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淸初의 黑龍江 流域 支配體制 確立過程 : 샤르후다(Sarhuda)-바하이(bahai) 父子를 중심으로

        송인주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고는 淸初의 흑룡강 지역에 대한 통합과 지배체제 확립과정을 고찰하면서 淸朝의 邊境支配體制의 성격을 규명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청조에게 있어서 흑룡강 유역은 가장 먼저 정복시켜야 할 공간이었고, 일찍부터 이 지역에 대한 지배체제를 갖추어야만 하였다. 17세기 중후반을 거치면서 청조는 흑룡강 일대를 포함한 만주 일대에 대한 지배체제를 확립하였고, 이 지역에서 구축된 청조의 지배체제는 청조의 다른 변경지대에도 유사한 모습으로 나타났다. 청조가 흥기할 무렵, 만주 지역에는 女眞 이외에도 다양한 주민들이 거주하고 있었다. 특히 흑룡강 유역에는 와르카, 후르하, 솔론, 다구르 등의 퉁구스 계 주민들이 거주하고 있었다. 청조를 건설한 누르하치와 홍타이지는 주변 지역을 정복하는 과정 속에서 흑룡강 지역으로도 그 영역을 확장하였다. 누르하치와 홍타이지는 흑룡강 지역의 주민들을 ‘寬猛相濟’의 원칙을 통해 통합하기 시작하였다. 자발적으로 淸朝로 귀순해 온 주민들에 대해서는 貂皮를 공물로 바치게 하는 대신에, 현지의 관습과 자치권을 인정해 주고 가샨이다[gašan I da], 할라이다[hala I da]라고 불리는 토착 지도자들을 청 황실이나 만주인 귀족들과 혼인 시키는 방법으로 이들을 회유하는 한편, 청조에 반항하는 주민들에 대해서는 무력으로 정복하고 수도인 盛京으로 이주시키고 八旗로 편제시켜 군사력을 증강시켰다. 청조는 이러한 강온 양면책을 통해서 1644년 중원으로 들어가기 전 흑룡강 유역의 대부분을 그 영향력 아래에 둘 수 있었다. 그런데 1644년 청조가 明朝를 대신하여 중원을 지배하게 되면서 상황이 크게 변하게 되었다. 청조는 만주 지역과 내몽골뿐만이 아니라 중원까지 통합한 국가가 되었으며, 청조의 중심지는 北京으로 이동하였다. 또한 청조는 남중국에 있던 명의 잔여 세력을 제거하고 중원의 통치를 안정시키기 위해 팔기 군대의 대부분을 중원으로 이주시켰다. 그 결과 청조는 흑룡강 유역을 비롯한 동북변경지역에 대한 확고한 지배체제를 수립할 수도 없었고, 흑룡강 유역에 대한 청조의 지배력도 약화되었다. 공교롭게도 이 무렵 흑룡강 유역에 새로운 변수가 등장하였다. 러시아가 貂皮를 확보하기 위하여 시베리아로 동진하여, 1650년 대 무렵에는 흑룡강 하구 유역까지 진출하였던 것이다. 러시아의 카자크 부대는 선박과 신식 무기를 앞세워 흑룡강과 송화강을 오르내리며 현지 주민들에게서 초피를 약탈하거나 현지 주민들을 학살하기도 하였다. 청조는 러시아에 의해 흑룡강 일대의 정치적 영향력을 위협받게 되자, 1652년 하이서[haise, 海色]을 파견하여 러시아 부대를 방어하게 하였지만, 청조의 군대는 우잘라[ujala, 烏札拉]에서 러시아 부대에게 궤멸되었다. 러시아의 흑룡강 진출이 강력하게 진행되자, 이에 위기감을 느끼기 시작한 청조는 본격적으로 흑룡강 유역에 대한 지배체제를 정비하는 작업을 추진하였다. 그 작업을 추진하기 위해 청조는 1653년 후르하 지역 출신의 장수 샤르후다를 당시 흑룡강 유역 지배거점이었던 닝구타[ningguta, 寧古塔]에 파견하였다. 샤르후다는 1654년과 1658년 두 차례 러시아와의 전쟁에서 승리하면서 러시아의 흑룡강 진출을 저지하는 한편, 청조의 흑룡강 유역 지배체제를 정비하는 작업들을 수행한다. 우선 흑룡강 하류 지역 주민들을 회유하고 이들 중 일부를 닝구타 지역으로 이주 시켜서 흑룡강 유역 현지 주민들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였다. 또한 닝구타와 吉林 두 곳을 청조의 흑룡강 유역 군사 거점으로 개발하기 시작하였다. 그러한 샤르후다의 작업들은 강희 시기 淸朝가 흑룡강 지역에 ‘將軍體制’를 확립하는 기초를 마련하였다. 1659년 샤르후다가 죽음을 맞자, 청조는 그의 아들 바하이를 닝구타에 파견하여 러시아의 침입에 대비하고, 샤르후다의 뒤를 이어 흑룡강 유역 지배체제 정비작업을 추진하게 하였다. 청조는 1661년 바하이를 ‘닝구타장군(寧古塔將軍)’으로 임명하면서 흑룡강 유역을 ‘將軍體制’로 통치하게 되었다. 또한 1670년 대 러시아의 흑룡강 진출이 다시금 진행되면서, 청조는 흑룡강 유역에 대한 지배를 보다 확고히 하기 위하여 바하이로 하여금 여러 정책들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바하이는 우선 송화강과 우수리 강 일대에 분포하고 있던 후르하 部의 주민들과 쿠얄라 部의 주민들을 八旗로 편제시키면서 동북 변경의 청조의 군사력을 증강시켰고, 샤르후다 때부터 군사 거점으로 개발되기 시작한 닝구타와 길림을 동북 변경 지배의 중심 거점으로 개발하였다. 바하이의 이러한 작업들은 1680년 대 청조가 러시아에 대대적으로 반격할 수 있는 원동력을 제공하였고, 그 결과 청조는 1689년 러시아와의 네르친스크 조약을 이끌어 내어 흑룡강 유역을 안정적으로 지배할 수 있었다. 또한 흑룡강 유역을 안정시키면서 청조는 만주지역을 온전히 자신들의 공간으로 인식할 수 있었다. 청조는 순치시기와 강희시기 러시아와의 전쟁을 거치면서 흑룡강 유역에 대한 지배체제를 확립하였다. 우선 닝구타와 길림 등의 도시에 八旗를 주둔시키고 닝구타장군(후에 길림장군과 흑룡강장군으로 나뉘게 된다.)을 파견하여 정치적, 군사적으로 이 지역을 통제하게 하였다. 아울러 현지 주민들에 대해서는 因俗而治의 원칙에 따라서 지역의 현지 지도자들을 姓長, 鄕長 등 청조의 관리로 임명하여 이들을 통해 간접적으로 지배하였다. 또한 柳條邊을 설치하고 封禁政策을 실시하여 漢人이 흑룡강 유역으로 유입하는 것을 통제하였다. 청조가 흑룡강 유역에서 수립한 ‘將軍體制’는 이후 청조에 새롭게 복속된 몽골, 신강, 티베트 등의 변경 지대에서도 유사하게 적용되었다. 물론 이 ‘將軍體制’는 각각의 변경 지역들의 특성에 따라 표면적으로는 차이점도 보이지만, 기본적으로 정치적, 군사적 거점을 중심으로 한 八旗의 주둔, 현지 지도자들을 통한 간접적인 현지 지배, 漢人에 대한 분리정책 등의 원칙은 동일하게 관철되었다. 따라서 청조의 흑룡강 유역 지배체제 확립과정은 이후 청조의 전체적인 변경지배체제 확립 과정의 시작점이라고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고 할 수 있고, 샤르후다와 바하이 父子의 활동은 그러한 청조의 흑룡강 유역 지배체제 확립과정을 진두지휘하였다는 점에서 역사적인 의미가 있다. This study focuses on examining the process of integration and establishment of a ruling system around Heilongjiang River Basin in the early Qing era and thus clarifying the nature of the governing system of the Qing Dynasty for the frontier zone. For the Qing Dynasty, Heilongjiang River Basin was the first area to be conquered, and it had to be equipped with a ruling system for the region from the early years. Throughout the mid to late 17th century the Qing Dynasty established a system of governance over Manchuria including Heilongjiang area and the ruling system of the region appeared in other areas of frontier zone in a similar fashion during the Qing dynasty. By the time the Qing Dynasty was prospering, there were various inhabitants in Manchuria in addition to Jurchen. In particular, there were many Tungusic people including Warka, and Hurha, Solon and Dagur in the area of Amur Basin. Nurhachi and Hongtaiji who had established the Qing Dynasty extended the territory also in Amur Basin Area in the process of conquering the surrounding areas. Nureuhachi and Hongtaiji began to integrate the inhabitants of the Heilongjiang region with the principle of ‘generosity and rigor’(寬猛相濟). On the one hand, they placated the residents who defected voluntarily to Qing Dynasty by recognizing their autonomy and local customs while they had to give tribute to the dynasty with leather sable, and indigenous leaders called gašan I da and hala I da were married into the Qing Court or with Manchu nobles, but on the other hand, the residents who rebelled against the Qing Dynasty were conquered by force and moved to the capital Shengjing(盛京, Mukden) to be organized by Eight Banners(八旗), augmenting the military power of the Qing dynasty. The Qing Dynasty, through such policy of ‘generosity and rigor’(寬猛相濟), could put most of the Amur Basin area under their influence before entering the Central China in 1644. However, as the Qing Dynasty became to rule the Central China instead of the Ming Dynasty, this situation changed significantly. The Qing Dynasty had become a country integrating not only Manchuria and Inner Monglia but also the Central China, and the capital of the Qing dynasty was moved to Beijing(北京). Also, in order to remove the remaining forces of the Ming Dynasty in the South China and to stabilize the reign over Central China, the Qing Dynasty migrated the majority of troops (Eight Banner armies) to Central China. As a result, the Qing Dynasty could not establish a firm ruling system for the Northeast region including Heilongjiang River Basin, and the dominance of the Qing dynasty on the banks of Heilongjiang had also been weakened. Unfortunately, the new variables emerged about this time in the area of Amur Basin. Russia moved to the east to Siberia and advanced to the mouth of Heilongjiang River around 1650’s in order to secure sable leathers(貂皮). Cossack troops of Russia preceded the new style weapons and ships up and down the Heilongjiang and Songhuajiang rivers, plundering the sable from local residents or at times slaughtering the local people. When threatened by Russia’s political influence in Heilongjiang area, Qing dispatched Haise for defence in 1652, but the army of the Qing Dynasty was destroyed by the Russian troops in Ujala(烏札拉). As Russia’s advancement to Heilongjiang river basin was in progress, the Qing Dynasty began to feel a sense of crisis and pursued in earnest the task of reorganizing the ruling system for Heilongjiang river basin. In order to proceed with the project, in 1653 the Qing Dynasty dispatched a general called Šarhuda, who was from Hurha region, to Ningguta(寧古塔) which was their base for Heilongjiang River Basin area at the time. Šarhuda prevented Russia’s entry to the Heilongjiang River Basin by two victories in the war with Russia in 1654 and in 1658, and on the other hand he carried out the maintenance tasks in the ruling system for the Qing Dynasty. First of all, he placated the locals in the downstream of Heilongjiang, and strengthened control over local residents by moving some of them to Ningguta region. In addition, he started to develop the Ningguta and Jilin(吉林) as two military bases in Heilongjiang River Basin. Such works of Šarhuda laid the foundation for the Qing Dynasty under Kang-xi reign to establish a 'Jiangjun System(將軍體制)' in Heilongjiang region . When Šarhuda died in 1659, the Qing Dynasty dispatched his son Bahai to Ningguta to deal with the invasion of Russia and made him to continue the work of šarhuda to maintain the ruling system in the Heilongjiang River Basin area. In 1661, Qing officially appointed Bahai as Ningguta Jiangjun(General of Ningguta Jiangjun, 寧古塔將軍) to rule Amur Basin of Heilongjiang River according to the Jiangjun system(將軍體制). And as Russia’s advancement to Heilongjiang started again, in order to secure more control over the Heilongjiang River Basin the Qing Dynasty enabled bahai to carry out multiple policies. First of all, Bahai organized the residents of Hurha and Kuyala who were living in the region of Ussuri river by putting them in the Eight Banners army, augmenting the military power of the Qing Dynasty in the Northeast frontier, and Ningguta and Jilin that had begun to be developed as military bases since šarhuda, were developed as a center hub of Northeast frontier governance. These works of bahai provided the driving force to the Qing Dynasty to fight back Russia in a grand scale in the 1680's, and as a result, the Qing Dynasty was able to draw the Treaty of Nerchinsk with Russia in 1689 to stably dominate the Heilongjiang River Basin. In addition, while stabilizing Heilongjiang River Basin, the Qing Dynasty was able to recognize Manchuria as their own territory. The Qing Dynasty established a ruling system for Amur Basin of Heilongjiang River Basin through the reigns of Shun-zhi and Kang-xi and the war with Russia. First, the Eight Banners were stationed in cities such as Ningguta and Jilin, and Ningguta Jiangjun was dispatched to control the reign of the region politically and militarily. In addition, for local residents, the local leaders of the region were appointed as Xingzhang(姓長) and Xiangzhang(鄕長), officials of Qing dynasty, to rule indirectly through them. Also, Willow Palisades(柳條邊, Liutiaobian) was installed and, the prevention policy of settlement in Manchuria(封禁政策, Fengjin policy) was conducted in order to control the flows of Han Chinese into the Heilongjiang River Basin. The Jianggun system(將軍體制) that had been established in Heilongjiang River basin by the Qing Dynasty was applied similarly in the frontier of Mongolia, Xinjiang and Tibet that were newly annexed to the Qing Dynasty afterwards. Of course, this 'Jianggun system(將軍體制)' had appare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but basically certain principles were applied in the same manner: 1) the presence of Eight Banners, mainly centering around political and military bases 2) indirect local governance through the local leaders, 3) the principle of separation policies for the Han Chinese. Therefore, the establishing procedure of a ruling system over the area of Heilongjiang River Basin in the Qing Dynasty was important as the starting point of the overall ruling system in Frontier since the Qing Dynasty. And the activities of the father and the son, Šarhuda and Bahai, were significant in that they led the process of establishing such a ruling system of the Qing Dynasty in Heilongjiang River Basin.

