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반응대가를 통한 ADHD 성향 유아의 자리이탈 및 주의산만 행동변화

        김희숙 대구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무상토큰 반응대가 기법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유아의 부적응 행동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방법은 ADHD 평정지와 Conners 평정도구, K-DBDL를 준거로 과잉행동 성향을 보이는 유아를 선정하여 주의산만과 자리이탈에 관한 두가지 표적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ABAB형의 반전 설계법으로 규명하였다. 자료처리는 유아행동 관찰기록표에 의한 표적행동의 빈도를 기록하여 백분율로 환산하였으며, 얻어진 자료는 각 문항별로 꺾은선 그래프를 이용하여 나타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무상토큰에 의한 반응대가 기법이 ADHD성향을 가진 유아의 주의산만 행동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둘째, 무상토큰에 의한 반응대가 기법이 ADHD성향을 가진 유아의 자리이탈 행동의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가 행동수정 방법 중 한가지로서 그 범위가 광범위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연구이기는 하나 효과를 일반화시키기 위해 연구 대상을 확대하고, 부적응 행동의 감소로 적응 행동이 증가하는지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져서, 여러 상황에서 반응대가 기법이 적용된다면 교육기술을 개발하고 활용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리라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effect of free token response cost technique on reducing the maladjusted behavior of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We have selected children with hyperactivity based on the ADHD rating scale, Conners rating scale and K-CBCL and identified the effect on two target behaviors for distraction and seat breakaway by reversal design method of ABAB. The data was obtained by recording the frequency of target behavior through observed record of child and we have converted them into a percentage and then each item of the obtained data was converted into a line graph and found the results as following. First, the response cost technique by the free token was effective to reduce distracted behavior of the children with ADHD. Second, the response cost technique by the free token showed positive impact to reduce distracted behavior of the children with ADHD. This study was one of a method to adjust a behavior and its range was not done widely, therefore, in order to generalize the effect, the study target must be expanded and more studies must be done to find out whether an adaptive behavior will increase due to the reduction of maladjusted behavior. If response cost technique is applied in many situations, it’ll be significantly helpful to develop and utilize the educational technology.

      • 버섯 연구 공간의 형성 : 한국균학회 창립과 초기 학술활동을 중심으로

        김희숙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Korean Society of Mycology was established in 1972 as an independent academic society to study mycology, especially mold, mushrooms, and yeast. The society promoted presentations of mycology research papers by publishing these in its memoir, Korean Journal of Mycology. This study aims to show how the study of mycology, especially the study of mushrooms has grown in the Korean Society of Mycology through an analysis of the papers that have been published in Korean Journal of Mycology. Before the founding of the Korean Society of Mycology, almost no research papers on mushrooms were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while many research papers on mold or yeast, were presented by the Microbiological Society of Korea. Although mushrooms were classified as plants, few researches about them were conducted by the academe. There were studies, however, on the cultivation of mushrooms by the researchers belonging to the Department for applied-fungi(應用菌餌科) of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As microorganisms, mold and yeast were studies in the academe, while mushrooms regarded as a plant were studied out of the academe. In the late 1960s, mushrooms were classified into a fungi, and new researchers who were interested in mushrooms appeared in the academe. Among them, Kim Samsoon, Lee Jiyul, and Kim Byongkak, the leading mushroom researchers, aimed to establish an academic society where they could report the results of their researches on fungi, including mushrooms. Their efforts led to the founding of the Korean Society of Mycology. Researches on mushrooms were added to the academic activities of the society, and the researchers from the Department for applied-fungi(應用菌餌科) had their papers published in Korean Journal of Mycology. The most noteworthy development since the foundation of the Korean Society of Mycology and the publication of Korean Journal of Mycology was that the amount of research on mushrooms has increased. About half of the papers that were published in Korean Journal of Mycology from 1973 to 1982 were about mushrooms, which were newly included among fungi. Though the published papers on mold in Korean Journal of Mycology were as many as those on mushrooms, however, they were not as systematic or organized as the mushroom case. Moreover, almost no research papers were published regarding yeast. It can be concluded from these developments that the space for research on mushrooms was formed through the foundation of the Korean Society of Mycology. Although the Korean Society of Mycology was aimed to cover researches on fungi as a whole, its greatest contribution was that it triggered the growth of the research on mushrooms. Because research papers on mold were published both in Korean Journal of Mycology and The Journal of microbiology, the preponderance of researches on mushrooms became the character of Korean Journal of Mycology.

