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Synthesis of HB-EGF targeting Myrsinoic acid A and E via alkylation in an organofluorine solvent : 유기불소용매를 이용한 알킬화반응을 통해 HB-EGF을 타겟으로 하는 Myrsinoic acid A와E의 합성

        류미선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 which accounts for the largest proportion of adenocarcinoma mutations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activates cell signaling pathways to regulate a variety of life events, including differentiation and proliferation, and is being seen as a point of drug action for chemotherapy. EGFR is overexpressed in many kinds of cancer cells, and the denaturation and activation of EGFR are related to the onset of cancer and are directly attributed to it. However, the first-generation EGFR TKI Gefitinib, which is known to be effective among the currently available therapeutic agents, has a half-response rate to the therapeutic agent of EGFR positive cancer patients and resistance to a large number of patients.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anticancer drugs is necessary. In order to develop anticancer agents with novel mechanism of action that can solve the problems of conventional therapeutic agents targeting EGFR, this study established an efficient synthesis method of Myrsinoic acid A (MAA) and the structurally related Myrsinoic acid E (MAE). . MAA was isolated in 1991 from the leaves of a Brazilian shrub, Rapanea umbellate, and the structure of MAA has been identified as a terpeno-benzoic acid on the basis of spectroscopic analysis during a bioassay-guided isolation of anti-inflammatory compounds from the methanolic extract of Myrsine sequinii. The main content of this study is the optimization of C-alkylation of phenolate reaction using organofluorine solvent for mass synthesis of MAA for entry into animal experiment and clinical experiment, and mass synthesis of MAA and MAE with high yield through short synthesis step to establish a synthetic pathway. 비소세포폐암의 선암의 유전자돌연변이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EGFR)은 세포 신호전달경로를 활성화하여 분화, 증식 등을 포함한 다양한 생명현상을 조절하며, 항암치료를 위한 약물 작용점으로 주목받고 있다. EGFR은 여러 종류의 암세포에서 과발현되어 있으며, EGFR의 변성 및 활성화는 암의 발병과 유관하여 직접적인 원인으로 지목되기도 한다. 그러나 현재 시판되고 있는 치료제 중 상당히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진 1세대 EGFR TKI인 Gefitinib의 경우 EGFR 양성 암환자의 치료제에 대한 반응률이 절반 정도밖에 되지 않고 다수의 환자에서 내성이 생기는 등의 문제가 있어 새로운 기전의 항암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연구에서는 EGFR을 타겟으로 하는 종래의 치료제들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반응 기전을 갖는 항암제를 개발하기 위해 선도화합물로 결정된 Myrsinoic acid A (MAA)의 효율적인 합성 방법을 확립하여 MAA의 최초 전합성을 완료하고, 구조적으로 유관한 Myrsinoic acid E (MAE)를 함께 합성하고자 하였다. MAA는 1991년 Rapanea umbellate의 브라질리언 관목에서 추출되었으며, MAA는 terpeno-benzoic acid 구조에 기초한 항염증 효과를 지닌 화합물로 규명되었다. 본 연구의 주된 내용은 동물실험 및 임상실험 진입을 위한 MAA의 대량 합성을 위해 Organofluorine용매를 이용한 Phenolate C-알킬화반응의 최적화 연구를 수행하여 짧은 합성 단계를 통해 높은 수율로 MAA 및 MAE를 대량합성할 수 있는 합성경로를 확립하고자 하였다.

