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배전자동화 중앙장치에서 새로운 알고리즘을 통한 단말장치의 고장표시정보 오류 개선 방법

        서정수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paper, a new method of FI(Fault Indica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FRTU(Feeder Remote Terminal Unit)s is proposed for the present DAS(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In order to find fault area, correct FI information should be generated. But when a single line-to-ground fault occurs, FI information is generated in downside of the fault in some circumstance because existing FI algorithm considers only magnitude. These wrong FI information can be removed by changing existing algorithm. An improved algorithm considers both the direction of zero-sequence current and the phase of three-phase current&voltage. But many FRTUs are distributed in DAS and Changing the algorithm all of FRTU will spend a lot of time and cost. On the other hand, a new algorithm proposed in this paper can substitute for it. The new algorithm also considers both the direction of zero-sequence current and the phase of three-phase current&voltage. In case study, the proposed method has been shown the reasonability in improving the fault indication information. 국내 배전자동화 시스템은 전력계통 운영기술과 IT 기술을 이용하여 원거리에 산재해 있는 배전선로용 자동화 개폐기와 물리적으로 연결 설치되어 있는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FRTU : Feeder Remote Terminal Unit)에 원격으로 감시하거나 제어하는 명령을 내리고, 고장을 자동인지하고 고장구간을 자동 판단하며, 전압, 전류, 고장파형 등의 선로 운전 정보를 자동으로 수집하여 배전계통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종합제어 시스템이다. 배전계통은 수용가와 직접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배전계통을 운영하는데 있어서 전력공급의 신뢰도는 가장 중요한 개념 중의 하나이다. 설비고장이 발생하였을 때 빨리 복구하는 것은 수용가의 정전시간을 줄여 전력공급신뢰도를 높이는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된다. 그런데 ‘Yes-No'방식 고장표시 알고리즘은 배전계통은 방사상계통으로 부하단에서 고장전류가 공급되지 않으며, 단상해석으로 배전계통이 해석가능하다는 기본가정을 하고 있다. 그러나 배전계통은 불평형부하를 갖는 3상계통이며, 분산전원이나 부하측의 전동기로 인하여 고장시에는 부하단에서 고장전류가 공급될 수도 있기 때문에, 이 ‘Yes-No'방식 고장표시 알고리즘의 기본 가정이 성립되지 않기 때문에 많은 오류가 발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고장구간 검출방법을 설명하고 현재 사용되고 있는 고장표시 정보 생성 알고리즘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고장전류의 방향을 이용하는 새로운 고장표시 정보 생성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사례연구에서는 제시한 알고리즘의 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한 컴퓨터 시뮬레이션 결과를 제시하였다.

      • 중첩웨이브렛 변환과 엔트로피 제한 Lattice 벡터 양자화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

        서정수 建國大學校 大學院 199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presents an image coding technique employing an overlapping wavelet transform(OWT) and an entropy constrained lattice vector quantizer ECLVQ). Wavelet transformed image has properties of multiresolution image coding and in according to human visual system(HVS). In multiresolution image coding, available versions of the original image at different resolution are easily obtained. ECVQ, aiming at the minimizing of the distortion for a fixed entropy of the quantizer output, is well combined with the multiresolution image coding which yields high compression ratio and good image quality. But ECVQ has coding complexity which grows exponentially with the vector dimension and large codebook size. Unlike ECVQ, ECLVQ has lower coding complexity in comparison with ECVQ. In the proposed technique, the OWT-ed image is formatted into vector in according to the amplitude of energy in the band. Bands of multiresolution decomposed image using a wavelet transform have horizontal, vertical, disgonal components. Then a structured ECVQ, i.e, ECLVQ is employed to encode the formatted vectors. The variable-length code table size, which grows exponentially with the vector dimension and bit-rate are greatly reduced by grouping the similar codes. In a word, vectors which have a same absolute value are grouped in a code vector for reducing codebook size. In addition to Optimal index, scale factor and sign bit are encoded and transmitted by the additional information.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technique is evaluated by the computer simulations, and compared with the unstructured ECVQ using wavelet transform and based on the conventional VQ by graph of PSNR vs. bpp. It is found that the OWT-ECLVQ has a few lower performance to the ECVQ using wavelet transform, while the OWT-ECLVQ has an advantage over the ECVQ using wavelet transform in terms of the encoding complexity and the reduction of the blocking effect.

