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歸因性向과 學習習慣과의 關係

        박순규 公州大學校 1994 국내석사

        RANK : 247631

        Ⅰ. PROBL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1.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ttribution tendencies and learning habits. 2.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ttribution tendencies and concentration. 3.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ttribution tendencies and the art of loaming. 4.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ttribution tendencies and self-study attitude. For these ahns, the following hypotheses are set up ; 1. There will be differences in learning habit according to the attribution tendencies. 2. There will be differences in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attribution tendencies. 3. There will be differences in art of learning according to the attribution tendencies. 4. There will be differences in self-study attitude according to the attribution tendencies. Ⅱ. METHOD 〈Subject〉 To test these hypotheses, 400 students (200 boys and 200 girls) of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Kong-ju city, Chungnam were sampled as subjects this study on May 1st. - 7th, 1993. 〈Instruments〉 Two instruments were used for this study ; 1. In order to measure locus of control, ¡ºAttribution Tendencies Test¡≫ by Lee Young-jae were used. 2. In order to measure loaming habit, ¡ºleaming Habits Test¡≫ by Lee Hye-Sun were used. Ⅲ.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seores between attribution tendencies and learning habits (Grop = P<.001, Sex = P<.05). 2.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scores between attribution tendencies and concentration (Grop = P<.01). 3.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scores between attribution tendencies and art of learning (Grop = P<.05). 4.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scores between attribution tendencies and self - study attitude (Grop = P<.01, Sex = P<.01) Ⅳ. CONCLUSION From this study, It was observed that there were clear differences in learning habit according to the locus of control.

      • AlxGa1-xAs double heterostructure LPE 성장과 특성연구

        박순규 全北大學校 198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LD and LED in the form of GaAs/A1_x Ga_1-x As, A1_y Ga_1-y As/A1_x Ga_1-x As double heterostructures were fabricated by LPE method on the substrate of n-type GaAs with carrier concentration 2∼4×10^18/㎤. The thickness of the active layer played a great role in an efficiency of this device and wh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substrate and Ga-melt was above 6℃, it was possibe to obtain thin layers of thickness down to 0.4㎛. The position of p-n junction was able to be confirmed by measuring the EBIC with SEM. The LD and LED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using I-V, L-I, and EL measurements.