      • 강원지역축제의 무용공연 현황 연구

        송인주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2020년도부터 문화관광축제의 등급제가 폐지되고 균등한 지원금과 2년 연속사업의 새 정책이 시행되며 선정된 35개의 문화관광축제 중에서 강원도는 7개의 지역축제로 20%의 가장 높은 선정을 받음에 따라 문화관광축제로 많은 선정을 받을 수 있었던 강원지역축제의 요소들을 알아보기 위해 등급제 폐지 정책 이전 5년과 정책 이후 진행된 2년의 기간을 설정하여 강원도 문화관광축제를 연구하였다. 그 중에서도 축제 프로그램에서 빠질 수 없는 예술 공연을 집중적으로 알아보았는데, 다양한 예술 분야 중 예술성과 대중성을 겸비한 무용이 그동안 축제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 역할을 해옴으로써 강원지역축제 프로그램에서는 어떤 역할을 감당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추후 강원지역축제가 문화관광축제로서의 지속적인 자리매김을 위해 무용이 노력해야 할 방향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첫째, 강원지역축제가 한 유형으로 치우치지 않고 여러 유형의 축제들이 지역이미지와 특색을 잘 살려 획기적인 프로그램 기획을 통한 발전가능성이 보여졌다. 이를 통해 강원 지역축제가 꾸준하게 선정될 수 있던 것은 다른 지역에 비해 강원도 지역이 가진 산과 바다가 어우러짐의 자연과 더불어 문화의 발전이 다양한 지역축제를 만들 수 있고, 이러한 장점으로 새 정책 이후 강원 지역축제가 문화관광축제로써의 지속적인 발전을 기대할 수 있는 부분이라 생각한다. 둘째, 2015년도부터 2021년도까지 강원도 문화관광축제는 정책 전후를 비교해봤을 때 문화예술축제로 분류된 축제들이 꾸준히 선정된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하여 강원지역축제는 앞으로 문화예술 자원을 발굴하여 문화관광축제로 선정 받기 위한 차별화된 축제 프로그램 기획과 관광객들의 참여 프로그램을 위한 끊임없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셋째, 일반 대중들에게는 단독적인 무용공연의 이해는 다소 어렵기 때문에 다른 예술 분야와의 융합을 통해 종합예술로 다가갔을 때 대중과의 거리를 좁힐 수 있다고 보았다. 마임, 퍼포먼스, 시각 등 다양한 예술 분야와 융합된 무용공연이 오랫동안 진행되어왔음을 통해 무용 순수의 공연들을 고집하기보다 축제 주제와 분위기에 걸맞는 타 예술 분야와의 공연을 연출한다면 강원지역축제의 문화예술은 발전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전공자와 비전공자를 불문하고 무용을 접하고 있는 지역 주민의 무용공연 참여는 지역 애착도를 높여줌으로써 지역 사회의 유대감과 자긍심을 일으켜준다. 무용 전공자의 공연 참여는 지역 이미지와 브랜드화 창출에 도움이 되고, 비전공자의 공연 참여는 일반 대중들의 무용에 대한 관심과 애착을 보여줌으로써 무용 분야에 다양한 활성화에 이바지가 된다. 본 연구는 문화관광축제의 2020년도부터 시행된 새 정책 이후의 축제를 연구하기까지 연구기간의 제한이 있었는데 설상가상으로 2019년 12월 발생한 코로나19의 재난 상황으로 인해 2020년도 축제들이 취소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연구의 어려움이 있었다. 하지만 어려운 상황에서도 춘천마임축제는 프로젝트 대체로 대처하는 노력이 돋보였으며, 이는 해외의 세계적인 축제가 대체했던 방법과 비교하여 춘천마임축제가 다양한 시도를 위한 노력을 했음을 볼 수 있었다. 오랜 역사의 춘천마임축제가 새로운 시도와 변화로 개최한 것을 높게 보며 많은 연구자들이 앞으로 춘천마임축제의 연구에 관심가지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온·오프라인으로 병행되는 축제 개최에 따라 무용공연의 온라인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이 온라인 생중계나 영상물 제작이 진행 될 때 오프라인과 비교하여 전달력이 떨어지는 것을 보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This study sets the five-year and two-year period before the abolition of the grading system and the two-year period after the abolition of the grading system. In particular, we focused on art performances that are indispensable for festivals, and in various fields of art, dance with both artistic and popularity has played a role in the beginning and end of festivals in Gangwon Province. In order to make Gangwon-do a cultural and tourism festival in the future, the government has decide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dance efforts. First of all, Gangwon-do festivals are not biased toward one type, and various types of festivals are likely to develop through groundbreaking program planning, taking advantage of regional image and characteristics. The reason why Gangwon-do festivals are continuously selected is that Gangwon-do festivals are expected to continue to develop into cultural tourism festivals after the new policy, as well as nature that harmonizes with the mountains and seas. Second, from 2015 to 2021, Gangwon Province's Culture and Tourism Festival was selected as a cultural and artistic festival. In this way, Gangwon-do festivals need to plan differentiated festivals to discover cultural and artistic resources and select them as cultural and tourism festivals, and make steady efforts to participate in them. Third, it is difficult for the general public to understand solo dance performances, so they can narrow the distance between themselves and the public by integrating them with other fields of integration with other fields of art. Through dance performances in various fields of art, such as mime, performance, and vision, it is possible to develop the culture and art of festivals in Gangwon Province by performing with other fields of art that suit the theme and atmosphere of the festival. In addition, local residents, regardless of whether they are professionals or non-professionals, participate in the dance performance, which strengthens the community's bond and pride. The participation of dance majors in the performance will help create a regional image and brand, and the participation of non-professional performers will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the dance field by showing interest in and love with dance. This study had a limited period of time until the festival after the new policy, which will be implemented from fiscal 2020, but to make matters worse, the Corona 19 disaster in December 2019 caused the festival to be canceled in fiscal 2020, making it difficult to study. However, despite the difficulties, Chuncheon Pantomime Festival has made efforts to deal with the project, compared to the alternative methods of world festivals abroad. The Chuncheon Pantomime Festival, which has a long history, is highly praised for its new attempts and changes, and many researchers will be interested in future research on Chuncheon Pantomime Festival.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tudy ways to compensate for the poor communication power of online live broadcasting and video production in parallel with the holding of online and offline festivals.

