museum were very helpful in flowing themselves in viewing the exhibition. Second, as a result, most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program experienced 'concentration on the task at hand'. 'Concentration on the task at hand' means that when an actor focuses on a task, he or she does not think about anything other than the task. The students said that when they watched the exhibition, they did not think about anything other than the contents of the work they were watching or their thoughts on the work, and they were only able to focus on the exhibition. In fact, none of the students did anything other than watching the exhibition during class. Third,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program also experienced 'transformation of time'. Most people who experience flow experience a 'transformation of time', often referring to feeling so focused that they lost track of time. Students were surprised to hear the notification of the end of class, such as "Are you done already?" and "Why is the time so short?" the most common words in class. It proves that most students were flowed in this exhibition program. Fourth,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online virtual art museum exhibition and viewing program had a 'autotelic experience'. Students started with a sense of duty that everyone should attend classes, but by the end of the program, they would rather try more enjoyed it for the purpose of viewing the exhibition itself, such as wanting to go to an art museum, and they felt like I wanted to experience it more. Although it was an online space, it is expected to be a good motivating factor for future museum visits through the positive experience of exhibition viewing. Therefor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been revealed that exhibition viewing programs using online exhibition spaces can sufficiently attract viewers' flow. It can be a very good substitute for those who cannot visit and see an actual art museum due to conditions. In particular, for students in rural areas, such an online virtual art museum exhibition and viewing program can give them a new flow experience and act as a motivating factor to visit the actual art museum. In addition, it will be of great significance because more people can enjoy various exhibitions if they can fully flow themselves in the works of famous overseas art museums through online exhibition spaces. keywords : online exhibition, virtual museum, museum program, flow 몰입을 위한 버추얼 미술관 전시 관람 프로그램 개발 -사비나 미술관을 중심으로- 강다빈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초등박물관미술관교육전공 ( 지도교수 류재만 ) 분위기를 느끼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점에서 관람객의 몰입을 충분히 유도하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았다. 또한 연령, 개인의 능력에 따라 스마트 기기를 조작할 수 있는 역량의 차이로 인해 온라인 전시 공간을 충분히 즐기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온라인 공간은 가상공간이다 보니 오랜 시간 관람할 경우 쉽게 피로감을 느낄 수 있다는 점도 관람객의 몰입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어 한계를 갖는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몰입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칙센트미하이의 몰입 이론 을 적용하여 온라인 버추얼 미술관 전시 관람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칙센트미 하이가 정리한 몰입 이론에서 몰입에 필요한 전제 조건 3가지(명확한 목표, 즉 각적인 피드백, 도전과 기술의 균형)에 주목하여 이를 적용한 프로그램을 구상 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W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에게 적용하여 몰입을 경험 하였는지를 몰입 척도 검사, 개인 면담 기록, 수업 녹화 장면, 전시 관람 감상 문 등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학습자들이 온라인 전시 공간에 서도 충분히 몰입하여 전시를 관람할 수 있는지, 온라인 전시 관람 프로그램의 어떠한 요소가 몰입에 도움이 되는지를 확인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 음과 같다. 첫째, 몰입을 위한 전시 관람 프로그램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명확한 목표’, ‘즉각적인 피드백’, ‘도전과 기술의 균형’ 3가지 몰입의 전제 조건 요소를 포함 해야 한다. 