      • 초등학교에 있어서 인터넷의 교육적 활용 실태에 관한 연구 : 목포시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박순규 목포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미국을 비롯한 선진 10개국은 20C 중반부터 컴퓨터를 이용한 정보화사회에 돌입하였고, 1990년대에는 컴퓨터와 컴퓨터가 연결되는 인터넷 시대로 접어 들었다. 우리 나라도 이런 추세에 맞추어 각 학교 및 직장에 컴퓨터가 보급되었고, 동영상 및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교육이 필수적이 되었다. 이어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을 활용한 교육이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불가피한 문제라는 인식아래 현재의 교육 현장에서 인터넷 교육 활용 실태를 조사하게 된 것이다. 이 조사를 통하여 파악된 사실들을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초등학교 교사들의 컴퓨터 활용도를 살펴보면 문서작성이 가장 많았고 다음이 컴퓨터 통신, 컴퓨터 보조수업, 자료관리, 스프레드시트의 순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아직은 교육 현장에서 컴퓨터를 가지고 수업에 활용하는 것은 아주 미비한 것으로 해서된다. 따라서 앞으로 많은 교사들이 컴퓨터를 문서작성에만 의존할 것이 아나라 멀티미디어에도 관심을 가져 활용범위를 넓혀 수업에 많이 활용하여야 할 것으로 본다. 인터넷에 대한 공부를 하고 있는가에 대한 질문결과, 51.5%만이 공부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아직도 많은 교사들이 인터넷에 관심이 없는 것으로 보여진다. 전체적인 분석에서 인터넷 개념을 정확하게 알고 설명할 수 있다는 46.8%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아직도 많은 수의 교사들이 인터넷 지식 수준이 낮은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교사자신들이 인터넷에 관심을 가져서 자기연수를 통해 폭넓은 이해와 지식 경험을 갖춰야 할 것이다. 인터넷을 이용한 수업이 필요하느냐에 관한 질문에서는 89.5%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그리고 인터넷을 이용한 수업이 필요한 이유에 대하여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로 나타났으며, 인터넷을 이용한 수업이 필요하지 않은 이유에 대하여는 정보 찾는데 시간이 많이 걸려서, 학교교육과정과 맞지 않아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터넷을 이용한 수업이 필요하다고는 모두가 인식하고는 있으나, 시간이 부족하고 학교 교육과정과 상치되기 때문이라고 해석된다. 따라서 단위수업시간을 통합적으로 운영하고, 보다 나은 하드웨어 사양과 더불어 인터넷 전용선을 설치하여 정보를 찾는데 시간을 줄여 수업활용에 적극 이용해야 할 것으로 본다. 인터넷을 수업에 활용하지 않는 이유에 대하여는 53.4%의 교사들의 시스템이 갖추어지지 않아서로 응답하였고, 수업에 적용하기 어려워서도 22.0%나 되었다. 그리고 인터넷을 수업에 활용하기 위해 꼭 필요한 것을 고른다면에 대한 응답을 보면 컴퓨터 및 장비보급이 53.6%, 수업에 활용하기 위한 방안이 20.7%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교육현장에서는 컴퓨터 및 장비 보급이 시급한 것으로 보여지며, 인터넷을 이용한 교수⦁학습 자료 제작 및 학습지도 방법이 적극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보여진다. 인터넷의 사용경험 및 수업활용 빈도에 대한 조사 결과 78.9%가 사용경험이 있다고 하여서 인터넷에 대한 관심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터넷 사용 목적에 대해서는 정보검색기능으로 응답하였다. 또 활용 형태를 보면 정보검색과 개별학습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수업 활용시 문제점에 대한 질문 결과 46.6%가 수업시간이 부족하다라고 응답했으며, 인터넷 수업활용을 위한 방안에 대한 질문에서는 51.5%가 시스템구축과 수업 활용 형태제시, 인터넷 사용자 교육 순으로 응답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시스템 구축이 제일 시급한 과제이며 교사 스스로 자기 개발을 할 수 있도록 여건 조성이 절실히 필요하며, 전문인력확보와 교사의 연수 기회 확대가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으로 본다. 본 연구를 통해서 밝혀진 여러 가지 결과에 기초하여 다음과 같이 몇 가지 제안을 하고자 한다. 첫째, 인터넷을 수업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하드웨어의 확보나 접속, 유지의 문제가 아니라 학습에 어떠한 효과를 가져오는가에 대하여 물음을 던지고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하여 알게 하는데 초점을 맞추어야 할 것이다. 둘째, 인터넷의 교육적 활용을 통한 학습에 효과적이고 효율적이기 위해서는 담당 교육기관이나 교사집단 속에서 자생적으로 충분한 연구를 거쳐 인터넷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지식, 경험을 먼저 갖추어야 한다. 셋째, 각급 학교에서 자체적으로 모든 교사들을 대상으로 인터넷 사용자 교육을 실시하고 웹검색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전문 소프트웨어 개발이 있어야겠다. 넷쨔, 인터넷이 학교 현장에서 교육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행정적이고 제도적인 지원이 수반되어야 한다. 초등학교 교사들의 학교수업과 교재연구, 과다한 업무로 인한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다각적인 방법이 뒤따라야 하겠다. 다섯째, 각급 학교에 멀티미디어 교육을 위한 시설 및 자료가 확보되어야하고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교육용 교재 개발에 교사들 스스로가 적극적인 관심을 가지고 노력해야 할 것이다. 여섯째, 인터넷을 교수매체로 활용하려면 음란물이나 폭력으로부터 안정성 문제에 대한 방안이 우선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실내 모형실험을 통한 Piled Raft기초의 상호작용에 관한연구