      • 남성 노인의 노동 생애경로와 일의 의미

        송인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8639

        This study began with a question that active and productive aging discourse is not appropriate for the aged, and proceeded with interest in how experience characteristics, habituated norm and culture of seniors could be reflected in the labour policy of the aged. This study dealt with men at the age of 65 to 69 who had gone through the rapid growth period (1960-2000) of Korean society, collected their life story and tried to answer the following matters. (1) What is the labour life course experienced by the aged who were the 1st generation of industrialization? (2) What changes had occurred in the meaning of work during their labour life course, and what is the meaning of work in senescence? This study used the interpretative analysis based on biography research method which allows us to hear the direct voices of the ag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labour life course of the senior males, the 1st generation of industrialization, was the life course as the norm prior to the institution. The life course as the norm was familism and nepotism functioned as a safety net in the labour society. The life course as the norm began to be affected by the institutional safety net as the danger of industrial society increased. However, the institutional safety net was not sufficient. They were undergoing a transition between norm generation and institution generation. They had to support both previous and following generation, and were the sacrificed generation with no protection of the institution. (2) The 1st generation of industrialization formed their own labour life as they were interacting with the norm and the institution, and the meaning of work was revealed during the course. Their labour life was divided into 3 phases : beginning, skilled, retiring period. The meaning of work in the beginning period was to practice the norm and coexistence of work and learning. The meaning of work in the skilled period was to become skillful to protect their pride, and to live as men for the organization, which was to lay emphasis only on personal responsibility, and remained as wounds. It was also to focus on the individualized goal of life and make use of personal networks rather than to form their sense of rights. In this period, the social institution was emerged, but did not protect them. The meaning of work in the retiring period was determined throughout the entire labour life. It was to make better and complete the unfinished during the earlier labour life. Therefore, it was important for them to find the theme of accomplishment. To them, the meaning of work was time and space of freedom. They had never been able to do what they wanted as much as they wanted. Since the 1st generation of industrialization is the sacrificed generation, social support is deeply required for the accomplishment and freedom of their work. The active and productive aging discourse resulted from the concern that the aged would not work. However, this study shows that is not the case. They themselves tried to look for the theme of accomplishment to complete their labour life, and to keep the personal time and space free. The active and productive aging discourse might make the younger generation have concern that the aged would not work, and in consequence lead to generation conflict. Therefore, it should be stopped to produce the policy discourse that emphasizes the active aging. This study reveals that the theoretical view on the work in senescence should not be segmented but integrated, and reviewing the generation culture provides the basis for the studies of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one generation with social changes and grasping the function of the gener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variously applied, for example, to the job policy according to the generation culture and self-enrichment education of the aged which is designed for the meaning of work in senescence. 이 연구는 쉼 없는 노동을 해 온 산업화 1세대가 노인이 된 지금 활동적 생산적 노년에 대한 권유를 받는 것이 적절한 것인지에 대한 문제와 노인의 일 정책에서 노인의 경험적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문제를 개선하고 노인이 가지고 있는 습관화된 규범과 세대가 갖는 문화를 고려하여 노인의 일이 논의 되어야 한다는 점에 문제의식을 갖고 시작되었다. 이 연구는 1960년부터 2000년까지 고도성장 시기를 살아온 남성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생애이야기를 통해서 첫째, 그들이 사회 규범과 제도적 질서와 상호 작용하면서 살아온 노동생애경로를 분석하고 둘째, 산업화 1세대의 노동생애경로를 통해서 이들의 생애 단계별 일의 의미와 노인기의 일의 의미를 도출하고자 했다. 이들의 노동생애경로를 분석하는 것은 산업화 초기의 사회문화와 규범적 질서, 세대문화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고, 개인이 생애경로와 상호작용하면서 구성해 낸 일의 의미를 통해서 노인의 일에 접근하는 관점과 정책 아젠다에 대한 비판, 생산적 활동적 노년 담론에 대한 비판적 접근을 가능하게 했다. 이 연구에서는 노인들의 목소리를 직접 듣고자 했고, 이들의 생애경로를 파악하기 위해서 생애사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생애사 연구는 연구자와 정보제공자의 상호작용의 산물로서 정보제공자가 드러내는 ‘나다움’에 대해 내부자적 입장에서 분석하고 해석하여 객관화 시키는 과정을 통해서 이루어졌다. 이 연구에서는 여성보다 생애경로 의존도가 높은 남성을 중심으로 했는데, 우리사회는 전통적인 남성부양자 모델을 활용하고 있어서 노동생애에서는 주로 남성이 기여하고 있었기 때문이기도 했다. 정보제공자들은 다양한 노동생애경험을 한 1940년부터 1944년에 태어난 현재나이 65세에서 69세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했다. 이들은 당시의 노동현장의 특성을 반영하여 단순 생산직 노동자, 기술직 노동자, 관리직, 사무직 노동자를 고루 선정하였고, 노년기의 현재 삶이 안정적인 노인과 정부의 보조로 생활하는 노인이 다양하게 선정될 수 있도록 하였다. 총 8명의 노인의 노동생애를 분석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산업화 1세대의 노동생애경로는 제도화되기 전의 규범화된 생애경로로 나타났다. 규범화된 생애경로는 안전망으로 기능하는 가족주의와 연고주의였다. 가족 안전망은 노동생애경로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규범화된 생애경로였다. 가족안전망이 잘 기능한 사람의 경우는 노동생애가 비교적 안정적이었지만, 가족 안전망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한 경우는 불안하고 어려운 상황에 놓이게 되었다. 연고주의는 당시 사람들이 일자리를 구하거나 승진, 이직할 때 아는 사람의 소개를 통하는 것이었다. 아는 사람들이 이끌어 주고 밀어주는 것은 산업사회로의 인력 유입을 돕는 역할을 하기도 했다. 당시는 안정된 교육프로그램과 정보가 부족하여 사람에게 의존하였고 안전망의 기능을 수행했다. 산업화 1세대는 규범 의존적인 생애를 살아온 비교적 안정적 삶을 산 사람들과 새로운 도전과 자기 실험을 멈추지 않는 규범 독립적인 생애를 살아온 사람들로 구분되었다. 노동생애경로는 교육에서 시작하여 누적적 불평등의 기초를 닦는 역할을 했다. 규범화된 생애경로는 시간이 지나고 사회가 변화함에 따라서 조금씩 변화하여 제도적 질서에 영향을 받는 생애경로가 되었고, 핵가족화 되고 민주화된 사회에서 자녀와 분리되어 독립적인 노년을 강조하고 있었다. 이들은 앞 세대와 뒷 세대 사이에 과도기적인 혼돈과 변화를 모두 겪고 있지만 사회적 혜택이 매우 부족한 세대이며, 사회규범이 변화하는 과정에서 체념하고 적응했다. 산업화 1세대는 규범과 제도와 상호작용하면서 자신의 노동생애를 형성해 나갔고 그 안에서 일의 의미가 드러났다. 이들의 노동생애는 초년기, 숙련기, 은퇴기로 구분하여 각 단계별 일의 의미의 변화가 드러났다. 노동생애 초년기 일은 생계를 위해 이끌려간 것이었고 이들을 노동사회로 이끄는 데는 인적 관계망이 기초가 되어 교육정도에 따라서 기술에 따라서 조금씩 다른 생애로 분화되었다. 그리고 초년기 일은 능력의 실험무대라는 의미를 갖는다. 이들은 자유와 경쟁이라는 자본주의 원리에 의해서 자신을 단련시켜 능력의 시험했다. 능력의 시험은 일과 교육을 공존시키는 의미를 갖게 되었다. 숙련기는 경제적 발전과 함께 사회가 민주화되면서 다양한 사회제도가 시작되던 시기로 이 시기 일의 의미는 자신의 기술을 숙달시켜 스스로의 자존심을 지키는 것이자, 조직을 위한 인간으로 사는 것이며, 개인의 책임만을 강조하는 부담이자 상처였다. 그리고 권리의식이 형성되기보다는 개인화된 삶의 목표에 집중하였고 인적 관계망을 활용하는 것이었다. 이 시기에 사회제도가 나타났지만 이들을 보호하지는 못했다. 은퇴기는 산업구조가 변화되고 기업복지를 포함한 다양한 사회제도가 만들어질 때이며 개인은 규범과 제도적 질서의 과도기를 경험하는 시기였다. 은퇴기 일은 전체 생애를 통해서 형성되는 것인데 그들의 일의 의미는 노동생애에서 이루지 못한 것