학생들은 3가지 요소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전시 관람 사전학습이 본 전시 관람에 매우 긍정적인 도움이 되었다고 밝혔다. 차시별로 명확한 목표를 제시하고, 개별적인 전시 관람 목표를 설정한 것이 활동에서 스스로 해야 할 일 을 인지하도록 도움을 주었고 이는 자연스럽게 몰입에 도움이 되었다. 또한 학 생들은 프로그램 참여 중 교사의 즉각적인 피드백과 스스로 돌아볼 수 있는 활 동지 내 질문들로 활동 내용을 잘 따라가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고 밝혔 다. 더하여 본 전시 관람에 필요한 사전 지식을 형성하고 온라인 버추얼 미술관 의 조작 방법을 익힌 내용이 본 전시 관람에 몰입하는 데 매우 큰 도움이 된 것 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그 결과 본 연구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대부분 ‘과제에 대한 집 중’을 경험하였다. ‘과제에 대한 집중’은 행위자가 어떠한 과제에 집중하게 되 면 과제 이외의 어떠한 생각도 하지 않게 되는 것을 말한다. 학생들은 본 전시 를 관람할 때 관람하고 있는 작품의 내용이나 작품에 관한 생각 외에 다른 생각 은 하지 않았고 오직 전시에 집중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실제로 수업 시간 중 전시 관람이 아닌 다른 행동을 하는 학생은 한 명도 찾아볼 수 없었다. 셋째, 본 연구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시간 감각의 변형’도 경험하였 다. 몰입을 경험하는 사람 대부분은 ‘시간 감각의 변형’을 경험하게 되는데, 흔 히 너무 집중한 나머지 시간 가는 줄 몰랐다고 느끼는 것을 말한다. 학생들은 수업 중 가장 많이 했던 말이 “벌써 끝났어요?”, “왜 이렇게 시간이 짧아요?”와 같이 수업 시간 마무리 알림을 듣고 놀라는 표현들이었다. 학생 대부분이 본 전 시 프로그램에 몰입했다는 것을 방증한다. 넷째, 온라인 버추얼 미술관 전시 관람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자기 목 적적 경험’을 하였다. 학생들은 누구나 수업에 참여해야 한다는 의무감으로 처 음엔 시작했으나, 프로그램이 마무리될 즈음에는 오히려 더해보고 싶다거나 직 접 미술관에 가보고 싶다는 등 전시 관람 그 자체를 목적으로 즐겼고 또 더 경 험하고 싶은 마음을 느꼈다. 이는 비록 온라인 공간이었지만 전시 관람의 긍정 적인 경험을 통해 앞으로의 미술관 방문에도 좋은 동기 요인이 될 것이라 예상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온라인 전시 공간을 활용한 전시 관람 프로그램도 충분히 관람자들의 몰입을 이끌어 낼 수 있다는 것을 밝혀낸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여건 상 실제 미술관에 방문하여 관람할 수 없는 사람들에게 아주 좋은 대체재가 될 수 있다. 특히 농어촌 지역의 학생들에게는 이와 같은 온라인 버추얼 미술관 전 시 관람 프로그램이 새로운 몰입 경험을 안겨주어 실제 미술관에 방문하게 되는 동기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해외 유명 미술관의 작품들을 온라인 전시 공간을 통해 충분히 몰입하여 감상할 수 있다면 더 많은 사람이 다양한 전시를 향유할 수 있게 되므로 큰 의미가 있을 것이다. 주요어: 온라인 전시, 버추얼 미술관, 미술관 프로그램, 몰입 * 본 논문은 2023년 12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인권교육 연구의 대상과 내용 분석

        이지혜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79

        This research analyzed subject and content of Master's thesis and Doctor's thesis of human right education from 1999 February to 2008 February for 10 years. It had a fundamental work for development that identify weaknesses in the balance of the research activities of human rights education. The research method is document research and content analysis. First, standards of analysis about general research trends are total 5 kinds of year category, region category, major of graduate school category, research subject category, research method category. Second standards of analysis about elements of human rights education are total 8 kinds of curriculum of human right education category, subject of human rights education category, contents of human rights education category, professor-learning method of human rights education category, professor-learning resources of human rights education category, assessment of human rights education category, teacher training of human rights education category, environment of human rights education category. Tendency of human rights education thesis which follows in year category showed an increase gradually since 1999. The tendency which follows in the region showed the high proportion in metropolis that had a lot of population and schools. The tendency of major of graduate school showed the colleges of education and university of education are most parts of all. The major detail was the highest the general social education. The tendency of research subject showed the document was more 3.1times higher than the person. In the document of research subject, the proportion of school textbooks and teaching materials and curriculum was high. And the tendency of a subject was high in social