      • 바흐(J. S. Bach)의 솔로 칸타타 BWV 55 <나는 비참한 사람, 나는 죄의 종이니>(Ich armer Mensch, ich Sündenknecht) 연구

        서정수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는 기악음악 뿐 아니라 칸타타(cantata), 수난곡(passion), 오라토리오(oratorio), 미사곡(mass), 모테트(motet)등 다양한 장르의 성악용 교회음악을 작곡하였다. 특히 바흐가 속한 루터교회의 예배에서는 코랄을 기초로 한 칸타타가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컸으며 바흐는 교회력에 맞추어 많은 수의 칸타타를 남겨 예배음악에 공헌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바흐가 작곡한 칸타타에서 가사와 음악이 어떻게 상호작용을 하며 예배를 돕는 음악으로 기능했는가에 주목하였다. 이에 바흐의 유일한 테너 솔로 칸타타 BWV 55 <나는 비참한 사람, 나는 죄의 종이니>(Ich armer Mensch, ich Sündenknecht)를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BWV 55는 1인칭 시점에서 죄를 회개하는 고백적인 내용이기에 오늘날의 예배와도 연관되는 부분이 많다. 바흐는 자신을 고용한 교회나 궁정에 따라 그곳에서 필요로 하는 음악을 작곡하였기에 그가 머물렀던 지역에 따라 작품의 경향이 달라졌다. 그가 마지막으로 머물렀던 라이프치히의 성 토마스 교회에서 가장 많은 수의 칸타타를 작곡하였고 이 작품 역시 성 토마스교회의 예배를 위하여 작곡된 곡이다. BWV 55의 제1곡인 아리아 <나는 비참한 사람, 나는 죄의 종이니>는 핵심단어를 단2도의 하행선율로 반복 표현하여 각인함으로써 참회와 비통함을 표현하였다. 또한 반주에서의 관악기와 현악기의 대위적 구조로 주인과 종의 대화를 음악적으로도 표현하였다. 제2곡 레치타티보인 <나는 하나님을 거역했습니다>는 외로운 죄인을 표현하기 위하여 콘티누오로만 반주를 하며 하나님을 표현하기 위하여 높은 음역의 B♭을 사용하였다. 제3곡 아리아 <자비를 베푸소서>는 네아폴리탄 6화음을 중심 단어인 ‘자비’에 사용하여 색채를 입혀 강조하였다. 제4곡 레치타티보 <자비를 베푸소서>는 레치타티보는 확신과 자신감으로 가득 찬 구속받은 이의 모습을 B♭장조를 사용하여 보여주었다. 마지막 곡인 제5곡은 코랄이며 플루트, 오보에, 바이올린, 비올라와 4성부 구성이다. 하나님의 은혜와 자비에 고백하는 가사로 되어있다. 분석을 통하여 바흐는 가사의 내용에 따른 악기 사용, 성부의 구성과 진행, 음형의 모양과 배치, 변성화음의 사용, 특정한 음고의 사용, 조성 등 여러 음악적 요소들을 섬세하게 활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즉 바흐는 가사의 전달을 위하여 용의주도하게 음악적 요소들을 고려하여 메시지의 매개로서의 음악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였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 내용을 적용해 본다면 오늘날의 예배음악의 작곡과 연주에 있어서도 가사를 전달할 음악적 장치들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작곡가와 이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표현하려는 연주자의 섬세한 작업이 필요하다고 보인다. *키워드 : 바흐 칸타타, 솔로 칸타타, BWV 55, 아리아, 레치타티보, 코랄 ABSTRACT A Study on Solo Cantata BWV 55 <Ich armer Mensch, ich Sündenknecht> by J. S. Bach JungSoo Seo Department of Church Music (Voice) Chongshin University Graduate School Johann Sebastian Bach(1685-1750) wrote not only instrumental music, but also various genres of church music for vocal music such as cantata, passion, oratorio, mass, and motet. In particular, in the service of the Lutheran church to which Bach belongs, cantata based on the choral played an important role. Bach contributed to church music by composing a large number of cantatas in accordance with the church calendar. This study focused on how lyrics and music interacted in Bach's cantata and functioned as music to boost worship. It chose Bach's only tenor solo cantata BWV 55 <Ich armer Mensch, ich Sündenknecht> as a subject. BWV 55 took a form of confession and repentance of sins from a first person point of view, so there are many parts related to today's worship. The characteristic of Bach’s music depended on the churches or courts he belonged because he had to write the work which was needed. He wrote the largest number of cantatas at the St. Thomas Church in Leipzig, where he last stayed, and this piece was also composed for the service of St. Thomas Church. The first song of BWV 55, Aria, <Ich armer Mensch, ich Sündenknecht>, expressed repentance and bitterness by repetitively expressing and imprinting the key words in a descending melody by the interval of minor second. Also, the dialogue between the master and the servant was expressed musically through the counterpoint structure of wind and string instruments in the accompaniment. The Second song, Recitativo <Ich habe wider Gott gehandelt>, was accompanied by only a continuo to express a lonely sinner, and a high B♭ note was used to express God. The third song aria, <Erbarme dich!>, emphasized ‘mercy’ by Neapolitan 6th chord, adding tone color. The fourth song, Recitativo, <Erbarme dich!> shows a redeemed sinner full of confidence in B major, which is the first major key in BWV 55. The fifth song, is a choral with a flute, an oboe, a violin, and a viola. It is written in praise of God's grace and mercy. Through all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Bach deliberately utilized various musical elements according to the the lyrics, the form and progress of the voices, the shape and arrangement of the figures, the use of Neapolitan 6th chord, the use of a specific pitch, and key of the work.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Bach used music as a medium of message by considering musical elements for the delivery of lyrics. Applying these study to contemporary church music, composers should deliver biblical message by using musical devices more delicately and a performer also might understand accurately the principle of compositions. *Keywords: Bach Cantata, Solo Cantata, BWV 55, Aria, Recitativo, Chorale