      • 배경 엔터테인먼트 요소가 적용된 대형 리테일 공간의 사용자 경험 디자인 특성 연구 : 경험소비를 주도하는 MZ세대를 중심으로

        송인주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As large retail spaces with entertainment elements are increasing in line with changes in consumers who value experience and experience, large retail spaces are interpreted as complex places where space and users communicate and create new experience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it is a space that gives value to various senses and experiences, and it is understood that research on experience design is more important in large retail spaces to which entertainment elements are applied. In addition, let's look at the large retail space that has recently chang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new consumption power of the MZ generation, leading experiential consumption in retail space. Since the experience is abstract and subjective, user behavior observation an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urveys, which are interviews, are considered essential surveys for this study and are expected to be able to derive their needs in depth.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xperiential design characteristics of large retail spaces to which background entertainment elements are applied from an empirical point of view and derive specific needs and satisfaction of Generation MZ through user behavior observation and interviews. Therefore, the purpose is to serve as basic data for the use and planning of entertainment elements that can provide consumption of experience and experience in future retail space planning. Chapter 1 focuses on the background, necessity, purpose, scope, and method of the study. In Chapter 2, background theories for this study are presented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and are largely divided into three paragraphs. It consists of retail space and entertainment elements, user experience design, and contents related to generation MZ leading experience consumption. Chapter 3 establishes a framework for analysis after deriving the characteristics of experiential design applied to space in previous studies to proceed with this study. Based on this, a checklist is derived and set as a framework for the survey and analysis of the case target site of this study. Chapter 4 selects four case papers for large retail spaces to which background entertainment is applied. The four selected case papers will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the space through field surveys, and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user experience design based on the checklist derived in Chapter 3. Chapter 5 allows multiple spatial users to observe behavior patterns, movements, and residence times for a specific time to derive the user's current status on space use, and to derive information not obtained from user behavior observation through user interviews with a small number of peopl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analysis results by cross-verifying the data. The research contents are finally collected and the research results are summarized and described. Chapter 6 draws conclusions by synthesizing the contents of the study, and presents future research directions based on this study. First, since the immutality was the lowest among the characteristics, it is necessary to plan to provide special experiences through extraordinary events, elements, and spatial design that users have not experienced so that they can be imprinted in the user's memory for a long time. Second, since most of the case papers were only used as photo zones or rest areas, interaction designs or interface designs that users can participate in should be applied to enrich user emotions and senses, increase psychological satisfaction, and environmental satisfaction. Thir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lack of experience and entertainment elements that the MZ generation could be interested i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needs of the MZ generation in more depth and organize programs and contents that they will be interested in to increase the frequency of use and stay time of the space 경험과 체험을 중시하는 소비자들의 변화에 발맞춰 엔터테인먼트 요소가 적용된 대형 리테일 공간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 따라 대형 리테일 공간은 단순히 물리적인 장소 개념이 아닌 공간과 사용자가 소통하고 그로 인해 새로운 경험이 창출되는 복합적인 장소로 해석된다. 따라서 다양한 감각과 경험의 가치를 부여하는 공간이라 할 수 있으며 엔터테인먼트 요소가 적용된 대형 리테일 공간에서 경험디자인에 대한 연구는 더욱 중점적으로 필요한 것으로 파악된다. 또한 최근 리테일 공간에서 경험 소비를 주도하며 새로운 소비 권력인 MZ세대의 관점에서 변화된 대형 리테일 공간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경험은 추상적이며 주관적이기 때문에 사용자 행동관찰과 인터뷰인 정량 조사와 정성 조사는 본 연구에 필수적인 조사로 판단되며 그들의 니즈를 심층적으로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경험적 관점에서 배경 엔터테인먼트 요소가 적용된 대형 리테일 공간의 경험 디자인 특성을 분석하고 사용자 행동관찰과 인터뷰를 통해 MZ세대의 구체적인 니즈와 만족도를 도출하고자 한다. 따라서 향후 리테일 공간 계획시 경험과 체험의 소비를 제공할 수 있는 엔터테인먼트 요소의 활용과 계획을 위한 기초자료가 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 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 필요성, 목적, 범위, 방법 등을 중심으로 서술된다. 제 2장에서는 선행연구와 문헌들을 통하여 본 연구를 위한 배경 이론들이 제시되며 크게 세 개의 단락으로 나누어진다. 리테일 공간과 엔터테인먼트 요소, 사용자 경험 디자인, 경험 소비를 주도하는 MZ세대와 관련된 내용들로 구성된다. 제 3장에서는 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선행연구에서 공간에 적용된 경험 디자인의 특성을 도출 후 분석의 틀을 구축한다. 이를 토대로 체크리스트를 도출하여 본 연구의 사례 대상지 조사분석틀로 설정한다. 제 4장에서는 배경 엔터테인먼트가 적용된 대형 리테일 공간에 대한 사례지 4곳을 선정한다. 선정한 사례지 4곳은 현장조사를 통해 공간의 현황을 분석할 것이며 앞의 3장에서 도출한 체크리스트를 기준으로 사용자 경험 디자인의 특성을 도출한다. 제 5장에서는 사용자 행동 관찰을 통해 다수의 공간 사용자들이 특정시간 동안 행동패턴과 동선, 체류시간을 관찰하여 공간 이용에 대한 사용자의 현황을 도출하고 소수의 인원으로 사용자 인터뷰를 통해 사용자 행동관찰에서 얻지 못한 정보를 도출하도록 한다. 따라서 데이터들을 교차 검증하여 분석 결과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조사 내용들을 최종으로 취합하여 연구 결과를 요약하여 서술한다. 제 6장에서는 연구내용을 종합하여 결론을 도출하고, 본 연구를 토대로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하여 제시한다. 첫째, 특성 중 비일상성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므로 사용자가 경험해 보지 못한 비일상적인 이벤트와 요소, 공간 디자인을 통해 특별한 경험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기억 속에 오래 각인되도록 계획해야 한다. 둘째, 사례지들 대부분 포토존이나 휴식공간으로만 이용되고 있었기 때문에 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직접 참여할 수 있는 인터렉션 디자인이나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적용하여 사용자의 감정과 감각을 풍부하게 충족시키고 심리적 만족감은 물론 환경적 만족감을 높일 수 있도록 계획해야 한다. 셋째, MZ세대가 흥미를 느낄 수 있는 체험, 엔터테인먼트 요소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MZ세대의 니즈를 더 심층적으로 파악하여 그들이 흥미를 느낄만한 프로그램과 콘텐츠를 구성하여 공간의 이용빈도와 체류시간을 높일 수 있도록 계획해야 한다.