      • 유아의 사회적 힘과 대인 관계성향이 또래관계에 미치는영향

        김희숙 호남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아의 사회적 힘과 대인관계 성향이 또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아의 성별에 따른 사회적 힘과 대인관계 성향 및 또래관계는 어떠한가? 2. 유아의 사회적 힘 및 대인관계 성향과 또래관계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3. 유아의 또래관계에 대한 사회적 힘과 대인관계 성향의 설명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전라남도 목포시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 17곳의 만 5세 유아 314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회적 힘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한 Bolin(2000)의 도구를 한애희(2009)가 수정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대인관계 성향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Leary(1957), Kerch와 Ballachey(1962)의 모형을 중심으로 임병아(2007)사용한 것을 사용하였다. 또래관계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Fantuzzo, Manz와 McDermott (1998)이 제작한 PIPPS(Penn Lntractive Peer Play Scale)를 번안한 정현빈(2011)의 또래관계 평정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는 예비조사, 본 조사 순으로 진행되었으며, 본 조사는 2015년 11월 9일부터 2015년 12월 4일까지 본 연구자가 직접 방문하여 설문지를 배부하고 일주일 후에 재방문하여 직접 회수하는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은 SPSS 20.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Pearson의 단순 적률상관계수와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성별에 따른 전체 사회적 힘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인관계 성향은 동정-수용, 과시-도취를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래관계의 하위영역 가운데 놀이단절은 성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놀이상호작용, 놀이방해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사회적 힘과 또래관계 간의 상관계수를 분석한 결과 유아의 사회적 힘과 또래관계에서는 부분적으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대인관계 성향과 또래관계에 역시 부분적으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또래관계에 대한 사회적 힘과 대인관계 성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70.9%의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놀이방해는 분석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64.8%의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놀이단절 분석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27.7%의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유아의 사회적 힘은 또래관계를 형성하고 원만한 또래관계를 유지하는데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 심층심리학에서 본 태몽 연구 : 꿈꾼 이의 개성화 과정으로서의 태몽 이해

        김희숙 치유상담 대학원 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 문 요 약 본 연구는 꿈은 꿈꾼 이의 건강과 온전함에 이바지한다는 심층심리학적 이해를 바탕으로 태몽엔 어떤 심리학적 의미가 있는지 알아보려 하였다. 가임기 여성이나 임신한 여성이 꾸는 꿈이 기존에 알고 있는 태몽의 범주-임신 사실의 알아차림, 자녀의 수, 자녀의 성격, 자녀의 출세여부 등등을 넘어선 아주 다른 층위의 의미, 꿈꾼 이에게 개성화 과정으로써의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태몽으로 그룹 투사 꿈 작업에 참여했던 참여자들의 통찰에 대해 삶의 맥락 속에서 이해하고자 심층면접을 통한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9명의 참여자들이 진술했던 인터뷰를 토대로 의미단위로 요약하여 21개의 하위 구성요소로 전환하였고 하위 구성요소로 전환된 용어를 기본으로 공통적인 경험의 본질이라고 판단되는 10개의 상위 구성요소로 분류했다. 도출된 10개의 상위 구성요소를 7개의 주제로 범주화하였다. 연구결과 그룹 투사 꿈 작업 이후 태몽이라는 꿈이 꿈꾼 이들의 삶을 위로하고 지지하며, 과제를 보여주어 삶의 균형을 맞추도록 권고하며, 꿈꾼 이들의 소명과 비전을 발견하여 자기실현을 이룰 수 있게 하는 메시지 등이 담겨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임신과 출산이라는 특별한 시기의 태몽은 ‘자기(Self)’의 이미지를 등장시켜 꿈꾼 이들에게 그들이 ‘온전한 존재’임을 확인 시켜준다. 여성에게 중요한 통과의례의 시기에 꿈은 자기 존재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존재의 귀함을 발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으로 볼 수 있겠다. 이는 모든 꿈은 꿈꾼 이의 개성화, 자기실현을 위한 꿈으로 온다는 꿈의 심층심리학적 이해에 부합되게 태몽도 특별한 시기에 꿈꾼 이의 건강과 온전함을 위하여 온 무의식의 메시지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의 의의는 태몽이 태어날 아기에 대한 예지적 측면을 넘어선 다른 층위의 의미, 즉 꿈꾼 이의 개성화를 위한 꿈으로서 태몽으로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이다. 특별히 새로운 생명을 잉태하는 시기에 꿈꾼 이에게 일생을 통해 자기실현을 이뤄가도록‘자기(Self)’상징 이미지를 무의식이 보내준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ABSTRACT This study is aimed to investigate how Taemong is psychologically meaningful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depth psychology which contributes to dreamers' health and wholeness. This paper explores that the dreams of women who are pregnant or childbearing age have quite different layers of meaning, the individualization process, beyond previous categories of Taemong - recognition of pregnancy, the number of children, children's success or failure etc. This study used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for interpreting deep interviews in order to understand insight of the interviewees who participated in the group projective dreamwork. I interviewed a total of 9 participants, summarized what they stated into the unit of meaning and broke it up into 21 sub-constituents. Then, they were divided into 10 main-constituents after considered the essence of common experience. Finally, they were categorized into 7 topics. According to the result, it turned out that Taemong had a message which would console and support the dreamers and encourage them to keep life in balance by showing tasks and help them discover their calling and vision so that they could achieve self-realization. Taemong during pregnancy and labor helps dreamers realize they are whole human beings, making “Self” image appear in a dream. Dreams in the period of time when women should undergo a rite of passage provide them with the opportunity to recognize themselves as being valuable and new. Thus, Taemong, which can be compatible with the understanding of depth psychology that dreams help dreamers realize the individualization process and achieve self-realization, has unconscious messages for dreamers’ health and wholeness during the special tim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Taemong can understand Taemong as a dream for the individualization of the dreamer, meaning the meaning of the other layer beyond the prophetic aspect of the baby to be born. It is noteworthy that the unconscious sends a 'self' symbol image to the dreamer during pregnancy to achieve self-realization through dreamer’s life.