      • 複合敎育文化空間으로서 博物館·美術館 技能特性에 관한 硏究

        류미선 숙명여자대학교 정책산업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복합교육문화공간으로서 박물관·미술관 개념의 기능 특성 강화에 관한 연구를 주제로 하고 있다. 현대의 박물관·미술관 기능이 과거 박물관·미술관 기능에 비해 다원화 되어감에 다라 본 논문에서는 박물관·미술관의 정체성을 바탕으로 복합교육문화공간으로 변화되어 가는 현황을 파악 및 분석하여 향후 전개방향에 대해 전망해 보고자 한다. 최근 박물관·미술관은 급속도로 변화하는 현대사회의 흐름 및 관람객의 문화적 욕구에 부흥하기 위해 고유기능인 전시·보존·교육·수집·연구 기능에 벗어나 다양하고 폭넓은 분야와 접목된 복합교육문화공간의 형태로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많은 선행연구들이 복합교육문화공간으로의 활성화 방안, 공간구성, 디자인, 환경 관련 연구 등을 중점적으로 다루어 왔으나 박물관·미술관의 특성화 기능에 대한 조사와 분석은 부족한 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박물관·미술관이 복합교육문화공간으로 변화하는 과정과 현황을 오늘날 현대적 개념의 박물관·미술관 특성을 살린 프로그램과 부대사업, 특수성을 부각하기 위한 확산된 활동 등을 기획과 운영까지 비교적 상세하게 파악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복합교육문화공간으로 분야별로 특성화되어 있는 12개의 박물관(3개 미술관 포함)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분석과 관계자 및 관람객 인터뷰 등을 통한 기초조사와 참고문헌 등을 통한 이론적인 탐구를 연구의 방법으로 삼았다. 연구결과를 요약해 보면, 복합교육문화공간을 실시하고 있는 박물관·미술관에서는 각 시설의 고유특성에 맞는 집중화된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운영함에 따라 관람객들이 박물관·미술관을 복합교육문화공간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현재 복합교육문화공간의 역할을 하지 못하는 박물관·미술관들이 향후 지향해 나가야 할 방향을 제시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알 수 있는 복합교육문화공간으로서 박물관·미술관이 특성화 하기 위해서는, 첫째, 교육확대를 통한 기능의 활성화를 들 수 있다. 기존의 박물관·미술관 기능에 대한 인식에서 벗어나 교육기능이 전반적으로 활성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교육은 재론의 여지없이 문화공간에서 필수적으로 수행해야하는 기능으로 유물을 중심으로 한 박물관·미술관에서는 더더욱 그러하다. 이는 조사된 박물관·미술관의 현황에서도 분명히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 복합문화공간의 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 둘째, 공간 외 활동확산이다. 지금까지 이루어지던 박물관·미술관 내에서의 활동은 일정한 공간의 보이지 않는 한계로 인해 박물관·미술관 내·외부로 부터 외(外)적 활동의 필요성을 꾸준히 요구받아 왔다. 뿐만 아니라 박물관·미술관에 직접 내방할 수 없는 환경에 있는 계층이나 집단은 최근 활성화되고 있는 ‘찾아가는 박물관·미술관’과 같은 활동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차원에서도 확장된 개념으로의 박물관·미술관 활동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부가서비스 확대를 통한 활성화를 들 수 있다. 부가서비스는 박물관·미술관 활동을 보조하는 기능으로 관람객들에게 박물관·미술관을 통한 향유를 보다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박물관·미술관이 갖는 경직된 이미지에서 탈피할 수 있으며, 박물관·미술관의 역할을 풍요롭게 한다. 박물관·미술관은 위와 같은 복합교육문화공간으로의 기능확대를 통해 일반대중의 접근이 용이한 문화공간과 더불어 건전한 고유기능을 수행하는 중요한 문화 인프라로 자리매김 해 나아갈 것으로 본다. This thesis has subject a study of museum's functional characterization as complex education cultural spaces. According to diversifying that comtemporary of museum is compared to the past, this thesis is based on identify of museum and analyze its case and construction, and then will be able to see the future of museum about direction of activity. Lately museum is trying to change into various and widely complex education cultural space from the right function, like a exhibition and conservation. A lot of study is focused on museum's rendering method as complex education cultural spaces, spatial configuration, design, environment-related research, but I thought to lack the study about characterizing feature. Therefore I would like to study of the process and current condition that the museums changes as complex education cultural spaces on this thesis. And also I would like to study program, a subsidiary enterprise, other activities from planing to managing at details as utilizing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the museum of contemporary concepts. So I based on interviews of visitors and interested parties of 12 museums(including 3 art museums). And then I studied bibliography and analysed program. Study results were as follow. The visitors recognized museum of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each facility for the centralized planning and operating programs each museums. So I will guess the direction of some museums that do not act as complex education cultural spaces. In order to achiev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intensive, the first, in recognition of the existing features of the museum off, they had to do invigoration of function. The education is the significant function in museum and more important of museum based on relics. These are the point that read off the result of present condition of museums in this study. And the second, diffusion is caused by activities outside the active space. The museums were recognized that activities needed to external activities due to limitation in the past museums. Besides, some people directly to the museum can not go layer or group in the environment. They need to activities like a 'out reach program of museum'. Finally, it is activation for additional service. Additional services assist the functions of museum activities for the visitors through the museum to make it easier to enjoy the role. This helps that breaks the rigid image of museum and will enrich the museum's role. Based on this, the museum will be able to reach to the visitors friendly through museum's functional characterization as complex education cultural spaces.

      • 茵陳五苓散 약침이 DEN으로 유발된 흰쥐의 간암에 미치는 영향

        류미선 동신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ABSTRACT The Effect of Inchinohryungsan Pharmacopuncture on Hepatocellular Carcinoma Induced by Diethylnitrosamine(DEN) in Rats. Ryu, Mi-Seon Dept. of Oriental Medicine Graduate School of Dongshin University (Directed by Prof. Yun, Yeo-Choong, O.M.D., Ph. D.) Inchinohryungsan has been used for treatment of hepatobiliary diseas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chinohryungsan pharmacopuncture on hepatocellular carcinoma in rats. Sprague Dawley(SD) rats of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received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50 ㎎/㎏ DEN, weekly for 12 weeks. Rats were divided into 5 groups. Normal group was not induced hepatocellular carcinoma and not treated. Control group was induced hepatocellular carcinoma and injected with Inchinohryungsan pharmacopuncture into the root of tail. Experimental groups were induced hepatocellular carcinoma. BL group was injected with Inchinohryungsan pharmacopuncture into the BL18 and LR14, BG group was injected into the BL19 and GB24 and CSC group was injected into the CV12, ST25 and CV4. Thereafter, the changes of the body weight, the liver weight and the weight of liver/100g body weight, WBC, neutrophil, lymphocyte and the activities of AST, ALT, ALP, LDH, AFP and SOD were measured. And gross anatomy, light and electron microscopy were performed. The significant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activities of LDH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CSC group compared with control group. 2. The activities of AF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BL, BG, CSC group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3. The activities of SOD were increased in the BL, BG, CSC group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and CSC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normal group. 4. According to the gross anatomical observation, the control and BL, BG, CSC groups showed multi-nodular hepatocellular carcinoma. But the size and numbers of the hepatocellular carcinoma in experimental groups were smaller than control group. 5. The numbers of hepatic p53 positive cells were decreased in the BL, BG group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6. According to the light and electron microscopical observation, the BL, BG and CSC groups were mildly improved than control group in morphological and histopathological change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Inchinohryungsan pharmacopuncture may have some effects on hepatocellular carcinoma induced by DEN in rats. Key words : Hepatocellular carcinoma, Diethylnitrosamine(DEN), Pharmacopuncture, Inchinohryungsan