      • 陸游 茶詩를 통한 宋代 茶文化 硏究

        송인주 濟州大學校 2016 국내박사

        RANK : 248639

        陸游는 역대 中國詩人들 중에서 가장 많은 茶詩를 써낸 詩人이며 蔡襄, 蘇軾과 더불어 宋代 3대 茶人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의 고향은 名茶가 생산되는 山陰이다. 그래서 그의 생활은 저절로 茶事와 친숙하게 된다. 그는 ≪茶經≫를 탐독하며 茶道를 익혔고 茶官 생활을 하면서 茶事에 대한 경험을 풍부하게 쌓았다. 그런 그의 茶에 대한 지식들은 茶詩에 고스란히 담겨져 있어서, 宋代 茶詩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그래서 筆者는 본 論文에서 陸游의 茶詩를 통해 宋代 茶文化를 고찰했다. 본 논문 제2장, ‘陸游의 生涯와 創作 背景’ 부분에서는 ‘陸游의 生涯’, ‘陸游 茶詩 槪括’, ‘茶詩 創作 背景’ 등으로 나누어 考察했다. ‘陸游의 생애’ 부분에서는 陸游의 생애를 시대별로 간단히 살펴보았고, ‘陸游 茶詩 槪括’ 부분에서는 그의 茶詩 내용을 간단히 살펴보았다. 그리고 ‘茶詩 創作 背景’에서는 陸游가 茶詩를 창작하게 된 背景을 山陰出身, 陸羽仰慕, 官職生活, 憂國精神, 田園生活, 文學的 傾向등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제3장, ‘宋代 茶文化’ 부분에서는 ‘宋代 以前의 茶文化’와 ‘宋代 茶文化’ 부분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宋代 以前의 茶文化’에서는 차를 마시기 시작한 기원과 魏晉 南北朝그리고 唐代의 茶文化를 간단히 살펴보았다. 이어서 ‘宋代 茶文化’ 부분에 서는 貢茶制度, 硏膏茶 製造, 茶館의 盛行, 茶書編纂, 茶馬貿易, 茶道의 變遷등으로 나누어 고찰했다. ‘貢茶制度’ 부분에서는 貢茶의 유래와 唐代를 거쳐 宋代로 이어지며 발전한 貢茶制度를 살펴보았다. ‘硏膏茶 製造’ 부분에서는 硏膏茶의 製造시기 및 그 製造과정 등을 살펴보았다. ‘茶館의 盛行’ 부분에서는 宋代에 성행했던 茶館을 고찰하였다. 宋代 茶館은 여러 계층의 사람들이 交遊하며 정보를 교환했던 곳으로, 陸游의 시에서는 군대가 주둔하는 陣營근처의 茶館을 언급하고 있다. 그리고 ‘茶書編纂’ 부분에서는 宋代 茶書들의 내용을 간단히 기술하였다. 그리고 茶書에 실려 있는 내용들이 陸游의 茶詩에 반영되어 나타나고 있음얘기하였다. ‘茶馬貿易’ 부분에서는 軍馬를 얻기 위해 宋代 茶馬貿易의 규모가 확대되었으며, 茶馬貿易은 몇 가지 기본 규정이 있었음을 기술하였다. ‘茶道의 變遷’에서는 茶道에 대한 정의를 간단히 살펴보았고, 뒷부분에서는 宋代에 들어오면서 변천된 몇몇 茶道들을 살펴보았다. 제4장의 ‘陸游 茶詩에 나타난 茶文化’ 부분에서는 茶事, 茶名, 茶具등으로 나누어 고찰 하였다. ‘茶事’ 부분에서는 煎茶, 點茶, 鬪茶, 分茶, 活水, 活火등을 차례대로 살펴보았다. ‘煎茶’에서는 唐代에 유행했던 煎茶法이 陸游의 茶詩에 자주 등장하고 있기 때문에 宋代에도 여전히 煎茶방식이 존재했음을 기술하였다. ‘點茶’부분에서는 陸游의 <茅亭>, <秋日郊居> 등에서 읊고 있는 點茶를 고찰하였다. 點茶는 盞에 茶를 넣고 물을 부어 筅으로 擊拂하여, 찻잔 위에 乳花가 피어오르면 나눠 마시는 방법으로 宋代에 성행했다. ‘鬪茶’에서는 陸游의 <四月旦作時立夏已十餘日>, <晨雨>에서 언급하고 있는 宋代 茶俗인 鬪茶를 고찰하였다. 鬪茶는 찻잎의 품질과 茶를 우려내는 기술로 승부를 겨루는 技藝로 茶의 色, 香, 味를 중시 여겼다. ‘分茶’ 부분에서는 陸游의 茶詩에 나타난 分茶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分茶는 茶를 다루는데 능한 사람이 茶湯위에 다양한 物像을 그려내는 일종의 技藝로 宋代에 성행했다. ‘活水’와 ‘活火’ 부분에서는 茶를 마실 때 茶의 色, 香, 味를 좌우할 수 있는 물과 불의 선택을 중요시하는 宋代 茶俗을 들여다보았다. 다음으로 茶名부분에서는 ‘貢茶’, ‘花(果)茶및 기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貢茶’ 부분에서는 陸游의 茶詩에 나타난 宋代貢茶들을 살펴보았다. 예를 들자면 北苑茶, 日鑄茶, 壑源茶, 蒙頂茶, 顧渚茶등이다. ‘北苑茶’ 부분에서는 宋代황실 전용 御茶園이 있던 建安 鳳凰山의 東溪 水畔에 있는 北苑지역에서 생산되는 北苑茶를 고찰하였다. 北苑茶는 陸游의 <飯後偶題>, <雪夜作> 등에서 언급하고 있다. ‘日鑄茶’ 부분에서는 陸游의 茶詩에서 나타난 日鑄茶를 고찰하였다. 이 茶는 越洲會稽縣東南의 日鑄嶺에서 생산되었고, 南宋때 貢納다. 그리고 ‘壑源茶’부분에서는 陸游의 <謝王彥光提刑見訪並送茶>, <堂中以大盆漬白蓮花石菖蒲翛然無複暑意睡起戲書>에서 언급하고 있는 壑源茶를 고찰 하였다. 이 茶는 宋代御茶園이 있었던 北苑의 남쪽에 위치한 壑源지역에서 생산되었던 茶이다. 이 茶는 正焙라 칭해졌으며, 宋代皇室에 貢茶했다. 그 외, 陸游의 <睡起試茶>, <蔔居> 등에서 읊고 있는 蒙頂茶그리고 그의 <仲秋書事>, <齋中弄筆偶書示子聿> 등에서 언급하고 있는 顧渚茶에 대해서도 자세히 고찰하여 宋代貢茶를 들여다보았다. ‘花(果)茶및 기타’ 부분에서는 菊花茶, 茱萸茶, 橄欖茶, 姜茶, 梅花茶와 기타 茶를 살펴보았다. ‘菊花茶’ 부분에서는 陸游의 茶詩에서 언급하고 있는 菊花茶를 고찰하였다. 宋代에는 甘菊을 茶에 띄워 茶의 쓴맛을 제거 하였고, 菊花의 싹은 茶대신 이용하였다. ‘茱萸茶’ 부분에서는 陸游의 <荊州歌>에 나타난 茱萸茶를 살펴보았다. 宋代사람들은 茱萸을 神物로여겼으며, 瘴氣때문에 일어나는 병을 물리치기 위하여 茶로 마시기도 하였다. ‘橄欖茶’ 부분에서는 陸游의 <夏初湖村雜題>에 나타난 橄欖茶를 고찰하였다. 여기서는 宋代사람들이 橄欖으로 차의 향기를 돕게 하는 飮茶방식을 들여다볼 수 있었다. 그 외에 陸游의 茶詩에서 언급하고 있는 薑茶, ‘梅花茶’의 독특한 風習들도 고찰하였다. ‘기타’에서는 陸游의 시에 나타난 名茶이지만 貢茶하지 않았던 桃花茶, 丁坑茶, 花塢茶, 安樂茶등을 살펴보았다. ‘茶具’ 부분에서는 陸游의 茶詩에 나타난 茶具인 兎毫盞, 風爐, 茶籠, 茶鐺, 磑, 碾등을 살펴보았다. ‘兎毫盞’ 부분에서는 宋代사람들이 茶의 乳花와 잘 어울리는 토끼털 같은 무늬가 있는 흑색 兎毫盞을 귀하게 여겼음을 기술하였다. ‘風爐’ 부분에서는 陸游의 茶詩에 나타난 宋代茶具인 風爐와 그 쓰임은 같지만 모양과 명칭이 다른 茶鼎, 茶灶등을 비교하며 고찰하였다. 그리고 ‘茶籠’ 부분에서는 宋代 官吏들이 茶를 선물로 주고받을 때 金銅茶籠을 이용하는 모습을 살펴보았다. 그 외 宋代茶具인 茶鐺, 磑, 碾등과 같은 茶具들도 그 특징과 쓰임에 대하여 陸游의 시와 여러 자료들을 통해 고찰했다. 陸游의 茶詩에는 위에서 살펴 본 것처럼 다양한 宋代茶俗들이 들어 있어서 宋代 茶文化를 한 눈에 들여다볼 수 있다. 이처럼 내용이 풍부한 陸游의 茶詩는 宋代 茶文化 經典이라고 해도 손색이 없다. During Song Dynasty, tea culture was prosperous, e.g. tea market was formed, Chamamaoyi(茶馬貿易) was established, and Chaguan(茶館) was prevalent. Along with such social atmosphere, many books related to tea study were published, and poets' tea poems were continued to be created. Poet of Song Dynasty, Luyou(陸游) was the poet who composed poems the most among the Chinese poets in history. Luyou(陸游)'s hometown was Shanyin(山陰), where famous tea was produced. Accordingly, his life naturally became familiar to Chashi(茶事). He broadened knowledge about tea through poring over books about tea, and learned tea ceremony. This way, his knowledge about tea was fully included in his tea poems, which provide important data for Song Dynasty, tea poem research. As the amount of his poems was large, subject of poems was various. For example, there were patriotism, love of the people, exchange, tranquility, etc. besides, various subjects of poems are transmitted, however, one of them was the poem on tea. Therefore, the researcher investigated Life of Luyou(陸游), Summary of Luyou(陸游) tea poem, and Creation background of Luyou(陸游) tea poem, in Luyou(陸游)'s life and creation background in order to consider tea culture of Song Dynasty. In Life of Luyou(陸游), this research briefly investigated life of Luyou(陸游), and in Summary of Luyou(陸游) tea poem,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contents of his tea poems briefly. In Creation background of Luyou(陸游) tea poem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background that Luyou(陸游) came to create tea poem by dividing into six matters. In Tea culture before Song Dynasty this research briefly investigated the origin to start to drink tea, the period of Weijinnanbeichao(魏晉南北朝) and Tea culture of Tang Dynasty. Also, this research investigated by dividing into Gongcha(貢茶) system, Yangaocha(硏膏茶) production, prevalence of Chaguan(茶館), compilation of tea book, and change of Chamamaoyi(茶馬貿易), Chadao(茶道). In Gongchazhidu(貢茶制度), it was determined that Longfengcha(龍鳳茶) was manufactured, which drew patterns as yongbong on the tea lump at yuchayuan(御茶園) of Beiyuan(北苑) to Gongcha(貢茶) the Imperial family. In Yangaocha(硏膏茶) production, shape of Yangaocha(硏膏茶) and production area yangaocha were investigated through data. Besides, this research considered prevalence of Chaguan(茶館), compilation of tea book, and change of Chamamaoyi(茶馬貿易), Chadao(茶道), etc. based on relevant records. Also, in Tea culture in Luyou(陸游) tea poem, this research investigated by dividing into Chashi(茶事), Chaming(茶名), and Chaju(茶具). In Chashi(茶事) part, this research investigated Jianchafa(煎茶法) and Dianchafa(點茶法), which were popular during the Song Dynasty, and investigated Doucha(鬪茶), which competed with its color, frgrance, and taste of tea during the Song Dynasty, and buncha which was added with artistry. Also, investigated in order of Huoshui(活水), Huohuo(活火), which were highly regarded to enjoy this tea drinking life. Then, this research considered famous tea. For example, there were Beiyuancha(北苑茶), Guzhucha(顧渚茶), Rizhucha(日鑄茶), Mengdingcha(蒙頂 茶), Heyuancha(壑源茶), which were Gongcha(貢茶) to the government of Song Dnyasty, also, there were Huaguocha(花(果)茶) such as Juhuacha(菊花 茶), Ganlancha(橄欖茶), Jiangcha(薑茶), and besides, other famous tea appeared. In this poem, which commented about such famous tea, this research investigated unique tea drinking culture of Song Dynasty, effectiveness of tea, producer of tea, and storage method, etc. In Chaju茶具part, this research investigated Tuhaozhan(兎毫盞), Fenglu(風 爐), Chalong(茶籠), Chadang(茶鐺), Wei(磑), Nian(碾) which are Chaju(茶具) that appeared in Luyou(陸游)poem. In Tuhaozhan(兎毫盞) part, this research investigated Tuhaozhan(兎毫盞) of Song Dynasty that had rabbit fur pattern, and in Fenglu(風爐), considered Chading(茶鼎), Chazao(茶灶), etc. that had different name and shape, which had the same use with Fenglu(風爐). Also, in Chalong(茶籠), this research investigated Chalong(茶籠), that was used to pack the tea to store or present a gift. Besides, this research investigated Chadang(茶鐺), Wei(磑), Nian(碾). Luyou(陸游) poems have abundant materials to investigate Song Dynasty tea culture, besides the contents in the above. In the next opportunity, the researcher wishes to additionally investigated various contents related to this.