studies education and ethics education. The tendency of research method was the highest document research. Development research and laboratory research was similar proportion after that. The tendency of elements of human rights education was similar high proportion in contents of human rights education and environment of human rights education. After that curriculum of human rights education, professor-learning method of human rights education, professor-learning resources of human rights education was ordered. The remainder was rarely researched. The tendency which followed in elements of human rights education by year category was steadily studied contents of human rights education. When we tried to grasp elements of human rights education in each school, environment of human rights education was the highest in the elementary school. In the junior high school, contents of human rights education, professor-learning method of human rights education and environment of human rights education were studied similar high proportion. In the high school, contents of human rights education was researched plentifully. The tendency of elements of human rights education in research method was the highest in document research. This research analysis shows the contents of human rights education and curriculum of human rights education in social studies education and ethics education with document method lead human rights education and the rest was minor. The human rights education was not independent subject but mixture subject. Therefore subjects, contents, professor-learning method, assessment of human rights education through curriculum was organized and presented about substantial plan of human rights education. And then human rights education will be recovered and developed. 본 연구는 1999년 2월부터 2008년 2월까지 10년 동안 발표된 인권교육 관련 석·박사학위 논문 86편의 연구 대상과 내용을 분석하여 전체적인 연구 동향을 알아보고, 미흡한 연구 분야를 파악하여 균형 있는 인권교육 연구 활동의 전개를 위한 기초적인 작업이 되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은 문헌 연구방법과 내용 분석 방법이며 분석의 준거는 일반적 연구 동향으로서 연도, 지역, 대학원 전공, 연구대상, 연구 방법의 다섯 가지와 인권교육 요소별 연구 동향으로서 인권 교육과정 일반론, 인권 교육목표론, 인권 교육내용론, 인권 교수·학습 방법론, 인권 교수·학습 자료론, 인권 교육평가론, 인권 교사교육론, 인권 교육환경론의 여덟 가지, 인권교육 요소의 전체적 동향으로 인권교육 요소의 전체적 동향, 연도별, 학교급별, 연구 방법별 동향의 네 가지이다. 먼저 연도에 따른 인권교육 관련 석·박사학위 논문 동향은 인권교육 초기인 1999년 이후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지역에 따른 동향은 인구가 많고 학교가 많은 서울, 부산·경남과 같은 대도시 지역에 인권교육 연구가 집중되어 있다. 대학원 전공에 따른 동향은 사범교육대학원이 초등교육대학원보다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세부 전공에서 사범교육대학원의 일반사회교육이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연구 대상에 따른 동향은 문헌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사람을 대상으로 한 연구보다 약 3배 정도 더 높았으며 문헌을 대상으로 한 연구 내에서는 교과서 및 교육 교재와 교육과정의 비율이 높았다. 연구 대상으로 교과목 분류에서는 사회가 가장 많고 도덕이 그 다음 순이었다. 연구 방법에 따른 인권교육 석·박사학위 논문 동향은 문헌 연구가 가장 높고 개발 연구와 실험 연구가 그 다음으로 비슷하였다. 인권교육 요소별 분류에서는 인권 교육내용론에 관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인권 교육환경론, 인권 교육과정 일반론, 인권 교수·학습 방법론, 인권 교수·학습 자료론이 그 뒤를 이었고 나머지 항목들은 연구가 거의 되지 않았다. 연도별로 인권교육 요소를 살펴보면 인권교육 연구 초기인 1999년 인권 교육내용론과 인권 교육과정 일반론이 연구되기 시작한 이래, 2004년부터 대부분의 인권교육 요소가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학교급별로 인권교육 요소를 살펴보면 초등학교에서는 인권 교육환경론이, 중학교에서는 인권 교육내용론과 인권 교수·학습 방법론, 인권 교육환경론에 관한 연구가 고르게 이루어졌으며, 고등학교에서는 인권 교육내용론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다. 인권교육의 연구 방법에서는 문헌 연구 방법이 인권교육 요소의 연구 방법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러한 인권교육 석·박사학위 논문의 대상과 내용 분석을 통해 인권교육 연구의 동향을 살펴 보면, 인권교육이 문헌 연구의 방법으로 사회과와 도덕과에서의 인권 내용과 인권 교육과정에 대해 많은 연구를 행하고 있으며, 이를 제외한 나머지 인권교육 요소인 목표, 교수·학습 방법, 교수·학습 자료, 평가에 있어서는 연구가 아직 미흡함을 알 수 있다. 인권교육은 독립적인 교과가 아니라 개별 교과들 속에 혼재되어 시행되는 교육이므로 인권교육의 목표, 내용, 방법, 평가의 전 과정에 대한 체계화와 이에 기초한 실질적인 인권교육 방안이 제시될 때 보다 나은 인권교육이 시행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