      • 오방색을 통해 본 한국 근대 회화 연구 : 김환기, 유영국, 김기창, 박생광을 중심으로

        류미선 계명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고는 동양의 예술사상과 음양오행의 원리에 근저(根底)를 둔 오방색을 통해 김환기(金煥基, 1913-1974), 유영국(劉永國, 1916-2002), 김기창(金基昶, 1913-2001), 박생광(朴生光, 1904-1985)의 작품에 표현된 한국 근대 회화의 색채 세계를 연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우리 문화는 자연주의 사상과 음양오행의 사상이 바탕이 되고 있다. 즉, 자연과 대립하며 이를 정복해야 할 대상으로 여기는 서양과 달리, 동양의 자연관은 줄곧 자연과 인간을 떼어놓을 수 없는 유기적 관계로 인식하고 있다. 자연 속에서 인간이 공존하고, 인간 속에서 자연이 어우러지는 조화로운 관계인 것이다. 이는 고대에서부터 비롯되었는데, 천인합일(天人合一)과 물아일체(物我一體) 사상이 그것이다. 동양의 예술사상과 오방색과의 관계를 보면, 공자는 유가사상에서 인(仁)과 예(禮)로서 올바른 사회를 이룩하는 것을 정치목표로 삼았다. 그는 예술정신이 도덕적인 순수함을 갖춘 인격이 전제되어야 이루어질 수 있다고 보아, 예술을 창작하기 이전에 도덕적인 성실성과 정신의 순수성을 갖춰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공자의 관점은 곧 ‘문질빈빈(文質彬彬)’과 ‘회사후소(繪事後素)’라는 두 단어로 함축할 수 있다. 공자의 유교 회화사상에서 중요히 여기는 것이 후소 정신이듯, 노자와 장자의 도교 회화사상에 중요히 여기는 정신은 무위자연(無爲自然)정신이다. 그러나 그 근본적인 진의에 있어서 무위는 유가사상의 후소와 같은 의미를 지니는 것이다. 불가사상에서 색의 기원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먼저 물질계에 대한 설명이 필요하다. 물질계는 크게 욕계(欲界), 색계(色界), 무색계(無色界) 세 가지로 나뉘는데, 그 중 욕계와 색계는 중생이 쉽게 도달할 수 있는 세계이다. 그러나 무색계는 말 그대로 무색(無色)이라는 의미를 지녀 모든 색을 초월한, 공(空)이며 무(無)인 세계라 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국가 기복을 무교(巫敎)를 통해 구하는 등 원시신앙의 영향력이 컸기 때문에 불교는 자연스럽게 민간신앙과 결합해 밀교화되기 시작하였다. 이렇게 민간신앙과 결합한 우리나라의 불교는 전통적인 오색인 백․적․황․청․흑을 중시한다. 음양오행(陰陽五行) 사상은 원래 음양 이원(二元)과 목․화․토․금․수의 오행으로 나뉘어져 각각 우주만물의 발생과 소멸의 원리를 설명하는 사상이다. 음양이란 음과 양 두 개의 개체가 서로 결합하여 이루어진 떨어질 수 없는 조직체로서 서로 합하고 도우며 의지하고 소통하여 하나를 이루는 것이다. 음양과 오행은 자연과 자연을 해석하는데 중요한 개념으로 작용하였다. 음양오행사상을 바탕으로 구분되어진 오방색은 우리 생활 속에서 깊숙이 활용되어 상징적이고 주술적인 의미를 지녀왔다. 그리고 우리 민족은 색을 신성시 여기고 상징적 의미를 중시하였으며, 색채의 사용에 있어서도 신중히 하고 부정한 사용을 금지한 것은 음양오행사상을 바탕으로 생활과 문화가 발전한 결과임을 알 수 있다. 오방색(五方色)은 고구려 고분벽화․고려 불화․조선 민화 등을 통하여 전통적인 색채로 보다 구체화되었다. 고구려 고분벽화는 색채가 가진 자체의 미보다는 그 내용의 상징과 의미를 부여하는 수단으로 색이 사용되었다. 고구려 회화의 채색은 초기 회화에서 발전되어 중기에 이르러 더욱 두드러지고, 그러한 경향은 후기 사신도에서 더욱 선명하고 화려해졌다. 고려시대 불화(佛畫)는 경전을 내용으로 하면서 존엄한 불교적 내용을 상징적 도상으로 표현하였다. 그것은 부처에 의지하고 자신들의 번영과 가족들의 안녕을 기원하며 현세의 영화가 내세에도 계속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귀족들이 시주하여 화원․문인사대부․승려에 의해 그려진 작품이 주를 이룬다. 민화(民畫)는 서민들이 삶 속에서 느끼게 되는 희로애락을 그들의 공통 세계관으로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한다. 서민들은 그들의 생활 감정을 원색을 진채로 사용해 강렬하게 표현하고 있다. 이 때 사용되는 원색은 우리 민족에 전해지는 고유의 색채 문화를 반영하여 오방색이 사용된다. 오방색은 색채 자체에서 나오는 미(美)보다는 그 색채가 의미하는 상징이 중요시 되었는데, 이렇게 각 색들이 담고 있는 상징적인 의미는 민화에서도 유지된 채 표현되고 있다. 한국 근대 회화를 통하여 표현된 오방색을 대표하는 작가들은 김환기, 유영국, 김기창, 박생광이다. 김환기는 대체로 청색(靑色)을 작품에 주조색으로 표현하였으나 1972년까지의 작품에는 청․홍․황․녹의 색점(色點) 사용이나 홍색․황색 계열의 전면점 등의 다양한 색채 사용을 병행하기도 하였다. 그에게 청색은 푸른 하늘로 상징되는 한국의 특징적인 색조이고, 또한 그의 내면을 반영하는 주조색이다. 1930년대 김환기는 기본적으로 자연의 묘사를 바탕으로 단순화된 형태의 평면과 화려한 색감의 원색을 사용해 진취적 모더니즘을 담아내었다. 그는 자연을 밖에서 관조하는 태도로 보는 것이 아니라 자신 속에서, 스스로와 함께 삶을 영유하고 있는 존재로 받아들인다. 그런 뜻에서 그에게 ‘자연을 따른다’는 의미는 자연의 모습을 단순히 포착한다는 것이 아니라 자연의 생성의 질서 자체에 호응한다는 의미이며, 그것은 시공간을 초월한 ‘무한에 대한 동경’을 표현하는 것이기도 하다. 유영국의 황색(黃色)은 땅의 색을 상징하며 오방위 중 중앙을 나타낸다. 중앙은 어디에도 치우치지 않는 중용을 담고 있다. 유영국은 국내․외의 미술 흐름 속에서도 한 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자신만의 방식으로 작품 양식을 전개시켰다. 유영국의 색채 사용에는 자연의 모습을 그 대상의 색이 아닌 작가가 주관적인 색으로 선택하여 사용하였다. 그의 마음속의 중용 정신은 황색을 통하여 표현하였다. 이 황색은 그의 작품에서 색채를 조화롭게 구성하는 역할을 한다. 그것은 우주 만물을 만드는 모든 관념적인 성분들이 동과 빛, 움직임으로써 주위 환경에 맞추어 공간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므로 유영국의 색채 의식은 동양의 자연주의 사상을 근원으로 오방색을, 특히 황색을 사용하였다고 볼 수 있다. 1930년대 김기창의 회화는 세련된 필선과 용묵으로 수묵담채를 바탕으로 자신만의 조형 방식을 추구했다. 1950-60년대에는 입체파적 요소를 도입해, 반추상과 추상적인 조형 형태를 간결하면서도 흑․백의 수묵채색으로 나타냈다. 그는 <세필인물화>, <청록산수도>, 그리고 <점․선 시리즈>까지 욕심이 없는 색(色)인 흰색과 검정으로 자신의 본성과 욕구를 보다 풍부하게 표현했다. 김기창의 흑․백색은 색채 그 자체로서 근원적인 본성을 담고 있다. 그가 주로 사용한 흰색과 검정색은 수묵에 바탕을 둔 그의 회화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김기창의 <바보회화>에는 ‘탈기교(脫技巧)의 사상’과 ‘시김의 사상’이 생활화되어 있는 한국인의 미의식이 돋보이며, 모든 빛과 색을 흡수하는 성질이 있는 흑색은 화려하고 무거운 느낌을 주는 반면, 흰 빛은 인간의 내면에서 무한히 발생하는 영롱하고 유혹적인 빛깔의 ‘욕(慾)’을 멀리하고 반사시킨다. 박생광 회화에서 나타나는 적색(赤色)은 벽사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색으로 점복(占卜)을 할 때에 부적(符籍)에 나타나는 색채이다. 적색은 역동성을 나타내는 색으로, 주술적, 무속적 의미를 지닌다. 색 본연에서 우러나오는 생명력으로 색채의 자율성을 표현해 내고 신앙의 힘을 상징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이를 이용한 박생광의 작품은 전통성과 모더니즘적 특징을 모두 가지게 된다. 박생광은 적색을 통하여 한국인 고유의 예술성을 만인이 느낄 수 있는 미의식으로 표현해 냈다. 박생광의 작품을 볼 때 주목해야 할 것은 그의 작품에 한국인 특유의 생사관, 내세관 등이 담겨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김환기, 유영국, 김기창, 박생광은 오방색을 주조색으로 사용하여 한국 근대 회화의 색채 세계를 구축하였다. 자연과 인간의 조화를 추구하는 오방색은 우리 민족의 전통적인 미의식(美意識) 속에 자리 잡아 왔다. 그러므로 자연을 삶의 일부분으로 인식해 왔던 전통적인 정서가 한국 근대 회화의 색채 세계를 통해서 보다 구체화되었다. 