      • PET 기재에 사용하는 아크릴 primer 물성에 영향을 주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체인 길이에 대한 의존성

        서정수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LCD(Liquid Crystal Display)용 광확산 필름이나 프리즘 시트의 PET필름과 아크릴계 레진 사이의 호환성을 향상시켜 우수한 광학특성과 접착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라이머 코팅액의 베이스물질인 아크릴계 코폴리머를 유화중합으로 합성하였다. 최적의 반응조건은 단량체인 methylmethacrylate (MMA)와 butyl acrylate (BA)의 몰 비를 8:2로 하고, 모노머 고형분 40 wt%, 개시제인 KPS 1wt%, 계면활성제로 SDS 1-2 wt%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Triton X series 1-3 wt%를 사용하여 반응온도 60℃와 교반속도 200 rpm이었다. 또한 합성한 라텍스 35 wt%, 멜라민 15 wt%, 분산제 Triton X series 1-7 wt%의 조성에서 최적의 외관성 (visibility), 투과도(hazeness), 상온과 고온(steam exposure)에서의 접합특성을 관찰하였다. 이때, 사용된 Triton X-series는 친유성의 4-(1,1,3,3-tetramethylbutyl)-phenyl group과 친수성인 ethylene oxide chain 반복단위를 함유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데, ethylene oxide체인이 가장 긴Triton X-705를 2-3 wt% 함유한 조액에서 가장 큰zeta potential과 hazeness, visibility그리고 상온과 고온에서의 접착특성이 최대의 값을 보였다. 결국, PET필름과 아크릴계 재질 사이의 광학 및 접합특성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Triton X 의 체인길이와 농도에 의존하는 특성을 보였는데, 이는 라텍스와 매질 사이에서 에틸렌 옥사이드의 electrostatic potential(정전기 전위차)과steric hindrance(입체장애) 효과가 우수한 광학 및 접착 특성을 부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IS-95 CDMA를 기반으로 하는 실시간 동영상 모빌 시스템