      • 건강보험료 부과체계 개선의지의 영향요인 : 계획행동이론을 기반으로

        김희숙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건강보험료 부과체계 개선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을 규명하고, 예측변인과 개선의지간의 인과 관계에 조절효과를 갖는 조절 변인을 분석함으로써 부과체계 개선을 위한 제도개선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실증분석에 쓰인 자료는 국민건강보험공단 직장 및 지역가입자 534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에 의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되었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인구학적 특성별 개선의지의 변이를 분석한 결과, 여성보다는 남성이, 미혼자보다는 기혼자가,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광역시나 농어촌 주거자보다 중소도시 거주자가, 직장가입자보다는 지역가입자가, 월평균가구수입과 주관적 경제수준이 낮을수록 개선의지가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부과체계 개선의지와 연구변수간 단변량 상관분석의 결과, 모든 변수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태도, 행동통제감, 주관적규범, 불공정성인식, 보험료부담수준인식 순으로 개선의지에 강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행동통제감, 태도, 주관적규범 순으로 모든 변수가 건강보험료 부과체계 개선의지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보였다. 넷째, 조절변인인 불공정성인식의 경우 개선의지에 대한 주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 조절효과는 없었다. 다섯째, 조절변인 중 보험료부담수준인식은 개선의지에 대한 주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주관적규범, 행통제감과 상호작용을 통한 조절효과도 있었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볼 때, 건강보험료 부과체계 개선을 위해서는 가입자들의 정서를 충분히 이해하고 공감과 공유를 통해서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홍보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조절변인의 조절효과에 주목하여 홍보와 교육에 있어 보험료 부담의 형평성에 관한 내용을 집중적으로 부각시키고, 보험료 부담 불만의 원인이 불합리한 부과체계에 있음을 집중적으로 홍보하여 부과체계 개선을 위한 국민적 수용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중심단어 : 건강보험료, 부과체계, 계획행동이론, 개선의지, 불공정성, 보험료부담수준인식

      • 음악줄넘기운동의 BDNF, TNF-α, IL-6 활성 효과

        김희숙 고신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rope-jumping and treadmill-running exercises on the creation and activation of neuronal cells. In order to search for an exercise which i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cognitive ability and creating and activating neuronal cells, we analyzed and compared changes in BDNF, TNF-α and IL-6, respectively, after the acute music rope-jumping exercise and the treadmill-running exercise. Methods: This study involves 8 male participants in their 20s without any major physical and emotional development disorders. The 8 study participants engaged in the experiment as the rope-jumping experimental group and, after one week, as the treadmill-running experimental group. The rope-jumping experimental group and the treadmill-running experimental group respectively participated in a mid intensity of music rope-jumping and treadmill running exercises for 60 minutes, with the wireless heart rate meters attached to their bodies.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experimental groups for four times to measure the levels of BDNF, TNF-α and IL-6: one right before the exercise, 60 minutes after the exercise. The measured data were analyzed for verification using the independent t-test and paired t-test. Resul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after both the acute music rope-jumping exercise and the acute treadmill running exercise, all experimental groups showed an increase in BNF and TNF-α. Also, this study found that the acute music rope-jumping exercise display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compared with the acute treadmill running exercise in terms of changes in BDNF and TNF-α; the music rope-jumping exercise was found to lead to an greater increase in BDNF than the acute treadmill running exercise, but showed a delayed growth of TNF-α compared with its counterpart.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at both the acute music rope-jumping exercise and the acute treadmill-running exercise were effective in improving BDNF and TNF-α. Especially, the acute music rope-jumping exercise displayed an greater improvement in terms of BDNF than the acute treadmill running exerci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