        박순규 弘益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Piled raft 기초시스템은 raft(상부캡)에 말뚝을 강결하는 형태로써 raft는 충분한 지지력을 확보하는 역할을 하고, 말뚝은 침하를 감소시켜 보다 효율적으로 상부구조물을 지지하는 기초시스템이다. 그러나 기존의 piled raft 기초시스템의 설계는 raft 아래에 흙의 상태가 양호하더라도 raft의 역할을 무시하면서, 군 형태의 말뚝이 지지할 수 있는 총 하중에 따라서 보수적으로 수행되어 왔다. 이러한 접근은 흙에 관한 무리말죽과 raft의 상호작용의 한정적인 이해로 raft의 하중분담작용이나 무리말뚝의 거동에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 결과에 따라 piled raft는 말뚝과 상부기초, 지반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과다 설계 및 보수적인 설계와 시공을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보수적인 설계가 이루어지고 있는 이유는 지반, 무리말뚝, 그리고 raft 간의 상호작용, 말뚝과 raft의 하중 분담률 및 무리말뚝의 거동에 대한 이해의 부족 때문이다, 최근에는 piled raft의 각각의 요소간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를 모형실험이나 현장실험을 통 해 거동의 명확한 입증이나 분석이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piled raft의 각각의 요소특성의 변화에 따른 상호작용효과의 변화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부족한 실정 이다. 본 연구에서는 piled raft의 요소의 기하특성의 변화에 따른 기초의 지지거동을 규명하기 위해 piled raft의 실내모형실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말뚝과 raft의 기하특성변화에 따른 상호작용의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말뚝의 길이에 따른 변화 와 두께차이에 인한 강성차에 대한 거동을 보았으며 말뚝의 이격 거리로 인한 Piled raft의 군 효율의 산정과 각 하중 분담률을 살펴보았다. 말뚝과 raft의 요소변화는 각 요소만의 변화로 인한 영향이 아닌, 상호 복합적으로 관계하여 작용하는 하중-침하 지지거동을 알아보며 합리적인 조정이 필요함을 밝힘에 있다. The Complex foundation system is a construction rigidly composed the raft of a shallow foundation type which is a upper foundation and the pile a group piles type which is a lower foundation. It is called the piled raft. This complex foundation carried out sufficient bearing capacity, and so piles to lesson the setlement is the construction with a mutual complex foundation (piled raft = pile + raft ). Although most of the preceding piled rafts works to limit the settlement, because of over design depended on the consideration to support the load of a construction, in the middle of a construction, piles is not a economic installation. And to ignore bearing effect of a raft worked as shallow foundation was common. Namely, that is not to permit a settlement due to a difficulty in predicting sides of a foundation behavior. So, commonly to do design with divide the ultimate bearing capacity by the safety factor have been executed. Because these circumstance is insufficient to make out a influence on the support behavior of group piles affected the reciprocal behavior between the pile and raft soil, the study about this is necessary. As studying for design method from a point of view of the bearing capacity to that of the settlement under these circumstance, the study have been capable of considering the reciprocal behavior of between the pile and raft and soils. The study is briskly advanced, in recently, as considering design include a upper foundation for the piled raft of a bearing effect, at the same time, the real state is to discover reasonable analysis method to use both various studies and test in a point of view of settlement.