오방색은 이들 작가들의 영향을 받은 현대의 작가들에게까지 계속 이어지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lor world of modern Korean paintings expressed in the works of Kim, Whan-ki(1913-1974), Yoo, Young-kuk(1916-2002), Kim, Ki-chang(1913-2001), and Park, Saeng-kwang (1904-1985) from the perspective of the Korean traditional five cardinal colors based on the Eastern art ideology and the theory of Yin-Yang and five elements. The Eastern culture is based on the naturalism theory and the theory of Yin-Yang and five elements. In other words, unlike the West, which has been in confrontation with nature and has considered nature as an object to be conquered, the view of nature in the Eastern culture has been to regard the relation between humans and nature as an organic relationship in which humans and nature are inseparable. It is a harmonious relationship in which human beings coexist in nature and nature harmonizes in human beings. These ideas go back to ancient times, and they originated in the thought of unification of heaven and human beings in harmony(天人合一) and mulailche(物我一體) ideology (the thought of self forming one body with nature). With respect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iental art ideology and the five cardinal colors, Confucius considered it a political goal to achieve the right society with the concepts of benevolence(仁) and propriety(禮) of Confucian thought. He argued that the spirit of art can be achieved only when the precondition of the character with moral innocence is satisfied, and that a person should possess moral integrity and purity of mind before creating art. These points of view of Confucius can be condensed into two words, 'munjilbinbin(文質彬彬)(a good appearance achieved through the harmony of the form decorating a writing and the essence as the content of a writing)' and 'hoesahuso(繪事後素)(the literal meaning of this expression is that painting should be done after the white paper for painting is prepared, and the implication is that the development of a person’s moral character is a precondition for proper painting)'. The most important thought in the Taoism painting ideology of Lao-tzu and Chuang-tzu is 'muwijayeon(無爲自然)(nature itself remained intact)' ideology just as the 'huso spirit' is the most important thought in the Confucian painting ideology. However, in its fundamental true meaning, 'muwi(無爲)(leaving nature as it is)' has the same meaning as the 'huso' of Confucian thought. In order to explain the origin of 'saek(色)(form)' in Buddhism, it is necessary to first explain the concept of the material world. The material world is largely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the world of greed(欲界), the world of lust(色界), and the formless realm(無色界). However, the literal meaning of the formless realm is the colorless world, so it can be thought of as the world of emptiness and nothing that transcends all the colors. In Korea, Buddhism naturally combined with folk beliefs and began to become esoteric Buddhism because of the strong influence of primitive religions such as seeking blessings for the nation through shamanism. Combined with folk beliefs in this way, Buddhism in Korea emphasizes the traditional five colors of white, red. yellow, blue and black. The theory of Yin-Yang and five elements was originally divided into the theory of Yin-Yang(negative and positive) duality and the theory of five elements of wood, fire, earth, metal, and water, and each theory explained the principles of the creation and extinction of all things in the universe. Yin-Yang is an organization composed of two entities, Yin and Yang, which are joined together and are inseparable from each other, and they form a whole combining with each other, helping each other, relying on each other, and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Yin-Yang and five elements acted as important concepts in interpreting nature. The five cardinal colors that are distinguished on the basis of the theory of Yin-Yang and five elements have been used deeply in our lives and have had symbolic and shamanistic meanings. In addition, the Korean nation regarded the five cardinal colors as sacred ones and attached importance to their symbolic meanings, and since the life and culture of the Korean nation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theory of Yin-Yang and five elements, they were careful about the way the colors were used and banned unsacred uses of them. The five cardinal colors were further embodied as Koreans' traditional colors through Goguryeo(Koguryo) tomb murals, Goryeo Buddhist paintings, and Joseon folk paintings. In the paintings of Goguryeo tomb murals, colors were used as the means of giving the symbols and meanings to the contents rather than for the beauty of the colors themselves. The coloring of Goguryeo paintings was developed in the paintings of the early period of Goguryeo, became more distinctive in the paintings of the middle period of Goguryeo, and the tendency became more evident and coloring became more brilliant in the late period paintings of four guardians(four guardian deities). In the Goryeo period, Goryeo Buddhist paintings expressed the contents of Buddhist scriptures and represented dignified Buddhist contents as symbolic images. Most of the paintings were painted by painters, literary noblemen, or monks through the donation of the nobles who relied on Buddha, wishing for their prosperity and the well-being of their families and hoping that their prosperity in this life would continue in the afterlife. Folk paintings played a role of connecting the emotions that the common people felt in their life to their common world view. The common people expressed their feelings in their life intensely using primary colors produced with