      • 사회복지사 조직화 방안 연구 : 사회복지노동조합과 전교조 비교를 중심으로

        송인주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전문직 노동자인 사회복지사 조직화방안의 하나로서 사회복지노동조합의 목표, 내적 · 외적 조직화 활동, 성과와 전망들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으로 사회복지기관 노동조합 중에 홀트노동조합(이하 홀트노동조합)과 에바다장애인복지관 노동조합(이하 에바다복지관노동조합)을 선정, 각 연구문제에 따른 사례분석을 실시하고 조직화 주체의 성격과 목표가 사회복지기관 노동조합과 유사한 전문직 노동조합으로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이하 전교조)을 비교사례로 선정, 비교하였다. 사회복지노동조합은 사회복지기관운영을 종사자인 사회복지사가 법적으로 인정된 조직인 노동조합을 통해 감시하고, 협력하여 민주적인 기관운영과 사회복지사의 권익향상, 대상자의 서비스질의 향상을 도모하여 전문적인 사회복지기관으로 자리매김 할 수 있도록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는 것을 주요목표로 한다. 그러나, 사회복지노동조합의 목표 중에 전체사회운동과의 연대, 국가사회복지확보 투쟁, 사회복지사의 전문성향상의 필요성은 존재하나 실제 노동조합을 통해서 미약한 부분으로 나타났다. 사회복지노동조합은 조직활동에서 주로 내적 조직활동에 치중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조직내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집중하여 내부역량을 조직화해야 했기 때문이다. 내적 조직활동은 조합원 수의 부족, 조합의 다양한 지도력형성의 어려움으로 일상활동의 다양성, 계획성, 지속성이 부족한 상태이다. 외적조직화의 경우는 지원을 받는 위주의 활동을 전개하고 있는데 상급노조인 민주노총 공공서비스 연맹과의 활동, 지역성, 접근성, 공동투쟁 가능성을 감안한 지역사회의 노동 · 시민단체와의 연계활동이다. 사회복지기관 노동조합연대모임은 개별노동조합이 주체적으로 전개하는 외부 조직화활동인데, 주도할 수 있는 지도력과 행정력, 조직화 경험이 부족하여 활성화되지 못한 실정이다. 에바다복지관 노동조합 사례를 통해서 지역적 특성을 감안한 지역연대, 지방정부와의 문제해결 필요성이 나타나 지역적연대와 조직화가 사회복지기관노동조합의 주요조직형태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사회복지노동조합과 전교조는 지향하는 목적에 있어서 유사점을 가지고 있는데, 조직의 민주화와 대상자 서비스질의 향상을 모색하고, 노동자의 권익향상, 전문화에도 유사한 목표와 활동내용을 보이고 있다. 더불어 성과에 있어서도 노동조합을 통해서만 확보할 수 있는 단체협약을 통한 권익향상, 기타 투쟁을 통한 조직민주화 및 자주적 단결권 확보의 다양한 양적 성과물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사회복지노동조합의 경우는 소규모의 조직과 전국적으로 5개정도의 낮은 노동조합 조직을을 가지고 있어 전교조처럼 전국규모 노동조합에서 시행할 수 있었던, 제도개혁, 전체 사회운동과의 연대 등을 달성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사회복지노동조합은 국가 사회복지확보투쟁, 전체 사회운동과의 연대를 통한 궁극적인 제도개혁 투쟁을 목표로 수행해야 한다. 사회복지사와 교사가 조직하는 노동조합은 전문가로서의 책임과 윤리를 내포하고 있어야 하며, 이익집단으로의 경제적 투쟁 중심의 활동을 통해서는 사회적 정당성을 획득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국가를 상대로 한 제도개혁을 주요목표로 삼아야 한다. 결론적으로 목표와 성과분석을 통해서 사회복지기관노동조합은 비민주적, 비전문적, 비복지적 기관운영의 고질적인 문제를 해결하는데 적합한 조직화 방안으로 나타났고, 사회복지사 노동조합 조직화는 국가를 상대로 한 투쟁도 수행할 수 있을 정도의 조직화로 이루어 져야 한다. 국가를 상대로 한 노동조합 활동은 산별노조의 형태로 조직화되어야 가능하고, 산별노조 조직화를 위해서 는 지역별 조직화를 통한 조직화 경험축적이 요청된다. 전교조의 전국단일 노동조합으로서 수행한 제도 개선적 성과와 조직화 과정은 사회복지사 노동조합에도 좋은 실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argets, activities for internal and exterior organization, the result, and the prospects of the Social Workers Labor Union, as a part of the programs to organize social workers as professionals. As the objects of the research, the unions of Holt Child Welfare Association (Holt Union) and Ebada Welfare Center for the Handicapped(Ebada Welfare center Union) were selected among others for case analysis of each subject of the study. And the Korean Teachers and Educational Workers' Union(KTU), whose subject of organization has similar property and goals as that of the social welfare institutes unions, was chosen as a professionals union to be compared with them. Social Workers' Union aims to unfold various activities to establish the institute as a professional institute for social welfare, trying to improve democratic operation of the institute, the rights and interest of the social workers, and the quality of service, monitoring and helping its operation by the social workers devoted to the institute through the union that is a legally approved organization. However among these goals, the connection with the entire social movement, the struggle to secure welfare of the national society, and improvement of exportism turned out to be necessary but feeble areas of the unions activity. Social workers' union gives priority to activities for internal organization, concentrating on solution of various problems inside the organization to organize its internal capability. The internal organization activities lack variety of daily activities, planning, and persistency, due to the insufficiency of its members and difaculty of upbringing various types of leadership for the union. The external organizing activities are mainly occupied by searches for support, including cooperation with the Korean Confederarion of Trade Unions'(KCTU) Public Service Federation that is its upper-class union, and linked activities with other labor or citizen groups of the region through considering its local property, accessibility, and possibility of joint struggle. Connection between social welfare institutes union is an external organizing activity subjectively proceeded by each union, which is not activated due to the lack of leadership, administrative ability, and experience of organizing. Necesses of local connection and effort to solve problems with the local government, considering the local characteristics, were raised through the case of the Ebada Welfare Center Union. This indicates that local connection and organization can be important forms of unions of social welfare institutes. Social workers union and the KTU have similarities in their goals. They show similar aims and activities for democratization of the organizations, improvement of service quality, improvement of workers right and interest and their specialization. Besides, both of them have various quantitative results of improvement of their rights and interest by means of the collective agreement that can be confirmed only through the unions, and democratization of the operation and rights of independent unity through other types of struggles. However, the social workers unions have only small-scale organization and small portion of organization, only 5 unions in the whole country. Therefore, there are limitations to achieve reformation of the organization and connection with the entire social movement that could be peformed by the national-scale labor unions like KTU. Social workers labor union should ai at struggle to secure the welfare of the national society and struggle for an ultimate reformation of the systems through the connection with the entire social movement. Labor unions of social workers and teachers should contain responsibilities and morals as professionals. They should aims at reformation of the present systems, treating the nation as their object, because it is difficult to acquire social legitimacy through concentrating their activities on economic struggle as interest groups. Conclusively, through the analysis of their goals and results, social workers union has turned out to be a suitable organization program to settle the chronic problems of undemocratic, unprofessional, and anti-welfare operation of the institutes. Their organization should be done in such a scale as to proform struggles with the nation. Labor unions activities targeting the nation is possible when they are organized as labor unions of each indusoy. Organizing labor unions for each industry require accumulated experience of organizing through the organization of each locality. The results of system reformation and organizing process the KTU performed as a nation-wide single labor union could be good precedents for the Social Workers Labor Union.