      • 공공도서관과 시민의식의 관계 연구 : 충청남도 논산지역의 공공도서관 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박순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공공도서관은 민주사회를 지탱하는 중요한 지역사회의 기관으로써, 모든 시민들이 공동체의 일원으로 동등하게 혜택을 받으며 바람직한 민주시민의식을 키워나갈 수 있도록 자리를 펼쳐주는 사회적 공간이다. 즉 이 공간에서 공유된 목표를 가지고 낯선 사람들이 만나 프로그램이나 동아리 활동을 통해 시민의식을 키워나가고, 결사체를 구성하여 시민사회단체 활동에도 참여하며, 민주주의를 발전시켜 나가는 공간이다. 이러한 역할을 논산지역의 공공도서관들은 얼마만큼 담당해 내고 있을까? 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우선 논산지역 공공도서관이 주민들을 위한 사회적 공간을 얼마나 넓혔으며, 프로그램을 얼마나 확장했는지 통계분석 했다. 그리고 그 서비스를 받는 이용자들의 신념과 가치는 어떠한지, 시민사회 활동에 어떻게 참여하고 있는지, 공공영역에 대한 이해 정도와 기대하는 것은 무엇인지를 잠재적 이용자와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공공도서관과 비슷한 성격의 공공영역인 문화원 이용자를 대상으로도 같은 내용을 조사하여 비교해 봄으로써 공공도서관 서비스의 문제점과 발전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했다. 이 연구 분석을 통해 나타난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논산지역을 포함한 남부지역 공공도서관의 최근 10년 동안 통계 현황과, 5년 동안 활동 내역을 조사해 본 결과 서비스 대상 인구와 비교하여 도서관 수, 장서 수, 관외대출 책 수, 이용자 수, 예산액, 직원 수 등 사회적 공간과 프로그램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었다. 둘째, 시민들이 바라보는 공공도서관에 대한 이해와 기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공공도서관 서비스를 받고 있는 사람들은 이용하지 않는 사람들보다 책, 인터넷 또는 이메일 등 다양한 채널에서 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할 줄 알고 있었다. 가장 많이 이용하는 서비스는 정보이용이었고 열람실 이용, 독서활동, 평생교육, 문화 활동 순으로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평생교육이나 문화활동보다 열람실 이용이 더 많다는 것은 아직도 도서관 공간이 공적공간보다는 사적공간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도서관의 역할과 기능에 대해서는 이용 기간이 길어질수록 원하는 자료나 프로그램을 통하여 만족감이 높아지며, 생활의 활기와 자신감을 얻고, 삶의 질도 향상된다는 긍정적인 답변을 하였다. 서비스를 확장해야 될 계층으로는 우선 순위로 청소년층, 다음 순위로 어린이를 들고 있었다. 잠재적 이용자들은 공공도서관을 이용하지 않는 이유에서 시간여유가 없음을 가장 큰 이유로 들고 있으나, 구체적으로 어떤 도움을 받을 수 있는지 모른다는 것과 접근성이 어렵다는 응답도 많았으며, 소수 응답자는 원하는 자료나 프로그램 부족을 이유로 들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서관은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지역의 자산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셋째, 공공도서관 서비스가 개인의 성장과 민주시민으로서의 시민의식 성장에 도움이 되고 있는지, 사회적 공간으로써의 역할을 제대로 담당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개인의 성장은 선호, 행복, 신뢰, 자존감의 요소로 나누어 분석했다. 그 결과 도서관 이용자는 선호(가정, 친구, 여가생활, 정치, 직장)와 이웃에 대한 신뢰, 자존감에서 타 그룹에 비해 높은 관심과 만족을 나타내고 있었다. 개인의 성장은 사사로운 존재로서의 개인에서 공중으로서의 개인으로 전환하는데 필수 요인이라 할 수 있다. 도서관과 문화원 서비스를 이용하는 시민 즉 공공영역에서 활동하는 사람들은 잠재적 이용자에 비해 높은 만족감과 행복감을 느끼고 있으며, 이는 다음 단계인 공중으로서의 개인으로 성장하는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시민의식은 타인에 대한 관심, 사회에 대한 관심, 양성평등, 국가관, 정치적 관심, 환경 및 경제, 민주주의에 대한 이해, 세계관에 대한 항목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도서관 이용자는 타 그룹에 비해 양성평등, 환경보호, 정치적 행동 참여 의지, 민주주의에 대한 이해, 세계관에서 높은 관심과 만족을 나타내고 있었다. 환경 및 경제에 대해서는 고용창출 보다는 환경보호에 대한 관심이 높았고, 국가관으로는 ‘의회와 정당이 중심이 되는 민주주의’ 통치 방법을 원하고 있었다. 그 중 양성평등에 대한 높은 반응은 여성이 많은 도서관 이용자 특성이 결과에 다소 영향을 미친 부분도 있었다. 반대로 정치적 참여(진정서, 시위, 보이콧, 파업 등)에서 ‘참여할 수도 있다’는 의식은 가장 높은데 비해 실제 행동 참여에서는 미온적으로 나타나, 남성이 많은 문화원 이용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여성이 많은 도서관 이용자 그룹의 특성이 통계상 유의미하게 반영되고 있었다.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논산지역의 공공도서관은 시민사회를 지탱하는 중요한 사회적 공간이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곳에서 펼쳐지는 프로그램이나 동아리 활동 등을 통해 지역민들이 바람직한 시민의식을 키워나가고 시민단체 활동에도 참여함으로써 민주주의 성숙에 필요한 사회자본을 축적시키는 결과로 이어지고 있었다. 하지만 정치적 참여나 시민사회단체 활동 참여 등이 미온적인 것을 살펴볼 때 공공도서관의 프로그램 보완 및 수정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즉 지금까지의 단순한 지식정보의 전달, 열람실 운영, 취미나 자아연찬을 위주로 하는 프로그램에서 벗어나, 머릿속에서만 머물고 있는 의식들이 사회와 세계로 확장되어 실천될 수 있도록 돕는 적극적인 프로그램으로 전환이 요구된다.