deep-color pigments. The primary colors used at this time are the five cardinal colors that reflect the unique color culture of the Korean nation. For the cardinal five colors, more importance is placed on the symbolic meanings of the color than on the beauty of the colors themselves, and the symbolic meaning of each color is maintained and expressed in folk paintings. The artists representing the five cardinal colors expressed through Korean modern paintings are Kim, Whan-ki, Yoo, Young-kuk, Kim, Ki-chang, and Park, Saeng-kwang. Kim Whan-ki generally used blue as the dominant color in his works but until 1972, he also used a variety of colors such as colorful dots of blue, red, green, and yellow, and overall dots of red and yellow. For him, blue is a distinctive hue of Korea symbolized by blue sky, and it is also the dominant color reflecting his inner side. In the 1930s, Kim Whan-ki basically manifested progressive modernism based on the depiction of nature, using simplified forms of planes and bright and splendid primary colors. He did not view nature with an attitude of contemplating it outside, but regarded it as a being that lived a life with himself within himself. In that sense, for him, 'to follow nature' means not to simply capture nature but to respond to the order of creation of nature, and it also expresses the 'longing for infinity' that transcends time and space. Yoo Young-kuk's yellow symbolizes the color of the earth and represents the center among the five directions. The center contains the middle path that does not lean in any direction. Yoo Young-kuk did not lean toward any side among the domestic or overseas trends in art, and developed his style of work in his own way. In respect of Yoo Young-kuk's use of color, he represented the image of nature using subjective colors rather than the colors of the objects. The spirit of moderation in his mind was expressed through yellow. This yellow color plays a role in harmonizing colors in his work. Through the color, all the ideational elements that make all things of the universe re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in accordance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by motion, light, and movement. Therefore, Yoo, Young-kuk's sense of color can be characterized by the use of five cardinal colors, especially yellow, based on the naturalism of the East. In the 1930s, Kim Ki-chang's paintings pursued his own formative methods based on light-colored ink wash paintings using sophisticated brush strokes and ink brush techniques. In the 1950s and 1960s, cubist elements were introduced, and semi-abstract and abstract forms were represented concisely in black and white ink and wash paintings. He expressed his nature and desire more abundantly in white and black, which are colors representing a lack of greed, in his paintings such as <Slender brushed portrait>, <Blue and green colored landscape painting>, and <Dot and line series>. Kim Ki-chang's black and white colors express the original nature in the colors themselves. His predominant white and black colors are prominent in his paintings based on ink wash paintings. Kim Ki-chang's "Pure, simple and childlike paintings" show the distinctive aesthetic consciousness of Koreans whose life is based on the spirit of non-technicality and 'shigim spirit'(this concept means that our lives, souls, and spirits, which have been passed down consistently regardless of the change of time through the unlimited flow of time, continue to melt into and weave themselves into human minds, making up the inner sides of humans). The black color, which absorbs all light and colors, appears splendid and heavy, while the white color keeps away and reflects the greed with brilliant and seductive colors that infinitely occurs in the inner side of man. The color red, which appears in Park, Saeng-kwang's paintings, is a typical color that signifies exorcism and is the color used in talismans. Red is a color representing dynamicity, and has magical and shamanistic meanings. It expresses the autonomy of the color and symbolizes the power of faith with the vitality coming from the inherent nature of the color. Thus, Park, Saeng-kwang's works using it have both traditionality and modernistic features. Through the color red, Park, Saeng-kwang expressed Koreans' unique artistry with aesthetic sense that everyone can feel. Looking at his works,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his works represent the unique view of life and death and of the afterlife proper to Koreans. Therefore, Kim, Whan-ki, Yoo, Young-kuk, Kim Ki-chang and Park, Saeng-kwang constructed the color world of Korean modern paintings by using the five cardinal colors as their dominant colors. The pursuit of harmony between nature and human beings has been established in the traditional aesthetic sense of our nation. Therefore, the traditional sentiment that recognized nature as part of life has become more concrete through the color world of Korean modern paintings. The five cardinal colors continue to be used by contemporary artists influenced by these artists.