        徐廷守 翰林大學校 大學院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With the maturity network technology, the Mobile System of Real-time Moving Picture is method of data Re-processing. The Data Re-processed System need to be changed in compared with transmission speed.It is impossible to represent the data in the client with the real-time and not permitted on the IS-95 CDMA environment. In this thesis, we proposed that the Mobile System of Real-time Moving Picture is based on IS-95 CDMA with the method of object Pre-processing The Object Pre-processed System consists of objects matching with the change of each transmitting speed and link and real-time playing is carried out easily without requiring of data Re-processing. The data Re-processing has the 5,8% time-delay for the real-time in the minimum, comparing with the Object Pre-processed System. In the abbreviation policies, the 28.5% time gain of the screen reduction method is more effective than that of the frame deletion method. In the IS-95 CDMA environment, only predicting model of the screen size 88×60 serves the real-time playing and most effective in the UDP mode service.

      • 제품 원가기획 기능을 갖는 웹 기반 PDM 시스템에 관한 연구

        서정수 한밭大學校 産業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PDM은 모든 제품과 관련된 정보와 제품과 관련된 모든 공정들을 관리하는데 사용되는 기술이며 이러한 개념을 Web과 연동 함으로써 제품 정보 관리 기능의 활동범위를 높이고, 정보의 사용성 및 활용도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동시공학의 중요한 도구로서 Web을 기반으로 한 PDM의 활발한 연구틀 통하여, 오늘날 기업들이 신제품을 짧은 리드타임과 고품질, 낮은 원가로서 시장에 내놓아야 하는 어려운 현실에 직면함에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원가기획 기능을 구현하는 방법론의 제시 및 Web 환경 기반을, 구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원가를 추정하는 방법과 원가기획 기능을 지원하는 새로운 기능을 정의한다. 기존 상용 시스템에 관한 문제 해결 및 기본적인 PDM 시스템의 기능에 제품 원가기획 기능을 추가하여 웹 환경을 기반으로 하는 시스템을 구함으로써 이를 바탕으로 설계자가 원가를 고려하면서 제품설계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PDM(Product Data Management) is to construct the methodology for enhancing a manufacturing capability of a company by sharing the product information. Through the liason of PDM and the Web we expect the extensive sharing of the information and convenience in the usages, it also proides the enhancement of productivity in the company. In this study, PDM get into new Paradigm which constructs Concurrent Engineering. The price of industrial products used to be determined by measuring the actual cost incurred over the manufacturing processes. We examine the casde study on the Web based PDM implementation under the given target cost, new PDM system will provide the design engineers with cost information We developed the Web_based PDM systems to solve those problems that was referred above through this research.

      • 지식경영 활동 및 기업의 조직문화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경상남도내 입주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서정수 昌原大學校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식경영 활동 및 기업으 조직문화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경상남도내 입주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 창원대학교 경영대학원 경영학과 서 정 수 본 연구에서는 지식경영에 대하여 지금까지 진행되어온 국내&#8231;외 선행연구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지식경영 활동의 결정요인과 성과요인을 새롭게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국내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이를 실증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중소기업 실정에 맞는 지식경영 활동의 결정요인과 성과요인을 도출하여 지식경영에 대한 개념을 확실히 하고 실무적드로 중소기업의 지식경영을 도입하는데 실질적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지식경영 활동이 지식경영 성과에 미치는 효과가 조직문화로서 혁신적 문화와 협력적 문화의 정도에 따라 어떻게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하고 하였다. 연구모형에서 제시된 가설은 이론적 배경에서 선행연구들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제시하였다. 변수를 측정하기 위한 문항의 선정은 선행연구에서 검증된 문항을 응용하였다. 그리고 문항의 측정을 위해서는 주로 응답자들의 주관적인 인지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리커트 5점 척도를 이용하였다. 조사기간은 2012년 2월 1일에서 2월 29일까지 실시하였다. 종속변수인 개인업무 효과성, 조직업무 효과성, 기업간업무 효과성은 상호간 높은 유의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개인, 조직 및 기업간의 업무가 상호 유기적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지식경영의 구성요소인 지식획득과 지식이전 간에도 높은 유의적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나 지식경영 활동이 독립적이기 보다는 상호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지식경영 활동들이 업무처리에 따른 성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그러한 관계에서 조직문화의 조절효과를 실증분석을 통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자료수집에 따른 문제라든가 측정 및 분석방법상의 문제 등으로 인하여 본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 데는 한계가 있으며 또한 완성된 연구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추후 연구과제로서 더욱 심층적 연구가 필요하다.