      •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의 설교 커뮤니케이션 연구

        박순규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의 설교 커뮤니케이션은 모더니즘 시대의 설교 커뮤니케이션과 완전히 차이가 있다. 권위에서 탈권위로, 일방에서 상호소통으로, 지시에서 비지시로, 수직에서 수평으로, 논증에서 미학으로, 연역적 방법에서 귀납적 방법으로 전환되었다. 고정관념에서 다양성을 추구하면서 사회 전반적으로 커뮤니케이션의 많은 변화가 있었다. 특별히 강단에서 설교 커뮤니케이션은 많은 도전을 주고 있는 현실이다. 설교자가 시대의 문화를 떠나거나 무시하면서 회중들과 소통을 할 수가 없다. 왜냐하면 회중들이 이미 그 시대의 영향을 받아 학습되고 자기화 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모더니즘 시대의 설교는 단지 회중들의 귀에 들려져 설득하여 이해가 되면 되었다. 그러나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의 설교는 단순히 귀에만 의존해서는 안 된다. 이성으로 들려지는 것보다는 감성을 통해 들려지고 보여지며 느껴져야 한다. 눈으로 보이지 않아도 보이는 것처럼 설교를 통해서 한 폭의 그림을 그려야 되고, 비록 회중들의 몸은 예배당에 앉아 있지만 설교를 들으면서 산으로 갔다가 바다로도 가고, 포도원의 농부가 되었다가 추수하는 농부가 되기도 하고, 푸르른 봄에 있다가 잎새가 활짝핀 여름을 지나 가을로 가서 넉넉함을 맛보기도 하고, 새와 꽃과 과일을 선물로 주기도 해야 한다. 귀로만 들음에서 이제는 눈으로 봄으로 창조와 상상력의 날개를 달고 함께 설교 여행을 떠나야한다. 설교자가 설교를 통해서 언어와 몸짓의 종합 예술가가 되어야 회중들이 감동되어 삶이 바뀌고 하나님의 사람으로 살게 된다. 그러기 위해서 설교자는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의 가장 적절하고도 효과적인 설교 커뮤니케이션을 해야 한다. 즉 언어를 통한 커뮤니케이션과 비언어를 통한 커뮤니케이션을 적절하게 활용할 때 회중들은 감동될 수 있다. 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은 일방적 커뮤니케이션이 아닌 설교자와 회중이 소통하는 언어로 표현이 되어야 한다. 설교자의 설교가 선포될 때 회중을 배려하여 말의 속도, 적당한 음량과 좋은 발성뿐만 아니라 정확한 음절까지 사용한다면 하나님의 말씀으로 들려지는 선포가 될 것이다. 여기에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가미된다면 잊지 못 할, 영원히 기억될 멋진 한 폭의 명화가 될 것이다. 모더니즘 시대에 등한시 되었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의 설교를 경청하는 회중들에게 미치는 중요한 요소로 자리하고 있다. 설교자의 얼굴 표정, 시선, 제스처, 자세와 예배당의 환경인 시간과 조명과 음향 등이 예배자가 편안하게 설교에 집중하게 하는 요인들이다.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의 설교는 이성에서 감성으로, 머리에서 가슴으로, 문자에서 그림으로 들리면서 경험되도록 해야 한다. 이런 상황에서 설교자는 성경 지식을 알려주는 방식이 아닌 새로운 소통 방식인 창조적이며 상상력과, 그림 언어와 감성 언어의 설교를 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으로 선포할 때 회중들은 하나님의 진리의 능력을 체험하고 삶이 변화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