      • 소셜미디어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인식유형연구 : 지역문화단체 페이스북의 문화공론장 가능성을 중심으로

        류미선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소셜미디어의 온라인 공론장 가능성을 문화영역에 적용하여 탐색하였다. 지역문화에 관한 담론을 형성할 수 있는 온라인 공간을 일종의 ‘문화공론장’으로 정의하고, 이의 구축 가능성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공론장의 전제조건과 그 역할을 토대로 광주지역 문화단체의 소셜미디어 공간 이용자들의 인식을 Q 방법론을 통하여 유형화하고 그 가능성을 논의했다. Q 방법론은 지역문화단체의 페이스북에 대한 이용자들의 인식 유형을 모두 다섯 개로 분류하였다. 공론장의 역할에 가장 긍정적 태도를 보인 ‘긍정적 기대형’은 지역문화단체의 페이스북을 단순한 정보전달의 도구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공개성을 기반으로 지역의 문화 발전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공간으로 인식하였다. ‘다양성 한계 인식형’은 페이스북을 사적 영역과 공적 영역이 교차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특히 사적영역이 갖는 한계 때문에 그 가능성에 대해서도 소극적 태도를 나타냈다. ‘관계중심형’은 페이스북을 이용한 지역 문화예술계 관련자들과 자발적으로 친밀한 인간적인 관계를 형성하기가 용이하다는 점에 대해서는 긍정적이지만, 이 관계의 질적 수준에 대해서는 부정적 인식을 나타냈다. ‘디지털 격차 인식형’은 문화공론장 구축의 가장 큰 장벽으로 페이스북 이용 여부, 즉 페이스북 접근성의 근본적 한계를 다른 유형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게 인식하였다. 마지막으로 ‘부정적 기대형’은 페이스북의 공개성에 대해서는 긍정적이지만, 공론장의 기본적인 역할에 대해서는 가장 부정적인 인식을 드러냈다. 대부분의 이용자들은 페이스북의 기본적인 장점인 정보의 생산자와 수용자의 구분을 해체된 것이 아닌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지역문화단체의 페이스북 활용에 대해서 부동적 태도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페이스북이라는 특정 온라인 공간의 영향력과 이를 활용한 공론적 활동에 대한 인식이 낮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하지만 이용자들이 이 공간을 지속적으로 지역문화 정보원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것으로 고려해 볼 때, 지역문화단체의 페이스북이 문화공론장으로 진화할 수 있는 가능성은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이 연구는 많은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문화예술과 소셜미디어에 대한 기존연구들이 수행해 왔던 마케팅적 접근 한계를 탈피하였다는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지역의 문화적 이슈와 환경에 대한 지역민들의 인식에 대한 보다 다차원적인 접근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 실신을 주소로 방문한 소아의 원인질환에 대한 임상적 고찰

        류미선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Objectives: Syncope is a common symptom, with 15% to 25% of children and adolescents experiencing at least one syncopal episode by young adulthood. In most cases, syncope is a symptom of benign diseases but may be a symptom of severe cardiac disease that result in sudden death. The diagnostic approach of syncope is important and difficult, nevertheless various tests have been done, a cause of syncope is not diagnosed in 40% to 5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tiologies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syncop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Methods: Among the children who visited the Department of Pediatrics at Chosun University Hospital from February 2007 to March 2013, we retroprospectively analyzed 51 patients with syncope. We reported age in which syncope occurred, duration and state of syncope, associated symptoms, laboratory tests, head-up tilt test, 24hr Holter monitoring, electrocardiography, echocardiography, electroencephalography and brain MRI. Results: 51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study and the rate of males to female was 1: 1.04. Mean patient age was 12.7± 3.1 years. Mean frequency of syncopal episodes at visit was 1.7 ± 1.8. Abrupt standing was the most common state of patients with syncopal attack. The etiologies of syncope were noncardiac syncope (60.7%), cardiac syncope (2%), neuropsychiatric syncope (25.5%), and unknown (11.8%). We recommended taking medications to 27 patients, but 24 patients accepted. The medications were alpha agonist, beta antagonist or anticonvulsants. Abnormality of head-up tilt test was more common on noncardiac syncope than remainders [ 38.7% (12/31) vs 5% (1/20) (p=0.007)]. And EEG is useful diagnostic test on neuropychiatric syncope[ 41.6% (5/12) vs 2.7% (1/36) (p=0.002)]. However, other parameters were proven to have no significant value in differentiating the etiology of syncope. Conclusion: Noncardiac syncope is the most common type in our study population. Detailed history taking and physical examinations were useful tools to diagnose the etiology of sycope. Head-up tilt test is an effective diagnostic test in noncardiac syncope and EEG is a valuable test in neuropychiatric syncope, especially in seizure.