      •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에서 청해 중심의 교실영어를 통한 효과적인 지도 전략의 요건 : 의사소통의 맥락에서 듣기 중심의 교실영어전략

        서정수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 수업, 즉 TETE(Teaching English through English)는 교육 정책적인 면에서 수차례 권장 되고 시도 되어 왔지만 사실상 수업 현장에서 원활하게 시행되지 못하고 있다. TETE가 여러 가지 교육 정책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교실 현장에서 사실상 원활히 적용되지 못하는 것은 현장 수업의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여러 가지 난점 때문에 발생될 수 있다는 것을 배제할 수 없을 것이다. 본 연구는 TETE의 이와 같은 도입 단계의 문제점을 고찰하고 보완하는 과정에서 청해 중심의 교실 영어가 왜 필요한 것인지를 논할 것이며, 특히 TETE가 도입 단계에서 보다 원활히 시행되기 위해서 우선적으로 촉진되어하는 기능을 표현기능보다는 이해 기능인 즉, 교실 영어에 대한 청해 능력으로 보고, 이에 대한 수업 전략을 다루고자 한다. 결국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TETE에서 전반적인 청해력을 개선할 수 있는 교실 영어 사용 전략을 통하여 TETE를 현장 수업에 보다 효율적으로 도입시키는 계기를 마련하는데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해력 중심의 교실 영어 전략에 관한 연구 방법론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공통된 개념의 연구 방법론을 다시 세부적인 요건으로 분류하여 논하고자 하며, 실제 수업에서는 다음의 3가지 요건의 지도전략을 통합하여 적용하였다. 첫째 요건은 청해 가능한 교실 영어 구사력을 통해, 이해 가능한 입력을 제공하기 위한 지도 전략이다. 교사는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는 교사 언어와 지속적인 교실 영어 전략을 사용함으로써 학생들의 듣기 수행능력을 개선시킬 뿐만 아니라 교사 자신의 교실 영어 구사력을 개선해야 된다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둘째 요건은 수업 통제 및 분위기 조성에 관한 교실 영어 사용을 통하여 청해 방해 요인을 제거하는 전략이다. 수업 분위기 통제가 제대로 되지 않는 현상은 교실 붕괴의 한 사례로 나타난 적이 있다. 아무리 이해 가능한 교사언어도 소란스런 교실에서 제대로 이해될 리가 없을 것이다. 이러한 문제는 영어로 진행하는 수업에서 반드시 해결해야할 치명적인 문제이다. 셋째 요건은 수업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체계적이고 계획적인 수업 전략의 수행이다. 즉 영어로 진행하는 수업을 도입 시킬 때, 아무른 계획 없이 처음부터 무리하게 시작한다면 큰 부작용이 발생할 것이다. TETE가 시행상의 착오로 중단되는 사례가 발생하지 않기 위해서, 체계적이고 계획적인 수업 전략은 청해 중심의 교실 영어 수업에서 동시에 이루어 져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위와 같은 3가지 요건에 근거한 수업 전략의 효율성을 검증하는 연구 방법으로써, 듣기 중심의 TETE로 수업한 실험반과 그렇지 않는 통제반간의 듣기성적의 차이를 알아보기로 하였다. 실험 전 준비기간에서는 두 반의 동질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동일한 조건의 수업을 하였다. 