      • 세계화 시대 한국의 농업 산업화에 관한 연구 : 축산 부문을 중심으로

        송인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8639

        Recently, the social problems related to food has exploded in Korea, such as mad cow syndrome, mouth and foots disease, livestock price fluctuation. Most problems has been linked to livestock. Especially, many people consider so called ‘factory farming’ or industrial mass production system of livestock as the principal offence which makes foods insecure. Contrast to the massive fear about meat and lots of study available on the globalization impact on Korean agriculture, there are only a few researches about the livestock sector So we don’t know completely why and how far Korean livestock raising has taken a form of factory farming in global era. This study is to analyze changes of Korean livestock industry from the agro-sociological perspective, which considers the capitalist modernization of agriculture as industrialization of agriculture. The industrialization of agriculture meansagriculture and industry get related systemically under the industrial capital and agricultural products and its producing, processing get controlled by the same rule of industrial products and its manufacturing process. As a result, agriculture becomes dependent on industrial inputs such as chemical fertilizer, agricultural chemicals, farming machines, and becomes subordinate to the industrial mass purchasing. Furthermore, industrialization of agriculture makes the farming process resemble the industrial manufacturing process. The industrialization of livestock farming takes form of extensive and intensive development of factory farming based on industrial inputs. Here, we can examine three issues.ⅰ) Tthe impact of market liberalization on livestock food chain, ⅱ) the role of industrial capital, especially agribusiness, in the process of the industrialization of livestockfarming, ⅲ) the contradictions of industrialization of livestock farming and sustainability of food security. To answer for these three issues, we need to analyze the whole process from the rural livestock farms to the urban industry which supports and uses these livestock farming. In other words, through exploring the livestock food chain, we found out the historical dynamics to form, reproduce, and transform the traditional farming in Korea into the industrial farming. Contrary to the notion that globalization brought out the crisis of Korean agriculture, the real revolutionary change of Korean livestock sector was started when the institutionalization was enacted. This means in 1990s, the rapid transformation of livestock farming into a mass factory production style with specializing only one kind of livestock happened finally. through the input of industrial products such as formulated feeds, chemical drugs, utilities and so on. Of course, the changes in livestock farming can be fully realized in the context of global restructuring of world agro-food system since 1990s. The whole historical process of livestock revolution can be divided into three stage in the globalization of Korean agri-food system. ⅰ) From late 1970s to late 1980s, industrial livestock model had been imported and implanted through the market liberalization and growth of grain complex. ⅱ) In 1990s, structural adjustment of agriculture and establishment of production chain governance in agribusiness made factory farming to develop to the full scale. ⅲ) In 2000s, FTA regime accelerated the market opening and touched off the food safety issues. In this context, companies in agro-food system has competed each other under the banner of ‘the quality’. The severe competition led to concentration in agribusiness and affected the livestock industry to evolve into high quality livestock production which made production cost increased. These are three main findings in the historical transformation of livestock industry. First, gradual opening of the Korean agri-food market, since 1978, served as indispensable external condition to industrialize domestic livestock sector. When national market was opened, the government stopped to be an guardian of national agriculture and encouraged rich farmer to go into livestock industry. Farmers also started to seek another opportunity from the rice farming which was protected and promoted for diversified income sources. But it was big companies which took the most advantages than any other from the market opening. They could import the raw materials and new technology more easily and cheaply. As a result they might be the major players in industrialization of livestock business. Also policy of government who dealt on the remodeling and restructuring of agriculture and rural area was weakening direct protection of farmers from the market opening and strengthening the initiative by agri business industry which in result directly and indirectly supported livestock industrialization. Second, the penetration and embracement of urban capital in agriculture industrialization take the technological form of industrial input and processing and distribution of livestock products and organizing form of contract livestock farming. The more related and developed the complex of feed-livestock farming businesses, the more dependent and subordinated. In other words, as grain-meat complex has set up and developed, ‘the real subsumption’ of the farmers to capitalist logic has been furthered and ‘the factory farming’ has become a standard model to livestock raising among farmers specialized in livestock industry.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at industrial feeds sector became the most profitable source of all related sector so it s led the organization in Korean livestock food chain and meat-processing sectors has evolved through the path to internalize this feeds industry into their major corporate governance. Also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of livestock industry and factory farming mainly focused on feeds improvement only. Likewise, farmers have preferred the short term growth through the increase of feeds input to the long term growth through the additional facility investment. The feeds biased industrialization improved the productivity of livestock industry in a short term base, but reinforced external dependency of input materials. Meanwhile the modernization of diet pattern and raising issues of food safety make livestock quality control and management of distribution channel really important which resulted in competition and tension among distribution capitals and processing capitals. But changes among each capitals tend to boost the contract livestock farming and new technology