      • EBS 수강에 따른 자기주도 학습능력, 학습동기 및 학습태도와의 관계연구 : 사회과영역을 중심으로

        류미선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motivation and attitude based on EBS special lecture participation. To this end, first, the overall status of EBS lectures participation by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social studies area among them are identified. And with the ​​social studies area of EBS Special Topic Broadcasting as the center, according to the attending institutions, it is identified which relationships there are between the students’ overall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its sub-elements consisting of openness, self-concept, intrinsic motivation, autonomy, creativity, problem solving and self-evaluation.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rning motivation and attitude with the social studies area of EBS lectures is also analyzed. In this study, while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400 male and female students who are enrolled in the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the final total of 342 were analyze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χ ² (Chi-square) were conducted for the data collected according in accordance with the research topics using SPSS win 16.0 program. As a post-hoc verification method, Scheffe's multiple range test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ercentage of the students who are taking EBS lectures, or have experience taking them was 70.3% out of a total of 343 students. As a result of the question targeting 29.% of the students who are not taking them as to why they haven’t taken EBS lectures, the students responded that because they are taking private lessons, such as private institutes or tutoring were the most common, which accounted for 11.7%. In fact, from the fact that currently students are taking private lessons accounted for the entire 78.1%, it can be seen that the students rely on other private education rather than EBS lectures and they are being utilizing as an auxiliary form, such as academic supplements.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status of lectures participation in the ​​social studies area among EBS lectures, the students who are using it or have used were 53.4%, and who are not using it was 46.6%, respectively. Whereas the percentage of the students who are utilizing the entire EBS lecture was 70.3%, it can be seen that the utilization ratio of the social studies area lectures appears to be low. From the fact that the proportion of less than one hour or one to two hours per week is higher, it can be proved the low utilization ratio. The percentage of the students who are utilizing more than two hours per week was about 14.3%. It could be confirmed that most of the students whose weekly participation hours were ‘low’ have the entire enrollment period with less than six months. In the case of the group whose weekly hours was ‘top’, more than one year was the most common. Also, the lecture levels which they are willing to utilize were mostly intermediate and beginner levels. It can be seen that for the beginner's level, ‘low’ groups were the most common and intermediate is mostly being utilized by 'medium’ and ‘top’ groups. Thir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ccording to EBS social studies area participation time were analyzed.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e students with high weekly lectures participation time are not only high in the total figure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but also linearly high in the sub-elements, such as openness, self-concept and creativity. The meaningful result have been derived that the students with more lectures participation time turned out to be higher in the factors, such as intrinsic motivation, autonomy,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elf-assessment,. However, the difference between each group appeared to be not large enough. As for the learning motivation and attitude which were evaluated along with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t indicated that the higher their weekly lectures participation, the higher its result increased linearly.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research, I would like to suggest the following: First, it can be identified that although the students’ EBS lectures utilization rates and the degree of interest are high, their continuous participation ratio is low when taking into account their total lectures participation time. Thus, the ways which enable the students to steadily utilize EBS lectures should be prepared. For this, learning environments should be made so that the interaction among the students who are taking EBS lectures or between students and instructors can be performed actively online (Sim, Sun-won, 2006) and the contents and learning tools will have to be developed so that the students would not think that EBS lectures which are available free of charge are not effective learning media. Second, the students’ utilization ratio and interests in EBS ​​social studies are have been identified as being somewhat lower. In order to improve them, the quality improvement through continuous feedback and reflecting the various students’ opinions into its contents after listening to them should be made. Third, although it has been identified that the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ho are taking EBS lecture is higher compared to that of the students who do not taking the lectures, it cannot be said that the students’ overall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has been improved. Especially, at this time students are utilizing tutoring or other private education a lot in addition to EBS lectures, it is difficult to prove the effect of EBS lectures. We also need to reconsider educationally as to whether or not the policies which are being implementing for the improvemen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re being utilized as more than mere instructor's lectures for the stu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EBS 특강 수강에 따른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학습동기 및 학습태도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우선, 고등학생들의 전체적인 EBS 수강현황과 그 중 사회과 영역 수강현황을 파악하고 EBS특강 방송의 사회과 영역을 중심으로 학생들의 수강기관에 따른 전체적인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개방성, 자아개념, 내재적 동기, 자율성, 창의성, 문제해결력, 자기평가 등으로 구성된 하위요소들은 어떤 관계가 있는지 파악한다. 이와 함께 EBS 사회과 영역 수강에 따른 학습동기 및 학습태도와의 관계도 함께 분석한다. 본 연구는 서울시에 위치하고 있는 인문계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남, 여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총 342부를 최종으로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기술통계, T-test, χ²(Chi-square)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 방법으로 Scheffe's multiple range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EBS 강의를 수강하고 있거나 수강한 경험이 있는 학생은 총 343명 중에 70.3%였다. EBS강의를 수강하지 않는 29.4%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강하지 않는 이유를 알아 본 결과 학원이나 과외 등의 다른 사교육을 받고 있기 때문이라는 응답의 학생이 11.7%로 가장 많았다. 실제로 현재 사교육을 받고 있다는 학생이 전체 78.1%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학생들이 EBS 강의 보다는 다른 사교육에 의존도가 높고 EBS 강의를 학업 보충 등의 보조적인 형태로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EBS 강의 중 사회과 영역의 수강 현황을 살펴본 결과 이용하고 있거나 이용하고 있는 학생이 53.4%, 이용하지 않는다는 학생이 46.6%로 나타났다. EBS의 전체 강의를 활용하고 있는 경우가 70.3%인 것에 반해 사회과 영역의 강의를 활용하고 있는 비율은 낮은 편이라고 할 수 있다. 이용시간 또한 주 1시간미만이나 주 1~2시간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보아 낮은 활용도를 뒷받침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주2시간 이상 활용하고 있는 학생들도 14.3%정도로 나타났다. 주당 수강 시간이 ‘하’인 학생들은 대부분 총 수강기간이 6개월 미만인 경우가 많았고 주당 수강시간이 ‘상’인 집단의 경우 1년 이상인 경우가 많은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활용하고 있는 강의 수준은 중급과 초급이 대부분이었고 초급의 경우는 ‘하’집단이 많았고 중급은 ‘중’, ‘상’집단에서 많이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EBS 사회과 영역 수강시간에 따른 자기 주도 학습능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주당 수강 시간이 높은 학생이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전체 수치와 개방성, 자아개념, 창의성 등의 하위 요인도 선형적으로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내재적 동기, 자율성, 문제해결력, 자기평가 등의 요인 또한 수강 시간이 많은 학생들이 높게 나타나는 유의한 결과가 도출되었으나 집단 간 차이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과 함께 평가한 학습동기와 학습태도 역시 주당 수강시간이 높을수록 선형적으로 높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 조사를 통하여 밝혀진 결과들을 바탕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학생들의 EBS 강의의 활용율과 관심정도는 크지만 총 수강기간을 살펴보았을 때 지속적인 참여도가 낮음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학생들을 꾸준히 EBS 강의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들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EBS 강의를 이용하는 학생들 간 또는 학생들과 강사의 상호작용이 온라인상에서 활발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학습 환경을 조성하고(심순원, 2006) 무료로 제공되는 EBS 강의가 자칫 학생들에게 효과적이지 않은 학습매체라고 여겨지지 않게 콘텐츠 및 학습도구를 개발해야 할 것이다. 둘째, 학생들의 EBS 사회과 영역의 강의의 활용율과 관심이 다소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학생들의 다양한 의견을 듣고 이를 콘텐츠에 반영하고 지속적인 피드백을 통해 강의의 질적 개선을 해나가야 할 것이다. 셋째, EBS 강의를 듣는 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이 강의를 듣지 않는 학생에 비해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으나 학생들의 전체적인 자기 주도 학습능력의 향상되었다고 할 수 없다. 특히 학생들이 EBS 강의 이외에 사설강의나 타 사교육을 많이 활용하고 있는 시점에서 EBS 강의의 학습효과를 증명하기 어렵고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향상을 위해 시행하고 있는 EBS의 정책들이 학생들에게 단순한 강사의 강의 이상으로 활용되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교육적으로 제고 해봐야 할 것이다.