즉 실험 전 준비 기간에서는 두 반 모두 가장 기초적인 교실 영어 외에는 거의 모두 한국어로 수업을 했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즉 실험 전에는 두 반 모두 동일한 학습 조건을 유지하되, 특히 실험반에서는 차후 갑작스레 많은 양의 원어 수업으로 인한 부담감과 부작용을 줄이기 위하여 준비 기간을 두었던 것이다. 이와 같이 영어로 진행하는 수업이 원활하게 진행되기 위해서 단계적 준비기간을 채택하게 된 근거는 선행 연구에서 다시 언급하기로 한다. 실험전 동실성 검정을 위한 평가 도구는 EBS 전국 영어 듣기 평가이다. 그리고 실험 후 수업 효과를 검정하기 위하여 중간고사와 기말 고사의 듣기 수행평가의 결과를 반영하였다, 여기서 교내의 2차례의 정기 고사를 반영하게 된 근거는 다음과 같다. 즉 이와 같이 두 정기 고사를 반영한 것은, 실험 수업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평가 내용이 실제 수업한 내용과 일치시킴으로써, 수업 효과 검정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었다. 다만 이 연구에서 한 가지 제한점이 있다. 원어 수업에서 청해력 중심의 교실 영어 수업이라 할지라도 실제 영어로 진행하는 수업의 활동은 완전히 듣기와 말하기 기능을 완전히 분리하여 수업을 진행하기가 어려웠다. 왜냐하면 듣기 능력 개선을 위한 수업 연구도 결국 수업 과정에서는 청자의 이해 수준을 확인하기 위해서 간단한 말하기를 통하여 청자의 반응을 확인할 필요가 있었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듣기 수행 능력의 향상도 궁극적으로 의사소통을 하기 위한 매개체이자 과정이며, 보다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활성화하기 위한 청해 중심의 수업은 듣기 자체만의 훈련만으로 보다 효과적인 듣기 기능을 강화시키는 데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듣기 능력의 효과를 더욱 강화시키기는 과정에서, 청해할 기본 단어의 정확한 발음을 미리 듣고 모방하여 발화하는 연습을 시키거나, 또한 이미 청해했던 대화의 핵심 표현을 간단한 역할 놀이를 통해서 그 기능을 더욱 강화시켰다. 본 연구가 의사소통능력을 촉진하기 위한 맥락에서 청해 중심의 교실영어 사용 전략을 채택한 것도 바로 그러한 이유에서이다. 그러나 결국 본 논문의 전반적인 연구 방법은 청해 중심의 교실 영어를 통한 TETE의 전략적 요건을 실제 수업에 적용시키는 것이었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실험 수업 이전에는 실험반과 통제반의 두 집단 동질성 검증에서 유의미한 결과에 따라 두 집단의 듣기 성적이 동질성이 유지된 것과는 달리, 실험 수업 후 2차례의 듣기 평가(중간고사와 기말 고사)에서는 실험반이 통제반에 비해 듣기 성적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본 연구의 실험 수업의 결과 두 집단간의 이러한 유의미 차이에 의하여, 청해 중심의 교실 영어 수업 전략의 효과를 검증할 수 있었다. 이러한 실험 수업의 결과 , 학생들은 대체로 영어로 진행하는 수업의 도입 단계에서 교사 언어(Teacher Talk)를 통하여 교실 영어를 이해하는 속도가 빨라졌고, 교사는 통제 전략적 교실 영어를 통하여 수업 진행과정에서 청해를 방해하는 요인을 제거함으로써 수업의 흐름을 더욱 원활하게 하였으며, 또한 학생들에게 체계적인 수업 모형의 이해를 촉진하는 교실 영어에 대한 청해도를 향상시켰다. 결국 본 논문은 교실 현장에서 TETE를 처음으로 도입시키는 현장 교사들에게, 실행 가능한 TETE의 페러다임을 제공하는 계기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