based on bioengineering because it is expected that the contract farming will reduce the cost and bioengineering technology can make a new profitable market. Third, factory farming has contributed to meatification of staple food in Korean ordinary diets through the increase of productivity in livestock production. But factory farming did not improved farmer’s social and economic conditions. Instead, the ecological contradictions inherent in industrial factory farming increased the production costs. Also its inherent problems by industrialization made another consequences like environmental pollution, animal diseases, food accidents, human chronic diseases and so on. These unexpected but should-be corrected issues increased so called ‘external cost’ for solving This made the social tension and conflicts between capital and capital, between farmers and capital, between farmers and government(society). These conflicts are threatening the social sustainability of Korean livestock industry which already has a fundamental weakness of external dependency. This is the essential reason of food insecurity which we Korean is facing with. 2008년 광우병 촛불사태, 2010년 말 대규모 구제역 사태, 2011-12년 축산물 가격파동 문제 등 현재 한국에서 먹거리와 관련된 사회문제의 대다수는 축산과 관련된다. 특히 ‘공장식 축산’으로 알려진 가축의 산업적 대량생산체계는 오늘 육식 위주 식생활의 안전성은 물론이고 곡물 대량수입의 사회적 안정성, 나아가 축산농장 및 농업생태계의 환경안전성까지 위협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과학적 영농’으로 현대화된 축산이 식량보장의 양적·질적 측면은 물론, 한국 농업의 지속가능성에도 문제를 야기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1990년대 이래 수입개방과 한국 농업·농촌에 관한 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정작 한국의 축산업에 대한 비판적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그것이 현재 어떤 상태에 있으며, 또 왜 그런 형태로 ‘발전’해 왔는지에 관해 사회적으로 알려진 바도, 학술적으로 연구된 바도 많지 않다. 식품안전 문제의 원천적 해결을 지향하는 많은 사회운동이 축산식품이 생산되는 전체 생산연쇄를 보지 못한 채 단순히 직접생산자인 농민과 소비자의 의식 및 관계 개선에만 치중하고 있는 것도 이와 관련된 문제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는 농업의 자본주의적 현대화를 농업의 산업화로 이해하는 농업사회학적 관점에서 한국 축산업의 변화와 그것을 가능케 한 사회·구조적 원인을 분석했다. 농업의 산업화는 농업관련 산업자본의 주도 하에 농업과 산업이 체계적으로 연관되는 동시에 농업생산과정과 생산물이 공업과 공산품의 원리를 따라 변화하는 과정을 지칭한다. 축산의 산업화는 산업적 투입물에 기초한 공장식 축산의 확대·심화라는 형태를 띤다. 따라서 한국 축산업의 변화와 현재의 문제적 상태를 설명하려면 수입개방 같이 한국 농업 일반에 작용한 조건 등을 포함하여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쟁점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첫째, 수입개방이 축산부문에 미친 영향, 둘째 산업자본, 특히 농식품기업들이 축산 산업화에서 수행한 역할, 셋째, 축산 산업화의 모순과 그 사회·생태적 효과로서 식량보장 및 농식품체계의 지속가능성. 이 세 질문에 답하기 위해 본 연구는 농촌의 축산농장과 전후방 관련 산업을 포괄하는 축산식품의 생산과정 전체, 즉 축산(상품)연쇄를 대상으로 한국에서 공장식 축산이 형성·정착·변형되어 온 과정과 그 추동력을 밝혔다. 연구 결과 우선 농식품 수입개방이 국내 농업의 위기를 초래했다는 일반적 통념과 달리 한국의 축산은 수입개방이 제도화되는 1990년대에 오히려 혁명적 변화를 경험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하나의 축종에 전문화되어 농장내 양축방법을 공장식으로 조직화한 대규모 기업형 축산농의 증가로서 ‘축산혁명’이 한국에서 1990년대에 일어났다는 것이다. 물론 그러한 변화는 1980년대 이후 본격화된 세계 농식품체계의 구조조정을 배경적 조건으로 이루어진 국내 농업구조조정 과정의 일부였다. 그 구체적인 변화 과정은 1978년 이래 크게 세 차례에 걸쳐 확대·심화되는 수입개방 또는 한국 농식품체계의 세계화 단계를 따른다. 첫째, 1970년대 말부터 1980년대에 걸쳐 진행된 수입자유화와 곡물복합체의 고도성장에 따른 산업축산 모형의 착근, 둘째, 1990년대 농업구조조정과 농식품자본의 생산연쇄 지배구조 확립에 기초한 공장식 축산의 본격적 확산, 셋째, 2000년대 FTA체제로 가속되는 개방과 식품안전성 쟁점의 확산, 그리고 시장 포화의 압력 등을 배경으로 한 농식품자본의 집중과 산업축산의 굴절된 고도화. 각각 산업축산 구조의 형성, 구조적 동역학의 확립, 구조의 변형과 효과(또는 한계)로 집약되는 축산업의 변동 과정에서 도출될 수 있는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1978년 시작되고 현재까지 지속되는 한국 농식품시장의 단계적 개방은 국내 축산업이 산업화되는 데 필수적인 외적 조건으로 작용했다. 개방은 국가를 농업보호의 일선에서 물러나게 했을 뿐 아니라 쌀농사에 집중되어 있던 농민층이 다른 영역에서 생존을 모색하게 만들었다. 특히 정부는 상대적으로 경제적·사회적 여력이 있는 농민이 축산업으로 전향하도록 촉진했다. 그러나 무엇보다 시장개방의 혜택을 가장 크게 받은 것은 대기업들이었다. 미국의 곡물수출 압력을 배경으로 시작된 시장개방은 사료산업이나 육가공산업에 포진한 농식품 대자본에 의한 원료와 기술 도입을 용이하게 만들어 이들이 주도하는 축산 산업화를 가능케 했다. 또 시장개방에 대응하는 정부의 농업구조조정 정책은 농민에 대한 직접적 보호·후견은 약화시키고 농식품체계 내 기업의 주도성을 강화함으로써 축산의 산업화를 직간접적으로 지지했다. 둘째, 농촌의 축산업에 대한 자본의 침투·포섭은 투입재의 공급과 생산물의 가공·유통과정이라는 기술적 형태, 그리고 계열화를 포함한 계약영농이라는 조직적 형태를 취한다. 곡물-축산 복합체가 형성·발전할수록 실질적 포섭의 정도가 심화되고 그것이 전업 축산농을 중심으로 하는 공장식 양축법의 일반화를 야기했다. 특히 국내 축산연쇄는 사료부문을 중심으로 조직되기 시작했고, 이후 육가공 부문의 자본도 식육가공에 비해 수익성이 더 큰 사료생산을 내부화하는 방향으로 생산연쇄 지배구조를 형성했다. 또 농장에 권장되는 축산기술의 개발 방향 역시 사료-편향적 궤도를 취했고, 축산농가도 대규모 자본의 투입을 필요로 하는 설비보다는 사료투입의 확대를 통해 동일한 설비에서 더 많은 가축을 사육하는 전략을 채택했다. 국내 축산업의 사료-편향적 산업화는 단기적으로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켰지만 투입물의 대외 종속성은 강화시켰다. 한편 식생활의 현대화 경향 그리고 식품안전문제의 부상에 따라 축산식품의 품질 관리가 중요해지는데, 이는 산업적 성격이 강한 유통자본의 부상과 결합되어 자본간 경쟁·갈등을 심화시켰다. 그러나 자본간 관계의 그러한 변화는 농촌 축산업 전반으로는 오히려 계약영농 형태의 조직적 포섭이나 생명공학 같은 신기술을 활용한 기술적 포섭을 강화시키는 데 기여한다. 셋째, 공장식 축산은 축산식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킴으로써 한국인의 식생활에서 주식의 육식화를 가져오는 데 기여했다. 그러나 그것이 축산농가 전반의 사회경제적 조건이나 지위를 향상시킨 것은 아니며, 특히 그 양축방법에 내재한 고유한 생태적 모순은 생산비용의 상승을 초래했다. 달리 말해 공장식 양축으로 대표되는 자본주의적 축산업은 신진대사의 균열이라는 근원적 한계로 인해 끊임없는 기술적 수선에도 불구하고 환경오염, 가축질병의 증가, 식품안전사고, 대중보건의 악화 등 이른바 외부비용의 문제를 심화시켰다. 그 결과 생산비용뿐만 아니라 생태적 외부비용을 둘러싼 자본과 자본, 농민과 자본, 농민과 국가(또는 사회) 사이의 사회적 긴장과 갈등이 증폭되고 있다. 그리고 이는 한국 축산업의 대외종속성이라는 근본적 한계와 맞물려 농업생산의 환경적 조건이 급변하는 오늘 한국 축산업의 사회적 지속가능성을 위협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오늘 한국사회가 처한 식량불안의 본질적 원인 중 하나가 바로 이것이다.

      • <孔雀東南飛> 難句 硏究

        송인주 제주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Since Kongque dong nan fei attracted people’s attention years ago, most of the studies on Kongque dong nan fei have been focused on the interpretation of difficult phrases. New research sometimes raise objections to previous research, thus, there is the constant reinterpretation of the same difficult phrases. Searching for the correct interpretation of difficult phrases is the foundation to studying foreign literature. To truly understand the Kongque dong nan fei, the study of difficult phrases in Kongque dong nan fei should continue. In Korea, there are researches on the difficult phrases in Kongque dong nan fei; however most of the interpretations and explanations are similar because concurrent researches affect and influence each other. Furthermore, there are incomplete interpretations due to hard to understand parts and problems connecting plots. This paper examined and compared various existing theses, and interpreted materials of both Korean and Chinese scholars. Difficult phrases are defined as phrases that scholars interpreted differently and phrases that have not been thoroughly researched but can be valuable interpretations from a new point of view. Ten phrases were selected as difficult phrases. These phrases have not been studied in Korea, thus, their interpretations are from a new point of view.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facilitate the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Kongque dong nan fei. It is written in the hopes that further studies beyond the ten phrases included here will be completed on the Kongque dong nan fe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