      • 교사가 지각한 유아교육기관의 조직문화에 따른 원내자율장학에 관한 연구

        류미선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의 조직문화와 원내자율장학과의 관계에서 교사가 지각한 유아교육기관의 조직문화를 살펴보고 그것이 원내자율장학과 관계가 있는지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여 설립유형과(공/사립), 교사의 교직경력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았다. 1. 교사가 지각한 유아교육기관의 조직문화는 유아교육기관의 설립유형과 교사의 교직경력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2. 유아교육기관의 원내자율장학은 유아교육기관의 설립유형과 교사의 교직경력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3. 교사가 지각한 유아교육기관의 조직문화에 따른 원내자율장학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연구자가 선행연구를 토대로 수정·제작한 질문지를 서울시에 소재한 유치원교사 298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질문지는 유아교육기관의 조직문화를 측정하는 질문 25문항, 원내자율장학을 측정하는 질문 3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변량분석, x², 중다회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가 지각한 유아교육기관의 조직문화는 보통을 상회하는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교사 개인과 더불어 각 기관의 조직의 중요성도 강조되어 유아교육기관의 조직문화에 대한 관심을 가져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조직문화와 유아교육기관의 배경변인에 차이를 검증한 결과 설립유형별 차이에서는 내재적 문화의 평균점수는 공립이, 외재적 문화의 평균점수는 사립이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교사의 교직경력이 높을수록 조직문화에 대한 지각이 높게 나타났고 저 경력을 지닌 교사들의 내·외적 조직문화에 대한 지각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교사가 지각한 원내자율장학에 대한 개념, 유형인지도, 필요성에 대해서는 교직경력이 높은 교사들이 높게 인식하였고, 도움을 받은 정도와 지도방법에 있어서는 공립유치원의 교사들의 긍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교사들은 원내자율장학의 유형 중 자기장학과 동료장학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의 질적 향상을 위한 인간관계의 형태로 문제해결을 돕고 협력할 수 있는 동료관계를 원하였다. 원내자율장학이 이루어지지 않는 요인으로 과중한 업무로 인한 장학활동의 시간부족을 지적하였고, 활성화를 위한 교사들의 요구사항으로는 환경개선 및 재정적 후원과 같은 여건조성과 행정기관의 장학관련 및 교육정보를 필요로 하였다. 셋째, 조직문화의 하위요인 중 내재적 문화보다는 외재적 문화가 원내자율장학에 대한 인식에 더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내재적 문화의 하위요인 중에서는 규범이 외재적 문화에서는 의사소통이 인과적 영향을 가장 많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문화 높게 인식하는 사립유치원의 교사와 교직경력이 높은 교사들일수록 원내자율장학에 대한 인식과 활동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전체적으로 조직문화 높게 인식하는 상집단의 교사들이 민주적인 분위기에서 장학에 대한 인식과 요구와 관심, 참여도가 높았다. The study aims at examining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recognized by teachers in terms of the relations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autonomous supervision in kindergarten, and also at figuring out whether it has any relation with autonomous supervision in kindergarten. Setting up subjects to meet such a purpose, the study is proceeded to get to know whether there are any differences as per establishment types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and teachers' teaching careers. 1. What differences has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recognized by teachers as per establishment types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teachers' teaching careers? 2. What differences has the autonomous supervision in kindergarten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s per establishment types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teachers' careers? 3. What about the relations of autonomous supervision in kindergarten as per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recognized by teachers? So as to carry out this study, the researcher conducted a survey on the questionnaires remodeled on the basis of the once-surveyed questionnaires for the object of 298 kindergarten teachers located in Seoul. The questionnaires are composed of 25 questions set to measure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infantile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30 questions set to measure the autonomous supervision in kindergarten. We have made the quantitative analysis, x², and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 First,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recognized by teachers was appeared comparatively higher rather than the average level. As a result of checking the differences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background variables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he public institutions have shown higher scored recognition in terms of the average score of the internal culture in the comparison of establishment type differences. On the other hand, the private kindergartens have obtained higher scored recognition in terms of the average score of the external culture. Teachers with much more careers have reportedly shown higher recognition about the organizational culture, while teacher with less careers have reportedly demonstrated the lowest recognition about the internal and external organizational culture. Second, as for the concept of the autonomous supervision in kindergarten recognized by teachers, recognition degree per type, and its need, teachers with higher careers have recognized them highly. On the other hand, teachers of public schools have recognized much positively in the degrees of helps received and the methods of guidance. The teachers have reportedly preferred to autonomous supervision and fellow-encouraged learning among types of autonomous supervision in kindergarten. They have been reportedly seeking for fellow relationship set to solve problems and to help each other through a type of human relations for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teachers. As for reasons why autonomous supervision in kindergarten is not well achieved, learning activities caused by excessive duties were not successfully carried out due to lack of time. As for some requirements claimed by teachers vis-a-vis the actualization of education, there is a keen need of the environmental fostering like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and financial support, as well as the information from the administration organs related to encouraged learning and education. Third, the external culture rather than the internal culture among the lower factors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had a much more influence on the recognition about autonomous supervision in kindergarten. On the other hand, among the lower factors of the internal culture, the norm had the greatest influences, while the communications had reportedly the greatest influences in terms of external culture. The teachers of private kindergartens who recognized highly the organizational culture and teachers of higher teaching careers have reportedly shown a positive reaction vis-a-vis the recognition and activities about the encouraged learning. Teachers belonging to the upper class group of a globally higher recognition about the organizational culture have shown a higher recognition, demand and concern, and participating interest vis-a-vis encouraged learning in terms of democratic atmosphere.

      • 스테이션학습법을 활용한 한국어 문법 수업의 효과 연구 : 일본인 초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류미선 경희사이버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discusses the class model about the station study method . We use the method in elementary Korean learners in S high school in Osaka of Japan. After the result analysis which based on the experiment we find that the station method has a positive effect on elementary Korean learner’s grammar teaching class. We divided the 33 students into experimental group(18 person) and control group(15 person) in order to test the result of the class model. After the homogeneity investigation, we made the amendment and supplement before the experiment. There also have a questionnaire before class on experimental group to know the students’ cognition about Korean grammar class. We evaluate the student's validity of grammatical morphology and grammatical competence and the investigation confirmed that the station method has improved the student’s cognition and satisfaction about Korean grammar clas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tation study method using in elementary Korean grammar class are really helpful to enhance the student's grammatical competence, especially the grammar fluency according to the context in the article. Second, it has positive change of student's cognition evaluation and the satisfaction after using the station study method. The questionnaire that held before the class showed that students are lack of study interest and initiative, which had improved a lot after using station study method in class. It also shows that station study method can improve the ability of using complicated grammar in phrases. The study is focus on the station study method in elementary Korean learner’s grammar class. The instructional design is to improve the validity of grammatical morphology and grammatical competence by using station study methods. And evaluate the results in practical teaching. More researches are needed on how to use the method in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in grammar class to amplify the applicability of station study method in cla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